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3192Y1 - 텐트폴 연결구 - Google Patents

텐트폴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3192Y1
KR200413192Y1 KR2020060001634U KR20060001634U KR200413192Y1 KR 200413192 Y1 KR200413192 Y1 KR 200413192Y1 KR 2020060001634 U KR2020060001634 U KR 2020060001634U KR 20060001634 U KR20060001634 U KR 20060001634U KR 200413192 Y1 KR200413192 Y1 KR 2004131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oupling
piece
hole
inse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16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복
Original Assignee
연안알루미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안알루미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연안알루미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016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31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31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319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0P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텐트폴 연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텐트폴 피스를 상호 교차하여 연결하는 텐트폴 연결구에 있어서, 피스가 끼워질 수 있는 인서트공이 형성된 상부 피스 삽입부와, 상기 상부 피스 삽입부 하면의 중앙영역으로부터 하향으로 돌출 형성된 원기둥 형상의 삽입기둥과, 상기 삽입기둥과 연결되어 상기 삽입기둥보다 넓게 형성된 원판 형상의 삽입판으로 구성되는 상부 커넥터부와; 상기 삽입기둥과 삽입판이 삽입 가능하도록 종방향으로는 중공의 삽입공이 형성되고, 외주면의 소정위치에는 횡방향으로 결합홀이 관통 형성된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 하면으로 피스가 끼워질 수 있는 인서트공이 형성된 하부 피스 삽입부로 구성되는 하부 커넥터부와; 상기 결합홀에 삽입되어 상기 삽입판과 상부 피스 삽입부 하면 사이에 걸려 상기 상부 커넥터부와 하부 커넥터를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텐트, 연결구, 커텍터, 피스,

Description

텐트폴 연결구{An apparatus for joining tent-poles}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텐트폴 연결구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텐트폴 연결구의 조립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Ⅲ-Ⅲ 부분을 절단한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텐트폴 연결구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텐트폴 연결구의 조립 사시도,
도 6은 도 5에서 Ⅵ-Ⅵ 부분을 절단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상부 커넥터부 11: 상부 피스 삽입부
11a, 22a, 22a`: 인서트공 12: 삽입기둥
13: 삽입판 20, 20`: 하부 커넥터부
21, 21`: 받침부 21a, 21a`: 삽입공
21b, 21b`: 결합홀 22, 22`: 하부 피스 삽입부
31: 결합볼 32: 가압핀
31`: 결합핀 40: 연결피스
41: 단턱
본 고안은 텐트폴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피스가 끼워질 수 있도록 인서트공이 형성된 상, 하부 커넥터부를 마련하여, 상기 상, 하부 커넥터부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는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분리 이탈되지 않으면서 회전이 가능한 텐트폴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상부 커넥터와 하부 커넥터간의 거리를 최소화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조립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텐트는 사용자가 캠핑 또는 야외에서 임시로 거쳐할 수 있도록 방수천과 다수개의 폴대들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폴대들을 서로 조립하여 다양한 형태의 텐트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텐트의 다양한 형태를 부드럽게 유지시키면서도 한 쌍의 폴대를 교차 연결시키기 위해 커넥터가 서로 연결되어 사용된다.
종래에 사용되는 커넥터는 대부분 나사를 체결시켜 연결되거나 또는 커넥터에 결합돌기와 결합공을 각각 형성하고, 이를 서로 결합시켜 연결되도록 제작되는데, 이러한 커넥터는 우선 나사를 수용체결하기 위한 공간의 확보와 나사공의 가공으로 인해 커넥터의 크기가 자연적으로 커지게 됨으로써, 소형화 및 경량화의 실현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커넥터의 연결 및 분리시, 나사의 체결작업으로 인해 별도의 공구사용에 대한 불편함과 나사 체결의 번거로움을 주게 되며, 아울러 커넥터의 자유회전이 원활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피스가 끼워질 수 있도록 인서트공이 형성된 상, 하부 커넥터부를 마련하여, 상기 상, 하부 커넥터부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는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분리 이탈되지 않으면서 회전이 가능한 텐트폴 연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부 커넥터와 하부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부 커넥터와 하부 커텍터 사이의 거리를 최소화함으로써, 조립시의 편의성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텐트폴 연결구는 텐트폴 피스를 상호 교차하여 연결하는 텐트폴 연결구에 있어서, 피스가 끼워질 수 있는 인서트공이 형성된 상부 피스 삽입부와, 상기 상부 피스 삽입부 하면의 중앙영역으로부터 하향으로 돌출 형성된 원기둥 형상의 삽입기둥과, 상기 삽입기둥과 연결되어 상기 삽입기둥보다 넓게 형성된 원판 형상의 삽입판으로 구성되는 상부 커넥터부와; 상기 삽입기둥과 삽입판이 삽입 가능하도록 종방향으로는 중공의 삽입공이 형성되고, 외주면의 소정위치에는 횡방향으로 결합홀이 관통 형성된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 하면으로 피스가 끼워질 수 있는 인서트공이 형성된 하부 피스 삽입부로 구성되는 하부 커넥터부와; 상기 결합홀에 삽입되어 상기 삽입판과 상부 피스 삽입부 하면 사이에 걸려 상기 상부 커넥터부와 하부 커넥터를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결합홀에 삽입되어 상기 삽입판과 상부 피스 삽입부 하면 사이에 걸려지게 형성된 결합볼과; 상기 결합홀에 삽입되어 상기 결합볼을 가압하여 피스 삽입부 하면과 삽입판 사이에 걸린 결합볼이 이탈되지 못하게 하는 가압핀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결합홀을 받침부의 외주면에 상호 나란하게 양측에 관통되게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결합부재는 상기 결합홀을 관통하여 상기 삽입판과 상부 피스 삽입부 하면 사이에 걸려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고안의 또다른 일실시예는 상기 상, 하부 커넥터의 인서트공에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인서트공의 내경과 일치하는 외경을 갖고, 외주면의 소정위치에는 상기 인서트공에 걸려질 수 있는 단턱이 형성된 원기둥 모양의 연결피스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연결피스를 더 구비함으로써, 텐트폴 조립시의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고안, 텐트폴 연결구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텐트폴 연결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텐트폴 연결구의 조립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서 Ⅲ-Ⅲ 부분을 절단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로 본 고안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텐트폴 연결구는 상부 커넥터부(10)와, 하부 커넥터부(20)와, 결합볼(31)과 가압핀(32), 연결피스(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 커넥터(10)는 상부에는 상부 피스 삽입부(11)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피스 삽입부(11) 하면에는 중앙영역으로 원기둥 형태의 삽입기둥(12)이 형성되고 삽입기둥(12)의 끝단부에는 원반형상의 삽입판(13)이 형성되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판(13)의 직경은 상기 삽입기둥(12)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 커넥터부(20)는 상기 삽입기둥(12)과 삽입판(13)이 삽입 가능하도록 종방향으로는 중공의 삽입공(21a)이 형성되고, 외주면의 소정위치에는 횡방향으로 결합홀(21b)이 관통 형성된 받침부(21)와, 상기 받침부(21) 하면으로 연결피스(40)가 끼워질 수 있는 인서트공(22a)이 형성된 하부 피스 삽입부(22)가 형성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텐트폴 연결구는 결합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상부 커넥터부(10)와 하부 커넥터부(20)를 결합시킨다. 도시된 결합부재는 결합볼(31)과 가압핀(3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삽입판(13)과 삽입기둥(12)이 하부 커넥터부(20)의 삽입공(21a)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볼(31)은 상기 결합홀(21b)에 삽입되어 상기 삽입판(13)과 상부 피스 삽입부(11) 하면 사이에 걸려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는 마주보는 방향으로 형성된 결합홀(21b)에 맞춰 끼워지기에 2개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가압핀(32)은 상기 삽입판(13)과 상부 피스 삽입부(11) 하면 사이에 걸린 결합볼(31)이 이탈되지 못하도록 상기 결합홀(21b)에 삽입되어 상기 결합볼(31)을 가압한다. 따라서 상술한 방식으로 상부 커넥터부(10)와 하부 커넥터부(20)는 결합되며, 또한 결합볼(31)이 상기 삽입판(13)과 상부 피스 삽입부(11) 하 면 사이에 걸려지게 되므로, 상기 상부 커넥터부(10)와 상기 하부 커넥터부(20)는 회전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상부 커넥터부(10)와 하부 커넥터부(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피스(40)를 인서트공(11a, 22a)에 삽입시키면 상기 연결피스(40) 외주면에 형성된 단턱(41)에 의해 상기 연결피스(40)가 상기 인서트공(11a, 22a)에 걸려지게 된다.
한편, 도 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텐트폴 연결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텐트폴 연결구의 조립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에서 Ⅵ-Ⅵ 부분을 절단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텐트폴 연결구는 상부 커넥터부(10)와, 하부 커넥터부(20`)와, 결합핀(31`), 연결피스(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 커넥터(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게 상부에는 상부 피스 삽입부(11)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피스 삽입부(11) 하면에는 중앙영역으로 원기둥 형태의 삽입기둥(12)이 형성되고 삽입기둥(12)의 끝단부에는 원반형상의 삽입판(13)이 형성되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판(13)의 직경은 상기 삽입기둥(12)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하부 커넥터부(20`)는 상기 삽입기둥(12)과 삽입판(13)이 삽입 가능하도록 종방향으로는 중공의 삽입공(21a`)이 형성되고, 외주면의 소정위치에는 횡방향으로 나란하게 결합홀(21b`)이 관통 형성된 받침부(21`)와, 상기 받침부(21`) 하면으로 연결피스(40)가 끼워질 수 있는 인서트공(22a`)이 형성된 하부 피스 삽입부(22`)가 형성된다.
그리고 결합핀(31`)은 상기 받침부(21`) 외주면에 나란하게 형성된 결합홀(21b`)에 삽입되어 상부 커넥터부(10)와 하부 커넥터부(20`)를 결합시킨다. 상기 결합핀(31`)은 상기 삽입판(13)과 삽입기둥(12)이 하부 커넥터부(20`)의 삽입공(21a`)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홀(21b`)에 삽입되어 상기 삽입판(13)과 상부 피스 삽입부(11) 하면 사이에 걸려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술한 방식으로 상부 커넥터부(10)와 하부 커넥터부(20`)는 결합되며, 또한 결합핀(31`)이 상기 삽입판(13)과 상부 피스 삽입부(11) 하면 사이에 걸려지게 되므로, 상기 상부 커넥터부(10)와 상기 하부 커넥터부(20`)는 회전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상부 커넥터부(10)와 하부 커넥터부(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피스(40)를 인서트공(11a, 22a`)에 삽입시키면 상기 연결피스(40) 외주면에 형성된 단턱(41)에 의해 상기 연결피스(40)가 상기 인서트공(11a, 22a`)에 걸려지게 된다.
즉 , 상술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텐트폴 연결구(도 1 내지 도 3 또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됨)는 상부 커넥터부(10)와 하부 커넥터부(20, 20`)를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으로 결합볼(31) 또는 결합핀(31`)을 사용함으로 상부 커넥터부(10)와 하부 커넥터부(20, 20`)는 회전이 가능한 결합이 된다. 이와 같이 회전이 가능한 이유는 상기 결합볼(31) 또는 결합핀(31`)이 상부 피스 삽입부(11)의 하면, 삽입판(13)의 하면, 삽입기둥(12), 결합홀(21b, 21b`)에 접촉할 때, 면 접촉이 아닌 점 접촉이 되기 때문이다.
한편, 본 고안은 연결피스(40)가 생략된 상태에서 상기 인서트공(11a, 22a, 22a`)에 텐트폴 피스가 직적 삽입되어 조립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텐트폴 연결구는 피스가 끼워질 수 있도록 인서트공이 형성된 상, 하부 커넥터부를 마련하여, 상기 상, 하부 커넥터부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는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분리 이탈되지 않으면서 회전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부 커넥터와 하부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부 커넥터와 하부 커텍터 사이의 거리를 최소화함으로써, 텐트 조립시의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텐트폴 피스를 상호 교차하여 연결하는 텐트폴 연결구에 있어서,
    피스가 끼워질 수 있는 인서트공이 형성된 상부 피스 삽입부와, 상기 상부 피스 삽입부 하면의 중앙영역으로부터 하향으로 돌출 형성된 원기둥 형상의 삽입기둥과, 상기 삽입기둥과 연결되어 상기 삽입기둥보다 넓게 형성된 원판 형상의 삽입판으로 구성되는 상부 커넥터부와;
    상기 삽입기둥과 삽입판이 삽입 가능하도록 종방향으로는 중공의 삽입공이 형성되고, 외주면의 소정위치에는 횡방향으로 결합홀이 관통 형성된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 하면으로 피스가 끼워질 수 있는 인서트공이 형성된 하부 피스 삽입부로 구성되는 하부 커넥터부와;
    상기 결합홀에 삽입되어 상기 삽입판과 상부 상부 피스 삽입부 하면 사이에 걸려 상기 상부 커넥터부와 하부 커넥터부를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폴 연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결합홀에 삽입되어 상기 삽입판과 상부 피스 삽입부 하면 사이에 걸려지게 형성된 결합볼과;
    상기 결합홀에 삽입되어 상기 결합볼을 가압하여 상기 삽입판과 상부 피스 삽입부 하면 사이에 걸린 결합볼이 이탈되지 못하게 하는 가압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폴 연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홀은 상호 나란하게 양측에 관통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결합홀을 관통하여 상기 삽입판과 상부 피스 삽입부 하면 사이에 걸려지게 형성된 결합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폴 연결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텐트폴 연결구는 상기 상, 하부 커넥터의 인서트공에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인서트공의 내경과 일치하는 외경을 갖고, 외주면의 소정위치에는 상기 인서트공에 걸려질 수 있는 단턱이 형성된 원기둥 모양의 연결피스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텐트폴 연결구.
KR2020060001634U 2006-01-19 2006-01-19 텐트폴 연결구 KR2004131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1634U KR200413192Y1 (ko) 2006-01-19 2006-01-19 텐트폴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1634U KR200413192Y1 (ko) 2006-01-19 2006-01-19 텐트폴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3192Y1 true KR200413192Y1 (ko) 2006-04-04

Family

ID=41763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1634U KR200413192Y1 (ko) 2006-01-19 2006-01-19 텐트폴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319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2039B1 (ko) 2007-11-01 2009-12-15 라제건 텐트 폴 커넥터
KR101161621B1 (ko) 2012-01-18 2012-07-04 오성듀랄루민(주) 착탈이 용이한 텐트용 폴 연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2039B1 (ko) 2007-11-01 2009-12-15 라제건 텐트 폴 커넥터
KR101161621B1 (ko) 2012-01-18 2012-07-04 오성듀랄루민(주) 착탈이 용이한 텐트용 폴 연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44985A (en) Two-row type tool suspension rack
US6637082B1 (en) Quick holder
US7591690B1 (en) Connecting device for solar panel
US7604492B1 (en) Power supply adapter
JP2005539166A (ja) 着脱性が優れた移動式キャンプの結合部材
JP3127080U (ja) ツールチャック装置
KR200413192Y1 (ko) 텐트폴 연결구
US5702198A (en) Umbrella rod structure of multiple tubes
US6471537B2 (en) Flat cable connector with lead fixing detents
US6921180B2 (en) Connector of a C-type bulb assembly
KR200469561Y1 (ko) 비계틀의 비계기둥 연결장치
US6142646A (en) Light socket assembly
KR200368931Y1 (ko) 포스트형 조립식 선반
US6471536B1 (en) Zero Insertion Force socket having mechanical fastening device
US20080200056A1 (en) Tool-Free Microphone Connector
CN218740194U (zh) 一种积木电路板安装结构
CN209781361U (zh) 快速拆装结构体
JP3122512U (ja) スクリュードライバー
KR200403184Y1 (ko) 테이블용 다리
KR102006753B1 (ko) 레버 회전식 축전지용 접속단자
KR200237507Y1 (ko) 척추경 나사못의 다축로드 고정구
KR200304129Y1 (ko) 낚시대 케이스 받침대 결합구조
KR100356693B1 (ko) 거실창의 손잡이 조립구조
KR20180000786U (ko) 휴대용 커넥터
JP3193666B2 (ja) 装飾用電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