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69Y1 - 집게 - Google Patents
집게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00769Y1 KR200200769Y1 KR2020000012820U KR20000012820U KR200200769Y1 KR 200200769 Y1 KR200200769 Y1 KR 200200769Y1 KR 2020000012820 U KR2020000012820 U KR 2020000012820U KR 20000012820 U KR20000012820 U KR 20000012820U KR 200200769 Y1 KR200200769 Y1 KR 20020076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tting
- lower support
- seating
- cutouts
- ton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8/00—Hair-hold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8/14—Hair grips, i.e. elastic single-piece two-limbed grips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집게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각 하부 지지벽(22) 외측에 끼움돌기(24)가 각각 돌설되고, 상기 각 하부지지벽(22) 내측에는 수직으로 돌설된 수납격벽(26)에 의해 상부와 일측이 개구된 수납홈(28)이 형성된 하부 집게부재(20); 상기 각 하부 지지벽(22)이 내부로 삽입되도록 형성된 상부 지지벽(32) 양측에는 일측이 개구된 끼움부(34)가 형성되고, 상기 각 끼움부(34)의 내측에는 안착부(36)가 형성되며, 상기 각 안착부(36)의 양측으로 절개부(38)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34)와 상기 각 절개부(38) 사이에는 상,하부 지지단(39A,39B)이 형성된 상부 집게부재(30); 및 상기 수납홈(28)에 권선부(42)가 삽입 설치되고, 상기 권선부(42)에 의해 탄성을 갖는 각 탄성단(44A,44B)이 형성된 탄성부재(40)로 구성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상,하부 집게부재(30,20)가 단순히 끼움형식으로 결합됨으로써, 상,하부 집게부재(30,20)의 조립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탄성부재(40)가 설치되도록 하는 별도의 힌지축이 삭제되어 부품수가 감소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집게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부 집게부재와 하부 집게부재가 원터치 형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조립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부품수를 줄일 수 있는 집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집게는 물건을 집어 고정하도록 된 것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다.
즉,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집게(1)는 상부 집게부재(2)의 지지벽(2-1) 내부로 하부 집게부재(3)의 지지벽(3-1)이 삽입된 상태에서 힌지축(4)이 상기 각 지지벽(2-1,3-1)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이때 상기 힌지축(4)에는 탄성부재(5)가 설치되어 상기 상,하부 집게부재(2,3)의 각 취부단(2-2,3-2)이 탄성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집게(1)는 상기 상,하부 집게부재(2,3)가 회동 작동되도록 별도의 힌지축(4)에 의해 결합되어야 했고, 상기 지지벽(3-1)의 내부에 탄성부재(5)를 가 설치한 후에, 상기 힌지축(4)을 각 지지벽(2-1,3-1)에 관통 설치하되, 상기 힌지축(4)이 상기 탄성부재(5)의 권선부의 내경(5-1)을 관통하여 설치되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던 것이다.
즉, 종래기술에 의한 집게(1)는 별도의 힌지축(4)이 구비되어야 함으로써, 부품수가 증가하였고, 상기 탄성부재(5)가 상기 하부 집게부재(3)의 지지벽(3-1) 내부에 임시로 설치된 상태에서, 한손으로는 상기 상,하부 집게부재(2,3)의 손잡이를 각각 가압한 후에, 다른 손으로는 상기 탄성부재(5)가 이탈되지 않고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힌지축(4)이 각 지지벽(2-1,3-1)과 상기 탄성부재(5)의 권선부의 내경(5-1)을 관통하도록 설치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던 것이다. 이때, 상기 힌지축(4)은 상기 각 지지벽(2-1,3-1)에 형성된 힌지공과 상기 권선부(5-1)가 일치된 상태에서만 결합되었기 때문에, 이를 위하여 상기 힌지공과 권선부(5-1)를 일치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하였던 것이다.
이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집게(1)는 부품수가 많아 제조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각각의 부품을 조립하는 과정이 복잡하고 곤란하여 조립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상,하부 집게부재를 단순한 끼움방식으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품 교체를 위한 분해가 가능하고, 조립시 탄성부재의 설치가 용이하며, 부품수를 줄일 수 있는 집게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집게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집게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집게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집게의 결합상태 단면도로. 5a는 B-B선 단면도이고, 5b는 C-C선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집게가 조립되는 상태를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로, 6a는 탄성부재가 설치되고 끼움돌기가 끼움부에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6b는 끼움돌기가 상,하부 지지단을 변형시키면서 안착부로 진입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6c는 끼움돌기가 안착부에 안착되어 걸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하부 집게부재 22 : 하부 지지벽
24 : 끼움돌기 26 : 수납격벽
28 : 수납홈 30 : 상부 집게부재
32 : 상부 지지벽 34 : 끼움부
36 : 안착부 38 : 절개부
39A,39B : 상,하부 지지단 40 : 탄성부재
42 : 권선부 44A,44B : 탄성단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고안은 각 하부 지지벽 외측에
끼움돌기가 각각 돌설되고, 상기 각 하부지지벽 내측에는 수직으로 돌설된 수납격벽에 의해 상부와 일측이 개구된 수납홈이 형성된 하부 집게부재; 상기 각 하부 지지벽이 내부로 삽입되도록 형성된 상부 지지벽 양측에는 상기 각 끼움돌기가 삽입되도록 일측이 개구된 끼움부가 형성되고, 상기 각 끼움부의 내측에는 삽입되는 끼움돌기가 안착되도록 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각 안착부의 양측으로 절개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와 상기 각 절개부 사이에는 상기 각 절개부에 의해 탄성을 구비하여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는 상기 끼움돌기가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상,하부 지지단이 형성된 상부 집게부재; 및 상기 수납홈에 권선부가 삽입 설치되고, 상기 권선부에 의해 탄성을 갖는 각 탄성단이 상기 상.하부 집게부재의 상,하부 손잡이부 내측에 각각 지지되어 상,하부 취부단이 탄성을 받도록 하는 탄성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끼움부의 각 내측면에는 상기 상,하부 지지단의 각 끝단부 사이의 간격이 상기 끼움돌기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도록 외측에서 내측으로 경사진 삽입 유도부(34A)가 형성되고, 상기 상,하부 지지단의 각 끝단부에는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끼움돌기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만곡진 지지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에서 미설명 부호 '10'은 집게이다.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3 내지 도 5a,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집게(10)는 수납홈(28)과 끼움돌기(24)를 구비한 하부 집게부재(20)와, 상기 끼
움돌기(24)가 끼워져 걸리도록 끼움부(34)와 안착부(36)가 형성된 상부 집게부재(30)와, 상기 상,하부 집게부재(20,30)의 상,하부 취부단(23,33)이 탄성을 갖도록 상기 수납홈(28)에 설치되는 탄성부재(40)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집게부재(20)는 일측에 하부 취부단(23)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하부 손잡이부(21)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 손잡이부(21)의 양측에는 하부 지지벽(22)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하부 지지벽(22)의 각 외측에는 끼움돌기(24)가 돌설되고, 각 하부 지지벽(22)의 내부에는 도 3 내지 도 5a,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격벽(26)이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하부 손잡이부(21) 측의 수납격벽(26)은 후술할 탄성부재(40)의 탄성단(44A)이 끼워지도록 일측이 개구되는 형태를 갖는다.
즉, 상기 수납홈(28)에 탄성부재(40)의 권선부(42)가 삽입되면, 일측의 탄성단(44A)은 상기 하부 손잡이부(21)의 내측면에 지지되어야 함으로, 상기 하부 손잡이부(21) 측의 수납격벽(26)의 일측은 상기 하부 손잡이부(21)의 내측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개구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상부 집게부재(30)는 일측에 상기 하부 취부단(23)과 맞물리는 상부 취부단(33)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부 손잡이부(31)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 손잡이부(31)의 양측에는 상부 지지벽(32)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 것이다.
이러한 각 상부 지지벽(32)에는 상부 손잡이부(31) 측에서 상부 취부단(33)
측으로 개구된 끼움부(34)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 끼움부(34)의 내측에는 안착부(36)가 형성되며, 상기 각 안착부(36)의 양측으로 절개부(38)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끼움부(34)와 절개부(38) 사이에는 상,하부 지지단(39A,39B)이 절개부(38)에 의해 탄성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각 상부 지지벽(32)에 형성되는 상기 끼움부(34)의 각 내측면에는 상기 상,하부 지지단(39A,39B)의 각 끝단부 사이가 상기 끼움돌기(24)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도록 외측에서 내측으로 경사진 삽입 유도부(34A)가 형성되고, 상기 상,하부 지지단(39A,39B)의 각 끝단부에는 상기 안착부(36)에 안착된 끼움돌기(24)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지지면(39C,39D)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안착부(36)의 일면과 각 지지면(39C,39D)은 상기 끼움돌기(24)의 외주면이 밀착되도록 원호형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끼움부(34) 측으로 만곡지게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탄성부재(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선부(42)에서 연장된 각 탄성단(44A,44B)이 형성된 것으로, 은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권선부(42)의 양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각 탄성단(44A,44B)을 서로 근접하도록 가압하게 되면, 가압하는 반대방향으로 탄성력이 발생하는 구조를 갖는 것이다. 이러한 탄성부재(40)는 상기 상,하부 지지벽(22,32)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상,하부 취부단(23,33)이 서로 맞물리도록 상,하부 집게부재(20,30)에 탄성을 부여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
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집게(10)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하부 집게부재(20)의 수납홈(28)에 탄성부재(40)의 권선부(42)를 상방으로부터 삽입하여 설치하되, 일측의 탄성단(44A)이 하부 손잡이부(21)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지지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권선부(42)가 수납홈(28)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권선부(42)이 수납홈(28)에 억지 끼움되도록 상호 치수를 동일하게 하거나, 수납홈(28)의 치수를 권선부(42)의 치수보다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40)의 권선부(42)가 수납홈(28)에 삽입되면, 타측의 탄성단(44B)은 하부 손잡이부(21)의 내측면에 대하여 수직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 집게부재(30)를 상기 하부 집게부재(20)에 조립하기 위해서는 하부 집게부재(20)의 일부가 상기 상부 지지벽(32) 사이에 삽입되도록 하고, 상기 탄성부재(40)의 타측 탄성단(44B)의 단부가 상기 상부 손잡이부(31)의 내측면에 접촉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하부 손잡이부(21,31)를 가압하여 상,하부 취부단(23,33)이 벌어지도록 한 후, 도 6a에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상기 하부 집게부재(20)를 이동시키거나, 화살표 반대방향으로 상기 상부 집게부재(30)를 이동시켜 상기 끼움돌기(24)가 끼움부(34)로 삽입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끼움돌기(24)는 상기 상,하부 손잡이부(21,31)가 가압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상기 끼움부(34)에 삽입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끼움돌기(24)가 끼움부(34)로 보다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상,하부 손잡이부(21,31)를 가압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40)는 그 중심이 되는 권선부(42)가 상기 수납홈(28)에 삽입되어 있고 각 탄성단(44A,44B)이 상,하부 손잡이부(21,31)의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상,하부 손잡이부(21,31)를 가압하게 되면, 가압하는 반대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킬 뿐 수납홈(28)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상,하부 집게부재(20,30)를 도 6a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계속하여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각 끼움돌기(24)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끼움부(34)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경사진 삽입 유도부(34A)에 유도되어 안착부(36) 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상,하부 지지단(39A,39B)을 각각의 절개부(38) 측으로 변형시키게 된다.
즉, 상기 상,하부 지지단(39A,39B)의 각 끝단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삽입 유도부(34A)가 경사지게 형성된 관계로 상기 끼움돌기(24)의 직격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끼움돌기(24)가 안착부(36)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각각 자체 탄성을 극복하면서 각 절개부(38)측으로 변형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끼움돌기(24)가 삽입 유도부(34A)에 안내되어 안착부(36)로 삽입되는 상태에서 상기 끼움돌기(24)를 계속하여 도 6b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끼움돌기(24)는 상기 각 상,하부 지지단(39A,39B)을 변형의 정점에 이르게 한 뒤, 각 상,하부 지지단(39A,39B)의 끝단부를 벗어나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부(36)에 삽입된다.
상기 끼움돌기(24)가 안착부(36)에 삽입되면, 상기 끼움돌기(24)에 의해 변
형되었던 상,하부 지지단(39A,39B)은 상기 각 지지면(39C,39D)이 상기 끼움돌기(24)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자체 탄성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되면서 그 끝단에 형성된 각 지지면(39C,39D)이 상기 끼움돌기(24)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끼움돌기(24)가 안착부(36)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는 상기 끼움돌기(24)가 경사진 삽입 유도부(34A)에 의해 상기 상,하부 지지단(39A,39B)을 절개부(38) 측으로 용이하게 변형시키면서 안착부(36)로 삽입되지만, 일단 안착부(36)로 삽입된 끼움돌기(24)는 자체 탄성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된 상,하부 지지단(39A,39B)의 끝단부에 형성된 각 지지면(39C,39D)이 상기 끼움돌기(24)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끼움돌기(24)가 안착부(36)로부터 끼움부(34)로 이탈되는 현상이 방지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하부 지지단(39A,39B)는 상기 절개부(38)가 각각 내측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외측에서 내측으로 가압하면 용이하게 변형되나, 내측에서 외측가압하면 쉽게 변형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상,하부 손잡이부(21,31)에 가압하던 힘을 제거하게 되면, 탄성부재(40)의 각 탄성단(44A,44B)은 상기 상,하부 손잡이부(21,31)를 가압하던 반대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켜 상기 상,하부 집게부재(20,30)가 상기 끼움돌기(24)를 중심으로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상,하부 취부단(23,33)이 서로 밀착되어 맞물도록 하게 된다.
상기 상,하부 취부단(23,33)이 서로 맞물린 상태에 상기 상,하부 손잡이부(21,31)를 가압하여 통상의 집게(10)로서 사용한다.
이때, 상기 집게(10)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상기 상,하부 손잡이부(21,31)를 가압하는 과정을 되풀이 하더라도 상기 끼움돌기(24)는 안착부(36)에서 이탈되지 않게 된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끼움돌기(24)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 상,하부 지지단(39A,39B)의 각 지지면(39C,39D)이 상기 안착부(36)에 안착된 끼움돌기(24)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가압하여 상기 끼움돌기(24)가 안착부(36)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상태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상기 하부 집게부재(20)의 끼움돌기(34)가 상부 집게부재(30)의 끼움부(34)와 안착부(36)에 단순히 끼움형식으로 결합됨으로써, 별도의 힌지축을 사용하지 않고도 상,하부 집게부재(30,20)가 용이하고 신속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상,하부 집게부재(20,30)가 결합되어 사용되는 상태에서 상부 집게부재(30) 또는 하부 집게부재(20)가 손상되면 이를 교체하기 위하여 상호 분리시키다. 그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상,하부 손잡이부(21,31)를 상호 근접되도록 가압하여 상기 상,하부 취부단(23,33)을 상호 이격시킨 상태에서, 상기 상,하부 집게부재(20,30) 자체를 상기 끼움돌기(24)가 최초에 안착부(36)로 삽입되는 최초 삽입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상,하부 집게부재(20,30)를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끼움돌기(24)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지지하고 있던 각 지지면(39C,39D)이 상기 외주면으로부터 미끄러지면서 이탈되어 상기 상,하부 지지단(39A,39B)이 절개부(38) 측
으로 변형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끼움돌기(24)는 상기 안착부(36)로부터 이탈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상,하부 집게부재(20,30)가 분해되면, 도 6a,6b,6c에 도시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교체된 부품을 상호 결합시킨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기 상,하부 집게부재(20,30)를 단순히 끼움식으로 결합시킬 경우에, 상,하부 집게부재(20,30)의 조립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집게는 하부 집게부재의 끼움돌기가 상부 집게부재의 끼움부와 안착부에 끼워져 상호 회동 작동되도록 결합되고, 탄성부재는 하부 지지벽의 내측에 형성된 수납홈에 삽입 설치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상,하부 집게부재가 단순히 끼움형식으로 결합됨으로써, 상,하부 집게부재의 조립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상,하부 집게부재를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킴과 동시에 탄성부재가 설치되도록 하는 별도의 힌지축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부품을 감소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제공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 각 하부 지지벽(22) 외측에 끼움돌기(24)가 각각 돌설되고, 상기 각 하부지지벽(22) 내측에는 수직으로 돌설된 수납격벽(26)에 의해 상부와 일측이 개구된 수납홈(28)이 형성된 하부 집게부재(20);상기 각 하부 지지벽(22)이 내부로 삽입되도록 형성된 상부 지지벽(32) 양측에는 상기 각 끼움돌기(24)가 삽입되도록 일측이 개구된 끼움부(34)가 형성되고, 상기 각 끼움부(34)의 내측에는 삽입되는 끼움돌기(24)가 안착되도록 안착부(36)가 형성되며, 상기 각 안착부(36)의 양측으로 절개부(38)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34)와 상기 각 절개부(38) 사이에는 상기 각 절개부(38)에 의해 탄성을 구비하여 상기 안착부(36)에 안착되는 상기 끼움돌기(24)가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상,하부 지지단(39A,39B)이 형성된 상부 집게부재(30); 및상기 수납홈(28)에 권선부(42)가 삽입 설치되고, 상기 권선부(42)에 의해 탄성을 갖는 각 탄성단(44A,44B)이 상기 상.하부 집게부재(20,30)의 상,하부 손잡이부(21,31) 내측에 각각 지지되어 상,하부 취부단(23,33)이 탄성을 받도록 하는 탄성부재(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34)의 각 내측면에는 상기 상,하부 지지단(39A,39B)의 각 끝단부 사이의 간격이 상기 끼움돌기(24)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도록 외측에서 내측으로 경사진 삽입 유도부(34A)가 형성되고,상기 상,하부 지지단(39A,39B)의 각 끝단부에는 상기 안착부(36)에 안착된 끼움돌기(24)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지지면(39C,39D)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12820U KR200200769Y1 (ko) | 2000-05-04 | 2000-05-04 | 집게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12820U KR200200769Y1 (ko) | 2000-05-04 | 2000-05-04 | 집게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769Y1 true KR200200769Y1 (ko) | 2000-10-16 |
Family
ID=19655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00012820U KR200200769Y1 (ko) | 2000-05-04 | 2000-05-04 | 집게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00769Y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23496Y1 (ko) * | 2006-05-30 | 2006-08-08 | 오일용 | 미용집게 |
KR101302918B1 (ko) | 2012-05-29 | 2013-09-06 | 김범진 | 소형 집게의 힌지구조 |
KR20190101271A (ko) * | 2018-02-22 | 2019-08-30 |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 베이트 홀더 및 홀더 유닛 |
-
2000
- 2000-05-04 KR KR2020000012820U patent/KR200200769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23496Y1 (ko) * | 2006-05-30 | 2006-08-08 | 오일용 | 미용집게 |
KR101302918B1 (ko) | 2012-05-29 | 2013-09-06 | 김범진 | 소형 집게의 힌지구조 |
KR20190101271A (ko) * | 2018-02-22 | 2019-08-30 |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 베이트 홀더 및 홀더 유닛 |
KR102570465B1 (ko) * | 2018-02-22 | 2023-08-25 |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 베이트 홀더 및 홀더 유닛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H0275174A (ja) | 電気コネクタ用端子 | |
KR960013514A (ko) | 로커암(rocker arm) 및 그의 제조방법 | |
US6178854B1 (en) | Socket spanner provided with retaining device | |
KR200200769Y1 (ko) | 집게 | |
JP4113265B2 (ja) | 継手形成装置 | |
CA2000415C (en) | Support unit for home appliances | |
EP2713381B1 (en) | Push-button switch, selector switch, and fixing component therefor | |
KR200304799Y1 (ko) | 텐트폴용 커넥터 | |
KR100577730B1 (ko) | 래치 조립체 | |
KR200165666Y1 (ko) | 고정핀 겸용 와셔 | |
US5284079A (en) | Tambourine | |
KR100225925B1 (ko) | 클립 | |
JP2607459Y2 (ja) | パイプクリップ | |
KR200220162Y1 (ko) | 조립식 훌라후프 | |
JPS6035145Y2 (ja) | スイツチ | |
EP1406022B1 (en) | Stud fastener | |
CN217982216U (zh) | 旋钮组件及具有其的烹饪器具 | |
WO2004022876A1 (en) | Shell unit of compression-coupling device for iron bars | |
JP3215252U (ja) | 連結パネル、及び調理用油除け | |
KR100469309B1 (ko) | 화장용 브러시기구 | |
KR200345927Y1 (ko) | 래치 조립체 | |
KR0135095Y1 (ko) | 고정수단이 형성된 부쉬 | |
KR0119878Y1 (ko) | 무선호출기용 체인 결합장치 | |
JPH10318473A (ja) | ホースバンド | |
JP4035517B2 (ja) | 器具の取付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90812 Year of fee payment: 10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