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9240A - 유사 미끼 및 유사 미끼용 스플릿 링 - Google Patents

유사 미끼 및 유사 미끼용 스플릿 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9240A
KR20200109240A KR1020200005091A KR20200005091A KR20200109240A KR 20200109240 A KR20200109240 A KR 20200109240A KR 1020200005091 A KR1020200005091 A KR 1020200005091A KR 20200005091 A KR20200005091 A KR 20200005091A KR 20200109240 A KR20200109240 A KR 202001092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lit ring
hook
bait
ring
wire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5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키 다이나카
Original Assignee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09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92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16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other than flat, or substantially flat, undulating bodies, e.g. plu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1867Artificial bait for fishing characterised by the line attach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 A01K91/04Connecting devices for connecting lines to hooks or l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Abstract

훅의 착탈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수중에서 훅이 자유롭게 회전하는 것을 억제하고, 인장 강도가 강한 스플릿 링을 장착한 유사 미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훅(20)을 교환하는 스플릿 링(10)이 장착된 유사 미끼(1)에 있어서, 스플릿 링(10)은, 링 형상으로 형성된 선재(11)의 적어도 일단부(11c)가, 중간부(11b)에 대해 이격되는 방향으로 만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사 미끼 및 유사 미끼용 스플릿 링{PSEUDO BAIT AND SPLIT RING FOR PSEUDO BAIT}
본 발명은, 낚시 시에 사용되는 루어, 지그 헤드 등의 유사 미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훅(낚싯 바늘)을 착탈 가능하게 하는 스플릿 링에 특징을 구비한 유사 미끼, 및 유사 미끼용 스플릿 링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유사 미끼에는, 필요에 따라서 상이한 타입의 훅을 착탈할 수 있도록 스플릿 링이 장착되어 있다. 스플릿 링은, 선상의 부재를 환상으로 만곡시켜 구성되어 있고,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것이 일반적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스플릿 링을, 도 7의 (A), (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통상, 스플릿 링(100)은, 선재(101)의 양단부(101a, 101b)가 중간부(102)에 대해 밀착되도록 대략 2바퀴 권회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어느 단부를 중간부로부터 강제적으로 이격시키고, 이 상태에서 훅(110)의 환부(111)를 선재의 단부에 끼워 넣어, 중간부를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훅(110)을 장착하도록 하고 있다. 훅(110)을 떼어 낼 때에는, 마찬가지로, 스플릿 링의 단부(101a(101b))와 중간부(102)를 강제적으로 이격시키고, 훅(110)의 환부(111)를 그 간극에 끼워 넣어, 중간부를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훅(110)을 떼어 낼 수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는, 선재를 대략 1바퀴 권회하여, 단부를 기단부로부터 약간 이격시킨 구성의 연결용 아이도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연결용 아이를 훅용의 착탈 구조로서 사용하면, 훅의 환부를 장착할 때, 단부를 넓힐 필요가 없으므로, 용이하게 훅을 착탈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본 실용신안 등록 제3021827호
종래의 스플릿 링은, 훅의 환부를 착탈할 때, 스플릿 링의 단부를 중간부로부터 넓히는 조작(플라이어 등의 공구를 사용하여 넓히는 조작)을 행할 필요가 있으므로, 훅의 착탈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없다. 또한, 훅을 설치하면, 그 환부가 스플릿 링 내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어, 수중 내에서 훅이 다양한 방향을 향하기 쉬운 상태가 된다는 점에서, 후킹 성능이 나쁘다. 또한, 선재를 대략 1바퀴 권회한 형식의 것은, 훅의 착탈 조작은 비교적 용이하게 행할 수 있지만, 인장 강도가 약하여, 상기한 구성과 마찬가지로, 수중 내에서 훅이 다양한 방향을 향하기 쉬워 후킹 성능이 나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훅의 착탈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수중에서 훅이 자유롭게 회전하는 것을 억제하고, 인장 강도가 강한 스플릿 링을 장착한 유사 미끼, 및 유사 미끼에 장착되는 스플릿 링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유사 미끼는, 훅을 교환하는 스플릿 링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스플릿 링은, 링 형상으로 형성된 선재의 적어도 일단부가, 중간부에 대해 이격되는 방향으로 만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유사 미끼에 있어서, 스플릿 링에 훅의 환부를 삽입하여 훅을 장착할 때, 링 형상으로 형성된 스플릿 링의 선재의 적어도 일단부가, 중간부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공구를 사용하여 단부를 중간부로부터 이격시키는 조작이 불필요해져, 훅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훅을 설치하여 환부가 스플릿 링을 따라 이동해도, 환부가 스플릿 링의 만곡된 단부에 접합되므로, 훅의 회전 방향이나 횡방향의 이동이 규제된다. 즉, 수중에서 훅이 자유롭게 변동하는 것이 억제되어, 훅의 바늘 끝의 방향의 안정화가 도모되므로, 물고기에 대한 후킹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유사 미끼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한 스플릿 링을 특징으로 하고 있고, 스플릿 링은, 링 형상으로 형성된 선재의 적어도 일단부가, 중간부에 대해 이격되도록 만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훅의 착탈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수중에서 훅이 자유롭게 회전하는 것을 억제하고, 인장 강도가 강한 스플릿 링을 장착한 유사 미끼, 및 유사 미끼에 장착되는 스플릿 링이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유사 미끼의 제1 실시 형태를 나타내며, (A)는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B)는 러버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유사 미끼에 있어서, 스플릿 링 부분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A)는 사시도, (B)는 정면도, (C)는 측면도.
도 3의 (a) 내지 (f)는 차례로 스플릿 링에 대해 훅을 장착하는 순서를 도시하는 도면.
도 4의 (A) 및 (B)는 스플릿 링에 의해 장착된 훅의 변동이 규제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유사 미끼의 제2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의 (A) 내지 (C)는 스플릿 링의 단부 형상의 각종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종래의 스플릿 링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고, (A)는 훅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B)는 훅을 떼어 낸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유사 미끼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유사 미끼의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하는 유사 미끼(1)는, 이른바 지그 헤드라고 칭해지는 것이며, 낚싯줄이 체결되는 아이(3a)가 형성된 추(싱커)(3)에 다수 개의 러버(5)를 늘어뜨리도록 부착되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추(3)에는, 아이(3a)가 마련되는 위치와 반대측에, 스플릿 링(10)이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이 스플릿 링(10)에는, 훅(20)에 형성되어 있는 환부(21)가 장착된다. 본 실시 형태의 스플릿 링(1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훅(20)이 탈착되기 쉽고, 또한 훅의 변동을 규제할 수 있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플릿 링(10)은, 금속제의 선재(11)를 링 형상으로 만곡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선재(11)는, 훅(20)의 환부(21)의 개구 직경보다 가늘고, 또한 그 조건에서, 가능한 한 굵은 직경의 것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선재(11)의 직경은, 훅(20)의 환부(21)의 개구 직경에 따라 다르지만, 물고기가 걸려 큰 인장력이 작용해도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을 정도의 굵기의 것(0.5 내지 2.0㎜ 정도)이 사용된다. 또한, 선재(11)는, 이하와 같이, 1바퀴 이상 권회된다는(360°보다 큰 권회량) 점에서, 후킹한 물고기의 파워에 의해 넓어지는 일은 없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선재(11)의 일단부(기단부)(11a)를 추(3)의 베이스(3b)에 일체적으로 고정하고 있고, 그곳으로부터 먼저는, 링 형상으로 1바퀴 이상 권회하고, 타단부(선단부)(11c)를, 링 형상으로 권회된 상태에 있는 중간부(11b)의 측부에 접촉시키는 일 없이, 이격되도록 권회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선재(11)는, 후킹한 물고기의 파워에 의해 선단부(11c)가 넓어지는 일이 없도록, 약 1바퀴 반(약 540°정도)에 걸쳐 권회되어 있고, 선재를 권회할 때에는, 중간부(11b)를 포함하는 평면 P와, 선단부(11c)가 향하는 방향(선단을 향해 만곡되면서 이격되는 방향) 사이의 각도(만곡 각도) α가 일정값 이상이 되도록 만곡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선단부(11c)와 중간부(11b) 사이에는, 선재(11)를 만곡시켜 상기 각도 α를 형성함으로써, 일정한 간극 G가 발생한 상태로 되어 있다.
상기한 선재에 있어서, 각도 α가 커지도록 만곡시키면, 훅(20)의 환부(21)를 통과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상기 각도 α에 대해서는, 중간부에 대해 다소 이격되도록, 일정 각도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훅(20)의 환부(21)가 어느 정도 굵은 구성이라도, 그대로 삽입할 수 있도록, 10°이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의해, 훅(20)의 환부(21)를, 공구 등을 사용하는 일 없이, 선단부(11c)로부터 원활하게 중간부를 향해 삽입 관통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각도 α의 상한에 대해서는, 특별히 특정되는 일은 없지만, 90° 이내에서 만곡시켜 두면 된다.
여기서, 도 3의 (a) 내지 (f)를 참조하여, 상기한 구성의 스플릿 링(10)에 대해, 훅(20)을 장착하는 순서를 설명한다.
먼저, 훅(20)의 환부(21)를 스플릿 링의 선단부(11c)에 위치 부여하여 삽입한다(도 (a) 내지 (b) 참조). 이 조작에 있어서, 선단부(11c)는 선재의 중간부(11b)로부터 이격되어 간극이 발생되어 있으므로, 공구를 사용하는 일 없이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그 후, 훅(20)을 잡고, 선재를 따라 회전시킴(도 (c) 내지 (e) 참조)으로써, 훅(20)은, 스플릿 링(10)에 대해 장착 상태가 된다(도 (f) 참조). 또한, 훅(20)의 떼어 내기는, 훅(20)을 잡고 상기한 순서와 반대의 조작을 함으로써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순서에 의해, 훅(20)을 스플릿 링(10)에 장착하면, 상기한 각도 α가 작으면, 훅(20)의 환부(21)가 선단부(11c)의 단부면(11c')에 닿아, 중간부(11b)를 따라 훅(20)이 크게 회전하는 것이 규제된다. 즉, 도 4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선의 위치로부터 앞쪽의 점선(20A)으로 나타내는 위치로의 회전 이동은 가능해지지만, 실선의 위치로부터 안쪽의 점선(20B)으로 나타내는 위치로의 회전 이동은 규제되고, 결과적으로, 훅은, 후방으로 회전하는 일 없이 물고기가 걸리기 쉬운 전방 방향으로의 회전을 할 수 있으므로, 후킹하기 쉬워진다. 이 경우, 상기 각도 α가 다소 크게 만곡 형성되어 있어도, 훅의 환부(21)가, 선단부(11c) 부근의 내측면(11c'')(도 2의 (B) 참조) 부분에 맞닿으므로, 마찬가지로, 안쪽으로의 회전이 규제되고, 훅이 후방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스플릿 링(10)의 선단부의 단부면(11c')으로부터 안쪽에서는, 상기한 규제에 의해, 도 4의 (B)의 점선과 같은 좌우 방향(점선(20C, 20D)으로 나타내는 좌우 방향)으로의 요동에 대해서도 규제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구성의 스플릿 링(10)에 훅(20)을 장착하면, 선재의 선단부(11c)를 경계로 하여, 전후 방향의 회전, 및 좌우 방향의 요동이 규제되게 되고, 이에 의해, 수중에서 훅(20)의 바늘 끝(20a)이 위를 향한 상태로 유지되기 쉬워져 후킹 성능이 향상되게 된다.
도 5는, 유사 미끼의 제2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실시 형태의 유사 미끼(1A)는, 루어 타입으로서 구성되어 있고, 본체(3A)의 하측의 2개소에, 상기한 구성의 스플릿 링(10)을 설치하여, 훅(30)을 장착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구성에 있어서도, 훅(30)의 환부(31)는, 스플릿 링(10)에 대해 용이하게 착탈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본체(3A)의 아이(3a')에 낚싯줄을 체결하고, 릴의 권취 조작을 하면서 루어에 액션을 가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훅(30)의 전후 방향의 회전, 및 좌우 방향으로의 요동이 규제되므로, 루어의 수중 자세가 안정되어, 물고기가 걸리기 쉬워진다(물게 하는 능력이 향상됨).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스플릿 링(10)의 선재의 한쪽 단부(기단부)를 유사 미끼의 본체에 장착하였지만, 도 7에 도시하는 구성과 마찬가지로, 스플릿 링(10)의 중간부를 유사 미끼의 본체에 장착하고, 선재의 양단부를, 중간부(11b)로부터 이격되도록 만곡 형성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훅의 착탈 조작을 더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선재(11)를 만곡하여 링 형상으로 형성할 때에는, 그 권회 수(권회량)에 대해서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2바퀴로 하는 등,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권회량에 대해서는, 많게 함으로써 인장 강도의 향상이 도모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스플릿 링은, 링 형상으로 형성된 선재의 적어도 일단부가, 중간부에 대해 이격되는 방향으로 만곡되어 있으면 되고, 그 이격 방법에 대해서는, 다양하게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6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단부(11c)의 단부면(11c')만을 중간부(11b)에 대해 급격하게 굴곡시켜 이격시키거나, 도 6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단부(11c)의 단부면(11c')이, 상방을 향해 중간부(11b)로부터 이격되면서 연장되도록 하거나, 도 6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단부(11c)를 대략 직각 형상(일본어 「く」자 형상)으로 굴곡시켜 중간부(11b)로부터 이격시키는 등, 적절하게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의 스플릿 링(10) 자체여도 된다. 이러한 스플릿 링에 대해서는, 유저가 낚시 도구를 제작할 때, 훅 등, 미리 환부가 형성되어 있는 낚시 도구 구성 부품이 접속되는 개소에 마련해 두면 되고, 이에 의해 낚시 도구를 용이하게 제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1, 1A: 유사 미끼
10: 스플릿 링
11: 선재
11a: 기단부(단부)
11b: 중간부
11c: 선단부(단부)
20, 30: 훅
21, 31: 환부

Claims (6)

  1. 훅을 교환하는 스플릿 링이 장착된 유사 미끼에 있어서,
    상기 스플릿 링은, 링 형상으로 형성된 선재의 적어도 일단부가, 중간부에 대해 이격되는 방향으로 만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사 미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플릿 링의 단부는, 중간부를 포함하는 평면에 대해, 10°이상 구부러져 있고, 상기 훅은, 스플릿 링에 설치하는 환부가 스플릿 링의 단부에 의해 회전 이동이 규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사 미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플릿 링을 구성하는 선재는, 360°보다 권회량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사 미끼.
  4. 유사 미끼에 대해 장착 가능하고, 훅을 착탈 가능하게 교환하는 스플릿 링이며,
    링 형상으로 형성된 선재의 적어도 일단부가, 중간부에 대해 이격되는 방향으로 만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플릿 링.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플릿 링의 단부는, 중간부를 포함하는 평면에 대해, 10° 이상 구부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플릿 링.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선재는, 360°보다 권회량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플릿 링.
KR1020200005091A 2019-03-12 2020-01-15 유사 미끼 및 유사 미끼용 스플릿 링 KR2020010924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044637 2019-03-12
JP2019044637A JP7244311B2 (ja) 2019-03-12 2019-03-12 疑似餌、及び、疑似餌用スプリットリン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9240A true KR20200109240A (ko) 2020-09-22

Family

ID=69810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5091A KR20200109240A (ko) 2019-03-12 2020-01-15 유사 미끼 및 유사 미끼용 스플릿 링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369098B2 (ko)
EP (1) EP3711480A1 (ko)
JP (2) JP7244311B2 (ko)
KR (1) KR20200109240A (ko)
CN (1) CN11168508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1011471S1 (en) 2023-09-14 2024-01-16 John Gordon McMahon Fishing hookse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67685B2 (en) * 2013-11-21 2020-09-08 Medline Industries, Inc. Hangable apparatus and systems and methods therefor
JP7244311B2 (ja) * 2019-03-12 2023-03-22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疑似餌、及び、疑似餌用スプリットリン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1827U (ja) 1995-08-23 1996-03-12 株式会社ゴーセン ルアーフィッシュング用フック

Family Cites Families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0064A (en) * 1902-04-14 1903-06-02 Albert Wing Wilson Trolling-spoon.
US2981029A (en) * 1959-06-10 1961-04-25 Markoff-Moghadam Leo Connecting device
US3340595A (en) * 1965-02-02 1967-09-12 Arthur T Hoadley Method of,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apertured members to split rings
US4112608A (en) * 1977-01-21 1978-09-12 Mcgahee Welbourne D Method and apparatus for fabricating fishing lures etc.
US4965957A (en) * 1989-02-16 1990-10-30 Hnizdor Thomas A Tandem double offset fishhook
JP2803056B2 (ja) 1989-12-04 1998-09-24 東芝ケミカル株式会社 耐熱性摺動用成形材料
JP2965480B2 (ja) * 1995-04-06 1999-10-18 株式会社ズイール 魚釣り用スプリットリング
US5579600A (en) * 1995-10-11 1996-12-03 Burns; Jesse Fish hook and method for attachment to a line or lure
JP3026752U (ja) * 1996-01-12 1996-07-23 株式会社オーナーばり ルアー用スプリットリング
US5689911A (en) * 1996-02-16 1997-11-25 Lin; Chun Shiong Easy tie fish hook
JPH1084825A (ja) * 1996-09-18 1998-04-07 Teiji Maruyama 連結機構を備えた連結環及び釣針
JPH10276640A (ja) * 1997-02-10 1998-10-20 Nakajima Miyuki 魚釣り用疑似餌および釣り針のためのスプリットリング
JP3484060B2 (ja) * 1997-12-15 2004-01-06 株式会社がまかつ 釣 鈎
AU2002301028B2 (en) * 2000-04-26 2006-08-17 Nine Ip Limited Fastening System for Agricultural Materials
US6460225B1 (en) * 2000-04-27 2002-10-08 Ultimate Niti Technologies, Llc Breakaway link or connector
JP2004135510A (ja) * 2002-10-15 2004-05-13 Depusu:Kk ルアー用フック連結部材及び該フック連結部材を装着したルアー
JP3929041B2 (ja) * 2002-11-18 2007-06-13 マルキユー株式会社 ジグヘッド
JP3960992B2 (ja) * 2004-12-21 2007-08-15 株式会社オーナーばり 釣針
US20060185221A1 (en) * 2005-02-22 2006-08-24 Jesse Burns Fish hook and lure swivel eyelet and method of manufacture
JP2007282554A (ja) * 2006-04-14 2007-11-01 Shoichi Kawaguchi ルアー用打ち抜きリング
JP3142982U (ja) * 2008-04-22 2008-07-03 株式会社ヤマイ スプリットリング対応釣り針
US7735257B1 (en) * 2008-05-21 2010-06-15 Knight Manufacturing Co., Inc. Fishing rigging
US7735256B2 (en) 2008-09-05 2010-06-15 Marcus Craig Hatfield Fish lure break away system
US20100325939A1 (en) * 2008-12-13 2010-12-30 Ryan Christopher Frayne Non-releasable Line Fastening Device
US20120036762A1 (en) * 2010-08-11 2012-02-16 Ronald Alan Veith Quick connect fish hook and fishing system
JP4848057B1 (ja) * 2011-05-30 2011-12-28 優美子 石川 釣針
US20130014427A1 (en) * 2011-07-15 2013-01-17 Constellation Llc. Fishing Tackle Knot Funnel Body
US20140237889A1 (en) * 2011-10-19 2014-08-28 100 Penn Drive, Unit 8 WestonM9L 2A9 Fishing lure with mechanism for fish hook replacement
JP3177420U (ja) * 2012-05-22 2012-08-02 隆 大塚 スプリットリング
JP5288389B1 (ja) * 2013-02-25 2013-09-11 満 渡辺 釣り針
JPWO2015001588A1 (ja) * 2013-07-05 2017-02-23 株式会社がまかつ ルアー用スプリットリングの製造方法
CN203505356U (zh) * 2013-08-14 2014-04-02 石狮市巨帝北洋钓具有限公司 一种新型结构假饵
US9072285B1 (en) * 2013-09-15 2015-07-07 Ryan Patrick Rye Lure with cyclically reversing blade rotation
US9241481B1 (en) * 2013-10-28 2016-01-26 Robert A. Jackson, III Fishing lure
WO2015085331A1 (en) * 2013-12-03 2015-06-11 Leigh Stephen Andrew Fishing connector
US9480243B2 (en) * 2014-01-30 2016-11-01 Todd Alexander Krohn Fishing lure jig
CA2842197A1 (en) * 2014-02-07 2015-08-07 Freedom Tackle Corp. Fishing lure
US9241480B2 (en) * 2014-03-06 2016-01-26 Kevin Storm Fishing lure device
US20160057981A1 (en) * 2014-09-03 2016-03-03 William John Beecher Fish Hook And Interconnection Device That Break At A Controlled Force
CN204599064U (zh) * 2015-04-16 2015-09-02 张亮亮 一种新型鱼饵
KR20170001194U (ko) * 2015-09-24 2017-04-03 신승호 탈부착이 용이한 연결구
US20190116775A1 (en) * 2015-11-06 2019-04-25 Stephen Andrew LEIGH Fishing accessory
US20170150706A1 (en) * 2015-11-30 2017-06-01 Inho Jung Fishing jig
US20170159698A1 (en) * 2015-12-08 2017-06-08 Robert A. Locker Oval spring locking ring
US10238094B2 (en) * 2016-04-11 2019-03-26 Matthew A. Forbes Method and assembly for knotting and splicing a line
JP6714914B2 (ja) * 2017-02-21 2020-07-01 株式会社デュエル ルアー
US20190246613A1 (en) * 2018-02-09 2019-08-15 Todd Michael Cook Device for connecting a lure to fishing line
JP3216468U (ja) * 2018-03-19 2018-05-31 賢司 貝谷 ルアー用連結金具および擬似餌セット
CA3004994A1 (en) * 2018-05-15 2019-11-15 Michel H. Frechette Fishing lure system kit
JP7244311B2 (ja) * 2019-03-12 2023-03-22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疑似餌、及び、疑似餌用スプリットリング
JP7454840B2 (ja) * 2020-04-02 2024-03-25 株式会社がまかつ 魚釣り用のスプリットリング
JP3228605U (ja) * 2020-07-27 2020-11-05 有限会社アルファウイング 釣具の連結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1827U (ja) 1995-08-23 1996-03-12 株式会社ゴーセン ルアーフィッシュング用フッ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1011471S1 (en) 2023-09-14 2024-01-16 John Gordon McMahon Fishing hooks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11480A1 (en) 2020-09-23
US20200288686A1 (en) 2020-09-17
CN111685086A (zh) 2020-09-22
JP2023029635A (ja) 2023-03-03
JP7244311B2 (ja) 2023-03-22
JP2020145942A (ja) 2020-09-17
US11369098B2 (en) 2022-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09240A (ko) 유사 미끼 및 유사 미끼용 스플릿 링
US6941695B2 (en) Fishing lure assembly having concealed retractable hooks
AU2011231456A1 (en) Fishing lure
US10136623B2 (en) Rattling fish hook
US10278376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lure assembly having replaceable skirt
KR200464177Y1 (ko) 루어 낚시용 낚싯바늘의 웜 고정장치
US20150033612A1 (en) Swim Bait
JP3929041B2 (ja) ジグヘッド
KR102570465B1 (ko) 베이트 홀더 및 홀더 유닛
JP3221188U (ja) 釣り針
JPH09285245A (ja) 釣針連結具
KR20170001194U (ko) 탈부착이 용이한 연결구
JP4828660B2 (ja) ジグヘッド
JP2017158444A (ja) 魚釣り用のデッドベイトおよびその針保持器
JP3217329U (ja) 釣り具
JP6171140B1 (ja) 釣り用仕掛具
JP4828252B2 (ja) ジグヘッド
JP2008113647A (ja) ルアー
JP2016002006A (ja) ジグヘッド
JP7328435B1 (ja) 釣用仕掛け及び揚力発生部材
US3839812A (en) Anti snagging fishhook
JP7420891B1 (ja) 疑似餌仕掛け及び釣具
JP6945759B1 (ja) ルアー用フック及び釣り用ルアー
JP3120930U (ja) ルアー保持具
SE1650041A1 (sv) Lure, especially for fish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