KR0179222B1 - 자동차 부트의 가변 분할 및 적재 물품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부트의 가변 분할 및 적재 물품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9222B1
KR0179222B1 KR1019960011707A KR19960011707A KR0179222B1 KR 0179222 B1 KR0179222 B1 KR 0179222B1 KR 1019960011707 A KR1019960011707 A KR 1019960011707A KR 19960011707 A KR19960011707 A KR 19960011707A KR 0179222 B1 KR0179222 B1 KR 01792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anel
belt
boot
module
guid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1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7385A (ko
Inventor
아크레트 페테르
Original Assignee
클라우스 피셔
피셔베르케 아르투르 피셔 게엠베하 운트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우스 피셔, 피셔베르케 아르투르 피셔 게엠베하 운트코. 카게 filed Critical 클라우스 피셔
Publication of KR960037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73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9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92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2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separate luggage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08Securing to the vehicle floor or sides
    • B60P7/0807Attachment points
    • B60P7/0815Attachment rails or trell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135Securing or supporting by load bracing means
    • B60P7/14Securing or supporting by load bracing means the load bracing means comprising a movable bulkhea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4/00Package and article carriers
    • Y10S224/925Carrier for grocery ba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자동차 부트의 가변 분할용 장치 및 적재 물품을 고정하기 위해 장치는 부트 플로어(1)의 영역에 배치된 가이드 레일(2)과, 이 가이드 레일과 직각인 가이드 레일(2)에서 슬라이딩 가이드 블록(4)에 의해 안내되고 그 내부에서 횡방향으로 변위가능한 지지 패널(5)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 패널(5)은 슬라이딩 가이드 블록(4)에서 회전하도록 장착되고 수평 위치에서 선회하며, 상기 패널은 부트 플로어(1)에 대해 수직한 위치에서 부트 플로어(1)와 평행하게 놓여져서 로크된다.
지지 패널(5)상에는 적재 물품(11, 12, 21, 28)을 고정하고 제2축에서 부트를 분할하기 위한 고정 모듈(18) 또는 벨트 모듈(8a, 8b)이 고정되는 연결 소자(7a, 7b, 7c)가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부트의 가변 분할 및 적재 물품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
제1도는 수평 및 수직 위치에서 지지 패널(support panel)을 갖고 또한 다른 적용시 벨트 모듈(belt module)을 갖는 자동차 부트(boot ; 트렁크)에 설치된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수직으로 접힌 지지 패널의 영역에 도시된 상기 장치의 종단면도.
제3도는 수평 및 수직 위치에서 지지 패널을 갖는 장치의 정면도.
제4도는 수평 및 수직 위치에서 지지 패널과 다른 적용시 고정 모듈을 갖는 자동차 부트에 설치된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제5도는 폐쇄된 고정 모듈의 사시도.
제6도는 개방된 고정 모듈의 사시도.
제7도는 개방 및 폐쇄 위치에 설치된 고정 모듈을 갖는 지지 패널의 단면도.
제8도는 지지 패널에 하나가 설치된 두 벨트 모듈의 종단면도.
제9도는 지지 패널에 설치된 제8도에 따른 벨트 모듈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부트 플로어 2 : 가이드 레일
3a, 3b : 커플링 소자 4 : 가이드 블록
5 : 지지 패널 6 : 언록킹 장치
7a, 7b, 7c : 연결 소자 8a, 8b : 벨트 모듈
9 : 벨트 11, 12, 21, 28 : 적재 물품
16a, 16b : 로킹 부재 17 : 로킹 캐치
18 : 고정 모듈 19 : 아이
32 : 캐치
본 발명은 자동차 부트(motor vehicle boot)의 가변 분할(division) 및 적재 물품(loaded goods)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 놓고 사용할시에, 부트(트렁크)내에서 운반되는 물품은 다수의 각 품목과 그 형상 및 치수에 대해 폭넓게 변화한다.
특히, 매일 사용할시에 쇼핑 백과, 서류 가방등과 같은 비교적 작은 품목만이 부트내에서 운반되고 부트 공간의 일부만을 차지한다.
이런 종류의 비고정 물품은 정지, 제동, 또는 원형 밴드를 구동시 자동차가 가속될 때 부트내에서 팁(tip) 주위 또는 팁에 걸쳐 미끄러지는 경향이 있고, 운송되는 물품이 무겁거나 부서진다면, 물품에 손상 또는 자동차에도 손상을 입히기 쉽다.
소위 논-슬립 매트(non-slip mats)는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하고 부트의 플로어(floor)에 배치되며 여행중 물품이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상기 논-슬립 매트는 일정한 형상과 치수 및 중량의 물품을 위해서만 양호하고 비교적 낮은 가속값에서도 양호하다. 이들 논-슬립 매트에서조차, 상기 물품은 뒤집어지는 것이 방지되지 않는다.
부트 삽입물(boot insert)은 또한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하고 이 부트는 고정적으로 또는 가변적으로 분할한다.
이들 삽입물은 부트 플로어(floor)에 배치되거나 또는 이에 고정되는 프레임 또는 고정 베이스 판을 필수적으로 포함하고, 분할벽, 와이어 브래킷 또는 유사한 구조물과 같은 분할부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 삽입물은 고정된 분할부를 형성하고 전문적인 분야에 존재하는 바와 같이 항상 동일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만 적합하거나, 또는 상기 공간의 제한된 수만의 분할을 허용하며, 종종 빨리 변화되는 각 조건에 대해 상당한 노력에 적합하며, 이러한 이유로 인해 매일 사용하기 부적합하다.
사용하지 않을시, 이들 삽입물은 이들이 접히거나 접혀져서 구성될 때 조차도 상당히 많은 공간을 차지하므로, 큰 공간이 요구될 때마다 부트밖으로 꺼내야 한다.
통상 부트의 플로어에 설치되어 있는 스페어 휠은 상기 삽입물을 위해서는 종종 방해되므로, 먼저 모든 삽입물을 바꿀시 휠을 부트 밖으로 꺼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기술의 문제점을 회소하기 위해 자동차 부트의 가변 분할 및 적재 물품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 조건에 신속하고 부드럽게 적용되며 사용하지 않을시 부트내에서 최소 공간을 차지하는 자동차 부트의 가변 분할 및 적재 물품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된 상기 특징이 [청구항 1]에 개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부트 플로어 영역에 배치된 가이드 레일과, 이 가이드 레일과 직각으로 이 가이드 레일내에서 슬라이딩 가이드 레일에 의해 안내되고 그 내에서 횡방향으로 변위(이동)하는 지지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 패널은 슬라이딩 가이들 블록에서 회전하도록 장착되고 수평 위치로부터 선회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부트 플로어에 대해 수직 위치에서 부트 플로어와 평행하게 놓여있다.
가이드 레일은 자동차 이동 방향과 횡방향으로 부트 플로어의 후단부(이동 방향으로)에 양호하게 고정되어 있고, 여러개의 지지 패널이 사용되어 부트의 어떤 지점의 분할이 가능하도록 부트의 전체 폭을 가로질러서 연장된다.
가이드 레일은 부트 플로어에 직접 단단히 고정되거나 또는 부트 플로어에 단단히 배치된 커플링 소자에 의해 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가이드 레일은 프로파일 레일 형태이고 슬라이딩 가이드 블록이 그 내에 또는 그 위에 장착된다.
슬라이딩 가이드 블록은 지지 패널이 어떤 소정 위치에서 변위되어 여기에 고정되도록 수동으로 해제가능한 로킹 캐치에 양호하게 설치되어 있다.
지지 패널은 지지 패널의 하부 길이 방향 엣지와 평행하게 그리고 이 영역에 배치된 축에 의해 슬라이딩 가이드 블록에 회전가능하게 힌지되어 있고, 적어도 90°양호하게는 180°정도로 선회된다.
수평 위치에서, 지지 패널은 부트의 플로어에 평평하게 놓이고, 특히 나란히 배치된 여러개의 지지 패널이 사용될 때 부트에 안전하고 튼튼한 보호 플로어를 형성한다.
지지 패널에는 그 넓은 측면상에 논-슬립 커버링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적재 물품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부트를 분할하기 위해, 지지 패널은 수직 위치에서 선회되고, 이 패널은 슬라이딩 가이드 블록상에 양호하게 배치된 수동으로 해제가능한 로킹 기구에 로크된다.
슬라이딩 가이드 블록을 변위(이동)시키므로서, 지지 패널은 소정 위치로 변위된다.
이것은 부트를 어떤 소정 치수의 격벽으로 유연한 분할할 수 있게 한다.
여러개의 지지 패널을 사용할 때, 여러개의 각 치수의 격벽은 이러한 방법으로 형성된다.
슬라이딩 가이드 블록과 지지 패널의 언로킹 장치의 조합에 의해 간단한 작동이 제공된다. 이러한 방법에서 지지 패널은 한 손으로 위로 접으므로서 소정 지점으로 변위된다.
사용하지 않을시, 지지 패널은 부트 플로어 상에서 나란히 편평하게 아래로 접히거나 또는 부트의 측벽을 향해 수직 위치에서 멀리 밀리므로, 작은 공간만을 점유한다. 스페어 휠을 제거하기 위해 부트 플로어에 대한 자유롭고 신속한 접근이 또한 보장된다.
가이드 레일은 지지 패널 뒤에 양호하게 배치되어 있다(이동 방향으로).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지지 패널의 각 단부에 배치된 두 가이드 레일에 지지 패널을 장착하거나 또는 전후방 단부사이에 배치된 가이드 레일에 지지 패널을 장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가이드 레일이 이동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지지 패널이 이동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배치되도록 90°정도 회전된 부트에 상기 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지지 패널에는 다른 모듈을 고정하는 연결 소자가 그 넓은 측면상에 설치된다.
이 연결 소자는 지지 패널의 양쪽 넓은 측면상에 대칭적으로 양호하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모듈은 지지 패널의 어떤 소정 지점에 고정된다.
상기 연결 소자는 예를 들면, 삽입된 모듈이 소정 위치로 변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지지 패널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하는 텅(tongue)과 홈가이드로써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모듈은 수동으로 해제가능한 록킹 수단을 갖고 있으며, 이 록킹 수단에 의해 상기 모듈이 소정 위치에서 지지 패널에 록크될 수 있다.
상기 모듈은 고정 모듈을 포함하고, 이 고정 모듈에 의해 장력 로프(tensioning rope)가 적재 물품을 고정하기 위해 지지 패널에 고정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고정 모듈은 적합한 아이(eye)와 고정 후크(hook)를 구비한다.
예를 들면, 쇼핑 백의 운반 핸들은 수직방향으로 위치 설정된 지지 패널상에서 고정 후크와 클립(clip)의 형태로 고정 모듈상에 후크되므로써, 뒤집힘에 대해 보호된다.
제일 축에서, 예를 들면 이동 방향에 대한 횡방향으로 부트의 분할이 지지 패널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제2축에서, 예를 들면 이동 방향으로 추가적인 분할은 또한 종종 요구된다.
그러나, 부트의 분할에 따르면 지지 패널간의 거리가 변화되므로 제2축에서 다른 분할은 이것이 두 지지 패널간의 특정 거리와 정합될 때만 가능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벨트 모듈은 지지 패널의 연결 소자에 불확실하게 연결되고 룰-업(rool-up) 벨트에 의해 다른 것에 연결되어 있다.
룰-업 기구에 의해, 벨트는 지지 패널사이의 특정 거리와 자동적으로 정합되고 수동으로 해제가능한 캐치(catch)에 의해 당겨진 위치에서 로크된다.
이 벨트 모듈은 적재 물품을 지지 패널에 고정하기 위해 또한 사용된다.
이 경우에, 양 모듈은 동일한 지지 패널(양호하게는 동일한 넓은 측면상에)에 고정되고, 적재 물품은 이들을 위로 인장시키는 벨트를 갖는다.
이것은 지지 패널의 수평 및 수직 위치 모두에서 가능하다.
벨트의 폭은 지지 패널의 폭에 대략 양호하게 대응하고, 벨트 길이는 서로로부터 지지 패널의 최대 길이 및 고정될 적재 물품의 치수와 정합된다.
상기 벨트를 위한 룰-업 기구는 하나의 모듈에 또는 긴 벨트의 경우에 양 모듈에 설치되어 있다.
고정 모듈과 벨트 모듈이외에, 개방 및 폐쇄 컨테이너와 같은 다른 모듈은 동일한 원리에 따라 지지 패널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과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한 하기 양호한 실시예의 설명과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 명확하게 나타난다.
제1도는 수직 위치에서 두 지지 패널(5)과 수평 위치에서 한 지지 패널(5)을 갖는 자동차 부트(boot ; 트렁크)에 설치된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가이드 레일(2)은 커플링 소자(3a, 3b)에 의해 자동차의 이동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부트 플로어(1)의 후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된다.
슬라이딩 가이드 블록(4)은 가이드 레일(2)상에 변위(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있다.
지지 패널(5)은 슬라이딩 가이드 블록(4)에 회전가능하게 힌지되고, 부트 플로어(1)와 평행하게 놓여 있는 수평 위치로부터 부트 플로어(1)와 직각인 위치로 선회하며, 이 위치에서 이들은 로킹 부재(16a, 16b)에 의해 고정적으로 유지된다.
언로킹 장치(6)는 슬라이딩 가이드 블록(4)에 배치되어 있고, 이 장치에 의해 지지 패널(5)의 로킹 부재(16a, 16b)와 슬라이딩 가이드 블록(4)을 가이드 레일(2)에 위치시키기 위한 로킹 캐치(17)가 동시에 해제된다.
넓은 측면(5a, 5b)상에서, 지지 패널(5)에는 지지 패널(5)의 전체 길이에 걸쳐 수평 단부면과 평행하게 연장하는 텅(toung)과 홈 가이드 형태인 연결 소자(7a, 7b, 7c)가 설치되어 있다.
풀-아웃 벨트(pull-out belt ; 9)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벨트 모듈(8a, 8b)은 연결 소자(7a, 7b, 7c)에 고정된다.
푸시 버튼(10)은 벨트 모듈(8a, 8b)과, 작동시 연결 소자(7a, 7b, 7c)에 있는 벨트 모듈(8a, 8b)의 로킹 부재 또는 기구(30)상에 배치되고, 동시에 벨트(9)를 특정 풀-아웃 위치에 로크하는 캐치(32)는 벨트 모듈(8a, 8b)이 지지 패널(5)에서 변위되고 동시에 벨트(9)가 소정 풀-아웃 위치에 있도록 해제된다.
벨트 모듈(8a, 8b)을 사용할 시, 운송될 서로 다른 치수의 물품(11, 12)은 수평 지지 패널(5)과 수직 지지 패널(5)에 고정되고, 지지 패널(5)간의 다른 분할은 이들 지지 패널(5)의 특정 공간에 자동적으로 채용되게 형성된다.
제2도는 상기 장치를 종단면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수직 위치로 설정된 지지 패널(5)은 하부 단부면(5c)과 평행하고 그 영역에 배치된 축(13)에 의해 슬라이딩 가이드 블록(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스프링(15)의 힘에 대해 하향으로 가압되는 언로킹 장치(6)는 슬라이딩 가이드 블록(4)에 또한 배치되어 있다.
이것이 발생할 때, 지지 패널(5)을 수직 위치로 유지하는 로킹 부재(16a, 16b)와 동시에 슬라이딩 가이드 블록(4)이 가이드 레일(2)에 로크되는 로킹 캐치(17)는 지지 패널(5)이 수직 위치로부터 수평 위치로 하향으로 접히고 가이드 레일(2)상에서 소정 위치로 변위되도록 해제된다.
제3도에서 지지 패널(5)이 부트 플로어(1)와 평행한 두 수평 위치로 그리고 부트 플로어(1)와 직각인 수직 위치로 도시되어 있고, 가이드 레일(2)상의 슬라이딩 가이드 블록(4)의 변위 방향이 또한 도시되어 있다.
제4도에는 수평 위치로 있는 두 지지 패널(5)과 수직 위치로 있는 한 지지 패널(5)을 갖는 자동차 부트에 설치된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고정 모듈(18)은 지지 패널(5)의 연결소자(7a, 7b, 7c)에 장착되어 있다.
고정 모듈(18)은 접힘 부분(18b)에는 적재 물품(28)을 고정하기 위한 장력 로프(20)가 고정되는 아이(eye ; 19)가 설치되어 있다.
고정 모듈(18)이 수직적으로 위치 설정된 지지 패널(5)에 배치될 때, 쇼핑 백(21)의 운반 핸들(21a)은 이 백이 뒤집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접힘 부분(18b)에 후크된다.
제5도 내지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모듈(18)의 접힘 부분(18b)은 축(22)에 의해 고정 판(18a)에 힌지된다.
레그 스프링(23)의 힘에 저항하는 접힘 위치에 접힘 부분(18b)을 고정하는 폐쇄 후크(24)는 고정 판(18a)에 배치되어 있다.
버튼(25)을 작동시키므로서, 폐쇄 후크(24)는 접힘 부분(18b)이 해제되고 레그 스프링(23) 힘의 영향하에서 개방되는 정도로 변위된다.
버튼(25)이 가압될 때, 편향 레버(27)는 소정 위치에서 고정 모듈(18)을 연결 소자(7a, 7b, 7c)에 로크하는 로킹 기구(26)를 동시에 해제한다.
제8도 및 제9도는 벨트(9)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두 벨트 모듈(8a, 8b)을 도시하고 있다.
고정 장치(29a, 29b, 29c)가 벨트 모듈(8a, 8b)상에 배치되고, 이에 의해 벨트 모듈(8a, 8b)은 연결소자(7a, 7b, 7c)에 고정된다.
고정 장치(29a, 29b, 29c)는 푸시 버튼(10)이 작동될 때 레일(31)에 의해 불필요하게 되는 로킹 부재(30)를 포함하고, 벨트 모듈(8a, 8b)은 지지 패널(5)상에서 소정 위치로 변위된다.
푸시 버튼(10)을 작동시키므로서, 자동식 룰-업 장치(33)의 힘에 저항하고 풀링에 저항하는 풀-아웃 위치에 벨트(9)를 로크하는 캐치(32)가 또한 해제된다.

Claims (27)

  1. 자동차 부트의 가변 분할 및 적재 물품을 고정하기 위해 장치에 있어서, 부트 플로어(1)의 영역에 배치된 가이드 레일(2)과, 이 가이드 레일과 직각으로 가이드 레일(2)에서 슬라이딩 가이드 블록(4)에 의해 안내되고 그 내부에서 횡방향으로 변위가능한 지지 패널(5)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패널(5)은 슬라이딩 가이드 블록(4)에서 회전되도록 장착되고 수평 위치로부터 선회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패널은 부트 플로어(1)와 평행하게 놓이고 부트 플로어(1)에 대해 수직한 위치에 놓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패널(5)은 로킹 부재(16a, 16b)에 의해 수직 위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패널(5)은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블록(4)에서 180도 정도로 선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부재(16a, 16b)는 언로킹 장치(6)에 의해 수동으로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블록(4)은 로킹 캐치(17)에 의해 가이드 레일(23)상에 로크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캐치(17)는 언로킹 장치(6)에 의해 수동으로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4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부재(16a, 16b)와 로킹 캐치(17)는 공통 언로킹 장치(6)에 의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러 개의 지지 패널(5)은 가이드 레일(2)에 나란히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2)은 부트 플로어(1)에 고정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2)은 커플링 소자((3a, 3b)에 의해 상기 부트 플로어(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패널(5)에는 그 넓은 측면(5a, 5b)상에 연결 소자(7a, 7b, 7c)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소자(7a, 7b, 7c)는 넓은 측면(5a, 5b) 양쪽상에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소자(7a, 7b, 7c)는 상기 지지 패널(5)의 길이에 걸쳐 수평 단부(5c, 5d)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텅 및 홈 가이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소자(7a, 7b, 7c)에 의해 지지 패널(5)에 비고정적으로 연결되는 모듈(8a, 8b, 18)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8a, 8b, 18)은 길이 방향으로 변위되도록 상기 텅 및 홈 가이드(7a, 7b, 7c)로 안내되고 수동으로 해제가능한 로킹 기구(26, 30)에 의해 로크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8a, 8b, 18)은 고정 후크(18b)와 아이(19)가 설치된 고정 모듈(1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모듈(18)에는 상기 아이(19)를 포함하는 접힘 부분(18b)이 설치되어 있고 접힘 위치에 고정 후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8a, 8b, 18)은 풀-아웃 벨트(9)가 설치되는 벨트 모듈(8a, 8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9)를 상기 벨트 모듈(8a, 8b) 안으로 잡아당기는 롤-업 기구(33)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9)를 풀-아웃 위치에 로크하는 캐치(32)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캐치(32)를 수동으로 해제하기 위한 수단(1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제11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9)는 상기 연결 소자(7a, 7b, 7c)와 비고정적으로 결합되는 고정장치(29a, 29b, 29c)가 그 외부 단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두 벨트 모듈(8a, 8b)은 공통 벨트(9)에 의해 함께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4.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9)의 폭은 개방 지지 패널(5)의 높이에 대략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패널(5)에 대해 횡방향으로 상기 부트를 분할하기 위한 다른 수단(9)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9)은 두 지지 패널(5)간의 거리와 정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7. 제18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9)은 지지 패널(5)을 연결하는 벨트 모듈(8a, 8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960011707A 1995-04-20 1996-04-18 자동차 부트의 가변 분할 및 적재 물품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 KR01792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514605A DE19514605A1 (de) 1995-04-20 1995-04-20 Vorrichtung zum variablen Unterteilen eines Kraftfahrzeug-Kofferraums und Festhalten des Ladegutes
DE19514605.0 1995-04-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7385A KR960037385A (ko) 1996-11-19
KR0179222B1 true KR0179222B1 (ko) 1999-03-20

Family

ID=7760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1707A KR0179222B1 (ko) 1995-04-20 1996-04-18 자동차 부트의 가변 분할 및 적재 물품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715978A (ko)
EP (1) EP0738626B1 (ko)
JP (1) JP2831612B2 (ko)
KR (1) KR0179222B1 (ko)
DE (2) DE19514605A1 (ko)
ES (1) ES2131358T3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8328B1 (ko) * 2005-12-27 2013-08-20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그리스 통 적재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38883A (en) * 1998-07-07 2000-10-31 Jackson; Danny R. Truck/sport utility vehicle divider
DE19852961C1 (de) * 1998-11-17 1999-11-11 Daimler Chrysler Ag Unterteilungs- und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Ladegut, insbesondere in einem Laderaum von Kraftfahrzeugen
FR2792888B1 (fr) * 1999-04-28 2001-07-06 Plastic Omnium Valeo Interiors Agencement d'appareillages pour vehicule automobile et tableau de bord comprenant un tel agencement
NZ337141A (en) * 1999-08-10 2000-10-27 Rex Hamilton Russell Adjustable partitions for cargo space of a vehicle
US6267427B1 (en) 1999-11-10 2001-07-31 John C. Ziehl Truck bed divider
US6308873B1 (en) * 1999-12-30 2001-10-30 Lear Corporation Motor vehicle storage apparatus
US6460916B2 (en) 2000-01-07 2002-10-08 Kawasaki Jukogyo Kabushiki Kaisha Utility vehicle
JP2001315581A (ja) * 2000-05-09 2001-11-13 Fuji Heavy Ind Ltd 車両用荷物保持装置
US6454148B1 (en) * 2000-06-22 2002-09-24 Lynnwood C. Cook Collapsible cargo container
AU2001281942A1 (en) 2000-07-05 2002-01-14 Bos Gmbh And Co. Kg Luggage compartment for a motor vehicle
DE50113567D1 (de) * 2000-07-05 2008-03-20 Bos Gmbh Laderaum für ein kraftfahrzeug
DE20014050U1 (de) * 2000-08-16 2002-01-10 Johnson Controls Gmbh System zur Unterbringung von Ladegut in einem Fahrzeug
DE10124938A1 (de) * 2001-05-21 2002-12-19 Geze Gmbh Bewegbare Kofferraumabtrennung
DE10134887B4 (de) * 2001-07-18 2006-01-19 Daimlerchrysler Ag Befestigungsvorrichtung zum Haltern und/oder Sichern von Gegenständen in einem Fahrzeugladeraum
US6796472B2 (en) 2001-12-19 2004-09-28 William C. Miller Automobile trunk compartmentalizer
WO2003070520A1 (en) * 2002-02-16 2003-08-28 Loading Zone Llc Subdivider for truck bed cargo gate
US6851735B2 (en) * 2002-02-20 2005-02-08 Lear Corporation Rear vehicle storage system
DE10228360A1 (de) * 2002-06-25 2004-01-15 Volkswagen Ag Zur Positionierung von Gegenständen in einem Fahrzeuginnenraum ausgelegter Rahmen
DE10341833A1 (de) * 2003-09-09 2005-04-14 Daimlerchrysler Ag Haltevorrichtung für Gebrauchsgegenstände im Innenraum von Kraftwagen
US6974170B2 (en) * 2003-12-30 2005-12-13 Lear Corporation Slide out trunk space storage system
US7037056B2 (en) * 2004-01-16 2006-05-02 Gregory Lynch Sheet member dispensing apparatus for use with articles stacked on a bed of a trailer
US20050175426A1 (en) * 2004-02-09 2005-08-11 Lear Corporation Cargo Retention Rail System
DE102004017907B4 (de) * 2004-02-20 2008-09-04 Schaffer, Holger, Dipl.-Ing. Haltevorrichtung
US7066516B2 (en) * 2004-03-31 2006-06-27 Lear Corporation Rear vehicle storage system
DE102005002581B4 (de) * 2005-01-20 2007-06-21 Daimlerchrysler Ag Kraftfahrzeugladeraum
US20060180623A1 (en) * 2005-02-11 2006-08-17 Reynolds Brian J Rear vehicle storage system
US7201421B2 (en) * 2005-02-11 2007-04-10 Lear Corporation Rear vehicle storage system
DE102006010377A1 (de) * 2006-03-03 2007-09-06 Bos Gmbh & Co. Kg Haltevorrichtung für Ladegut
FR2907072B1 (fr) * 2006-10-12 2009-07-10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Cloison de separation de coffre
DE102007022329A1 (de) 2007-05-12 2008-11-1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Detroit Variable Laderaumunterteilung für Personenkraftwagen
DE102008029268B4 (de) 2008-06-19 2023-08-31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Befestigungsmodul für einen Kofferraum eines Kraftfahrzeuges
DE102008051620A1 (de) * 2008-10-02 2010-04-08 Bos Gmbh & Co. Kg Sicherheitsvorrichtung für Ladegut
US7959390B2 (en) * 2008-11-05 2011-06-14 Tom Gorski Vehicle trunk organizer
US8215693B2 (en) * 2009-04-23 2012-07-10 Greg Ulita Vehicle trunk compartment cargo management system
DE102010052957A1 (de) * 2010-11-30 2012-05-3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Heckablagesystem, Kraftfahrzeug mit Heckablage und Verfahren zum Auf- und/oder Abbau einer Rückhaltemöglichkeit bei einem Heckablagesystem
CN102090785B (zh) * 2010-12-21 2013-03-06 蒋清校 一种车载仪器自动调整水平面的放置平台
DE102011101594A1 (de) * 2011-05-13 2012-11-15 Abb Ag Zentralscheibe eines elektrischen Installationsgerätes zum Ablegen und elektrischen Aufladen eines mobilen Audio- und Kommunikationsgerätes
DE102012102113A1 (de) 2012-03-13 2013-09-19 Lutz Focke Trägersystem zum Halten oder Sichern eines Gegenstands in oder auf einem Transportmittel
US10179547B2 (en) * 2013-05-24 2019-01-15 Stellar Industries, Inc. Side pack with channels
CN103395396B (zh) * 2013-07-26 2016-04-13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 行李舱物件固定装置
CN103568972B (zh) * 2013-11-19 2016-08-17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 一种汽车后备箱的行李固定装置
FR3017351A1 (fr) * 2014-02-10 2015-08-14 Azur Concept Ind Dispositif de soutien d'elements a l'interieur du coffre d'un vehicule automobile
US9340143B2 (en) * 2014-08-27 2016-05-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djustable cargo track system on side panel
KR101558804B1 (ko) * 2014-09-02 2015-10-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트렁크용 가변 파티션 장치
ES2538741B1 (es) * 2015-03-10 2016-01-25 Seat, S.A. Sistema de fijación a piso de maletero de vehículo automóvil
US9820556B2 (en) * 2015-06-16 2017-11-21 Xpansion Gear, Llc System for storing, organizing, and transporting portable items
DE102015112191A1 (de) * 2015-07-27 2017-02-02 Allsafe Jungfalk Gmbh & Co. Kg System zur Halterung eines Transportgegenstandes
JP6477575B2 (ja) * 2016-04-19 2019-03-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周辺情報検出センサの配設構造
DE102016206903B4 (de) 2016-04-22 2023-05-11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Haltehakeneinrichtung
US10005398B2 (en) * 2016-07-13 2018-06-2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Cargo management system for a vehicle
CN106314296B (zh) * 2016-08-28 2019-01-04 宁波纽特汽车配件有限公司 一种基于皮卡车后斗的置物袋组件结构
CN106740520B (zh) * 2017-03-14 2023-03-10 广东东箭汽车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载物装置
US10214148B2 (en) * 2017-06-29 2019-02-2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ystem to secure objects within a vehicle
DE102018108907A1 (de) * 2018-04-16 2019-10-17 Sortimo International Gmbh Vorrichtung zur Lagerung von Kisten
DE102018004413A1 (de) 2018-06-05 2018-11-29 Daimler Ag Beladungsvorrichtung für einen Kraftwagen. insbesondere für einen Personenkraftwagen
CN115447652B (zh) * 2022-10-18 2023-06-20 中国南方电网有限责任公司超高压输电公司曲靖局 一种带有防工器具丢失功能的智行工具车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701786A1 (de) * 1977-01-18 1978-07-20 Bosch Gmbh Robert Raumteiler, insbesondere fuer automobil-kofferraeume
DE7819957U1 (de) * 1978-07-03 1979-11-15 Heidecker, Hanns, 2000 Hamburg Vorrichtung zum Halten von Klein-Ladegut in einem Laderaum
DE7828641U1 (de) * 1978-09-26 1979-04-26 Kratzmeier, Ewald, 8060 Dachau Vorrichtung zum Halten von Gegenständen auf Ladeflächen von Kraftfahrzeugen
DE3048826A1 (de) * 1980-12-23 1982-07-15 Wolfgang 7000 Stuttgart Krauß Variable kofferraumtrennwand
JPS57200450U (ko) * 1981-06-18 1982-12-20
JPS6176737U (ko) * 1984-10-27 1986-05-23
JPS61185636U (ko) * 1985-05-13 1986-11-19
JPS62123452U (ko) * 1986-01-30 1987-08-05
DE4015556A1 (de) * 1989-05-26 1990-11-29 Volkswagen Ag Kofferraumeinsatz fuer kraftfahrzeuge
DE9010940U1 (ko) * 1990-07-24 1990-09-27 Clauss, Walter, Dipl.-Ing., 7302 Ostfildern, De
DE9109910U1 (ko) * 1991-08-10 1992-12-10 Form Orange Produktentwicklung, Goetzis, At
DE4132954A1 (de) * 1991-10-04 1993-04-08 Helmut Walter Sterzel Vorrichtung zum unterteilen eines kraftfahrzeug-kofferraums
GB2267876A (en) * 1992-06-20 1993-12-22 Barry Graham Darwen Car boot storage system.
DE4234812A1 (de) * 1992-10-15 1994-04-21 Bayerische Motoren Werke Ag Bodenverkleidung, insbesondere ein Kofferraumeinsatz für Kraftfahrzeug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8328B1 (ko) * 2005-12-27 2013-08-20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그리스 통 적재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738626B1 (de) 1999-03-24
KR960037385A (ko) 1996-11-19
JPH08310308A (ja) 1996-11-26
JP2831612B2 (ja) 1998-12-02
ES2131358T3 (es) 1999-07-16
DE59601478D1 (de) 1999-04-29
US5715978A (en) 1998-02-10
DE19514605A1 (de) 1996-10-24
EP0738626A1 (de) 1996-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79222B1 (ko) 자동차 부트의 가변 분할 및 적재 물품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
US7028872B2 (en) Storage device for a cargo space for a motor vehicle
KR101324371B1 (ko) 자동차의 화물 공간용 플로어 조립체
US6053553A (en) Device for variable subdivision of a storage area
EP1104718B1 (en) Roof rack assembly
US5224748A (en) Motor vehicle security shade with guide track
US6623059B2 (en) Collapsible storage apparatus for vehicle cargo compartments
US20110115246A1 (en) Retractable safety cover for a rail system in a motor vehicle
US5667120A (en) Device for the variable division of a motor vehicle boot and for securing the loaded cargo
GB2423065A (en) Vehicle rear storage system
US6749241B1 (en) Vehicle cargo panel having retractable belt
KR20080098362A (ko) 차량용 적재 장치
KR101684088B1 (ko)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 장치
EP1387781B1 (en) Cargo organizer with flip-up walls
US10632934B2 (en) Tonneau with integrated toolbox
US10486603B2 (en) Luggage compartment arrangement for a motor vehicle
GB2261856A (en) A cargo barrier for use in a vehicle
JPH0376254B2 (ko)
CN107458314B (zh) 行李箱地板遮盖装置和包含该遮盖装置的汽车行李箱
CA3067404C (en) A tonneau with integrated toolbox
KR920003164Y1 (ko) 차량적재함 보호덮개 지지장치
KR0131635Y1 (ko) 승용차의 휴대품 수납실장치
KR200309725Y1 (ko) 화물 차량용 적재함 커버장치
EP1431122B1 (en) Collapsible storage apparatus for vehicle cargo compartments
EP0765255A1 (en) Cargo sup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