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2362A - 페이스트 도포 장치 - Google Patents

페이스트 도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2362A
KR20210112362A KR1020217024965A KR20217024965A KR20210112362A KR 20210112362 A KR20210112362 A KR 20210112362A KR 1020217024965 A KR1020217024965 A KR 1020217024965A KR 20217024965 A KR20217024965 A KR 20217024965A KR 20210112362 A KR20210112362 A KR 202101123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ped member
belt
unit
electronic components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4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3111B1 (ko
Inventor
에이지 사토
히토시 사카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크리에이티브 코팅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크리에이티브 코팅즈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크리에이티브 코팅즈
Publication of KR20210112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23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3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3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3/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apacitors;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apaci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G4/00 - H01G11/00
    • H01G13/006Apparatus or processes for applying termin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 B05C1/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eparate articles
    • B05C1/027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eparate articles only at particular parts of th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3/00Means for manipulating or holding work, e.g. for separate articles
    • B05C13/02Means for manipulating or holding work, e.g. for separate articles for partic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3/00Apparatus in which the work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a bulk quantity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3/18Apparatus in which the work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a bulk quantity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only one side of the work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3/00Apparatus in which the work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a bulk quantity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3/20Apparatus in which the work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a bulk quantity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only at particular parts of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9/00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 B05C9/04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opposite sides of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9/00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 B05C9/08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nd performing an auxiliary operation
    • B05C9/14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nd performing an auxiliary operation the auxiliary operation involving 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6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exposure to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12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mechan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7/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resis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3/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apacitors;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apaci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G4/00 - H01G11/0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228Terminals
    • H01G4/232Terminals electrically connecting two or more layers of a stacked or rolled capacitor
    • H01G4/2325Terminals electrically connecting two or more layers of a stacked or rolled capacit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30Stacked capac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2203/00Other substrates
    • B05D2203/30Other inorganic substrates, e.g. ceramics, silic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228Terminals
    • H01G4/232Terminals electrically connecting two or more layers of a stacked or rolled capaci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Encapsulation Of And Coatings For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AREA)
  • Die Bonding (AREA)
  • Apparatuses And Processes For Manufacturing Resistors (AREA)

Abstract

페이스트 도포 장치(10, 1000)는 제1 띠형상 부재(20)를 반송 이동하는 제1 반송 이동부(30, 30A)와, 제1 띠형상 부재에 복수개의 전자부품(1) 각각의 일단부(2a)를 접합하는 장착부(100, 1100)와, 제1 띠형상 부재에 장착된 복수개의 전자부품 각각의 타단부(2b)에 페이스트를 도포하는 제1 도포부(200, 1200)와, 페이스트를 건조하는 제1 건조부(300, 1300)와, 제2 띠형상 부재(40)를 반송 이동하는 제2 반송 이동부(50, 50A)와, 복수개의 전자부품을 제1 띠형상 부재로부터 제2 띠형상 부재로 옮겨 바꾸는 옮겨 바꿈부(400, 1400)와, 제2 띠형상 부재에 장착된 복수개의 전자부품 각각의 일단부에 페이스트를 도포하는 제2 도포부(500, 1500)와, 페이스트를 건조하는 제2 건조부(600, 1600)와, 제2 띠형상 부재를 권취하여 회수하는 회수부(700, 1700)를 가진다.

Description

페이스트 도포 장치
본 발명은 페이스트 도포 장치 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는 예를 들면 적층 세라믹 콘덴서·인덕터·서미스터 등의 전자부품의 단부(端部)에 페이스트, 예를 들면 도전 페이스트 침지 도포하여, 전자부품에 외부전극을 형성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특허문헌 1, 2).
종래, 페이스트 도포 장치는 예를 들면 고무판 상의 2차원 면에 직교 2축을 따라 복수개의 구멍을 가지며, 이 구멍에 전자부품이 감합(嵌合) 지지되는 지그(jig)를 이용하여, 한번에 다수개의 전자부품에 페이스트를 도포했었다(특허문헌 2).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롤투롤 방식을 채용하는 것이 각종 분야에서 다수 제안되고 있다. 이들은 모두 롤투롤 방식으로 반송되는 시트 자체가 피(被)처리체이다. 즉, 롤투롤 방식으로 반송되는 시트 또는 필름 기판 상에, 전자부품을 위한 각종 막을 성막(成膜)하여 적층하는 것이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2-23740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6-100459호
페이스트 도포의 대상인 적층 세라믹 콘덴서 등의 전자부품은 개개로 분단된 미소(微小) 사이즈의 전자부품이다. 그 때문에, 개개로 분단된 미소 사이즈의 전자부품을 핸들링하기 위해서는 상술된 고무판 등의 지그가 이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지그를 핸들링하여 각 공정에 반송하기 위해서는 시간을 요하는 데다가 반송 기구도 복잡화된다.
본 발명의 몇 가지 양태는 생산성을 각별히 향상시킬 수 있는 페이스트 도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본 발명의 한 양태는,
제1 띠형상 부재를 반송 이동하는 제1 반송 이동부와,
정지된 상기 제1 띠형상 부재에 복수개의 전자부품 각각의 일단(一端)부를 접합하여 상기 복수개의 전자부품을 상기 제1 띠형상 부재에 장착하는 장착부와,
정지된 상기 제1 띠형상 부재에 장착된 상기 복수개의 전자부품 각각의 타단(他端)부에 페이스트를 도포하는 제1 도포부와,
상기 제1 반송 이동부에 의해 상기 제1 띠형상 부재를 반송 이동하면서 상기 복수개의 전자부품 각각의 상기 타단부에 도포된 상기 페이스트를 건조하는 제1 건조부와,
제2 띠형상 부재를 반송 이동하는 제2 반송 이동부와,
건조된 상기 페이스트를 상기 타단부에 가지는 상기 복수개의 전자부품 각각의 상기 타단부를 상기 제2 띠형상 부재에 접합하고, 상기 복수개의 전자부품 각각의 상기 일단부를 상기 제1 띠형상 부재로부터 떼어 놓아, 상기 복수개의 전자부품을 상기 제1 띠형상 부재로부터 상기 제2 띠형상 부재로 옮겨 바꾸는 옮겨 바꿈부와,
정지된 상기 제2 띠형상 부재에 장착된 상기 복수개의 전자부품 각각의 상기 일단부에 페이스트를 도포하는 제2 도포부와,
상기 제2 반송 이동부에 의해 상기 제2 띠형상 부재를 반송 이동하면서, 상기 복수개의 전자부품 각각의 상기 일단부에 도포된 상기 페이스트를 건조하는 제2 건조부와,
상기 제2 띠형상 부재를 회수하는 회수부를 가지는 페이스트 도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복수개의 전자부품은 제1 반송 이동부에 의해 반송 이동되는 제1 띠형상 부재, 또는 제2 반송 이동부에 의해 반송 이동되는 제2 띠형상 부재에 접합되어서 반송되므로, 고무판 등의 지그를 반송할 필요가 없어, 생산성이 향상된다. 제1 반송 이동부에 의해 반송 이동되는 제1 띠형상 부재는 장착부에 의해 복수개의 전자부품의 일단부가 접합되고, 복수개의 전자부품을 직접 반송한다. 제1 도포부는 제1 띠형상 부재에 접합된 전자부품의 타단부에 페이스트를 도포한다. 제1 건조부는 전자부품의 타단부에 도포된 페이스트를 건조한다. 옮겨 바꿈부는 복수개의 전자부품을 제1 띠형상 부재로부터 상기 제2 띠형상 부재로 옮겨 바꾼다. 제2 반송 이동부에 의해 반송 이동되는 제2 띠형상 부재는 건조된 페이스트를 가지는 타단부가 제2 띠형상 부재에 접합되어 복수개의 전자부품을 직접 반송한다. 제2 도포부는 제2 띠형상 부재에 접합된 전자부품의 일단부에 페이스트를 도포한다. 제2 건조부는 전자부품의 일단부에 도포된 페이스트를 건조한다. 처리가 종료된 제2 띠형상 부재는 회수부로 회수된다. 한편, 회수되는 제2 띠형상 부재에는 전자부품이 접합된 채여도 되지만, 전자부품을 이탈시킨 후의 제2 띠형상 부재를 회수해도 된다.
(2) 본 발명의 한 양태(1)에서는,
상기 장착부보다도 상기 제1 띠형상 부재의 제1 반송 이동 방향의 상류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띠형상 부재가 권회(卷回)된 제1 롤과,
상기 옮겨 바꿈부보다도 상기 제1 반송 이동 방향의 하류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띠형상 부재가 권취(券取)되는 제2 롤과,
상기 옮겨 바꿈부보다도 상기 제2 띠형상 부재의 제2 반송 이동 방향의 상류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띠형상 부재가 권회된 제3 롤과,
상기 회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띠형상 부재가 권취되는 제4 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로써, 복수개의 전자부품을 1배치(batch) 처리분으로 하여, 복수 배치 처리분의 전자부품을 제1 띠형상 부재의 롤투롤 방식 및 제2 띠형상 부재의 롤투롤 방식에 의해, 순차 반송하여 처리할 수 있다.
(3) 본 발명의 한 양태(2)에서는,
상기 제1 건조부는 상기 제1 띠형상 부재의 폭방향의 양 단부에서 상기 제1 띠형상 부재의 제1 면과 접촉하는 한 쌍의 제1 무단(無端) 벨트와,
상기 제1 띠형상 부재의 폭방향의 양 단부에서 상기 제1 띠형상 부재의 제2 면과 접촉하는 한 쌍의 제2 무단 벨트와,
상기 한 쌍의 제1 무단 벨트에 굴림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구동 롤러와,
상기 한 쌍의 제2 무단 벨트에 굴림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구동 롤러를 가지며,
상기 한 쌍의 제1 무단 벨트 및 상기 한 쌍의 제2 무단 벨트에 의해 상기 제1 띠형상 부재의 상기 양 단부를 끼워서 상기 제1 띠형상 부재를 반송 이동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제1 띠형상 부재의 폭방향의 양 단부를 한 쌍의 제1 무단 벨트 및 한 쌍의 제2 무단 벨트로 끼워서 제1 띠형상 부재가 반송된다. 따라서, 반송 이상 시에 제1 띠형상 부재를 절단해도 제1 띠형상 부재를 반송할 수 있다. 제2 건조부도 제1 건조부와 마찬가지로 구성할 수 있다.
(4) 본 발명의 한 양태(1)~(3)에서는 상기 장착부가 배치되는 장착 유닛과, 상기 제1 도포부가 배치되는 제1 도포 유닛과, 상기 제1 건조부가 배치되는 제1 건조 유닛과, 상기 옮겨 바꿈부가 배치되는 옮겨 바꿈 유닛과, 상기 제2 도포부가 배치되는 제2 도포 유닛과, 상기 제2 건조부가 배치되는 제2 건조 유닛과, 상기 회수부가 배치되는 회수 유닛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유닛을, 그 순번으로 배치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유닛 단위로 운반함으로써 운반 공간이 공간절약이 된다. 또한, 현장에서 서로 이웃하는 유닛 사이를 제1 띠형상 부재 또는 제2 띠형상 부재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조립성도 향상된다.
(5) 본 발명의 한 양태(4)에서는 상기 제1 반송 이동부는 상기 복수개의 유닛 중, 상기 제1 띠형상 부재의 제1 반송 이동 방향의 상류와 하류에 인접 배치되는 각 2개의 유닛 중 한쪽에 승강 이동되는 제1 텐션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반송 이동부는 상기 복수개의 유닛 중, 상기 제2 띠형상 부재의 제2 반송 이동 방향의 상류와 하류에 인접 배치되는 각 2개의 유닛 중 한쪽에 승강 이동되는 제2 텐션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인접하는 2개의 유닛에서 복수개의 전자부품의 비동기적인 반송 또는 비동기적인 정지에 의해 생기는, 제1 띠형상 부재 및 제2 띠형상 부재의 휨 또는 텐션을 제1 또는 제2 텐션 롤러의 승강 이동에 의해 해소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예를 들면, 제1 도포부에서는 간헐 반송, 제1 건조부에서는 연속 반송이 가능해진다. 제1 도포부와 제1 건조부 사이에 마련되는 제1 텐션 롤러의 승강 이동에 의해, 제1 띠형상 부재를 휘게 하지 않고 쌓을 수 있기 때문이다.
(6) 본 발명의 한 양태(1)~(5)에서는 상기 제1 건조부 및 상기 제2 건조부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제1 띠형상 부재 및 상기 제2 띠형상 부재 중 적어도 한쪽을, 복수개의 롤러에 의해 반송 방향을 변환시켜서 사행(蛇行)하여 반송하는 사행 반송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건조 시간을 확보하면서 비교적 좁은 공간에서 건조할 수 있고, 장치가 소형화된다.
(7) 본 발명의 한 양태(1)~(6)에서는 상기 제1 도포부 및 상기 제2 도포부 중 적어도 한쪽은 제1 정반(定盤)에 마련된 평탄면에 형성된 페이스트의 딥(dip)층을, 상기 복수개의 전자부품을 향해 상대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로써, 종래의 지그를 이용한 신뢰성이 높은 딥 도포를 지그를 이용하지 않고, 제1, 제2 띠형상 부재를 이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8) 본 발명의 한 양태(7)에서는 상기 제1 도포부 및 상기 제2 도포부 중 적어도 한쪽은 제2 정반에 마련된 평탄면을 상기 복수개의 전자부품을 향해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복수개의 전자부품에 형성된 상기 페이스트와 접촉시켜서 상기 페이스트를 평탄화할 수 있다. 이로써, 전자부품에 도포된 페이스트를 평탄화하는 블롯(blot) 공정을 실시할 수 있다.
(9) 본 발명의 한 양태(1)~(8)에서는,
상기 옮겨 바꿈부는,
상기 제1 띠형상 부재 및 상기 제2 띠형상 부재의 대향면 사이에 상기 복수개의 전자부품을 배치시켜서, 상기 제2 띠형상 부재의 상기 대향면과는 다른 면을 흡착하는 흡착부와,
상기 제1 띠형상 부재 및 상기 제2 띠형상 부재 중 적어도 한쪽을 다른 쪽을 향해 이동시켜서, 상기 복수개의 전자부품을 상기 제2 띠형상 부재에 접합시키는 이동부와,
상기 제2 띠형상 부재에 접합된 상기 복수개의 전자부품으로부터, 상기 제1 반송 이동부에 의해 반송 이동되는 상기 제1 띠형상 부재를 박리시키도록 상기 제1 띠형상 부재를 안내하는 박리 안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제1 띠형상 부재로 반송된 복수개의 전자부품은 일단 제1 및 제2 띠형상 부재 쌍방에 접합된 후에 제1 띠형상 부재가 박리됨으로써, 제1 띠형상 부재로부터 제2 띠형상 부재로 넘겨진다.
(10) 본 발명의 한 양태(9)에서는 상기 박리 안내부는 상기 제1 띠형상 부재의 반송 방향을 예각적으로 변경하는 반송 방향 변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띠형상 부재의 반송 방향을 예각적으로 변경함으로써, 복수개의 전자부품으로부터 제1 띠형상 부재를 박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11) 본 발명의 한 양태(9) 또는 (10)에서는 상기 제2 띠형상 부재의 접합력은 상기 제1 띠형상 부재의 접합력보다도 크게 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옮겨 바꿈부에서 복수개의 전자부품을 제1 띠형상 부재로부터 제2 띠형상 부재로 옮겨 바꾸기 쉬워진다.
(12) 본 발명의 한 양태(1)~(11)에서는 상기 장착부에서 상기 제1 띠형상 부재에 동시에 장착되는 상기 복수개의 전자부품은 1배치분의 전자부품이며, 상기 제1 띠형상 부재 및 상기 제2 띠형상 부재에는 상기 1배치분의 전자부품 단위로 다른 배치ID가 붙여져도 된다. 이렇게 하면, 제1 띠형상 부재 또는 제2 띠형상 부재에 접합된 전자부품을 배치 단위로 관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13) 본 발명의 한 양태(12)에서는 상기 제1 띠 부재 및/또는 상기 제2 띠형상 부재에 접합된 상기 1배치분의 전자부품 중 적어도 하나를 촬상하는 촬상부와,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전자부품이 속하는 배치의 배치ID를 판독하는 제1 ID 판독부와, 상기 옮겨 바꿈부에 배치되며, 상기 1배치분의 전자부품이 옮겨 바꿔지는 상기 제1 띠형상 부재와 상기 제2 띠형상 부재 각각의 배치ID를 판독하는 제2 ID 판독부를 가질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촬상부에서의 촬상 결과에 기초하여 양품/불량품으로 판별되는 1배치분의 전자부품을 제1 ID 판독부 및 제2 ID 판독부로 판독되는 배치ID에 의해 관리할 수 있다.
(14) 본 발명의 한 양태(13)에서는 상기 회수부는 상기 제2 띠형상 부재에 부여된 상기 배치ID를 판독하는 제3 ID 판독부와, 상기 촬상부에서의 촬상 결과에 기초하여 양품/불량품으로 판별되는 상기 1배치분의 전자부품을, 상기 제3 ID 판독부에서 판독되는 상기 배치ID에 기초하여 좋고 나쁨을 판정하여, 상기 제2 띠형상 부재로부터 이탈되는 상기 1배치분의 전자부품을 양품/불량품으로 분별하여 회수하는 부품 회수부를 가질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촬상부에서의 촬상 결과에 기초하여 양품/불량품으로 판별되는 1배치분의 전자부품마다 양품/불량품으로 분별하여 회수할 수 있다.
(15)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띠형상 부재를 반송 이동하는 반송 이동부와,
정지된 상기 띠형상 부재에 복수개의 전자부품 각각의 일단부를 접합하여, 상기 복수개의 전자부품을 상기 띠형상 부재에 장착하는 장착부와,
정반에 형성된 페이스트의 딥층을, 정지된 상기 띠형상 부재에 장착된 상기 복수개의 전자부품에 상대적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복수개의 전자부품 각각의 타단부에 상기 페이스트를 도포하는 도포부와,
상기 반송 이동부에 의해 상기 띠형상 부재를 반송 이동하면서, 상기 복수개의 전자부품 각각의 상기 타단부에 도포된 페이스트재를 건조하는 건조부를 가지는 페이스트 도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복수개의 전자부품은, 반송 이동부에 의해 반송 이동되는 띠형상 부재에 접합되어서 반송되므로, 고무판 등의 지그를 이용할 필요가 없어, 생산성이 향상된다. 반송 이동부에 의해 반송 이동되는 띠형상 부재는 장착부에 의해 복수개의 전자부품의 일단부가 접합되고, 복수개의 전자부품을 직접 반송한다. 도포부는 띠형상 부재에 접합된 전자부품의 타단부에 페이스트를 도포한다. 건조부는 전자부품의 타단부에 도포된 페이스트를 건조한다. 이렇게 하여, 복수개의 전자부품의 편방(片方)의 단부에 페이스트를 도포하고, 그 페이스트를 건조시킬 수 있다. 복수개의 전자부품의 또 다른 편방의 단부에 페이스트를 도포하기 위해서는 페이스트가 도포된 단부를 띠형상 부재에 접합하여, 복수개의 전자부품을 띠형상 부재에 의해 다시 반송하면 된다.
(16)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평탄면을 가지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를 간헐적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와,
상기 평탄면에 상기 딥층을 형성하는 딥층 형성부와,
상기 평탄면에 형성된 상기 딥층을, 띠형상 부재에 접합된 상기 복수개의 전자부품을 향해 상기 회전체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복수개의 전자부품과 접촉시키는 이동부와,
상기 복수개의 전자부품과 접촉된 상기 딥층이 형성된 상기 평탄면으로부터 상기 딥층을 제거하는 제거부를 가지는 페이스트 도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른 페이스트 도포 장치에 따르면, 회전 구동부와 이동부에 의해 이동되는 평탄면에 순차 형성되는 딥층을 띠형상 부재에 접합되어 간헐적으로 반송되는 다수 배치 처리분의 전자부품에 순차 접촉시킬 수 있다.
(17)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복수개의 전자부품을, 상기 복수개의 전자부품 각각의 일단부와 접합되어, 상기 복수개의 전자부품을 지지하는 제1 띠형상 부재로부터, 상기 복수개의 전자부품 각각의 타단부와 접합되는 제2 띠형상 부재로 옮겨 바꾸는 전자부품의 옮겨 바꿈 장치로서,
상기 제1 띠형상 부재 및 상기 제2 띠형상 부재의 상대면 사이에 상기 복수개의 전자부품을 배치시켜서, 상기 제2 띠형상 부재의 상기 상대면과는 다른 면을 흡착하는 흡착부와,
상기 제1 띠형상 부재 및 상기 제2 띠형상 부재 중 적어도 한쪽을 다른 쪽을 향해 이동시켜서, 상기 복수개의 전자부품을 상기 제2 띠형상 부재에 접합시키는 이동부와,
상기 제2 띠형상 부재에 접합된 상기 복수개의 전자부품으로부터 상기 제1 띠형상 부재를 박리시키도록, 상기 제1 띠형상 부재를 반송 이동 안내하는 박리 안내부를 포함하는 전자부품의 옮겨 바꿈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른 전자부품의 옮겨 바꿈 장치에 따르면, 제1 띠형상 부재로 반송된 복수개의 전자부품은 일단 제1 및 제2 띠형상 부재 쌍방에 접합된 후에 제1 띠형상 부재가 박리됨으로써, 제1 띠형상 부재로부터 제2 띠형상 부재로 넘겨진다.
(18)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제1 면과, 상기 제1 면과는 반대 측의 제2 면을 가지며,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 중 어느 한쪽에 복수개의 전자부품이 접합되는 띠형상 부재를 반송 이동하는 띠형상 부재의 반송 이동 장치로서,
상기 띠형상 부재의 폭방향의 양 단부에서 상기 띠형상 부재의 상기 제1 면과 접촉하는 한 쌍의 제1 무단 벨트와,
상기 띠형상 부재의 폭방향의 양 단부에서 상기 띠형상 부재의 상기 제2 면과 접촉하는 한 쌍의 제2 무단 벨트와,
상기 한 쌍의 제1 무단 벨트에 굴림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구동 롤러와,
상기 한 쌍의 제2 무단 벨트에 굴림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구동 롤러를 가지며,
상기 한 쌍의 제1 무단 벨트 및 상기 한 쌍의 제2 무단 벨트에 의해 상기 띠형상 부재의 상기 양 단부를 끼워서, 상기 띠형상 부재를 반송 이동하는 띠형상 부재의 반송 이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른 띠형상 부재의 반송 이동 장치에 따르면, 반송 이상 시에 띠형상 부재를 절단해도 띠형상 부재를 반송할 수 있다.
(19)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18)에서는,
상기 한 쌍의 제1 무단 벨트는 상기 제1 구동 롤러와의 요철 걸어맞춤에 의해 반송 안내되고, 상기 한 쌍의 제2 무단 벨트는 상기 제2 구동 롤러와의 요철 걸어맞춤에 의해 반송 안내되어도 된다. 이렇게 하면, 제1, 제2 구동 롤러는 한 쌍의 제1, 제2 무단 벨트를 안내하면서 탈락시키지 않고 반송할 수 있다.
(20)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18) 또는 (19)에서는,
상기 띠형상 부재의 상기 폭방향의 중심영역에서 상기 제1 면에 접촉하는 가이드 롤러를 더 가지며,
상기 띠형상 부재의 상기 제1 면은 상기 중심영역을 상기 복수개의 전자부품의 비접합 영역으로 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띠형상 부재의 중심영역이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전자부품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전자부품의 각종 치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인 페이스트 도포 장치의 개략 설명도이다.
도 4는 띠형상 부재의 폭방향의 양 단부와 접촉하는 롤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제1, 제2 도포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제1, 제2 도포부에 마련되는 회전체와 딥층 형성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딥층 형성부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옮겨 바꿈부의 개략 설명도이다.
도 9는 제3 및 제4 흡착부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옮겨 바꿈부에서 전자부품의 일단부를 제1 띠 부재로부터 떼어 놓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옮겨 바꿈부에서 전자부품의 양 단부를 제1, 2 띠 부재에 접합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제1 건조부에 마련되는 띠형상 부재의 벨트 반송 기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띠형상 부재의 벨트 반송 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벨트 반송 기구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15는 회수부에 배치되는 부품 이탈부를 나타내는 개략 설명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인 페이스트 도포 장치의 개략 설명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나타내는 장착부와 제1 도포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도 16에 나타내는 제1 건조부와 옮겨 바꿈부와 제2 도포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도 16에 나타내는 제2 건조부와 회수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사용되는 제어계의 블록도이다.
이하의 개시에서 제시된 주제의 다른 특징을 실시하기 위한 많은 다른 실시형태나 실시예를 제공한다. 물론 이들은 단순한 예이며, 한정적인 것을 의도하는 것이 아니다. 더욱이, 본 개시에서는 다양한 예에서 참조 번호 및/또는 문자를 반복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반복하는 것은 간결명료하게 하기 위함이며, 그 자체가 다양한 실시형태 및/또는 설명된 구성과의 사이에 관계가 있는 것을 필요로 하는 것이 아니다. 더욱이, 제1 요소가 제2 요소에 "접속된다" 또는 "연결된다"라고 기술할 때, 그와 같은 기술은 제1 요소와 제2 요소가 서로 직접적으로 접속 또는 연결된 실시형태를 포함함과 함께, 제1 요소와 제2 요소가 그 사이에 개재하는 하나 이상의 다른 요소를 가져서 서로 간접적으로 접속 또는 연결된 실시형태도 포함한다. 또한, 제1 요소가 제2 요소에 대하여 "이동한다"라고 기술할 때, 그와 같은 기술은 제1 요소 및 제2 요소 중 적어도 한쪽이 다른 쪽에 대하여 이동하는 상대적인 이동의 실시형태를 포함한다.
1. 전자부품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전자부품(1)을 나타내고, 도 2는 전자부품(1)에 형성된 도전층(4A)의 절단면을 나타낸다. 여기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자부품(1)의 크기에 특별히 제약은 없지만, 다운사이징에 따라 초소형화된 전자부품(1)에 알맞다. 초소형 전자부품(1)으로는, 도 1에 나타내는 예를 들면 직사각형(정방형 또는 장방형) 절단면의 한 변의 최대길이를 L1로 하고, 직사각형 절단면과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를 L2로 했을 때, L1=500㎛ 이하이면서 L2=1000㎛ 이하이다. 바람직하게는 L1=300㎛ 이하이면서 L2=60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L1=200㎛ 이하이면서 L2=40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L1=125㎛ 이하이면서 L2=250㎛ 이하이다. 한편, 여기서 말하는 직사각형이란, 2변이 교차하는 코너가 엄밀하게 90°인 것 외에, 코너가 만곡 또는 모따기된 대략 직사각형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직사각형 절단면 이외의 전자부품(1)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도 2에서, 전자부품(1)은 일단부(2a)와 타단부(2b)를 포함하는 단부(2)에, 도전성 페이스트층으로 이루어지는 전극(4A)이 형성된다. 전자부품(1)의 단부(2)는 단면(2A)과, 측면(2B)과, 단면(2A) 및 측면(2B)을 잇는 모서리부(2C)를 포함한다. 단면(2A)에 형성된 전극(4A)의 실질적으로 균일한 두께(T1)와, 측면(2B)에 형성된 전극(4A)의 실질적으로 균일한 두께(T2)는 실질적으로 T1=T2로 할 수 있다. 또한, 모서리부(2C)에 형성된 전극(4A)의 두께(T3)는 T3≥T1 또는 T3≥T2 혹은 T3<T1 또는 T3<T2로 할 수 있다. 또한, 측면(2B)에 형성되는 전극(4A)의 단면(2A)으로부터의 전극길이를 L3으로 한다. 전극(4A)의 치수(T1~T3 및 L3)의 균일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제1 실시형태
도 3은 페이스트 도포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에서, 페이스트 도포 장치(10)는 제1 장치(10A)와 제2 장치(10B)를 포함한다. 제1 장치(10A)는 일단부(2a)가 접합 지지된 전자부품(1)의 타단부(2b)에 도전성 페이스트를 도포하고 건조하는 장치이다. 제2 장치(10B)는 타단부(2b)가 접합 지지된 전자부품(1)의 일단부(2a)에 도전성 페이스트를 도포하고 건조하는 장치이다. 즉, 페이스트 도포 장치(10)는 전자부품(1)의 양 단부(2a, 2b)에 도전성 페이스트를 도포·건조할 수 있다.
페이스트 도포 장치(10)는 예를 들면 롤투롤 방식으로 제1 띠형상 부재(20)를 예를 들면 간헐적으로 반송 이동하는 제1 반송 이동부(30)와, 예를 들면 롤투롤 방식으로 제2 띠형상 부재(40)를 예를 들면 간헐적으로 반송 이동하는 제2 반송 이동부(50)를 가진다. 페이스트 도포 장치(10)는 제1 롤러(31), 제2 롤러(32), 제3 롤러(51) 및 제4 롤러(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롤러(31)에는 전자부품(1)이 접합되기 전의 제1 띠형상 부재(20)가 권취된다. 제2 롤러(32)에는 일단 접합된 전자부품(1)이 이탈된 후의 제1 띠형상 부재(20)가 권취된다. 제1 반송 이동부(30)는 제1 롤러(31)로부터 제2 롤러(32)를 향해 제1 띠형상 부재(20)를 반송 이동 및/또는 안내 이동하는 복수개의 구동 또는 종동(縱動) 롤러를 포함한다. 제3 롤러(51)에는 전자부품(1)이 접합되기 전의 제2 띠형상 부재(40)가 권취된다. 제4 롤러(52)에는 도포·건조 처리가 종료된 복수개의 전자부품(1)이 장착된 제2 띠형상 부재(40)가 권취된다. 제2 반송 이동부(50)는 제3 롤러(51)로부터 제4 롤러(52)를 향해 제2 띠형상 부재(40)를 반송 이동 및/또는 안내 이동하는 복수개의 구동 또는 종동 롤러를 포함한다. 제2, 제4 롤러(32, 52)는 구동 롤러로 할 수 있다. 제2, 제4 롤러(32, 52) 이외의 구동 롤러에는 제1, 제2 띠형상 부재(20, 40)를 구동력하여 제1, 제2 띠형상 부재(20, 40)에 텐션을 부여하는 텐션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제4 롤러(31, 32, 51, 52)에 권취된 제1 또는 제2 띠형상 부재(20, 40)를 제1~제4 롤(21, 22, 41, 42)이라고 칭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띠형상 부재(20)는 제1, 제2 롤(21, 22) 사이에서 롤투롤 방식에 의해 반송된다. 마찬가지로, 제2 띠형상 부재(40)는 제3, 제4 롤(41, 42) 사이에서 롤투롤 방식에 의해 반송된다.
여기서, 제1, 제2 띠형상 부재(20, 40)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면(20A, 40A)이 접착 또는 점착 등에 의해 전자부품(1)의 단부(2a, 2b)를 접합 가능한 접합면으로 되어 있다. 제1, 제2 띠형상 부재(20, 40)는 접합면(20A, 40A)에 겹쳐진 대지(臺紙)(박리지)를 가져도 되고 가지지 않아도 된다. 대지를 가지는 경우에는 제1, 제2 띠형상 부재(20, 40)의 반송 이동 중에 대지가 벗겨진다. 한편, 제1, 제2 띠형상 부재(20, 40)와 굴림 접하는 롤러는 전자부품(1)과 간섭하지 않도록, 전자부품(1)이 접합되지 않은 편면(비접합면)(20B, 40B)과 접촉하는 롤러(33, 53)(도 1)나, 혹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제2 띠형상 부재(20, 40)의 접합면(20A, 40A) 또는 비접합면(20B, 40B) 중 어느 것에서도 폭방향의 양 단부와 접촉하는 롤러(34, 54)이다. 접합면(20A, 40A)과 접촉하는 롤러는 접합면(20A, 40A)의 접착제 또는 점착제에 접합되지 않는, 또는 접합하기 어려운 롤러면을 가질 수 있다. 혹은, 제1, 제2 띠형상 부재(20, 40) 중 롤러가 접촉하는 영역에는 접착제 또는 점착제를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페이스트 도포 장치(10)의 제1 장치(10A)는 제1 반송 이동부(30)에 의해 반송 이동되는 제1 띠형상 부재(20)의 이동 경로를 따라, 장착부(100), 제1 도포부(200), 제1 건조부(300) 및 옮겨 바꿈부(400)를 가진다. 페이스트 도포 장치(10)의 제2 장치(10B)는 제2 반송 이동부(50)에 의해 반송 이동되는 제2 띠형상 부재(40)의 이동 경로를 따라, 옮겨 바꿈부(400), 제2 도포부(500), 제2 건조부(600) 및 회수부(700)를 가진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페이스트 도포 장치(10)는 장착 유닛(11A)과 제1 도포 유닛(11B)과 건조 유닛(11C)과 옮겨 바꿈/회수 유닛(11D)과 제2 도포 유닛(11E)을 그 순번으로 유닛 간 연결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유닛마다 분해되어 운반되어, 현장에서 도시하지 않는 연결 수단에 의해 유닛 간 연결할 수 있다. 이 경우, 장착 유닛(11A)에는 장착부(100)가 배치되고, 제1 도포 유닛(11B)에는 제1 도포부(200)가 배치되며, 제2 도포 유닛(11E)에는 제2 도포부(500)가 배치된다. 건조 유닛(11C)에는 제1 건조부(300) 및 제2 건조부(600)가 배치된다. 제1 건조부(300) 및 제2 건조부(600)를 공통의 건조실 내에 배치할 수 있다. 그로써, 건조를 위한 열원을 제1 건조부(300) 및 제2 건조부(600)에서 공용할 수 있다. 옮겨 바꿈/회수 유닛(11D)에는 옮겨 바꿈부(400) 및 회수부(700)를 가진다. 회수부(700)를 제2 건조부(600)의 옆에 배치함으로써, 제2 건조부(600)에서 건조된 전자부품(1)을 최단으로 회수할 수 있다.
2.1. 장착부
장착부(100)는 간헐 정지된 제1 띠형상 부재(20)에 복수개의 전자부품(1) 각각의 일단부(2a)를 접합하여, 복수개의 전자부품(1)을 제1 띠형상 부재(20)에 세워서 장착한다. 장착부(100)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특허문헌 2에 나타내진 지그와 마찬가지로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예를 들면 고무제의 지그(101)를 가진다. 지그(101)는 승강이 가능하다. 장착부(100)는 제1 띠형상 부재(20)를 끼워서 지그(101)와 대향하는 기대(基臺) 예를 들면 진공 흡착부(102)를 가질 수 있다. 진공 흡착부(102)는 제1 띠형상 부재(20)의 주행로의 약간 하방의 위치에 예를 들면 고정된다. 제1 롤(21)로부터 보내진 제1 띠형상 부재(20)는 정지되고, 진공 흡착부(102)에 흡착된다. 그 후, 지그(101)를 하강시킨다(넓은 의미로는 제1 띠형상 부재(20)와 진공 흡착부(102)의 상대 이동). 그로써, 지그(101)로부터 돌출된 전자부품(1)의 일단부(2a)가 제1 띠형상 부재(20)에 접합된다. 그 후, 지그(101)가 상승되고, 진공 흡착부(102)에서의 흡착은 해제된다. 이렇게 하여, 복수개의 전자부품(1)은 제1 띠형상 부재(20)에 세워서 장착된다. 한편, 지그(101)에 복수개의 전자부품(1)을 배치하기 위해, 또 하나의 정렬용 지그(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해도 된다. 정렬용 지그에는 개구부가 테이퍼 형상의 구멍이 마련되고, 비정렬 상태의 전자부품(1)이 진동 그 밖의 수법에 의해 정렬용 지그의 구멍에 배치된다. 이 정렬용 지그를 반전시키고, 복수개의 전자부품(1)을 동시에 지그(101)로 옮겨 바꿀 수 있다. 한편, 도 3과는 달리, 위를 향한 돌출이 되도록 전자부품(1)을 정렬 지지한 지그(101)를, 제1 띠형상 부재(20)의 하방으로부터 상승시켜서, 제1 띠형상 부재(20)에 복수개의 전자부품(1)을 장착시켜도 된다. 장착부(100)에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띠형상 부재(20)가 롤러에 의해 반전되어서, 전자부품(1)을 아래로 늘어뜨려 지지하도록 하여 제1 띠형상 부재(20)가 반송 이동된다.
이 장착 동작은 제1 띠형상 부재(20)가 간헐 정지될 때마다 실시된다. 1회의 정지 시에 예를 들면 수 백~수 만개의 1배치분의 전자부품(1)이 제1 띠형상 부재(20)에 장착된다. 도 3에는 복수열의 전자부품(1)이 나타나 있는데, 각 열에는 복수행의 전자부품(1)이 배열된다. 따라서, 복수열 복수행의 전자부품(1)에 의해 1배치분의 전자부품(1)이 형성된다. 제1 띠형상 부재(20)의 간헐 정지마다 장착 동작이 반복되고, 복수 배치분의 전자부품(1)이 제1 띠형상 부재(20)에 의해 반송 이동된다.
2.2. 제1 도포부
제1 도포부(200)는 간헐 정지된 제1 띠형상 부재(20)에 장착된 복수개의 전자부품(1) 각각의 단부(2b)에 페이스트를 도포한다. 제1 도포부(200)는 평탄면에 형성되는 페이스트의 딥층에, 제1 띠형상 부재(20)에 지지된 복수개의 전자부품(1)의 단부(2b)를 침지시킨다. 이 때문에, 제1 도포부(200)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탄면(211)을 가지는 회전체(210)와, 평탄면(211)에 페이스트에 의한 딥층을 형성하는 딥층 형성부(220)를 가진다. 회전체(210)는 예를 들면 그 사면에 평탄면(211)을 가지며, 회전 구동부 예를 들면 모터(230)에 의해 예를 들면 회전 각 90°로 간헐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제1 도포부(200)는 평탄면(211)에 형성된 딥층에, 제1 띠형상 부재(20)에 지지된 복수개의 전자부품(1)을 침지시킨다. 이 때문에, 제1 도포부(20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체(210)를 승강시키는 제1 이동부 예를 들면 에어 실린더(240)를 가진다. 한편, 제1 이동부는 제1 띠형상 부재(20)와 회전체(210)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면 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상, 회전체(210)의 4면의 평탄면을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11A~211D로 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딥층 형성부(220)는 평탄면(211A)에 딥층을 형성한다. 평탄면(211A)의 90° 회전 후의 평탄면(211B) 상에 형성된 딥층은 회전체(210)가 상승 후에 하강됨으로써, 복수개의 전자부품(1)의 단부(2b)에 페이스트층을 형성한다. 평탄면(211B)의 90° 회전 후의 평탄면(211C) 상에 잔존된 딥층은 페이스트 제거부인 블레이드(250)에 의해 긁혀 떨어져서 제거된다. 페이스트 제거는 평탄면(211C)의 위치가 아닌, 평탄면(211C)의 90° 회전 후의 평탄면(210D)의 위치에서 실시해도 된다. 이와 같이, 딥층 형성부(220)에 의해 평탄면(211)에 형성되는 딥층을 회전 구동부(230)와 제1 이동부(240)에 의해 이동시킴으로써, 다수 배치 처리분의 전자부품(1)에 페이스트층을 순차 형성할 수 있다.
한편, 회전체(210)를 역회전시켜도 된다. 예를 들면, 딥층이 제거된 평탄면(211C)을 90° 역회전시켜도 된다. 평탄면(211C)을 상승시켜서, 복수개의 전자부품(1)의 단부(2b)에 형성된 페이스트층과 접촉시켜서 평탄화시키는 블롯 공정을 실시해도 된다. 이때, 전자부품(1)의 페이스트층과 평탄면(211C)을 접촉시키고 또한 전자부품(1)과 평탄면(211C)을 상대적으로 수평 이동시켜도 된다.
다음으로, 딥층 형성부(220)에 대해, 도 7도 참조하여 설명한다. 딥층 형성부(220)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L자 형상의 공동(空洞)의 하단에 개구(221B)를 갖춘 페이스트 수용부(221)를 가진다. 페이스트는 도시하지 않은 페이스트 공급부로부터, 도 5에 나타내는 공급 구멍(221A)을 통해 공급된다. 페이스트 수용부(221) 내의 페이스트양을 검출하는 잔량 센서를 마련하고, 잔량 센서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자동적으로 페이스트를 페이스트 수용부(221)에 공급해도 된다.
페이스트 수용부(221)의 개구(221B)에 공급 롤러(222)가 마련된다. 공급 롤러(222)는 회전 구동부인 모터(223)에 의해, 도 7에서 예를 들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경우, 페이스트 수용부(221)의 개구(221B)와 공급 롤러(222) 사이로서, 공급 롤러(222)의 아래쪽에 마련되는 페이스트 공급 측의 극간(隙間)을 δ1로 한다. 공급 롤러(222)가 회전되면, 공급 롤러(222)가 외부에 노출된 표면에는 거의 두께 δ1의 페이스트층이 형성된다. 이 공급 롤러(222)에 형성되는 페이스트층이 회전체(210)의 평탄면(211)에 전사되어서 딥층이 된다. 한편, 페이스트 수용부(221)의 개구(221B)와 공급 롤러(222) 사이로서, 공급 롤러(222)의 위쪽에 마련되는 페이스트 공급 측의 극간을 δ2로 한다. δ1과 δ2의 관계는 δ1<δ2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극간(δ2)의 상방에는 하향 경사면을 갖춘 블레이드(224)가 배치된다. 블레이드(224)는 도 6에 나타내는 회전체(210)의 평탄면(211A)에 형성된 딥층 중 과잉인 페이스트를 긁어내서 극간(δ2)으로 안내한다. 도 6에 나타내는 회전체(210)의 평탄면(211A)에 형성된 딥층 이외의 페이스트는 극간(δ2)을 통해 페이스트 수용부(221)에 회수된다.
딥층 형성부(220)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살표(A) 방향으로 왕복 수평이동함과 함께, 화살표(B)에 왕복 수직이동한다. 딥층 형성부(220)는 우선, 수평이동하여, 공급 롤러(222)에 형성된 페이스트층을 도 6에 나타내는 회전체(210)의 평탄면(211A)에 접촉시킨다. 그 후, 공급 롤러(222)를 회전 이동시키면서, 딥층 형성부(220)를 수직 하방을 향해 이동시킨다. 그로써, 공급 롤러(222)에 형성된 페이스트층을 도 6에 나타내는 회전체(210)의 평탄면(211A)에 전사할 수 있다.
2.3. 제1 건조부
제1 건조부(300)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건조 유닛(11C)에 배치되는 건조실(310)을 가진다. 건조실(310)은 도시하지 않는 가열원에 의해, 페이스트를 건조시키는 온도 예를 들면 130℃로 가열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제2 건조부(300, 600)로 건조실(310)을 공용한다. 제1 건조부(300)는 건조실(310)의 예를 들면 상부에 배치되고, 제2 건조부(600)는 건조실(310)의 예를 들면 하부에 배치된다. 그로써, 페이스트 도포 장치(10)가 소형화된다. 제1 건조부(300)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개의 롤러에 의해 제1 띠형상 부재(20)의 반송 방향을 변환시켜서 사행하여 간헐 반송하는 사행 반송로(3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건조 시간을 확보하면서 비교적 좁은 공간에서 건조할 수 있어, 건조실(310)이 소형화된다. 제1 건조부(300)는 예를 들면 130℃에서 전자부품(1)에 형성된 페이스트층을 예를 들면 10~30분간에 걸쳐 건조시킨다.
2.4. 옮겨 바꿈부
옮겨 바꿈부(400)에서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띠형상 부재(20) 및 제2 띠형상 부재(40)는 접합면(20A, 40A)이 대향하도록 하여 주행한다. 이때, 제1 띠형상 부재(20)에 접합된 복수개의 전자부품(1)은 제1 띠형상 부재(20) 및 제2 띠형상 부재(40)의 대향면(20A, 40A) 사이에 위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옮겨 바꿈부(400)에서의 제1 띠형상 부재(20)의 제1 반송 이동 방향(M1)과, 제2 띠형상 부재(40)의 제2 반송 이동 방향(M2)은 예를 들면 서로 역방향이다. 옮겨 바꿈부(400)는 제1 띠형상 부재(20) 및 제2 띠형상 부재(40)의 대향면(20A, 40A)과는 다른 각 면(20B, 40B)을 각각 흡착하는 제1 흡착부(410) 및 제2 흡착부(420)를 포함한다. 제1 흡착부(410) 및 제2 흡착부(420)는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에어 실린더 등에 의해 구성되는 도시하지 않은 제2 이동부에 의해 제2 흡착부(420)가 승강 가능하다. 제2 이동부에 의해 제2 흡착부(420)를 하강시킴으로써, 전자부품(1)의 단부(2b)가 제2 띠형상 부재(40)의 접합면(40A)과 접합된다. 이때, 제1 띠형상 부재(20)는 제1 흡착부(410)에 의해 흡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띠형상 부재(40)와 접합되는 전자부품(1)의 단부(2b)에는 페이스트층이 형성되지만, 이 페이스트층은 이미 건조되어 있으므로 접합 동작에 지장은 없다.
제2 흡착부(420)는 바람직하게는 제3 흡착부(430) 및 제4 흡착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흡착부(430)는 제2 반송 이동 방향(M2)으로, 제2 띠형상 부재(40)에 장착되는 1배치분의 복수개의 전자부품(1)의 상류 및 하류에서, 제2 띠형상 부재(40)를 흡착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3 흡착부(430)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봤을 때 사각 테두리로 형성된다. 이 때문에, 제3 흡착부(430)는 1배치분의 복수개의 전자부품(1)의 장착 영역의 전체 둘레에서 제2 띠형상 부재(40)를 흡착할 수 있다. 제4 흡착부(440)는 사각 테두리 형상의 제3 흡착부(430)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431) 내에 배치된다. 제4 흡착부(440)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배치분의 복수개의 전자부품(1)의 장착 영역의 이면에서 제2 띠형상 부재(40)를 흡착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 않은 제2 이동부는 제3 흡착부(430) 및 제4 흡착부(440) 쌍방을 승강 가능하게 해도 되고, 혹은 제4 흡착부(440)를 승강 가능하게 해도 된다. 제3 흡착부(430)에 의해 제2 띠형상 부재(40)를 흡착 고정한 상태로, 제4 흡착부(440)에 의해 제2 띠형상 부재(40)를 제1 띠형상 부재(20)를 향해 가압할 수 있다. 그로써, 복수개의 전자부품(1)을 제2 띠형상 부재(40)에 접합할 수 있다. 제4 흡착부(440)는 그 하강 위치에서, 복수개의 전자부품(1)의 장착 영역의 이면의 위치에서 제2 띠형상 부재(40)를 흡착할 수 있다.
옮겨 바꿈부(400)는 제2 띠형상 부재(40)에 접합된 1배치분의 복수개의 전자부품(1)으로부터 제1 띠형상 부재(20)를 박리시키도록 제1 띠형상 부재(20)를 이동 안내하는 박리 안내부(450)를 가질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제1 띠형상 부재(20)로 반송된 복수개의 전자부품(1)은 일단 제1 띠형상 부재(20) 및 제2 띠형상 부재(40) 쌍방에 접합된 후에 제1 띠형상 부재(20)가 박리됨으로써, 제1 띠형상 부재(20)로부터 제2 띠형상 부재(40)로 넘겨진다.
박리 안내부(450)에 의한 동작의 일례를 도 8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박리 안내부(450)는 제1 흡착부(410)의 제1 반송 이동 방향(M1)에서의 하류 측에 고정되고, 제1 띠형상 부재(20)의 반송 방향을, 각도(θ)를 예각으로서 급변시키는 반송 방향 변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띠형상 부재(20)의 반송 방향을 예각적으로 변경함으로써 복수개의 전자부품(1)으로부터 제1 띠형상 부재(20)를 박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전자부품(1)이 제거된 제1 띠형상 부재(20)는 제2 롤러(32)에 권취되어 제2 롤(22)의 일부가 된다.
박리 안내부(450)는 도 10에 나타내는 각 열의 복수개의 전자부품(1)을 제1 띠형상 부재(20)로부터 순차 박리시킨다. 이 때문에, 박리 안내부(450)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1번째 열의 전자부품(1)과 대응하는 위치에 설정되고, 그 후, 도 8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2번째 열 이후의 전자부품(1)과 대응하는 위치에 설정된다. 이와 같이, 각 열의 전자부품(1)과 박리 안내부(450)를 상대 이동시킨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흡착부(410) 및 이동 롤러(460)와 함께 박리 안내부(450)를 제1 반송 이동 방향(M1)과는 역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제1 띠형상 부재(20)는 박리 안내부(450)의 이동과 동기가 취해져서 연속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반송 이동된다. 제1 띠형상 부재(20)를 반송 이동할 때에는 제1 흡착부(410)에 의해 흡착 동작은 불필요하다. 단, 제1 흡착부(410)는 제1 띠형상 부재(20)의 반송 동작에 지장이 없는 범위에서 흡인 동작을 실시해도 된다. 한편, 제2 띠형상 부재(40)는 반송 이동되지 않고, 제2 흡착부(420)(제3 흡착부(430) 및 제4 흡착부(440))에 의해 제2 띠형상 부재(40)가 흡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 열의 전자부품(1)으로부터 제1 띠형상 부재(20)가 박리되면, 제1 흡착부(410)와 함께 박리 안내부(450)를 초기 위치에 복귀시킴으로써, 박리 동작이 완료된다.
1배치분의 전자부품(1)을 제2 띠형상 부재(40)에 의해 확실하게 접합시키기 위해, 옮겨 바꿈부(400)는 도 11에 나타내는 가압부재인 롤러(460)를 가질 수 있다. 롤러(460)는 사각 테두리 형상의 제3 흡착부(430)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431) 내에 배치된다. 이 때문에, 제4 흡착부(440)는 개구(431)로부터 대피 이동이 가능하다. 롤러(460)는 1배치분의 전자부품(1)이 접합되는 접합면(40A)의 이면(40B)의 위치에서 제2 띠형상 부재(40)를 가압한다. 롤러(460)는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하면, 1배치분의 전자부품(1)과 제2 띠형상 부재(40)의 밀착성을 높일 수 있다. 그 후,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여, 제4 흡착부(440)를 개구(431)에 배치할 수 있다.
2.5. 제2 도포부
제2 도포부(500)에는 옮겨 바꿈부(400)로부터 제2 띠형상 부재(40)가 공급된다. 제2 도포부(500)는 제2 띠형상 부재(40)에 지지된 1배치분의 전자부품(1)의 단부(2a)에 페이스트를 도포한다. 이 페이스트 도포를 위한 구성 및 동작은 제1 도포부(200)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도포부(500)에 마련된 롤러(55, 56) 등에 의해, 제2 띠형상 부재(40)는 반송 이동 방향이 변환되어서, 제2 도포 유닛(11E) 및 옮겨 바꿈/회수 유닛(11D)의 하부공간을 경유하여, 건조 유닛(11C)에 반송 이동된다.
2.6. 제2 건조부
제2 건조부(600)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개의 롤러에 의해 제2 띠형상 부재(40)의 반송 방향을 변환시켜서 사행하여 간헐 반송하는 사행 반송로(6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복수개의 배치분의 전자부품(1)의 단부(2a)에 도포된 페이스트를 건조시킬 수 있다.
2.7. 회수부
회수부(700)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옮겨 바꿈/회수 유닛(11D)의 옮겨 바꿈부(400)의 예를 들면 하방에 제4 롤러(52)를 배치함으로써 구성된다. 이 제4 롤러(52)는 양 단부(2a, 2b)에 페이스트층이 형성된 전자부품(1)을 장착한 제2 띠형상 부재(40)가 권취되고, 제4 롤(42)로서 회수된다. 이와는 달리, 제4 롤러(52)에 제2 띠형상 부재(40)를 권취하여 회수하기 전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 띠형상 부재(40)로부터 전자부품(1)을 이탈시켜도 된다.
3. 변형예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했는데, 본 발명의 신규사항 및 효과로부터 실체적으로 일탈하지 않는 많은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에게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예는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면, 명세서 또는 도면에서, 적어도 한 번, 보다 광의 또는 동의인 다른 용어와 함께 기재된 용어는 명세서 또는 도면의 어떠한 부분에서도 그 다른 용어로 바꿔 놓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 및 변형예의 모든 조합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3.1. 전자부품의 일단부로의 페이스트 도포 장치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페이스트 도포 장치(10)는 전자부품(1)의 양 단부(2a, 2b)에 도전성 페이스트를 도포하고 건조하기 위해, 제1 장치(10A)와 제2 장치(10B)를 포함한 양면 전극형성 장치였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자부품(1)의 양 단부(2a, 2b) 중 어느 한쪽에 도전성 페이스트를 도포하고 건조하는, 제1 장치(10A) 및 제2 장치(10B) 중 한쪽만으로 구성되는 편면 전극형성 장치여도 된다. 이 경우, 편면 전극형성 장치는 예를 들면 제1 장치(10A)에 포함되는 장착부(100)와, 제1 도포부(200)와, 제1 건조부(300)와, 옮겨 바꿈부(400) 대신에 마련되는 회수부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회수부는 제2 롤러(32)를 가지면 된다. 이 편면 도포 장치에서는 전자부품(1)의 단부(2a)에 도전성 페이스트를 도포·건조한 후, 회수부에서 회수된 제2 롤(22)을 장착부(100)에서 제1 롤(21)로서 재장착하면 된다. 그로써, 전자부품(1)의 단부(2b)에도 도전성 페이스트를 도포하고 건조할 수 있다.
3.2. 띠형상 부재의 벨트 반송 기구
띠형상 부재의 반송 구동 장치는 구동 롤러, 종동 롤러 또는 텐션 롤러의 조합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2~도 14는 제1, 제2 건조부(300, 600) 중 적어도 한쪽, 예를 들면 도 3의 제1 건조부(300)에 마련할 수 있는 벨트 반송 기구(330)를 나타낸다. 이 벨트 반송 기구(330)는 도 3의 사행 반송로(320)에 채용된다.
벨트 반송 기구(330)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제1 무단 벨트(331A)와 한 쌍의 제2 무단 벨트(331B)를 포함한다. 한 쌍의 제1 무단 벨트(331A)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구동 롤러(332A)와 복수개의 종동 롤러(333A)에 가로질러 놓인다. 한 쌍의 제2 무단 벨트(331B)도 적어도 하나의 제2 구동 롤러(332B)와, 복수개의 종동 롤러(333B)에 가로질러 놓인다.
한 쌍의 제1 무단 벨트(331A)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띠형상 부재(20)의 폭방향의 양 단부에서 제1 띠형상 부재(20)의 접합면(제1 면)(20A)과 접촉한다. 한 쌍의 제2 무단 벨트(331B)는 제1 띠형상 부재(20)의 폭방향의 양 단부에서 제1 띠형상 부재(20)의 비접합면(제2 면)(20B)과 접촉한다. 그리고 한 쌍의 제1 무단 벨트(331A) 및 한 쌍의 제2 무단 벨트(331B)에 의해 제1 띠형상 부재(20)의 양 단부를 끼워서, 제1 띠형상 부재(20)를 반송 이동한다. 제1, 제2 구동 롤러(332A, 332B)는 제1 반송 이동부(30) 중의 다른 구동 롤러와 동기하여 구동된다.
여기서, 특히 사행 반송로(320)에서 반송 이상이 생겼을 때, 제1 띠형상 부재(20)를 절단하여 이상 대응하고 싶은 경우가 있다. 벨트 반송 기구(330)에 따르면, 제1 띠형상 부재(20)의 폭방향의 양 단부를 끼워서 제1 띠형상 부재(20)가 반송되므로, 절단의 유무에 상관 없이 제1 띠형상 부재(20)를 반송할 수 있다. 제2 건조부(600)의 사행 반송로(610)에도 마찬가지로 하여 벨트 반송 기구를 배치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 무단 벨트(331A)는 상기 제1 구동 롤러(332A)와의 요철 걸어맞춤에 의해 반송 안내되고, 한 쌍의 제2 무단 벨트(331B)는 상기 제2 구동 롤러(332B)와의 요철 걸어맞춤에 의해 반송 안내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제1 무단 벨트(331A)는 제1 띠형상 부재(20)의 제1 면(20A)과 접촉하는 면의 반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안내 리브(331A1)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 구동 롤러(332A)는 제1 안내 리브(331A1)가 파고 들어가는 제1 둘레 홈(332A1)을 가진다. 마찬가지로, 한 쌍의 제2 무단 벨트(331B)는 제1 띠형상 부재(20)의 제2 면(20B)과 접촉하는 면의 반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 안내 리브(331B1)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2 구동 롤러(332B)는 제2 안내 리브(331B1)가 파고 들어가는 제2 둘레 홈(332B1)을 가진다. 이렇게 하면, 한 쌍의 제1 무단 벨트(331A) 및/또는 한 쌍의 제2 무단 벨트(331B)를, 제1 구동 롤러(332A)의 제1 둘레 홈(332A1) 및/또는 제2 구동 롤러(332B)의 제2 둘레 홈(332B1)에 의해, 정규의 반송 패스로부터 일탈하지 않도록 반송 안내할 수 있다. 제1 안내 리브(331A1) 및 제2 안내 리브(331B1)는 벨트면 상에서 연속 형성해도 되고, 불연속적으로 형성해도 된다. 벨트를 오목 구조로 하고, 롤러를 볼록 구조로 해도 된다. 요철 구조에 의한 반송 안내 종동 롤러에도 마련해도 된다. 제2 건조부(600)에 마련되는 벨트 반송 기구도 마찬가지로 구성할 수 있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벨트 반송 기구(330)는 제1 띠형상 부재(20)의 폭방향의 중심영역에서, 제1 면(20A) 및 제2 면(20B) 중 적어도 한쪽에 접촉하는 가이드 롤러(334)를 더 가질 수 있다. 가이드 롤러(334)가 제1 면(20A)과 굴림접촉하는 경우, 제1 띠형상 부재(20)는 가이드 롤러(334)와 접촉하는 폭방향의 중심영역은 전자부품(1)의 비접합 영역이 된다. 예를 들면, 도 14에 나타내는 해칭 영역이 전자부품(1)의 접합 영역이 된다. 이렇게 하면, 제1 띠형상 부재(20)는 폭방향의 양 단부와 중앙부로 지지되고, 휨을 억제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가이드 롤러(334)는 제1 띠형상 부재(20)의 하향면과 접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건조부(600)에 마련되는 벨트 반송 기구도 마찬가지로 구성할 수 있다.
3.3. 회수부에 배치되는 전자부품 이탈 장치
도 15는 도 3에 나타내는 회수부(700)에 배치할 수 있는 전자부품 이탈 장치(710)를 나타낸다. 부품이탈 장치(710)는 반송 이동되는 제2 띠형상 부재(40)의 접합면(40A)에 접합된 복수개의 전자부품(1)을 제2 띠형상 부재(40)로부터 이탈시킨다. 부품이탈 장치(710)는 도 3에서 제2 띠형상 부재(40)를 권취하는 제4 롤러(52)보다도 제2 띠형상 부재(40)의 반송 방향의 상류에 배치된다.
부품이탈 장치(710)는 순수(純水)(711)를 제2 띠형상 부재(40)의 접합면(40A)에 공급하는 공급부(712)와, 제2 띠형상 부재(40)의 반송 이동 방향에서 공급부(712)보다도 하류에 배치되고, 제2 띠형상 부재(40)로부터 복수개의 전자부품(1)을 이탈시키는 이탈부(715)를 가진다.
공급부(712)는 순수(711)를 수용하는 수용부(713)와, 회전 브러쉬(714)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브러쉬(714)는 회전체(714A)와 회전체(714A)의 둘레면에 형성된 브러쉬(714B)를 포함한다. 이 경우, 회전 브러쉬(714)의 회전 궤적은 수용부(713)의 순수(711)와 접촉하는 하부 회전궤적 영역과, 접합면(40A)과 접촉하는 상부 회전궤적 영역을 포함한다. 한편, 공급부(712)는 접합면(40A)을 향해 순수를 분사하는 노즐 등이어도 된다. 또한, 이탈부(715)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체(176A)의 둘레면에 예를 들면 고무판 등의 스크레이퍼(176B)를 갖춘 회전 스크레이퍼(716)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전자부품(1)은 회전 스크레이퍼(726)에 의해 접합면(40A)으로부터 긁어내진다. 이탈부(715)는 제2 띠형상 부재(40)의 반송 방향과 교차되어 마련되고, 반송 이동되는 전자부품(1)과 간섭하여 전자부품(1)을 하방으로 낙하시키는 봉상 또는 판상 등의 간섭 부재여도 된다.
제2 띠형상 부재(40)의 접합면(40A)의 접착면 또는 점착 기능은 접합면(40A)이 물과 접촉함으로써 손상된다. 따라서, 이탈부(715)의 상류 측의 공급부(712)에서, 전자부품(1)이 접합된 접합면(40A)에 물을 공급한다. 공급되는 물을 순수로 함으로써, 전자부품(1)의 기능은 건조에 의해 순수가 제거되면 손상되지 않는다. 이탈부(715)에서는 전자부품(1)에 외력을 부여함으로써 접합면(40A)으로부터 전자부품(1)을 이탈시킨다. 그 부여되는 외력은 작아도 되므로, 전자부품(1)이 파손될 일도 없다.
4. 제2 실시형태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페이스트 도포 장치(1000)를 나타낸다. 도 17~도 19는 페이스트 도포 장치(1000)에 마련되는 각 부를 나타낸다. 페이스트 도포 장치(1000)는 장착부(1100), 제1 도포부(1200), 제1 건조부(1300), 옮겨 바꿈부(1400), 제2 도포부(1500), 제2 건조부(1600) 및 회수부(1700)를 포함한다. 도 16에 나타내는 각 부(1100~1700)는 도 3에 나타내는 각 부(100~700)와 동일한 기능을 가진다. 이후, 도 16~도 19에 나타내는 부재 중 도 3에 나타내는 부재와 동일 기능을 가지는 부재에 대해서는 도 3과 동일 부호를 붙여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페이스트 도포 장치(1000)는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부(1100~1700)마다 복수개의 유닛(1000A~1000G)에 유닛화되어도 된다. 각 유닛(1000A~1000G)은 적어도 제1 띠형상 부재(20) 또는 제2 띠형상 부재(40)에 의해 연결된다. 페이스트 도포 장치(1000)는 7개의 유닛(1000A~1000G)에 한정되지 않고, 도 3에 5개의 유닛(11A~11E)과 마찬가지로 5개의 유닛에 유닛화되어도 된다.
도 16에서, 제1 장착부(1100)로부터 옮겨 바꿈부(1400)에 제1 띠형상 부재(20)를 반송 이동하는 제1 반송 이동부(30A)(도 16에서는 도시하지 않고, 도 17 및 도 18 참조)와, 옮겨 바꿈부(1400)로부터 회수부(1700)에 제2 띠형상 부재(40)를 반송 이동하는 제2 반송 이동부(50A)(도 16에서는 도시하지 않고, 도 18 및 도 19 참조)가 마련된다. 여기서, 도 16에서는 제1 반송 이동부(30A)에 의한 제1 띠형상 부재(20)의 잉여 길이 조정 기능과, 제2 반송 이동부에 의한 제2 띠형상 부재(40)의 잉여 길이 조정 기능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유닛(1000A~1000G) 중 서로 이웃하는 각 2개의 유닛 사이에 승강 이동이 가능한 텐션 롤러(1001~1006)를 나타낸다. 텐션 롤러(1001~1006)는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유닛 중 한쪽에, 도시하지 않은 승강 기구에 의해 승강이 가능하게 마련된다. 텐션 롤러(1001~1006)의 위치는 서로 이웃하는 각 2개의 유닛 사이의 위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제1 띠형상 부재(20)의 잉여 길이 조정 기능을 실시하는 것을 제1 텐션 롤러(1001~1003)라고 칭하고, 제2 띠형상 부재(40)의 잉여 길이 조정 기능을 실시하는 것을 제2 텐션 롤러(1004~1006)라고 칭한다. 인접하는 2개의 유닛에서 복수개의 전자부품(1)의 비동기적인 반송 또는 비동기적인 정지에 의해 생기는, 제1 띠형상 부재(20) 또는 제2 띠형상 부재(40)의 휨 또는 텐션을 텐션 롤러(1001~1006) 중 대응하는 하나의 승강 이동에 의해 해소할 수 있다. 도 16에서는 텐션 롤러(1001~1006) 중 하나가 상승하면, 인접하는 유닛 사이에서의 제1 띠형상 부재(20) 또는 제2 띠형상 부재(40)의 잉여 길이가 짧아져도 텐션을 계속 부여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텐션 롤러(1001~1006) 중 하나가 하강하면, 인접하는 유닛 사이에서의 제1 띠형상 부재(20) 또는 제2 띠형상 부재(40)의 잉여 길이가 길어져도 텐션을 계속 부여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예를 들면, 제1 도포부(1200)에서는 간헐 반송, 제1 건조부(1300)에서는 연속 반송이 가능해진다. 제1 도포부(1200)와 제1 건조부(1300) 사이에 마련되는 텐션 롤러(1002)의 승강 이동에 의해, 제1 띠형상 부재(20)를 휘게 하지 않고 쌓을 수 있기 때문이다.
페이스트 도포 장치(1000)는 도 17~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롤투롤 방식으로 제1 띠형상 부재(20)를 반송 이동하는 제1 반송 이동부(30A)와, 예를 들면 롤투롤 방식으로 제2 띠형상 부재(40)를 반송 이동하는 제2 반송 이동부(50A)를 가진다. 페이스트 도포 장치(1000)는 도 17~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롤러(31), 제2 롤러(32), 제3 롤러(51) 및 제4 롤러(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제4 롤러(31, 32, 51, 52)에 권취된 제1 또는 제2 띠형상 부재(20, 40)를 제1~제4 롤(21, 22, 41, 42)이라고 칭한다.
4.1. 장착부
도 17에 나타내는 장착부(1100)에는 제1 띠형상 부재(20)의 제1 반송 이동부(30A)로서, 제1 롤러(31)에 더해 롤러(1101~1106, 1112~1114)가 마련된다. 이 중, 예를 들면 롤러(1101, 1104, 1113)가 구동 롤러이다. 롤러(1101)가 간헐적으로 구동되어서, 제1 롤(21)로부터 제1 띠형상 부재(20)가 순차 반송 이동된다. 롤러(1104)는 예를 들면 정역(正逆) 회전이 가능하고, 제1 띠형상 부재(20)가 직선 반송로(1120) 상에서 정지한 후에 롤러(1104)가 역회전, 롤러(1113)가 정회전됨으로써, 직선 반송로(1120) 상에 있는 제1 띠형상 부재(20)에 텐션이 부여된다. 제1 띠형상 부재(20)의 직선 반송로(1120)의 하방에는 1배치분의 전자부품(1)을 상향으로 유지하는 지그(101)가 승강 가능하게 배치된다. 제1 띠형상 부재(20)의 직선 반송로(1120)의 상방에는 레벨링(leveling) 롤러(1111)가 마련된다. 레벨링 롤러(1111)는 회전하면서 수평이동하여, 1배치분의 전자부품(1)과 제1 띠형상 부재(20)의 접합을 촉진시킨다. 레벨링 롤러(1111) 대신에, 도 3의 진공 흡착부(102)를 마련해도 된다. 롤러(1103)는 승강 가능한 텐션 롤러이다. 지그(101)와 길들임 롤러(1111)에 의한 장착 동작 중에 제1 띠형상 부재(20)를 정지시킨 동안에 롤러(1101)에 의해 제1 롤(21)로부터 인출되는 제1 띠형상 부재(20)에 휨이 생기지 않도록, 텐션 롤러(1103)의 승강 위치가 조정된다. 1배치분의 전자부품(1)이 장착된 제1 띠형상 부재(20)는 롤러(1104, 1113)의 간헐 구동에 의해 전방으로 반송 이동된다.
제1 띠형상 부재(20)는 반복 재이용된다. 그 때문에, 재이용되는 제1 띠형상 부재(20)를 클리닝하는 클리닝 롤러(1107)를 마련할 수 있다. 클리닝 롤러(1107)는 예를 들면 에어 실린더(1108)에 의해 진퇴 구동된다. 전진되어서 제1 띠형상 부재(20)와 접촉하는 클리닝 롤러(1107)에는 에어 실린더(1108)에 의해 에어 쿠션이 부여된다. 재이용되는 제1 띠형상 부재(20)의 접합력을 체크하기 위해, 제1 띠형상 부재(20)에 접합되는 접합부(1109)가 마련된다. 접합부(1109)는 예를 들면 에어 실린더(1110)에 의해 진퇴 구동되고, 후퇴 구동 시에 제1 띠형상 부재(20)로부터 떼어 놓는 힘을 체크함으로써, 제1 띠형상 부재(20)의 접합력이 판정된다. 제1 띠형상 부재(20)의 접합력 부족이 판정되면 경고하고, 장치의 가동이 정지된다.
4.2. 제1 도포부
도 17에 나타내는 제1 도포부(1200)에는 제1 띠형상 부재(20)의 제1 반송 이동부(30A)로서, 롤러(1201~1206)가 마련된다. 이 중, 예를 들면 롤러(1201, 1205)가 구동 롤러이며, 간헐 구동된다. 또한, 제1 띠형상 부재(20)의 제1 반송 이동부(30A)로서, 롤러(1113, 1201) 사이에는 승강 이동이 가능한 제1 텐션 롤러(1001)가 마련된다. 텐션 롤러(1001)는 장착부(1100)와 제1 도포부(1200)에서 비동기적인 제1 띠형상 부재(20)의 반송 이동 또는 정지 동작이 있었을 때에, 승강에 의해 제1 띠형상 부재(20)에 텐션을 부여한다.
롤러(1201)는 예를 들면 정역 회전이 가능하고, 제1 띠형상 부재(20)가 직선 반송로(1210) 상에서 정지한 후에 롤러(1201)가 역회전, 롤러(1205)가 정회전됨으로써 직선 반송로(1210) 상에 있는 제1 띠형상 부재(20)에 텐션이 부여된다. 제1 띠형상 부재(20)의 직선 반송로(1210)의 하방에는 제1 띠형상 부재(20)의 반송 이동 방향의 상류 측에 제1 정반(1220)이 그 하류 측에 제2 정반(1240)이 각각 승강 가능하게 배치된다. 제1 띠형상 부재(20)를 끼워서 제1 정반(1220)의 상방에는 제1 흡착부(1230)가, 제1 띠형상 부재(20)를 끼워서 제2 정반(1240)의 상방에는 제2 흡착부(1250)가 각각 마련된다. 제1 정반(1220)의 평탄면에는 도전성 페이스트의 딥층(5)이 형성되고, 제1 정반(1220)의 상승에 의해, 1배치분의 전자부품(1)에 도전성 페이스트층이 도포된다. 제1 띠형상 부재(20)의 간헐 반송 후에, 1배치분의 전자부품(1)에 도전성 페이스트층이 도포된 도전성 페이스트층은 상승되는 제2 정반(1240)의 평탄면과 접촉된다. 그로써, 전자부품(1)에 도포되었던 도전성 페이스트층의 막 두께 및 평탄성이 조정된다.
4.3. 제1 건조부
도 18에 나타내는 제1 건조부(1300)에는 제1 띠형상 부재(20)의 제1 반송 이동부(30A)로서, 롤러(1301~1309)가 마련된다. 이 중, 예를 들면 롤러(1308)가 구동 롤러이며, 예를 들면 연속 구동된다. 또한, 제1 띠형상 부재(20)의 제1 반송 이동부(30A)로서, 롤러(1206, 1301) 사이에는 승강 이동 가능한 제1 텐션 롤러(1002)가 마련된다. 제1 텐션 롤러(1002)는 제1 도포부(1200)와 제1 건조부(1300)에서 비동기적인 제1 띠형상 부재(20)의 반송 이동 또는 정지 동작이 있었을 때에, 승강에 의해 제1 띠형상 부재(20)에 텐션을 부여한다.
제1 건조부(1300)에서는 롤러(1301~1309)에 의해 장황한 반송로가 형성되고, 예를 들면 4개의 직선 반송로에 가열부 예를 들면 적외선 히터(1310)가 배치된다. 적외선 히터(1310)의 배면에는 반사판(1311)이 배치되고, 전자부품(1)에 형성된 도전성 페이스트층의 가열 효율을 높였다. 예를 들면 롤러(1308)가 연속 구동됨으로써, 제1 띠형상 부재(20)는 제1 건조부(1300) 내를 연속적으로 반송 이동된다. 이렇게 하여 연속 반송함으로써, 간헐 반송하는 경우보다도 가열 얼룩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건조부(1300)에서는 연속 반송되고, 그 상류의 제1 도포부(1200)에서는 간헐 반송되는 제1 띠형상 부재(20)는 제1 텐션 롤러(1002)의 승강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휨이 생기지 않고 텐션이 계속 부여된다.
4.4. 옮겨 바꿈부
도 18에 나타내는 옮겨 바꿈부(1400)에는, 제1 띠형상 부재(20)의 제1 반송 이동부(30A)로서, 제2 롤러(32)에 더하여 롤러(1401~1309)가 마련된다. 이 중, 예를 들면 롤러(32, 1402)가 구동 롤러이며, 예를 들면 간헐 구동된다. 또한, 제1 띠형상 부재(20)의 제1 반송 이동부(30A)로서, 롤러(1309, 1401) 사이에는 승강 가능한 제1 텐션 롤러(1003)가 마련된다. 제1 텐션 롤러(1003)는 제1 건조부(1300)와 옮겨 바꿈부(1400)에서 비동기적인 제1 띠형상 부재(20)의 반송 이동 또는 정지 동작이 있었을 때에, 승강에 의해 제1 띠형상 부재(20)에 텐션을 부여한다.
도 18에 나타내는 옮겨 바꿈부(1400)에는 제2 띠형상 부재(40)의 제2 반송 이동부(50A)로서, 제3 롤러(51)에 더하여 롤러(1410~1417)가 마련된다. 이 중, 예를 들면 1410, 1414, 1417이 구동 롤러이며, 예를 들면 간헐 구동된다.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띠형상 부재(40)의 직선 반송로(1420)의 하방에는 흡착부(1409)가 마련된다. 롤러(32), 롤러(1405~1407) 및 에어 실린더(1408)는 승강부(1430)로서 일체적으로, 직선 반송로(1420)에 대하여 승강 가능하다. 도 18은 승강부(1430)가 상승한 위치에 있다. 승강부(1430)가 하강하면, 제1 띠형상 부재(20)에 접합된 1배치분의 전자부품(1)의 단부가, 흡착부(1409)에 진공 흡착된 제2 띠형상 부재(40)와 접촉한다. 그 후, 제2 띠형상 부재(40)에 접합된 1배치분의 전자부품(1)으로부터, 제1 띠형상 부재(20)를 예각적으로 박리시키도록 제1 띠형상 부재(20)를 안내하는 박리 안내 롤러(1406)(박리 안내부 또는 반송 방향 변환 부재)가 도 8, 도 10 및 도 11의 박리 안내부(450)와 마찬가지로 하여 수평 이동된다. 그로써, 도 8, 도 10 및 도 11의 박리 안내부(450)의 동작과 마찬가지로 하여, 1배치분의 전자부품(1)을 제1 띠형상 부재(20)로부터 제2 띠형상 부재(40)로 옮겨 바꿀 수 있다. 이 경우, 제1 띠형상 부재(20)의 접합력보다도 제2 띠형상 부재(40)의 접합력을 높게 해 두면, 보다 옮겨 바꾸기 쉬워진다. 한편, 에어 실린더(1408)는 박리 안내 롤러(1406)에 에어 쿠션력을 부여한다.
4.5. 제2 도포부
도 19에 나타내는 제2 도포부(1500)는 도 17에 나타내는 제1 도포부(1200)와 동일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제2 도포부(1500)에는 제2 띠형상 부재(40)의 제2 반송 이동부(50A)로서, 롤러(1501~1506)가 마련된다. 이 중, 예를 들면 롤러(1501, 1505)가 구동 롤러이며, 간헐 구동된다. 또한, 제2 띠형상 부재(40)의 제1 반송 이동부(30A)로서, 롤러(1419, 1501) 사이에는 승강 이동 가능한 제2 텐션 롤러(1004)가 마련된다. 제2 텐션 롤러(1004)는 옮겨 바꿈부(1400)와 제2 도포부(1500)에서 비동기적인 제2 띠형상 부재(40)의 반송 이동 또는 정지 동작이 있었을 때에 승강에 의해 제2 띠형상 부재(40)에 텐션을 부여한다.
제2 상 부재(4)의 직선 반송로(1510)의 하방에는 제2 띠형상 부재(40)의 반송 이동 방향의 상류 측에 제1 정반(1520)이, 그 하류 측에 제2 정반(1540)이 각각 승강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제2 띠형상 부재(40)를 끼워서 제1 정반(1520)의 상방에는 제1 흡착부(1530)가, 제2 띠형상 부재(40)를 끼워서 제2 정반(1540)의 상방에는 제2 흡착부(1550)가 각각 마련된다. 제1 정반(1520)의 평탄면에는 도전성 페이스트의 딥층(5)이 형성된다. 제1 정반(1520)의 상승에 의해, 1배치분의 전자부품(1)에 도전성 페이스트층이 도포된다. 제2 띠형상 부재(40)의 간헐 반송 후에, 1배치분의 전자부품(1)에 도전성 페이스트층이 도포된 도전성 페이스트층은 상승되는 제2 정반(1540)의 평탄면과 접촉된다. 그로써, 전자부품(1)에 도포된 도전성 페이스트층의 막 두께 및 평탄성이 조정된다.
4.6. 제2 건조부
도 19에 나타내는 제2 건조부(1600)는 도 18에 나타내는 제1 건조부(1300)와 동일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제2 건조부(1600)에는 제2 띠형상 부재(40)의 제2 반송 이동부(50A)로서, 롤러(1601~1609)가 마련된다. 이 중, 예를 들면 롤러(1608)가 구동 롤러이며, 예를 들면 연속 구동된다. 또한, 제2 띠형상 부재(40)의 제2 반송 이동부(50A)로서, 롤러(1506, 1601) 사이에는 승강 이동 가능한 제2 텐션 롤러(1005)가 마련된다. 제2 텐션 롤러(1005)는 제2 도포부(1500)와 제2 건조부(1600)로 비동기적인 제2 띠형상 부재(40)의 반송 이동 또는 정지 동작이 있었을 때에, 승강에 의해 제2 띠형상 부재(40)에 텐션을 부여한다.
제2 건조부(1600)에서는 롤러(1601~1609)에 의해 장황한 반송로가 형성되고, 예를 들면 4개의 직선 반송로에 가열부 예를 들면 적외선 히터(1610)가 배치된다. 적외선 히터(1610)의 배면에는 반사판(1611)이 배치되고, 전자부품(1)에 형성된 도전성 페이스트층의 가열 효율을 높인다. 예를 들면 롤러(1608)가 연속 구동됨으로써, 제2 띠형상 부재(40)는 제2 건조부(1600) 내를 연속적으로 반송 이동된다. 또한, 제2 건조부(1600)에서는 연속 반송되고, 그 상류의 제2 도포부(1500)에서는 간헐 반송되는 제2 띠형상 부재(40)는 제2 텐션 롤러(1005)의 승강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휨이 생기지 않고 텐션이 계속 부여된다.
4.7. 회수부
도 19에 나타내는 회수부(1700)에는 제2 띠형상 부재(40)의 제2 반송 이동부(50A)로서, 제4 롤러(52)에 더하여 롤러(1701~1703)가 마련된다. 이 중, 예를 들면 롤러(52, 1701)가 구동 롤러이고, 예를 들면 간헐 구동된다. 또한, 제2 띠형상 부재(40)의 제2 반송 이동부(50A)로서, 롤러(1609, 1701) 사이에는 승강 이동이 가능한 제2 텐션 롤러(1006)가 마련된다. 제2 텐션 롤러(1006)는 제2 건조부(1600)와 회수부(1700)에서 비동기적인 제2 띠형상 부재(40)의 반송 이동 또는 정지 동작이 있었을 때에 승강에 의해 제2 띠형상 부재(40)에 텐션을 부여한다.
회수부(1700)에는 부품 회수부로서, 불량품 회수부(1721)와 양품 회수부(1731)를 마련할 수 있다. 불량품 회수부(1721)는 불량품 긁어냄부(1720)와 일체로 승강 이동 및 수평이동된다. 전자부품(1)이 불량품인지 여부는, 도 20에 나타내는 제어계 블록의 불량ID 판정부(1800)로 판정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전자부품(1)의 양 단부의 적어도 한쪽에 도포되는 도전성 페이스트층(4A)의 상태에 의해 판별된다. 이 때문에,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제1 도포부(1200) 및 제2 도포부(1500)에 카메라 등의 촬상부(1801, 1802)를 배치할 수 있다. 도 20에 나타내는 촬상부(1801, 1802)에서는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내는 도전성 페이스트층(4A)의 치수(T1+L3)의 길이(L)를 촬상한다. 불량ID 판정부(1800)는 촬상된 치수(L)가 규정 범위 내이면 양품, 규정 범위 밖이면 불량품으로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제1 띠형상 부재(20) 및 제2 띠형상 부재(40)에는 1배치분의 전자부품(1)의 접합 지역마다 배치ID(예를 들면 바코드)가 붙어져 있다. 도 20에 나타내는 제1 ID 판독부(1803, 1804)는 촬상부(1801, 1802)로 촬상되는 1배치분의 전자부품(1)마다, 제1 띠형상 부재(20) 및 제2 띠형상 부재(40)에 붙여진 배치ID를 판독한다. 또한, 제1 띠형상 부재(20)의 배치ID가 제2 띠형상 부재(40)의 어느 배치ID에 대응할지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옮겨 바꿈부(1400)에서 대응하는 제1, 제2 띠형상 부재(20, 40)에 2개의 배치ID를 도 20에 나타내는 제2 ID 판독부(1805)에 의해 판독한다.
따라서, 제1 도포부(1200) 및 제2 도포부(1500) 중 적어도 한쪽에서 도포 불량이 생겼는지 여부는 회수부(1700)에서 제2 띠형상 부재(40)의 배치ID를 도 20에 나타내는 제3 ID 판독부(1806)로 판독함으로써 인식할 수 있다. 불량이라고 판정된 1배치분의 전자부품(1)은 불량품 긁어냄부(1720)에 의해 긁어내져서, 불량품 회수부(1721)에 회수된다. 나머지 양품인 전자부품(1)은 양품 긁어냄부(1730)에 의해 긁어내져서, 양품 회수부(1731)에 회수된다. 전자부품(1)이 긁어내진 제2 띠형상 부재(40)는 제4 롤러(52)에 의해 제4 롤(42)로서 회수된다.
상술된 제2 실시형태에서, 도 1~도 15에 나타내는 제1 실시형태의 부재로 바꿔 놓아도 된다. 예를 들면, 제1, 제2 도포부(1200, 1500) 중 적어도 한쪽에서는 제1, 제2 정반 대신에 도 5~도 7에 나타내는 회전체(210)를 이용해도 된다. 또한, 제1, 제2 건조부(1300, 1600) 중 적어도 한쪽에서는 도 12~도 14에 나타내는 벨트 반송 기구(330)를 채용할 수 있다.
1: 전자부품
2, 2a, 2b: 단부
2A: 단면
2B: 측면
2C: 모서리부
4: 건조 공정 완료 전의 도전성 페이스트층
4A: 전극(건조 공정 완료 후의 도전성 페이스트층)
5: 딥층
10: 페이스트 도포 장치
10A: 제1 장치
10B: 제2 장치
11A: 장착 유닛
11B: 제1 도포 유닛
11C: 건조 유닛
11D: 옮겨 바꿈/회수 유닛
11E: 제2 도포 유닛
20: 제1 띠형상 부재
20A: 접합면
20B: 비접합면
21: 제1 롤
22: 제2 롤
30, 30A: 제1 반송 이동부
31: 제1 롤러
32: 제2 롤러
40: 제2 띠형상 부재
40A: 접합면
40B: 비접합면
41: 제3 롤
42: 제4 롤
50, 50A: 제2 반송 이동부
51: 제3 롤러
52: 제4 롤러
100: 장착부
101: 지그
102: 기대
200: 제1 도포부
210: 회전체
211: 평탄면
220: 딥층 형성부
221: 페이스트 수용부
221B: 개구
222: 공급 롤러
224: 블레이드
230: 회전 구동부
240: 이동부(제1 이동부)
250: 제거부(블레이드)
300: 제1 건조부
310: 건조실
320: 사행 반송로
330: 벨트 반송 기구
331A: 한 쌍의 제1 무단 벨트
331A1: 제1 안내 리브
331B: 한 쌍의 제2 무단 벨트
331B1: 제2 안내 리브
332A: 제1 구동 롤러
332A1: 제1 둘레 홈
332B: 제2 구동 롤러
332B1: 제2 둘레 홈
334: 가이드 롤러
400: 옮겨 바꿈부
410: 제1 흡착부
420: 제2 흡착부
430: 제3 흡착부
431: 개구
440: 제4 흡착부
450: 박리 안내부
460: 가압부(롤러)
500: 제2 도포부
600: 제2 건조부
610: 사행 반송로
700: 회수부
710: 전자부품 이탈 장치
711: 순수
712: 공급부
713: 수용부
714: 회전 브러쉬
714A: 회전체
714B: 브러쉬
715: 이탈부
716: 회전 스크레이퍼
716A: 회전체
716B: 스크레이퍼
1000: 페이스트 도포 장치
1000A~1000G: 복수개의 유닛
1001~1003: 제1 텐션 롤러
1004~1006: 제2 텐션 롤러
1100: 장착부
1200: 제1 도포부
1220: 제1 정반
1240: 제2 정반
1300: 제1 건조부
1400: 옮겨 바꿈부
1500: 제2 도포부
1520: 제1 정반
1540: 제2 정반
1600: 제2 건조부
1700: 회수부
1721, 1731: 부품 회수부
1800: 불량ID 판정부
1801, 1802: 촬상부
1803, 1804: 제1 ID 판독부
1805: 제2 ID 판독부
1806: 제3 ID 판독부

Claims (15)

  1. 제1 띠형상 부재를 반송 이동하는 제1 반송 이동부와,
    정지된 상기 제1 띠형상 부재에 복수개의 전자부품 각각의 일단(一端)부를 접합하여 상기 복수개의 전자부품을 상기 제1 띠형상 부재에 장착하는 장착부와,
    정지된 상기 제1 띠형상 부재에 장착된 상기 복수개의 전자부품 각각의 타단(他端)부에 페이스트를 도포하는 제1 도포부와,
    상기 제1 반송 이동부에 의해 상기 제1 띠형상 부재를 반송 이동하면서 상기 복수개의 전자부품 각각의 상기 타단부에 도포된 상기 페이스트를 건조하는 제1 건조부와,
    제2 띠형상 부재를 반송 이동하는 제2 반송 이동부와,
    건조된 상기 페이스트를 상기 타단부에 가지는 상기 복수개의 전자부품 각각의 상기 타단부를 상기 제2 띠형상 부재에 접합하고, 상기 복수개의 전자부품 각각의 상기 일단부를 상기 제1 띠형상 부재로부터 떼어 놓아 상기 복수개의 전자부품을 상기 제1 띠형상 부재로부터 상기 제2 띠형상 부재로 옮겨 바꾸는 옮겨 바꿈부와,
    정지된 상기 제2 띠형상 부재에 장착된 상기 복수개의 전자부품 각각의 상기 일단부에 페이스트를 도포하는 제2 도포부와,
    상기 제2 반송 이동부에 의해 상기 제2 띠형상 부재를 반송 이동하면서 상기 복수개의 전자부품 각각의 상기 일단부에 도포된 상기 페이스트를 건조하는 제2 건조부와,
    상기 제2 띠형상 부재를 권취(卷取)하여 회수하는 회수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트 도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보다도 상기 제1 띠형상 부재의 제1 반송 이동 방향의 상류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띠형상 부재가 권회(卷回)된 제1 롤과,
    상기 옮겨 바꿈부보다도 상기 제1 반송 이동 방향의 하류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띠형상 부재가 권취되는 제2 롤과,
    상기 옮겨 바꿈부보다도 상기 제2 띠형상 부재의 제2 반송 이동 방향의 상류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띠형상 부재가 권회된 제3 롤과,
    상기 회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띠형상 부재가 권취되는 제4 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트 도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건조부는 상기 제1 띠형상 부재의 폭방향의 양 단부(端部)에서 상기 제1 띠형상 부재의 제1 면과 접촉하는 한 쌍의 제1 무단(無端) 벨트와,
    상기 제1 띠형상 부재의 폭방향의 양 단부에서 상기 제1 띠형상 부재의 제2 면과 접촉하는 한 쌍의 제2 무단 벨트와,
    상기 한 쌍의 제1 무단 벨트에 굴림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구동 롤러와,
    상기 한 쌍의 제2 무단 벨트에 굴림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구동 롤러를 가지며,
    상기 한 쌍의 제1 무단 벨트 및 상기 한 쌍의 제2 무단 벨트에 의해 상기 제1 띠형상 부재의 상기 양 단부를 끼워서, 상기 제1 띠형상 부재를 반송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트 도포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가 배치되는 장착 유닛과, 상기 제1 도포부가 배치되는 제1 도포 유닛과, 상기 제1 건조부가 배치되는 제1 건조 유닛과, 상기 옮겨 바꿈부가 배치되는 옮겨 바꿈 유닛과, 상기 제2 도포부가 배치되는 제2 도포 유닛과, 상기 제2 건조부가 배치되는 제2 건조 유닛과, 상기 회수부가 배치되는 회수 유닛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유닛을 그 순번으로 배치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트 도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송 이동부는 상기 복수개의 유닛 중, 상기 제1 띠형상 부재의 제1 반송 이동 방향의 상류와 하류에 인접 배치되는 각 2개의 유닛 중 한쪽에 승강 이동되는 제1 텐션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반송 이동부는 상기 복수개의 유닛 중, 상기 제2 띠형상 부재의 제2 반송 이동 방향의 상류와 하류에 인접 배치되는 각 2개의 유닛 중 한쪽에 승강 이동되는 제2 텐션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트 도포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건조부 및 상기 제2 건조부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제1 띠형상 부재 및 상기 제2 띠형상 부재 중 적어도 한쪽을 복수개의 롤러에 의해 반송 방향을 변환시켜서 사행(蛇行)하여 반송하는 사행 반송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트 도포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포부 및 상기 제2 도포부 중 적어도 한쪽은 제1 정반(定盤)에 마련된 평탄면에 형성된 페이스트의 딥(dip)층을 상기 복수개의 전자부품을 향해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트 도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포부 및 상기 제2 도포부 중 적어도 한쪽은 제1 정반에 마련된 제2 정반에 마련된 평탄면을 상기 복수개의 전자부품을 향해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복수개의 전자부품에 형성된 상기 페이스트와 접촉시켜서 상기 페이스트를 평탄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트 도포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옮겨 바꿈부는,
    상기 제1 띠형상 부재 및 상기 제2 띠형상 부재의 대향면 사이에 상기 복수개의 전자부품을 배치시켜서 상기 상기 제2 띠형상 부재의 상기 대향면과는 다른 면을 흡착하는 흡착부와,
    제1 띠형상 부재 및 제2 띠형상 부재 중 적어도 한쪽을 다른 쪽을 향해 이동시켜서 상기 복수개의 전자부품을 상기 제2 띠형상 부재에 접합시키는 이동부와,
    상기 제2 띠형상 부재에 접합된 상기 복수개의 전자부품으로부터, 상기 제1 반송 이동부에 의해 반송 이동되는 상기 제1 띠형상 부재를 박리시키도록 상기 제1 띠형상 부재를 안내하는 박리 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트 도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 안내부는 상기 제1 띠형상 부재의 반송 방향을 예각적으로 변경하는 반송 방향 변환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트 도포 장치.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띠형상 부재의 접합력은 상기 제1 띠형상 부재의 접합력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트 도포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에서 상기 제1 띠형상 부재에 동시에 장착되는 상기 복수개의 전자부품은 1배치(batch)분의 전자부품이며,
    상기 제1 띠형상 부재 및 상기 제2 띠형상 부재에는 상기 1배치분의 전자부품 단위로 다른 배치ID가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트 도포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띠 부재 및/또는 상기 제2 띠형상 부재에 접합된 상기 1배치분의 전자부품 중 적어도 하나를 촬상하는 촬상부와,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전자부품이 속하는 배치의 배치ID를 판독하는 제1 ID 판독부와,
    상기 옮겨 바꿈부에 배치되며 상기 1배치분의 전자부품이 옮겨 바꿔지는 상기 제1 띠형상 부재와 상기 제2 띠형상 부재 각각의 배치ID를 판독하는 제2 ID 판독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트 도포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부는,
    상기 제2 띠형상 부재에 부여된 상기 배치ID를 판독하는 제3 ID 판독부와,
    상기 촬상부에서의 촬상 결과에 기초하여 양품/불량품으로 판별되는 상기 1배치분의 전자부품을 상기 제3 ID 판독부에서 판독되는 상기 배치ID에 기초하여 좋고 나쁨을 판정하여, 상기 제2 띠형상 부재로부터 이탈되는 상기 1배치분의 전자부품을 양품/불량품으로 분별하여 회수하는 부품 회수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트 도포 장치.
  15. 띠형상 부재를 반송 이동하는 반송 이동부와,
    정지된 상기 띠형상 부재에 복수개의 전자부품 각각의 일단(一端)부를 접합하여, 상기 복수개의 전자부품을 상기 띠형상 부재에 장착하는 장착부와,
    정반(定盤)에 형성된 페이스트의 딥(dip)층을 정지된 상기 띠형상 부재에 장착된 상기 복수개의 전자부품에 상대적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복수개의 전자부품 각각의 타단(他端)부에 상기 페이스트를 도포하는 도포부와,
    상기 반송 이동부에 의해 상기 띠형상 부재를 반송 이동하면서, 상기 복수개의 전자부품 각각의 상기 타단부에 도포된 페이스트재를 건조하는 건조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트 도포 장치.
KR1020217024965A 2019-01-11 2020-01-09 페이스트 도포 장치 KR1025131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03139 2019-01-11
JPJP-P-2019-003139 2019-01-11
PCT/JP2020/000472 WO2020145348A1 (ja) 2019-01-11 2020-01-09 ペースト塗布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2362A true KR20210112362A (ko) 2021-09-14
KR102513111B1 KR102513111B1 (ko) 2023-03-23

Family

ID=71521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4965A KR102513111B1 (ko) 2019-01-11 2020-01-09 페이스트 도포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10339963A1 (ko)
EP (1) EP3903947A4 (ko)
JP (1) JP6908319B2 (ko)
KR (1) KR102513111B1 (ko)
CN (2) CN113286665B (ko)
TW (1) TWI824099B (ko)
WO (1) WO20201453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81632B (zh) * 2021-05-21 2022-10-21 聚合興企業有限公司 具順向及逆向塗膠功能之滾輪塗膠系統
US20230129901A1 (en) * 2021-10-21 2023-04-27 Gerhard Designing & Manufacturing Inc. Excess coating removal device for can coating machines
CN114939500B (zh) * 2022-06-08 2023-06-13 宁波齐云新材料技术有限公司 一种碳管加热膜的双面喷涂制备工艺及双面喷涂设备
CN115155984A (zh) * 2022-08-22 2022-10-11 中国船舶重工集团衡远科技有限公司 双膏斗工业涂板机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3338A (ja) * 1992-11-27 1994-06-10 Murata Mfg Co Ltd 電子部品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KR20010087735A (ko) * 1999-12-08 2001-09-21 구보타 요시로 전기부품의 전극형성장치
JP2002237403A (ja) 2001-02-07 2002-08-23 Atc Protech Kk 電子部品素体への電極付け方法および装置
JP2016100459A (ja) 2014-11-21 2016-05-30 株式会社クリエゾン 電子部品の製造方法及び装置並びに電子部品
KR20160072808A (ko) * 2014-12-15 2016-06-23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전자부품 제조장치
JP2018160500A (ja) * 2017-03-22 2018-10-1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子部品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97639A (en) * 1973-07-11 1976-12-14 Brown & Root, Inc. Method for weight coating pipe segments
AT336977B (de) * 1975-07-11 1977-06-10 Voest Ag Anlage zur kontinuierlichen oberflachenbehandlung von metallischen werkstucken
DE4313628A1 (de) * 1993-04-27 1993-09-30 Voith Gmbh J M Einrichtung zum wahlweisen Behandeln von laufenden Bahnen
US5466291A (en) * 1993-12-29 1995-11-14 Mmt Manufacturing Corp. Stand alone coating apparatus for printed material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6551654B1 (en) * 1994-08-17 2003-04-2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applying coating materials to individual sheet members
JP3422297B2 (ja) * 1999-08-31 2003-06-3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ペースト塗布方法及びペースト塗布装置
US6482264B1 (en) * 2000-10-26 2002-11-19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fabrication of coating libraries
JP2002289489A (ja) * 2001-03-27 2002-10-04 Tokyo Weld Co Ltd 電子部品の端面電極形成装置
JP4003163B2 (ja) * 2002-01-15 2007-11-0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多層塗布膜の製造装置
JP2003297668A (ja) * 2002-04-04 2003-10-17 Taiyo Yuden Co Ltd 電子部品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4672480B2 (ja) * 2005-08-10 2011-04-20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塗布処理装置
KR100714582B1 (ko) * 2005-09-14 2007-05-07 삼성전기주식회사 전자부품의 도전성 페이스트 도포장치 및 방법
DE102007034877A1 (de) * 2007-07-24 2009-01-29 Schmid Rhyner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ftrag von Kunststoffbeschichtungen
JP2013220422A (ja) * 2012-04-17 2013-10-28 Tokyo Ohka Kogyo Co Ltd 塗布装置及び塗布方法
JP2014004819A (ja) * 2012-05-28 2014-01-16 Hitachi High-Technologies Corp パターン形成方法及びその形成装置
CN104870104B (zh) * 2012-12-19 2018-09-28 汉高股份有限及两合公司 部件的声阻尼和/或隔音方法
JP6163338B2 (ja) 2013-03-29 2017-07-12 日本バルカー工業株式会社 配管シール用フッ素樹脂製ガスケット
CN108698076B (zh) * 2016-02-10 2021-07-16 日本发条株式会社 一种制造螺旋弹簧的方法及制造螺旋弹簧的装置
CN109219590A (zh) * 2016-05-31 2019-01-15 恩亿凯嘉股份有限公司 带有覆膜的圆柱形蜂窝结构体的制造方法以及催化剂的制造方法
WO2018015850A2 (en) * 2016-07-17 2018-01-25 Io Tech Group Ltd. Kit and system for laser-induced material dispensing
JP2018041535A (ja) * 2016-09-05 2018-03-15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乾燥方法および乾燥装置ならびに電極製造方法および電極製造装置
EP3376293A1 (en) * 2017-03-13 2018-09-19 TIGER Coatings GmbH & Co. KG Curable coating material for non-impact printing
CN111246991B (zh) * 2017-10-24 2023-07-25 Dic株式会社 层压装置以及层压方法
US11446750B2 (en) * 2020-02-03 2022-09-20 Io Tech Group Ltd. Systems for printing solder paste and other viscous materials at high resolution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3338A (ja) * 1992-11-27 1994-06-10 Murata Mfg Co Ltd 電子部品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KR20010087735A (ko) * 1999-12-08 2001-09-21 구보타 요시로 전기부품의 전극형성장치
JP2002237403A (ja) 2001-02-07 2002-08-23 Atc Protech Kk 電子部品素体への電極付け方法および装置
JP2016100459A (ja) 2014-11-21 2016-05-30 株式会社クリエゾン 電子部品の製造方法及び装置並びに電子部品
KR20160072808A (ko) * 2014-12-15 2016-06-23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전자부품 제조장치
JP2018160500A (ja) * 2017-03-22 2018-10-1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子部品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03947A4 (en) 2023-02-08
TW202041284A (zh) 2020-11-16
TWI824099B (zh) 2023-12-01
JPWO2020145348A1 (ja) 2021-06-03
CN115870156A (zh) 2023-03-31
JP6908319B2 (ja) 2021-07-21
EP3903947A1 (en) 2021-11-03
KR102513111B1 (ko) 2023-03-23
CN113286665A (zh) 2021-08-20
CN113286665B (zh) 2023-01-03
WO2020145348A1 (ja) 2020-07-16
US20210339963A1 (en) 2021-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12362A (ko) 페이스트 도포 장치
JP4311522B2 (ja) 接着シート貼付方法およびその装置並びに半導体ウエハ処理方法
KR101281266B1 (ko) 반도체 셀의 리드선 접속 장치 및 접속 방법
TWI681698B (zh) 電子零件的安裝裝置與顯示用構件的製造方法
TWI373813B (ko)
TWI511225B (zh) Substrate transfer device and substrate assembly line
TW201423876A (zh) 半導體晶圓安裝方法及半導體晶圓安裝裝置
KR100836588B1 (ko) 글라스패널에의 편광필름 부착장치
JP4941944B2 (ja) 基板への接着テープの貼り付け方法及び貼り付け装置
JP5737927B2 (ja) 基板組立装置
TWI511210B (zh) A lead connection device and a connection method, a semiconductor element, and a solar battery module
JP4289184B2 (ja) 基板の搬送治具およびそれを用いた実装方法、実装システム
KR102087731B1 (ko) 마스크 지지 템플릿과 그의 제조 방법 및 프레임 일체형 마스크의 제조 방법
JP6500170B2 (ja) 基板への接着テープ貼り付け装置及び貼り付け方法
TW201615445A (zh) 除去方法、除去裝置及印刷系統
KR100448292B1 (ko) 데이터 캐리어 제조 장치 및 방법
JP2013187312A (ja) 半導体セルのリード線接続装置及び接続方法
KR102093645B1 (ko) 셀 이송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6646428B (zh) 一种电池串生产设备及方法
KR102141624B1 (ko) 리본 공급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7330866B2 (ja) サブガスケット付膜電極接合体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CN116749629A (zh) 一种用于显示屏复合光学板贴合方法及全自动贴合机
KR102125383B1 (ko) 컨베이어 장치
JP2015058522A (ja) 粘着体の切断方法および粘着体の切断装置
JP2004088068A (ja) チップ型電子部品の外部電極形成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