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6514B1 - 선반 설비 - Google Patents

선반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6514B1
KR960006514B1 KR1019920007063A KR920007063A KR960006514B1 KR 960006514 B1 KR960006514 B1 KR 960006514B1 KR 1019920007063 A KR1019920007063 A KR 1019920007063A KR 920007063 A KR920007063 A KR 920007063A KR 960006514 B1 KR960006514 B1 KR 9600065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article
carrying
fixed
al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7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9643A (ko
Inventor
고키치 히토우치
히사오 사이토오
키요시 시미즈
야수시 하기스
Original Assignee
카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마스다 쇼오이치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095923A external-priority patent/JP292703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343718A external-priority patent/JPH05178420A/ja
Priority claimed from JP3345688A external-priority patent/JP279229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4008007A external-priority patent/JP293686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4013488A external-priority patent/JPH05201509A/ja
Priority claimed from JP4021523A external-priority patent/JPH05213413A/ja
Priority claimed from JP4051971A external-priority patent/JPH05254612A/ja
Application filed by 카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마스다 쇼오이치로오 filed Critical 카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ublication of KR920019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96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6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65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0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relatively movable racks to facilitate insertion or removal of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3/00Cabinets or racks having several sections one behind the other
    • A47B53/02Cabinet systems, e.g. consisting of cabinets arranged in a row with means to open or close passages between adjacent 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선반 설비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의한 선반 설비의 사시도이다.
제2도는, 제1도에 표시한 선반 설비의 평면도이다.
제3도는, 제1도에 표시한 선반 설비의 측면도이다.
제4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선반 설비의 사시도이다.
제5도는, 제4도에 표시한 선반 설비의 평면도이다.
제6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선반 설비의 사시도이다.
제7도는, 제6도에 표시한 선반 설비의 평면도이다.
제8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선반 설비의 평면도이다.
제9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선반 설비의 평면도이다.
제10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선반 설비의 평면도이다.
제11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선반 설비의 사시도이다.
제12도는, 제11도에 표시한 선반 설비의 평면도이다.
제13도-제15도는, 제11도에 표시한 선반 설비의 작동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제16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선반 설비의 평면도이다.
제17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선반 설비의 사시도이다.
제18도는, 제17도에 표시한 선반 설비의 주요부의 측면도이다.
제19도는, 제17도에 표시한 선반 설비의 주요부의 정면도이다.
제20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선반 설비의 주요부의 측면도이다.
제21도는, 제20도에 표시한 선반 설비의 주요부의 정면도이다.
제22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선반 설비의 사시도이다.
제23도는, 제22도에 표시한 선반 설비의 평면도이다.
제24도는, 제22도에 표시한 선발 설비의 주요부의 상세한 측면도이다.
제25도는, 제24도에 표시한 선반 설비의 주요부의 상세한 정면도이다.
제26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선반 설비의 주요부의 평면도이다.
제27도는, 제26도에 표시된 선반 설비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주요부의 평면도이다.
제28도는, 제26도에 표시된 선반 설비의 작동순서를 표시하는 플로어챠트이다.
제29도는, 제26도에 표시한 선반 설비의 작동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고정선반 2: 이동선반
3,1C,2C : 수납공간 4,43 : 하부 프레임
6 : 하부 중간 프레임 8,9,17,20,57,82 : 래일
12,92a,92b : 광전 스위치 13 : 반사판
14,49,94 : 제어장치 15 : 물품취급구역
16,28,32,56,62 : 물품지지대 18,60 : 물품지지부
21 : 고정부재 23 : 거더
25 : 반출입장치 26 : 승강기
27 : 반출입구 10 : 구동모터
19,H1,H2 : 대기위치 31 : 물품
33,59 : 물품지지구 35 : 콘베어장치
39,40 : 반출입부재 41 : 상부프레임
43 : 하부프레임 44,45 : 구동장치
48 : 공간 50,51,53 : 케이블
52 : 집중제어장치 61 : 중간 물품 지지대
65 : 투광기 66 : 수광기
1B,2B : 물품 지지부재 70 : 연결부재
71A,71B : 보조지주 75 : 수직 프레임
87 : 작동로드 88 : 수직실린더
89 : 홀더 91 : 포크
93 : 전면세로지주 95 : 카운터
본 발명은, 예를 들어서, 물품을 항상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또, 물품의 입출고를 쉽고 안전하게 실시하기 위하여, 자동창고 또는 공장 등에 설치하는, 선반 설비에 관한 것이다.
이동선반을 사용하는 선반 설비는 이미 주지의 사실이다.
예를 들어서, 일본국 특개평 제2-19044호 공보에는, 가로 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한 복수의 이동선반을, 지지 구조물 등으로 설정한 공간내에서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하며, 따라서, 작업공간은 각각의 이동선반의 전면의 앞쪽에 형성되도록 한, 이동선반 설비에 대해서 기재되어 있다.
지지 구조물의 측면과 이동선반의 윗쪽에는, 이동선반의 좌우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는 한쌍의 레일이 있으며, 이 레일에는, 레일을 따라 자유자재로 이동할 수 있는 암(arm)이 설치되어 있다.
또, 암을 따라 이동하며, 동시에, 상하 방향으로도 작동하는 포크도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공지의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이동선반이 이동함에 의해, 목표로 하는 이동선반의 전면의 앞쪽에 작업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포크는 암의 이동에 따라 작업공간내에서 이동하며, 목표로 하는 장소에 대한 물품의 반출입은 포크의 작동에 의해 실시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구성에서는, 레일을 부라킷과 같은 지지부재를 사용하여 지지 구조물에 견고하게 설치하기 위해서는, 지지부재, 특히, 수직으로 지지하는 지지부재의 크기가 대형으로 되어야만 한다.
이것은 이동선반의 윗쪽에, 지지부재를 설치하기 위한 상당히 큰 공간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즉, 레일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구조물이 차지하는 공간이 크기 때문에 이동선반의 보관효율이 떨어진다고 하는 것이다.
또, 지지 구조물은 암과 관련된 하중을 지지해야 하므로 그 크기가 대형으로 되어야만 한다.
별도의 지지 구조물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레일을 견고하게 설치하며, 지지 구조물에 대한 레일의 설치작업을 견고하게 실시할 수 있고, 또, 선반의 보관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저장 설비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 본 발명의 제1의 목적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으로 구획된 복수의 수납공간이 있고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한쌍의 고정선반,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으로 구획된 복수의 수납공간이 있고 한 쌍의 고정선반 사이에서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단수 또는 그 이상 복수의 이동선반, 임의의 한쌍의 인접한 선반의 전면과 전면의 사이에 형성되는 작업공간 등으로 구성되는 저장 설비는, 상기한 각각의 고정선반의 상부에 설치되어 고정되는 한쌍의 레일, 레일에 의해 지지되고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거더, 거더에 매어달린 형상으로 지지되며, 상기한 레일과는 직각 방향으로 설치된 거더 위에서 이동하여 작업공간내에서 작업공간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장치, 상기한 이동장치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작동하며 상기한 수납공간에 반입하기 위한 물품을 지지하고 상기한 이동장치와 마주보는 위치에 있는 수납공간에 대해서 출입작동을 하므로써 수납공간에 대한 물품의 반출입작업을 실시하는 반출입구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레일을 고정선반의 상부에서 지지하여 고정시키기 때문에, 간단한 구조로 된 고정부재를 사용하여, 고정선반에 거의 직접적으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한쌍의 레일에 의해 지지되는 거더의 하중은 고정선반을 지지 구조물로 사용하여 바닥에 대해서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물은 필요없게 되는 것이다.
제1도-제3도에서, 참조번호(1)은, 세로로 연장되어 있으며,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한쌍의 고정선반을 표시한다.
전후(前後)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즉, 고정선반(1)에 대해서 접근 또는 이탈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그들 각각의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세로로 연장되어 있는, 다수의 이동선반(2)이 한쌍의 고정선반(1) 사이에 열을 지어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선반(1),(2)에는, 각각,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분할된 복수의 수납공간(3)이 있다.
각각의 이동선반(2)에서,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배치된 측면 하부 프레임(4)에는, 각각, 가로 방향에서 앞뒤로 배치된 2개의 단붙이 바퀴(5)가 있다.
내부에 부착되어 있으여, 2개로 분할된, 한쌍의 하부 중간 프레임(6)에는 각각 가로 방향에서 앞뒤로 배치된 한쌍의 바퀴(7)가 있다.
바퀴(5),(7)가 부착된 각각의 이동선반(2)은 바닥에 부설된 레일(8),(9)위에 설치되며, 또, 각각의 이동선반(2)에는 모터(주행 구동장치)가 설치되어서 바퀴(7)와 연결되어 있으며, 따라서, 각각의 이동선반(2)은 일정경로(11)를 따라서, 독립적으로 전후 방향으로서 이동을 할 수 있다.
고정선반(1)과 고정선반(1) 사이의 거리는, 한쪽 고정선반(1)의 정면과 이동선반(2)의 정면과의 사이에,전기한 분할된 수납공간(3)의 폭(이동 방향으로의 길이)보다는 다소 긴, 적어도 1구획의 작업공간(S)을 형성할 수 있는 거리로 한다.
각각의 하부 중간 프레임(6)은 문형(門型)으로 되어 있으며, 양쪽의 끝부분에는, 이동 제어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한 예인 광전 스위치(12)와, 광전 스위치(12)에 대해서 빛을 투수광(投受光)하기 위한 반사판(13)등이 부착되어 있다.
고정선반(1)에서의 대응하는 곳에도 광전 스위치(12)나 반사판(13)이 부착되어 있다. 각 이동선반(2)의 한쪽 외면에는 제어장치(14)가 부착되어 있다.
선반(1),(2)의 좌우 방향에서의 한쪽 끝부분에서 벗어난 곳에는 물품 취급구역(15)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물품 취급구역(15)에는, 선반에 대해서 수직 방향으로, 일정경로(11)를 따라 왕복운동을 하는 물품 지지대(16)가 설치되어 있다.
물품 지지대(16)는 자주형(自走型)이며, 바닥에 레일(8),(9)과 평행하게 부설된 레일(17)위에서, 바퀴 등에 의해 지지되어 이동하며, 물품 지지대(16)의 윗면에는 물품 지지부(18)가 형성되어 있다.
양쪽 고정선반(1)의 윗쪽에는, 고정선반(1)의 좌우 방향을 따라서, 기중기 레일(20)이 고정부재(21)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기중기 레일(20)위에서 바퀴(22)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기중기 레일(20)을 따라 이동하는 거더(23)는 각선반(1),(2)과 물품 취급구역(15)의 위에서, 각 선반(1),(2)의 좌우 방향을 따라서 이동한다.
거더(23)는 장방형의 프레임형으로 되어 있으며, 기중기 레일(20)에 대해서 직각으로 배치된 한쌍의 가이드부(24A)와 가이드부(24A)의 양쪽 끝부분을 서로 연결시키는 한쌍의 대차부(台車部)(24B)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차부(24B)에 고정된 바퀴(22)에 의해 거더(23)가 레일(20) 위를 이동하게 된다.
거더(23)에는, 기중기 레일(20)을 따라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한쌍의 가이드부(24A)에 매달린 상태로 지지된 반출입장치(25)가 설치되어 있다.
반출입장치(25)는 전후면이 개방된 상자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전면과 후면 사이의 거리는 작업공간(S)에서의 전면과 후면 사이의 거리보다 다소 짧으므로, 반출입장치(25)는 선반과 선반 사이에서 선반(1),(2)의 좌우 방향을 따라 자유자재로 이동할 수 있다.
반출입장치(25)에는 승강기(26)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승강기(26)에는, 반출입장치(25)의 전면과 후면에 있는 선반(1),(2)의 수납공간(3)으로 자유자재로 출입할 수 있는 반출입구(搬出入具)(27)가 설치되어 있다.
물품 지지대(16)의 이동은 공지의 자주대차 제어시스템에 의해, 거더(23)의 이동과 반출입장치(25)의 작동은 공지의 천정 기중기 제어시스템에 의해, 승강기(26)의 승강작동과 반출입구(27)의 출입작동은 공지의 자동창고 기중기 제어시스템에 의해 각각 적절하게 제어된다.
다음에, 앞에서 설명한 구조로 된 선반 설비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물품 지지대(16)와 거더(23) 사이에서 물품의 송출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먼저, 거더(23)가 기중기 레일(20)을 따라서 물품 취급구역(15)의 위로 이동을 하여, 반출입장치(25)가 물품 취급구역(15)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물품 지지대(16)는 대기위치(19)로부터 레일(17)을 따라서 이동하여, 반출입장치(25)의 앞에서 정지한다.
이 상태에서, 승강기(26)의 승강작동과 반출입구(27)의 출입작동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지며, 이렇게 하여, 반출입장치(25)와 물품 지지대(16)의 사이에서 물품의 송출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동선반(2)이 이동하여, 목표로 하는 구획되어 있는 수납공간(3)의 앞에서 작업공간(S)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 경우에, 이동선반(2)의 이동은 구동모터(10)가 바퀴(7)를 구동시켜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바퀴(5)(7)에 의해 레일(8),(9) 위에서 지지된 이동선반(2)은 일정경로(11)를 따라서 이동하는 것이다.
작동이 진행되는 동안의 작동제어신호의 발신과 수신은, 광전 스위치(12)로부터의 광선의 투사와, 투사된 광선을 반사판(13)으로 반사하거나, 또는, 그 반대로 작동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렇게 하여, 이동선반의 이동은 서로 충돌함이 없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렇게 작업공간이 형성되면, 반출입장치(25)는 작업공간(S)의 한쪽 끝부분의 외측까지 이동한다.
반출입장치(25)는 한쌍의 가이드부(24A)에 의해 지지되고 이동되기 때문에 흔들림이 없이 안정된 상태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반출입장치(25)의 이동에 앞서서 물품 지지대(16)가 대기위치(19)로 먼저 이동한다.
물품 지지대(16)가 대기위치(19)에 도착된 상태에서 지게차 등에 의해 물품 지지대(16)에 대한 물품의 반출입이 실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작업공간(S)의 한쪽 끝부분의 외측으로 이동한 반출입장치(25)는 작업공간(S)의 안으로 이동한다.
이 경우에, 반출입장치(25)는 한쌍의 가이드부(24A)에 의해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이동 방향으로의 흔들림이 없이,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목표로 하는 구획된 수납공간(3)의 앞에서 반출입장치(25)의 이동은 정지하며, 이 상태에서, 승강기(26)의 승강작동과 반출입구(27)의 출입작동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져, 목표로 하는 수납공간(3)에 대한 물품의 반입이나 반출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기중기 레일(20)은 간단한 고정부재(21)를 사용하여 고정선반(1)에 대해서 기의 직접적으로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한상의 기중기 레일(20)에서 지지되는 거더(23)의 하중은, 고정선반(1)을 지지구조물로 사용하여, 바닥면에 대해서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기중기 레일(20)은, 별다른 지지 구조물이 없어도, 거더(23)의 하중에 의한 휨이 발생하지 않도록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선반(2)의 위에서의 거더(23)의 배치를 소형화 할 수 있으므로, 이동선반(2)의 저항효율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물품의 반출입이 대기위치(19)에서 정지하고 있는 물품 지지대(16)에 대해서 지게차에 의해 실시되도록 하고 있으며, 변형예로써, 제2도에서 가상선으로 표시한 것과 같이, 대기위치(19)와 마주보는 위치에 고정식 물품 지지대(28)를 설치하거나, 또는, 물품 지지대(16)의 이동통로의 외측에 저장콘베어(29)를 설치하여, 물품의 반출입이 저장콘베어(29)와 물품 지지대(16) 사이에서 실시될 수 있도록 할수있다.
제4도와 제5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고 있다.
선반(1),(2)의 좌우 방향에서의 한쪽 끝부분의 외측에 형성된 물품 취급구역(15)에서, 고정선반(1)의 한쪽 끝부분의 외측에는, 반출입장치(뒤에 설명한다.)에 대해서 물품(31)을 반입 또는 반출하는 물품 지지대(32)가 배치되어 있다.
각각의 물품 지지대(32)는 바닥에 고정되어 있으며, 그 윗면에는 4군데의 코너부분에 물품 지지구(33)가 형성되어 있다.
물품 취급구역(15)의 건너편에서 선반(1),(2)의 한쪽 끝부분과 마주보는 곳에는 콘베어장치(35)가 설치되어 있다.
콘베어장치(35)는, 양쪽의 물품 지지대(32)의 측면에서 고정선반(1)과는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한쌍의 반출입부(36)와 물품 취급구역(15)의 측면에서 반출입부(36)의 양쪽 끝부분을 서로 연결하는 저장부(37)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콘베어장치(35)의 전체 모양은 평면에 대해서 U자 형상을 한다.
반출입부(36)가 있기 때문에, 저장부(37)와 반출입장치(25)의 지주(42)와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각각의 반출입부(36)에는, 한쪽 끝부분에는 해당하는 물품 지지대(32)에 대해서 물품(31)의 반출입을 실시하는 제1반출입부재(39)와 다른 한쪽 끝부분에는 저장부(37)에 대해서 물품(31)의 반출입을 실시하는 제2반출입부재(40)가 설치되어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콘베어장치(35)는 로울러 콘베어 등으로 구성하며, 반출입부재(39),(40)는 각각 로울러 콘베어의 로울러 사이에서 자유자재로 상하 운동을 할 수 있는 체인 콘베어로 구성한다.
한쌍의 기중기 레일(20)은 물품 취급구역(15)의 윗쪽에서의 한쪽 끝부분과 고정선반(1)의 다른 쪽 끝부분으로부터 소정의 거리(L)만큼 벗어난 부분의 사이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다.
거더(23)에 매달린 상태로 지지되는 반출입장치(25) 본체는, 바퀴를 개재하여 가이드부(24A)에 의해 지지되고 안내되는 상부 프레임(41), 상부 프레임(41)의 양쪽 끝부분으로부터 수직으로 설치된 지주(42), 지주(42)의 하부 끝부분을 서로 연결하는 하부 프레임(43)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면과 후면이 개방된 상자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부 프레임(41)에는, 반출입장치(25)를 선반(1),(2)에 대한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바퀴와 연결되어 있는 횡 방향 구동장치(44)가 설치되어 있다.
지주(42)와 지주(42) 사이에 설치된 승강기(26)는, 상부 프레임(41)의 위에 설치된 수직 방향 구동장치(45)의 작동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의 승강운동을 한다.
주행 구동장치가 작동하여 거더(23)가 기중기 레일(20)의 한쪽 끝부분으로 이동하면, 반출입장치(25)는 그 전체가 물품 취급구역(15)에 위치하게 되어, 물품 지지대(32)에 대한 물품(31)의 반출입을 실시할 수 있게된다.
거더(23)가 기중기 레일(20)의 다른쪽 끝부분으로 이동을 하면, 반출입장치(25)는 그 상부 프레임(41)과 한쪽의 지주(42)가, 기중기 레일(20)의 다른 한쪽 끝부분과 극히 가까운 곳인 공간(48)에 위치하게 된다.
그러므로, 그 폭이 거더(23)의 폭보다 짧은 반출입장치(25)는, 선반(1),(2)의 다른쪽 끝부분에 위치한 구획된 수납공간(3)의 맞은편에, 위치할 수 있게 된다.
기중기 레일(20)의 길이가 고정선반(1)의 다른쪽 끝부분으로부터 소정의 길이(L)만큼 돌출된 상태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이 공간(48)이 선반(1),(2)의 좌우 방향에서의 다른쪽 끝부분에서 돌출된 상태로 형성된다.
이 공간(48)에서의 바닥에는 각각의 이동선반(2)에 대한 제어장치(49)가 설치되어 있다.
각 제어장치(49)는 분기 케이블(50)을 사용하여 해당하는 이동성반(2)과 각각 연결되어 있다.
제어장치(49)와 분기 케이블(50)은 이동선반(2)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그 이동범위의 안에 있도록 배치되고 구성되어 있다.
인접한 제어장치(49)는 서브 케이블(51)을 사용하여 서로서로 연결하고 있다.
공간(1)내에서, 한쪽의 고정선반(1)과 마주보는 위치에는 메인 케이블(53)로 인접하는 제어장치(49)와 연결되는 집중제어장치(52)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케이블(50),(51),(53)은 제어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며, 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에는, 본 실시예에 의해 구성된 선반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물품(31)을 입고할 때에는, 먼저, 물품(31)이 지게차 등에 의해 저장부(37)로 반입된다.
이 경우에, 지게차의 포크는 물품(31)을 지지하고 있는 펠리트 위에서 작업을 하며, 그 후, 물품의 취급은 펠리트 위에서 이루어진다.
물품(31)은 저장부(37)에 설치된 콘베어의 작용에 의해 저장부(37)의 어느 한쪽 방향으로 반송된 후, 제2반출입부재(40)에 의해 반출입부(36)로 반송된다.
그 후, 반출입부(36)의 콘베이어의 작용으로 반송되는 물품(31)은 제2반출입부재(39)에 의해 물품 지지대(32)로 이송된다.
물품 지지대(32)로 반송된 물품(31)은 물품 지지대(32)의 물품 지지구(33)에 의해 지지된다.
기중기 레일(20)에서 지지되고, 기중기 레일(20)을 따라 이동하는 거더(23)는 기중기 레일(20)의 한쪽 끝부분으로 이동하여 물품 취급구역(15)의 윗부분에서 정지하며, 따라서, 비어있는 반출입장치(25)가 물품 취급구역(15)에 자리잡게 된다.
그리고, 횡방향 구동장치(44)가 작동하여 반출입장치(25)가 이동하며, 물품 지지대(32)와 인접한 곳에서 정지한다.
이 상태에서, 승강기(26)의 상하 작동과 반출입구(27)의 출입작동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지면서 물품 지지대(32)의 물품(31)이 물품 지지구(27)로 반송된다.
그리고, 그 다음의 작동은, 제1도부터 제3도까지에서 표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은 방법에 의해 목표로 하는 수납공간(3)에 대한 물품(31)의 반출입이 실시된다.
이와 관련된 이동선반(2)의 이동은, 집중제어장치(52)로부터의 지시신호가 메인 케이블(53)과 서브 케이블(51)을 거쳐서 목표로 하는 제어장치(49)로 송신되고, 제어장치(49)로부터의 지시신호는 분기 케이블(50)을 거쳐서 이동선반(2)으로 송신되므로써, 이루어진다.
목표로 하는 수납공간에 대한 물품(31)의 반입은 반출입장치(25)가 목표로 하는 수납공간의 앞에 정지한후, 승강기(26)의 상하 작동과 반출입구(27)의 출입 작동의 복합적인 작동에 의해 이루어진다.
물품을 출고할 때에는, 반출입장치(25)는 먼저, 목표로 하는 수납공간(3)으로부터 물품(31)을 반출한 후, 물품(31)을 지지한 채 작업공간(S)을 거쳐서 물품 취급구역(15)으로 이동한다.
물품 취급구역(15)에 도착한 반출입장치(25)는 물품 취급구역(15)내에서 선반(1),(2)의 전후 방향을 따라서 이동하여, 어느 하나의 물품 지지대(32)와 인접한 곳에서 정지한다.
이 상태에서, 승강기(26)의 상하 작동과 반출입구(27)의 출입 작동의 복합적인 작동에 의해 물품(31)은 반출입장치(25)로부터 물품 지지대(32)로 반송된다.
그리고, 물품 지지대(32)로 반송된 물품(31)은 다시 제1반출입부재(39)에 의해 반출입부(36)로 이송되며,이 반출입부(36)의 컨베어작용으로 이송된다.
이어서, 제2반출입부재(40)에 의해 물품(31)은 저장부(37)로 이동되어, 저장부(37)내에서의 소정의 장소로 이동되며, 이 곳에서 지게차 등에 의해 물품(31)의 출고가 이루어진다.
콘베어장치(35)는, 상기한 바와 같이, 물품의 입출고에 사용될 뿐만 아니라, 선택명령 작동에도 사용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선택명령 작동은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해 실시된다.
어느 하나의 물품 지지대(32)를 사용하여 선반(1),(2)으로부터 차례차례 물품(31)을 반출하며, 반출된 물품은 저장부(37)의 한쪽 방향으로만 이송한다.
그리고, 저장부(37)의 측면에서 선택명령이 수행되며, 그 후, 저장부(37)에 남아 있는 물품(31)은 다른 하나의 물품 지지대(32)에 의해 다시 차례차례 선반(1),(2)으로 반입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선반(1),(2)의 한쪽 끝부분에서 외측으로 돌출한 곳에 물품 취급구역(15)을 형성하였으며, 변형예로써, 콘베어장치와 함께 동일한 형태의 물품 취급장치를 선반(1),(2)의 다른 한쪽 끝부분에도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가 제6도와 제7도에 표시되어 있다.
반출입장치(25)에 대한 물품(31)의 반출입이 실시되는 물품 지지대(56)는, 물품 취급구역(15)에서, 고정선반(1)의 좌우 방향에서의 한쪽 끝부분으로부터 돌출한 곳에 설치되어 있다.
물품 지지대(56)는, 각각, 고정선반(1)의 한쪽 끝부분으로부터 고정선반(1)의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이송통로(58)를 따라 바닥에 부설된 레일(57) 위에서, 바퀴에 의해 지지되고, 레일(57)을 따라 자유자재로 왕복운동을 하는, 자주형 물품 지지대(56)이다.
각각의 물품 지지대(56)는 그 윗면에, 4군데의 코너부분에서 윗쪽으로 돌출하고 있는 물품 지지구(59)가 있는 물품 지지부(60)가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물품 지지대(56)의 대기위치는 2개소가 설정되며, 제1대기위치(H1)는 고정선반(1)과 극히 근접한 곳에, 제2대기위치(H2)는 고정선반(2)으로부터 다소 떨어진 곳으로 설정된다.
기중기 레일(20)에 의해 지지되고 안내되는 거더(23)가 기중기 레일(20)의 한쪽 끝부분으로 이동하면, 반출입장치(25) 전체는 물품 지지대(56)와의 물품(31)의 반출입을 위해서 물품 취급구역(15)내에 자리잡게 된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 의한 선반 설비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물품(31)을 입고할 때에는, 먼저, 비어있는 물품 지지대(56)가 제2대기위치(H2))로 이동하고, 이곳에서 지게차 등에 의해 물품 지지대(56)의 물품 지지부(60)로 반입된다.
이 경우에, 지게차의 포크는, 그 작동이 물품 지지구(59)의 사이에서 이루어지므로, 물품 지지구(59)에 의해 물품(31)을 안정된 상태로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물품 지지대(56)가 이송통로(58)를 따라 이동하여, 제1대기위치(H1)에서 정지한다.
이 상태가 되면, 기중기 레일(20)에 의해 지지되고 안내되는 거더(23)는, 물품 취급구역(15)의 윗쪽으로 이동하여, 비어있는 반출입장치(25)가 물품 취급구역(15)에 도달하게 된다.
그리고, 비어있는 반출입장치(25)는 선반(1),(2)의 전후 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제1대기위치(H1)에 있는 물품 지지대(56)와 매우 근접한 위치에서 정지한다.
이 상태에서, 반출입장치(25)는 물품 지지대(56)로부터 물품(31)을 반입받는다.
물품(31)을 출고할 때에는, 상기한 실시예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하여, 반출입장치(25)는 목표로 하는 수납공간(3)으로부터 필요한 물품(31)을 반출한다.
물품(31)을 반출한 반출입장치(25)는 작업공간(S)을 따라 이동하여, 물품 취급구역(15)에서 정지한다.
물품 취급구역(15)에 도착한 반출입장치(25)는 물품 취급구역(15)내에서 선반(1),(2)의 전후 방향을 따라서 이동하여, 제1대기위치(H1)에서 대기하고 있는 비어있는 물품 지지대(56)의 앞에서 정지한다.
이 상태에서, 승강기(26)의 상하 작동과 반출입구(27)의 출입 작동의 복합적인 작동에 의해 반출입장치(25)의 물품(31)은 물품 지지대(56)로 반출된다.
그 후, 물품 지지대(56)는 이송통로(58)를 따라 이동하여 제2대기위치(H2)에서 정지한다.
이곳에서, 물품 지지대(56) 위의 물품(31)은 지게차 등에 의해 출고된다.
제8도에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가 표시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물품 취급구역(15)이 선반(1),(2)의 양쪽 끝부분에서 외측으로 돌출한 상태로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물품 취급구역(15)내에서의 고정선반(1)의 양쪽 끝부분과 마주보는 곳에는 각각 한쌍의 물품지지대(56)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이러한 구조에 따라, 물품(31)의 입출고는 선반(1),(2)의 양쪽 끝부분의 외측에서 실시된다.
이 경우에, 제5도에 설명한 제어장치(49) 등은 선반(1),(2)에 설치된다.
제9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가 표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반출입장치(25)에 대한 물품의 반입 및 반출이 실시되는 물품 지지대(56)가 물품 취급구역(15)내에서의 고정선반(1)의 한쪽 끝부분과 마주보는 곳에 설치되어 있으며, 또, 양쪽의 물품 지지대(56)의 사이에 적어도 1개 이상의 중간 물품 지지대(61)가 설치되어 있다(본 도면의 경우,4개).
중간 물품 지지대(61)는 물품 지지대(56)와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물품 취급구역(15)내에 위치하여 반출입장치(25)에 대한 물품(31)의 반입 및 반출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물품 취급구역(15)내에서 반출입장치(25)의 이동에 따라 중간 물품 지지대(61)와 반출입장치(25)가 충돌한 것 같으면, 중간 물품 지지대(61)는 물품 취급구역(15)으로부터 제2대기위치(H2)로 이동한다.
제6도부터 제9도까지에 표시된 실시예에서는, 각 물품 지지대는, 물품 지지대와 반출입장치(25)의 사이에서 물품(31)의 반입 또는 반출이 실시되는 제1대기위치(H1)와 지게차 등과 같은 외부 장치에 의해 입고 또는 출고작업이 실시되는 제2대기위치(H2) 사이에서 왕복운동을 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므로, 지게차 등과 같은 외부 장치를, 물품 지지대(56)와 연관되어 작동되는 반출입장치(25)와 충돌할 염려가 없어, 안전하게 작동시킬 수 있다.
각 물품 지지대(56)는 물품 취급구역(15)내에서 반출입장치(25)의 이동 방향(전후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것이 아니므로, 각 물품 지지대가 서로 충돌할 염려 없이, 안전하게 작동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작동을 매우 간단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 물품 지지대(56)와 반출입장치(25)의 사이에서의 물품(31)의 반입이나 반출이 오차의 발생없이 정확하게 실시될 수 있다.
제10도에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표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반출입장치(25)에 대한 물품의 반입 및 반출이 실시되는 물품 지지대(62)는 물품 취급구역(15)내에서의 각 고정선반(1)의 한쪽 끝부분과 마주보는 곳에서 각각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따라서, 물품 지지대(62)에 대한 물품(31)의 입고 및 출고는, 물품 지지대(62)가 이동하는 일이 없이, 지게차 등과 같은 장치에 의해 실시된다.
제11도부터 제15도까지에서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가 표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도에 표시된 실시예의 경우와 같은 방법으로, 한쌍의 물품 지지대(16)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물품 지지대(16)는, 거더(23)와 같은 방향으로 부설된 한쌍의 레일(17) 위에서, 이 레일(17)을 따라 이동하는 자주식 물품 지지대(16)이다.
각 선반(1)(2)의 양쪽 끝부분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한 곳에는, 폭 검출장치의 한 예인 광전 스위치로 구성된 투광기(65)와 투광기(65)로부터 투광되는 빛을 검출하기 위한 수광기(66)가,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하여, 각각 설치되어 있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투광기(65)는 물품 취급구역(15)의 외측 끝부분에 설치되어 있고, 수광기(66)는 공간(48)의 외측 끝부분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이들 투광기(65)와 수광기(66)는 전후 2개의 투광기와 수광기가 각각 한쌍을 이루며, 각각의 이동선반(2)및 고정선반(1)의 전면의 앞쪽에 형성되는 작업공간(S)과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각각의 전후 한쌍의 투광기(65)에서의 투광기(65)와 투광기(65)사이의 거리 및 전후 한쌍의 수광기(66)에서의 수광기(66)와 수광기(66) 사이의 거리는 작업공간(S)의 폭과 동일한 간격(W)으로 설정되어 있다.
각각의 투광기(65)와 수광기(66)는 해당하는 제어장치(49)와 연결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한 구성으로 된 선반 설비의 작동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물품(31)에 대한 입고나 또는 출고작업에 있어서, 제13도에 표시된 것과 같이, 목표로 하는 구획된 수납공간(3a)이 있는 이동선반(2a)의 전면의 앞에 작업공간(S)이 형성되면, 이동선반(2a)에 대응하는 전후 한쌍의 투광기(65a)(65b)와 전후 한쌍의 수광기(66a)(66b)만 제어장치(49)의 제어를 받아 작동된다.
이동선반(2a)에 설치된 모터(10)나, 그 앞쪽에 위치하고 있는 이동선반(2b)의 모터(10)에서 고장이 발생되었거나 또는 제어에 있어서의 오차 등에 의해, 목표로 하는 수납공간(3)의 전면의 앞쪽에 형성되는 작업공간(S)의 간격이 소정의 작업공간(S)의 간격보다 작게되면, 투광기(65a)(65b)로부터 투광되는 빛(67)은 한쪽의 이동선반(2a)의 측면이나 다른쪽의 이동선반(2b)의 측면에 의해 차단되어, 각 투광기(65a)(65b)와 대응하는 수광기(66a),(66b)에서 빛(67)을 수광하지 못하므로, 작업공간(S)의 간격이 필요로 하는 소정의 간격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을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검출된 신호는 제어장치(49)를 거쳐서 집중제어장치(52)로 입력되며, 이에 따라서, 집중제어장치(52)는 반출입장치(25)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그러므로, 반출입장치(25)가 한쪽의 이동선반(2a)이나 다른쪽의 이동선반(2b)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있다.
제14도에 표시된 것과 같이, 한쪽의 이동선반(2a)이나 또는 다른쪽의 이동선반(2b)이 전후 방향으로부터 벗어난 경우에는, 투광기(65a)(65b)로부터 투광되는 빛(67)은 한쪽 이동선반(2a)의 앞쪽 끝부분이나 또는 다른쪽 이동선반(2b)의 앞쪽 끝부분에 의해 차단되어, 각 투광기(65a)(65b)와 대응하는 수광기(66a)(66b)에서 빛(67)을 수광하지 못하므로, 이동선반(2a)(2b)의 위치로부터의 벗어남을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하여, 반출입장치(25)가 이동선반(2a)(2b)의 앞부분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동일한 방법에 의해, 예를 들어서, 제15도에 표시된 것과 같이, 고정선반(1)의 뒷면의 앞쪽에 작업공간(S)이 형성되면, 해당하는 투광기(65c)(65d)와 수광기(66c)(66d)만 작동하며, 예를 들어서, 작업공간(S)의 간격이 소정의 간격(W)보다 좁거나, 가상선으로 표시하고 있듯이 이동선반(2d)이 전후 방향으로부터 벗어난 것을 검출하게 되면, 반출입부재(25)의 작동은 정지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선반(1)(2)의 좌우 방향에서의 한쪽 끝부분에서 외측으로 돌출한 곳에 물품 취급구역(15)을 형성하고 있으며, 제8도에 표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하여, 선반(1)(2)의 좌우 방향에서의 양쪽에서 외측으로 돌출한 곳에 물품 취급구역(15)을 형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은 구성에 의해, 투광기(65)와 수광기(66)로 구성된 폭 검출장치가 목표로 하는 구획된 수납공간(3)의 앞쪽에서 형성된 작업공간(S)의 간격을 검출하므로, 형성되는 작업공간(S)의 간격이 필요로하는 소정의 간격보다 짧은 경우에는, 이것을 검출할 수 있게 되며, 이때, 반출입장치(25)의 작동을 정지시켜서, 반출입장치(25)가 이동선반(2)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16도에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표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6도에 표시된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일정경로(11)와는 직각을 이루는 방향을 따라 왕복운동을 하는 물품 지지대(56)가 물품 지지대(56)가 물품 취급구역(15)의 양쪽 끝부분에서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하여 설치되어 있다.
제17도부터 제9도까지에서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표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선반(1)과 이동선반(2)이 지주(1A)(2A)와 물품 지지부재(1B)(2B)로 구성되며, 이들 지주(1A)(2A)와 물품 지지부재(1B)(2B)에 의해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으로 구획되는 복수의 수납공간(1C)(2C)이 형성된다.
고정선반(1)의 지주(1A)는 최상단 수납공간(1C)의 전체를 구성할 수 있는 길이로 하므로써, 최상단의 수납공간(1C)에 저장되는 물품은 그 전체가 수납공간(1C)의 내부에 저장되게 된다.
지주(1A)는 그 윗쪽 끝부분에서 가로 방향으로 연결되는 연결부재(70)와 체결된다.
이동선반(2)의 지주(2A)는, 최상단 수납공간(2C)에서 중간높이(또는, 예컨데, 팰리트의 두께와 같은 높이) 정도로 돌출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최상단부의 수납공간(2C)에 저장되는 물품은 그 상단부가 노출된다.
기중기 레일(20)은, 각각의 고정선반(1)에서, 최외측에 배치된 지주(1A)의 윗쪽 끝부분의 사이에 걸쳐서, 고정부재(21)에 의해 고정선반(1)의 한쪽에 설치된다.
각 기중기 레일(20)의 한쪽 단부(端部)(20A)는, 횡 방향에서 보아, 물품 취급구역(15)의 윗부분까지 연장되어 있으며, 보조지주(71A)에 의해 바닥에 지지된다.
각 기중기 레일(20)의 다른쪽 끝부분은 해당되는 고정선반(1)의 다른쪽 끝부분으로부더 일정거리(L)만큼 연장되어 있으며 보조지주(71B)에 의해 바닥에 지지된다.
이러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각 선반(1)(2)의 수납공간(1C)(2C)에 물품(31)이 저장되면, 각 고정선반(1)의 최상단 수납공간(1C)에 저장된 물품(31)은 그 전체가 지주(1A)와 연결부재(70)에 의해 둘러싸여진다.
각 이동선반(2)의 최상단 수납공간(2C)에 저장된 물품(31)은 물품(31)의 대부분이 노출된 상태이며, 물품(31)이 지지되어 있는 팰리트가 돌출된 형상으로 있는 지주(2A)와 마주보는 상태로 있으므로, 물품(31)의 추락이 방지된다.
이러한 구조로 된 본 실시예의 구성에 의해, 단순한 구조로 된 고정부재(21)를 사용하기 기중기 레일(20)을 고정선반(1)에 직접 설치할 수 있으며, 따라서, 한쌍의 기중기 레일(20)에 의해 지지되는 거더(23)의 하중은 한쌍의 고정선반(1)을 지지 구조물로 사용하므로써 바닥에 대해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기중기 레일(20)은, 별도의 지지 구조물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선반(2)의 위에서의 거더(23)의 배치를 소형화 할 수 있으므로, 이동선반(2)의 저장효율도 향상시킬 수 있다.
각 이동선반(2)의 최상단 수납공간(2C)을 절단된 형상의 지주(2A)로 형성하므로, 적은 수량의 부품을 사용하여 이동선반(2)을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제작비도 절감할 수 있다.
또, 각 이동선반(2)의 최상단 수납공간에 저장된 물품(31)은, 그 하부가 지주(2A)의 돌출부분과 서로 마주보고 있는 상태로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저장된 물품(31)의 추락은 방지된다.
제20도와 제21도에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가 표시되어 있다.
반출입장치(25)에는 상부 프레임(41)의 하부에서 지주(42)의 측면에 배치된 수직 프레임(75)이 있다.
이들 수직 프레임(75)은, 한쪽의 수직 프레임(75)은 한쪽의 지구(42)의 앞쪽에, 다른 한쪽의 수직 프레임(75)은 다른 한쪽의 지주(42)의 뒤쪽에 배치된 상태로 하여, 반출입장치(25)와 마주보는 쪽에 설치되어 있다.
각각의 수지 프레임(75)은 상부 프레임(41)의 끝쪽 전면과 후면에서 설치되어 지지되는 수직부재(76), 상부와 하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가로부재(77), 인접하는 가로부재(77) 사이에 걸쳐서 설치되여 수직부재(76)와 지주(42)를 서로 연결시키는 경사부재(78) 등으로 구성되며, 선반 설비의 좌우 방향에서의 폭방향을 향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각 수직 프레임(75)은 수직으로 설치된 지주(42)을 보강하고, 또, 가로부재(77)는 사다리의 역할도 한다.
참조부호(79)는 반출입구(27)를 승강기(26)로의 출입작동을 시키는 구동장치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반출입장치(25)가 작동중에 흔들리면, 특히, 물품 취급구역(15)(작업공간(S)의 외단부에 형성되어 있음 )내에서 선반(1)(2)의 전후 방향을 따라 이동할 때, 수직 프레임(75)으로 보강되어 있기 때문에, 반출입장치(25)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반출입장치(25)는 물품(31)의 입출고작업이 기중기형식으로 이루어지도록 설계되어 있으므로, 반출입장치와 다른 장치와의 사이에서의 물품의 입고 또는 출고작업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장기적으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사용할 수 있다.
반출입장치(25)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구동장치를 작업자가 보수 및 관리를 하고자 할때에는 수직프레임(75)에 설치된 가로부재(77)를 손잡이나 발판 또는 계단 등으로 사용하므로써, 보수 및 관리작업을 쉽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한쪽 지주(42)의 전면에 한쪽의 수직 프레임을, 다른 한쪽 지주의 후면에 다른 수직 프레임을 배치하는 형식으로 수직 프레임(75)이 전면과 후면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나, 한쪽의 지주에만 수직 프레임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 다른 변형예로써, 각 지주(42)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수직 프레임(75)을 설치하여 모두 4개의 수직 프레임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의한 선반 설비에 있어서의 이동선반 설비를 표시하였으며, 변형시켜서, 자동 창고용 선반 설비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 때에는, 그 사이에 작업공간(S)을 형성한 한쌍의 고정선반을 다수 설치하며, 각 선반의 한쪽 끝부분에서 외측으로 돌출한 곳에서 반출입장치가 선반의 전후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하므로써, 자동창고용 선반 설비로 사용할 수 있다.
제22도부터 제25도까지에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가 표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작업공간(S)으로 실정된 곳에서의 바닥에는, 선반의 좌우 방향을 따라서, 가이드레일(82)이 부설되어 있으며, 이 가이드레일(82)은 레일(8)(9)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서, 레일(8)(9)과 만나는 곳은 절단되어 있다.
제24도와 제25도에 상세하게 표시되어 있듯이, 각각의 가이드레일(82)은 높이 조정나사(83)가 있는 브라킷(84)에 의해 지지된다.
거더(23)에 매어달린 형상으로 지지된 반출입장치(25)의 하부 프레임(43)과 근접한 곳에 설치된 지주(42)의 하단부에는 위치 결정장치(85)가 설치되어 있다.
위치 결정장치(85)에는 지주(42)의 하단부에 부착되는 브라킷(86)이 설치되며, 이 브라킷(86)에는 작동로드(87)를 상하 방향으로 작동시키는 수직 실린더(88)가 설치된다.
작동로드(87)의 선단부에는, 작동로드(87)가 신장될 때, 그 사이에서 가이드레일(82)이 끼워질 수 있도록 되어 있는, U자형 홀더(89)가 부착되어 있다.
홀더(89)에는, 레일(82)이 홀더(89)에 끼워질 때 그 작동을 돕기 위한 로울러(90)가 홀더(89)의 양쪽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물품(31)의 입출고에 있어서, 거더(23)와 반출입장치(25)는, 상기한 실시예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작동되어, 목표로 하는 수납공간(3)의 앞으로 정확하게 이동하며, 이어서, 반출입구(27)가 작동하여 수납공간(3)에 대한 물품(31)의 반입 또는 반출작업이 실시된다.
이때, 수직 실린더(88)의 작동에 의해 작동로드(87)가 신장되어, 작동로드(87)의 선단부에 부착된 홀더(89)가 가이드레일(82)에 끼워지므로, 거더(23)에 매어달린 형상으로 지지되는 반출입장치(25)의 아래부분을 고정시키는 것으로 되며, 따라서, 반출입장치(25)의 흔들림이 없이, 안정된 상태로 물품(31)의 반입이나 반출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제26도부터 제29도까지에서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가 표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반출입장치(25)의 반출입구(27)로 출입작동이 가능한 다단식 포크(91)를 사용하고 있다.
제26도에 표시되어 있듯이, 수직 다단형인 다단식 포크(91)에는, 포크(91)의 최상단의 한쪽 측면의 전단부와 다른 한쪽 측면의 후단부에, 선반 검출장치의 한 예인 반사형 광전 스위치(92a)(92b)가 설치되어 있다.
각 선반(1)(2)을 구성하며, 각각의 수납공간을 설정하는 전면 세로 지주(93)는 예를 들어서 피검출부로 사용할 수 있다.
또, 제26도에서 가상선으로 표시되어 있듯이, 포크(91)가 전방으로 출입작동을 하면 한쪽의 광전 스위치(92a)가 작동하고, 포크(91)가 후방으로 출입작동을 하면 다른 한쪽의 광전 스위치(92b)가 작동하도록 전환시키는 스위치(도면에서의 표시는 생략)가 설치된다.
반출입장치(25)에는 포크(91)의 출입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94)가 설치된다.
제어장치(94)에는 포크(91)의 돌출거리를 검출하는 카운터(95)가 내장되어 있으며, 이 카운터(95)에서 검지한 값이 미리 설정된 소정의 값으로 되면 포크(91)의 돌출을 정지시킨다.
다음에는, 본 실시예에 의한 선반 설비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물품(31)을 입고할 때에는, 상기한 실시예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하여, 거더(23)가 이동하며, 거더(23)의 이동에 따라서 반출입장치(25)가 작업공간(S)내에서 선반(1)(2)의 좌우 방향을 따라서 이동하여 목표로 하는 수납공간(3)의 앞에서 정지한다.
그후, 승강기(26)가 상하 작동을 하여 포크(91)는 목표로 하는 수납공간(3)의 앞에서 정지한다.
그리고 포크(91)가 목표로 하는 수납공간(3)의 내부로 돌출하며, 승강기(26)가 하강하므로써, 물품(31)은 팰리트(72)에 놓여진 상태로 목표토 하는 수납공간(3)내에 반입된다.
다음에는, 포크(91)가 수축하여 수납공간(3)으로부터 반출입장치(25)로 들어간다.
물품(31)을 출고할 때에는, 비어있는 상태의 반출입장치(25)가 작업공간(S)내에서 좌우로 이동하여, 목표로 하는 수납공간(3)의 앞에서 정지하며, 승강기(26)가 상하로 작동하여 포크(91)가 목표로 하는 수납공간(3)의 앞에 도달하면, 승강기(26)의 작동도 정지한다.
그후, 포크(91)가 수납공간(3)외 내부로 돌출한 후, 승강기(26)가 약간 상승하므로써, 물품(31)을 팰리트(72)에 놓여진 상태 그대로 포크(91)를 사용하여 꺼낼 수 있게 된다.
다음에, 포크(91)가 수축하여 수납공간(3)으로부터 반출입장치(25)로 들어가므로써, 목표로는 수납공간(3)으로부터의 물품(31)의 반출이 실시되는 것이다.
다음에, 상기한 입출고작업이 진행되는 동안의, 제어장치(94)에 의해 제어되는 포크(91)의 작동에 대해서, 제28도의 플로어챠트를 참조하며서 설명한다.
반출입장치(25)가 목표로 하는 수납공간(3A)의 전면에 도달하면, 제26도에서 가상선으로 표시하고 있듯이, 포크(91)를 수납공간(3A)의 내부로 진출시킨다(제1단계).
그리고, 한쪽의 광전 스위치(92a)가 목표로 하는 수납공간(3A)의 전면 세로지주(93)를 검출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전면 세로지주(93)를 검출하지 못한 경우에는 전면 세로지주(93)를 검출할 때까지 포크를 계속 진출시킨다(제 2 단계).
전면 세로지주(93)가 검출되면, 카운터(95)를 0으로 초기화시킨다(제 3 단계).
포크(91)가 전방으로 진출하는 동안에, 포크(91)의 돌출거리가 카운터(95)에 의해 계산된다(제4단계).
카운터(95)가 계산한 값이 미리 설정된 소정의 값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도달하지 않은 경우에는, 포크(91)를 계속 진출시킨다(제5단계).
카운터(95)에서 계산된 값이 미리 설정된 소정의 값으로 되면, 포크(91)의 진출을 정지시킨다(제6단계).
그러므로 전면 세로지주(93)를 검출한 위치(P)로부터 미리 설정된 소정의 거리(T)만큼 수납공간(3A)의 내부로 진출한 위치에서 포크(91)는 정지한다.
그리고, 물품(31)을 반출하는 경우에는, 포크(91)가 물품(31)을 들어 올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승강기(26)를 상승시키고, 물품(31)을 반입하는 경우에는, 승강기(26)를 하강시켜서 포크(91) 위의 물품(31)이 수납공간(3A)의 내부에 놓여지도록 한다(제7단계).
그리고, 포크(91)를 수납공간(3A)의 내부로부터 후퇴시켜서 승강기(26)로 복귀시킨다(제 8 단계).
목표로 하는 이동선반(2X)이, 제29도에 표시되어 있듯이, 선반의 좌우 방향에서의 양쪽 끝부분이 전후 방향으로 휘어진 상태에서 정지하여, 반출입장치(25)와 목표로 하는 수납공간(3)과의 거리(D)가 소정의 간격보다 짧거나 또는 길다 하더라도, 포크(91)는, 전면 세로지주(93)가 검출된 위치(P)로부터 정확하게 소정의 거리(T)만큼만 수납공간(3)의 내부로 진출하므로, 수납공간(3)의 내부로 진출하는 포크(91)의 돌출량은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수납공간(3)내에 저장된 물품을 정확하고 안정되게 반출하거나, 또는, 수납공간(3)의 내부로 정확하고 안정된 상태로 물품을 반입할 수 있는 것이다.
같은 방법으로 하여, 제27도에 표시되어 있듯이, 목표로 하는 수납공간(3B)이 반출입장치(25)의 뒷쪽에있는 경우에는, 포크(91)는 후방으로 진출하고, 다른 한쪽의 광전스위치(92b)가 수납공간(3B)의 전면 세로지주(93)를 검출하면, 포크(91)는 수납공간(3B)의 내부로 진출한다.
고정선반(1)의 수납공간에 대한 물품의 반출입작업도 동일한 방법에 의해 실시된다.
카운터(95)는 예를 들어서, 포크(91)의 진출작동의 시간, 또는, 포크(91)를 구동시키는 모터(도면에서의 표시는 생략)의 회전수를 기초로 산정한 포크(91)의 돌출거리 등을 검출한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고정선반(1)과 이동선반(2)으로 구성한 선반 설비를 표시하고 있으나, 모든 선반을 이동선반으로 하여, 최외측 이동선반은 벽 등과 같은 다른 물체와의 사이에 작업공간(S)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선반 검출장치의 한 예로는 광전 스위치(92a)(92b)를, 피검출부의 한 예로는 선반(1)(2)의 전면 세로지주(93)를 사용하였으나, 선반 검출장치로는 자기 근접 스위치를, 피검출부로는 각 수납공간에 부착하는 자성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Claims (15)

  1.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으로 구획되어 있는 복수의 수납공간(3)이 가로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으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한쌍의 고정선반(1)과,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으로 구획되어 있는 복수의 수납공간(3)이 가로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으며 한쌍의 고정선반(1) 사이에서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설치되어 있는 단수 또는 복수의 이동선반(2)과, 임의의 한쌍의 인접하는 선반의 앞쪽에 형성되는 작업공간(S)으로 구성되는 선반 설비에 있어서, 상기한 각각의 고정선반(1)의 상부에서 고정되어 지지되는 한쌍의 기중기레일(20)과, 기중기레일(20)에 의해 지지되며 기중기레일(20)을 따라 이동하며, 작업공간(S)에 배치되면 그 전체 하중이 기중기레일(20)을 개재하여 고정선반(10)에 의해 지지되는 거더(23)와, 상기한 기중기레일(20)에 대해서 직각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거더(23)에 매어달린 형상으로 지지되며, 거더(23)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장치(25)와, 상기한 이동장치(25)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작동하며, 수납공간(3)으로 반입할 물품(31)을 지지하고, 수납공간(3)에 대해서 전후 방향으로의 출입작동을 하므로써, 수납공간(3)에 대한 물품(31)의 반출입작업을 실시하는 반출입구(27)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설비.
  2.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으로 구획되어 있는 복수의 수납공간(3)이 가로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으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한쌍의 고정선반(1)과, 임의의 쌍의 인접한 선반 사이에서 전후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정되며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으로 구획되어 있는 복수의 수납공간(3)이 가로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단수 또는 복수의 이동선반(2)으로 구성되는 선반 설비에 있어서, 상기한 각각의 고정선반(1)의 상부에서 고정되어 지지되는 한쌍의 기중기레일(20)과, 기중기레일(20)에 의해 지지되며 기중기레일(20)을 따라 이동하는 거더(23)와, 상기한 기중기레일(20)에 대해서 직각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거더(23)에 매어달린 형상으로 지지되며, 거더(23)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장치(25)와, 상기한 이동장치(23)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작동하며, 수납공간(3)으로 반입할 물품(31)을 지지하고, 수납공간(3)에 대해서 전후 방향으로의 출입작동을 하므로써, 수납공간(3)에 대한 물품(31)의 반출입작업을 실시하는 반출입구(27)와, 설정된 작업공간의 바닥부에 정렬되는 위치예정부재와, 반출입구(27)의 위치를 결정하기위한 상기한 위치예정부재가 작업하기에 적합하며, 이동장치(25)에 설치되는 위치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설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선반(1)(2)의 좌우 방향에서의 한쪽 끝부분에서 외측으로 돌출한 곳에 형성되어 있는 물품 취급구역(15)과 상기한 물품 취급구역(15)내에서 이동장치(25)에 대한 물품의 반입 또는 반출작업이 실시되는 물품 지지대(16)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한 이동장치(25)가 상기한 작업공간(S)과 상기한 물품 취급구역 사이를 이동하며, 또, 물품 취급구역(15)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설비.
  4. 제3항에 있어서, 물품 지지대(32)가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설비.
  5. 제3항에 있어서, 물품 지지대(56)가 일정 경로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설비.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물품 지지대(32)는 물품 취급구역(15)내에서 각각의 고정선반(1)의 한쪽 끝부분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한 곳에 설치되어 있고, 콘베어장치(35)가 상기한 선반 설비의 물품 취급구역(15)에 설치되며, 콘베어장치(35)는 양쪽의 물품 지지대(32)의 한쪽 측면으로부터 고정선반(1)과는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한상의 반출입부(36)와 각각의 반출입부(36)의 끝부분을 서로 연결시키는 저장부(37)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설비.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물품 지지대(56)가 고정선반(1)의 좌우방향에 있어서, 적어도 1개소 이상의 끝부분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한 곳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설비.
  8. 제3항에 있어서, 고정선반(1)의 좌우 방향을 따라서 고정선반(1)의 끝부분으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이송통로(58)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물품 지지대(56)가 이송통로(58)를 따라서 왕복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설비.
  9. 제8항에 있어서, 각 고정선반(1)의 한쪽 끝부분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한 곳에는 물품 지지대(56)가 설치되어 있고, 한쌍의 물품 지지대(56) 사이에는 선반(1)(2)의 좌우방향을 따라서 선반(1)(2)의 한쪽 끝부분으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한군데 이상의 분리된 이송통로(58)가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분리된 이송통로(58)를 따라서 중간 물품 지지대(61)가 왕복이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설비.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선반(1)(2)의 양쪽의 끝부분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한 곳에 각각 형성된 물품 취급장치(15)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이동장치(25)는 상기한 작업공간(S)과 각각의 물품 취급구역(15)의 사이 및 물품 취급구역(15)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고, 이동장치(25)에 대한 물품(31)의 반출입작업이 실시되는 물품 지지대(56)가 양쪽의 물품 취급구역(15)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설비.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작업공간(S)의 간격을 검출하는 검출장치(12)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설비.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고정선반(1)과 이동선반(2)은 선반(1)(2)을 구성하는 부재로서의 세로지주(1A)(2A)가 있으면, 이동선반(2)을 구성하는 세로지주(2A)는 최상단 수납공간(2C)의 중간부분까지 형성되어 있고, 고정선반(1)을 구성하는 세로지주(1A)는 최상단 수납공간(1C)의 끝부분까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설비.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이동장치(25)는 거더(23)에 매달린 형상으로 지지되며, 상기한 이동장치(25)는 거더(23)에 의해 지지되는 수평 상부 프레임(41), 상부 프레임(41)의 양쪽 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한쌍의 지주(42), 이들 지주(42)의 하단부를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는 하부 프레임(43),상기 한 상부 프레임(41)의 하단부로부터 적어도 한군데의 지주(42)의 측면을 따라 세로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적어도 한군데의 지주(42)를 보강하는 수직 프레임(75)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직 평판 프레임(75)은 선반 설비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폭 방향을 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설비.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한 수직 프레임(75)은 선반의 가로 방향에서 보아, 상부 프레임(41)의 한쪽 끝부분으로부터 수직으로 설치된 수직부재(76), 수직부재(76)와 지주(42)를 상하방향에서 연결시키는 가로부재(77), 수직부재(76)를 연결시키는 인접하는 가로부재(77)와 지주(42)사이를 가로질러서 연결시키는 경사부재(78)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수직 프레임(75)은 사다리로써의 역할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설비.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반출입구(91)에 부착되는 선반 검출장치(92a)(92b), 상기한 수납공간(3)에 설치되며 상기한 선반 검출장치(92a)(92b)에 의해 검출되는 피검출부재(93), 상기한 선반 검출장치(92a)(92b)가 상기한 피검출부재(93)를 검출하면 검출된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반출입구(91)를 진출시키는 작동장치(95)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설비.
KR1019920007063A 1991-04-26 1992-04-25 선반 설비 KR9600065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95923 1991-04-26
JP91-95923? 1991-04-26
JP3095923A JP2927034B2 (ja) 1991-04-26 1991-04-26 移動棚設備
JP3343718A JPH05178420A (ja) 1991-12-26 1991-12-26 棚設備
JP91-343718 1991-12-26
JP91-343718? 1991-12-26
JP91-345688 1991-12-27
JP91-345688? 1991-12-27
JP3345688A JP2792297B2 (ja) 1991-12-27 1991-12-27 棚設備
JP92-8007 1992-01-21
JP4008007A JP2936865B2 (ja) 1992-01-21 1992-01-21 棚設備
JP92-8007? 1992-01-21
JP4013488A JPH05201509A (ja) 1992-01-29 1992-01-29 移動棚設備
JP92-13488 1992-01-29
JP92-13488? 1992-01-29
JP92-21523? 1992-02-07
JP92-21523 1992-02-07
JP4021523A JPH05213413A (ja) 1992-02-07 1992-02-07 棚設備
JP4051971A JPH05254612A (ja) 1992-03-11 1992-03-11 移動棚設備
JP92-51971 1992-03-11
JP92-51971? 1992-03-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9643A KR920019643A (ko) 1992-11-19
KR960006514B1 true KR960006514B1 (ko) 1996-05-17

Family

ID=27563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7063A KR960006514B1 (ko) 1991-04-26 1992-04-25 선반 설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333983A (ko)
KR (1) KR960006514B1 (ko)
DE (1) DE4213542C2 (ko)
FR (1) FR2675785B1 (ko)
GB (1) GB2257966B (ko)
IT (1) IT125401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27609C2 (de) * 1992-08-20 1995-12-21 Siemens Ag Vorrichtung zum raumsparenden Abstellen von Kraftfahrzeugen
JP3386507B2 (ja) * 1993-03-30 2003-03-17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機器の立体設置装置
JP3444970B2 (ja) * 1994-06-22 2003-09-08 麒麟麦酒株式会社 ローラボトルハンドリングシステム
FR2732672B1 (fr) * 1995-04-07 1997-06-27 Elveco Msj Sa Installation de transport de conteneurs pour produits s'ecoulant par gravite
IT1278902B1 (it) * 1995-04-20 1997-11-28 Antonio Piazza Magazzino a carrelli mobili portanti telai inclinati
TW519109U (en) * 1995-11-29 2003-01-21 Daifuku Kk Article storage equipment
DE59605500D1 (de) * 1996-04-18 2000-08-03 Nedcon Magazijninrichting Bv Schieberegalanlage
US6036427A (en) * 1996-05-29 2000-03-14 Daifuku Co., Ltd. Guided vehicle system for transporting loads
US6077019A (en) * 1997-07-11 2000-06-20 Margaret A. Corcoran Cargo container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and method
GB2341375B (en) * 1999-04-13 2000-08-23 Webb Int Co Jervis B Inverted power and free conveyor and storage system
IT1307412B1 (it) * 1999-10-28 2001-11-06 Antonio Piazza Magazzino multipiano modulare a moduli scorrevoli orizzontalmente neidue sensi.
US6409451B1 (en) * 2000-04-13 2002-06-25 Ibp, Inc. Item handler and method for flow through storage
JP3804462B2 (ja) * 2001-03-19 2006-08-02 株式会社ダイフク 移動棚設備
DE10115753A1 (de) * 2001-03-23 2002-10-02 Bellheimer Metallwerk Gmbh Lagerlift
JP4614649B2 (ja) * 2002-11-12 2011-01-19 金剛株式会社 移動棚の制御方法
US20040226256A1 (en) * 2003-05-12 2004-11-18 Kongo Kabushiki Kaisha Control method for moving racks
US7363104B2 (en) * 2003-08-15 2008-04-22 Sk Daifuku Corporation Product storage and picking system and method of storing and picking products
JP4666213B2 (ja) * 2005-07-05 2011-04-06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収納設備
EP2190318A4 (en) * 2007-09-18 2012-10-17 Spacesaver Corp MOBILE INDUSTRIAL SHELVING SYSTEM
CN102341325B (zh) * 2009-03-27 2014-10-15 株式会社大福 移动架设备
US9321591B2 (en) 2009-04-10 2016-04-26 Symbotic, LLC Autonomous transports for storage and retrieval systems
US9694975B2 (en) 2009-04-10 2017-07-04 Symbotic, LLC Lift interface for storage and retrieval systems
IT1399818B1 (it) * 2010-05-03 2013-05-03 Oto Melara Spa Sistema di movimentazione per casse di custodia di oggetti in un deposito.
AT13324U1 (de) * 2010-05-10 2013-10-15 Blum Gmbh Julius Anordnung von wenigstens zwei Möbeln und einer Sicherungsvorrichtung für einen Möbelantrieb
US10822168B2 (en) 2010-12-15 2020-11-03 Symbotic Llc Warehousing scalable storage structure
US8965619B2 (en) 2010-12-15 2015-02-24 Symbotic, LLC Bot having high speed stability
US9187244B2 (en) 2010-12-15 2015-11-17 Symbotic, LLC BOT payload alignment and sensing
US11078017B2 (en) 2010-12-15 2021-08-03 Symbotic Llc Automated bot with transfer arm
US9561905B2 (en) 2010-12-15 2017-02-07 Symbotic, LLC Autonomous transport vehicle
US9499338B2 (en) 2010-12-15 2016-11-22 Symbotic, LLC Automated bot transfer arm drive system
US8696010B2 (en) 2010-12-15 2014-04-15 Symbotic, LLC Suspension system for autonomous transports
US8996160B2 (en) * 2010-12-27 2015-03-31 Itoh Denki Co., Ltd. Article storage device and conveyor used therein
US9051779B2 (en) * 2012-03-23 2015-06-09 Material Control, Inc. Dual track ladder for use with mobile shelving
US9408461B2 (en) * 2012-11-15 2016-08-09 Target Brands, Inc. Storage system
WO2015038999A2 (en) 2013-09-13 2015-03-19 Symbotic Llc Automated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EP3197317B1 (en) * 2014-09-23 2021-07-28 Storone Ltd. Data storage system
CN105151623B (zh) * 2015-09-08 2017-09-29 广东科捷龙机器人有限公司 一种智能取料储存装置
DE102015220428B4 (de) * 2015-10-20 2017-10-19 Universität Stuttgart Selbstfahrende Lagereinrichtung
AU2017268107B2 (en) * 2016-05-20 2020-03-05 560 Holdings, LLC Modular pallet racking system
USD839526S1 (en) 2017-01-27 2019-01-29 560 Holdings, LLC Modular pallet racking system
JP6737400B2 (ja) 2017-04-20 2020-08-05 株式会社Ihi バッファ装置
CN109809098B (zh) * 2017-11-20 2024-04-05 北京京东振世信息技术有限公司 货物投取设备及方法、无人配送车及固定快递柜
US11787635B2 (en) * 2019-12-23 2023-10-17 Get Fabric Ltd Movable picking stations
CN111056210B (zh) * 2020-01-16 2022-05-06 北京旷视机器人技术有限公司 料箱位置调整方法及装置、仓储系统、介质和电子设备
WO2021216677A1 (en) * 2020-04-21 2021-10-28 Alert Innovation Inc. Transport rack cartridge (trc)
US11759826B1 (en) * 2022-07-12 2023-09-19 Tompkins Robotics, Inc. Article loading system and method for multilevel sorter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37040C (de) * 1952-12-25 1955-12-29 Demag Zug Gmbh Hubstapler
GB1179786A (en) * 1966-03-25 1970-01-28 Arenco Electronics Aktiebolag A System for Controlling a Traverse in an Arrangement for Automatic Fetching and Replacing Files in Archives
US3485389A (en) * 1966-06-07 1969-12-23 Triax Co Apparatus for producing concurrent movement of an article carrier in a warehouse system
GB1243883A (en) * 1969-06-24 1971-08-25 V Pk I Svarochnogo Proizv Storage premises for storing piece articles
US3730358A (en) * 1971-03-19 1973-05-01 S Oji Container random access storage system
US3770147A (en) * 1971-09-30 1973-11-06 Kito Kk Multi-rack stacker system
IT1045868B (it) * 1973-01-24 1980-06-10 Fata Fab App Sollevamento Perfezionamenti nei magazzini meccanizzati
AT335351B (de) * 1973-07-26 1977-03-10 Stopa Stahlbau Gmbh & Co Kg Materiallager
US4312623A (en) * 1979-03-15 1982-01-26 Eaton-Kenway, Inc. High through-put materials handling system and method
US4307922A (en) * 1980-03-13 1981-12-29 Reflector-Hardware Corporation Movable storage system
JPS5936001A (ja) * 1982-08-20 1984-02-28 Tsubakimoto Chain Co 自動入出庫装置
JPS5964403A (ja) * 1982-09-30 1984-04-12 Kongo Kk 移動棚装置
JPS59133102A (ja) * 1983-01-18 1984-07-31 Daifuku Co Ltd 移動式保管棚
US4658493A (en) * 1984-08-10 1987-04-21 Yamazaki Machinery Works, Ltd. Tool storing apparatus
WO1986003178A1 (en) * 1984-11-29 1986-06-05 Hans Sieber Device for storing flat articles
DD253920A3 (de) * 1985-12-17 1988-02-10 Leuna Werke Veb Einlagerungssystem fuer regellager
DE3604890A1 (de) * 1986-02-15 1987-08-20 Koettgen Gmbh & Co Kg Verschieberegalanlage
FR2595335B1 (fr) * 1986-03-10 1992-06-05 Astin France Sarl Installation de stockage dynamique de produits divers
JPS6475310A (en) * 1987-09-16 1989-03-22 Komatsu Forklift Method of controlling movable rack
JPH0219044A (ja) * 1988-07-06 1990-01-23 Nec Ibaraki Ltd 位相調整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675785B1 (fr) 1998-08-28
FR2675785A1 (fr) 1992-10-30
US5333983A (en) 1994-08-02
GB2257966B (en) 1994-08-31
IT1254016B (it) 1995-09-05
ITRM920312A0 (it) 1992-04-24
KR920019643A (ko) 1992-11-19
DE4213542C2 (de) 1996-10-02
GB2257966A (en) 1993-01-27
DE4213542A1 (de) 1992-10-29
ITRM920312A1 (it) 1993-10-24
GB9208649D0 (en) 1992-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6514B1 (ko) 선반 설비
KR101259966B1 (ko) 물품 수납 설비
KR101519870B1 (ko) 물품 수납 설비와 그 제어 방법
KR102404512B1 (ko) 물품 수납 설비와 그 작동 방법
JPS63242809A (ja) 物品収納庫
JPH06293404A (ja) 搬送装置を備えた棚設備
JP2929848B2 (ja) 棚設備
JP2018104127A (ja) 搬送台車
JP2792297B2 (ja) 棚設備
JPH09150918A (ja) コンテナの立体格納設備
JP2734263B2 (ja) 移動棚設備
JP2913492B2 (ja) 棚設備
JPH11165812A (ja) 物流倉庫設備の自動搬送装置
JP2748756B2 (ja) 移動棚設備
JP2618531B2 (ja) 住宅ユニット生産ライン
JP2751708B2 (ja) 棚設備
JP2936865B2 (ja) 棚設備
JPH05254612A (ja) 移動棚設備
JPH05201509A (ja) 移動棚設備
JPH11199010A (ja) 物品保管設備
JP2827760B2 (ja) 移動棚使用の自動倉庫
JPH05213415A (ja) 棚設備
JPH06107307A (ja) 移動棚使用の自動倉庫
JPH05254613A (ja) 移動棚設備
JPH07144714A (ja) スタッカクレーンの昇降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08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