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2518B1 - 쉬트교정장치 - Google Patents

쉬트교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2518B1
KR950002518B1 KR1019920008106A KR920008106A KR950002518B1 KR 950002518 B1 KR950002518 B1 KR 950002518B1 KR 1019920008106 A KR1019920008106 A KR 1019920008106A KR 920008106 A KR920008106 A KR 920008106A KR 950002518 B1 KR950002518 B1 KR 950002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pressing
endless belt
image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8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22052A (ko
Inventor
가즈히꼬 미야자또
요시오 쇼오지
고이찌 마끼야마
가즈오 아사까
겐꼬 다네따
요시유끼 다까이지
다까히꼬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록스 가부시끼가이샤
미야하라 아끼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록스 가부시끼가이샤, 미야하라 아끼라 filed Critical 후지제록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20022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22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2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25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70Article bending or stiffen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55Handling of sheet copy material taking place in a specific part of the copy material feeding path
    • G03G15/6573Feeding path after the fixing point and up to the discharge tray or the finisher, e.g. special treatment of copy material to compensate for effects from the fixing
    • G03G15/6576Decurling of shee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662Decurling devi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paration, Sorting, Adjustment, Or Bending Of Sheets To Be Conveyed (AREA)
  • Handling Of Cut Paper (AREA)
  • Paper Feed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쉬트교정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쉬트교정(sheet straightening) 장치용으로 설치된 쉬트교정부의 측면도.
제 2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쉬트교정장치에서의 누름롤(depressing roll)과 무한 벨트간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 3 도는 제 2 도에 도시된 쉬트교정장치의 필수 요소들의 측면도.
제 4 도는 캠부재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기구를 구비한 쉬트교정장치의 설명도.
제 5 도는 상기 누름롤의 누름량과 토크간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제 6 도는 쉬트의 컬(curl)제거를 설명키 위한 그래프.
제 7 도는 두께가 상이한 쉬트의 컬 제거를 설명키 위한 그래프.
제 8 도는 컬러복사기에 설치된 상기 쉬트교정장치의 설명도.
제 9 도는 쉬트교정장치의 일예의 구성도.
제10도는 쉬트교정장치의 다른예의 구성도.
제11도는 쉬트의 컬럼 세기에 가장 적합한 누름량을 결정하기 위한 장치의 기본구성 개통도.
제12도는 제11도에 도시된 장치의 제어수단내에 기억된 검색표를 나타내는 도표.
제13도는 상기 제어수단에 의한 결정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후로우챠트.
본 발명은, 전자복사기등의 화상형성장치에서 복사되는 카피(cpopy) 쉬트의 컬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소직경의 롤 부재가 무한벨트를 눌러서, 컬된 쉬트를 컬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강제로 굽혀서 쉬트를 평평히 펴주는 장치(이하 "쉬트교정장치"라고 함)에 관한 것이다.
전자복사기등의 전자사진 시스템의 화상형성장치로 카피를 행하는 경우, 토너화상을 담지한 기록쉬트를 정착부로 이송하여, 여기서 열과 압력으로 상기 토너화상을 정착시키는 방법이 채용된다. 이와 같이 카피된 쉬트는 쉬트상에 형성된 토너화상의 밀도, 쉬트의 종류 및 두께에 따라 크게 컬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컬된 쉬트가 그대로 쉬트 배출 트레이로 이송되면, 잼(jam)되어 쉬트수송로에서 막히는 경우가 있다.
또한, 소오터(sorter)등의 후처리 장치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쉬트배출부 옆에 설치돼 있는 경우, 상기 컬된 쉬트로 인해 상기 소오터에서 트레이내에 수납되는 카피매수가 감소되는 문제점, 즉 소오터의 카피 수용용량이 감소되는 문제점을 초래한다. 자동 양면 복사기에서는, 상기 컬된 쉬트가 하기 문제점들을 일으킬 수 있다 : 즉, 일면에 화상이 형성된 쉬트가 다른면상의 화상형성을 위해 수송될때, 쉬트 소송로내에서 잼되거나, 또는 중간트레이내로 잘못 이송되어, 쉬트의 상기 다른면상의 화상형성을 저해한다.
종래에는 상기 컬된 쉬트를 교정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들어, 일본 특허출원(OPI)97352/1991호 공보(여기서 "OPI"는 "출원공개"를 의미함)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일면에 화상이 형성된 쉬트를 중간트레이로 이송해주는 쉬트 수송경로내에 컬 제거장치를 설치하는 방법이 제안된바 있다. 이 종래장치에서는, 상기 쉬트 수송경로가 크게 휘어있고, 소직경의 금속롤러와 대직경의 탄성롤러가 서로 대면된 태양으로 상기 쉬트 수송경로의 휜 부분에 설치됨으로써, 쉬트가 상기 두 롤러간을 통과할때 갑자기 휘면서, 안내판의 곡부를 따라서 활주하게 된다. 또한, 상기 컬 제거장치 2벌을 설치해서 컬된 쉬트를 반대방향으로 굽혀줌으로써, 화상이 형성된 일면상의 상기 컬된 쉬트를 고정할 수 있다.
통상의 화상형성장치로서 복사되는 단색(흑 또는 백색)카피는 통상 화상농도가 비교적 낮으므로, 상기 쉬트가 정착부를 통과할때 야기되는 쉬트의 컬이, 비교적 적다. 따라서, 이 경우, 상기 컬된 쉬트는, 상기 컬 제거장치에 의해 용이하게 교정될 수 있다. 다른한편,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컬 제거장치를 정착부와 쉬트 배출 트레이간에 설치할 필요가 있을 경우, 장치 점유공간 한계때문에 다소 곤란하다. 화상농도가 높은 컬러카피의 경우는, 이 카피쉬트가 크게 컬되기 쉽고, 이러한 컬은 상기와 같은 컬 제거장치로 제거할 수 없다.
상기 컬러카피의 컬을 제거하기 위하여, 예를들어, 일본 특허출원(OPI)167450/1984호 공보에 개시된 쉬트교정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이 종래의 쉬트교정장치에서는, 카피를 수송하는 벨트에 대해서 누름롤이 설치돼 있다.
이 누름롤은 상기 벨트를 눌러서 휘게하여, 쉬트가 상기 벨트와 이를 누르는 누름롤 간을 통과할때 강제로 휘어짐으로써, 쉬트의 컬이 제거된다.
상기 누름롤은, 고정되거나 회전될 수 있도록 설계돼 있다. 즉, 상기 컬된 쉬트의 소정의 선단부를 고정된 누름롤로써 문질러주므로써, 컬이 제거된다.
상기 종래의 교정장치에서는, 상기 누름롤을 통해서 상기 벨트에 가해지는 누름력이 소정치로 설정된다. 따라서, 크게 휘기쉬운 컬러카피를 하기 위해 상기 벨트가 크게 휘어지면, 흑백카피쉬트는 반대방향으로 휠 수 있다.
화상농도가 낮은 카피용으로 쉬트교정 성능을 세트하는 경우, 상기 장치는 컬러카피를 충분히 처리할 수 없으며, 또한 쉬트의 두께와 종이질에 따라 쉬트의 컬을 만족스럽게 제거할 수 없다.
상기한 바의 문제점들외에도, 컬러화상이 쉬트의 양면에 형성되는 경우, 하기 문제점들이 있다. 즉, 상기 쉬트의 양면상의 컬러화상들이 화상밀도가 다르면, 쉬트가 여러방향으로 컬된다 ; 즉, 쉬트의 컬방향이 일정치 않다. 따라서, 상기 종래의 쉬트교정장치를 컬러화상이 양면에 형성되어 컬된 쉬트에 적용할 경우, 쉬트의 컬을 고효율로 제거하기가 곤란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쉬트교정장치에 수반되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제거하는데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목적은, 그 컬 제거동작이 기록쉬트의 지질과 두께, 또는 카피의 종류에 따라 제어되는 간단한 구성의 쉬트교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컬된 쉬트를 컬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문지름으로써 교정하는 쉬트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쉬트교정장치에서는, 쉬트수송방향으로 구동되는 무한벨트와, 이 무한벨트를 소정의 누름력으로 눌러주는 누름롤이 설치돼 있고, 상기 벨트는 짧은 간격으로 설치된 안내롤러 수단에 의해 지지돼 있고, 상기 무한벨트에 대해 상기 누름롤을 눌러주는 누름력을 조정하는 수단이 설치돼 있어서, 상기 컬된 쉬트가, 상기 무한벨트와 이 벨트를 누르는 상기 누름롤간을 통과할때 강제로 휘어져서 교정된다.
상기 쉬트교정장치에서는, 상기 쉬트휨작용을 제어하기 위하여, 쉬트의 두께에 관한 데이타 또는 쉬트 종류(통상의 쉬트, OHP 쉬트등)에 관한 데이타, 또는 카피의 화상농도에 관한 데이타, 또는 카피종류(컬러, 흑백등)에 관한 데이타, 또는 일면 카피 또는 양면 카피에 관한 데이타에 따라서, 상기 무한벨트에 대해 누름롤을 누르는 힘이 결정된다.
또한, 상기 쉬트교정장치에서는, 상기 무한벨트는, 동시에 구동되는, 비교적 폭이 좁은 복수의 벨트 부재로 구성돼 있고, 하나의 누름롤이, 상기 복수의 벨트부재에 대해 동시에 눌려진다.
또한, 상기 교정장치에서는, 상기 누름롤을 상기 무한벨트에 대해 누르는 힘을 조정하는 수단이 캠부재로 구성돼 있고, 상기 누름력을 여러단계로 조정하기 위해서 상기 캠부재에 대해서 각 위치 조정수단이 설치돼 있다. 또한, 상기 쉬트교정장치에서는, 상기 누름롤에 걸리는 누름력을 조정하기 위한 각 위치 조정수단은 : 솔레노이드와 ; 외향으로 방사상으로 돌출된 복수의 포올(pawl) 부재를 갖는 인덱싱(indexing) 디스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포올 부재들은, 상기 솔레노이드에 의해 구동되는 포올수단을 록크(lock)함으로써 선택적으로 록크되어, 상기 누름력을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의 쉬트교정장치에서는, 휜 쉬트를 교정하는 방향이 상이한 2개의 쉬트교정장치가 배치돼 있다. 상기 2개의 쉬트교정장치가, 쉬트의 컬 방향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동작됨으로써, 컬된 쉬트가, 예를들어 그 양면에 형성된 화상의 농도에 의하여 교정된다. 상기 2쉬트교정장치는 카피 배출로에 대해서 직렬로 또는 병렬로 접속돼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된 쉬트교정부재들은,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의해 출력된 카피상의 데이타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동작되어, 상기 카피를 교정한다. 이 카피는, 교정된후, 후속 처리수단(소오터등)으로 수송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쉬트교정장치에서는, 상기 누름롤이 무한벨트에 대해 눌려져서 이를 휘게하고, 이 휘는 정도가 조정 가능하다. 따라서, 쉬트의 컬 정도에 따라서 컬 제거동작이 실행된다. 또한, 본 발명의 쉬트교정장치를, 전자복사기의 정착부와 쉬트 배출롤러간에 용이하게 세트할 수 있으므로 크기가 비교적 작은 전자복사기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쉬트교정장치는, 컬러카피 뿐만 아니라 통상의 흑백카피를 취급할 수 있고, 쉬트의 두께와 쉬트의 지질에 따라서 동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쉬트교정장치(1)는, 누름롤(5)로 무한벨트(2)를 눌러서 내측으로 크게 휘게 하고, 이러한 상태에서 벨트(2)와 롤(5)간에 쉬트를 통과시키는 방법을 채용하고 있다. 상기 벨트(2)는, 비교적 짧은 거리를 사이에 두고 위치된, 구동축(3)과 지지축(4)위에 배열돼 있다. 상기 롤(5)은 2개의 축(3)과 (4)간에 설치되어 중간에서 상기 벨트(2)를 눌러준다. 상기 롤(5)은 링크부재(6)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링크부재(6)는 그의 단부에 캠 종동부재(7)를 갖고 있고, 이 캠 종동부재(7)는, 누름기구, 즉, 캠부재(10)와 대면돼 있다. 상기 롤(5)은, 실질적으로 반전된 V형상 커버부재(8)의 상단을 통해서 돌출되어, 상기 벨트(2)와 커버(8)간의 간격을 통해서 화살표 X방향으로 수송되는 쉬트를, 상기 쉬트교정장치의 닙(nip)영역으로 인도함으로써, 쉬트의 컬을 제거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쉬트교정장치(1)에서는, 상기 벨트(2)의 굽힘량이 하기와 같이 조정된다 : 즉, 쉬트(11)가 회전되어, 캠부재(10)를 회전시켜서, 롤(5)의 벨트(2)쪽 돌출량, 즉, 롤(5)에 의한 벨트(2)의 굽힘량을 조정한다.
상기 쉬트교정장치(1)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장치(1)는, 제 2 도의 사시도와 제 3 도의 측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계돼 있다. 상기 구동축(3)은, 직경이 비교적 큰 연장된 회전축이고, 지지축(4)은 또한, 직경이 비교적 작은 연장된 회전축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지지축(4)의 직경은, 상기 구동축(3)의 직경의 약 ½이다.
상기 축(3)과 (4)위에 비교적 폭이 좁은 다수의 무한벨트(2)가 배치돼 있고, 이들은 서로 평행하게 돼 있어서, 동시에 동일방향으로 구동된다. 본 발명의 쉬트교정장치에서는, 화상이 형성되는, 쉬트의 기록면이 상기 벨트(2)와 대향되도록 세트돼 있다 ; 즉, 상기 롤(5)이 쉬트를 그 배면으로부터 누른다.
상기 쉬트를 상기 벨트(2)에 대해 누르는 롤(5)은, 비교적 소직경의 로드(rod)형태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롤(5)의 직경은, 상기 지지축(4)의 직경의 약 ½이다. 상기 롤(5)의 양단부는, 링크부재(6)의 베어링 홀(bearing hole)(6a)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보조링크 부재들(6b)이 상기 롤(5)상에 소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오목부를 갖는 축 지지부를 통하여 롤(5)의 중간부를 지지한다. 상기 보조링크 부재들(6b)은 각각 캠 종동부재들(7)을 갖고 있고, 이 캠 종동부재들(7)에 대해서 캠부재들(10)이 각각 설치돼 있다.
상기 각 캠부재는 하기와 같이 기능한다 : 캠축(11)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캠부재가 회전하여, 상기 롤의 벨트에 대한 누름량, 즉, 벨트의 굽힘량을 조정한다.
상기 캠부재(10)의 회전각을 변경함으로써 쉬트의 컬을 제거하는 동작을 조정하기 위해서 제 4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캠부재 회전각 조정수단을 채용할 수 있다. 즉, 제 4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포올부재(14, 14a, 14b)를 갖는 인덱싱 디스크(13)가 캠축(11)상에 설치돼 있고, 솔레노이드(15)에 의해 동작되는 록킹포올(16)을 구비한 록크 수단이 상기 인덱싱 디스크(13)에 대해 설치돼 있다. 상기 인덱싱 디스크(13)의 포올부재들은, 상기 롤(5)이 상기 벨트를 누르는 거리에 따라서 세트되므로, 상기 인덱싱 디스크(13)의 포올부재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록크포올(16)에 의해서 상기 롤의 누름량이 소망치로 세트될 수 있다.
상기 캠축(11)은, 상기 캠부재(10)가 상기 롤(5)의 바람직한 누름량이 되는 곳에 위치될때까지, 전기 모터(12)에 의해 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벨트에 대한 상기 롤(5)의 누름량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쉬트교정장치를 갖는 화상형성장치는, 쉬트공급 트레이에 놓인 기록쉬트의 지질등에 관한 데이타를 예를들어, 조작판넬을 통해서 입력하는 수단, 또는 감광드럼상에 형성된 토너화상의 농도에 관한 데이타를 이용하여 기록쉬트의 컬 상태를 평가하는 수단을 갖을 수 있다. 이 경우, 기록쉬트의 컬 상태가 지질 또는 화상농도에 관한 상기 데이타로부터 평가되고, 쉬트의 컬을 제거하는데 가장 적합한 롤의 누름량이 결정되고, 이 결정된 롤 누름량이 얻어질때까지 상기 캠부재가 회전된다.
제 4 도에 도시된 쉬트교정장치에서는, 상기 캠부재의 축상에 설치된 인덱싱 디스크(13)가 단지 3개의 포올부재들을 갖고 있다. 그러나, 상기 롤의 누름량을 더욱 정확히 세트하기 위하여, 포올부재수를 증가시켜야 한다. 포올부재수가 많을수록, 롤 누름량을 더 정확히 세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쉬트교정장치(1)에서는 상기 누름롤(5)은, 그 양단부가 링크부재(6)의 베어링 홀(6a)과 결합되고, 그 중앙부가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링크부재(5b)의 오목부들과 결합되는 태양으로 지지되고, 상기 누름롤(5)의 토오크는 제 5 도에 도시된 바와 같다. 제 5 도의 그래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벨트에 대한 상기 롤의 누름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롤의 토오크가 증가된다. 실제적으로, 쉬트의 컬 정도는 롤의 누름량에 따라서 하기와 같이 감소 또는 제거된다 : 롤의 누름량이 적은 경우, 상기 롤이 비교적 약하게 회전되고, 따라서, 상기 쉬트가 롤에 의해 강하게 문질러지지 않는다 : 즉, 비교적 약한 힘이 상기 쉬트에 공급되어 쉬트의 컬의 정도를 감소시킨다. 다른한편, 롤의 누름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롤에 의해 쉬트를 문지르는 힘이 증가됨으로써, 쉬트의 컬 정도가 더욱 감소된다. 제 5 도의 그래프에서, 참조문자 d는, 하기와 같이 그어지는 직선 B와 C간의 거리인 롤의 누름량을 나타낸다 : 먼저, 무한벨트(2)를 지지하는 2축의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 A와 누름롤이 상기 벨트와 접촉되는 위치를 통과하는 직선 B를 서로 평행하게 그리고, 상기 롤이 상기 벨트를 누르는 위치를 통과하는 직선 C를 상기 직선 B와 평행하게 그린다.
통상의 전자복사기에 의해 작성된 카피는 하기와 같이 될 수 있다 : 즉, 제 6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농도가 10%인 경우, 누름량 0mm에서 표시된 바와 같이, 카피가 컬된다. 상기 누름량이 6mm로 세트된 때, 동일한 쉬트의 컬이 실질상 제거되고, 누름량이 10mm로 세트되면, 동일 쉬트가 반대방향으로 크게 컬되는 것이 밝혀졌다. 따라서, 본 발명의 쉬트교정장치에서는, 쉬트의 컬의 높이에 따라서 벨트를 눌러주는 롤의 누름량을 조정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캠부재가 효과적이다.
쉬트의 컬의 상태는 쉬트종류에 의존한다. 예를들어, 복사지로서 통상 사용되는 2종류의 쉬트, 즉, 비교적 두꺼운 쉬트(SR)와 비교적 얇은 쉬트(L)를 사용하여 카피를 작성하는 경우, 상기 2쉬트의 컬 상태는 제 7 도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즉, 화상농도의 10%의 화상을 쉬트상에 형성하고, 각 쉬트에 대해서, 롤의 누름량을 6mm와 10mm로 세트하여 컬을 제거하는 실험을 행하였다.
롤 누름량을 6mm로 세트함으로써, 컬을 만족스럽게 감소시킬 수 있었으나 ; 상기 얇은 쉬트의 경우, 컬이 효과적으로 감소되지 않았다. 즉, 전 종류의 쉬트를 쉬트교정장치에 의하여 만족스럽게 취급할 수 없는 것으로 보여진다.
보통 두께의 쉬트의 경우, 카피가 크게 컬되지 않으므로, 많은 경우 상기 카피에 대해 컬 제거조작을 할 필요가 없다. 다른한편, 밀도가 높은 화상을 비교적 얇은 쉬트상에 전사하는 경우, 상기 쉬트가 쉽게 컬된다. 특히, 컬러카피의 경우, 화상농도가 상당히 높으므로, 쉬트가 크게 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쉬트교정장치는 화상농도가 높은 카피를 효과적으로 취급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쉬트교정장치는, 쉬트공급부에 탑재된 쉬트의 종류에 관한 데이타를 조작판넬을 통해서 입력하거나, 또는 감광드럼상에 형성된 화상농도에 관한 데이타를 사용하여 누름롤의 누름량을 조정하는 수단을 갖을 수 있다. 그러나, 작업자가 쉬트상의 데이타를 조작판넬상의 세트버튼으로 입력시키기가 곤란한 경우, 전자복사기에서 통상 사용되는 기록쉬트 종류에 따라서, 누름롤의 기본누름량을 미리 세트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전자복사기가 컬러복사기인 경우, 통상의 컬러복사기에서 발생하는 컬 정도에 따라서 누름롤의 누름량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복사기가 2모드, 즉 단색 모드와 컬러모드로 동작되는 경우와, 얇은 쉬트를 수동으로 복사기내에 삽입하는 경우를 고려해서 다양한 누름량을 미리 세트할 수 있다.
상기 제어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의 기본구성은,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 화상데이타 입력수단(50)과 ; 기록쉬트의 종류를 나타내는 신호(이하, "쉬트종류신호"라고함)를 출력하기 위한 쉬트종류 신호 출력수단(60)과 ; 화상신호와 쉬트종류신호로부터 누름부재의 가장 적합한 누름력을 구하는 제어수단(7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화상데이타 입력수단은, 예를들면, 컬러복사기의 IIT(화상 입력단)이며, 원고화상을 4회 스캔(scan)하여, 화상 감지기등의 광전변환기의 보조로 RGBK 신호를 제공한다. 상기 RGBK 신호는 필요에 따라 CMYK 신호로 변환되어, IOT(화상출력단)로 공급된다.
상기 화상데이타 입력수단에서는, CMYK 신호가 판단된다 ; 즉, 그의 출력신호의 밀도가 50% 이하인가의 여부, 또는 50% 이상인가의 여부가 판정되고, 판정결과에 대응하는 화상농도 레벨신호가 제어수단(70)에 공급된다. 또한, 화상데이타 입력수단(50)이 화상컬러신호를 제어수단(70)에 공급하며, 이 제어수단은 4색, 즉, 청색, 심홍색, 황색, 흑색중 1색을 사용하여 단색 화상임을 표시하고, 다색 화상은 상기 4색중 1이상의 색을 사용하여 표시한다. 쉬트종류신호 출력수단(60)은, 화상의 출력에 사용되는 쉬트종류를 센서등이 검출하여, 쉬트종류신호를 공급하도록 하거나, 또는 조작자가 컬러복사기의 조작판넬(또는 콘솔판넬)로 선택한 쉬트의 종류를 전기적으로 출력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상기 제어수단(70)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갖고 있고, 이 메모리에는, 제12도에 도시된 바의 LUT(검색표)가 기억돼 있다. 따라서 화상밀도 레벨신호, 화상컬러신호 및 쉬트종류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수단이, 복수의 설정된 모터 구동레벨에 따라서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수단에 의한 판정의 제어가 제13도의 후로우챠트에 도시돼 있다. 상기 모터 구동레벨 각각은, 출력화상의 화상농도와 색 및 쉬트의 종류로부터 평가되는 정도의 쉬트의 컬을 제거하는데 필요한 누름부재의 누름량과 상호 연관되어 세트돼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쉬트교정장치는, 쉬트의 컬을 제거하는데 가장 적합한 누름력을 기록쉬트에 가한다.
컬러복사에서 쉬트교정장치는, 하기 이유로 필수적이다 : 컬러복사의 경우, 트랜스퍼 쉬트상에 4색 토너층, 즉, C(청색), M(심홍색), Y(황색), K(흑색)토너층을 서로의 위에 형성함으로써 그림 색이 출력된다.
그러므로, 대략적으로, 트랜스퍼 쉬트상의 토너입자의 적층높이는, 통상의 단색(흑백)복사의 경우보다 약 4배 높다. 따라서, 토너층이 형성되는 쉬트의 영역은, 토너층들이 형성되는 영역과 수축도가 크게 다르다.
[복사기에의 적용]
제 8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구성된 쉬트교정장치는, 복사기(30)와 소오터등의 후처리장치간에 설치하여, 복사기에서 나오는 카피의 컬을 제거할 수 있다.
제 8 도에서, 상기 복사기(30)는 컬러복사기이다. 예를들어, 쉬트 트레이(31)상에 적재된 기록쉬트들을 쉬트 공급로(34)를 통하여 쉬트수송벨트(35)로 공급되어 이 벨트(35)상에 정전기적으로 체류된다. 상기 수송벨트(35)를 따라서 복수의 현상장치(36~39)가 설치돼 있어서, 상기 수송벨트(35)상에 체류된 쉬트상에 컬러 토너화상을 전사한다.
이와 같이 전사된 컬러 토너화상은 정착부(40)에 의해 고정된다. 이와 같이 컬러카피가 형성된다.
복사기(30)는, 쉬트의 양면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수단을 갖고 있다. 즉, 이 수단에 의하여, 일면에 화상이 형성된 쉬트가 쉬트반전경로(41)를 통하여 중간트레이(32)로 이송된후, 이 중간트레이(32)로부터 수송됨으로써 다른면에 화상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하여 쉬트의 양면상에 화상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그 쉬트교정장치가 제 1 도에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쉬트교정장치를 구성하는 요소들은, 제 1 도에 도시된 것들과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분자들로 표시돼 있다.
제 8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쉬트교정장치(20)는, 복사기(30)의 카피배출부와 소오터(45)간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쉬트교정장치(20)로부터 카피가 상기 소오터(45)로 이송될때, 쉬트교정장치가 동작하여 카피의 컬 정도를 감소시킨다. 이를 위하여, 제 9 도 또는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쉬트교정장치(20)는 2개의 쉬트교정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제 9 도의 경우에서, 상기 쉬트교정장치(20)는, 병렬 배치된 2개의 쉬트교정장치(22, 23)를 갖고 있으며, 2개의 쉬트경로에 대해 쉬트경로 선택포올(21)이 설치돼 있어서, 상기 경로들을 따라서 쉬트가 상기 2개의 쉬트교정장치로 인도됨으로써, 예를들어 쉬트의 양면상에 형성된 화상의 밀도에 따라서 2개의 쉬트교정장치중 하나로 쉬트가 이송된다.
상기 쉬트교정장치와 함께, 컬된 쉬트가 적합하게 교정될 수 있다. 따라서, 양면에 화상이 형성되는 컬된 카피가 화상간의 농도차에 따라서 상기 2개의 쉬트교정장치중 하나에 송출되는 경우, 컬 교정의 정도를 상기 카피의 데이타에 따라서 조정할 수 있다.
제10도에 도시된 쉬트교정장치(20)에서는, 상기 2개의 쉬트교정장치(25, 26)는, 쉬트교정방향이 서로 대향되어 직렬로 배치돼 있다. 쉬트의 컬 방향에 따라서, 상기 쉬트교정장치들중 하나의 쉬트교정력이, 다른 것의 교정력보다 크게 된다. 제10도의 경우에서는, 복사기(30)에 의해 제공된 화상 데이타가 쉬트교정장치(20)에 공급됨으로써, 화상농도가 더 높은 쉬트측에 비교적 큰 쉬트교정작용이 가해지고, 따라서 상기 쉬트가 쉽게 컬되며, 다른 측에는 비교적 작은 쉬트교정작용이 가해진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쉬트교정장치에서는, 누름롤이 무한벨트를 눌러 휘게하며, 누름롤에 의한 무한벨트의 휨 정도는 조정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컬된 쉬트를 그 컬된 정도에 따라서 교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쉬트교정장치를 축소할 수 있다. 그러므로, 비교적 작은 전자복사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통용되는 전자복사기의 정착부와 쉬트배출롤러간에 용이하게 세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하여, 카피를 카피 배출 트레이로 직접 배출하는 주어진 모드, 또는 일면에 화상이 형성된 카피를 다른면에 화상을 형성키 위해서 수송하는 모드에 따라서 카피수송 동작을 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는, 컬러복사뿐만 아니라 통상의 흑백 복사에도 적용할 수 있다. 쉬트의 두께와 지질에 따라서 조작할 수 있다.

Claims (9)

  1. 토너화상이 정착될때 형성되는 쉬트의 컬을 감소시키기 위한 쉬트교정장치에 있어서 : 무한벨트와 ; 상기 무한벨트의 내표면과 접촉설치돼 있고, 상기 무한벨트를 소정방향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무한벨트 구동수단과 ; 상기 무한벨트의 외표면과 접촉하여 무한벨트를 누름으로써, 상기 쉬트를 압착시키는 제 1 닙부분을 형성하는 누름수단과 ; 상기 무한벨트의 외표면에 가해지는, 상기 누름수단의 누름력을 변경시키는 누름력 변경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쉬트교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한벨트가 각각의 폭이 상기 쉬트보다 좁은 복수의 벨트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특징인 쉬트교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력 변경수단이 ; 상기 무한벨트와 접촉되는 축부재와 ; 상기 축부재와 연관된 위치에 고정된 링크부재와 ; 상기 링크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롤러부재와 ; 상기 롤러부재와 결합된 캠기구와 ; 상기 캠기구를 구동하는 캠기구 구동수단 및 ; 상기 캠기구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구동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이 특징인 쉬트교정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캠기구가 복수의 정지위치를 갖는 것이 특징인 쉬트교정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캠기구가 ; 캠축과 ; 상기 캠축상에 고정 장착된 캠 디스크와 ; 상기 캠축상에 고정 장착되고, 복수의 포올을 갖는 인덱싱 디스크와 ; 상기 포올과 맞물리는 록크부재 및 ; 상기 록크부재를 조작시키는 조작부재를 구비한 것이 특징인 쉬트교정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쉬트상에 형성된 화상의 화상레벨을 검출하는 화상레벨검출수단과 ; 상기에서 검출된 화상레벨로부터 누름력을 판정하여, 상기 누름력 변경수단을 구동시키는 제 1 구동제어수단을 더 구비한 것이 특징인 쉬트교정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쉬트의 종류를 검출키 위한 쉬트종류 검출수단과 ; 상기 검출된 쉬트종류로부터 상기 누름력을 판정하여, 상기 누름력 변경수단을 구동시키는 제 2 구동제어수단을 더 구비한 것이 특징인 쉬트교정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레벨이, 토너화상밀도 레벨과 토너화상 컬러 데이타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쉬트교정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서로 결합되는 1쌍의 가열롤러 부재를 갖으며, 토너화상을 정착시키기 위한 제 2 닙부를 제공키 위한 고정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 2 닙부분이 상기 제 1 닙부분과 직렬로 배치된 것이 특징인 쉬트교정장치.
KR1019920008106A 1991-05-14 1992-05-14 쉬트교정장치 KR9500025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138376 1991-05-14
JP3138376A JPH04338060A (ja) 1991-05-14 1991-05-14 用紙のカール低減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2052A KR920022052A (ko) 1992-12-19
KR950002518B1 true KR950002518B1 (ko) 1995-03-21

Family

ID=15220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8106A KR950002518B1 (ko) 1991-05-14 1992-05-14 쉬트교정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287157A (ko)
JP (1) JPH04338060A (ko)
KR (1) KR9500025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91783B2 (en) * 2017-06-28 2022-11-08 Kyocera Document Solutions Inc. Inkjet recording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45541B2 (ja) * 1992-05-12 1999-09-0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5392106A (en) * 1993-06-25 1995-02-21 Xerox Corporation Automatic sheet decurler apparatus
US5414503A (en) * 1993-12-13 1995-05-09 Xerox Corporation Predictive decurler apparatus and method
JP2822883B2 (ja) * 1994-04-13 1998-11-11 日本電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5515152A (en) * 1994-10-03 1996-05-07 Xerox Corporation Multi-gate tandem decurler
US5519481A (en) * 1994-10-11 1996-05-21 Xerox Corporation Adaptive decurler for selective decurling of localized image areas
US5787331A (en) * 1994-12-14 1998-07-28 Canon Kabushiki Kaisha Curl correction device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US5580044A (en) * 1994-12-16 1996-12-03 Xerox Corporation Low aspect ratio, wide belt/long roller tracking system
US5539511A (en) * 1994-12-16 1996-07-23 Xerox Corporation Multilevel/duplex image sheet decurling apparatus
KR200154398Y1 (ko) * 1995-07-13 1999-08-02 윤종용 감열기록지 펴짐 장치
DE59706262D1 (de) * 1996-10-22 2002-03-14 Oce Printing Systems Gmbh Entwölbungseinheit für trägermaterial
US6308952B1 (en) * 1998-01-27 2001-10-30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Paper sheet discharge apparatus
US6002913A (en) * 1998-11-05 1999-12-14 Xerox Corporation Xerographic fuser module with integral sheet decurler
JP3413148B2 (ja) * 2000-03-14 2003-06-03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6619657B2 (en) 2000-03-14 2003-09-16 Canon Kabushiki Kaisha Curl correction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curl correction device
JP2003295657A (ja) * 2002-04-04 2003-10-15 Konica Corp 定着装置
US20050018257A1 (en) * 2003-07-21 2005-01-27 Andersen Eric L.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ing transparency sheet media
JP4042062B2 (ja) * 2005-01-27 2008-02-0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6273470A (ja) * 2005-03-28 2006-10-12 Fuji Xerox Co Ltd カール補正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100530386B1 (ko) 2005-08-03 2005-11-22 (주)코스트플러스코리아 숙성 마늘의 제조방법
JP4717600B2 (ja) * 2005-11-11 2011-07-06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162004B2 (ja) * 2005-12-13 2008-10-08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及びシート材搬送装置
JP4165573B2 (ja) 2006-04-13 2008-10-15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用紙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US7641193B2 (en) * 2006-10-31 2010-01-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heet bending
JP5025350B2 (ja) * 2007-06-26 2012-09-12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ル矯正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7690248B2 (en) * 2007-12-18 2010-04-06 Xerox Corporation Measurement of paper stack topography
JP2010001089A (ja) 2008-06-18 2010-01-07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用紙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2010145530A (ja) * 2008-12-16 2010-07-01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
JP5560896B2 (ja) * 2009-09-04 2014-07-30 株式会社リコー 搬送装置及びこの搬送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KR20110057874A (ko) * 2009-11-25 2011-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의 배지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1121707A (ja) * 2009-12-10 2011-06-23 Fuji Xerox Co Ltd 媒体矯正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9176469B2 (en) * 2014-01-31 2015-11-03 Xerox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a scheme for cooling, and minimizing curl in, output image receiving media substrates in image forming devices
JP2015221723A (ja) * 2014-04-30 2015-12-10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682225B2 (ja) * 2014-10-09 2020-04-15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645692B2 (ja) 2014-10-09 2020-02-14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598541B2 (ja) * 2015-07-14 2019-10-30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ル補正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9052016A (ja) 2017-09-14 2019-04-04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カール矯正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7077741B2 (ja) * 2018-04-13 2022-05-3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カール矯正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7077740B2 (ja) * 2018-04-13 2022-05-3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カール矯正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7259318B2 (ja) 2018-12-25 2023-04-18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カール矯正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00057A (ja) * 1981-12-04 1983-06-14 Ricoh Co Ltd シ−ト材のカ−ル除去装置
JPS59167450A (ja) * 1983-03-14 1984-09-20 Fuji Xerox Co Ltd 用紙のカ−ル補正装置
US4505695A (en) * 1983-04-18 1985-03-19 Xerox Corporation Sheet decurling mechanism
JPS6031464A (ja) * 1983-07-27 1985-02-18 Fuji Xerox Co Ltd 用紙のカ−ル補正装置
JPS6052459A (ja) * 1983-08-31 1985-03-25 Fuji Xerox Co Ltd 複写機の用紙搬送装置
JPS62130967A (ja) * 1985-12-02 1987-06-13 Konishiroku Photo Ind Co Ltd 単色カラ−複写装置
JP2540815B2 (ja) * 1986-09-11 1996-10-09 ミノルタ株式会社 自動ペ―パ―セレクト機能を備えた複写機
JPS63180668A (ja) * 1987-01-22 1988-07-25 Canon Inc シ−トカ−ル除去装置
US5066984A (en) * 1987-11-17 1991-11-19 Gradco Systems, Inc. Decurler
US5104117A (en) * 1988-01-15 1992-04-14 Emf Corporation Paper sheet sorting apparatus
JPH01267257A (ja) * 1988-04-14 1989-10-25 Minolta Camera Co Ltd カール矯正装置
JPH0297352A (ja) * 1988-09-30 1990-04-09 Kanegafuchi Chem Ind Co Ltd 調理用油脂
JP2660927B2 (ja) * 1989-01-31 1997-10-0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718155B2 (ja) * 1989-03-20 1998-02-25 ミノルタ株式会社 カール矯正装置
JPH0350583A (ja) * 1989-07-18 1991-03-05 Nec Corp プリンタ装置
US5084731A (en) * 1990-12-24 1992-01-28 Eastman Kodak Company Sheet decurling mechanism and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91783B2 (en) * 2017-06-28 2022-11-08 Kyocera Document Solutions Inc. Inkjet record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2052A (ko) 1992-12-19
US5287157A (en) 1994-02-15
JPH04338060A (ja) 1992-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2518B1 (ko) 쉬트교정장치
US717758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US6259888B1 (en) Curl correct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6619657B2 (en) Curl correction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curl correction device
US20170097604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10106355B2 (en) Sheet convey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6659152B2 (ja) 画像形成装置
US20090257801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url straightening device
JP3657322B2 (ja) 多ゲートタンデム型カール除去装置
JPH08217313A (ja) 画像形成装置のカール修正装置
WO2010007928A1 (ja) 画像形成装置
US1079528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controller controlling fixing and transfer members
US5978645A (en) Heat roller fixing device having curl correction mechanism
JPS6327372A (ja) 画像形成装置
JPH08202169A (ja) 画像記録装置
JP3882533B2 (ja) 用紙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782493B2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シート処理装置
US20240101381A1 (en) Sheet transport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H04173655A (ja) 用紙カール矯正装置
JPH08290857A (ja) 定着装置におけるカール矯正装置
JP7447423B2 (ja) カール補正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H0940209A (ja) 搬送ローラ対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2211817A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674197B2 (ja) サイドレジストレーション装置
JPH09152802A (ja) 電子写真プリン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2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