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1194U - 탈부착이 용이한 연결구 - Google Patents

탈부착이 용이한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1194U
KR20170001194U KR2020150006365U KR20150006365U KR20170001194U KR 20170001194 U KR20170001194 U KR 20170001194U KR 2020150006365 U KR2020150006365 U KR 2020150006365U KR 20150006365 U KR20150006365 U KR 20150006365U KR 20170001194 U KR20170001194 U KR 2017000119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protrusion
loop
fish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63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승호
Original Assignee
신승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승호 filed Critical 신승호
Priority to KR20201500063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1194U/ko
Publication of KR201700011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19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 A01K91/04Connecting devices for connecting lines to hooks or l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탈부착이 용이한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YZ평면상에 배치되어 링 형상으로 형성된 제1고리(100), XZ평면상에 배치되어 링의 일부형상으로 형성된 제2고리(200), XZ평면상에 배치되어 링의 일부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고리(200)와 평행하게 밀접 배치되어 상기 제2고리(200)와 함께 링 형상을 이루는 제3고리(300), Z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고리(100) 일단과 상기 제2고리(200) 일단을 연결하는 제1연결부(410), Z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고리(100) 일단과 상기 제3고리(300) 일단을 연결하는 제2연결부(420) 및 상기 제2고리(200) 타단과 연결되어 X축 방향으로 상기 제2고리(200)의 외부를 향해 돌출되는 제1돌출부(5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용이한 연결구에 관한 것 이다.

Description

탈부착이 용이한 연결구{Easy to use connector}
본 고안은 탈부착이 용이한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낚시채비와 같은 대상물을 서로 용이하게 연결하고 대상물의 교환 시에 별도의 장비를 필요로 하지 않는 탈부착이 용이한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서로 다른 두 개의 대상물을 연결하며 각각의 움직임을 보장하기 위해서 주로 사용하는 방법은 고리와 같은 연결을 위한 연결구를 사용하는 것이다. 루어(lure)라 불리는 인조 미끼를 사용하여 대상어를 유인해 집어하는 루어 낚시(lure fishing)는 낚싯줄과 루어, 루어와 낚싯바늘과 같이 낚시채비들을 서로 연결하기 위하여 스플릿 링(split ring)이라고 알려진 연결구를 사용한다. 상기 스플릿 링은 낚시채비를 연결하는 부위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상기 스플릿 링의 형상은 주로 원형의 형태이다. 낚시채비와 같은 대상물을 서로 연결시키거나 대상물의 교환을 위해 상기 스플릿 링을 벌려 대상물의 탈부착을 하여야 하는데, 상기 스플릿 링은 낚싯바늘을 끼운다는 환경적 특성상 사용자가 맨손으로 잡아 벌릴 경우 날카로운 낚싯바늘에 부상을 입을 수 있기 때문에 스플릿 링 플라이어라고 알려진 전용 니퍼가 필요하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장비를 사용하여 상기 스플릿 링을 탈부착할 경우 사용자의 부상의 위험은 감소되나 낚시채비 교체시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루어 낚시는 상황에 따라 신속하게 루어의 교체가 이루어져야 하는데 루어의 탈부착시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경우 대상어를 놓칠 수 있다. 종래 연결구에 관한 문헌으로는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424321호 ("낚시용 고리", 2006.08.11, 이하 종래기술)에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연결구를 탈부착 하는데 장비를 사용하여야 하는 분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별도의 장비 없이도 신속하고 탈부착이 간편한 연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424321호("낚시용 고리", 2006.08.11.)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별도의 장비 없이도 탈부착이 용이한 연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가 안전하게 대상물의 연결 및 탈부착을 할 수 있는 탈부착이 용이한 연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종래에 비해 내구성이 향상된 탈부착이 용이한 연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루어 낚시용 낚시채비에 도입되어 낚시채비를 서로 연결시키는 탈부착이 용이한 연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탈부착이 용이한 연결구는, YZ평면상에 배치되어 링 형상으로 형성된 제1고리(100); XZ평면상에 배치되어 링의 일부형상으로 형성된 제2고리(200); XZ평면상에 배치되어 링의 일부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고리(200)와 평행하게 밀접 배치되어 상기 제2고리(200)와 함께 링 형상을 이루는 제3고리(300); Z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고리(100) 일단과 상기 제2고리(200) 일단을 연결하는 제1연결부(410); Z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고리(100) 일단과 상기 제3고리(300) 일단을 연결하는 제2연결부(420); 및 상기 제2고리(200) 타단과 연결되어 X축 방향으로 상기 제2고리(200)의 외부를 향해 돌출되는 제1돌출부(5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탈부착이 용이한 연결구는, 상기 제3고리(300) 타단과 연결되어 상기 제1돌출부(510)와 반대방향으로 상기 제3고리(300)의 외부를 향해 돌출되는 제2돌출부(52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고리(100), 상기 제2고리(200), 상기 제3고리(300), 상기 제1연결부(410), 상기 제2연결부(420), 상기 제1돌출부(510) 및 상기 제2돌출부(520)는 하나의 선재를 절곡시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탈부착이 용이한 연결구는, 상기 제2고리(200) 타단과 연결되어 X축 반대 방향으로 상기 제2고리(200)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는 제1돌출부(5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탈부착이 용이한 연결구는, 상기 제3고리(300) 타단과 연결되어 상기 제1돌출부(510)와 동일방향으로 상기 제3고리(300)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는 제2돌출부(5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재는, 금속부재 및 합성수지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돌출부(510) 및 제2돌출부(520)의 단부는 갈고리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돌출부(510) 및 제2돌출부(520)는 단부가 곡면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탈부착이 용이한 연결구는 루어 낚시용 낚시채비를 서로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탈부착이 용이한 연결구는 별도의 장비가 없어도 대상물을 용이하게 끼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탈부착이 용이한 연결구는 부상의 위험을 최소화하여 사용자가 안전하게 대상물을 연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탈부착이 용이한 연결구는 고탄소강의 선재로 되어 있어 내구성이 향상되어 수명이 긴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탈부착이 용이한 연결구는 루어 낚시용 낚시채비에 도입되어 상황에 따라 신속하게 낚시채비를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와 다른 낚시채비와 결합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사용 예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와 또 다른 낚시채비와 결합한 사시도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본 고안에 따른 루어 낚시용 인조 미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방향표시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수직한 3차원의 세 축인 X축, Y축 및 Z축을 도시하고 이를 참고하여 상기 구성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탈부착이 용이한 연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탈부착이 용이한 연결구는 제1고리(100), 제2고리(200), 제3고리(300), 제1연결부(410), 제2연결부(420), 제1돌출부(510) 및 제2돌출부(5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고리(100)는 YZ평면상에 배치되어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고리(100)는 선재(線材)가 절곡되어 형성되는 원형으로 낚싯줄, 도래, 봉돌, 낚싯바늘 및 루어(lure, 인조 미끼)와 같은 낚시채비가 걸어지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선재는 금속부재 및 합성수지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루어 낚시(lure fishing)에 사용되는 연결구는 낚시채비 중 가장 힘이 집중되는 부품이므로 파손이 되기 쉽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선재는 금속부재 중 인장강도가 높은 고탄소강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금속부재로 형성된 선재일 경우 바다, 민물 및 계류에 의해 상기 선재가 녹이 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선재의 외면에 코팅제를 도포할 수 있으나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된 선재는 그러하지 아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재의 외면에 크롬, 아연, 니켈 및 로지움 중 어느 하나의 것으로 도금처리를 하여 녹슴을 방지하고 강도가 약해져 파손이 되지 않게 하거나 상기 선재의 외면을 평평하게 만드는 평탁처리를 하여 상기 탈부착이 용이한 연결구에 걸려지는 낚싯줄의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다.
한편, 루어 낚시에 사용되는 연결구는 서로 잡아당겨 벌려서 대상물을 삽입 후 오므려서 원상태로의 복원이 용이하여야 하는데 연결구가 원상태로 복원이 되지 않는 경우, 낚시 도중 조류나 파도와 같은 다수의 간섭에 의해 연결구가 분리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선재를 탄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하여 한번 벌어진 틈이 다시 밀착되는 복원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선재의 두께는 약 6m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선재는 다양한 실시예에 의하여 두께, 내경(內徑), 외경(外徑), 강도 및 무게의 수치가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선재는 후술할 본 고안의 모든 구성을 이루는 재질로, 후술할 모든 구성은 상기 선재가 절곡되어 일체로 이루어진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고리(200)는 후술될 상기 제1연결부(410)에 의해 상기 제1고리(100)와 연결되며 XZ평면상에 배치되어 링의 일부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고리(200)는 상기 제1고리(100)와 달리 완전한 링의 형상이 아닌 링의 일부로 형성되며, 이는 후술할 상기 제3고리(300)도 이와 동일하다. 즉, 상기 제2고리(200)와 상기 제3고리(300)는 동축 동일 직경으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3고리(300)는 XZ평면상에 배치되며 후술될 제2연결부(420)에 의해 상기 제1고리(100)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2고리(200)와 평행하게 밀접 배치되어 상기 제2고리(200)와 함께 링 형상을 이루게 된다. 상기 제3고리(300)의 형상은 상기 제2고리(200)와 같으며 따라서 상기 제2고리(200) 및 제3고리(300)의 곡률은 서로 동일하다. 그러나 절곡되는 방향이 다르므로, 상기 제2고리(200)와 제3고리(300)는 일부가 겹쳐지도록 형성되며, 각각의 끝단은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는 탈부착이 용이한 연결구는 상기 선재를 절곡시켜 일체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므로 필요에 따라 추가로 고리를 더 형성하여 인장강도를 보다 더 높일 수 있다.
상기 제1고리(100)는 YZ평면상에, 상기 제2고리(200) 및 제3고리(300)는 XZ평면상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제1고리(100)와 상기 제2고리(200) 및 제3고리(300)가 교차되는 각도는 90도이다. 상기 제1고리(100), 제2고리(200) 및 제3고리(300)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1고리(100)와 상기 제2고리(200) 및 제3고리(300)는 비틀리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는 90도로 굴곡 되나, 이는 60도에서 90도 사이의 각도일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410) 및 제2연결부(420)는 상기 제1고리(100)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고리(100)와 수직하게 Z축 방향으로 각각 연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연결부(410)는 Z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고리(100) 일단과 상기 제2고리(200)의 일단을 연결하며, 상기 제2연결부(420)는 Z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고리(100)의 일단과 상기 제3고리(300)의 일단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도면에는 상기 제1연결부(410)와 상기 제2연결부(420)가 서로 붙어있는 것처럼 도시되어 있으나 낚시채비가 상기 제1고리(100) 또는 상기 제2고리(200) 및 제3고리(300)에 걸어지기 위하여 상기 제1연결부(410)와 상기 제2연결부(420)가 서로 일정 간격 벌어질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돌출부(510)는 상기 제2고리(200) 타단과 연결되어 X축 방향으로 상기 제2고리(200)의 외부를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돌출부(520)는 상기 제3고리(300) 타단과 연결되어 상기 제1돌출부(510)와 반대방향으로 상기 제3고리(300)의 외부를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다.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돌출부(510)는 X축 반대방향으로 상기 제2고리(200)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는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돌출부(520) 또한 상기 제1돌출부(510)와 동일방향으로 상기 제3고리(300)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돌출부(510) 및 제2돌출부(520)는 각각 상기 제2고리(200) 및 상기 제3고리(300)의 외부를 향하게 돌출되거나, 상기 제2고리(200) 및 상기 제3고리(300)의 내부를 향하게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1돌출부(510) 및 상기 제2돌출부(520)는 낚싯바늘이나 기타 삽입구가 형성된 대상물이 걸어지는 구성으로, 사용자가 손으로 상기 제1돌출부(510) 및 상기 제2돌출부(520)를 서로 잡아당겨 벌려서 대상물의 삽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갈고리 구조로 형성된다.
도 1에는 상기 제1돌출부(510)와 상기 제2돌출부(520)가 각각 도시되어 있으나 돌출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돌출부(예를 들어 상기 제1돌출부(510) 또는 상기 제2돌출부(520))로도 사용자가 대상물을 삽입하기 용이하게 벌려질 수 있으며 하나의 돌출부로만 형성될 경우 다른 돌출부는 완전한 링 형상이나 링의 일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돌출부(510)와 상기 제2돌출부(520)의 단부는 곡면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제1돌출부(510) 및 제2돌출부(520)의 단부가 곡면인 이유는 절단면을 둥글게 처리하여 낚싯줄이나 루어에 손상이 덜 가게하고 사용자가 상기 제1돌출부(510)나 제2돌출부(520)에 찔려 부상을 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덧붙여, 낚싯줄의 걸림 방지를 위하여 상기 제1돌출부(510) 와 상기 제2돌출부(520)의 단부를 사선으로 깎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X축 방향으로 돌출된 상기 제1돌출부(510)의 단부를 XZ방향으로 깎거나 XZ반대방향으로 깎아 단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탈부착이 용이한 연결구를 구성하는 상기 제1고리(100), 상기 제2고리(200), 상기 제3고리(300), 상기 제1연결부(410), 상기 제2연결부(420), 상기 제1돌출부(510) 및 상기 제2돌출부(520)는 루어 낚시용 낚시채비를 서로 연결시킬 수 있으며 하나의 선재를 절곡시켜 이루어져 별도의 장비 없이 사용자가 손으로 상기 탈부착이 용이한 연결구를 서로 잡아당겨 벌려서 대상물의 삽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탈부착이 용이한 연결구의 일실시예에 낚싯바늘을 삽입한 것으로, 상기 제2고리(200) 및 제3고리(300) 사이에 낚싯바늘이 걸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돌출부(510) 혹은 제2돌출부(520)가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2고리(200)나 제3고리(300)와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벌려지고, 그 사이로 삽입되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상태는 낚싯바늘 외에 다른 물체 즉, 루어는 끼워지지 않은 상태로, 낚시용으로 사용하려면 루어는 상기 제1고리(100)에 미리 삽입된 후, 상기 제2고리(200) 및 제3고리(300)에 낚싯바늘이 삽입되어야 한다. 루어가 상기 제1고리(100)에 삽입되기 위해서는, 상기 제1돌출부(510) 또는 상기 제2돌출부(520)를 통해 삽입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선재는 탄성이 있는 금속재질 및 합성수지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재질이므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벌려질 수 있다. 이를 이용해 상기 제2고리(200) 및 제3고리(300)에 삽입된 인조 미끼는 상기 제1고리(100)로 이동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와 다른 낚시채비와 결합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사용 예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다른 낚시채비는 일반적으로 지그헤드(jig head)라 알려진 루어 낚시용 부품으로 낚싯대를 떨어뜨려 수중에 잠기게 한 뒤 흔들어 살아있는 먹잇감처럼 보이게 하기 위하여 끊임없이 움직여야 하는 루어 낚시의 특성상 루어만을 매달아 낚시를 하면 무게가 가벼워져서 살아있는 먹잇감처럼 연출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에 무게감을 주기 위하여 봉돌을 설치하게 되는데 도면에 도시된 지그헤드는 후크(hook)와 봉돌을 하나로 결합시켜 놓은 낚시채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탈부착이 용이한 연결구를 지그헤드와 결합시켜 루어를 매달면 루어가 상하좌우의 형태로 움직여 물고기에게 살아있는 먹잇감처럼 보일 수 있도록 생동감 있는 움직임이 연출되어 조과(釣果)의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지그헤드 뿐 아니라 몸체와 낚싯바늘이 일체형으로 형성된 낚시채비인 스피너에 본 고안에 따른 탈부착이 용이한 연결구를 결합시켜 상황에 맞게 신속하게 낚싯바늘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에 따른 탈부착이 용이한 연결구는 낚시기법에 따른 낚시채비의 탈부착이 용이하여 보다 신속하게 낚시를 재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와 또 다른 낚시채비와 결합한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또 다른 낚시채비인 물고기 형상의 루어에 본 고안에 따른 탈부착이 용이한 연결구를 결합하여 별도의 장비 없이 루어에 낚싯바늘을 삽입하여 낚시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탈부착이 용이한 연결구는 고리 및 후크가 형성된 대상물이면 종류에 관계없이 대상물을 서로 연결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 제1고리
200 : 제2고리
300 : 제3고리
410 : 제1연결부
420 : 제2연결부
510 : 제1돌출부
520 : 제2돌출부
600 : 지그헤드
610 : 지그헤드 고리

Claims (8)

  1. YZ평면상에 배치되어 링 형상으로 형성된 제1고리(100);
    XZ평면상에 배치되어 링의 일부형상으로 형성된 제2고리(200);
    XZ평면상에 배치되어 링의 일부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고리(200)와 평행하게 밀접 배치되어 상기 제2고리(200)와 함께 링 형상을 이루는 제3고리(300);
    Z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고리(100) 일단과 상기 제2고리(200) 일단을 연결하는 제1연결부(410);
    Z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고리(100) 일단과 상기 제3고리(300) 일단을 연결하는 제2연결부(420); 및
    상기 제2고리(200) 타단과 연결되어 X축 방향으로 상기 제2고리(200)의 외부를 향해 돌출되는 제1돌출부(51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용이한 연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이 용이한 연결구는
    상기 제3고리(300) 타단과 연결되어 상기 제1돌출부(510)와 반대방향으로 상기 제3고리(300)의 외부를 향해 돌출되는 제2돌출부(52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고리(100), 상기 제2고리(200), 상기 제3고리(300), 상기 제1연결부(410), 상기 제2연결부(420), 상기 제1돌출부(510) 및 상기 제2돌출부(520)는 하나의 선재를 절곡시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용이한 연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이 용이한 연결구는,
    상기 제2고리(200) 타단과 연결되어 X축 반대 방향으로 상기 제2고리(200)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는 제1돌출부(5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용이한 연결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이 용이한 연결구는,
    상기 제3고리(300) 타단과 연결되어 상기 제1돌출부(510)와 동일방향으로 상기 제3고리(300)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는 제2돌출부(5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용이한 연결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재는,
    금속부재 및 합성수지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용이한 연결구.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510) 및 제2돌출부(520)의 단부는
    갈고리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용이한 연결구.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510) 및 제2돌출부(520)는 단부가 곡면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용이한 연결구.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이 용이한 연결구는,
    루어 낚시용 낚시채비를 서로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용이한 연결구.
KR2020150006365U 2015-09-24 2015-09-24 탈부착이 용이한 연결구 KR2017000119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365U KR20170001194U (ko) 2015-09-24 2015-09-24 탈부착이 용이한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365U KR20170001194U (ko) 2015-09-24 2015-09-24 탈부착이 용이한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194U true KR20170001194U (ko) 2017-04-03

Family

ID=58605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6365U KR20170001194U (ko) 2015-09-24 2015-09-24 탈부착이 용이한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1194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0722B1 (ko) * 2020-08-07 2022-01-14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터미널 태클용 연결구
KR20220000835U (ko) * 2020-10-10 2022-04-19 이석종 8자 도래
US11369098B2 (en) * 2019-03-12 2022-06-28 Globeride, Inc. Artificial bait and split ring therefo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4321B1 (ko) 2001-05-04 2004-03-30 (주)정일구조기술사사무소 철선을 구비한 건축용 슬래브의 데크 패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4321B1 (ko) 2001-05-04 2004-03-30 (주)정일구조기술사사무소 철선을 구비한 건축용 슬래브의 데크 패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69098B2 (en) * 2019-03-12 2022-06-28 Globeride, Inc. Artificial bait and split ring therefor
KR102350722B1 (ko) * 2020-08-07 2022-01-14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터미널 태클용 연결구
KR20220000835U (ko) * 2020-10-10 2022-04-19 이석종 8자 도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18784A (en) Lure with fishhook releasing device
US20150272095A1 (en) Jig head
KR20170001194U (ko) 탈부착이 용이한 연결구
US11412721B2 (en) Easy rig bait tackle
WO2005089401A2 (en) Terminal tackle including bearing for fishing line
US20110308135A1 (en) Spinner bait
US9241479B2 (en) Barbless weighted releasable fish descending hook
US11369098B2 (en) Artificial bait and split ring therefor
US20140290118A1 (en) Rattling fish hook
CA2745134A1 (en) Flexible shaft spinnerbait fishing lure assembly with v shape stabilizer
KR200464177Y1 (ko) 루어 낚시용 낚싯바늘의 웜 고정장치
JP2014007992A (ja) アシストフックおよびアシストフックを取り付けた釣り用ルアー
JP2016093105A (ja) 太刀魚用テンヤ
US20090113785A1 (en) Fish hook
US5946846A (en) Spring loaded fishing apparatus
JP3210806U (ja) ルアー
JP3228605U (ja) 釣具の連結構造
US2365414A (en) Fishing apparatus
KR20190067061A (ko) 호래기 낚시바늘
CN210008430U (zh) 一种具有套管的钓鱼机构以及水溶构件
KR20220060673A (ko) 인조미끼가 결합된 낚시채비
JP5913716B1 (ja) 複合テンヤ
US11540498B2 (en) Spinner lure
EP2926653A1 (en) Fishing pole for increasing casting power
CN213784936U (zh) 一种防脱钩渔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