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5925B1 - 클립 - Google Patents
클립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225925B1 KR100225925B1 KR1019960006265A KR19960006265A KR100225925B1 KR 100225925 B1 KR100225925 B1 KR 100225925B1 KR 1019960006265 A KR1019960006265 A KR 1019960006265A KR 19960006265 A KR19960006265 A KR 19960006265A KR 100225925 B1 KR100225925 B1 KR 10022592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astic leg
- clip
- attachment
- attachment hole
- hol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049 embo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713 exacerb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9/00—Bolts without screw-thread; Pins, including deformable elements; Rivets
- F16B19/002—Resiliently deformable pins
- F16B19/004—Resiliently deformable pins made in one pie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착대상물의 부착구멍에 대한 삽입력을 가급적 감소시키면서, 부착구멍에 대한 부착상태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클립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머리부(10)와, 이 머리부(10)의 일측에서 돌출형성됨과 아울러 선단(20a)부에 외향의 걸어맞춤돌기부(21)를 구비한 복수의 탄성다리편(20,20,…)으로 이루어진다. 탄성다리편(20)을 부착구멍(H)에 끼워넣음으로써, 머리(10)가 부착구멍(H)의 일측 구멍가장자리(H')측에 있는 부착대상물(P)의 면에 걸어맞춰지고, 또, 걸어맞춤돌기부(21)가 부착구멍(H)의 타측 구멍가장자리(H)측에 있는 부착대상물(P)의 면에 걸어맞춰진다. 클립(C)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탄성다리편(20,20,…)은 그 선단(20a)측이 탄성변형가능한 연결편(30)에 의해서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Description
제1도는 클립(C-1) 및 부착대상물(P)의 사시도.
제2도는 클립(C-1)의 측면도.
제3도는 클립(C-1)의 저면도.
제4도는 클립(C-1)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5도는 제4도에 있어서 A-A선 단면도.
제6도는 클립(C-1)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7도는 제6도에 있어서 B-B선 단면도.
제8도는 클립(C-2) 및 부착대상물(P)의 사시도.
제9도는 클립(C-2)의 측면도.
제10도는 클립(C-2)저면도.
제11도는 클립(C-2)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12도는 종래의 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제13도는 종래의 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제14도는 종래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15도는 종래의 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P : 부착대상물 H : 부착구멍
H' : 구멍가장자리 H : 구멍가장자리
C : 클립 10 : 머리부
20 : 탄성다리편 20a : 선단
21 : 걸어맞춤돌기부 30 : 연결편
40 : 안내돌출부
본 발명은, 머리부와 이 머리부의 일측에서 돌출형성되는 선단측에 걸어맞춤돌기부를 구비한 탄성다리편을 가지고, 이 판성다리편을 부착구멍에 끼워넣음르로써 상기 부착구멍의 양쪽 구멍가장자리측에 있는 면을 머리부와 걸어맞춤돌기부 사이에 끼워서 상기 부착구멍에 부착되게 하는 클립으 개량에 관한 것이다.
상호 연결되어 통하도록 2개의 부재에 개설된 부착구멍에 끼워넣어져서 부착됨으로써, 상기 2개의 부재를 조립하는 클립으로서,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6-101709에 게재된 체결부재로 대표되듯이, 머리부(100)와 이 머리부(100)의 일측에 돌출형성되고, 또한 선단측에 외향의 걸어맞춤돌기부(102)를 구비한 탄성다리편(101)를 가지는 클럽이 이용되고 있다. (제12도,제13도)
이 클립에 의하면, 상호 연결되어 통하도록 2개의 부재(P-1,P-2)에 각각 개설된 부착구멍(H)에 대하여 이 부착구멍(H) 일측의 트인구멍으로 상기 탄성다리편(101
)을 끼워넣음으로써 상기 탄성다리편(101)을 일단 내측으로 휘게하여 넣은 후, 다시 상기 탄성다리편(101)의 선단측에 형성된 상기 걸어맞춤돌기부(102)가 상기 부착구멍(
H)의 타측의 트인구멍으로 돌출되는 위치까지 상기 탄성다리편(101)을 끼워넣음으로써 상기 휘게하여 넣은 탄성다리편(101)을 탄성복귀시켜, 이 탄성다리편(101)의 걸어맞춤돌기부(102)와 상기 머리부(100) 사이에 상기 2개의 부재(P-1,P-2)를 끼워넣어서, 상기 2개의 부재(P-1,P-2)를 조립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6-101709에 게재된 구성의 클립은, 예를 들면, 제1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클립에 의하여 조립되는 2개의 부재(P-1,P-2) 중 일측, 혹은 양측에 대하여 상기 2개의 부재(P-1,P-2)를 이동시키는 것과 같은 힘이 가해질 경우, 개개의 탄성다리편(101)이 이 힘에 따라서 부재(P-1) 혹은 부재(P
-2)의 이동에 의하여 내측으로 휘어져서 부착구멍(H)과 이 휘어진 탄성다리편(101)의 걸어맞춤돌기부(102)의 걸어맞춤이 풀리는 경우가 있다.
특히, 상기 탄성다리편(101)의 강성(剛性)을 높게 확보하기 어려운 경우, 예를 들면 탄성다리편(101)을 옅은 돋을 새김으로 구성하는 요청이 있는 경우와 클립 전체를 소형으로 구성하는 요청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부재(P-1) 혹증 부재 (P-2)의 이동 등에 기인하여 탄성다리편(101)이 내측으로 휘어져 들어가기 쉽게 된다.
한편, 머리부(200)의 일측에 돌출형성되고, 또한 선단측에 외향의 걸어맞춤 돌기부(202)를 구비한 1쌍의 탄성다리편(201,201) 상호간을, 상기 머리부(200)에서 상기 1쌍의 탄성다리편(201,201)의 선단부 근방에 걸쳐서 판상연결부(203)를 형성하여 일체로 연결한 클립이 개시되어 있다. (미국 특허 3, 803, 670, 제14도)
또, 머리부(300)의 일측에 돌출형성된 삽입부(301)의 직경방향 양측으로 1쌍의 걸어맞춤돌기부(302,302)를 형설함과 아울러, 이 삽입부(301)의 양측에 머리부(3
00)측에서 선단측으로 향해진 1쌍의 오목부(303,303)를 형성하여, 이 오목부(303)에 의하여 이 삽입부(301)의 휨변형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클립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특허공보 소47-16683, 제15도)
그런데 제14도에 나탄낸 클립은, 상기 판상연결부(203)에 의하여 1쌍의 탄성다리편(201,201)의 어느 쪽인가가 개별로 휘어져 들어가는 것이 아니며, 또, 상기 제15도에 나타낸 클립은, 상기 삽입부(301)에 상기 1쌍의 오목부(303,303)를 형성하여 구성되어 있어서, 상기 삽입부(301)의 강성을 높게 확보할 수 있으므로, 모두 상호 연결되어 통하도록 형성된 부착구멍을 각각 가지는 2개의 부재의 상기 부착구멍에 상기 탄성다리편(201) 혹은 삽입부(301)를 끼워넣어서 부착한 후에, 이들 부재의 일측 혹은 양측에 이들 부재를 상기 2개의 부재의 서로 접하는 면을 따르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 같은 힘이 작용되는 경우라고 하더라도, 상기 부착구멍과 상기 걸어맞춤돌기부(202) 혹은 걸어맞춤돌기부(302)와의 걸어맞춤 상태는 풀리기 어렵게 된다.
그러나, 제14도에 나타낸 클립은, 상기 머리부(200)측에서 상기 탄성다리편(2
01)의 선단부 근방까지 상기 판상연결룹(203)를 형성하여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이 판상연결부(203)가 상기 탄성다리편(1010)의 휘어지는 방향을 따르도록 1쌍의 탄성다리편(201,201)을 끼워넣을 때의 삽입력을 감소시키기 어려운 것이었다.
또 제15도에 나타낸 클립은, 상기 오목부(303)를 구비하기는 하였으나, 상기 삽입부(301)를 일체로 구성한 것이기 때문에, 부착구멍에 대하여, 이 삽입부(301)를 끼워넣을 때의 삽입력을 마찬가지로 경감시키기 어려운 것이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불편험을 해결하는 것, 즉, 이 종류의 클립에 있어서 부착대상물의 부착구멍에 대한 삽입력을 가급적 감소가지면서, 상기 클립의 부착구멍에 대한 부착상태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특허청구범위 제1항 발명에서는, 머리부(10)와, 이 머리부(10)의 일가르쳐쓰에서 돌출형성됨과 아울러 선단(20a)부에 외향의 걸어맞춤돌기부(21)를 구비한 복수(複數)의 탄성다리편(20,20,…)을 구비하여, 이 탄성다리편(20)을 부착구멍(H)에 끼워넣음으로써, 상기 머리부(10)가 부착구멍(H)의 일측 구멍가장자리(H')측에 있는 부착대상물(P)의 면에 걸어맞춰지고, 또, 상기 걸어맞춤돌기부(21)가 부착구멍(H)의 타측 구멍가장자리(H)측에 있는 부착대상물(P)의 면에 걸어맞춰지는 클립(C)으로, 이 클립(C)에 있어서, 상기 탄성다리편(20,20,…)은 판형상을 이루는 1쌍의 탄성다리편(20,20)으로 되어 있으며, 이싸기 1쌍의 탄성다리편(20
,20)은 적어도 일부가 서로 겹치도록 간격을 두고서 평행하게 구비되며, 또한 상기 서로 겹치는 측(20b)이 탄성변형가능한 연결편(30)에 의해서 일체로 연결됨과 아울러, 이 연결측의 반대측에 걸어맞춤돌기부(21)를 구비한 것으로 하였다.
또, 부착구멍(H)의 구멍가장자리부에 맞닿는 걸어맞춤돌기부(21)의 맞닿음면(
21a)이, 탄성다리편(20)의 돌출방향(x)을 향하여 경사진 경사면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다.
또한, 연결편(30)에, 머리부(10)의 반대측을 향하여 돌출되며, 부착구멍(H)에 대하여 탄성다리편(20)의 삽입을 안내하는 안내돌출부(40)가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하였다.
이하, 이 발명에 관한 클립(C)의 전형적인 실시형태를, 제1도에서 제11도에 의거하여 설명하였다.
제1도는, 이 발명에 관한 클립(C)의 전형적인 실시 형태의 1개인 클립(C-1)의 전체구성 및 사용상태를 이해하기 쉽도록, 상기 클립(C-1) 및 이 클립(C-1)의 부착대상물(P)을 사시상태에서 나타내고 있다. 또, 제2도는, 클립(C-1)을 측면에서 본 상태이며, 또 제3도는, 클립(C-1)을 탄성다리편(20)의 선단(20a)측에서 머리부(10)측을 향하여 본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 제4도에서 제7도는, 클립(C-1)의 부착대상물(P)에 대한 부착과정을 이해하기 쉽도록 상기 부착대상물(P)의 부착구멍(H)에 탄성다리편(20)을 끼워넣기 직전의 클립(C-1)의 외형을 가상선으로 나타냄과 아울러, 상기 부착구멍(H)에 탄성다리편(2
0)의 선단(20a)측을 삽입하여 그 탄성다리편(20)을 휨변형시킨 상태를 상기 클립(C-1)의 측면에서 본 상태(제4도), 또 상기 탄성다리편(20)의 선단(20a)부를 횡단면의 상태(제5도) 또, 상기 부착대상물(P)의 부착구멍(H)의 타측구멍가장자리(H)에서 상기 탄성다리편(20)의 선단(20a)부가 돌출되어 상기 휨변형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다리편(
20)이 탄성복귀되어 상기 탄성다리편(20)의 걸어맞춤돌기부(21)가 이싸기 구멍가장자리(H)측에 있는 부착대상물(P)의 면에 걸어맞춰진 상태가 된 클립(C-1)을 측면에서 본 상태와(제6도), 또, 상기 탄성다리편(20)의 선단(20a)부를 횡단면의 상태로(제
7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제8도에서 제11도는, 제1도에서 제7도에 나타낸 클립(C-1)의 구성의 일부를 변형한 실시형태에 관한 클립(C-2)을 각각 나타내고 있으며, 여기서, 제8도는, 클립(C-2)의 전체구성 및 사용상태를 이해하기 쉽도록 상기 클립(C-2) 및 그 클립(C-2)의 부착대상물(P)을 사시의 상태에서 나타내고 있다. 또 제9도는, 클립(C-2)을 측면에서 본 상태이고, 또 제10도는 클립(C-2)을 탄성다리편(20)의 선단(20a)측에서 머리부(10)측을 향하여 본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제11도는, 상기 부착대상물(P)의 부착구멍(H)의 타측 구멍가장자리(H)에서 상기 탄성다리편(20)의 선단(20a)부를 돌출시켜서, 상기 탄성다리편(20)의 걸어맞춤돌기부(21)를 상기 구멍가장자리(H)측에 있는 부착대상물(P)의 면에 걸어맞춘 클립(C-2)을 측면에서 본 상태에서 나타내고 있다.
이상의 각 도면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클립(C)은, 머리부(10)와, 이 머리부(10)의 일측에서 돌출형성됨과 아울러 선단(20a)부에 외향의 걸어맞춤돌기부(21)를 구비한 복수의 탄성다리편(20,20,…),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1쌍의 탄성다리편(20,20)을 구비하여, 이 탄성다리편(20,20)을 부착구멍에 끼워넣음으로써 상기 머리부(10)가 부착구멍(H)의 일측 구멍가장자리(H')측에 있는 부착대상물(P)의 면에 걸어맞춰지고, 또한 상기 걸어맞춤돌기부(21)가 부착구멍(H)의 타측 구멍가장자리(H
)극에 있는 부착대상물(P)의 면에 걸어맞춰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탄성다리편(20,20,…)나오모든 , 그 선단(20a)측이 탄성변형가능한 연결편(30)에 의해서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클립(C)의 상기 복수의 탄성다리편(20,20,…)은, 상기 부착구멍(H)의 일측 구멍가장자리(H')에 상기 걸어맞춤돌기부(21)를 닿게하여, 상기 연결편(30) 모두를 내측으로 휘게하여 넣음으로써 상기 부착구멍(H)에 끼워넣을 수 있으며, 이 후, 상기 걸어맞춤돌기부(21)가 형성되어 있는 선단(20a)부를 상기 부착구멍(H)의 타측 구멍가장자리(H)측의 부착구멍(H)으로 돌출되는 위치에서 탄성복귀시켜서, 상기 걸어맞춤돌기부(21)를 상기 부착구멍(H)의 타측 구멍가장자리(H)측에 있는 부착대상물(P)의 면에 걸어맞출 수 있다. 이 결과, 클립(C)을 부착구멍(H)에 대하여 부착시킬 수 있으며, 또 이와 같이 부착된 클립(C)의 상기 머리부(10)와 탄성다리편(20)의 걸어맞춤돌기부(21) 사이에, 예를 들면, 특히 제6도 및 제11도에 나타낸 것처럼, 상호 연결되어 통하는 상기 부착구멍(H,H)을 각각 구비한 2개의 부재(P-1,P-2)를 끼워넣어서, 이 2개의 부재(P-1,P-2)를 조립할 수 있다.
또, 상기 복수의 탄성다리편(20,20,…)은, 이 선단(20a)측에서, 상기 연결편(30)에 의하여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이 탄성다리편(20)에 대하여 내측으로 휘어져 들어가게 하는 것과 같은 힘이 작용되더라도, 이 탄성다리편(20)이 개별로 휘어져 들어가는 경우가 없다. 따라서, 예를 들면 이 클립(C)에 의하여 끼워넣어져서 조립되어 있는 2개의 부재(P-1,P-2)중 한쪽, 혹은 양쪽이, 상기 2개의 부재(P-1,P-2)가 상호 접하는 면에 따르는 방향을 향하여 이동되는 등, 상기 탄성다리편(20)에 그 힘이 작용되는 경우라고 하더라도, 복수의 탄성다리편(20,20,…)의 일부가 내측으로 휘어들어가서 상기 걸어맞춤돌기부(21)와 상기 부착구멍(H)의 타측 구멍가장자리(H)측에 있는 부착대상물(P)의 면과의 걸림상태가 풀리는 것 자체가 생기기 어렵게 된다. 이 결과, 이 클립(C)에 의하면, 상기 2개의 부재(P-1,P-2)의 조립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이 클립(C)의 상기 복수의 탄성다리편(20,20,…)의 개별의 강성을 높게 확보하기 어려운 경우 경우 예를 들면 탄성다리편(20)을 옅은 돋을 새김으로 구성하는 요청이 있는 경우와, 클립(C) 자체를 소형으로 구성하는 요청이 있는 경우라고 하더라도, 상기 연결편(30)의 연결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탄성다리편(20,20,…)이 개별로 휘어져 들어가는 경우가 없으므로, 이러한 경우라고 하더라도 클립(C)의 부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도 및 제8도에 나타낸 것처럼, 소형화의 요청 등에 의하여, 부착구멍(H)의 지름치수 및 부착관소의 스페이스를 가급적 작게 하는 것이 요청되는 전자부품 상호간의 부착, 이 실시예에서는 기판(P'-2)에 대하여 유연성이 있는 프린트 배선판(P'-1)의 부착에 이용할 수 있도록, 이들 기판(P'-2), 프린트 배선판(P'-1)에 상호 연결되어 통하도록 개설된 직경 2mm~5mm 정도의 부착구멍(H,H)에 끼워넣을 수 있는 치수로 상기 클립(C)의 복수의 탄성다리편(20,20,…)을 구성한 경우라고 하더라도, 상기 연결편(30)의 연결에 의하여, 클립(C)의 부착상태, 나아가서 이 클립(C)에 의한 프린트 배선판(P'-1)과 기판(P'-2)의 조립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클립(C)의 상기 복수의 탄성다리편(20,20,…)은, 그 선단(20a)측에서만 상기 탄성변형가능한 연결편(30)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부착구멍(H)에 대한 이 탄성다리편(20)의 삽입에 있어서, 그 부착구멍(H)으로의 삽입력이 지나치게 커지게 되는 경우가 없어서, 이 부착구멍(H)에 대하여 원활하게 상기 탄성다리편(20)를 끼워넣을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탄성다리편(20) 및 연결편(30)에 필요한 탄성변형특성을 부여하는 관점에서, 클립(C)은 플라스틱 재료를 이용하여 알체로 성형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플라스틱 재료를 이용하여 클립(C)을 구성하는 경우에는, 사용하는 플라스틱 재료를 적당변경하는 것에 의하여, 또 상기 연결편(30)의 두꺼운 부분을 적당변경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부착구멍(H)에 대한 탄성다리편(20)의 삽입력 및 상기 연결편(30)에 의하여 연결된 복수의 탄성다리편(20,20,…)의 강성을, 필요에 따라서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클립(C)의 상기 복수의 탄성다리편(20,20,…)이, 상기 부착구멍(H)의 구멍가장자리부,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일측의 구멍가장자리(H')부에 상기 걸어맞춤돌기부(21)를 닿게 하면서, 각각 상기 부착구멍(H)의 구멍둘레가장자리를 따라서 도는 동일방향을 향하여 그 선단(20a)측을 이동시키는 상태로 상기 탄성다리편(20)을 휨변형시켜서 상기 부착구멍(H)에 끼워지는 구성으로 한 것이 본 발명의 최량의 실시 형태의 1개가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이 실시형태의 클립(C)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탄성다리편(20,20,…)은 상기 부착구멍(H)으로 삽입됨에 따라서, 상기 탄성다리편(20)을 그 탄성다리편(20)과 연결편(30)이 이루는 각 α를 줄이는 측을 향하여 휨 변형시키기 쉽고, 이 결과, 상기 부착구멍(H)에 대한 삽입력이 경감된다.
다음으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클립(C)의 탄성다리편(20)이 판형상을 이루는 1상의 탄성다리편(20,20)으로 되어 있으며, 이 1쌍의 탄성다리편(20,20)은, 적어도 일부가 서로 겹치도록 간격을 두고서 평행하게 구비되며, 또한 이 서로 겹치는 측(20b)이, 탄성변형가능한 연결편(30)에 의해서 일체로 연결됨과 아울러, 이 연결측의 반대측에 걸어맞춤돌기부(21)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 본 발명의 최량의 실시형태가 1개가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클립(C)에 의하면, 부착구멍(H)의 구멍가장자리부에 걸어맞춤돌기부(21)를 맞닿게 하면서, 상기 부착구멍(H)에 끼워넣음으로써, 상기 걸어맞춤돌기부(21)를 부착구멍(H)의 구멍둘레가장자리를 따라서 도는 동일방향을 향하여 이동시키면서 상기 탄성다리편(20)을, 그 탄성다리편(20)과 상기 연결편(30)이 이루는 각 α를 줄이는 측을 향하여 휨변형시키기 쉽게 되고, 그 결과, 상기 부착구멍(H)에 대한 삽입력이 경감된다.
다음으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클립(C)에서, 상기 부착구멍(H)의 구멍가장자리부,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일측의 구멍가장자리부(H')에 맞닿게 되는 걸어맞춤돌기부(21)의 맞닿음면(21a)이 상기 탄성다리편(20)의 돌출방향(x)을 향하여 경사면을 이룬 구성으로 한 것이 본발명의 최량의 실시형태의 1개가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클립(C)에 의하면, 부착구멍(H)에 끼워넣어짐 따라서 상기 탄성다리편(20)은 원활하게 휨변형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클립(C)의 연결편(30)에 머리부(10)의 반대측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부착구멍(H)에 대한 탄성다리편(20)의 삽입을 안내하는 안내돌출부(40)가 일체로 형성되는 구성으로 한 것이 본 발명의 최량의 실시형태의 1개가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클립(C)에 의하면, 상기 안내돌출부(40)를 부착구멍(H)에 우선 끼워넣음으로써, 이 안내돌출부(40)의 돌출방향에 돌출방향을 일치시킨 탄성다리편(20)을 상기 부착구멍(H)에 원활하게 끼워넣을 수 있다.
특히, 상기 부착구멍(H)이 비교적 작은 직경으로 구성되는 경우라고 하더라도, 그 부착구멍(H)에 우선 상기 안내돌출부(40)를 끼워넣음으로써, 상기 탄성다리편(40)을 그 부착구멍(H)내에 원활하게 끼어넣을 수 있고, 상기 부착구멍(H)에 대하여 클립(C)의 고정부착을 이룰 수 있다.
다음으로, 이 실시예에 관한 클립(C)의 전형적인 실시형태의 1개가 되는 클립(C-1)를, 제1도에서 제7도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히 제2도 및 제3도에 나타낸 것처럼, 이 실시여에 관한 클립(C)은, 대략 원반형상을 이루는 머리부(10)와, 이 머리부(10)의 일측에, 상기 머리부(10)의 대략 중앙부에서 돌출형성되는 1쌍의 탄성다리편(20,2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1쌍의 탄성다리편(20,20)은, 판상을 이룸과 아울러, 적어도 일부가 서로 겹치도록 간격을 두고, 또 서로 판면이 평행하도록, 상기 머리부(10)에서 돌출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1상의 탄성다리편(20,20)은, 이 탄성다리편(20)의 선단(20a)부에 있어서, 쌍을 이루는 다른 탄성편(20)과 서로 겹치는 측(20b)에서, 이 1쌍의 탄성다리편(20,20)의 마주향한 면이 직교하는 쪽에 구비되는 탄성변형가능한 연결편(30)에 의하여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또, 상기 1쌍의 탄성다리편(20,20)의 선단(20a)부이며, 상기 연결편(30)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는 쌍을 이루는 다른 탄성다리편(20)과 서로 겹치지 있는 측(20c)에는 각각, 외향으로 돌출된 걸어맞춤돌기부(21, 21)가 형성되어 상.
이 걸어맞춤돌기부(21)가 형성되어 있는 측의 상기 1쌍의 탄성다리편(20,20)의 외측면(20d)은, 이 실시예에서는 이 1쌍의 탄성다리편(20,20)이 끼워넣어지는 상기 부착구멍(H)의 구멍지름과 대략 동일한 직경의 가상의 원(R-2)의 원호에 가까운 호형상을 이루는 면으로 되어 있다.
한편, 상기 걸어맞춤돌기부(21)의 선단가장자리(21')는, 상기 가상의 원(R-2)과 동심을 이루고, 또한, 상기 원(R-2)보다도 직경이 큰 가상의 원(R-1)의 원호에 가까운 호형상을 이루는 가장자리로 되어 있다.
또, 상기 걸어맞춤돌기부(21)는, 이 걸어맞춤돌기부(21)측에 상기 머리부(10)와 마주하는 걸림면(21c)을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탄성다리편(20)의 선단(20a)에서 머리부(10)측을 향하여, 첨차 외부로 확장되는 형상의 경사면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경사면을 상기 부착구멍(H)의 구멍가장자리(H')에 대하여 맞닿음면(21a)으로 하고 있다. 또, 이 맞닿음면(21a)과 걸림면(21c) 사이에, 상기 탄성다리편(20)의 돌출방향(x
)에 따른 수직면(21b)을 구비하고 있다.
또, 상기 1쌍의 탄성다리편(20,20)의 상기 걸어맞춤돌기부(21)의 맞닿음면(21a)은 또, 상기 가상의 원(R-1,R-2)의 원주방향으로, 이 원주에 따르는 호형상의 면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특히 제4도 및 제5도에 나타낸 것처럼, 이 실시형태에 관한 클립(C-1)에 있어서의 상기 1쌍의 탄성다리편(20,20)은, 부착대상물(P)의 부착구멍(H)에 그 선단(20a)측부터 삽입됨으로서, 이 부착구멍(H)의 일측 구멍가장자리(H')에 상기 걸어맞춤돌기부(21)의 맞닿음면(21a)을 맞닿게 하고, 이 맞닿음면 (21a)의 상기 탄성다리편(20)의 돌출방향을 향한 상기 경사에 의하여 점차 상기 부착구멍(H)의 내측을 향하여 휨변형됨과 아울러, 이 맞닿음면(21a)의 상기 가상의 원(R-1,R-2)의 원주에 따르는 만곡에 의하여, 상기 부착구멍(H)의 구멍둘레가장자리를 따라서 도는 동일방향을 향하여 선단(20a)측을 이동시키도록, 상기 부착구멍(H)의 구멍둘레가장자리로 안내되어 휩변형된다.
이 결과, 상기 1쌍의 탄성다리편(20,20)은, 특히 제5도에 나타낸 것처럼, 상기 연결편(30)과 이루는 각 α를 줄이는 측을 향하여 휨변형되기 쉽게 되며, 따라서, 상기 부착구멍(H)에 대하여 이 1쌍의 탄성다리편(20,20)의 삽입력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 이후, 다시 상기 부착구멍(H)의 타측 구멍가장자리(H)에서 상기 1쌍의 탄성다리편(20,20)의 걸어맞춤돌기부(21)가 형성되어 있는 선단(20a)부를 외측으로 돌출시키는 위치까지, 상기 부착구멍(H)에 대하여 상기 1쌍의 탄성다리편(20,20)을 끼워넣음으로써, 상기와 같이 휨변형된 1쌍의 탄성다리편(20,20)을 탄성복귀시킬 수 있으며, 이 결과 상기 걸어맞춤돌기부(21)의 걸림면(21c)이 상기 부착구멍(H)의 타측의 구멍가장자리(H)측에 있는 부착대상물(P)의 면에 걸리게 된다.
이것에 의하여, 상기 부착대상물(P), 이 실시예에서는 상호 연결되어 통하게 되는 상기 부착구멍(H,H)을 각각 구비한 부재(P-1)과 부재(P-2)를, 상기 부착구멍(H)의 일측 구멍가장자리(H')측에 있는 부재(P-1)의 면에 걸어맞춰지는 상기 머리부(10)과, 상기 부착구멍(H)의 타측 구멍가장자리(H)측에 있는 부재(P-2)의 면에 걸어맞춰지는 상기 걸어맞춤돌기부(21) 사이에 끼워넣어서, 양부재(P-1,P-2)를 조립할 수 있다.
또,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클립(C-1)의 상기 머리부(10)는, 대략 원반형상을 이루는 이 머리부(10)의 직경방향 대략 양측 위치에, 상기 탄성다리편(20)의 돌출측을 향한 1쌍의 튀어나옴부(10a,10a) 사이에 상기 1쌍의 탄성다리편(20,20)이 위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머리부(10)는 상기 1쌍의 튀어나옴부(10a,10a)의 단면(10a')으로 상기 일측의 구멍가장자리(H')측에 있는 부재(P-1)의 면에 걸어맞춰지게 된다. 이 결과, 탄성다리편(20)의 기초부측이 약간 두껍게 되도록 상기 탄성다리편(20)의 기초부에 라운드부(20f)를 형성하여 상기 탄성다리편(20)이 적절한 강도를 가지도록 할 수 있음과 아울러, 상기 단면(10a')과 탄성다리편(20)의 걸어멎춤돌기부(21) 사이의 치수(t)에 대하여, 상기 탄성다리편(20)의 기초부에서 상기 걸림면(21c) 사이의 치수(t')가 커지게 되기 때문에, 머리부(10)의 탄성다리편(20)의 돌출형성측을 평탄하게 구성한 경우에 비하여, 상기 휨변형에 의한 탄성다리편(20) 선단(20a)측의 이동량에 대하여 상기 탄성다리편(20)의 기초부측의 변형량을 적게 설정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서도, 상기 부착구멍(H)으로의 탄성다리편(20)의 삽입력의 경감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제1도에서 제7도에 나타낸 실시형태에 관한 클립(C-1)은, 클립(C-1)이 1쌍의 탄성다리편(20,20)을 구비하는 구성의 것이었지만, 휨변형되어 부착구멍(H)에 끼워넣어짐으로써, 걸어맞춰지는 구성, 특히, 부착대상물(P)의 부착구멍(
H)의 일측 구멍가장자리(H')부에 걸어맞춤돌기부(21)를 맞닿게 하면서, 각각 상기 부착구멍(H)의 구멍둘레가장자리를 따라서 도는 동일방향으로 선단(20a)측을 이동시키는 상태로 상기 탄성다리(20)을 휨변형시켜서 상기 부착구멍(H)에 끼워지는 구성을 구비한 것이라면, 선단(20a)부에서 연결편(30)에 의하여 연결된 3개 이상의 탄성다리편(20,20,…)을 상기 머리부(10)의 일측에 형성하여, 클립(C-1)을 구성하여도 된다.
다음으로, 제8도에서 제11도에 의거하여, 상기 제1도에서 제7도에 나타낸 실시형태에 관한 클립(C-1)의 구성의 일부를 변경하여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클립(C-2)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클립(C-2)에 있어서, 상기 제1도에서 제7도에 나타낸 실시형태에 관한 클립(C-1)과 동일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부분에 관하여는, 상기 클립(C-2)을 나타내는 제8도에서 제11도에 있어서, 제1도에서 제7도에서 이용한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이 설명을 생략한다.
특히 제9도 및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 관한 클립(C-2)은, 1쌍의 탄성다리편(20,20)을 그 선단(20a)부에서 연결시키는 탄성변형가능한 연결편(30)에, 상기 탄성다리편(20)의 돌출방향에 따라서, 머리부(10)의 반대측으로 돌출되도록, 부착구멍(H)에 대한 탄성다리편(20)의 삽입을 안내하는 안내돌출부(40)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이 안내돌출부(40)는,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1쌍의 탄성다리편(20,20)의 마주보는 면 사이에 걸쳐서 폭이 가늘고 긴 판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 관한 클립(C-2)에 의하면, 상호 연결되어 통하는 부착구멍(H,H)을 각각 구비한 부착대상물(P)로서의 2개의 부재(P-1,P-2)의 상기 부착구멍(H)에 대하여, 이 부착구멍(H)의 지름보다도 그 판폭이 작게 구성되는 상기 안내돌출부(40)는 삽입되기 쉽게 되고, 또한 이 부착구멍(H)에 안내돌출부(40)를 우선 끼워넣음으로써, 이 안내돌출부(40)의 돌출방향으로 돌출방향을 구비한 탄성다리편(20)을 상기 부착구멍(H)에 원활하게 끼워 넣어서 상기 부착구멍(H)에 클립(C-2)을 고정부착시킬 수 있다.
또, 상기 2개의 부재(P-1,P-2)의 어느 쪽인가 일측의 부재의 부착구멍(H)에 대하여 우선 클립(C-2)의 탄성다리편(20)을 끼워넣은 상태에서, 상기 안내돌출부(40
)의 선단을 타측의 부재의 면에 눌러서 닿게 하면서 상기 타측의 부재에 형성된 부착구멍(H)을 찾도록 하여 상기 타측의 부재의 부착구멍(H)에 안내돌출부(40)를 끼워넣고, 이것에 계속하여 상기 타측의 부재의 부착구멍(H)에 탄성다리편(20)을 끼워넣을 수 있도록 이용할 수도 있어서, 미리 상기 2개의 부재(P-1,P-2)의 부착구멍(H,H)의 위치를 맞춰두지 않더라도, 양부재(P-1,P-2)의 고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관한 클립(C-2)에 있어서는, 상기 1쌍의 탄성다리편(20,
20)은, 상기 머리부(10)에 형성된 받침대형상의 돌출부(50)에서 일체로 돌출형성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상기 1쌍의 탄성다리편(20,20)의 선단(20a)부에 있어서 서로 겹치는 측(20b)의 외측부에는, d사기 안내돌출부(40)의 기초부를 향하여 경사진 테이퍼면(20e)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부착구멍(H)에 상기 안내돌출부(40)를 끼워넣은 후 상기 부착구멍(H)으로 탄성다리편(20)의 삽입을 한층 원활하게 할 수 있는 고안이 설비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클립은, 상기 부착구멍(H)의 일측 구멍가장자리(H')에 상기 복수의 탄성다리편(20,20,…)의 상기 걸어맞춤돌기부(21)를 닿게 하여, 상기 연결편(30
) 모두를 내측으로 휘게하여 넣어서 상기 부착구멍(H)에 끼워넣음과 아울러, 상기 걸어맞춤돌기부(21)가 형성되어 있는 선단(20a)부가 상기 부착구멍(H)의 타측 구멍가장자리(H)측에서 상기 부착구멍(H)에서 돌출된 위치에서 탄성복귀되어서, 상기 걸어맞춤돌기부(21)를 상기 부착구멍(H)의 타측 구멍가장자리(H)측에 있는 부착대상물(P)의 면에 걸어맞춤으로써, 부착대상물(P)의 부착구멍(H)에 부착할 수 있다.
또, 상기 복수의 탄성다리편(20,20,…)은, 그 선단(20a)측에서만 상기 연결편(30)에 의하여 연결되므로, 이 연결편(30)에 의한 연결에 상관없이, 상기 부착구멍(H)으로 탄성다리편(20)의 삽입에 있어서의 삽입력은 과대한 것을 되지 않는다.
또, 이처럼 상기 걸어맞춤돌기부(21)를 상기 부착구멍(H)의 타측 구멍가장자리
(H)측에 있는 부착대상물(P)의 면에 걸어맞춘 상기 복수의 탄성다리편(20,20,…)은, 이 선단(20a)측에서, 상기 연결편(30)에 의하여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다리편(20)에 대하여 내측으로 휘어져 들어가게 하는 것과 같은 힘이 작용되더라도, 상기 연결편(30)이 개별로 휘어져 들어가게 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부착대상물(P)에 대한 부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 상기 복수의 탄성다리편(20,20,…)은, 부착구멍(H)의 구멍가장자리부에 걸어맞춤돌기부(21)를 맞닿게 하면서, 각각 상기 부착구멍(H)의 구멍둘레가장자리를 따라서 도는 동일방향을 향하여 이 선단(20a)측을 이동시키는 상태로 상기 탄성다리편(2
0)을 휨변형시켜서 상기 부착구멍(H)에 끼워지는 것으로 하여, 상기 삽입에 따라서, 상기 탄성다리편(20)을, 이 탄성다리편(20)과 상기 연결편(30)이 이루는 각 α를 줄이는 측을 향하여 휘어변형시키기 쉽기 때문에, 클립(C)의 상기 부착구멍(H)에 대한 삽입력을 경감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탄성다리편(20)이 판상을 이루는 1쌍의 탄성다리편(20,20)으로 되어 있으며, 이 1쌍의 탄성다리편(20,20)은, 적어도 일부가 서로 겹치도록 간격을 두고서 평행하게 구비되며, 또한 상기 서로 겹치는 측(20b)에서, 탄성변형 가능한 연결편(30)에 의해서 일체로 연결됨과 아울러, 이 연결측의 반대측에 걸어맞춤돌기부(21)를 구비한 것으로, 부착구멍(H)의 구멍가장자리부에 걸어맞춤돌기부(21)를 부착구멍(H)의 구멍둘레가장자리를 따라서 도는 동일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탄성다리편(20)을, 이 탄성다리편(20)과 상기 연결편(30)이 이루는 각α을 줄이는 측을 향하여 휨변형시키기 쉽기 때문에, 상기 부착구멍(H)에 대한 삽입력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 부착구멍(H)의 구멍가장자리부에 맞닿게 되는 걸어맞춤돌기부(21)의 맞닿음면(21a)이, 탄성다리편(20)의 돌출방향(x)을 향하여 경사진 경사면으로 되어 있어서, 부착구멍(H)으로의 삽입에 따라서 탄성다리편(20)을 원활하게 휨변형시킬 수 있기 때문에, 부착구멍(H)에 대한 클립(C)의 부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편(30)에 상기 탄성다리편(20)의 돌출방향에 따라서 머리부(10)와 반대측으로 돌출되도록 부착구멍(H)에 대한 탄성다리편(20)의 삽입을 안내하는 안내돌출부(40)를 일체로 구비하여, 이 안내돌출부(40)를 상기 부착구멍(H)에 우선 끼워넣음으로써, 이 안내돌출부(40)의 돌출방향에 돌출방향을 일치시킨 탄성 다리편(20)을 상기 부착구멍(H)에 원활하게 끼워넣을 수 있으며, 상기 부착구멍(H)으로의 클립(C-2)의 부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Claims (3)
-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의 일측에서 돌출형성됨과 아울러 선단부에 외향의 걸어맞춤돌기부를 구비한 복수의 탄성다리편을 구비하여, 상기 탄성다리편을 부착구멍에 끼워넣음으로써, 상기 머리부가 부착구멍의 일측 구멍가장자리측에 있는 부착대상물의 면에 걸어맞춰지고, 또한 상기 걸어맞춤돌기부가 부착구멍의 타측 구멍가장자리측에 있는 부착대상물의 면에 걸어 맞춰지는 클립에 있어서, 상기 탄성다리편은 판형상을 이루는 1쌍의 탄성다리편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1쌍의 탄성다리편은, 적어도 일부가 서로 겹치도록 간격을 두고서 평행하게 구비되며, 또한 상기 서로 겹치는 측이 탄성변형가능한 연결핀에 의해서 일체로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연결측의 반대측에 걸어맞춤돌기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 제1항에 있어서, 부착구멍의 구멍가장자리부에 맞닿는 걸어맞춤돌기부와 맞닿음면이, 탄성다리편의 돌출방향을 향하여 경사진 경사면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편에, 머리부의 반대측을 향하며, 부착구멍에 대하여 탄성다리편의 삽입을 안내하는 안내돌출부가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95-212961 | 1995-07-31 | ||
JP7212961A JPH0942246A (ja) | 1995-07-31 | 1995-07-31 | クリップ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06939A KR970006939A (ko) | 1997-02-21 |
KR100225925B1 true KR100225925B1 (ko) | 1999-10-15 |
Family
ID=16631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60006265A KR100225925B1 (ko) | 1995-07-31 | 1996-03-09 | 클립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H0942246A (ko) |
KR (1) | KR100225925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21555B1 (ko) * | 2002-07-19 | 2005-10-1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에어덕트의 장착구조 |
JP6125307B2 (ja) * | 2013-04-24 | 2017-05-10 | 日本発條株式会社 | 差込み部材 |
JP5939337B1 (ja) * | 2015-05-29 | 2016-06-22 | 日本電気株式会社 | 締結部品および締結部品の形成方法 |
-
1995
- 1995-07-31 JP JP7212961A patent/JPH0942246A/ja active Pending
-
1996
- 1996-03-09 KR KR1019960006265A patent/KR10022592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H0942246A (ja) | 1997-02-10 |
KR970006939A (ko) | 1997-02-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113280A (en) | Cap for optical connector | |
KR100225925B1 (ko) | 클립 | |
KR20050004200A (ko) | 전기 커넥터 | |
JPH071308U (ja) | クリップ | |
JP6546699B2 (ja) | クリップ | |
US5264814A (en) | Electrical noise absorber | |
JP3423494B2 (ja) | 留め具 | |
KR0157352B1 (ko) | 고정구 | |
US6553634B2 (en) | Clamp for elongated member | |
US5984701A (en) | Low insertion force connector | |
JP3537929B2 (ja) | クリップの取付構造 | |
JP2003276398A (ja) | クリップ付筆記具用筒体 | |
JP3775710B2 (ja) | クリップ | |
JPH0714642Y2 (ja) | 長尺部材の取付構造 | |
JP3765344B2 (ja) | 継手装置 | |
JP2002137675A (ja) | パーツの取付装置 | |
JP3842401B2 (ja) | ホイールカバー取付用クリップ | |
JP3436188B2 (ja) | バルブソケットのパネル取付構造 | |
JPS6236349B2 (ko) | ||
JP2005225440A (ja) | バンパ取付構造 | |
JPH0719054Y2 (ja) | 埋込型照明器具の固定具 | |
JP2926559B2 (ja) | ガイドレールの取付構造 | |
JPH0734766Y2 (ja) | プロテクターの取付構造 | |
JPH0534328Y2 (ko) | ||
JPS602324Y2 (ja) | 樹脂製筒状部材の板状体への取付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B701 | Decision to gr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40331 Year of fee payment: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