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0722B1 - 터미널 태클용 연결구 - Google Patents

터미널 태클용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0722B1
KR102350722B1 KR1020210052263A KR20210052263A KR102350722B1 KR 102350722 B1 KR102350722 B1 KR 102350722B1 KR 1020210052263 A KR1020210052263 A KR 1020210052263A KR 20210052263 A KR20210052263 A KR 20210052263A KR 102350722 B1 KR102350722 B1 KR 1023507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onnection part
connecting portion
fishing
fishing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2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히토 오무라
Original Assignee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to JP2021124049A priority Critical patent/JP7144090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0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07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5/00Sinkers for angling
    • A01K95/02Devices for fixing on or removing sinkers from l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낚싯줄과 터미널 태클의 부품을 연결하는 연결구가 제공된다. 연결구는, 낚싯줄을 통과시키는 줄통과부와, 줄통과부로부터 연장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연결부는, 터미널 태클의 부품의 일 부분이 여유 간극을 가지고 삽입되는 삽입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부러져 있다. 연결부는, 삽입 공간을 한정하는 내주면과, 연결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고 삽입 공간을 향해 오목한 오목 곡면을 갖는 외주면과, 내주면과 오목 곡면의 사이에 상기 연결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소성변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터미널 태클용 연결구{CONNECTOR FOR TERMINAL TACKLE}
본 개시는 낚싯줄과 터미널 태클의 부품을 연결하는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피싱 태클(fishing tackle)은 낚시꾼이 낚시할 때 사용하는 장비를 의미한다. 피싱 태클 중, 낚싯줄의 끝에 연결되고 낚싯바늘을 구비하는 태클 조립체는, 터미널 태클(terminal tackle)로서 참조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태클 조립체는 피싱 리그(fishing rig)로서 참조될 수 있다.
터미널 태클은, 낚싯바늘, 루어(lure), 리더(leader), 낚시 추(sinker), 스위블(swivel), 스냅(snap), 스플릿 링(split ring), 비드(bead)와 같은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스위블은, 낚싯줄의 얽힘 방지를 위해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한 두개의 고리를 갖는 부품이다. 스냅은, 고리가 부착된 낚시 추 또는 루어를 낚싯줄 또는 스위블에 연결하는 부품이다. 스플릿 링은, 루어와 스위블을 연결하거나 낚시 추를 스위블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부품이다. 낚시를 행함에 있어서, 낚는 물고기의 종류나 낚는 방법에 따라서, 낚시꾼은 다양한 낚시용 부품 중 필요로 하는 부품들을 선택하고 연결하여, 터미널 태클을 구성할 수 있다.
종래의 터미널 태클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 1을 참조한다. 도 1에 도시하는 터미널 태클은 캐롤라이나 리그(carolina rig)로서 참조될 수 있다. 캐롤라이나 리그는 초보 낚싯꾼에 적합하며, 물속 바닥에서 먹이활동을 하는 배스(bass)와 같은 물고기를 낚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낚싯바늘(161)이 가짜미끼(162)에 마련되어 있으며, 가짜미끼(162)는 물고기의 종류 또는 낚시 방법에 따라 낚싯꾼에 의해 선택된다. 가짜미끼(162)는 리더(111)에 연결된다. 리더(111)는 스위블(141)에 연결되고, 스위블(141)이 낚싯 줄(10)의 끝에 연결된다. 낚시 추(120)는 낚싯줄(10)에 묶이지 않으며, 낚싯줄(10)이 관통하는 관통공을 갖는 형태를 취한다. 낚싯줄(10)은 낚시 추(120)를 통과해 이동할 수 있다. 낚시 추(120)가 물속 바닥에 안착한 후, 터미널 태클의 이동에 의해 낚싯줄(10)이 낚시 추(120)를 통과해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낚싯바늘(161)과 가짜미끼(162)는 물고기가 있는 수심이나 장소에 신속하게 보내질 수 있다. 또한, 물고기가 가짜미끼(162)을 무는 순간의 진동이, 낚싯줄(10)을 통해, 낚싯꾼의 수중에 쉽게 전달될 수 있다.
캐롤라이나 리그와 같은 터미널 태클에 있어서, 중간 관통 형태의 낚시 추(120)가 사용될 수 있다. 중간 관통 형태의 낚시 추(120)의 경우, 관통공 내의 마찰 저항이 크다. 또한, 중간 관통 형태의 낚시 추가 물속 바닥에 고정되면, 낚싯줄(10)이 관통공의 가장자리에서 마찰되어, 낚싯줄이 손상될 수 있다. 또한, 낚싯줄이 수중에서 관통공을 통과해 섬세하게 슬라이딩하지 못할 수도 있다. 낚싯줄의 섬세한 슬라이딩 이동을 위해, 낚시 추를 낚싯줄에 연결구를 사용하여 연결하는 방식이 터미널 태클에서 고려되어 왔다.
도 2는 종래의 터미널 태클의 또 하나의 예를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종 형상을 갖는 낚시 추(130)가 스플릿 링(150)과 연결구(170)에 의해 낚싯줄(10)에 연결된다. 스플릿 링(150)은 낚시 추(130)의 상단에 연결되고, 연결구(170)가 낚싯줄(10)과 스플릿 링(150)을 연결한다. 연결구(170)는 일종의 스위블로써 구성되며, 낚싯줄(10)이 연결구(170)를 관통한다. 예를 들어,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1-31863호가 도 2에 도시하는 연결구(170)와 같은 연결구를 제안한다.
연결구(170)가 낚시 추(130)를 낚싯 줄(10)에 연결하고, 낚싯줄(10)은 연결구(170)를 통과한다. 낚시 추(130)를 연결구(170)에 연결하기 위해, 스플릿 링(150)이 사용되어야만 한다. 낚시 추(130)가 물속 바닥(20)에 고정되면, 스플릿 링(150)이 낚시 추(130)에 얽히며, 지레 작용에 의해, 연결구(170)는 낚시 추(130)에 대해 고정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구가 고정되면, 마찰이 낚싯줄(10)에 가해진다. 또한, 연결구(170)는 낚싯줄(10)의 이동에 따라 회전될 수 없어, 자유로이 동작해야 하는 연결구의 효과를 상실한다.
도 3 내지 도 5는 종래의 터미널 태클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스플릿 링(150)이 낚시 추(130)의 상단에 연결되고, 연결구(180)가 낚싯줄(10)과 스플릿 링(150)을 연결한다. 연결구(180)는 스위블(181)과 연결고리(182)를 갖는다. 스위블(181)이 스플릿 링(150)에 연결되고, 연결고리(182)가 스위블(181)의 상측 고리를 클램핑한다. 예를 들어,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89-121376호가 도 3에 도시하는 연결구(180)와 같은 연결구를 제안한다.
낚시 추(130)가 물속 바닥(20)에 고정되면, 스플릿 링(150)이 낚시 추(130)에 얽히고, 연결구(180)는 낚시 추(130)에 대해 고정된다. 고정된 연결구(180)는, 낚싯줄에 손상을 줄 수 있고, 낚싯줄(10)의 이동에 따라 회전될 수 없어 연결구의 효과를 상실한다. 또한, 연결구(180)가 고정되면, 연결구(180)는 낚시 추(130)에 대해 돌출하는 돌출물로 된다. 낚싯줄(10)이 수중에서 부유함에 따라,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낚싯줄(10)은 돌출한 연결구(180)에 쉽게 얽힐 수 있다.
낚싯줄(10)이 연결구(180)에 얽힌 상태에서, 물고기가 가짜미끼를 물면, 도 3과 도 4에서 화살표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낚싯줄에 장력이 가해진다. 그러면, 낚싯줄의 장력이 연결구의 연결고리(182)에 직접적으로 가해지고, 연결고리(182)는 그 형상을 유지하지 못하고 변형된다. 낚싯줄에 장력이 계속해서 걸리면,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구(180)가 분해된다. 이에 따라, 낚시 추(130)를 물속 바닥(20)에 남겨둔 상태로 낚시가 행해질 수 있으며, 낚시 추(130)가 분실될 수 있다.
도 2와 도 3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연결구와 낚시 추를 연결하기 위해, 스플릿 링(150)이 준비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낚시꾼은 스플릿 링(150)을 연결구와 낚시 추에 각각 연결시키는 수고를 들여야만 한다. 스플릿 링(150)은, 스플릿 링 플라이어(split ring pliers)라고 하는, 전용의 플라이어에 의해 벌려지고 오므려진다. 낚시꾼은 플라이어나 펜치를 습관적으로 낚시터에 지참할 수 있지만, 스플릿 링 플라이어를 자주 지참하지 않는다. 또한, 스플릿 링은 매우 작기 때문에, 낚시꾼은 스플릿 링의 연결에 번거로움을 느낀다.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1-31863호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89-121376호
개시된 실시예들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해결한, 터미널 태클에 사용되기 위한 연결구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터미널 태클의 부품을 낚싯줄에 연결하면서 낚싯줄의 섬세한 이동을 가능하게 하며, 낚싯줄의 장력에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갖는 연결구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터미널 태클의 부품에 대해 고정됨이 없이 자유로이 회전하고 움직일 수 있는 연결구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용의 도구를 사용함이 없이 터미널 태클의 부품에 연결될 수 있는 연결구가 제공된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낚싯줄과 터미널 태클의 부품을 연결하는 연결구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는 줄통과부와 연결부를 포함한다. 줄통과부는 낚싯줄을 통과시키도록 구성된다. 연결부는 줄통과부로부터 연장한다. 연결부는, 상기 부품의 일 부분이 여유 간극을 가지고 삽입되는 삽입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부러져 있다. 연결부는, 삽입 공간을 한정하는 내주면과, 연결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고 삽입 공간을 향해 오목한 오목 곡면을 갖는 외주면과, 내주면과 오목 곡면의 사이에서 연결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소성변형부를 포함한다.
내주면은, 연결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고 삽입 공간을 향해 볼록한 볼록 곡면을 가질 수 있다.
연결부는 되꺾임부가 형성된 외주 윤곽선을 가질 수 있다.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에 의하면, 줄통과부로부터 연장하는 연결부는, 터미널 태클의 부품의 일 부분이 여유 간극을 가지고 삽입되는 삽입 공간에 통하고 상기 부품의 일 부분의 통과를 허용하는 입구 간극을 형성하도록 구부러져 있다. 연결부는, 줄통과부에 연결되는 연결단과, 입구 간극을 연결단과 함께 한정하는 선단을 포함한다. 또한, 연결부는, 삽입 공간을 한정하는 내주면과, 연결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고 삽입 공간을 향해 오목한 오목 곡면을 갖는 외주면을 포함한다. 입구 간극이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연결부는 C자형의 외주 윤곽선을 갖는다. 연결부는 선단이 연결단 또는 내주면에 접촉되어 입구 간극을 폐쇄하도록 변형가능하다.
연결부는, 내주면과 오목 곡면의 사이에서 연결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소성변형부를 포함한다.
입구 간극이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입구 간극의 거리는 0.6mm 내지 2.0mm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연결부의 선단은, 내주면에 연결되는 제1 선단면과, 제1 선단면과 외주면에 연결되고, 입구 간극이 폐쇄되는 상태에서 연결단 또는 내주면에 접촉되는 제2 선단면을 가질 수 있다. 연결부는, 연결부의 중간부에서의 제1 두께와 제1 선단면에서의 제2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2 두께는 제1 두께보다 작고 제1 두께의 30% 내지 70%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연결구를 상방에서 볼 때, 연결부는 연결부의 중간부에서의 제1 폭과 선단에서의 제2 폭을 가질 수 있다. 제2 폭은 제1 폭보다 좁고 제1 폭의 30% 내지 80%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연결구는 터미널 태클의 부품에 대해 자유로이 회전 및 동작 가능하므로, 낚싯줄의 원활한 이동을 실현하며, 터미널 태클의 부품에 고정되거나 얽히는 것을 방지한다. 일 실시예의 연결구는, 낚싯줄의 장력에 견딜 수 있는 충분한 강도와 환상(環狀)을 유지할 수 있는 내력을 갖는 연결부를 구비한다. 그러므로, 일 실시예의 연결구는, 터미널 태클의 부품을 낚싯줄에 신뢰성 높게 연결할 수 있고, 낚싯줄의 장력이 유발하는 변형으로 인해 터미널 태클의 부품이 연결부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일 실시예의 연결구에 의하면, 터미널 태클의 부품을 연결부에 연결하는 작업은, 스플릿 링 플라이어와 같은 전용의 도구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간단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터미널 태클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2는 종래의 터미널 태클의 또 하나의 예를 도시한다.
도 3은 종래의 터미널 태클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하는 터미널 태클에 있어서 장력이 낚싯줄에 의해 종래의 연결구에 가해지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3에 도시하는 터미널 태클에 있어서 연결구와 터미널 태클의 부품이 분리되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하는 연결구와 터미널 태클의 부품이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하는 연결구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6에 도시하는 연결구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6에 도시하는 연결구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XI-XI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의 연결부를 제조하는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가 터미널 태클의 부품을 낚싯줄에 연결하는 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4는 낚싯줄의 방향에서 보여지는 도 13에 도시하는 연결구와 터미널 태클을 도시한다.
도 15는 도 13의 XV-XV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연결부가 변형되기 전 상태에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하는 연결구와 터미널 태클의 부품이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6에 도시하는 연결구의 측면도이다.
도 19는 도 16에 도시하는 연결구의 평면도이다.
도 20은 도 16에 도시하는 연결구의 정면도이다.
도 21은 도 16에 도시하는 연결구의 배면도이다.
도 22는 도 16에 도시하는 연결구의 저면도이다.
도 23은 도 16에 도시하는 연결구의 측면도이며, 입구 간극의 거리와 연결부의 두께를 도시한다.
도 24는 입구 간극을 통해 낚시 추의 연결고리가 연결부로 삽입되는 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5는 연결부의 변형에 의해 입구 간극이 폐쇄되는 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6은 도 16에 도시하는 연결구의 배면도이며, 연결부의 일 부분에서의 폭을 도시한다.
도 27은 도 16에 도시하는 연결구의 평면도이며, 연결부의 일 부분에서의 폭을 도시한다.
도 28은 연결부가 입구 간극을 폐쇄하도록 변형되어 있는 일 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가 터미널 태클의 낚시 추를 낚싯줄에 연결하는 예를 도시한다.
도 30은 낚싯줄에 장력이 걸릴 때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가 낚시 추에 대해 회전하는 예를 도시한다.
도 31은 터미널 태클의 부품이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에 연결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32는 터미널 태클의 부품이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에 연결되는 또 하나의 예를 도시한다.
도 33은 터미널 태클의 부품이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에 연결되는 또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3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의 강도를 평가하는 시험의 일 예를 도시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기술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상호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또는 중요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또는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거나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기재되는 치수와 수치는 기재된 치수와 수치 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달리 특정되지 않는 한, 이러한 치수와 수치는 기재된 값 및 이것을 포함하는 동등한 범위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상방', '상' 등의 방향지시어와 '하방', '하' 등의 방향지서어는, 첨부하는 도면에서 도시되는 배향을 기준으로 한다. 실시예는 도면에 도시하는 배향과는 다른 배향으로 위치할 수도 있으며, 상방과 하방은 그에 맞추어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는, 낚싯줄과 터미널 태클의 부품을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한다. 터미널 태클의 부품은 연결구에 여유를 갖는 연결 형태로 연결되며, 연결구는 낚싯줄에 여유를 갖는 연결 형태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연결구는, 터미널 태클의 부품에 대하여 낚싯줄의 이동에 수반하여 자유로이 움직이고 회전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하는 연결구와 터미널 태클의 부품이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각각, 도 6에 도시하는 연결구의 측면도, 평면도 및 정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XI-XI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1000)는, 낚싯줄(10)의 끝에 부착되는 터미널 태클(terminal tackle)의 부품을 낚싯줄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된다. 일 예로, 연결구(1000)는, 터미널 태클의 부품 중 하나인 낚시 추(130)를 낚싯줄(10)에 연결하도록 사용될 수 있지만, 연결구(1000)에 의해 연결되는 터미널 태클의 부품이 낚시 추(130)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연결구(1000)는 낚싯줄(10)과 낚시 추(130)를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하는 낚시 추(130)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벨 싱커(bell sinker)로서 참조될 수 있다. 낚시 추(130)는, 종의 형상을 갖는 바디부(131)와, 바디부(131)의 상단에 마련되어 있는 연결고리(132)를 가질 수 있다. 바디부(131)는 금속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고리(132)는 U자형을 가지며, 금속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낚시 추(130)는 연결구(1000)에 여유를 갖는 연결 형태로 연결될 수 있고, 낚싯줄(10)은 연결구(1000)를 통해 자유로이 슬라이딩할 수 있다. 연결구(1000)가 낚시 추(130)를 낚싯줄(10)에 연결시킨 상태에서, 연결구(1000)를 통과하는 낚싯줄의 이동에 따라, 연결구(1000)는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연결구(1000)는, 낚시 추를 낚싯줄에 연결한 상태에서, 낚싯바늘과 가짜미끼가 구비된 터미널 태클의 이동에 따라, 터미널 태클의 이동 방향으로 회전하거나 상기 이동 방향에 대해 비스듬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낚시 추가(130)가 고정되는 경우, 연결구(1000)는 낚시 추(130)에 얽히지 않는다.
연결구(1000)는, 낚싯줄(10)을 통과시키도록 구성되는 줄통과부(1100)와, 줄통과부(1100)로부터 연장하고 터미널 태클의 부품(예컨대, 낚시 추(130))의 일 부분이 걸리도록 구성되는 연결부(1200)를 포함한다. 줄통과부(1100)의 일 부분 또는 전체는 금속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부(1200)는 줄통과부(1100)와 동일한 금속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낚시 추(130)의 일 부분이 연결부(1200)에 걸리도록, 연결부(1200)는 줄통과부(1100)로부터 구부러져 연장한다.
연결구(1000)는 줄통과부(1100)를 통해 낚싯줄(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낚싯줄(10)에 연결된다. 줄통과부(1100)와 낚싯줄(10)은 여유를 갖는 연결 형태로 연결된다. 줄통과부(1100)는, 낚싯줄(10)이 줄통과부의 내측 개구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통과하도록 낚싯줄(10)에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줄통과부(1100)는, 낚싯줄을 통과시키도록 형성되고 낚싯줄과 슬라이드 접촉하는 줄통과링(1110)과, 줄통과링(1110)을 유지하는 링 유지부(1120)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줄통과부(1100)는, 낚싯줄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통과하는 개구를 갖는 하나의 부재로 구성될 수도 있다.
줄통과링(1110)은 그 내주면에서 낚싯줄(1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접촉한다. 링 유지부(1120)는 줄통과링(1110)을 둘러싸도록 환상으로 형성된다. 줄통과링(1110)의 외주면을 링 유지부(1120)의 내주면에 끼워맞춤으로써, 줄통과링(1110)이 링 유지부(1120)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줄통과링(1110)은 세라막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링 유지부(1120)는 금속제의 판재를 드로잉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연결구(1000)는 연결부(1200)에 의해 낚시 추(130)를 줄통과부(1100)에 연결한다. 낚시 추(130)는 연결고리(132)가 연결부(1200)에 걸리도록 연결구(1000)에 연결될 수 있다. 낚시 추(130)가 연결구(1000)에 연결되고 연결구(1000)가 낚싯줄(10)에 연결된 상태에서, 낚시 추(130)는 연결부(1200)에 매달리는 형태로 낚싯줄(10)에 연결될 수 있다.
줄통과부(1100)로부터 연장하는 연결부(1200)는 띠 형상을 갖는다. 연결부(1200)는 줄통과부(1100)를 향하도록 구부러져 있다. 연결부(1200)의 구부러진 형상은, O자형과 같은 환상을 취할 수 있다. 낚시 추(130)의 연결고리(132)(터미널 태클의 부품의 일 부분)가 연결부(1200)에 여유를 갖는 연결 형태로 삽입되도록, 낚시 추(130)가 연결부(1200)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여유를 갖는 연결'은, 연결고리(132)와 연결부(1200)의 상대적인 움직임 또는 회전을 방해하지 않는 여유 간극이 연결고리(132)와 연결부(1200)의 사이에 형성되는 연결 형태를 의미한다. 그러므로, 연결부(1200)는, 터미널 태클의 부품의 일 부분(예컨대, 낚시 추의 연결고리(132))이 여유 간극을 가지고 삽입되는 삽입 공간(1311)을, 그 구부러진 형상의 내측에 형성하도록 구부러져 있다. 상기 여유 간극은, 삽입 공간(1311)을 한정하는 표면과 연결고리(132)의 표면의 사이의 간극이다.
연결부(1200)는, 줄통과부(1100)와 일체로, 상세하게는 줄통과부의 링 유지부(112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1200)는 연결단(1210)과 선단(1220)을 포함한다. 연결단(1210)은, 줄통과부(1100)에 연결되는 연결부(1200)의 끝이다. 선단(1220)은 연결부(1200)의 연장 방향(ED)(도 6 참조)에서 연결단(1210)의 반대측에 위치한다. 선단(1220)은 링 유지부(1120)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선단(1220)은, 연결부(1200)의 구부러진 형상으로 인해, 연결단(1210)을 향한다. 따라서, 연결부(1200)의 구부러진 형상의 내측에, 낚시 추의 연결고리(132)가 여유 간극을 가지고 삽입되는 삽입 공간(1311)이 형성된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낚시 추(130)가 연결부(1200)에 연결된 상태에서, 낚시 추의 연결고리(132)가 삽입 공간(1311)을 관통하면서 연결부(1200)에 삽입되어 있고, 연결부(1200)는 연결고리(132)와 바디부(131)의 상면의 사이를 통과한다. 따라서, 낚시 추(130)는 여유를 갖는 연결 형태로 연결부(1200)에 연결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하는 굵은 화살표는, 낚시 추(130)가 연결구(1000)에 연결된 상태에서, 연결구(1000)가 회전하는 방향의 예를 가리킨다.
낚시 추(130)가 연결구(1000)에 연결되기 전에, 연결부(1200)의 삽입 공간(1311)에 연결고리(132)의 삽입을 허용하도록, 연결단(1210)과 선단(1220)은 입구 간극을 두고 분리되어 있다. 상기 입구 간극은 삽입 공간(1311)에 통하며, 연결고리(132)의 통과를 허용한다. 연결고리(132)가 삽입 공간(1311)에 삽입된 후, 연결부(1200)는 상기 입구 간극을 폐쇄하도록 구부림에 의해 변형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는, 상기 입구 간극을 폐쇄하도록 연결부(1200)가 구부러져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상기 입구 간극이 폐쇄되는 상태에서, 연결부(1200)는 대략 O자형과 같은 환상을 취할 수 있다.
연결부(1200)는 내주면(1230)과 외주면(1240)을 포함한다. 내주면(1230)은, O자형과 같이 환상으로 구부러진 연결부에서, 연결부의 내측반경방향으로 위치하는 표면이다. 외주면(1240)은 구부러진 연결부에서, 연결부의 외측반경방향으로 위치하는 표면이다. 또한, 연결부(1200)는, 내주면(1230)과 외주면(1240)의 사이에서 연결단(1210)으로부터 선단(1220)까지 연결부의 연장 방향(ED)을 따라 연장하는 한 쌍의 측주면(1250)을 포함한다.
구부러진 연결부에서, 연결부의 내측반경방향으로 위치하는 내주면(1230)이, 삽입 공간(1311)을 한정한다. 연결고리(132)가 삽입 공간(1311)에 삽입되고 연결부(1200)가 상기 입구 간극을 폐쇄하도록 구부림에 의해 변형된 상태에서, 연결부(1200)는 선단(1220)이 연결단(1210)에 또는 연결단의 부근에서 내주면(1230)에 접촉되도록 구부러져 있다. 내주면(1230)은 연결고리(132)의 표면에 접촉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내주면(1230)은 볼록 곡면(1231)을 갖는다. 도 8과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볼록 곡면(1231)은, 연결단(1210)으로부터 선단(1220)까지 연결부의 연장 방향(ED)을 따라 형성된다. 또한, 볼록 곡면(1231)은 삽입 공간(1311)을 향해 볼록하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볼록 곡면(1231)의 전체가 내주면(1230)을 형성할 수 있다. 볼록 곡면(1231)의 가장자리가 측주면(1250)에 연결되며, 연결부(1200)의 가장자리가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부의 선단(1220)은, 대략 직각으로 연결되는 두개의 선단면을 가질 수 있다. 도 8과 도 9를 참조하면, 선단(1220)은 대략 직각으로 연결된 제1 선단면(1221)과 제2 선단면(1222)을 가질 수 있다. 제1 선단면(1221)은 내주면(1230)에 연결된다. 제2 선단면(1222)은 제1 선단면(1221)과 외주면(1240)에 연결된다. 연결부(1200)가 상기 입구 간극을 폐쇄하도록 변형된 상태에서, 제2 선단면(1222)이 연결단(1210)에 또는 연결단(1210)의 부근에서 내주면(1230)에 접촉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선단면을 갖는 연결부의 선단(1220)은 연결부의 연결단(1210)보다 좁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측주면(1250)은, 상기 제1 및 제2 선단면에 연결되고 연결부의 내측으로 기울어진 한 쌍의 경사면(1251)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외주면(1240)은 삽입 공간(1311)을 향해 오목한 오목 곡면(1241)을 갖는다. 도 6과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목 곡면(1241)은 연결부(1200)의 연장 방향(ED)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일 예로, 오목 곡면(1241)은 연결단(1210)으로부터 선단(1220)까지 연결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서 외주면(1240)에 형성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목 곡면(1241)은 외주면(1240)의 중앙에 위치하며, 오목 곡면(1241)을 제외한 외주면(1240)의 부분에 대해 연결부(1200)의 내측으로 함몰된 형상을 취한다. 따라서, 오목 곡면(1241)은, 외주면(1240)의 중앙에 위치하고 외주면(1240)을 따라서 형성되며 둥근 단면 형상을 갖는 오목 홈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주면(1240)은, 오목 곡면(1241)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결단(1210)으로부터 선단(1220)까지 각각 연장하는 한 쌍의 평탄면(1242)을 갖는다. 각 평탄면(1242)은 오목 곡면(1241)의 가장자리를 따라 오목 곡면(1241)에 연결되어 있다. 오목 곡면(1241)은 한 쌍의 평탄면(1242)의 사이에 위치한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를 측방에서 볼 때, 연결부(1200)는 대략 O자형과 같은 환상으로 구부러져 있다. 따라서, 연결구를 측방에서 볼 때, 연결부(1200)는, 최외측에 나타나고 만곡되어 있는 외주 윤곽선(1243)을 갖는다. 연결부(1200)가 상기 입구 간극을 폐쇄하기 위해 구부림에 의해 변형될 때, 연결부(1200)의 중간부(1260)의 상측 부분이 중간부(1260)의 하측 부분에 대해 절곡될 수 있으며, 중간부(1260)에 절곡되는 부분이 형성된다. 또한, 절곡되는 중간부(1260)에 대응하는 외주 윤곽선(1243)의 일 부분에는, 되꺾임부(1244)가 형성된다. 외주 윤곽선(1243)은 되꺾임부(1244)에서 절곡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되꺾임부(1244)는, 좁은 폭을 갖고 급격히 구부러진 형상으로서 외주면(1240)에 나타날 수 있다.
오목 곡면(1241)이 형성된 외주면(1240)을 갖는 연결부(1200)는, 연결부의 환상을 변형시키는 외력에 저항하는 강한 강도를 가진다. 외주면의 오목 곡면(1241)은, 오목 곡면이 형성되지 않은 연결부를 압착하여 연결부를 소성변형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의 소성변형된 부분은 가공경화를 일으킬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에 있어서, 오목 곡면(1241)은, 소성변형된 연결부에서 외주면의 일 부분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1200)는 그 내부에, 오목 곡면(1241)을 따라서 배치되는 소성변형부(1270)를 가질 수 있다. 즉, 연결부(1200)는, 압착 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오목 곡면(1241)과 소성변형부(1270)를 갖는다. 소성변형부(1270)는, 연결부의 두께 방향(TD)에서 오목 곡면(1241)과 볼록 곡면(1231)의 사이에 위치하며, 오목 곡면(1241)에 접하는 상태로 연결부의 연장 방향(ED)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소성변형부(1270)는 연결부의 연결단으로부터 선단까지 오목 곡면(1241)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소성변형부(1270)는, 연결부(1200)에 오목 곡면(1241)이 형성되도록 연결부를 압착하고, 압착되는 연결부의 일부분을 소성변형시키고 가공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오목 곡면(1241)과 소성변형부(1270)를 갖는 연결부(1200)는, 연결부의 구부러진 형상(즉, 도 8에 도시하는 O자형의 환상)을 변형시키는 외력에 저항하는 강한 강도를 갖는다. 오목 곡면(1241)과 소성변형부(1270)가 연결부(1200)의 연장 방향을 따라 형성되므로, 연결부(1200)는 연결부(1200)의 환상을 개방시키는 외력(즉, 연결부의 환상을 펴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에 대해 강한 내력을 가진다. 따라서, 낚싯줄에 의해 장력이 연결부(1200)에 연결부의 환상을 펴는 방향으로 가해지더라도, 연결부(1200)는 환상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터미널 태클의 부품은, 연결부(1200)로부터 분리됨이 없이, 연결부(1200)에 걸린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오목 곡면(1241)은 프레스 가공에 의해, 상세하게는 소재를 두께 방향에서 압착하는 압착 가공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착 가공은, 탄성 한도를 초과하는 압축력을 소재에 인가하고, 압축력의 제거 시에 소재를 원래의 형상이 아닌 소성 변형된 형상으로 유지시킴과 함께 소성 변형된 부분을 가공경화시키는, 소성 가공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외주면의 오목 곡면(1241)과 내주면의 볼록 곡면(1231)은 상기한 압착 가공에 의해 동시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를 제조하는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전술한 오목 곡면을 가공하기 전 상태에 있으며 금속 재료로 이루어진 연결부(1200A)가 준비된다. 오목 곡면을 가공하기 전의 연결부(1200A)는, 전술한 줄통과부의 링 유지부를 형성하기 위한 판재에 연결된 상태에 있을 수 있다. 가공 전의 연결부(1200A)는 판재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연결부(1200A)가 프레스의 다이(210) 내에 배치되고, 프레스 펀치(220)가 연결부(1200A)를 다이(210) 측으로 연결부(1200A)의 두께 방향(TD)에서 압착한다. 그에 따라, 연결부(1200A)의 상면(1240A)에는, 프레스 펀치(220)의 단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오목 곡면(1241)이 형성된다. 또한, 연결부(1200A)의 하면(1230A)은 다이(210)의 상면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변형되어, 볼록 곡면(1231)을 갖도록 형성된다. 오목 곡면(1241)이 형성된 상면(1240A)이 연결부의 전술한 외주면으로 되고, 볼록 곡면(1231)이 형성된 하면(1230A)이 연결부의 전술한 내주면으로 된다. 오목 곡면(1241)과 볼록 곡면(1231)이 형성된 연결부(1200)는, 삽입 공간을 형성하도록 벤딩에 의해 가공될 수 있다.
연결부(1200A)를 그 두께 방향(TD)으로 압착함에 따라, 프레스 펀치(220)가 연결부(1200A)를 다이(210) 측으로 누르고, 프레스 펀치(220)와 다이(210)의 사이에 위치하는 연결부(1200A)의 일 부분을 소성 변형시키고 가공 경화시킨다. 이에 따라, 연결부(1200A)의 상면(1240A)에, 프레스 펀치(220)의 단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오목 곡면(1241)이 압착 가공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오목 곡면(1241)이 형성되는 동시에, 연결부(1200A)의 내부에는 오목 곡면(1241)의 바로 아래와 하면(1230A)의 사이에 위치하는 영역(WH)이 소성변형되고 가공경화된다. 영역(WH)은 연결부(1200A)가 프레스 펀치(220)에 의해 소성변형되는 범위를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영역(WH)이 다이(210)와 프레스 펀치(220)의 사이에서 프레스 펀치(220)의 가압력에 의해 압착된다. 압착에 의해 소성변형되고 가공경화되는 영역(WH)이 연결부의 전술한 소성변형부(1270)로 형성된다. 따라서, 소성변형부(1270)는, 소성변형부를 제외한 연결부의 부분의 항복응력(yield stress) 및 밀도보다 높은 항복응력 및 밀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오목 곡면(1241)과 소성변형부(1270)의 중앙에서 연결부(1200)의 두께가 가장 작을 수 있다.
오목 곡면(1241)을 포함하는 연결부(1200)의 일 부분(1281)에는, 오목 곡면(1241)을 따라서 소성변형부(1270)가 형성된다. 소성변형부(1270)는 연결부(1200)의 타 부분(1282)의 항복응력 및 밀도보다 높은 항복응력 및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즉, 오목 곡면(1241)과 소성변형부(1270)를 포함하는 연결부(1200)의 일 부분(1281)은, 소성변형부(1270)를 제외한 연결부의 타 부분(1282)에 비해, 높은 항복응력 및 높은 밀도를 가질 수 있다.
판재 형상의 연결부를 두께 방향(TD)으로 압착하고 압착되는 연결부의 일 부분을 소성변형시키고 가공경화시킴으로써, 외주면에 오목 곡면(1241)이 형성되고 연결부의 내부에 소성변형부(1270)가 형성된다. 따라서, 연결부를 그 두께 방향으로 압착하고 가공경화시킨 상태에서, 오목 곡면(1241)은 외주면(1240)의 일 부분이고, 소성변형부(1270)는 오곡 곡면(1241)에 접하는 연결부의 내부의 일 부분이다.
전술한 압착 가공에 의해, 연결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결부에 오목 곡면(1241)과 소성변형부(1270)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연결부는 그 연장 방향에서 향상된 강도를 가지며, 연결부의 환상을 펴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에 저항하는 강한 내력을 갖는다.
연결부의 일부분을 소성변형시키고 가공경화시키기 위해 오목 곡면(1241)을 형성하는 상기 압착 가공은, 연결부의 연결단으로부터 선단까지 행해질 수 있다. 소성 가공인 압착 가공에 의해, 연결부에 오목 곡면(1241)을 형성하고 오목 곡면(1241)이 가공되는 표면을 따라 연결부의 내부에 소성변형과 가공경화가 일어난다. 따라서, 전술한 압착 가공은, 연결부(1200)가 환상을 유지하도록 연결부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적절한 가공일 수 있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가 터미널 태클의 부품을 낚싯줄에 연결하는 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4는 낚싯줄의 방향에서 보여지는 도 13에 도시하는 연결구와 터미널 태클을 도시한다. 도 15는 도 13의 XV-XV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연결부(1200)와 낚시 추(130)는, 낚시 추(130)가 여유 간극을 가지고 삽입 공간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도 13과 도 14에서 굵은 화살표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부(1200)는 낚싯줄(10)의 이동에 의해, 낚시 추(130)에 대해 자유로이 회전될 수 있다. 또한,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주면의 볼록 곡면(1231)은, 낚시 추의 연결고리(132)의 만곡된 형상과 서로 겹칠 수 있다. 따라서, 볼록 곡면(1231)의 가장자리가 연결고리(132)를 파고들지 않으며, 연결구(1000)는 낚시 추(130)에 대하여 매끄럽게 회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의 연결구(1000)에 의하면, 터미널 태클의 부품은 연결부에 여유를 갖는 연결 형태로 연결되고, 연결부의 가장자리가 상기 부품의 일 부분에 파고들지 않으므로, 연결구는 낚싯줄의 움직임에 수반하여 자유로이 움직이고 회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에서는, 낚시 추(130)가 연결부에 임시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연결부를 구부림에 의해 변형시킴으로써, 낚시 추(130)가 연결부에 여유를 갖는 연결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6은 연결부가 변형되기 전 상태에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하는 연결구와 터미널 태클의 부품이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6과 도 17을 참조하여, 연결부가 변형되기 전 상태에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를 설명한다.
터미널 태클의 부품(예컨대, 낚시 추(130))을 연결구에 임시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입구 간극(1312)이 연결단(1210)과 선단(1220)의 사이에 마련된다. 서로 이격된 연결단(1210)과 선단(1220)이 입구 간극(1312)을 한정한다. 또한, 상기 부품의 일 부분(예컨대, 낚시 추의 연결고리(132))이 여유 간극을 가지고 삽입되는 삽입 공간(1311)이 입구 간극(1312)에 통한다. 입구 간극(1312)은 연결고리(132)의 통과를 허용한다. 즉, 일 실시예의 연결구는, 연결부(1200)가 구부림에 의해 변형되기 전에, 연결고리(132)가 삽입되는 삽입 공간(1311)을 갖도록, 또한, 연결단(1210)과 선단(1220)의 사이에 입구 간극(1312)을 갖도록, 구성된다. 연결부(1200)는 입구 간극(1312)을 폐쇄하도록 변형 가능하다. 입구 간극(1312)이 폐쇄되면, 선단(1220)이 연결단(1210)에 또는 내주면(1230)에 접촉될 수 있다.
낚시 추의 연결고리(132)가 입구 간극(1312)을 통해, 삽입 공간(1311)으로 삽입된다. 그 후, 연결부(1200)를 구부림에 의해 변형시킴으로써, 입구 간극(1312)이 폐쇄되고, 낚시 추(130)는 연결구의 연결부(1200)에 여유를 갖는 연결 형태로 연결된다(도 7 참조). 또한, 입구 간극(1312)이 폐쇄되면, 선단(1220)이 연결단(1210)에 또는 연결단(1210)의 부근에서 내주면(1230)에 접촉된다. 입구 간극(1312)의 폐쇄를 위한 연결부의 변형은, 일반적인 플라이어 또는 펜치로 연결부(1200)를 집고 연결부(1200)를 구부림에 의해 변형시킴으로써 행해질 수 있다. 전술한 연결구의 연결 구조에 의해, 낚시 추(130)는, 스플릿 링 플라이어(split ring pliers)라고 하는 전용의 공구를 이용함이 없이, 연결구(1000)에 연결될 수 있다. 낚시 추(130)가 스플릿 링(split ring)을 사용하지 않고 연결구(1000)에 연결될 수 있으므로, 연결구가 얽힘에 의해 고정상태로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낚싯줄은, 연결구(1000)의 줄통과링(1110)을 통과하면서 원활하게 슬라이드할 수 있으므로, 낚싯줄이 섬세하게 연결구의 줄통과링(1110)을 따라 움직일수 있고, 이에 따라 터미널 태클이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다.
도 18 내지 도 22는 각각, 도 16에 도시하는 연결구의 측면도, 평면도, 정면도, 배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16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연결부가 변형되기 전 상태에 있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를 설명한다.
연결부(1200)의 외주면(1240)에는 오목 곡면(1241)이 형성되어 있고, 연결부의 내주면(1230)에는 볼록 곡면(1231)이 형성되어 있다.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구를 측방에서 볼 때, 연결부(1200)는, 최외측에 나타나고 만곡되어 있는 외주 윤곽선(1243)을 갖는다. 연결부를 구부림에 의해 변형시키기 전에 입구 간극(1312)이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연결부의 외주 윤곽선(1243)은 대략 C자형이다. 연결부를 변형시키기 전에, 도 8에 도시하는 되꺾임부는 연결부의 외주 윤곽선(1243)에 형성되지 않는다.
도 23은 도 16에 도시하는 연결구의 측면도이며, 입구 간극의 거리(GD)와 연결부의 두께(T1)를 도시한다. 도 24는 입구 간극(1312)을 통해 낚시 추의 연결고리(132)가 연결부(1200)로 삽입되는 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5는 연결부의 변형에 의해 입구 간극이 폐쇄되는 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3 내지 도 25를 참조하여, 낚시 추의 연결고리가 입구 간극을 통해 연결부로 삽입되고 연결부가 구부림에 의해 변형되는 예를 설명한다.
도 23을 참조하면, 연결구(1000)를 측방에서 볼 때, 입구 간극(1312)이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입구 간극(1312)의 거리(GD)는 0.6mm 내지 2.0mm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일 예로, 낚시 추(130)의 연결고리(132)의 직경(DL)은 0.6mm일 수 있다. 입구 간극(1312)의 거리(GD)가 0.6mm 이상이면, 낚시 추의 연결고리(132)가 입구 간극(1312)을 통해 삽입 공간(1311)으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입구 간극(1312)의 거리(GD)가 2.0mm 이하이면, 입구 간극(1312)을 폐쇄하도록 연결부(1200)가 구부림에 의해 변형될 때, 연결부(1200)는 그 형상에서의 무너짐 없이 O자형과 같은 환상을 형성할 수 있다.
도 25를 참조하면, 연결고리(132)가 삽입 공간(13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일반적인 플라이어(190)를 사용해 연결부(1200)를 집고, 입구 간극(1312)이 폐쇄되도록 연결부(1200)를 변형시킨다. 연결부의 변형에 따라, 선단(1220)의 제2 선단면(1222)이 연결단(1210)에 또는 연결단(1210)의 부근에서 내주면(1230)에 접촉되고, 입구 간극(1312)이 폐쇄된다. 그러므로, 연결부(1200)와 낚시 추(130)는, 연결고리(132)가 여유 간극(1313)을 가지고 삽입 공간(1311)에 삽입되는 상태로, 즉, 여유를 갖는 연결 형태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입구 간극의 폐쇄를 위해 연결부(1200)가 변형되는 도중, 플라이어(190)에 의해 가해지는 힘에 의해, 연결부의 중간부(1260)에 절곡 부분이 형성되고, 연결부의 외주 윤곽선(1243)에는 되꺾임부(1244)가 형성된다.
일 실시예의 연결구는, 연결부가 다른 두께를 갖도록 구성된다. 연결구를 측방에서 본 도 2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는, 선단(1220)에서의 연결부의 두께가 중간부(1260)에서의 연결부의 두께보다 작도록 구성된다.
연결부의 선단(1220)은, 내주면에 연결되는 제1 선단면(1221)과, 제1 선단면(1221)과 외주면(1240)에 연결되고 연결단(1210)에 또는 내주면(1230)접촉되는 제2 선단면(1222)을 갖는다. 연결구를 측방에서 볼 때, 연결부(1200)는 중간부(1260)에서의 제1 두께(T1)와, 제1 선단면(1221)에서의 제2 두께(T2)를 가질 수 있다. 제1 두께(T1)와 제2 두께(T2)는, 줄통과부(1100)에 평행한 방향에서의 연결부의 일 부분의 양단 간의 거리로 정의될 수 있다. 제2 두께(T2)는 제1 두께(T1)보다 작다. 또한, 제2 두께(T2)는 제1 두께(T1)의 30% 내지 70%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연결구에 있어서, 선단(1220)이 제1 선단면(1221)과 제2 선단면(1222)을 갖고, 제2 선단면(1222)에서의 제2 두께(T2)가 중간부(1260)에서의 제1 두께(T1)의 30% 내지 70%의 범위 내에 있도록, 선단을 형성하는 연결부의 부분이 찌부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부(1200)가 변형되면, 선단(1220)의 제2 선단면(1222)이 연결단(1210)에 또는 연결단(1210)의 부근에서 내주면(1230)에 넓은 표면을 통해 압박되고 접촉된다. 즉, 연결부(1200)는, 선단(1220)의 제2 선단면(1222)이 연결단(1210)의 표면 또는 내주면(1230)의 표면에 접촉한 상태로, 입구 간극을 폐쇄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폐쇄된 연결부(1200)는 그 구부러진 환상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는, 선단에서의 연결부의 폭이 중간부 또는 연결단에서의 연결부의 폭보다 좁도록 구성된다. 도 26과 도 27은 각각, 도 16에 도시하는 연결구의 배면도 및 평면도이며, 연결부의 일 부분에서의 폭을 도시한다.
연결구를 상방에서 본 도 27을 참조하면, 연결부(1200)는 중간부(1260)에서의 제1 폭(W1)과 선단(1220)에서의 제2 폭(W2)을 갖는다. 제1 폭(W1)은 연결부의 연결단(1210)에서의 폭과 동일할 수 있다. 제2 폭(W2)은 선단(1220)의 제2 선단면(1222)에서의 폭에 해당할 수 있다. 제1 폭(W1)과 제2 폭(W2)은, 연결부의 폭 방향(WD)에서의 양단 간의 거리로 정의될 수 있다. 제2 폭(W2)은 제1 폭(W1)보다 좁다. 제2 폭(W2)은 제1 폭(W1)의 30% 내지 80%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선단에서의 제2 폭(W2)이 중간부에서의 제1 폭(W1)의 30% 이상이면, 연결부(1200)가 입구 간극을 폐쇄하도록 변형되어 있을 때, 연결부(1200)는 환상을 유지하는 강도를 선단(1220)에 가질 수 있다. 선단에서의 제2 폭(W2)이 중간부에서의 제1 폭(W1)의 80% 이하이면, 연결구(1000)를 상방에서 볼 때, 선단(1220)이 연결부(1200)로부터 폭방향으로 밀려나오지 않도록, 연결부(1200)가 입구 간극을 폐쇄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도 28은 연결부가 입구 간극을 폐쇄하도록 변형되어 있는 일 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8을 참조하면, 입구 간극을 폐쇄하기 위해 연결부(1200)를 플라이어 또는 펜치로 변형시킬 때, 연결부(1200)의 선단(1220)은 연결부의 중앙에 위치하지 못하고, 연결부의 중앙으로부터 폭방향(WD)으로 오프셋될 수도 있다. 선단(1220)의 제2 폭이 중간부(1260)의 제1 폭의 80% 이하이다. 따라서, 선단(1220)이 연결부의 중앙으로부터 오프셋되어도, 연결부(1200)는, 선단(1220)이 연결부(1200)로부터 폭방향으로 밀려나오지 않도록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낚싯줄이 연결부(1200)로부터 폭방향으로 밀려나온 선단(1220)에 걸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29와 도 30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가 동작하는 예를 설명한다. 도 2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가 터미널 태클의 낚시 추를 낚싯줄에 연결하는 예를 도시하고, 도 30은 낚싯줄에 장력이 걸릴 때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가 낚시 추에 대해 회전하는 예를 도시한다.
도 29와 도 30은 캐롤라이나 리그와 같은 터미널 태클(100)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1000)는, 낚싯줄(10)과 터미널 태클의 부품(예컨대, 낚시 추(130))을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한다. 또한, 연결구(1000)는, 낚싯바늘(161)과 가짜미끼(162)를 갖는 터미널 태클(100)의 일 부분이 연결되어 있는 낚싯줄(10)이, 연결구(1000)를 통해 섬세하게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낚시 추(130)가 연결되어 있는 연결구의 연결부(1200)는, 낚싯줄(10)에 걸리는 장력에 견딜 수 있는 충분한 강도를 가진다. 또한, 연결구(1000)는 낚시 추(130)에 고정되지 않고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으므로, 낚시 추(130)에 대한 자유로운 회전의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연결구의 연결부(1200)와 낚시 추(130)는, 전용 도구를 사용함이 없이, 일반적인 플라이어 또는 펜치로 간단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 3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낚시 추(130)는 물속 바닥(20)에서 고정 상태로 될 수 있다. 이 때, 물고기가 가짜미끼(162)(도 29 참조)를 물어서 당기면, 장력이 낚싯줄(10)에 가해지고, 낚싯줄(10)은 물고기가 당기는 힘에 의해 이동된다. 연결구(1000)는 낚시 추(130)에 얽히지 않고 낚시 추(130)에 고정되지 않는다. 낚싯줄(10)이 상기 장력에 의해 이동함에 따라, 연결구(1000)는 도 30에서 일점쇄선으로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낚싯줄(10)은 섬세하게 연결구의 줄통과링(1110)을 슬라이드하면서 통과할 수 있다.
도 31 내지 도 33은, 터미널 태클의 부품이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에 연결되는 다양한 예를 도시한다. 도 3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연결구(1000)의 연결부(1200)에 스플릿 링(split ring)(150)이 연결될 수 있다. 도 3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구(1000)의 연결부(1200)에 스냅(snap)(160)이 연결될 수 있다. 도 3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구(1000)의 연결부(1200)에 스위블(swivel)(142)이 연결될 수 있고, 스냅(160)이 스위블(142)에 연결될 수 있다. 도 31 내지 도 3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구의 연결부에 터미널 태클의 다양한 부품이 연결될 수 있고, 스플릿 링 또는 스냅에는, 낚시 추, 가짜미끼, 기타의 부품이 연결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는, 전술한 오목 곡면 및 소성변형부가 연결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연결부를 가진다. 따라서, 연결부는 향상된 강도를 나타내며, 연결부의 환상을 유지하는 향상된 내력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는, 낚싯줄을 통해 가해지는 장력에 저항하여 연결부의 구부러진 환상을 유지할 수 있고, 연결부와 낚시 추 간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에서의 연결부의 향상된 강도와 환상의 유지를 평가하기 위해,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의 연결부와 비교예에 따른 연결구의 연결부에 대한 인장 시험이 행해졌다. 이 인장 시험에 의해, 인장력이 가해지는 상황에서 연결부가 환상을 유지할 수 있는지가 평가되었다.
도 34는 전술한 인장 시험의 일 예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와 비교예에 따른 연결구가 시험되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의 연결부(1200)는 전술한 오목 곡면과 소성변형부를 구비한다. 비교예에 따른 연결구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와 유사하게 구성되지만, 전술한 오목 곡면과 소성변형부를 구비하지 않는다. 인장 시험의 시험 방법은 스테인리스 와이어로 연결부를 인장시키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와 비교예에 따른 연결구는 SUS304의 금속 재료로 이루어진다. 인장 지그는 0.83mm의 직경을 갖는 스테인리스 와이어(310)이다. 연결구가 바이스(320)에 의해 고정되고 스테인리스 와이어(310)가 연결부(1200)에 연결된 상태에서, 화살표의 방향으로 복수회의 인장력이 가해진다. 인장 속도는 20mm/min이다.
아래 표1은, 전술한 인장 시험의 결과를 나타내는 표이다. 아래 표1은, 인장력의 증가에 따라, 연결단과 선단의 사이의 입구 간극의 거리의 변화를 수치로 나타내며, 이 수치들의 단위는 mm이다. 일 실시예의 연결구에서의 입구 간극은, 비교예의 연결구에서의 입구 간극에 비해, 인장력이 증가함에 따라 적게 변화하는 거리를 갖는다. 즉, 일 실시예의 연결구는, 다양한 인장력 하에서 변화가 작은 입구 간극의 거리를 가진다. 따라서, 일 실시예의 연결구의 연결부가 향상된 강도를 갖는 것이 확인될 수 있다.
인장력(kgf) 비교예 실시예
5 0.1 이하 0.1 이하
6 0.1 이하 0.1 이하
7 0.1 0.1 이하
8 0.3 0.1 이하
9 0.5 0.1
10 0.8 0.3
11 - 0.5
12 - 0.7
이상 일부 실시예들과 첨부된 도면에 도시하는 예에 의해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인 지식을 가진 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10: 낚싯줄, 100: 터미널 태클, 130: 낚시 추, 132: 연결고리, 1000: 연결구, 1100: 줄통과부, 1200: 연결부, 1210: 연결단, 1220: 선단, 1221: 제1 선단면, 1222: 제2 선단면, 1230: 내주면, 1231: 볼록 곡면, 1240: 외주면, 1241: 오목 곡면, 1243: 외주 윤곽선, 1244: 되꺾임부, 1260: 중간부, 1270: 소성변형부, 1311: 삽입 공간, 1312: 입구 간극, 1313: 여유 간극, ED: 연장 방향, TD: 두께 방향, GD: 입구 간극의 거리, T1: 제1 두께, T2: 제2 두께, W1: 제1 폭, W2: 제2 폭

Claims (8)

  1. 낚싯줄(10)과 터미널 태클의 부품을 연결하는 연결구이며,
    상기 낚싯줄(10)을 통과시키도록 구성된 줄통과부(1100)와,
    상기 줄통과부로부터 연장하고, 상기 부품의 일 부분(132)이 여유 간극을 가지고 삽입되는 삽입 공간(1311)을 형성하도록 구부러진 연결부(1200)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삽입 공간을 한정하는 내주면(1230)과, 상기 연결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고 상기 삽입 공간을 향해 오목한 오목 곡면(1241)을 갖는 외주면(1240)과, 상기 내주면(1230)과 상기 오목 곡면(1241)의 사이에서 상기 연결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소성변형부(1270)를 포함하고,
    상기 내주면(1230)은, 상기 연장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고 상기 삽입 공간(1311)을 향해 볼록한 볼록 곡면(1231)을 갖는,
    연결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200)는 되꺾임부(1244)가 형성된 외주 윤곽선(1243)을 갖는,
    연결구.
  4. 낚싯줄(10)과 터미널 태클의 부품을 연결하는 연결구이며,
    상기 낚싯줄(10)을 통과시키도록 구성된 줄통과부(1100)와,
    상기 줄통과부로부터 연장하고, 상기 부품의 일 부분(132)이 여유 간극을 가지고 삽입되는 삽입 공간(1311)에 통하고 상기 부품의 일 부분의 통과를 허용하는 입구 간극(1312)을 형성하도록 구부러진 연결부(1200)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줄통과부에 연결되는 연결단(1210)과,
    상기 입구 간극을 상기 연결단과 함께 한정하는 선단(1220)과,
    상기 삽입 공간을 한정하는 내주면(1230)과,
    상기 연결부의 연장 방향(ED)을 따라서 형성되고 상기 삽입 공간을 향해 오목한 오목 곡면(1241)을 갖는 외주면(1240)을 포함하고,
    상기 입구 간극이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는 C자형의 외주 윤곽선(1243)을 갖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선단이 상기 연결단 또는 상기 내주면에 접촉되어 상기 입구 간극을 폐쇄하도록 변형가능한,
    연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 간극(1312)이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입구 간극의 거리(GD)는 0.6mm 내지 2.0mm의 범위 내에 있는,
    연결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1220)은, 상기 내주면(1230)에 연결되는 제1 선단면(1221)과, 상기 제1 선단면과 상기 외주면(1240)에 연결되고, 상기 입구 간극(1312)이 폐쇄되는 상태에서 상기 연결단 또는 상기 내주면에 접촉되는 제2 선단면(1222)을 갖고,
    상기 연결부(1200)는 상기 연결부의 중간부(1260)에서의 제1 두께(T1)와 상기 제1 선단면에서의 제2 두께(T2)를 갖고,
    상기 제2 두께는 상기 제1 두께보다 작고 상기 제1 두께의 30% 내지 70%의 범위 내에 있는,
    연결구.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를 상방에서 볼 때, 상기 연결부(1200)는 상기 연결부의 중간부(1260)에서의 제1 폭(W1)과 상기 선단(1220)에서의 제2 폭(W2)을 갖고,
    상기 제2 폭은 상기 제1 폭보다 좁고 상기 제1 폭의 30% 내지 80%의 범위 내에 있는,
    연결구.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200)는 상기 내주면(1230)과 상기 오목 곡면(1241)의 사이에서 상기 연결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소성변형부(1270)를 포함하는,
    연결구.
KR1020210052263A 2020-08-07 2021-04-22 터미널 태클용 연결구 KR1023507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124049A JP7144090B2 (ja) 2020-08-07 2021-07-29 連結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99073 2020-08-07
KR1020200099073 2020-08-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0722B1 true KR102350722B1 (ko) 2022-01-14

Family

ID=79342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2263A KR102350722B1 (ko) 2020-08-07 2021-04-22 터미널 태클용 연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7144090B2 (ko)
KR (1) KR102350722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21376U (ko) 1988-02-10 1989-08-17
JPH0331863U (ko) 1989-08-08 1991-03-28
US6508030B1 (en) * 1993-10-06 2003-01-21 Soevik Magne Process for fastening of a stop arrangement to a line and a line having a stop arrangement connected thereto
KR20050008351A (ko) * 2003-07-15 2005-01-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테빌라이저의 고정장치
JP3679399B2 (ja) * 2003-02-04 2005-08-03 徹 田中 釣糸用接続具
KR20100007960U (ko) * 2009-02-02 2010-08-11 이길문 주낙용 연결부재
US20100287813A1 (en) * 2009-05-18 2010-11-18 Tom Moritz Slidable Fishing Device
KR20170001194U (ko) * 2015-09-24 2017-04-03 신승호 탈부착이 용이한 연결구
KR20180024441A (ko) * 2016-08-30 2018-03-08 주식회사 용성 릴낚시대의 라인 가이드
KR102138364B1 (ko) * 2018-06-15 2020-07-27 변재만 낚시용 연결고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48281U (ko) * 1978-04-04 1979-10-15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21376U (ko) 1988-02-10 1989-08-17
JPH0331863U (ko) 1989-08-08 1991-03-28
US6508030B1 (en) * 1993-10-06 2003-01-21 Soevik Magne Process for fastening of a stop arrangement to a line and a line having a stop arrangement connected thereto
JP3679399B2 (ja) * 2003-02-04 2005-08-03 徹 田中 釣糸用接続具
KR20050008351A (ko) * 2003-07-15 2005-01-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테빌라이저의 고정장치
KR20100007960U (ko) * 2009-02-02 2010-08-11 이길문 주낙용 연결부재
US20100287813A1 (en) * 2009-05-18 2010-11-18 Tom Moritz Slidable Fishing Device
KR20170001194U (ko) * 2015-09-24 2017-04-03 신승호 탈부착이 용이한 연결구
KR20180024441A (ko) * 2016-08-30 2018-03-08 주식회사 용성 릴낚시대의 라인 가이드
KR102138364B1 (ko) * 2018-06-15 2020-07-27 변재만 낚시용 연결고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144090B2 (ja) 2022-09-29
JP2022031175A (ja) 2022-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62830B2 (en) Removable attachment for a line
US9232834B2 (en) Slider for slide fastener with automatic stopper
US4423757A (en) Device for forming closable wire spring snaps
KR102350722B1 (ko) 터미널 태클용 연결구
US8141228B2 (en) Force resistant purse ring
US20200288686A1 (en) Artificial bait and split ring therefor
TW201119603A (en) Fastener stringer, slide fastener, and method for repairing fastener stringer
KR200464177Y1 (ko) 루어 낚시용 낚싯바늘의 웜 고정장치
US2643479A (en) Trap hook
JPWO2014054071A1 (ja) 動物用の連結具
US3221779A (en) Device for forming eyes in wire
KR20230003758A (ko) 신속결합이 가능한 낚시채비용 스냅
US2640291A (en) Fishhook
JP5592722B2 (ja) 動物用の連結具
DE19941089B4 (de) Nadeleinfädler
RU2128912C1 (ru) Рыболовный крючок
US20090288330A1 (en) Artificial fishing lure with mechanical hook assembly
KR200468860Y1 (ko) 미끼 이탈 및 회전 방지용 낚시바늘
KR20170001194U (ko) 탈부착이 용이한 연결구
KR102330432B1 (ko) 낚시바늘 복원장치
CN214980659U (zh) 钢丝拉紧器
CN219146513U (zh) 具有速插防脱耐磨销的铅坠
CN211407231U (zh) 牛联扣耳标枪
CN209950209U (zh) 自弹式诱捕器
JP7351815B2 (ja) スイベ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