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4799Y1 - 텐트폴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텐트폴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4799Y1
KR200304799Y1 KR20-2002-0033548U KR20020033548U KR200304799Y1 KR 200304799 Y1 KR200304799 Y1 KR 200304799Y1 KR 20020033548 U KR20020033548 U KR 20020033548U KR 200304799 Y1 KR200304799 Y1 KR 2003047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insert
pole
insert hol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35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제건
Original Assignee
라제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제건 filed Critical 라제건
Priority to KR20-2002-00335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47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47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47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44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0P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텐트폴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상호 분리된 제 1,2커넥터가 각각 자유 회전하는 상태로 서로 결합되고, 상기 제 1,2커넥터의 내부에는 폴대의 인서트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서로 평행을 이루는 인서트공이 형성된 것이다.
상기 인서트공의 내면에는 폴대와 인서트부의 경계부분이 수용.걸림되도록 하여 결합강도를 배가시키고자 단턱부가 형성된 구조이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은 폴대의 인서트부가 커넥터의 인서트공에 끼워진 상태에서는 외부로부터 강한 힘 또는 압박이 가해지더라도 서로 연결된 커넥터간에 분리이탈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이로 인해 커넥터와 폴대의 연결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커넥터는 그 구성과 연결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시, 가공과 조립에 대한 어려움을 해소하고, 이에 따라 커넥터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실현시켜 사용의 편의성과 휴대성을 도모하며, 나아가 개선된 연결구조로 인해 사용시 번거로움과 불편함을 개선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폴대를 커넥터의 인서트공으로 수용시켜 폴대간에 서로 간섭발생이 야기되지 않는 최적의 상태로 근접된 구조를 취하게 됨으로써, 텐트의 원형유지를 위해 보다 안정된 지지를 도모한다.
나아가, 텐트의 설치시 폴대는 휘어지면서 곡선을 이루게 되는데, 이때 인서트부는 커넥터의 중심에서 고정되고, 폴대는 삽입된 만큼 인서트공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어, 상기 폴대가 휘어졌을때 가장 취약한 부분인 폴대와 인서트부의 경계부분에 부담을 주지 않게 되어 이 부분에 대한 부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텐트폴용 커넥터{Connector for Tent Pole}
본 고안은 텐트폴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폴대의 인서트부가 커넥터에 끼워진 상태에서는 외부로부터 강한 힘 또는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서로 연결된 커넥터간에 분리이탈되지 않으면서 자유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또한, 커넥터의 구성과 연결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시, 가공에 대한 어려움을 해소함으로써, 소형화 및 경량화의 실현으로 사용자에게 사용의 편의성과 휴대성을 도모하고, 아울러 커넥터간에 연결 및 분리에 따른 조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나아가, 인서트부는 커넥터의 중심에서 고정되고, 폴대는 삽입된 만큼 인서트공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로 하여 폴대의 가장 취약한 부분인 폴대와 인서트부의 경계부분에 부담을 주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텐트는 사용자가 캠핑 또는 야외에서 임시로 거쳐할 수 있도록 방수천과 다수개의 폴대들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폴대들을 서로 조립하여 다양한 형태의 텐트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텐트의 다양한 형태를 부드럽게 유지시키면서도 한쌍의 폴대를 교차연결시키기 위해 커넥터가 서로 연결되어 사용된다.
여기에 사용되는 커넥터는 대부분 나사를 체결시켜 연결되거나 또는 커넥터에 결합돌기와 결합공을 각각 형성하고, 이를 서로 결합시켜 연결되도록 제작되는데, 이러한 커넥터는 우선 나사를 수용체결하기 위한 공간의 확보와 나사공의 가공으로 인해 커넥터의 크기가 자연적으로 커지게 됨으로써, 소형화 및 경량화의 실현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커넥터의 연결 및 분리시, 나사의 체결작업으로 인해 별도의 공구사용에 대한 불편함과 나사 체결의 번거로움을 주게 되며, 아울러 커넥터의 자유회전이 원활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컨넥터의 결합돌기와 결합공의 삽입연결은 신속.간단하나 미사용시, 걸합돌기가 결합공에 억지끼움되는 상태로 걸림결합되어야만 하므로, 상호 간에 분리이탈이 쉽지 않아 휴대의 불편함을 주게 되고,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서로 결합 여유를 주게 되면, 외부로부터 충격이나 강한 힘을 받을 경우에 쉽게 분리이탈되어 견고한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커넥터의 구성과 연결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시, 가공에 대한 어려움을 해소하여 소형화 및 경량화의 실현과 함께 제조원가를 낮추면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커넥터간에 연결 및 분리에 대한 조작이 간편하여 사용의 편의성과 휴대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폴대를 커넥터의 인서트공으로 수용시켜 폴대간에 서로 간섭발생이 야기되지 않는 최적의 상태로 근접된 구조를 취하게 됨으로써, 우선 텐트의 원형유지를 위해 보다 안정된 지지를 도모하고, 나아가 폴대의 휘어짐을 보다 부드럽게 하면서 그에 대한 폴대의 부담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폴대의 인서트부가 커넥터에 끼워진 상태에서는 외부의 강한 힘 또는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서로 연결된 커넥터간에 이탈분리되지 않으면서 서로 자유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커넥터가 상호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분리된 커넥터를 연결하기 위한 단면도
도 3은 서로 연결된 본 고안의 커넥터에 폴대의 인서트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을 따라 절개된 커넥터의 단면도
도 5는 양편에서 결합되는 폴대가 본 고안의 커넥터에 수용되어 상호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커넥터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8은 양편에서 결합되는 폴대가 본 고안의 커넥터에 수용되어 상호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40 : 제 1커넥터 12,44 : 제 2커넥터
14 : 폴대 16 : 인서트부
18,26 : 인서트공 20,28,50,54 : 단턱부
22 : 단턱 24 : 결착홈
30 : 결합돌기 32 : 절개부
42 : 삽입공 46 : 걸림돌기
48 : 걸림턱 52 : 인서트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호 분리된 제 1,2커넥터가 각각 자유회전하는 상태로 서로 결합되고, 상기 제 1,2커넥터의 내부에는 폴대의 인서트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서로 평행을 이루는 인서트공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제 1실시예]
첨부된 예시도면 도 1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커넥터를 나타낸 도면인 바, 상호 분리된 제 1,2커넥터(10,12)는 서로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상태로 연결되면서 각각 자유회전이 원활하도록 제작되게 된다.
우선, 제 1커넥터(10)의 내부에는 폴대(14)의 인서트부(16)가 삽입통과되도록 인서트공(18)이 형성되어 있고, 이 인서트공(18)의 내면 중앙부분에는 인서트부(16)의 외경과 미세하지만 동일한 내경으로 가공되는 단턱부(20)가 내주면을 따라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커넥터(10)의 일측 표면에는 단턱(22)을 내측으로 형성시킨 결착홈(24)이 형성된다.
제 2커넥터(12)에는 폴대(14)의 인서트부(16)가 수용.결합되도록 인서트공(26)이 형성되어 있고, 이 인서트공(26)에는 폴대(14)의 통과됨을 방지하면서 폴대(14)와 인서트부(16) 모두를 내면에 면 밀착되는 상태로 지지하여 연결강도를 보다 배가시킬 수 있도록 하고자 내주면을 따라 단턱부(28)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단턱부(28)의 내경은 인서트부(16)의 외경과 미세하지만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기 결착홈(24)과 대응.결합하게 되는 제 2커넥터(12)의 표면에는 2단으로 이루어진 결합돌기(30)가 돌출형성되어 있고, 이 결합돌기(30)를 양편으로 분할시켜 서로 오므려지는 탄성력으로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하고자 인서트공(26)으로부터 결합돌기(30)의 중앙을 통과하는 직선의 절개부(32)가 형성된다.
[제 2실시예]
첨부된 예시도면 도 6 내지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제 1커넥터(40)의 내부에는 종방향으로 삽입공(42)이 관통형성되어 있고, 이 삽입공(42)에는 인서트공(49)이 형성된 제 2커넥터(44)가 안으로 삽입되어 그 타측으로 인서트공(49)을 인출시킨 상태로 걸림결합된다. 이때 제 2커넥터(44)의 걸림돌기(46)는 삽입공(42)의 타측에 형성된 걸림턱(48)에 이탈되지 않는 상태로 면 밀착되어 있어 자유회전이 원활한 상태가 된다.
상기 제 2커넥터(44)의 인서트공(49)에는 폴대(14) 인서트부(16)의 외경과 미세하지만 동일한 내경을 갖는 단턱부(50)가 내주면을 따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커넥터(40)에는 삽입된 제 2커넥터(44)의 이탈을 방지하고자 인서트공(51)을 형성시킨 별도의 인서트관(52)이 삽입공(42)을 가로지르는 상태로 관통결합 되어 있으며, 이 인서트관(52)의 내면에는 폴대(14) 인서트부(16)의 외경과 미세하지만 동일한 내경을 가진 단턱부(54)가 내주면을 따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첨부된 예시도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커넥터(10)의 결착홈(24)에 제 2커넥터(12)의 결합돌기(30)를 연결시, 우선 제 2커넥터(12)의 인서트공(26)으로부터 결합돌기(30)를 통과하는 절개부(32)의 내폭이 좁아지도록 결합돌기(30)의 양편에서 압력을 가하여 오므린다.
그리고, 결합돌기(30)를 오므린 상태에서 첨부된 예시도면 도 3 내지 도 5에도시된 바와 같이 그와 대응하는 제 1커넥터(10)의 결착홈(24)에 삽입시킨 다음, 양편에 가했던 압력을 해제하게 되면, 그 순간 절개부(32)는 탄성력에 의해 처음의 상태로 돌아가면서 결착홈(24)에 결착된다. 이때 결합돌기(30)는 결착홈(24)의 내측면을 압지하는 상태가 아니라 단순히 결합만 된 것이어서 각각 원활한 자유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 1,2커넥터(10,12)의 인서트공(18,26)에 폴대(14)의 인서트부(16)가 삽입 통과되는 상태로 끼워지는데, 이때 인서트공(18,26)의 내면에는 인서트부(16)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으로 가공된 단턱부(20,28)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폴대(14)는 인서트공(18,26)의 단턱부(20,28)에 의해 걸림이 이루어진 상태로 일부 삽입되고, 동시에 인서트부(16)는 단턱부(20,28)의 내주면을 따라 면 밀착면서 끼워지게 된다.
이러한 상태로 텐트의 설치시 폴대(14)는 휘어져 곡선을 이루게 되는데, 이때 인서트부(16)는 커넥터(10,12)의 단턱부(20,28)에 의해 고정되고, 폴대(14)는 삽입된 만큼 인서트공(18,26)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상기 폴대(14)가 휘어졌을때 가장 취약한 부분인 폴대(14)와 인서트부(16)의 경계부분에 부담을 주지 않게 되어 이 부분에 대한 부러짐을 방지한다.
또한, 상호 연결된 제 1,2커넥터(10,12)에 폴대(14)가 끼워진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강한 눌림이나 힘이 가해질 경우, 제 2커넥터(12)의 결합돌기(30)는 오므려지지 않아 제 1,2커넥터(10,12)의 견고한 연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는 결합돌기(30)를 통과하는 절개부(32)가 인서트공(26)의 내부와 통하는 상태로 절개되어있어, 인서트공(26)의 내경이 작아져야지만 결합돌기(30)가 서로 오므려지게 되는데, 이때 단턱부(28)의 내경은 폴대(14) 인서트부(16)의 외경과 동일하게 가공되므로, 결국 제 2커넥터(12)의 인서트공(26)에 끼워진 폴대(14)의 인서트부(16)로 인해 인서트공(26)이 오므려지지 않게 된다.
즉, 제 1커넥터(10) 결착홈(24)에 결착된 결합돌기(30)는 인서트공(26)에 끼워진 인서트부(16)에 의해 오므려짐이 강제적으로 방지되어 견고한 연결상태를 유지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호 연결된 제 1,2커넥터(10,12)를 분리시킬 경우, 우선 제 1,2커넥터(10,12)에 끼워진 폴대(14)를 제거시킨 후, 제 2커넥터(12)의 양편에서 힘을 가하게 되면, 인서트공(26)의 내경은 작아지면서 각각 대응하는 결합돌기(30)가 오므려지게 되고, 이에 따라 결착홈(24)으로부터 결착돌기(30)의 걸림이 해지되어 제 1,2커넥터(10,12)의 분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첨부된 예시도면 도 6 내지 도 8은 커넥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먼저 제 1커넥터(40)에 제 2커넥터(44)를 연결시, 제 1커넥터(40) 삽입공(42)의 일측에서 제 2커넥터(44)를 삽입시켜 그 타측으로 인서트공(49)을 노출시킨 상태로 걸림결합시킨다.
이때, 제 1커넥터(40)의 걸림턱(48)에는 제 2커넥터(44)의 걸림돌기(46)가 걸려 타측으로는 완전한 통과가 불가능하게 되며, 이러한 걸림연결구조로 인해 제 1,2거넥터(40,44)는 각각 자유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또한, 제 2커넥터(44)가 최초 삽입된 방향으로 빠져나오지 않도록 하기 위해제 1커넥터(40)에는 소정길이를 갖는 튜브형 인서트관(52)이 관통되는 상태로 끼워져 있어, 이 인서트관(52)에 의해 삽입공(42)이 막히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어 제 2커넥터(44)가 최초의 삽입방향으로 빠져나오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튜브형 인서트관(52)과 제 1커넥터(40)의 각 인서트공(49,51) 내면에는 인서트부(16)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으로 가공된 단턱부(50,54)가 내주면을 따라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폴대(14)는 단턱부(50,54)에 의해 걸림되어 삽입관통이 방지되고, 단턱부(50,54)의 내주면에는 인서트부(16)의 외주면이 면 밀착되는 상태로 끼워지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제 1,2커넥터는 각각 자유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 걸림결합 및 결착연결에 대한 결합성이 우수하고, 아울러 그 구성과 연결구조가 간단하여 소형화 및 경량화를 실현시키며, 나아가 간편한 조작으로 사용에 대한 편의성과 휴대성을 도모하게 된다.
위와 같이 본 고안은 커넥터간에 각각 자유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연결 및 분리가 쉽게 이루어지면서 인서트공에 폴대와 인서트부가 모두 면 밀착되는 상태로 끼워짐으로써, 우선 폴대 인서트부가 커넥터에 끼워진 상태에서는 외부의 강한 힘이 가해지더라도 상호 간에 이탈분리되지 않아 연결상태에 대한 우수성을 높일 수 있고, 아울러 폴대의 취약부분이 커넥터에 수용되도록 끼워져 있어 연결강도를 배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폴대를 커넥터의 인서트공으로 수용시켜 폴대간에 서로 간섭발생이 야기되지 않는 최적의 상태로 근접된 구조를 취하게 됨으로써, 텐트의 원형유지를 위해 보다 안정된 지지를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텐트의 설치시 폴대는 휘어져 곡선을 이루게 되는데, 이때 인서트부는 커넥터의 중심에서 고정되고, 폴대는 삽입된 만큼 인서트공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어, 상기 폴대가 휘어졌을때 가장 취약한 부분인 폴대와 인서트부의 경계부분에 부담을 주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해 이 부분에 대한 부러짐을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 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의 구성과 연결구조가 간단하여 제작가공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이로 인해 가공시간의 단축은 물론 생산성의 향상과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개선된 구조로 인해 커넥터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실현하여 사용자에게 간편한 휴대와 사용의 편의를 도모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6)

  1. 텐트폴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호 분리된 제 1,2커넥터가 각각 자유회전하는 상태로 서로 결합되고, 상기 제 1,2커넥터의 내부에는 폴대의 인서트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서로 평행을 이루는 인서트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폴용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공의 내면에는 폴대와 인서트부의 경계부분이 수용.걸림되도록 하여 결합강도를 배가시키고자 단턱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폴용 커넥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턱부의 내경은 인서트부의 외경과 동일하게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폴용 커넥터.
  4. 제 1항에 있어서,
    제 1커넥터의 일측 표면에는 결착홈이 형성되어 있고, 이 결착홈과 대응하는 제 2커넥터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2커넥터 인서트공의 내경 변화에 따라 연동하는 결합돌기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결합홈으로부터 결착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인서트공으로부터 결합돌기를 통과하는 절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폴용 커넥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커넥터의 내부에는 횡방향으로 형성된 인서트공을 가로지르는 삽입공이 종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삽입공에는 제 2커넥터가 안으로 삽입되어 인서트공이 인출되는 상태로 상호 걸림연결되고, 상기 제 1커넥터에는 제 2커넥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인서트관이 삽입공을 가로지르는 횡방향으로 삽입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폴용 커넥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관의 내부에는 인서트공이 형성되어 있고, 이 인서트공에는 폴대의 인서트부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이루는 단턱부가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폴용 커넥터.
KR20-2002-0033548U 2002-11-09 2002-11-09 텐트폴용 커넥터 KR2003047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3548U KR200304799Y1 (ko) 2002-11-09 2002-11-09 텐트폴용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3548U KR200304799Y1 (ko) 2002-11-09 2002-11-09 텐트폴용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4799Y1 true KR200304799Y1 (ko) 2003-02-19

Family

ID=49401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3548U KR200304799Y1 (ko) 2002-11-09 2002-11-09 텐트폴용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4799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20972A1 (de) 2007-05-04 2008-11-13 Jeh-Kun Lah Verbinder für Zeltstangen
US7810514B2 (en) 2007-05-01 2010-10-12 Lah Jeh-Kun Connector for tent poles
KR101161621B1 (ko) 2012-01-18 2012-07-04 오성듀랄루민(주) 착탈이 용이한 텐트용 폴 연결구
KR20170000014A (ko) 2015-06-22 2017-01-02 연안알루미늄 주식회사 텐트 폴 연결장치
WO2017189399A1 (en) * 2016-04-27 2017-11-02 Cascade Designs, Inc. Swivel hub for tent poles
US10309122B2 (en) * 2015-12-10 2019-06-04 Xiamen Innovation Metal Products Co., Ltd. Tent and tent support frame having support poles coupled by rotatable connector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10514B2 (en) 2007-05-01 2010-10-12 Lah Jeh-Kun Connector for tent poles
DE102007020972A1 (de) 2007-05-04 2008-11-13 Jeh-Kun Lah Verbinder für Zeltstangen
DE102007020972B4 (de) * 2007-05-04 2009-03-12 Jeh-Kun Lah Verbinder für Zeltstangen
KR101161621B1 (ko) 2012-01-18 2012-07-04 오성듀랄루민(주) 착탈이 용이한 텐트용 폴 연결구
KR20170000014A (ko) 2015-06-22 2017-01-02 연안알루미늄 주식회사 텐트 폴 연결장치
KR101716034B1 (ko) * 2015-06-22 2017-03-14 연안알루미늄 주식회사 텐트 폴 연결장치
US10309122B2 (en) * 2015-12-10 2019-06-04 Xiamen Innovation Metal Products Co., Ltd. Tent and tent support frame having support poles coupled by rotatable connector
WO2017189399A1 (en) * 2016-04-27 2017-11-02 Cascade Designs, Inc. Swivel hub for tent poles
CN109196175A (zh) * 2016-04-27 2019-01-11 凯斯凯德设计有限公司 用于帐篷杆的旋转毂
US20190153745A1 (en) * 2016-04-27 2019-05-23 Cascade Designs, Inc. Swivel hub for tent pol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28595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positive lock
US5848456A (en) Locking device for a connector
TWI357311B (en) Buckle
US7658551B1 (en) Optical fiber connector
KR100526078B1 (ko) 착탈성이 우수한 이동식 막사의 결합부재
WO2009093313A1 (ja) バックル
US7001202B2 (en) Reusable power cord retaining device
KR200304799Y1 (ko) 텐트폴용 커넥터
US7377799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fastening device
JP2009297511A (ja) 自動固定コネクターシステム用雌型連結器
US7063558B1 (en) Electric plug
KR100553333B1 (ko) 커넥터
US5017157A (en) Receptacle for cable connector with locking mechanism and electric shielding property
US5506909A (en) Noise filtering device
US5800199A (en) Connector alignment guide
US20080200056A1 (en) Tool-Free Microphone Connector
KR100337122B1 (ko) 호스 연결장치
KR100577730B1 (ko) 래치 조립체
KR200413192Y1 (ko) 텐트폴 연결구
KR200200769Y1 (ko) 집게
KR200225471Y1 (ko) 이어폰 고정구조
KR101236924B1 (ko) 안테나 결합구조
KR101237213B1 (ko) 안테나 결합구조
KR200338512Y1 (ko) 장신구용 연결구
KR200290806Y1 (ko) 주름관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