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4190A - 낚싯대용 릴 시트 및 낚싯대 및 낚싯대용 릴 시트의 이동 후드 - Google Patents

낚싯대용 릴 시트 및 낚싯대 및 낚싯대용 릴 시트의 이동 후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4190A
KR20200014190A KR1020190070985A KR20190070985A KR20200014190A KR 20200014190 A KR20200014190 A KR 20200014190A KR 1020190070985 A KR1020190070985 A KR 1020190070985A KR 20190070985 A KR20190070985 A KR 20190070985A KR 20200014190 A KR20200014190 A KR 202000141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el
trigger
hood
fishing rod
fi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0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3297B1 (ko
Inventor
카즈마 타니구치
요시유키 카미노
소시 이와타
타카히로 야마나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200014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4190A/ko
Priority to KR1020240040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6134A/ko
Priority to KR1020240040573A priority patent/KR20240046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3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32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6Devices for fixing reels on ro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8Handgri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0Supports for ro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과제] 낚싯대를 파지(把持)하는 손의 피로를 경감한다
[해결 수단] 앞쪽에 통상(筒狀)의 이동 후드(12)를 구비하고, 이동 후드(12)는, 릴 다리의 전단부(前端部)(5a)를 덮기 위한 후드부(32)를 가지는 통상의 릴 시트(2)이고, 이동 후드(12)는, 외주면(外周面)의 전체 둘레 중 후드부(32)와는 반대 측의 부분에, 손가락을 앞쪽으로부터 걸기 위한 트리거(trigger)(33)를 가지고 있고, 트리거(33)의 전면(前面)은, 폭 방향을 따라 앞쪽 볼록하게 만곡한 형상이고, 트리거(33)의 후면(後面)은, 오목부를 가지는 형상이고, 트리거(33)의 돌출 길이는, 손가락 1개분의 폭에 상당한다.

Description

낚싯대용 릴 시트 및 낚싯대 및 낚싯대용 릴 시트의 이동 후드{A MOVEABLE HOOD FOR A REEL SHEET, A REEL SHEET USING THE MOVEABLE HOOD, AND A FISHING ROD USING THE REEL SHEET}
본 발명은, 낚싯대에 릴을 고정하기 위한 낚싯대용의 릴 시트와, 당해 낚싯대용 릴 시트를 구비한 낚싯대와, 낚싯대용 릴 시트에 이용되는 이동 후드에 관한 것이다.
하기 특허 문헌 1과 같이, 양축 릴이 취부(取付)되는 릴 시트는, 하면(下面)에 트리거(trigger)를 가지고 있다. 낚시꾼은, 예를 들어 집게손가락과 가운뎃손가락과의 사이에 트리거를 위치시키도록 하여 낚싯대를 파지(把持)한다. 그렇지만, 낚시를 장시간 행하면, 낚싯대를 파지하는 손이 피로하기 쉽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11-135815호
그러므로 본 발명은, 낚싯대를 파지하는 손의 피로를 경감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본 발명에 관련되는 낚싯대용 릴 시트는, 앞쪽에 통상(筒狀)의 이동 후드를 구비하고, 이동 후드는, 릴 다리의 전단부(前端部)를 덮기 위한 후드부를 가지는 통상의 릴 시트이고, 이동 후드는, 외주면(外周面)의 전체 둘레 중 후드부와는 반대 측의 부분에, 손가락을 앞쪽으로부터 걸기 위한 트리거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릴 시트가 장착된 낚싯대에는 예를 들어 양축 릴을 취부할 수 있다. 그 낚싯대를 파지할 때, 예를 들어 도 11과 같이 파지할 수 있다. 엄지손가락을 릴의 상측(上側)에 위치시킨다. 릴의 상면(上面)의 후부(後部) 또는 릴의 후면(後面)으로는 모지구(母指球)를 내리누른다. 릴의 앞쪽의 위치에 있어서 집게손가락과 가운뎃손가락과의 사이에 낚싯대를 위치시켜, 집게손가락을 릴의 전면(前面)에 당접(當接)시키고, 가운뎃손가락을 이동 후드의 트리거의 전면에 당접시킨다. 약손가락과 새끼손가락은 릴 시트 본체의 하면에 당접시킨다. 혹은, 그립체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그 그립체에 약손가락과 새끼손가락을 당접시킨다. 약손가락과 새끼손가락 중 주로 새끼손가락으로 릴 시트 본체나 그립체를 파지한다. 약손가락과 새끼손가락은 트리거로부터 뒤쪽으로 떨어져 위치한다. 이와 같은 파지의 방식에 따라, 모지구, 집게손가락, 가운뎃손가락, 및 새끼손가락의 합계 4점으로 낚싯대를 지지할 수 있다. 낚싯대의 상측의 2개소와 하측의 2개소의 합계 4개소로 낚싯대를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낚싯대가 안정되기 쉽다. 그 때문에, 작은 힘으로 낚싯대를 파지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파지하면, 손목이 팔에 대하여 일직선 상(上)이 되기 쉽고, 손목이 구부러지기 어려워진다. 그 때문에, 손목의 부담이 작다.
도 13과 같이 파지할 수도 있다. 엄지손가락은 마찬가지로 릴의 상측에 위치시켜, 릴의 상면의 후부나 릴의 후면으로 모지구를 내리누른다. 집게손가락을 이동 후드의 트리거의 전면에 당접시키고, 가운뎃손가락과 약손가락과 새끼손가락을 릴 시트 본체나 그립체의 하면에 당접시킨다. 가운뎃손가락과 약손가락과 새끼손가락 중 주로 새끼손가락으로 릴 시트 본체나 그립체를 파지한다. 가운뎃손가락과 약손가락과 새끼손가락은, 트리거로부터 뒤쪽으로 떨어져 위치한다. 이와 같은 파지의 방식에 따라, 모지구, 집게손가락, 및 새끼손가락의 합계 3점으로 낚싯대를 지지할 수 있다. 합계 3점으로 낚싯대를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낚싯대가 안정되기 쉽다. 그 때문에, 작은 힘으로 낚싯대를 파지할 수 있다. 이 경우도, 손목의 구부러짐은 작고, 손목의 부담은 작다.
또한, 앞쪽의 이동 후드가 트리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대형의 릴의 경우에는, 이동 후드와 함께 트리거는 상대적으로 앞쪽에 위치하고, 소형의 릴의 경우에는, 이동 후드와 함께 트리거는 상대적으로 뒤쪽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릴의 사이즈에 따라 트리거의 위치가 전후로 변화하기 때문에, 릴의 사이즈가 바뀌어도, 상술한 바와 같은 4점 지지나 3점 지지로 낚싯대를 파지할 수 있다.
특히, 트리거의 전면은, 폭 방향을 따라 앞쪽 볼록하게 만곡한 형상이고, 트리거의 후면은, 오목부를 가지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트리거의 전면에는 예를 들어 가운뎃손가락을 당접시킨다. 가운뎃손가락을 트리거의 전면에 당접시키는 경우, 가운뎃손가락의 예를 들어 제1 관절을 트리거의 전면에 바짝 대도록 한다. 그 때, 트리거의 전면이 폭 방향을 따라 앞쪽 볼록하게 만곡한 형상이면, 가운뎃손가락의 감촉은 부드러운 것으로 되어, 가운뎃손가락이 아프기 어렵게 된다. 한편, 약손가락은 가운뎃손가락으로부터 후방으로 떨어져 위치하기 때문에, 트리거의 후면에 약손가락이 접촉하기 어렵다. 따라서, 트리거의 후면이 오목부를 가지는 형상이어도, 약손가락은 아프지 않게 된다. 그리고, 트리거의 후면이 오목부를 가지는 형상인 것에 의하여, 트리거를 경량화할 수 있고, 이동 후드를 경량화할 수 있다.
또한, 트리거의 전면은, 폭 방향을 따라 앞쪽 볼록하게 만곡한 형상이고, 트리거의 후면은, 횡단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뒤쪽으로의 팽출량(膨出量)이 전면의 앞쪽으로의 팽출량보다도 작은 형상인 것도 바람직하다. 트리거의 후면을 이와 같은 형상으로 하는 것에 의하여도, 트리거를 경량화할 수 있다. 덧붙여, 횡단면이란, 트리거를 그 폭 방향을 따라 절단하였을 때의 단면이다.
또한, 트리거의 돌출 길이는, 손가락 1개분의 폭에 상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4점 지지의 파지 방식에 있어서, 약손가락을 펴거나 굽히거나 하는 것으로, 약손가락으로 양축 릴의 핸들을 회전시킬 수 있다. 즉, 한 손만으로 낚싯대를 조작하면서 양축 릴을 회전시킬 수 있다. 그와 같이 약손가락으로 양축 릴의 핸들을 회전시키는 조작을 행하는 경우, 트리거의 돌출 길이가 손가락 1개분의 폭에 상당하는 길이이면, 트리거에 약손가락이 간섭하기 어렵고, 약손가락을 부드럽게 굴신(屈伸)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의 3점 지지의 파지 방식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며, 가운뎃손가락을 굴신시키는 것으로 양축 릴의 핸들을 회전시킬 수 있다. 그 경우도, 트리거에 가운뎃손가락이 간섭하기 어렵고, 가운뎃손가락을 부드럽게 굴신시킬 수 있다.
또한, 트리거의 전면의 선단(先端) 측 영역은, 이동 후드의 경(徑)방향에 대하여 앞쪽으로 10도 이하의 경사 각도로 경사하고 있고, 또한, 릴을 취부한 상태에 있어서, 트리거의 전면의 선단 측 영역은, 이동 후드의 경방향을 따르거나 또는 이동 후드의 경방향에 대하여 앞쪽으로 경사한 상태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릴을 취부하면, 이동 후드의 후드부는 릴 다리를 올라 앉게 하고, 이동 후드는, 덜걱거림 분만큼 기울게 된다. 그 기울기는, 이동 후드의 전체 둘레 중 후드부가 위치하는 영역에 있어서 그 전부(前部)가 이동 후드의 중심선에 가까워지고, 후부가 이동 후드의 중심선으로부터 멀어진다고 하는 기울기이다. 릴을 취부하기 전의 기준 상태에 있어서 트리거의 전면의 선단 측 영역이 이동 후드의 경방향을 따르고 있으면, 릴을 취부한 상태에서는, 트리거의 전면의 선단 측 영역은, 이동 후드의 경방향에 대하여 뒤쪽으로 경사한 상태가 된다. 한편, 트리거의 전면의 선단 측 영역이, 이동 후드의 경방향에 대하여 앞쪽으로 10도 이하의 경사 각도로 경사하고 있고, 또한, 릴을 취부한 상태에 있어서, 트리거의 전면의 선단 측 영역이, 이동 후드의 경방향을 따르고 있거나 또는 이동 후드의 경방향에 대하여 앞쪽으로 경사하고 있으면, 트리거에 당접시키고 있는 손가락이 미끄러지기 어렵고 안정되기 쉽고, 상술한 바와 같은 4점 지지나 3점 지지 상태가 안정되어, 손의 부담이 경감된다. 또한, 릴을 취부하기 전의 기준 상태에 있어서 트리거의 전면의 선단 측 영역의 경사 각도가 10도 이하이기 때문에, 릴을 취부한 상태에 있어서, 트리거의 전면의 선단 측 영역이 앞쪽으로 경사하고 있는 상태에서도 그 경사 각도는 근소하다. 그 때문에, 트리거의 전면에 손가락을 자연스러운 상태로 당접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되는 낚싯대는, 상기 릴 시트를 구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되는 낚싯대용 릴 시트의 이동 후드는, 릴 다리의 전단부를 덮기 위한 후드부를 가지는 통상의 이동 후드이고, 외주면의 전체 둘레 중 후드부와는 반대 측의 부분에, 손가락을 앞쪽으로부터 걸기 위한 트리거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앞쪽의 이동 후드가, 후드부와는 반대 측의 부분에, 트리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낚싯대를 파지하는 손의 피로를 경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이동 후드를 앞쪽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2는 동(同) 이동 후드를 뒤쪽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3은 동 이동 후드를 뒤쪽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4는 동 이동 후드를 좌측으로부터 본 측면도.
도 5는 동 이동 후드를 앞쪽으로부터 중심선의 방향으로 본 정면도.
도 6은 동 이동 후드를 뒤쪽으로부터 중심선의 방향으로 본 배면도.
도 7은 동 이동 후드를 하측으로부터 본 저면도.
도 8은 도 7의 D-D 단면도.
도 9의 (a) ~ (c)는 각각 도 6의 A-A 단면도, B-B 단면도, C-C 단면도.
도 10은 동 이동 후드를 구비한 낚싯대용 릴 시트가 장착된 낚싯대에, 양축 릴이 취부된 상태를 좌측으로부터 본 측면도.
도 11은 도 10의 낚싯대를 파지한 상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2는 도 10의 낚싯대의 트리거를 도시하는 도 9(b)에 대응한 단면도.
도 13은 도 10의 낚싯대를 파지한 상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이동 후드를 앞쪽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5는 동 이동 후드를 뒤쪽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6은 동 이동 후드를 좌측으로부터 본 측면도.
도 17은 동 이동 후드를 앞쪽으로부터 중심선의 방향으로 본 정면도.
도 18은 동 이동 후드를 뒤쪽으로부터 중심선의 방향으로 본 배면도.
도 19는 동 이동 후드를 하측으로부터 본 저면도.
도 20은 도 19의 H-H 단면도.
도 21의 (a) ~ (c)는 각각 도 18의 E-E 단면도, F-F 단면도, G-G 단면도.
도 22는 동 이동 후드를 구비한 낚싯대용 릴 시트가 장착된 낚싯대에, 양축 릴이 취부된 상태를 좌측으로부터 본 측면도.
도 23은 동 이동 후드를 구비한 낚싯대용 릴 시트가 장착된 낚싯대에, 스피닝 릴이 취부된 상태를 좌측으로부터 본 측면도.
도 24는 도 23의 낚싯대를 파지한 상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릴 시트를 장착한 낚싯대의 사용 상태를 좌측으로부터 본 측면도.
도 2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릴 시트를 장착한 낚싯대의 사용 상태를 좌측으로부터 본 측면도.
도 2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릴 시트를 장착한 낚싯대의 사용 상태를 좌측으로부터 본 측면도.
도 28은 동 릴 시트의 분해도.
<제1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이동 후드, 그것을 구비한 낚싯대용 릴 시트, 및 낚싯대에 관하여 도 1 ~ 13을 참작(參酌)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릴 시트(2)는, 낚싯대에 릴을 고정하기 위한 것이고, 낚싯대의 장대 본체(1)(블랭크(blank))에 장착되어 사용된다. 당해 릴 시트(2)는, 이른바 파이프 시트라고 칭하여지는 것이고, 전체적으로 통상의 것이며, 장대 본체(1)에 외장되어 소정 위치에 접착 고정된다. 릴은, 스피닝 릴이어도 무방하고, 양축 릴(3)이어도 무방하다. 릴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릴 다리(도 8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릴은, 릴 다리를 릴 시트(2)에 고정하는 것에 의하여, 낚싯대에 고정된다.
도 10에, 일례로서, 낚싯대의 릴 시트(2)에 양축 릴(3)을 취부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양축 릴(3)은, 통상(通常), 릴 시트(2)의 상측에 취부된다. 덧붙여, 장대 초리 쪽을 앞쪽으로, 장대 기단 쪽을 뒤쪽으로 칭한다. 장대 본체(1)나 릴 시트(2), 이동 후드(12)의 중심선(12a)의 방향(축선 방향)은 전후 방향이다. 도 10에 앞쪽을 화살표 X1로 도시하고, 뒤쪽을 화살표 X2로 도시하고 있다. 도 4에도 마찬가지로 도시하고 있다. 또한,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한다. 양축 릴(3)의 핸들(6)의 회전축선의 방향은 좌우 방향이 된다. 스피닝 릴의 핸들(6)의 회전축선의 방향도 마찬가지로 좌우 방향이 된다.
릴 시트(2)는, 통상이다. 릴 시트(2)는, 낚싯대의 장대 본체(1)의 외측에 취부된다. 릴 시트(2)는, 통상의 릴 시트 본체(10)와, 이점쇄선으로 도시하는 너트(11)와, 이동 후드(12)와, 그립체(13)를 구비하고 있다. 그립체(13)는, 릴 시트 본체(10)의 바로 뒤쪽에 위치하고 있다. 그립체(13)는 통상이며, 릴 시트 본체(10)의 후부 및 장대 본체(1)의 외측에 장착되어 있다. 그립체(13)는 각종의 그립 소재로 구성되어 있다. 그립 소재로서는, 예를 들어 코르크나, 발포 EVA 등의 발포 수지 등이 있다. 도 10 등에 있어서, 그립체(13)에는 다수의 도트를 넣어 도시하고 있다. 이동 후드(12)는 릴 다리의 앞쪽에 위치한다. 즉, 릴 시트(2)는, 프런트 로크 구조의 것이다.
릴 시트 본체(10)는, 장대 본체(1)의 외측에 직접 또는 통상의 스페이서(도시 생략)를 통하여 접착 고정된다. 릴 시트 본체(10)는, 도시하지 않는 릴 다리 취부부와, 고정 후드부(21)와, 수나사부(22)를 가지고 있다. 릴 다리 취부부는, 릴 다리의 취부면(이면(裏面))을 대치시키는 부분이고, 릴 시트 본체(10)의 전체 둘레 중 소정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릴 다리 취부부의 후단부에 고정 후드부(21)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 후드부(21)는 릴 시트 본체(10)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덧붙여, 릴 시트 본체(10)는, 합성 수지로 사출 성형에 의하여 형성된다. 고정 후드부(21)는, 도시하지 않는 릴 다리의 후단부를 덮어 그것을 보지(保持)한다. 고정 후드부(21)는 앞쪽에 개구(開口)하고 있다. 릴 다리의 후단부는 고정 후드부(21)에 앞쪽으로부터 삽입된다.
릴 시트 본체(10)의 전부 외주면에 수나사부(22)가 형성되어 있다. 수나사부(22)에 너트(11)가 나합(螺合)한다. 너트(11)의 뒤쪽에 이동 후드(12)가 위치한다. 이동 후드(12)는 릴 시트 본체(10)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지만 회전 불가능하다. 이동 후드(12)는 릴 다리의 전단부(5a)(도 8 참조)를 덮어 그것을 보지한다. 이동 후드(12)와 릴 시트 본체(10)의 고정 후드부(21)에 의하여 릴 다리를 전후로 협지한다. 이것에 의하여 릴이 릴 시트(2)에 고정된다.
이동 후드(12)의 상세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 ~ 도 9에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이동 후드(12)를 단체(單體)의 상태로 도시하고 있다. 이동 후드(12)의 방향은 임의이지만, 편의상, 도 10과 같이 양축 릴(3)을 취부할 때의 상태에 맞추어 도시하고 있다. 이동 후드(12)는, 통상이고, 릴 시트 본체(10)의 외측에 씌워진다. 이동 후드(12)는 양단이 개구하고 있다.
이동 후드(12)는, 전단 개구부의 내주면에 환상(環狀) 돌조(突條)(30)를 가지고 있다. 당해 환상 돌조(30)는, 너트(11)의 외주면의 도시하지 않는 계합(係合) 둘레 홈에 계합한다. 이것에 의하여, 너트(11)가 회전하여도 이동 후드(12)는 회전하지 않고, 너트(11)가 회전하면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수반하여 이동 후드(12)는 너트(11)와 함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동 후드(12)는, 내주면의 중간부에, 계합 돌조(31)를 가지고 있다. 계합 돌조(31)는, 전후 방향을 따라 일직선상(狀)으로 연장되어 있다. 계합 돌조(31)의 위치 및 개수는 임의이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계합 돌조(31)는 상하 대향하여 한 쌍 설치되어 있다. 단, 계합 돌조(31)가 좌우 방향으로 대향하여 한 쌍 설치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계합 돌조(31)는, 릴 시트 본체(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는 가이드 홈과 계합한다. 계합 돌조(31)가 릴 시트 본체(10)의 가이드 홈에 계합하는 것에 의하여, 이동 후드(12)는, 릴 시트(2)의 중심선 둘레로 회전하는 일 없이, 가이드 홈으로 안내되면서 전후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동 후드(12)는, 후단 개구부의 개구 가장자리부에 후드부(32)를 가지고 있다. 후드부(32)는, 이동 후드(12)의 후단 개구부의 개구 가장자리부의 전체 둘레 중 일부가 경방향 외측으로 팽출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후드부(32)는 뒤쪽에 개구하고 있다. 릴 다리의 전단부(5a)는 상대적으로 뒤쪽으로부터 후드부(32)로 파고 들어간다. 후드부(32)는, 릴 다리의 전단부(5a)를 경방향 외측으로부터 덮어 그 릴 다리의 전단부(5a)를 보지한다. 이동 후드(12)의 후드부(32)와 릴 시트 본체(10)의 고정 후드부(21)가 릴 다리를 전후로 협지한다.
이동 후드(12)는, 외주면에 트리거(33)를 가지고 있다. 트리거(33)는, 이동 후드(12)의 외주면의 전체 둘레 중, 후드부(32)와는 상하 반대 측의 부분에 위치하고 있다. 후드부(32)와 트리거(33)는, 전후 방향의 위치가 대략 같다. 예를 들어, 후드부(32)가 외주면의 상측의 부분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트리거(33)는, 외주면의 하측의 부분에 위치한다. 트리거(33)와 후드부(32)는, 이동 후드(12)를 앞쪽으로부터 보았을 때, 혹은, 이동 후드(12)를 뒤쪽으로부터 보았을 때, 180도 대향한 위치 관계에 있다. 덧붙여, 트리거(33)의 전후 방향의 위치는 임의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트리거(33)는, 이동 후드(12)의 외주면의 후단부 근방에 위치하고 있지만, 이동 후드(12)의 외주면의 전후 방향의 중간부나 전단부 근방에 위치하고 있어도 무방하다.
트리거(33)는, 이동 후드(12)의 외주면으로부터 대략 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돌출하고 있다. 도 4 및 도 8과 같이, 트리거(33)의 전후 방향의 치수는 트리거(33)의 두께이다. 트리거(33)의 두께는, 기단부에 있어서 크고, 선단부에 있어서 작다. 트리거(33)의 두께는, 기단부로부터 선단부를 향하여 서서히 작아지고 있다. 도 5 및 도 6과 같이, 트리거(33)의 좌우 방향의 치수는 트리거(33)의 폭이다. 트리거(33)의 폭은, 기단부에 있어서 크고, 선단부에 있어서 작다. 트리거(33)의 폭은, 기단부로부터 선단부를 향하여 서서히 작아지고 있다. 트리거(33)를 앞쪽으로부터 보았을 때, 및 트리거(33)를 뒤쪽으로부터 보았을 때, 트리거(33)의 형상은, 정면으로부터 볼 때 또는 배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기단부를 저변(底邊)으로 하고 선단부를 정점으로 하는 대략 삼각형상이고, 구체적으로는, 꼭지각이 예각인 좌우 대칭의 이등변 삼각형상이다.
트리거(33)의 전면(34)에 손가락이 걸린다. 손가락은, 예를 들어 집게손가락이나 가운뎃손가락이다. 손가락은, 트리거(33)에 좌우 방향을 따라 걸어 돌려진다. 오른손의 경우에는, 트리거(33)에 손가락이 우측으로부터 좌측을 향하여 걸어 돌려지고, 왼손의 경우에는, 손가락이 좌측으로부터 우측을 향하여 걸어 돌려진다. 트리거(33)의 돌출 길이는, 일반적인 성인의 손의 집게손가락이나 가운뎃손가락의 손가락 1개분의 폭에 상당하는 길이이다.
도 9와 같이, 트리거(33)의 전면(34)은, 좌우 방향을 따라 앞쪽 볼록하게 만곡하고 있다. 트리거(33)의 전면(34)은, 좌우 방향을 따라 앞쪽으로 팽출한 만곡면이다. 트리거(33)의 전면(34)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부는, 트리거(33)의 후면(35)의 근방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트리거(33)의 전면(34)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부는, 적어도 트리거(33)의 전후 방향의 중앙 위치를 넘어 뒤쪽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트리거(33)의 전면(34)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부는, 트리거(33)의 후부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트리거(33)의 후면(35)은, 뒤쪽으로는 거의 팽출하고 있지 않다. 트리거(33)의 후면(35)은, 오목부(36)를 가지고 있다. 오목부(36)는, 앞쪽을 향하여 오목하게 되어 있다. 오목부(36)의 형상, 크기, 개수는, 임의이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오목부(36)는, 트리거(33)의 후면(35)의 중앙부에 1개소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36)는, 도 6과 같이, 트리거(33)의 형상에 대응하고 있다. 오목부(36)의 폭은, 트리거(33)의 기단 측에 있어서 넓고, 트리거(33)의 선단 측에 있어서 좁다. 오목부(36)의 폭은, 트리거(33)의 기단 측으로부터 선단 측을 향하여 서서히 넓어지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오목부(36)는, 트리거(33)의 정면으로 볼 때 내지 배면으로 볼 때의 형상에 대응하여 대략 삼각형상이다. 오목부(36)의 깊이는, 트리거(33)의 두께의 대략 반분(半分) 정도이다. 트리거(33)의 후면(35)이 오목부(36)를 가지는 것에 의하여, 트리거(33)의 두께는 대략 일정하게 된다.
도 6 및 도 8과 같이, 트리거(33)는, 전체적으로, 앞쪽을 향하여 경사하여 연장되어 있다. 도 8과 같은 종단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트리거(33)의 전면(34)은, 기단 측 영역(34a)과 선단 측 영역(34b)이라고 하는 두 개의 부분으로 구획된다. 기단 측 영역(34a)과 선단 측 영역(34b)은, 서로 형상이 다르다. 기단 측 영역(34a)과 선단 측 영역(34b)의 비율은 여러 가지여도 무방하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단 측 영역(34a)과 선단 측 영역(34b)이 트리거(33)의 전면(34)을 이분(二分)하고 있다. 따라서, 기단 측 영역(34a)은, 기단 측의 대략 반분의 영역을 차지하고 있고, 선단 측 영역(34b)은, 선단 측의 대략 반분의 영역을 차지하고 있다. 종단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트리거(33)의 전면(34)의 기단 측 영역(34a)은, 뒤쪽 볼록하게 만곡하고 있다. 트리거(33)의 전면(34)의 기단 측 영역(34a)은, 뒤쪽으로 만곡하면서 기단 측으로부터 선단 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종단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트리거(33)의 전면(34)의 선단 측 영역(34b)은, 이동 후드(12)의 경방향에 대하여 앞쪽으로 경사 각도 θ로 경사한 직선이다.
이동 후드(12)의 트리거(33)의 위치에 있어서의 경방향을 도 8에 일점쇄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일점쇄선으로 도시하는 이동 후드(12)의 경방향은, 상하 방향이다. 트리거(33)의 전면(34)의 선단 측 영역(34b)은, 선단 측으로 갈수록 앞쪽에 위치하도록, 상하 방향에 대하여 앞쪽으로 경사 각도 θ로 경사하고 있다. 경사 각도 θ는, 바람직하게는 10도 이하이고, 5도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경사 각도 θ는, 1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 후드(12)는, 릴 시트 본체(10)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릴 시트 본체(10)의 외주면과 이동 후드(12)의 내주면과의 사이에는 간극(間隙)이 존재하고 있다. 그 간극, 덜걱거림 분에 의하여, 릴 시트(2)에 릴을 취부한 상태에서는, 이동 후드(12)는 약간 기운 상태가 된다. 그 기울기는, 이동 후드(12)의 중심선(12a)의 앞쪽이 트리거(33) 측이 되고, 이동 후드(12)의 중심선(12a)의 뒤쪽이 후드부(32) 측이 되는 기울기이다. 예를 들어, 후드부(32)가 이동 후드(12)의 상측에 위치하고, 트리거(33)가 이동 후드(12)의 하측에 위치하는 경우, 이동 후드(12)의 기울기는, 이동 후드(12)의 중심선(12a)의 앞쪽이 하측이 되고, 이동 후드(12)의 중심선(12a)의 뒤쪽이 상측이 되는 기울기이다.
릴 시트(2)에 릴을 취부하는 것에 의하여 이동 후드(12)가 약간 기운 상태로 되었을 때에, 트리거(33)의 전면(34)의 선단 측 영역(34b)이 적어도 뒤쪽으로 경사하고 있지 않는 상태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릴 시트(2)에 릴을 취부한 상태에 있어서, 트리거(33)의 전면(34)의 선단 측 영역(34b)은, 상하 방향을 따르고 있거나, 혹은, 상하 방향에 대하여 앞쪽으로 약간 경사하고 있거나, 어느 하나의 상태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릴 시트(2)에 릴을 취부한 상태에 있어서 트리거(33)의 전면(34)의 선단 측 영역(34b)이 상하 방향을 따르고 있는 경우, 트리거(33)의 전면(34)의 선단 측 영역(34b)은, 이동 후드(12)의 중심선(12a)에 대하여 직교한 자세가 된다. 릴 시트(2)에 릴을 취부한 상태에 있어서 트리거(33)의 전면(34)의 선단 측 영역(34b)이 앞쪽으로 약간 경사하고 있는 경우, 그 각도는 몇 도 이하가 바람직하고 5도 이하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트리거(33)의 전면(34)의 선단 측 영역(34b)의 경사 각도 θ가 5도이고, 릴을 취부하는 것에 의하여 이동 후드(12)가 2도 기우는 경우, 릴을 취부한 상태에 있어서의 트리거(33)의 전면(34)의 선단 측 영역(34b)은, 5-2=3도, 앞쪽으로 경사하고 있게 된다.
이동 후드(12)는 하나의 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트리거(33)는, 이동 후드(12)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 후드(12)는, 합성 수지로 사출 성형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릴 시트(2)에 예를 들어 양축 릴(3)이 장착된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양축 릴(3)은, 통상의 사용 상태에 있어서, 릴 시트(2)의 상측에 위치한다. 양축 릴(3)은 오른쪽 핸들 사양이어도 왼쪽 핸들 사양이어도 무방하다. 일례로서, 왼쪽 핸들 사양의 것을 도시하고 있다. 왼쪽 핸들 사양의 양축 릴(3)의 경우, 낚싯대를 오른손으로 파지하고, 왼손으로 핸들(6)을 회전시킨다.
오른손으로 낚싯대를 파지할 때, 예를 들어 도 11과 같이 파지할 수 있다. 도 11에 있어서 오른손을 이점쇄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이 잡는 방법은, 예를 들어 배 낚시에 적합하다. 엄지손가락(100)을 양축 릴(3)의 상측에 위치시킨다. 엄지손가락(100)은, 양축 릴(3)의 상면에 당접시켜도 무방하고, 양축 릴(3)의 상면으로부터 약간 띄우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양축 릴(3)의 상면의 후부, 혹은, 양축 릴(3)의 후면으로는 모지구(101)를 내리누른다. 모지구(101)가, 낚싯대를 지지하기 위한 첫번째의 지점이 된다. 모지구(101)로 양축 릴(3)을 전방(前方) 또한 비스듬히 하방(下方)으로 누른다.
양축 릴(3)의 앞쪽의 위치에 있어서 집게손가락(102)과 가운뎃손가락(103)과의 사이에 낚싯대를 위치시킨다. 집게손가락(102)과 가운뎃손가락(103)의 사이에 낚싯대를 통과시키도록 한다. 집게손가락(102)은 낚싯대의 상측에 위치시킨다. 집게손가락(102)은, 양축 릴(3)의 전면에 당접시킨다. 낚싯대의 상측에는 양축 릴(3)이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그 양축 릴(3)에 집게손가락(102)을 앞쪽으로부터 걸도록 한다. 집게손가락(102)이, 낚싯대를 지지하기 위한 두번째의 지점이 된다. 집게손가락(102)으로 양축 릴(3)을 뒤쪽, 즉 가장 앞쪽으로 당긴다.
가운뎃손가락(103)은 낚싯대의 하측에 위치시킨다. 가운뎃손가락(103)은 이동 후드(12)의 트리거(33)에 건다. 가운뎃손가락(103)은, 낚싯대를 사이에 두고, 집게손가락(102)의 대략 직하(直下)의 위치 혹은 약간 뒤쪽에 위치한다. 가운뎃손가락(103)과 트리거(33)와의 관계를 도 12에 도시하고 있다. 가운뎃손가락(103)은 트리거(33)의 전면(34)에 당접한다. 가운뎃손가락(103)은 트리거(33)의 후면(35)에는 당접하지 않고, 트리거(33)의 전면(34)에만 당접한다. 트리거(33)의 전면(34)으로의 가운뎃손가락(103)의 당접 상태는 여러 가지여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트리거(33)의 전면(34)에 가운뎃손가락(103)의 지두(指頭)의 지복(指腹)을 당접시키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바람직하게는, 도 12와 같이, 가운뎃손가락(103)의 제1 관절을 트리거(33)의 전면(34)의 좌우 방향 중앙부에 위치시키고, 제1 관절의 양측의 지복 부분을 트리거(33)의 전면(34)의 좌부와 우부에 각각 밀착시킨다. 트리거(33)의 돌출 길이는 가운뎃손가락(103)의 폭에 상당하는 길이이기 때문에, 가운뎃손가락(103)의 전폭(全幅)을 트리거(33)의 전면(34)에 바짝 댈 수 있다. 또한, 가운뎃손가락(103)에 대하여 트리거(33)가 하측으로 거의 돌출하지 않는다. 가운뎃손가락(103)이, 낚싯대를 지지하기 위한 세번째의 지점이 된다. 가운뎃손가락(103)으로 트리거(33)를 가장 앞쪽으로 당긴다.
남은 2개의 손가락인 약손가락(104)과 새끼손가락(105)은, 그립체(13)의 하면에 당접시킨다. 약손가락(104)과 새끼손가락(105)은 트리거(33)로부터 뒤쪽으로 떨어져 위치한다. 약손가락(104)과 새끼손가락(105) 중 주로 새끼손가락(105)으로 그립체(13)를 파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약손가락(104)은 그립체(13)에 가볍게 붙이는 정도로 무방하다. 새끼손가락(105)이, 낚싯대를 지지하기 위한 네번째의 지점이 된다. 새끼손가락(105)으로 낚싯대를 상측으로 누른다.
이와 같이 낚싯대를 파지하면, 모지구(101), 집게손가락(102), 가운뎃손가락(103), 및 새끼손가락(105)으로 낚싯대를 4점 지지할 수 있다. 양축 릴(3)의 전부의 상하 2개소와 양축 릴(3)의 후부의 상하 2개소의 합계 4개소의 지지이다. 또한, 낚싯대의 상측의 전후 2개소와 하측의 전후 2개소의 합계 4개소의 지지이다. 그 때문에 낚싯대를 용이하게 안정시킬 수 있다. 양축 릴(3)은 낚싯대의 상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양축 릴(3)의 무게로 낚싯대가 좌우로 회전하기 쉽다. 핸들(6)을 왼손으로 회전시키는 경우도, 핸들(6)의 회전 조작에 수반하여 낚싯대가 좌우로 흔들리기 쉽다. 그렇지만, 이와 같이 4점으로 지지하는 것에 의하여 낚싯대의 좌우의 회전이나 흔들림을 용이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작은 힘으로 낚싯대를 파지할 수 있어, 낚시꾼의 부담이 작다. 또한, 도 11과 같이, 손바닥이 팔에 대하여 곧게 앞으로 편 상태에서 낚싯대를 파지할 수 있고, 손바닥과 팔이 일직선 상이 된다. 즉, 손목이 구부러지기 어려워진다. 환언하면, 손을 곧게 편 상태에서, 그대로 손을 쥐어 낚싯대를 파지한다고 하는 감각에 가깝다. 그 때문에, 손목의 부담이 작고, 장시간 편하게 낚싯대를 가지고 낚시를 행할 수 있다. 게다가, 손바닥이나 팔에 대하여 낚싯대가 동일 선상에 위치하기 때문에, 낚싯대와 손과의 일체감이 높아지고, 낚싯대가 손의 연장(延長)이 된다.
또한, 도 11에 화살표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약손가락(104)을 굴신시키는 것으로 핸들(6)을 약손가락(104)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쥐치 낚시에 있어서는, 낚싯대를 상하로 셰이크(shake)시키면서, 이른바 「두드림 낚시」라고 하는 동작을 행하는 경우가 있다. 그와 같은 경우에는, 낚싯대를 들고 있는 한 손, 도 11의 경우는 오른손만으로 낚싯대를 상하로 조금씩 진동시킨다. 그 때에, 낚싯줄이 팽팽히 당겨지지 않고 느슨하게 되는 것이 나온 경우 등에는, 약손가락(104)으로 핸들(6)을 회전시켜 낚싯줄이 팽팽히 당겨지지 않고 느슨하게 되는 것을 취할 수 있다. 즉, 한 손만으로 낚싯대의 액션과 핸들(6)의 회전 조작을 행할 수 있다. 그와 같이 약손가락(104)으로 핸들(6)을 회전시킬 때, 트리거(33)에 약손가락(104)이 간섭하지 않기 때문에, 약손가락(104)으로 핸들(6)을 부드럽게 회전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약손가락(104)을 굴신시켜도, 낚싯대를 4점으로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낚싯대가 안정되어 있어, 핸들(6)을 용이하게 회전 조작할 수 있다.
상술과 같은 잡는 방법은 일례이고, 잡는 방법은 낚시꾼이 임의로 결정할 수 있다. 도 13과 같은 잡는 방법을 할 수도 있다. 도 11의 잡는 방법과 달리, 집게손가락(102)을 트리거(33)에 건다. 가운뎃손가락(103), 약손가락(104) 및 새끼손가락(105)은, 그립체(13)를 파지한다. 가운뎃손가락(103)으로 핸들(6)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모지구(101)와 집게손가락(102)과 새끼손가락(105)의 3점으로 낚싯대를 지지할 수 있다. 이 3점 지지의 경우도 낚싯대를 용이하게 안정시킬 수 있다.
덧붙여, 릴 시트(2)에 양축 릴(3)을 취부한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스피닝 릴을 취부하여도 무방하다. 스피닝 릴의 경우는, 통상, 낚싯대의 하측에 스피닝 릴이 위치하고, 이동 후드(12)의 트리거(33)는, 낚싯대의 상측에 위치한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으로, 제2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이동 후드(12), 릴 시트(2) 및 낚싯대에 관하여 설명한다. 단,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에 관하여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4 ~ 도 21에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이동 후드(12)를 단체의 상태로 도시하고 있다. 제2 실시 형태의 이동 후드(12)는, 계합 돌조(31)를 좌우 한 쌍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동 후드(12)는, 도 16 및 도 20과 같이, 제1 실시 형태의 이동 후드(12)보다도 트리거(33)가 앞쪽에 위치하고 있다. 트리거(33)는, 이동 후드(12)의 전후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위치하고 있다. 트리거(33)의 전면(34)의 좌우 방향 중앙부(폭 방향 중앙부)에는, 곡률 반경이 다른 부분보다도 작은 미근부(尾根部)(34c)가 세로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이 미근부(34c)를 손가락의 제1 관절에 위치시킬 수 있다. 트리거(33)의 후면(35)에는 상술과 같은 오목부(36)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도 21과 같이, 트리거(33)의 후면(35)은, 횡단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뒤쪽으로 약간 팽출하고 있지만, 그 팽출량 혹은 팽출의 정도는, 트리거(33)의 전면(34)의 팽출량이나 팽출의 정도보다도 작다. 트리거(33)의 후면(35)는, 뒤쪽으로 약간 팽출하고 있는 정도이다. 트리거(33)의 후면(35)은, 좌우 방향을 따라 약간 뒤쪽 볼록하게 만곡하고 있지만, 그 곡률 반경은 크게 평면에 가깝다.
도 22에 낚싯대에 양축 릴(3)을 취부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릴 시트(2)와 장대 본체(1)와의 사이에는, 장식용의 통체(筒體)(7)를 구비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통체(7)는 예를 들어 금속제로 할 수 있다. 덧붙여, 양축 릴(3)은 오른쪽 핸들 사양이다. 따라서, 왼손으로 낚싯대를 파지하게 된다. 이 릴 시트(2)는 그립체(13)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4점 지지의 잡는 방법의 경우에는, 약손가락(104)과 새끼손가락(105)은 릴 시트 본체(10)를 파지하게 된다.
또한, 도 23에는, 낚싯대에 스피닝 릴(4)을 취부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스피닝 릴(4)은 오른쪽 핸들 사양이어도 무방하고 왼쪽 핸들 사양이어도 무방하지만, 도 23에는 왼쪽 핸들 사양의 것을 도시하고 있다. 오른손으로 낚싯대를 파지한다. 릴 시트(2)는, 도 22에 도시한 상태와는 상하 반대 방향이 된다. 릴 시트 본체(10)의 릴 부착부(20)나 이동 후드(12)의 후드부(32), 릴 시트 본체(10)의 고정 후드부(21)는 하측에 위치한다. 이동 후드(12)의 트리거(33)는 상측에 위치하고, 상측을 향하여 돌출한 상태가 된다. 릴 다리는 릴 시트 본체(10)의 릴 다리 취부부(20)에 하측으로부터 취부된다. 릴 다리의 전단부(5a)는, 릴 다리의 발목부(5c)로부터 앞쪽으로 연장되어 있어, 이동 후드(12)의 후드부(32)에 보지된다. 릴 다리의 후단부(5b)는, 릴 다리의 발목부(5c)로부터 뒤쪽으로 연장되어 있어, 릴 시트 본체(10)의 고정 후드부(21)에 보지된다.
도 24에 잡는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엄지손가락(100)은 릴 시트(2)의 상측에 위치시킨다. 엄지손가락(100)은 릴 시트 본체(10)의 상면에 당접시켜도 무방하고, 릴 시트 본체(10)로부터 띄워도 무방하다. 모지구(101)를 릴 시트 본체(10)의 후부로부터 장대 본체(1)에 걸쳐 당접시킨다. 모지구(101)가 첫번째의 지점이 된다.
집게손가락(102)을 트리거(33)에 건다. 집게손가락(102)이 두번째의 지점이 된다. 가운뎃손가락(103)과 약손가락(104)의 사이에 릴 다리의 발목부(5c)를 위치시킨다. 가운뎃손가락(103)은 릴 다리의 발목부(5c)의 앞쪽에 위치시킨다. 가운뎃손가락(103)을 릴 다리의 발목부(5c)에 앞쪽으로부터 당접시켜도 무방하며, 그 경우, 가운뎃손가락(103)이 세번째의 지점이 된다. 약손가락(104)과 새끼손가락(105)은 릴 다리의 발목부(5c)의 뒤쪽에 위치시킨다. 약손가락(104)은 릴 다리의 발목부(5c)로부터 뒤쪽으로 사이를 띄워 위치시킨다. 새끼손가락(105)이 네번째의 지점이 된다. 이와 같이 모지구(101), 집게손가락(102), 가운뎃손가락(103) 및 새끼손가락(105)의 4점으로 낚싯대를 지지할 수 있다. 이 잡는 방법으로는, 손목이 구부러지기 어렵고, 자연스러운 상태로 낚싯대를 파지할 수 있다.
<그 외의 실시 형태>
릴 시트(2)의 다른 바리에이션(variation)의 대표예를 몇 개인가 든다. 도 25와 같이, 릴 시트 본체(10)가 제2 트리거(40)를 가지고 있어도 무방하다. 제2 트리거(40)는, 릴 시트 본체(10)의 하면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트리거(40)는, 예를 들어 릴 시트 본체(10)의 하면의 후부에 위치하고 있다. 릴 시트 본체(10)의 제2 트리거(40)는, 이동 후드(12)의 트리거(33)로부터 뒤쪽으로 떨어져 위치한다. 릴 시트 본체(10)의 제2 트리거(40)는, 이동 후드(12)의 트리거(33)보다도 돌출 길이가 크고, 이동 후드(12)의 트리거(33)보다도 하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릴 시트(2)에는, 주로 양축 릴(3)이 취부된다. 릴 시트(2)의 뒤쪽의 위치에 통상의 그립체(14)가 설치된다. 그립체(14)는 장대 본체(1)에 장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4점 지지로 파지한 경우, 새끼손가락(105)을 릴 시트 본체(10)의 제2 트리거(40)에 앞쪽으로부터 당접시킬 수 있다. 상술한 3점 지지의 경우에는, 릴 시트 본체(10)의 제2 트리거(40)를 약손가락(104)과 새끼손가락(105)의 사이에 위치시킬 수도 있다. 또한, 이동 후드(12)에 손가락을 걸지 않는 잡는 방법에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릴 시트 본체(10)의 제2 트리거(40)를 집게손가락(102)과 가운뎃손가락(103)으로 사이에 두거나 할 수 있다.
도 26에 도시하는 릴 시트(2)는, 제1 실시 형태의 릴 시트(2)와 마찬가지로, 그립체(13)를 구비하고 있다. 그립체(13)의 하면에 돌기(50)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50)는, 예를 들어 도 25의 제2 트리거(40)보다도 하방으로의 돌출 길이가 작다. 돌기(50)는, 이동 후드(12)의 트리거(33)보다도 돌출 길이가 작다. 이 돌기(50)는, 예를 들어, 약손가락(104)과 새끼손가락(105)의 사이에 위치시킬 수 있다.
도 27 및 도 28에 도시하는 릴 시트(2)는, 하측으로 크게 팽출한 파밍(palming) 그립부(60)를 구비하고 있다. 릴 시트(2)는, 릴 시트 본체(10)와, 이동 후드(12)와, 이동 후드(12)용의 너트(11)와, 보지용 너트(61)를 구비하고 있다. 릴 시트 본체(10)는, 릴 다리 취부부(20)와, 고정 후드부(21)와, 이동 후드(12)용의 수나사부(22)와, 파밍 그립부(60)와, 보지용 수나사부(63)를 구비하고 있다. 보지용 수나사부(63)는 고정 후드부(21)보다도 뒤쪽에 위치하고 있다. 그 보지용 수나사부(63)에 보지용 너트(61)가 나착(螺着)하고 있다.
릴 시트 본체(10)는, 서로 별체로 형성된 고정 부재(64)와 교환 부재(65)를 구비하고 있다. 고정 부재(64)는, 릴 시트 본체(10)의 주요부를 구성하고 있고, 전체적으로 통상이다. 고정 부재(64)는 장대 본체(1)에 고정된다. 고정 부재(64)는, 릴 다리 취부부(62)와 고정 후드부(21)와 후드용의 수나사부(22)와 보지용 수나사부(63)를 가지고 있다. 교환 부재(65)는, 고정 부재(64)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다. 교환 부재(65)는, 고정 부재(64)에 대하여 하측을 향하여 분리 가능하고, 하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고정 부재(64)에 취부된다. 교환 부재(65)가 파밍 그립부(60)를 가지고 있다. 보지용 너트(61)를 느슨하게 하여 뒤쪽으로 후퇴시킨 상태에서 교환 부재(65)를 고정 부재(64)에 착탈할 수 있다. 보지용 너트(61)를 회전시켜 전진시키는 것에 의하여, 보지용 너트(61)가 교환 부재(65)를 앞쪽으로 누른다. 교환 부재(65)는, 고정 부재(64)와 보지용 너트(61)에 의하여 전후로 협지되어 고정된다.
1: 장대 본체
2: 릴 시트
3: 양축 릴
4: 스피닝 릴
5a: 릴 다리의 전단부
5b: 릴 다리의 후단부
5c: 릴 다리의 발목부
6: 핸들
7: 통체
10: 릴 시트 본체
11: 너트
12: 이동 후드
12a: 중심선
13: 그립체
14: 그립체
20: 릴 다리 취부부
21: 고정 후드부
22: 수나사부
30: 환상 돌조
31: 계합 돌조
32: 후드부
33: 트리거
34: 전면
34a: 기단 측 영역
34b: 선단 측 영역
34c: 미근부
35: 후면
36: 오목부
40: 제2 트리거
50: 돌기
60: 파밍 그립부
61: 보지용 너트
63: 보지용 수나사부
64: 고정 부재
65: 교환 부재
100: 엄지손가락
101: 모지구
102: 집게손가락
103: 가운뎃손가락
104: 약손가락
105: 새끼손가락

Claims (7)

  1. 앞쪽에 통상(筒狀)의 이동 후드를 구비하고, 이동 후드는, 릴 다리의 전단부(前端部)를 덮기 위한 후드부를 가지는 통상의 릴 시트에 있어서,
    이동 후드는, 외주면(外周面)의 전체 둘레 중 후드부와는 반대 측의 부분에, 손가락을 앞쪽으로부터 걸기 위한 트리거(trigger)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용 릴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트리거의 전면(前面)은, 폭 방향을 따라 앞쪽 볼록하게 만곡한 형상이고, 트리거의 후면(後面)은, 오목부를 가지는 형상인 낚싯대용 릴 시트.
  3. 제1항에 있어서,
    트리거의 전면은, 폭 방향을 따라 앞쪽 볼록하게 만곡한 형상이고, 트리거의 후면은, 횡단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뒤쪽으로의 팽출량(膨出量)이 전면의 앞쪽으로의 팽출량보다도 작은 형상인 낚싯대용 릴 시트.
  4. 제1항 내지 제3항에 있어서,
    트리거의 돌출 길이는, 손가락 1개분의 폭에 상당하는 낚싯대용 릴 시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트리거의 전면의 선단(先端) 측 영역은, 이동 후드의 경(徑)방향에 대하여 앞쪽으로 10도 이하의 경사 각도로 경사하고 있고, 또한, 릴을 취부(取付)한 상태에 있어서, 트리거의 전면의 선단 측 영역은, 이동 후드의 경방향을 따르거나 또는 이동 후드의 경방향에 대하여 앞쪽으로 경사한 상태가 되는 낚싯대용 릴 시트.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낚싯대용 릴 시트를 구비한 낚싯대.
  7. 릴 다리의 전단부를 덮기 위한 후드부를 가지는 통상의 이동 후드에 있어서,
    외주면의 전체 둘레 중 후드부와는 반대 측의 부분에, 손가락을 앞쪽으로부터 걸기 위한 트리거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용 릴 시트의 이동 후드.
KR1020190070985A 2018-07-31 2019-06-14 낚싯대용 릴 시트 및 낚싯대 및 낚싯대용 릴 시트의 이동 후드 KR102653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40572A KR20240046134A (ko) 2018-07-31 2024-03-25 낚싯대용 릴 시트
KR1020240040573A KR20240046135A (ko) 2018-07-31 2024-03-25 낚싯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43134 2018-07-31
JP2018143134A JP7080761B2 (ja) 2018-07-31 2018-07-31 釣竿用リールシート及び釣竿並びに釣竿用リールシートの移動フード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40573A Division KR20240046135A (ko) 2018-07-31 2024-03-25 낚싯대
KR1020240040572A Division KR20240046134A (ko) 2018-07-31 2024-03-25 낚싯대용 릴 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4190A true KR20200014190A (ko) 2020-02-10
KR102653297B1 KR102653297B1 (ko) 2024-04-02

Family

ID=69227907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0985A KR102653297B1 (ko) 2018-07-31 2019-06-14 낚싯대용 릴 시트 및 낚싯대 및 낚싯대용 릴 시트의 이동 후드
KR1020240040572A KR20240046134A (ko) 2018-07-31 2024-03-25 낚싯대용 릴 시트
KR1020240040573A KR20240046135A (ko) 2018-07-31 2024-03-25 낚싯대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40572A KR20240046134A (ko) 2018-07-31 2024-03-25 낚싯대용 릴 시트
KR1020240040573A KR20240046135A (ko) 2018-07-31 2024-03-25 낚싯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617359B2 (ko)
JP (1) JP7080761B2 (ko)
KR (3) KR102653297B1 (ko)
TW (2) TWI81898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84734B2 (ja) * 2020-04-28 2023-05-31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釣竿用リールシート及び釣竿
JP7395439B2 (ja) 2020-07-28 2023-12-11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リールシート
JP7562472B2 (ja) * 2021-04-28 2024-10-07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リールシート
US20220394966A1 (en) * 2021-06-14 2022-12-15 Samuel Climer Casting Rod Handle
JP2024017190A (ja) * 2022-07-27 2024-02-08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釣竿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3015Y1 (ko) * 1986-07-08 1990-04-12 시마노 고오교오 가부시기 가이샤 낚싯대에 있어서의 고정후드의 부착구조
KR100462978B1 (ko) * 2000-12-08 2004-12-23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낚싯대용 릴시트와 낚싯대
JP3117959U (ja) * 2005-10-25 2006-01-19 太平 大橋 釣竿用トリガー
JP2008220213A (ja) * 2007-03-09 2008-09-25 Shimano Inc 釣り竿
JP4722049B2 (ja) * 2004-08-23 2011-07-13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竿と釣り竿用リールシート
JP2011135815A (ja) 2009-12-28 2011-07-14 Globeride Inc リール装着部を有する釣竿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3826Y2 (ja) * 1981-09-11 1984-04-23 富士工業株式会社 釣竿用トリガ−
JPH01168164U (ko) * 1988-05-19 1989-11-27
US4850130A (en) * 1988-08-10 1989-07-25 Lew Childre & Sons, Inc. Sliding foregrip for a fishing rod
JP2511718Y2 (ja) * 1992-06-16 1996-09-25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釣竿用キャスティングハンドル
US6105302A (en) * 1995-12-27 2000-08-22 Daiwa Seiko, Inc. Fishing rod having improved gripping portion
US5797554A (en) * 1996-10-09 1998-08-25 Brunswick Corporation Cushion grip for fishing reel
US6098333A (en) * 1997-02-12 2000-08-08 Wickizer; Kirk C. Leverage feature for a fishing rod handle
JP3117959B2 (ja) * 1997-11-07 2000-12-18 セイコー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オーダーエントリーシステム
US6378238B1 (en) * 2000-09-28 2002-04-30 Wu Shiung Lu Fishing rod structure
JP4159404B2 (ja) * 2003-05-16 2008-10-01 富士工業株式会社 釣竿用リールの取り付け構造及び釣竿用可動フード体
JP2010273586A (ja) * 2009-05-27 2010-12-09 Shimano Inc リールシート
JP5337131B2 (ja) * 2010-11-02 2013-11-06 株式会社林釣漁具製作所 スピニングリール用リールシート
US20150040463A1 (en) * 2013-08-09 2015-02-12 Yi-Te Lin Support Device For A Fishing Reel
KR101466540B1 (ko) * 2013-09-10 2014-11-27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릴 시트용 가동 후드, 릴 시트 및 이를 구비하는 낚싯대
JP6757263B2 (ja) * 2017-01-19 2020-09-16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リール固定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3015Y1 (ko) * 1986-07-08 1990-04-12 시마노 고오교오 가부시기 가이샤 낚싯대에 있어서의 고정후드의 부착구조
KR100462978B1 (ko) * 2000-12-08 2004-12-23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낚싯대용 릴시트와 낚싯대
JP4722049B2 (ja) * 2004-08-23 2011-07-13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竿と釣り竿用リールシート
JP3117959U (ja) * 2005-10-25 2006-01-19 太平 大橋 釣竿用トリガー
JP2008220213A (ja) * 2007-03-09 2008-09-25 Shimano Inc 釣り竿
JP2011135815A (ja) 2009-12-28 2011-07-14 Globeride Inc リール装着部を有する釣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037590A1 (en) 2020-02-06
JP2020018189A (ja) 2020-02-06
KR20240046135A (ko) 2024-04-08
TWI818984B (zh) 2023-10-21
KR102653297B1 (ko) 2024-04-02
KR20240046134A (ko) 2024-04-08
JP7080761B2 (ja) 2022-06-06
US11617359B2 (en) 2023-04-04
TW202007269A (zh) 2020-02-16
TW202416828A (zh) 2024-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14190A (ko) 낚싯대용 릴 시트 및 낚싯대 및 낚싯대용 릴 시트의 이동 후드
JP7410203B2 (ja) リールシート及びリールシートの交換部材
JP7376449B2 (ja) リールシート
JP4498937B2 (ja) 釣竿
JP7013277B2 (ja) リールシートのアタッチメント及び釣竿
JP2007195489A (ja) 釣竿
JP5000568B2 (ja) 釣り竿
TWI810826B (zh) 捲線器座及具備該捲線器座的釣竿
JP2007029052A (ja) 釣竿
JP2003310108A (ja) リール装着部を有する釣竿
JPH07115879A (ja) 釣竿用キャスティングハンドル
JP7541916B2 (ja) リールシート
JP4408841B2 (ja) リール脚固定装置
JP7572851B2 (ja) 釣竿用のリールシート
JP2007202454A (ja) 釣竿
JP7057181B2 (ja) サポートグリップ
JP2022024540A (ja) リールシート
JP2008271864A (ja) 釣竿
KR20230115911A (ko) 릴 시트 및 낚싯대
JP2510594Y2 (ja) 大物用釣竿
JP3969540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専用のルアーロッド
JP2007295805A (ja) 釣竿
JP2000125710A (ja) 釣 竿
CN114631515A (zh) 钓竿用的卷线器底座
JP2004024162A (ja) 釣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