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8386B1 - 화상판독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판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8386B1
KR910008386B1 KR1019880004052A KR880004052A KR910008386B1 KR 910008386 B1 KR910008386 B1 KR 910008386B1 KR 1019880004052 A KR1019880004052 A KR 1019880004052A KR 880004052 A KR880004052 A KR 880004052A KR 910008386 B1 KR910008386 B1 KR 9100083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ument
original
light
light source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4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3063A (ko
Inventor
다카시 고시유지
츠요시 이시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2087488A external-priority patent/JPH08862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2119993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286062A/ja
Priority claimed from JP62182726A external-priority patent/JPS6425668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치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880013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30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8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83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0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0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 H04N1/1013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with sub-scanning by translatory movement of at least a part of the main-scanning components
    • H04N1/1026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with sub-scanning by translatory movement of at least a part of the main-scanning components using a belt or c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24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 H04N1/028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0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 H04N1/1013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with sub-scanning by translatory movement of at least a part of the main-scanning components
    • H04N1/1017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with sub-scanning by translatory movement of at least a part of the main-scanning components the main-scanning components remaining positionally invariant with respect to one another in the sub-scanning di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0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 H04N1/1013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with sub-scanning by translatory movement of at least a part of the main-scanning components
    • H04N1/1039Movement of the main scanning components
    • H04N1/1043Movement of the main scanning components of a sensor arr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0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 H04N1/1013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with sub-scanning by translatory movement of at least a part of the main-scanning components
    • H04N1/1039Movement of the main scanning components
    • H04N1/1048Movement of the main scanning components of a lens or lens arran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9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multi-element arrays
    • H04N1/191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multi-element arrays the array comprising a one-dimensional array, or a combination of one-dimensional arrays, or a substantially one-dimensional array, e.g. an array of staggered elements
    • H04N1/192Simultaneously or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scanning picture elements on one main scanning line
    • H04N1/193Simultaneously or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scanning picture elements on one main scanning line using electrically scanned linear arrays, e.g. linear CCD arr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02Arrangements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one of the scanning methods covered by groups H04N1/04 - H04N1/207
    • H04N2201/0418Arrangements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one of the scanning methods covered by groups H04N1/04 - H04N1/207 capable of scanning transmissive and reflective originals at a single scanning s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화상판독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판독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외관도.
제2도는 제1도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판독장치의 내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제3도는 제2도의 실시예에 따른 원고주사부의 주사이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제4도는 화상판독장치의 전체적인 제어계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제5도는 화상판독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제6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제7도는 제6도의 실시예에 따른 원고주사부의 주사기이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제8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판독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외관도.
제9도는 제8도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판독장치의 내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주사기본체 2 : 원고대(인자판유리)
3 : 제1주사기 4 : 제2주사기
5 : 원고주사부 6 : 조명램프(제1원(형광등))
7, 24 : 운반대 7a : 지지부재
8, 52 : 안내레일 9, 26 : 안내축
10, 27 : 주사용 모터 11, 28 : 구동풀리
12, 29 : 종속풀리 13, 30 : 타이밍벨트
21 : 조명램프(제2광원(형광등)) 22 : 광전변환기(광전변환수단)
23 : 광학계(광집속성랜즈) 31 : 고정부재
41 : 스케일(scale) 42 : 투과용기준판
43 : 반사용기준판 51 : CPU
53 : 규격화회로 54 : 메모리
55, 56 : 광원제어부 57, 58 : 모터구동부
59 : A/D변환기 60 : 투명판
61 : 조작판넬 63 : 반사판(반사지)
64, 65 : 열린구멍부 70 : 롤라
71 : 원고를 누르는부재 611 : 판독개시키
612 : 반사모우드키 613 : 투고모우드키
O : 원고 Q : 핀트면
본 발명은 반사광 또는 투과광을 이용해서 원고위의 화상을 판독하여 그 판독된 화상에 대응되는 화상신호를 컴퓨터등의 외부기기로 출력하도록된 화상판독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퍼스널컴퓨터등의 기능이 향상됨에 따라 화상 정보를 컴퓨터로 입력시키기 위한 화상판독장치가 일반에게 공급되고 있는 바, 그러한 화상판독장치는 예컨대 와타나베씨가 미국에 출원하여 특허를 획득한 미국특허 제4,623,937호에 공개되어 있는데, 이 특허에서는 원고에 광원으로부터 나오는 광을 조사하고 원고로부터 반사되는 반사광을 광전변환시켜줌으로써 원고위의 화상에 대응되는 화상신호를 얻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반사광을 광전변환시켜서 화상신호를 얻는 것과는 달리 원고를 투과한 광을 광전변환시켜서 화상신호를 얻는 화상판독장치도 있다.
상기한 것처럼, 현존하는 화상판독장치는 반사광을 이용해서 원고상의 화상을 판독하거나 투과광을 이용해서 원고상의 화상을 판독하는 두가지 방식중 어느 한 방식으로 되어 있는바 반사광이나 투과광을 임의로 사용해서 판독할 수 있는 장치는 존재하고 있지 않다. 그래서 반사광 및 투과광중 어느 한쪽을 임의로 사용해서 원고를 판독할 수 있는 장치가 요망되고 있다.
예컨대 상기 반사광을 이용하게 되는 원고로서는 통상의 흑백원고가 있으며 투과광을 이용하게 되는 원고로서는 투명한 필름 또는 OHP용지등과 같은 포지티브 화상 및 네가티브 화상의 원고가 있다. 여기서 투과광을 사용하도록 되어 있는 원고인 투명필름상의 포지티브화상을 반사광을 이용해서 판독하게 되면 , 원고커버면(백색면)에 의한 확산 즉 광의 회절에 의해 미세한 선등이 흐려지거나 번져서 해상도가 낮아지고 만다.
따라서 그와 같은 투명필름 원고상의 포지티브화상은 투과광을 이용해서 판독을 하게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반사광용인 원고와 투과광용인 원고 모두를 판독할 수 있는 화상판독장치는 없으므로 양쪽원고의 화상을 판독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두대의 화상판독장치를 준비해야만 하였다.
본 발명은 반사광 및 투과광을 임의로 사용해서 원고위의 화상을 판독할 수 있는 것이 요망되고 있는 실정을 감안해서 발명된 것으로서 반사광 및 투과광을 임의로 사용해서 원고위의 화상을 판독할수 있도록 화상판독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판독장치는 화상을 판독해야 할 원고를 얹어놓는 원고대와 상기 원고대의 윗쪽방향으로부터 상기 원고대상에 얹혀진 원고에 광을 조사하는 제1광원 상기 원고대의 아랫쪽방향으로부터 상기 원고에 광을 조사는 제2광원, 상기 제1광원으로부터의 광이 상기 원고를 투과한 투과광 또는 상기 제2광원으로부터의 광이 상기 원고에서 반사한 반사광중 어느 하나를 받아서 전기 신호로 변환시켜 화상데이터로서 출력하는 광전변환수단, 상기 제1광원을 상기 원고대를 따라서 이동시키는 제1이동수단, 상기 제2광원과 상기 광전변한수단을 상기 원고대를 따라서 이동시키는 제2이동수단, 상기 원고가 반사광용인지 투과광용인지를 지정하는 지정수단 및, 상기 지정수단의 지정에 따라서 원고가 투과광용인 경우 상기 제1광원을 점등시킴과 더불어 상기 제1, 제2이동수단에 의거 상기 제1광원과 상기 광전변환수단을 상기 원고대를 따라서 이동시키는 것을 제어하고 원고가 반사광용인 경우 상기 제2광원을 점등시킴과 더불어 상기 제2이동수단에 의거 상기 제2광원과 상기 광전변환수단을 상기 원고대를 따라서 이동시키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내지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판독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반사광용인 원고(통상의 원고) 또는 투과광용인 원고(포지티브 및 네가티브 필름 , OHP용지)상의 화상을 판독하여 컴퓨터등의 외부기기로 판독된 화상신호를 출력하는 주사기를 위주로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서 참조부호 1은 주사기본체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 본체(1)의 윗면 앞부분에는 조작판넬(61)이 설치되어 있고, 윗면에는 투명유리로 이루어지는 원고대(2 ; 인자판유리)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1)에는 원고대(O)가 끼워지도록 설치된 제1주사기(3)와 제2주사기(4)로 구성되는 원고주사부(5)가 설치되어 있는데, 여기서 상기 제1주사기(3)는 상기 원고대(2)의 윗쪽에 설치되어 원고대(2)의 윗면을 따라서 도시한 화살표(a)방향으로 왕복이동함으로써 원고대
(2) 상에 셋트된 원고(O)를 광학적으로 주사하는 것으로서, 원고(O)를 조명하는 조명램프[6 ; 제1광원(형광등)]와 이 조명램프(6)를 지지하는 지지부재(7a) 및 이 지지부재(7a)와 열린 구멍부(64)를 통해서 연결하는 운반대(7)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운반대(7) 및 지지부재(7a)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내레일(8)과 안내축(9)에 의해서 화살표(a)방향으로 왕복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안내축(9)의 끝부분 근처에는 정역회전 가능한 주사용모터(10 ; 예컨대 펄스모터)에 의해서 구동되는 구동풀리(11)가 설치되어 있고, 다른쪽에는 종속풀리(12)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풀리(11,12)사이에는 타이밍벨트(13)가 걸쳐 있는데, 이 타이밍 벨트(13)의 한점은 고정부재(도시하지 않았음)를 통해서 운반대(7)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주사용모터(10)가 정 또는 역회전함으로써 운반대(7)가 직선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주사기(4)는 상기 원고대(2)의 아랫쪽에 설치되어 원고대(2)의 아랫면을 따라서 도시한 화살표(a) 방향으로 왕복이동함으로써 원고대(2)상에 셋트된 원고(O)를 광학적으로 주사하는 것으로서, 원고를 조명하는 조명램프(21 ; 제2광원(형광등))와 원고(O)로부터의 반사광 또는원고 (O)로부터의 투과광을 받는 투과광을 받는 광전변환기(22 ; 광전변환수단), 원고(O)로부터의 반사광 또는 투과광을 광전변환기(22)로 인가하는 (23 ; 광집속성 렌즈) 및 이들을 지지하는 운반대(24)로 구서되어 있다.
상기 광전변환기(22)는 원고(O)로부터의 반사광 또는 투과광을 광전변환함으로써 원고(O)의 화상을 전기신호로서 출력하게 되는바, 광전변환기(22)는 예컨대 CCD형 라인이미지센서등을 주체로 구성되고, 상기 운반대(24)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내레일(25)과 안내축(26)에 의해서 화살표(a)방향으로 왕복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되고 있다. 그리고 안내축(26)의 일단측에는 정역회전 가능한 주사용모터(27 ; 예컨대 펄스모터)로 구동되는 구동풀리(28)가 설치되어 있고, 타단측에는 종속풀리(29)가 설치되어 있다. 또 이들풀리(28,29)사이에는 타이밍벨트(30)가 걸쳐져 있는데, 이 타이밍벨트(30)의 한점은 고정부재(31)를 통해서 운반대(24)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주사용모터(27)가 정 또는 역회전함으로써 운반대(24)가 직선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원고대(2)의 끝부분 윗면에는 원고(O)를 얹어놓는 기준면인 스케일(41 ; scale)과 투과용기준판(42) 및 반사용기준판(43)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투과용기준판(42)은 상기원고대(2)의 위에 설치되고, 두꺼운 재료로 되어 있다. 그에 따라 광학적 핀트면(Q)에는 먼지가 부착되지 않아 투과용기준판(42)의 윗면(P)에 만약 먼지가 부착하여도 광학적핀트면(Q)에는 먼지가 없으므로 투과기준데이터에는 나쁜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즉, 원고대(2)의 끝면 윗부분에 전용인 두꺼운 원고가 투과기준데이터 판독영역으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투과용기준판(42)상에 만약 먼지가 부착하여도 광학적핀트면에는 먼지가 없으므로 투과기준데이터를 안정되게 판독할 수 있다.
또한 본체(1)의 윗부분에는 도시하지 않은 힌지(hinge)에 의해 개폐될 수 있는 원고커버(62)가 설치되어 있는 바, 이 원고커버(62)의 원고대(2)와 마주보는 쪽에는 반사용인 백색커버로서 백색의 반사판(63 ; 또는 반사지)이 설치되어 있다. 즉, 반사용인 원고(O)를 원고대(2)위에 얹어놓은 경우에는 원고커버(62)를 닫아서 이용하게 된다. 따라서 원고(O)가 반사판(63)에 눌리어 접하고 결과로서 원고(O)의 주름이나 접힘등이 제거된다.
상기 원고커버(62)는 원고(O)가 투과광용인 경우에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린채로 사용된다. 따라서 상기 투과광용인 제1주사기(3) 결국 지지부재(7a)는 원고대(2)위를 원고커버(62)와 겹치지 않고 통과할 수 있다.
제4도는 화상판독장치의 전체적인 제어계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인바, 즉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부로서 CPU(51)는 상기의 조작판넬(61 ; 지정수단)과 규격화회로(53), 광원제어부(55, 56), 모터구동부(57, 58) 및 A/D변환기(59)와 각각 접속되어 있다.
상기 조작판넬(61)은 예컨대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고의 판독개시를 지시하기 위한 판독개시키(611)와 판독할 원고가 반사광용인 원고인지 투과광용인 원고인지를 지정(선택)하기 위한 반사모우드키(612) 및 투과모우드키(613)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규격화회로(53)는 원고로부터의 반사광 도는 투과광을 A/D변환시킨 화상데이터와 메모리(54)에 기억되어 있는 반사기준데이터 또는 투과기준데이터에 의해 규격화(세이딩(shading)보정, 즉 광전변환기(22)의 변동보정)를 수행하는 것이고, 메모리(54)는 상기 반사용기준판(43)에 의한 반사광을 A/D 변환시킨 반사기준데이타 또는 상기 투과용기준판(42)에 의한 투과광을 A/D 변환시킨 투과 기준 데이터를 기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광원제어부(55)는 상기의 조명램프(6)와 접속되어 그 점등제어 및 광량제어를 수행하게 되고, 상기 광원제어부(56)는 상기의 조명램프(21)와 접속되어 그 점등제어 및 광량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또 상기 모터구동부(57)는 상기한 주사용모터(10)와 접속되어 주사용모터(10)를 구동시키고, 모터구동부(58)는 상기한 주사용모터(27)와 접속되어 주사용모터(27)를 구동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A/D변환기(59)는 상기한 광전변환기(22)와 접속되어 그 광전변환기(22)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CPU(51)로 출력하게 된다.
다음에 상기한 구성을 갖는 화상판독장치의 동작을 제5도의 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예컨대 지금 조작판넬(61)의 반사모우드키(612) 또는 투과모우드키(613)에 의해 원고(O)를 얹어 조작판넬(61)의 판독개시키(611)를 조작한다(제51단계(S51)). 단, 원고(O)가 반사용인 경우에는 원고커버(62)를 덮고서 판독개시키(611)를 조작하고, 원고(O)가 투과용인 경우에는 원고커버(62)를 열어둔채로 판독개시키(611)를 조작한다.
그렇게 하면 CPU(51)는 모우드키(612,613)중 어느 것이 조작되었는지에 따라 반사모우드인지 투과모우드인지를 판정하게 되는 바(제52단계(S52)), 반사모우드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 CPU(51)는 광원제어부(56)를 제어해서 조명램프(21)를 점등시킴과 더불어 모터구동부(58)를 제어하여 주사용모터(27)를 구동시킴으로써 운반대(24)를 이동시킨다(제53단계(S53)). 그에 따라 조명램프(21)로부터 광은 원고대(2)를 통해서 반사용기준판(43) 및 원고(O)에 조사된다. 이들 반사용기준(43) 및 원고(O; 또는 반사판(63)) 으로부터의 반사광은 광학계(23)를 통해서 광전변환기(22)로 인가되는 바, 이 광전변환기(22)는 인가된 광을 전기신호로 변환시켜 A/D변환기(59)로 송출하게 된다. 따라서 A/D변환기(59)는 송출된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시키게 된다.
그다음 상기 A/D변환기(59)로부터 출력되는 반사용기준판(43)의 판독에 따른 디지탈신호를 반사기준데이터로서 메모리(54)에 기억시킨다(제54단계(S54)). 또 원고(O)위의 화상판독에 의해 얻어진 A/D변환기(59)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규격화호로(53)에서 상기 메모리(54)에 기억되어 있는 반사기준데이터를 이용해서 규격화시킨다(제55단계(S55)). 그리고 이 규격화된 신호를 판독데이터로서 외부장치(도시하지 않았음)로 출력시킨다(제56단계(S56))
또한 CPU(51)는 투과모우드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는 광원제어부(55)를 제어해서 조명램프(6)를 점등시킴과 더불어 모터구동부(57,58)를 제어하여 주사용모터(10,27)를 구동시킴으로써 운반대(7;지지부재(7a))와 운반대(24)를 동기시켜 이동시킨다(제57단계(S57)). 즉, 조명램프(6)와 광전변환기(22)를 동기시켜 이동시킨다. 그에 따라 조명램프(6)로부터의 광은 투과용기준판(42) 및 원고(O)에 조사돤다. 이 투과용기준판(42) 및 원고(O)를 투과한 광은 원고대(2)및 광학계(23)를 통해서 광전변환기(22)로 인가되는바, 이 광전변환기(22)는 인가된 광을 전기신회로 변환시켜 A/D변환기(59)로 송출하게 되고, A/D변환기(59)는 송출된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시킨다.
한편 상기 A/D변환기(59)로부터 출력되는 투과용기준판(42)의 판독에 따른 신호를 투과용데이터로서 메모리(54)에 기억시킨다(제58단계(S58)) 또 원고(O)위의 화상판독에 의해 얻어진 A/D변환기(59)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규격화회로 (53)에서 상기 메모리(54)에 기억되어 있는 투과기준데이터를 이용해서 규격화시킨다(제59단계(S59)). 그리고 규격화된 신호를 판독데이터로서 외부장치(도시하지 않았음)로 출력시킨다(제56단계(S56)).
상기한 바와 같이 원고대위에 놓여진 원고의 종류(즉, 반사광용, 투과광용)에 따라서 원고로부터의 반사광 및 투과광을 임의로 사용해서 판독할 수 있다.
더구나 상기 실시예에서는 투과광용인 원고상의 화상을 판독할 경우에 상기 원고를 누르는 것이 준비되어 있지 않았지만 누르는 것으로서 여러가지가 고안되어 있다.
예컨대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부재(7a)에 누름부재로서 다수의 롤라(70)를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하게 되는바, 이들 롤라(70)는 투과광용인 원고(O)의 판독을 행할 때에는 지지부재(7a)의 이동에 따라서 원고(O)를 눌러서 이동하게 된다. 즉, 원고(O)의 주름이나 접힘을 펴면서 이동하게 된다. 더욱이 이 경우 투과광용인 원고(O)는 원고대(2)위의 원고를 누르는 부재(71)에 의해서 원고(O)의 일단이 원고대(2)에 보존유지되어 위치결정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지지부재(7a)가 이동하여도 원고(O)는 이동하지 않고, 롤라(70)에 의해서 주름이나 접힘을 확실하게 펴주게 된다. 즉, 반사광용원고의 판독인 경우에는 원고커버(62)에 의해 원고(O)의 주름이나 접힘이 없는 상태에서 판독이 가능하고, 투과광용 원고의 판독인 경우에는 조명램프(6) 즉, 지지부재(7a)와 함께 이동하는 롤라(70)에 의해서 원고(O)가 눌리어져 원고(O)의 주름이나 접힘이 없는 상태에서 판독할 수 있다.
또한 투과용인 원고(O)의 판독을 행할 때에는 제8도 및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고대(2)상에 원고를 누르는 투고용으로서 투명커버인 투명판(60)을 얹어 놓아도 좋다. 상기 투명판(60)으로는 투명한 판유리나 아크릴계의 투명수지가 사용되는바, 이 투명판(60)은 광 즉, 조명램프(6)로부터의 조사광을 투과하는 것이며, 원고(O)를 누름으로써 원고(O)의 주름이나 접힘 등을 제거할수 있다. 또 상기 투명판(60)은 사용되지 않을 때에는 본체(1)의 아랫부분의 열린 구멍부(65)내의 수납부(도시하지 않았음)에 수납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그에 따라 여분인 장소가 없도록 콤팩트로 수납할 수 있다. 더구나 지지부재(7a)는 원고대(2)위를 투명판(60)을 통해서(충돌함이 없이)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반사광용 원고의 판독인 경우에는 원고커버(62)에 의한 누름으로 원고(O)의 주름이나 접힘이 없는 상태에서 원고(O)상의 화상을 판독할 수 있고, 투과광용 원고인 경우에는 투명판(60)에 의한 누름으로 원고(O)의 주름이나 접힘이 없는 상태에서 판독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반사형 또는 투과형 어느 원고에 대해서도 임의로 판독할 수 있고, 어떤 판독인 경우에도 원고에 주름이나 접힘이 없는 상태에서 판독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실시예에서는 반사모우드 및 투과모우드를 선택하기 위한 모우드키를 두개 설치했지만 이들은 하나의 모우드키에 의해 실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21)

  1. 화상을 판독해야할 원고를 얹어놓는 원고대와 이 원고대의 윗쪽에서 상기 원고대상에 얹혀진 원고에 광을 조사하는 제1광원, 상기 원고대의 아랫쪽에서 상기 원고에 광을 조사하는 제2광원, 상기 제1광원으로부터 나온 광이 상기 원고를 투과한 투과광이나 상기 제2광원으로부터 나온 광이 상기 원고에서 반사된 반사광중 어느 하나를 수광하여 전기신호로 변환시켜서 화상데이터로 출력하는 광전변환수단, 상기 제1광원을 상기 원고대를 따라서 이동시키는 제1이동수단, 상기 제2광원과 상기 광전변환수단을 상기 원고대를 따라서 이동시키는 제2이동수단, 상기 원고가 반사광용인지 투과광용인지를 지정하는 지정수단 및, 이 지정수단의 지정에 의해 원고가 투과광용으로 지정된 경우 상기 제1광원을 점등시킴과 더불어 상기 제1, 제2이동수단에 의거 상기 제1광원과 상기 광전변환수단을 상기 원고대를 따라서 이동시키는 것을 제어하는 한편 원고가 반사광용으로 지정된 경우 상기 제2광원을 점등시킴과 더불어 상기 제2이동수단에 의거 상기제2광원과 상기 광전변환수단을 상기 원고대를 따라서 이동시키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 구성되어, 원고상의 화상데이터를 판독하도록 되어 있는 화상판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동수단이 상기 제2광원과 상기 광전변환수단을 동기시켜 상기 원고대를 따라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판독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동수단이 상기 제2광원과 상기 광전변환수단을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이 지지부재를 상기 원고대를 따라서 이동시키는 이동기구를 갖추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판독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지정수단의 지정에 의해 원고가 투과광용으로 지정된 경우 상기 제1광원을 점등시킴과 더불어 상기 제1, 제2이동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제1광원과 상기 광전변환수단을 동기시켜 상기 원고대를 따라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판독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반사기준데이터 및 투과기준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상기 광전변환수단에서 출력된 화상데이터를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반사기준데이터 및 투과기준데이터를 이용해서 규격화하는 규격화수단이 구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판독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규격화수단은 상기 원고대상에 얹혀진 원고가 투과광용인 경우에는 상기 광전변환수단에서 출력된 화상데이터를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투과기준데이터를 이용해서 규격화하고, 또 상기원고가 반사광용인 경우에는 상기 광전변환수단에서 출력된 화상데이터를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반사기준데이터를 이용해서 규격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판독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대위에 설치된 투과용기준판과 상기 원고대위에 설치된 반사용기준판 및, 상기 지정수단에 의해서 상기 원고대상에 얹혀진 원고가 투과광용으로 지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투과용기준판을 투과한 투과광을 전기신호로 변환시켜줌으로써 얻어진 상기 광전변환수단으로부터의 화상데이터를 상기 기억수단에 투과기준데이터로서 기억시키고, 상기 지정수단에 의해서 상기 원고가 반사광용으로 지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반사용기준판에서 반사된 반사광을 전기신호로 변환시켜줌으로써 얻어진 상기 광전변환수단으로부터의 화상데이터를 상기 기억수단에 반사기준데이터로써 기억시키는 기억수단이 구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판독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대의 윗면중 원고를 올려놓는 기준면이 되는 위치에는 상기 투과용기준판 및 반사용기준판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원고대상에 얹혀진 원고로부터의 투과광 및 반사광은 광전변환수단에 의해서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판독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용기준판이 두꺼운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판독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동수단에는 이 제1이동수단의 이동에 따라 상기 원고대상에 얹혀진 원고를 누르는 누름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판독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재는 롤라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판독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대상에 얹혀지는 원고의 최소한 한변을 보존유지하는 보존유지수단이 구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판독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대상에 얹혀진 원고가 반사광용인 경우 상기 원고를 원고대에다 눌러주는 백색판과, 상기 원고대상에 얹혀진 원고가 투과광용인 경우 상기 원고를 상기 원고대에다 눌러주는 투명판이 구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판독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제1이동수단은 상기 원고가 상기 투명판에 의해 눌러진 때에 상기 제1광원을 상기 투명판을 따라서 이동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판독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백색판은 상기 원고대로부터 개폐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원고가 반사광용인 경우에는 닫고 또 상기 원고가 투과광용인 경우에는 열어서 사용하는 것이며, 상기 투명판은 상기 원고가 투과용인 경우에는 상기 원고대상에 얹혀진 원고위에 올려놓아 사용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판독장치.
  16. 화상을 판독해야 할 원고를 얹어놓는 원고대와, 이 원고대의 윗쪽에서 상기 원고대상에 얹혀진 원고에 광을 조사하는 제1광원, 상기 원고대의 아랫쪽에서 상기 원고에 광을 조사하는 제2광원, 상기 제1광원으로부터 나온 광이 상기 원고를 투과한 투과광이나 상기 제2광원으로부터 나온 광이 상기 원고에서 반사된 반사광중 어느 하나를 수광하여 전기신호로 변환시켜서 화상데이터로 출력하는 광전변환수단 상기 제1광원과 광전변환수단을 동기시켜서 상기 원고대를 따라서 이동시키는 제1이동수단, 상기 제2광원과 상기 광전변환수단을 동기시켜서 상기 원고대를 따라서 이동시키는 제2이동수단, 상기 원고가 반사광용인지 투과 광용인지를 지정하는 지정수단 및 ,상기 지정수단에 의해 원고가 투과광용인 것으로 지정된 경우 상기 제1광원을 점등시킴과 더불어 상기 제1이동수단에 의거 상기 제1광원과 상기 광전변환수단을 동기시켜 상기 원고대를 따라서 이동시키는 것을 제어하고, 원고가 반사광용인 것으로 지정된 경우 상기 제2광원을 점등시킴과 더불어 상기 제2이동수단에 의거 상기 제2광원과 상기 광전변환수단을 동기시켜 상기 원고대를 따라서 이동시키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 구성되어, 원고상의 화상데이터를 판독하도록 되어 있는 화상판독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동수단은 상기 제1광원을 이동시키는 제1이동기구와 상기 광전변환수단을 이동시키는 제2이동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2이동수단은 상기 제2이동기구와 상기 제2광원 및 상기 광전변환수단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이 제2이동기구는 상기 지지부재를 이동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판독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동수단에는 상기 제1이동수단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원고대상에 얹혀진 원고를 누르는 누름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판독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대상에 얹혀지는 원고의 최소한 한변을 보존유지하는 보존유지수단이 구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판독장치.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대상에 얹혀진 원고가 반사광용인 경우 상기 원고를 상기 원고대에 대해서 눌러주는 백색판과 상기 원고대상에 얹혀진 원고가 투과광용인 경우 상기 원고를 상기 원고대에다 눌러주는 투명판이 구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판독장치.
  21. 화상을 판독해야할 원고를 얹어놓는 원고대와, 이 원고대의 윗쪽에서 상기 원고대상에 얹혀진 원고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어 상기 원고를 투과한 투과광을 수광하여 전기신호로 변환시켜서 화상데이터로 출력하는 광전변환수단, 상기 광원을 상기 원고대를 따라서 이동시키는 제1이동수단, 상기 광전변환수단을 상기 원고대를 따라서 이동시키는 제2이동수단 및 상기 제1, 제2이동수단에 의거 상기 광원과 상기 광전변환수단을 상기 원고대를 따라서 동기시켜 이동시키는 제어수단으로 구성되어, 원고상의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도록 되어 있는 화상판독장치.
KR1019880004052A 1987-04-09 1988-04-09 화상판독장치 KR9100083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87488 1987-04-09
JP62087488A JPH088629B2 (ja) 1987-04-09 1987-04-09 画像読取装置
JP87488 1987-04-09
JP119993 1987-05-19
JP62-119993 1987-05-19
JP62119993A JPS63286062A (ja) 1987-05-19 1987-05-19 画像読取装置
JP62182726A JPS6425668A (en) 1987-07-22 1987-07-22 Image reader
JP182726 1987-07-22
JP62-182726 1987-07-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3063A KR880013063A (ko) 1988-11-29
KR910008386B1 true KR910008386B1 (ko) 1991-10-15

Family

ID=27305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4052A KR910008386B1 (ko) 1987-04-09 1988-04-09 화상판독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4893196A (ko)
KR (1) KR9100083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01063A (ja) * 1987-10-14 1989-04-19 Toshiba Corp 画像情報読取装置
JPH01103356A (ja) * 1987-10-16 1989-04-20 Toshiba Corp 画像情報読取装置
US5239392A (en) * 1988-05-10 1993-08-24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Reading apparatus
JPH0290857A (ja) * 1988-09-28 1990-03-30 Toshiba Corp 情報読取装置
JPH0775385B2 (ja) * 1989-02-20 1995-08-09 シャープ株式会社 読取装置
JPH0327664A (ja) * 1989-06-23 1991-02-06 Toshiba Corp 画像情報読取り装置
US5140443A (en) * 1989-07-25 1992-08-18 Victor Company Of Japan, Ltd. Image scanning apparatus
GB2236448B (en) * 1989-09-08 1994-03-30 Itek Colour Graphics Ltd Image scanning apparatus
US4982235A (en) * 1990-05-22 1991-01-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Image scan apparatus
JPH04331562A (ja) * 1990-07-31 1992-11-19 Xerox Corp 文書複写機
EP0516092B1 (en) * 1991-05-28 1997-03-12 Shinko Electric Co. Ltd. Image reader
JPH05130399A (ja) * 1991-10-31 1993-05-25 Canon Inc 原稿読取装置
DE4238395A1 (en) * 1991-11-15 1993-05-19 Asahi Optical Co Ltd Image processing system e.g. copier or facsimile appts for documents - has reflective and light transmitting documents scanned by unit with optical sensor moved relative to document.
US5432622A (en) * 1992-05-29 1995-07-11 Johnston; Gregory E. High-resolution scanning apparatus
JP3188521B2 (ja) * 1992-07-22 2001-07-16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読取方法および画像読取装置
JP3302746B2 (ja) * 1992-12-18 2002-07-15 株式会社リコー 走行体駆動装置
US5341192A (en) * 1993-03-02 1994-08-23 Black & Veatch Architects, Inc. Flow camera for large document reproductions
JP2889080B2 (ja) * 1993-04-27 1999-05-10 シャープ株式会社 スキャナ
US5450173A (en) * 1993-06-09 1995-09-12 Optica U.S.A. Duplicating device for producing copies of three-dimensional objects
US5898508A (en) * 1993-06-09 1999-04-27 Bekanich; Joseph A. Apparatus for producing multi-dimensional images or reproductions of three dimensional objects
JPH0774990A (ja) * 1993-08-31 1995-03-17 Elmo Co Ltd 撮像装置
DE9400385U1 (de) * 1994-01-12 1994-05-11 Just Gmbh & Co Buerokommunikat SCSI-Durchlichtscanner
JPH08154191A (ja) * 1994-11-25 1996-06-11 Asahi Optical Co Ltd 電子スチルカメラのファインダ
US6088532A (en) * 1995-01-06 2000-07-11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Image signal reading operation control device
US5862425A (en) * 1995-01-26 1999-01-19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Electronic color still video camera having electro-developing recording medium
JP3477268B2 (ja) * 1995-01-26 2003-12-10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画像信号入力装置
US5710643A (en) * 1995-06-29 1998-01-20 Agfa Divisionn, Bayer Corporation Optical path for a scanning system
US5532846A (en) * 1995-06-29 1996-07-02 Agfa Division, Bayer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ositioning a focusing lens
EP0751671A3 (en) * 1995-06-29 1999-03-24 Bayer Corporation Scanning system for scanning reflective and transmissive images
US5523876A (en) * 1995-06-29 1996-06-04 Agfa Division, Bayer Corporation Scanner drive system having minimum rotational error carriage suspension
US5673125A (en) * 1995-08-03 1997-09-30 Agfa Division, Bayer Corporation Scanning system for scanning transmissive and reflective originals
US5666611A (en) * 1995-09-29 1997-09-09 Chuan; Tsia Shui Image scanner with one lighting unit and one drive system for scanning either reflective or transparent objects
JP3793600B2 (ja) * 1996-02-20 2006-07-05 株式会社オプトエレクトロニクス 光学的パターン読取装置
US5780829A (en) * 1997-01-31 1998-07-14 Mustek Systems Inc. Flat-plate scanner having a beam-splitting prism/mirror and two light emitting sources
US6338432B1 (en) * 1997-02-19 2002-01-15 Opticon Inc Optical pattern reading apparatus with movable optical unit
TW336004U (en) * 1997-03-26 1998-07-01 Mustek Systems Inc Improvement on a scanner
JPH10290321A (ja) 1997-04-14 1998-10-27 Nikon Corp 画像読取装置および透過原稿アダプタ
US6005684A (en) * 1997-12-29 1999-12-21 Mustek Systems Inc. Sheet-feed type scanner with document sheathe
TW361032B (en) * 1998-01-22 1999-06-11 Benq Corp Scanner with upper and lower light sources and movable upside light source shield
US6101004A (en) * 1998-01-30 2000-08-08 Sung; Hsiung-Wei Scanning device
US6216952B1 (en) * 1998-09-09 2001-04-17 Dbtel Incorporated Structure of a scanner
US6504626B1 (en) * 1999-07-26 2003-01-07 Ememory Technology Inc. Scanner with an external keyboard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scanner
US6325288B1 (en) * 1999-08-09 2001-12-04 Webscan, Inc. Self-contained scanning and verifying apparatus with movably mounted scanning unit
JP3911111B2 (ja) * 2000-01-28 2007-05-09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US7092131B2 (en) * 2001-08-03 2006-08-15 Po-Hua Fang Transparency scanning module
US7212318B2 (en) * 2002-11-26 2007-05-01 Pamela Bradbery Apparatus and method for an enhanced reading device with automatic line registration
US8179573B2 (en) * 2004-12-21 2012-05-1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canning two images of media
KR100667832B1 (ko) * 2005-11-12 2007-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주행 모듈을 포함하는 화상독취장치
US8089663B2 (en) * 2007-12-12 2012-01-03 Lexmark International, Inc. Detachable transparent plate for scan head assembly
US8107135B2 (en) * 2008-06-25 2012-01-31 Burroughs Payment Systems, Inc. Motorized document scanner
JP6025782B2 (ja) * 2014-06-30 2016-11-1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原稿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759A (en) * 1977-06-03 1979-01-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Feeder for taping parts
US4486786A (en) * 1981-09-08 1984-12-04 Canon Kabushiki Kaisha Original reading device
US4542414A (en) * 1982-08-24 1985-09-17 Canon Kabushiki Kaisha Original reading apparatus
JPS59114967A (ja) * 1982-12-21 1984-07-03 Fuji Xerox Co Ltd 両面画像読取装置
DE3413699A1 (de) * 1983-04-12 1984-10-18 Canon K.K., Tokio/Tokyo Bildverarbeitungssystem
US4684998A (en) * 1983-06-15 1987-08-04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reader suitable for manual scanning
JPS6030259A (ja) * 1983-07-29 1985-02-15 Toshiba Corp 画像情報読取り装置
JPS60263569A (ja) * 1984-06-11 1985-12-27 Mita Ind Co Ltd 光学的読取り装置
JPS6187478A (ja) * 1984-10-01 1986-05-02 Canon Inc 画像読取り装置
US4673989A (en) * 1984-12-15 1987-06-16 Dainippon Screen Mfg.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plural images with desired layout by an image reproducing scanner
US4689693A (en) * 1985-05-14 1987-08-25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reading apparatus
US4731667A (en) * 1985-07-15 1988-03-15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apparatus
JPS62173272A (ja) * 1986-01-28 1987-07-30 Toshiba Corp 画像形成装置
US4743974A (en) * 1986-12-18 1988-05-10 Xerox Corporation Dual scanning array raster input scan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893196A (en) 1990-01-09
KR880013063A (ko) 1988-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8386B1 (ko) 화상판독장치
KR910005329B1 (ko) 화상판독장치
US5038227A (en) Image information reading apparatus
JPS5923670B2 (ja) 原稿読取り装置
EP1347628A1 (en) Image reading system
JP3385178B2 (ja) スキャナ装置
JPS63276363A (ja) 画像読取装置
JP2003037713A (ja) 画像読取装置
JP2908271B2 (ja) 画像読取装置
US5926290A (en) Document-tray-driven apparatus for a photo drive
JPS63252063A (ja) 画像読取装置
JPH01859A (ja) 画像読取装置
JPS63286062A (ja) 画像読取装置
JPH088629B2 (ja) 画像読取装置
JP2003037712A (ja) 画像読取装置
JP3114285B2 (ja) 透過原稿用照明装置
JP3393178B2 (ja) 画像読取装置
JPH06233070A (ja) イメージスキャナ
JPS6367963A (ja) 画像読取り装置
JP2003241327A (ja) 画像読み取り装置
JPS61125273A (ja) 読取装置
JPH0193258A (ja) 画像読取装置
JP3634188B2 (ja) 画像読取装置
JPH0548838A (ja) 画像読取り装置
JPH0454064A (ja) 画像読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