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0162Y1 - 조립식 훌라후프 - Google Patents
조립식 훌라후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20162Y1 KR200220162Y1 KR2020000032970U KR20000032970U KR200220162Y1 KR 200220162 Y1 KR200220162 Y1 KR 200220162Y1 KR 2020000032970 U KR2020000032970 U KR 2020000032970U KR 20000032970 U KR20000032970 U KR 20000032970U KR 200220162 Y1 KR200220162 Y1 KR 20022016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otrusion
- receiving portion
- hula hoop
- unit
- circumferential surface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식 훌라후프에 관한 것으로, 조립 및 분해가 매우 용이하고 또한 결합되는 상태가 견고하게 되는 것이다. 특징적으로는, 일측단부의 수용부(20)와 타측단부의 삽입부(30)가 일체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동형(同形) 단위체(10)를 결합하여 링 형태가 되도록 한 것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20)는 그 내부에 돌출된 가이드 돌기(22) 및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24)를 가지며, 상기 삽입부(30)는 길이방향의 가이드홈(33)이 형성된 돌출부(32) 및 출입홈(37)이 형성된 걸림턱(36)을 가지는 한편, 상기 수용부(20)에는 그 내주면에 상기 수용부(20)의 수나사(24)에 대응하는 암나사(52)가 형성되고 끝단에서 중심을 향하여 체결편(54)이 형성된 체결캡(50)이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훌라후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호형(圓弧形)으로 이루어지는 다수개의 동형(同形) 단위체를 결합하여 훌라후프를 구성함에 있어서, 단위체간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고, 조립된 상태가 견고하여 사용시 훌라후프의 형태가 변형되거나 각 단위체가 분리될 염려가 없는 조립식 훌라후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훌라후프는 링형태의 운동기구로서, 주로 신체의 허리의 유연성을 키우는데 이용된다. 즉, 허리부분에 훌라후프를 걸친 상태에서 손으로 링의 일부를 잡아 돌리는 동시에 허리를 자연스럽게 돌리면 훌라후프는 회전속도 및 회전각도에 따라 허리 주위를 계속하여 회전하게 되고, 따라서 사용자는 계속하여 허리를 회전함으로써 허리부분의 유연성을 기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사용되는 훌라후프는 전통적으로 단일의 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는 링의 지름 이상의 공간확보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실내에보관하거나 또는 휴대하여 이동하는 경우에 많은 불편함을 야기하였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조립식 훌라후프들이 제안되어 있으며, 실용신안 출원번호 20-1999-0007656 에서 일 예의 조립식 훌라후프가 제안된 바 있다. 도 6은 상기 실용신안에서 개시된 훌라후프의 결합부위를 도시하는 것으로, 끼움부(3)의 볼스프링(2)이 수용부(4)의 고정홈(5)에 끼워져, 양측 파이프(1)가 결합되는 구조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도 6과 같은 결합구조는 단위체간의 조립이 쉬운 면은 있으나, 그 결합력이 약하여 전체의 훌라후프가 완전한 원형을 이루지 못하고 결합부위에서 꺽임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는 훌라후프의 사용시 원활한 회전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이다. 한편으로는, 끼움부(3)와 수용부(4)의 간극을 거의 없게 하거나 볼스프링(2)의 탄성을 강하게 하는 등의 방법으로 결합력을 강하게 할 수 는 있겠으나 반면에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지 않은 불편함이 예상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단위체간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결합된 상태가 견고하여 사용시 훌라후프의 형태가 변형되거나 각 단위체가 분리될 염려가 없는 조립식 훌라후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으로는, 훌라후프를 사용하여 허리의 유연성을 키우는 것은 물론 지압의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는 훌라후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훌라후프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단위체의 확대 사시도.
도 3는 각 단위체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결합 단면도.
도 5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6은 종래의 훌라후프의 결합부에 대한 일예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 훌라후프 10. 단위체
20. 수용부 22. 가이드 돌기
24. 암나사 30. 삽입부
32. 돌출부 33. 가이드 홈
35. 압착돌기 36. 걸림턱
37. 출입홈 40. 지압돌기
50. 체결캡 52. 암나사
54. 체결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일측단부의 수용부와 타측단부의 삽입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동형(同形) 단위체를 결합하여 링 형태가 되도록 한 것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그 내부에 돌출된 가이드 돌기 및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를 가지며, 상기 삽입부는 길이방향의 가이드홈과 돌기가 형성된 돌출부 및 출입홈이 형성된 걸림턱을 가지는 한편, 상기 수용부에는 그 내주면에 상기 수용부의 수나사에 대응하는 암나사가 형성되고 끝단에서 중심을 향하여 체결편이 형성된 체결캡이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단위체의 내주면을 따라 다수개의 지압돌기가 일체로 성형하되 상기 지압돌기는 큰 돌기의 정점부위에 작은 돌기를 더 형성한 이중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훌라후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훌라후프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동형 단위체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3는 각 단위체의 결합부위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결합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원호형으로 이루어지는 다수개의 동형 단위체(10)와 체결캡(5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수개의 단위체(10)가 체결캡을 매체로 결합되어 링 형상의 훌라후프(1A)가 완성된다.
상기 각각의 단위체(10)는 그 양측단부가 다른 단위체와 상호 결합되기 위한 수용부(20)와 삽입부(30)가 일체로 성형되는데, 도 2, 3에서는 수용부(20)와 삽입부(30) 및 이들의 결합수단으로서의 체결캡(50)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서, 상기 통공 형태의 수용부(20)는 그 내부에 가이드돌기(22)가 돌출 형성되고, 그 외주면에는 후술하는 체결캡(50)의 암나사(52)에 대응하는 수나사(2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삽입부(30)는 가이드홈(33)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돌출부(32)가 전방으로 돌출 성형되며, 돌출부(32)의 후방으로는 원형의 걸림턱(36)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36)에는 출입홈(37)이 적어도 1개 이상 형성되어 있는데, 이 출입홈(37)을 통하여는 후술하는 체결캡(50)의 체결편(54)이 자유롭게 출입한다. 한편 상기 돌출부(32)의 상측에 압착돌기(35)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돌출부(32)가 수용부(20)에 끼워질 때, 밀착력을 강화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상기 단위체(10)는 그 내주면을 따라 다수개의 지압돌기(40)가 일체로 성형되는데, 도 5에 의하면 상기 지압돌기(40)는 큰 돌기의 정점부위에 작은 돌기를 더 형성한 이중돌기의 형태이다.
한편. 양측단부에 상기 수용부(20)와 삽입부(30)가 일체로 형성된 단위체(10)와는 별도로 제공되는 체결캡(50)은 그 내주면에 상기 수용부(20)의 수나사(24)에 대응하는 암나사(52)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캡(50)의 끝단에는 중앙을 향하는 체결편(54)이 상기 삽입부(30) 걸림턱(36)의 출입홈(37)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훌라후프의 사용방법을 도 3, 4를 통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단위체(10)들은 수용부(20), 삽입부(30) 및 지압돌기(40)를 포함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제공되며, 상기 체결캡(50)은 단위체(10)와 별도로 제공되어 상기 수용부(20)의 외주면에 나사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의 각 단위체를 조립하기 위하여 하나의 단위체 일측단부의 수용부(20)와 다른 하나의 단위체 타측단부의 삽입부(30)를 대향시킨다.
다음, 수용부(20)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체결캡(50)의 체결편(54)이 삽입부(30) 걸림턱(36)의 출입홈(37)에 들어갈 수 있도록 체결캡(50)과 삽입부(30)의 위치를 상호 조절한다. 이 때 체결캡(50)은 수용부(20)에서 회전이 자유로우므로 위의 위치조절은 수월하게 이루어 진다.
이후에, 상기 체결편(34)을 출입홈(37)에 밀어 넣는다. 이와 동시에 상기 삽입부(30)의 돌출부(32)는 수용부(20)의 통공 내부로 밀려 들어가게 되는데, 이 때 상기 수용부(20) 내부의 가이드 돌기(22)는 삽입부(30)의 가이드홈(33) 내에 슬라이딩 안착되어 양 단위체(10)가 종국적으로 링 형태의 일부가 되도록 잡아주는 역할을 하게 되고, 상기 돌출부(32) 상측의 돌기(35)는 수용부(20)의 내측턱에 지지되어 양 단위체(10)의 간격이 벌어지지 않도록 한다. 다만 상기 돌기(35)는 양 단위체의 분리의 방지를 위한 보조수단인 것으로 양 단위체의 결합 및 분리에 방해가 되지 않을 정도의 작은 돌기이다.
마자막으로, 상기 체결캡(50)을 약간 회전(대략 1/4회전)시켜 상기 출입홈(37)을 통과한 체결캡(50)의 체결편(54)이 걸림턱(36) 내에 걸려지도록 함으로써 양 단위체가 결합되는 것이며, 타 단위체를 같은 방법으로 연속하여 결합하면 완성된 링 형태의 훌라후프(1A)가 조립되는 것이다.
이 때의 결합구조를 살펴보면, 도 4에서와 같이, 수용부(20)를 중심으로 내부에 삽입부(30)의 돌출부(32)가 끼워지고 다시, 수용부(20)의 외측에서 체결캡(50)이 결합되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결합시 결합부위가 찌그러지는 등의 변형이 발생할 염려가 없으며 결합력이 한층 강하게 되는 것이다.
완성된 훌라후프(1A)는 통상의 방법으로 신체의 허리에 걸쳐 회전시키면서 사용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단위체(10)의 내주면을 따라 다수개의 지압돌기(40)가 성형되어 있으므로 허리운동과 동시에 지압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인데, 상기 지압돌기(40)는 큰 돌기의 정점부위에 작은 돌기를 더 형성한 이중돌기의 형태이므로, 따라서 지압효과면에서 본 고안 훌라후프(1A)를 이용하는 경우에 큰 돌기에 의하여 보다 넓고 부드러운 지압효과를, 작은 돌기에 의하여 보다 좁고 강한 지압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다.
상기 훌라후프(1A)를 분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체결캡(50)을 역으로 회전시켜 다시 체결캡(50)의 체결편(54)이 삽입부(30) 걸림턱(36)의 출입홈(37)에서 빠져 나올 수 있도록 체결캡(50)과 삽입부(30)의 위치를 상호 조절하고, 체결캡(50)을 삽입부(30)로부터 분리/이탈시키면 된다. 분리 이탈된 경우에도 상기 체결캡(50)은 여전히 수용부(20)에 나사결합된 상태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훌라후프는 체결캡(50)의 회전(대략 1/4 회전)에 의하여 조작되는 단위체간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수용부(20), 삽입부(30) 및 체결캡(50)의 3중 구조에 의하여 결합되는 상태가 견고하여 조립 및 사용시 훌라후프의 형태가 변형되거나 각 단위체가 분리될 염려가 없는 효과가 있다.
또한 훌라후프를 사용하여 얻을 수 있는 지압의 효과를 넓은 범위와 좁은 범위에서 동시에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 일측단부의 수용부(20)와 타측단부의 삽입부(30)가 일체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동형(同形) 단위체(10)를 결합하여 링 형태가 되도록 한 것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20)는 그 내부에 돌출된 가이드 돌기(22) 및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24)를 가지며, 상기 삽입부(30)는 길이방향의 가이드홈(33)이 형성된 돌출부(32) 및 출입홈(37)이 형성된 걸림턱(36)을 가지는 한편, 상기 수용부(20)에는 그 내주면에 상기 수용부(20)의 수나사(24)에 대응하는 암나사(52)가 형성되고 끝단에서 중심을 향하여 체결편(54)이 형성된 체결캡(50)이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훌라후프.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체(10)는 그 내주면을 따라 다수개의 지압돌기(40)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지압돌기(40)는 큰 돌기의 정점부위에 작은 돌기를 더 형성한 이중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훌라후프.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30)의 돌출부(32) 표면에 압착돌기(35)를 형성하여 상기 삽입부(30)가 수용부(20)에 삽입될 단위체(10)간의 밀착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훌라후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32970U KR200220162Y1 (ko) | 2000-11-24 | 2000-11-24 | 조립식 훌라후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32970U KR200220162Y1 (ko) | 2000-11-24 | 2000-11-24 | 조립식 훌라후프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20162Y1 true KR200220162Y1 (ko) | 2001-04-16 |
Family
ID=73092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00032970U KR200220162Y1 (ko) | 2000-11-24 | 2000-11-24 | 조립식 훌라후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20162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99178A (ko) * | 2001-09-08 | 2001-11-09 | 박지혜 | 훌라로프 후퍼 |
KR101044886B1 (ko) | 2008-07-29 | 2011-06-28 | 김진모 | 훌라후프 |
-
2000
- 2000-11-24 KR KR2020000032970U patent/KR200220162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99178A (ko) * | 2001-09-08 | 2001-11-09 | 박지혜 | 훌라로프 후퍼 |
KR101044886B1 (ko) | 2008-07-29 | 2011-06-28 | 김진모 | 훌라후프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60102218A1 (en) | Connection member of movable type camp having good detachability | |
US6178854B1 (en) | Socket spanner provided with retaining device | |
MY126163A (en) | Damper mechanism for steering device | |
JP2001104239A (ja) | 内視鏡の湾曲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USD472643S1 (en) | Ball for back therapy | |
KR200220162Y1 (ko) | 조립식 훌라후프 | |
US6106441A (en) | Height adjustable foot anchoring wheel assembly | |
US5943923A (en) | Retaining device of socket spanner | |
USD484991S1 (en) | Frame section with dual channels | |
US6398378B1 (en) | Sanitary mirror assembly having a rotatable structure | |
US20030150082A1 (en) | Suitcase handle structure | |
KR200215577Y1 (ko) | 모자챙의 연결구 | |
KR200217153Y1 (ko) | 지압구가 결합된 훌라후프 | |
KR200229715Y1 (ko) | 훌라후프 | |
KR200187822Y1 (ko) | 훌라후프 | |
JP3548685B2 (ja) | 防水ソケット | |
KR200232788Y1 (ko) | 헤드랜턴의 구조 | |
KR200273987Y1 (ko) | 사무용 가구의 높이조절장치 | |
KR200207105Y1 (ko) | 후프 결합장치 | |
KR200228226Y1 (ko) | 체인식 훌라후프 | |
KR200200769Y1 (ko) | 집게 | |
KR200277952Y1 (ko) | 바벨 및 덤벨의 중량체 결합구조 | |
KR20020027883A (ko) | 플라우프 | |
US20020043804A1 (en) | Fixation and anti-leakage socket joint | |
WO2000021481A3 (en) | Massaging protrusion structure and hula-hoop using massaging protrusion structures having the massaging protrusion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60125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