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0544B1 - 저장성 카모밀레 추출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저장성 카모밀레 추출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0544B1
KR900000544B1 KR1019850006776A KR850006776A KR900000544B1 KR 900000544 B1 KR900000544 B1 KR 900000544B1 KR 1019850006776 A KR1019850006776 A KR 1019850006776A KR 850006776 A KR850006776 A KR 850006776A KR 900000544 B1 KR900000544 B1 KR 9000005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omile
extract
content
raw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6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2274A (ko
Inventor
이자크 오토
카를레 라인홀트
Original Assignee
데구사 아크티엔게젤샤프트
게르 하르트 노바크, 로렌쯔 크레우쯔비흘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구사 아크티엔게젤샤프트, 게르 하르트 노바크, 로렌쯔 크레우쯔비흘러 filed Critical 데구사 아크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860002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22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0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05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 Compounds Of Unknown Constitution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Gears, Cams (AREA)
  • Breeding Of Plants And Reproduction By Means Of Culturing (AREA)
  • Other Investigation Or Analysis Of Materials By Electrical Means (AREA)
  • Luminescent Compositions (AREA)
  • Transition And Organic Metals Composition Catalysts For Addition Polymerization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 Anti-Oxidant Or Stabilizer Compositions (AREA)
  • 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저장성 카모밀레 추출물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활성성분 함량이 높은 저장성 카모밀레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상 카모밀레 추출물은 여러방법으로, 예를 들면 침연법, 투수법, 재투수법 또는 연쇄투수법으로 수득할 수 있다. 이들 방법 모두에 공통되는 특징 하나는 출발물질로서 카모밀레 약제, 즉 건조 화두(化頭)를 사용하는 점이다. 카모밀레화 및 카모밀레 추출물의 품질은 비사볼롤(bisabolol)함량 뿐 아니라, 정유(essentialoil), 카마줄렌 (chamazulene) 및 플라본(flavone)의 함량에 좌우된다.
카모밀레화는 건조공정중에 그 중량의 75 내지 85%가 손실된다. 그러나, 이때 카모밀레화는 또한 사용된 건조방법의 형태에 따른 만큼 활성물질의 손실이 따른다. 제조 조건하에 비사볼롤 형의 생(生)카모밀레를 건조하는데 있어서, 예를 들어 비교적 낮은 건조온도에서 조차 정유 47% 또는 카마줄렌 48%와 (-)-α-비사볼롤 46%의 손실이 예상될 수 있다.
또한, 카모밀레 약제를 저장하는 동안에도 활성성분의 손실이 따른다. 예를 들면, 카모밀레 약제를 1년동안 저장한 후에 정유 함량은 43.8% 감소하며, 정유중 카마줄렌 함량은 과비례적으로 68.4% 감소한다.
다른 문제점은 카모일레에 존재하는 활성성분을 약제로부터 추출하기가 어렵다는 점이다. 예를들면, 알코올 함량이 45%인 액상 추출물의 제조에 있어서, 약제중에 함유된 정유 약 절반만이 추출물로 옮겨진다.
생 카모밀레(즉, 새로 채취한 화두)의 추출은 새로 채취한 식물 또는 이의 부분이 이들의 함량에 영향을 미치는 효소적으로 조정되거나 미생물학적으로 유도된 여러 방법을 거치기 때문에 아직까지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식물성 효소를 불활성하거나 변성시키는 것은 건조중에 물의 제거에 의해서만이 이루어진다. 생 카모밀레를 86% 알코올로 추출한 경우가 보고된 적이 있지만(참조 : Arch. Pharm. 280 (1942), 437 내지 438페이지), 여기에서는 추출물을 계속해서 20분간 비등시켜 효소를 파괴시켜야 한다. 그러나 이 경우에, 아줄렌(azulene) 수율은 18.4%에 불과 하였으며, 5개월후에는 추출물에서 원래 존재한 아줄렌이 거의 모두 손실되었다.
또한, 공지의 카모밀레에 존재하는 활성성분은 저장수명이 제한되어 있다. 특히 카마줄렌함량에 있어 급격한 감소가 있으며, 이는 알칼리를 가하여도 방지할 수 없다.
놀랍게도, 본 발명에 따르는 생 카모밀레의 추출방법이 카모밀레 약제의 공지 추출방법에 비해 유리한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활성성분의 수율을 개선시킬 수 있으며, 저장 수명도 또한 개선시킬 수 있다.
의외로, 이와 관련하여 가열에 의해 생 식물의 추출물을 안정화 시킬 필요가 없다. 연속적인 효소활성에 관계없이, 상기 언급한 잇점을 얻고자 하는 경우에는 생 카모밀레 추출물을 가열하는 것은 피해야 한다.
카모밀레 생화의 포화는 포화 지방족(C1내지 C4)알코올,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1-프로판올, 2-프로판올, 더욱 특히 에탄올 및 이소프로판올을 사용하여 수행한다. 또한 순수한 (100%)알코올, 또는 알코올 함량이 40 내지 100중량%, 바람직하게는 50내지 9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85중량%일 수 있는 이들 알코올과 물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추출은 10 내지 6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의 온도범위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추출용매중의 알코올 농도는 약제당량 또는 생성된 추출물중에 존재하는 카모밀레의 건조중량에 따라 좌우된다. 생 카모밀레의 약제당량은 생 카모밀레를 통상의 방법으로 즉, 직사광선이 미치지 않는 40 내지 60℃의 박층에서 건조시키는 방법과 같이 카모밀레 약제의 제조에 통상 사용되는 방법중 어느 방법으로 건조시켜 수득한 카모밀레 약제의 중량이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수득한 약제는 일반적으로 여전히 물 10중량% 까지를 함유한다. 대조적으로, 카모밀레의 건조중량은 실질적으로 무수 상태인 약제의 중량이다.
예를 들어 추출용매에 대한 생 카모밀레의 비가 높은 경우, 추출용매의 알코올 함량은 그와 비례하여 높아야 한다. 그러나, 생 카모밀레 1중량부(건조중량 : 샘플을 105℃ 건조 캐비넷에서 3시간 동안 건조시켜 측정)는 추출물의 적어도 4중량부, 바람직하게는 4 내지 8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6중량부에 해당되어야 하고, 추출용매의 알코올함량은 추출물에 알코올이 20중량% 미만으로 함유되지 않는 정도로 계산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추출물의 알코올함량은 20 내지 50중량%,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5중량%이어야 한다. 생 카모밀레 100g은 일반적으로 20 내지 30g의 건조중량에 해당한다.
추출물의 알코올 함량에 따라, 생 카모밀레 100g(수분함량 73.6중량%에 해당하는 생 카모밀레 건조중량 24.6g)당 알코올의 사용량은 다음과 같다 : 생 카모밀레 100g에 대해 에탄올 57g(96용적%)을 사용하면 추출물 중 알코올함량은 40중량%가 된다.
약제의 추출방법에서처럼, 활성성분의 수율은 추출매질의 알코올함량에 좌우된다. 첨가된 알코올과 함께 생 카모밀레의 결합수(=수분함량)는 추출매질을 말한다. 그러므로, 생 카모밀레의 수분함량을 고려하여, 추출물중에 원하는 알코올함량이 함유되도록 알코올의 첨가량을 선전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카모밀레 생화(생카모밀레)는 채취한 후 24시간 내에 추출하거나 동결시킨 카모밀레화이다. 이 24시간 동안, 외부의 기후 조건(온도, 공기습도)에 따라 최대 10%(카모밀레 생화의 수분함량에 대해)에 불과한 중등도의 건조가 일어난다.
일반적으로, 카모밀레화를 수확한지 24시간내에 추출한다. 이 시간에 추출할 수 없는 경우에는 추출할 때까지 동결시킬 수 있다.
동결된 카모밀레화도 또한 본 발명의 공정에 사용될 수 있으며, 단 동결시키는 데는 카모밀레 생화(상기 언급한)를 사용한다. 카모밀레 생화의 동결방법은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수행할 수 있다.
생 카모밀레를 -10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 더욱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45℃의 냉기류로 동결시키거나, 액체 가스를 사용하여 연속적으로 또는 배취식으로 동결시키고, 예를 들어 -10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 더욱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45℃의 온도에서 저장한다.
액체 가스를 사용한 연속적 심냉 동결방법은 예를 들어 터널식 빙결기에서 이산화탄소, 질소 또는 프레온, 바람직하게는 액체 질소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동결된 물질은 상기 언급한 온도에서 저장한다. 심냉동결한 카모밀레화는 그대로 사용하거나, 또는 조심스럽게 완전히 해동시키거나 부분적으로 해동(예를 들면 30 내지 60℃로 가열된 추출용매에 부어)시킨 후에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생 카모밀레 약제 대신 샘 카모밀레를 추출하는 경우에, 활성성분의 수율이 보다 높아진다. 따라서, 동일한 건조 중량 및 동일한 약제 당량(1건조중량부=추출물 5부)을 기준하여, 생 카모밀레 함량(=100%)에 대해, 추출물 중 대략 33%의 에탄올 함량과 다음과 같은 수율의 활성성분(건조중량으로 표시)이 수득된다:
[표 1]
Figure kpo00001
대조용으로, 생 카모밀레의 건조를 온화한 조건하에 수행한다. 그러나, 이러한 온화한 조건은 실제로 재현할 수 없다. 따라서, 통상의 제조 조건하에 수득된 약제와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생 카모밀레의 추출방법이 훨신 더 효율적임이 명백하다.
따라서, 생 카모밀레의 추출에 있어서 카모밀레화의 건조에 의한 활성성분, 추출율, 특히 카마줄렌 및 (-)-α-비사볼롤의 손실이 없을 뿐 아니라 개선된다. 또한, 활성성분의 고수율로 목초가 많은 카모밀레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꽃을 채취하는 동안 필연적으로 누적되는 목초를 선별해 낼 필요가 없다.
생 카모밀레의 추출방법은 고가의 건조장치를 사용하는 필요성을 제거해 줄 뿐만 아니라, 이러한 장치의 가동에 포함되는 상당한 에너지 비용도 또한 경감시킨다. 추출물 생산에 포함되는 비용은 이러한 방법으로 현저히 감소될 수 있다.
후술되는 시험에서는 생 카모밀레의 추출로, 문헌에 소개된 45%의 함량보다 더 낮은 알코올함량(예를 들면 알코올함량 25%)을 갖는, 활성성분이 많은 카모밀레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놀랍게도, 알코올 25%를 함유하는 생 카모밀레 추출물에서 조차, 활성성분들은 어떠한 효소적 변화도 일으키지 않음이 밝혀졌다. 알코올함량을 25%로 감소시킴으로써, 수득된 추출물은 알코올 45%를 함유하는 카모밀레 약제 추출물보다 추출성분(수용성 및 수불용성)의 총함량이 대략 20%이상이 된다.
최종적으로, 아주 뜻밖에도 생 카모밀레 추출물의 활성성분에 대한 저장수명은 카모밀레 약제 추출물의 활성성분 보다 상당히 우수한 것으로 밝혀졌다. 예를 들면, 에탄올 26% 및 40%를 함유하는 생 카모밀레 추출물에서는 실온에서 9개월 동안 저장한 후에 마트리신(matricin) 또는 카마줄렌이 감소되지 않는다. 이러한 작용은 효소활성에 의해 분해가 증가되는 것이 추출의 성질에서 추정되는 한 더욱 더 예기치 못했던 것이다.
카마줄렌, 특히 카모밀레 자체 및 카모밀레 추출물에 예비단계 마트리신의 형태로 존재하는 카마줄렌은 저장하는 동안 신속히 분해되는 것으로 문헌에 공지되어 있다. 지금까지, 카모밀레 추출물에서 마트리신의 안정성을 영구히 보장할 수 있는 방법은 알려져 있지 않다.ㅅ
[표 2]
9개월이 경과한후 카모밀레 추출물에 존재하는 활성성분의 함량(출발값-100)
Figure kpo00002
표 2에서 알수 있는 바와 같이, 카모밀레 약제로부터 수득된 추출물중의 아줄렌함량은 9개월 동안 저장한 후에 심하게 감소되는 반면, 정유 및 비사볼롤의 함량은 비교적 안정하다. 생 카모밀레 추출물에서, 정유 및 비사볼롤의 함량은 약제 추출물과 차이가 별로 없다. 대조적으로, 카마줄렌함량은 놀라울 정도로 안정하게 남아 있으며, 출발값에 비해 다소 증가함을 나타낸다.
생 카모밀레의 추출에는 공지의 추출방법중 어느 방법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생 카모밀레는 카모밀레 약제보다 더 용적이 더 크므로, 예를 들어 독일연방공화국 특허 제1093951호에 기술된 바와 같은 침연법 또는 교반 침연법을 사용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각종 카모밀레에 적용될 수 있다. 특히 적절한 품종은 데구밀 종(DDR Degumill 'Variety' patent : 독일연방공화국 특허 제 2402802호 : 이탈리아 특허 제1035096호), 만자나 종(Manzana Variety, 독일연방공화국 공개 특허 제3423207호)및 독일연방공화국 특허원 제P3446216.3호에 따른 카모밀레이다.
따라서, 데구밀 종 카모밀레화의 본 발명에 따른 생 카모밀레 추출물에는 예를 들어 적어도 18mg%의(-)-α-바사볼롤 및 9mg% 미만의 다른 비사볼로이드(예, 비사볼롤 옥사이드)가 함유되어 있다.
만자나 종의 카모밀레화 또는 독일연방공화국 특허원 제P3446216.3호에 따른 카모밀레화를 사용한 경우, 본 발명에 따르는 카모밀레 추출물에는 예를 들어 적어도 24mg%의 (-)-α-비사볼롤 및 12mg% 미만의 다른 비사볼로이드가 함유되어 있다.
생 카모밀레화에는 일반적으로 전체적으로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군집된 익상화판(wing petal)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르는 추출물은 또한 지금까지 건조된 꽃에서 제조된 추출물보다 더 많은 함량의 플라본을 함유한다. 물론 본 발명에 따라 추출하는 동안 생 카모밀레화 익상화판, 동결한 카모밀레화 익상화판, 또는 건조한 카모밀레화 익상화판을 도입하여 플라본함량을 더 증가시킬 수 있다. 카모밀레 익상화판은 고함량의 플라본(예, 아피게닌 및 이의 배당체)을 함유한다.
[실시예 1]
카모밀레 약제 200㎎에 상당하는 양의 생 카모밀레(758g, 수분함량=73.6% : 정유 : 876mg% : 아줄렌 : 57mg% : 비사볼롤 : 151mg%)를 혼합기의 회전속도가 65r.p.m. 인 트라우(trough) 믹서에서 에탄올 510g(84중량%)으로 추출한다. 30분후, 추출물을 압착하고 여과한다. 추출물중 활성성분의 함량을 공지 방법으로 측정한다 :
Figure kpo00003
[비교실시예1 (공지방법)]
상기 실시예에서 사용된 것이나, 단 본 실시예에서는 건조시킨 (건조방법은 직사관선이 미치지 않는 40℃이하의 온도에서 수행함)카모밀레화 200g(정유 : 598mg% : 아줄렌 : 22.7mg% : 비사볼롤 : 150mg% : 수분함량9%)을 회전속도가 65.r.p.m.인 트라우 믹서에서 에탄올 1050g(40중량%)으로 추출한다. 30분후, 약제물질을 압착하고 추출물을 여과한다. 추출물중의 함량을 공지의 방법으로 측정한다.
Figure kpo00004
[실시예 2]
카모밀레 약제 200g에 상당하는 양의 생 카모밀레(952g : 수분함량 : 79% : 정유 : 876mg% : 아줄렌 : 57mg% : 비사블롤 : 151mg%)를 회전속도가 65.r.p.m.인 트라우 믹서에서 에탄올 540g(80중량%)으로 추출한다. 30분후, 추출물을 압착하여 여과해낸다. 추출물중의 활성성분 함량은 공지 방법으로 측정한다:
Figure kpo00005
[비교실시예2 (공지방법)]
상기 실시예 2에서 사용된 것이나, 본 실시예에서는 건조시킨 카모밀레화 200g(비교실시예1에서와 같이 건조시킴 : 정유 : 598mg% : 아줄렌 : 22.7mg% : 비사볼롤 : 150mg% : 수분함량 : 9%)을 회전속도가 65r.p.m.인 트라우 믹서에서 에탄올 1050g(25중량%)으로 추출한다. 30분후, 약제물질을 압착하여 추출물을 여과한다. 추출물중의 활성성분 함량은 공지 방법으로 측정한다.
Figure kpo00006
[실시예 3]
카모밀레 약제 300g에 상당하는 양의 생 카모밀레(1154g : 수분함량 : 74% : 정유 : 950mg% : 아줄렌 : 92mg% : 비사볼롤 옥사이드A : 180mg%)를 회전속도 65rpm의 트라우 믹서에서 2-프로판올 1330g(52중량%)으로 추출한다. 90분후, 추출물을 압착하여 여과한다. 추출물중의 활성성분 함량은 공지의 방법으로 측정한다 :
Figure kpo00007
[비교실시예3 (공지방법)]
실시예 3에서 사용된 것이나, 본 실시예에서는 건조시킨 카모밀레화 300mg(비교실시예1에서와 같이 건조시킴 : 정유 : 740mg% : 아줄렌 : 56mg% : 비사볼롤 옥사이드A : 168mg% : 수분함량 : 9%)을 회전수 65r.p.m의 트라우 믹서에서 2-프로판을 2100g(33중량%)으로 추출한다. 90분후, 약제물질을 압착하여 추출물을 여과해낸다. 추출물중 활성성분의 함량은 공지의 방법으로 측정한다 :
Figure kpo00008

Claims (5)

  1. 카모밀레 생화 또는 동결 카모밀레화를 알칸을 함량이 40% 내지 100%인 수성(C1내지 C4) 알칸올로 추출함을 특징으로 하여, 후속 열처리 없이 활성성분 함량이 높은 저장성 카모밀레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추출을 10 내지 60℃의 온도에서 수행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 있어서, 생 카모밀레화 익상화판(wing petal), 동결시킨 카모밀레화 익상화판 또는 건조한 카모밀레화 익상화판을 추출하기 전 또는 추출하는 동안 추가로 도입시키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18mg%의 (-)-α-비사볼롤 및 9mg% 미만의 다른 비사볼로이드를 함유하는, 활성성분 함량이 높은 저장성 카모밀레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블라본 함량이 증가된, 활성성분 함량이 높은 저장성 카모밀레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KR1019850006776A 1984-09-19 1985-09-17 저장성 카모밀레 추출물의 제조방법 KR9000005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3434342 1984-09-19
DEP3434342.3 1984-09-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2274A KR860002274A (ko) 1986-04-24
KR900000544B1 true KR900000544B1 (ko) 1990-01-31

Family

ID=6245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6776A KR900000544B1 (ko) 1984-09-19 1985-09-17 저장성 카모밀레 추출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1)

Country Link
US (1) US4786497A (ko)
EP (1) EP0175185B1 (ko)
JP (1) JPH0641414B2 (ko)
KR (1) KR900000544B1 (ko)
AT (1) ATE58836T1 (ko)
BR (1) BR8504573A (ko)
CA (1) CA1251142A (ko)
CS (1) CS254346B2 (ko)
DD (1) DD240496A5 (ko)
DE (2) DE3580814D1 (ko)
DK (1) DK161799C (ko)
ES (1) ES8608881A1 (ko)
FI (1) FI79469C (ko)
GB (1) GB2164559B (ko)
GR (1) GR852243B (ko)
HU (1) HU193449B (ko)
IE (1) IE58215B1 (ko)
IL (1) IL76388A (ko)
IN (1) IN164169B (ko)
MA (1) MA20530A1 (ko)
MT (1) MTP970B (ko)
MX (1) MX161477A (ko)
MY (1) MY100507A (ko)
NL (1) NL194264C (ko)
NO (1) NO164276C (ko)
PL (1) PL255422A1 (ko)
PT (1) PT81148B (ko)
RO (1) RO93515B (ko)
SU (1) SU1642947A3 (ko)
YU (1) YU45989B (ko)
ZA (1) ZA85716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N163594B (ko) * 1984-03-16 1988-10-15 Degussa
MX161477A (es) * 1984-09-19 1990-09-28 Degussa Procedimiento para extraer los constituyentes de la manzanilla
ES2044980T3 (es) * 1987-02-13 1994-01-16 Asta Medica Ag Aceites de camomila con un elevado contenido de poliinas naturales y procedimiento para su preparacion.
US6300370B1 (en) 1987-02-13 2001-10-09 Asta Medica Aktiengesellschaft Camomile oils having a high content of natural poly-ynes and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DE3913280C2 (de) * 1989-04-22 1995-02-16 Paul Haslauer Bedampfungsgerät
DE4200555C2 (de) * 1991-01-23 2003-02-27 Viatris Gmbh Herstellung eines Kamillenextraktes mit antimikrobiellen Eigenschaften
JP2513550B2 (ja) * 1991-09-24 1996-07-03 相互印刷工芸株式会社 カミツレ成分の抽出方法
JP2010163363A (ja) * 2009-01-13 2010-07-29 Kao Corp アピゲニン高濃度含有エキスの製造方法
CN102911791A (zh) * 2012-09-25 2013-02-06 常州亚环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栀子花精油液的提取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9884C (de) * 1932-12-22 1935-02-25 Ig Farbenindustrie Ag Verfahren zur Darstellung von haltbaren Kamillenauszuegen
GB505983A (en) * 1937-11-17 1939-05-17 Ig Farbenindustrie Ag Improvements in the manufacture and production of pharmaceutically active substances
FR1015120A (fr) * 1947-08-13 1952-08-27 Procédé de préparation d'extraits actifs renfermant de l'azulène à partir de camomille ou de plantes analogues
DE1093951B (de) * 1959-02-12 1960-12-01 Chemiewerk Homburg Zweignieder Verfahren zur Extraktion proazulenhaltiger Drogen
DE1296305B (de) * 1965-08-26 1969-05-29 Thomae Gmbh Dr K Verfahren zur Extraktion von Kamille
DE2227292C3 (de) * 1972-06-05 1981-01-08 Degussa Ag, 6000 Frankfurt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Kamillenextrakten
CH572368A5 (ko) * 1973-03-28 1976-02-13 Sulzer Ag
DE2316363A1 (de) * 1973-04-02 1974-10-17 Degussa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kamillenextrakten
DE2402802C3 (de) * 1974-01-22 1979-06-13 Deutsche Gold- Und Silber-Scheideanstalt Vormals Roessler, 6000 Frankfurt Gewinnung einer Kamillendroge mit hohem Chamazulen- und Bisabololgehalt
IT1157945B (it) * 1982-06-02 1987-02-18 Bonomelli Spa Composizione terapeutica ad attivita' antibatterica a base di una frazione estratta da fiori di camomilla e processo per la preparazione di detta frazione
DE3423207C3 (de) * 1983-06-29 1996-09-26 Asta Medica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neuen Kamillensorte (Bezeichnung Manzana)
IN163594B (ko) * 1984-03-16 1988-10-15 Degussa
MX161477A (es) * 1984-09-19 1990-09-28 Degussa Procedimiento para extraer los constituyentes de la manzanill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161799C (da) 1992-02-24
NL8502554A (nl) 1986-04-16
EP0175185A2 (de) 1986-03-26
EP0175185A3 (en) 1987-12-23
GR852243B (ko) 1986-01-17
ZA857166B (en) 1986-08-27
NL194264C (nl) 2001-11-05
IE852309L (en) 1986-03-19
RO93515B (ro) 1988-04-01
HU193449B (en) 1987-10-28
JPS6178728A (ja) 1986-04-22
CS254346B2 (en) 1988-01-15
EP0175185B1 (de) 1990-12-05
GB2164559B (en) 1989-06-21
FI79469B (fi) 1989-09-29
ATE58836T1 (de) 1990-12-15
IN164169B (ko) 1989-01-28
ES8608881A1 (es) 1986-09-01
DD240496A5 (de) 1986-11-05
CA1251142A (en) 1989-03-14
SU1642947A3 (ru) 1991-04-15
DK424185D0 (da) 1985-09-18
MA20530A1 (fr) 1986-04-01
YU147485A (en) 1988-04-30
NO853660L (no) 1986-03-20
MX161477A (es) 1990-09-28
US4786497A (en) 1988-11-22
PT81148B (pt) 1988-01-22
DK424185A (da) 1986-03-20
GB8523097D0 (en) 1985-10-23
NL194264B (nl) 2001-07-02
GB2164559A (en) 1986-03-26
MY100507A (en) 1990-10-30
YU45989B (sh) 1992-12-21
BR8504573A (pt) 1986-07-15
DE3530790A1 (de) 1986-03-27
IE58215B1 (en) 1993-08-11
FI853562A0 (fi) 1985-09-17
HUT38258A (en) 1986-05-28
JPH0641414B2 (ja) 1994-06-01
IL76388A (en) 1990-07-12
RO93515A (ro) 1988-03-30
ES547081A0 (es) 1986-09-01
NO164276C (no) 1990-09-19
PL255422A1 (en) 1986-08-12
DK161799B (da) 1991-08-19
FI853562L (fi) 1986-03-20
PT81148A (de) 1985-10-01
DE3580814D1 (de) 1991-01-17
IL76388A0 (en) 1986-01-31
MTP970B (en) 1986-07-28
NO164276B (no) 1990-06-11
KR860002274A (ko) 1986-04-24
FI79469C (fi) 1990-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0544B1 (ko) 저장성 카모밀레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0774498B1 (ko) 쑥 훈증을 이용한 발효숙성 흑마늘 제조 방법
FR2749303A1 (fr) Procede d'extraction de polyphenols catechiques a partir de potentilles extrait obtenu et son utilisation
RU2363484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сухих экстрактов растений
US20020197337A1 (en) Hypericum Perforatum L. Oleoresin, Procedure for Obtaining it and Uses of it
KR20190029851A (ko) 쿠에르세틴 함유 농축물 및 참당귀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727096B2 (ja) 抗皮膚糸状菌剤
KR102398183B1 (ko) 황토 지장수와 과일 발효액을 이용한 새싹 보리 및 새싹 밀의 재배방법
KR101670888B1 (ko) 알파-아밀라아제 활성 저해 물질 및 그 제조 방법
FI80212B (fi) Haollbara kamomillteextrakt, som innehaoller rikligt med aktiva aemnen och som anvaends som kosmetiska medel.
KR960004022B1 (ko) 은행잎에서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을 추출 정제하는 방법
Carle et al. A new approach to the production of chamomile extracts
RU2088256C1 (ru) Средство для комплексной терапии заболеваний "диквертин" и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KR0126444B1 (ko) 안토시아노사이드를 고함량으로 함유하는 와일드 블루베리(Wild blueberry)엑기스 건조분말의 제조방법
KR20010052992A (ko) 추출방법, 약학조성물 및 화장품조성물
KR20010018178A (ko) 인삼을 이용한 가공제품의 제조방법
DE2609533B2 (de) Verfahren zur Extraktion von Wirkstoffen, insbesondere von Heterosidestern der Kaffeesäure, sowie diese Verbindungen enthaltende Arzneimittel
CN100490849C (zh) 鱼腥草冻干粉针剂的制备方法
JPH1036257A (ja) メイラード反応阻害剤
JPS63277628A (ja) 抗腫瘍剤
JPH0420596B2 (ko)
RU2197978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противовирусного препарата гипорамина (варианты)
RU2071340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экстракта ромашки
RU2102417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красного пищевого красителя
RU2133621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растительного полифенольного экстракт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30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