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226346A1 - 차량용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226346A1
WO2020226346A1 PCT/KR2020/005699 KR2020005699W WO2020226346A1 WO 2020226346 A1 WO2020226346 A1 WO 2020226346A1 KR 2020005699 W KR2020005699 W KR 2020005699W WO 2020226346 A1 WO2020226346 A1 WO 202022634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er
air
vehicle
dash panel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0569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승호
윤서준
이상기
김용식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054149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00129560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054147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00129559A/ko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US17/609,327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20314731A1/en
Priority to CN202080034425.8A priority patent/CN113795396B/zh
Priority to DE112020002311.7T priority patent/DE112020002311T5/de
Publication of WO202022634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22634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1/00028Constructional lay-out of the devices i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28Connections between hous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64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air 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35Mounting or fastening of the housing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078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 B60H2001/00092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of air deflecting or air directing means inside the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2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HVAC devices with respect 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60H2001/00214Devices in front of the passenger compartment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a first air conditioner installed on the engine room side, and a second air conditioner installed inside the vehicle interior, respectively, and an air guide installed between them to guide the movement of air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capable of smoothly blowing air from the first air conditioner side to the second air conditioner without loss.
  • the automobile as shown in Figs. 1 and 2, is provided with an air conditioner 1 for cooling and heating the interior of the vehicle.
  • the air conditioner 1 includes an intake unit 3 that sucks internal and external air and blows air into the vehicle interior, and a heat exchanger unit 5 that cools or heats the air blown into the vehicle interior. .
  • the intake unit 3 is equipped with an internal and external airway entrance (not shown) through which internal and external air can be introduced, and a blower 3a for blowing the introduced internal and external air to the heat exchanger unit 5, It sucks air inside and outside the car and blows it into the inside of the car.
  • the heat exchanger unit 5 is equipped with an evaporator 5a and a heater 5b, and cools or heats the internal and external air blown from the intake unit 3 side. Therefore, it cools and heats the interior of the car.
  • such an air conditioner is usually installed inside the vehicle interior based on the dash panel (D).
  • the entrance of the outside airway of the intake unit 3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of the vehicle to introduce outside air.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its object is for a vehicle that can minimize a portion disposed inside a vehicle interior by improving the arrangement structure and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intake unit and the heat exchanger unit. It is to provide air conditioning equipment.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dvantage in securing space in the interior of the vehicle by configuring to minimize the portion disposed inside the interior of the vehicle, an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passengers by increasing the space utilization in the interior of the vehicle. To provide the device.
  • the vehicle air conditioner for cooling and heating by supplying cold and hot air into the vehicle interior, it is installed on the engine room side based on the dash panel, and internal and external air
  • a first air conditioner including an intake unit for sucking and blowing air into the vehicle interior
  • a second air conditioning device installed inside the vehicle interior based on the dash panel and including a duct for discharging air conditioned to the interior of the vehicle interior
  • the dash panel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hrough hole is formed, and an air guide for connecting the first air conditioner and the second air conditioner to each other through the through hole.
  • the first air conditioner and the second air conditioner each have internal flow paths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and the air guide includes air on the internal flow path side of the first air conditioning device and the internal flow path of the second air conditioning device.
  • the inner flow path of the first air conditioner and the inner flow path of the second air conditione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on the dash panel side so as to guide to the side.
  • the air guide includes one side of the first air conditioner being fitted to the inner channel side circumferential portion,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air conditioner being fitted to the inner channel side circumference portion; And a central air guide hole through which internal flow paths of the first air conditioner and the second air conditioner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 a coupling groove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one side of the air guide. Further comprising a coupling protrusion formed in the portion of the first air conditioner corresponding to the circumference of one side of the air guide; One side of the air guide is fitted to the first air conditioner by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coupling groove and the coupling protrusion.
  • the other side of the air guid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ucture is inserted into the inner flow path side of the second air conditioner through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dash panel to be joined.
  • the intake unit is arranged on the engine room side and the heat exchanger unit is arranged inside the vehicle interior, there is an effect of minimizing the portion of the air conditioning system arranged inside the vehicle interior.
  • the intake unit and the heat exchanger unit are installed in the engine room and the vehicle interior, respectively, with the dash panel interposed therebetween. Since the air flow path of the unit is sealed, the intake unit and the heat exchanger unit are installed in the engine room and the vehicle interior, respectively, and even though they are placed in separate spaces, air from the intake unit is blown to the heat exchanger unit without los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done.
  • FIG. 1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ventional vehicle air conditioner
  • FIG. 2 is a plan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vehicle air conditioner
  •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ssembled state of Figure 3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air conditio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in detail the sealing portion and the air guide constituting the vehicl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I-VII of FIG. 6 showing in detail the sealing unit and the air guide constituting the vehicl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in detail an air guide constituting the vehicl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air conditioner equipped with an intake unit 10 that sucks internal and external air and blows air into the vehicle interior, and cools the air blown into the vehicle interior. Or a second air conditioner equipped with a heat exchanger unit 20 for heating.
  • the intake unit 10 of the first air conditioner is installed on the engine room side based on a dash panel D, and includes an intake case 12.
  • the intake case 12 has an internal airway entrance 12a and an external airway entrance 12b, and between the internal airway entrance 12a and the external airway entrance 12b, an Intake Door 12c ) Is installed.
  • the inner airway entrance 12a communicates with the interior of the vehicle and introduces air in the vehicle interior into the interior of the intake case 12.
  • the outside airway entrance 12b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of the vehicle, and introduces air outside the vehicle interior into the inside of the intake case 12.
  • the inner airway inlet 12a penetrates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D1 formed in the dash panel D and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vehicle interior, and the airway inlet 12a connected in this way introduces air in the vehicle interior. .
  • the inner air heat exchanger unit 20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inner airway inlet 12a of the intake unit 10 is formed with an inner air introduction duct 21 aligned with the inner airway inlet 12a.
  • the air intake duct 21 is configured to be aligned with the air resistance inlet 12a of the intake unit 10 with the first through hole D1 of the dash panel D interposed therebetween.
  • the inside of the vehicle interior and the inside of the intake unit 1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ntroduce the air in the vehicle interior to the inner airway inlet 12a of the intake unit 10.
  • the intake door 12c is a dome type door that rotates between the external airway entrance 12b and the internal airway entrance 12a, and selectively selects the external airway entrance 12b or the internal airway entrance 12a. To open. Thus,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introduce outside air or bet air.
  • blower 14 is installed in the intake case 12.
  • the blower 14 sucks internal or external air through the upper external airway entrance 12b and the internal airway entrance 12a, and discharges the sucked internal and external air into the internal flow path 10a, and discharged internal and external air Is blown toward the heat exchanger unit 20 through the internal flow path 10a.
  • the heat exchanger unit 20 of the second air conditioner is installed inside the vehicle interior based on the dash panel D, and includes a heat exchanger case 22.
  • the heat exchanger case 22 is installed to correspond to the intake case 12 of the intake unit 10 with the dash panel D interposed therebetween, and communicated with the inner flow path 10a of the intake case 12 It is equipped with an internal flow path 20a.
  • the internal flow path 20a communicates with the internal flow path 10a of the intake unit 10 through the second through hole D2 of the dash panel D, and the evaporator ( 24), a heater 25, a temp door 26, and a plurality of mode doors 28 are installed.
  • the inner passage 20a is connected to the inner passage 10a of the intake unit 10 in a straight line.
  • the evaporator 24 is linearly connected to each other.
  • the internal flow path 10a of the intake unit 10 connected in a straight line and the internal flow path 20a of the heat exchanger unit 20 are transferred to the heat exchanger unit 20 while the air discharged from the blower 14 maintains a linear flow. To be introduced.
  • the heat exchanger of the heat exchanger unit 20 that is, the evaporator 24 and the heater 25 are installed in the second air conditioner, but in some cases, the evaporator 24 and the heater 25 may be installed in the first air conditioner. In particular, it may be installed in the intake case 12 of the first air conditioner.
  • th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through holes D1 and D2 of the dash panel D, the air flow path of the intake unit 10, and the dash panel D. And a sealing portion 30 for sealing between the through holes D1 and D2 of the heat exchanger unit 20 and the air flow path of the heat exchanger unit 20.
  • the sealing part 30 seals between the first through hole D1 of the dash panel D and the inner airway inlet 12a of the intake unit 10, as shown in FIGS. 3 and 5 to 7. It includes a first sealer 32 and a second sealer 34 sealing between the second through hole D2 of the dash panel D and the inner flow path 20a of the intake unit 10. .
  • the first sealer 32 is made of any one of rubber, silicone, and urethane foam, and is installed in a ring shape along the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inner airway inlet 12a of the intake unit 10.
  • the first sealer 32 is disposed between the peripheral portion around the inner airway inlet 12a of the intake unit 10 and the peripheral portion around the first through hole D1 of the dash panel D corresponding thereto. In, between them is hermetically sealed.
  • the second sealer 34 is made of any one of rubber, silicone, and urethane foam, and is installed in a ring shape along the periphery of the inner flow path 10a of the intake unit 10.
  • the second sealer 34 is disposed between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inner flow path 10a of the intake unit 10 and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second through hole D2 of the dash panel D corresponding thereto. , And hermetically seal between them.
  • a seating groove 12a-1 through which the first sealer 32 can be fixedly seated is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inner airway inlet 12a of the intake unit 10.
  • a seating groove 10a-1 through which the second sealer 34 can be fixedly seated is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inner flow path 10a of the intake unit 10.
  • the sealing part 30 is between the first through hole D1 of the dash panel D and the internal air introduction duct 21 of the heat exchanger unit 20.
  • the third sealer 36 is made of any one of rubber, silicone, and urethane foam, and is installed in a ring shape along the periphery of the inner air introduction duct 21 of the heat exchanger unit 20.
  • the third sealer 36 is disposed between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inner air introduction duct 21 of the heat exchanger unit 20 and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first through hole D1 of the dash panel D corresponding thereto. In the state, the space between them is hermetically sealed.
  • the fourth sealer 38 is made of any one of rubber, silicone, and urethane foam, and is installed in the form of a ring along the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inner flow path 20a of the heat exchanger unit 20.
  • the fourth sealer 38 is disposed between a peripheral portion around the inner flow path 20a of the heat exchanger unit 20 and a peripheral portion around the second through hole D2 of the dash panel D corresponding thereto. In, between them is hermetically sealed.
  • the interior sealing part 30, that is, the third and fourth sealers 36 and 38, and the engine room-side sealing part 30, that is, the first and second sealers ( 32, 34) are preferably made of different materials and structures.
  • the third and fourth sealers 36 and 38 which are the sealing parts 30 inside the vehicle interior, are made of a sponge material, and the first and second sealers 32 and 34, which are the sealing parts 30 on the engine room side. It is preferable that it is made of a rubber material.
  • the reason for this configuration is that in the case of the first and second sealers 32 and 34, which are the engine room side sealing parts 30, rainwater, various foreign substances, and running wind are exposed, so it is preferable to be composed of a rubber material having excellent durability and airtightness. This is because, in the case of the third and fourth sealers 36 and 38, which are the sealing portions 30 inside the vehicle interior, there is less concern about exposure of various pollutants and running winds than on the engine compartment side, so that a sponge material may be used.
  • th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between the internal flow path (10a) of the intake unit 10 and the internal flow path (20a) of the heat exchanger unit (20), An air guide 40 for connecting the internal flow path 10a of the intake unit 10 and the internal flow path 20a of the heat exchanger unit 20 is further provided.
  • the air guide 40 guides air on the inner channel 10a side of the intake unit 10 toward the inner channel 20a side of the heat exchanger unit 20, and includes an air guide hole 42 in the center. .
  • This air guide 40 is 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of the intake unit 10 and the inner flow paths 10a and 20a of the heat exchanger unit 20, and one side portion 40a is the internal flow path 10a of the intake unit 10. ) Side circumferential portion, the other side portion (40b) is joined to the inner flow path (20a) side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heat exchanger unit (20).
  • the coupling groove 50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one side portion 40a of the air guide 40, and the coupling protrusion 52 is formed in the intake unit 10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groove 50.
  • a portion of the other side portion 40b of the air guide 40 passes through the second through hole D2 of the dash panel D and is inserted into the inner flow path 20a of the heat exchanger unit 20.
  • a seating groove 60 is formed in which the other portion 40b of the air guide 40 can be seated.
  • the other side portion (40b) of the air guide (40) is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60) of the heat exchanger unit (20), the other side portion (40b) of the air guide (40) is It fits around the inner channel 20a.
  • the other side portion 40b of the air guide 40 and the seating groove 60 of the heat exchanger unit 20 are configured to form surface contact with each other.
  • the other side portion 40b of the air guide 40 forming surface contact and the seating groove 60 of the heat exchanger unit 20 improve the airtightness between the two, thereby preventing air leakage occurring between the two.
  • the air guide hole portion 42 in the center as the one side portion (40a) and the other side portion (40b) of the air guide (40) are molded into the intake unit 10 and the heat exchanger unit 20, respectively, the intake The unit 10 and the heat exchanger unit 20 are aligned with the inner flow paths 10a and 20a, respectively.
  • the air guide hole 42 connects the inner flow path 10a of the intake unit 10 and the internal flow path 20a of the heat exchanger unit 20 to each other, and the air guide hole 42 connected in this way is, intake The air on the inner flow path 10a side of the unit 10 is guided toward the inner flow path 20a side of the heat exchanger unit 20.
  • the internal flow path 20a of the heat exchanger unit 20 has a larger cross-sectional area.
  • the air guide hole 42 of the air guide 40 connects the internal flow path 10a of the intake unit 10 with a small cross-sectional area and the internal flow path 20a of the heat exchanger unit 20 with a large cross-sectional area without a step.
  • it has a cross-sectional area gradually expanding from the side of the inner passage 10a of the intake unit 10 toward the inner passage 20a of the heat exchanger unit 20.
  • the air guide 40 is composed of separate members for the intake unit 10 and the heat exchanger unit 20.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eparate and exchange from the intake unit 10 and the heat exchanger unit 20 as necessary.
  • the air guide 4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one of the intake unit 10 and the heat exchanger unit 20. In particular, it may be integrally formed on the intake unit 10 side.
  • the second sealer sealing between the inner flow path 20a of the intake unit 10 and the second through hole D2 of the dash panel D ( 34) is preferably installed on the other side portion 40b of the air guide 40.
  • the intake unit 10 is arranged on the engine room side and the heat exchanger unit 20 is arranged inside the vehicle interior, the part of the air conditioning system arranged inside the vehicle interior is Can be minimized.
  • the intake unit 10 and the heat exchanger unit 20 are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engine room and the vehicle interior with the dash panel D interposed therebetween, but through the sealing part 30, the through hole of the dash panel D (D1, D2) and the air flow path of the intake unit 10, the through hole (D1, D2) of the dash panel (D) and the air flow path of the heat exchanger unit 20 is sealed.
  • the intake unit 10 and the heat exchanger unit 20 are installed in the engine room and the vehicle interior, respectively, and are disposed in separate spaces, the air from the intake unit 10 side is transferred to the heat exchanger unit 20 Can ventilate without loss.
  • the air guide 40 is installed between the intake unit 10 and the heat exchanger unit 20, and through this, it is a structure capable of guiding the blown air of the intake unit 10 to the heat exchanger unit 20. .
  • the intake unit 10 and the heat exchanger unit 20 are installed in the engine room and the vehicle interior, respectively, and are disposed in separate spaces, the air from the intake unit 10 side is transferred to the heat exchanger unit 20 Can ventilate without loss.
  • the intake unit 10 and the heat exchanger unit 20 are disposed in separate spaces, air from the intake unit 10 side can be blown to the heat exchanger unit 20 without loss.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secure space in the vehicle interior and improve the cooling and heating performance in the vehicle interi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제 1공조장치를 엔진룸측에, 제 2공조장치를 차실내측에 각각 설치하되, 양자의 사이에 에어가이드를 설치하여 공기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차실내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제 1공조장치측의 공기를 제 2공조장치에 손실없이 원활하게 송풍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실내에 냉,온풍을 공급하여 냉,난방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대시패널을 기준으로 엔진룸측에 설치되며, 내,외기를 흡입하여 차실내측으로 송풍하는 인테이크 유닛을 포함하는 제 1공조장치와; 대시패널을 기준으로 차실내측에 설치되며, 차실내측으로 공조된 공기를 토출하는 덕트를 포함하는 제 2공조장치 및; 대시패널에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관통구멍을 통하여 제 1공조장치와 제 2공조장치를 서로 연결하는 에어가이드(Air Guide)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 1공조장치를 엔진룸측에, 제 2공조장치를 차실내측에 각각 설치하되, 양자의 사이에 에어가이드를 설치하여 공기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차실내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제 1공조장치측의 공기를 제 2공조장치에 손실없이 원활하게 송풍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실내를 냉,난방하기 위한 공조장치(1)를 구비한다.
이러한 공조장치(1)는, 내,외기를 흡입하여 차실내로 송풍하는 인테이크 유닛(Intake Unit)(3)과, 차실내로 송풍되는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하는 열교환기 유닛(5)을 포함한다.
인테이크 유닛(3)은, 내,외기를 도입할 수 있는 내,외기도입구(도시하지 않음)와, 도입된 내,외기를 열교환기 유닛(5)으로 송풍하는 블로어(3a)를 갖추고 있으며, 차실내,외 공기를 흡입하여 차실내측으로 송풍한다.
열교환기 유닛(5)은, 증발기(5a)와 히터(5b)를 갖추고 있는 것으로, 인테이크 유닛(3)측으로부터 송풍된 내,외기를 냉각 또는 가열한다. 따라서, 차실내를 냉,난방한다.
한편, 이러한 공조장치는, 대시패널(D)을 기준으로 차실내측에 설치되는 것이 보통이다. 이때, 인테이크 유닛(3)의 외기도입구는, 차실외와 연통되어 외기를 도입하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공조장치는, 대시패널(D)을 기준으로 차실내측에 설치되는 구조이므로, 차실내의 공간확보에 매우 불리하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최근 들어, 탑승객의 편의성을 위해서 차실내 공간확보가 절실히 요구되는 추세이지만, 차실내측에 설치되는 종래의 공조장치(1) 구조로는 차실내 공간확보에 대응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차실내의 공간확보에 한계가 있다는 결점이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인테이크 유닛과 열교환기 유닛의 배열구조 및 설치위치 등을 개선함으로써, 차실내측에 배치되는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실내측에 배치되는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차실내의 공간확보에 유리하고, 이를 통해, 차실내의 공간 활용도를 높여 탑승객의 편의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차실내에 냉,온풍을 공급하여 냉,난방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대시패널을 기준으로 엔진룸측에 설치되며, 내,외기를 흡입하여 차실내측으로 송풍하는 인테이크 유닛을 포함하는 제 1공조장치와; 상기 대시패널을 기준으로 차실내측에 설치되며, 차실내측으로 공조된 공기를 토출하는 덕트를 포함하는 제 2공조장치 및; 상기 대시패널에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구멍을 통하여 상기 제 1공조장치와 제 2공조장치를 서로 연결하는 에어가이드(Air Guid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공조장치와 제 2공조장치는 서로 연통되는 내부유로를 각각 갖추고 있으며, 상기 에어가이드는, 상기 제 1공조장치의 내부유로측 공기를, 상기 제 2공조장치의 내부유로측으로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대시패널측에서 상기 제 1공조장치의 내부유로와 상기 제 2공조장치의 내부유로를 서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에어가이드는, 일측부분이 상기 제 1공조장치의 내부유로측 둘레부분에 형합되고, 타측부분이 상기 제 2공조장치의 내부유로측 둘레부분에 형합되며; 상기 제 1공조장치와 제 2공조장치의 내부유로들을 서로 연통시킬 수 있는 중앙의 에어가이드 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에어가이드의 일측부분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결합홈과; 상기 에어가이드의 일측부분 둘레에 대응되는 상기 제 1공조장치부분에 형성되는 결합돌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결합홈과 결합돌기의 결합 구조에 의해 상기 에어가이드의 일측부분이 상기 제 1공조장치에 형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에어가이드의 타측부분은, 상기 대시패널에 형성된 관통구멍을 통과하여, 상기 제 2공조장치의 내부유로측으로 삽입되어 형합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 의하면, 인테이크 유닛이 엔진룸측에 배치되고, 열교환기 유닛이 차실내측에 배치되는 구조이므로, 차실내측에 배치되는 공조장치의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실내측에 배치되는 공조장치의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차실내의 공간확보에 유리하고, 이를 통해, 차실내의 공간 활용도를 높여 탑승객의 편의성을 현저하게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테이크 유닛과 열교환기 유닛 사이에 에어가이드를 설치하고, 이를 통해, 인테이크 유닛의 송풍 공기를 열교환기 유닛에 가이드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인테이크 유닛과 열교환기 유닛이 엔진룸과 차실내에 각각 설치되어, 각각 별도의 공간에 배치됨에도 불구하고, 인테이크 유닛측의 공기를 열교환기 유닛에 손실없이 송풍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대시패널을 사이에 두고 인테이크 유닛과 열교환기 유닛을 엔진룸과 차실내에 각각 설치하되, 씰링부를 통해, 대시패널의 관통구멍과 인테이크 유닛의 공기유로 및, 대시패널의 관통구멍과 열교환기 유닛의 공기유로를 씰링하는 구조이므로, 인테이크 유닛과 열교환기 유닛이 엔진룸과 차실내에 각각 설치되어, 각각 별도의 공간에 배치됨에도 불구하고, 인테이크 유닛측의 공기를 열교환기 유닛에 손실없이 송풍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테이크 유닛과 열교환기 유닛이, 각각 별도의 공간에 배치됨에도 불구하고, 인테이크 유닛측의 공기를 열교환기 유닛에 손실없이 송풍할 수 있으므로, 차실내의 공간확보와 차실내의 냉,난방성능 개선 효과를 동시에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 3의 조립 상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구성하는 씰링부와 에어가이드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구성하는 씰링부와 에어가이드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 6의 Ⅶ-Ⅶ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구성하는 에어가이드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내,외기를 흡입하여 차실내로 송풍하는 인테이크 유닛(10)을 갖춘 제 1공조장치와, 차실내로 송풍되는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하는 열교환기 유닛(20)을 갖춘 제 2공조장치를 포함한다.
제 1공조장치의 인테이크 유닛(10)은, 대시패널(Dash Panel)(D)을 기준으로 엔진룸측에 설치되며, 인테이크 케이스(12)를 구비한다.
인테이크 케이스(12)는, 내기도입구(12a)와 외기도입구(12b)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기도입구(12a)와 외기도입구(12b)의 사이에는, 인테이크 도어(Intake Door)(12c)가 설치된다.
내기도입구(12a)는 차량의 실내와 연통되며, 차실내의 공기를 인테이크 케이스(12)의 내부로 도입한다. 외기도입구(12b)는 차량의 외부와 연통되며, 차실외의 공기를 인테이크 케이스(12)의 내부로 도입한다.
특히, 내기도입구(12a)는, 대시패널(D)에 형성된 제 1관통구멍(D1)을 관통하여 차실내측과 연결되며, 이렇게 연결된 내기도입구(12a)는, 차실내의 공기를 도입한다.
여기서, 인테이크 유닛(10)의 내기도입구(12a)에 대응되는 차실내측 열교환기 유닛(20)부분에는, 상기 내기도입구(12a)에 정렬되는 내기 도입덕트(21)가 형성되어 있다.
내기 도입덕트(21)는, 대시패널(D)의 제 1관통구멍(D1)을 사이에 두고 상기 인테이크 유닛(10)의 내기도입구(12a)와 정렬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내기 도입덕트(21)는, 차실내측과 인테이크 유닛(10)의 내기도입구(12a)를 서로 연통시킨다. 따라서, 차실내의 공기가 인테이크 유닛(10)의 내기도입구(12a)로 도입될 수 있게 한다.
인테이크 도어(12c)는, 외기도입구(12b)와 내기도입구(12a) 사이에서 회전운동하는 돔형(Dome Type)의 도어로서, 상기 외기도입구(12b) 또는 내기도입구(12a)를 선택적으로 개방한다. 따라서, 외기 또는 내기가 선택적으로 도입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인테이크 케이스(12)에는, 블로어(Blower)(14)가 설치된다.
블로어(14)는, 상측의 외기도입구(12b)와 내기도입구(12a)를 통해 내기 또는 외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내, 외기를 내부유로(10a)로 토출하며, 토출된 내, 외기를 내부유로(10a)를 통해 상기 열교환기 유닛(20)측으로 송풍한다.
다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 2공조장치의 열교환기 유닛(20)은, 대시패널(D)을 기준으로 차실내측에 설치되며, 열교환기 케이스(22)를 구비한다.
열교환기 케이스(22)는, 대시패널(D)을 사이에 두고 인테이크 유닛(10)의 인테이크 케이스(12)에 대응되게 설치되며, 상기 인테이크 케이스(12)의 내부유로(10a)와 서로 연통되는 내부유로(20a)를 갖추고 있다.
내부유로(20a)는, 대시패널(D)의 제 2관통구멍(D2)을 통해, 인테이크 유닛(10)의 내부유로(10a)와 서로 연통되는데, 이렇게 연통되는 내부유로(20a)에는 증발기(24)와 히터(25)와 템프도어(26) 및, 다수의 모드도어(28)들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내부유로(20a)는, 인테이크 유닛(10)의 내부유로(10a)와 직선형으로 연결된다.
특히, 인테이크 유닛(10)의 내부유로(10a) 중, 블로어(14)의 하류측 공기토출유로부(10b)와, 열교환기 유닛(20)의 내부유로(20a) 중, 증발기(24)의 상류측 내부유로부(20b)는, 서로 직선형으로 연결된다.
직선형으로 연결된 인테이크 유닛(10)의 내부유로(10a)와, 열교환기 유닛(20)의 내부유로(20a)는, 블로어(14)의 토출공기가 직선형흐름을 유지하면서 열교환기 유닛(20)으로 도입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인테이크 유닛(10)에서 열교환기 유닛(20)측으로의 공기 흐름이 원활하게 유지될 수 있게 한다. 이로써, 블로어(14)의 토출공기가 손실없이 차실내로 도입될 수 있게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도면과 설명에서는, 열교환기 유닛(20)의 열교환기, 즉, 증발기(24)와 히터(25)가 제 2공조장치의 내에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경우에 따라, 상기 증발기(24)와 히터(25)가 제 1공조장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특히, 제 1공조장치의 인테이크 케이스(12) 내에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도 도 3과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공조장치는, 대시패널(D)의 관통구멍(D1, D2)들과 인테이크 유닛(10)의 공기유로 및, 대시패널(D)의 관통구멍(D1, D2)들과 열교환기 유닛(20)의 공기유로 사이를 씰링(Sealing)하는 씰링부(30)를 포함한다.
씰링부(30)는, 도 3과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시패널(D)의 제 1관통구멍(D1)과 인테이크 유닛(10)의 내기도입구(12a) 사이를 씰링하는 제 1씰러(Sealer)(32)와, 대시패널(D)의 제 2관통구멍(D2)과 인테이크 유닛(10)의 내부유로(20a) 사이를 씰링하는 제 2씰러(34)를 포함한다.
제 1씰러(32)는, 고무, 실리콘, 우레탄폼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구성되며, 인테이크 유닛(10)의 내기도입구(12a) 주변 둘레부분을 따라 링(Ring) 형태로 설치된다.
이러한 제 1씰러(32)는, 인테이크 유닛(10)의 내기도입구(12a) 주변 둘레부분과, 이에 대응되는 대시패널(D)의 제 1관통구멍(D1) 주변 둘레부분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이들 사이를 기밀적으로 밀봉한다.
따라서, 대시패널(D)의 제 1관통구멍(D1)과 인테이크 유닛(10)의 내기도입구(12a) 사이에서 발생되는 공기누출을 원천적으로 방지한다.
제 2씰러(34)는, 고무, 실리콘, 우레탄폼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구성되며, 인테이크 유닛(10)의 내부유로(10a) 주변 둘레부분을 따라 링 형태로 설치된다.
이러한 제 2씰러(34)는, 인테이크 유닛(10)의 내부유로(10a) 주변 둘레부분과, 이에 대응되는 대시패널(D)의 제 2관통구멍(D2) 주변 둘레부분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이들 사이를 기밀적으로 밀봉한다.
따라서, 대시패널(D)의 제 2관통구멍(D2)과 인테이크 유닛(10)의 내부유로(10a) 사이에서 발생되는 공기누출을 원천적으로 방지한다.
여기서, 인테이크 유닛(10)의 내기도입구(12a) 주변 둘레부분에는, 제 1씰러(32)가 고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홈(12a-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인테이크 유닛(10)의 내부유로(10a) 주변 둘레부분에는, 제 2씰러(34)가 고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홈(10a-1)이 형성되어 있다.
다시, 도 3과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씰링부(30)는, 대시패널(D)의 제 1관통구멍(D1)과 열교환기 유닛(20)의 내기 도입덕트(21) 사이를 씰링하는 제 3씰러(36)와, 대시패널(D)의 제 2관통구멍(D2)과 열교환기 유닛(20)의 내부유로(20a) 사이를 씰링하는 제 4씰러(38)를 포함한다.
제 3씰러(36)는, 고무, 실리콘, 우레탄폼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구성되며, 열교환기 유닛(20)의 내기 도입덕트(21) 주변 둘레부분을 따라 링(Ring) 형태로 설치된다.
이러한 제 3씰러(36)는, 열교환기 유닛(20)의 내기 도입덕트(21) 주변 둘레부분과, 이에 대응되는 대시패널(D)의 제 1관통구멍(D1) 주변 둘레부분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이들 사이를 기밀적으로 밀봉한다.
따라서, 대시패널(D)의 제 1관통구멍(D1)과 열교환기 유닛(20)의 내기 도입덕트(21) 사이에서 발생되는 공기누출을 원천적으로 방지한다.
제 4씰러(38)는, 고무, 실리콘, 우레탄폼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구성되며, 열교환기 유닛(20)의 내부유로(20a) 주변 둘레부분을 따라 링(Ring) 형태로 설치된다.
이러한 제 4씰러(38)는, 열교환기 유닛(20)의 내부유로(20a) 주변 둘레부분과, 이에 대응되는 대시패널(D)의 제 2관통구멍(D2) 주변 둘레부분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이들 사이를 기밀적으로 밀봉한다.
따라서, 대시패널(D)의 제 2관통구멍(D2)과 열교환기 유닛(20)의 내부유로(20a) 사이에서 발생되는 공기누출을 원천적으로 방지한다.
한편, 대시패널(D)을 기준으로 차실내측 씰링부(30), 즉, 제 3 및 제 4씰러(36, 38)와, 엔진룸측 씰링부(30), 즉, 제 1 및 제 2씰러(32, 34)는, 다른 재질과 구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차실내측 씰링부(30)인 제 3 및 제 4씰러(36, 38)는, 스펀지 재질로 구성하고, 엔진룸측 씰링부(30)인 제 1 및 제 2씰러(32, 34)는, 러버(Rubber)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한 이유는, 엔진룸측 씰링부(30)인 제 1 및 제 2씰러(32, 34)의 경우, 빗물이나 각종 이물질 및 주행풍이 노출되므로, 내구성과 기밀성능이 우수한 러버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좋기 때문이며, 차실내측 씰링부(30)인 제 3 및 제 4씰러(36, 38)의 경우에는, 엔진룸측 보다 각종 오염물질과 주행풍의 노출 염려가 적으므로, 스펀지 재질을 사용해도 무방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도 3과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공조장치는, 인테이크 유닛(10)의 내부유로(10a)와 열교환기 유닛(20)의 내부유로(20a)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인테이크 유닛(10)의 내부유로(10a)와 열교환기 유닛(20)의 내부유로(20a)를 서로 연결하는 에어가이드(Air Guide)(40)를 더 구비한다.
에어가이드(40)는, 인테이크 유닛(10)의 내부유로(10a)측 공기를, 열교환기 유닛(20)의 내부유로(20a)측으로 가이드 하는 것으로, 중앙의 에어가이드 홀부(42)를 구비한다.
이러한 에어가이드(40)는, 인테이크 유닛(10)과 열교환기 유닛(20)의 내부유로(10a, 20a) 형상에 맞춰 형성되며, 일측부분(40a)이 인테이크 유닛(10)의 내부유로(10a)측 둘레부분에 형합되고, 타측부분(40b)이 열교환기 유닛(20)의 내부유로(20a)측 둘레부분에 형합된다.
에어가이드(40)의 일측부분(40a)은,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홈(50)과 결합돌기(52)의 결합에 의해 상기 인테이크 유닛(10)에 형합되는데, 이때, 결합홈(50)은 에어가이드(40)의 일측부분(40a)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결합돌기(52)는 결합홈(50)에 대응되는 인테이크 유닛(10)부분에 형성된다.
에어가이드(40)의 타측부분(40b) 일부분은, 대시패널(D)의 제 2관통구멍(D2)을 통과하여 상기 열교환기 유닛(20)의 내부유로(20a)측으로 삽입된다.
특히, 대시패널(D)의 제 2관통구멍(D2)을 통과하여 상기 열교환기 유닛(20)의 내부유로(20a)측에 형합되는데, 이때, 열교환기 유닛(20)의 내부유로(20a) 입구측 둘레부분에는, 상기 에어가이드(40)의 타측부분(40b)이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홈(6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에어가이드(40)의 타측부분(40b)이, 열교환기 유닛(20)의 안착홈(60)에 안착됨에 따라 상기 에어가이드(40)의 타측부분(40b)은 열교환기 유닛(20)의 내부유로(20a) 둘레부분에 형합된다.
여기서, 서로 형합된 에어가이드(40)의 타측부분(40b)과, 열교환기 유닛(20)의 안착홈(60)은, 서로 면접촉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면접촉을 이루는 에어가이드(40)의 타측부분(40b)과 열교환기 유닛(20)의 안착홈(60)은, 양자간의 기밀성능을 향상시켜, 양자간에 발생되는 공기 누출을 방지한다.
특히, 중앙의 에어가이드 홀부(42)를 통과하는 공기가, 에어가이드(40)의 타측부분(40b)과 열교환기 유닛(20)의 안착홈(60) 사이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중앙의 에어가이드 홀부(42)는, 에어가이드(40)의 일측부분(40a)과 타측부분(40b)이 인테이크 유닛(10)과 열교환기 유닛(20)에 각각 형합됨에 따라, 상기 인테이크 유닛(10)과 열교환기 유닛(20)의 내부유로(10a, 20a)들에 각각 정렬된다.
이러한 에어가이드 홀부(42)는, 인테이크 유닛(10)의 내부유로(10a)와 열교환기 유닛(20)의 내부유로(20a)를 서로 연결하며, 이렇게 연결한 에어가이드 홀부(42)는, 인테이크 유닛(10)의 내부유로(10a)측 공기를, 열교환기 유닛(20)의 내부유로(20a)측으로 가이드 한다.
여기서, 인테이크 유닛(10)의 내부유로(10a)에 비해, 열교환기 유닛(20)의 내부유로(20a)는 큰 단면적을 갖게 된다.
이때, 에어가이드(40)의 에어가이드 홀부(42)는, 단면적이 작은 인테이크 유닛(10)의 내부유로(10a)와, 단면적이 큰 열교환기 유닛(20)의 내부유로(20a)를 단차없이 원활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인테이크 유닛(10)의 내부유로(10a)측으로부터 열교환기 유닛(20)의 내부유로(20a)를 향해 점차 확대되는 단면적을 갖는다.
한편, 상기 에어가이드(40)는, 인테이크 유닛(10)과 열교환기 유닛(20)에 대해 별도의 부재로 구성된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상기 인테이크 유닛(10)과 열교환기 유닛(20)으로부터 분리 및 교환이 가능하다.
경우에 따라, 상기 에어가이드(40)는, 인테이크 유닛(10)과 열교환기 유닛(20) 중 어느 하나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인테이크 유닛(10)측부분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시, 도 3과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인테이크 유닛(10)의 내부유로(20a)와, 대시패널(D)의 제 2관통구멍(D2) 사이를 씰링하는 상기 제 2씰러(34)는, 상기 에어가이드(40)의 타측부분(40b)에 설치되는 것이 좋다.
특히, 도 3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가이드(40)의 에어가이드 홀부(42) 주변 둘레부분을 따라 설치되며, 이렇게 설치된 제 2씰러(34)는, 이에 대응되는 대시패널(D)의 제 2관통구멍(D2) 주변 둘레부분에 밀착되면서 양자의 사이를 기밀적으로 밀봉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공조장치에 의하면, 인테이크 유닛(10)이 엔진룸측에 배치되고, 열교환기 유닛(20)이 차실내측에 배치되는 구조이므로, 차실내측에 배치되는 공조장치의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차실내측에 배치되는 공조장치의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차실내의 공간확보에 유리하고, 이를 통해, 차실내의 공간 활용도를 높여 탑승객의 편의성을 현저하게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대시패널(D)을 사이에 두고 인테이크 유닛(10)과 열교환기 유닛(20)을 엔진룸과 차실내에 각각 설치하되, 씰링부(30)를 통해, 대시패널(D)의 관통구멍(D1, D2)과 인테이크 유닛(10)의 공기유로 및, 대시패널(D)의 관통구멍(D1, D2)과 열교환기 유닛(20)의 공기유로를 씰링하는 구조이다.
따라서, 인테이크 유닛(10)과 열교환기 유닛(20)이 엔진룸과 차실내에 각각 설치되어, 각각 별도의 공간에 배치됨에도 불구하고, 인테이크 유닛(10)측의 공기를 열교환기 유닛(20)에 손실없이 송풍할 수 있다.
또한, 인테이크 유닛(10)과 열교환기 유닛(20) 사이에 에어가이드(40)를 설치하고, 이를 통해, 인테이크 유닛(10)의 송풍 공기를 열교환기 유닛(20)에 가이드할 수 있는 구조이다.
따라서, 인테이크 유닛(10)과 열교환기 유닛(20)이 엔진룸과 차실내에 각각 설치되어, 각각 별도의 공간에 배치됨에도 불구하고, 인테이크 유닛(10)측의 공기를 열교환기 유닛(20)에 손실없이 송풍할 수 있다.
또한, 인테이크 유닛(10)과 열교환기 유닛(20)이, 각각 별도의 공간에 배치됨에도 불구하고, 인테이크 유닛(10)측의 공기를 열교환기 유닛(20)에 손실없이 송풍할 수 있다. 따라서, 차실내의 공간확보와 차실내의 냉,난방성능 개선 효과를 동시에 도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Claims (23)

  1. 차실내에 냉,온풍을 공급하여 냉,난방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대시패널을 기준으로 엔진룸측에 설치되며, 내,외기를 흡입하여 차실내측으로 송풍하는 인테이크 유닛을 포함하는 제 1공조장치와;
    상기 대시패널을 기준으로 차실내측에 설치되며, 차실내측으로 공조된 공기를 토출하는 덕트를 포함하는 제 2공조장치 및;
    상기 대시패널에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구멍을 통하여 상기 제 1공조장치와 제 2공조장치를 서로 연결하는 에어가이드(Air Guid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공조장치와 제 2공조장치는 서로 연통되는 내부유로를 각각 갖추고 있으며,
    상기 에어가이드는,
    상기 제 1공조장치의 내부유로측 공기를, 상기 제 2공조장치의 내부유로측으로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대시패널측에서 상기 제 1공조장치의 내부유로와 상기 제 2공조장치의 내부유로를 서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가이드는,
    일측부분이 상기 제 1공조장치의 내부유로측 둘레부분에 형합되고, 타측부분이 상기 제 2공조장치의 내부유로측 둘레부분에 형합되며;
    상기 제 1공조장치와 제 2공조장치의 내부유로들을 서로 연통시킬 수 있는 중앙의 에어가이드 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가이드의 일측부분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결합홈과;
    상기 에어가이드의 일측부분 둘레에 대응되는 상기 제 1공조장치부분에 형성되는 결합돌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결합홈과 결합돌기의 결합 구조에 의해 상기 에어가이드의 일측부분이 상기 제 1공조장치에 형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가이드의 타측부분은,
    상기 대시패널에 형성된 관통구멍을 통과하여, 상기 제 2공조장치의 내부유로측으로 삽입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공조장치의 내부유로 입구측 둘레부분에는, 상기 에어가이드의 타측부분이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에어가이드의 타측부분이, 상기 제 2공조장치의 안착홈에 안착됨에 따라 상기 에어가이드의 타측부분이 상기 제 2공조장치에 형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서로 형합된 상기 에어가이드의 타측부분과, 상기 제 2공조장치의 안착홈은, 서로 면접촉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가이드의 에어가이드 홀부는,
    상기 에어가이드의 일측부분과 타측부분이 상기 제 1공조장치와 제 2공조장치에 각각 형합됨에 따라, 상기 제 1공조장치 및 상기 제 2공조장치의 내부유로들과 정렬되어, 상기 제 1공조장치의 내부유로측 공기를, 상기 제 2공조장치의 내부유로측으로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가이드의 에어가이드 홀부는,
    상기 제 2공조장치의 내부유로를 향할수록 점차 확대되는 단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가이드는,
    상기 제 1공조장치와 제 2공조장치에 대해 별개의 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제 1공조장치와 제 2공조장치로부터 분리 및 교환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공조장치의 공기유로와 상기 제 2공조장치의 공기유로는, 상기 대시패널의 관통구멍을 통해 서로 연통되며;
    상기 대시패널과 상기 제 1공조장치 및 제 2공조장치의 사이를 기밀적으로 씰링하는 씰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공조장치는,
    차실내 공기를 도입할 수 있는 내기도입구를 구비하고, 상기 내기도입구는 상기 대시패널에 형성된 제 1관통구멍을 통해서 차실내측과 연통되며;
    도입된 공기를 상기 제 2공조장치의 내부유로로 송풍하는 내부유로를 구비하고, 상기 내부유로는 상기 대시패널에 형성된 제 2관통구멍을 통해서 상기 제 2공조장치의 내부유로와 연통되며;
    상기 씰링부는,
    상기 인테이크 유닛의 내기도입구와 상기 대시패널의 제 1관통구멍 사이를 씰링하는 제 1씰러(Sealer)와;
    상기 제 1공조장치의 내부유로와 상기 대시패널의 제 2관통구멍 사이를 씰링하는 제 2씰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공조장치는,
    상기 대시패널의 제 1관통구멍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공조장치의 내기도입구와 정렬되도록 차실내측에 설치되는 내기 도입덕트를 구비하며;
    상기 씰링부는,
    상기 제 2공조장치의 내기 도입덕트와 상기 대시패널의 제 1관통구멍 사이를 씰링하는 제 3씰러와;
    상기 제 2공조장치의 내부유로와 상기 대시패널의 제 2관통구멍 사이를 씰링하는 제 4씰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씰러는,
    상기 제 1공조장치의 내기도입구 주변 둘레부분을 따라 링(Ring) 형태로 설치되며;
    상기 제 1공조장치의 내기도입구 주변 둘레부분과, 이에 대응되는 상기 대시패널의 제 1관통구멍 주변 둘레부분 사이에서, 양자의 사이를 기밀적으로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씰러는,
    상기 제 1공조장치의 내부유로 주변 둘레부분을 따라 링 형태로 설치되며;
    상기 제 1공조장치의 내부유로 주변 둘레부분과, 이에 대응되는 상기 대시패널의 제 2관통구멍 주변 둘레부분 사이에서, 양자의 사이를 기밀적으로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3씰러는,
    상기 제 2공조장치의 내기 도입덕트 주변 둘레부분을 따라 링(Ring) 형태로 설치되며;
    상기 제 2공조장치의 내기 도입덕트 주변 둘레부분과, 이에 대응되는 상기 대시패널의 제 1관통구멍 주변 둘레부분 사이에서, 양자의 사이를 기밀적으로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4씰러는,
    상기 제 2공조장치의 내부유로 주변 둘레부분을 따라 링 형태로 설치되며;
    상기 제 2공조장치의 내부유로 주변 둘레부분과, 이에 대응되는 상기 대시패널의 제 2관통구멍 주변 둘레부분 사이에서, 양자의 사이를 기밀적으로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8.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공조장치의 내기도입구 주변 둘레부분에는, 상기 제 1씰러가 고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9.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공조장치의 내부유로 주변 둘레부분에는, 상기 제 2씰러가 고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가이드는,
    상기 대시패널의 제 2관통구멍측에서, 상기 제 1공조장치의 내부유로와 상기 제 2공조장치의 내부유로를 서로 연결하며,
    상기 제 2씰러는,
    상기 제 1공조장치측의 상기 에어가이드와, 이에 대응되는 상기 대시패널의 제 2관통구멍 주변 둘레부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 1공조장치측의 에어가이드와 상기 대시패널의 제 2관통구멍 사이를 기밀적으로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21.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대시패널을 기준으로 차실내측 씰링부와 엔진룸측 씰링부는, 서로 다른 재질과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22.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공조장치의 인테이크 유닛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하는 열교환기를 포함하며;
    상기 열교환기는, 차실내측의 상기 제 2공조장치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23.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공조장치의 인테이크 유닛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하는 열교환기를 포함하며;
    상기 열교환기는, 엔진룸측의 상기 제 1공조장치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PCT/KR2020/005699 2019-05-09 2020-04-29 차량용 공조장치 WO2020226346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609,327 US20220314731A1 (en) 2019-05-09 2020-04-29 Air conditioner for vehicle
CN202080034425.8A CN113795396B (zh) 2019-05-09 2020-04-29 用于车辆的空调
DE112020002311.7T DE112020002311T5 (de) 2019-05-09 2020-04-29 Klimaanlage für ein Fahrzeu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149 2019-05-09
KR1020190054149A KR20200129560A (ko) 2019-05-09 2019-05-09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19-0054147 2019-05-09
KR1020190054147A KR20200129559A (ko) 2019-05-09 2019-05-09 차량용 공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26346A1 true WO2020226346A1 (ko) 2020-11-12

Family

ID=73051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05699 WO2020226346A1 (ko) 2019-05-09 2020-04-29 차량용 공조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314731A1 (ko)
CN (1) CN113795396B (ko)
DE (1) DE112020002311T5 (ko)
WO (1) WO202022634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27559A1 (fr) * 2022-05-24 2023-11-30 Valeo Systemes Thermiques Dispositif de chauffage, ventilation et/ou climatisation, véhicule correspondant et procédé de montag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506U (ja) * 1991-07-16 1993-02-02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用空調設備
JPH10100641A (ja) * 1996-09-25 1998-04-21 Calsonic Corp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のユニット連結構造
JP4051962B2 (ja) * 2002-02-28 2008-02-27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ユニットの取付構造
JP2010247554A (ja) * 2009-04-10 2010-11-04 Honda Motor Co Ltd 車両用空調装置の吸気ダクト構造
KR20180038728A (ko) * 2016-10-07 2018-04-1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 시스템
JP2019026177A (ja) * 2017-08-02 2019-02-21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9774Y2 (ja) * 1979-05-31 1983-02-2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用暖房装置
FR2599310B1 (fr) * 1986-06-02 1988-09-16 Peugeot Agencement d'un climatiseur dans un vehicule automobile
JPH0717233A (ja) * 1993-07-05 1995-01-20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ブロアエアインテーク部構造
JP3232804B2 (ja) * 1993-09-10 2001-11-2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ブロアエアインテーク部構造
JP3750255B2 (ja) * 1997-01-07 2006-03-01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JP3890993B2 (ja) * 2002-01-31 2007-03-07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JP4103570B2 (ja) * 2002-12-10 2008-06-18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の空調ユニット
JP4321134B2 (ja) * 2003-06-25 2009-08-26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JP2005067569A (ja) * 2003-08-28 2005-03-17 Hino Motors Ltd 自動車の外気導入装置
JP2007152997A (ja) * 2005-12-01 2007-06-21 Aruze Corp 座席位置自動調整装置
JP5132423B2 (ja) * 2008-05-22 2013-01-30 昭男 荒井 貫通ダクト部材とその部材を用いた中空壁のダクト構造
DE102009056043A1 (de) * 2009-11-27 2011-06-0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 n. d. Ges. d. Staates Delaware ), Detroit Dichtungsanordnung für die Kraftfahrzeugstirnwand
KR101371975B1 (ko) * 2011-09-16 2014-03-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운전자의 자세 제어 장치
CN203020014U (zh) * 2012-12-19 2013-06-26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车用制冷系统的安装结构、车用制冷系统和车辆
DE102013003027A1 (de) * 2013-02-22 2014-03-20 Daimler Ag Dichtungsanordnung zweier Führungselemente an einem Karosseriebauteil eines Kraftwagens
WO2016099151A1 (ko) * 2014-12-17 2016-06-23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CN107848371B (zh) * 2016-01-18 2020-05-19 翰昂汽车零部件有限公司 车辆用空调系统
KR102456814B1 (ko) * 2016-01-18 2022-10-24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 시스템
CN205588932U (zh) * 2016-05-12 2016-09-21 南方英特空调有限公司 一种设有密封结构的汽车空调箱壳体
JP7346048B2 (ja) * 2018-05-17 2023-09-19 ハイリマレリジャパン株式会社 車両用空調装置
CN109849742A (zh) * 2019-04-01 2019-06-07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汽车座椅的调节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11260718B2 (en) * 2019-05-03 2022-03-01 Valeo North America, Inc. Split heating, ventilation and air-conditioning (HVAC) assembly
KR20200129559A (ko) * 2019-05-09 2020-11-18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DE112020002317T5 (de) * 2019-05-10 2022-01-27 Hanon Systems Fahrzeugklimaanlage
KR20220001331A (ko) * 2020-06-29 2022-01-05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CN112659991B (zh) * 2021-01-14 2022-12-06 东风柳州汽车有限公司 多用途汽车座椅智能调节系统及方法
CN114919471A (zh) * 2022-05-30 2022-08-19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汽车座椅自适应调节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5230425A (zh) * 2022-06-28 2022-10-25 广东汇天航空航天科技有限公司 空气调节设备以及交通工具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506U (ja) * 1991-07-16 1993-02-02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用空調設備
JPH10100641A (ja) * 1996-09-25 1998-04-21 Calsonic Corp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のユニット連結構造
JP4051962B2 (ja) * 2002-02-28 2008-02-27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ユニットの取付構造
JP2010247554A (ja) * 2009-04-10 2010-11-04 Honda Motor Co Ltd 車両用空調装置の吸気ダクト構造
KR20180038728A (ko) * 2016-10-07 2018-04-1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 시스템
JP2019026177A (ja) * 2017-08-02 2019-02-21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27559A1 (fr) * 2022-05-24 2023-11-30 Valeo Systemes Thermiques Dispositif de chauffage, ventilation et/ou climatisation, véhicule correspondant et procédé de montage
FR3135921A1 (fr) * 2022-05-24 2023-12-01 Valeo Systemes Thermiques Dispositif de chauffage, ventilation et/ou climatisation, véhicule correspondant et procédé de mont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20002311T5 (de) 2022-03-31
US20220314731A1 (en) 2022-10-06
CN113795396B (zh) 2024-04-12
CN113795396A (zh) 2021-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069883A1 (ko) 차량용 공조장치
WO2016099080A1 (ko) 차량용 공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17010719A1 (en) Active air purifier of vehicle
WO2018004203A1 (ko) 차량용 공조장치
WO2017126836A1 (ko) 차량용 공조 시스템
WO2016064238A1 (ko) 자동차 객실 공기 조화용 공조 시스템
WO2016064236A1 (ko) 자동차 객실 공기 조화용 공조 시스템
WO2020226346A1 (ko) 차량용 공조장치
WO2016099151A1 (ko) 차량용 공조장치
WO2019139268A1 (en) Air conditioner
WO2018155823A1 (ko) 차량 시트 공조장치
WO2016028034A1 (ko) 전열교환장치용 하우징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열교환장치
WO2016099078A1 (ko) 차량용 공조장치
WO2009119998A2 (en) Flow control valve and air conditioner for an automobile equipped with same
WO2022050582A1 (ko) 공기조화기
WO2021071276A1 (en) Air conditioner and ventilation apparatus for the same
WO2019117544A1 (ko) 공기조화장치
WO2019194493A1 (ko)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
WO2020040561A1 (ko) 차량용 공조장치
WO2019103331A1 (ko) 차량용 공조장치
WO2013062176A1 (ko) 데시칸트로터 카세트
WO2018216965A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
WO2020149698A1 (en)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WO2020231102A1 (ko) 차량용 공조장치
WO2020022715A1 (ko) 차량용 공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80267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80267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