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1633B1 - 테이프의 종류 및 잔량판정장치 - Google Patents

테이프의 종류 및 잔량판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1633B1
KR870001633B1 KR1019830002188A KR830002188A KR870001633B1 KR 870001633 B1 KR870001633 B1 KR 870001633B1 KR 1019830002188 A KR1019830002188 A KR 1019830002188A KR 830002188 A KR830002188 A KR 830002188A KR 870001633 B1 KR870001633 B1 KR 870001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rail
pulse
remaining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2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4973A (ko
Inventor
히로아끼 운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 가이샤 도시바
사바 쇼오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57084313A external-priority patent/JPS58201014A/ja
Priority claimed from JP57084312A external-priority patent/JPS58201013A/ja
Priority claimed from JP18693882A external-priority patent/JPS5977690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 가이샤 도시바, 사바 쇼오이찌 filed Critical 가부시기 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840004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4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1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1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1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not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13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not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the information being derived from movement of the record carrier, e.g. using tachometer
    • G11B27/17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not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the information being derived from movement of the record carrier, e.g. using tachometer using electrical sensing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5/00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 G11B25/06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using web-form record carriers, e.g. tap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Landscapes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테이프의 종류 및 잔량판정장치
제1도는 테이프 카세트에 있어서의 테이프 권회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제2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구성 설명도.
제3도 및 제4도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권회리일허브 12 : 공급리일허브
13 : 테이프 14 : 핀치로울러
15 : 캡스턴 17 : 벨트
18 : 모우터 19 : 권취리일
20 : 공급리일 21,22 : 회전판
23,24 : 리일회전검출장치 25,26 : 펄스카운터
27 : 펄스발생기 29 : 데이터버스
31 : 중앙처리장치 34 : 워어크메모리
36 : 제어헤드 37 : 증폭기
본 발명은 테이프의 종류 및 잔량을 판정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다.
비데오 테이프 레코오더(VTR)오디오 테이프 레코오더 등과 같은 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는 신호기록 매체로서 자기테이프가 사용된다. 이 테이프는 통상 카세트내에 수용되고 테이프의 양측은 권취리일헤드와 공급리일헤드로 권회된다.
테이프 카세트가 기록 재생장치에 장착되었을 때 사용자가 공급리일측의 테이프 잔량을 명확히 인식하여야함은 중요하다. 기록재생장치가 기록모오드 일대 테이프 잔량을 사용자가 만약 인식하고 있지 않다고 한다면 중요한 프로그램의 기록착오(테이프 잔량부족으로)가 발생하거나 테이프의 비경제적인 사용(테이프 잔량과대로 인한)을 초래하게 된다.
또, 기록재생장치가 재생모오드일 때, 테이프의 잔량을 사용자가 인식하면, 테이프 잔량의 표시를 이용해서 기록프로그램의 개시위치를 찾는데 편리하다.
테이프 잔량을 표시하는 장치로서 개발된 것으로는 VSP No. 4,280,159가 있다. 이 장치는 공급리일 권취리일의 회전주기(Ts)(Tt)를 측정하고, Ts 2,+Tt 2를 계산하고 이 값에서 테이프 잔량을 계산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 장치에 있어서는 리일의 회전주기를 측정할 경우, 테이프 주행속도가 일정해야한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이 때문에 리일의 회전주기를 측정하고 있을 때에 테이프 주행속도가 변동되면 측정결과는 틀리게 된다
본 발명은 테이프의 종류 및 공급리일측의 테이프 잔량을 계산하는 데에 필요한 정보를 간단한 수단으로 정확히 얻을 수 있고, 또 테이프 주행속도에 영향을 받지 않고 계산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테이프의 종류 및 잔량의 판정을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각각 권취리일 및 공급리일의 회전을 검출하고, 각 리일의 회전속도에 따른 수의 펄스를 발생하기 위한 제1 및 제2의 리일회전검출 수단과,
테이프 주행량에 관계된 펄스를 발생하기 위한 펄스 발생수단과,
각각 각리일의 소정회전기간 동안에 상기 펄스 발생수단으로 부터의 출력펄스가(A1,A2)를 계수하기 위한 제1및 제2의 펄스카운터 수단과,
상기 제1및 제2카운터 수단의 계수값(A1)(A2)를 사용하여 (A1)2+(A2)2를 계산하는 수단과,
상기 계산수단에서 출력된(A1)2+(A2)2의 값과, 미리 기억되는 테이프 종류에 대응되는 복수의 정수를 비교하고, 가장 가까운 정수를 결정하는 판정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판정수단에 의하여 결정되는 정수에 따라 테이프 종류의 판정하도록 하고 있다.
제1도는 테이프 카아세트에 있어서의 테이프 권회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11)은 권취리일허브, (12)는 공급리일 허브이다. 지금 허브(11), (12)의 반경을 R, 권취리일허브(11)측의 감긴 테이프의 반경을 r1, 공급리일허브(!2)측의 감긴 테이프의 반경을 r2로 한다.
또 테이프(13)의 감긴 최대의 반경을 r0로 한다. (1) 여기에서 테이프의 투영면적을 생각하면,
2π{(r1)2-R2}+2π{(r2)2-R2}=2π{(r0)2-R2} …(1)
의 식이 성립한다. (1)식에서
(r1)2+(r2)2=(r0)2+R2…(2)
가 성립된다.
상기 (2)식의 우변을 고려하면, 이것은 종류가 다른 각 테이프에 고유의 정수이다.
지금 테이프의 권취리일에 감겨 있는 부분의 테이프의 길이를 L1, 테이프의 두께를 d, 그 감긴수를 N1, 이때의 감긴반경을 r1으로 하면,
r1=R+N1·d …(3)
L1=
Figure kpo00001
=2π·N1R+π(N1)2·d …(4)
가 성립한다. (4)식으로 부터
d·N1=-R+
Figure kpo00002
…(5)
가 성립된다. (5)식을 (3)식에 대입하면
r1=
Figure kpo00003
…(6)
이 구해진다. 감긴 테이프의 직경이 최대가 되는 것은 (6)식에 있어서 L1=L0(L0는 테이프의 전장)일때이기 때문에
r0=
Figure kpo00004
…(7)
로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r0)2=R2
Figure kpo00005
                  …(8)
이 얻어진다.
여기에서 허브반경(R),테이프전장(L0),테이프의 두께(d)는 테이프종류에 따른 고유치이다.따라서 R+L0·d/π.값에서 테이프의 종류를 식별할 수가 있다.
(2)식,(8)식을 사용해서,
(r1)+(r2)=2R+L0·d/π        …(9)
가 얻어진다.이식의 우변은 테이프 종별에 따른 고유치이기 때문에 (r1)+(r2)를 구한다 함은 테이프 종류를 판정하는 것이된다.(2)다음에 공급리일측의 테이프의 투영면적 SS를 생각하면,
SS=π{(r2)-R}               …(10)
이다. 또 테이프 두께를 d, 공급리일에 감긴 테이프 길이를 LS로 하면
SS=LS·d                     …(11)
로 나타낼 수 있다.
(10), (11)식에서
LS·d=π{(r2)-R}             …(12)
가 얻어지고,
LS=π{(r2)-R}/d             …(13)
이 성립된다.
여기에서 두께 d 및 허브반경 R는 일정치이기 때문에 감긴 테이프 반경 r2를 알면 공급리일측의 테이프 길이 LS가 구해진다.
공급리일측의 테이프 길이 LS를 알면, 테이프 속도를 v로 하면 테이프 잔량시간(TS)는
TS=LS/vp                                 …(14)
로 구할 수 있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이다 테이프(13)는 핀치로울러(14), 캡스턴(15)에 의하여 협지되고, 캡스턴(15)이 모우터(도시생략)에 의하여 회전구동되므로써 주행된다. 권취리일(19), 공급리일(20)의 회전은 회전원판(21)(22)에 전달된다. 회전원판(21)(22)는 동축원주상에 동일간격으로 설치된 복수(본 실시예에서는 8개)의 투공(21a), (22a)을 각각 가진다. 투공(21a), (22a)의 회전궤도상의 고정위치에는 각각 광학결합기(photo coupler)를 가진 리일로히전 검출장치(23(24)가 설치된다. 이 리일회전 검출장치(23)(24)로 부터는 각각 리일의 회전속도에 따른 주파수의 회전검출 펄스가 얻어진다.
리일회전검출장치(23)(24)에서 출려되는 회전검출 펄스를 펄스카운터(25)(26)의 제어단자에 가해진다. 이 펄스카운터(25)(26)의 카운트펄스 입력단자에는 테이프 주행에 관련되는 펄스를 발생하는 펄스발생기(27)의 출력펄스가 입력된다.
테이프 주행에 관련되는 펄스로서는 제어펄스(VTR의 재생모오드에 있어서는 재생제어펄스, 기록모오드에 있어서는 제어헤드의 입력신호), 캡스턴 구동용 모우터의 회전을 검출하는 캡스턴 모우터 회전검출 기로 부터의 펄스가 있다.
펄스카운터(25)는 리일회전 검출장치(23)로 부터 본 실시예의 경우 8개의 펄스가 입력하는 동안에 그 입력게이트가 도통한다. 이로 인해 펄스카운터(25)는 펄스발생기(27)로 부터의 펄스를 계수할 수가 있다. 펄스카운터(26)도 동일하게 리일회전 검출장치(24)에서 8개의 펄스가 입력하는 동안 그 입력게이트가 도통하고, 이 동안에 펄스카운터(26)는 펄스발생기(27)로 부터의 펄스를 계수한다.
펄스카운터(25)(26)의 카운트 데이터는 I/O포오트(28), 데이터 버스(29)를 지나 워어크메모리(34)에 기억된다. 이 데이터 유입은 중앙처리장치(31)로 부터의 지령에 의하여 실행된다. 중앙처리장치(31)는 펄스카운터(25)(26)의 데이터를 워어크메모리(34)에 전송한 후는 펄스카운터(25)(26)에 클리어(clear)신호를 가하여 다음의 계수를 개시시킨다.
펄스 카운터(25)(26), I/O포오트(28), 중앙처리장치(31), 리이드 온리메모리(32), 랜덤액세스 메모리(3), 워어크 메모리(34)는 1개의 마이크로 컴퓨터를 구성하고 있다. 리이드온리 메모리(32)에는 프로그램이 실리고 또 랜덤액 세스메모리(33)에는 각종의 데이터가 기억되고 있다. 랜덤액세스 메모리(33)에는 테이프의 종류에 따른 정수가 기억되어 있다. 즉, 각 테이프 종류고유의 데이터가 기억되고 있다. 마이크로 컴퓨터를 형성한 집적회로로는 도오시바(東芝)에서 제조한 「TM47C22F」형의 IC가 사용된다.
다음에 마이크로 컴퓨터내의 연산수단 및 판정수단에 대하여 설명한다.
지금 펄스카운터(25)(26)는 각각 대응하는 리일(19)(20)이 1회전하는 기간에 펄스를 A1,A2계수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계수된 펄스수는 테이프 주행량과 관련된 것이고,
2πr1=K·A1…(15), 2πr2=K·A2…(16)
단, K는 정수가 성립된다. 따라서,
r1=K·A1/2π…(17), r2=K·A2/2π…(18)
을 얻음으로써 각 리일의 감긴 테이프반경(r1)(r2)를 구할 수가 있다.
(17)(18)식을 (9)식에 대입하면,
Figure kpo00006
=2R2+LO·d/π …(19)
가 되고, 이것을 정리하면
(A1)2+(A2)2=(2R2+
Figure kpo00007
…(20)
가 된다. (20)식의 우변의 항은 각 테이프 종류에 다른 고유치이다.
따라서, (A1)2+(A2)2=A0를 계산수단으로 하는 것은 테이프의 고유정수를 산출하는 것이 된다.
다음에 A0는 램덤액세스 메모리(33)에 기억되는 복수의 데이터, 즉 각 테이프 종류의 각자가 가진 정수와 비교된다. 예를들면 A0와 각각의 고유정수와의 차를 구하기 위한 계산이 실시되고, 그 차이중 가장 작은 값을 얻을 수 있는 정수가 판정된다. 차가 가장 작도는 것은, 그 판정된 정수가 A0에 가장 가깝거나 또는 동일하다는 뜻이다. 그리고, 현재 사용중의 테이프는 상기 판정된 정수를 가지는 종류의 테이프이다.
테이프의 종류가 결정되면 테이프의 두께(d), 리일허브의 반경(R)도 결정된다. 따라서 공급리일측의 감긴 테이프반경(r2)을 사용해서 테이프 잔량을 계산할 수도 있다. 이 테이프 잔량의 계산에는(13)식이 사용된다. 테이프 잔량은 예를들면 표시기(38)에 디지탈식으로 표시된다. (13)식에 의한 테이프 잔량은 공급리일측의 테이프 길이를 나타내게 된다.
또, 테이프 잔량시간이 핌요한 경우에는 다시 TS=LS/vp의 연산, 즉(14)식의 연산이 실시된다. 테이프 잔량길이(LS) 또는 테이프 잔량시간(TS)의 어느 것을 표시하느냐는 사용자의 희망에 따라 연산프로그램을 지정할 수 있도록 하면 된다.
상기의 장치에 의하면 테이프의 종류나, 테이프의 잔량을 판정, 식별하는 데에 그 정보수집 수단의 구성이 대단히 간단하고, 또 정확한 정보 수집이 가능하다. 펄스카운터(25)(26)의 입력게이트는 리일회전 검출장치(23)(24)의 출력에 의하여 각각 제어되므로 펄스카운터(25)(26)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특별히 핌요없고 클리어펄스만 있으면 된다. 특히 이 장치에 의하면 펄스발생기(27)는 테이프 주행에 관련한 펄스, 예를들면 텔레비전 신호중의 통과신호나, 테이프에 기록된 제어펄스나, 캡스턴 펄스를 발생하고 있다. 그리고, 펄스카운터(25)(26)에 있어서는 리일의 1주기동안에 상기 펄스발생기(27)로 부터의 펄스수가 계산된다. 따라서 각 펄스카운터(25)(26)의 계수값은 각 리일(19)(20)의 1주기동안의 테이프 주행량을 나타내는 것이 된다. 이 결과, 테이프의 주행속도와는 무관계한 테이프 주행량을 구할 수 있다.
또, 펄스발생기(27)가 텔레비전 신호로 부터 동기신호를 추출하고 이것을 펄스카운터수단에 가하도록 구성한 경우에는 기록모오드에 있어서, 다시 또 상기의 장치에 의하면 불과 2개의 펄스카운터(25)(26)로써 테이프 종류의 식별, 테이프 잔량의 계산을 하는 데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 제1, 제2의 리일회전 검출장치(23)(24)는 광학결합기를 이용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영구자석을 회전원판(21)(22)에 장착하고, 이 영구자석의 회전궤도에 대향해서 검출코일을 배치해도 좋다. 도면에서는 회전원판(21)(22)에 복수의 투공이 도시되고 있으나 기본적으로는 각 원판에 1개면 된다. 그러나 복수의 투공(21a)(22a)을 설치했을 경우는 1개의 경우에 비해 회전검출 타이밍을 신속히 할 수가 있다.
제3도는 앞의 펄스발생기(27)로서 제어헤드(36), 증폭기(37)를 이용한 실시예이다.
제3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회전비데오 헤드방식의 비데오 테이프레코오더에서는 테이프의 콘트롤트랙에 1프레임주기로 상승구간을 가진 구형파(矩形波)의 콘트롤 신호가 기록된다. 이것은 비데오 헤드가 비데오 트랙을 정확히 주사하도록 트랙킹 서어보의 동작으로 기록된다. 이 제어신호의 상긍구간은 테이프상에서는 일정간격으로 기록된다.
권취리일(19), 공급리일(20)의 1회전시의 제어펄스수를 각각 C1,C2라하면, 프레임주파수 F, 테이프 기록속도 v일때,
2πr1=
Figure kpo00008
…(21)
2πr2=
Figure kpo00009
…(22)
가 성립한다.
(2)식, (9)식, (21)식, (22)식에서
Figure kpo00010
…(23)
을 유도할 수 있다.
(23)식을 정리하면,
(C1)2+(C2)2=
Figure kpo00011
…(24)
이 된다.
(24)식의 우변의 항은, 테이프 기록시의 속도 가 일정하면 테이프의 종류에 따른 고유치가 된다.
비데오 테이프 레코오더에 있어서는 기록시의 테이프의 속도가 규격에 따라 미리 정해지고, 이것에 알맞도록 정확히 캡스턴 서어보가 동작하게끔 구성된다. 따라서 각 테이프의 종별에 대하여 (24)식의 우변을 미리 계산해 놓을 수 있다. 그리고, 미리 계산해 놓은 각 테이프종별의 데이터와 제어신호의 계수값에서 얻은 (C1)2+(C2)2의 값을 비교하므로써 가장 가까운 데이터를 결정하고, 그 데이터에 관한 테이프 종류를 사용중의 테이프라는 것을 전제로하여 판정할 수 있다.
그러나, 테이프의 기록 속도 v는 1종류로 한정되지 않고, 2-3종류가 규격화되고 있는 경우가 있다. 이들은 통상 정수비를 취하고 있고 예를들면 1 배속, 2 배속, 3 배속과 같이 1 : 2 : 3을 이루고 있다.
(24)식의 우변에서는 v는 2승(
Figure kpo00012
)되고 있으므로 v2의 비는 1: 4: 9가 된다. 이 속도종별의 값은 테이프종별의 값 사이의 차보다 충분히 크기 때문에, (C1)2+(C2)2를 측정함으로써 전 테이프종별(속도종별도포함)을 판별하고, 또 기록시의 속도도 판별할 수 있다.
다음의 표1은 이른바 베타(β)규격으로 불리우는 것중에서 대표적인 6종류의 테이프L750, L370, L250, L125, L165에 대하여 테이프 기록속도가 v=20mm/sec일때 및 v=13.33mm/sec일때의 (24)식의 우변의 수를 구해서 표시한다.
[표 1]
Figure kpo00013
상기 표1과 같이 각 테이프는 각각 상이한 고유치를 가지며, 또 기록속도가 상이한 경우에도 각각 상이한 고유치를 갖게 된다.
따라서 각 리일(19)(20)의 1회전 상이의 제어펄스수 C1,C2가 펄스카운터(25)(26)에 의하여 계수되고 ,다음에 (C1)2+(C2)2가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하여 구해지고, 이 값과 표1에 보인 정수와의 비교처리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C1)2+(C2)2에 가장 가까운 정수가 결정되면 그 정수를 가지는 테이프가 현재 사용중의 테이프라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C1)2+(C2)2의 값의 비교대상이 되는 정수는 표1의 경우 6×2=12개이다. 따라서 프로그램로서는 (C1)2+(C2)2를 모든 정수(12)개와 차례로 비교해서, 예를들면 차를 구해가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으로는 시간이 걸리므로 우선 최초로 테이프의 기록시 속도의 식별이 가능하면 (C1)2+(C2)2의 비교대상이 되는 정수는 반수(6개)로 된다.
테이프의 기록시 속도(v=20mm/sec 또는 v=13.33mm/sec)의 식별을 하기 위해서는 164200(v=20mm/sec일때의 최대정수)과 196,200(v=13.33mm/sec일때의 최대정수)과의 사이의 적당한 경계치(B)에 대하여 (C1)2+(C2)2가 큰지 작은지를 판정하면 된다. 만약 B>(C1)2+(C2)2면 사용중의 테이프는 기록시에 v=20mm/sec로 기록된 것이고, B<(C1)2+(C2)2면 기록시에 v=13.33mm/sec/로 기록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경계치(B)와 (C1)2+(C2)2의 비교결과, 테이프 기록시 속도를 판별할 수 있으면 (C1)2+(C2)2의 비교대상이 되는 정수는 6개의 정수로 된다.
상기의 설명에서는 12개의 정수가 미리 랜덤액세스메모리(33)에 기억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했으나 이것을 반감할 수도 있다.
예를들면, 정수로서는 v=20mm/sec의 경우의 6개의 정수와, 상기한 경계치(B)가 미리 랜덤액세스 메모리(33)에 기억된다. 이 경우의 테이프종류 판정순서는 다음과 같다. 우선 (C1)2+(C2)2와 먼저의 경계치(B)의 비교가 이루어지고, 테이프의 기록시의 속도판정이 실시된다. v=200mm/sec의 판정이 얻어진 경우에는 (C1)2+(C2)2가 그대로 이용되어 차례로 정수와 비교되어서 테이프 종류의 판별이 실시된다. (C1)2+(C2)2와 경계치(B)의 비교결과, B<(C1)2+(C2)2이고, 테이프 기록시 속도가 v=13.33mm/sec와의 판정결과가 얻어진 경우는 다음과 같은 처리가 실시된다. (C1)2+(C2)2의 값에 속도비의 2승의 값이 승산된다.
속도비의 2승은3(13.33/20)2)=(2/3)2=4/9이다. 따라서
Figure kpo00014
{(C1)2+(C2)2}의 계산이 실시된다. 이 값, 즉
Figure kpo00015
{(C1)2+(C2)2}는 v=20mm/sec의 테이프 기록속도일 때에 얻어지는 정수로 환산된 값이다. 따라서
Figure kpo00016
{(C1)2+(C2)2}와, 랜덤액 세스 메모리(33)에 기억된 6개의 정수를 차례로 비교하고, 가장 가까운 정수를 검출하므로써 테이프 종류를 판정할 수 있다.
표1에 보인 정수의 최소치보다 (C1)2+(C2)2가 대단히 작을 경우는 콘트롤 신호가 테이프에 기록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정상으로 기록되지 않은 것이므로, 이와같은 경우는 테이프 종류별 판별작업을 중지하고 그 위치를 표시하는 기능을 추가해도 된다.
상기의 설명으로는 콘트롤펄스의 계수는 리일 1회전하는 사이에 실시되는 것으로 설명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리일의 n회전 기간 또는 1/n회전기간(n는 정의 정수)에 제어펄스를 계수하도록 해도된다. 이경우는, (C1)2+(C2)2와 비교되는 정수는(24)식의 우변의 항에 n2또는 1/n2를 곱한 것이 된다. 만약, 콘트롤 펄스수에 1/n 또는 n를 곱한 값을 사용하면 (24)식의 우변의 항에 의한 정수는 그대로 사용된다.
상기와 같이 테이프의 종류가 식별되면, 앞에서의 설명과 같이 테이프의 두께(d), 리일허브의 반경(R)도 결정된다.
이것에 의하여 (13)식, (14)식을 사용하여 테이프잔량, 즉 공급리일측의 테이프의 길이 및, 테이프잔량 시간을 구할 수 있다.
제3도에 도시한 실시예에 의하면, 제어펄스를 사용하므로써 비데오 테이프 레코오더의 특히, 조송(F·F mode)과 리와인드(REW mode)모드에 있어서도 정확한 테이프 잔량을 구하고, 표시기(38)에 표시할 수 있다.
제4도는 펄스발생기(27)(제2도에 도시)로서 캡스턴 회전검출장치(35)를 이용한 실시예이다.
비데오 테이프 레코오더에 있어서는 테이프(13)를 주행구동하기 위하여 캡스턴(15), 핀치로울러(14)에 의하여 구동한다. 이 경우는 테이프(13)는 정확히 일정한 속도로 주행되고, 비데오 테이프 레코오더의 기록모오드 또는 재생모오드를 설정할 수 있다.
캡스턴(15)에는 모우터(18)의 회전이 벨트(17)를 통해 전달되는 경우나 모우터의 회전이 직접 전달되어서 구동되는 경우가 있다. 비데오 테이프 레코오더의 기록모오드나 재생모오드에 있어서는 테이프(13)가 정확히 일정한 속도로 주행되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 테이프 주행속도를 일정하게 제어하는 서어보회로가 사용된다. 서어보회로는 캡스턴 모우터(18)의 회전각속도에 대응되는 위상의 펄스를 핌요로 한다. 따라서 캡스턴 모우터(18)에는 캡스턴 회전검출장치(35)가 장착된다. 캡스턴회전검출장치(35)는 예를들면 모우터(18)에는 캡스턴 회전검출장치(35)가 장착된다. 캡스턴회전검출장치(35)는 예를들면 모우터 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기어상의 영구자석과, 이 영구자석의 주위에 설치된 코일로 구성되고, 영구자석이 1회전하는 사이에 복수의 캡스턴회전 검출펄스를 출력한다.
상기 캡스턴회전 검출장치(35)로 부터 얻어지는 회전검출펄스를 수는 테이프 주행거리에 정확히 비례하고 있다. 따라서 리일이 1회전하는 기간의 캡스턴회전 검출펄스수를 계수함으로써 리일의 원주를 구할 수 있다.
캡스턴회전검출 펄스의 주파수(f)와 테이프 주행속도(v)는 일정한 비이다. 따라서(G)개의 캡스턴회전 검출펄스가 얻어졌을때 테이프는
Figure kpo00017
·G의 거리를 이동한 것이다.
따라서 예를 들면 권취리일(19)이 1회전에 대하여 G1개의 펄스가 얻어진 경우는
2πr1=
Figure kpo00018
·G1…(25)
가 되고, 감긴 테이프의 반경 r1를 구할 수 있다. 공급리일(20)측도 동일하게 1회전에 대하여 G개의 펄스가 얻어진 경우는
2πr2=
Figure kpo00019
·G2…(26)
가 성립된다.
캡스턴회전 검출장치(35)로 부터의 펄스수는 테이프(13)의 주행거리에 비례하고 있으므로, 테이프 주행속도의 혼란에 영향없이 감이 테이프의 반경 r1,r2를 구할 수 있다.
(25),(26)식을 (9)식에 대입하면,
Figure kpo00020
=2R2+
Figure kpo00021
…(27)
를 유도할 수 있다.
여기에서 (27)식을 정리하면,
(G1)2+(G2)2=
Figure kpo00022
·(2R2+
Figure kpo00023
) …(28)
이 성립된다.
(28)식에서 우변의 항은 테이프의 종별에 따라 각기 가지는 값이다.
표2는 이른바 베타(β)규격으로 불리우는 것중 대표적인 6종류의 테이프 L750, L500, L370, L250, L165, L125에 대하여 (28)식의 두변의 항을 계산한 것이다.
[표 2]
Figure kpo00024
상기의 표2와 같이 각 테이프의 정수는 각각 값이 달라진다. 따라서 테이프 종류별 판정시에는 권취리일(19), 공급리일(20)의 각 1회 전동안에 캡스턴 회전검출펄스의 수 G1,G2가 각각 펄스카운터(25)(26)에는 얻어지고, (G1)2+(G2)2가 마이크로 컴퓨터의 연산수단으로 구해진다. 다음에 (G1)2+(G2)2와 표2에 표시한 각 정수와의 차가 각각 구해진다. 그리고, 각 정수와(G1)2+(G2)2와 가장 가까운 정수가 결정되고 ,이 정수를 가지는 테이프가 현재 사용중의 테이프라는 판정결과가 얻어진다.
상기와 같이 테이프 종류을 판별하는데 있어서 판정정도(精度)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양리일의 복수회 전기간에서의 회전검출수를 측정하고, 이들의 값에서 리일 1회전 기간당의 각 회전검출펄스수를 구하고, 이 구한 값의 2승의 합을 사용하도록 하면 된다.
또, 테이프 종류별 판정시간을 짧게하기 위해서는 양리일의 1/n회전기간(n는 정의정수)에서의 회전검출 펄스수를 측정하고, 이 측정한 펄스수에서 리일 1회전당의 회전검출펄스수를 환산하여 구하고, 이 구한 값의 제곱의 합, 즉 (G1)2+(G2)2를 사용하면 된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테이프의 종류가 결정된후, 공급리일(20)측에 남아 있는 테이프 길이(LS)를 구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26)식에서
r2=
Figure kpo00025
·G2…(29)
가 얻어진다. (29)식을 (13)식ㅇ에 대입하므로써,
LS=
Figure kpo00026
=
Figure kpo00027
…(30)
이 성립된다.
다음에, 공급리일(20)측의 테이프 잔량시간(TS)을 구하기 위해서는 다음식이 사용된다.
즉, TS=LS/vp에서
TS=
Figure kpo00028
…(31)
단, vp는 테이프 속도이다.
(30)식과, (31)식에 의하여 테이프의 남은 길이와 테이프 잔량시간을 알 수 있다.
즉, 베타규격으로 불리우는 비데오 테이프 레코오더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6종류의 테이프 L500, L370, L330, L250, L165의 에서는 R=15mm, L250, L165, L125에서는 R=mm이다. 또 오무터 회전 검출펄스는 여기에서는 v=20mm/sec일때, f=360(Hz)가 되도류 설정된다. 또 테이프 주행속도 vp=2mm/sec이다. 이 조건에 있어서 (31)식을 사용해서 테이프 잔량시간의 계산식을 구하면,
Figure kpo00029
가 된다. 따라서 공급리일이 1회전하는 사이의 모우터 회전 검출펄스수를 계수하고, 이것을 (32)식에 대입해서 계산하므로써 테이프 잔량시간 TS를 구할 수 있다.
상기한 테이프 잔량시간 TS의 계산은 마이크로 컴퓨터에 있어서 실시된다.
상기의 설명에서는 캡스턴 회전검출펄스수를 (32)식에 대입하여 테이프 잔량시간을 구하고 있으나, 용도에 따라서는 10분 단위정도의 잔량시간을 얻을 수 있으며 충분할 때가 있다.
이와같은 경우에는 미리 잔량시간 TS가 10분마다의 값일때의 캡스턴 회전검출펄스수 G2를 (32)식에서 역산하여 구하고, 이것을 각각 랜덤 액세스 메모리(33)에 기억시켜 놓는다. 그리고, 상기의 방법으로 실제로 얻은 캡스턴 회전검출펄스수 G2와 미리 기억하고 있던 G2를 비교하여 일치했을 때에는 G2에 대응되는 잔량시간을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방법이면 (32)식의 계산을 그때마다 실시할 핌요가 없으므로 프로그램이 간단해지는 이점이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비데오 테이프 레코오더를 예시하여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일반적인 테이프 레코오더 등에 적용 가능함을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테이프 주행속도의 변동에 영향을 받지 않고 정확한 테이프잔량을 계산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한다.

Claims (12)

  1. 각각 권취리일 및 공급리일의 회전을 검출하여, 각 리일의 회전석도에 따른 주파수의 펄스를 발생하기 위한 리일회전검출장치와 상기 권취리일과 공급리일간에 이송되는 테이프의 주행량에 관련된 펄스를 발생하기 위한 펄스 발생기와, 상기 리일회전검출장치로부터의 출력펄스에 의하여 상기펄스 발생기로부터의 출력펄스의 계수기간이 정해지고, 상기 각 리일의 소정의 회전기간에 상기 펄스발생수단으로부터의 출력펄스수를 계산하기 위한 펄스카운터와, 상기 펄스카운터의 계수값(A1), (A2)의 제곱의 합(A1 2+A2 2)을 구하기 위한 연산장치와, 상기 연상장치로 얻은 상기 제곱의 합(A1 2+A2 2)의 값과 미리 기억수단에 기억된 복수의 정수를 비교하여, 상기 제곱의 합(A1 2+A2 2)의 값에 가장 가까운 정수를 경정하기 위한 판정장치를 구비하여서, 상기 판정장치에 의하여 결정되는 정수에 따라 테이프의 종류를 식별하도록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테이프의 종류 및 잔량판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일회전검출장치가 권취리일의 회전을 검출하여 그 리일의 회전속도에 따른 주파수의 펄스를 발생하기 위한 제1 리일회전검출장치와, 공급리일의 회전을 검출하여 그 리일의 회전속도에 따른 주파수의 펄스를 발생하기 위한 제2의 리일회전검출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발생기가 텔레비젼신호중에서 동기신호를 추출하기 위한 동기신호추출수단과, 이 추출수단의 출력을 펄스카운터에 인가하기 위한 신호인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발생기가 상기 테이프에 기록된 제어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제어헤드와, 이 제어헤드의 출력콘트롤신호를 미분하여 상기 펄스카운터에 인가하기 위한 신호미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발생기가 상기 테이프를 주행구동하기 위한 캡스턴과, 이 캡스턴의 회전속도에 따른 주파수의 펄스를 발생하기 위한 캡스턴 회전검출장치와, 이 캡스턴회전검출장치의 출력펄스를 상기 펄스카운터에 입력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일회전검출장치가 각각 상기 권취리일, 공급리일에 연동해서 회전하고, 동축원주상에 각각 투공을 가지는 제1, 제2의 회전원판과, 상기 제 1, 제2의 회전원판의 각 투공의 회전궤도의 양측에 광학소자를 배치한 제 1, 제2의 광학결합기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의 회전원판의 상기 투공이 각각 동축원주상에 동일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지으로 하는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일회전검출장치가 각각 상기 권취리일과 공급리일에 연동하여 회전하고, 동축원주상에 각각 영구자석을 가진 제1, 제2의 회전원판과, 상기 영구자석의 회전궤도에 각각 대향해서 고정위치에 설치된 제1, 제2의 코일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펄스카운터의 계수값과 상기 판정장치에 의하여 결정된 테이프가 각기 가지는 정수를 사용하여 상기 공급리일축에 남아있는 테이프의 길이를 계산하기 위한 테이프잔량계산장치와 상기 테이프장량계산장치의 출력에 따라서 테이프의 나머지 길이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펄스카운터의 계수값과 상기 판정장치에 의하여 결정된 테이프가 각각 가지는 정수를 사용하여, 상기 공급리일축에 남아있는 테이프의 길이를 계산하는 테이프잔량계산장치와 테이프잔량계산장치에서 얻은 값과 테이프속도의 값을 사용해서 상기 공급리일축의 테이프잔량시간을 계산하는 수단과, 상기 테이프잔량시간을 계산하는 수단으로부터의 출력에 따라서 테이프잔량시간을 표시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잔량계산장치가 테이프의 남은 길이(LS)를 다음식
    LS=
    Figure kpo00030
    단, d는 사용테이프의 두께, R는 리일허브반경
    (
    Figure kpo00031
    )2는 캡스턴회전검출펄스수와 테이프 주행속도의 일정비 G2는 공급리일의 소정회전기간에 측정된 캡스턴회전 검출펄스의 수. 으로 계산하는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의 잔량시간을 계산하는 수단에 테이프의 잔량시간(TS)을 다음식
    TS=
    Figure kpo00032
    단, vp는 테이프속도 d는 사용테이프의 두께 R는 리일허브반경
    Figure kpo00033
    는 캡스턴회전검출펄스수와 테이주행속도의 일정비 G2는 공급리일의 소정회전기간에 측정된 캡스턴 회전검출펄스의 수으로 계산하는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830002188A 1982-05-19 1983-05-18 테이프의 종류 및 잔량판정장치 KR8700016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7-84313 1982-05-19
JP84313 1982-05-19
JP84312 1982-05-19
JP57084313A JPS58201014A (ja) 1982-05-19 1982-05-19 カセツト自動判別装置
JP57084312A JPS58201013A (ja) 1982-05-19 1982-05-19 カセツト自動判別装置
JP57-84312 1982-05-19
JP18693882A JPS5977690A (ja) 1982-10-25 1982-10-25 テ−プ量測定装置
JP57-186938 1982-10-25
JP186938 1982-10-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4973A KR840004973A (ko) 1984-10-31
KR870001633B1 true KR870001633B1 (ko) 1987-09-17

Family

ID=27304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2188A KR870001633B1 (ko) 1982-05-19 1983-05-18 테이프의 종류 및 잔량판정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644436A (ko)
KR (1) KR870001633B1 (ko)
DE (1) DE3318324A1 (ko)
GB (1) GB212280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57890A (ja) * 1984-01-27 1985-08-19 Toshiba Corp 画像形成装置
DE3504311A1 (de) * 1985-02-08 1986-08-14 Deutsche Thomson-Brandt Gmbh, 7730 Villingen-Schwenningen Verfahren zur ermittlung der abgelaufenen und/oder noch zur verfuegung stehenden spielzeit eines magnetbandes
DE3532906A1 (de) * 1985-09-14 1987-03-26 Standard Elektrik Lorenz Ag Aufzeichnungs- und wiedergabegeraet mit einer einrichtung zur anzeige der laufzeit der restbandlaenge
DE3689324D1 (de) * 1985-09-14 1994-01-05 Nokia Deutschland Gmbh Aufzeichnungs- und Wiedergabegerät mit einer Einrichtung zur Anzeige der Laufzeit der Restbandlänge.
DE3532904A1 (de) * 1985-09-14 1987-03-19 Standard Elektrik Lorenz Ag Bandaufzeichnungs- und wiedergabegeraet mit einer einrichtung zur feststellung des bandkassettentyps
JPS62134856A (ja) * 1985-12-05 1987-06-17 Pioneer Electronic Corp デイジタル・オ−デイオ・デイスク再生装置
JPS62236192A (ja) * 1986-04-07 1987-10-16 Sony Corp テ−プ位置検出装置
US5053896A (en) 1986-05-14 1991-10-01 Canon Kabushiki Kaisha Receiving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received data onto a recording medium
US5276581A (en) * 1986-05-14 1994-01-04 Canon Kabushiki Kaisha Receiving apparatus including a display for displaying the amount of unrecorded memory
DE3622895A1 (de) * 1986-07-08 1988-01-21 Thomson Brandt Gmbh Verfahren zur ermittlung der bandlaenge von baendern, insbesondere magnetbaendern
US5197051A (en) * 1987-01-20 1993-03-2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evice for specifying and calculating a play time of an optical disk player
JPH01165084A (ja) * 1987-02-23 1989-06-29 Toshiba Corp テ−プ位置検出装置
JPS63209089A (ja) * 1987-02-24 1988-08-30 Canon Inc 記録装置
JPS63231786A (ja) * 1987-03-20 1988-09-27 Mitsubishi Electric Corp テ−プ時間表示装置
JP2845891B2 (ja) * 1987-05-29 1999-01-1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リール間テープ移送制御方法および装置
JPS6459691A (en) * 1987-08-31 1989-03-07 Toshiba Corp Tape residual quantity display device
JP2625754B2 (ja) * 1987-09-08 1997-07-0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光学式ディスク再生装置
JPH01165057A (ja) * 1987-12-21 1989-06-29 Toshiba Corp テープカセット種別検出装置
JPH01194006A (ja) * 1988-01-29 1989-08-04 Fanuc Ltd フロッピィディスク駆動用モータの制御装置
US4953044A (en) * 1988-10-28 1990-08-28 Storage Technology Corporation Closed loop tape thread/unthread apparatus
JPH02308462A (ja) * 1989-05-23 1990-12-21 Victor Co Of Japan Ltd カセット判別装置
US5276576A (en) * 1991-05-07 1994-01-04 Funai Electric Engineering Company Limited Method and device for obtaining data of tape thinness and/or hub radius of a tape reel
US5724203A (en) * 1991-08-19 1998-03-03 Index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ddresses in time along a recording tape
US5245485A (en) * 1991-08-30 1993-09-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ultiple tape thickness, multiple recording format tape drive systems
DE4135419A1 (de) * 1991-10-26 1993-04-29 Thomson Brandt Gmbh Speichereinrichtung fuer eine magnetbandkassette
DE4317761A1 (de) * 1993-05-28 1994-12-01 Thomson Brandt Gmbh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Erkennung von Bandkassetten unterschiedlicher Spieldauer
JPH07130045A (ja) * 1993-11-02 1995-05-19 Canon Inc 回転体移動装置
TW234184B (en) * 1993-12-15 1994-11-11 S Kwoh Daniel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ddresses in time along a recording tape
DE69517005T2 (de) * 1994-10-13 2000-12-2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rmittlung der ganzen spielzeit eines bandes
JPH08171755A (ja) * 1994-12-19 1996-07-02 Hitachi Ltd テープ走行制御装置
KR100215763B1 (ko) * 1995-09-07 1999-08-16 윤종용 저속주행시의테이프위치감지방법
KR100219615B1 (en) * 1996-12-17 1999-10-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cord current compensation apparatus of vtr
FR2817837B1 (fr) * 2000-12-13 2003-08-08 Neopost Ind Distributeur d'etiquettes en bande
DE10205144B4 (de) * 2002-02-07 2005-06-16 Webasto Ag Verriegelungsvorrichtung für ein Faltdach eines Fahrzeugs
KR100608597B1 (ko) * 2004-06-29 2006-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콤보 시스템에서 적응적 레코딩 방법
US8351146B2 (en) * 2010-03-04 2013-01-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covery operation status indicator for a tape drive system
US20220311235A1 (en) * 2021-03-23 2022-09-29 Snap-On Incorporated Current pulse limiting protection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64219A (en) * 1968-06-07 1971-02-16 Honeywell Inc Indicating device
US3849661A (en) * 1972-06-12 1974-11-19 Honeywell Inc Tape transport control system
US4001552A (en) * 1975-04-04 1977-01-04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web material wound on a reel
US4062048A (en) * 1976-03-19 1977-12-06 Ampex Corporation Tape timing apparatus and method employing a phase comparison between sequential pulse trains
BE855968A (fr) * 1976-07-05 1977-10-17 Staar Sa Procede et dispositif de controle et de commande du transfert d'une matiere d'une bobine debitrice sur une bobine receptrice
DE2754368C2 (de) * 1977-12-07 1981-10-08 Licentia Patent-Verwaltungs-Gmbh, 6000 Frankfurt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Messung und Anzeige des Standes eines bandförmigen Wickelgutes
JPS54104229A (en) * 1978-02-03 1979-08-16 Victor Co Of Japan Ltd Magnetic reproducer
JPS5837631B2 (ja) * 1978-04-28 1983-08-17 シャープ株式会社 磁気記録再生装置
JPS6014430B2 (ja) * 1978-05-08 1985-04-13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
JPS5920182B2 (ja) * 1978-06-19 1984-05-11 三洋電機株式会社 テ−プスピ−ド表示回路
JPS5545175A (en) * 1978-09-26 1980-03-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Tape run position detection system
JPS54154943A (en) * 1978-10-20 1979-12-06 Staar Sa Method of and device for feeding tape
US4338645A (en) * 1978-11-06 1982-07-06 Hitachi, Ltd. Tape running time indication system
JPS5564677A (en) * 1978-11-10 1980-05-15 Hitachi Ltd Display unit for tape run time
NL7909146A (nl) * 1978-12-27 1980-07-01 Staar Sa Automatische correctiewerkwijze voor het soort cassette gebruikt in een registratie- of weergave-inrichting.
WO1980001522A1 (en) * 1979-01-11 1980-07-24 Bang & Olufsen As A system for detection of tape thickness in tape recorders or players
JPS5678759A (en) * 1979-11-27 1981-06-27 Nec Corp Detecting device for diameter of wound tape
JPS5677960A (en) * 1979-11-27 1981-06-26 Sony Corp Generating circuit of counter clock signal for tape counter
NL8006709A (nl) * 1979-12-12 1981-07-16 Melis Florentinus Verwarmingsketel voor vaste brandstof.
US4335411A (en) * 1980-01-28 1982-06-15 Rca Corporation Length counter for web transport system
JPS56117380A (en) * 1980-02-19 1981-09-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isplay device for tape run time
GB2096381B (en) * 1981-04-03 1985-03-20 Pioneer Electronic Corp Device for detecting a non-recorded segment on magnetic ta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644436A (en) 1987-02-17
GB8313707D0 (en) 1983-06-22
GB2122800A (en) 1984-01-18
GB2122800B (en) 1985-12-04
DE3318324A1 (de) 1983-11-24
DE3318324C2 (ko) 1988-09-08
KR840004973A (ko) 1984-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70001633B1 (ko) 테이프의 종류 및 잔량판정장치
US4338645A (en) Tape running time indication system
EP0241849B1 (en) Apparatu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a tape when recording or reproducing signals thereon
KR920002880B1 (ko) 테이프 카세트 종별 판별장치
JPS5977690A (ja) テ−プ量測定装置
US5867354A (en) Device for determining the total playing of a tape
JPH0227756B2 (ko)
JPS6027862A (ja) 回転速度検出装置
KR820001026B1 (ko) 테이프량 검출장치
JP2961861B2 (ja) カセットテープの記録時間測定方法
JPH0430714Y2 (ko)
JPH0668863B2 (ja) テ−プレコ−ダ
JPS5837631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KR810002080B1 (ko) 자기기록 재생기의 테이프 잔량 표시장치
JPS6151352B2 (ko)
JPS6252389B2 (ko)
JPS5968884A (ja) テ−プ残量検出方式
JPH0230112B2 (ko)
JPH06168509A (ja) カセットテープ判別方法
JPS5828670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の演算時間演算方法
JPS6149747B2 (ko)
JPS5835779A (ja) テ−プ走行量検出装置
JPH0561704B2 (ko)
JPH01184649A (ja) テープ位置検出装置
JPH0877659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829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