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1078A -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1078A
KR20230151078A KR1020237036356A KR20237036356A KR20230151078A KR 20230151078 A KR20230151078 A KR 20230151078A KR 1020237036356 A KR1020237036356 A KR 1020237036356A KR 20237036356 A KR20237036356 A KR 20237036356A KR 20230151078 A KR20230151078 A KR 202301510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cartridge
contact
develop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6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아키 사토
유키오 구보
히로유키 무네츠구
코지 와다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claimed from JP2015231356A external-priority patent/JP6611571B2/ja
Publication of KR20230151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107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42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3/00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17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 G03G21/1821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mean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process cartridge, e.g. attachment, positioning of parts with each other, pressure/distance regul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3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provided with identifying means or means for storing process- or use parameters, e.g. an electronic memor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19Frame structur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47Mechanical connection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17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17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 G03G21/1825Pivotable subunit connec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57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transmitting mechanical drive power to the process cartridge, drive mechanisms, gears, couplings, braking mechanisms
    • G03G21/186Axial coupling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75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provided with identifying means or means for storing process- or use parameters, e.g. lifetime of the cartridge
    • G03G21/1878Electronically readable memory
    • G03G21/1882Electronically readable memory details of the communication with memory, e.g.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s
    • G03G21/1885Electronically readable memory details of the communication with memory, e.g.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s position of the memory; memory housings; electrod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96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developer unit or parts thereof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5/08 - G03G15/0894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42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 G03G21/1853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the process cartridge being mounted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photosensitive memb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57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transmitting mechanical drive power to the process cartridge, drive mechanisms, gears, couplings, braking mechanis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8Cartridge systems
    • G03G2221/183Process cartridge
    • G03G2221/1853Process cartridge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 G03G2221/1861Rotational subunit connection

Abstract

현상제 담지체의 압압이나 이동을 높은 정밀도로 행한다. 카트리지는 현상 롤러와, 상기 현상 롤러를 지지하는 프레임체와, 상기 프레임체에 대해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프레임체에 대해서 제1 위치와 제2 위치로 이동하는 가동부와, 상기 프레임체와 상기 가동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가동부를 가압하는 탄성부를 갖고, 상기 가동부는,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의 힘을 상기 장치 본체로부터 받는 제1 힘수용부와,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의 힘을 상기 장치 본체로부터 받는 제2 힘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부가 상기 장치 본체로부터 상기 제1 힘수용부에서 힘을 받아서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가동부는, 상기 가동부를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 이동시키는 방향의 가압력을 상기 탄성부로부터 받는다.

Description

카트리지{CARTRIDGE}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 화상 형성 장치의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한 카트리지나 카트리지를 구성하는 부재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화상 형성 장치란 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화상 형성 장치의 예로서는 예를 들면 전자 사진 복사기, 전자 사진 프린터(예를 들면, 레이저 빔 프린터, LED 프린터 등), 팩시밀리 장치 및 워드 프로세서 등이 포함된다.
또한, 카트리지란 상 담지체인 전자 사진 감광체 드럼(이하, 감광 드럼이라 칭함) 또는 이 감광 드럼에 작용하는 프로세스 수단(예를 들면, 현상제 담지체(이하, 현상 롤러라 칭함)) 중 적어도 하나를 카트리지화 한 것이다. 카트리지는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해 착탈 가능하다. 카트리지로서는, 감광 드럼과 현상 롤러를 일체적으로 카트리지화 한 것이나, 감광 드럼과 현상 롤러를 따로따로 카트리지화 한 것이 있다. 특히 전자의 감광 드럼과 현상 롤러를 가진 것을 프로세스 카트리지라 칭한다. 또한, 후자의 감광 드럼을 가진 것을 드럼 카트리지, 현상 롤러를 가진 것을 현상 카트리지라 칭한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 본체란 카트리지를 제외한 화상 형성 장치의 나머지 부분이다.
종래,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드럼 카트리지, 현상 카트리지를 화상 형성 장치의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하는 카트리지 방식이 채용되고 있다. 이러한 카트리지 방식에 의하면, 화상 형성 장치의 유지관리를 서비스맨에 의하지 않고 사용자 자신이 행할 수 있으므로, 현격히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그 때문에, 카트리지 방식은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 널리 이용되고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시에 감광 드럼과 현상 롤러를 접촉시켜 현상하는 접촉 현상 방식이 있다. 그리고, 감광 드럼과 현상 롤러를 접촉시키기 위해, 현상 카트리지에 압압 수단을 설치한 현상 카트리지(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가 제안되어 있다.
여기서, 화상 품질 안정화 또는 감광 드럼이나 현상 롤러의 장수명화의 관점에서, 접촉 현상 방식에 있어서, 비화상 형성 시에는 감광 드럼과 현상 롤러는 이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본특허공개 제2011-39564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제2010-26541호 공보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서, 압압 수단은 감광 드럼과 현상 롤러가 근접하는 방향으로만 장치 본체로부터 작용되는 구성이다. 감광 드럼과 현상 롤러를 이격시키는 경우는, 압압 수단과는 다른 위치에서 감광 드럼과 현상 롤러가 이격하도록 현상 유닛를 이동시키는 이격 수단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 이때, 현상 롤러를 감광 드럼에 압압하는 압압력에 대항하여 현상 유닛를 이동시키게 된다.
또한, 특허문헌 2에서 압압 수단은 현상 롤러의 축 방향에서 일체로 된 기구가 설치되고 있다. 이때, 현상 롤러의 축 방향에서 감광 드럼과 현상 롤러의 압압 상태를 균일하게 하기 위해, 압압 수단을 고정밀화, 고강성화 할 필요가 있다. 즉, 감광 드럼에 대해 현상 롤러를 높은 정밀도로 이동시켜 감광 드럼에 압압하기 위해서는 압압 수단이 복잡화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구성의 과제를 감안하여, 현상제 담지체의 이동을 높은 정밀도로 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출원에 관한 대표적인 구성은,
화상 형성 장치의 장치 본체에 장착 가능한 카트리지로서,
현상 롤러와,
상기 현상 롤러를 지지하는 프레임체와,
상기 프레임체에 대해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프레임체에 대해서 제1 위치와 제2 위치로 이동하는 가동부와,
상기 프레임체와 상기 가동부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가동부를 가압하는 탄성부를 갖고,
상기 가동부는,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의 힘을 상기 장치 본체로부터 받는 제1 힘수용부와,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의 힘을 상기 장치 본체로부터 받는 제2 힘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부가 상기 장치 본체로부터 상기 제1 힘수용부에서 힘을 받아서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가동부는, 상기 가동부를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 이동시키는 방향의 가압력을 상기 탄성부로부터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현상제 담지체의 압압이나 이동을 높은 정밀도로 행할 수 있다.
도 1은 현상 카트리지의 측면도이다.
도 2는 화상 형성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현상 카트리지, 드럼 카트리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현상 카트리지의 구동측 사시도이다.
도 5는 현상 카트리지의 비구동측 사시도이다.
도 6은 현상 카트리지의 구동측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현상 카트리지의 비구동측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현상 카트리지의 구동 입력부의 사시도이다.
도 9는 구동측 사이드 커버 주변의 설명도이다.
도 10은 구동측 사이드 커버 주변의 설명도이다.
도 11은 커플링 부재의 자세 설명도이다.
도 12는 커플링 부재의 자세 설명도이다.
도 13은 베어링 부재와 커플링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현상 카트리지의 구동 입력부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커플링 부재 주변의 단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16은 드럼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장치 본체와 각 카트리지의 비구동측 사시도이다.
도 18은 장치 본체와 각 카트리지의 구동측 사시도이다.
도 19는 현상 카트리지의 구동측 측면도이다.
도 20은 구동측 스윙 가이드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장치 본체에 현상 카트리지를 장착하는 과정의 구동측 측면도이다.
도 22는 장치 본체에 장착된 현상 카트리지의 구동측 측면도이다.
도 23은 현상 카트리지의 구동 입력부의 단면도이다.
도 24는 현상 카트리지의 정면도이다.
도 25는 구동측 측판의 사시도이다.
도 26은 비구동측 측판의 사시도이다.
도 27은 현상 카트리지 및 구동측 스윙 가이드의 구동측 측면도이다.
도 28은 현상 카트리지 및 구동측 스윙 가이드의 구동측 측면도이다.
도 29는 현상 카트리지 및 비구동측 스윙 가이드의 비구동측 측면도이다.
도 30은 커플링 부재 주변의 단면도이다.
도 31은 현상 카트리지 및 구동측 스윙 가이드의 구동측 측면도이다.
도 32는 현상 카트리지 및 구동측 스윙 가이드의 구동측 측면도이다.
도 33은 비구동측 베어링의 사시도이다.
도 34는 커플링 부재 주변의 단면도이다.
도 35는 장치 본체의 비구동측 사시도이다.
도 36은 장치 본체와 각 카트리지의 비구동측 측면도이다.
도 37은 현상 카트리지의 모식 단면도이다.
도 38은 비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와 메모리 기판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9는 메모리 기판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0은 비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와 메모리 기판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1은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2는 장치 본체에 장착된 현상 카트리지의 구동측 측면도이다.
도 43은 장치 본체에 장착된 현상 카트리지의 구동측 측면도이다.
도 44는 접촉 이격 레버와 현상 가압 스프링의 위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5는 현상 사이드 커버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46은 현상 사이드 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7은 구동측 현상 베어링을 나타내는 정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48은 구동측 현상 베어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9는 장치 본체에 장착된 현상 카트리지의 구동측 측면도이다.
도 50은 현상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도 51은 장치 본체에 장착된 현상 카트리지의 구동측 측면도와 비구동측 측면도이다.
도 52는 장치 본체에 장착된 현상 카트리지의 구동측 측면도와 비구동측 측면도이다.
도 53은 현상 카트리지의 구동측 측면도이다.
도 54는 현상 카트리지의 구동측 측면도이다.
도 55는 현상 카트리지의 구동측 사시도이다.
도 56은 현상 카트리지의 구동측 측면도와 단면도이다.
도 57은 장치 본체에 장착된 현상 카트리지의 구동측 측면도와 비구동측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로서, 레이저 빔 프린터 본체와, 레이저 빔 프린터 본체에 착탈 가능한 드럼 카트리지 및 현상 카트리지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드럼 카트리지 및 현상 카트리지의 긴 길이 방향이란, 감광 드럼의 회전 축선(L1) 및 현상 롤러의 회전 축선(L0)과 대략 평행한 방향(감광체 드럼(10) 또는 현상 롤러의 회전축 방향)이다. 또한, 감광 드럼의 회전 축선(L1) 및 현상 롤러의 회전 축선(L0)은 기록 매체의 반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이다. 또한, 드럼 카트리지 및 현상 카트리지의 짧은 길이 방향이란, 감광 드럼의 회전 축선(L1) 및 현상 롤러의 회전 축선(L0)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드럼 카트리지 및 현상 카트리지를 레이저 빔 프린터 본체에 착탈하는 방향은, 각 카트리지의 짧은 길이 방향이다. 또한, 설명문 중의 부호는 도면을 참조하기 위한 것으로, 구성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측면도란 현상 롤러의 회전 축선(L0)과 평행한 방향으로부터 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실시예 1》
(1)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설명
우선, 도 2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적용한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화상 형성 장치의 측단면 설명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화상 형성 장치는 퍼스널 컴퓨터 등의 외부 기기로부터 통신된 화상 정보에 따라, 전자 사진 화상 형성 프로세스에 의해 기록 매체(시트)(2)에 현상제(t)에 의한 화상을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는, 현상 카트리지(B1)와 드럼 카트리지(C)가 사용자에 의해 장치 본체(A1)에 장착 및 탈착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기록 매체(2)의 일례로서 기록지, 레이블지, OHP 시트, 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현상 카트리지(B1)는 현상제 담지체로서의 현상 롤러(13) 등을 갖고, 드럼 카트리지(C)는 상 담지체로서의 감광 드럼(10), 대전 롤러(11) 등을 갖는다.
감광 드럼(10)은, 장치 본체(A1)로부터의 전압 인가에 의해 대전 롤러(11)로 감광 드럼(10)의 표면을 균일하게 대전한다. 그리고, 광학 수단(1)으로부터 화상 정보에 따른 레이저 광(L)이 대전된 감광 드럼(10)에 조사되어, 감광 드럼(10)에 화상 정보에 따른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이 정전 잠상은 후술하는 현상 수단에 의해 현상제(t)로 현상되고, 감광 드럼(10) 표면에 현상제 상이 형성된다.
한편, 급지 트레이(4)에 수용된 기록 매체(2)는 상기 현상제 상의 형성과 동기하여, 급지 롤러(3a)와 이에 압접하는 분리 패드(3b)에 규제되어 한 장씩 분리 급송된다. 그리고, 기록 매체(2)는 반송 가이드(3d)에 의해, 전사 수단으로서의 전사 롤러(6)로 반송된다. 전사 롤러(6)는 감광 드럼(10) 표면에 접촉하도록 가압되고 있다.
이어서, 기록 매체(2)는 감광 드럼(10)과 전사 롤러(6)로 형성되는 전사 닙부(nip: 6a)를 통과한다. 이때, 전사 롤러(6)에 현상제 상과 반대 극성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감광 드럼(10) 표면 위에 형성된 현상제 상이 기록 매체(2)에 전사된다.
현상제 상이 전사된 기록 매체(2)는 반송 가이드(3f)에 규제되어 정착 수단(5)으로 반송된다. 정착 수단(5)은 구동 롤러(5a) 및 히터(5b)를 내장한 정착 롤러(5c)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기록 매체(2)는 구동 롤러(5a)와 정착 롤러(5c)로 형성되는 닙부(5d)를 통과할 때에 열 및 압력이 인가되어, 기록 매체(2)에 전사된 현상제 상이 기록 매체(2)에 정착된다. 이에 의해, 기록 매체(2)에 화상이 형성된다.
그 후, 기록 매체(2)는 배출 롤러 쌍(3g)에 의해 반송되어 배출부(3h)로 배출된다.
(2) 전자 사진 화상 형성 프로세스의 설명
다음으로, 도 3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적용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프로세스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현상 카트리지(B1) 및 드럼 카트리지(C)의 단면 설명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현상 카트리지(B1)는 현상 용기(16)에, 현상 수단으로서의 현상 롤러(13)나 현상 블레이드(15) 등을 구비하고 있다. 현상 카트리지(B1)는 카트리지화된 현상 장치로서, 화상 형성 장치의 장치 본체에 대해 착탈된다.
또한, 드럼 카트리지(C)는 클리닝 프레임체(감광체 지지 프레임체)(21)에, 감광 드럼(10)이나 대전 롤러(11) 등을 구비하고 있다. 드럼 카트리지(C)도 화상 형성 장치의 장치 본체에 대해 착탈된다.
현상 용기(16)의 현상제 수납부(16a)에 수납된 현상제(t)는, 현상 용기(16)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현상제 반송 부재(17)가 화살표 X17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현상 용기(16)의 개구부(16b)로부터 현상실(16c) 내로 송출된다. 현상 용기(16)에는 마그넷 롤러(12)를 내장한 현상 롤러(13)가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현상 롤러(13)는 축부(13e)와 고무부(13d)로 구성된다. 축부(13e)는 알루미늄 등의 도전성의 가늘고 긴 원통형이며, 그 긴 길이 방향에서 중앙부는 고무부(13d)로 덮여 있다(도 6 참조). 여기서, 고무부(13d)는 외형 형상이 축부(13e)와 동축선 상이 되도록 축부(13e)에 피복되어 있다. 현상 롤러(13)는 마그넷 롤러(12)의 자력에 의해 현상실(16c)의 현상제(t)를 현상 롤러(13)의 표면으로 끌어당긴다. 또한, 현상 블레이드(15)는 판금으로 이루어지는 지지 부재(15a)와 우레탄 고무나 SUS판 등으로 이루어지는 탄성 부재(15b)로 구성되고, 탄성 부재(15b)가 현상 롤러(13)에 대해 일정한 접촉압을 가지고 탄성적으로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현상 롤러(13)가 회전 방향 X5로 회전함으로써, 현상 롤러(13)의 표면에 부착하는 현상제(t)의 양을 규정하고, 현상제(t)에 마찰 대전 전하를 부여한다. 이에 의해, 현상 롤러(13) 표면에 현상제 층이 형성된다. 그리고, 장치 본체(A1)로부터 전압이 인가된 현상 롤러(13)를 감광 드럼(10)과 접촉시킨 상태에서, 회전 방향 X5로 회전시킴으로써, 감광 드럼(10)의 현상 영역으로 현상제(t)를 공급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와 같은 접촉 현상 방식의 경우, 항상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현상 롤러(13)가 감광 드럼(10)에 접촉한 채의 상태가 유지되면, 현상 롤러(13)의 고무부(13b)가 변형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비현상시에는 현상 롤러(13)를 감광 드럼(10)으로부터 이격시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감광 드럼(10)의 외주면에는 클리닝 프레임체(2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감광 드럼(10) 방향으로 가압된 대전 롤러(11)가 접촉하여 설치되고 있다. 상세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대전 롤러(11)는 장치 본체(A1)로부터의 전압 인가에 의해 감광 드럼(10)의 표면을 균일하게 대전한다. 대전 롤러(11)에 인가하는 전압은 감광 드럼(10)의 표면과 대전 롤러(11)와의 전위차가 방전 개시 전압 이상이 되는 값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대전 바이어스로서 -1300V의 직류 전압을 인가하고 있다. 이때, 감광 드럼(10)의 표면을 대전 전위(암부 전위) -700V로 균일하게 접촉 대전시키고 있다. 또한, 본 예에서는 이 대전 롤러(11)는 감광 드럼(10)의 회전에 대하여 구동 회전한다(상세 내용은 후술). 그리고, 광학 수단(1)의 레이저 광(L)에 의해 감광 드럼(10)의 표면에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그 후, 감광 드럼(10)의 정전 잠상에 따라 현상제(t)를 전이시켜 정전 잠상을 가시상화하고, 감광 드럼(10)에 현상제 상을 형성한다.
(3) 클리너리스(cleanerless) 시스템의 구성 설명
다음으로, 이하에서 본 예에서의 클리너리스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사되지 않고 감광 드럼(10) 상에 잔류한 전사 잔여 현상제(t2)를 감광 드럼(10)의 표면으로부터 제거하는 클리닝 부재를 설치하지 않는, 이른바 클리너리스 시스템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감광체 드럼(10)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살표 C5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고 있다. 감광체 드럼(10)의 회전 방향 C5로부터 보아, 대전 롤러(11)와 감광 드럼(10)의 접촉부인 대전 닙부(11a)의 상류 측에는 공극부(상류 공극부(11b))가 있다. 전사 공정 후에 감광 드럼(10)의 표면에 남은 전사 잔여 현상제(t2)는, 이 상류 공극부(11b)에 있어서의 방전에 의해 감광 드럼과 마찬가지로 부(負) 극성으로 대전된다. 이때, 감광 드럼(10) 표면은 -700V로 대전된다. 부극성으로 대전된 전사 잔여 현상제(t2)는, 대전 닙부(11a)에 있어서 전위차의 관계(감광 드럼(10) 표면 전위 = -700V, 대전 롤러(11) 전위 = -1300V)에서 대전 롤러(11)에는 부착되지 않고 통과하게 된다.
대전 닙부(11a)를 통과한 전사 잔여 현상제(t2)는 레이저 조사 위치(d)에 도달한다. 전사 잔여 현상제(t2)는 광학 수단의 레이저 광(L)을 차단할 정도로는 많지 않기 때문에, 감광 드럼(10) 상의 정전 잠상을 만드는(作像) 공정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레이저 조사 위치(d)를 통과하고 또한 비노광부(레이저 조사를 받고 있지 않은 감광 드럼(10)의 표면)에 있는 전사 잔여 현상제(t2)는, 현상 롤러(13)와 감광 드럼(10)의 접촉부인 현상 닙부(13k)에 있어서, 정전기력에 의해 현상 롤러(13)로 회수된다. 한편, 노광부(레이저 조사를 받은 감광 드럼(10)의 표면)의 전사 잔여 현상제(t2)는, 정전기력적으로는 회수되지 않고 그대로 감광 드럼(10) 상에 계속 존재한다. 그러나 일부의 전사 잔여 현상제(t2)는, 현상 롤러(13)와 감광 드럼(10)의 주속(周速) 차에 의한 물리적인 힘으로 회수되는 일도 있다.
이와 같이 종이에 전사되지 않고 감광체 드럼(10) 상에 남은 전사 잔여 현상제(t2)는, 대체로 현상 용기(16)로 회수된다. 현상 용기(16)로 회수된 전사 잔여 현상제(t2)는 현상 용기(16) 내에 남아 있는 현상제(t)와 혼합되어 사용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전사 잔여 현상제(t2)를 대전 롤러(11)에 부착시키지 않고 대전 닙부(11a)를 통과시키기 위해, 이하의 2가지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첫째는, 전사 롤러(6)와 대전 롤러(11)의 사이에 광제전 부재(8)를 설치하고 있는 점이다. 광제전 부재(8)는 대전 닙부(11a)의 감광 드럼(10)의 회전 방향(화살표 C5) 상류 측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류 공극부(11b)에서 안정된 방전을 행하기 위해서 전사 닙부(6a)를 통과한 뒤의 감광 드럼(10)의 표면 전위를 광제전하고 있다. 이 광제전 부재(8)에 의해 대전 전의 감광 드럼(10)의 전위를 긴 길이 방향 전체 영역에 걸쳐 -150V 정도로 하여 둠으로써, 대전 시에 균일한 방전이 행해져, 전사 잔여 현상제(t2)를 균일하게 부극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둘째는, 대전 롤러(11)를 감광 드럼(10)과 소정의 주속 차를 두고 구동 회전시키고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방전에 의해 대부분의 토너가 부극성으로 되지만, 부극성으로 미처 되지 못한 약간의 전사 잔여 현상제(t2)가 남아 있고, 이 전사 잔여 현상제(t2)가 대전 닙부(11a)에서 대전 롤러(11)에 부착하는 일이 있다. 대전 롤러(11)와 감광 드럼(10)을 소정의 주속 차를 두어 구동 회전시킴으로써, 감광 드럼(10)과 대전 롤러(11)와의 미끄러짐 마찰에 의해, 이와 같은 전사 잔여 현상제(t2)를 부극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대전 롤러(13)로의 전사 잔여 현상제(t2)의 부착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본 실시 구성에서는, 대전 롤러(11)의 긴 길이 방향 일단에 대전 롤러 기어(69)(도 16, 상세 내용은 후술함)가 설치되어 있으며, 대전 롤러 기어(69)는 감광 드럼(10)의 같은 긴 길이 방향 일단에 설치된 구동측 플랜지(24)(도 16, 상세 내용은 후술함)와 결합하고 있다. 따라서, 감광 드럼(10)의 회전 구동에 수반하여 대전 롤러(11)도 회전 구동한다. 대전 롤러(11)의 표면의 주속은 감광 드럼(10) 표면의 주속에 대하여 105~120% 정도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4) 현상 카트리지(B1)의 구성 설명
<현상 카트리지(B1) 전체 구성>
다음으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적용한 현상 카트리지(B1)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긴 길이 방향에 관하여 장치 본체(A1)로부터 현상 카트리지(B1)로 회전력이 전달되는 쪽을 현상 카트리지(B1)의 일단측으로서 「구동측」이라 칭한다. 또한, 그 반대쪽을 현상 카트리지(B1)의 타단측으로서 「비구동측」이라 칭한다. 도 4는 현상 카트리지(B1)를 구동측에서 본 사시 설명도이다. 도 5는 현상 카트리지(B1)를 비구동측에서 본 사시 설명도이다. 도 6은 현상 카트리지(B1)의 구동측을 분해하여, 구동측에서 본 사시 설명도 (a)와 비구동측에서 본 사시 설명도 (b)이다. 도 7은 현상 카트리지(B1)의 비구동측을 분해하여, 비구동측에서 본 사시 설명도 (a)와 구동측에서 본 사시 설명도 (b)이다.
도 6,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현상 카트리지(B1)는 현상 롤러(13)와 현상 블레이드(15) 등을 구비하고 있다. 현상 블레이드(15)는 지지 부재(15a)의 긴 길이 방향의 구동측 단부(15a1), 비구동측 단부(15a2)가 현상 용기(16)에 대해서 비스(51), 비스(52)로 고정되어 있다. 현상 용기(16)의 긴 길이 방향 양단에는 구동측 현상 베어링(36)과 비구동측 현상 베어링(46)이 각각 배치되어 있다. 현상 롤러(13)는 구동측 단부(13a)가 구동측 현상 베어링(36)의 구멍(36a)과 감합(嵌合)하고 있다. 또한, 비구동측 단부(13c)가 비구동측 베어링(46)의 지지부(46f)와 감합하고 있다. 이상에 의해 현상 롤러(13)는 현상 용기(16)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현상 롤러(13)의 구동측 단부(13a)에서 구동측 현상 베어링(36)보다도 긴 길이 방향 외측에는, 현상 롤러 기어(29)가 현상 롤러(13)와 동축으로 배치되고, 현상 롤러(13)와 현상 롤러 기어(29)가 일체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하고 있다(도 4 참조). 현상 롤러 기어(29)는 헬리컬 기어이다.
구동측 현상 베어링(36)은, 그 긴 길이 방향 외측에서 구동 입력 기어(27)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구동 입력 기어(27)는 현상 롤러 기어(29)와 서로 맞물리고 있다. 구동 입력 기어(27)도 헬리컬 기어이다. 구동 입력 기어(27)의 기어 잇수는 현상 롤러 기어(29)의 기어 잇수보다 많다.
또한, 구동 입력 기어(27)와 동축으로 커플링 부재(180)가 설치되어 있다.
현상 카트리지(B1)의 구동측 최단부에는 구동 입력 기어(27) 등을 긴 길이 방향 외측으로부터 덮도록 현상 사이드 커버(34)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현상 용기(16)와 비구동측 현상 베어링(46)과 구동측 현상 베어링(36)과 구동측 사이드 커버(34)로 구성되는 현상 카트리지의 프레임체를 현상 프레임체라 칭한다. 또한, 현상 사이드 커버(34)의 구멍(34a)을 통해 커플링 부재(180)가 긴 길이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여 있다. 상세 내용은 후술하지만, 구동 입력 부재로서의 커플링 부재(180)는, 장치 본체(A1)에 설치된 본체측 구동 부재(100)와 결합하여, 회전력이 전달되는(입력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그 회전력은 커플링 부재(180)의 회전력 전달부(180c1, 180c2)를 거쳐 구동 입력 기어(27)의 회전력 피전달부(27d1)(도 8 참조) 및 회전 피전달부(27d2))(도시하지 않음)로 전달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커플링 부재(180)에 입력된 회전력은 구동 입력 기어(27), 현상 롤러 기어(29)를 거쳐 회전 부재로서의 현상 롤러(13)로 전달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구동측 현상 베어링(36)에는 제1 가동 부재(12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1 가동 부재(120)는 제1 본체부로서의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 및 제1 탄성부(탄성 변형하는 부분, 부재)로서의 구동측 현상 가압 스프링(71)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는 구동측 현상 가압 스프링(71)의 탄성력을 받는 부재이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 본체부와 제1 탄성부는 분리 가능한 별체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제1 가동 부재(120)는 제1 본체부와 제1 탄성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그 구성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비구동측 현상 베어링(46)에는 제2 가동 부재(121)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2 가동 부재(121)는 제2 본체부로서의 비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2) 및 제2 탄성부(탄성 변형하는 부분, 부재)로서의 비구동측 현상 가압 스프링(73)으로 구성되어 있다. 비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2)는 비구동측 현상 가압 스프링(73)으로부터의 탄성력을 받는 부재이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2 본체부와 제2 탄성부는 분리 가능한 별체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제2 가동 부재(121)는 제2 본체부와 제2 탄성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있어도 좋고, 그 구성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세 내용은 추후에 설명한다.
<커플링 부재(180) 및 주변 구성>
커플링 부재(180) 및 주변 구성에 대해 이하에서 상세 내용을 설명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현상 카트리지(B1)의 구동측에는 커플링 부재(180), 구동 입력 기어(27), 커플링 스프링(185)이 설치되어 있다. 커플링 부재(180)는 장치 본체(A1)에 설치된 본체측 구동 부재(100)와 결합하여 회전력이 전달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플링 부재(180)는 주로 회전력 수용부(180a1, 180a2), 피지지부(180b), 회전력 전달부(180c1, 180c2), 가이드부(180d)로 구성된다. 커플링 부재(180)의 회전력 수용부(180a1, 180a2)는 구동 입력 기어(27)의 구동측 단부(27a)보다 긴 길이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도 8의 (a), (b) 참조). 그리고, 본체측 구동 부재(100)가 회전 축선 L4 주위로 화살표 X6 방향(이하, 정회전 X 방향이라 함)으로 회전하면, 본체측 구동 부재(100)의 회전력 부여부(100a1)가 회전력 수용부(180a1)와 접촉한다. 또한, 본체측 구동 부재(100)의 회전력 부여부(100a2)가 회전력 수용부(180a2)와 접촉한다. 이에 의해, 본체측 구동 부재(100)로부터 커플링 부재(180)로 회전력이 전달된다. 도 8(b), 도 8(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플링 부재(180)의 피지지부(180b)는 대략 구 형상이며, 피지지부(180b)가 구동 입력 기어(27)의 내주면의 지지부(27b)에 지지되고 있다. 또한, 커플링 부재(180)의 피지지부(180b)에는 회전력 전달부(180c1, 180c2)가 설치되어 있다. 회전력 전달부(180c1)는 구동 입력 기어(27)의 회전력 피전달부(27d1)와 접촉한다. 마찬가지로, 회전력 전달부(180c2)는 구동 입력 기어(27)의 회전력 피전달부(27d2)와 접촉한다. 이에 의해, 본체측 구동 부재(100)로부터 구동을 받은 커플링 부재(180)에 의해 구동 입력 기어(27)가 구동되고, 구동 입력 기어(27)가 회전 축선 L3 주위로 정회전 방향 X6로 회전한다.
여기서, 도 8(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측 구동 부재(100)의 회전 축선 L4와 구동 입력 기어(27)의 회전 축선 L3가 동축이 되도록 설정한다. 그러나, 부품 치수의 오차 등에 의해, 도 8(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측 구동 부재(100)의 회전 축선 L4와 구동 입력 기어(27)의 회전 축선 L3이 동축으로부터 평행으로 다소 어긋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커플링 부재(180)의 회전 축선 L2가 구동 입력 기어(27)의 회전 축선 L3에 대해 경사진 상태로 회전하고, 본체측 구동 부재(100)로부터 커플링 부재(180)로 회전력이 전달된다. 또한, 구동 입력 기어(27)의 회전 축선 L3가 본체측 구동 부재(100)의 회전 축선 L4에 대해, 동축으로부터 각도를 갖고 다소 어긋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본체측 구동 부재(100)의 회전 축선 L4에 대해, 커플링 부재(180)의 회전 축선 L2가 경사진 상태로 본체측 구동 부재(100)로부터 커플링 부재(180)로 회전력이 전달된다.
또한,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입력 기어(27)에는 구동 입력 기어(27)의 회전 축선 L3와 동축으로, 헬리컬 기어 또는 평 기어인 기어부(27c)가 일체 성형으로 설치되어 있다(본 실시예에서는 헬리컬 기어를 이용하고 있음). 그리고, 기어부(27c)가 현상 롤러 기어(29)의 기어부(29a)와 서로 맞물린다. 현상 롤러 기어(29)는 현상 롤러(13)와 일체적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구동 입력 기어(27)의 회전력이 현상 롤러 기어(29)를 거쳐 현상 롤러(13)로 전달된다. 그리고, 현상 롤러(13)는 회전 축선 L9 주위로 회전 방향 X5로 회전한다.
<현상 카트리지 비구동측 전극부의 구성>
다음으로, 현상 카트리지(B1)의 비구동측 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접점부로서의 메모리 기판(47)과 노출면으로서의 전극부(47a)에 대해 도 3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메모리 기판(47)은, 비구동측 현상 베어링(46)의 외주측이면서, 또한 비구동측 현상 가압 레버(72)로부터 보아 현상 롤러(1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46f) 측에 설치되어 있다. 메모리 기판(47)에는 현상 카트리지(13)의 제조 로트나 특성 정보가 기록되어 있으며, 장치 본체(A1)에서 화상 형성을 행할 때에 이용하고 있다. 메모리 기판(47)에는 철이나 구리 등의 금속제의 전극부(47a)가 설치되고 있고, 화상 형성 시에는 접점부(47)를 거쳐 장치 본체(A1)와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통신을 행한다.
메모리 기판(47)은 비구동측 현상 베어링(46)에 설치된 기판 제1 지지부(46m) 및 기판 제2 지지부(46n)에 양단이 삽입되어 있고, 메모리 기판(47)과 기판 제1 지지부(46m) 및 기판 제2 지지부(46n)는 압입이나 접착 등의 수단으로 고정되어 있다.
메모리 기판(47)의 전극부(47a)는 복수 설치되어 있다. 이들 복수의 전극부(47a)가 늘어서는 방향과, 메모리 기판(47)의 기판 제1 지지부(46m) 및 기판 제2 지지부(46n)로의 삽입 방향이 동일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구동측 사이드 커버와 주변 부품의 조립>
다음으로, 현상 카트리지(B1)의 구동측 단부에 설치되고 있는 현상 사이드 커버(34) 및 커플링 레버(55)의 구성에 대해 상세 내용을 설명한다. 도 9는 커플링 레버(55)와 커플링 레버 스프링(56)의 현상 사이드 커버(34)로의 조립 모습을 나타낸 사시 설명도 및 측면도이다.
현상 사이드 커버(34)의 긴 길이 방향 내측에는 커플링 레버(55)와 커플링 레버 스프링(56)이 조립된다. 구체적으로는, 현상 사이드 커버(34)의 원통 형상인 레버 위치 결정 보스(34m)와 커플링 레버(55)의 구멍부(55c)가 감합되고, 회전 축선 L11을 중심으로 커플링 레버(55)는 현상 사이드 커버(34)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커플링 레버 스프링(56)은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 일단을 커플링 레버(55)에, 타단을 현상 사이드 커버(34)에 결합시키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커플링 레버 스프링(56)의 작용 아암(56a)이 커플링 레버(55)의 스프링 걸림부(55b)에 결합되고, 또한, 커플링 레버 스프링(56)의 고정 아암(56c)이 현상 사이드 커버(34)의 스프링 걸림부(34s)에 결합되어 있다(도 9(c) 참조).
현상 사이드 커버(34)의 긴 길이 방향 외측에는 커플링 스프링(185)이 조립되는데, 상세한 내용은 추후 설명한다.
현상 사이드 커버(34)에 커플링 레버(55) 및 커플링 레버 스프링(56)을 조립하는 방법에 대해, 순서대로 설명한다. 먼저, 커플링 레버(55)의 원통 보스(55a)에 커플링 레버 스프링(56)의 원통부(56d)를 장착한다(도 9(a)). 이 때, 커플링 레버 스프링(56)의 작용 아암(56a)을 커플링 레버(55)의 스프링 걸림부(55b)에 결합시킨다. 또한, 커플링 레버 스프링(56)의 고정 아암(56c)을 회전 축선 L11을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 X11 방향으로 변형시켜 둔다. 다음으로 커플링 레버(55)의 구멍부(55c)를 현상 사이드 커버(34)의 레버 위치 결정 보스(34m)에 삽입한다(도 9(a)~(b)). 삽입 시에, 커플링 레버(55)의 빠짐방지부(55d)와 현상 사이드 커버(34)의 피빠짐방지부(34n)는 간섭하지 않는 배치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긴 길이 방향으로부터 보아, 커플링 레버(55)의 빠짐방지부(55d)와 현상 사이드 커버(34)의 피빠짐방지부(34n)가 중첩하지 않는 배치로 되어 있다.
도 9(b)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커플링 레버 스프링(56)의 고정 아암(56c)을 화살표 X11 방향으로 변형시키고 있다. 도 9(b)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커플링 레버 스프링(56)의 고정 아암(56c)의 변형을 해방시키면, 도 9(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아암(56c)은 현상 사이드 커버(34)의 스프링 걸림부(34s)에 결합된다. 그리고, 커플링 레버 스프링(56)의 고정 아암(56c)이 변형한 가압력을 현상 사이드 커버(34)의 스프링 걸림부(34s)가 받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 결과, 커플링 레버 스프링(56)의 고정 아암(56c)은 현상 사이드 커버(34)의 스프링 걸림부(34s)로부터 화살표 X11 방향으로 반력을 받는다. 또한, 커플링 레버(55)는 그 스프링 걸림부(55b)에서 커플링 레버 스프링(56)으로부터의 가압력을 받는다. 결과적으로, 커플링 레버(55)는 회전축 L11를 중심으로 화살표 X11 방향으로 회동하고, 커플링 레버(55)의 회전 규제부(55y)가 현상 사이드 커버(34)의 규제면(34y)에 접촉한 위치에서 회전이 규제된다(도 9(a)~(c) 참조). 이상으로 현상 사이드 커버(34)에 커플링 레버(55) 및 커플링 레버 스프링(56)의 조립이 종료한다.
또한, 이 때, 커플링 레버(55)의 빠짐방지부(55d)는, 긴 길이 방향으로부터 보아, 현상 사이드 커버(34)의 피빠짐방지부(34n)와 중첩한 상태로 된다. 즉, 커플링 레버(55)는, 긴 길이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회전 축선 X11을 중심으로 한 회전만이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9(d)에 커플링 레버(55)의 빠짐방지부(55d)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현상 사이드 커버(34)의 조립>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플링 레버(55)와 커플링 레버 스프링(56)이 일체로 된 현상 사이드 커버(34)는, 구동측 현상 베어링(36)의 긴 길이 방향 외측에 고정된다. 구체적으로는, 현상 사이드 커버(34)의 위치 결정부(34r1)와 구동측 베어링(36)의 피위치 결정부(36e1)가 결합한다. 또한, 위치 결정부(34r2)와 피위치 결정부(36e2)가 결합함으로써 현상 사이드 커버(34)는 구동측 현상 베어링(36)에 대해 위치가 결정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현상 사이드 커버(34)의 구동측 현상 베어링(36)에 대한 고정 방법은 비스 또는 접착제 등으로 좋으며, 그 구성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현상 사이드 커버(34)를 조립하면, 커플링 부재(180)의 회전력 수용부(180a1, 180a2), 피가이드부(180d) 등은 현상 사이드 커버(34)의 구멍(34a)을 통과한다. 그리고 커플링 부재(180)는 현상 카트리지(B1)의 긴 길이 방향 외측으로 노출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도 4 및 도 6 참조). 또한 커플링 부재(180)의 피가이드부(180d)(도 8 참조)는 커플링 레버(55)의 가이드부(55e)와 접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커플링 레버(55)는 회전 축선 L11을 중심으로 화살표 X11 방향으로 가압력이 작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커플링 부재(180)는 커플링 레버(55)로부터 가압력 F2를 받는다(도 10(b) 참조).
또한, 현상 사이드 커버(34)에는 커플링 스프링(185)이 설치되어 있다. 커플링 스프링(185)은 비틀림 코일 스프링이며, 일단을 현상 사이드 커버(36)에, 타단을 커플링 부재(180)에 접촉시키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커플링 스프링(185)의 위치 결정부(185a)가 현상 사이드 커버(34)의 스프링 지지부(34h)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커플링 스프링(185)의 고정 아암(185b)이 현상 사이드 커버(34)의 스프링 결합부(34j)에 고정되어 있다. 나아가, 커플링 스프링(185)의 작용 아암(185c)이 커플링 부재(180)의 피가이드부(180d)에 접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커플링 스프링(185)의 작용 아암(185c)은 위치 결정부(185a)를 중심으로 한 회전 축선 X12를 중심으로 화살표 L12 방향으로 가압력이 작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커플링 부재(180)는 커플링 스프링(185)으로부터 가압력 F1b를 받는다(도 10(c) 참조).
커플링 레버(55)로부터의 가압력 F2 및 커플링 스프링(185)으로부터의 가압력 F1b를 받은 커플링 부재(180)는, 구동 입력 기어(27)의 회전 축선 L3에 대해 경사진 자세(회전 축선 L2)로 보유 지지된다(도 10(b)).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이때의 커플링 부재(180)의 경사 자세가 보유 지지되는 구성이나 힘의 작용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제2 경사 자세 D2 시의 커플링 부재(180)에 작용하는 힘 관계>에서 설명한다.
<커플링 부재(180)의 기본 동작>
다음으로, 현상 카트리지(B1) 상태에서의 커플링 부재(180)의 기본 동작에 대해 도 1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5(a)는 커플링 부재(180), 구동 입력 기어(27), 구동측 현상 베어링(36)의 관계를 긴 길이 방향 단면으로부터 본 확대도이다. 도 15(b)는 구동측 현상 베어링(36)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15(c)는 구동 입력 기어(27)의 사시도이다.
커플링 부재(180)의 피지지부(180b)는 구동 입력 기어(27)의 내부(27t)에 설치되며, 또한 구동 입력 기어(27)의 규제부(27s)와 구동측 현상 베어링(36)의 커플링 규제부(36s)에 끼워져 있다. 또한, 커플링 부재(180)의 피지지부(180b)의 직경(r180)은 구동 입력 기어(27)의 규제부(27s)의 X180 방향에서의 폭(r27) 및 구동측 현상 베어링(36)의 커플링 규제부(36s)의 X180 방향에서의 폭(r36)에 대해 아래와 같은 관계로 되어 있다.
● 피지지부(180b)의 직경(r180) > 구동 입력 기어(27)의 규제부(27s)의 X180 방향에서의 폭(r27)
● 피지지부(180b)의 직경(r180) > 구동측 현상 베어링(36)의 커플링 규제부(36s)의 X180 방향에서의 폭(r36)
이 구성에 의해, 커플링 부재(180)의 긴 길이 방향 화살표 Y180는, 피지지부(180b)가 구동 입력 기어(27)의 규제부(27s) 또는 구동측 현상 베어링(36)의 커플링 규제부(36s)에 접촉함으로써 규제된다. 또한, 커플링 부재(180)의 단면 방향 화살표 X180는, 피지지부(180b)가 구동 입력 기어(27)의 내부(27t)의 범위 내로 규제된다. 이 때문에, 커플링 부재(180)는 긴 길이 방향 Y180과 단면 방향 X180의 이동은 규제되고 있지만, 피지지부(180)의 중심(180s)을 중심으로 한 R180 방향의 경사가 가능한 구성으로 된다.
<커플링 부재(180)의 경사 자세에 대하여>
다음으로, 커플링 부재(180)의 경사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커플링 부재(180)는 장치 본체(A1)의 본체측 구동 부재(100)로부터 구동력을 받아, 회동 축선 L2 주위로 회전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구동 전달 시의 커플링 부재(180)의 회전 축선 L2는 기본적으로는 구동 입력 기어(27)의 회전 축선 L3와 동축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나아가, 부품 치수의 오차 등에 따라서는, 커플링 부재(180)의 회전 축선 L2와 구동 입력 기어(27)의 회전 축선 L3가 동축은 아니고 다소 어긋나는 경우도 있음은 설명하였다.
본 구성에서는, 커플링 부재(180)의 회전 축선 L2는 아래와 같은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는 크게 다음의 3가지 자세로 나눌 수 있다.
● 기준 자세 D0:커플링 부재(180)의 회전 축선 L2가 구동 입력 기어(27)의 회전 축선 L3와 동축 또는 평행한 자세
● 제1 경사 자세 D1:현상 카트리지(B1)가 장치 본체(A1)에 장착되고, 감광 드럼(10)과 현상 롤러(13)가 이격한 이격 상태로부터 접촉한 접촉 상태로 현상 카트리지(B1)가 이동하는 도중의 자세이다. 커플링 부재(180)의 회전력 수용부(180a1180a2)(이후, 회전력 수용부(180a)라 칭함), 피지지부(180b)가 장치 본체(A1)의 본체측 구동 부재(100)의 방향으로 향한 자세. 이격 상태, 접촉 상태 등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 제2 경사 자세 D2:현상 카트리지(B1)를 장치 본체(A1)에 장착할 때에, 커플링 부재(180)의 회전력 수용부(180a), 피지지부(180b)가 장치 본체(A1)의 본체측 구동 부재(100)의 방향으로 향한 자세. 장착 시의 자세 등에 대한 상세 내용은 후술한다.
여기서, 커플링 부재(180)와 구동측 현상 베어링(36)과의 결합 관계를 설명한다.
도 13은 구동측 현상 베어링(36)과 커플링 부재(180)와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a)는 구동측 현상 베어링(36)과 커플링 부재(180)의 위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b)는 구동측 현상 베어링(36)을 구동측 정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13(c)는 도 13(b)에 있어서 KA 단면으로부터 본 도면에 커플링 부재(180)를 추가한 도면이며, 도 13(d)는 도 13(b)에 있어서 KB 단면으로부터 본 도면에 커플링 부재(180)를 추가한 도면이다.
도 1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플링 부재(180)에는 회전 축선 L2와 동축으로 긴 길이 방향 내측에 위상 규제 보스(180e)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구동측 현상 베어링(36)에는 오목 형상의 위상 규제부(36kb)가 설치되어 있다. 특히 위상 규제부(36kb)는, 구동 입력 기어(27)의 회전 축선 L3 중심으로부터 화살표 K1a 방향으로 오목한 제1 경사 규제부(36kb1), 화살표 K2a 방향으로 오목한 제2 경사 규제부(36kb2)가 설치되어 있다. 커플링 부재(180)의 위상 규제 보스(180e)는 구동측 현상 베어링(36)의 위상 규제부(36kb) 내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커플링 부재(180)의 위상 규제 보스(180e)는 구동측 현상 베어링(36)의 위상 규제부(36kb)로 위치 규제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커플링 부재(180)의 위상 규제 보스(180e)는 구동측 현상 베어링(36)의 위상 규제부(36kb) 내를 이동 가능하고, 특히, 제1 경사 규제부(36kb1) 및 제2 경사 규제부(36kb2)로 이동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커플링 부재(180)의 위상 규제 보스(180e)가 제1 경사 규제부(36kb1)로 이동했을 때는, 커플링 부재(180)의 회전력 수용부(180a) 및 피가이드부(180d)는 화살표 K1a와 반대 방향인 화살표 K1b 방향으로 경사진다. 이는 커플링 부재(180)가 제1 경사 자세 D1을 취하고 있는 상태이다. 또한, 커플링 부재(180)의 위상 규제 보스(180e)가 제2 경사 규제부(36kb2)로 이동했을 때는, 커플링 부재(180)의 회전력 수용부(180a) 및 피가이드부(180d)는 화살표 K2a와 반대 방향인 화살표 K2b 방향으로 경사진다. 이는 커플링 부재(180)가 제2 경사 자세 D2를 취하고 있는 상태이다.
<기준 자세 D0 시의 커플링 부재(180)에 작용하는 힘 관계>
커플링 부재(180)의 자세를 커플링 부재(180)의 기준 자세 D0에 관하여 상세한 내용을 도 21, 도 22를 이용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22는 현상 카트리지(B1)가 장치 본체(A)에 장착 완료 시에서의 커플링 레버(55)와 커플링 부재(180)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a)는 구동측에서 본 측면도, 도 22(b)는 도 22(a)에 있어서의 화살표 X20 방향으로부터 본 측면도, 도 22(c)는 도 22(b)에 있어서 절단선 X30으로 절단하여 비구동측 방향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현상 카트리지(B1)의 장치 본체(A1)로의 장착이 완료되면, 커플링 부재(180)는 본체측 구동 부재(100)와 결합한다. 그리고 커플링 부재(180)의 회전 축선 L2과 본체측 구동 부재(100)의 회전 축선 L4 및 구동 입력 기어(27)의 회전 축선 L3가 동축 상에 배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커플링 부재(180)의 회전력 수용부(180a)와 본체측 구동 부재(100)의 회전력 부여부(100a)(회전력 부여부(100a1)와 회전력 부여부(100a2))가 결합 가능한 위치로 되어 있다(도 8 참조).
이하에서, 커플링 부재(180)가 본체측 구동 부재(100)와 동축으로 될 때까지의 커플링 부재(180)의 움직임에 대해 도 3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4는 커플링 부재(180)가 본체 구동 부재(100)와 동축이 될 때까지의 커플링 부재의 자세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4(a)는 커플링 부재(180)가 본체 구동 부재(100)와 접촉하고 있지 않은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34(b)는 커플링 부재(180)가 본체 구동 부재(100)와 접촉한 순간의 상태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34(c)는 커플링 부재(180)가 본체측 구동 부재(100)와 동축인 상태의 단면도이다.
커플링 부재(180)는, 도 3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구동 부재(100)와 접촉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커플링 부재(180)의 피지지부(180b)의 중심(180s)을 중심으로 하여 본체측 구동 부재(100)의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그 자세를 유지한 상태로, 커플링 부재(180)가 본체 구동 부재(100)의 방향인 화살표 X60으로 나아간다. 그러면, 커플링 부재(180)는 원환부(180f)의 내측에 배치된 오목 형상의 원추부(180g)와, 본체측 구동 부재(100)의 축 선단에 배치된 볼록부(100g)가 접촉한다. 그리고, 커플링 부재(180)가 화살표 X60으로 더 나아가면, 커플링 부재(180)는 커플링 부재(180)의 피지지부(180b)의 중심(180s)을 중심으로 하여 커플링 부재(180)의 경사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커플링 부재(180)의 회전 축선 L2와 본체측 구동 부재(100)의 회전 축선 L4 및 구동 입력 기어(27)의 회전 축선 L3가 동축 상에 배치된다. 이 일련의 동작에 있어서의 커플링 부재(180)가 받는 힘에 관한 상세한 내용은 후술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생략한다.
그리고, 이 구동 입력 기어(27)의 회전 축선 L3와 커플링 부재(180)의 회전 축선 L2가 동축 상에 배치된 상태가, 커플링 부재(180)의 자세가 기준 자세 D0이다(커플링 부재(180)의 경사 각도 θ2=0°). 또한, 커플링 부재(180)의 위상 규제 보스(180e)는 구동측 현상 베어링(36)의 제2 경사 규제부(36kb2)로부터 이탈하여, 구동측 현상 베어링(36)의 위상 규제부(36b)의 어디에도 접촉하고 있지 않다(도 22(c) 참조). 또한, 커플링 레버(55)의 가이드부(55e)는 커플링 부재(180)의 피가이드부(180d)로부터 완전하게 퇴피한 상태로 보유 지지되고 있다(도 22(a)). 즉, 커플링 부재(180)는 커플링 스프링(185) 및 본체측 구동 부재(100)의 2 부품에 접촉하여, 그 경사각(θ2)이 결정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는, 현상 카트리지(B1)를 장치 본체(A1)에 장착 완료한 상태이더라도, 커플링 부재(180)의 경사각(θ2)이 θ2=0°로 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이하, 도 14를 이용하여, 현상 카트리지(B1)가 장치 본체(A1)에 장착 완료되었을 때의, 현상 커플링(180)의 경사 자세(기준 자세 D0)에 대해, 상세한 내용을 설명한다.
도 14는 커플링 부재(180)와 본체측 구동 부재(100)와의 결합 시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a), 도 14(b)에 나타내는 상태는, 구동 입력 기어(27)의 회전 축선 L3와 본체측 구동 부재(100)의 회전 축선 L4가 동축으로 배치되고, 또한, 커플링 부재(180)의 회전 축선 L2도 동축으로 되었을 경우의 측면도와 단면도이다.
커플링 부재(180)의 피가이드부(180d)는 커플링 스프링(185)으로부터 화살표 F1 방향의 가압력(도 22(d) 참조)을 받고 있지만, 원추부(180g)는 점(180g1, 180g2)에서 볼록부(100g)와 접촉하고 있다(도 8(e)). 그 결과, 커플링 부재(180)는 원추부(180g)의 점(180g1, 180g2)의 2점에서 본체측 구동 부재(100)에 대한 자세가 규제되고 있다. 즉, 커플링 부재(180)의 회전 축선 L2는 본체측 구동 부재(100)의 회전 축선 L4와 동축으로 된다.
이 상태로부터, 장치 본체(A1)의 본체측 구동 부재(100)가 회전 구동하면, 장치 본체(A1)의 회전력 부여부(100a)와 커플링 부재(180)의 회전력 수용부(180a)가 결합한다. 그리고, 장치 본체(A1)로부터 커플링 부재(180)로 구동이 전달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도 8 참조).
도 14(c)에 나타내는 상태는 구동 입력 기어(27)의 회전 축선 L3와 본체측 구동 부재(100)의 회전 축선 L4가 동축으로 배치되고 있지만, 커플링 부재(180)의 회전 축선 L2가 경사진 상태이다. 부품 치수의 오차에 따라서는, 커플링 부재(180)의 원추부(180g)는, 본체측 구동 부재(100)의 볼록부(100g)와 원추부(180g)의 점(180g1)과는 접촉하지만, 원추부(180g)의 점(180g2)과는 접촉하지 않는다. 이때, 커플링 부재(180)의 피가이드부(180d)가 커플링 스프링(185)으로부터 화살표 F1 방향의 가압력을 받음으로써, 커플링 부재(180)의 회전 축선 L2가 경사진다. 따라서, 도 14(c)에서는, 커플링 부재(180)의 원추부(180g)의 점(180g1)이 본체측 구동 부재(100)의 볼록부(100g)와 접촉함으로써, 커플링 부재(180)의 자세가 규제되고 있다. 즉, 커플링 부재(180)의 회전 축선 L2는 본체측 구동 부재(100)의 회전 축선 L4에 대해서 경사진다. 바꾸어 말하면, 커플링 부재(180)의 경사각(θ2)이 θ2=0°로 되지 않는다.
또한, 도 14(d)에서는, 부품 치수의 오차에 의해, 구동 입력 기어(27)의 회전 축선 L3와 본체측 구동 부재(100)의 회전 축선 L4가 동축이 아닌 경우의, 커플링 부재(180)의 회전 축선 L2가 경사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도 8(d) 참조). 이 경우에 있어서도, 도 14(c)에 나타낸 상태와 같이, 커플링 부재(180)의 가이드부(180d)가 커플링 스프링(185)으로부터 가압력을 받음으로써, 커플링 부재(180)의 회전 축선 L2가 경사진다. 즉, 커플링 부재(180)의 경사각(θ2)이 θ2=0°로 되지 않는다. 그러나, 도 14(c)와 마찬가지로, 커플링 부재(180)의 원추부(180g)의 점(180g1)이 본체측 구동 부재(100)의 볼록부(100g)와 접촉함으로써, 커플링 부재(180)의 자세가 규제된다.
그러나, 도 14(c) 및 도 14(d)에 도시한 어떤 상태에서도, 장치 본체(A1)의 본체측 구동 부재(100)가 회전 구동하면, 장치 본체(A1)의 회전력 부여부(100a)와 커플링 부재(180)의 회전력 수용부(180a)가 결합한다. 그리고, 장치 본체(A1)로부터 커플링 부재(180)로 구동이 전달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현상 카트리지(B1)를 장치 본체(A1)에 장착 완료한 상태에서는, 커플링 부재(180)의 회전 축선 L2는 구동 입력 기어(27)의 회전 축선 L3와 동축으로 되는 경우도 있는가 하면, 동축은 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상기 어느 쪽의 경우라도, 장치 본체(A1)의 본체측 구동 부재(100)가 회전 구동하면, 장치 본체(A1)의 회전력 부여부(100a)와 커플링 부재(180)의 회전력 수용부(180a)가 결합한다. 그리고, 장치 본체(A1)로부터 커플링 부재(180)로 구동이 전달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현상 카트리지(B1)를 장치 본체(A1)에 장착 완료하고, 장치 본체(A1)의 회전력 부여부(100a)로부터 커플링 부재(180)가 구동력을 받을 수 있는 상태의 커플링 부재(180)의 자세를 커플링 부재(180)의 기준 자세 D0라 칭한다. 또한, 경사 각도는, 본체측 구동 부재(100)의 회전력 부여부(100a)와 커플링 부재(180)의 회전력 수용부(180a)가 떨어지지 않는 범위에 들어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커플링 부재(180)의 제1 경사 자세 D1 및 제2 경사 자세 D2에 대해, 순서에 따라 상세 내용을 설명한다.
<제1 경사 자세 D1 시의 커플링 부재(180)에 작용하는 힘 관계>
우선, 제1 경사 자세 D1 시의 커플링 부재(180)에 작용하는 힘 관계에 대해 도 1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1(a)는 현상 카트리지(B1)가 장치 본체(A1) 내에 장착되고, 감광 드럼(10)과 현상 롤러(13)가 이격한 이격 상태에 있을 때의 현상 카트리지(B1)의 측면도이다. 도 11(b)는 구동측 현상 베어링(36)의 위상 규제부(36kb) 내에서의 커플링 부재(180)의 위상 규제 보스(180e)의 위치를 현상 카트리지(B1)의 비구동측에서 본 단면도이다. 또한, 도 11(c)는 커플링 부재(180)의 피가이드부(180d)를 긴 길이 방향 커플링 부재(180)의 피가이드부(180d)의 위치에서 절단하여, 긴 길이 방향 구동측에서 본 단면도이다.
커플링 레버(55)는 커플링 레버 스프링(56)(도 9 참조)으로부터 회전 축선 L11을 중심으로 화살표 X11 방향으로 회동하는 가압력을 받고 있다. 한편, 현상 카트리지(B1)가 장치 본체(A1) 내에 장착된 상태에 있을 때, 장치 본체(A1)에 설치된 부딪힘부(80y)에 의해, 화살표 X11 방향의 이동이 규제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부딪힘부(80y)와 커플링 레버(55)의 회전 규제부(55y)가 접촉함으로써, 커플링 레버 스프링(56)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커플링 레버(55)의 위치가 규제되고 있다. 또한, 부딪힘부(80y)는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도 20 참조). 이 때, 커플링 레버(55)의 가이드부(55e)는 커플링 부재(180)의 피가이드부(180d)로부터 퇴피한 상태로 되어 있다. 커플링 레버(55)와 부딪힘부(80y)와의 접촉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현상 카트리지(B1)의 착탈 과정에서 상세한 내용을 설명한다.
한편, 커플링 부재(180)의 피가이드부(180d)에는 커플링 스프링(185)의 가이드부(185d)가 접촉하여 힘 F1a가 작용한다. 즉, 커플링 부재(180)의 피가이드부(180d)는 화살표 F1a 방향으로 경사지는 힘을 받는다(도 11(c) 참조). 이 때, 커플링 부재(180)의 위상 규제 보스(180e)는 구동측 현상 베어링(36)의 가이드부(36kb1a)나 가이드부(36kb1b), 가이드부(36kb1c)에 의해 규제되고, 최종적으로는 제1 경사 규제부(36kb1)로 이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커플링 부재(180)의 위상 규제 보스(180e)는 화살표 K1a 방향으로 경사지고(도 11(b)), 한편, 커플링 부재(180)의 회전력 수용부(180a) 및 피가이드부(180d)는 화살표 K1b 방향으로 경사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도 11(a)). 커플링 부재(180)의 상기 자세를 커플링 부재(180)의 제1 경사 자세 D1라 칭한다.
여기서, 커플링 스프링(185)의 가이드부(185d)의 방향(화살표 F1a 방향)은 커플링 부재(180)의 피가이드부(180d)에 대해 화살표 K1b 방향(도 11(a) 참조)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할 수도 있다. 이 방향은, 커플링 부재(180)의 위상 규제 보스(180e)를 제1 경사 규제부(36kb1)에 부딪히게 하는 방향이며, 그렇게 함으로써 커플링 부재(180)를 제1 경사 자세 D1으로 유지하기 위한 커플링 스프링(185)의 가압력을 낮추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커플링 스프링(185)의 가압력을 조정하는 등에 의해, 커플링 부재(180)를 제1 경사 자세 D1으로 보유 지지할 수 있다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2 경사 자세 D2 시의 커플링 부재(180)에 작용하는 힘 관계>
다음으로, 제2 경사 자세 D2 시의 커플링 부재(180)에 작용하는 힘 관계에 대해서 도 1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2(a)는 현상 카트리지(B1)를 장치 본체(A1)에 장착하기 전의 상태로서, 즉, 현상 카트리지(B1)가 단품 상태(자연 상태)일 때의 현상 카트리지(B1)의 측면도이다. 도 12(b)는 구동측 현상 베어링(36)의 위상 규제부(36kb) 내에서의 커플링 부재(180)의 위상 규제 보스(180e)의 위치를 현상 카트리지(B1)의 비구동측에서 본 단면도이다. 또한, 도 12(c)는 커플링 부재(180)의 피가이드부(180d)를 절단하여, 긴 길이 방향 구동측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대하여, 장치 본체(A1)에 설치된 부딪힘부(80y)가 없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때, 커플링 레버(55)는 회전 축선 L11을 중심으로 화살표 X11 방향으로 커플링 레버 스프링(56)으로부터의 가압력을 받아, 그 가이드부(55e)가 커플링 부재(180)의 피가이드부(180d)에 접촉하는 위치까지 회전한다. 즉, 커플링 부재(180)의 피가이드부(180d)에는 커플링 레버(55)의 가이드부(55e)와 커플링 스프링(185)의 가이드부(185d)가 모두 접촉하고 있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커플링 부재(180)의 피가이드부(180d)는 화살표 F3 방향으로 경사지는 힘을 받는다. 이 때, 커플링 부재(180)의 위상 규제 보스(180e)는 구동측 현상 베어링(36)의 가이드부(36kb2a)나 가이드부(36kb2b), 가이드부(36kb2c)에 의해 규제되고, 최종적으로는 제2 경사 규제부(36kb2)로 이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커플링 부재(180)의 위상 규제 보스(180e)는 화살표 K2a 방향으로 경사지고(도 12(b)), 한편, 커플링 부재(180)의 회전력 수용부(180a) 및 피가이드부(180d)는 화살표 K2b 방향으로 경사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도 12(a)). 커플링 부재(180)의 상기 자세를 커플링 부재의 제2 경사 자세 D2라 칭한다.
(5) 드럼 카트리지(C)의 개략 설명
다음으로, 도 16을 이용하여, 드럼 카트리지(C)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6(a)는 드럼 카트리지(C)의 비구동측에서 본 사시 설명도이다. 도 16(b)는 감광 드럼(10), 대전 롤러(11) 주변부의 설명을 위해, 클리닝 프레임체(21)나 드럼 베어링(30)이나 드럼축(54) 등을 도시하지 않은 사시 설명도이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럼 카트리지(C)는 감광 드럼(10)과 대전 롤러(11) 등을 구비하고 있다. 대전 롤러(11)는 대전 롤러 베어링(67a), 대전 롤러 베어링(67b)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대전 롤러 가압 부재(68a), 대전 롤러 가압 부재(68b)에 의해 감광 드럼(10)에 대해 가압된다.
감광 드럼(10)의 구동측 단부(10a)에는 구동측 플랜지(24)가 일체적으로 고정되고, 감광 드럼(10)의 비구동측 단부(10b)에는 비구동측 플랜지(28)가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구동측 플랜지(24)나 비구동측 플랜지(28)는 코킹이나 접착 등의 수단으로 감광 드럼(10)과 동축으로 고정되어 있다. 클리닝 프레임체(21)의 긴 길이 방향 양단부에는 구동측 단부에 드럼 베어링(30)이, 비구동측 단부에 드럼축(54)이 비스나 접착, 압입 등의 수단으로 고정되어 있다. 감광 드럼(10)과 일체적으로 고정된 구동측 플랜지(24)는 드럼 베어링(3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비구동측 플랜지(28)는 드럼축(54)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대전 롤러(11)의 긴 길이 방향 일단에는 대전 롤러 기어(69)가 설치되어 있고, 대전 롤러 기어(69)는 구동측 플랜지(24)의 기어부(24g)와 서로 맞물려 있다. 드럼 플랜지(24)의 구동측 단부(24a)는 장치 본체(A1) 측으로부터 회전력이 전달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도시하지 않음). 결과적으로, 감광체 드럼(10)이 회전 구동하는데 따라, 대전 롤러(11)도 회전 구동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대전 롤러(11)의 표면의 주속은 감광 드럼(10) 표면의 주속에 대해 105~120% 정도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6) 장치 본체(A1)에 대한 현상 카트리지(B1)의 착탈 구성의 설명
다음으로 도면을 이용하여, 장치 본체(A1)에 대한 현상 카트리지(B1)의 장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7은 장치 본체(A1)를 비구동측에서 본 사시 설명도이며, 도 18은 장치 본체(A1)를 구동측에서 본 사시 설명도이다. 도 19는 현상 카트리지(B1)가 장치 본체(A1)에 장착되는 과정을 구동측에서 본 설명도이다.
현상 카트리지(B1)에는,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구동측 현상 베어링(46)에 위치 결정부(46b)와 회전 멈춤부(46c)를 갖는 피가이드부(46d)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측 사이드 커버(34)에는 위치 결정부(34b)와 회전 멈춤부(34c)를 갖는 피가이드부(34d)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장치 본체(A1)의 구동 측에는,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치 본체(A1)의 케이스를 구성하는 구동측 측판(90)에, 구동측 가이드 부재(92), 나아가 장치 본체(A1) 내에서 현상 카트리지(B1)와 일체로 되어 이동하는 구동측 스윙 가이드(80)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의 상세 내용은 추후 설명한다. 또한, 구동측 가이드 부재(92)에는 제1 가이드부(92a), 제2 가이드부(92b), 제3 가이드부(92c)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측 가이드 부재(92)의 제1 가이드부(92a)에는 현상 카트리지(B1)의 착탈 경로를 따른 착탈 경로 X1a 및 제2 가이드부(92b)에는 현상 카트리지(B1)의 착탈 경로를 따른 착탈 경로 X1b의 홈 형상이 형성된다. 구동측 가이드 부재(92)의 제3 가이드부(92c)에는 드럼 카트리지(C)의 착탈 경로를 따른 착탈 경로 X3의 홈 형상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에는 제1 가이드부(80a), 제2 가이드부(80b)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의 제1 가이드부(80a)는, 구동측 가이드 부재(92)의 제1 가이드부(92a)의 연장 상에서 현상 카트리지(B1)의 착탈 경로 X2a를 따른 홈 형상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의 제2 가이드부(80b)는, 구동측 가이드 부재(92)의 제2 가이드부(92b)의 연장 상에서 현상 카트리지(B1)의 착탈 경로 X2b를 따른 홈 형상이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장치 본체(A1)의 비구동측에는,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치 본체(A1)의 케이스를 구성하는 비구동측 측판(91)에, 비구동측 가이드 부재(93)와,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와 마찬가지로 이동 가능한 비구동측 스윙 가이드(81)가 설치되어 있다. 비구동측 가이드 부재(93)에는 제1 가이드부(93a)와 제2 가이드부(93b)가 설치되어 있다.
비구동측 가이드 부재(93)의 제1 가이드부(93a)에는 현상 카트리지(B1)의 착탈 경로를 따른 착탈 경로 XH1a의 홈 형상이 형성된다. 구동측 가이드 부재(93)의 제2 가이드부(93b)에는 드럼 카트리지(C)의 착탈 경로를 따른 착탈 경로 XH3의 홈 형상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비구동측 스윙 가이드(81)에는 가이드부(81a)가 설치되어 있다. 비구동측 스윙 가이드(81)의 가이드부(81a)는, 비구동측 가이드 부재(93)의 제1 가이드부(93a)의 연장 상에서 현상 카트리지(B1)의 착탈 경로를 따른 착탈 경로 XH2a의 홈 형상이 형성되어 있다.
구동측 스윙 가이드(80) 및 비구동측 스윙 가이드(81)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추후 설명한다.
<비구동측 전기 접점부의 설명>
다음으로, 장치 본체(A1)의 전기 접점부에 대해 도 3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비구동측 측판(91)에는, 화상 형성 시에 있어서 현상 카트리지(B1)의 메모리 기판(47)의 전극부(47a)와 대향하는 위치에 급전부(120)가 설치되어 있다. 급전부(120)에는 선 스프링이나 판 스프링 등으로 형성된 스프링성을 갖는 급전 접점(120A)이 급전부(120)로부터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고, 급전 접점(120A)은 도시하지 않는 전기 기판과 접속하고 있다.
<본체 장치(A1)로의 현상 카트리지(B1)의 장착>
이하에서, 장치 본체(A1)로의 현상 카트리지(B1)의 장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7,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치 본체(A1)의 상부에 배치되고 개폐 가능한 본체 커버(94)를 개방 방향 D1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장치 본체(A1) 내를 노출시킨다.
그 후, 현상 카트리지(B1)의 비구동측 베어링(46)의 피가이드부(46d)(도 17)와 장치 본체(A1)의 비구동측 가이드 부재(93)의 제1 가이드부(93a)(도 18)를 결합시킨다. 또한, 현상 카트리지(B1)의 현상 사이드 커버(34)의 피가이드부(34d)(도 18)와 장치 본체(A1)의 구동측 가이드 부재(92)의 제1 가이드부(92a)(도 17)를 결합시킨다. 이에 의해, 현상 카트리지(B1)는 구동측 가이드 부재(92)의 제1 가이드부(92a) 및 비구동측 가이드 부재(93)의 제1 가이드부(93a)에 의해 형성된 착탈 경로 X1a 및 착탈 경로 XH1a를 따라, 장치 본체(A1) 내로 삽입되게 된다.
또한, 현상 카트리지(B1)를 장치 본체(A1)에 장착할 때는, 전술한 바와 같이, 커플링 부재(180)는 전술한 제2 경사 자세 D2의 상태이다. 커플링 부재(180)는 제2 경사 자세 D2를 유지한 채, 구동측 가이드 부재(92)의 제2 가이드부(92b)에 삽입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커플링 부재(180)와 구동측 가이드 부재(92)의 제2 가이드부(92b) 사이에는 간극이 있다. 이 때문에, 현상 카트리지(B1)가 착탈 경로 X1b, XH1a를 따라 장치 본체(A1) 내로 삽입되고 있을 때, 커플링 부재(180)는 제2 경사 자세 D2의 상태를 유지한 채로 된다.
착탈 경로 X1a, XH1a를 따라 장치 본체(A1) 내에 삽입된 현상 카트리지(B1)는, 이어서 착탈 경로 X2a, XH2a를 따라, 장치 본체(A1) 내로 삽입되게 된다. 착탈 경로 X2a, XH2a는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의 제1 가이드부(80a) 및 비구동측 스윙 가이드(81)의 가이드부(81a)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현상 사이드 커버(34)에 설치된 피가이드부(34d)는, 우선 장치 본체(A1)의 구동측 가이드 부재(92)의 제1 가이드부(92a)에서 가이드 된다. 그 후, 장착 과정이 진행됨에 따라, 피가이드부(34d)는 장치 본체(A1)의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의 제1 가이드부(80a)로 건네어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비구동측에서는, 비구동측 현상 베어링(46)에 설치된 피가이드부(46d)는, 먼저 장치 본체(A1)의 비구동측 가이드 부재(93)의 제1 가이드부(93a)에서 가이드 된다. 그 후, 장착 과정이 진행됨에 따라, 피가이드부(46d)는 장치 본체(A1)의 비구동측 스윙 가이드(81)의 가이드부(81a)로 건네어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현상 카트리지(B1)의 구동측 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커플링 부재(180)는, 제2 경사 자세 D2의 상태를 유지한 채, 장치 본체(A1)의 구동측 가이드 부재(92)의 제2 가이드부(92b)로부터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의 제2 가이드부(80b)로 건네어진다. 또한,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커플링 부재(180)와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의 제2 가이드부(80b) 사이에는 간극이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현상 카트리지(B1)의 위치 결정>
다음으로, 현상 카트리지(B1)가 장치 본체(A1)의 구동측 스윙 가이드(80) 및 비구동측 스윙 가이드(81)에 위치 결정되는 구성을 설명한다. 또한, 구동측과 비구동측에서는 기본적인 구성은 같기 때문에, 이하, 현상 카트리지(B1)의 구동측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9는 현상 카트리지(B1)가 장치 본체(A1)에 장착되는 과정의 현상 카트리지(B1)와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9(a)는 현상 카트리지(B1)의 현상 사이드 커버(34)에 설치된 피가이드부(34d)가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의 제1 가이드부(80a)에 가이드 되어, 현상 카트리지(B1)가 착탈 경로 X2a 상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9(b)는 도 19(a)의 상태로부터 더욱 현상 카트리지(B1)의 장착을 진행시킨 상태이다. 현상 사이드 커버(34)의 피가이드부(34d)의 위치 결정부(34b)가,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에 설치된 구동측 압압 부재(82)의 위치 결정부(82a)와 점(P1)에서 접촉한다.
또한, 도 20은 구동측 스윙 가이드(80) 및 구동측 압압 부재(82)의 주변 형상을 나타낸 사시 설명도이다. 도 20(a)는 긴 길이 방향 구동측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20(b)는 긴 길이 방향 비구동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또한, 도 20(c)는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와 구동측 압압 부재(82)와 구동측 압압 스프링(83)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0(d) 및 도 20(e)는 구동측 압압 부재(82) 주변의 확대 상세도이다.
여기서, 도 20(a), 도 2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측 압압 부재(82)는, 위치 결정부(82a) 이외에 구멍부(82b), 좌면(82c), 나아가 규제부(82d)를 가지고 있다. 도 20(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멍부(82b)는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의 보스부(80c)와 결합하고, 보스부(80c)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좌면(82c)에는 압축 스프링인 구동측 압압 스프링(83)의 일단부(83c)가 접촉하여 있다. 또한, 도 20(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측 압압 스프링(83)의 타단부(83d)는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의 좌면(80d)과 접촉하여 있다. 이에 의해, 구동측 압압 부재(82)는,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의 보스부(80c)를 중심으로 화살표 Ra1 방향으로 회전하는 방향의 가압력 F82를 받고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구동측 압압 부재(82)는, 그 규제부(82d)가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에 설치된 회전 규제부(80e)에 부딪침으로써 화살표 Ra1 방향으로의 회전이 규제되고 위치가 결정되어 있다. 여기서, 도 20(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구동측 압압 부재(82)는, 구동측 압압 스프링(83)의 가압력 F82에 대항하여 화살표 Ra2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또한, 구동측 압압 부재(82)의 상단부(82e)가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의 가이드면(80w)으로부터 돌출하지 않는 위치까지 화살표 Ra2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다.
도 19(c)는 도 19(a)의 상태로부터 현상 카트리지(B1)의 장착을 더 진행시킨 상태이다. 그리고, 현상 사이드 커버(34)의 위치 결정부(34b)와 회전 멈춤부(34c)가 일체로 된 피가이드부(34d)가 구동측 압압 부재(82)의 앞쪽 경사면(82w)과 접촉함으로써, 구동측 압압 부재(82)를 화살표 Ra2 방향으로 눌러 내리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현상 사이드 커버(34)의 피가이드부(34d)가 구동측 압압 부재(82)의 앞쪽 경사면(82w)과 접촉하여, 구동측 압압 부재(82)를 압압한다. 이에 의해, 구동측 압압 부재(82)는 구동측 압압 스프링(83)의 가압력 F82에 대항하여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의 보스부(80c)를 중심으로 반시계 주위(화살표 Ra2 방향)로 회동하게 된다. 도 19(c)는 구동측 사이드 커버(34)의 위치 결정부(34b)와 구동측 압압 부재(82)의 상단부(82e)가 접촉한 상태이다. 이 때, 구동측 압압 부재(82)의 규제부(82d)는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의 회전 규제부(80e)와 떨어져 있다.
도 19(d)는 도 19(c)의 상태로부터 더욱 현상 카트리지(B1)의 장착을 진행시킨 상태로서, 구동측 사이드 커버(34)의 위치 결정부(34b)와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의 위치 결정부(80f)가 접촉한 상태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측 압압 부재(82)는,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의 보스부(80c)를 중심으로 화살표 Ra1 방향으로 회전하는 방향의 가압력 F82를 받고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구동측 압압 부재(82)의 뒤쪽(안쪽) 경사면(82s)이 가압력 F4로 구동측 사이드 커버(34)의 위치 결정부(34b)를 가압한다. 그 결과, 위치 결정부(34b)는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의 위치 결정부(80f)와 점(P3)에서 간극 없이 접촉한다. 이에 의해, 현상 카트리지(B1)의 구동측이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에 위치 결정 고정된다.
비구동측의 구성은 구동측과 마찬가지이며, 도 3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측 스윙 가이드(80), 구동측 압압 부재(82), 구동측 압압 스프링(83)에 대응하여, 각각 비구동측 스윙 가이드(81), 비구동측 압압 부재(84), 비구동측 압압 스프링(85)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비구동측 현상 베어링(46)의 위치 결정부(46b)와 비구동측 스윙 가이드(81)와의 위치 결정도, 구동측과 마찬가지이다(설명은 생략함). 이에 의해, 현상 카트리지(B1)는 구동측 스윙 가이드(80), 비구동측 스윙 가이드(81)에 위치 결정 고정된다.
<현상 카트리지(B1)의 장착 과정에서의 커플링 부재(180)의 동작>
다음으로, 현상 카트리지(B1)의 장착 과정에서의 커플링 부재(180)의 동작에 대해 도 21, 도 22, 도 2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현상 카트리지(B1)를 장치 본체(A1)에 장착하기 전의 상태에서는, 커플링 부재(180)는 제2 경사 자세 D2이다. 커플링 부재(180)는 제2 경사 자세 D2를 유지한 채 장치 본체(A1)에 장착된다. 도 21(a)는 현상 카트리지(B1)를 장치 본체(A1)에 장착하고, 구동측 스윙 가이드(80) 및 비구동측 스윙 가이드(81)에 형성된 착탈 경로 X2a 상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1(e)는 도 21(a)의 상태일 때, 도 21(a)의 화살표 X50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커플링 부재(180)의 제2 경사 자세 D2는, 현상 카트리지(B1)가 착탈 경로 X2a 상에 있을 때에, 커플링 부재(180)의 회전력 수용부(180a)가 장치 본체(A1)의 본체측 구동 부재(100)의 방향으로 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후술하는 커플링 부재(180)와 본체측 구동 부재(100)가 접촉하는 근방에 있어서, 커플링 부재(180)가 그 피지지부(180b)의 중심(180s)을 중심으로 하여 본체측 구동 부재(100)의 방향으로 경사진다. 이와 같이 커플링 부재(180)를 경사지게 하도록, 구동측 현상 베어링(36)의 제2 경사 규제부(36kb2)가 형성되어 있다(도 13, 도 15 및 도 12 참조).
도 21(b)는 도 21(a)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더욱 현상 카트리지(B1)를 착탈 경로 X2a에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1(f)는 도 21(b)의 화살표 X50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커플링 부재(180)의 원환부(180f)와 본체측 구동 부재(100)가 접촉한 상태로 되어 있다. 도 21(a)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도 21(b)에 나타내는 상태에 이를 때까지, 커플링 부재(180)가 본체측 구동 부재(100)의 방향으로 경사져 있기 때문에, 커플링 부재(180)와 본체측 구동 부재(100)를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커플링 부재(180)는, 그 피가이드부(180d)가 커플링 레버(56)와 커플링 스프링(185)으로부터 합력 F3를 받음으로써, 제2 경사 자세 D2를 유지하고 있다(도 12 참조). 또한, 이후의 설명을 위해서, 커플링 부재(180)가 제2 경사 자세 D2일 때의, 구동 입력 기어(27)의 회전 축선 L3와 커플링 부재(180)의 회전 축선 L2이 이루는 각(경사각)를 θ2a라 한다(도 21(b) 참조).
도 21(c)는 도 21(b)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더욱 현상 카트리지(B1)를 착탈 경로 X2a에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1(g)는 도 21(c)의 화살표 X50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23은 커플링 부재(180)의 원환부(180f)가 본체측 구동 부재(100)와 접촉했을 때의 커플링 부재(180) 주변의 힘 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커플링 레버(55)의 회전 규제부(55y)와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에 설치된 부딪힘부(80y)가 접촉한 상태로 되어 있다. 도 21(b)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도 21(c)에 나타내는 상태에 이를 때까지, 커플링 부재(180)는, 그 원환부(180f)가 본체측 구동 부재(100)와 접촉함으로써, 경사각이 θ2b(≤θ2a)으로 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커플링 부재(180)가 본체측 구동 부재(100)로부터 접촉부에서 힘 F100을 받는다. 이 힘 F100이 커플링 부재(180)가 당초 받고 있던 힘 F3에 대항하는 방향이고, 또한, F3보다도 클 경우, 커플링 부재(180)의 경사각은 완만하게 되고, 상대적으로 구동 입력 기어(27)의 회전 축선 L3와 평행이 되는 방향에 가까워진다. 즉, 커플링 부재(180)는, 그 피지지부(180b)의 중심(180s)을 중심으로 하여 경사 각도가 변화하여, θ2b < θ2a가 된다(도 15, 도 21(b), 도 21(c), 도 23(a) 참조). 또한, 이 때, 커플링 부재(180)는, 커플링 레버(55), 커플링 스프링(185), 본체측 구동 부재(100) 및 구동측 현상 베어링(36)의 위상 규제부(36kb)의 4 부품에 접촉하여, 그 경사각(θ2b)이 결정된다.
도 21(d)는 도 21(c)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더욱 현상 카트리지(B1)를 착탈 경로 X2a의 방향으로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1(h)는 도 21(d)의 화살표 X50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커플링 레버(55)의 회전 규제부(55y)는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의 부딪힘부(80y)에 접촉하고 있다. 이 때문에, 현상 카트리지(B1)의 착탈 경로 X2a 방향으로의 삽입에 수반하여, 커플링 레버(55)는 현상 카트리지(B1) 내에서 상대적으로, 회전 축선(L11)을 중심으로 화살표 X11b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 커플링 레버(55)의 가이드부(55e)도 회전 축선 L11을 중심으로 화살표 X11b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결과, 커플링 부재(180)는, 커플링 스프링(185)의 가압력을 받으면서 커플링 레버(55)의 가이드부(55e)를 따라 그 경사각 θ2c가 감소해 간다(θ2c < θ2b). 또한, 커플링 부재(180)는, 커플링 스프링(185), 본체측 구동 부재(100) 및 구동측 현상 베어링(36)의 위상 규제부(36kb)의 3 부품에 접촉하여, 그 경사각(θ2c)이 결정된다.
도 22는 도 21(d)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더욱 현상 카트리지(B1)를 착탈 경로 X2a 방향으로 삽입한 상태이며, 또한, 현상 카트리지(B1)의 장치 본체(A1)로의 장착이 완료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커플링 부재(180)는 본체측 구동 부재(100)와 결합하고, 기준 자세 D0로 되어 있다(커플링 부재(180)의 경사 각도 θ2=0°).
또한, 이 때, 커플링 부재(180)의 위상 규제 보스(180e)는 구동측 현상 베어링(36)의 제2 경사 규제부(36kb2)로부터 이탈하여, 구동측 현상 베어링(36)의 위상 규제부(36b)의 어디와도 접촉하고 있지 않다(도 22(c) 참조). 또한, 커플링 레버(55)의 가이드부(55e)는 커플링 부재(180)의 피가이드부(180d)로부터 완전하게 퇴피한 상태로 보유 지지되어 있다. 즉, 커플링 부재(180)는 커플링 스프링(185) 및 본체측 구동 부재(100)의 2 부품에 접촉하여, 그 경사각(θ2)이 결정된다(상세한 내용은 전술한 커플링 부재(180)의 기준 자세 D0 참조).
<현상 카트리지(B1)의 탈착 과정에서의 커플링 부재(180)의 동작>
다음으로, 현상 카트리지(B1)를 장치 본체(A1)로부터 탈착하는 과정에서의 커플링 부재(18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현상 카트리지(B1)의 본체 장치(A1)로부터의 탈착 시의 동작은, 먼저 설명한 장착 시와 반대의 동작이다.
우선, 사용자는, 장착 시와 마찬가지로, 장치 본체(A1)의 본체 커버(94)를 개방 방향 D1으로 회동시켜(도 17, 도 18 참조), 장치 본체(A1) 내를 노출시킨다. 이 때, 현상 카트리지(B1)는, 구동측 스윙 가이드(80) 및 비구동측 스윙 가이드(81)와 함께 도시하지 않는 구성에 의해 현상 롤러(13)와 감광 드럼(10)이 접촉한 접촉 자세로 보유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현상 카트리지(B1)를 구동측 스윙 가이드(80) 및 비구동측 스윙 가이드(81)에 설치된 착탈 궤적 XH2을 따라 탈착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현상 카트리지(B1)의 이동에 수반하여, 커플링 레버(55)의 회전 규제부(55y)에 접촉하여 있던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의 부딪힘부(80y)가 이동한다(도 21(d)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도 21(c)에 나타내는 상태). 이에 수반하여, 커플링 레버(55)는 회전 축선 L11을 중심으로 화살표 X11 방향으로 회동한다. 현상 카트리지(B1)를 더 이동시키면, 커플링 레버(55)가 화살표 X11 방향으로 회동하여, 커플링 레버(55)의 가이드부(55e)가 커플링 부재(180)의 피가이드부(180d)와 접촉한다(도 21(c)에 나타내는 상태). 커플링 레버(55) 및 커플링 스프링(185)의 양자로부터 가압력을 받은 커플링 부재(18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경사 자세 D2의 방향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최종적으로는, 커플링 부재(180)의 위상 규제 보스(180e)가 구동측 현상 베어링(36)의 가이드부(36kb2a), 가이드부(36kb2b), 가이드부(36kb2c)에 의해 규제되어, 제2 경사 규제부(36kb2)에 결합한다. 또한, 커플링 부재(180)는 제2 경사 자세 D2의 상태가 보유 지지된다.
그 후, 구동측 가이드 부재(92) 및 비구동측 가이드 부재(93)에 설치된 착탈 궤적 XH1을 따라 탈착 방향으로 이동시켜, 현상 카트리지(B1)를 본체 장치(A1) 밖으로 꺼낸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커플링 부재(180)에 가압력을 작용시키는 현상 카트리지(B1)에 커플링 레버(55)와 커플링 스프링(56)을 설치함으로써, 커플링 부재(180)를 제2 경사 자세 D2로 경사지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커플링 레버(55)에 의해 커플링 부재(180)가 경사지는 경사 방향을 현상 카트리지(B1)의 착탈 경로 X2a의 방향으로 하고, 또한, 커플링 레버(55)의 회동 동작을 유저에 의한 현상 카트리지(B1)의 착탈 조작에 연동시킨 구성으로 되어 있다.
(7) 가동 부재로서의 접촉 이격 레버에 대하여
도 1(a)를 이용하여, 구동측 가동 부재로서의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a)는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 및 주변 형상의 설명도이며, 현상 카트리지(B1)를 구동측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는 제1 접촉면(70a), 제2 접촉면(70b), 제3 접촉면(70c), 피지지부(70d), 구동측 규제 접촉부(70e), 제1 돌출부(일단측 돌출부)(70f)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구동측 현상 베어링(36)에 대하여, 구동측 현상 베어링(36)의 지지부(36c)에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의 피지지부(70d)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의 피지지부(70d)의 구멍과 구동측 현상 베어링(36)의 지지부(36c)의 보스가 감합함으로써,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는 지지부(36c)의 보스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화살표 N9, N10 방향)하게 지지되어 있다. 즉, 지지부(36c)는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의 회전 중심이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구동측 현상 베어링(36)의 지지부(36c)는 현상 롤러(13)의 회전축 L0와 평행이다. 즉, 구동측 현상 접촉 이격 레버(70)는 현상 롤러(13)의 회전축 L0와 직교하는 평면 위에서 회동 가능하다.
또한,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는, 제3 접촉면(70c)에 있어서 압축 스프링인 제1 탄성부로서의 구동측 현상 가압 스프링(71)의 일단(71d)과 접촉하여 있다. 구동측 현상 가압 스프링(71)의 타단(71e)은, 구동측 현상 베어링(36)의 접촉면(36d)과 접촉하여 있다. 그 결과,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는, 제3 접촉면(70c)에 있어서 구동측 현상 가압 스프링(71)으로부터 화살표 N16 방향으로 힘을 받고 있다. 그리고, 구동측 현상 가압 스프링(71)은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의 제1 접촉면(70a)이 현상 롤러(13)로부터 떨어지는 방향(N16)으로 가압하고 있다. 현상 카트리지(B1) 단품의 상태, 즉, 현상 카트리지(B1)가 장치 본체(A1)에 장착되기 전의 상태에서는 구동측 규제 접촉부(70e)가 구동측 현상 베어링(36)에 설치된 규제부(36b)에 접촉하여 있다.
여기서, 도 37은, 현상 카트리지(B1)의 단면도에,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를 투영한 도면이다. 도 37에 있어서 피지지부(70d)(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의 회전 중심)는, 현상제 수용부(16a)와 중첩하는 위치(즉, 현상제 수용부(16a)의 내부)에 있다. 즉, 현상 롤러(13)의 회전축 L0와 평행한 방향인 화살표 N11 방향(도 4 참조)을 따라 현상 카트리지(B1)를 보면,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의 피지지부(70d)는 현상 용기(16)의 현상제 수용부(16a)와 중첩하는 위치에 있다. 또한, 도시는 하고 있지 않지만 비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2)도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 및 비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2)의 현상제 수용부(16a)로부터의 돌출량을 적게 할 수 있어, 현상 카트리지(B1)의 현상 롤러(13)의 회전축 방향으로부터 본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
도 1(b)를 이용하여, 비구동측 가동 부재로서의 비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2)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비구동측은 구동측과 유사한 구성이다.
도 1(b)는 현상 카트리지(B1)를 비구동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단, 비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2)의 구성 설명을 위하여, 일부 부품을 표시하지 않고 있다.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2)는 비구동측 제1 접촉면(72a), 비구동측 제2 접촉면(72b), 비구동측 제3 접촉면(72c), 피지지부(72d), 비구동측 규제 접촉부(72e), 비구동측 제1 돌출부(타단측 돌출부)(72f)를 갖고 있다. 그리고, 비구동측 현상 베어링(46)의 지지부(46f)에 의해, 비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2)의 피지지부(72d)가 지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비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2)의 피지지부(72d)의 구멍과 비구동측 현상 베어링(46)의 지지부(46f)의 보스가 감합함으로써, 비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2)는, 지지부(46f)의 보스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화살표 NH9, NH10 방향)하게 지지되고 있다. 즉, 지지부(46f)는 비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2)의 회전 중심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비구동측 현상 베어링(46)의 지지부(46f)는 현상 롤러(13)의 회전축 L0와 평행이다. 즉, 비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2)는, 현상 롤러(13)의 회전축 L0와 직교하는 평면 위에서 회동 가능하다.
또한, 비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2)는, 비구동측 제3 접촉면(72c)에 있어서 압축 스프링인 제2 탄성부로서의 비구동측 현상 가압 스프링(73)의 일단(73e)과 접촉하여 있다. 비구동측 현상 가압 스프링(73)의 타단(73d)은, 비구동측 현상 베어링(46)의 접촉면(46g)과 접촉하여 있다. 그 결과, 비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2)는, 비구동측 제3 접촉면(72c)에 있어서 비구동측 현상 가압 스프링(73)으로부터 화살표 NH16 방향으로 힘 FH10을 받고 있다. 그리고, 비구동측 현상 가압 스프링(73)은 비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2)의 제1 접촉면(72a)을 현상 롤러(13)로부터 떨어지는 방향(화살표 NH16)으로 가압하고 있다. 현상 카트리지(B1) 단품의 상태, 즉, 현상 카트리지(B1)가 장치 본체(A1)에 장착되기 전의 상태에서는 비구동측 규제 접촉부(72e)가 비구동측 현상 베어링(46)에 설치된 규제부(46e)에 접촉하여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규제부(36b)와 규제부(46e)는, 각각 구동측 현상 가압 스프링(71) 및 비구동측 현상 가압 스프링(73)의 가압 방향에서, 구동측 현상 가압 스프링(71) 및 비구동측 현상 가압 스프링(73)과 일부가 중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는, 규제부(36b)와 구동측 현상 가압 스프링(71)으로 사이에 끼워져 압축력을 받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의 피이격부(70g)가 규제부(36b)에 접촉한 후의 피이격부(70g)의 위치를 좋은 정밀도로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비구동측도 마찬가지이다. 결과적으로, 후술하는 장치 본체의 이격 기구에 의한 이격력을 높은 정밀도의 타이밍에서 받을 수 있다.
규제부(36b)와 규제부(46e)는, 각각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 비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2)가 현상 롤러(1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규제부(36b)와 규제부(46e)는, 각각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 비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2)가 현상 롤러(1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현상 롤러(13)를 감광 드럼(10)에 대해서 이격시킬 때에는,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 및 비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2)는 각각 회동 방향 N10 및 NH10으로 회동시켜, 규제부(36b)와 규제부(46e)에 접촉시킨다. 이에 의해, 장치 본체의 이격 기구에 의한 이격력이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 및 비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2)로부터 규제부(36b)와 규제부(46e)를 거쳐, 현상 프레임체의 구동측 현상 베어링(36)과 비구동측 현상 베어링(46)으로 전달되는 상태가 된다.
도 44는 규제부(36b), 규제부(46e),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 비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2), 구동측 현상 가압 스프링(71) 및 비구동측 현상 가압 스프링(73)의, 현상 롤러(13)의 긴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44는 현상 롤러(13)의 긴 길이 방향(회전축 L0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규제부(36b)는 구동측 현상 가압 스프링(71) 및 구동측 제3 접촉이면면(70c)과, 현상 롤러(13)의 긴 길이 방향(회전축 L0 방향)에 평행한 N11 방향에 관하여, 적어도 일부가 중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규제부(46e)는 비구동측 현상 가압 스프링(73) 및 비구동측 제3 접촉이면면(72c)과, N11 방향에 관하여, 적어도 일부가 중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후술하는 장치 본체의 이격 기구에 의한 이격력을 높은 정밀도의 타이밍에서 받을 수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살표 M2 방향에 대해서도, 규제부(36b)는 구동측 현상 가압 스프링(71) 및 구동측 제3 접촉면(70c)과 적어도 일부가 중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화살표 M2 방향에 대해서, 규제부(46e)는 비구동측 현상 가압 스프링(73) 및 비구동측 제3 접촉면(72c)과 적어도 일부가 중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N11 방향 또는 화살표 M2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에 관하여, 상술한 규제부(36b), 규제부(46e)의 배치 관계로 되어 있으면 된다.
여기서, 구동측 현상 가압 스프링(71)의 가압력 F10과 비구동측 현상 가압 스프링(73)의 가압력 FH10은 다른 설정으로 하고 있다. 또한, 구동측 제3 접촉면(70c)과 비구동측 제3 접촉면(72c)은 다른 각도로 배치되어 있다. 이는, 후술하는 감광 드럼(10)에 대한 현상 롤러(13)의 압압력이 적정하게 되도록 주변 구성의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하면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현상 롤러(13)를 회전 구동하기 위하여 장치 본체(A1)로부터 구동 전달을 받았을 때에 현상 카트리지(13)에 발생하는 모멘트 M6(도 27의 (a) 참조)의 영향을 고려하여,
F10<FH10
라는 관계로 설정하고 있다.
즉, 구동측에서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플링 부재(180)가 화살표 X6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회전력을 받은 현상 카트리지(B1)는,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와 일체로, 도 27에 나타내는 화살표 N6 방향으로 지지부(80g)(도 27 참조)를 중심으로 요동한다. 커플링 부재(180)가 본체측 구동 부재(100)로부터 받는 회전력(토크)이 충분히 있을 때에는, 커플링 부재(180)의 토크만으로 화살표 N6 방향의 모멘트를 발생시켜, 현상 롤러(13)를 감광 드럼(10)에 대하여 압접시키는 힘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구동측 현상 가압 스프링(71)의 가압력 F10을 비구동측 현상 가압 스프링(73)의 가압력 FH10에 비하여 작게 하여도 된다.
여기서,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현상 롤러(13)의 중심(13z)을 통과하여, 현상 카트리지(B1)의 장치 본체(A1)로의 장착 방향 X2(도 17)과 평행한 직선(Z30)을 정의한다.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는 직선(Z30)에 대하여 감광 드럼(10)과는 반대쪽에 배치된다(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중력 방향 아래측). 이 구성에 의해 현상 카트리지를 착탈할 때에, 드럼 카트리지(C)와의 사이의 배치에 자유도가 증가한다. 구체적으로는,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가 드럼 카트리지(C) 방향으로 돌출하지 않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드럼 카트리지(C)의 배치의 자유도가 증가한다. 돌출하는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 등과의 간섭을 회피한 배치로 할 필요가 없다.
그리고,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의 제1 돌출부(70f)는 긴 길이 방향(회전축 방향)을 따라 현상 카트리지의 구동측에서 보면, 현상 용기(16), 구동측 현상 베어링(36), 현상 사이드 커버(34)(도 10 참조)보다 돌출하여 있다.
즉 현상 카트리지를 긴 길이 방향(회전축 L0 방향)을 따라 구동측(일단측)에서 보았을 때,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의 제1 돌출부(일단측 돌출부)(70f)는 현상 프레임체(16, 46, 36, 34)로부터 노출하고 있다.
그러나, 현상 카트리지(B1)를 긴 길이 방향(회전축 L0 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에,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가 반드시 현상 프레임체(16, 46, 36, 34)로부터 노출하고 있을 필요는 없다. 현상 카트리지(B1)를 구동측이나 피구동측에서 보았을 때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가 현상 프레임체의 그늘에 가려져, 제1 돌출부(70f)가 노출하지 않는(보이지 않는) 구성도 생각할 수 있다.
즉 돌출부(70f)는,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특히 돌출부(70f))을 통과하여, 긴 길이 방향(현상 롤러(13)의 회전축 L0)에 직교하는 현상 카트리지의 단면(도 1(a) 참조)에 있어서, 현상 프레임체(16, 46, 36, 34)로부터 돌출하고 있으면 좋다. 이와 같은 구성이라면, 후술하는 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150)(도 27 참조)가 돌출부(70f)와 결합 가능하다.
바꾸어 말하면, 현상 롤러(13)의 긴 길이 방향에 있어서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가 배치된 위치에서, 돌출부(70f)가 현상 프레임체로부터 돌출하여 현상 카트리지의 외형을 형성하고 있으면 좋다. 본 실시예에서는, 돌출부(70f)는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가 배치된 위치에서 구동측 현상 베어링(36)에 대하여 돌출하여 있다. 가사 돌출부(70f)가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보다도 긴 길이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현상 사이드 커버(34)로 덮여 가려지거나,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보다도 긴 길이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현상 용기(16)로 덮여 가려지는 것과 같은 구성이더라도 좋다.
정리하면 현상 롤러(13)의 회전축 L0 방향에 있어서의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의 위치의 단면에서 보면,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는 현상 카트리지(B1)로서의 외형을 형성하도록 돌출하여 있다.
또한, 제1 돌출부(70f)의 돌출 방향(화살표 M2 방향)은,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의 가동 방향(이동 방향: 화살표 N9, N10 방향) 및 현상 카트리지(B1)의 가동 방향(이동 방향: 화살표 N6 방향(도 27(a) 참조))에 대하여 교차한다.
또한, 제1 돌출부(70f)는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의 피지지부(70d)에서 보아 현상 롤러(13)의 반대쪽에 제1 접촉면(70a)을 갖고 있다. 상세한 내용은 후술하지만, 감광 드럼(10)에 대하여 현상 롤러(13)를 가압할 때에, 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150)의 제2 접촉면(150b)과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의 제1 접촉면(70a)이 접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도 27(a) 참조). 또한, 제1 돌출부(70f)의 선단에는, 제1 돌출부(70f)의 돌출 방향(화살표 M2 방향)과 교차하고, 현상 롤러(13) 측으로 돌출하는 피이격부(70g)가 설치되어 있다. 피이격부(70g)는 제2 접촉면(70b)을 갖고 있다. 상세 내용은 후술하지만, 감광 드럼(10)에 대하여 현상 롤러(13)를 이격시킬 때는(도 28 참조), 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150)의 제1 접촉면(150a)과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의 제2 접촉면(70b)이 접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1의 (b)를 이용하여, 비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2)의 형상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술한 구동측과 마찬가지로, 비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2)는 현상 롤러(13)의 중심(13z)을 통과하여, 현상 카트리지(B1)의 장치 본체(A1)로의 장착 방향 X2와 평행한 직선(Z30)에 대하여 감광 드럼(10)과는 반대쪽에 배치된다(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중력 방향 아래측). 이 구성에 의해 현상 카트리지를 착탈할 때에, 드럼 카트리지(C)와의 사이의 배치에 자유도가 증가한다. 구체적으로는, 비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2)가 드럼 카트리지(C) 방향으로 돌출하지 않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드럼 카트리지(C)의 배치의 자유도가 증가한다. 돌출하는 비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2) 등과의 간섭을 회피한 배치로 할 필요가 없다.
그리고, 비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2)의 제1 돌출부(72f)는 긴 길이 방향으로부터 보아 현상 용기(16), 비구동측 현상 베어링(46)보다 돌출하여 있다. 즉, 현상 카트리지를 긴 길이 방향(회전축 L0 방향)을 따라 비구동측(타단측)에서 보았을 때, 비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2)의 제1 돌출부(타단측 돌출부)(72f)는 현상 프레임체(16, 46, 36, 34)로부터 노출하여 있다(도 5 참조).
다만 제1 돌출부(72f)도 제1 돌출부(70f)와 마찬가지로, 현상 카트리지(B1)를 긴 길이 방향(회전축 L0 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에 노출하여 있을 필요는 없다.
즉, 제1 돌출부(72f)도 제1 돌출부(70f)와 마찬가지로, 비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2)를 통과하여(특히 돌출부(72f)), 긴 길이 방향(현상 롤러(13)의 회전축 L0)에 직교하는 현상 카트리지의 단면에 있어서, 현상 프레임체(16, 36, 34)로부터 돌출하여 있으면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이라면, 후술하는 비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151)(도 29 참조)가 돌출부(72f)와 결합 가능하다.
바꾸어 말하면, 현상 롤러(13)의 긴 길이 방향에 있어서 비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2)가 배치된 위치에서, 돌출부(72f)가 현상 프레임체(본 실시예에서는 비구동측 사이드 커버(46))로부터 돌출하여 현상 카트리지(B1)의 외형을 형성하고 있으면 좋다. 비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2)가 배치된 위치보다도 긴 길이 방향 외측이나 긴 길이 방향 내측에 있어서, 현상 프레임체가 제1 돌출부(72f)를 덮어 가리는 것과 같은 구성이어도 좋다.
정리하면, 현상 롤러(13)의 회전축 L0 방향에 있어서의 비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2)의 위치의 단면에서 보면, 비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2)는 현상 카트리지(B1)로서의 외형을 형성하도록 돌출하여 있다.
또한, 제1 돌출부(72f)의 돌출 방향(화살표 MH2 방향)은, 비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2)의 가동 방향(이동 방향: 화살표 NH9, NH10 방향) 및 현상 카트리지(B1)의 가동 방향(이동 방향: 화살표 M1 방향(도 27(a))에 대하여 교차한다. 또한, 제1 돌출부(72f)는, 비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2)의 피지지부(72d)에서 보아 현상 롤러(13)의 반대쪽에 제1 접촉면(72a)을 갖고 있다. 상세 내용은 후술하지만, 감광 드럼(10)에 대하여 현상 롤러(13)를 가압할 때에, 비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151)의 제2 접촉면(151b)과 비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2)의 제1 접촉면(72a)이 접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도 29).
또한, 제1 돌출부(72f)의 선단에는, 제1 돌출부(72f)의 현상 용기(16)로부터의 돌출 방향(화살표 MH2 방향)과 교차하여, 현상 롤러(13) 측으로 돌출하는 피이격부(72g)가 설치되어 있다. 피이격부(72g)는 제2 접촉면(72b)을 갖고 있다. 상세 내용은 후술하지만, 감광 드럼(10)에 대하여 현상 롤러(13)를 이격시킬 때에는(도 29 참조), 비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151)의 제1 접촉면(151a)과 비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2)의 제2 접촉면(72b)이 접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와 비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2)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현상 롤러(13)의 축선 방향(긴 길이 방향)에 대해서, 현상 카트리지의 양단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화상 형성에 이용하는 기록지, 라벨지, OHP 시트 등의 미디어 폭보다도 외측에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와 비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2)를 배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긴 길이 방향을 법선으로 하는 평면에서 장치 본체를 보았을 때에,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 등과 미디어 및 미디어를 반송하는 장치 본체에 설치된 반송 부재 등을 교차한 위치에 배치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장치 본체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4를 이용하여,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와 비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2)의 배치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4는 현상 카트리지(B1)를 현상 롤러(13) 측에서 본 정면도이다. 단, 현상 롤러(13)의 구동측 피지지부(13a)를 지지하는 구동측 현상 베어링(36)의 지지부(36a)와, 현상 롤러(13)의 비구동측 피지지부(13c)를 지지하는 비구동측 현상 베어링(46)의 지지부(46f) 부근을 단면도로 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는, 현상 카트리지(B1)의 긴 길이 방향에 있어서, 구동측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비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2)는, 현상 카트리지(B1)의 긴 길이 방향에 있어서, 비구동측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와 비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2)의 회동 동작(도 1(a)의 화살표 N9, N10 방향 및 도 1(b)의 화살표 NH9, NH10 방향)은, 서로 영향을 주는 일 없이 독립하여 회동 가능하다.
여기서, 긴 길이 방향에 있어서, 현상 롤러(13)의 구동측 피지지부(13a)는, 화상 형성 범위(L13b)의 구동측 단부(L13bk)보다도 긴 길이 방향 외측에서 구동측 현상 베어링(36)의 지지부(36a)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현상 롤러(13)의 비구동측 피지지부(13c)는, 화상 형성 범위(L13b)의 비구동측 단부(L13bh)보다도 긴 길이 방향 외측에서 비구동측 현상 베어링(46)의 지지부(46f)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와 비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2)는 현상 롤러(13)의 전체 길이(L13a)의 범위와 적어도 일부가 중첩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현상 롤러(13)의 화상 형성 범위(L13b)보다도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즉,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와 현상 롤러(13)의 구동측 피지지부(13a)는, 화상 형성 영역(L13b)의 구동측 단부(L13bk)와 현상 롤러(13)의 전체 길이(L13a)의 구동측 단부(L13ak)에 끼워진 영역(L14k)과 적어도 일부가 중첩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와 현상 롤러(13)의 구동측 피지지부(13a)는, 긴 길이 방향에 있어서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으로 된다.
또한, 비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2)와 현상 롤러(13)의 비구동측 피지지부(13c)는, 화상 형성 영역(L13b)의 비구동측 단부(L13bh)와 현상 롤러(13)의 전체 길이(L13a)의 비구동측 단부(L13ah)에 끼워진 영역(L14h)과 적어도 일부가 중첩된다. 이 관계를 만족하도록, 비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2)와 현상 롤러(13)의 피구동측 피지지부(13c)가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비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2)와 현상 롤러(13)의 피구동측 피지지부(13c)는, 긴 길이 방향에 있어서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으로 된다.
(접촉 이격 구성의 설명)
(장치 본체의 현상 가압 및 현상 이격 구성)
다음으로, 장치 본체의 현상 가압 및 현상 이격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25(a)는 장치 본체(A1)의 구동측 측판(90)을 비구동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 25(b)는 비구동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26(a)는 장치 본체(A1)의 비구동측 측판(91)을 구동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 26(b)는 구동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 본체(A1)에는, 현상 카트리지(B1)를 장치 본체(A1)에 착탈하기 위한 구동측 가이드 부재(92), 구동측 스윙 가이드(80)가 설치되어 있다. 이 구동측 가이드 부재(92)와 구동측 스윙 가이드(80)는, 현상 카트리지(B1)가 장치 본체 내에 장착될 때에, 현상 카트리지(B1)의 구동측 피가이드부(34d)를 가이드한다(도 18 참조).
도 2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측 가이드 부재(92)는, 구동측 가이드 부재(92)로부터 돌출한 보스 형상의 피위치 결정부(92d) 및 피회전 규제부(92e)가, 구동측 측판(90)에 설치된 구멍 형상의 위치 결정부(90a) 및 회전 규제부(90b)에 각각 지지된다. 그리고, 비스(도시하지 않음) 등의 고정 수단에 의해 구동측 가이드 부재(92)를 구동측 측판(90)에 위치 결정 고정한다. 또한, 구동측 스윙 가이드(80)는, 원통 형상의 피지지 볼록부(80g)가 구동측 측판(90)에 설치된 구멍 형상의 지지부(90c)와 감합함으로써 지지된다. 따라서, 구동측 스윙 가이드(80)는 구동측 측판(90)에 대해서, 화살표 N5 방향 및 화살표 N6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전술한 설명에서는, 구동측 측판(90)에 설치된 지지부(90c)는 구멍 형상(오목 형상)으로 하는 한편,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에 설치된 피지지 볼록부(80g)는 볼록 형상인 경우로 설명하였지만, 요철 관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요철 관계를 반대로 구성하여도 된다.
또한,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의 돌기부(80h)와 구동측 측판(90)의 돌기부(90d) 사이에는 인장 스프링인 구동측 가압 수단(76)이 설치되어 있다. 구동측 스윙 가이드(80)는, 구동측 가압 수단(76)에 의해,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의 돌기부(80h)와 구동측 측판(90)의 돌기부(90d)를 근접시키는 화살표 N6 방향으로 가압된다.  또한, 장치 본체(A1)에는, 감광 드럼(10)의 표면과 현상 롤러(13)를 접촉시키고 또한 상기 양자를 이격시키기 위한 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150)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150)는 화살표 N7 방향 및 화살표 N8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바닥판(도시하지 않음)에 지지된다.
한편,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치 본체(A1)에는, 현상 카트리지(B1)를 장치 본체(A1)에 착탈하기 위한 비구동측 가이드 부재(93), 비구동측 스윙 가이드(81)가 설치되어 있다. 이 비구동측 가이드 부재(93)와 비구동측 스윙 가이드(81)는, 현상 카트리지(B1)가 장치 본체 내에 장착될 때에, 현상 카트리지(B1)의 비구동측 피가이드부(46d)를 가이드한다(도 18 참조).
도 2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구동측 가이드 부재(93)는, 비구동측 가이드 부재(93)로부터 돌출한 보스 형상의 피위치 결정부(93d) 및 피회전 규제부(93e)를 갖는다. 피위치 결정부(93d) 및 피회전 규제부(93e)는, 비구동측 측판(91)에 설치된 구멍 형상의 위치 결정부(91a) 및 회전 규제부(91b)에 각각 지지된다. 그리고, 비스(도시하지 않음) 등의 고정 수단에 의해 비구동측 가이드 부재(93)를 비구동측 측판(91)에 위치 결정 고정한다. 또한, 비구동측 스윙 가이드(81)는 원통 형상의 피지지 볼록부(81g)가 비구동측 측판(91)에 설치된 구멍 형상의 지지부(91c)에 감합함으로써 지지된다. 따라서, 비구동측 스윙 가이드(81)는 비구동측 측판(91)에 대해서, 화살표 N5 방향 및 화살표 N6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전술한 설명에서는, 비구동측 측판(91)에 설치된 지지부(91c)는 구멍 형상(오목 형상)으로 하는 한편, 비구동측 스윙 가이드(81)에 설치된 피지지 볼록부(81g)는 볼록 형상인 경우로 설명하였지만, 요철 관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요철 관계를 반대로 구성하여도 된다.
또한, 비구동측 스윙 가이드(81)의 돌기부(81h)와 비구동측 측판(91)의 돌기부(91d) 사이에는 인장 스프링인 비구동측 가압 수단(77)이 설치되어 있다. 비구동측 스윙 가이드(81)는, 비구동측 가압 수단(77)에 의해, 비구동측 스윙 가이드(81)의 돌기부(81h)와 비구동측 가이드 부재(91)의 돌기부(91d)를 근접시키는 화살표 N6 방향으로 가압된다.
또한, 구동측과 마찬가지로, 장치 본체(A1)에는, 감광 드럼(10)의 표면과 현상 롤러(13)를 접촉시키고 또한 상기 양자를 이격시키기 위한 비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151)가 설치되어 있다. 비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151)는 화살표 N7 방향 및 화살표 N8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바닥판(도시하지 않음)에 지지된다.
(감광 드럼에 대한 현상 가압 및 현상 이격)
다음으로, 감광 드럼(10)에 대한 현상 롤러(13)의 가압 및 이격에 대해 설명한다.
<가압 기구>
이하에서, 현상 롤러(13)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27(a)는,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에 지지된 현상 카트리지(B1)에 구비되는 현상 롤러(13)가 감광 드럼(10)에 접촉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또한, 도 27(c)는 도 27(a)의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 주변의 상세도로서, 설명을 위해 구동측 스윙 가이드(80) 및 현상 사이드 커버(34)를 표시하지 않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표면에 현상제(t)를 담지한 현상 롤러(13)를 감광 드럼(10)에 직접 접촉시킴으로써 감광 드럼(10) 상의 정전 잠상을 현상하는, 이른바 접촉 현상 방식을 이용한다.
현상 롤러(13)는 축부(13e)와 고무부(13d)로 구성된다. 축부(13e)는 알루미늄 등의 도전성의 가늘고 긴 원통형이며, 그 긴 길이 방향에서 중앙부는 고무부(13d)로 덮여져 있다(도 6 참조). 여기서, 고무부(13d)는 외형 형상이 축부(13e)와 동축선 상이 되도록 축부(13e)에 피복되어 있다. 그리고, 축부(13e)의 원통 내에는 마그넷 롤러(12)가 내장되어 있다. 고무부(13d)는 주면(周面)에 현상제(t)를 담지하고, 축부(13e)에 바이어스를 인가한다. 그리고, 현상제(t)를 담지한 상태의 고무부(13d)를 감광 드럼(10)의 표면과 접촉시킴으로써, 감광 드럼(10) 상의 정전 잠상을 현상한다.
다음으로 현상 롤러(13)와 감광 드럼(10)을 소정의 접촉압으로 압접시키는 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측 스윙 가이드(80)는 구동측 측판(90)에 대해서 화살표 N5 및 화살표 N6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비구동측 스윙 가이드(81)는 비구동측 측판(91)에 대해서 화살표 N5 및 화살표 N6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현상 카트리지(B1)는 구동측 스윙 가이드(80) 및 비구동측 스윙 가이드(81)에 대하여 위치 결정되어 있다. 따라서, 현상 카트리지(B1)는 장치 본체(A1) 내에서 화살표 N5 및 화살표 N6 방향으로 요동 가능한 상태에 있다(도 29 참조).
이 상태에 있어서, 도 27(a) 및 도 2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150)의 제2 접촉면(150b)과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의 제1 접촉면(70a)이 접촉하여 있다. 이에 의해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가 구동측 현상 가압 스프링(71)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도 27(c)의 화살표 N9 방향으로 회전한 상태로 된다. 그리고,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의 제3 접촉면(70c)은, 구동측 현상 가압 스프링(71)을 압축하여, 구동측 현상 가압 스프링(71)으로부터 가압력 F10a를 받는다. 그 결과,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에는 화살표 N10 방향의 모멘트 M10이 작용한다. 이 때, 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150)의 제2 접촉면(150b)과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의 제1 접촉면(70a)이 접촉하여 있다. 이 때문에, 모멘트 M10과 균형을 이루는 모멘트가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에 작용하도록,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의 제1 접촉면(70a)은 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150)의 제2 접촉면(150b)으로부터 힘 F11을 받는다. 따라서, 현상 카트리지(B1)에는 힘 F11의 외력이 작용하고 있게 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의 돌기부(80h)와 구동측 측판(90)의 돌기부(90d) 사이에는 구동측 가압 수단(76)이 설치되어 있고, 화살표 N12 방향으로 가압된다. 따라서,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에 위치 결정되어 있는 현상 카트리지(B1)에는 화살표 N12의 방향으로 힘 F12의 외력이 작용하고 있게 된다.
즉, 현상 카트리지(B1)는 구동측 현상 가압 스프링(71)에 의한 힘 F11과 구동측 가압 수단(76)에 의한 힘 F12에 의해, 현상 롤러(13)와 감광 드럼(10)이 가까워지는 방향(화살표 N6 방향)의 모멘트 M6을 받는다. 이 모멘트 M6에 의해, 현상 롤러(13)의 탄성층(13d)을 감광 드럼(10)에 소정의 압력으로 압접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29(a)는, 비구동측 스윙 가이드(81)에 지지된 현상 카트리지(B1)에 구비되는 현상 롤러(13)가 감광 드럼(10)에 접촉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또한, 도 29(c)는 도 29의 (a)의 비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2) 주변의 상세도로서, 설명을 위해 비구동측 스윙 가이드(81) 및 비구동측 현상 베어링(46)의 일부를 표시하지 않고 있다.
비구동측도 구동측과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도 29(a) 및 도 29(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구동측 현상 가압 스프링(73)과 비구동측 가압 수단(77)에 의해 현상 카트리지(B1)에 외력 FH11, FH12가 작용한다. 이에 의해, 현상 카트리지(B1)가 현상 롤러(13)와 감광 드럼(10)이 가까워지는 방향(화살표 N6 방향)의 모멘트 M6을 받아, 현상 롤러(13)의 탄성층(13d)을 감광 드럼(10)에 소정의 압력으로 압접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도 2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현상 롤러(13)의 회전 축선의 방향에서 보았을 때, 피지지부(70d)의 중심에서 제3 접촉면(70c)의 중심까지의 거리를 D10이라 한다. 마찬가지로, 피지지부(70d)의 중심에서 제1 접촉면(70a)의 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150)에 압압되는 부분까지의 거리를 D11이라 한다. 그리고, 거리 D10과 거리 D11의 관계는,
D10<D11
이 된다.
따라서, 구동측 현상 가압 스프링(71)의 일단(71d)과 접촉하는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의 제3 접촉면(70c)은, 돌출 방향 M2의 방향에 있어서,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의 피지지부(70d)와 제1 접촉면(70a) 사이에 배치된다. 즉, 피지지부(70d)에서 제3 접촉면(70c)까지의 거리 W10과 피지지부(70d)에서 제1 접촉면(70a)까지의 거리 W11의 관계는,
W10<W11
이 된다.
따라서, 제1 접촉면(70a)의 이동량을 W12로 한 경우의 제3 접촉면(70c)의 이동량 W13의 관계는,
W13<W12
여기서, W13=W12×(W10/W11)
이다.
이 때문에, 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150)의 위치 정밀도에 오차가 발생한 경우라도, 구동측 현상 가압 스프링(71)의 압축량의 변화는 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150)의 위치 정밀도의 오차보다도 작아지게 된다. 그 결과, 감광 드럼(10)에 대해 현상 롤러(13)를 압접시키기 위한 압압력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비구동측도 마찬가지의 구성이므로,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긴 길이 방향에 있어서,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와 비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2)는 현상 롤러(13)의 전체 길이(L13a)의 범위와 적어도 중첩하도록 배치되어 있다(도 24 참조). 이 때문에,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 및 비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2)의 제1 접촉면(70a 및 72a)과, 현상 롤러(13)의 구동측 피지지부(13a) 및 비구동측 피지지부(13c)와의 긴 길이 방향의 위치 차를 작게 할 수 있다.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는 외력 F11(도 27(a) 참조)을 받는 것이며, 비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2)는 외력 FH11(도 29 참조)을 받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위치 차를 작게 한 결과, 구동측 현상 베어링(36) 및 비구동측 현상 베어링(46)에 작용하는 모멘트를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효율 좋게 현상 롤러(13)를 감광 드럼에 압접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와 비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2)의 회동 동작(도 27(a)의 화살표 N9, N10 방향 및 도 29의 화살표 NH9, NH10 방향)은, 서로 독립하여 회동 가능하다. 그 때문에, 감광 드럼(10)에 대해 현상 롤러(13)가 압접 상태일 때, 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150)의 화살표 N7, N8 방향(도 25 참조)의 위치와, 비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151)의 화살표 N7, N8 방향의 위치(도 26 참조)를 각각 독립하여 설정할 수 있다. 나아가,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와 비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2)의 회동 방향(도 27(a)의 화살표 N9, N10 방향 및 도 29의 화살표 NH9, NH10 방향)을 일치시킬 필요도 없다. 그 결과, 구동측 및 비구동측의 현상 롤러(13)를 감광 드럼(10)에 압접하기 위한 압압력 F11, FH11의 크기 및 방향을 각각 적정화할 수 있다. 나아가, 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150)와 비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151)의 위치에 상대 오차가 있을 경우에도, 서로의 압압력 F11, FH11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그 결과, 감광 드럼(10)에 대한 현상 롤러(13)의 압접을 고정밀화할 수 있다.
또한, 감광체 드럼(10)과 현상 롤러(13)가 접촉하여 감광 드럼(10) 상의 정전 잠상을 현상할 수 있는 상태의 현상 카트리지(B1)의 위치를 접촉 위치라 칭한다. 한편, 감광체 드럼(10)과 현상 롤러(13)가 이격된 상태의 현상 카트리지(B1)의 위치를 이격 위치라 칭한다. 현상 카트리지(B1)는, 후술하는 기구에 의해, 접촉 위치와 이격 위치를 선택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가압 기구에 의한 현상 카트리지와 장치 본체의 전기 접속의 구성>
다음으로, 현상 카트리지(B1)와 장치 본체(A1)의 전기 접속의 구성에 대해 도 3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현상 카트리지(B1)가 전술한 접촉 위치에 있을 때, 현상 카트리지(B1)에 있어서의 메모리 기판(47)의 전극부(47a)와 장치 본체(A1)의 급전 접점(120A)이 접촉하여 있다. 여기서, 급전 접점(120A)은 스프링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도 3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상 카트리지(B1) 장착 전의 형상(120Aa)으로부터, 전극부(47a)에 의해 소정량 눌려져 있다. 이에 의해, 급전 접점(120A)은 현상 카트리지(B1)에 현상 롤러(13)와 감광 드럼(10)이 떨어지는 방향의 접점압 FH13을 미치고 있다. 한편으로, 도 3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상 카트리지(B1)에는 현상 롤러(13)와 감광 드럼(10)을 가까이하는 방향의 힘 FH11이 작용하고 있다. 이 때, 도 3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2)는, 비구동측 현상 베어링(46)의 접촉면(46e)에 접촉한 제1 위치로부터, 비구동측 장치 부재(151)에 의해 돌출부(72f)가 현상 롤러(13)에 근접한 제2 위치로 눌려져 있다. 또한, 전극부(47a)는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의 이동 방향 W의 하류 측에 있어서, 이동 방향 W와 전극부(47a)의 표면(노출면)은 교차하고 있다.
따라서, 비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2)를 방향 W로 이동시키는 힘 FH11과, 접점압 FH13이 각각 대향하는 힘 성분을 갖게 된다. 여기서, 전극부(47a)와 급전 접점(120A)의 전기 접속을 안정시키기 위해서는 일정 이상의 접점압 FH13이 필요하다. 본 구성에 있어서는, 현상 롤러(13)의 탄성층을 감광 드럼(10)에 안정적으로 압접시키는 힘에 더하여, 전술한 접점압 F13을 고려하여 비구동측 현상 가압 스프링(73)의 힘 FH11의 크기를 설정하고 있다. 즉, 힘 FH11에 의해, 전기 접속이 안정되는 접점압 FH13의 확보와, 현상 롤러(13)의 감광 드럼(10)으로의 압접을 양립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 의해, 전극부(47a)와 급전 접점(120A)이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장치 본체의 전기 기판(도시하지 않음)과 전극부(47a)의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비구동측 가압 수단(77)의 외력 FH12를 높여서 접점압 FH13을 확보하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그 경우, 현상 카트리지(B1)가 비구동측 스윙 가이드(81)로부터 빠져나가지 않도록 비구동측 압압 스프링(85)의 가압력을 높일 필요가 있다(도 26 참조). 한편으로, 비구동측 압압 스프링(85)은, 전술한 바와 같이 현상 카트리지(B1)를 비구동측 스윙 가이드(81)에 장착할 때에 유저의 조작력에 의해 눌려 내려진다. 따라서 유저가 보다 큰 힘으로 현상 카트리지(B1)를 장착할 필요가 있다. 이상과 같이, 비구동측 가압 수단(77)의 힘 FH12으로 접점압 FH13을 확보하려고 하면, 유저의 취급성이 악화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비구동측 현상 가압 스프링(73)의 힘 FH11으로 접점압 FH13을 확보함으로써, 유저의 취급성을 악화시키지 않고 현상 카트리지(B1)를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전극부(47a)와 비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2)의 관계는 후술하는 관계로 바꾸어 말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3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급전 접점(120A)의 접촉부에서의 전극부(47a)의 법선 방향 Z에 있어서, 전극부(47a)와 비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2)와의 거리를, 제1 위치에 있어서 L1, 제2 위치에 있어서 L2라 한다. 이 때, L2<L1이 되도록 전극부(47a)를 배치한다. 이에 의해, 비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2)를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시키는 힘을 접점압 FH13의 확보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도 3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비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2), 비구동측 현상 가압 스프링(73) 및 메모리 기판(47)이 모두 비구동측 현상 베어링(46)에 장착되어 있다. 즉, 접점압 F13의 작용부인 전극부(47a)와 힘 FH11의 작용부인 비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2)의 위치가, 현상 롤러(13)의 축선 L0에 직교하는 동일 평면 위에 배치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현상 롤러(13)의 축선 L0의 방향에 관하여, 전극부(47a)와 비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2)가 적어도 일부에서 중첩하여 있다. 따라서, 접점압 F13과 힘 FH11 사이에, 현상 롤러의 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의 회전축 T를 갖는 모멘트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현상 카트리지(B1)의 자세를 보다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메모리 기판(47)은 구동측이 아니라 비구동측의 베어링(46)에 장착되어 있다. 만일 구동측에 메모리 기판(47)을 설치한 경우, 커플링 부재(180)에 작용하는 구동력의 영향을 받을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비구동측 현상 베어링(46)에 메모리 기판(47)을 설치하고 있으므로 구동력의 영향을 받기 어려워, 접점압 FH13이 안정된다.
<이격 기구>
도 28(a)는 현상 롤러(13)와 감광 드럼(10)이 접촉 상태로부터 이격 상태로 천이할 때의 현상 카트리지(B1)의 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또한, 도 28(c)는 도 28(a)의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 주변의 상세도이며, 설명을 위해 구동측 스윙 가이드(80) 및 현상 사이드 커버(34)를 표시하지 않고 있다.
도 28(b)는 현상 롤러(13)와 감광 드럼(10)이 이격된 현상 카트리지(B1)의 이격 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또한, 도 28(d)는 도 28(b)의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 주변의 상세도이며, 설명을 위해 구동측 스윙 가이드(80) 및 현상 사이드 커버(34)를 표시하지 않고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와 같은 접촉 현상 방식의 경우, 항상 도 27(a)에 도시한 것과 같은 현상 롤러(13)가 감광 드럼(10)에 접촉한 채인 상태가 유지되면, 현상 롤러(13)의 고무부(13b)가 변형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비 현상시에는, 현상 롤러(13)를 감광 드럼(10)으로부터 이격시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2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광 드럼(10)에 대해 현상 롤러(13)가 접촉한 상태와, 도 2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광 드럼(10)으로부터 현상 롤러(13)가 이격된 상태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에는 현상 롤러(13) 방향으로 돌출한 피이격부(70g)가 설치되어 있다. 피이격부(70g)는, 장치 본체(A1)에 설치된 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150)에 설치된 제1 접촉면(150a)에 결합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150)는 도시하지 않는 모터로부터의 구동력을 받아, 화살표 N7, 화살표 N8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현상 롤러(13)와 감광 드럼(10)이 이격된 상태로 이행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27(a)에 도시한 현상 롤러(13)와 감광 드럼(10)의 접촉 상태에서는, 제1 접촉면(150a)과 피이격부(70g)는 거리 δ5의 간극을 가진 상태로 이격되어 있다.
한편, 도 28(a)는 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150)가 화살표 N8 방향으로 거리 δ6만큼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의 제1 접촉면(70a)과 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150)의 제2 접촉면(150b)과의 접촉이 이격한 상태이다. 이 때,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의 제1 접촉면(70a)은 구동측 현상 가압 스프링(71)의 가압력 F10을 받아, 피지지부(70d)를 중심으로 화살표 N10의 방향으로 회전하고,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의 규제 접촉부(70e)와 구동측 베어링 부재(36)의 규제부(36b)가 접촉한다. 이에 의해,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와 구동측 베어링 부재(36)의 위치가 결정된다.  도 28(b)는 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150)가 화살표 N8 방향으로 거리 δ7만큼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150)가 화살표 N8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의 피이격면(70g)과 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150)의 제1 접촉면(150a)이 접촉한다. 이 때,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의 규제 접촉부(70e)와 구동측 베어링 부재(36)의 규제부(36b)가 접촉하고 있으므로, 현상 카트리지(B1)를 화살표 N8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현상 카트리지(B1)는, 상세한 내용은 도 41을 이용하여 후술하지만, 구동측 측판(90)에 대해서 화살표 N3 방향, 화살표 N4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고, 또한 화살표 N5, 화살표 N6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는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에 위치 결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150)가 화살표 N8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현상 카트리지(B1)는 화살표 N5 방향으로 요동한다. 이 때, 현상 롤러(13)와 감광 드럼(10)는 서로 거리 δ8만큼 간극을 가지고 이격된 상태로 된다.
비구동측도 구동측과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도 29(b) 및 도 29(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2)와 비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151)가 접촉한 상태에서 비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151)가 화살표 NH8의 방향으로 거리 δh7만큼 이동한다. 이에 의해, 현상 카트리지(B1)가 스윙 가이드(81)의 피지지 볼록부(81g)를 중심으로 화살표 N5 방향으로 회동하여, 현상 롤러(13)와 감광 드럼(10)이 서로 거리 δ8만큼 이격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이, 장치 본체(A1)에 설치된 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150)와 비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151)의 위치에 의해, 감광 드럼(10)과 현상 롤러(13)의 접촉 상태 혹은 이격 상태를 필요에 따라 선택한다.
또한, 도 27(a)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는, 현상 롤러(13)의 회전축 방향 L0으로부터 보아, 또한,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가 위치하는 단면 상에서, 현상 카트리지(B1)의 외형을 형성하도록 현상 용기(16)로부터 돌출하여 있다. 그 때문에,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와 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150)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의 일 부품을 이용하여, 현상 카트리지(B1)를 접촉 위치와 이격 위치로 이동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비구동측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도 27(a)에 나타낸 현상 롤러(10)와 감광 드럼(13)의 접촉 상태로부터 도 28(b)에 나타낸 현상 롤러(10)와 감광 드럼(13)의 이격 상태로 천이할 때,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와 현상 카트리지(B1)는 일체로 회동한다. 그 때문에, 커플링 레버(55)의 가이드부(55e)는, 커플링 부재(180)의 피가이드부(180d)로부터 퇴피한 상태가 유지된다(도 28(b) 참조).
또한, 도 28(b)에 도시한 현상 롤러(13)와 감광 드럼(10)이 이격된 상태에 있을 때, 커플링 부재(180)의 피가이드부(180d)와 커플링 스프링(185)의 가이드부(185d)가 접촉한다. 이에 의해, 커플링 부재(180)는 힘 F1을 받아, 전술한 제1 경사 자세 D1의 자세를 취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 비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2)에 각각 피가압면(제1 접촉면(70a, 72a))과 피이격면(제2 접촉면(70g, 72g))을 갖는다. 이들에 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150), 비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151)에 각각 가압면(제2 접촉면(150b, 151b))과 이격면(150a, 151a))이 작용한다. 이에 의해,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 비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2)의 각각 단일 부품으로 감광 드럼(10)과 현상 롤러(13)의 접촉 상태 혹은 이격 상태를 필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도 27(a) 및 도 28 참조). 그 결과, 현상 카트리지(B1)의 구성의 간이화가 가능하다. 또한, 단일 부품으로 접촉 상태 혹은 이격 상태를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접촉 상태로부터 이격 상태로 천이할 때의 타이밍도 고정밀화할 수 있다.
또한,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와 비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2)는 현상 카트리지(B1)의 긴 길이 방향 양단부에 각각 독립하여 설치된다. 그 때문에, 긴 길이 방향에 걸쳐서 접촉 이격 레버를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현상 카트리지(B1)를 소형화할 수 있다(도 24의 영역 Y1). 이에 수반하여, 영역 Y1을 장치 본체(A1)의 구성 부품으로 공간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장치 본체(A1)의 소형화도 가능하다.
<이격 상태로부터 접촉 상태로의 동작에 연동한 커플링 부재의 움직임>
다음으로, 도 30 및 도 31을 이용하여, 감광 드럼(10)과 현상 롤러(13)의 접촉 동작 및 이격 동작에 연동한 커플링 부재(180)의 움직임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현상 카트리지(B1)가 이격 상태로부터 접촉 상태로 이동할 때의, 커플링 부재(180)와 본체측 구동 부재(100)의 결합 해제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30은 현상 접촉 상태와 현상 이격 상태에 있어서의 커플링 부재(180) 및 본체 구동 부재(100)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1은 현상 접촉 상태와 현상 이격 상태에 있어서의 커플링 부재(180) 및 본체 구동 부재(100)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구동측 측면에서 본 설명도이다.
화상 형성 중에는 도 3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150)에 의해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가 가압력 F11로 압압되고 있다. 또한, 현상 카트리지(B1)의 현상 롤러(13)와 감광 드럼(10)이 소정의 압력으로 접촉한 현상 접촉 상태에 있다. 또한, 도 3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플링 부재(180)는 기준 자세 D0의 자세이다. 이 때, 현상 카트리지(B1)는 커플링 부재(180)의 회전력 수용부(180a)와 본체측 구동 부재(100)의 회전력 부여부(100a)가 결합한 결합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현상 카트리지(B1)는 회전하는 모터(도시하지 않음)의 힘에 의해 본체측 구동 부재(100)로부터 커플링 부재(180)로 구동 전달이 가능한 상태에 있다.
또한, 커플링 레버(55)의 가이드부(55e)는 커플링 부재(180)의 피가이드부(180b)로부터 완전하게 퇴피한 상태로 보유 지지되고 있다(도 11 참조).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커플링 레버(55)의 회전 규제부(55y)가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의 부딪힘부(80y)에 접촉하여, 그 회전 축선 L11를 중심으로 한 화살표 X11 방향의 회전이 규제되고 있기 때문이다(마찬가지로 도 11 참조).
다음으로, 현상 카트리지(B1)가 현상 접촉 상태로부터 현상 이격 상태까지 이동하는 과정에서의 커플링 부재(180)의 자세에 대해 설명한다.
화상 형성이 종료되면, 도 3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150) 및 비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151)(도시하지 않음)가 화살표 N8 방향으로 이동한다. 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150)가 화살표 N8 방향으로 이동하면, 구동측 현상 가압 스프링(71)의 가압력에 의해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가 화살표 N10 방향으로 회동한다(도 28(b) 참조).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의 접촉 규제부(70e)와 구동측 현상 베어링(36)의 위치 결정부(36b)가 접촉한 상태로부터, 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150)가 화살표 N8 방향으로 더 이동한다. 그러면, 현상 카트리지(B1)와 구동측 스윙 가이드(80)가 일체로 되어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의 피지지 볼록부(80g)를 중심으로 화살표 N5 방향으로 회동한다. 또한, 비구동측도 마찬가지로서, 현상 카트리지(B1)와 비구동측 스윙 가이드(81)도 일체로 되어 구동측 스윙 가이드(81)의 피지지 볼록부(81g)를 중심으로 화살표 N5 방향으로 회동한다(도시하지 않음). 이에 의해, 현상 롤러(13)와 감광 드럼(10)이 떨어진 현상 이격 상태로 된다. 현상 카트리지(B1)와 구동측 스윙 가이드(80)는 일체로 되어 이동하기 때문에, 도 31(b)에 나타내는 상태에 있어서도, 커플링 레버(55)의 가이드부(55e)는 커플링 부재(180)의 피가이드부(180b)로부터 완전하게 퇴피한 상태로 보유 지지되어 있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부딪힘부(80y)는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도 20 참조). 한편, 커플링 부재(180)에는 커플링 스프링(185)에 의해 가압력이 작용하고 있다. 그 때문에, 도 3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현상 카트리지(B1)가 접촉 상태로부터 이격 상태로 이동함에 수반하여, 커플링 부재(180)의 축선 L2는 기준 자세 D0의 상태로부터 제1 경사 자세 D1의 방향으로 서서히 경사진다. 그리고, 현상 카트리지(B1)가 더욱 화살표 N5 방향으로 회동하여, 도 31(c)의 상태가 되었을 때, 커플링 부재(180)의 경사 이동이 종료한다. 이 때, 전술한 바와 같이, 커플링 부재(180)의 위상 규제 보스(180e)는 구동측 현상 베어링(36)의 제1 경사 규제부(36kb1)에 결합하고(도 11 참조), 커플링 부재(180)의 축선 L2는 제1 경사 자세 D1로 보유 지지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커플링 부재(180)의 제1 경사 자세 D1는, 커플링 부재(180)의 회전력 수용부(180a)가 장치 본체(A1)의 본체측 구동 부재(100)의 방향을 향하는 자세이다. 도 31(c)에 나타낸 상태에서는, 현상 카트리지(B1)는 커플링 부재(180)의 회전력 수용부(180a)와 본체 구동 부재(100)의 회전력 부여부(100a)와의 결합을 해제한 해제 위치에 위치한다. 따라서, 모터(도시하지 않음)의 힘은 본체 구동 부재(100)로부터 커플링 부재로 구동 전달되지 않는 상태에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 카트리지(B1)는, 도 31(a)에 나타내는 상태가 화상 형성 시의 자세이다. 커플링 부재(180)와 본체 구동 부재(100)가 결합하여, 장치 본체(A1)로부터 구동력이 입력되고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도 31(a)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도 31(b) 및 도 31(c)에 나타내는 상태로 현상 카트리지(B1)가 이동할 때에, 커플링 부재(180)와 본체 구동 부재(100)와의 결합이 해제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현상 카트리지(B1)가 접촉 상태로부터 이격 상태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장치 본체(A1)로부터 현상 카트리지(B1)로의 구동 입력이 절단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현상 카트리지(B1)는, 현상 롤러(13)와 감광 드럼(10)이 이격되는 동안, 장치 본체(A1)의 본체 구동 부재(100)는 회전하고 있다. 따라서, 감광 드럼(10)에 대해 현상 롤러(13)를 회전시키면서 이격시키는 것이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접촉 상태로부터 이격 상태로의 동작에 연동한 커플링 부재의 움직임>
다음으로, 현상 카트리지(B1)가 접촉 상태로부터 이격 상태로 이동할 때의, 커플링 부재(180)와 본체측 구동 부재(100)의 결합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현상 카트리지(B1)의 현상 접촉 동작은, 전술한 현상 이격 동작과 반대의 동작이다. 도 31(b)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현상 카트리지(B1)는 커플링 부재(180)의 회전력 수용부(180a)와 본체 구동 부재(100)의 회전력 부여부(100a)와의 결합을 해제한 해제 위치에 위치한다. 도 31(b)에 도시한 상태는, 도 31(c)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150) 및 비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151)가 화살표 N7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이다. 전술한 구동측 가압 수단(76)(도 25 및 도 27 참조)의 가압력에 의해, 현상 카트리지(B1)와 구동측 스윙 가이드(80)가 일체로 되어 화살표 N6 방향으로 회동한다. 또한, 비구동측도 마찬가지이다. 이에 의해, 현상 카트리지(B1)는, 이격 상태로부터 접촉 상태로 이동한다. 도 30(b)는, 현상 카트리지(B1)가 이격 상태로부터 접촉 상태로 이동하는 도중의 단계이다. 또한, 커플링 부재(180)의 원환부(180f)와 본체측 구동 부재(100)가 접촉한 상태이다. 구체적으로는, 커플링 부재(180)의 원환부(180f)의 내측에 배치된 오목 형상의 원추부(180g)와, 본체측 구동 부재(100)의 축 선단에 배치된 볼록부(100g)가 접촉하여 있다. 도 30(c)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도 30(b)에 도시한 상태에 이를 때까지, 커플링 부재(180)의 회전 축선 L2가 본체측 구동 부재(100)의 방향으로 경사지고 있기 때문에, 커플링 부재(180)와 본체측 구동 부재(100)를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도 30(b)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150) 및 비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151)를 화살표 N7 방향으로 더 이동시키면, 도 3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플링 부재(180)와 본체 구동 부재(100)와의 결합이 완료한다. 이 때, 현상 카트리지(B1)는 커플링 부재(180)의 회전력 수용부(180a)와 본체 구동 부재(100)의 회전력 부여부(100a)가 결합한 결합 위치에 위치하고, 또한, 커플링 부재(180)는 기준 자세 D0의 자세로 되어 있다. 커플링 부재(180)가 제1 경사 자세 D1로부터 기준 자세 D0로 자세 변화하는 과정은, 앞서 설명한, 현상 카트리지(B1)를 장치 본체(A1)에 장착할 때에 커플링 부재(180)가 제2 경사 자세 D2로부터 기준 자세 D0로 자세 변화하는 과정과 마찬가지이다(도 21 참조).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커플링 부재(180)와 본체 구동 부재(100)와의 결합이 개시되는 도 31(b)에 도시한 상태보다도 이전에, 장치 본체(A1)의 구동 신호에 의해 본체 구동 부재(100)를 회전시켜 둔다. 이에 의해, 도 31(c)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도 31(b) 및 도 31(a)에 도시한 상태로 현상 카트리지(B1)가 이동하는 도중에서, 커플링 부재(180)와 본체 구동 부재(100)가 결합하고, 현상 카트리지(B1)에 구동이 입력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현상 카트리지(B1)가 이격 상태로부터 접촉 상태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장치 본체(A1)로부터 현상 카트리지(B1)로 구동이 입력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것은,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와 비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2)의 이동 방향인 N9 방향(도 27 참조)으로 커플링 부재(150)가 이동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현상 롤러(13)와 감광 드럼(10)이 접촉하기 전에, 장치 본체(A1)의 본체 구동 부재(100)는 회전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감광 드럼(10)에 대해서 현상 롤러(13)를 회전시키면서 접촉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현상 롤러(13)와 감광 드럼(10)이 접촉할 때에, 감광 드럼(10)과 현상 롤러(13)의 각각의 주면의 속도 차를 작게 할 수 있으므로, 감광 드럼(10) 및 현상 롤러(13)가 소모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여기서 장치 본체(A1)에 구비되는 모터가 하나인 경우, 감광 드럼(10)에 회전력을 전달하면서, 현상 롤러(13)로의 회전력의 전달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클러치 기구가 필요하다. 즉, 모터로부터 현상 롤러(13)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 전달 기구에 구동 전달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클러치 기구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현상 카트리지(B1)가 접촉 상태로부터 이격 상태로 이동하는 과정 혹은 이격 상태로부터 접촉 상태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커플링 부재(180)와 본체측 구동 부재(100)의 결합 및 결합 해제가 선택된다. 따라서, 장치 본체(A1) 혹은 현상 카트리지(B1)에 클러치 기구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보다 저가로 공간이 절약되는 현상 카트리지(B1), 장치 본체(A1)로 할 수 있다.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 피이격면의 접촉)
도 4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는, 제1 돌출부(70f)의 돌출 방향의 선단부(70p)로부터 현상 롤러(13) 쪽으로 돌출한 피이격면(70g)을 갖는다. 달리 말하자면, 제1 돌출부(70f)는 선단이 현상 롤러(13) 쪽으로 굴곡진 형상으로, 이 굴곡진 앞 부분에 피이격면(70g)이 설치되어 있다.
도 41은 피이격면(70g)의 돌출 유무의 설명도이다. 도 41(a)는 제1 돌출부(70f)의 돌출 측의 선단부(70p)로부터 현상 롤러(13) 쪽으로 돌출한 피이격면(70g)을 갖는 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41(b)는 도 41(a)의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 주변 확대도이다. 도 41(c)는 제1 돌출부(70f)의 돌출 방향의 선단부(70p)로부터 현상 롤러(13) 쪽으로 돌출하지 않는 피이격면(470g)을 갖는 예이다. 도 41(d)는 도 41(c)의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470) 주변 확대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4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의 피이격면(70g)과 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150)의 제1 접촉면(150a)이 접촉하고, 현상 롤러(13)와 감광 드럼(10)이 δ8의 간극을 가지고 이격되어 있다.
여기서, 도 41(a), 도 4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가 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150)의 제1 접촉면(150a)과 피이격면(70g)에 접촉하는 점을 접촉점(70q)으로 한다. 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150)가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의 피이격면(70g)과 제1 접촉면(150a)에서 접촉하는 점을 접촉점(150q)으로 한다.
도 4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150)의 제1 접촉면(150a)은 접촉점(150q)으로부터,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의 피이격면(70g)에 이격력 F17을 부여하고 있다. 그 때문에,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의 피이격면(70g)은 접촉점(70q)에 있어서 반력 F18을 받는다. 이 때, 반력 F18은 제1 접촉면(150a)과 평행한 분력 F19와, 제1 접촉면(150a)과 수직인 분력 F20으로 나눠진다.
분력 F19의 방향은 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150)의 제1 접촉면(150a)에 대해 평행한 방향이기 때문에,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는 피이격면(70g)이 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150)의 제1 접촉면(150a)에 접촉하면서 분력 F19의 방향으로 힘을 받는다.
여기서, 도 4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현상 카트리지(B1)는, 구동측 측판(도시하지 않음)에 피지지 볼록부(80g)를 중심으로 화살표 N5, 화살표 N6 방향으로 요동 가능한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에 위치 결정되어 있다. 또한, 현상 롤러(13)가 감광 드럼(10)에 접촉할 때, 현상 롤러(13)의 축이 감광 드럼(10)의 축에 대해 평행으로 보정 가능하도록, 구동측 스윙 가이드(80)는 구동측 측판(도시하지 않음)에 대해 화살표 N3 방향, 화살표 N4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비구동측도 마찬가지이므로, 현상 카트리지(B1)는 피지지 볼록부(80g)를 중심으로 화살표 N5, 화살표 N6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화살표 N3 방향, 화살표 N4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는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의 규제 접촉부(70e)와 구동측 베어링 부재(36)의 규제부(36b)가 접촉하여,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의 위치가 결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현상 카트리지(B1)는,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가 분력 F19를 받음으로써, 피지지 볼록부(80g)를 중심으로 화살표 N5 방향으로 회전하고, 화살표 11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려고 한다.
따라서,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는 분력 F19 방향으로 이동하려 한다. 이 이동 방향은,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가 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150)에 대해 제1 접촉면(150a)의 뿌리 쪽으로 이동하는 방향으로서,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가 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150)에 의해 결합하는 방향이 된다.
한편, 도 41(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450)의 제1 접촉면(450a)은 접촉점(450q)으로부터,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470)의 피이격면(470g)에 이격력 F21을 부여하고 있다. 그 때문에,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470)의 피이격면(470g)의 접촉점(470q)에 있어서 반력 F22를 받는다. 이 때, 반력 F22는 피이격면(470g)과 평행한 분력 F23과, 피이격면(470g)과 수직인 분력 F24로 나뉘어진다.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470)는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470)의 규제 접촉부(470e)와 구동측 베어링 부재(436)의 규제부(436b)가 접촉하여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470)와 구동측 베어링 부재(436)와의 위치가 결정된다. 이 때문에, 현상 카트리지(B1)는,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470)가 분력 F23을 받음으로써, 피지지 볼록부(80g)를 중심으로 화살표 N5 방향으로 회전하고, 화살표 N4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려고 한다.
따라서,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470)는 분력 F23 방향으로 이동하려 한다. 이 때문에,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470)는 제1 돌출부(470f)의 돌출 방향의 선단부(470p) 쪽에서 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450)의 제1 접촉면(450a)에 접촉하고,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470)가 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450)에 대한 결합량이 적어지게 된다.
그 때문에,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470)는, 분력 F23 방향의 이동량만큼, 제1 돌출부(470f)의 돌출량을 크게 할 필요가 있어, 공간이 필요하게 된다.
이로부터, 제1 돌출부(70f)의 돌출 방향의 선단부(70p)로부터 현상 롤러(13) 쪽으로 돌출한 피이격면(70g)을 갖고 있는 경우, 결합량을 작게 설정할 수 있다. 즉, 이 경우, 돌출한 피이격면(70g)을 갖고 있지 않은 경우에 비해, 감광 드럼(10)으로부터 현상 롤러(13)를 이격시킬 때에,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가 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150)에 의해 결합한다. 그 결과, 결합량을 보다 작게 설정하여도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는 구동측 장치 본체 부재(150)와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와 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150)의 결합량을 작게 하면 현상 카트리지(B1)의 소형화로 이어진다.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와 구동측 현상 가압 스프링(71) 및 구동측 현상 베어링(36)의 규제부(36b)의 배치에 의한 효과>
지금까지 설명해 온 것처럼, 구동측 현상 가압 스프링(71)의 가압력 F10은, 구동측 현상 가압 스프링(71)이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의 제3 접촉면(70c)과 구동측 현상 베어링(36)의 접촉면(36d)과의 사이에서 압축됨으로써 발생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도 1 참조). 또한, 비구동측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특히, 현상 가압 시에는,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가 구동측 현상 베어링(36)의 지지부(36c)를 중심으로 화살표 N9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발생하는 가압력 F10a를 이용하여, 현상 롤러(13)와 감광 드럼(10)을 접촉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도 27 참조).
또한, 현상 이격 시에는, 가압력 F10을 이용하여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를 구동측 현상 베어링(36)의 지지부(36c)의 보스를 중심으로 화살표 N10 방향으로 회전시켜,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의 규제 접촉부(70e)와 구동측 현상 베어링(36)의 규제부(36b)를 접촉시킨다. 이에 의해,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의 위치가 규제된다. 나아가,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의 제2 접촉면(70b)과 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150)의 제1 접촉면(150a)이 접촉하면서 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150)가 화살표 N8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로써, 현상 롤러(13)와 감광 드럼(10)이 이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도 28(b) 참조). 즉, 현상 가압 시에 이용하는 구동측 현상 가압 스프링(71)을 이용하여, 현상 이격 시의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의 위치를 규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특히 현상 카트리지(B1)는 장치 본체(A1)에 대해서 착탈 가능한 구성으로서,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와 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150)(도 25 참조)를 확실히 결합시키기 위해,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의 위치를 양호한 정밀도로 위치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의 위치 정밀도가 나쁠 경우에는,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은 대응을 행하여,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와 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150)를 결합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1. 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150)의 제1 접촉면(150a)과 제2 접촉면(150b)과의 거리(간극)를 보다 크게 마련한다.
2.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의 제1 접촉면(70a)과 제2 접촉면(70b)과의 거리(두께)를 보다 작게 마련한다.
다만, 이러한 대응은 장치 본체(A1)의 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150)의 N8 및 N9 방향으로의 이동량이 증대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장치 본체(A1)가 대형화되어 버린다.
본 구성에 의하면, 현상 가압 시에 이용하는 구동측 현상 가압 스프링(71)을 이용하여, 현상 카트리지(B1)를 장치 본체(A1)에 장착할 때의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의 위치를 규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장치 본체(A1)의 소형화에 공헌함과 함께, 감광 드럼(10)과 현상 롤러(13)를 이격시키는 타이밍이나 감광 드럼(10)에 대한 현상 롤러(13)의 이격량을 양호한 정밀도로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본 구성에 의하면, 현상 이격 시 및 현상 카트리지(B1)의 장착 시에도 현상 가압 시에 이용하는 구동측 현상 가압 스프링(71)을 이용하여, 현상 이격 시의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의 위치를 양호한 정밀도로 위치 결정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의 위치를 규제하기 위해서, 현상 가압 시에 이용하는 구동측 현상 가압 스프링(71)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특별히 새로운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감광 드럼(10)에 대해 현상 롤러(13)를 접촉시키기 위한 힘을 받는 제1 접촉면(70a)과 이격시키기 위한 힘을 받는 제2 접촉면(70b)의 양쪽 모두를,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의 하나의 부품에 설치한다. 이에 의해 기능을 집약함으로써, 현상 카트리지(B1)의 부품 개수의 삭감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설치된 압압 부재로부터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 비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2)가 힘을 받음으로써, 현상 롤러의 감광 드럼으로의 접촉 및 이격을 공간 절약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나 현상 카트리지가 소형화된다. 또한 현상 롤러를 감광 드럼으로부터 이격시켰을 때에, 화상 형성 장치 본체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현상 카트리지의 전극부에 걸리는 힘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전극부에 가해지는 부하가 작아지므로 전극부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전극부의 강도를 억제할 수 있으므로, 전극부를 갖는 현상 카트리지나 현상 카트리지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저비용화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현상 카트리지(B1)와 드럼 카트리지(C)가 분리된 구성을 설명하였다. 즉, 현상 장치가 현상 카트리지(B1)로서 감광체 드럼(10)과는 별도로 카트리지화되어, 화상 형성 장치의 장치 본체에 대해 착탈되는 구성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적용되는 것은 그러한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현상 카트리지(B1)와 드럼 카트리지(C)가 분리되지 않는 구성이어도 본 실시예의 구성을 적용 가능하다. 현상 카트리지(B1)(현상 장치)를 드럼 카트리지(C)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여 구성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화상 형성 장치의 장치 본체에 착탈시키는 것과 같은 구성이어도 좋다. 즉, 감광체 드럼(10)과 현상 장치를 구비하는 카트리지(프로세스 카트리지)에 본 실시예에서 개시한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 비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2)를 설치하는 것과 같은 구성도 생각할 수 있다.
<커플링 부재(180)와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 비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2)의 관계>
커플링 부재(180)는,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와 비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2)의 이동 방향인 N9 방향(도 27 참조)으로 적어도 이동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와 비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2)가 N9, N10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커플링 부재(150)와 본체측 구동 부재(100)와의 사이의 결합에 영향을 주는 일 없이 부드러운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2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현상 롤러(13)가 감광 드럼(10)에 접촉하는 방향인 N6 방향과, 커플링 부재(180)의 회전 방향(도 8의 X6 방향)인 N13 방향이 동일 방향이 되도록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커플링 부재(180)가 본체측 구동 부재(100)로부터 받는 우력(偶力)은, 피지지 볼록부(80g)를 중심으로 현상 카트리지(B1)를 N6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멘트로서 작용한다. 그리고, 현상 롤러(13)에는, 현상 롤러(13)를 감광체 드럼(10)에 가압하는 가압력이 되는 N6 방향의 모멘트가 작용하게 된다.
만일, 커플링 부재(180)의 회전 방향이 N6 방향과 역 방향이라면, 커플링 부재(180)의 회전력에 의해 현상 롤러(13)가 감광체 드럼(10)으로부터 도망치는 방향의 모멘트(도 27의 N5 방향)가 작용하므로 가압력이 손실된다. 그러나 본 구성에서는 그와 같은 가압력의 손실이 발생하기 어렵다.
또한, 커플링 부재(180)의 회전력에 의해 발생하는 N6 방향의 모멘트는, 커플링 부재(180)를 회전시키기 위해 필요한 부하 토크로부터 발생하는 것이다. 카트리지의 부하 토크는 부품 치수 및 내구(耐久)를 통해 변화하므로, 커플링 부재(180)의 회전력에 의해 발생하는 N6 방향의 모멘트도 변화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접촉 이격 레버(70, 72)가 장치 본체(A1)로부터 힘을 받아, 감광체 드럼(10)에 대해 현상 롤러(13)를 접촉시키는 구성이기도 하다. 접촉 이격 레버(70, 72)에 의한 N6 방향의 가압력은 부품 치수만으로 규정되고, 내구 변동은 생기지 않는다.
따라서, 감광체 드럼(10)에 대해 현상 롤러(13)를 보다 안정적으로 접촉시키기 위해서는 다음에 같이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접촉 이격 레버(70, 72)가 장치 본체(A1)로부터 힘을 받아 발생하는 N6 방향의 모멘트에 비해, 커플링 부재(180)의 회전력에 의해 발생하는 N6 방향의 모멘트를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의 피지지 볼록부(80g)와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와의 거리보다, 피지지 볼록부(80g)와 커플링 부재(180)를 연결한 거리가 짧다. 이 구성에 의해, 커플링 부재(180)의 회전력에 의해 발생하는 N6 방향의 모멘트를 현상 롤러(13)의 가압력으로서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나아가, 이 구성에 의해, 커플링 부재(180)의 회전력에 의해 발생하는 N6 방향의 모멘트의 변동의 영향을 억제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감광체 드럼(10)에 대해 현상 롤러(13)를 접촉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현상 롤러(13)의 회전 축선 방향으로부터 보아, 현상 롤러(13)의 회전 중심(13Z)과 커플링 부재(180)의 회전 중심을 연결한 직선(Z31)에 평행한 방향을 N14(제1 방향) 방향으로 한다. 현상 프레임체를 현상 롤러(13)의 회전 축선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N14 방향에 관하여, 현상 롤러(13)는 현상 프레임체의 일단 측에 배치되고,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의 제1 돌출부(70f)(특히, 제1 접촉면(70a), 제2 접촉면(70b))가 현상 프레임체의 타단 측에 배치되어 있다. 즉, 제1 돌출부(70f)(특히, 제1 접촉면(70a), 제2 접촉면(70b))를 현상 롤러(13)로부터 어느 정도 떨어진 위치에 배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현상 프레임체의 일단 측에 현상 롤러(13)의 근방에 배치하는 것이 적당한 커플링 부재(180) 등의 부재를 배치하는 공간을 현상 롤러(13)의 근방에 확보할 수 있다. 현상 카트리지(B1) 내에서의 현상 롤러(13)의 근방에 배치하는 것이 적당한 부재의 레이아웃의 자유도가 향상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 롤러(13)의 회전 축선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N14 방향에 관하여, 커플링 부재(180)를 제1 돌출부(70f)(제1 접촉면(70a), 상기 제2 접촉면(70b))보다도 현상 롤러(13)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하고 있다.
또한, 구동측 현상 베어링(36)에는, 현상 카트리지(B1)가 장치 본체(A1)에 장착된 상태에서, 장치 본체(A1) 내부의 반송 가이드(3d) 내를 전사 닙부(6a)를 향해 반송되어 온 기록 매체(2)에 접촉 가능한 기록 매체 접촉부(36m)를 구비한다.
이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N14 방향에 관하여, 제1 돌출부(70f)(특히, 제1 접촉면(70a), 제2 접촉면(70b))의 위치를 현상 롤러(13)로부터 떨어진 위치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장치 본체(A1)의 현상 롤러(13)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150)를 배치할 수 있으므로, 현상 카트리지(B1)의 감광 드럼(10)에 접촉하는 현상 롤러측 부분을 반송 가이드(3d) 근방에 배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장치 본체(A1) 내에서의 현상 카트리지(B1)와 반송 가이드(3d)와의 사이에 데드 스페이스를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 카트리지(B1)를 반송 가이드(3d)의 근방에 배치하고 있다. 따라서, 현상 롤러(13)의 회전 축선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구동측 현상 베어링(36)의, N14 방향에 관하여 제1 돌출부(70f)(제1 접촉면(70a), 상기 제2 접촉면(70b))보다 현상 롤러(13)에 가까운 위치에, 기록 매체 접촉부(36m)를 설치하고 있다.
<현상 사이드 커버(34)의 상세 내용>
도 45와 도 46은 현상 사이드 커버(34)의 상세 내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5(a)는 현상 사이드 커버(34)를 외측으로부터 본 정면도, 도 45(b)는 현상 사이드 커버(34)를 내측으로부터 본 배면도, 도 46은 각각 정면과 배면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현상 사이드 커버(34)는 카트리지(B1)의 현상 프레임체를 구성하는 하나의 프레임 부재이다. 현상 사이드 커버(34)는 판 형상의 정면부(34e)와, 그 뒤편이 되는 이면부(34f)로 이루어진다. 정면부(34e)의 테두리에는 이면부(34f)를 둘러싸도록 테두리부(34g)가 정면부(34e)로부터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커플링 부재(180)를 내측에 배치하는 구멍(34a)이 정면부(34e)와 이면부(34f)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구멍(34a)의 측방에는 정면부(34e)보다 돌출한 제1 돌기(위치 결정부)(34b)가 설치되어 있다. 제1 돌기(위치 결정부)(34b)의 측방에는 제1 돌기(위치 결정부)(34b)보다 직경 방향으로 크고, 마찬가지로 정면부(34e)보다 돌출한 제2 돌기(회전 멈춤부)(34c)가 설치되어 있다. 제2 돌기(회전 멈춤부)(34c)는 제1 돌기(위치 결정부)(34b)보다 구멍(34a)으로부터 먼 위치에 있다.
제1 돌기(위치 결정부)(34b)와 제2 돌기(회전 멈춤부)(34c)의 사이에는 양자를 연결하는 연결부(34k)가 설치되고, 연결부(34k)와 정면부(34e)의 사이에는, 제1 홈부(34l)가 설치된다.
구멍(34a)과 제1 돌기(위치 결정부)(34b)의 사이에는, 제3 돌기(스프링 지지부)(34h)가 설치되어 있다. 제3 돌기(스프링 지지부)(34h)의 높이는 제1 돌기(위치 결정부)(34b)와 제2 돌기(회전 멈춤부)(34c)보다 낮다.
제3 돌기(스프링 지지부)(34h)의 구멍(34a)을 중앙으로 하여 대향 측에는 원주 방향으로 홈이 연장하여 있는 제2 홈부(34o)를 가지고 있다. 제2 홈부(34o)는 커플링 스프링(185)을 가이드하고 있다.
제1 돌기(위치 결정부)(34b)의 하방에는 능선(34p1, 34p2)으로 구성되는 제4 돌기(34p)를 갖는다. 능선(34p1, 34p2)은 서로 교차하며, 교차 각도는 둔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4 돌기(34p)의 높이는 제1 돌기(위치 결정부)(34b)와 제2 돌기(회전 멈춤부)(34c)보다 낮다.
제1 돌기(위치 결정부)(34b)와 제2 돌기(회전 멈춤부)(34c)의 상방에는, 정면부(34e)와 이면부(34f)를 관통하는 원호 형상 홈부(34q)가 설치되어 있다. 원호 형상 홈부(34q)는 커플링 레버(55)의 회전 규제부(55y)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도 12 참조).
또한, 현상 사이드 커버(34)는 커버부(34t)를 갖는다. 커버부(34t)는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의 적어도 일부 및 스프링(71)의 적어도 일부를 현상 롤러(13)의 긴 길이 방향(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의 회전 축선의 방향)에서 외측으로부터 노출하지 않도록 덮는다. 이에 의해,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나 스프링(71)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음과 함께,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나 스프링(71)이 구동측 현상 베어링(36)으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커버부(34t)는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의 적어도 일부 또는 스프링(71)의 적어도 일부를 현상 롤러(13)의 긴 길이 방향(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의 회전 축선의 방향)에서 외측으로부터 노출하지 않도록 덮고 있으면 좋다.
이상과 같이 현상 사이드 커버(34)에 각종 기능부를 집약시킴으로써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구동측 현상 베어링(36)의 상세 내용>
도 47과 도 48은 구동측 현상 베어링(36)의 상세 내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7(a)는 구동측 현상 베어링(36)을 외측으로부터 본 정면도, 도 47(b)는 구동측 현상 베어링(36)을 내측으로부터 본 배면도, 도 48은 각각 정면과 배면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구동측 현상 베어링(36)은 카트리지(B1)의 현상 프레임체를 구성하는 현상 사이드 커버(34)와는 별도의 하나의 프레임 부재이다. 구동측 현상 베어링(36)은 판 형상의 정면부(36f)와, 그 뒤편이 되는 이면부(36g)로 이루어진다. 정면부(36f)의 테두리에는 이면부(36g)를 둘러싸도록 테두리부 이면부(36h)가 정면부(36f)로부터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정면부(36f)와 이면부(36g)를 관통하도록 구멍(36a)이 설치되어 있다. 구멍(36a)의 내측에는 현상 롤러(13)가 배치되어, 현상 롤러(13)를 지지한다. 구멍(36a)에 직접 지지하여도 좋고, 부재를 통해 지지해도 좋다.
구멍(36a)의 측방에는 돌출부(36i)가 설치되어 있다. 돌출부(36i)는 원통 형상을 갖고 있다. 돌출부(36i)의 내측에는 커플링 부재(180)의 위상 규제 보스(180e)의 위치를 규제하는 위상 규제부(36kb)가 설치되어 있다. 위상 규제부(36kb)는 내측에 커플링 부재(180)가 배치되는 대략 삼각형의 구멍 형상을 갖고 있다. 위상 규제부(36kb)는 제1 경사 규제부(36kb1)와 제2 경사 규제부(36kb2)로 이루어져 각각 홈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돌출부(36i)를 사이에 두고 구멍(36a)과 대향하는 위치에,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36c)가 설치되어 있다. 지지부(36c)는 돌출한 원통 형상을 갖고 있다.
지지부(36c)의 하방에는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의 규제부(36b)가 설치되어 있다. 규제부(36b)는 정면부(36f)로부터 돌출하는 벽 형상을 갖고, 구동측 현상 베어링(36)의 테두리에 위치한다.
규제부(36b)의 대향 측으로서 돌출부(36i)의 하방에는, 구동측 현상 가압 스프링(71)과 접촉하기 위한 접촉면(36d)이 설치되어 있다. 접촉면(36d)도 규제부(36b)와 마찬가지로, 정면부(36f)로부터 돌출하는 벽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47의 정면 방향으로부터 보아, 규제부(36b)와 접촉면(36d)의 배열 방향에 관하여, 규제부(36b)와 접촉면(36d)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구멍(36j)이 설치되어 있다. 구멍(36j)은 구동 기어 등을 노출시키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동측 현상 베어링(36)에 의해, 커플링 부재(180)의 위치와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의 위치를 고정밀도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현상 롤러(13)의 위치와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의 위치를 고정밀도로 유지할 수 있다.
《실시예 2》
다음으로 실시예 2에 대해 도 3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2는 현상 카트리지(B1)를 구동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실시예 1에 있어서는,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가 구동측 현상 베어링(36)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구성에 대해 설명을 하였다. 그러나, 도 3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2)가 구동측 현상 베어링(362)에 대해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성이어도 좋다. 설명하지 않는 기재에 관해서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한다.
도 32(a)는 감광 드럼(10)에 대해 현상 롤러(13)가 접촉한 상태를 구동측에서 본 측면도와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2) 주위의 단면도이다.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2)의 볼록부(702b)는 구동측 현상 베어링(362)의 홈부(362c)에 결합하고 있다. 또한,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2)의 볼록부(702j)는 현상 사이드 커버(342)의 홈부(342y)에 결합하고 있다. 이에 의해,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2)는 구동측 현상 베어링(362)과 현상 사이드 커버(342)에 대해 화살표 N72, N82 방향으로 슬라이드(직선 이동) 가능하게 된다. 또한, 구동측 현상 가압 스프링(712)은, 일단(712d)이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2)의 제3 접촉면(702c)과 접촉하고, 타단(712e)이 구동측 현상 베어링(362)의 접촉면(362d)과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있어서, 도 3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현상 카트리지(B1)는 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150)의 제2 접촉면(150b)과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2)의 제1 접촉면(702a)이 접촉함으로써 외력 F11을 받는다. 그 결과, 감광 드럼(10)에 대해 현상 롤러(13)는 소정의 압력으로 접촉한다.
다음으로, 현상 롤러(13)와 감광 드럼(10)이 이격된 상태로 이행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32(c)는 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150)가 화살표 N82 방향으로 거리 δ6만큼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2)의 제1 접촉면(702a)과 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150)의 제2 접촉면(150b)이 이격된 상태이다. 이 때,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2)는 구동측 현상 가압 스프링(71)의 가압력 F10을 받아, 화살표 N82의 방향으로 슬라이드하고,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2)의 규제 접촉부(702e)와 구동측 베어링 부재(362)의 규제부(362b)가 접촉한다. 이에 의해,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2)는 위치가 결정된다.
도 32(d)는 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150)가 화살표 N82 방향으로 거리 δ7만큼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150)가 화살표 N82 방향으로 더 이동한 것에 의해,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2)의 피이격면(702g)과 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150)의 제1 접촉면(150a)이 접촉하고, 나아가서는 현상 카트리지(B1)를 화살표 N82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 결과, 현상 카트리지(B1)는 스윙 가이드(80)의 피지지 볼록부(80g)를 중심(도시하지 않음)으로 화살표 N5 방향으로 요동한다. 이 때, 현상 롤러(13)와 감광 드럼(10)은 서로 거리 δ8만큼 간극을 가지고 이격된 상태로 된다.
비구동측도 구동측과 마찬가지의 구성이다. 또한, 그 외의 구성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단, 실시예 1에 기재한 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150)의 위치 오차와 구동측 현상 가압 스프링(71)의 압축량의 관계를 제외한다).
《실시예 3》
다음으로, 도 42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적용한 제3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하지 않는 기재에 관해서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한다.
도 42는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201)가 판 스프링인 모식도이다.
도 4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201)는 SUS 등의 재료로 만들어진 탄성체이다.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201)는 제1 접촉면(201a), 제2 접촉면(201b), 지지부(201d), 탄성 변형부(201h)를 갖고, 지지부(201d)가 베어링(202)의 피지지부(202b)에서 지지되고 있다.
여기서, 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203)는 제1 접촉면(203a), 제2 접촉면(203b)이 설치되어 있고, 화살표 N7 방향, 화살표 N8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한다.
또한, 현상 카트리지(B1)는, 구동측 측판(도시하지 않음)에 피지지부(210b)를 중심으로 화살표 N5, 화살표 N6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구동측 스윙 가이드(210)에 위치 결정되어 있다. 비구동측도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현상 카트리지(B1)는 피지지부(210b)를 중심으로 화살표 N5, 화살표 N6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감광 드럼(10)과 현상 롤러(13)를 가압시킬 경우, 도 4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203)가 화살표 N7 방향으로 움직인다. 그리고, 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203)의 제2 접촉면(203b)은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201)의 제1 접촉면(201a)에 접촉한다.
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203)가 화살표 N7 방향으로 더 움직이면, 도 4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203)의 제2 접촉면(203b)은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201)의 탄성 변형부(201h)를 변형시킨다. 그 상태에서 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203)의 제2 접촉면(203b)은,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201)의 제1 접촉면(201a)에 힘 F41을 부여한다. 이 때, 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203)의 제2 접촉면(203b)은 반력 F42를 받는다. 여기서, 현상 카트리지(B1)는 피지지부(201b)를 중심으로 화살표 N5, 화살표 N6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기 때문에, 현상 카트리지(B1)는 힘 F41의 외력에 의해 화살표 N5 방향으로 움직인다. 이 때문에, 감광 드럼(10)에 현상 롤러(13)가 접촉한다.
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203)가 화살표 N7 방향으로 더 움직이면, 도 4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203)의 제2 접촉면(203b)은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201)의 탄성 변형부(201h)를 변형시킨다. 그 상태에서 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203)의 제2 접촉면(203b)은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201)의 제1 접촉면(201a)에 힘 F45를 부여한다. 이 때, 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203)의 제2 접촉면(203b)은,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201)의 제1 접촉면(201a)으로부터 반력 F46을 받는다. 감광 드럼(10)에 현상 롤러(13)가 접촉하여 현상 카트리지(B1)의 자세는 정해져 있기 때문에,
F45 > F41
로 되고, 도 4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광 드럼(10)으로 현상 롤러(13)가 가압된다.
도 42(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광 드럼(10)과 현상 롤러(13)를 이격시키는 경우, 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203)가 화살표 N8 방향으로 움직인다. 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203)의 제1 접촉면(203a)은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201)의 제2 접촉면(201b)과 접촉한다.
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203)가 화살표 N8 방향으로 더 움직이면, 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203)의 제1 접촉면(203a)은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201)의 탄성 변형부(201h)를 변형시키면서,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201)의 제2 접촉면(201b)에 힘 F44를 부여한다.
이 때, 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203)의 제1 접촉면(203a)은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201)의 제2 접촉면(201b)으로부터 반력 F43을 받는다.
여기서, 현상 카트리지(B1)는 피지지부(210b)를 중심으로 화살표 N5, 화살표 N6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기 때문에, 현상 카트리지(B1)는 피지지부(210b)를 중심으로 화살표 N6 방향으로 움직여, 감광 드럼(10)으로부터 현상 롤러(13)가 이격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 변형부(탄성부)(201h)와, 제1 접촉면(201a) 및 제2 접촉면(201b)을 구비하는 부분(가동부)을 하나의 부재의 일부로서 일체적으로 형성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201)가 판 스프링으로 구성되었다. 이에 의해, 실시예 1에서 나타낸, 압축 스프링인 가압 부재로서의 구동측 현상 가압 스프링(71)(도 41(a) 참조)이 필요없게 된다. 이 때문에, 공간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현상 카트리지(B1)의 설계 자유도가 증가하거나, 혹은 소형화로 연결된다.
나아가, 실시예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201)에 피가압면(제1 접촉면(201a))과 피이격면(제2 접촉면(201b))을 갖는다. 이들에 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203)의 가압면(제2 접촉면(203b))과 이격면(제1 접촉면(203a))이 각각 작용한다. 이에 의해,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201)의 단일 부품으로 감광 드럼(10)과 현상 롤러(13)의 접촉 상태 또는 이격 상태를 필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그 결과, 현상 카트리지(B1)의 구성의 간이화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구동측을 대표로 설명하였지만, 비구동측에서도 마찬가지의 구성이 가능하다. 또한,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201)를 탄성 변형 가능한 수지 부재 등으로 성형한 부재로 하여도 좋다.
또한, 전술한 어느 실시예에 있어서도, 본 실시예의 가동부와 탄성부를 하나의 부재의 일부로서 일체적으로 형성한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 4>
다음으로, 도 43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적용한 제4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접촉 이격 레버의 스프링으로부터 가압력을 받는 부분의 배치가 전술한 각 실시예와 다르다. 설명하지 않는 기재에 관해서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한다.
도 43은 구동측 현상 가압 스프링(302)이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301)의 피지지부(301d)의 중심을 통과하여 제1 돌출부(301f)의 돌출 방향인 화살표 M1 방향에 수직인 선으로부터, 화살표 M1 방향과 반대쪽에 배치된 모식도이다.
도 4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301)는 제1 접촉면(301a), 제2 접촉면(301b), 제3 접촉면(301c), 피지지부(301d), 규제 접촉부(301e), 타단부(301m)를 갖는다. 그리고,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301)는 피지지부(301d)에 의해 구동측 현상 베어링(306)에 대해서 지지부(306b)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구동측 현상 가압 스프링(302)은 압축 스프링이며, 일단부(302d)가 제3 접촉면(301c)과 접촉하여 있고, 타단부(302e)가 구동측 현상 베어링(306)에 설치된 접촉면(306d)에 접촉하여 있다.
여기서, 현상 카트리지(B1) 단품의 상태에서는,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301)는, 제3 접촉면(301c)에 있어서 구동측 현상 가압 스프링(302)으로부터 화살표 F30 방향으로 힘을 받는다. 이 때, 지지부(306b)를 중심으로 화살표 N10 방향으로 회전하여, 규제 접촉부(301e)는 구동측 현상 베어링(306)의 규제부(306e)에 접촉한다.
또한, 현상 카트리지(B1)는, 구동측 측판(도시하지 않음)의 피지지부(310b)를 중심으로 화살표 N5, 화살표 N6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는 구동측 스윙 가이드(310)에 위치 결정되어 있다. 비구동측도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현상 카트리지(B1)는 피지지부(310b)를 중심으로 화살표 N5, 화살표 N6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여기서, 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303)는 제1 접촉면(303a), 제2 접촉면(303b)이 설치되어 있고, 화살표 N7 방향, 화살표 N8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한다.
감광 드럼(10)과 현상 롤러(13)를 가압시킬 경우, 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303)가 화살표 N7 방향으로 움직인다. 그리고, 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303)의 제2 접촉면(303b)은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301)의 제1 접촉면(301a)에 접촉한다.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301)는 지지부(306b)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기 때문에,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301)는 N20 방향으로 회전하고, 규제 접촉부(301e)가 규제부(302e)로부터 떨어진다.
이 때,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301)의 제3 접촉면(301c)은 구동측 현상 가압 스프링(302)의 가압력 F30을 받아,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301)에는 화살표 N10 방향의 모멘트 M10이 작용한다. 이 때, 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303)의 제2 접촉면(303b)과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301)의 제1 접촉면(301a)이 접촉하여 있다. 그 때문에, 모멘트 M10과 균형을 이루는 모멘트가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301)에 작용하도록,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301)의 제1 접촉면(301a)은 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303)의 제2 접촉면(303b)으로부터 힘 F32를 받는다. 따라서, 현상 카트리지(B1)에는 힘 F32의 외력이 작용하고 있게 된다.
나아가, 현상 카트리지(B1)는 피지지부(310b)를 중심으로 화살표 N5, 화살표 N6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기 때문에, 현상 카트리지(B1)는 힘 F32의 외력에 의해 화살표 N5 방향으로 움직인다. 이 때, 감광 드럼(10)에 현상 롤러(13)가 접촉한다. 현상 카트리지(B1)는, 감광 드럼(10)에 현상 롤러(13)가 접촉함으로써, 화살표 N5 방향의 회전 자세가 정해진다.
나아가, 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303)가 화살표 N7 방향으로 움직이면, 현상 카트리지(B1)가 화살표 N5 방향으로는 회전 불능이기 때문에,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301)는 지지부(306b)를 중심으로 N20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301)의 제3 접촉면(301c)은 구동측 현상 가압 스프링(302)의 가압력 F31을 받는다(도 43(b) 참조).
여기서, 구동측 현상 가압 스프링(302)은 더욱 압축되기 때문에,
F31 > F30
으로 된다. 이미 현상 카트리지(B1)는 화살표 N5 방향으로는 회전 불능이기 때문에, 감광 드럼(10)으로 현상 롤러(13)가 가압된다.
감광 드럼(10)과 현상 롤러(13)를 이격시키는 경우, 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303)가 화살표 N8 방향으로 움직이고, 제1 접촉면(303a)이 제2 접촉면(301b)에 접촉한다.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301)는 지지부(306b)를 중심으로 화살표 N10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기 때문에, 규제 접촉부(301e)가 베어링(306)의 규제부(306e)에 접촉하고,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301)는 위치가 정해진다.
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303)가 화살표 N8 방향으로 더 움직이면, 현상 카트리지(B1)는 피지지부(310b)를 중심으로 화살표 N5, 화살표 N6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기 때문에, 현상 카트리지(B1)는 피지지부(310b)를 중심으로 화살표 N6 방향으로 움직인다. 그리고, 감광 드럼(10)으로부터 현상 롤러(13)가 이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4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현상 롤러(13)의 회전축 방향으로부터 보아, 제1 접촉면(힘수용부)(301a)과 제3 접촉면(가압력 수용부)(301c) 사이의 거리는, 제1 접촉면(301a)과 피지지부(301d) 사이의 거리보다도 길다. 이에 의해, 실시예 1에서 나타낸, 압축 스프링인 가압 부재로서의 구동측 현상 가압 스프링(71)에 상당하는 부재의 위치 배치에 자유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설계 자유도가 높아진다.
나아가, 실시예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301)에 피가압면(제1 접촉면(301a))과 피이격면(제2 접촉면(301g))을 갖는다. 이들에 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303)의 가압면(제2 접촉면(303b))과 이격면(제1 접촉면(303a))이 각각 작용한다. 이에 의해,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301)의 단일 부품으로 감광 드럼(10)과 현상 롤러(13)의 접촉 상태 또는 이격 상태를 필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그 결과, 현상 카트리지(B1)의 구성의 간이화가 가능하다.
또한, 실시예 4의 변형예로서,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본 변형예에서는, 도 5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측 현상 베어링(336)에 규제부(336b)를 설치하였다. 본 변형예에서는, 가압 스프링(71)의 위치는 실시예 1과 같고, 지지부(36c)를 사이에 두고, 반대 방향으로 돌출부(피규제부)(360b)를 설치하고, 돌출부(360b)를 규제부(336b)에 접촉시키는 구성으로 하였다. 또한, 가압력 수용부(370c)에서 구동측 현상 가압 스프링(71)으로부터의 가압력을 받는 구성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다.
본 변형예에 의하면, 규제부(336b)의 구동측 현상 베어링(336) 내에서의 배치에 자유도가 증가한다. 또한, 지지부(36c)로부터의 거리를 길게 취함으로써 규제부(336b)에 가해지는 힘을 줄이는 것도 가능하여, 용기 변형의 억제도 가능하다. 즉, 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150)의 제2 접촉면(150b)으로부터 가압되는 제1 접촉면(370a)과, 지지부(36c)와, 돌출부(360b)와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현상 롤러(13)의 축선 방향으로부터 보아, 제1 접촉면(370a)과 돌출부(360b)와의 거리는, 제1 접촉면(370a)과 지지부(36c)와의 거리보다도 길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구동측을 대표로 설명하였지만, 비구동측에서도 마찬가지의 구성이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어떤 실시예에 있어서도, 본 실시예의 제3 접촉면(가압력 수용부)(301c)의 배치 및/또는 본 변형예의 규제부(336b)의 배치를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 5》
다음으로, 도 50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적용한 제5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현상 카트리지(B1)에서는 비구동측에만 비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2)가 설치되어 있는 점이 전술한 각 실시예와 다르다. 설명하지 않는 기재에 관해서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한다.
도 5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현상 카트리지(B1)는, 구동측에는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 및 구동측 현상 가압 스프링(71)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파선 부분). 한편, 비구동측에만 비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2) 및 비구동측 현상 가압 스프링(73)(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즉, 현상 롤러(13)의 회전 축선의 방향에 관하여 현상 프레임체의 커플링 부재(180)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쪽에만, 비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2)나 비구동측 현상 가압 스프링(73)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현상 롤러(13)의 회전 축선의 방향에 관하여 현상 프레임체의 커플링 부재(180)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쪽이란, 현상 롤러(13)의 회전 축선의 방향에 관하여 카트리지(B1)의 중앙보다도 커플링 부재(180)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쪽의 부분을 나타낸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측에서는 커플링 부재(180)가 화살표 X6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회전력을 받은 현상 카트리지(B1)는,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와 일체로, 도 27에 나타내는 화살표 N6 방향으로 지지부(90c)(도 27 참조)를 중심으로 요동한다. 커플링 부재(180)가 받는 구동력에 의해 발생하는 N6 방향의 모멘트가 충분히 있을 때에는, 그것만으로 구동측에서는 현상 롤러(13)를 감광체 드럼(10)에 대하여 압접 가능하게 된다.
한편 비구동측에서는, 커플링 부재(180)가 받는 구동력에 의해 발생하는 N6 방향의 모멘트를 구동측만큼 얻을 수 없기 때문에,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피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2)를 이용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전술한 어느 실시예에 있어서도, 본 실시예의 비구동측에만 비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2)가 설치된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적용에 의해,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의 삭감에 따른 부품 개수의 삭감에 의한 비용 절감을 실현할 수 있다.
《실시예 6》
도 51, 도 52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적용한 제6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카트리지(B1)의 일단부에만 현상 롤러(13)를 접촉시킬 때의 힘을 받는 제1 힘수용부가 설치되고, 타단부에만 현상 롤러(13)를 이격시킬 때의 힘을 받는 제2 힘수용부가 설치되어 있는 점이 전술한 각 실시예와 다르다. 설명하지 않는 기재에 관해서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한다.
도 51은 현상 롤러(13)가 감광 드럼(10)에 접촉하고 있을 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1(a)는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170)와, 그것을 지지하는 구동측 현상 베어링(236)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1(b)는 비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2)와, 그것을 지지하는 비구동측 현상 베어링(246)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현상 롤러(13)의 회전 축선의 방향에 관하여 타단부인 구동측에는,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170)가 구동측 현상 베어링(236)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러나, 실시예 1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구동측 현상 가압 스프링(71)은 설치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150)가 화살표 N7 방향으로 이동하면,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170)는 지지부(236c)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그러나, 현상 롤러(13)를 감광 드럼(10)에 대해 압압하는 힘을,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170)의 작용으로 구동측 현상 베어링(236)에 부여할 수 없다. 그러나, 구동측에서는, 실시예 5와 같이, 커플링 부재(180)가 구동력을 받음으로써 현상 롤러(13)를 감광체 드럼(10)에 대해 접촉시키는 방향의 모멘트를 받는다. 이 때문에, 이 모멘트에 의해 현상 롤러(13)를 감광체 드럼(10)에 압접시킬 수 있다.
한편, 현상 롤러(13)의 회전 축선의 방향에 관하여 타단부인 비구동측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비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2)가 설치되어 있다. 비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2)의 제1 접촉면(72a)이 N7 방향으로 이동하는 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151)에 압압되어 회동함으로써 비구동측 현상 가압 스프링(73)을 압압하고, 현상 롤러(13)를 감광 드럼(10)에 대해 압압한다.
도 52는 현상 롤러(13)가 감광 드럼(10)으로부터 이격하고 있을 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150)가 화살표 N8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170)와 구동측 베어링 부재(236)의 규제부(236b)가 접촉한다. 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150)가 화살표 N8 방향으로 더 이동함으로써,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170)의 피이격부(170g)를 압압하고 현상 카트리지(B1)를 이동시켜, 현상 롤러(13)를 감광 드럼(10)으로부터 이격시킨다.
또한,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170)가 구동측 베어링 부재(236)에 대하여 고정된 구성이나 구동측 베어링 부재(236)에 피이격부(170g)에 상당하는 부분을 일체적으로 설치해도 좋다.
한편, 비구동측에는, 실시예 1에서 나타낸 비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2)의 규제부(46e)를 가지고 있지 않다. 그 때문에, 비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151)가 화살표 N8 방향으로 이동하였다 하더라도 비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2)는 지지부(246f)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동할뿐, 현상 롤러(13)를 감광 드럼(10)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작용은 없다. 이 때, 비구동측 현상 가압 스프링(73)은 자연 길이로 되어 있다. 이 때 비구동측 현상 가압 스프링(73)은 비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2)로부터 떨어져 있어도 좋다.
그러나, 구동측에서는 이격을 위한 힘을 받고 있기 때문에, 구동측 베어링 부재(236)의 강성을 일정 이상으로 함으로써, 비구동측에서도 이격을 행할 수 있다. 이 이격의 때에, 현상 롤러(13)는 감광 드럼(10)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되는 형태로 이격되어도 된다. 즉, 구동측의 현상 롤러(13)는 감광 드럼(10)으로부터 크게 이격되지만, 비구동측에서는 구동측보다 작은 이격량으로 된다. 이에, 현상 롤러(13)와 감광 드럼(10)과의 사이에 필요한 이격량의 최소값 이상의 이격량이 되도록, 구동측 베어링 부재(236)의 강성을 높여 둔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카트리지(B1)의 일단부에만 현상 롤러(13)를 접촉시킬 때의 힘을 받는 제1 힘수용부(제1 접촉면(72a))가 설치되었다. 또한, 카트리지(B1)의 타단부에만 현상 롤러(13)를 이격시킬 때의 힘을 받는 제2 힘수용부(피이격부(170g))를 설치하였다. 즉, 카트리지(B1)에, 현상 롤러(13)를 접촉시킬 때의 힘과 현상 롤러(13)를 이격시킬 때의 힘이라고 하는 장치 본체로부터 다른 방향(반대 방향)의 힘을 받는 2개의 부분(제1 힘수용부, 제2 힘수용부)을 설치하였다. 나아가, 그 2개의 부분(제1 힘수용부, 제2 힘수용부)을, 현상 롤러(13)의 회전 축선의 방향에 관하여, 카트리지(B1)의 일단부, 타단부에 설치하였다.
본 실시예의 제1 힘수용부, 제2 힘수용부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 5 이외의 실시예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적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실시예 1에 비해 구동측 현상 가압 스프링(71)이 불필요하게 됨으로써 비용 절감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비구동측에서는 이격에 수반하는 현상 카트리지(B1)의 이동량이 적어도 되므로 현상 카트리지(B1)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는 비구동측 스윙 가이드(81)의 소모를 억제할 수 있다.
《실시예 7》
도 53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적용한 제7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설명하지 않는 기재에 관해서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한다.
실시예 1에서는,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 및 비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2)는 규제부(36b, 46e)와 가압 스프링(71, 73)으로 끼워진 상태로 위치가 정해지는 구성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도 53과 같이,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270)가 구동측 현상 가압 스프링(171)과 규제부(36b)와의 사이에서 위치가 정해지지 않는 구성이어도 된다(비구동측에서도 마찬가지의 구성이 가능). 이 구성에서는, 구동측 현상 가압 스프링(171)의 자유 길이가 짧은 경우에 적용할 수 있다.
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150)가 N7 방향(도 28 참조)으로 이동하는 동작으로, 이격 레버(270)는 규제부(36b)에 접촉한다. 또한, N8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작으로, 이격 레버(270)는 가압 스프링(171)을 압축한다. 여기서, 규제부(36b)는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가 현상 롤러(1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전술한 어떤 실시예에 있어서도, 본 실시예의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 8》
도 55, 56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적용한 제8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커플링 부재의 구성이 전술한 각 실시예와 다르다. 설명하지 않는 기재에 관해서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한다.
실시예 1에서는, 장치 본체(A1) 측에 클러치 기구를 설치하지 않고, 회전하고 있는 본체 구동 부재(100)에 대해 커플링 부재(180)를 결합하고, 또한 회전하고 있는 본체 구동 부재(100)로부터 커플링 부재(180)를 결합 해제할 수 있었다. 이를 위한 구체적 구성으로서, 커플링 부재(180)가 경사 가능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달성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장치 본체(A1) 측에 클러치 기구를 설치하는 일 없이, 회전하고 있는 본체 구동 부재(100)에 결합하고, 또한 결합 해제할 수 있는 커플링 구성을 설명한다.
도 55(a)는 본 실시예의 현상 카트리지(B2)에 설치되어 있는 커플링 부재(28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현상 사이드 커버(34)는 생략하고 있다. 도 55(b)는 커플링 부재(280)를 조립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커플링 부재(280)는 구동 입력 기어(127) 내에서, 커플링 부재(280)의 회전 축선 L2 방향으로 진퇴 자유롭게 구성되어 있다. 커플링 부재(280)와 구동 입력 기어(127)와의 사이에는 가압 부재(130)가 설치되고 있어, 커플링 부재(280)는 축선 L2 방향 외측으로 항상 가압되고 있다. 커플링 부재(280)에 설치된 회전력 수용부(280a1, 280a2)가 본체측 구동 부재(100)(도 8 참조)로부터 구동력을 받는다. 나아가, 회전력 전달부(280c1, 280c2)가 구동 입력 기어(127)의 회전력 피전달부(127d1, 127d2)에 구동력을 전달함으로써 현상 롤러(13)에 구동을 전달한다.
커플링 부재(280)의 선단 측에는 외원추면(280e)이 설치되어 있다. 그 부분이 본체측 구동 부재(100)(도 8 참조)의 선단면에 접촉함으로써 축선 L2 방향 내측으로 퇴피하여 본체측 구동 부재(100)와 결합한다. 또한 외원추면(280e)의 내측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원추부(280g)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본체측 구동 부재(100)의 선단면에 접촉함으로써 축선 L2 방향 내측으로 퇴피하여 본체측 구동 부재(100)로부터 이탈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해, 장치 본체(A1) 측에 클러치 기구를 설치하는 일 없이, 회전하고 있는 본체 구동 부재(100)에의 결합 및 이탈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 및 구동측 현상 가압 스프링(71)도 설치되어 있다.
도 56(a)는 본 실시예의 정면도이며, 도 56(b)는 도 56(a)의 A-A 단면도이다.
커플링 부재(280)는 가압 부재(130)에 의해 축선 L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커플링 부재(280)에 설치된 원통 외경부(280h)(미끄러짐 이동부)가, 구동측 현상 베어링(136)의 원통 내경부(피미끄러짐 이동부)(136h) 내에서 미끄러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여기서 도 5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통 외경부(280h)(미끄러짐 이동부)와 원통 내경부(피미끄러짐 이동부)(127h)는, 그 적어도 일부가 구동측 현상 가압 스프링(71)과 축선 L2 방향으로 중첩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구동측 현상 가압 스프링(71)이 발생하는 힘으로 구동측 현상 베어링(136)을 비트는 것과 같은 모멘트가 발생하고, 그것이 미끄러짐 이동부(280h, 127h)로의 변형에 영향을 주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커플링 부재(280)의 축선 L2 방향으로의 진퇴 동작을 방해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가압 부재(130)의 가압 방향 L2에 직교하는 평면 L2X를 정의하면, 구동측 현상 가압 스프링(71)의 가압 방향 L4와 평면 L2X가 이루는 각도 θ는 -45°≤θ≤+45°(-45°도 이상, +45°이하)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0°≤θ≤+10°(-10°이상, +10°이하). 가장 바람직한 것은 θ≒0°(0° 또는 실질적으로 0°)이다. 이에 의해 가압 부재(130)가 구동측 현상 가압 스프링(71)의 가압력에 주는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즉, 가압 부재(130)는 커플링 부재(280)가 본체측 구동 부재(100)로부터 구동이 전달되고 있는 동안, 항상 가압 상태에 있다. 이 때, 가압 부재(130)가 발생하는 힘 성분이 구동측 현상 가압 스프링(71)의 방향으로 그다지 작용하지 않는 쪽이 구동측 현상 가압 스프링(71)으로의 영향이 작아지게 되어, 가압력의 정밀도가 향상된다.
전술한 어떤 실시예에 있어서도, 본 실시예의 커플링 부재(280)의 구성을 적용하여, 본 실시예와 같은 가압 방향 L4, L2의 관계로 할 수 있다.
《실시예 9》
도 57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적용한 제9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규제부를 가지지 않는 점이 전술한 각 실시예와 다르다. 설명하지 않는 기재에 관해서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한다.
본 실시예의 카트리지(B1)는, 구동측 현상 베어링(436)에는 실시예 1의 규제부(36b)에 상당하는 부재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현상 롤러(13)를 감광체 드럼(10)으로부터 이격시키는 경우는 스프링(471)의 탄성력을 이용한다.
도 5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틀림 코일 스프링인 스프링(471)의 일단부는 구동측 현상 베어링(436)의 결합부(436d1, 436d2)의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구동측 현상 베어링(436)과 결합하고 있다. 한편, 스프링(471)의 타단부는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470)의 결합부(470c1, 470c2)의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470)와 결합하고 있다.
도 57(a)는 현상 롤러(13)가 도시하지 않는 감광체 드럼에 접촉하여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470)의 제1 접촉면(470a)이 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150)에 의해 N7 방향으로 압압됨으로써, 스프링(471)을 압축한 상태에서, 현상 롤러(13)가 감광체 드럼에 접촉한 상태로 된다. 이 때, 스프링(471)의 일단부는 결합부(436d1)에 부딪히고, 스프링(471)의 타단부는 결합부(470c1)에 부딪히고 있고, 결합부(470c1)를 통해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470)가 스프링(471)으로부터 가압력을 받는다. 이에 의해, 현상 롤러(13)와 감광체 드럼의 적절한 접촉압을 유지할 수 있다.
도 57(b)는 현상 롤러(13)가 감광체 드럼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470)의 피이격부(470g)가 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150)에 의해 N8 방향으로 압압됨으로써, 스프링(471)의 일단부는 결합부(436d2)에 부딪히고, 스프링(471)의 타단부는 결합부(470c2)에 부딪힌다. 이 때문에, 스프링(471)은 자유 길이보다도 늘어나는 상태로 된다. 이에 의해, 스프링(471)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구동측 현상 베어링(436)을 현상 롤러(13)가 감광체 드럼으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프링을 자유 길이보다 늘림으로써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현상 롤러를 감광체 드럼으로부터 이격시켜도 좋다.
또한, 전술한 어떤 실시예에 있어서도, 본 실시예의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그 외의 사항>
또한 전술한 각 실시예에 있어서는, 현상 카트리지(B1, B2)와 드럼 카트리지(C)가 분리된 구성이었다. 즉, 현상 장치가 현상 카트리지(B1, B2)로서 감광체 드럼(10)과는 별도로 카트리지화되고, 화상 형성 장치의 장치 본체에 대해 착탈되는 구성이었다. 그러나, 전술한 실시예는 그와 같은 구성 이외에도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현상 카트리지(B1, B2)와 드럼 카트리지(C)가 분리하지 않는 구성이어도 상기한 어떤 실시예의 구성도 적용 가능하다. 즉, 현상 카트리지(B1, B2)(현상 장치)를 드럼 카트리지(C)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여 구성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화상 형성 장치의 장치 본체에 착탈시키는 것과 같은 구성이어도 좋다. 즉,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감광체 드럼(10)과 현상 장치를 구비한다. 그리고, 이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술한 각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 가동 부재(120), 제2 가동 부재(121)를 구비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도 49는 장치 본체(A2)에 장착된 프로세스 카트리지(BC)를 현상 롤러(13)의 회전 축선의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49(a)는 현상 롤러(13)가 감광체 드럼(10)에 접촉한 상태, 도 49(b)는 현상 롤러(13)가 감광체 드럼(10)으로부터 이격한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도 49에 있어서는, 장치 본체(A2)의 일 부분으로서 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150)를 기재하고 있다. 여기서, 장치 본체(A2)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C)의 착탈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갖는 점 및 구동측 스윙 가이드(80), 비구동측 스윙 가이드(81)가 없는 점을 제외하고,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장치 본체(A1)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당연히, 장치 본체(A2)의 비구동측에는, 장치 본체(A1)와 마찬가지의 비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151)가 설치되어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C)는, 주로, 현상 프레임체로서의 구동측 현상 베어링(536)과, 감광체 지지 프레임체(521)와, 커플링 부재(180)를 갖는다. 구동측 현상 베어링(536)은 현상 롤러(13),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 및 피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2)(도시하지 않음)를 지지한다. 감광체 지지 프레임체(521)의 긴 구멍(521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보스(536a)를 구비하고 있는 점을 제외하고, 구동측 현상 베어링(536)은 전술한 실시예의 구동측 현상 베어링(36)과 마찬가지의 구성이기 때문에, 같은 부분의 상세 내용은 생략한다. 감광체 지지 프레임체(521)는 감광체 드럼(10)을 지지한다.
긴 구멍(521a)에 의해 보스(536a)가 지지됨으로써, 구동측 현상 베어링(536)은 보스(536a)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감광체 지지 프레임체(521)에 대해 회동 가능하다. 구동측 현상 베어링(536)은, 감광체 지지 프레임체(521)와의 사이에 걸쳐 놓여진 도시하지 않는 스프링에 의해, 현상 롤러(13)가 감광체 드럼(10)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가압되고 있다. 또한, 긴 구멍(521a)은 원형의 구멍이어도 좋다.
장치 본체(A2)에 프로세스 카트리지(BC)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감광체 지지 프레임체(521)가 장치 본체(A2)의 도시하지 않는 위치 결정부에서 위치 결정되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된다. 그리고, 도 4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측에 있어서, 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150)에 의해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의 제1 접촉면(70a)이 압압됨으로써, 구동측 현상 베어링(536)을 보스(536a)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에 의해, 현상 롤러(13)를 감광체 드럼(10)에 접촉시킬 수 있다.
또한, 도 4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측에 있어서, 구동측 장치 압압 부재(150)에 의해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70)의 피이격부(70g)가 압압됨으로써, 구동측 현상 베어링(536)을 보스(536a)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에 의해, 현상 롤러(13)를 감광체 드럼(10)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술한 어떤 실시예에 있어서도 현상 카트리지(B1, B2)를 프로세스 카트리지(BC)로 치환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로부터 이탈하는 일 없이,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범위로서 이하의 청구항을 첨부한다.
본원은, 2014년 11월 28일 제출된 일본특허출원 특원 제2014-242577호, 2014년 11월 28일 제출된 일본특허출원 특원 제2014-242602호, 2014년 11월 28일 제출된 일본특허출원 특원 제2014-242578호, 2014년 11월 28일 제출된 일본특허출원 특원 제2014-242601호 및 2015년 11월 27일 제출된 일본특허출원 특원 제2015-231356호를 기초로 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그 기재 내용의 전부를 여기에 원용한다.
13: 현상 롤러
16: 현상 용기
34: 현상 사이드 커버
36: 구동측 현상 베어링
46: 비구동측 현상 베어링
70: 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
71: 구동측 현상 가압 스프링
72: 비구동측 접촉 이격 레버
73: 비구동측 현상 가압 스프링
A1: 장치 본체
B1: 현상 카트리지

Claims (19)

  1. 화상 형성 장치의 장치 본체에 장착 가능한 카트리지로서, 상기 장치 본체에는 상기 카트리지로부터 분리된 감광 드럼이 장착되고,
    상기 카트리지는,
    현상제를 담지하기 위한 탄성층을 가지는 현상 롤러로서, 상기 탄성층은 상기 감광 드럼에 대해 가압될 수 있는, 현상 롤러와,
    상기 현상 롤러를 지지하는 프레임체와,
    상기 프레임체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프레임체에 대하여 제1 위치와 제2 위치로 이동 가능한 가동부와,
    상기 프레임체와 상기 가동부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가동부를 가압하는 탄성부
    를 구비하며,
    상기 가동부는,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의 제1 외력을 상기 장치 본체로부터 받도록 구성된 제1 힘수용부와,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의 제2 외력을 상기 장치 본체로부터 받도록 구성된 제2 힘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동부가 상기 장치 본체로부터 상기 제1 힘수용부에서 상기 제1 외력을 받아서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가동부는, 상기 가동부를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 이동시키는 방향의 가압력을 상기 탄성부로부터 받고,
    상기 제1 힘수용부는,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가동부가 상기 제2 위치에 있고 상기 탄성층이 상기 가동부와 상기 프레임체를 통해 상기 감광 드럼에 대해 가압되도록, 상기 장치 본체로부터 상기 제1 외력을 받으며,
    상기 제2 힘수용부는,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가동부가 상기 제1 위치에 있고 상기 탄성층이 상기 감광 드럼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장치 본체로부터 상기 제2 외력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체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가동부에 접촉하는 규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카트리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가 상기 제1 힘수용부에서 힘을 받고 있지 않을 때, 상기 가동부는 상기 탄성부로부터 상기 가압력을 받아서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규제부에 부딪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의 입력을 받도록 구성된 구동 입력 부재를 갖고,
    상기 현상 롤러의 회전 축선 방향으로 보았을 때, 상기 현상 롤러의 회전 중심과 상기 구동 입력 부재의 회전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에 평행한 제1 방향에 대하여, 상기 현상 롤러는 상기 프레임체의 일단 측에 배치되고, 상기 가동부의 상기 제1 힘수용부는 상기 프레임체의 타단 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체는 상기 장치 본체의 내부를 통해 반송되는 기록 매체에 접촉 가능한 기록 매체 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현상 롤러의 상기 회전 축선 방향으로 보았을 때, 상기 제1 방향에 대하여, 상기 기록 매체 접촉부가 상기 가동부의 상기 제1 힘수용부보다 상기 현상 롤러에 가깝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는 상기 프레임체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피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롤러의 회전 축선 방향으로 보았을 때, 상기 피지지부와 상기 가동부의 상기 탄성부로부터의 가압력을 받도록 구성된 부분과의 사이의 거리는, 상기 피지지부와 상기 제1 힘수용부와의 사이의 거리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체는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수용부를 갖고,
    상기 현상 롤러의 회전 축선 방향으로 보았을 때, 상기 가동부의 회전 중심은 상기 현상제 수용부와 중첩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메모리 기판과,
    상기 메모리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장치 본체에 전기적으로 접속가능하게 구성된 전극부를 갖고,
    상기 전극부의 표면은, 상기 카트리지로부터 노출되고, 상기 가동부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할 때에 상기 가동부의 상기 제1 힘수용부가 이동하는 이동 방향과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와는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체에 의해 지지된 다른 가동부와,
    상기 프레임체와 상기 다른 가동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다른 가동부를 가압하는 다른 탄성부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의 입력을 받도록 구성된 구동 입력 부재를 갖고,
    상기 현상 롤러의 회전 축선 방향에 대하여, 상기 프레임체의 상기 구동 입력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쪽에 상기 가동부가 지지되고, 상기 프레임체의 상기 구동 입력 부재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쪽에 상기 다른 가동부가 지지되고,
    상기 탄성부의 가압력은 상기 다른 탄성부의 가압력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는 상기 프레임체보다 돌출한 제1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다른 가동부는 상기 프레임체보다 돌출한 제2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롤러의 회전 축선 방향을 따라 일단 측으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프레임체로부터 노출되고, 상기 현상 롤러의 회전 축선 방향을 따라 타단 측으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프레임체로부터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14.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는 상기 회전 축선 방향과 직교하는 평면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다른 가동부는 상기 회전 축선 방향과 직교하는 다른 평면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15.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는 상기 프레임체보다 돌출한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현상 롤러 측을 향하여 굴곡한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굴곡한 부분에 상기 제2 힘수용부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 본체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가동부가 상기 제1 힘수용부에서 상기 장치 본체로부터 상기 제1 외력을 받아 상기 가동부가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현상 롤러는 상기 감광 드럼와 접촉하는 접촉 위치에 있고, 상기 가동부가 상기 제1 위치에 있고 또한 상기 가동부가 상기 제2 힘수용부에서 상기 장치 본체로부터 상기 제2 외력을 받고 있을 때, 상기 현상 롤러는 상기 감광 드럼으로부터 이격된 이격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와 상기 탄성부는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 본체에 탑재된 상태에서 상기 가동부가 상기 제2 외력을 받음으로써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탄성층을 상기 감광 드럼에 대해 가압하는 압력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는 상기 프레임체에 의해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KR1020237036356A 2014-11-28 2015-11-27 카트리지 KR2023015107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242577 2014-11-28
JP2014242601 2014-11-28
JP2014242578 2014-11-28
JPJP-P-2014-242601 2014-11-28
JP2014242577 2014-11-28
JP2014242602 2014-11-28
JPJP-P-2014-242578 2014-11-28
JPJP-P-2014-242602 2014-11-28
PCT/JP2015/083463 WO2016084951A1 (ja) 2014-11-28 2015-11-27 カートリッジ、カートリッジを構成する部材、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5231356A JP6611571B2 (ja) 2014-11-28 2015-11-27 カートリッジ、カートリッジを構成する部材、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JP-P-2015-231356 2015-11-27
KR1020227037444A KR102595331B1 (ko) 2014-11-28 2015-11-27 카트리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7444A Division KR102595331B1 (ko) 2014-11-28 2015-11-27 카트리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1078A true KR20230151078A (ko) 2023-10-31

Family

ID=56074496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4522A KR102144815B1 (ko) 2014-11-28 2015-11-27 카트리지, 카트리지를 구성하는 부재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20227037444A KR102595331B1 (ko) 2014-11-28 2015-11-27 카트리지
KR1020237036356A KR20230151078A (ko) 2014-11-28 2015-11-27 카트리지
KR1020227002378A KR102461609B1 (ko) 2014-11-28 2015-11-27 카트리지, 카트리지를 구성하는 부재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20207022921A KR102357024B1 (ko) 2014-11-28 2015-11-27 카트리지, 카트리지를 구성하는 부재 및 화상 형성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4522A KR102144815B1 (ko) 2014-11-28 2015-11-27 카트리지, 카트리지를 구성하는 부재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20227037444A KR102595331B1 (ko) 2014-11-28 2015-11-27 카트리지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2378A KR102461609B1 (ko) 2014-11-28 2015-11-27 카트리지, 카트리지를 구성하는 부재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20207022921A KR102357024B1 (ko) 2014-11-28 2015-11-27 카트리지, 카트리지를 구성하는 부재 및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8) US11131960B2 (ko)
EP (5) EP3226076B1 (ko)
KR (5) KR102144815B1 (ko)
AU (4) AU2015354534B2 (ko)
BR (4) BR122018074176B1 (ko)
CA (3) CA3212021A1 (ko)
DE (1) DE112015005353B4 (ko)
GB (2) GB2588064B (ko)
MX (2) MX2017006905A (ko)
RU (1) RU2768235C2 (ko)
SG (1) SG11201704295TA (ko)
TW (2) TWI833467B (ko)
WO (1) WO20160849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76749B2 (ja) * 2013-12-06 2018-08-2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DE112015005353B4 (de) 2014-11-28 2022-02-03 Canon Kabushiki Kaisha Kartusche
TW202328831A (zh) 2016-03-04 2023-07-16 日商佳能股份有限公司 匣及影像形成裝置
CN106886142B (zh) * 2017-01-25 2020-07-03 珠海赛纳打印科技股份有限公司 处理盒及图像形成装置
JP6855284B2 (ja) 2017-03-03 2021-04-07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7027741B2 (ja) * 2017-09-11 2022-03-0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944842B2 (ja) * 2017-09-14 2021-10-06 株式会社東芝 画像形成装置
JP6971959B2 (ja) 2017-12-13 2021-11-24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7146410B2 (ja) 2018-02-21 2022-10-04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およ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7047541B2 (ja) * 2018-03-30 2022-04-0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
WO2019222218A1 (en) * 2018-05-14 2019-11-21 Clover Technologies Group, Llc Imaging cartridge with shiftable imaging components
JP7366599B2 (ja) 2018-06-25 2023-10-23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JP7218178B2 (ja) 2018-12-28 2023-02-06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MA55384A (fr) 2019-03-18 2022-01-26 Canon Kk Dispositif de formation d'image électrophotographique et cartouche
AU2020246265B2 (en) * 2019-03-26 2022-11-03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Drum cartridge and developing cartridge
US10921731B2 (en) 2019-03-26 2021-02-16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Developing cartridge
JP2020160223A (ja) 2019-03-26 2020-10-0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
JP7306009B2 (ja) 2019-03-26 2023-07-1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
JP7331411B2 (ja) * 2019-03-28 2023-08-2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
MA56211A (fr) 2019-06-12 2022-04-20 Canon Kk Cartouche, accessoire et kit de montage
WO2021029335A1 (ja) 2019-08-09 2021-02-18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容器
JP2021196458A (ja) * 2020-06-12 2021-12-2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WO2022124422A1 (ja) 2020-12-07 2022-06-16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容器、画像形成システム
JP2024002823A (ja) * 2022-06-24 2024-01-11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26541A (ja) 2005-12-27 2010-02-04 Brother Ind Ltd 現像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1039564A (ja) 2010-11-25 2011-02-24 Brother Industries Ltd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0141B2 (ja) 1991-04-08 2001-08-2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に着脱自在な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US5331373A (en) 1992-03-13 1994-07-19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mountable within it and method for attaching photosensitive drum to process cartridge
JP3352155B2 (ja) 1992-06-30 2002-12-03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5966566A (en) 1993-03-24 1999-10-12 Canon Kabushiki Kaisha Recycle method for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H07319362A (ja) 1994-05-19 1995-12-08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H10228222A (ja) 1997-02-17 1998-08-25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689552B2 (ja) 1997-04-07 2005-08-31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フレーム、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445124B2 (ja) 1997-10-23 2003-09-0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3437424B2 (ja) 1997-10-27 2003-08-18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290619B2 (ja) 1997-11-20 2002-06-1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H11161131A (ja) 1997-11-29 1999-06-18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H11296051A (ja) 1998-04-08 1999-10-29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3768710B2 (ja) 1999-01-28 2006-04-19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0347492A (ja) 1999-06-09 2000-12-15 Canon Inc 現像剤補給装置、現像装置及びこの現像装置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3188440B1 (ja) * 2000-03-07 2001-07-16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
JP3188441B1 (ja) 2000-05-01 2001-07-16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
JP3432208B2 (ja) 2000-11-17 2003-08-0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カートリッジ装着方法
JP4612771B2 (ja) 2000-11-28 2011-01-12 キヤノン株式会社 端部部材、現像剤収納部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2278415A (ja) 2001-03-16 2002-09-27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681762B2 (ja) 2001-06-18 2011-05-11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US6922534B2 (en) 2001-12-28 2005-07-26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electrical connection for memory
DE60228673D1 (de) * 2001-12-28 2008-10-16 Canon Kk Prozesskassette und elektrophotographisches Bilderzeugungsgerät
JP2003307992A (ja) 2002-04-17 2003-10-31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3307993A (ja) 2002-04-17 2003-10-31 Canon Inc 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809402B2 (ja) * 2002-05-17 2006-08-16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AU2003270783C1 (en) 2002-09-20 2010-05-20 Merck Sharp & Dohme Corp. Octahydro-2-H-naphtho[1,2-F] indole-4-carboxamide derivatives as selective glucocorticoid receptor modulators
JP4018517B2 (ja) 2002-11-29 2007-12-05 キヤノン株式会社 部品
KR100814425B1 (ko) * 2003-02-20 2008-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형성장치
US7190921B2 (en) 2003-07-31 2007-03-13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Developing cartridge, photosensitive member cartridge, process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344992B2 (ja) 2003-07-31 2009-10-1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3970217B2 (ja) 2003-08-29 2007-09-05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7935862B2 (en) * 2003-12-02 2011-05-03 Syngenta Participations Ag Targeted integration and stacking of DNA through homologous recombination
JP4387933B2 (ja) * 2003-12-09 2009-12-2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387932B2 (ja) * 2003-12-09 2009-12-2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950892B2 (ja) 2004-01-30 2007-08-01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314150B2 (ja) 2004-05-14 2009-08-12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3970274B2 (ja) 2004-03-31 2007-09-05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5316192A (ja) 2004-04-28 2005-11-10 Canon Inc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20060008289A1 (en) 2004-07-06 2006-01-12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cess cartridge
JP4617122B2 (ja) 2004-09-08 2011-01-19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搬送部材、現像装置、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3950883B2 (ja) 2004-10-06 2007-08-01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348632B2 (ja) * 2005-02-28 2009-10-2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現像カートリッジ
KR101556871B1 (ko) 2005-03-04 2015-10-01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현상제 공급 용기
JP4681946B2 (ja) 2005-05-27 2011-05-1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WO2006132259A1 (ja) * 2005-06-07 2006-12-14 Ricoh Company, Limited トナー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4280770B2 (ja) 2006-01-11 2009-06-1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7860428B2 (en) 2006-05-16 2010-12-28 Fuji Xerox Co., Ltd. Detachable holding portions in an image forming apparatus
US7660550B2 (en) 2006-12-11 2010-02-09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498407B2 (ja) * 2006-12-22 2010-07-0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ユニット
JP4280772B2 (ja) * 2006-12-28 2009-06-1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8005392B2 (en) * 2007-02-20 2011-08-23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device with pressing members, process cartridge, and developer cartridge
EP1965272B1 (en) * 2007-02-28 2014-11-19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Cartridge comprising an engagement gear and a rotation body
JP5311854B2 (ja) 2007-03-23 2013-10-09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現像装置、及び、カップリング部材
JP5125172B2 (ja) 2007-03-28 2013-01-2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現像カートリッジ
JP2009003174A (ja) 2007-06-21 2009-01-08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現像カートリッジおよび感光体ユニット
JP4458378B2 (ja) * 2007-06-29 2010-04-2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458377B2 (ja) 2007-06-29 2010-04-2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7983590B2 (en) * 2007-10-02 2011-07-19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Developer cartridge and developing unit having shutter for controlling supply of developer therebetween
JP4919085B2 (ja) * 2007-12-28 2012-04-1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A2628359A1 (en) 2008-04-04 2009-10-04 Tyler Matys Segmental retaining wall blocks designed for curved or straight alignment
JP5219626B2 (ja) 2008-05-27 2013-06-26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4869289B2 (ja) 2008-05-27 2012-02-0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839337B2 (ja) 2008-05-27 2011-12-21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JP5288900B2 (ja) * 2008-06-20 2013-09-1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168647B2 (ja) 2008-07-11 2013-03-21 株式会社リコー 引き込み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506236B2 (ja) * 2009-04-30 2014-05-28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428846B2 (ja) 2009-12-24 2014-02-2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US8650760B2 (en) 2009-12-30 2014-02-18 Guy A. Van Alstine Heated cutting blade, cutting head, and blade mounting structure
BR112012018468B1 (pt) 2010-01-28 2021-06-29 Ninestar Corporation Cartucho de processamento
US9488958B2 (en) 2010-01-28 2016-11-08 Zhuhai Seine Technology Co., Ltd. Process cartridge having a driving force receiver
JP2011186447A (ja) 2010-02-15 2011-09-22 Canon Inc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5517732B2 (ja) 2010-05-11 2014-06-1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5106656B2 (ja) 2010-06-22 2012-12-26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5094998B2 (ja) 2010-09-06 2012-12-1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696451B2 (ja) * 2010-11-30 2015-04-0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5899709B2 (ja) * 2011-08-30 2016-04-0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312559B2 (ja) 2010-12-28 2013-10-09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容器、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2226549A (ja) 2011-04-19 2012-11-15 Canon Inc 印刷制御装置及び印刷制御方法
JP5792989B2 (ja) * 2011-04-25 2015-10-1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CN103930835B (zh) 2011-11-09 2018-05-18 佳能株式会社 包括电极的盒
KR101848393B1 (ko) 2011-11-18 2018-04-13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동력전달구조
JP5771797B2 (ja) 2011-11-29 2015-09-02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TWI640849B (zh) * 2011-12-06 2018-11-11 日商佳能股份有限公司 旋轉力傳達單元
JP2013200493A (ja) * 2012-03-26 2013-10-03 Canon Inc カートリッジ
CN110333649B (zh) 2012-06-15 2022-06-17 佳能株式会社 处理盒
CN103576524B (zh) 2012-08-04 2016-04-27 珠海艾派克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处理盒
JP6202911B2 (ja) 2012-09-07 2017-09-2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5980064B2 (ja) 2012-09-13 2016-08-3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の製造方法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製造方法
JP6056407B2 (ja) 2012-11-20 2017-01-1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9377714B2 (en) 2012-12-14 2016-06-28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er accommodating unit with frames for accommodating a developer accommodating member
JP2014119592A (ja) * 2012-12-17 2014-06-30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EP2759891B1 (en) 2013-01-24 2017-03-29 S-Printing Solution Co., Lt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evelopment cartridge
JP6160126B2 (ja) 2013-03-04 2017-07-1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
JP6149467B2 (ja) 2013-03-29 2017-06-2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JP6282149B2 (ja) 2013-06-05 2018-02-2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納ユニット及び現像装置並びに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
CN203365931U (zh) 2013-06-28 2013-12-25 珠海赛纳打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显影盒以及包含该种显影盒的处理盒
WO2015043339A1 (zh) 2013-09-29 2015-04-02 珠海赛纳打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旋转力驱动组件以及处理盒
US9740163B2 (en) 2013-09-29 2017-08-22 Ninestar Corporation Rotational force driving assembly process cartridge
JP6376749B2 (ja) 2013-12-06 2018-08-2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CN104698798B (zh) 2013-12-10 2019-06-21 纳思达股份有限公司 一种图像形成装置用处理盒及其安装和拆卸方法
CN104730896B (zh) 2013-12-24 2022-05-06 纳思达股份有限公司 一种处理盒及与之匹配使用的图像形成装置
JP6292077B2 (ja) * 2014-03-06 2018-03-14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端部部材、感光体ドラムユニット、現像ローラユニット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6376782B2 (ja) 2014-03-10 2018-08-22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CN203930340U (zh) 2014-06-03 2014-11-05 珠海赛纳打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处理盒
JP6404004B2 (ja) 2014-06-11 2018-10-10 三菱マヒンドラ農機株式会社 汎用コンバイン
JP6584138B2 (ja) 2014-06-17 2019-10-02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415199B2 (ja) 2014-09-10 2018-10-3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CN204287742U (zh) 2014-11-20 2015-04-22 珠海赛纳打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处理盒
CN112255902B (zh) 2014-11-28 2023-10-27 佳能株式会社 盒和电子照相成像装置
DE112015005353B4 (de) 2014-11-28 2022-02-03 Canon Kabushiki Kaisha Kartusche
JP6873604B2 (ja) 2015-06-05 2021-05-19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TW202328831A (zh) 2016-03-04 2023-07-16 日商佳能股份有限公司 匣及影像形成裝置
JP6855284B2 (ja) 2017-03-03 2021-04-07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26541A (ja) 2005-12-27 2010-02-04 Brother Ind Ltd 現像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1039564A (ja) 2010-11-25 2011-02-24 Brother Industries Ltd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261927A1 (en) 2017-09-14
RU2020122055A (ru) 2022-01-04
US11693355B2 (en) 2023-07-04
KR102357024B1 (ko) 2022-02-08
EP3226076A1 (en) 2017-10-04
US11698601B2 (en) 2023-07-11
WO2016084951A1 (ja) 2016-06-02
KR20220146719A (ko) 2022-11-01
EP3936943A1 (en) 2022-01-12
CA3176933A1 (en) 2016-06-02
GB2549026B (en) 2021-06-23
US20200249623A1 (en) 2020-08-06
TW201621483A (zh) 2016-06-16
MX2017006905A (es) 2017-08-15
TW202314408A (zh) 2023-04-01
EP3761121B1 (en) 2023-01-11
EP3936943B1 (en) 2024-01-10
GB2588064A (en) 2021-04-14
DE112015005353T5 (de) 2017-08-17
US11314199B2 (en) 2022-04-26
TWI833467B (zh) 2024-02-21
EP3226076B1 (en) 2020-08-05
RU2020122055A3 (ko) 2022-01-04
KR20220015514A (ko) 2022-02-08
BR122018074174B1 (pt) 2023-12-19
US20220197211A1 (en) 2022-06-23
AU2019201935A1 (en) 2019-04-11
US10386786B2 (en) 2019-08-20
TWI588627B (zh) 2017-06-21
CA3212021A1 (en) 2016-06-02
SG11201704295TA (en) 2017-06-29
KR102144815B1 (ko) 2020-08-14
BR122018074172B1 (pt) 2023-11-07
EP3951509B1 (en) 2024-05-15
AU2020289742B2 (en) 2023-02-23
BR122018074176B1 (pt) 2023-10-17
EP3936944B1 (en) 2024-05-15
GB202100195D0 (en) 2021-02-24
US20240142913A1 (en) 2024-05-02
GB201710248D0 (en) 2017-08-09
KR102461609B1 (ko) 2022-10-31
AU2023200570A1 (en) 2023-03-09
EP3226076A4 (en) 2018-05-09
EP3951509A1 (en) 2022-02-09
US11131960B2 (en) 2021-09-28
AU2019201935B2 (en) 2021-01-14
US20210263467A1 (en) 2021-08-26
KR20170094162A (ko) 2017-08-17
US20180321637A1 (en) 2018-11-08
AU2015354534B2 (en) 2018-12-20
GB2588064B (en) 2021-06-30
MX2020004579A (es) 2020-08-24
GB2549026A (en) 2017-10-04
DE112015005353B4 (de) 2022-02-03
US11307529B2 (en) 2022-04-19
US20200142353A1 (en) 2020-05-07
RU2768235C2 (ru) 2022-03-23
KR102595331B1 (ko) 2023-10-26
AU2020289742A1 (en) 2021-01-21
AU2015354534A1 (en) 2017-06-22
BR122018074173B1 (pt) 2023-12-19
EP3761121A1 (en) 2021-01-06
KR20200097814A (ko) 2020-08-19
EP3936944A1 (en) 2022-01-12
US20230297024A1 (en) 2023-09-21
CA2969088A1 (en) 2016-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5331B1 (ko) 카트리지
JP6786575B2 (ja) カートリッジ、カートリッジを構成する部材、および画像形成装置
CN118050968A (zh) 盒、构成盒的构件和成像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