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67340A - 반도체 기억 장치 - Google Patents

반도체 기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67340A
KR970067340A KR1019960033518A KR19960033518A KR970067340A KR 970067340 A KR970067340 A KR 970067340A KR 1019960033518 A KR1019960033518 A KR 1019960033518A KR 19960033518 A KR19960033518 A KR 19960033518A KR 970067340 A KR970067340 A KR 9700673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cell
memory
line
bit line
tran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3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14814B1 (ko
Inventor
야스오 스미나가
고지 고마쯔
Original Assignee
쯔지 하루오
샤프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쯔지 하루오, 샤프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쯔지 하루오
Publication of KR970067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73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4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48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56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storage elements with more than two stable states represented by steps, e.g. of voltage, current, phase, frequency
    • G11C11/569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storage elements with more than two stable states represented by steps, e.g. of voltage, current, phase, frequency read-only digital stores using storage elements with more than two stable stat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7/00Read-only memories programmable only once; Semi-permanent stores, e.g. manually-replaceable information cards
    • G11C17/08Read-only memories programmable only once; Semi-permanent stores, e.g. manually-replaceable information card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e.g. bipolar elements
    • G11C17/10Read-only memories programmable only once; Semi-permanent stores, e.g. manually-replaceable information card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e.g. bipolar elements in which contents are determined during manufacturing by a predetermined arrangement of coupling elements, e.g. mask-programmable ROM
    • G11C17/12Read-only memories programmable only once; Semi-permanent stores, e.g. manually-replaceable information card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e.g. bipolar elements in which contents are determined during manufacturing by a predetermined arrangement of coupling elements, e.g. mask-programmable ROM using field-effect devices
    • G11C17/126Virtual ground array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8Bit line organisation; Bit line lay-o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Read Only Memory (AREA)
  • Static Random-Access Memory (AREA)

Abstract

반도체 기억 장치에 있어서, 메모리셀 어레이로부터 선택된 워드선의 위치에 대응하는 전위가 뱅크 선택 트랜지스터의 ON 전위로서 뱅크 선택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접속된 뱅크 선택선에 인가되며, 이에 따라 뱅크 시스템을 사용한 ROM의 뱅크에 있어서의 메모리셀의 위치에 따른 비트선 전위의 변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반도체 기억 장치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반도체 기억 장치로서 뱅크 시스템을 사용한 ROM을 도시한 회로도로, 특히 상기 ROM을 구성하는 메모리셀 어레이 및 그의 주변 회로의 일부를 보인 도면, 제2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반도체 기억 장치로서 뱅크 시스템을 사용한 ROM을 도시한 회로도로, 특히 상기 ROM을 구성하는 메모리셀 어레이 및 그의 주변 회로의 일부를 보인 도면.

Claims (38)

  1. 그의 각각이, 메모리 트랜지스터로 형성괴는 복수의 메모리셀을 매트릭스형태로 배열하여 형성되는 메모리셀 어레이; 각각에 소정의 전위가 인가되며, 선택된 메모리셀로부터 정보를 독출하기 위한 제1주비트선 및 제2주비트선; 메모리셀의 각 열에 대응하여 제공되고, 그의 각각이, 메모리셀을 형성하는 메모리 트랜지스터의 공통 소스 또는 공통 드레인 중 어느 것으로 각각 기능하는 복수의 제1부비트선 및 복수의 제2부비트선; 메모리셀의 각 행에 대응하여 제공되고, 그의 각각이, 메모리셀을 형성하는 메모리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각각 접속되는 복수의 워드선; 메모리셀 열들의 하나를 선택하기 위해 상기 제1부비트선의 하나가 상기 제1주비트선간에 접속되는 제1뱅크 선택 트랜지스터; 메모리셀 열들의 하나를 선택하기 위해 상기 제2부비트선의 하나와 상기 제2주비트선간에 접속되는 제2뱅크 선택 트랜지스터; 및 그의 각각이 상기 뱅크 선택 트랜지스터마다 제공되고, 각각의 게이트에 접속된 뱅크 선택선을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셀 어레이에 있어서의 선택된 워드선의 위치에 대응하는 전위는 조합된 뱅크 선택 트랜지스터의 ON 전위로서 상기 뱅크 선택선들중 적어도 선택된 하나에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뱅크 선택선은 상기 제1 및 제2주비트선의 하나에 교호로 접속된, 선택된 뱅크 선택 트랜지스터에 접속되며, 상기 주비트선에는 저전위가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셀 어레이에 있어서의 상기 선택된 워드선의 위치에 대응하는 전위는 상기 조합된 뱅크 선택 트랜지스터의 ON 전위로서 상기 뱅크 선택선의 각각에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원드선군이 형성되도록 상기 메모리셀의 열을 따른 방향으로 복수의 워드선이 분할되고, 상기 조합된 뱅크 선택 트랜지스터의 ON전위로서 상기 선택된 뱅크 선택선에 인가되는 전위는 상기 선택된 워드선이 속하는 워드선군의 부위에 대응하는 전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뱅크 선택선은 상기 제1 및 제2주비트선의 하나에 교호로 접속되는 상기 선택된 뱅크 선택 트랜지스터에 접속되고, 상기 주비트선에는 저전위가 인가되며, 상기 선택된 뱅크 선택선에 공급되는 전위는 상기 선택된 메모리셀과 상기 선택된 뱅크 선택 트랜지스터간의 거리가 멀수록 높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된 뱅크 선택 트랜지스터의 ON 전위로서 상기 뱅크 선택선에 인가되는 전위를 발생하기 위한 기준전압발생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준전압발생기에 의해 발생된 기준전위는 상기 뱅크 선택선을 구동하기 위한 뱅크 선택선 드라이버의 전원전압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전압발생기는, 제1기준전위와 제2기준전위간에 직렬 접속되고 이 두 기준 전위간의 전압을 저항 분할하기 위한 복수의 저항 소자; 그의 각각이 상기 저항 소자중 하나의 일단과 공통 접속노드간에 접속된 복수의 분할 스위치; 그의 일단이 상기 제1기준전위에 접속되고 그의 타단이 상기 뱅크 선택선 드리이버의 기준전위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단으로 되어 있는 전원 스위치; 및 상기 분할 스위치의 공통 접속 노드의 전위와 상기 전원 스위치의 타단의 전위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대응하는 전위를 상기 전원 스위치의 ON/OFF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전압으로서 출력하기 위한 비교기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분할 스위치의 소정의 하나는 상기 선택된 워드선을 나타내는 신호 또는 상기 선택된 원드선이 속하는 워드선군을 나타내는 신호의 어느 하나에 따라 도통되어, 상기 전원 스위치의 출력단에서 소망 레벨의 전위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장치.
  8. 그의 각각이, 메모리 트랜지스터로 형성되는 복수의 메모리셀을 매트릭스형태로 배열하여 형성되는 메모리셀 어레이; 상기 메모리셀로부터 정보를 독출하기 위해 상기 메모리셀의 각 열에 대응하여 제공된 복수의 비트선; 그의 각각이 상기 메모리셀을 형성하는 상기 메모리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접속되고, 상기 메모리셀의 각 행에 대응하여 제공된 복수의 워드선; 상기 메모리셀 어레이에 있어서의 선택된 워드선의 위치에 따라 소정 제어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제어기;및 선택 트랜지스터를 통해 상기 복수의 비트선의 적어도 하나에 접속되고, 그의 부하 특성이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변경가능하게 구성되는 부하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
  9. 그의 각각이, 메모리 트랜지스터로 형성되는 복수의 메모리셀을 메트릭스 형태로 배열하여 형성되는 메모리셀 어레이; 상기 부비트선 또는 상기 부그라운드선의 어느 일방이 상기 메모리셀의 각 열에 대응하도록 교호로 배치되는 부비트선 및 부그라운드선; 상기 메모리셀의 데이타를 출력하기 위한 데이타선; 상기 데이타선에 접속되고 그의 부하특성이 소정 제어신호에 따라 변경가능하게 되도록 구성되는 부하 회로; 컬럼 선택 트랜지스터를 통해 상기 데이타선에 접속된 주비트선; 다른 컬럼 선택 트랜지스터를 통해 그라운드선에 접속된 주그라운드선; 사익 메모리셀 어레이에 있어서의 상기 메모리셀 열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주비트선과 상기 부비트선간에 접속된 제1뱅크 선택 트랜지스터; 상기 메모리셀 어레이에 있어서의 메모리셀 열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주그라운드선과 상기 부그라운드선간에 접속된 제2뱅크 선택 트랜지스터; 및 상기 메모리셀의 각 열에 대응하여 제공되고 복수의 워드선군이 형성되도록 상기 메모리셀의 열을 따른 방향으로 분할되며, 그의 각각이 상기 메모리셀을 형성하는 메모리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접속된 복수의 워드선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워드선중 하나가 선택될때, 상기 선택된 워드선이 속하는 워드선군에 대응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부하 회로의 부하특성이 절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
  10. 그의 각각이, 메모리 트랜지스터로 형성되는 복수의 메모리셀을 매트릭스형태로 배열하여 형성되는 메모리셀 어레이; 상기 부비트선의 어느 하나가 상기 메모리셀의 각 열에 대응하도록 소정 순서로 반복적으로 배치되는 제1부비트선, 제2부비트선, 제3부비트선 및 제4부비트선; 상기 메모리셀의 데이타를 출력하기 위한 데이타선; 상기 데이타선에 접속되고 그의 부하특성이 소정 제어신호에 따라 변경가능하게 되도록 구성되는 부하회로; 컬럼 선택 트랜지스터를 통해 상기 데이타선에 접속된 주비트선; 다른 컬럼 선택 트랜지스터를 통해 그라운드선에 접속된 주그라운드선; 및 상기 메모리셀의 각 행에 대응하여 제공되고 복수의 워드선군이 형성되도록 상기 메모리셀의 열을 따른 방향으로 분할되며, 그의 각각이, 상기 메모리셀을 형성하는 메모리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접속된 복수의 워드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1부비트선은 상기 메모리셀 어레이의 일측상의 제1뱅크 선택 트랜지스터를 통해 상기 주그라운드선에 접속되고 상기 메모리셀 어레이의 타측상의 제2뱅크 선택 트랜지스터를 통해 상기 주비트선에 접속되며, 상기 제2부비트선은 각각, 상기 메모리셀 어레이의 양측상의 상기 제1 및 제2뱅크 선택 트랜지스터를 통해 주그라운선에 접속되고, 상기 제3부비트선은 상기 메모리셀 어레이의 일측상의 상기 제1뱅크 선택 트랜지스터를 통해 상기 주비트선에 접속되고 상기 메모리셀 어레이의 타측상의 상기 제2뱅크 선택 트랜지스터를 통해 주그라운드선에 접속되며, 상기 제4부비트선은 각각 상기 메모리셀 어레이의 양측상의 상기 제1 및 제2뱅크 선택 트랜지스터를 통해 상기 주비트선에 접속되고, 상기 복수의 워드선중 하나가 선택되었을때, 상기 선택된 워드선이 속하는 워드선군에 대응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부하 회로의 부하특성이 절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부비트선의 하나 또는 2개는 상기 제1뱅크 선택 트랜지스터를 통해 상기 주그라운드선에 접속되고, 상기 부그라운드선의 적어도 2개는 상기 뱅크 선택 트랜지스터를 통해 상기 주 그라운드선에 접속되며, 상기 제1뱅크 선택 트랜지스터의 하나와 상기 제2뱅크 선택 트랜지스터의 하나가 선택될 때, 상기 주비트선 및 이에 인접한 상기 부비트선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주그라운드선 및 이에 인접한 상기 부그라운드선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
  12. 그의 각각이, 메모리 트랜지스터로 형성되는 복수의 메모리셀을 매트릭스형태로 배열하여 형성되는 메모리셀 어레이; 상기 메모리셀의 각 열에 대응하여 제공된 복수의 부비트선; 상기 메모리셀의 데이타를 출력하기 위한 데이타 선; 제1컬럼 선택 트랜지스터를 통해 상기 데이타선에 접속되고 제2컬럼 선택 트랜지스터를 통해 그라운드선에 접속된 제1주비트선 및 제2주비트선; 상기 제1주비트선 및 두 인접한 상기 부비트선의 일방에 접속된 제1뱅크 선택 트랜지스터; 상기 제2주비트선 및 두 인접한 부비트선의 타방에 접속된 제2뱅크 선택 트랜지스터;상기 메모리셀의 각 행에 대응하여 제공되고, 그의 각각이 상기 메모리셀을 형성하는 메모리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접속된 복수의 워드선; 및 상기 메모리셀 어레이에 있어서의 상기 선택된 워드선의 위치에 따라 소정 제어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주비트선이 상기 데이타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2주비트선이 상기 그라운드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상태 및 상기 제1주비트선이 상기 그라운드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2주비트선이 상기 데이타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상태가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
  13. 그의 각각이, 메모리 트랜지스터로 형성되는 복수의 메모리셀을 매트릭스형태로 배열하여 형성되는 메모리셀 어레이; 제1부비트선 및 제2부비트선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메모리셀의 각 열에 대응하도록 교호로 제공되는 제1부비트선 및 제2부비트선; 상기 메모리셀의 데이타를 출력하기 위한 데이타 선; 제1컬럼 선택 트랜지스터를 통해 상기 데이타선에 접속되고 제2컬럼 선택 트랜지스터를 통해 그라운드선에 접속된 제1주비트선; 제3커럼 선택 트랜지스터를 통해 상기 데이타선에 접속되고 제4컬럼 선택 트랜지스터를 통해 상기 그라운드선에 접속된 제2주비트선; 상기 메모리셀 어레이에 있어서의 상기 메모리셀 열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주비트선과 상기 제1주비트선간에 접속된 제1뱅크 선택 트랜지스터; 상기 메모리셀 어레이에 있어서의 상기 메모리셀 열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주비트선과 상기 제2부비트선간에 접속된 제2뱅크 선택 트랜지스터; 및 상기 메모리셀의 각 행에 대응하여 제공되고, 상기 제1뱅크 선택 트랜지스터의 일측상에 위치된 제1워드선군 및 상기 제2뱅크 선택 트랜지스터의 일측상에 위치된 제2워드선군으로 분할되고, 그의 각각이, 상기 메모리셀을 형성하는 메모리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접속되는 복수의 워드선을 포함하며, 상기 제1워드선군에 속하는 워드선중 하나가 선택되었을때, 상기 제2및 제3컬럼 선택 트랜지스터가 선택되며, 이에 따라 상기 그라운드선에 제1주비트선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데이타선에 상기 제2주비트선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이에 따라 상기 그라운드선에 상기 제2주비트선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데이타선에 상기 제1주비트선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제1워드선군 및 제2워드선군은 둘 이상의 워드선 서브그룹으로 분할되고, 상기 데이타선에 접속되고 그의 부하특성이 소정 제어신호에 따라 가변적으로 되도록 구성되는 부하 회로가 제공되며, 워드선중 하나가 선택되었을 때, 상기 부하 회로의 부하특성은 상기 선택된 워드선이 속하는 워드선 서브그룹에 대응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절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각 메모리셀은 다치 ROM을 형성하는 3개 이상의전위레벨에 대응하는 정보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메모리셀 어레이가 반도체 기판에 제공되며, 이 메모리셀 어레이의 각각은 상기 주비트선의 하나 및 상기 주그라운드선의 하나에 접속된 복수의 메모리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메모리셀 어레이의 인접하는 것들을 전기적으로 분리하기 위한 분리영역이 열방향으로 제공된 복수의 분리용 메모리셀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분리용 메모리셀의 각각의 임계치는, 상기 메모리셀이 선택 상태 또는 비선택 상태에 있는지에 무관하게 상기 메모리셀의 메모리 트랜지스터가 항상 비도통상태에 있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용 메모리셀의 각각의 임계치는 상기 메모리셀을 형성하는 메모리 트랜지스터의 영역내로 이온을 주입함으로써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셀은 각각은 적어도 2개의 임계치를 가지며, 상기 메모리셀의 이들 임계치 중 하나는, 메모리셀이 선택 상태 또는 비선택 상태에 있는지에 무관하게 상기 메모리셀의 메모리 트랜지스터가 항상 비도통상태에 있도록 설정되고, 상기 메모리셀의 임계치는 분리용 메모리셀의 임계치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
  1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각 메모리셀은 다치 ROM을 형성하는 3개 이상의 전위레벨에 대응하는 정보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
  20. 제8항에 있어서, 복수의 메모리셀 어레이가 반도체 기판에 제공되며, 이 메모리셀 어레이의 각각은 상기 주비트선의 하나 및 상기 주그라운드선의 하나에 접속된 복수의 메모리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메모리셀 어레이의 인접하는 것들을 전기적으로 분리하기 위한 분리영역이 열방향으로 제공된 복수의 분리용 메모리셀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분리용 메모리셀의 각각의 임계치는, 상기 메모리셀이 선택 상태 또는 비선택 상태에 있는지에 무관하게 상기 메모리셀의 메모리 트랜지스터가 항상 비도통상태에 있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용 메모리셀의 각각의 임계치는 상기 메모리셀을 형성하는 메모리 트랜지스터의 영역내로 이온을 주입함으로써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셀의 각각은 적어도 2개의 임계치를 가지며, 상기 메모리셀의 이들 임계치 중 하나는, 상기 메모리셀이 선택 상태 또는 비선택 상태에 있는지에 무관하게 상기 메모리셀의 메모리 트랜지스터가 항상 비도통상태에 있도록 설정되고, 상기 메모리셀의 임계치는 상기 분리용 메모리셀의 임계치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
  2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각 메모리셀은 다치 ROM을 형성하는 3개 이상의 전위레벨에 대응하는 정보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
  24. 제9항에 있어서, 복수의 메모리셀 어레이가 반도체 기판에 제공되며, 이 메모리셀 어레이의 각각은 상기 주비트선의 하나 및 상기 주그라운드선의 하나에 접속된 복수의 메모리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메모리셀 어레이의 인접하는 것들을 전기적으로 분리하기 위한 분리영역이 열방향으로 제공된 복수의 분리용 메모리셀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분리용 메모리셀의 각각의 임계치는, 상기 메모리셀이 선택 또는 비선택 상태에 있는지에 무관하게 상기 메모리셀의 메모리 트랜지스터가 항상 비도통상태에 있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용 메모리셀의 각각의 임계치는 상기 메모리셀을 형성하는 메모리 트랜지스터의 영역내로 이온을 주입함으로써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셀의 각각은 적어도 2개의 임계치를 가지며, 상기 메모리셀의 이들 임계치 중 하나는, 상기 메모리셀이 선택 상태 또는 비선택 상태에 있는지에 무관하게 상기 메모리셀의 메모리 트랜지스터가 항상 비도통상태에 있도록 설정되고, 상기 메모리셀의 임계치는 상기 분리용 메모리셀의 임계치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
  2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각 메모리셀은 다치 ROM을 형성하는 3개 이상의 전위레벨에 대응하는 정보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
  28. 제10항에 있어서, 복수의 메모리셀 어레이가 반도체 기판에 제공되며, 이 메모리셀 어레이의 각각은 상기 주비트선의 하나 및 상기 주그라운드선의 하나에 접속된 복수의 메모리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메모리셀 어레이의 인접하는 것들을 전기적으로 분리하기 위한 분리영역이 열방향으로 제공된 복수의 분리용 메모리셀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분리용 메모리셀의 각각의 임계치는, 상기 메모리셀이 선택 상태 또는 비선택 상태에 있는지에 무관하게 상기 메모리셀의 메모리 트랜지스터가 항상 비도통상태에 있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용 메모리셀의 각각의 임계치는 상기 메모리셀을 형성하는 메모리 트랜지스터의 영역내로 이온을 주입함으로써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셀의 각각은 적어도 2개의 임계치를 가지며, 상기 메모리셀의 이들 임계치 중 하나는, 상기 메모리셀이 선택 상태 또는 비선택 상태에 있는지에 무관하게 상기 메모리셀의 메모리 트랜지스터가 항상 비도통상태에 있도록 설정되고, 상기 메모리셀의 임계치는 상기 분리용 메모리셀의 임계치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
  31.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각 메모리셀은 다치 ROM을 형성하는 3개 이상의 전위레벨에 대응하는 정보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
  32. 제12항에 있어서, 복수의 메모리셀 어레이가 반도체 기판에 제공되며, 이 메모리셀 어레이의 각각은 상기 주비트선의 하나 및 상기 주그라운드선의 하나에 접속된 복수의 메모리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메모리셀 어레이의 인접하는 것들을 전기적으로 분리하기 위한 분리영역이 열방향으로 제공된 복수의 분리용 메모리셀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분리용 메모리셀의 각각의 임계치는, 상기 메모리셀이 선택 또는 비선택 상태에 있는지에 무관하게 상기 메모리셀의 메모리 트랜지스터가 항상 비도통상태에 있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용 메모리셀의 각각의 임계치는 상기 메모리셀을 형성하는 메모리 트랜지스터의 영역내로 이온을 주입함으로써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셀의 각각은 적어도 2개의 임계치를 가지며, 상기 메모리셀의 이들 임계치 중 하나는, 상기 메모리셀이 선택 상태 또는 비선택 상태에 있는지에 무관하게 상기 메모리셀의 메모리 트랜지스터가 항상 비도통상태에 있도록 설정되고, 상기 메모리셀의 임계치는 상기 분리용 메모리셀의 임계치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
  3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각 메모리셀은 다치 ROM을 형성하는 3개 이상의 전위레벨에 대응하는 정보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
  36. 제13항에 있어서, 복수의 메모리셀 어레이가 반도체 기판에 제공되며, 이 메모리셀 어레이의 각각은 상기 주비트선의 하나 및 상기 주그라운드선의 하나에 접속된 복수의 메모리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메모리셀 어레이의 인접하는 것들을 전기적으로 분리하기 위한 분리영역이 열방향으로 제공된 복수의 분리용 메모리셀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분리용 메모리셀의 각각의 임계치는, 상기 메모리셀이 선택 또는 비선택 상태에 있는지에 무관하게 상기 메모리셀의 메모리 트랜지스터가 항상 비도통상태에 있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용 메모리셀의 각각의 임계치는 상기 메모리셀을 형성하는 메모리 트랜지스터의 영역내로 이온을 주입함으로써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셀의 각각은 적어도 2개의 임계치를 가지며, 상기 메모리셀의 이들 임계치 중 하나는, 상기 메모리셀이 선택 상태 또는 비선택 상태에 있는지에 무관하게 상기 메모리셀의 메모리 트랜지스터가 항상 비도통상태에 있도록 설정되고, 상기 메모리셀의 임계치는 상기 분리용 메모리셀의 임계치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60033518A 1996-03-22 1996-08-09 반도체 기억 장치 KR1002148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6687796A JP3380107B2 (ja) 1996-03-22 1996-03-22 半導体記憶装置
JP96-66877 1996-03-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7340A true KR970067340A (ko) 1997-10-13
KR100214814B1 KR100214814B1 (ko) 1999-08-02

Family

ID=13328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3518A KR100214814B1 (ko) 1996-03-22 1996-08-09 반도체 기억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5726929A (ko)
EP (1) EP0797214B1 (ko)
JP (1) JP3380107B2 (ko)
KR (1) KR100214814B1 (ko)
DE (1) DE69617391T2 (ko)
TW (1) TW39921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2378B1 (ko) * 1995-12-30 1999-03-30 김광호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소자
JP3211745B2 (ja) * 1997-09-18 2001-09-25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
JP3638211B2 (ja) * 1998-06-17 2005-04-13 株式会社 沖マイクロデザイン データ書き込み回路
EP0977258B9 (en) 1998-07-29 2005-07-27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Process and integrated circuit for a multilevel memory cell
US6278649B1 (en) 2000-06-30 2001-08-21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Bank selection structures for a memory array, including a flat cell ROM array
US6492930B2 (en) * 2000-08-14 2002-12-10 Intersil Americas Inc. Reduced propagation delay current mode cascaded analog-to-digital converter and threshold bit cell therefor
US6301172B1 (en) * 2001-02-27 2001-10-09 Micron Technology, Inc. Gate voltage testkey for isolation transistor
KR100416599B1 (ko) * 2001-05-31 2004-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집적도와 독출동작 속도를 향상시키고 전력소모를감소시킬 수 있는 메탈 프로그래머블 롬의 메모리셀 구조
JP4072127B2 (ja) 2002-02-20 2008-04-09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半導体集積回路
US6563735B1 (en) * 2002-04-04 2003-05-13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NOR-structure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JP2004158119A (ja) * 2002-11-06 2004-06-03 Sharp Corp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JP4278140B2 (ja) 2003-09-03 2009-06-10 シャープ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
US6980456B2 (en) * 2004-03-08 2005-12-27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Memory with low and fixed pre-charge loading
WO2006046593A1 (ja) * 2004-10-27 2006-05-04 Daiichi Sankyo Company, Limited 2以上の置換基を有するベンゼン化合物
FR2881565B1 (fr) * 2005-02-03 2007-08-24 Atmel Corp Circuits de selection de ligne binaire pour memoires non volatiles
US7577031B2 (en) * 2007-03-29 2009-08-18 Sandisk Corporation Non-volatile memory with compensation for variations along a word line
US7508713B2 (en) * 2007-03-29 2009-03-24 Sandisk Corporation Method of compensating variations along a word line in a non-volatile memory
JP4504397B2 (ja) * 2007-05-29 2010-07-14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記憶装置
US7643367B2 (en) * 2007-08-15 2010-01-05 Oki Semiconductor Co., Lt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JP2009301691A (ja) * 2008-06-17 2009-12-24 Renesas Technology Corp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WO2015182100A1 (ja) 2014-05-26 2015-12-0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
KR20210093273A (ko) * 2018-11-22 2021-07-27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반도체 장치 및 전지 팩
CN112802523A (zh) * 2019-11-14 2021-05-14 力旺电子股份有限公司 只读式存储单元及其相关的存储单元阵列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2758B2 (ja) * 1988-03-28 1995-06-05 シャープ株式会社 半導体読出し専用メモリ
JPH02252194A (ja) * 1989-03-25 1990-10-09 Sony Corp 半導体メモリ装置
JP2565213B2 (ja) * 1989-10-27 1996-12-18 ソニー株式会社 読み出し専用メモリ装置
US5467300A (en) * 1990-06-14 1995-11-14 Creative Integrated Systems, Inc. Grounded memory core for Roms, Eproms, and EEpproms having an address decoder, and sense amplifier
JP2624569B2 (ja) * 1990-10-22 1997-06-25 シャープ株式会社 読出し専用メモリ
JPH04311900A (ja) * 1991-04-10 1992-11-04 Sharp Corp 半導体読み出し専用メモリ
JP2863661B2 (ja) * 1991-12-16 1999-03-03 株式会社東芝 読出専用メモリ
JPH05283654A (ja) * 1992-04-03 1993-10-29 Toshiba Corp マスクromとその製造方法
JP2845414B2 (ja) * 1992-09-18 1999-01-13 シャープ株式会社 半導体読み出し専用メモリ
JPH06318683A (ja) * 1993-05-01 1994-11-15 Toshiba Corp 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H07230696A (ja) * 1993-12-21 1995-08-29 Toshiba Corp 半導体記憶装置
US5557124A (en) * 1994-03-11 1996-09-17 Waferscale Integration, Inc. Flash EEPROM and EPROM arrays with select transistors within the bit line pit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380107B2 (ja) 2003-02-24
DE69617391D1 (de) 2002-01-10
US5812440A (en) 1998-09-22
JPH09259594A (ja) 1997-10-03
US5726929A (en) 1998-03-10
EP0797214A2 (en) 1997-09-24
TW399214B (en) 2000-07-21
EP0797214A3 (en) 1999-03-31
DE69617391T2 (de) 2002-07-11
EP0797214B1 (en) 2001-11-28
KR100214814B1 (ko) 1999-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67340A (ko) 반도체 기억 장치
KR100692994B1 (ko) 비휘발성 메모리셀 및 비휘발성 반도체 메모리장치
USRE32993E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970006225B1 (ko) 반도체 독출전용 메모리
KR100222816B1 (ko) 반도체 메모리
US5282175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of divided word line
KR910006996A (ko) 비휘발성 메모리 어레이
US4710900A (en)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an improved write circuit
KR910005315A (ko) 공통제어게이트 구동회로를 갖춘 nand셀형 prom
JP2004087069A (ja) メモリセル及び記憶装置
EP0880144B1 (en) Read only memory
US4635233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20070014157A1 (en)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memory cells and current limiter
US6667896B2 (en) Grouped plate line drive architecture and method
CN1742342B (zh) 源极偏置的存储器单元阵列
KR940026952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4006469A (en) Data storage cell with transistors operating at different threshold voltages
KR870007519A (ko) 리드 온리 메모리
US7009876B2 (en) MRAM and data writing method therefor
EP0078502B1 (en) Memory circuit
KR950020746A (ko) 바이어스 제어 회로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 디바이스
US5663903A (en) Flat-cell read-only memory
KR100210627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CN101536107B (zh) 共享存储器阵列p-阱的低电压列解码器
KR850008239A (ko) 반도체 기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21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