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6540B1 - 릴 시트용 가동 후드, 릴 시트 및 이를 구비하는 낚싯대 - Google Patents

릴 시트용 가동 후드, 릴 시트 및 이를 구비하는 낚싯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6540B1
KR101466540B1 KR1020140065929A KR20140065929A KR101466540B1 KR 101466540 B1 KR101466540 B1 KR 101466540B1 KR 1020140065929 A KR1020140065929 A KR 1020140065929A KR 20140065929 A KR20140065929 A KR 20140065929A KR 101466540 B1 KR101466540 B1 KR 1014665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d
hood portion
reel
reel sea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5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히토 오무라
Original Assignee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to CN201480049073.8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5517433B/zh
Priority to JP2015536533A priority patent/JP5919442B2/ja
Priority to PCT/JP2014/073031 priority patent/WO2015037471A1/ja
Priority to US14/911,230 priority patent/US9832981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6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65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6Devices for fixing reels on ro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디와 가동 후드 사이에 단차가 없고 그립감이 양호한 릴 시트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의 가동 후드는, 릴 시트의 바디가 관통하고 릴의 부착 다리 중 하나를 바디에 압박하여 고정하는 후드부와, 바디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후드부에 연결되고, 내주면에서 바디의 외주면과 나사결합하는 너트부를 가진다. 후드부는 바디의 길이방향에서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해 바디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한 쌍의 제1 가이드 돌기와 제2 가이드 돌기를 가진다. 한 쌍의 제1 가이드 돌기는 후드부의 중심축 위쪽에서 후드부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제2 가이드 돌기는 후드부의 하단에서 후드부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한다. 후드부의 횡단면에서의 반경방향 두께는 제1 가이드 돌기로부터 제2 가이드 돌기로 갈수록 감소한다.

Description

릴 시트용 가동 후드, 릴 시트 및 이를 구비하는 낚싯대{MOVABLE HOOD FOR REEL SEAT, REEL SEAT AND FISHING ROD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릴을 낚싯대에 장착하기 위해 낚싯대에 부착되는 릴 시트 및 릴의 부착 다리를 고정하기 위해 릴 시트에 사용되는 가동 후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가동 후드 또는 릴 시트를 구비하는 낚싯대에 관한 것이다.
스피닝 릴, 베이트 캐스팅 릴과 같은 낚싯대용 릴은 릴 시트에 의해 낚싯대에 장착된다. 릴 시트의 예로서, 낚싯대의 외면에 부착되는 평판형 릴 시트 또는 낚싯대가 관통하는 원통형 릴 시트가 있다. 원통형의 릴 시트는, 예컨대, 릴의 부착 다리를 릴 시트의 바디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후드와 가동 후드를 가지며, 가동 후드는 릴 시트의 바디를 따라 이동 가능한 링형상을 가진다. 릴의 부착 다리 중 하나를 고정 후드에 의해 릴 시트의 바디에 고정하고, 가동 후드에 의해 릴의 부착 다리 중 다른 하나를 릴 시트의 바디에 고정하여, 릴은 릴 시트에 장착된다.
릴이 장착된 낚싯대를 잡을 때, 사용자는 릴 시트를 감싸쥐며, 사용자의 손가락은 고정 후드나 가동 후드의 하측 외면과 바디의 하측 외면에 닿게 된다. 가동 후드와 바디의 사이에는 단차(릴 시트의 바디의 외면과 가동 후드의 외면 사이의 높낮이차)가 존재하므로, 사용자는 자신의 손가락에 돌기물을 잡는 것 같은 이물감을 느낄 수 있으며 안정된 그립감으로 낚싯대를 잡을 수 없다. 이물감을 감소시키고 그립감을 향상시킨 릴 시트가 당해 분야에서 요구되고 있다.
일본 등록특허공보 제3053767호 일본 등록의장공보 제1409072호
일본 등록특허공보 제3053767호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시트의 바디와 가동 후드 사이의 단차를 감소시킨 릴 시트(10)를 개시한다. 이 특허문헌에 의하면, 가동 후드(13)와 바디(11) 사이의 단차를 줄이기 위해, 원통형의 금속부재가 가동 후드(13)에 씌워진다. 그러나, 금속부재를 가동 후드(13)에 사용하면, 릴 시트(10)의 중량이 무거워지고, 다양한 형상의 설계를 보장하지 못한다.
또한, 일본 등록의장공보 제1409072호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지 재료로 이루어진 릴 시트의 가동 후드를 개시한다. 가동 후드를 수지 재료로 형성하면, 가동 후드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가동 후드의 두께를 두껍게 해야만 하는데, 이로 인해 오히려 릴 시트의 바디와 가동 후드 사이에 단차가 커지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경량이고 다양한 형상의 설계를 가능하게 하는 수지 재료로 형성되고, 릴의 부착 다리를 고정하는 부위의 반대쪽의 부위의 두께가 얇아 릴 시트의 바디에 대한 단차를 감소시킨 가동 후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릴의 부착 다리를 고정하는 부위의 반대쪽의 부위의 두께가 얇고 이러한 부위의 강도가 향상된 가동 후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가동 후드를 구비하여 그립감이 양호한 릴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가동 후드 또는 릴 시트를 구비하는 낚싯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낚싯대에 릴을 장착하기 위한 릴 시트에 사용되는 가동 후드가 제공된다.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 릴 시트용 가동 후드는, 릴 시트의 바디가 관통하고 릴의 부착 다리를 릴 시트의 바디에 압박하여 고정하는 후드부와, 상기 바디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상기 후드부에 연결되고, 내주면에서 상기 바디의 외주면과 나사결합하는 너트부를 구비한다. 상기 후드부는 상기 바디의 길이방향에서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바디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한 쌍의 제1 가이드 돌기와 제2 가이드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제1 가이드 돌기는 상기 후드부의 중심축 위쪽에서 상기 후드부의 내주면에서 돌출하고, 상기 제2 가이드 돌기는 상기 후드부의 하단에서 상기 후드부의 내주면에서 돌출한다. 상기 후드부의 길이방향에서의 일부분의 횡단면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에서의 일부분의 반경방향 두께는 상기 제1 가이드 돌기로부터 상기 제2 가이드 돌기로 갈수록 감소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에서의 일부분의 횡단면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돌기의 종방향 두께는 상기 제2 가이드 돌기의 횡방향 두께보다 크고, 상기 제2 가이드 돌기의 횡방향 두께는 상기 후드부의 하단에서의 종방향 두께보다 크다. 또, 상기 길이방향에서의 일부분의 횡단면에 있어서, 상기 후드부의 하단에서의 종방향 두께는 상기 제1 가이드 돌기의 하단에서의 상기 후드부의 횡방향 두께보다 작다. 또,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에서의 일부분의 횡단면에 있어서, 상기 후드부의 하단에서의 종방향 두께는 상기 제1 가이드 돌기의 하단에서의 상기 후드부의 횡방향 두께의 35% 내지 80%이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후드부의 종단면에 있어서, 상기 후드부의 하반부의 종방향 두께는 상기 후드부의 후단으로 갈수록 감소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릴 시트에 관련된다.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 릴 시트는, 바디와, 고정 후드와,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가동 후드를 구비한다. 상기 바디는, 릴의 한 쌍의 부착 다리가 안착하는 안착부를 상측에 구비하고, 일단부의 외주면에 수나사를 구비하며, 길이방향으로 낚싯대의 일부가 관통하는 보어를 구비한다. 상기 가동 후드는 상기 일단부에 위치되고 상기 한 쌍의 부착 다리 중 하나를 상기 바디의 안착부에 고정하며, 상기 가동후드의 너트부는 그 내주면에서 상기 수나사와 나사결합한다. 상기 고정 후드는 상기 바디의 타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한 쌍의 부착 다리 중 다른 하나를 상기 바디의 안착부에 고정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낚싯대에 관련된다. 실시예의 낚싯대는 전술한 릴 시트용 가동 후드 또는 전술한 릴 시트를 구비한다.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의 가동 후드에 의하면, 후드부의 하반부의 반경방향 두께가 후드부의 하단으로 갈수록 감소하여 후드부의 하단에서의 종방향의 두께가 가장 작고, 후드부는 릴의 부착 다리로부터의 반력에 의해 후드부에 가해지는 상향의 힘을 제1 가이드 돌기 및 제2 가이드 돌기에 부하가 걸리게 하여 분산시킨다. 따라서, 가동 후드의 후드부는 하반부의 두께를 얇게 하면서도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두께가 감소하는 후드부의 하반부가 휘어 릴 시트의 바디에 접촉하게 되므로, 후드부는 상향의 힘을 더욱 분산시키면서 바디에 대한 단차를 더욱 감소시켜, 그립감 및 홀드감이 양호한 릴 시트를 달성한다. 또, 후드부의 하반부의 휨에 수반하는 탄성에 의해, 후드부는 릴의 부착 다리를 덜걱거림 없이 바디에 고정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릴 시트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a는 종래의 가동 후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하는 가동 후드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가 낚싯대에 부착되고 그 위에 릴이 장착된 것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하는 릴 시트의 바디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하는 릴 시트의 바디의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하는 가동 후드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하는 가동 후드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IX-IX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서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1은 도 9와 유사한 단면도로서, 가동 후드의 후드부와 너트부를 분리하여 도시한다.
도 12는 도 8의 XII-X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서의 B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4는 도 4의 XIV-XIV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와 유사한 단면도로서, 가동 후드의 후드부에 걸리는 상향의 힘이 분산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 16은 도 4의 XVI-XV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6과 유사한 단면도로서, 가동 후드의 후드부에 걸리는 상향의 힘이 분산되고 가동 후드의 하단과 바디의 하단 사이에 단차가 감소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 3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릴 시트용 가동 후드의 실시예와 이를 구비하는 릴 시트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17에 있어서,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 또는 대응하는 요소 또는 부품을 지시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전방', '전' 등의 방향지시어는,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를 이른바 다운로크(down lock) 형태로 낚싯대에 부착하는 경우에 낚싯대의 선단 측을 향하는 방향(예컨대, 도 3에서 화살표(T)로 지시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후방', '후' 등의 방향지시어는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를 이른바 다운로크(down lock) 형태로 낚싯대에 부착하는 경우에 낚시대의 후단 측을 향하는 방향(예컨대, 도 3에서 화살표(B)로 지시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상방', '상' 등의 방향지시어는 릴 시트에 대하여 릴이 장착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고, '하방', '하' 등의 방향지시어는 그 반대방향을 의미한다.
도 3에 도시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100)는, 베이트 캐스팅 릴(이하, 간단히 '릴'이라 한다)(300)을 낚싯대(200)에 장착하는데 사용된다. 릴 시트(100)에 장착될 수 있는 릴이 도 3에 도시하는 릴(300)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예컨대 스피닝 릴과 같은 다른 릴을 포함할 수 있다.
릴(300)은, 낚싯줄이 감기는 스풀, 스풀을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 등을 구비하며, 릴 시트(100)에의 부착을 위한 한 쌍의 부착 다리(310)를 가진다. 한 쌍의 부착 다리(310)는 대략 직선형으로 연장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한 쌍의 부착 다리(310)는 전방 부착 다리(310F)와 후방 부착 다리(310R)로 이루어진다. 전방 부착 다리(310F)는 그 선단으로 갈수록 횡단면적이 축소하는 선단부를 가지며, 후방 부착 다리(310R)는 그 후단으로 갈수록 횡단면적이 축소하는 후단부를 가진다. 즉, 전방 부착 다리(310F)와 후방 부착 다리(310R)는 그 선단 또는 후단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따라서, 전방 부착 다리(310F)는 그 선단부의 상측에 선단으로 기울어진 사면(311F)을 가지며, 후방 부착 다리(310R)는 그 후단부의 상측에 후단으로 기울어진 사면(311R)을 가진다. 전방 부착 다리(310F)의 선단부는 후술하는 릴 시트의 전방 삽입 공동에 삽입되고, 후방 부착 다리(310R)의 후단부는 후술하는 릴 시트의 후방 삽입 공동에 삽입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릴 시트(100)는, 바디(110)와, 고정 후드(120)와, 가동 후드(130)를 구비한다. 가동 후드(130)와 고정 후드(120)는 바디(110)의 길이방향에서 대향하는 각 단부에 위치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가동 후드(130)는 바디(110)의 일단부(바디(110)의 길이방향에서의 전단부)에 위치하며, 바디(1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가동 후드(130)는 릴(300)의 한 쌍의 부착 다리(310) 중 하나(실시예에서는 전방 부착 다리(310F))를 바디(110)에 고정한다. 고정 후드(120)는 가동 후드(130)의 반대쪽에 있는 바디(110)의 타단부(바디(110)의 길이방향에서의 후단부)에 위치하며, 릴(300)의 한 쌍의 부착 다리(310) 중 다른 하나(실시예에서는 후방 부착 다리(310R))를 바디(110)에 고정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고정 후드(120)가 바디(110)의 전단부에 위치할 수도 있고, 가동 후드(130)가 바디(110)의 후단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릴 시트(100)의 바디(110), 고정 후드(120), 가동 후드(130)는 수지 재료 또는 금속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릴 시트(100)의 가동 후드(130)는 수지 재료로 이루어져 있다.
도 3 내지 도 6 및 도 14를 참조하여, 릴 시트(100)의 바디(110)를 설명한다. 릴 시트(100)의 바디(110)는, 길이방향으로 보어(111)가 관통하여 연장하는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진다. 바디(110)의 보어(111)에는 낚싯대(200)의 블랭크(210)가 끼워져, 바디(110)를 관통한다.
바디(110)는 릴(300)의 부착 다리(310)를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부를 가진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바디(110)의 상측에 위치하고 바디(110)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의 평평한 안착면을 포함한다. 즉, 상기 안착부는 바디(110)의 앞쪽에 위치하는 전방 안착면(112F)과 바디(110)의 뒤쪽에 위치하는 후방 안착면(112R)을 포함한다. 전방 안착면(112F) 상에는 전방 부착 다리(310F)의 하면이 안착하고, 후방 안착면(112R) 상에는 후방 부착 다리(310R)의 하면이 안착한다.
바디(110)는 전단부에 그 전단으로부터 대략 전방 안착면(112F)의 전단까지 바디(11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수나사(113)를 가진다. 수나사(113)는 후술하는 가동 후드(130)의 너트부(130F)에 형성된 암나사와 나사결합된다.
또한, 바디(110)는 그 외주면에 가동 후드(130)의 바디(110)의 길이방향에서의 이동을 가이드 또는 안내하기 위한 한 쌍의 제1 가이드 홈(114L, 114R)과 제2 가이드 홈(115)을 가진다. 한 쌍의 제1 가이드 홈(114L, 114R)은 바디(110)의 중심축(CA)의 위쪽에서 서로 대향하며, 바디(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바디(110)의 전단으로부터 수나사(113)를 통과해 소정 길이로 연장한다. 제2 가이드 홈(115)은 바디(110)의 하단 중앙에 위치하며, 바디(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바디(110)의 전단으로부터 수나사(113)를 통과해 소정 길이로 연장한다.
또, 바디(110)는 안착부(112)의 반대쪽에서 하방으로 돌출하는 레버(116)를 가진다. 레버(116)는 바디(110)와 일체로 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릴 시트(110)를 잡을 때 사용자의 손가락이 걸리도록 기능한다. 예컨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의 새끼손가락이 레버(116)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사용자는 릴 시트(100)를 잡을 수 있다.
또, 바디(110)는 그 상측에 전방 안착면(112F)과 후방 안착면(112R)의 사이에 릴 시트(100)를 측면에서 볼 때 둥글게 오목한 상측 리세스(117)를 가진다. 상측 리세스(117)는 전단에서 전방 안착면(112F)과 이어지고 후단에서 후방 안착면(112R)과 이어진다. 상측 리세스(117)는 보어(111)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측 리세스(117) 내에는 보어(111)와 통하는 타원형의 개구(118)가 형성된다. 또, 바디(110)는 하측에 레버(116)의 전방에 위치하는 하측 리세스(119)를 가진다. 하측 리세스(119)는 바디(110)의 후단으로 갈수록 바디(110)의 내측으로 점점 더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릴 시트(100)를 잡을 때, 약손가락과 새끼손가락이 하측 리세스(119)에 들어가게 되므로, 사용자는 안정된 그립감으로 릴 시트(100)를 잡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의 릴 시트의 바디는 전술한 레버(116), 상측 리세스(117) 및 하측 리세스(118)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거나, 이들을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 릴 시트(100)는 바디(110)의 후단에 상보적으로 결합되는 그립부(140)를 구비한다. 그립부(140)는 바디(110)의 보어(111)와 동축을 갖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그 중앙의 보어에는 낚싯대(200)의 블랭크(210)가 압입된다.
고정 후드(120)는 바디(110)의 후방 상측에서 바디(110)와 일체로 되어 있다. 고정 후드(120)는 후방 안착면(112R)을 덮도록 형성된 커버부(122)를 구비한다. 커버부(122)의 내측 형상은 바디(110)의 후단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형상을 취한다. 따라서, 고정 후드(120)와 바디(110)의 후방 안착면(112R)과의 사이에는, 릴(300)의 후방 부착 다리(310R)가 삽입되는 후방 삽입 공동(121R)이 한정된다. 후방 삽입 공동(121R)의 횡단면 형상은 대략 원호형이며, 바디(110)의 후단으로 갈수록 그 상하의 폭이 축소한다. 따라서, 고정 후드(120)의 커버부(122)의 내면은 후방 부착 다리(310R)의 후단부의 사면(311R)과 접촉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고정 후드(120)는 별개의 부품으로 제조되어 바디(110)에 부착될 수도 있다.
도 3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릴 시트(100)에 사용되는 가동 후드(130)를 설명한다.
가동 후드(13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릴 시트(100)의 바디(110)가 가동 후드(130)에 끼워져 가동 후드(130)를 관통한다. 가동 후드(130)는, 바디(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이동가능하나 바디(110)의 둘레방향에서는 이동하지 않는 가동 부분과, 상기 가동 부분에 바디(110)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가동 부분을 바디(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바디(110)에 대하여 밀거나 당기기 위한 회전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 부분이 상기 가동 부분을 바디(110)의 길이방향으로 밀어붙이는 힘에 의해, 상기 가동 부분이 릴(300)의 전방 부착 다리(310F)를 바디(110)에 압박하여 바디(110)에 고정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가동 후드(130)의 상기 가동 부분은 가동 후드(130)의 후방에 위치하는 후드부(130R)이고, 가동 후드(130)의 상기 회전 부분은 가동 후드(130)의 전방에 위치하는 너트부(130F)이다.
너트부(130F)와 후드부(130R)는 대략 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안에 릴 시트(100)의 바디(110)가 관통하고 바디(110)의 중심축(CA)과 동축으로 된 보어(131)를 가진다. 너트부(130F)는 그 내주면에서 바디(110)와 나사결합하여, 바디(110)를 따라 나사운동에 의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며, 후드부(130R)는 너트부(130F)의 상기 전방 또는 후방의 이동에 의해, 고정 후드(120) 쪽으로 밀려지거나 고정 후드(120)로부터 멀어지게 당겨진다. 사용자가 낚싯대(200)를 잡을 때,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드부(130R)의 하반부에 사용자의 집게손가락 또는 가운뎃손가락이 접촉한다.
너트부(130F)는 후단으로 갈수록 외경이 커지는 형상, 즉 전방을 향해 테이퍼된 형상을 가진다. 너트부(130F)는 그 내주면에 바디(110)의 수나사(113)와 나사결합하는 암나사(132)를 가진다. 너트부(130F)는 후단측 내주면에, 후드부(130R)와의 연결을 위한 걸림 홈(133F)을 가진다. 걸림 홈(133F)은 너트부(130F)의 내주면의 원주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후드부(130R)는 전단에 너트부(130F)의 걸림 홈(133F)에 맞물리는 후크형상의 걸림 돌기(133R)를 가진다. 걸림 돌기(133R)는 후드부(130R)의 전단에 그 원주방향으로 단속적으로 또는 연속하여 연장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너트부(130F)는 그 후단에 상기 걸림돌기를 가질 수 있고, 후드부(130R)는 그 전단에 상기 걸림 홈을 가질 수 있다.
너트부(130F)의 걸림 홈(133F)에 후드부(130R)의 걸림 돌기(133R)가 맞물려서, 너트부(130F)는 후드부(130R)에 바디(110)의 중심축(CA)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연결된 후드부(130R)와 너트부(130F)가 자유 상태에 있을 때, 이들은 상대 회전 가능하다. 너트부(130F)의 암나사(132)가 바디(110)의 수나사(113)와 나사결합되므로, 너트부(130F)를 바디(110)에 대하여 회전시키면, 수나사(113)와 암나사(132)의 상호작용에 의해 너트부(130F)는 나사운동을 하여, 회전하면서 바디(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예컨대, 너트부(130F)를 바디(110)의 후단 쪽으로(고정 후드(120) 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너트부(130F)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이하, 이 때의 너트의 회전 방향을 '너트 조임 방향'이라고 한다), 나사결합된 바디(110)의 수나사(113)와 너트부(130F)의 암나사(132)에 의해, 너트부(130F)는 바디(110)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바디(110)의 후단 쪽으로 이동된다. 이 때, 너트부(130F)의 링형상의 후단면(134F)이 후드부(130R)의 걸림 돌기(133R)의 후방에 위치하는 링형상의 접촉면(134R)에 접촉하여, 너트부(130F)가 후드부(130R)를 바디(110)의 후단 쪽으로 밀게 된다. 후드부(130R)는 너트부(130F)의 미는 힘에 의해, 전방 안착면(112F) 상에 안착하고 있는 릴(300)의 전방 부착 다리(310F)를 그 상측 내면에서 바디(110)의 전방 안착면(112F)에 대해 압박하여, 후드부(130R)가 전방 부착 다리(310F)를 바디(110)에 대하여 고정하게 된다. 또한, 너트부(130F)를 바디(110)의 전단 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너트부(130F)를 상기 일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이하, 이 때의 너트의 회전 방향을 '너트 풀림 방향'이라고 한다), 바디(110)의 수나사(113)와 너트부(130F)의 암나사(132)에 의해 너트부(130F)는 바디(110)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바디(110)의 전단 쪽으로 이동된다. 이 때, 너트부(130F)의 걸림 홈(133F)의 링형상의 후단면(135F)이 걸림 돌기(133R)의 후면(135R)을 걸게 되고, 너트부(130F)의 이동에 의해 후드부(130R)가 바디(110)의 전단 측으로 당겨지게 된다.
전술한 후드부(130R)의 전후 방향의 이동에 있어서, 후드부(130R)는 바디(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바디(110)의 중심축(CA)에 대하여 회전함이 없이 바디(110)의 전단 또는 후단 쪽으로 직선으로 이동된다. 후드부(130R)의 직선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해, 가동 후드(130)는 후드부(130R)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바디(110)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가이드 요소를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 요소로서, 도 14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후드부(130R)는 그 내주면에, 바디(110)의 한 쌍의 제1 가이드 홈(114L, 114R)에 각각 끼워지는 제1 가이드 돌기(137L, 137R)와, 바디(110)의 제2 가이드 홈(115)에 끼워지는 제2 가이드 돌기(138)를 구비한다. 한 쌍의 제1 가이드 돌기(137L, 137R)는 후드부(130R)의 중심축(CA) 위쪽에서 서로 대향하도록 위치하고, 후드부(130R)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한다. 제2 가이드 돌기(138)는 후드부(130R)의 하단에서 후드부(130R)의 내주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한다.
후드부(130R)의 상반부(130RU)는 후단으로 갈수록 상방으로 더 돌출하여, 전방 부착 다리(310F)를 덮는 커버부(139)를 형성한다. 따라서, 커버부(139)와 바디(110)의 전방 안착면(112F)의 사이에 릴(300)의 전방 부착 다리(310F)가 삽입되는 전방 삽입 공동(136F)이 한정된다. 후드부(130R)는 커버부(139)의 내면에서 전방 부착 다리(310F)의 선단부의 사면(311F)을 전방 안착면(112F)에 대하여 압박한다. 또한,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드부(130R)의 종단면에 있어서, 후드부(130R)의 하반부(130RL)의 커버부(139)와 대향하는 부분에서의 종방향 두께(T6)는 커버부(139)의 종방향 두께보다 작으며, 후드부(130R)의 후단으로 갈수록 감소한다.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하게 되는 후드부(130R)의 하반부(130RL)는 하단 및 후단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두께를 가진다. 따라서, 후드부(130R)의 하측 외면과 바디(110)의 하측 외면 사이의 단차가 거의 없다. 또한, 후드부(130R)는 이와 같이 단차를 거의 발생시키지 않으면서도, 하반부(130RL)의 강도가 보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14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가동 후드(130)의 이러한 특징에 대해 설명한다.
가동 후드(130)의 후드부(130R)에 있어서, 릴(300)의 전방 부착 다리(310F)를 고정하기 위한 부분의 반대쪽 부분의 두께를 얇게 하면, 후드부(130R)의 하측 외면과 바디(110)의 하측 외면의 사이의 단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너트부(130F)를 너트 조임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후드부(130R)를 릴(300)의 전방 부착 다리(310F)에 대하여 밀어붙이면, 릴(300)의 전방 부착 다리(310F)로부터의 반력에 의해 후드부(130R)에 상향의 힘이 작용되게 되고, 이 상향의 힘은 후드부(130R)의 원주방향으로 후드부(130R)의 하단까지 전파된다. 수지 재료로 이루어진 후드부(130R)의 하반부(130RL)에는 후드부의 사출 성형에 있어서 용해 수지의 흐름이 합류해서 형성되는 웰드라인부(weld line)가 존재하게 된다. 후드부(130R)의 하반부(130RL)가 얇은 두께로 되면, 하반부(130RL)의 강도가 낮아질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상향의 힘이 후드부(130R)에 작용하면, 후드부(130R)는 그 하반부(130RL)에서 갈라질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실시예의 가동 후드(130)에서의 후드부(130R)는, 단차 제거를 위해 하반부(130RL)의 두께를 얇게 하면서도, 후드부(130R)에 걸리는 상향의 힘을 분산시켜서 강도를 보강하도록 형성되며, 후드부(130R)의 최하단에 있어서의 종방향의 두께(T4)보다 두께운 제2 가이드 돌기(138)에 웰드라인부를 형성시켜, 갈라짐을 방지한다.
도 14에 도시하는 릴 시트(100)의 전방 부분의 횡단면도를 참조한다. 도 14는, 후드부(130R)의 전단과 후단의 사이에 존재하는, 후드부(130R)의 길이방향(바디(110)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에서의 일부분의 임의의 횡단면을 도시한다. 상기 길이방향에서의 일부분을 횡단면에서 보면 링 형상을 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동 후드(130)는 후드부(130R)의 내주면에 볼록 형상의 제1 가이드 돌기(137L, 137R)와 제2 가이드 돌기(138)를 가진다. 제1 가이드 돌기(137L, 137R)는 후드부(130R)의 내주면에서 중심축(CA)의 위쪽에서 서로 대향하게 위치하고, 제2 가이드 돌기(138)는 후드부(130R)의 하단에서 후드부(130R)의 내주면에 위치한다. 제1 가이드 돌기(137L, 137R)와 제2 가이드 돌기(138)는 각각 제1 가이드 홈(114L, 114R)과 제2 가이드 홈(115)에 유격을 가지고 끼워진다. 따라서, 후드부(130R)가 릴(300)의 전방 부착 다리(310F)를 압박하면서 밀어올려지면, 제1 가이드 돌기(137L, 137R)는 제1 가이드 홈(114L, 114R)의 상면에 접촉하게 되고, 제2 가이드 돌기(138)는 제2 가이드 홈(115)의 상면에 접촉된다.
제1 가이드 돌기(137L, 137R)의 종방향 두께(T2)(도 14에 도시하는 후드부(130R)의 상기 길이방향에서의 일부분의 횡단면에 있어서, 종방향에서의 제1 가이드 돌기(137L, 137R)의 두께)는 제2 가이드 돌기(138)의 횡방향 두께(T3)(도 14에 도시하는 후드부(130R)의 상기 길이방향에서의 일부분의 횡단면에 있어서, 횡방향에서의 제2 가이드 돌기(138)의 두께)보다 크다. 또, 제2 가이드 돌기(138)의 횡방향 두께(T3)는, 제2 가이드 돌기(138)가 위치하는 하반부(130RL)의 최하단에서의 종방향 두께(T4)(도 14에 도시하는 후드부(130R)의 상기 길이방향에서의 일부분의 횡단면에 있어서, 제2 가이드 돌기(138)가 위치하는 후드부(130R)의 최하단에서의 종방향에서의 두께)보다 크다. 즉, 제2 가이드 돌기(138)가 위치하는 후드부(130R)의 최하단에서의 종방향 두께(T4)는 제2 가이드 돌기(138)의 횡방향 두께(T3)보다 작고, 제2 가이드 돌기(138)의 횡방향 두께(T3)는 제1 가이드 돌기(137L, 137R)의 종방향 두께(T2)보다 작다. 또한, 후드부(130R)의 상기 길이방향에서의 일부분의 횡단면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에서의 일부분의 후드부(130R)의 하반부(130RL)의 중심축(CA)에 대한 반경방향에서의 두께(T1)는 커버부(139)에서의 두께보다 작다. 또한, 후드부(130R)의 상기 길이방향에서의 일부분의 횡단면에 있어서, 후드부(130R)의 상기 길이방향에서의 일부분의 하반부(130RL)의 중심축(CA)에 대한 반경방향 두께(T1)는 제1 가이드 돌기(137L, 137R)의 하단으로부터 후드부(130R)의 최하단(제2 가이드 돌기(138))으로 갈수록 점차 감소한다. 상세하게는, 후드부(130R)의 하반부(130RL)의 반경방향의 두께(T1)는 제1 가이드 돌기(137L, 137R)의 하단에서 후드부(130R)의 원주방향(도 14에서 화살표(CD) 참조)을 따라 제2 가이드 돌기(138) 쪽으로 갈수록 점차 감소한다. 또한, 상기 길이방향에서의 일부분의 횡단면에 있어서, 제2 가이드 돌기(138)가 위치하는 후드부(130R)의 최하단에서의 종방향 두께(T4)는 제1 가이드 돌기(137L, 137R)의 하단에서의 후드부(130R)의 횡방향의 두께(T5)보다 작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14에 도시하는 상기 길이방향에서의 일부분의 횡단면에 있어서, 후드부(130R)의 최하단에서의 종방향 두께(T4)는 제1 가이드 돌기(137L, 137R)의 하단에서의 후드부(130R)의 횡방향 두께(T5)의 35% 내지 80%이다. 후드부(130R)의 최하단에서의 종방향 두께(T4)가 제1 가이드 돌기(137L, 137R)의 하단에서의 후드부(130R)의 횡방향 두께(T5)의 35% 미만으로 되면, 후드부의 하반부(130RL)의 강도가 부족해져 쉽게 손상될 수 있다.
전술한 후드부(130R)의 각 부분의 두께(T1 내지 T5)는 도 14에 도시하는 후드부(130R)의 상기 길이방향에서의 일부분의 임의의 횡단면을 참조하여 기술되고 있다. 후드부(130R)의 전단과 후단의 사이에서, 전술한 두께(T1 내지 T5)를 가지는 후드부(130R)의 부분은 후드부(130R)의 전장에 걸쳐서 적어도 일부 또는 거의 전체가 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후드부(130R)가 전방 부착 다리(310F)를 고정할 때 후드부(130R)에 가해지는 상향의 힘이 분산되는 예를 설명한다. 도 16은 후드부(130R)의 후단에서 취한 릴 시트(100)의 횡단면도이다.
릴(300)을 릴 시트(100)에 부착할 때는, 먼저, 릴(300)의 후방 부착 다리(310R)를 후방 삽입 공동(121R)에 끼우고 후방 부착 다리(310R)의 하면을 후방 안착면(112R) 상에 안착시킨다. 후방 부착 다리(310R)를 안착시키는 것과 동시에 또는 그 후에, 릴(300)의 전방 부착 다리(310F)를 전방 안착면(112F) 상에 안착시킨다.
릴(300)의 전방 부착 다리(310F)가 전방 안착면(112F)에 안착된 상태에서, 가동 후드(130)의 너트부(130F)를 너트 조임 방향으로 바디(110)에 대하여 회전시키면, 너트부(130F)는 바디(110)의 수나사(113)와 너트부(130F)의 암나사(132) 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바디(110)의 후단 쪽으로 나사운동하면서, 후드부(130R)를 바디(110)의 후단 쪽으로 밀게 된다. 그러면, 후드부(130R)의 커버부(139)의 내면과 전방 부착 다리(310F)의 선단부의 사면(311F)이 접촉한다. 전방 부착 다리(310F)의 사면(311F)이 선단으로 경사하고 있으므로, 전방 부착 다리(310F)의 선단부가 쐐기로서 작용한다. 따라서, 후드부(130R)는 너트부(130F)의 밀어붙이는 힘에 의해 사면(311F)을 타고 상방으로 밀어올려진다. 후드부(130R)가 상방으로 밀어올려지면, 제1 가이드 돌기(137L, 137R)의 상면이 제1 가이드 홈(114L, 114R)의 상면과 접촉하게 된다. 너트부(130F)를 너트 조임 방향으로 계속 회전시키면, 너트부(130F)가 가하는 밀어붙이는 힘이 커버부(139)를 통해 사면(311F)에 가해지고, 쐐기로서 작용하는 전방 부착 다리(310F)의 선단부는 반작용으로서 후드부(130R)의 커버부(139)를 통해 후드부(130R)에 상향의 힘을 가한다. 후드부(130R)에 가해지는 상기 상향의 힘은 후드부(130R)의 원주방향에 걸쳐 작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가이드 홈(114L, 114R)의 상면에 밀착한 제1 가이드 돌기(137L, 137R)에 부하가 걸리게 된다.
제1 가이드 돌기(137L, 137R)에 부하가 걸린 상태에서 너트부(130F)를 너트 조임 방향으로 더 회전시키면, 후드부(130R)는 더욱 밀어올려지면서 후드부(130R)에 가해지는 상기 상향이 힘이 더 강해진다. 그러면, 후드부(130R)가 휘어지면서 후드부(130R)의 하단의 위치하는 제2 가이드 돌기(138)가 제2 가이드 홈(115)에 밀착되어, 제2 가이드 돌기(138)에 부하가 걸리게 된다.
이와 같이, 너트부(130F)가 후드부(130R)를 전방 부착 다리(310F)로 밀어붙이는 과정에서 전방 부착 다리(310F)가 후드부(130R)에 가하는 상향의 힘은, 제1 가이드 돌기(137L, 137R)가 제1 가이드 홈(114L, 114R)에 밀착하고 제2 가이드 돌기(138)가 제2 가이드 홈(115)에 밀착하여, 이들에 부하가 걸리게 되므로, 후드부(130R)에 가해지는 상향의 힘을 3개소(좌측의 제1 가이드 돌기(137L), 우측의 제1 가이드 돌기(137R) 및 하측의 제2 가이드 돌기(138))에서의 부하 걸림에 의해 분산시킨다.
제1 가이드 돌기(137L, 137R)와 제2 가이드 돌기(138)에 부하가 걸린 상태에서 너트부(130F)를 너트 조임 방향으로 더 회전시키면, 후드부(130R)에 가해지는 상향의 힘이 더욱 커지고, 후드부(130R)의 하반부(130RL)의 두께가 감소하는 부분(후드부(130R)의 상기 길이방향에서의 일부분의 횡단면에 있어서, 제1 가이드 돌기(137L, 137R)로부터 제2 가이드 돌기(138) 쪽으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하는 부분)이 휘게 된다. 이러한 휨에 수반하여, 하반부(130RL)의 일부 또는 전체가 바디(110)의 외주면과 접촉하게 된다. 그러면, 3개소의 부하 걸림에 의해 분산된 상향의 힘은 하반부(130RL)와 바디(110)를 통해 더욱 분산될 뿐만 아니라, 하반부(130RL)와 바디(110) 사이의 간극도 없어지게 되어, 하반부(130RL)의 외면과 바디(110)의 외면 사이의 단차는 더욱 감소한다. 따라서, 가동 후드(130R)가 릴(300)의 전방 부착 다리(310F)를 바디(110)에 고정하면, 후드부(130R)의 하반부(130RL)의 외면과 바디(110)의 외면 사이의 단차가 없게 되어, 릴 시트(100)는 사용자에게 양호한 그립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 가동 후드(130R)가 릴(300)의 전방 부착 다리(310F)를 바디(110)에 고정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후드부(130R)의 하반부(130RL)가 휘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발생하는 후드부(130R)의 탄성에 의해, 가동 후드(130)의 후드부(130R)는 전방 부착 다리(310F)를 느슨함이나 덜걱거림 없이 바디(110)의 전방 안착면(112F)에 고정할 수 있다.
전술한 예에 있어서, 후드부(130R)에 가해지는 상향의 힘에 의해 제1 가이드 돌기(137L, 137R)에 처음으로 부하가 걸리고(도 15에서의 화살표(L1) 참조), 그 다음 제2 가이드 돌기(138)에 부하가 걸리고(도 15에서의 화살표(L2) 참조), 후드부(130R)의 하반부(130RL)에 그 다음으로 부하가 걸린다(도 15에서의 화살표(L3) 참조). 또한, 이러한 부하의 크기는 제1 가이드 돌기(137L, 137R)에서 가장 크고, 제2 가이드 돌기(138)가 그 다음이며, 후드부(130R)의 하반부(130RL)의 두께가 얇아지는 부분이 그 다음으로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후드부(130R)의 상기 길이방향에서의 일부분의 횡단면에 있어서, 후드부(130R)의 하반부(130RL)의 반경방향에서의 두께(T1)는 후드부(130R)의 최하단으로 갈수록 감소하여 후드부(130R)의 최하단에서의 종방향 두께가 가장 작다. 또한, 후드부(130R)의 종단면에 있어서, 후드부(130R)의 하반부(130RL)의 종방향 두께(T6)는 후드부(130R)의 후단으로 갈수록 감소한다. 그러나, 후드부(130R)는 너트부(130F)를 조임에 따라 전방 부착 다리(310F)로부터 가해지는 상향의 힘을 3개소(제1 가이드 돌기(137L, 137R) 및 제2 가이드 돌기(138))에서 부하가 걸리게 함으로써 분산시키므로, 후드부(130R)의 하단의 가장 두께가 얇은 부분 및 웰드라인부가 보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동 후드(130)의 후드부(130R)는 하단 및 후단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두께를 가지면서도 향상된 강도를 가질 수 있는 동시에, 박형의 형상으로 인한 경량화 및 바디(110)와의 단차 경감을 달성할 수 있다. 또, 후드부(130R)의 3개소에서 부하가 걸리는 상황에서 너트부(130F)를 너트 조임 방향으로 더욱 회전시키면, 후드부(130R)의 하반부(130RL)가 더욱 휘게 되고, 하반부(130RL)는 그 일부 또는 전체로서 릴 시트(100)의 바디(110)에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후드부(130R)는 상향의 힘을 더욱 분산하면서, 바디(110)에 대한 간극과 단차를 더욱 감소시킬 수 있어서, 그립감이 양호한 릴 시트(100)를 실현할 수 있다. 또, 전술한 후드부(130R)의 하반부(130RL)의 휨에 수반하는 탄성에 의해, 후드부(130R)는 느슨함이나 덜걱거림 없이 릴(300)의 전방 부착 다리(310F)를 바디(110)에 고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 릴 시트 110: 릴 시트의 바디
112F: 전방 안착면 112R: 후방 안착면
113: 수나사 114L, 114R: 제1 가이드 홈
115: 제2 가이드 홈 116: 레버
117: 상측 리세스 119: 하측 리세스
120: 고정 후드 121R: 전방 삽입 공동
122: 커버부 130: 가동 후드
130F: 너트부 130R: 후드부
130RU: 후드부의 상반부 130RL: 후드부의 하반부
132: 암나사 133F: 걸림 홈
133R: 걸림 돌기 136F: 후방 삽입 공동
137L, 137R: 제1 가이드 돌기 138: 제2 가이드 돌기
139: 커버부 200: 낚싯대
210: 낚싯대의 블랭크 300: 릴
310: 릴의 부착 다리 310F: 전방 부착 다리
310R: 후방 부착 다리 311F: 전방 부착 다리의 사면
311R: 후방 부착 다리의 사면

Claims (8)

  1. 릴 시트의 바디가 관통하고, 상기 바디의 길이방향에서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바디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한 쌍의 제1 가이드 돌기와 제2 가이드 돌기를 구비하고, 릴의 부착 다리를 상기 바디에 압박하여 고정하는 후드부와,
    상기 바디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상기 후드부에 연결되고, 내주면에서 상기 바디의 외주면과 나사결합하는 너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1 가이드 돌기는 상기 후드부의 중심축 위쪽에서 상기 후드부의 내주면에서 돌출하고, 상기 제2 가이드 돌기는 상기 후드부의 하단에서 상기 후드부의 내주면에서 돌출하고,
    상기 후드부의 길이방향에서의 일부분의 횡단면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에서의 일부분의 반경방향 두께(T1)는 상기 제1 가이드 돌기로부터 상기 제2 가이드 돌기로 갈수록 감소하는
    릴 시트용 가동 후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에서의 일부분의 횡단면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돌기의 종방향 두께(T2)는 상기 제2 가이드 돌기의 횡방향 두께(T3)보다 크고, 상기 제2 가이드 돌기의 횡방향 두께(T3)는 상기 후드부의 하단에서의 종방향 두께(T4)보다 큰
    릴 시트용 가동 후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에서의 일부분의 횡단면에 있어서, 상기 후드부의 하단에서의 종방향 두께(T4)는 상기 제1 가이드 돌기의 하단에서의 상기 후드부의 횡방향 두께(T5)보다 작은
    릴 시트용 가동 후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에서의 일부분의 횡단면에 있어서, 상기 후드부의 하단에서의 종방향 두께(T4)는 상기 제1 가이드 돌기의 하단에서의 상기 후드부의 횡방향 두께(T5)의 35% 내지 80%인
    릴 시트용 가동 후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부의 종단면에 있어서, 상기 후드부의 하반부의 종방향 두께(T6)는 상기 후드부의 후단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릴 시트용 가동 후드.
  6. 릴의 한 쌍의 부착 다리가 안착하는 안착부를 상측에 구비하고, 일단부의 외주면에 수나사를 구비하며, 길이방향으로 낚싯대의 일부가 관통하는 보어를 구비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일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한 쌍의 부착 다리 중 하나를 상기 바디의 안착부에 고정하는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가동 후드와,
    상기 바디의 타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한 쌍의 부착 다리 중 다른 하나를 상기 바디의 안착부에 고정하는 고정 후드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후드의 너트부는 그 내주면에서 상기 수나사와 나사결합하는
    릴 시트.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릴 시트용 가동 후드를 구비하는 낚싯대.
  8. 제6항에 따른 릴 시트를 구비하는 낚싯대.
KR1020140065929A 2013-09-10 2014-05-30 릴 시트용 가동 후드, 릴 시트 및 이를 구비하는 낚싯대 KR1014665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80049073.8A CN105517433B (zh) 2013-09-10 2014-09-02 用于卷筒座的可动罩、卷筒座和包括两者的钓竿
JP2015536533A JP5919442B2 (ja) 2013-09-10 2014-09-02 リールシート用可動フード、リールシート及びこれを備える釣竿
PCT/JP2014/073031 WO2015037471A1 (ja) 2013-09-10 2014-09-02 リールシート用可動フード、リールシート及びこれを備える釣竿
US14/911,230 US9832981B2 (en) 2013-09-10 2014-09-02 Movable hood for reel seat, reel seat, and fishing rod includ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8610 2013-09-10
KR1020130108610 2013-09-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6540B1 true KR101466540B1 (ko) 2014-11-27

Family

ID=52292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5929A KR101466540B1 (ko) 2013-09-10 2014-05-30 릴 시트용 가동 후드, 릴 시트 및 이를 구비하는 낚싯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832981B2 (ko)
JP (1) JP5919442B2 (ko)
KR (1) KR101466540B1 (ko)
CN (1) CN105517433B (ko)
WO (1) WO2015037471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4642A (ko) * 2018-11-29 2020-06-08 전성규 릴 시트
KR102150338B1 (ko) * 2019-12-17 2020-09-01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릴 시트 및 이를 구비하는 낚싯대
KR20210065856A (ko) * 2019-11-27 2021-06-04 메가바스 가부시키가이샤 낚시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97202B2 (en) * 2015-03-31 2022-11-15 Globeride, Inc. Reel leg fixing apparatus
USD780881S1 (en) * 2015-06-15 2017-03-07 Eric Olsen Fishing rod handle
US9844213B1 (en) 2015-06-15 2017-12-19 Eric Olsen Fishing rod handle
USD776235S1 (en) * 2015-07-29 2017-01-10 II Daniel F Bush Fishing pole holder
USD783769S1 (en) * 2015-07-30 2017-04-11 Eric Vela Fishing rod holder
USD776784S1 (en) * 2015-11-17 2017-01-17 Diamondback Rod Co., LLC Fishing rod grip handle
JP7013158B2 (ja) * 2017-07-26 2022-01-31 株式会社シマノ 両軸リール用のリールシート及び釣竿
DE102017221426A1 (de) 2017-11-29 2019-05-29 Schott Ag Durchführung mit Flachleiter
US10757926B2 (en) * 2017-12-04 2020-09-01 Winthrop Tackle Fishing rod butt and reel seat assembly
JP6970034B2 (ja) * 2018-02-19 2021-11-24 株式会社シマノ リールシート及び釣竿
JP6876015B2 (ja) * 2018-03-30 2021-05-26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釣竿用リールシート及び釣竿
JP7080761B2 (ja) * 2018-07-31 2022-06-06 株式会社シマノ 釣竿用リールシート及び釣竿並びに釣竿用リールシートの移動フード
USD890292S1 (en) * 2018-11-21 2020-07-14 GLV International LLC Spin reel seat
JP6839879B2 (ja) * 2019-07-08 2021-03-10 富士工業株式会社 リールシート及びこれを備える釣り竿
JP6872825B2 (ja) * 2019-07-08 2021-05-19 富士工業株式会社 リールシート及びこれを備える釣り竿
JP1663229S (ko) * 2020-01-23 2020-07-06
JP2022100764A (ja) 2020-12-24 2022-07-06 株式会社シマノ 釣竿用リールシート及び釣竿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3564A (ja) * 1999-05-31 2000-12-05 Daiwa Seiko Inc リール装着式釣竿
JP4159404B2 (ja) * 2003-05-16 2008-10-01 富士工業株式会社 釣竿用リールの取り付け構造及び釣竿用可動フード体
JP2009232746A (ja) * 2008-03-27 2009-10-15 Shimano Inc 筒状リールシート及び釣り竿
JP2010273586A (ja) * 2009-05-27 2010-12-09 Shimano Inc リール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02952A1 (fr) 1986-08-20 1988-02-26 Fuji Industries Co Ltd Dispositif pour le montage des moulinets sur les cannes a peche
JPS63152927A (ja) * 1986-08-20 1988-06-25 富士工業株式会社 釣竿用リ−ルの取付け具
JP2545537B2 (ja) * 1987-05-11 1996-10-23 リョービ株式会社 釣竿及び釣竿の製造法
JP3053767B2 (ja) 1996-05-16 2000-06-19 富士工業株式会社 釣竿用リールシート
JP2006333723A (ja) 2005-05-31 2006-12-14 Daiwa Seiko Inc リ−ル脚固定装置
JP4812009B2 (ja) 2006-04-19 2011-11-09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取付用のリールシート
USD569945S1 (en) * 2006-11-29 2008-05-27 Fuji Kogyo Co., Ltd. Reel seat for fishing rod
JP2008220213A (ja) 2007-03-09 2008-09-25 Shimano Inc 釣り竿
JP5773622B2 (ja) * 2010-11-27 2015-09-02 株式会社シマノ 筒状リールシート及び釣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3564A (ja) * 1999-05-31 2000-12-05 Daiwa Seiko Inc リール装着式釣竿
JP4159404B2 (ja) * 2003-05-16 2008-10-01 富士工業株式会社 釣竿用リールの取り付け構造及び釣竿用可動フード体
JP2009232746A (ja) * 2008-03-27 2009-10-15 Shimano Inc 筒状リールシート及び釣り竿
JP2010273586A (ja) * 2009-05-27 2010-12-09 Shimano Inc リールシート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4642A (ko) * 2018-11-29 2020-06-08 전성규 릴 시트
KR102167244B1 (ko) * 2018-11-29 2020-10-19 진성규 릴 시트
KR20210065856A (ko) * 2019-11-27 2021-06-04 메가바스 가부시키가이샤 낚시대
KR102505645B1 (ko) 2019-11-27 2023-03-02 메가바스 가부시키가이샤 낚시대
KR102150338B1 (ko) * 2019-12-17 2020-09-01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릴 시트 및 이를 구비하는 낚싯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37471A1 (ja) 2015-03-19
CN105517433A (zh) 2016-04-20
JPWO2015037471A1 (ja) 2017-03-02
US9832981B2 (en) 2017-12-05
US20160192628A1 (en) 2016-07-07
CN105517433B (zh) 2017-06-06
JP5919442B2 (ja) 2016-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6540B1 (ko) 릴 시트용 가동 후드, 릴 시트 및 이를 구비하는 낚싯대
US9832982B2 (en) Movable hood for reel seat, reel seat, and fishing rod including same
JP4496099B2 (ja) 紐止め具
JP5458104B2 (ja) サイドリリースバックル
JP5773622B2 (ja) 筒状リールシート及び釣竿
KR20190084119A (ko) 릴시트 및 낚싯대
US9009873B2 (en) Swimming goggles
KR101475667B1 (ko) 통상 릴 시트 및 낚싯대
JPH081661Y2 (ja) 釣竿のリール脚固定装置
KR102150338B1 (ko) 릴 시트 및 이를 구비하는 낚싯대
KR102062710B1 (ko) 릴 시트용 팜 레스트, 릴 시트, 및 낚싯대
TW201041502A (en) Tubular reel seat
JP4559330B2 (ja) ストラップ連結具
JP2018113899A (ja) 釣竿用リールシートの移動フード及び釣竿用リールシート並びに釣竿
JP2015167508A (ja) 釣竿用リールシート及び釣竿
JP4263204B2 (ja) 釣竿用フェルール及び釣竿
JP2844526B2 (ja) 釣竿用導糸環
KR100844268B1 (ko) 낚싯대
WO2015037470A1 (ja) リールシート用可動フード、リールシート及びこれを備える釣竿
JPS5849903Y2 (ja) 操作ワイヤ−用レバ−ハンドル
JPH07115879A (ja) 釣竿用キャスティングハンドル
JP2011010593A (ja) リールシート
JP2019110822A (ja) 釣竿用リールシート及び釣竿
JP3884124B2 (ja) リールシート及びそれを装着した釣り竿
JP2010051260A (ja) 釣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