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4084A - 바이브레이션 장치, 바이브레이션 방법 및 진동 투입 장치 - Google Patents

바이브레이션 장치, 바이브레이션 방법 및 진동 투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4084A
KR20210134084A KR1020217035367A KR20217035367A KR20210134084A KR 20210134084 A KR20210134084 A KR 20210134084A KR 1020217035367 A KR1020217035367 A KR 1020217035367A KR 20217035367 A KR20217035367 A KR 20217035367A KR 20210134084 A KR20210134084 A KR 202101340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vibration
vibrator
vibrates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5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6310B1 (ko
Inventor
마사토 후루하타
Original Assignee
마이크로·텍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이크로·텍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마이크로·텍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34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40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6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63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08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08Machines
    • B41F15/0804Machines for printing sheets
    • B41F15/0813Machines for printing sheets with flat screens
    • B41F15/0818Machines for printing sheets with flat screens with a stationary screen and a moving squeege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18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wherein the vibrator is actuated by pressure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08Machines
    • B41F15/12Machine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for drying print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14Details
    • B41F15/34Screens, Frames; Holders therefor
    • B41F15/36Screens, Frames; Holders therefor fl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14Details
    • B41F15/40Inking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14Details
    • B41F15/40Inking units
    • B41F15/42Inking units comprising squeegees or do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14Details
    • B41F15/40Inking units
    • B41F15/42Inking units comprising squeegees or doctors
    • B41F15/423Driving means for reciprocating squeege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Screen Printers (AREA)
  • Manufacturing Of Printed Wiring (AREA)

Abstract

바이브레이션 장치(100)는, 플레이트(20)와 상기 플레이트(20)의 주위를 고정한 베이스(10)와, 상기 플레이트(20)의 복수의 사이드를 진동시키는 바이브레이션 유닛(40)과, 상기 바이브레이션 유닛(40)의 진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80)를 구비한다. 상기 바이브레이션 유닛(40)은, 상기 플레이트(20)의 사이드(23)를 상하로 진동시켜, 상기 플레이트(20)의 사이드(23)에 진행파를 동시에 동일한 진폭, 동일한 파장, 또한 동일한 주파수로 발생시켜, 상기 플레이트(20)를 정상파로 진동시킨다.

Description

바이브레이션 장치, 바이브레이션 방법 및 진동 투입 장치{VIBRATION DEVICE, VIBRATION METHOD, AND VIBRATION TRANSFER DEVICE}
본 발명은, 플레이트를 진동시키는 바이브레이션 장치, 스크린 인쇄 장치, 진동 투입 장치 및 머티어리얼 핸들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플레이트를 진동시켜, 워크를 가공하는 가공 장치가 존재한다.
또한, 페이스트 혹은 스퀴지를 진동시켜, 워크에 인쇄하는 스크린 인쇄 장치가 존재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7-9426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08-19770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09-28391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10-058647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0-149301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3-22053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7-216372호 공보 일본 특허 제5746637호 공보
종래의 가공 장치에도, 플레이트를 상하 방향으로 진동시키는 것이 있지만, 그 상하 방향의 진동과 함께 전후 좌우 방향으로의 진동도 발생해 버릴 가능성이 있다.
또한, 스크린 인쇄 장치에 있어서는 홀 플러깅 인쇄 시에, 구멍에 들어가는 페이스트의 양이 변동되어, 페이스트가 구멍에 일정량 충전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플레이트를 상하 방향으로 진동시키고 전후 좌우 방향으로는 진동시키지 않는 바이브레이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는, 플레이트를 상하 전후 좌우의 임의의 방향으로 진동시키는 바이브레이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이브레이션 장치의 구성
· 플레이트
· 상기 플레이트의 주위를 고정한 베이스
· 상기 플레이트의 복수의 사이드를 진동시키는 바이브레이션 유닛
· 상기 바이브레이션 유닛의 진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상기 넷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플레이트의 주위가 베이스에 고정된 상태에서, 바이브레이션 유닛이 플레이트의 복수의 사이드로부터 동일한 주파수의 진행파를 플레이트에 부여함으로써, 플레이트는 정상파에 의해 진동한다. 플레이트는 정상파의 진동 작용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진동하지만 전후 좌우 방향으로는 진동하지 않는다.
도 1은 실시 형태 1의 바이브레이션 장치(100)의 사시도다.
도 2는 실시 형태 1의 도 1의 바이브레이션 장치(100)의 A-A 단면도이다.
도 3은 실시 형태 1의 바이브레이션 방법의 설명도다.
도 4는 진동 측정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0.2㎫의 공기압에 의한 플레이트(20)의 상하 진동의 분포도다.
도 6은 0.3㎫의 공기압에 의한 플레이트(20)의 상하 진동의 분포도다.
도 7은 0.4㎫의 공기압에 의한 플레이트(20)의 상하 진동의 분포도다.
도 8은 0.5㎫의 공기압에 의한 플레이트(20)의 상하 진동의 분포도다.
도 9는 수평 방향의 진동 분포도다.
도 10은 편측 진동의 비교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편측 진동의 분포도다.
도 12는 횡방향 양측 진동의 비교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횡방향 양측 진동의 상하 진동의 분포도다.
도 14는 실시 형태 1의 바이브레이션 장치(100)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실시 형태 1의 바이브레이션 장치(100)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실시 형태 1의 바이브레이션 장치(100)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실시 형태 1의 바이브레이션 장치(100)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실시 형태 1의 바이브레이션 장치(100)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실시 형태 1의 바이브레이션 장치(100)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0은 실시 형태 1의 바이브레이션 장치(100)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실시 형태 2의 스크린 인쇄 장치(200)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2는 실시 형태 3의 전단 장치(300)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3은 실시 형태 4의 펀칭 장치(400)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4는 실시 형태 5의 진동 투입 장치(500)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5는 실시 형태 5의 진동 투입 장치(500)의 진동 설명도다.
도 26은 실시 형태 5의 진동 투입 장치(500)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7은 실시 형태 5의 진동 투입 장치(500)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8은 실시 형태 5의 진동 투입 장치(500)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9는 실시 형태 5의 진동 투입 장치(500)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0은 실시 형태 5의 진동 투입 장치(500)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1은 실시 형태 6의 디스트리뷰터(47)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2는 실시 형태 7의 플레이트(20)와 바이브레이션 유닛(40)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3은 실시 형태 7의 플레이트(20)의 평면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4는 실시 형태 7의 플레이트(20)의 도 1의 A-A 단면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실시 형태 1.
도 1은, 실시 형태 1의 바이브레이션 장치(100)의 사시도다.
도 2는, 실시 형태 1의 도 1의 바이브레이션 장치(100)의 A-A 단면도이다.
도 1에 있어서, X는 전후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도 1과 도 2에 있어서, Y는 좌우 방향을 나타내고, Z는 상하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바이브레이션 장치(100)의 구성>>>
바이브레이션 장치(100)는, 베이스(10)와 플레이트(20)와 바이브레이션 유닛(40)과 컨트롤러(80)를 갖는다.
<<<베이스(10)의 설명>>>
베이스(10)는, 상부가 개구된 상자형 형상을 이루고 있다.
베이스(10)는, 상면(11)과 저면(12)과 벽(13)을 갖는다.
베이스(10)는, 중앙에 공간(14)을 갖는다.
상면(11)은, 벽(13)의 천장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중앙에 개구를 갖는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있다.
저면(12)은,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있다.
벽(13)은, 저면(12)의 주위로부터 세워 설치되어 있는 베이스(10)의 측벽이다.
공간(14)은, 저면(12)과 벽(13)에 둘러싸인 육면체의 공간이다.
<<<플레이트(20)의 설명>>>
플레이트(20)는, 음파를 통과시키기 쉬운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고, 금속이 적합하다.
플레이트(20)의 재질은, 알루미늄, 티타늄, 스테인리스강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알루미늄, 티타늄이 적합하고, 알루미늄이 가장 적합하다.
플레이트(20)는, 직사각형인 것이 바람직하고, 정사각형이 적합하다.
플레이트(20)는, 표면(21)과 이면(22)과 4개의 사이드(23)를 갖는다.
표면(21)과 이면(22)은, 동일 형상의 평행한 직사각형 평면이다.
사이드(23)는, 플레이트(20)의 표면(21)과 이면(22) 사이에 있는 면이다.
사이드(23)는, 플레이트(20)의 표면(21)과 이면(22)에 대하여 직교하는 평면이다.
플레이트(20)는, 주위에 복수의 나사 구멍(24)을 갖는다.
나사 구멍(24)은, 플레이트(20)의 코너와 각 변의 중앙에, 총 8개 마련되어 있다.
플레이트(20)는, 나사 구멍(24)에 삽입된 나사(25)에 의해 베이스(10)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다.
이하, 나사 구멍(24)의 위치를 고정 개소라고 한다.
플레이트(20)는, 플레이트(20)의 주위에 마련된 고정 개소에 있어서 베이스(10)에 고정되어 있다.
<<<바이브레이션 유닛(40)의 설명>>>
바이브레이션 유닛(40)은, 복수의 바이브레이터를 갖고, 플레이트(20)의 복수의 사이드(23)를 동일 주파수로 진동시킨다.
바이브레이션 유닛(40)은, 플레이트(20)가 대향하는 사이드를 상하로 진동시킨다.
바이브레이션 유닛(40)은, 바이브레이터(41)와 바이브레이터(42)의 2개의 바이브레이터를 갖는다.
바이브레이션 유닛(40)은, 나사 구멍(24)이 있는 고정 개소의 외측을 상하로 진동시킨다.
바이브레이터(41)와 바이브레이터(42)의 2개의 바이브레이터는, 사양이 동일한 바이브레이터이다.
바이브레이터(41)와 바이브레이터(42)의 2개의 바이브레이터는, 에어 압력에 의해 구동하는 바이브레이터이다.
에어 압력에 의해 구동하는 바이브레이터로서, 이하의 바이브레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1) 터빈 바이브레이터
(2) 롤러 바이브레이터
(3) 볼 바이브레이터
(4) 피스톤 바이브레이터
상기 (1), (2), (3)의 바이브레이터는, 소음이 적고, 고속으로 동작할 수 있다.
특히, 동작이 안정되어 있는 터빈 바이브레이터가 최적이다.
피스톤 바이브레이터는, 소음이 크고, 동작이 느리다는 과제가 있다.
바이브레이션 유닛(40)은, 디스트리뷰터(47)를 갖는다.
디스트리뷰터(47)는, 바이브레이터(41) 및 바이브레이터(42)의 진동을 플레이트(20)의 사이드(23)에 전달한다.
디스트리뷰터(47)는, 바이브레이터(41) 및 바이브레이터(42)를 플레이트(20)의 사이드(23)에 고정한다.
디스트리뷰터(47)는, L자형으로 절곡된 금속 부재이다.
디스트리뷰터(47)는, 수평부(48)와 수직부(49)를 갖는다.
수평부(48)는, 바이브레이터(41) 또는 바이브레이터(42)의 천장면을 고정하고 있다.
수평부(48)는, 바이브레이터(41)와 바이브레이터(42)의 회전이 서로 역전하도록 바이브레이터(41) 또는 바이브레이터(42)를 고정하고 있다.
도 2에서는, 바이브레이터(41)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바이브레이터(42)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수직부(49)는, 사이드(23)의 상하 폭 이하의 상하 폭을 갖고, 사이드(23)에 고정되어 있다.
디스트리뷰터(47)는, 바이브레이터(41) 및 바이브레이터(42)의 천장면의 전후 방향의 폭보다도 큰 전후 폭을 갖는다.
디스트리뷰터(47)의 전후 방향의 폭은, 바이브레이터(41) 및 바이브레이터(42)의 천장면의 전후 방향의 폭의 2배 초과 10배 미만이어도 되고, 5배가 바람직하다.
디스트리뷰터(47)는, 플레이트(20)의 전후 방향의 폭의 2분의 1보다 작고 8분의 1보다 큰 전후 폭을 갖고, 5분의 1이 바람직하다.
디스트리뷰터(47)는, 바이브레이터(41) 및 바이브레이터(42)의 진동을 플레이트(20)의 사이드(23)의 넓은 범위에 전달한다.
<<<컨트롤러(80)의 설명>>>
컨트롤러(80)는, 바이브레이션 유닛(40)의 진동을 제어한다.
컨트롤러(80)는, 바이브레이터를 10㎐ 이상 800㎐ 이하의 주파수로 진동시킨다.
컨트롤러(80)는, 복수의 바이브레이터를 동일 주파수로 진동시킨다.
컨트롤러(80)는, 공기 압축기(81)와 에어 파이프(82)와 레귤레이터(83)와 프로세서(84)를 갖는다.
공기 압축기(81)는, 압축 에어를 생성한다.
에어 파이프(82)는, 공기 압축기(81)에 접속되어 있고, 압축 에어를 흐르게 한다.
에어 파이프(82)는, 도중에 Y자형으로 분기하여 바이브레이터(41)와 바이브레이터(42)에 접속되어 있다.
레귤레이터(83)는, 압축 에어의 압력을 제어하는 제어 디바이스이다.
레귤레이터(83)는, 압축 에어의 압력을 제어함으로써, 바이브레이터(41)와 바이브레이터(42)의 진동 주파수를 결정한다.
프로세서(84)는, 중앙 처리 장치와 프로그램을 갖는다.
프로세서(84)는, 인테그레이티드 서킷, 서킷 보드 등으로 실현할 수 있다.
프로세서(84)는, 바이브레이션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84)는, 공기 압축기(81)에 접속되어, 공기 압축기(81)의 온 오프 동작 및 동작 시간을 제어한다.
<<<바이브레이션 방법의 설명>>>
바이브레이션 장치(100)의 바이브레이션 방법을 설명한다.
<초기 설정 스텝>
플레이트(20)의 주위가, 나사(25)에 의해 베이스(10)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작업원은, 바이브레이션 장치(100)의 전원 스위치를 온으로 한다.
작업원은, 압축 에어의 압력과, 바이브레이터(41) 및 바이브레이터(42)의 진동 주파수의 대응표를 갖고 있다.
작업원은, 대응표를 참조하여, 레귤레이터(83)에 의해, 바이브레이터(41) 및 바이브레이터(42)의 진동 주파수에 대응한 압축 에어의 압력을 설정한다.
작업원은, 10㎐ 이상 800㎐ 이하의 어느 가청역 주파수에 대응한 압력을 설정한다.
<진행파 발생 스텝>
에어 파이프(82)는, Y자형으로 분기하여 바이브레이터(41)와 바이브레이터(42)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바이브레이터(41)와 바이브레이터(42)에 동일압의 에어가 공급된다. 그 결과, 바이브레이터(41)와 바이브레이터(42)는, 동일 주파수로 상하로 진동한다.
바이브레이터(41)와 바이브레이터(42)의 진동 주파수는, 가청역 주파수가 적합하다.
바이브레이터(41)와 바이브레이터(42)는, 플레이트(20)의 좌우 사이드(23)에 고정되어 있고, 플레이트(20)의 좌우의 사이드(23)에 사인파의 진행파(60)를 부여한다.
바이브레이터(41)와 바이브레이터(42)는, 진행파(60)를 동시에 동일한 진폭, 동일한 파장, 또한 동일한 주파수로 발생시킨다.
<정상파 발생 스텝>
진행파(60)를 동시에 동일한 진폭, 동일한 파장, 또한 동일한 주파수로, 역방향으로 발생시키면, 플레이트(20)에서는 좌우로부터의 진행파(60)가 중첩되어 정상파(70)가 발생한다.
정상파란, 시간이 경과해도 위상이 이동되지 않는 파이다.
플레이트(20)는 정상파(70)에 의해 바이브레이터(41)와 바이브레이터(42)와 동일한 진동 주파수로 상하로 진동한다.
<동기화 스텝>
가령, 바이브레이터(41)와 바이브레이터(42)의 위상이 어긋난 비동기 상태에서 진동이 개시되어도, 동기 현상에 의해 바이브레이터(41)와 바이브레이터(42)의 위상은 단시간에 일치되고, 바이브레이터(41)와 바이브레이터(42)의 진동은 동기 상태로 되어 곧 정상파의 진동으로 이행한다.
<상하 진동 스텝>
이하, 도 3을 사용하여, 바이브레이션 방법에 의한 상하 진동을 설명한다.
도 3은, 플레이트(20)의 좌우 방향의 중심의 전후 방향으로 본 상하 진동의 모식도다.
도 3에 있어서, 지지점(26)은, 플레이트(20)의 상하 방향의 중심이면서 나사 구멍(24)의 중심인 점을 말한다.
(a) 바이브레이터(41)와 바이브레이터(42)에 의해 플레이트(20)의 사이드(23)에 하향의 힘이 가해지면, 지지점(26)을 통해, 플레이트(20)의 중앙에 상향의 힘이 발생한다.
(b) 바이브레이터(41)와 바이브레이터(42)에 의해 플레이트(20)의 사이드(23)에 더 큰 하향의 힘이 가해지면, 플레이트(20)의 중앙이 상승한다.
(c) 바이브레이터(41)와 바이브레이터(42)에 의한 플레이트(20)의 사이드(23)의 하향의 힘이 약해지면, 플레이트(20)의 중앙이 하강한다.
(d) 바이브레이터(41)와 바이브레이터(42)에 의해 플레이트(20)의 사이드(23)에 상향의 힘이 가해지면, 지지점(26)을 통해, 플레이트(20)의 중앙에 하향의 힘이 발생한다.
(e) 바이브레이터(41)와 바이브레이터(42)에 의해 플레이트(20)의 사이드(23)에 더 큰 상향의 힘이 가해지면, 플레이트(20)의 중앙이 하강한다.
(f) 바이브레이터(41)와 바이브레이터(42)에 의한 플레이트(20)의 사이드(23)의 상향의 힘이 약해지면, 플레이트(20)의 중앙이 상승한다.
<플래핑 현상>
(a) 내지 (f)를 1사이클로 하여, (a) 내지 (f)의 동작이 반복됨으로써, 플레이트(20)는, 바이브레이터(41)와 바이브레이터(42)의 진동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로 상하로 진동한다.
플레이트(20)는, 지지점(26) 사이의 좌우에서 플래핑하고 있도록 진동하므로, 이 현상을 이하, 플래핑 현상이라고 한다.
플래핑 현상이란, 플레이트(20)의 좌우 사이드에 고정한 바이브레이터에 에어를 공급함으로써 플레이트(20)가 지지점(26) 사이를 중심으로 하여 상하로 진동하는 현상이다.
플래핑 현상을 일으키기 쉽게 하기 위해서는, 바이브레이터(41) 및 바이브레이터(42)의 고정 위치와 2개의 나사 구멍(24)의 위치가 직선 상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복수의 바이브레이터는 플레이트(20)의 각각 대향하는 변의 대향하는 고정 개소를 연결한 선의 연장선에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이브레이터(41) 및 바이브레이터(42)의 고정 위치와 2개의 나사 구멍(24)의 위치가 직선 상에 있지 않고 어긋난 위치에 있어도, 플레이트(20)가 베이스(10)에 확실하게 고정되어 있으면, 플래핑 현상은 발생한다.
벽(13)의 두께가 증가하면 플래핑 현상을 방해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벽(13)의 두께는 얇은 편이 좋고, 공간(14)의 개구는 넓은 편이 좋다. 벽(13)의 두께는, 나사 구멍(24)의 직경보다는 크고 또한 나사 구멍(24)의 직경의 2배 미만이 바람직하다.
<<<구체예>>>
이하, 구체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플레이트(20)로서, 한 변이 약 0.5m인 정사각형의 알루미늄판을 사용한다.
알루미늄의 음속 V를 6320[m/s]로 한다. 단, 알루미늄의 온도는 일정하다고 간주하여 온도에 의한 음속의 변화는 고려되지 않는다.
바이브레이터(41) 및 바이브레이터(42)로서, 이하의 사양의 엑센 가부시키가이샤제의 에어 바이브레이터를 사용한다.
에어 압력이 0.2 이상 0.6㎫ 이하일 때 진동 주파수 f가 119㎐ 이상 414㎐ 이하인 에어 바이브레이터가 바람직하다. 혹은, 에어 압력이 0.3 이상 0.6㎫ 이하일 때 진동 주파수 f가 110㎐ 이상 290㎐ 이하인 에어 바이브레이터가 바람직하다.
여기서는, 에어 압력이 이하일 때 진동 주파수 f가 이하의 값인 에어 바이브레이터를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에어 압력이 0.5㎫일 때의 진동 주파수 f: 216.5㎐
에어 압력이 0.4㎫일 때의 진동 주파수 f: 206.6㎐
에어 압력이 0.3㎫일 때의 진동 주파수 f: 177.3㎐
에어 압력이 0.2㎫일 때의 진동 주파수 f: 133.0㎐
파장은 이하의 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
파장 λ[m]=음속 V[m/s]/진동 주파수 f[㎐]
진행파(60)의 파장을 계산하면 이하와 같다.
에어 압력이 0.5㎫일 때:
파장 λ[m]=6320[m/s]/216.5[㎐]=29.19m
에어 압력이 0.4㎫일 때:
파장 λ[m]=6320[m/s]/206.6[㎐]=30.59m
에어 압력이 0.3㎫일 때:
파장 λ[m]=6320[m/s]/177.3[㎐]=35.65m
에어 압력이 0.2㎫일 때:
파장 λ[m]=6320[m/s]/133.0[㎐]=47.52m
바이브레이터(41)와 바이브레이터(42)로부터 발생하는 진행파(60)는, 이하의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R(y,t)=A*sin2π((t/T)-(y/λ))
L(y,t)=A*sin2π((t/T)+(y/λ))
y[m]: 플레이트의 Y방향의 장소
t[s]: 시각
R(y,t): 장소 y[m], 시각 t[s]에 있어서의 Z방향의 진행파(60)의 변위[m]
L(y,t): 장소 y[m], 시각 t[s]에 있어서의 Z방향의 진행파(60)의 변위[m]
A: 진행파(60)의 진폭[m]
T: 진행파(60)의 주기[s]
λ: 진행파(60)의 파장[m]
바이브레이터(41)와 바이브레이터(42)로부터 발생하는 진행파(60)의 중첩에 의해 생성되는 정상파(70)는, 이하의 사인 정상파를 나타내는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z(y,t)
= R(y,t)+L(y,t)
=2A*sin(2π(t/T))*cos(2π(y/λ))
y[m]: 플레이트의 Y방향의 장소
t[s]: 시각
z(y,t): 장소 y[m], 시각 t[s]에 있어서의 정상파(70)의 Z방향의 변위[m]
A: 진행파(60)의 진폭[m]
T: 진행파(60)의 주기[s]
λ: 진행파(60)의 파장[m]
cos(2π(y/λ))는, 정상파(70)의 진폭을 나타내고 있다.
정상파(70)의 진폭이 0인 장소, 즉, cos(2π(y/λ))가 0인 장소 y를 「마디」라고 한다.
정상파(70)의 진폭이 최대의 장소, 즉, cos(2π(y/λ))의 절댓값이 1인 장소 y를 「배」라고 한다.
플레이트(20)를 상하로 진동시키기 위해서는, 지지점(26) 사이에서 좌우 방향의 어느 장소 y에 있어서도 정상파의 마디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면 된다.
정상파의 마디는 반파장마다 발생하기 때문에, 지지점(26) 사이의 거리를 정상파의 반파장 미만으로 하면, 플레이트(20)의 좌우 방향의 어느 장소 y에 있어서도, 정상파의 마디가 존재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정상파(70)의 「마디」의 위치를 고정 개소로 하고, 그 고정 개소를 유지(나사 고정)하면, 「마디」가 플래핑의 지지점으로 된다.
만일 지지점(26) 사이의 거리가 정상파의 반파장보다 크면, 플레이트(20)에 마디가 발생해 버린다.
따라서, 플레이트(20)의 좌우 방향의 고정 개소의 거리는 이하의 길이 미만이어야 한다.
에어 압력이 0.5㎫일 때의 반파장: 파장 λ[m]/2=14.56m
에어 압력이 0.4㎫일 때의 반파장: 파장 λ[m]/2=15.29m
에어 압력이 0.3㎫일 때의 반파장: 파장 λ[m]/2=17.82m
에어 압력이 0.2㎫일 때의 반파장: 파장 λ[m]/2=23.766m
이상과 같이, 바이브레이터(41)와 바이브레이터(42)의 에어 압력에 의해, 정상파의 주파수와 파장이 결정되어, 플레이트(20)의 최대 길이가 결정된다.
<<<진동 측정 결과>>>
플레이트(20)로서 한 변이 약 0.5m인 정사각형의 알루미늄판을 사용하여, 플레이트(20)의 진동을 측정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1의 바이브레이션 장치(100)로부터 베이스(10)를 분리하여, 플레이트(20)를 에어 매트에 적재하고, 플레이트(20)의 주위를 프리로 하고, 플레이트(20)를 진동시켜, 진동의 진폭을 측정했다.
도 5 내지 도 8은, 플레이트(20)의 하반부의 영역의 49점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의 진동 측정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은, 플레이트(20)가 평면인 경우의 Z방향의 변위를 0으로 하여, 도 3의 (b)의 경우의 Z방향의 변위(상방향으로의 변위)를 도시하고 있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하는 플레이트(20)의 상반부의 영역에 있어서의 진동은, 플레이트(20)의 하반부의 영역과 대칭으로 진동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기 때문에 측정하지 않았다.
도 5는, 0.2㎫의 공기압에 의한 플레이트(20)의 상하 진동의 분포도다.
도 6은, 0.3㎫의 공기압에 의한 플레이트(20)의 상하 진동의 분포도다.
도 7은, 0.4㎫의 공기압에 의한 플레이트(20)의 상하 진동의 분포도다.
도 8은, 0.5㎫의 공기압에 의한 플레이트(20)의 상하 진동의 분포도다.
도 5의 1행째를 보면, 상하 진동의 진폭이, 14.8㎛>12.6㎛>9.60㎛>7.68㎛<8.00㎛<10.5㎛<15.0㎛로 되어 있고, 플레이트(20)의 중앙 부분보다도 단부의 편이 진동의 진폭이 크다. 즉, 플레이트(20)의 중앙 부분에 마디와 같은 진동 불균일이 발생하고 있다.
그 이유로서, 0.2㎫의 공기압으로는 압력이 약해, 바이브레이터(41)와 바이브레이터(42)를 안정적으로 진동시킬 수 없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된다.
도 6의 1행째를 보면, 상하 진동의 진폭이, 5.28㎛<9.53㎛<12.2㎛<13.2㎛>13.1㎛>11.0㎛>8.40㎛로 되어 있고, 플레이트(20)의 중앙 부분쪽이, 단부보다 진동의 진폭이 크다. 즉, 플레이트(20)의 중앙 부분에 배가 발생한 것으로 생각된다.
도 7과 도 8의 경우도, 플레이트(20)의 중앙 부분쪽이, 단부보다 진동의 진폭이 크다. 즉, 플레이트(20)의 중앙 부분에 배가 발생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0.2㎫의 공기압에서는, 플레이트(20)를 적확하게 상하 방향으로 진동시킬 수 없다.
한편, 0.3㎫ 이상 0.5㎫ 이하의 공기압에서는, 플레이트(20)를 적확하게 상하 방향으로 진동시킬 수 있다.
도 9를 사용하여, 전후 좌우 방향의 진동의 측정 결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도 5 내지 도 8 중의, 플레이트(20)의 2개의 변의 측정점 1 내지 12에 있어서의 수평 방향의 진동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표이다.
0.2㎫의 공기압에서는, 측정점 1, 측정점 2에 있어서 2마이크로미터 초과의 값을 나타내고 있다.
0.3㎫ 이상 0.5㎫ 이하의 공기압에서는, 전점에서 2마이크로미터 미만의 값을 나타내고 있다.
0.3㎫ 이상 0.5㎫ 이하의 공기압에서는, 전후 좌우 방향의 진동의 진폭은, 상하 방향으로의 진동의 진폭의 약 10% 미만 혹은 15% 미만이고, 수평 방향으로의 진동은 없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상의 측정 결과는, 플레이트(20)의 주위를 프리로 하여 플레이트(20)를 진동시킨 경우의 측정 결과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이브레이션 장치(100)의 플레이트(20)는 주위가 나사(25)에 의해 베이스(10)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실제로는, 플레이트(20)의 주위(특히, 나사 구멍(24)의 부분)는 상하의 진동이 제한되어 있다.
플레이트(20)의 주위를 프리로 하여 플레이트(20)를 진동시킨 경우, 플레이트(20)는 중앙을 배로 하여 상하로 진동한다. 따라서, 플레이트(20)의 주위를 고정 개소에서 고정하여 플레이트(20)를 진동시킨 경우에도, 플레이트(20)는 중앙을 배로 하여 상하로 진동하려고 한다. 그 결과,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점(26) 사이를 플래핑의 중심으로 하여 플래핑 현상이 발생하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그리고, 플레이트(20)의 주위를 베이스(10)에 고정하여 플레이트(20)를 진동시킨 경우, 플레이트(20)의 주위를 프리로 하여 플레이트(20)를 진동시킨 경우에 비해, 횡방향으로의 진동은 더욱 감소할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측정 결과를 보면, 플레이트(20)의 좌우 방향의 고정 개소의 거리가 반파장보다 작으면, 정상파(70)의 「마디」의 위치를 고정 개소로 하지 않아도, 고정 개소가 플래핑의 지지점으로 될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 압력이 0.4㎫일 때 반파장은 15m이지만, 플레이트(20)의 좌우 방향의 고정 개소의 거리가 0.5m 정도인 경우에도, 「마디」가 나타나 있지 않다.
그 결과, 고정 개소의 거리가 10m, 5m, 또는 1m 등인 경우에도, 고정 개소가 플래핑의 지지점으로 될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비교예의 설명>>>
<편측 진동>
도 10은, 도 4의 구성으로부터 바이브레이터(42)와 디스트리뷰터(47)를 제거한 것이다.
플레이트(20)는, 편측에 있는 바이브레이터(41)만에 의해 진동한다.
플레이트(20)의 한쪽 사이드(23)에 있는 바이브레이터(41)로부터 발생한 진행파(60)는, 다른 쪽 사이드(23)에서 반사되어 반사파를 생성한다.
진행파(60)와 반사파는, 중첩되어 정상파로 된다.
도 10의 구성에서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20)의 중앙 우측에, 마디와 같은 진동 불균일이 발생되어 버리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술한 12점에 있어서 수평 방향의 진동의 진폭이, 9마이크로미터를 초과하는 개소가 발생했다. 그 이유로서, 플레이트(20)에 타원 진동이 발생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플레이트(20)를 편측으로부터 진동시키는 경우는, 플레이트(20)를 적확하게 진동시킬 수 없다.
<횡방향 양측 진동>
도 12는, 도 4의 구성으로부터 바이브레이터(41)와 바이브레이터(42)의 고정 방향을 90도 회전시켜 바이브레이터(41)와 바이브레이터(42)의 회전 방향이 반대로 되도록 고정한 것이다.
도 12의 구성에서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20)의 중앙 부분에 마디와 같은 진동 불균일이 발생해 버리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바이브레이터(41)와 바이브레이터(42)의 회전 방향이 역인채로 횡방향으로 한 경우는, 플레이트(20)를 적확하게 진동시킬 수 없다.
마찬가지로, 바이브레이터(41)와 바이브레이터(42)의 회전 방향을 동일하게 하여 횡방향으로 한 경우도, 플레이트(20)를 적확하게 진동시킬 수 없다고 생각된다.
<횡방향 편측 진동>
도시하지 않지만, 도 12의 구성으로부터, 바이브레이터(42)와 디스트리뷰터(47)를 제거한 것도, 플레이트(20)의 중앙 부분에 마디와 같은 진동 불균일이 발생해 버리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횡방향 편측 진동의 경우는, 플레이트(20)를 적확하게 진동시킬 수 없다.
<<<정리>>>
본 실시 형태의 바이브레이션 장치(100)는, 가청역 주파수 진동원인 바이브레이터(41) 및 바이브레이터(42)에 의해 플레이트(20)의 좌우로부터 진행파(60)를 동시에 동일한 진폭, 동일한 파장 또한 동일한 주파수로 발생시킨다. 그 결과, 플레이트(20)에서는, 역방향의 진행파의 중첩에 의해 정상파가 생성된다.
본 실시 형태의 바이브레이션 장치(100)의 상하 방향의 진동 생성 과정은, 가청역 주파수 진동원으로부터 플레이트(20)로 좌우로부터 진행파(60)를 동시에 동일한 주파수로 플레이트(20)에 발생시킨다. 플레이트(20)는 정상파에 의해 진동하지만, 정상파의 진동 작용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만 진동한다. 그리고, 전후 좌우 방향으로는 진동하지 않는다. 바이브레이션 장치(100)는, 이 상하 방향만의 진동을 사용한다.
바이브레이션 장치(100)는, 컨트롤러(80)에 의해, 가진 시에 가청역 주파수를 변경할 수 있다. 가청역 주파수란 10㎐ 이상 20000㎐ 이하의 범위이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 사용하는 가청역 주파수는 10㎐ 이상 800㎐ 이하의 범위로 설정하고 있다.
바이브레이션 유닛(40)은, 진동원으로서, 보이스 코일 모터식 진동원, 전자식 진동원, 또는 압전식 진동원을 갖고 있어도 된다.
바이브레이션 유닛(40)은, 필요로 하는 주파수의 범위에 의해, 바이브레이터(41) 및 바이브레이터(42) 등의 진동원을, 적절하게 다른 음파 진동원인 보이스 코일 모터식 진동원, 전자식 진동원, 또는 압전식 진동원 등으로 교환할 수 있다.
컨트롤러(80)는, 제어 부품으로서, 임의 파형 발생기, 또는 바이폴라 전원을 갖고 있어도 된다. 컨트롤러(80)는, 임의의 주파수로 진동원을 진동시키기 위해, 음파 진동원에 대응하는 제어 부품으로서, 임의 파형 발생기, 또는 바이폴라 전원 등으로 교환할 수 있다.
바이브레이션 유닛(40)은, 플레이트(20)의 대면하는 2변의 중앙 외측에 설치한 바이브레이터를 페어로 하여 플레이트(20)를 상하로 진동시킨다.
바이브레이션 유닛(40)은, 플레이트(20)의 대면하는 2변의 중앙 외측에 설치한 페어의 바이브레이터에 의해 진행파를 동시에 동일한 진폭, 동일한 파장, 또한 동일한 주파수로 발생시켜, 플레이트(20)를 정상파로 진동시킨다.
본 실시 형태의 바이브레이션 장치(100)는, 바이브레이터(41)와 바이브레이터(42)를 플레이트(20)의 외측에 고정하고 있다.
즉, 평면으로 보아 바이브레이터(41)와 바이브레이터(42)는 플레이트(20)와 겹치는 일은 없다.
따라서, 바이브레이터(41)와 바이브레이터(42)가 플레이트(20)의 상하 진동을 저해하는 일은 없다.
본 실시 형태의 바이브레이션 장치(100)는, 바이브레이터(41)와 바이브레이터(42)를 플레이트(20)의 사이드(23)에 고정하고 있다.
바이브레이터(41)와 바이브레이터(42)는, 플레이트(20)의 표면(21) 및 이면(22)에는 고정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진행파(60)는 플레이트(20)의 좌우 방향의 양단으로부터 발생하여, 플레이트(20)의 좌우 방향의 전역이 상하로 진동한다.
본 실시 형태의 바이브레이션 장치(100)는, 플레이트(20)의 전체를 균일하게 상하로 진동시키고 있는 것은 아니다.
플레이트(20)의 중앙 부분이 가장 진폭이 크고, 플레이트(20)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좌우 방향의 주변을 향해 진폭이 감소한다.
좌우 방향의 주변을 향해 진폭이 감소하는 이유는, 플레이트(20)의 좌우 양단을 고정하고 있다는 것, 및 플레이트(20)에 정상파를 발생시키기 때문이다.
또한, 플레이트(20)의 중앙 부분이 가장 진폭이 크고, 플레이트(20)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전후 방향의 주변을 향해 진폭이 감소한다.
전후 방향의 주변을 향해 진폭이 감소하는 이유는, 플레이트(20)의 전후 양단을 고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플레이트(20)의 전후 양단을 상하 진동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자유단으로 해도 된다.
플레이트(20)의 전후 양단이 자유단이라면, 플레이트(20)의 전후 방향의 진폭은 균일해진다. 혹은, 플레이트(20)의 전후 방향의 진폭은 균일에 가까워진다.
본 실시 형태의 바이브레이션 장치(100)는, 바이브레이터(41)와 바이브레이터(42) 및 2개의 고정 개소(나사 구멍(24))를 직선 상에 배치하고 있다.
바이브레이터(41)와 바이브레이터(42)는, 2개의 고정 개소(나사 구멍(24))의 외측에 있다.
바이브레이터(41)와 바이브레이터(42)는, 2개의 고정 개소(나사 구멍(24))의 내측에는 없다.
플레이트(20)는, 2개의 고정 개소(지지점(26)) 사이를 중심으로 하는 플래핑 현상에 의해, 상하로 진동한다.
<<<실시 형태 1의 효과>>>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바이브레이터(41) 및 바이브레이터(42)에 의해 플레이트(20)의 좌우로부터 진행파(60)를 동시에 동일한 주파수로 발생시킴으로써, 정상파가 생성되어, 플레이트(20)가 상하 방향으로만 진동한다.
가령, 전후 좌우 방향으로 진동하는 경우에도, 상하 방향의 진동과 비교하여, 무시할 수 있는 것으로 된다.
바이브레이션 장치(100)의 플레이트(20) 위에 워크를 적재함으로써 워크를 상하 방향으로만 진동시킬 수 있다.
<<<변경예>>>
변경예 1.
도 14에 도시하는 바이브레이션 장치(100)는, 도 1의 구성으로부터 디스트리뷰터(47)를 제거하고, 바이브레이션 유닛(40)의 바이브레이터(41)와 바이브레이터(42)를, 플레이트(20)의 사이드(23)에 직접 고정한 것이다.
변경예 2.
도 15에 도시하는 바이브레이션 장치(100)는, 평면으로 보아 플레이트(20)가 베이스(10)보다도 큰 사이즈를 갖고, 바이브레이션 유닛(40)의 바이브레이터(41)와 바이브레이터(42)를, 플레이트(20)의 이면(22)의 외연에 직접 고정한 것이다.
변경예 3.
도 16에 도시하는 바이브레이션 장치(100)는, 베이스(10)와 플레이트(20) 사이에 디스트리뷰터(47)를 사이에 두고 바이브레이터(41)와 바이브레이터(42)를 고정한 것이다.
디스트리뷰터(47)는, 평판이어도 된다.
변경예 4.
도 2에 있어서, 바이브레이터(41)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바이브레이터(42)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설치해도 된다.
도 2에 있어서, 바이브레이터(41)와 바이브레이터(42)는 동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보다도, 바이브레이터(41)와 바이브레이터(42)의 회전 방향을 역전시키는 편이 바람직하다.
바이브레이터(41)와 바이브레이터(42)의 회전 방향을 역전시키는 경우에도, 도 2와 같이, 바이브레이터(41)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바이브레이터(42)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편이 바람직하다.
변경예 5.
바이브레이션 유닛(40)은, 2개보다 많은 짝수개의 가청역 주파수 진동원을 갖고 있어도 된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20)에 바이브레이터(41), 바이브레이터(42), 바이브레이터(43) 및 바이브레이터(44)를 설치해도 된다.
(a)는, 바이브레이터(41)와 바이브레이터(42)가 대향하고 있고, 바이브레이터(43)와 바이브레이터(44)가 대향하고 있다.
바이브레이터(41)와 바이브레이터(43)는 동일한 사이드(23)에 고정되어 있고, 바이브레이터(42)와 바이브레이터(44)는, 다른 사이드(23)에 고정되어 있다.
정상파는 평행으로 생성된다.
(b)는, 바이브레이터(41)와 바이브레이터(42)가 대향하고 있고, 바이브레이터(43)와 바이브레이터(44)가 대향하고 있다.
바이브레이터(41)와 바이브레이터(42)와 바이브레이터(43)와 바이브레이터(44)는 각각 개별의 사이드(23)에 고정되어 있다.
정상파는 직교하여 생성된다.
(c)는, 바이브레이터(41)와 바이브레이터(44)가 대향하고 있고, 바이브레이터(42)와 바이브레이터(43)가 대향하고 있다.
바이브레이터(41)와 바이브레이터(42)와 바이브레이터(43)와 바이브레이터(44)는 각각 플레이트(20)의 각 코너에 고정되어 있다.
정상파는 직교하여 생성된다.
도시하지 않지만, 플레이트(20)의 형상은, 평면으로 보아 원형, 타원형, 기타의 형상이어도 된다.
변경예 6.
플레이트(20)의 형상은, 평면으로 보아 다각형이면 된다.
바이브레이션 유닛(40)은, 홀수개의 가청역 주파수 진동원을 갖고 있어도 된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20)는 삼각형 또는 육각형의 플레이트(20)여도 된다.
(a)는, 삼각형의 플레이트(20)를 도시하고 있다.
바이브레이터(41)와 바이브레이터(42)와 바이브레이터(43)는, 각각 개별의 사이드(23)에 고정되어 있다.
(b)는, 육각형의 플레이트(20)를 도시하고 있다.
바이브레이터(41)와 바이브레이터(42)와 바이브레이터(43)는, 각각 하나 걸러 개별의 사이드(23)에 고정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지만, 육각형의 플레이트(20)의 모든 사이드(23)에 바이브레이터를 고정해도 된다.
도시하지 않지만, 플레이트(20)의 형상은, 평면으로 보아 원형, 타원형, 기타의 형상이어도 된다.
바이브레이션 유닛(40)은, 플레이트(20)에 한 변 혹은 복수의 변의 외측에 고정된 1개 혹은 복수개의 에어 바이브레이터를 갖고 있으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바이브레이션 유닛(40)은, 에어 바이브레이터를 이하와 같이 배치해도 된다.
플레이트(20)에 한 변만, 변의 외측에 1개의 에어 바이브레이터
플레이트(20)에 한 변만, 변의 외측에 복수개의 에어 바이브레이터
플레이트(20)의 복수의 변의 일부의 변의 각 변의 외측에 1개의 에어 바이브레이터(도 18의 (b))
플레이트(20)의 복수의 변의 일부의 변의 각 변의 외측에 복수개의 에어 바이브레이터(도 17의 (a))
플레이트(20)의 전부의 변의 각 변의 외측에 1개의 에어 바이브레이터(도 17의 (b)와 도 18의 (a))
플레이트(20)의 전부의 변의 각 변의 외측에 복수개의 에어 바이브레이터
컨트롤러(80)는, 모든 에어 바이브레이터를 동일 주파수로 진동시킨다.
에어 바이브레이터 대신에, 다른 형식의 바이브레이터여도 된다.
변경예 7.
바이브레이션 유닛(40)은, 1개의 가청역 주파수 진동원을 갖고 있어도 된다.
도 19의 바이브레이션 장치(100)는, 1개의 바이브레이터(45)와 프레임(46)을 갖는다.
프레임(46)은, U자 형상의 금속 부품이다.
프레임(46)은, 바이브레이터(45)를 저부의 중앙에 고정하고, 양 선단의 상부가 디스트리뷰터(47)에 고정되어 있다.
바이브레이터(45)는 상하로 진동한다.
바이브레이터(45)의 진동은, 2개의 디스트리뷰터(47)에 전달되어, 2개의 디스트리뷰터(47)를 상하로 진동시킨다.
이와 같이, 플레이트(20)의 양측에 복수의 바이브레이터를 설치하는 것은 필수는 아니고, 바이브레이션 유닛(40)에는, 플레이트(20)의 복수의 사이드로부터 진행파(60)를 동시에 동일한 진폭, 동일한 파장, 또한 동일한 주파수로 발생시키는 기구가 있으면 된다.
변경예 8.
도 20의 바이브레이션 장치(100)는, 플레이트(20)와 디스트리뷰터(47) 사이에 스페이서(50)를 갖는다.
스페이서(50)는, 플레이트(20)의 사이드(23)와 디스트리뷰터(47)의 수직부(49)에 끼워져 고정된 사각 기둥의 금속봉이다.
스페이서(50)는, 진행파(60)의 발생 위치를 플래핑 현상의 지지점(26)으로부터 멀어지게 하는 부품이다.
스페이서(50)의 좌우 방향의 길이를 변경함으로써, 가청역 주파수 진동원과 고정 개소의 거리를 변경할 수 있다.
진행파(60)가 동일한 진폭, 동일한 파장, 또한 동일한 주파수라고 해도, 스페이서(50)의 좌우 방향의 길이가 길수록, 플래핑 현상이 강하게 나타난다.
스페이서(50)에 의해, 플레이트(20)의 상하 진동의 진폭을 조정할 수 있다.
변경예 9.
베이스(10)와 플레이트(20)를 고정하기 위해, 나사 구멍(24)과 나사(25) 대신에, 기타의 고정 금속 부재, 또는 기타의 고정 기구를 사용해도 된다.
실시 형태 2.
실시 형태 2에서는, 실시 형태 1과 상이한 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구성의 설명>>>
도 21은, 실시 형태 2의 스크린 인쇄 장치(200)의 구성도이다.
스크린 인쇄 장치(200)는, 실시 형태 1에서 설명한 바이브레이션 장치(100)를 갖는다.
스크린 인쇄 장치(200)는, 워크(900)에 인쇄하는 장치이다.
워크(900)는, 전자 디바이스의 기판 또는 회로의 기판이다.
스크린 인쇄 장치(200)는, 스크린(202)을 프레임에 붙인 스크린 판(201)을 갖는다.
스크린(202)은, 메쉬 스크린, 메탈 스크린, 또는 기타의 스크린이다.
스크린(202)은, 전극 단자, 전극, 배선 등의 인쇄 패턴을 갖는다.
스크린(202)의 표면에는 페이스트(204)가 존재한다.
스크린 인쇄 장치(200)는, 스퀴지(203)를 갖는다.
스퀴지(203)는, 스크린(202)의 표면을 이동하여 페이스트(204)에 의해 워크(900)에, 전극 단자, 전극, 배선 등을 인쇄한다.
바이브레이션 장치(100)의 플레이트(20)는, 워크(900)를 적재하는 테이블이다.
플레이트(20)는, 워크(900)를 흡착하는 흡착판으로서 기능한다.
플레이트(20)는, 상하로 관통하는 복수의 스루홀(205)을 갖는다.
베이스(10)는, 공기를 흡인하는 흡인 상자로서 기능한다.
스크린 인쇄 장치(200)는, 흡인 파이프(206)와 진공 펌프(207)를 갖는다.
흡인 파이프(206)는, 베이스(10)와 진공 펌프(207)에 접속되어 있고, 공간(14)으로부터 공기를 흡인한다.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이브레이터(41)와 바이브레이터(42)는, 스퀴지(203)의 인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스퀴지(203)의 인쇄 방향과 정상파의 발생 방향은 일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작의 설명>>>
스크린 인쇄 장치(200)의 프로세서(84)는, 인쇄 중에, 바이브레이션 장치(100)를 동작시켜, 플레이트(20)를 진동시킨다.
플레이트(20)의 진동은, 워크(900)와 스크린 판(201)으로 전해져, 페이스트(204)를 진동시킨다.
페이스트(204)가 진동함으로써, 페이스트(204)는 스크린(202)의 인쇄 패턴을 통과하기 쉬워진다.
워크(900)의 홀 또는 홈에 페이스트를 충전하는 홀 플러깅 인쇄를 하는 경우는, 워크(900)가 진동하고 있으므로, 페이스트(204)가 워크(900)의 홀 또는 홈에 충전되기 쉽다.
홀 플러깅 인쇄의 경우, 프로세서(84)는, 인쇄 후에도, 바이브레이션 장치(100)를 동작시켜 플레이트(20)를 진동시킨다. 인쇄 후에도 플레이트(20)를 진동시킴으로써, 페이스트(204)를 홀 또는 홈의 바닥까지 충전시킬 수 있다.
<<<실시 형태 2의 효과>>>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바이브레이션 장치(100)를 스크린 인쇄 장치(200)에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스크린 인쇄의 홀 플러깅 시에, 구멍에 들어가는 페이스트의 충전량의 변동을 작게 할 수 있다.
특히, 경질 페이스트를 사용하여 홀 플러깅 인쇄하는 경우에, 충전량이 향상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플레이트(20)는 상하 방향으로만 진동하고 전후 좌우 방향으로는 진동하지 않으므로, 워크(900)와 스크린 판(201)은 전후 좌우 방향으로 어긋나는 경우는 없다. 따라서, 워크(900)의 인쇄 패턴이 흐려지는 경우는 없다.
실시 형태 3.
실시 형태 3에서는, 실시 형태 1과 상이한 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2는, 실시 형태 3의 전단 장치(300)의 사시도다.
전단 장치(300)는, 실시 형태 1에서 설명한 바이브레이션 장치(100)를 갖는다.
전단 장치(300)는, 워크(900)를 커트하는 장치이다.
전단 장치(300)는, 워크(900)를 커트하는 블레이드(301)를 갖는다.
바이브레이션 장치(100)의 플레이트(20)는, 워크(900)를 적재하는 테이블이다.
전단 장치(300)의 프로세서(84)는, 동작 중에, 바이브레이션 장치(100)를 동작시켜, 플레이트(20)를 상하 방향으로 진동시킨다.
플레이트(20)의 진동은, 워크(900)로 전해져, 워크(900)를 진동시킨다.
워크(900)가 상하 방향으로 진동함으로써, 블레이드(301)로부터 워크(900)로의 압력이 단속적으로 된다.
<<<실시 형태 3의 효과>>>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바이브레이션 장치(100)를 전단 장치(300)에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블레이드(301)로부터 워크(900)로의 압력이 단속적으로 되므로, 블레이드(301)의 내구 시간이 연장된다.
실시 형태 4.
실시 형태 4에서는, 실시 형태 1과 상이한 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3은, 실시 형태 4의 펀칭 장치(400)의 사시도다.
펀칭 장치(400)는, 실시 형태 1에서 설명한 바이브레이션 장치(100)를 갖는다.
펀칭 장치(400)는, 워크(900)에 구멍을 형성하는 장치이다.
펀칭 장치(400)는, 워크(900)에 구멍을 형성하는 드릴(401)을 갖는다.
바이브레이션 장치(100)의 플레이트(20)는, 워크(900)를 적재하는 테이블이다.
펀칭 장치(400)의 프로세서(84)는, 동작 중에, 바이브레이션 장치(100)를 동작시켜, 플레이트(20)를 상하 방향으로 진동시킨다.
플레이트(20)의 진동은, 워크(900)로 전해져, 워크(900)를 진동시킨다.
워크(900)가 상하 방향으로 진동함으로써, 드릴(401)로부터 워크(900)로의 압력이 단속적으로 된다.
<<<실시 형태 4의 효과>>>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바이브레이션 장치(100)를 펀칭 장치(400)에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드릴(401)로부터 워크(900)로의 압력이 단속적으로 되므로, 드릴(401)의 내구 시간이 연장된다.
실시 형태 5.
실시 형태 5에서는, 실시 형태 1과 상이한 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진동 투입 장치(500)의 구성>>>
도 24는, 실시 형태 5의 진동 투입 장치(500)의 사시도다.
진동 투입 장치(500)는, 진동에 의해 복수의 부품을 복수의 오목부에 삽입하는 장치이다.
플레이트(20)는, 정사각형의 평판이다.
플레이트(20)에는, 복수의 오목부(29)가 배열되어 있다.
플레이트(20)에는, 복수의 부품(901)이 랜덤하게 투입된다.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플레이트(20)의 외주위에는, 부품(901)이 플레이트(20)로부터 흘러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프레임이 있다.
진동 투입 장치(500)는, 평판의 베이스(10)와 플레이트(20)와 바이브레이션 유닛(40)을 갖는다.
플레이트(20)는, 4개의 바이브레이터를 통해, 베이스(10)에 고정되어 있다.
플레이트(20)의 사이드(23)는, 고정되어 있지 않고 자유단으로 되어 있다.
바이브레이션 유닛(40)은, 플레이트(20)의 4구석의 외측에 고정된 복수의 바이브레이터를 갖는다.
도 24의 바이브레이션 유닛(40)은, 4개의 바이브레이터와 4매의 디스트리뷰터(47)를 갖는다.
4개의 바이브레이터는, 전후 방향과 좌우 방향에 대하여 45도 기울여, 평판의 베이스(10)에 고정되어 있다.
4개의 바이브레이터는, 각각, 플레이트(20)의 4개의 코너(27)의 외측에 고정되어 있다.
바이브레이터는, 플레이트(20)의 대각선의 연장선에 배치되어 있다.
바이브레이터(41)와 바이브레이터(44)는, 플레이트(20)의 1개의 대각선의 단부에 있는 2개의 코너에 대향하여 고정되어 있다.
바이브레이터(43)와 바이브레이터(42)는, 플레이트(20)의 다른 대각선의 단부에 있는 2개의 코너에 대향하여 고정되어 있다.
디스트리뷰터(47)는 직사각형 판이다.
디스트리뷰터(47)는, 상면에 플레이트(20)의 코너(27)를 고정하고 있다.
디스트리뷰터(47)는, 하면에 바이브레이터의 상면을 고정하고 있다.
플레이트(20)의 4개의 코너(27)는, 나사 구멍(24)에 삽입된 나사에 의해 디스트리뷰터(47)에 고정되어 있다.
플레이트(20)의 4개의 코너(27)는, 플레이트(20)의 4개의 고정 개소로 되어 있다.
평면으로 보아, 바이브레이터는 플레이트(20)의 코너(27)의 외측에 고정되어 있다. 즉, 평면으로 보아, 4개의 바이브레이터는 플레이트(20)와 겹치지 않는다.
진동 투입 장치(500)에 사용하는 4개의 바이브레이터는, 전자 바이브레이터 등의 전자식 진동원이 적합하다. 전자식 진동원은, 에어 바이브레이터보다도 주파수를 미세하게 제어할 수 있다.
<<<진동 투입 장치(500)의 동작>>>
컨트롤러(80)는, 플레이트(20)의 대각선의 단부에 있는 2개의 코너에 고정된 2개의 바이브레이터를 동일 주파수로 진동시킨다.
4개의 바이브레이터는, 프로세서(84)에 접속되고, 프로세서(84)에 의해 4개의 바이브레이터의 진동이 제어된다.
4개의 바이브레이터로부터의 진행파는, 플레이트(20)의 4구석으로부터 플레이트(20)의 중앙을 향해 진행된다.
바이브레이터(41)와 바이브레이터(44)는, 진행파를 동시에 동일한 진폭, 동일한 파장, 또한 동일한 주파수로 1개의 대각선 방향으로 발생시켜, 진행파가 중첩된다.
바이브레이터(43)와 바이브레이터(42)는, 진행파를 동시에 동일한 진폭, 동일한 파장, 또한 동일한 주파수로 별도의 대각선 방향으로 발생시켜, 직교한 4개의 진행파가 중첩되어 상기 플레이트 상을, 정상파가 중첩되어 상하 진동시킨다.
프로세서(84)는, 4개의 진행파의 위상, 진폭, 파장, 주파수를 바꿈으로써, 플레이트(20)에 발생하는 진동을 변화시킬 수 있다.
특히, 프로세서(84)는, 동일한 진폭, 동일한 파장, 또한 동일한 주파수의 진행파에서, 위상만을 바꾼 4개의 진행파가 중첩된 정상파를 플레이트 상에서 발생시켜, 정상파의 상하 진동에 의해, 플레이트(20) 위에서 부품(901)을 회전시키거나, 좌우 전후로 이동시키거나, 점프시키거나 할 수 있다.
프로세서(84)는, 4개의 진행파의 위상을, 90도, 180도, 270도, 혹은 임의의 각도만큼 어긋나게 하여 생성할 수 있다.
이하, 도 25를 사용하여, 진동 투입 장치(500)의 상하 진동을 설명한다.
도 25는, 위상, 진폭, 파장 및 주파수가 동일한 진행파가 겹쳐져, 정상파가 중첩되어 있는 경우의 플레이트(20)의 상하 진동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25의 (a)는, 플레이트(20)의 좌우 방향의 중심의 전후 방향의 상하 진동의 모식도다.
도 25의 (b)는, 플레이트(20)의 코너(27)를 연결하는 1개의 대각선의 상하 진동의 모식도다.
사이드(23)는 자유단이므로, 도 2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이드(23)가 상하로 이동하면서 플레이트(20)가 진동한다.
한편, 코너(27)는 고정되어 있고 코너(27)가 지지점(26)으로 되므로, 도 2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너(27)는 상하로 이동하지 않은 채, 플레이트(20)가 진동한다.
프로세서(84)는, 플레이트(20)를 상하로 진동시킨다. 플레이트(20)의 진동은, 부품(901)으로 전해져, 부품(901)을 진동시킨다.
부품(901)은, 상하로 진동함으로써, 플레이트(20)의 표면을 이동하여, 오목부(29)에 끼워 넣어진다.
변경예 1.
도 26의 진동 투입 장치(500)는, 플레이트(20)의 코너(27)를 커트하여, 커트면에 바이브레이터를 고정한 것이다.
도 26의 진동 투입 장치(500)는, 디스트리뷰터(47)가 불필요해진다.
평면으로 보아, 바이브레이터는 플레이트(20)의 코너(27)의 외측에 고정되어 있다. 즉, 평면으로 보아, 4개의 바이브레이터는 플레이트(20)와 겹치지 않는다.
변경예 2.
전술한 실시 형태의 바이브레이션 장치(100)를 진동 투입 장치(500)에 사용해도 된다.
진동 투입 장치(500)에는 4개의 진행파를 직교시키거나, 혹은 복수의 진행파를 교차시켜, 정상파를 발생시킬 수 있는 바이브레이션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이브레이션 장치가 진행파를 교차시키는 경우는, 진행파의 교차하는 각도를 모두 균등하게 함으로써, 진행파를 중첩시켜 안정된 정상파를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변경예 3.
도 27의 진동 투입 장치(500)는, 플레이트(20)의 코너(27)에 지주(51)를 마련하고, 플레이트(20)를 4개의 지주(51)에 의해 베이스(10)에 고정한 것이다.
지주(51)는, 나사 구멍(24)에 삽입된 나사에 의해, 플레이트(20)를 고정하고 있다.
바이브레이터는, 플레이트(20)의 코너(27)의 커트면에만 고정되어 있고, 바이브레이터는 플레이트(20)에 공중에 매달린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도 27의 경우, 나사 구멍(24)에 있는 고정 개소를 지지점으로 하여, 전술한 플래핑 현상에 의해, 플레이트(20)가 진동한다.
도 27의 경우, 플레이트(20)는 4개의 지주(51)에 의해 고정되어 있지만, 지주(51)가 가는 기둥이기 때문에, 플레이트(20)는 상하뿐만 아니라 전후 좌우로도 진동할 수 있다.
변경예 4.
플레이트(20)의 형상은, 평면으로 보아 다각형이면 된다.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20)는 삼각형 또는 육각형의 플레이트(20)여도 된다.
(a)는, 삼각형의 플레이트(20)를 도시하고 있다.
바이브레이터(41)와 바이브레이터(42)와 바이브레이터(43)는 각각 개별의 코너(27)에 고정되어 있다.
(b)는, 육각형의 플레이트(20)를 도시하고 있다.
바이브레이터는 각각 개별의 코너(27)에 고정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지만, 플레이트(20)의 형상은, 평면으로 보아 원형, 타원형, 기타의 형상이어도 된다.
변경예 5.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이브레이터는 모든 코너에 없어도 된다.
(a)는, 사각형의 플레이트(20)의 하나의 대각선 상에 바이브레이터를 배치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바이브레이터(41)와 바이브레이터(42)는 하나 걸러 코너(27)에 고정되어 있다.
(b)는, 육각형의 플레이트(20)의 2개의 대각선 상에 바이브레이터를 배치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하지 않지만, 플레이트(20)의 형상은, 평면으로 보아 원형, 타원형, 기타의 형상이어도 된다.
변경예 6.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이브레이터는 코너에 복수 있어도 된다.
(a)는, 사각형의 플레이트(20)의 4개의 코너의 각 코너에 바이브레이터를 2개씩 배치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b)는, 사각형의 플레이트(20)의 4개의 코너의 각 코너에 바이브레이터를 2개씩 배치하고, 또한 대향하는 사이드의 중앙 외측에 바이브레이터를 배치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하지 않지만, 플레이트(20)의 형상은, 평면으로 보아 8각형, 10각형, 기타의 다각형이어도 된다.
바이브레이션 유닛(40)은, 플레이트(20)의 1코너 혹은 복수의 코너의 외측에 고정된 1개 혹은 복수개의 에어 바이브레이터를 갖고 있으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바이브레이션 유닛(40)은, 에어 바이브레이터를 이하와 같이 배치해도 된다.
플레이트(20)의 1코너만의 외측에 1개의 에어 바이브레이터
플레이트(20)의 복수의 코너의 일부의 코너의 각 코너의 외측에 1개의 에어 바이브레이터(도 29의 (a)와 (b))
플레이트(20)의 복수의 코너의 전부의 코너의 각 코너의 외측에 1개의 에어 바이브레이터(도 28의 (a)와 (b))
플레이트(20)의 복수의 코너의 전부의 코너의 각 코너의 외측에 2개의 에어 바이브레이터(도 30의 (a)와 (b))
컨트롤러(80)는, 모든 에어 바이브레이터를 동일 주파수로 진동시킨다.
에어 바이브레이터 대신에, 다른 형식의 바이브레이터여도 된다.
실시 형태 6.
실시 형태 6에서는, 실시 형태 1과 상이한 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디스트리뷰터(47)의 구성>>>
도 31은, 디스트리뷰터(47)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1의 디스트리뷰터(47)는, 플레이트(20)의 표면(21)과 이면(22)을 사이에 두고 플레이트(20)에 고정되어 있다.
(a)는, 사각형의 플레이트(20)의 한 변의 중앙 외측에 바이브레이터를 배치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디스트리뷰터(47)는, 사이드에 전후 방향으로부터 보아 U자 형상의 홈(52)을 갖고, 플레이트(20)의 중앙 외연을 홈(52)에 끼워 넣고 있다.
플레이트(20)는, 바이브레이터가 고정된 2변에 고정 개소가 되는 3개의 나사 구멍(24)을 갖고 있다.
플레이트(20)는, 디스트리뷰터(47)를 중앙의 나사 구멍의 나사에 의해 고정한다.
플레이트(20)는, 바이브레이터가 고정되어 있지 않은 변에는 나사 구멍(24)을 갖고 있지 않다.
(a)와 같이, 고정 개소를 모든 변에 마련할 필요는 없고, 대향하는 2변에만 마련해도 된다.
(b)는, 사각형의 플레이트(20)의 4개의 코너에 바이브레이터를 배치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디스트리뷰터(47)는, 사이드에 상하 방향으로부터 보아 V자 형상의 홈(53)을 갖고, 플레이트(20)의 코너를 홈(53)에 끼워 넣고 있다.
V자 형상의 홈(53)이 직행하는 저부는, 두 사이드의 직교하는 두 단부와 면 접촉하고 있다.
V자 형상의 홈(53)의 삼각형의 측면은, 코너(27)의 표면과 이면에 면 접촉하고 있다.
플레이트(20)는, 코너의 외연에 나사 구멍(24)을 갖고 있다.
플레이트(20)는, 디스트리뷰터(47)를 나사 구멍의 나사에 의해 고정한다.
<<<디스트리뷰터(47)의 효과>>>
디스트리뷰터(47)는, 플레이트(20)를 사이에 두고 플레이트(2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플레이트(20)가 얇고 사이드의 상하 방향의 높이가 작은 경우에도, 플레이트(20)의 사이드로부터 바이브레이터의 진동을 전달할 수 있다.
변형예 1.
디스트리뷰터(47)의 형상은, 바이브레이터의 진동을 플레이트(20)의 사이드로 전달할 수 있는 형상이면 된다.
디스트리뷰터(47)는, 플레이트(20)의 사이드에만 또는 코너에만 고정해도 되지만, 디스트리뷰터(47)를 이하의 개소에 고정해도 된다.
플레이트(20)의 사이드와 표면
플레이트(20)의 사이드와 이면
플레이트(20)의 사이드와 표면과 이면
플레이트(20)의 사이드 표면만
플레이트(20)의 사이드 이면만
플레이트(20)의 사이드 표면과 이면
플레이트(20)의 코너와 표면
플레이트(20)의 코너와 이면
플레이트(20)의 코너와 표면과 이면
플레이트(20)의 코너의 표면만
플레이트(20)의 코너의 이면만
플레이트(20)의 코너의 표면과 이면
상기 어느 경우도 디스트리뷰터(47)를 플레이트(20)의 사이드에만 또는 코너에만 고정하고 있는 경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상기 어느 경우도 상기 플레이트의 사이드를 진동시키는 구성이라고 할 수 있다.
실시 형태 7.
실시 형태 7에서는, 실시 형태 1과 상이한 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플레이트(20)와 바이브레이션 유닛(40)의 구성>>>
도 32는, 플레이트(20)와 바이브레이션 유닛(40)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2는, 플레이트(20)의 외주의 복수 개소를 플레이트(20)의 외측으로부터 진동시키는 바이브레이션 유닛(40)을 도시하고 있다.
플레이트(20)의 외주란, 플레이트(20)를 평면으로 본 경우의 윤곽을 말한다.
플레이트(20)의 외측이란, 플레이트(20)의 윤곽의 외측을 말한다.
바이브레이션 유닛(40)은, 플레이트(20)의 외주로부터 플레이트의 중앙을 향해 진행파를 동시에 동일한 파장에서 발생시킨다.
(a)는, 삼각형의 플레이트(20)의 코너(27)에 바이브레이터(41)를 배치하고, 코너(27)에 대향하는 사이드(23)의 중앙 외측에 바이브레이터(42)를 배치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b)는, 오각형의 플레이트(20)의 코너(27)에 바이브레이터(41)를 배치하고, 코너(27)에 대향하는 사이드(23)의 중앙 외측에 바이브레이터(42)를 배치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바이브레이션 유닛(40)은, 플레이트(20)의 복수 개소를 진동시킨다.
복수 개소란, 실시 형태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20)의 복수의 사이드(23)만으로 이루어지는 복수 개소여도 된다.
복수 개소란, 실시 형태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20)의 복수의 코너(27)만으로 이루어지는 복수 개소여도 된다.
복수 개소란, 도 32의 (a)와 (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20)의 사이드(23)와 코너(27)로 이루어지는 복수 개소여도 된다.
사이드(23)와 코너(27)로 이루어지는 복수 개소의 경우는, 이하의 어느 것이면 된다.
1개의 사이드(23)와 1개의 코너
복수의 사이드(23)와 1개의 코너
1개의 사이드(23)와 복수의 코너
복수의 사이드(23)와 복수의 코너
복수의 사이드(23)와 복수의 코너의 전형례는, 전체 사이드(23)와 전체 코너이다.
복수 개소는, 플레이트(20)의 대각선 또는 직경 등의 플레이트(20)의 중앙 또는 무게 중심을 지나는 직선 상에, 쌍으로 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이드(23)는, 평면일 필요는 없다.
(c)는, 원형의 플레이트(20)의 직경 방향으로 바이브레이터(41)와 바이브레이터(42)를 배치하고, 직교하는 직경 방향으로 바이브레이터(43)와 바이브레이터(44)를 배치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c)의 경우는, 사이드(23)가, 원통의 외주 곡면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사이드(23)는, 기타의 곡면이어도 되고, 곡면과 평면의 조합이어도 된다.
(c)에 있어서, 바이브레이터(43)와 바이브레이터(44)는 없어도 된다.
(c)에 있어서, 바이브레이터의 수를 늘려도 된다.
<<<플레이트(20)의 평면 형상>>>
도 33은, 플레이트(20)의 평면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플레이트(20)의 평면 형상은, 정다각형 또는 원형에 한정되지 않는다.
(a)는, 플레이트(20)의 평면 형상이, 십자형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b)는, 플레이트(20)의 평면 형상이, 별형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c)는, 플레이트(20)의 평면 형상이, 코너가 둥근 긴 사각형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d)는, 플레이트(20)의 평면 형상이, 타원형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하지 않지만, 플레이트(20)의 평면 형상은, 사다리꼴형, 구름형, 산형, 불규칙 형상, 또는 기타의 형상이어도 된다.
<<<플레이트(20)의 단면 형상>>>
도 34는, 플레이트(20)의 도 1에 있어서의 A-A 단면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플레이트(20)의 단면 형상은 직사각형에 한정되지 않는다.
(a), (c) 및 (e)는, 플레이트(20)의 중앙 하부가 상측으로 오목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a)는, 오목 형상으로 오목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b)는, V 형상으로 오목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c)는, 호상으로 오목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b), (d) 및 (f)는, 플레이트(20)의 중앙 상부가 하측으로 불룩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b)는, 볼록 형상으로 불룩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d)는, V 형상으로 불룩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f)는, 호형으로 불룩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g)는, 플레이트(20)의 중앙부가 상측과 하측으로 오목한 오목 형상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h)는, 플레이트(20)의 중앙부가 상측과 하측으로 불룩한 볼록 형상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하지 않지만, 플레이트(20)의 단면 형상은, 요철 형상, 파 형상, 또는 기타의 형상이어도 된다.
(i)는, 사이드(23)가, 경사져 있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사이드(23)가 경사져 있는 경우는, 디스트리뷰터(47)의 경사면을 마련하고, 바이브레이터(41)와 바이브레이터(42)를 마련하면 된다.
디스트리뷰터(47)의 단면은, 삼각 형상을 이루고 있다.
디스트리뷰터(47)의 경사면과 사이드(23)는 동일한 경사 각도를 갖고 있다.
바이브레이터(41)와 바이브레이터(42)는, 디스트리뷰터(47)를 통해, 플레이트(20)의 외주를 상하로 진동시킬 수 있다.
실시 형태 8.
바이브레이션 장치(100)는, 수평 방향의 진동을 기피하는 장치에 사용할 수 있다.
바이브레이션 장치(100)는, 워크의 가공 장치에 사용할 수 있다.
바이브레이션 장치(100)는, 가공 장치, 반송 장치, 선별 장치, 조립 장치, 제조 장치, 진동 투입 장치, 또는 기타의 머티어리얼 핸들링 장치에 사용할 수 있다.
머티어리얼이란, 물질, 재료, 원료, 옷감, 소재, 용구, 기구, 또는 공구 등을 말한다.
머티어리얼의 형상, 재질, 성질, 개수는 따지지 않는다.
머티어리얼은, 덩어리여도 되고, 판이어도 되고, 혹은 입자 또는 가루여도 된다.
머티어리얼은, 고체여도 되고, 액체여도 되고, 탄성체여도 된다.
*** 실시 형태의 보충 설명 ***
전술한 실시 형태는, 바람직한 형태의 예시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제한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 형태는, 부분적으로 실시해도 되고, 다른 형태와 조합하여 실시해도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를 조합해도 된다.
100: 바이브레이션 장치
10: 베이스
11: 상면
12: 저면
13: 벽
14: 공간
20: 플레이트
21: 표면
22: 이면
23: 사이드
24: 나사 구멍
25: 나사
26: 지지점
27: 코너
29: 오목부
40: 바이브레이션 유닛
41, 42, 43, 44, 45: 바이브레이터
46: 프레임
47: 디스트리뷰터
48: 수평부
49: 수직부
50: 스페이서
51: 지주
52: 홈
53: 홈
60: 진행파
70: 정상파
80: 컨트롤러
81: 공기 압축기
82: 에어 파이프
83: 레귤레이터
84: 프로세서
200: 스크린 인쇄 장치
201: 스크린 판
202: 스크린
203: 스퀴지
204: 페이스트
205: 스루홀
206: 흡인 파이프
207: 진공 펌프
300: 전단 장치
301: 블레이드
400: 펀칭 장치
401: 드릴
500: 진동 투입 장치
900: 워크
901: 부품

Claims (16)

  1. 평판과 평판의 외주 주위에 마련된 프레임을 갖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외주의 복수 개소를 상기 플레이트의 외측 위치로부터 진동시키는 복수의 바이브레이터를 갖는 바이브레이션 유닛과,
    상기 바이브레이션 유닛의 진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를 구비하고,
    상기 플레이트의 위에서 부품을 점프시키는 바이브레이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브레이션 유닛은, 상기 플레이트의 외측으로부터의 진행파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의 외주를 동일한 주파수로 상하로 진동시키는, 바이브레이션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브레이션 유닛은, 상기 플레이트의 외주에 진행파를 동시에 동일한 파장에서 발생시키는, 바이브레이션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브레이션 유닛은, 상기 진행파를 동일한 진폭으로 발생시켜, 상기 플레이트를 정상파로 진동시키는, 바이브레이션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브레이션 유닛이 상기 플레이트를 진동시키는 상기 복수 개소는,
    상기 플레이트의 복수의 사이드만으로 이루어지는 복수 개소,
    상기 플레이트의 복수의 코너만으로 이루어지는 복수 개소 및
    상기 플레이트의 사이드와 코너로 이루어지는 복수 개소
    의 어느 것인, 바이브레이션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브레이션 유닛은, 바이브레이터를 갖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바이브레이터를 10Hz 이상 800Hz 이하의 주파수로 진동시키는, 바이브레이션 장치.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브레이션 유닛은, 에어 압력으로 구동되는 에어 바이브레이터, 또는 보이스 코일 모터로 구동되는 바이브레이터를 갖는, 바이브레이션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외주의 복수 개소에 고정된 복수의 디스트리뷰터를 구비하고,
    상기 바이브레이션 유닛은, 상기 복수의 디스트리뷰터를 통하여 상기 플레이트의 외주의 복수 개소를 상기 플레이트의 외측으로부터 진동시키는, 바이브레이션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주위를 고정한 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바이브레이션 유닛은, 상기 플레이트의 주위가 상기 베이스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플레이트의 외주의 복수 개소를 상기 플레이트의 외측으로부터 진동시키는, 바이브레이션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브레이션 유닛은,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의 고정 개소를 지지점으로 해서 상기 플레이트를 진동시키는, 바이브레이션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브레이션 유닛은, 상기 플레이트를 정상파로 상하 방향으로만 진동시켜,
    상기 플레이트의 상하 방향만의 진동에 의해, 상기 부품이 상하 방향으로 점프하는, 바이브레이션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바이브레이션 장치를 구비한 진동 투입 장치.
  13. 복수의 바이브레이터를 갖는 바이브레이션 유닛에 의해, 평판과 평판의 외주 주위에 마련된 프레임으로 갖는 플레이트의 외주의 복수 개소를 상기 플레이트의 외측 위치로부터 동일 주파수로 상하로 진동시켜, 상기 플레이트를 정상파로 진동시켜, 상기 플레이트의 위에서 부품을 점프시키는 바이브레이션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브레이션 유닛은, 상기 플레이트의 외주의 복수 개소에 고정된 복수의 디스트리뷰터를 통하여 상기 플레이트의 외주의 복수 개소를 진동시키는 바이브레이션 방법.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브레이션 유닛은, 상기 플레이트의 주위가 베이스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플레이트의 외주의 복수 개소를 상기 플레이트의 외측으로부터 진동시키는, 바이브레이션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브레이션 유닛은,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의 고정 개소를 지지점으로 해서 상기 플레이트를 진동시키는, 바이브레이션 방법.
KR1020217035367A 2018-10-31 2018-10-31 바이브레이션 장치, 바이브레이션 방법 및 진동 투입 장치 KR1024063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8/040518 WO2020090036A1 (ja) 2018-10-31 2018-10-31 バイブレーション装置、バイブレーション方法、スクリーン印刷装置、振動振込装置、及び、マテリアルハンドリング装置
KR1020207014270A KR102353752B1 (ko) 2018-10-31 2018-10-31 바이브레이션 장치, 바이브레이션 방법, 스크린 인쇄 장치, 진동 투입 장치 및 머티어리얼 핸들링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4270A Division KR102353752B1 (ko) 2018-10-31 2018-10-31 바이브레이션 장치, 바이브레이션 방법, 스크린 인쇄 장치, 진동 투입 장치 및 머티어리얼 핸들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4084A true KR20210134084A (ko) 2021-11-08
KR102406310B1 KR102406310B1 (ko) 2022-06-13

Family

ID=70462560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4270A KR102353752B1 (ko) 2018-10-31 2018-10-31 바이브레이션 장치, 바이브레이션 방법, 스크린 인쇄 장치, 진동 투입 장치 및 머티어리얼 핸들링 장치
KR1020217035367A KR102406310B1 (ko) 2018-10-31 2018-10-31 바이브레이션 장치, 바이브레이션 방법 및 진동 투입 장치
KR1020207014273A KR102345276B1 (ko) 2018-10-31 2019-04-03 바이브레이션 장치, 바이브레이션 방법 및 스크린 인쇄 장치
KR1020207014275A KR102345274B1 (ko) 2018-10-31 2019-10-10 바이브레이션 장치, 바이브레이션 방법 및 스크린 인쇄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4270A KR102353752B1 (ko) 2018-10-31 2018-10-31 바이브레이션 장치, 바이브레이션 방법, 스크린 인쇄 장치, 진동 투입 장치 및 머티어리얼 핸들링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4273A KR102345276B1 (ko) 2018-10-31 2019-04-03 바이브레이션 장치, 바이브레이션 방법 및 스크린 인쇄 장치
KR1020207014275A KR102345274B1 (ko) 2018-10-31 2019-10-10 바이브레이션 장치, 바이브레이션 방법 및 스크린 인쇄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4) JP6959683B2 (ko)
KR (4) KR102353752B1 (ko)
CN (4) CN113844160A (ko)
TW (3) TWI708686B (ko)
WO (3) WO20200900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094125A (ja) * 2019-12-16 2021-06-24 株式会社三洋物産 遊技機
JP2021094123A (ja) * 2019-12-16 2021-06-24 株式会社三洋物産 遊技機
CN113147161B (zh) * 2021-04-14 2022-10-04 绍兴市柯桥区众诚印染有限公司 一种斜圆网印花的浆料循环设备
WO2022254804A1 (ja) * 2021-06-01 2022-12-08 マイクロ・テック株式会社 楕円振動装置、バイブレーション方法、ワーク分離装置、振動振込装置、ワーク振動装置、及び、スクリーン印刷装置
WO2023152908A1 (ja) * 2022-02-10 2023-08-17 マイクロ・テック株式会社 上下振動装置、上下振動方法、部品供給装置、部品供給方法、及び、スクリーン印刷装置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46637B2 (ko) 1975-12-10 1982-10-04
JPH08197709A (ja) 1995-01-24 1996-08-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キージ方法およびスキージを有する印刷機
JPH09283910A (ja) 1996-04-10 1997-10-31 Hitachi Ltd はんだペーストの穴埋め印刷機及び印刷方法
JPH1058647A (ja) 1996-08-14 1998-03-03 Tani Denki Kogyo Kk スクリーン印刷におけるスクリーン剥離方法及びその補助装置
KR20010080228A (ko) * 1998-10-21 2001-08-22 추후기재 바이브레이터 조립체
JP2003220530A (ja) 2002-01-22 2003-08-05 Kumakura:Kk 超音波振動並びに吸着機能を備えた加工振動テーブル装置
JP2005506170A (ja) * 2001-02-23 2005-03-03 クオリティー リサーチ、デベロップメント アンド コンサルティング、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ふるい機
JP2005153083A (ja) * 2003-11-26 2005-06-16 Ricoh Co Ltd 部品接合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7216372A (ja) 2006-02-17 2007-08-30 Kumakura:Kk 超音波加振ユニット・超音波加振テーブルユニット・超音波加振水槽ユニット・超音波加振ホーンユニット
JP2010149301A (ja) 2008-12-24 2010-07-08 Namics Corp スクリーン印刷方法及びその装置
JP2011091776A (ja) * 2009-10-26 2011-05-06 Canon Inc 振動装置、該振動装置を有する駆動装置、塵埃除去装置及び光学機器
JP2017094264A (ja) 2015-11-24 2017-06-01 エクセン株式会社 振動装置及びその振動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2414A (en) * 1970-10-01 1975-09-02 Peter Zimmer Screen printer using vibration to improve ink penetration
JPS5987333A (ja) * 1982-11-12 1984-05-19 Aidetsukusu Kk 振動試験器
JPS63199643A (ja) 1987-02-13 1988-08-18 Mitsubishi Electric Corp 印刷装置
JPH03277188A (ja) * 1990-03-26 1991-12-09 Koganei Ltd 超音波リニアモータ
JPH08183155A (ja) * 1994-12-29 1996-07-16 Taiyo Yuden Co Ltd ペースト印刷方法及び装置
JPH08300612A (ja) * 1995-05-11 1996-11-19 Kokusai Electric Co Ltd クリームはんだ印刷装置
JP3948636B2 (ja) * 1996-01-25 2007-07-25 株式会社カイジョー 物体浮揚装置を具備した物体搬送装置
JP3478958B2 (ja) * 1997-11-28 2003-12-15 株式会社 日立インダストリイズ スクリーン印刷装置および印刷方法並びにマスククリーニング方法
JP2000304900A (ja) * 1999-04-22 2000-11-02 Natl Food Res Inst 電子線照射装置と粒状体殺菌方法
JP4565083B2 (ja) * 1999-05-31 2010-10-20 本多電子株式会社 超音波フルイ装置
JP3967855B2 (ja) * 1999-09-28 2007-08-29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物体浮揚装置
JP2001097529A (ja) * 1999-09-28 2001-04-10 Toyota Autom Loom Works Ltd 物体浮揚装置
JP2002166341A (ja) * 2000-11-28 2002-06-11 Mikuni Adec Corp 超音波を用いた研磨装置
JP2002167026A (ja) * 2000-12-01 2002-06-11 Toyota Industries Corp 物体浮揚搬送装置
JP4639308B2 (ja) * 2001-08-30 2011-02-23 本多電子株式会社 超音波フルイ装置
ES2339565T3 (es) 2002-02-01 2010-05-21 KOENIG &amp; BAUER AKTIENGESELLSCHAFT Procedimiento para reducir las vibraciones en componentes rotatorios de una maquina de mecanizado.
JP2003305824A (ja) * 2002-04-12 2003-10-28 Compeq Manufacturing Co Ltd はんだペーストステンシル印刷装置
JP3963132B2 (ja) 2002-07-12 2007-08-22 松下電工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
JP3885205B2 (ja) * 2002-09-10 2007-02-21 俊次 村野 スクリーン印刷機
US20040123750A1 (en) * 2002-12-31 2004-07-01 Rezaei Frederick F. Sonic screen printing
JP2004260347A (ja) 2003-02-24 2004-09-16 Alps Electric Co Ltd 電気音響変換装置
CN100407371C (zh) * 2003-08-29 2008-07-30 株式会社尼康 曝光装置和器件加工方法
JP2005119839A (ja) * 2003-10-17 2005-05-12 Toyota Industries Corp 物体浮揚装置
JP2005238723A (ja) 2004-02-27 2005-09-08 Fujitsu Ltd 印刷装置及び印刷版
JP2005288789A (ja) * 2004-03-31 2005-10-20 Protec Co Ltd スクリーン印刷機
JP2006210265A (ja) * 2005-01-31 2006-08-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機械スイッチ
JP4134075B2 (ja) * 2005-03-14 2008-08-13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音波浮揚装置
JP2007307632A (ja) * 2006-05-16 2007-11-29 Saitama Univ 超音波カッター
JP2009126114A (ja) 2007-11-27 2009-06-11 Toppan Printing Co Ltd 印刷装置及びマスクプリント配線基板の製造方法
JP5076922B2 (ja) * 2008-01-25 2012-11-21 株式会社日立プラントテクノロジー ハンダボール印刷装置
JP4759637B2 (ja) * 2008-12-22 2011-08-31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振動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機器
JP2010221409A (ja) 2009-03-19 2010-10-07 Riso Kagaku Corp スクリーン印刷装置
GB0919580D0 (en) * 2009-11-09 2009-12-23 Dtg Int Gmbh Screen printing
US20120042795A1 (en) * 2010-08-23 2012-02-23 Prec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inting on a substrate
JP2013067043A (ja) * 2011-09-21 2013-04-18 Toppan Printing Co Ltd スクリーン印刷装置
JP5987333B2 (ja) 2012-02-02 2016-09-07 日本電気株式会社 コネクタカバー付きアレイ装置用hddトレー、インタフェースコネクタカバー、
JP5965681B2 (ja) * 2012-03-09 2016-08-10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振動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機器
JP2013233009A (ja) 2012-04-27 2013-11-14 Nikon Corp ボイスコイルモーター及び電子機器
JP5895130B2 (ja) * 2012-10-24 2016-03-3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スクリーン印刷機及びスクリーン印刷方法
CA2910431C (en) * 2013-04-26 2017-07-11 Nissan Motor Co., Ltd. Screen printing apparatus with ink recovery mechanism and related method
JP2015032656A (ja) * 2013-08-01 2015-02-16 東レ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基板浮上装置
JP6626283B2 (ja) * 2015-07-24 2019-12-25 キオクシア株式会社 インプリント装置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46637B2 (ko) 1975-12-10 1982-10-04
JPH08197709A (ja) 1995-01-24 1996-08-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キージ方法およびスキージを有する印刷機
JPH09283910A (ja) 1996-04-10 1997-10-31 Hitachi Ltd はんだペーストの穴埋め印刷機及び印刷方法
JPH1058647A (ja) 1996-08-14 1998-03-03 Tani Denki Kogyo Kk スクリーン印刷におけるスクリーン剥離方法及びその補助装置
KR20010080228A (ko) * 1998-10-21 2001-08-22 추후기재 바이브레이터 조립체
JP2005506170A (ja) * 2001-02-23 2005-03-03 クオリティー リサーチ、デベロップメント アンド コンサルティング、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ふるい機
JP2003220530A (ja) 2002-01-22 2003-08-05 Kumakura:Kk 超音波振動並びに吸着機能を備えた加工振動テーブル装置
JP2005153083A (ja) * 2003-11-26 2005-06-16 Ricoh Co Ltd 部品接合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7216372A (ja) 2006-02-17 2007-08-30 Kumakura:Kk 超音波加振ユニット・超音波加振テーブルユニット・超音波加振水槽ユニット・超音波加振ホーンユニット
JP2010149301A (ja) 2008-12-24 2010-07-08 Namics Corp スクリーン印刷方法及びその装置
JP2011091776A (ja) * 2009-10-26 2011-05-06 Canon Inc 振動装置、該振動装置を有する駆動装置、塵埃除去装置及び光学機器
JP2017094264A (ja) 2015-11-24 2017-06-01 エクセン株式会社 振動装置及びその振動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042021A (ja) 2022-03-11
KR102406310B1 (ko) 2022-06-13
JPWO2020090404A1 (ja) 2021-02-15
KR20200072529A (ko) 2020-06-22
CN111386156B (zh) 2021-10-22
JP6959683B2 (ja) 2021-11-05
WO2020090135A1 (ja) 2020-05-07
WO2020090036A1 (ja) 2020-05-07
CN111386198B (zh) 2022-03-15
WO2020090404A1 (ja) 2020-05-07
CN111405984A (zh) 2020-07-10
CN111405984B (zh) 2022-03-08
JPWO2020090135A1 (ja) 2021-02-15
CN111386156A (zh) 2020-07-07
JP7368862B2 (ja) 2023-10-25
TW202026170A (zh) 2020-07-16
KR102345274B1 (ko) 2021-12-31
KR20200072528A (ko) 2020-06-22
TWI714114B (zh) 2020-12-21
KR102345276B1 (ko) 2021-12-31
TWI708686B (zh) 2020-11-01
TWI708687B (zh) 2020-11-01
KR102353752B1 (ko) 2022-01-20
TW202017758A (zh) 2020-05-16
JP6989984B2 (ja) 2022-01-12
CN113844160A (zh) 2021-12-28
CN111386198A (zh) 2020-07-07
KR20200072527A (ko) 2020-06-22
JP6864782B2 (ja) 2021-04-28
JPWO2020090036A1 (ja) 2021-02-15
TW202017757A (zh) 2020-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6310B1 (ko) 바이브레이션 장치, 바이브레이션 방법 및 진동 투입 장치
RU2017146160A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3d-печати
CN110253895B (zh) 振动焊接装置及其用途和制造方法、及通过其连接至少两个细长部件的方法
CN105478331A (zh) 多种振动形式的机械振动平台
KR20170117332A (ko) 물품 반송 장치
KR101231780B1 (ko) 진동식 부품 정렬 장치
WO1994017947A1 (en) Die sinking electrical discharge apparatus
WO2022254804A1 (ja) 楕円振動装置、バイブレーション方法、ワーク分離装置、振動振込装置、ワーク振動装置、及び、スクリーン印刷装置
KR20240070591A (ko) 상하 진동 장치, 상하 진동 방법, 부품 공급 장치, 부품 공급 방법 및 스크린 인쇄 장치
KR101552443B1 (ko) 물체 피딩 장치
WO2023152908A1 (ja) 上下振動装置、上下振動方法、部品供給装置、部品供給方法、及び、スクリーン印刷装置
JPS63274835A (ja) ロツキング振動発生装置
JPH0450160B2 (ko)
JP2002087574A (ja) 物体浮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