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0788B1 - 차량 환기루우프의 프레임에 대한 배수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환기루우프의 프레임에 대한 배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0788B1
KR0160788B1 KR1019920007022A KR920007022A KR0160788B1 KR 0160788 B1 KR0160788 B1 KR 0160788B1 KR 1019920007022 A KR1019920007022 A KR 1019920007022A KR 920007022 A KR920007022 A KR 920007022A KR 0160788 B1 KR0160788 B1 KR 01607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ring
drainage
drain pipe
frame
sphe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7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9603A (ko
Inventor
하타쓰 라이너
바이만 브리지트
아놀드 라이너
페터만 디에터
Original Assignee
카알 슈미트후버
로크웰 골데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알 슈미트후버, 로크웰 골데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카알 슈미트후버
Publication of KR920019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96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0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07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22Sliding roof trays or assemb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084Water draining for non-fixed roofs or roof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차량 환기 루우프의 프레임에 대한 배수장치는 프레임의 수로와 연결된 배수관을 이용한다. 배수관은 프레임 보다 더 밖으로 돌출하여서 호스와 연결되도록 되어 있으며, 이 호스는 차량의 본체 포스트 또는 필러를 통해 연속되어 물을 제거하게 되어 있다. 운송 중 프레임으로부터 외방으로 돌기하는 배수관에 대한 손상을 막기위해, 그리고 상이한 차량의 루우프의 배수장치를 갖춘 프레임을 적용시키기 위해, 배수관은 그의 외주에 구면상 이루어서 보올-조인트 등의 방식으로 상응하는 형상의 체결/밀봉 링에 수용되는 단부를 갖는다. 체결/밀봉 링은 슬리이브 부분 내부에 고정된다.

Description

차량 환기루우프의 프레임에 대한 배수장치
제1도는 차량루우프가 개방되어 있는 것을 절결해서 연속압출형섹션으로부터 만곡된 프레임을 예시하는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프레임의 전방코너 부분의 평면도.
제3도는 제2도의 Ⅲ-Ⅲ선에 따라 취한 단면도.
제4도는 프레임으로 인서트의 부착에 앞서 제2도의 프레임코너의 사시도.
제5도는 제4도에 도시한 인서트의 일부파단평면도.
제6도는 제5도의 Ⅳ-Ⅳ선에 따라 취한 수관의 단면도.
제7도는 판금재로부터 딥드로이 가공된 단일편 프레임을 갖는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의 사시도.
제8도는 제7도의 프레임의 전방코너의 평면도.
제9도는 제8도의 Ⅸ-Ⅸ선에 따라 취한 배수관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량 루우프 2 : 루우프 개구
3 : 루우프 프레임 4 : 배수관
6 : 인서트 7 : 슬리이브부분
12 : 채널 13 : 천이부
14 : 환형홈 16 : 보어 세그멘트(bore segment)
본 발명은 차량의 환기루우프를 포함하는 프레임의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어떤 경우, 이 루우프는 슬라이딩식 루우프로서 기능한다.
슬라이딩식 루우프 프레임의 배수장치는 테두리시일을 통해 스며드는 빗물이나 세척수의 배수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으로 통용된다. 아울러, 이 배수장치는 이 장치와 관련된 배수호스 또는 파이프에 연결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독일특허 39 240 37 C1에 언급된 바와같은 전형적인 설계는 초기 종래기술인 배수관이 이 판금재 프레임에 납땜 또는 용접된 배수장치를 대체하기 위한 기술이었다. 이 특허에서 언급한 설계에 있어, 판금으로 형성된 배수관은 프레임에 구성된 접촉면을 형성하는 칼러안에 성형되어 있다. 이 배수관은 프레임안의 통로를 통해 도입되는 배수관의 단부와 함께 플랜지가공 또는 납땜가공함으로써 프레임에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이 배수관은 결국 플랜지가공 또는 납땜가공에 의해 프레임에 연결되는 것이다.
또한 독일특허 33 34 896 C2에 공지된 것은 플라스틱재료를 슬라이딩형 루우프 프레임에 막바로 사출성형시켜 배수관을 성형하여 프레임이 그의 양 측부에서 통로의 테두리를 감싸는 형식으로 되어있다. 동일형식의 다른 목적을 갖는, 유럽특허 0 395 127 A1에서는 배수장치가 2부품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부품은 칼러를 가지는 1편의 파이프로서, 이것은 프레임벽의 통로를 내부에서 외부까지 통과하고, 또한 외방으로 면하는 원주에 반경방향으로 배열된 치형 디텐트 또는 접속요소들을 포함하고 있다. 제2부품은 디텐트 또는 접속요소들을 가지는 슬리이브부분으로서 배수파이프의 원주상에 이들 요소를 배합시켜 배수파이프가 상기 원주위에 미끄러질때 그리고 그위에 고정될 때, 프레임벽이 파이프칼러와 슬리이브부분사이에 밀봉형식으로 체결되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모든 공지방안은 배수관이 프레임에 고정적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공동의 단점을 갖는다. 더구나, 이들 배수관들은, 슬라이딩 루우프가 설치된 차량에 앉은 승객들에게 상해를 입힐 염려가 되는, 프레임의 외형보다 더 돌출하여 있다. 이러한 것은 차량 루우프의 내측을 덮는 루우프 라이닝이 전형적으로 직물 또는 플라스틱재료로 만들어진 결과이다. 루우프 라이닝 커버와 그리고 이와 결합된 배수관의 사용은 승객의 상해의 원인을 제공한다.
이와같이 외부프레임외형 보다 밖으로 더 돌출하여 슬라이딩 루우프 프레임과 견고하게 연결된 공지의 배수관의 다른 단점은 슬라이딩 루우프 유닛의 운송중 명백히 나타난다. 이러한 문제점은 슬라이딩 루우프 유닛이 설치용으로 통상 마련되기 때문에 생긴다. 이 유닛의 부적절한 취급은 프레임의 외·하방으로 멀리 돌출하는 배수관의 만곡부를 통해 쉽게 손상을 야기시킨다. 배수관이 판금프레임에 용접, 납땜 또는 기타 유형으로 연결된 경우, 접속과정은 상당한 수고, 시간 및 검사노고를 요하는데, 이들 요소 모두는 대량생산상태에서는 불필요한 것들이다.
또한 공지된 기술은 독일특허 OS 160 59 36에 기재된 슬라이딩 루우프 프레임에 있어, 위에 가요성재료가 용접된 성형편을 가지는 관형라인으로부터 그리고 프레임의 측벽의 구멍에 상기 성형편을 고정시키는 형식으로 배수장치를 형성시키고 있다. 설치과정중, 상기 라인은 프레임 측벽의 구멍에 나입된 다음 성형편이 구멍에 긴밀하게 안착될때까지 구멍을 통해 당겨진다. 한편, 이 공지 구현예에 있어, 전술한 단점은 배제되고, 구멍에 성형편의 안착은 성취가능한 밀봉 죄임의 예상범위에 있게 된다. 그러나 성형편의 전체길이 및 관형라인의 전체길이가 성형편을 프레임 측벽의 구멍으로부터 쉽게 당겨지고, 또한 적어도 구멍으로부터 쉽게 변위되도록 한다. 이러한 발생은 이들 배수장치의 운송중 생길 수 있는 굽힘 또는 충격하중에 의해 생긴다.
본발명은 선루우프(sunroof) 및 문루우프(moonroof) 등과 같은 차량환기루우프의 프레임을 위한 배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관련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승객에 대한 상해의 적극적인 보호수단을 제공하고, 운송중 이들 장치에 발생하는 손상의 위험을 줄이고, 단순한 제조가 가능하고, 신뢰가능한 수밀을 보증하고 그리고 환기루우프에 보편적으로 이용되는 배수장치를 제공한다.
본발명은 프레임구조의 수로와 연통하는 하나 이상의 배수관을 갖는 차량환기루우프의 프레임의 배수장치를 제공한다. 이 배수관은 환기루우프의 프레임보다 더 외방으로 돌기하며 또한 관의 일단이 프레임측면상에 형성되어 슬러이브부분을 갖는 프레임에 대해 수밀 접속을 제공하도록 한다. 프레임측면상의 배수관의 단부는 그의 외주에 구상으로 설계되어 슬리이브부분에 고정된 밀봉링속에 배수관이 보올-조인트 유형(ball-joing fashion)으로 수취되어지도록 되어있다.
본발명의 배수장치에 있어, 배수관은 회전·선회되도록 프레임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아울러 구형조인트부분의 적절한 치수 및 설계에 의해 적절한 강성이 얻어질 수 있다. 이런 방도로, 배수관에 대해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배수관의 방향 조정은 그대로 유지된다.
본 명세서에 기술한 장치는 구조물, 환기플랩 및 기타 유사장치를 갖는 슬라이딩-상승작용식 루우프에 이용가능하다. 이들 루우프는 루우프 프레임을 기초로 하며, 프레임은 디입 드로우잉된 판재의 고유 강도를 갖는 물통으로서, 또는 U형상으로 구부러져서 후방쪽으로 개방되는 연속 압출형 섹션으로부터의 가이드 프레임으로서 이용된다. 통상저으로, 수로는 슬라이딩 루우프의 작동을 위한 안내장치로부터 떨어진 루우프 프레임에 마련된다. 이들 수로는 슬라이딩 커버와 루우프의 컷아웃(cutout) 테두리 사이에 놓고 테두리 틈새 시일을 통해 스며드는 물을 수집한다. 이 물은 유출관을 통해 배수장치의 외부로 보내진다. 이용된 수로는 통상 전방측에 위치하고 또한 전방측 하부의 옆쪽, 또는 측면 커버의 테두리에 위치한다. 이들 수로는 고정형 후방 루우프의 표면 밑에서 후방측으로 길게 연장된다. 후방측 커버 테두리를 통해 스며든 물은 별개의 대치 가능한 물통에 의해 전환되어 여기서 프레임의 측면 수로에 들어간다.
배수관의 외향 돌출 단부상에는 가요성 호스들이 배치되어 외측 수로벽을 통해 투입된다. 이들 가요성 호스의 자유단은 차량 본체의 본체 포스트 또는 필러의 상부 구멍에 삽입된다. 이때 전·후방측 배수관들은 슬라이딩 프레임에 마련된다. 이들 배수관은 프레임에 부착되어 외부단이 본체 포스트 또는 필러의 상부구멍 맞은편에 놓이도록 되어있다. 이런 방도로, 배수관에 놓인 호스의 안내직선 상태는 보장되는 것이다.
본체 포스트 또는 필러의 구성은 개개차량의 본체의 형상에 따라 결정된다. 이것은 본체 포스트 또느 필러의 구멍의 위치와 일치하는, 모든 차량형식에 적절한 슬라이딩 루우프를 마련할 필요성이 있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배수장치에 있어, 프레임에 대한 수관의 회전 및 선회가능한 부착은 일정한 치수로 대량으로 제조되는 루우프 프레임이 이들 차량 환기 루우프에 이용되어 서로 상이한 형식의 차량에도 쉽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프레임 제조비용의 절감, 및 운송중 루우프 프레임 및 루우프 유닛에 대한 불의의 손상 감소의 효과를 준다. 운송손상을 피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이용되는 배수관은 프레임의 외형 범위내에서 회전될 수 있는 사용위치의 조절이 가능하다. 이들 배수관은 또한 루우프가 차량 본체에 설치되었을 때 사용준비 위치로 다시 구부러질 수 있다. 이때, 이들은 배치된 호스에 인접하여 본체 포스트 또는 필러의 구멍에 맞추어진다.
루우프 프레임은 연속 압출형 섹션으로부터 U형형태로 구부러진 단일편의 가이드 프레임과 같은 형태를 갖는다.
수로의 영역에 있는 프레임의 코너들은 제작상의 고려사항으로 인해 굽힘 공정전에 제거된다. 굽힘 공정후, 코너들은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진 성형부분에 의해 보충되며, 코너들은 프레임의 종방향 부분의 코너둘레 및 프레임의 횡방향부분에 대한 차단없이 연속적인 수로를 제공한다. 프레임의 종방향부분의 후방단부는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진 성형품에 의해 종료되어서, 이 경우, 수로는 상부로 뻗는 벽에서 종료되어진다. 이러한 프레임 설계에 있어, 슬리이브 부분은 성형부품의 하나의 구성요소, 또는 프레임 종단편으로서, 프레임의 컷아웃(cutout)에 삽입되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탑승객에 대한 상해를 극도로 보호해주는 배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운송중 상기 배수장치에 대한 불의의 손상을 감소시키는 배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환기 루우프에 보편적으로 이용가능한 또한 단순한 제조 및 수밀을 보증하는 배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첨부도면을 참고로한 대표적인 구현예에서 명백해질 것이다.
제1도는 부호1으로 표시한 차량 루우프를 예시한다. 이 차량 루우프(1)는 그의 전방측과 2측 연부보다 더 넓은 루우프 개구(2)와 그리고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하는 루우프 프레임(3)를 포함한다. 루우프 프레임은 연속 압출형 섹션으로부터 U-형상으로 구부러지며 또한 그의 4코너에 각각의 배수관(4)을 갖는다. 호스(도시하지 않았음)들은 배수관(4)으로부터 본체 포스트 또는 필러에 선도된다. 제2도 및 4도에 관련하여 예시한 제1도에서와 같이, 2개의 전방 프레임 코너는 프레임(3)의 굽힘이 용이하도록 컷 아웃(5)을 갖추고 있으며 이 속에는 인서트(6)가 배치된다. 결합편(7)들은 프레임(3)의 2후방단에 위치한다.
제3도에 대해 설명한다면, 프레임(3)은 연속형 수로(8)를 갖추고 있고, 이 수로는 그의 외측은 벽(9)에 의해 그리고 내측은 가이드 레일 섹션(10)에 의해 경계를 이룬다. 제2도 및 4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같이, 인서트(6)가 완전끼워맞춤 형식으로 컷아웃(6)에 맞추어지는 방식으로 컷아웃(5)에 채택되며, 이들의 부착후, 수로(8)는 프레임의 코너 부근의 차단없이 연속된다. 사이드 프레임부분의 후방단에 고정된 결합편(7)은 결합편이 확실한 밀봉 방식으로 수로(8)의 후방단을 폐쇄하는 방식으로 설계되어 부착된다.
제4도에 대해 설명한다면, 관형 슬리이브 부분(11)은 인서트(6) 및 결합편(7)이 성형된다. 슬리이브 부분(11), 인서트(6) 및 결합편(7)은 판금 또는 기타 적절한 재료로 성형, 제조될 수도 있다. 이들 관형 슬리이브 부분(7)은 외방으로 돌기하고 또한 하방으로 약간 경사진다. 제6도에 대해 설명한다면, 슬리이브 부분(11)역시 채널(12)을 둘러싸는데 채널은 후술하는 특수방식으로 설계되는 것으로서 연속방식으로 수로(8)를 따른다. 제6도로부터 채널(12)은 프레임(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넓어짐을 알 수 있다. 채널은 원추형 천이부(13)를 통해 넓어지며, 천이부는 상기 원추 천이부(13)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원통형 환형 홈(14)과 접한다.
제6도에 있어, 체결 밀봉링(15)은 탄성중합체 재료로부터 단일편으로 성형되어 디텐트 또는 위치조정기 작용에 의해 환형 홈(14)안에 고정된다, 사익 밀봉 링(15)의 폭은 환형 홈(14)의 폭과 대략 일치하게 되어서, 밀봉 링(15)은 환형 홈(14)에 강력하게 고정되는 방도로 안착된다. 채널(12)은 보어 세그멘트(bore segment)(16)쪽을 향한 방향으로 외향하여 연장된다. 보어 세그멘트(16)는 환형 홈(14)에 접하여서 밀봉 링(15)에 접촉하는 하나의 환형 숄더를 형성하도록 원추형으로 넓어진다.
이 체결/밀봉 링(15)의 내면은 구면의 오목형의 형상을 가지며 배수관(4)의 볼록형 구면단(17)에 일치한다.
배수관(4)의 구면 단(17)은 외측으로부터 탄성 체결/밀봉 링(15)속에 끼워 맞춤 형식으로 끼워진다. 이 체결/밀봉 링(15)은 이런 방도로 배수관(4)의 구면단(17)과 함께 배수관(4)의 피봇 및/또는 조정운동을 허용하는 보올-조인트(6)을 형성한다. 여기서 설명한 구성요소들의 치수들은 체결/밀봉 링(15)이 배수관(4)의 구면단(17)에 대해 밀봉예압으로서 안착되는 방도로 서로 결합된다. 이런 방도로, 배수관(4)은 외력의 적용시에만 피봇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슬리이브 부분(11)에 대해 구면단(17)과 함께 어떠한 피봇 위치로 확실하게 밀봉된다.
제6도의 체결/밀봉 링(15)은 그의 측면에 라운딩형 테두리(18)를 제공하여서 링의 중공 구면형 내주면과 그 위에 추종되는 단면 사이에 테두리의 걸림시 배수관(4)의 구면단(17)의 도입이 용이하도록 한다. 이 테두리는 환형 홈(14)에 이미 안착된 체결/밀봉 링(15)속으로 구면단(17)의 도입이 용이하도록 한다. 라운딩 형 테두리(18)는 체결/밀봉 링(15)이 양 측면 상에서 이용될 수 있도록 양 측면이 어떠한 형상을 갖는다.
배수관(4)의 피봇각은 본질적으로 보어 세그멘트(16)의 직경과 배수관(4)의 외경의 차이에 따라 좌우된다. 제6도는 또한 배수관(4)의 외주를 예시하는데, 이 외주에는 톱니형 원주리브(19)를 갖추고 있으며, 그에 의해 가요성 호스(20)는 긴밀하게 안착되도록 미끄러지게 된다. 배수관(4)의 내부수로(21)는 그의 입구단에 원추형 천이부(13)에 가장 근접한 배수관(4)의 단부가 있게 되는 깔대기 형식으로 넓어져서, 배수관(4)의 피봇 조정과정 중 내부수로(21)와 채널(12)의 인접한 보어 세그멘트 사이에 어떠한 횡단면상 통로제한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본 구현예는 차량의 루우프에 낙하하는 물 또는 액체의 효과적인 배수를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이들 물 또는 액체가 배수관(4)을 통해 그리고 차량의 본체 포스트 또는 필러내를 길게 뻗는 배수 호스(20)를 통해 채널(8)로부터 벗어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2 구현예가 제7도 내지 9도에 예시된 바, 배수장치는 판금재의 단일편으로 디입 드로우잉된 루우프 프레임(3)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냈다. 제9도 역시 프레임(3')의 4개의 모든 코너에 마련된 컷아웃(22)들을 예시하는데 이들은 본질적으로 수로(8')의 외부 수직경계벽(23)에 마련된다. 이들 컷아웃(22)은 프레임(3')에는 슬리이브 부분(11')들이 위치하며 이들은 단일편으로 성형된다.
슬리이브 부분(11')들은 본질적으로 제6도로 참고하여 설명한 방식으로 설계된다. 보올-조인트 형식으로 슬리이브 부분(11')내에 수취된 배수관(4)에 대해서도 유사한 고려사항들이 적용된다. 본 발명의 제2 구현예의 요소들은 차량의 루우프상에 낙하하는 물 또는 액체의 효과적인 배수를 제공하도록 제1 구현예의 요소들과 유사한 방도의 기능을 한다. 이런 방도로, 물 또는 액체는 배수관(4)을 통해 그리고 차량의 본체 포스트 또는 필러안에 뻗어있는 배수호스(도시하지 않았음)를 통해 채널 또는 수로(8')를 빠져나가게 된다.
앞서 본 발명에 대해 몇몇 구현예를 설명하였지만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한 것이지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형 및/또는 변경이 가능하지만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한정할 것이다.

Claims (31)

  1. 프레임의 수로와 연통하고 상기 프레임에 인접한 단부에서 상기 슬리이브 부분에 의해 상기 프레임에 수밀부착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배수관을 포함하는 차량환기루우프의 배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의 프레임에 인접한 단부는 외주에서 구면형상이고 상보적 형상으로 고정 및 밀봉링에서 보올-조인트 방식으로 안착되고 상기 슬리이브 부분의 내측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환기루우프의 배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슬리이브 부분이 상기 프레임 부분과 단일편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이브 부분은 판금재로 제조되어 상기 루우프 프레임의 컷아웃에 삽입된 하나의 성형요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환기루우프의 배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밀봉 링이 그의 외주턱으로서 상기 슬리이브 부분의 환형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및 밀봉링의 폭은 상기 슬리이브 부분의 내측에 마련된 사이 환형 그루브의 폭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환기루우프의 배수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배수관이 슬리이브 부분의 밀봉 링내에 접속되는 구면상의 1단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배수관이 슬리이브 부분의 밀봉 링내에 접속되는 구면상의 1단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배수관이 슬리이브 부분의 밀봉 링내에 접속되는 구면상의 1단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밀봉 링이 탄성 중합체 재료의 단일편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밀봉 링이 탄성 중합체 재료의 단일편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장치.
  11. 제5항에 있어서, 밀봉 링이 탄성 중합체 재료의 단일편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장치.
  12. 제6항에 있어서, 밀봉 링이 탄성 중합체 재료의 단일편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장치.
  13. 제7항에 있어서, 밀봉 링이 탄성 중합체 재료의 단일편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밀봉 링이 탄성 중합체 재료의 단일편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밀봉 링이 그의 내주면과 그의 측부의 인접 단부면 사이에 라운딩형 테두리를 포함하여서, 상기 배수관의 구면단이 상기 밀봉 링속으로 삽입되는 동안 배수관의 구면단이 쉽게 삽입되도록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장치.
  16. 제4항에 있어서, 밀봉 링이 그의 내주면과 그의 측부의 인접 단부면 사이에 라운딩형 테두리를 포함하여서, 상기 배수관의 구면단이 상기 밀봉 링속으로 삽입되는 동안 배수관의 구면단이 쉽게 삽입되도록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장치.
  17. 제5항에 있어서, 밀봉 링이 그의 내주면과 그의 측부의 인접 단부면 사이에 라운딩형 테두리를 포함하여서, 상기 배수관의 구면단이 상기 밀봉 링속으로 삽입되는 동안 배수관의 구면단이 쉽게 삽입되도록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장치.
  18. 제6항에 있어서, 밀봉 링이 그의 내주면과 그의 측부의 인접 단부면 사이에 라운딩형 테두리를 포함하여서, 상기 배수관의 구면단이 상기 밀봉 링속으로 삽입되는 동안 배수관의 구면단이 쉽게 삽입되도록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장치.
  19. 제7항에 있어서, 밀봉 링이 그의 내주면과 그의 측부의 인접 단부면 사이에 라운딩형 테두리를 포함하여서, 상기 배수관의 구면단이 상기 밀봉 링속으로 삽입되는 동안 배수관의 구면단이 쉽게 삽입되도록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장치.
  20. 제8항에 있어서, 밀봉 링이 그의 내주면과 그의 측부의 인접 단부면 사이에 라운딩형 테두리를 포함하여서, 상기 배수관의 구면단이 상기 밀봉 링속으로 삽입되는 동안 배수관의 구면단이 쉽게 삽입되도록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장치.
  21. 제9항에 있어서, 밀봉 링이 그의 내주면과 그의 측부의 인접 단부면 사이에 라운딩형 테두리를 포함하여서, 상기 배수관의 구면단이 상기 밀봉 링속으로 삽입되는 동안 배수관의 구면단이 쉽게 삽입되도록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장치.
  22. 제10항에 있어서, 밀봉 링이 그의 내주면과 그의 측부의 인접 단부면 사이에 라운딩형 테두리를 포함하여서, 상기 배수관의 구면단이 상기 밀봉 링속으로 삽입되는 동안 배수관의 구면단이 쉽게 삽입되도록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장치.
  23. 제11항에 있어서, 밀봉 링이 그의 내주면과 그의 측부의 인접 단부면 사이에 라운딩형 테두리를 포함하여서, 상기 배수관의 구면단이 상기 밀봉 링속으로 삽입되는 동안 배수관의 구면단이 쉽게 삽입되도록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장치.
  24. 제12항에 있어서, 밀봉 링이 그의 내주면과 그의 측부의 인접 단부면 사이에 라운딩형 테두리를 포함하여서, 상기 배수관의 구면단이 상기 밀봉 링속으로 삽입되는 동안 배수관의 구면단이 쉽게 삽입되도록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장치.
  25. 제13항에 있어서, 밀봉 링이 그의 내주면과 그의 측부의 인접 단부면 사이에 라운딩형 테두리를 포함하여서, 상기 배수관의 구면단이 상기 밀봉 링속으로 삽입되는 동안 배수관의 구면단이 쉽게 삽입되도록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장치.
  26. 제14항에 있어서, 밀봉 링이 그의 내주면과 그의 측부의 인접 단부면 사이에 라운딩형 테두리를 포함하여서, 상기 배수관의 구면단이 상기 밀봉 링속으로 삽입되는 동안 배수관의 구면단이 쉽게 삽입되도록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장치.
  27. 제1항에 있어서, 배수관이 자신을 통해 계속 연장되는 내부수로를 포함하고 내부수로는 그의 입구단이 깔대기형으로 넓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장치.
  28. 제6항에 있어서, 배수관이 자신을 통해 계속 연장되는 내부수로를 포함하고 내부수로는 그의 입구단이 깔대기형으로 넓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장치.
  29. 제7항에 있어서, 배수관이 자신을 통해 계속 연장되는 내부수로를 포함하고 내부수로는 그의 입구단이 깔대기형으로 넓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장치.
  30. 제8항에 있어서, 배수관이 자신을 통해 계속 연장되는 내부수로를 포함하고 내부수로는 그의 입구단이 깔대기형으로 넓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장치.
  31. 제15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배수관이 자신을 통해 계속 연장되는 내부수로를 포함하고 내부수로는 그의 입구단이 깔대기형으로 넓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장치.
KR1019920007022A 1991-04-26 1992-04-25 차량 환기루우프의 프레임에 대한 배수장치 KR01607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4113670.5 1991-04-26
DE4113670A DE4113670C1 (ko) 1991-04-26 1991-04-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9603A KR920019603A (ko) 1992-11-19
KR0160788B1 true KR0160788B1 (ko) 1998-12-01

Family

ID=6430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7022A KR0160788B1 (ko) 1991-04-26 1992-04-25 차량 환기루우프의 프레임에 대한 배수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0510558B1 (ko)
JP (1) JP2856977B2 (ko)
KR (1) KR0160788B1 (ko)
BR (1) BR9201523A (ko)
CA (1) CA2065891A1 (ko)
DE (1) DE4113670C1 (ko)
ES (1) ES2056676T3 (ko)
MX (1) MX920189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40413C1 (de) * 1995-03-31 1996-10-31 Webasto Karosseriesysteme Rahmen eines öffnungsfähigen Fahrzeugdaches
DE19711385C2 (de) * 1996-06-08 1998-06-10 Volkswagen Ag Wasserablaufeinrichtung an einem Fahrzeuglüftungsdach
NL1004500C2 (nl) * 1996-11-12 1998-05-14 Inalfa Ind Bv Frame voor een open-dakconstructie voor een voertuig.
NL1008847C2 (nl) * 1998-04-08 1999-10-11 Inalfa Ind Bv Frame voor een open-dakconstructie voor een voertuig.
SE516670C2 (sv) * 1998-10-29 2002-02-12 Volvo Ab Takluckeanordning
DE10220178A1 (de) * 2002-05-06 2003-11-27 Inalfa Ind Bv Rahmen einer Dach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JP4698164B2 (ja) * 2004-04-30 2011-06-08 日本フルハーフ株式会社 バン型車両における屋根隅部用コーナーカバーの構造
DE102005011478B3 (de) * 2005-03-12 2006-08-17 Daimlerchrysler Ag Wasserablaufeinrichtung in einem Fahrzeugdach
KR100704602B1 (ko) * 2005-07-06 2007-04-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선루프 드레인 호스의 체결구조
FR2935674B1 (fr) * 2008-09-08 2012-08-31 Renault Sas Agencement pour l'evacuation de l'eau du toit d'un vehicule automobile
JP2012240607A (ja) * 2011-05-23 2012-12-10 Nifco Inc チューブコネクタ
EP2982543A1 (en) * 2014-08-06 2016-02-10 Webasto SE Connecting device and water discharging arrangement for a motor vehicle
DE202016103164U1 (de) * 2016-06-15 2017-04-03 Inalfa Roof Systems Group B.V. Gegenstand hergestellt durch Spritzgießen und Frontträger
DE102016217808A1 (de) 2016-09-16 2018-03-22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Drainagevorrichtung
JP2019051780A (ja) * 2017-09-14 2019-04-04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ルーフの排水装置
DE102019007569A1 (de) * 2019-10-30 2021-05-06 Man Truck & Bus Se Vorrichtung zum Abführen von Flüssigkeit für eine Dachlukenvorrichtung
CN113415133B (zh) * 2021-07-26 2023-03-14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天窗排水槽滑动结构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605936A1 (de) * 1968-02-21 1971-09-30 Audi Nsu Auto Union Ag Wasserabflusseinrichtung insbesondere fuer Schiebedachrahmen an Kraftfahrzeugen
JPS5241886B2 (ko) * 1972-12-06 1977-10-21
JPS5125826A (ja) * 1974-08-29 1976-03-03 Tenryu Industries Jishinjigasukotsukuteishisochi
JPS5590880U (ko) * 1978-12-18 1980-06-23
DE3334896A1 (de) * 1983-09-27 1985-04-18 Webasto-Werk W. Baier GmbH & Co, 8035 Gauting Wasserablaufeinrichtung fuer rahmen von kraftfahrzeug-schiebedaechern und dergleichen
GB2185449B (en) * 1986-01-17 1989-10-25 Tudor Webasto Ltd Opening roof assemblies for motor vehicles
JPS62238153A (ja) * 1986-04-08 1987-10-19 Koito Mfg Co Ltd 自動車用ヘツドランプクリ−ナ
JPS63182926U (ko) * 1987-05-20 1988-11-25
JPH0217217Y2 (ko) * 1987-09-25 1990-05-14
EP0363912B1 (en) * 1988-10-11 1994-05-04 Ohi Seisakusho Co., Ltd. Lid guide structure for sun roof device
DE3835017C1 (en) * 1988-10-14 1990-01-18 Webasto Ag Fahrzeugtechnik, 8035 Gauting, De Water drainage device for frames of vehicle sliding roofs and the like
DE3924037C1 (ko) * 1989-07-21 1990-08-16 Webasto Ag Fahrzeugtechnik, 8035 Stockdorf, De
NL8901028A (nl) * 1989-04-24 1990-11-16 Vermeulen Hollandia Octrooien Open-dakconstructie voor een voertui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9201892A (es) 1992-11-01
DE4113670C1 (ko) 1992-06-04
EP0510558A1 (de) 1992-10-28
ES2056676T3 (es) 1994-10-01
BR9201523A (pt) 1992-12-01
JP2856977B2 (ja) 1999-02-10
KR920019603A (ko) 1992-11-19
CA2065891A1 (en) 1992-10-27
JPH05124442A (ja) 1993-05-21
EP0510558B1 (de) 1994-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0788B1 (ko) 차량 환기루우프의 프레임에 대한 배수장치
US5527081A (en) Convertible vehicle topwell drainage arrangement
US4626026A (en) Automotive roof structure with a detachable set roof
DE602005002184T2 (de) Absperrventil für den Wasserkasten eines Kraftfahrzeuges, und solch ein Wasserkasten
KR0145834B1 (ko) 루프패널의 낙수방지용 모울드
US7380862B2 (en) Sealing device especially for sealing the folding roof of a car
KR20180060453A (ko) 선루프 배수구조
CA1293753C (en) Method in branching off a tube
US20080136219A1 (en) Over-molded water channel
CA2378271A1 (en) Valve means
DE102008063142A1 (de) SHD-Ablaufschlauch
EP0395127B1 (en) Open roof construction for a vehicle
US5398979A (en) Seal for manholes and drains
JP4086933B2 (ja) 排水集合管継手
JPS5910284Y2 (ja) キ−シリンダ取付部の排水装置
GB2619058A (en) Drainage assembly for a vehicle
JPH0325028A (ja) 車両のサンルーフ装置
JPS5816893Y2 (ja) 自動車の車体構造
JP3247556B2 (ja) ホース継手
JP2571319Y2 (ja) 合成樹脂製軒樋継手
JP3682377B2 (ja) 波付き管用管継手
JPH0932987A (ja) 瞬間的接続可能な可撓管継手機構および管体接続用係止材
JP3831885B2 (ja) 管の接続構造
SI26065A (sl) Izboljšana odtočna cev za klimatsko in prezračevalno napravo v vozilih
KR200158256Y1 (ko) 누수 방지를 위한 차량의 그로메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8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