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0465B1 - 베이트 홀더 및 홀더 유닛 - Google Patents

베이트 홀더 및 홀더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0465B1
KR102570465B1 KR1020180061645A KR20180061645A KR102570465B1 KR 102570465 B1 KR102570465 B1 KR 102570465B1 KR 1020180061645 A KR1020180061645 A KR 1020180061645A KR 20180061645 A KR20180061645 A KR 20180061645A KR 102570465 B1 KR102570465 B1 KR 102570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portion
bait
boss
holder
pos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1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1271A (ko
Inventor
타케후미 테라다
요스케 코바야시
켄지 히라하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190101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12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0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04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3/00Fish-hooks
    • A01K83/06Devices for holding bait on hooks
    • A01K83/064Devices for holding bait on hooks mounted on, integral with, or rigidly connected to the hook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6Apparatus on l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utomatic hook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3/00Fish-hooks
    • A01K83/06Devices for holding bait on hoo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5/00Sinkers for angling
    • A01K95/02Devices for fixing on or removing sinkers from l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Abstract

[과제] 부드러운 베이트를 간단한 조작으로 확실하게 보지(保持)하고, 또한 낚싯줄이 엉키기 어려운 베이트 홀더의 제공.
[해결 수단] 베이트 홀더(10)는, 축부(18), 요부(腰部)(19) 및 선곡부(先曲部)(20)로 이루어지는 낚싯바늘부(12)를 가진다. 협지편(挾持片)(15, 16)이 축부(18)에 설치되어 있다. 협지편(15, 16)은, 축부(18)를 기준으로 회동(回動)하고, 개폐한다. 협지편(15, 16)은, 폴리아미드(PA) 등의 수지로 이루어진다. 협지편(15, 16)은, C자상(字狀)을 나타내고, 창(窓)(51)이 형성되어 있다. 협지편(15, 16)이 닫힌 상태를 보지하는 래칫 기구(31)가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베이트 홀더 및 홀더 유닛{BAIT HOLDER AND HOLDER UNIT}
이 발명은, 물고기 미끼를 보지(保持)하는 베이트 홀더 및 이것에 적용되는 홀더 유닛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갈치 낚시에 있어서는, 「텐야」라고 칭하여지는 베이트 홀더가 채비에 짜 넣어진다. 일반적으로 베이트 홀더는, 추(錘)의 기능을 가지는 헤드와, 베이트(전형적으로는 정어리나 샛줄멸)를 보지하는 보지부와, 베이트에 어택(attack)하여 온 타겟에 후킹(hooking)하는 낚싯바늘을 구비하고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이 낚싯바늘은, 축부, 요부(腰部) 및 선곡부(先曲部)를 가지고, 요부 및 선곡부가 하방(下方)을 향한 상태로 축부의 기단(基端)이 상기 헤드에 접속된다.
상기 낚싯바늘의 축부에 자침(刺針)이 돌설(突設)되어 있고, 이 자침의 앞이 상방(上方)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이 자침은, 베이트를 고정하기 위한 감기 와이어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보지부는, 상기 축부, 자침 및 감기 와이어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실제 낚시에 있어서 낚시꾼은, 베이트로서의 정어리나 샛줄멸을 상기 자침에 찔러서 상기 축부 상(上)에 배치하고, 그 상태에서 상기 감기 와이어를 당해 베이트에 감는다. 이것에 의하여, 상기 베이트는 상기 축부 및 자침에 고정되고, 베이트 홀더에 의하여 보지된 상태가 된다.
낚시꾼이 조과(釣果)를 높이기 위하여는, 타겟의 섭이(攝餌) 행위가 활발하게 되는 시간대(이른바 「지합(地合)」)에 있어서, 베이트의 착탈 작업을 신속하게 행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베이트로서의 정어리의 살, 특히 냉동 혹은 해동된 정어리의 살은 매우 무르고, 전술의 요령으로 재빠르게 정어리를 베이트 홀더에 장착하는 작업은 용이하지 않다. 특히, 베이트의 교체 작업 시, 즉, 타겟이 어택하는 것에 의하여 정어리가 살 부서짐을 일으키는 것과 함께 감기 와이어가 얽혀 있는 상황에 있어서, 당해 정어리를 상기 보지부로부터 떼어내는 작업은, 매우 번거로운 것이 되는 경우도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출원인은, 간단한 조작으로 베이트를 재빠르게 교환할 수 있는 베이트 홀더를 제안하였다(특허 문헌 2 참조). 이 베이트 홀더는, 정어리를 측방(側方)으로부터 서포트하는 가드를 구비하고 있고, 이 가드는, 낚싯바늘의 축부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베이트 홀더는, 보조 암을 구비하고 있다. 이 보조 암은, 정어리를 고정하는 고정 바늘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축부에 상방으로부터 근접한 근접 자세와, 상기 축부로부터 상방으로 이반(離反)한 이반 자세와의 사이에서 변위한다. 이 보조 암이 근접 자세로 변위하였을 때에, 상기 고정 바늘이 상방으로부터 정어리의 등에 찔려, 정어리가 고정된다. 보조 암이 이반 자세로 변위하는 것에 의하여, 정어리가 간단하게 축부로부터 떼어내진다. 즉, 낚시꾼이 축부에 정어리를 싣는 것만으로 상기 가드가 당해 정어리를 서포트하고, 나아가, 낚시꾼은, 보조 암을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간단하게 정어리를 착탈할 수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3-230330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12-120496호
그런데, 특허 문헌 2에 개시된 베이트 홀더는, 보조 암이 탄성 변형하는 것에 의하여 변위하고, 축부에 계합(係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이 베이트 홀더가 대형의 갈치를 타겟으로 하는 배 낚시에 제공된 경우, 낚시꾼이 채비를 수중(水中)에서 격렬하게 조작하면, 상기 보조 암이 탄성 변형하여 축부로부터 벗어나 버릴 우려가 있다. 또한, 보조 암은 굴곡된 금속선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수중에서 보조 암에 낚싯줄이 걸리기 쉽다. 그 결과, 복수의 낚시꾼이 동선(同船)한 경우에, 이웃하는 낚시꾼의 채비가 보조 암에 엉켜 버릴 우려도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배경의 기초로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정어리나 샛줄멸 등의 부드러운 베이트를 간단한 조작으로 확실하게 보지하는 것과 함께, 배 낚시 등에 사용된 경우에도 낚싯줄이 엉키기 어려운 베이트 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1) 본 발명에 관련되는 베이트 홀더는, 미끼 낚시 채비에 적용되고, 베이트 피쉬(bait fish)를 홀드(hold)하는 베이트 홀더이며, 낚싯줄이 접속될 수 있는 아이(eye)를 가지는 싱커 헤드(sinker head)와, 일단(一端)이 상기 싱커 헤드에 고정된 곧게 연장되는 축부 및 당해 축부에 연속하는 요부 및 선곡부를 가지는 낚싯바늘부와, 상기 축부에 돌설되고, 당해 축부를 따라 배치된 베이트 피쉬에 찔리는 고정 바늘과, 상기 축부를 기준으로 회동(回動)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고정 바늘을 내측(內側)에 배치한 상태에서 서로 근접하는 보지 자세와 서로 이반하는 개방 자세와의 사이에서 자세 변화하는 한 쌍의 협지편(挾持片)을 가진다.
이 구성에 의하면, 낚시꾼은, 한 쌍의 협지편을 개방 자세로 변위시키고, 베이트 피쉬를 축부를 따라 당해 축부 상에 배치한다. 이 때, 축부 상에 배치된 베이트 피쉬에 고정 바늘이 찔리기 때문에, 베이트 피쉬는, 축부 상에 안정되게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한 쌍의 협지편이 보지 자세로 변위된다. 즉, 한 쌍의 협지편은, 축부를 회동 기준으로 하여 회동하고, 상기 고정 바늘 및 베이트 피쉬를 내측에 배치하여 측방으로부터 감싸도록 위요(圍繞)한다. 한 쌍의 협지편이 개방 자세로 변위하면, 당해 협지편이 축부 상의 베이트 피쉬로부터 이반하기 때문에, 낚시꾼은, 베이트 피쉬를 재빠르게 떼어내어, 교체할 수 있다.
(2) 상기 한 쌍의 협지편의 사이에, 당해 한 쌍의 협지편을 상기 보지 자세로 보지하는 자세 보지 기구가 개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서는, 자세 보지 기구에 의하여 한 쌍의 협지편이 보지 자세로 유지된다. 따라서, 실제 낚시에 있어서 채비가 격렬하게 조작된 경우일지라도, 상기 협지편이 개방 자세로 변위하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3) 상기 자세 보지 기구는, 래칫(ratchet) 기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서는, 간단한 기구로, 한 쌍의 협지편이 확실하게 보지 자세로 유지된다.
(4) 상기 협지편은, 상기 보지 자세로 변위하였을 때에 베이트 피쉬의 체측(體側) 중앙부를 노출시키는 창(窓)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서는, 상기 축부 상에 배치된 베이트 피쉬가 크게 노출하기 때문에, 타겟인 물고기에 베이트의 존재를 강하게 어필할 수 있다.
(5) 상기 협지편은, 상기 축부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창의 가장자리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보지 자세로 변위하였을 때에 베이트 피쉬의 체측 배부(背部)를 따라 당접(當接)하는 가늘고 긴 봉상(棒狀)의 당접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서는, 상기 당접부가 베이트 피쉬의 체측 배부를 누르기 때문에, 당해 베이트 피쉬가 보다 안정된다. 게다가, 이 당접부가 상기 창의 일부를 구획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당해 창이 커진다. 따라서, 베이트 피쉬의 체측부(體側部)가 보다 크게 노출한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6) 상기 협지편은, 복수의 연결 보스를 통하여 상기 축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연결 보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선곡부가 긴쪽 방향을 따라 삽통(揷通)할 수 있는 긴 구멍이 관통(貫通)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서는, 협지편이 축부에 대하여 원활히 회동한다. 따라서, 이 연결 보스에 지지된 협지편은, 원활히 자세를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연결 보스에 상기 긴 구멍이 관통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당해 협지편이 축부에 장착될 때에, 당해 긴 구멍에 대하여 상기 선곡부, 요부 및 당해 축부가 용이하게 삽통된다. 즉, 선곡부에 바브(barb)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일지라도, 연결 보스에 낚싯바늘부가 간단하게 통과되면서, 당해 연결 보스가 상기 축부에 확실하게 취부(取付)된다.
(7) 상기 협지편은, 복수의 연결 보스를 통하여 상기 축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연결 보스 중 적어도 하나는, 당해 연결 보스의 둘레면에 개구(開口)하고, 상기 축부가 상하 방향의 위에서 아래를 향하여 감합(嵌合)되는 홈이 형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이 구성에서는, 협지편이 축부에 대하여 원활히 회동한다. 따라서, 이 연결 보스에 지지된 협지편은, 원활히 자세를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연결 보스에 상기 홈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당해 협지편이 축부에 장착될 때에, 당해 홈에 대하여 상기 축부가 진입한다. 즉, 당해 연결 보스가 상기 축부에 간단하게 또한 확실하게 취부된다.
실제 낚시에 있어서, 많은 경우, 타겟은 베이트 피쉬에 대하여 아래로부터 위를 향하여 바이트한다. 상기 연결 보스가 하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축부에 감합되어 있기 때문에, 협지편은, 낚싯바늘부에 대하여 아래로부터 위를 향하여 감합되어 있다. 따라서, 타겟이 베이트 피쉬에 바이트한 경우라도, 충격에 의하여 협지편이 낚싯바늘부로부터 벗어나 버리는 것이 방지된다.
(8) 일방(一方)의 협지편은 상기 축부에 고정되고, 타방(他方)의 협지편이 상기 축부를 기준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서는, 한 쌍의 협지편 중 타방의 협지편만의 조작에 의하여 간단하게 상기 자세 변화가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실제 낚시에 있어서의 베이트 피쉬의 착탈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9) 본 발명에 관련되는 홀더 유닛은, 낚싯줄이 접속될 수 있는 아이를 가지는 싱커 헤드와, 일단이 상기 싱커 헤드에 고정된 곧게 연장되는 축부 및 당해 축부에 연속하는 요부 및 선곡부를 가지는 낚싯바늘부를 구비한 베이트 홀더에 적용된다. 이 홀더 유닛은, 소정의 연결축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것에 의하여, 서로 근접하여 베이트 피쉬를 내측에 배치하여 측방으로부터 감싸도록 위요하는 보지 자세와 서로 이반하는 개방 자세와의 사이에서 자세 변화하는 한 쌍의 협지편과, 상기 한 쌍의 협지편 중 적어도 일방에 설치되고, 상기 축부와 착탈 가능하게 감합하는 고정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한 쌍의 협지편은 상기 연결축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가 상기 축부에 감합된다. 즉, 당해 홀더 유닛이 상기 베이트 홀더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다. 낚시꾼은, 한 쌍의 협지편을 개방 자세로 변위시키고, 베이트 피쉬를 당해 협지편의 사이에 배치한다. 이 상태에서, 한 쌍의 협지편이 보지 자세로 변위된다. 즉, 한 쌍의 협지편은, 연결축을 회동 기준으로 하여 회동하고, 당해 베이트 피쉬를 내측에 배치하여 측방으로부터 감싸도록 위요한다. 한 쌍의 협지편이 개방 자세로 변위하면, 당해 협지편이 베이트 피쉬로부터 이반하기 때문에, 낚시꾼은, 베이트 피쉬를 재빠르게 떼어내어, 교체할 수 있다.
(10) 본 발명에 관련되는 베이트 홀더는, 한 쌍의 수지 또는 고무로 이루어지는 협지편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각 협지편은, 금속선은 아니고 수지 또는 고무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수중에서 조작된 경우에도 변형하기 어렵다. 따라서, 베이트 피쉬가 확실하게 보지되고, 낚시꾼이 의도하지 않고 베이트 피쉬가 탈락하는 것이 방지된다. 게다가, 상기 협지편은 수지 또는 고무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낚싯줄이 엉키기 어렵다.
(11) 본 발명에 관련되는 홀더 유닛은, 한 쌍의 수지 또는 고무로 이루어지는 협지편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각 협지편은, 금속선은 아니고 수지 또는 고무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수중에서 조작된 경우에도 변형하기 어렵다. 따라서, 베이트 피쉬가 확실하게 보지되고, 낚시꾼이 의도하지 않고 베이트 피쉬가 탈락하는 것이 방지된다. 게다가, 상기 협지편은 수지 또는 고무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낚싯줄이 엉키기 어렵다.
(12) 본 발명에 관련되는 베이트 홀더는, 상기 싱커 헤드에 물고기의 두부(頭部)를 나타내는 모양(模樣)이 붙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13) 본 발명에 관련되는 베이트 홀더는, 상기 싱커 헤드에 베이트 피쉬를 지탱하는 앵커(anchor)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에 의하면, 낚시꾼은, 한 쌍의 협지편을 조작하고, 보지 자세 혹은 개방 자세로 변위시키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또한 신속하게 베이트 피쉬를 축부 상에 확실하게 고정하고, 혹은 착탈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협지편은 낚싯줄이 엉키기 어려워져 있기 때문에, 실제 낚시에 있어서, 채비가 얽히는 것이 방지된다. 게다가, 상기 협지편은, 변형하기 어려운 구조이기 때문에, 실제 낚시에 있어서, 협지편이 변형하는 것에 의한 베이트 피쉬의 탈락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협지편이 홀더 유닛을 구성하는 경우는, 당해 홀더 유닛이 상기 축부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베이트 피쉬의 사이즈에 적합한 홀더 유닛을 상기 축부에 취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베이트 홀더(10)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베이트 홀더(10)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베이트 홀더(10)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있어서의 IV-IV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있어서의 V-V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있어서의 VI-VI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있어서의 VII-VII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관련되는 베이트 홀더(70)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있어서의 IX-IX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에 있어서의 X-X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8에 있어서의 XI-XI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8에 있어서의 XII-XII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8에 있어서의 XIII-XIII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홀더 유닛(90)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가, 적의(適宜) 도면이 참조되면서 설명된다. 덧붙여, 본 실시의 형태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베이트 홀더의 일 태양(態樣)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에서 실시 형태가 변경되어도 무방한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전체 구성과 포인트>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베이트 홀더(10)의 측면도이다.
이 베이트 홀더(10)는, 전형적으로는 갈치 낚시의 채비에 짜 넣어지고, 낚시꾼의 사이에서는 「갈치 텐야」라고도 칭하여진다. 동(同) 도면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트 홀더(10)는, 싱커 헤드(11)와, 낚싯바늘부(12)와, 고정 바늘(13, 14)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자세 변화하는 한 쌍의 협지편(15, 16)을 구비하고 있다.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예를 들어 냉동 정어리 등이 베이트 피쉬로서 채용되고, 낚싯바늘부(12) 상에 배치된다. 이 때, 고정 바늘(13, 14)이 베이트 피쉬에 찔리고, 당해 베이트 피쉬가 안정된다.
도 2 및 도 3은, 베이트 홀더(10)의 사시도이며, 협지편(15, 16)의 자세 변화의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덧붙여, 동 도면에서는, 고정 바늘(14)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이것들의 도면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싱커 헤드(11)는, 금속(전형적으로는 납)으로 이루어진다. 싱커 헤드(11)는, 상기 채비를 수중에 안정적으로 가라앉히기 위하여, 소정의 중량으로 설정되어 있다. 싱커 헤드(11)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작은 물고기의 두부를 본떠 성형되어 있다. 싱커 헤드(11)의 상단(上端)에 아이(17)가 형성되어 있다. 아이(17)는 금속제의 선재(線材)(전형적으로는 스테인리스강(鋼))로 이루어지고, 환상(環狀)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아이(17)에 낚싯줄이 연결된다.
낚싯바늘부(12)는, 타겟(갈치)이 베이트 피쉬에 어택하였을 때에, 당해 타겟에 박히는 낚싯바늘로서 기능한다. 도 1 ~ 도 3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낚싯바늘부(12)는, 축부(18)와, 요부(19)와, 선곡부(20)를 구비하고 있다. 이것들은 금속제의 선재(전형적으로는 스테인리스강)로 이루어지고,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덧붙여, 도 1에 있어서, 좌우 방향이 축부(18)의 「축 방향(22)」이며, 좌측이 베이트 홀더(10)의 「전방(前方)」, 우측이 「후방(後方)」으로 정의되고, 상하 방향은 화살표 24로 도시된다.
축부(18)는, 곧은 봉상의 부재이다. 축부(18)의 전단부(前端部)(21)(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일단」에 상당)는, 싱커 헤드(11)의 후단부(後端部)에 고정되어 있다. 이 축부(18)는, 축 방향(22)을 따라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베이트 피쉬는, 축부(18)를 따라, 당해 축부(18) 상에 재치(載置)된다.
요부(19)는, 축부(18)의 타단부(23)에 연속하고 있고, 동 도면에 있어서 상하 방향(24)의 하향으로 만곡하고 있다. 선곡부(20)는, 요부(19)에 연속하고 있다. 이 선곡부(20)는, 그 선단부(25)가 축 방향(22)의 앞쪽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만곡되어 있다. 덧붙여, 이 선단부(25)에 이른바 바브(26)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 바늘(13)은, 축부(18)에 취부되어 있다. 고정 바늘(13)은, 금속제의 선재(전형적으로는 스테인리스강)로 이루어지고, C자상(字狀)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 바늘(13)은, 기부(基部)(27) 및 한 쌍의 돌자부(突刺部)(28)를 가진다. 기부(27)가 축부(18)에 고정되고, 돌자부(28)가 상향으로 기립하고 있다. 고정 바늘(14)도 스테인리스강 그 외의 금속제의 선재로 이루어지고, 도 1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L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 바늘(14)의 기부(29)가 축부(18)에 고정되어 있고, 돌자부(30)가 상향으로 기립하고 있다. 이 고정 바늘(14)의 돌자부(30)는, 도 1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싱커 헤드(11)의 근방에서 축부(18)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덧붙여, 이것들 고정 바늘(13, 14)은, 생략되어도 무방하다.
협지편(15, 16)은, 도 2 및 도 3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부(18)에 취부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베이트 홀더(10)의 특징으로 하는 바는, 협지편(15, 16)이 축부(18)를 기준으로 회동할 수 있고, 양자(兩者)가 닫힌 자세(도 2 참조)와 열린 자세(도 3 참조)와의 사이에서 자세 변화하도록 되어 있는 점, 협지편(15, 16)이 후술의 자세 보지 기구(31)를 탑재하고 있는 점, 및 협지편(15, 16)이 수지(본 실시 형태에서는, 폴리아미드(PA), 폴리옥시메틸렌(POM),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그 외의 수지) 또는 고무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는 점이다. 도 2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협지편(15, 16)이 닫힌 자세를 「보지 자세」라고 칭하고, 도 3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열린 자세를 「개방 자세」라고 칭한다. 협지편(15, 16)은, 고정 바늘(13, 14)을 내측에 배치한 상태에서 자세 변화한다. 즉, 실제 낚시에 있어서, 베이트 피쉬를 내측에 배치한 상태에서 개폐할 수 있다.
<협지편>
도 4 ~ 도 7은, 각각 도 1에 있어서의 IV-IV 단면도, V-V 단면도, VI-VI 단면도 및 VII-VII 단면도이다. 덧붙여, 이것들의 도면에 있어서 지면(紙面)의 좌우 방향이 베이트 홀더(10)의 좌우 방향(49)이다. 즉, 좌방(左方) 및 우방(右方)이란, 각각 베이트 홀더(10)를 후방으로부터 본 경우의 좌향 및 우향을 의미한다.
도 1 및 도 2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협지편(15)은, 전체적으로 C자상으로 만곡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협지편(15)은, 전각(前脚)(32)과, 후각(後脚)(33)과, 이것들에 걸쳐지도록 형성된 당접부(34)와, 전각(32)에 설치된 제1 보스(35) 및 제2 보스(36)(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연결 보스」에 상당)와, 후각(33)에 설치된 제3 보스(37)(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연결 보스」에 상당)를 가진다.
도 1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보스(35) 및 제2 보스(36)는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양자는, 축 방향(22)을 따라 대향 배치되어 있고, 후술의 요령으로 축부(18)와 계합한다. 제1 보스(35)와 제2 보스(36)와의 이간(離間) 거리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5mm ~ 20mm의 범위에서 적의 설정된다. 제3 보스(37)는, 제2 보스(36)와 대향하고 있고, 제2 보스(36)에 대하여 축 방향(22)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3 보스(37)는, 후술의 요령으로 축부(18)와 계합한다. 제2 보스(36)와 제3 보스(37)와의 거리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5mm ~ 20mm의 범위에서 적의 설정된다.
도 4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보스(35)는 블록상(狀)으로 형성되어 있다. 단, 제1 보스(35)의 외형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동 도면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부(18)가 감합 가능한 사이즈이면 된다. 제1 보스(35)에 홈(38)이 설치되어 있다. 이 홈(38)은, 제1 보스(35)의 하면(下面)에 개구(40)를 형성하고, 당해 개구(40)에 연속하여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홈(38)의 폭 치수는, 축부(18)의 외경(外徑)에 대응하고 있다. 홈(38)의 길이 치수(상하 방향(24)의 길이)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적어도 축부(18)의 외경보다도 크게 설정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개구(40)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좌(座)(41)가 형성되어 있다. 이 좌(41)에 의하여 개구(40)의 내경(內徑)이 넓혀져 있다. 단, 좌(41)는 생략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보스(36)의 외형 형상은, 제1 보스(35)와 마찬가지이고, 제2 보스(36)의 하면에 상기 홈(38)과 마찬가지의 홈이 설치되어 있다. 단, 제2 보스(36)의 외형 형상은, 제1 보스(35)의 외형 형상과 동일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제1 보스(35) 및 제2 보스(36)는, 연결 바(42)에 의하여 연결되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 도 2 및 도 4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각(32)은, 제1 보스(35)의 전단에 연속하고 있다. 전각(32)은, 제1 보스(35)로부터 좌방 외측으로 불룩해지도록 원호상(圓弧狀)으로 만곡하면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5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3 보스(37)도 블록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제3 보스(37)의 외형 형상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동 도면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부(18)가 감합 가능한 사이즈이면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3 보스(37)의 하면에 리브(43)가 형성되어 있지만, 이 리브(43)는 생략될 수 있다. 제3 보스(37)에 홈(44)이 설치되어 있다. 이 홈(44)은, 제3 보스(37)의 상면(上面)에 개구(45)를 형성하고, 당해 개구(45)에 연속하여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홈(44)의 내벽면 형상은, 축부(18)의 외경에 대응한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구(45)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좌(46)가 형성되어 있다. 이 좌(46)에 의하여 개구(45)의 내경이 넓혀져 있다. 단, 좌(46)는 생략될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5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각(33)은, 제3 보스(37)의 후단에 연속하고 있다. 후각(33)은, 전각(32)과 마찬가지로, 제3 보스(37)로부터 좌방 외측으로 불룩해지도록 원호상으로 만곡하면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1, 도 2, 도 6 및 도 7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당접부(34)는, 가늘고 긴 봉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축 방향(22)을 따라 연장되고, 또한 약간 상방으로 볼록하게 되도록 만곡하고 있다. 당접부(34)는, 전각(32)의 상단 및 후각(33)의 상단에 매끄럽게 연속하고, 양자간에 걸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당접부(34)의 단면 형상은 사각형이며, 소정의 휨 강성이 확보되어 있다. 단, 당접부(34)의 단면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소정의 휨 강성이 확보되는 것이면 된다.
당접부(34)가 전각(32)의 상단 및 후각(33)의 상단에 연속하여 축 방향(22)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협지편(15, 16)이 보지 자세가 되었을 때(도 2 참조), 당접부(34)는, 축부(18) 상에 배치된 베이트 피쉬의 체측부, 특히 체측 배부를 따라 당접한다.
도 1 ~ 도 3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협지편(16)도 협지편(15)과 마찬가지로 전체적으로 C자상으로 만곡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협지편(16)은, 전각(52), 후각(53), 이것들에 걸쳐지도록 형성된 당접부(54), 전각(52)에 설치된 제1 보스(55)(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연결 보스」에 상당) 및 후각(53)에 설치된 제2 보스(56)(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연결 보스」에 상당)를 가진다.
도 1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보스(55) 및 제2 보스(56)는, 축 방향(22)을 따라 대향 배치되어 있고, 축부(18)와 계합한다. 제1 보스(35)와 제2 보스(36)와의 이간 거리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보스(55)는, 협지편(15)에 설치된 제1 보스(35)와 제2 보스(36)와의 사이에 배치되고, 제2 보스(56)는, 협지편(15)에 설치된 제3 보스(37)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단, 제1 보스(55) 및 제2 보스(56)의 위치에 관하여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보스(55)는 건형(鍵形)의 블록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단, 제1 보스(55)의 외형 형상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동 도면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부(18)가 감합 가능한 사이즈이면 된다. 제1 보스(55)에 홈(58)이 설치되어 있다. 이 홈(58)은, 제1 보스(55)의 우면(右面)에 개구(60)를 형성하고, 당해 개구(60)에 연속하여 좌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홈(58)의 폭 치수는, 축부(18)의 외경에 대응하고 있고, 홈(58)의 내벽면 형상은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구(60)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좌(61)가 형성되어 있다. 이 좌(61)에 의하여 개구(60)의 내경이 넓혀져 있다. 단, 좌(61)는 생략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 및 도 4 및 도 6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각(52)은, 제1 보스(55)의 전단에 연속하고 있다. 전각(52)은, 도 4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보스(55)로부터 우방 외측으로 돌출하고(도 6 참조), 동(同) 방향으로 불룩해지도록 원호상으로 만곡하면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도 4 참조). 전각(52)은, 협지편(15)의 전각(32)과 좌우 대상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도 7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보스(56)도 블록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보스(56)의 외형 형상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동 도면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부(18)가 감합 가능한 사이즈이면 된다. 제2 보스(56)에 홈(63)이 설치되어 있다. 이 홈(63)은, 제2 보스(56)의 상면에 개구(65)를 형성하고, 당해 개구(65)에 연속하여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홈(63)의 내벽면 형상은, 상기 홈(58)(도 6 참조)과 마찬가지로, 축부(18)의 외경에 대응한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구(65)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좌(66)가 형성되어 있다. 이 좌(66)에 의하여 개구(65)의 내경이 넓혀져 있다. 단, 좌(66)는 생략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 및 도 5 및 도 7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각(53)은, 제2 보스(56)의 후단에 연속하고 있다. 후각(53)은, 제2 보스(56)로부터 우방 외측으로 돌출하고(도 7 참조), 동 방향으로 불룩해지도록 원호상으로 만곡하면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후각(53)은, 협지편(15)의 후각(33)과 좌우 대상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도 1, 도 2, 도 6 및 도 7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당접부(54)는, 협지편(15)의 당접부(34)와 마찬가지의 외형 형상을 나타내고, 가늘고 긴 봉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당접부(54)는, 축 방향(22)을 따라 연장되고, 또한 약간 상방으로 볼록하게 되도록 만곡하고 있다. 당접부(54)는, 전각(52)의 상단 및 후각(53)의 상단에 매끄럽게 연속하고, 양자간에 걸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당접부(54)의 단면 형상은 사각형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당접부(54)의 단면 형상과 당접부(34)의 단면 형상이 동일하지 않지만, 이것들이 같아도 무방하다. 요컨데, 당접부(54)도 당접부(34)와 동등한 휨 강성이 확보되어 있으면 된다.
당접부(54)가 전각(52)의 상단 및 후각(53)의 상단에 연속하여 축 방향(22)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협지편(15, 16)이 보지 자세가 되었을 때(도 2 참조), 당접부(54)는, 축부(18) 상에 배치된 베이트 피쉬의 체측부, 특히 체측 배부를 따라 당접한다. 즉, 당접부(54) 및 상기 당접부(34)가 베이트 피쉬의 체측 배부에 좌우로부터 당접하고, 당해 베이트 피쉬를 협지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협지편(15) 및 협지편(16)은, 전술하는 바와 같이 C자상을 나타낸다. 즉, 협지편(15, 16)의 중앙에 크게 열린 창(51)이 형성된다. 상기 당접부(34, 54)는, 이 창(51)의 가장자리를 형성하고 있다. 이 창(51)에 의한 작용 효과에 관하여는 후술된다.
<자세 보지 기구>
도 2 및 도 3 및 도 1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세 보지 기구(31)는, 협지편(15)과 협지편(16)과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래칫 기구가 채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자세 보지 기구(31)는, 슬라이더(68) 및 슬라이드 베이스(69)를 가진다. 슬라이드 베이스(69)는, 협지편(15)의 당접부(34)에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슬라이더(68)는, 협지편(16)의 당접부(54)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단, 슬라이드 베이스(69) 및 슬라이더(68)가 협지편(15, 16)과는 다른 부재로서 구성되고, 기지(旣知)의 수단에 의하여 협지편(15, 16)에 고정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슬라이더(68)는, 상기 당접부(54)에 돌설되어 있고, 도 2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면 형상이 구형(矩形)의 평판상(平板狀)으로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더(68)는, 협지편(16)이 보지 자세의 때, 협지편(15) 측으로 돌출한다. 슬라이드 베이스(69)는, 상기 당접부(34)에 설치되어 있고, 슬라이더(68)가 계합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3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68)에 톱니(67)가 형성되어 있고, 슬라이드 베이스(69)의 내벽면에 톱니 고정(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더(68)가 슬라이드 베이스(69)에 삽입되면, 상기 톱니(67)가 슬라이드 베이스(69)의 톱니 고정과 계합하고, 상기 보지 자세가 유지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협지편(15, 16)이 수지 또는 고무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낚시꾼이 협지편(16)을 상방으로부터 하향으로 압압(押壓)하는 것에 의하여 용이하게 탄성 변형하고, 톱니(67)가 상기 톱니 고정으로부터 빠진다.
덧붙여,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자세 보지 기구(31)로서 상기 래칫 기구가 채용되지만, 다른 기구가 채용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자세 보지 기구(31)는, 생략되어도 무방하다. 그 경우, 예를 들어, 고무밴드 그 외의 고무 밴드로 협지편(15, 16)이 묶여, 보지 자세로 보지되어도 무방하다. 나아가, 이 고무 밴드에 대신하여, 끈이나 면(面)파스너(fastener)가 채용되어도 무방하고, 클립으로 협지편(15, 16)이 끼이는 것에 의하여 보지 자세로 보지되어도 무방하다.
한 쌍의 협지편(15, 16)은, 다음의 요령으로 낚싯바늘부(12)에 장착된다.
도 1, 도 4 및 도 5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협지편(15)은, 제1 보스(35) 및 제2 보스(36)와 제3 보스(37)가 축부(18)와 감합하는 것에 의하여, 당해 축부(18)에 장착된다. 도 4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보스(35) 및 제2 보스(36)에 설치된 홈(38)에, 축부(18)가 경방향을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하고, 상하 방향으로 끼워 넣어진다. 전술하는 바와 같이 축부(18)의 외경과 홈(38)의 폭 치수가 대응하고 있지만, 구체적으로는, 축부(18)가 홈(38)에 압입되도록 양자의 공차(公差)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3 보스(37)는, 축부(18)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하방으로부터 상향으로 감합된다. 축부(18)의 외경과 홈(44)의 폭 치수와의 관계에 관하여도, 축부(18)가 홈(44)에 압입되도록 양자의 공차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보스(35), 제2 보스(36) 및 제3 보스(37)가 축부(18)에 감합되는 것에 의하여, 각 보스(35 ~ 37)는, 축부(18)를 회동 기준으로 하여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단, 본 실시 형태에서는, 축부(18) 상에 고정 바늘(14)의 기부(29)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당해 기부(29)와 축부(18)가 상하로 겹친 상태에서 홈(38)에 삽입한다. 즉, 구조적으로 축부(18)에 대하여 제1 보스(35) 및 제2 보스(36)가 회전하는 것이 규제되고, 제1 보스(35) 및 제2 보스(36)가 보다 확실하게 축부(18)에 고정된다. 나아가, 예를 들어 접착제 등이 사용되는 것에 의하여, 축부(18)에 대하여 제1 보스(35) 및 제2 보스(36)가 보다 강고하게 고정된다.
도 1, 도 6 및 도 7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협지편(16)은, 제1 보스(55) 및 제2 보스(56)와 감합하는 것에 의하여, 당해 축부(18)에 장착된다. 도 6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보스(55)에 설치된 홈(58)에, 축부(18)가 경방향을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하고, 좌우 방향(49)으로 끼워 넣어진다. 전술하는 바와 같이 축부(18)의 외경과 홈(58)의 폭 치수가 대응하고 있지만, 구체적으로는, 축부(18)가 홈(58)에 압입되도록 양자의 공차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보스(56)는, 축부(18)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하방으로부터 상향으로 감합된다. 축부(18)의 외경과 홈(63)의 폭 치수와의 관계에 관하여도, 축부(18)가 홈(63)에 압입되도록 양자의 공차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보스(55) 및 제2 보스(56)가 축부(18)에 감합되는 것에 의하여, 이것들은, 축부(18)를 회동 기준으로 하여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술하는 바와 같이 협지편(15)이 축부(18)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도 2 및 도 3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직립한 자세로 축부(18)에 고정된 협지편(15)에 대하여, 협지편(16)이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자세를 변화시킨다. 즉, 협지편(16)의 당접부(54)가 협지편(15)의 당접부(34)에 근접한 보지 자세(도 2 참조)와, 당접부(54)가 당접부(34)로부터 이반한 개방 자세(도 3 참조)와의 사이에서 변위한다. 단, 전술하는 바와 같이 고정 바늘(14)이 생략되고, 협지편(15)도 축부(18)에 대하여 회동 가능한 경우는, 협지편(15) 및 협지편(16)이 상대적으로 접리(接離)하고, 상기 보지 자세와 개방 자세와의 사이에서 자세 변화를 한다.
<베이트 홀더의 사용 요령>
이 베이트 홀더(10)는, 전술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갈치 낚시의 채비에 짜 넣어지고, 「갈치 텐야」로서 사용된다. 낚시꾼은, 다음과 같이 하여 베이트 피쉬를 베이트 홀더(10)에 대하여 착탈한다.
도 2 및 도 3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낚시꾼은, 베이트 홀더(10)를 손으로 잡고, 협지편(16)을 회동시킨다. 협지편(15)은 축부(18)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협지편(16)이 협지편(15)에 대하여 열린다. 이 때, 자세 보지 기구(31)의 슬라이더(68)가 슬라이드 베이스(69)와 계합하고 있는 경우는, 낚시꾼은, 슬라이더(68)를 하방으로 눌러 내리는 것에 의하여 용이하게 양자의 계합을 해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한 쌍의 협지편(15, 16)은, 도 2가 도시하는 보지 자세로부터 도 3이 도시하는 개방 자세로 변화한다.
베이트 피쉬가 축부(18) 상에 배치된다. 이 때, 베이트 피쉬는 고정 바늘(13, 14)에 찔리고, 축부(18)를 따라 안정되게 배치된다. 고정 바늘(14)이 축부(18)의 전방 또한 싱커 헤드(11)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 바늘(14)은, 베이트 피쉬의 두부 주변의 비교적 단단한 부분에 찔린다. 따라서, 베이트 피쉬로서 냉동 정어리 등의 살이 부서지기 쉬운 물고기가 채용된 경우일지라도, 베이트 피쉬는 축부(18) 상에서 안정된다. 낚시꾼이 협지편(16)을 조작하고, 협지편(15, 16)을 보지 자세로 변화시키면, 고정 바늘(13, 14)에 찔린 베이트 피쉬는, 협지편(15, 16)의 내측으로 둘러싸인다.
협지편(15, 16)은, 종래와 같은 금속선은 아니고 상기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고, 소정의 강성을 구비하기 때문에, 수중에서 채비가 격렬하게 조작된 경우에도 변형하기 어렵고, 실제 낚시에 있어서 베이트 피쉬가 베이트 홀더(10)로부터 탈락하는 것이 방지된다. 게다가, 협지편(15, 16)은 상기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낚싯줄이 엉키기 어렵다. 따라서, 이 베이트 홀더(10)가 배 낚시용 채비에 사용된 경우일지라도, 실제 낚시 중에 라인이 얽히는 것이 방지된다. 덧붙여, 협지편(15, 16)이 수지로 구성되는 경우, 당해 수지가 축광(蓄光) 기능을 가지고 있어도 무방하고, 컬러 베리에이션(color variation)을 구비하고 있어도 무방하다.
한편, 낚시꾼은, 협지편(16)을 조작하여 협지편(15, 16)을 개방 자세로 변위시키는 것에 의하여(도 3 참조), 축부(18) 상에 배치된 베이트 피쉬를 재빠르게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협지편(16)만의 조작에 의하여 간단하게 상기 자세 변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실제 낚시에 있어서의 베이트 피쉬의 착탈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자세 보지 기구(31)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협지편(15, 16)이 보지 자세로 변위한 경우에, 당해 자세가 유지된다. 따라서, 실제 낚시에 있어서 채비가 격렬하게 조작된 경우일지라도, 낚시꾼이 의도하지 않고 협지편(15, 16)이 개방 자세로 변위하는 일이 없이, 베이트 피쉬의 탈락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이 자세 보지 기구(31)로서 래칫 기구가 채용되어 있기 때문에, 협지편(15, 16)의 자세 보지가 간단하고 또한 확실하고, 게다가 당해 자세 보지의 해제도 용이하다. 또한, 간단한 구조의 래칫 기구는, 예를 들어 금형을 이용한 성형에 의하여, 협지편(15, 16)과 일체적으로 용이하게 또한 염가로 제조될 수 있다고 하는 이점도 있다.
도 1 ~ 도 3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협지편(15, 16)은 창(51)을 구비하고 있다. 이 때문에, 협지편(15, 16)이 보지 자세로 변위하였을 때, 축부(18) 상에 배치된 베이트 피쉬의 체측 중앙부가 크게 노출하고, 타겟인 물고기에 베이트의 존재를 강하게 어필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협지편(15, 16)이 보지 자세로 하여 베이트 피쉬를 감싼 상태에서, 당접부(34, 54)가 베이트 피쉬의 체측 배부를 따라 당접한다. 즉, 당접부(34, 54)가 베이트 피쉬의 체측부를 좌우 방향(49)으로부터 꽉 누르게 되기 때문에, 베이트 피쉬가 보다 안정된다. 게다가, 전술하는 바와 같이, 당접부(34, 54)가 창(51)의 일부를 구획하게 되기 때문에, 창(51)의 사이즈가 충분히 커진다. 따라서, 베이트 피쉬의 체측부가 보다 크게 노출한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협지편(15, 16)은, 제1 보스(35) ~ 제3 보스(37) 및 제1 보스(55) 및 제2 보스(56)를 통하여 축부(18)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협지편(15, 16)은 원활히 회동하고, 자세 변화할 수 있다. 또한, 각 보스(35 ~ 37, 55, 56)는, 당해 보스(35 ~ 37, 55, 56)의 둘레면에 개구하는 홈(38, 44, 58, 63)을 가지고, 이 홈(38, 44, 58, 63)에 축부(18)가 간단하게 감합된다. 따라서, 협지편(15, 16)의 축부(18)로의 착탈 작업이 간단하다.
<변형예>
도 8은, 본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관련되는 베이트 홀더(70)의 측면도이다.
본 변형예에 관련되는 베이트 홀더(70)가 상기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베이트 홀더(10)와 다른 바는, 본 변형예에 관련되는 협지편(15)의 제1 보스(75), 제2 보스(76) 및 제3 보스(77)(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연결 보스」에 상당) 및 협지편(16)의 제1 보스(85) 및 제2 보스(86)(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연결 보스」에 상당)의 구조가, 상기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제1 보스(35), 제2 보스(36) 및 제3 보스(37) 및 협지편(16)의 제1 보스(55) 및 제2 보스(56)와 다른 점, 싱커 헤드(11)에 물고기의 두부를 나타내는 모양(72)이 붙여져 있고, 또한 베이트 피쉬를 지탱하는 앵커(71)가 설치되어 있는 점이다. 덧붙여, 그 외의 구성에 관하여는, 상기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베이트 홀더(10)와 마찬가지이다.
상기 모양(72)은, 싱커 헤드(11)의 표면이 절삭(切削)되는 것에 의하여 간단하게 붙여진다. 이와 같은 모양(72)이 붙여지는 것에 의하여, 베이트 홀더(70)는 의사(疑似) 미끼로서의 능력을 발휘한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는, 싱커 헤드(11)에 「50」이라는 표기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이것은 추 사이즈로서 50호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앵커(71)는, 환봉(丸棒) 부재가 삼각형상으로 굴곡된 것이며, 싱커 헤드(11)와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베이트 피쉬가 축부(18) 상에 배치될 때에, 앵커(71)가 당해 베이트 피쉬의 두부에 밀어 넣어진다. 이것에 의하여, 당해 베이트 피쉬는, 보다 안정적으로 축부(18) 상에 배치된다.
도 9 ~ 도 13은, 각각 도 8에 있어서의 IX-IX 단면도, X-X 단면도, XI-XI 단면도, XII-XII 단면도 및 XIII-XIII 단면도이다.
도 9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보스(75)에 홈(78)이 설치되어 있다. 이 홈(78)은, 제1 보스(75)의 상면에 개구(40)를 형성하고, 당해 개구(40)에 연속하여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홈(78)의 폭 치수는, 축부(18)의 외경에 대응하고 있다. 홈(78)의 길이 치수(상하 방향(24)의 길이)는, 상기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홈(38)과 마찬가지이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도, 개구(40)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좌(41)가 형성되어 있다. 이 좌(41)에 의하여 개구(40)의 내경이 넓혀져 있다. 단, 좌(41)는 생략될 수 있다.
도 10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보스(76)는 블록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보스(76)의 외형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동 도면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부(18)가 감합 가능한 사이즈이면 된다. 제2 보스(76)에 홈(84)이 설치되어 있다. 이 홈(84)은, 제2 보스(76)의 상면에 개구(45)를 형성하고, 당해 개구(45)에 연속하여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홈(84)의 내벽면 형상은, 축부(18)의 외경에 대응한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구(45)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좌(46)가 형성되어 있다. 이 좌(46)에 의하여 개구(45)의 내경이 넓혀져 있다. 단, 좌(46)는 생략될 수 있다.
도 11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3 보스(77)도 블록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제3 보스(77)에 긴 구멍(73)이 형성되어 있다. 이 긴 구멍(73)은, 동 도면에 있어서 지면에 수직인 방향, 즉 축 방향(22)을 따라 연장되고, 제3 보스(77)를 관통하고 있다. 긴 구멍(73)의 최대 내경은, 축부(18)의 외경에 대응하고 있고, 축부(18)가 긴 구멍(73)과 감합하도록 되어 있다. 긴 구멍(73)의 내벽면 형상은, 동 도면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하 방향(24)으로 연장되는 쐐기형이다. 단, 긴 구멍(73)의 내벽면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요컨데 축부(18)를 감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긴 구멍(73)의 상하 방향(24)의 치수는, 낚싯바늘부(12)의 선곡부(20)가 긴쪽 방향을 따라 삽통하기 위하여 충분한 치수가 확보되어 있다.
도 12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보스(85)는 건형의 블록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단, 제1 보스(85)의 외형 형상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동 도면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부(18)가 감합 가능한 사이즈이면 된다. 제1 보스(85)에 홈(88)이 설치되어 있다. 홈(88)은, 제1 보스(85)의 우면에 개구(60)를 형성하고 있고, 이 개구(60)에 연속하여 좌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홈(88)의 폭 치수는, 축부(18)의 외경에 대응하고 있고, 홈(88)의 내벽면 형상은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구(60)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좌(61)가 형성되어 있다. 이 좌(61)에 의하여 개구(60)의 내경이 넓혀져 있다. 단, 좌(61)는 생략될 수 있다.
도 13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보스(86)도 블록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보스(86)에 긴 구멍(74)이 형성되어 있다. 이 긴 구멍(74)은, 상기 제3 보스(77)(도 11 참조)에 형성된 긴 구멍(73)과 마찬가지의 형상이며, 도 13에 있어서 지면에 수직인 방향, 즉 축 방향(22)을 따라 연장되고, 제2 보스(86)를 관통하고 있다. 긴 구멍(74)의 최대 내경은, 축부(18)의 외경에 대응하고 있고, 축부(18)가 긴 구멍(74)과 감합한다. 긴 구멍(74)의 내벽면 형상은, 동 도면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하 방향(24)으로 연장되는 쐐기형이다. 긴 구멍(74)의 상하 방향(24)의 치수는, 상기 선곡부(20)가 삽통할 수 있는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본 변형예에서는, 협지편(15, 16)을 축부(18)에 장착할 때에, 제3 보스(77) 및 제2 보스(86)에 설치된 긴 구멍(73, 74)에 낚싯바늘부(12)가 삽통된다. 구체적으로는, 선곡부(20), 요부(19) 및 축부(18)가 순으로 긴쪽 방향을 따라 긴 구멍(73, 74)에 삽통되고, 그 후, 협지편(15)의 제1 보스(75) 및 제2 보스(76)가 축부(18)에 감합되는 것과 함께, 협지편(16)의 제1 보스(85)가 축부(18)에 감합된다. 상기 긴 구멍(73, 74)은, 전술하는 바와 같이 상하 방향(24)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선곡부(20)에 바브(26)가 설치되어 있어도, 낚싯바늘부(12)는 원활히 삽통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제3 보스(77) 및 제2 보스(86)가 축부(18)에 확실하게 취부되고, 실제 낚시에 있어서 협지편(15, 16)의 탈락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그런데, 실제 낚시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타겟은, 베이트 피쉬에 대하여 아래에서 위를 향하여 바이트한다. 본 변형예에서는, 도 9 및 도 10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부(18)는, 제1 보스(75) 및 제2 보스(76)에 대하여 상하 방향(24)의 위에서 아래를 향하여 감합되어 있기 때문에, 타겟이 베이트 피쉬에 바이트한 경우라도, 충격에 의하여 협지편(15)이 낚싯바늘부(12)로부터 빠져 버리는 것이 방지된다.
<홀더 유닛>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홀더 유닛(90)의 단면도이다.
이 홀더 유닛(90)은, 상기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베이트 홀더(10)의 변형예로서 실시되는 것이며, 한 쌍의 협지편(15, 16)이 연결축(91)을 통하여 서로 상대적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동 도면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보스(35)에 축 방향(22)(지면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관통공(93)이 설치되어 있다. 동 도면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마찬가지의 관통공(93)이 제2 보스(36), 제3 보스(37) 및 제1 보스(55) 및 제2 보스(56)에도 설치되어 있다. 각 관통공(93)에 연결축(91)이 삽통되어 있고, 당해 연결축(91)에 의하여 협지편(15, 16)이 꼬챙이에 꿴 상태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한 쌍의 협지편(15, 16)이 상기 자세 변화를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1 보스(35)에, 홈(92)이 설치되어 있다. 이 홈(92)은, 제1 보스(35)의 하면에 개구(94)를 형성하고, 당해 개구(94)에 연속하여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홈(92)의 폭 치수는, 축부(18)의 외경에 대응하고 있다. 홈(92)의 길이 치수(상하 방향(24)의 길이)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적어도 축부(18)의 외경보다도 크게 설정된다. 상기 홈(92)의 내벽면에 축경부(縮徑部)(95)가 설치되어 있다. 이 축경부(95)는, 홈(92)의 내벽면에 형성된 단차부(段差部)나 융기부에 의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축경부(95)에 의하여, 축부(18)가 홈(92)에 끼워 넣어졌을 때에, 당해 축부(18)가 홈(92) 내에 확실하게 고정되고, 게다가, 홀더 유닛(90)이 축부(18)로부터 떼어내진다. 덧붙여, 이 홈(92)은, 상기 제2 보스(36), 제3 보스(37) 및 제1 보스(55) 및 제2 보스(56)에도 설치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한 쌍의 협지편(15, 16)이 홀더 유닛(90)을 구성하고, 축부(18)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미리 복수의 사이즈의 홀더 유닛(90)이 준비된다면, 베이트 피쉬의 사이즈에 적합한 홀더 유닛(90)이 축부(18)에 취부된다.
10: 베이트 홀더
11: 싱커 헤드
12: 낚싯바늘부
13: 고정 바늘
14: 고정 바늘
15: 협지편
16: 협지편
18: 축부
19: 요부
20: 선곡부
21: 전단부
22: 축 방향
23: 타단부
24: 상하 방향
25: 선단부
26: 바브
29: 기부
31: 자세 보지 기구
34: 당접부
35: 제1 보스
36: 제2 보스
37: 제3 보스
38: 홈
40: 개구
41: 좌
44: 홈
45: 개구
46: 좌
49: 좌우 방향
51: 창
54: 당접부
55: 제1 보스
56: 제2 보스
58: 홈
61: 좌
63: 홈
65: 개구
66: 좌
67: 톱니
68: 슬라이더
69: 슬라이드 베이스
70: 베이트 홀더
73: 긴 구멍
74: 긴 구멍
75: 제1 보스
76: 제2 보스
77: 제3 보스
78: 홈
84: 홈
85: 제1 보스
86: 제2 보스
88: 홈
90: 홀더 유닛
91: 연결축
93: 관통공
94: 개구
95: 축경부

Claims (13)

  1. 미끼 낚시 채비에 적용되고, 베이트 피쉬(bait fish)를 홀드(hold)하는 베이트 홀더에 있어서,
    낚싯줄이 접속될 수 있는 아이(eye)를 가지는 싱커 헤드(sinker head)와,
    일단(一端)이 상기 싱커 헤드에 고정된 곧게 연장되는 축부 및 당해 축부에 연속하는 요부(腰部) 및 선곡부(先曲部)를 가지는 낚싯바늘부와,
    상기 축부에 돌설(突設)되고, 당해 축부를 따라 배치된 베이트 피쉬에 찔리는 고정 바늘과,
    상기 축부를 기준으로 회동(回動)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고정 바늘을 내측(內側)에 배치한 상태에서 서로 근접하는 보지 자세와 서로 이반(離反)하는 개방 자세와의 사이에서 자세 변화하는 한 쌍의 수지 또는 고무로 이루어지는 협지편(挾持片)
    을 가지고,
    상기 협지편은 상기 보지 자세로 변위하였을 때에 베이트 피쉬의 체측(體側) 중앙부를 노출시키는 창(窓)을 가지고 있고,
    상기 협지편은 상기 축부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창의 가장자리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보지 자세로 변위하였을 때에 베이트 피쉬의 체측 배부(背部)를 따라 당접(當接)하는 가늘고 긴 봉상(棒狀)의 당접부를 가지고,
    상기 당접부는 베이트 피쉬의 체측 배부를 누르고 있고,
    상기 당접부는 상기 창의 일부를 구획하고 있는,
    베이트 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협지편의 사이에, 당해 한 쌍의 협지편을 상기 보지(保持) 자세로 보지하는 자세 보지 기구가 개재되어 있는 베이트 홀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 보지 기구는, 래칫(ratchet) 기구인 베이트 홀더.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협지편은, 복수의 연결 보스를 통하여 상기 축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연결 보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선곡부가 긴쪽 방향을 따라 삽통(揷通)할 수 있는 긴 구멍이 관통(貫通) 형성되어 있는 베이트 홀더.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협지편은, 복수의 연결 보스를 통하여 상기 축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연결 보스 중 적어도 하나는, 당해 연결 보스의 둘레면에 개구(開口)하고, 상기 축부가 상하 방향의 위에서 아래를 향하여 감합(嵌合)되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베이트 홀더.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일방(一方)의 협지편은 상기 축부에 고정되고, 타방(他方)의 협지편이 상기 축부를 기준으로 회동하는 베이트 홀더.
  7. 낚싯줄이 접속될 수 있는 아이를 가지는 싱커 헤드와,
    일단이 상기 싱커 헤드에 고정된 곧게 연장되는 축부 및 당해 축부에 연속하는 요부 및 선곡부를 가지는 낚싯바늘부를 구비한 베이트 홀더에 적용되고,
    소정의 연결축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것에 의하여, 서로 근접하여 베이트 피쉬를 내측에 배치하여 측방(側方)으로부터 감싸도록 위요(圍繞)하는 보지 자세와 서로 이반하는 개방 자세와의 사이에서 자세 변화하는 한 쌍의 수지 또는 고무로 이루어지는 협지편과,
    상기 한 쌍의 협지편 중 적어도 일방에 설치되고, 상기 축부와 착탈 가능하게 감합하는 고정부
    를 구비하고,
    상기 협지편은 상기 보지 자세로 변위하였을 때에 베이트 피쉬의 체측(體側) 중앙부를 노출시키는 창(窓)을 가지고 있고,
    상기 협지편은 상기 축부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창의 가장자리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보지 자세로 변위하였을 때에 베이트 피쉬의 체측 배부(背部)를 따라 당접(當接)하는 가늘고 긴 봉상(棒狀)의 당접부를 가지고,
    상기 당접부는 베이트 피쉬의 체측 배부를 누르고 있고,
    상기 당접부는 상기 창의 일부를 구획하고 있는,
    홀더 유닛.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싱커 헤드에 물고기의 두부(頭部)를 나타내는 모양(模樣)이 붙여져 있는 베이트 홀더.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싱커 헤드에 베이트 피쉬를 지탱하는 앵커(anchor)가 설치되어 있는 베이트 홀더.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80061645A 2018-02-22 2018-05-30 베이트 홀더 및 홀더 유닛 KR1025704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29301A JP7067954B2 (ja) 2018-02-22 2018-02-22 ベイトホルダ及びホルダユニット
JPJP-P-2018-029301 2018-02-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1271A KR20190101271A (ko) 2019-08-30
KR102570465B1 true KR102570465B1 (ko) 2023-08-25

Family

ID=67713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1645A KR102570465B1 (ko) 2018-02-22 2018-05-30 베이트 홀더 및 홀더 유닛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067954B2 (ko)
KR (1) KR102570465B1 (ko)
CN (1) CN11017880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036825A (ja) * 2019-09-03 2021-03-11 株式会社ジャッカル 生餌保持具
US20230019432A1 (en) * 2021-07-16 2023-01-19 Michael Hartley Weedless trolling head system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69Y1 (ko) * 2000-05-04 2000-10-16 김재일 집게
JP3139885B2 (ja) * 1993-06-30 2001-03-05 株式会社東芝 複数自動倉庫の制御装置
JP2012120496A (ja) * 2010-12-09 2012-06-28 Shimano Inc ベイトホルダー
JP2012228245A (ja) * 2011-04-22 2012-11-22 Jeonggi Lee 車両付着用釣り竿据置台
JP2014161329A (ja) 2013-02-28 2014-09-08 Globeride Inc ベイトフィッシュホルダー
JP2015192607A (ja) 2014-03-31 2015-11-05 寛人 筒井 テンヤ
JP2018174833A (ja) 2017-04-14 2018-11-15 伸豪 三宅 魚釣用テンヤ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21069A (en) * 1978-11-01 1980-09-09 Esses Jack N Bait harness
JP2003230330A (ja) 2002-02-05 2003-08-19 Arachi Noriyuki 太刀魚とイカ釣り用の複合テンヤ
KR200339258Y1 (ko) * 2003-10-22 2004-01-24 이혜란 낚시용 순간 포획장치
JP3139885U (ja) * 2007-12-19 2008-03-06 正義 山本 餌魚挟み枠付きタチウオテンヤ針
JP6050544B1 (ja) 2016-09-23 2016-12-21 寛人 筒井 太刀魚テンヤ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9885B2 (ja) * 1993-06-30 2001-03-05 株式会社東芝 複数自動倉庫の制御装置
KR200200769Y1 (ko) * 2000-05-04 2000-10-16 김재일 집게
JP2012120496A (ja) * 2010-12-09 2012-06-28 Shimano Inc ベイトホルダー
JP2012228245A (ja) * 2011-04-22 2012-11-22 Jeonggi Lee 車両付着用釣り竿据置台
JP2014161329A (ja) 2013-02-28 2014-09-08 Globeride Inc ベイトフィッシュホルダー
JP2015192607A (ja) 2014-03-31 2015-11-05 寛人 筒井 テンヤ
JP2018174833A (ja) 2017-04-14 2018-11-15 伸豪 三宅 魚釣用テン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140995A (ja) 2019-08-29
JP7067954B2 (ja) 2022-05-16
KR20190101271A (ko) 2019-08-30
CN110178807B (zh) 2022-06-03
CN110178807A (zh) 2019-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0465B1 (ko) 베이트 홀더 및 홀더 유닛
US11412721B2 (en) Easy rig bait tackle
US6941695B2 (en) Fishing lure assembly having concealed retractable hooks
US11369098B2 (en) Artificial bait and split ring therefor
US20230117145A1 (en) Fishing lure
CA2774410C (en) Fish hook with clasp eye
JP2019140995A5 (ko)
KR102075116B1 (ko) 낚시용 루어
JP4820794B2 (ja) 釣り糸係止具
US20130239459A1 (en) Fish hook
JP2014193131A (ja) ベイトフィッシュホルダー
JP3110978U (ja) 太刀魚用釣り針
US20150189863A1 (en) Bait holder hook
US20130247443A1 (en) Swim Bait
JP2019103430A (ja) ルアー
US2765574A (en) Fish lure
JP4404343B2 (ja) 釣り具
JP2008113647A (ja) ルアー
JP2005080657A (ja) フリーフックシステム・ルアー
EP1138198A2 (en) Fishhook
GB2566698A (en) Hook retaining device for fishing lures
SE540490C2 (en) Lure, especially for fishing
JP2023026410A (ja) 太刀魚テンヤ
KR20220065658A (ko) 의사 미끼
JP3146488U (ja) 釣り仕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