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0338B1 - 릴 시트 및 이를 구비하는 낚싯대 - Google Patents

릴 시트 및 이를 구비하는 낚싯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0338B1
KR102150338B1 KR1020190168754A KR20190168754A KR102150338B1 KR 102150338 B1 KR102150338 B1 KR 102150338B1 KR 1020190168754 A KR1020190168754 A KR 1020190168754A KR 20190168754 A KR20190168754 A KR 20190168754A KR 102150338 B1 KR102150338 B1 KR 102150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el
seat
protrusion
movable hood
pip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8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히토 오무라
Original Assignee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to KR1020190168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0338B1/ko
Priority to JP2020113918A priority patent/JP6872825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0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03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6Devices for fixing reels on ro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8Handgri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의 릴 다리를 고정하여 릴을 낚싯대의 간체에 부착하는 릴 시트이며, 릴 시트는 간체에 부착되고 릴을 지지하는 시트 바디와, 시트 바디의 전방부 또는 후방부에 간체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릴 다리를 릴 다리 지지부에 대하여 압박하여 고정하는 가동 후드를 포함하고, 가동 후드는 가동 후드의 후단부의 둘레 방향의 일부에서 시트 바디의 일부와 상보적인 형상을 갖도록 오목하게 절단된 형상을 갖는 절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릴 시트 및 이를 구비하는 낚싯대{REEL SEAT AND FISHING ROD INCLUDING SAME}
본 개시는 릴을 낚싯대에 장착하기 위해 낚싯대에 부착되는 릴 시트 및 이를 구비하는 낚싯대에 관한 것이다.
릴을 사용하는 낚싯대에는, 릴을 낚싯대의 본체에 장착하기 위해 릴 시트(reel seat)가 본체에 부착된다. 릴 시트는, 낚싯대의 본체가 관통하도록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 시트 바디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파이프 형상의 시트 바디를 갖는 릴 시트는, 당해 분야에서 파이프 시트로서 참조되고, 상기 시트 바디에는, 낚싯대의 본체에 장착되어 릴의 릴 다리를 시트 바디에 고정하는 후드가 있고, 후드는 시트 바디에 낚싯대의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동 후드를 포함한다.
릴을 사용하는 낚시에 있어서, 릴에는, 릴 시트 본체의 하측에 설치되는 스피닝 릴과 릴 시트 본체의 상측에 설치되는 양축 릴 또는 베이트 릴이 있고, 이들 릴은 서로 릴 구조에 차이가 있지만, 공통적으로, 사용자는 낚싯대를 흔들어 낚시구를 던지는 이른바 캐스팅(casting) 동작을 행하고, 낚시구의 캐스팅 후 사용자는 릴의 핸들을 돌려 낚싯줄을 릴에 감는 리트리브(retreive) 동작을 행하고, 위의 두 가지 동작을 장시간 반복하기 때문에 손에 고통을 줄 수 있다. 통증을 완화 시키려면 파지 상태에서 손바닥이나 손가락에 맞춘 릴 시트의 형상이나, 릴 시트에 위화감을 주는 틈이나 단차를 없애는 것이 생각될 수 있다.
파이프 시트 타입의 릴 시트의 일 예로서, 시트 본체의 하측에 릴이 부착되는 이른바 스피닝 릴을 사용하여, 사용자는 시트 본체에 부착된 릴의 릴 다리를 손가락 사이에 걸리게 하여 시트 바디를 파지할 수 있는 방식의 릴 시트가 알려져 있다. 일 예로,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1999-018636호는, 스피닝 릴이 시트 바디의 하측에 부착되는 타입의 릴 시트를 제안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1999-018636호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스피닝 릴 만을 파지한 상태에서 손바닥에 맞춘 형상이 있을 수 있지만, 모든 릴을 사용한 경우의 손가락에 맞는 모양과 틈새와 단차를 없애는 것까지 고려되지는 않았다.
파이프 시트 타입의 릴 시트의 일례로서 시트 바디의 상측에 양축 릴 또는 베이트 릴이 장착되는 경우에 있어서, 사용자는, 트리거에 손가락을 건 상태에서, 릴 시트를 그립하여, 캐스팅 동작이나 리트리브 동작을 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엄지손가락 이외의 손가락으로 시트 바디를 안정적으로 그립하고 유지하는 것이, 장시간의 캐스팅 동작과, 리트리브 동작으로 인한 손의 피로를 경감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시트 바디의 외면의 형상 개선 또는 가동 후드의 형상 개선이 고려될 수 있다. 또한, 릴 시트의 중량을 감소시키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트리거가 형성된 그립 바디를 구비하는 릴 시트에 있어서, 전체가 원통 형상인 가동 후드에서는, 캐스트 후의 손가락의 교체 동작이나 로드 액션 동작시에 집게 손가락이 시트 바디와 가동 후드 사이의 간극이나 단차에 접촉하여 손 끝에 불쾌감을 야기시키거나 파지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손 끝의 불쾌감에 의해 일시적으로 의식이 손 끝에 집중되어 버리게 되어, 캐스트나 로드 액션의 리듬이 흐트러질 수 있고, 캐스트 미스나 후킹 미스를 발생시키는 한 요인으로 될 수 있다.
트리거가 형성된 그립 바디를 구비하는 릴 시트에 대한 파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손바닥의 파지성과, 손 끝의 파지성이 중요한 요소로 고려된다. 캐스트 동작의 1핑거 그립, 리트리브(retrieve) 동작의 3핑거 그립에 있어서, 간극이나 단차에 의해 손바닥이나 손 끝에 불쾌감을 야기시키지 않는 릴 시트가 제공될 수 있다.
가동 후드가 스피닝 릴을 장착하는 릴 시트에도 결합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는 범용성 있는 형상을 이루면, 다양한 릴 시트의 설계에 가동 후드를 겸용할 수 있으므로, 표준 설계를 추진할 수 있고,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전체가 원통 형상인 가동 후드와 비교하여, 절결부가 형성된 가동 후드에는 강도 저하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릴 다리를 고정할 때에 가동 후드에 가해지는 힘인 i) 가동 후드를 상측으로 밀어 올리는 힘과, ii) 가동 후드를 좌우로 여는 힘의 2개의 힘에 대해, 실제 낚시 과정에서 발생하는 강도를 만족할 수 있도록 강도 대책을 마련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해결한 릴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가동 후드에 절결부가 형성된 파이프 바디 타입의 릴 시트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폭방향 내측 및 높이방향의 일측으로 연장된 'L'자형 돌기'가 형성된 가동 후드를 구비하는 릴 시트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릴 시트를 구비하는 낚싯대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의 릴 다리를 고정하여 릴을 낚싯대의 간체에 부착하는 릴 시트에 있어서, 릴 시트는 간체에 부착되고 릴을 지지하는 시트 바디와, 시트 바디의 전방부 또는 후방부에 간체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릴 다리를 릴 다리 지지부에 대하여 압박하여 고정하는 가동 후드를 포함하고, 가동 후드는, 릴 다리를 덮어 압박하도록 구성되는 후드부와, 후드부의 하측 또는 상측에서 가동 후드의 둘레방향을 따라 둘레 방향의 일부에서 시트 바디의 일부와 상보적인 형상을 갖도록 가동 후드의 외부 표면을 관통하여 오목하게 절단된 형상을 갖는 절결부를 구비하고, 시트 바디는 시트 바디의 측부에 형성되어 축방향을 따라 연장된 가이드 홈을 구비하고, 가동 후드는 가동 후드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축방향을 따라 연장된 L자형 돌기를 포함하고, L자형 돌기는 가동 후드가 시트 바디의 전방부 또는 후방부에 결합될 때 가이드 홈에 걸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트 바디는, 릴 시트는 간체가 간체의 축방향으로 삽입되는 보어를 내주부에서 한정하고 릴 다리가 놓이는 릴 다리 지지부를 외주부의 상측에 구비하는 파이프 바디와, 릴 다리 지지부를 노출시키면서 파이프 바디의 외주부를 감싸고 양측 엣지에서 파이프 바디의 외주부에 걸림결합되는 커버부를 구비하고 축방향으로 파이프 바디의 후방부에 결합되는 그립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는 가동 후드가 그립 바디를 향하여 이동함에 따라 절결부가 형성하는 공간으로 삽입되는 전단부를 포함하고, 전단부는 절결부의 오목하게 절단된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그립 바디는 그립 바디의 후방 위치에서 커버부의 하측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트리거부를 구비하고, 트리거부로부터 전단부의 선단까지의 길이 C는 릴이 릴 다리 지지부에 놓인 상태를 기준으로 아래의 수식 1 및 2를 만족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수식 1: A>B1, 수식 2: C-A>B2
(A: 트리거부로부터 릴의 스풀 축까지의 길이, B1: 릴의 릴 다리와 스풀 축 사이의 길이, B2: 릴의 릴 다리와 스풀 축 사이의 길이, C: 트리거부로부터 전단부의 선단까지의 길이)
일 실시예에 따르면, L자형 돌기는 가동 후드의 내측면으로부터 폭방향 내측으로 연장된 가이드 돌기 및 가이드 돌기의 폭방향 내측 선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하방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절결부는 축방향으로 위치하는 제1 절결 엣지와, 제1 절결 엣지로부터 높이방향 하측으로 연장하는 제2 절결 엣지를 포함하고, 가이드 돌기는 제1 절결 엣지로부터 폭방향 내측으로 연장되고, 가이드 돌기와 가이드 홈의 절결 라인은 보어의 중심을 지나는 수평선 부근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파이프 바디는 파이프 바디의 외주부에서 폭방향으로 돌출한 실링 돌기를 구비하고, 커버부는 실링 돌기에 걸림결합하는 실링 홈을 구비하고, 하방 돌기는 가이드 홈의 외측면과 실링 돌기의 상측면 및 커버부의 폭방향 내측면이 형성하는 돌기 수용부에 수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트 바디는, 간체가 간체의 축방향으로 삽입되는 보어를 내주부에서 한정하고 릴 다리가 놓이는 릴 다리 지지부를 외주부의 하측에 구비하는 파이프 바디와, 릴 다리 지지부를 노출시키면서 파이프 바디의 외주부를 감싸고 양측 엣지에서 파이프 바디의 외주부에 걸림결합되는 커버부를 구비하고 축방향으로 파이프 바디에 결합되는 그립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L자형 돌기는 가동 후드의 내측면으로부터 폭방향 내측으로 연장된 가이드 돌기 및 가이드 돌기의 폭방향 내측 선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상방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에 있어서, 낚싯대는 간체와, 간체에 부착되는 릴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에 있어서, 가동 후드에 오목하게 절단된 절결부가 형성되고 절결부가 형성하는 공간으로 그립 바디의 전단부가 삽입되므로, 그립 바디의 전단부의 하측면은 사용자의 검지가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검지가 그립 바디의 전단부와 가동 후드 사이의 단차 부분에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검지 끝의 그립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에 있어서, 그립 바디의 트리거부로부터 전단부의 선단 까지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그립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에 있어서, 가동 후드에 'L'자형 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L'자형 돌기'의 상면과 측면이 각각 파이프 바디와 그립 바디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가동 후드에서 절결부가 형성되지 않은 원통형 부분의 축 방향 길이를 짧게 형성하더라도, 가동 후드의 변형 및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에 있어서, 가이드 돌기와 가이드 홈의 절결 라인을 보어의 중심을 지나는 수평선 부근에 위치하도록 형성함으로써, 낚시 상황에서 가이드 돌기와 파이프 바디에 바디에 가해지는 힘을 최대로 분산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에 있어서, 가동 후드에 'L'자형 돌기를 상방을 향하도록 형성함으로써, 가동 후드에 폭방향으로의 벌어지는 힘이 작용하더라도, 상방 돌기가 파이프 바디에 의해 지지되어, 가동 후드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에 있어서, 가동 후드에 'L'자형 돌기를 하방을 향하도록 형성함으로써, 파이프 바디에 수용되는 간체 중에서 보다 큰 직경을 갖는 간체를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다 큰 강도를 요구하는 낚시 상황에 대응하는 간체를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에 있어서, 파이프 바디의 외주부에 실링 돌기를 형성하고 그립 바디에 실링 돌기가 걸림결합하는 실링 홈을 형성함으로써, 파이프 바디의 외주부와 그립 바디 사이의 공간이 실링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를 도시하는 전방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릴 시트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를 도시하는 후방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릴 시트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가동 후드의 분해 사시도이며, 가동 후드의 종단면 형상을 도시한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가동 후드와 파이프 바디의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비교예에 따른 릴 시트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9은 도 2에 도시된 릴 시트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0는 도 9에서 릴 시트의 시트 바디와 가동 후드를 분해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릴 시트에 릴이 설치된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2는 비교예에 따른 가동 후드와 일 실시예에 따른 가동 후드를 비교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동 후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동 후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은 도 4에 도시된 릴 시트를 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W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하방 돌기를 비교예에 따른 상방 돌기와 비교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9는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를 도시하는 상면도이다.
도 20은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와 스피닝 릴이 설치된 낚싯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1은 도 19에 도시된 릴 시트를 IV-IV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18에 도시된 릴 시트를 III-III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V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24는 본 개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와 스피닝 릴이 설치된 낚싯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5는 도 24에 도시된 릴 시트를 V-V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6은 도 25에 도시된 Q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기술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상호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또는 중요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경우,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또는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전방', '전' 등의 방향지시어는 낚싯대의 팁(tip)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후방', '후' 등의 방향지시어는 낚싯대의 버트(butt)를 향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 사용된 화살표(FD)는 낚싯대의 팁(tip)을 향하는 전방방향을 지시하고, 화살표(RD)는 낚싯대의 버트(butt)를 향하는 후방방향을 지시할 수 있다. 축방향(AD)은 낚싯대 및 구성요소의 길이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둘레방향(CD)은 축방향(AD)을 에워싸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폭방향(WD)은 낚싯대의 폭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써 지면과 나란한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높이방향(HD)은 폭방향(WD)에 수직한 방향으로써, 지면에 수직한 방향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설명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1)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낚싯대(1)는 가늘고 긴 로드로 이루어지는 본체(이하 간단히 '간체(竿體, 11)'로 참조될 수 있다)를 포함할 수 있다. 간체(11)는 낚싯대(1)에 작용하는 다양한 외력에 저항하고 낚싯대(1)의 형상을 유지하는 구조물로서 기능할 수 있다. 간체(11)는 가늘고 긴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간체(11)는 하나의 관상 대로 이루어질 수 있거나 복수의 관상 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낚싯대(1)는 낚싯줄(미도시)을 안내하기 위한 복수의 낚싯줄 가이드(12)를 포함할 수 있다. 낚싯줄 가이드(12)는 낚싯줄이 이를 통과하도록 구성되며, 낚시구를 캐스팅할 때에 또는 물고기를 낚아올릴 때에 낚싯줄을 안내할 수 있다. 낚싯줄 가이드(12)는 간체(11)의 외주면에 감기실과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될 수 있거나, 간체(11)에 끼워맞춤 방식으로 부착될 수 있다.
낚시줄은 릴(13)에 수납되며, 릴(13)은 낚싯줄을 방출하거나 감도록 구성될 수 있다. 릴(13)은 낚싯줄이 감겨 수납되는 스풀(13C)과 스풀을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을 가질 수 있다. 낚싯줄이 풀리는 방향과 평행하게 스풀(13C)에 감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른바 양축(兩軸) 릴이 릴(13)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예시적인 릴(13)의 형상을 도시하며, 낚싯대(1)에 채용되는 릴이 도 1에 도시된 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릴(13)은 한 쌍의 릴 다리(13A, 13B)를 가지며, 릴 다리(13A)는 전방(FD)으로 연장하고 릴 다리(13B)는 후방(RD)으로 연장할 수 있다. 릴 다리(13A, 13B)는 릴(13)의 본체를 간체(11)에 부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낚싯대(1)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릴 시트(100)는, 당해 분야에 있어서, 파이프 타입 릴 시트로서 참조될 수 있다. 릴 시트(100)는 간체(11)에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릴 시트(100)는 릴(13)을 간체(11)에 부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릴(13)은 간체(11)의 상부에 붙임되는 방식으로 릴 시트(100)에 고정될 수 있다.
릴 시트(100)는 간체(11)가 간체(11)의 축방향(AD)을 따라 후방(RD)으로 릴 시트(100)에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릴 시트(100)는 파이프 또는 슬리브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내부의 보어에서 간체(11)의 외주면을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릴 시트(100)는 릴(13)의 릴 다리(13A, 13B)를 해제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다. 릴(13)은 릴 다리(13A, 13B)를 통해 릴 시트(100)에 고정되므로, 릴(13)이 간체(11)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릴 시트(100)의 후단에는 로드 핸들(14)이 릴 시트(100)에 삽입되고 고정될 수 있다. 로드 핸들(14)은 낚싯대(1)의 버트(butt)를 형성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100)를 도시하는 전방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릴 시트(100)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100)를 도시하는 후방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릴 시트(100)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릴 시트(100)는, 릴 시트(100)의 본체로서 기능하는 시트 바디(110) 및 시트바디에 축방향(AD)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동 후드(140)를 포함할 수 있다. 시트 바디(110)는, 릴 시트(100)를 간체(11)에 부착하도록 기능하고, 간체(11)에 대해 릴을 지지하도록 기능하며,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감아쥐는 부분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가동 후드(140)는 릴(13)의 릴 다리(13A)를 시트 바디(110)에 대하여 압박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시트 바디(110)는 분리가능하게 구성되는 파이프 바디(120)와 그립 바디(1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시트 바디(110)는 파이프 바디(120)에 대응하는 형상과 그립 바디(130)에 대응하는 형상을 구비하는 일체형 바디로 구성될 수 있다.
파이프 바디(120)는 간체(11)에 고정되며, 릴의 한 쌍의 릴 다리(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릴 다리(13A, 13B)를 지지할 수 있다. 그립 바디(130)는 파이프 바디(120)에 간체의 축방향(AD)으로 결합되며, 사용자가 릴 시트(100)를 그립하는 부분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일방의 손으로 그립 바디(130)를 그립하고 타방의 손으로 릴(13)에 마련된 핸들을 조작할 수 있다. 파이프 바디(120)와 그립 바디(130)는 동일한 재료 또는 다른 수지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상기 수지 재료로서, 섬유강화 수지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파이프 바디(120)는 원통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도 3 및 5를 참조하면, 파이프 바디(120)는 내주부(121)와 외주부(122)를 가지며, 내주부(121)에서 보어(123)를 한정할 수 있다. 보어(123)는 파이프 바디(120)에, 파이프 바디(120)의 전단으로부터 후단까지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간체(11)(도 2 참조)가 보어(123)에 간체의 축방향(AD)으로 삽입될 수 있다. 릴 시트(100)는 보어(123)에 삽입된 간체(11)에 부착될 수 있다. 간체(11)의 외주면과 보어(123)의 표면(즉, 내주부(121))의 사이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릴 시트(100)의 시트 바디(예를 들어, 파이프 바디(120))가 간체(11)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접착제 이외에, 테이프가 사용될 수 있으며, 테이프는 간체(11)의 외주면과 보어(123)의 표면의 사이에 개재되어 간체(11)와 파이프 바디(120)를 고착시킬 수 있다. 내주부(121)의 표면에는 복수의 홈(124)이 축방향(AD)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파이프 바디(120)는 외주부(122)에서 릴 다리(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한 쌍의 릴 다리(13A, 13B))를 지지할 수 있다. 도 3 및 5를 참조하면, 파이프 바디(120)는 외주부(122)의 상측에 릴 다리가 놓이는 릴 다리 지지부(125)를 구비할 수 있다. 릴 다리 지지부(125)는 파이프 바디(120)의 외주부(122)에서의 상측 표면이 될 수 있다. 릴 다리 지지부(125)는 파이프 바디(120)의 외주부(122)에서 돌출하고 축방향(AD)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레일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릴 다리 지지부(125)는 파이프 바디(120)의 외주부(122)로부터 폭방향(WD) 양 측으로 돌출된 측벽 돌기(129)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파이프 바디(120)는 그 하측에 절결 슬릿(128)을 구비할 수 있다. 절결 슬릿(128)은, 파이프 바디(120)에서 후단으로부터 전단을 향하는 일부가 절결되어 형성된다. 절결 슬릿(128)은 파이프 바디(120)의 후단으로부터 전단을 향해 연장하며, 파이프 바디(120)는 절결 슬릿(128)의 영역에서 대략 C자형의 횡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의 파이프 바디(120)는, 절결 슬릿(128)에 의해 일부가 절결된 절결 바디로서 형성될 수 있다.
그립 바디(130)는 릴 시트(100)를 전방 또는 후방에서 볼 때, 파이프 바디(120)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둘레방향(CD)에서 파이프 바디(120)의 외주부(122)의 하측 부분을 에워쌀 수 있다. 그립 바디(130)는, 상측의 일부가 전단으로부터 후단을 향해 소정 길이만큼 절결되어 있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립 바디(130)는 그 일부에서 또는 그 전체에서 파이프 바디(120)를 부분적으로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그립 바디(130)는 파이프 바디(120)를 부분적으로 감싸는 커버부(131)를 구비할 수 있다. 커버부(131)는 축방향(AD)으로 연장하며 그립 바디(130)의 전방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커버부(131)는 축방향(AD)에 직교하는 폭방향(WD)에서 파이프 바디(120)의 외주부(122)에 대응하도록 만곡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2 및 4를 참조하면, 파이프 바디(120)와 그립 바디(130)가 축방향(AD)으로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커버부(131)는 파이프 바디(120)의 릴 다리 지지부(125)를 노출시키면서 파이프 바디(120)의 외주부(122)를 부분적으로 감쌀 수 있다. 즉, 커버부(131)는 축방향(AD)과 둘레방향(CD)의 영역에서, 파이프 바디(120)의 외주부(122)를 부분적으로 감쌀 수 있다.
도 3 및 5를 참조하면, 커버부(131)는 축방향(AD)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제1 커버 엣지(133)를 가질 수 있다. 커버부(131)의 제1 커버 엣지(133)는 파이프 바디(120)의 외주부(122)에 걸림결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부(131)는 양측 제1 커버 엣지(133)에서 파이프 바디(120)의 외주부(122)에 걸림결합하여, 파이프 바디(120)와 그립 바디(130)를 둘레방향(CD)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커버부(131)는 축방향(AD)으로 연장하고, 제1 커버 엣지(133)보다 전방(FD)에 형성된 한 쌍의 제2 커버 엣지(134)를 가질 수 있다. 제2 커버 엣지(134)는 제1 커버 엣지(133)보다 높이방향(HD)으로 더 절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 커버 엣지(134)에는 가동 후드(140)의 후방 부분이 안착될 수 있다.
그립 바디(130)는 그립 바디(130)의 후방(RD) 위치에서 커버부(131)의 하측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트리거부(135)를 구비할 수 있다. 트리거부(135)는 사용자의 그립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예를 들어, 사용자는 약지와 새끼 손가락 사이에 트리거부(135)를 두고 그립 바디(130)를 파지 할 수 있다.
도 3 및 5를 참조하면, 그립 바디(130)는 커버부(131)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는 원통부(136)를 구비할 수 있다. 원통부(136)는 그 내주부에서 파이프 바디(120)의 후단부를 수용할 수 있다. 원통부(136)의 후단 엣지는 축방향(AD)에 대해 경사져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로드 핸들(14)과 맞닿게 될 수 있다.
고정 후드(138)가 그립 바디(130)의 원통부(136)에 형성될 수 있다. 원통부(136)의 전방 상단부는 측방 부분보다 더욱 두꺼운 두께를 가지면서 상방으로 돌출하여, 고정 후드(138)를 형성된다. 릴 다리(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릴 다리(13B))는 고정 후드(138)와 릴 다리 지지부(125)의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고정 후드(138)는 그립 바디(130)와는 별개로 형성될 수 있고, 그립 바디(13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가동 후드(140)의 분해 사시도이며, 가동 후드(140)의 종단면 형상을 도시할 수 있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가동 후드(140)와 파이프 바디(120)의 종단면도이다.
가동 후드(140)는 나사 운동에 의해 파이프 바디(120)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가동 후드(140)는 너트부(141)와 압박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압박부(142)는 후드부(1424)와 절결부(1425)를 구비할 수 있다. 너트부(141)와 압박부(142)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가동 후드(140)가 파이프 바디(120)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파이프 바디(120)가 너트부(141)와 압박부(142)를 관통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너트부(141)는 파이프 바디(120)를 중심으로 하여(즉, 축방향(AD)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파이프 바디(120)에 나사결합된다. 너트부(141)는 그 내주면에 암나사(1411)를 갖는다. 도 3 및 5를 참조하면, 파이프 바디(120)는 외주부(122)에 수나사(126)를 가지며, 수나사(126)는 파이프 바디의 전단으로부터 후단을 향하여 소정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너트부(141)의 암나사(1411)와 파이프 바디(120)의 수나사(126)가 나사결합하여, 너트부(141)는 파이프 바디(120)에 나사 운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너트부(141)가 둘레방향에서의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암나사(1411)와 수나사(126) 간의 나사 운동에 의해, 너트부(141)는 회전과 함께 후방(RD) 또는 전방(FD)으로 이동될 수 있다.
너트부(141)는 파이프 바디(120)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압박부(142)에 연결된다. 압박부(142)의 후드부(1424)는 릴 다리(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릴 다리(13A))를 덮어 압박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압박부(142)는 파이프 바디(120)를 따라 축방향(AD)으로 이동가능하나 둘레방향(CD)으로 회전하지 않는다. 즉, 압박부(142)는 축방향(AD)으로만 이동되도록 가이드될 수 있다.
도 3 및 5를 참조하면, 압박부(142)의 축방향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해, 파이프 바디(120)는 그 외주부에 한 쌍의 가이드 홈(127)을 가지며, 압박부(142)는 그 내주면에서 내측으로 돌출한 한 쌍의 가이드 돌기(143)를 가질 수 있다. 가이드 돌기(143)는 압박부(142)의 후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한 쌍의 가이드 돌기(143)는 압박부(142)의 후단으로부터 시작하여 너트부(141)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 홈(127)은 파이프 바디(120)의 전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한 쌍의 가이드 홈(127)은 보어(123)의 중심에 대해 서로 대향한다. 도 3 및 5를 참조하면, 가이드 홈(127)은 축방향(AD)으로 파이프 바디(120)의 전단으로부터 수나사가 형성된 영역을 통과해 소정 길이로 연장된다.
도 6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가이드 돌기(143)는 한 쌍의 가이드 홈(127)에 각각 끼워져 슬라이드 가능하다. 가이드 홈(127)은 가이드 돌기(143)의 둘레방향(CD)으로의 회전을 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 홈(127)에 의해 가이드 돌기(143)가 축방향(AD)으로만 안내되어, 압박부(142)는 축방향(AD)에서만 이동될 수 있다.
너트부(141)와 압박부(142)는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너트부(141)는 후단 부근에, 플랜지(1412)와, 플랜지(1412)에 인접한 걸림 홈(1413)과, 걸림 홈(1413)에 인접한 걸림 돌기(1414)가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1412)와 걸림 홈(1413)은 둘레방향(CD)으로 연장할 수 있다. 압박부(142)의 전단에는, 너트부(141)의 걸림 홈(1413)에 걸림결합되는 걸림 돌기(1422)와, 걸림 돌기(1422)에 인접하고 너트부(141)의 걸림 돌기(1414)가 걸림결합되는, 걸림 홈(1423)이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걸림 돌기(1414)와 걸림 홈(1423) 간의 걸림 결합이, 압박부(142)와 너트부(141)에 상대 회전을 제공할 수 있다.
너트부(141)를 파이프 바디(110)를 중심으로 하여 둘레방향(CD)에서의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수나사(126)와 암나사(1411) 간의 나사 운동에 의해, 너트부(141)는 회전하면서, 플랜지(1412)를 통해 압박부(142)를 고정 후드를 향해 이동시킬 수 있다. 압박부(142)가 릴 다리(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릴 다리(13A))에 접촉하면, 너트부(141)를 약간 더 회전시킴에 따라, 수나사(126)와 암나사(1411) 간의 나사 체결력으로, 압박부(142)는 릴 다리(13A)를 파이프 바디의 릴 다리 지지부에 압박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너트부(141)를 상기 일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수나사(126)와 암나사(1411) 간의 나사 운동에 의해, 너트부(141)는 회전하면서 고정 후드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될 수 있다. 너트부(141)의 걸림 돌기(1414)가 압박부(142)의 걸림 돌기(1422)를 전방으로 당겨서, 릴 다리를 압박하는 압박부(142)가 고정 후드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너트부(141)는 그 내주면에서 파이프 바디(120)와 나사결합하여, 파이프 바디(120)를 따라 나사 운동에 의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압박부(142)는 너트부(141)의 상기 전방 또는 후방의 이동에 의해, 고정 후드를 향해 밀려지거나 고정 후드로부터 멀어지도록 당겨질 수 있다.
도 8은 비교예에 따른 릴 시트(2, 3)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8(a)에 도시된 릴 시트(2)에 따르면, 시트 바디(210)와 가동 후드(240) 사이에는 간극(X 부분 참조)이 발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교예에 따른 릴 시트(2)에서는 시트 바디(210)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가동 후드(240)도 원통형으로 형성되므로, 시트 바디(210)와 가동 후드(240)의 일체감이 높아지기 때문에 파지성은 향상될 수 있다. 그러나, 장착하는 릴의 크기에 따라 릴 다리 길이는 달라질 수 있으므로, 상기 릴 다리 길이에 의해 가동 후드(240)의 정지 위치가 변화될 수 있다. 이 때문에, 상대적으로 긴 릴 다리 길이를 갖는 릴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시트 바디(210)와 가동 후드(240) 사이에 간극(X 부분 참조)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시트 바디(210)의 외형과 가동 후드(240)의 외형을 정렬시키기 위해서는, 시트 바디(210)의 선단과 가동 후드(240)의 나사부 사이에 단차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단차 위치는 릴 시트에 장착되는 릴의 최소 발 길이에 맞추어야 하므로, 도 8(a)에 도시된 경우와 같이 시트 바디(210)와 가동 후드(240) 사이에 간극(X 부분 참조)이 생길 수 있다.
도 8(b)에 도시된 비교예에 따른 릴 시트(3)를 참조하면, 시트 바디(310)와 가동 후드(340)의 지름 크기의 차이에 따라 단차(Y 부분 참조)가 발생한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릴의 발 길이는 여러가지 치수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시트 바디(310)와 가동 후드(340)의 간극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시트 바디(310)를 가동 후드(340)로 덮어 씌우는 구조를 적용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덮어 씌우는 구조에서는, 시트 바디(310)의 외형과 가동 후드(340)의 외형을 정렬시킬 수 없게 되기 때문에, 시트 바디(310)와 가동 후드(340) 사이에는 단차(Y 부분 참조)가 생길 수 있다. 또한, 가동 후드(340)를 합성 수지로 제조하는 경우에는, 실제 낚시 강도를 고려하면, 가동 후드(340)의 단면 두께를 0.6mm 이상으로 확보할 필요가 있다.
도 9는 도 2에 도시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100)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서 릴 시트(100)의 시트 바디(110)와 가동 후드(140)를 분해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후드부(1424)는 압박부(142)의 상부를 구성하며, 릴 다리(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릴 다리(13A))를 덮어 압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절결부(1425)는 후드부(1424)의 높이방향(HD)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후드부(1424)와 절결부(1425)는 높이방향(HD)에서 공통의 엣지를 가질 수 있다. 압박부(142)의 가이드 돌기(143)는, 후드부(1424)의 하측 엣지 또는 절결부(1425)의 상측 엣지를 따라 연장할 수 있다.
절결부(1425)는 시트 바디(110)의 일부와 상보적인 형상을 갖도록 오목하게 절단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절결부(1425)는 압박부(142)의 후단부의 일부에서 파이프 바디(120)의 전단을 향해 오목하게 절단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절결부(1425)는 링 형상의 압박부(142)의 하측 영역을 축방향(AD)으로 절결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절결부(1425)는 그립 바디(130)의 전단부(즉, 커버부(131)의 전단부(139))에 대해 오목하다. 따라서, 가동 후드(140)가 릴 다리를 파이프 바디(120)의 릴 다리 지지부(125)에 압박하여 고정할 때, 커버부(131)의 전단부(139)는 축방향(AD)으로 절결부(1425)에 삽입되거나 끼워맞춤될 수 있으며, 절결부(1425)는 커버부(131)의 전단부(139)를 수용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커버부(131)의 전단부(139)가 절결부(1425)에 삽입되는 동시에, 후드부(1424)는 커버부(131)의 전단부(139)의 높이방향(HD)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가동 후드(140)가 릴 다리를 고정할 때, 후드부(1424)는 커버부(131)의 전단부(139)와 축방향(AD)으로 겹치게 된다.
가동 후드(140)를 측방에서 볼 때, 절결부(1425)는 예를 들어, L자형, 만곡한 L자형, V자형, 만곡한 V자형을 가질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절결부(1425)의 엣지는, 축방향(AD)으로 위치하는 제1 절결 엣지(1426)와, 제1 절결 엣지(1426)로부터 높이방향(HD) 하측으로 연장하는 제2 절결 엣지(1427)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1 절결 엣지(1426)는 축방향(AD)에 대해 경사질 수도 있다. 제2 절결 엣지(1427)는 원호형으로 만곡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2 절결 엣지(1427)는 직선형을 가질 수도 있다.
제1 절결 엣지(1426)는 축방향(AD)에 평행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돌기(143)는 제1 절결 엣지(1426)의 내측면으로부터 폭방향(WD)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전단부(139)는 절결부(1425)와 상호 보완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절결부(1425)의 엣지와 커버부(131)의 전단부(139)의 엣지는 상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부(131)의 전단부(139)는, 절결부(1425)의 제1 절결 엣지(1426)에 대응하는 제2 커버 엣지(134)와, 절결부(1425)의 제2 절결 엣지(1427)에 대응하는 선단 엣지(1391)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가동 후드(140)가 릴 다리를 파이프 바디(120)에 고정하기 위해 이동할 때, 절결부(1425)의 제1 절결 엣지(1426)는 커버부(131)의 제2 커버 엣지(134)를 따라 축방향(AD)으로 이동하고, 절결부(1425)의 제2 절결 엣지(1427)는 커버부(131)의 선단 엣지(1391)와 축방향(AD)으로 맞닿거나 약간의 간격을 갖도록 이격될 수 있다. 또한, 후드부(1424)가 커버부(131)의 전단부(139)와 축방향(AD)으로 겹치면서, 커버부(131)의 전단부(139)가 절결부(1425)에 삽입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동 후드(140)에 절결부(1425)를 형성함과 함께 후드부(1424)가 커버부(131)의 전단부(139)와 축방향(AD)으로 겹치게 위치하면서, 가동 후드(140)가 릴 다리를 파이프 바디(120)에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릴 시트(100)의 커버부(131)는 시트 바디(110)의 그립 바디(130)를 감아쥐는 손가락(예를 들어, 검지, 중지 및 약지(이하 '3 핑거'로 참조될 수 있다))이 축방향(AD)을 따라 모두 커버부(131)에 놓일 수 있도록 충분하게 긴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가동 후드(140)의 후드부(1424)가 커버부(131)의 전단부(139)와 축방향(AD)으로 겹치므로, 가동 후드(140)를 고정 후드(138)측으로 더욱 가깝게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가동 후드(140)에 절결부(1425)를 형성함으로써, 그립 바디(130)를 감아쥐는 손가락 중 검지가 그립 바디(130)의 하단과 가동 후드(140)의 하단 간의 경계에 접촉하지 않도록, 가동 후드(140)의 하단이 그립 바디(130)의 트리거부(135)로부터 멀리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릴 시트(100)는 양호한 그립감이나 파지성을 가지면서 다양한 길이의 릴 다리를 갖는 릴이 장착될 수 있다.
상술한 릴 시트(100)는, 사용자가 3 핑거로 릴 시트의 커버부(131)를 그립할 수 있게 하면서 검지가 가동 후드(140)에 접촉할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무리해서 의도적으로 검지를 최대로 뻗는 경우가 아니라면(예를 들어, 약지와 새끼 손가락 사이에 트리거부(135)가 위치되도록 파지한 상태에서), 검지가 가동 후드(140)에 접촉하지 않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손가락이 시트 바디의 하단 및 가동 후드의 하단에 접촉할 때 사용자에게 이물감을 줄 수 있는, 간극(즉, 시트 바디의 하단과 가동 후드의 하단 간의 공간, 도 8(a)의 X부분 참조) 또는 단차(즉, 시트 바디의 하단과 가동 후드의 하단 사이의 높이차, 도 8(b)의 Y부분 참조)에 손가락이 접촉하지 않게 될 수 있다. 따라서, 릴 시트(100)를 파지하는 사용자에게 양호한 그립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릴 시트(100)에 릴(13)이 설치된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릴을 고정하기 위한 가동 후드의 정지 위치와 3 핑거로 잡을 때의 손가락 3개에 해당하는 폭과의 관계를 고려할 수 있다.
손의 크기는 사람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도 11에 도시된 길이 A, B(B1, B2), 및 C는, 릴 시트를 설계할 때 정의를 부여할 수 있는 치수가 될 수 있다.
1) A: 트리거부(135)로부터 릴(13)의 스풀 축(O)까지의 길이
2) B1: 릴(13)의 후방측 릴 다리(13B)와 스풀 축(O) 사이의 길이
3) B2: 릴(13)의 전방측 릴 다리(13A)와 스풀 축(O) 사이의 길이
4) B: B1과 B2의 합
5) C: 트리거부(135)로부터 전단부(139)의 선단까지의 길이
길이 A에서 릴(13)의 스풀 축(O)은 릴의 중심이 될 수 있다. 길이 B는 축방향(AD)에서의 릴의 전체 길이가 될 수 있다. 즉, 길이 B는 전방측 릴 다리(13A)의 선단과 후방측 릴 다리(13B)의 선단 사이의 거리가 될 수 있다. 또한, 길이 C는 트리거부(135)로부터 전단부(139)의 선단까지의 길이(3 핑거의 손가락 폭을 고려한 길이)가 될 수 있다.
트리거부로부터 상기 전단부의 선단까지의 길이(C)는 릴(13)이 릴 다리 지지부(125)에 놓이고 가동 후드(140)에 의하여 압받을 받는 상태를 기준으로 아래의 수식 1 및 2를 만족하는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1) 수식 1: A>B1
2) 수식 2: C-A>B2
즉, 수식 1에 따르면 축방향(AD)에서 트리거부(135)가 릴(13)의 후방측 릴 다리(13B)의 선단보다 더 후방(RD)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수식 2는 사용자가 전단부(139)의 하측면에 3 핑거가 안착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수식 2와 같이 C의 길이를 설정하게 되면, 전단부(139)의 선단이 릴(13)의 전방측 릴 다리(13A)의 선단보다 전방(FD)에 위치하게 될 수 있다.
상술한 수식 1 및 수식 2에 따라 길이 C를 설정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릴 시트를 파지할 때, 검지가 가동 후드(140)와 접촉할 가능성을 낮출 수 있고 전단부(139)의 하측면을 파지할 수 있게 되어서, 파지성을 개선할 수 있다.
릴의 일반적인 크기를 고려하여 길이 A는 대략 20 ~ 31mm의 범위, 길이 B1은 대략 21 ~ 35mm의 범위, 길이 B2는 31 ~ 41mm의 범위, 길이 B는 대략 62 ~ 70mm의 범위를 가질 수 있있다. 한편, 길이 C를 설정함에 있어서, 고려할 사용자의 손 크기(즉, 3 핑거의 폭)는 대략 55 ~ 75mm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도 12는 비교예에 따른 가동 후드(240)와 일 실시예에 따른 가동 후드(140)를 비교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a)는 비교예에 따른 가동 후드(240)를 도시하고, 도 12(b)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동 후드(140)를 도시한다.
도 12(a)를 참조하면, 비교예에 따른 가동 후드(240)는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을 가지며, 가동 후드(240)의 저면(底面)과 시트 바디(210)의 저면이 접촉하는 힘에 의해 릴의 다리를 고정하게 되므로, 가동 후드(240)의 하측면의 길이(L1)가 중요하게 된다. 예를 들어, 길이 L1은 10mm 내지 11mm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도 12(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가동 후드(140)에는 절결부(1425)가 형성되므로, 가동 후드(140)는 저면의 길이(L2)가 상대적으로 짧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길이 L2는 4mm 내지 6mm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가동 후드(140)에 대한 파손의 리스크가 상대적으로 높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절결부(1425)가 형성된 가동 후드(140)의 경우에는 시트 바디(110)의 저면과 가동 후드(140)의 저면만이 접촉하는 상황을 피하기 위하여,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와 같이, 가동 후드(140)에 키(보스)를 형성하고, 시트 바디(110)에 키 홈을 형성하여, 키와 키 홈의 접촉에 의한 릴 다리의 고정이 제안된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에서, 키는 '가이드 돌기'로 참조되고, 키 홈은 '가이드 홈'으로 참조된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동 후드(14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a)는 파이프 바디(120)에 압박부(142)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13(a)는 도 12(b)에 도시된 상태에서 II-II 선으로 절단한 모습을 도시한다. 도 13(b)는 압박부(142) 자체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가이드 돌기(143A)는 후드부(1424)의 내주면으로부터 폭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 돌기(143A)의 축방향 길이(L3)는 예를 들어, 20mm 내지 25mm가 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홈(127)은 파이프 바디(120)의 외주부에 축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후드부(1424)에 릴(13)의 릴 다리가 높이방향(HD)을 따라 들어올리는 힘(FH)을 작용하게 되면, 가이드 돌기(143A)의 상측면(1431A)과 가이드 홈(127)을 형성하는 측벽 돌기(129)의 하측면(1291)이 접촉하게 된다. 가이드 돌기(143A)의 상측면(1431A)이 측벽 돌기(129)의 하측면(1291)에 지지되기 때문에, 후드부(1424)가 더 이상 높이방향(HD) 상측으로 들리지 않게 된다.
가이드 돌기(143A)와 측벽 돌기(129)의 접촉 면적이 넓을 수록, 가이드 돌기(143A)와 측벽 돌기(129)에 가해지는 힘이 분산될 수 있기 때문에, 압박부(142)의 가이드 돌기(143A)와 파이프 바디(120)의 가이드 홈(127)은 보어(123)의 중심(OB)을 지나는 수평선 부근에 절결 라인(LC)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결 라인(LC)은 가이드 돌기(143A)의 하측면을 따라 축방향(AD)으로 연장하는 선으로 참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높이방향(HD)에서, 가이드 돌기(143A)의 하측면은 보어(123)의 중심(OB)을 지나면서 폭방향(WD)과 나란한 수평선과 인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하는 도 18 내지 23을 참고하면, 절결 라인(LC)은 압박부(442)의 가이드 돌기(443)와 파이프 바디(420)의 가이드 홈(427)에 대하여 보어(423)의 중심(OB)을 지나는 수평선 부근에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어(423)의 중심(OB)를 통과하는 수평선 부근에 절결 라인(LC)을 형성함으로써, 스피닝 릴을 장착하는 릴 시트(400)는 엄지 손가락 바닥(拇指球, finger ball)이 그립 바디(430)를 감싸도록 되어 그립 바디(430)에는 엄지 손가락이 아프지 않도록 형상하는데 충분한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한편, 도 24를 참조하면, 스피닝 릴을 장착하는 릴 시트(500)는 가동 후드를 반대 방향으로 설치하는 경우도 있다. 즉, 가동 후드(540)를 전방(FD)을 향하도록 하여 간체에 고정할 수 있으며, 그 경우에는 그립 바디(530)는 엄지 손가락을 넣을 수 있는 모양을 마련할 수도 있다.
이처럼, 보어(423)의 중심(OB)를 통과하는 수평선 부근에 절결 라인(LC)을 마련함으로써 다양한 그립 바디(430)에 대해 겸용이 가능한 가동 후드가 될 수 있다.
한편, 릴의 릴 다리는 정해진 규격이 없이 다양한 형상으로 될 수 있기 때문에, 폭이 넓은 형상을 갖는 릴 다리의 경우에도 효율적으로 고정하기 위해서는, 후드부(1424)의 내주면(1424A)이 테이퍼진 형상을 갖거나 라운드된 형상을 가지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릴이 릴 시트에 고정된 상태에서 낚싯줄의 폭방향(WD) 움직임에 의해 릴 다리가 폭 방향(WD)으로 움직이는 경우에는, 릴 다리의 측면이 후드부(1424)의 내주면(1424A)과 접촉하게 되면서, 후드부(1424)에는 좌우로 벌어지는 힘(FW)이 작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후드부(1424)에 좌우로 벌어지는 힘(FW)이 발생하게 되면, 절결부(1425)의 형성으로 인해 후드부(1424)는 폐쇄된 형상이 아니므로 폭방향(WD)으로의 벌어짐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없기 때문에, 후드부(1424)에는 후드부(1424)의 높이방향(HD) 정점을 축으로 하여 좌우로(즉, 폭방향(WD)으로) 변형(회전)이 생겨, 후드부(1424)에 대한 파손의 리스크가 높아질 수 있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동 후드(14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a)는 릴 시트에서 도 13(a)와 동일한 위치에서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다. 도 14(b)는 도 14(a)에 도시된 Z 부분을 확대한 모습을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 돌기(143B)와 측벽 돌기(129)의 접촉면에 각도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벽 돌기(129)의 하측면(1291)과 폭방향 외측면(1292)이 이루는 각도(α)는 예각을 이룰수 있고, 가이드 돌기(143B)의 상측면(1431B)과 폭방향 내측면(1432B)이 이루는 각도(β)는 예각을 이룰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 돌기(143B)와 측벽 돌기(129)에 각도를 부여함으로써, 릴 다리의 측면이 후드부(1424)의 내주면(1424A)과 접촉하게 되어 후드부(1424)에 양 측으로 벌어지는 힘(FW)이 작용하면, 측벽 돌기(129)의 하측면(1291)과 가이드 돌기(143B)의 상측면(1431B)이 접촉하면서, 측벽 돌기(129)가 가이드 돌기(143B)를 폭 방향 내측으로 미는 반작용을 가할 수 있기 때문에, 후드부(1424)가 폭방향(WD) 양 측으로 열려 파손되는 리스크를 회피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폭 방향 바깥면 (1292)이 이루는 각도(α)는 예각을 이루기 때문에, 가동 후드 (140) 전방에 위치하면 각도(α)의 정점이 노출하게된다. 각도(α)의 정점은 날카로우며 사용자의 손가락을 긁을 우려가 있다. 따라서, 각도(α)의 정점에서 손가락을 긁지 않도록 각도(α)의 정점은 곡면으로 형성하는 등의 안전 설계가 필요하다.
도 15은 도 4에 도시된 릴 시트(100)를 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W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파이프 바디(120)는 외주부(122)의 높이방향(HD) 하측 부분에 한 쌍의 실링 돌기(1251)를 구비할 수 있다. 실링 돌기(1251)는 파이프 바디(120)의 외주부(122)에서 폭방향(WD)으로 돌출하며 축방향(AD)으로 연장할 수 있다. 그립 바디(130)의 커버부(131)는, 실링 돌기(1251)에 걸림결합하는 실링 홈(1351)을 구비할 수 있다. 서로 걸림결합된 실링 돌기(1251)와 실링 홈(1351)에 의해, 커버부(131)의 제2 커버 엣지(134)의 아래에 위치하는 간극(111)이 실링될 수 있다.
압박부(142)는 가이드 돌기(143)의 폭방향(WD) 내측 선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하방 돌기(1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돌기(143)와 하방 돌기(144)는 'L 자형 돌기'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6을 참고하면, 하방 돌기(144)는 가이드 홈(127)의 외측면(1271), 실링 돌기(1251)의 상측면(1251A), 및 커버부(131)의 제2 커버 엣지(134)의 폭방향 내측면(1341A)이 형성하는 돌기 수용부(112)에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후드부(1424)에 양 측으로 벌어지는 힘(FW)이 작용하는 경우, 하방 돌기(144)의 폭방향 외측면(1441)은 제2 커버 엣지(134)의 폭방향 내측면(1341A)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술한 바 같이, 가이드 돌기(143)와 하방 돌기(144)는 'L 자형 돌기'를 형성하므로, 릴 다리에 의해 압박부(142)가 상측으로 밀어 올리는 힘(FH)을 받는 경우, 가이드 돌기(143)의 상측면(1431)이 측벽 돌기(129)의 하측면(1291)과 접촉하게 되어 릴을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압박부(142)에 좌우로 벌어지는 힘(FW)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하방 돌기(144)의 폭방향 외측면(1441)과 제2 커버 엣지(134)의 폭방향 내측면(1341A)의 접촉에 의해 릴을 고정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측벽 돌기(129) 또는 가이드 돌기(143)에 각도(즉, 예각)를 부여하지 않고도 압박부(142)의 폭방향(WD) 벌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하방 돌기(144)를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방 돌기(145)와 비교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a)는 압박부(142)에 가이드 돌기(143)와 하방 돌기(144)가 형성된 구성을 도시하고, 도 17(b)는 압박부(142)에 가이드 돌기(143)와 상방 돌기(145)가 형성된 구성을 도시한다.
도 17(b)를 참조하면, 압박부(142)는 가이드 돌기(143)의 폭방향(WD) 내측 선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상방 돌기(145)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돌기(143)와 상방 돌기(145)는 'L자형 돌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파이프 바디(120)는 측벽 돌기(129)의 폭방향(WD) 외측 선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울타리 돌기(129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방 돌기(145)의 폭방향 외측면(1451)은 울타리 돌기(1295)의 폭방향 내측면(1295A)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압박부(142)에 폭방향(WD)으로의 벌어지는 힘(FW)이 작용하더라도, 상방 돌기(145)가 울타리 돌기(1295)에 의해 지지되어, 압박부(142)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압박부(142)에 상방 돌기(145)를 제공하는 경우, 도 17(a)에 도시된 경우와 마찬가지로, 측벽 돌기(129) 또는 가이드 돌기(143)에 예각을 제공하지 않고도, 압박부(142)의 폭방향(WD)으로의 벌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7(b)의 경우에는, 상방 돌기(145)가 파이프 바디(120)의 울타리 돌기(1295)에 의해 지지되므로, 파이프 바디(120)의 두께를 도 17(a)의 경우 보다 크게 형성하게 되어, 파이프 바디(120)의 내경(D2)이 도 17(a)에 도시된 내경(D1)보다 작아지게 될 수 있다. 즉, 도 17(b)의 경우와 같이 'L자형 돌기'를 상향으로 구성하게 되면, 도 17(a)의 경우와 같이 'L자형 돌기'를 하향으로 한 경우와 비교해 볼 때, 파이프 바디(120)의 최저 두께가 증가하게 되기 때문에, 파이프 바디(120)의 내경(D2)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17(a)의 경우에는, 하방 돌기(144)가 그립 바디(130)의 제2 커버 엣지(134)에 의해 지지되므로, 파이프 바디(120)의 내경(D1)을 보다 크게 형성할 수 있다.
파이프 바디(120)의 내경이 클수록, 파이프 바디(120)의 중량을 가볍게 제조할 수 있고, 또한, 외경이 넓은 간체에 파이프 바디(120)의 장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파이프 바디(120)의 내경의 크기는 릴 시트(100)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설계 요소로 고려될 수 있고, 파이프 바디(120)의 내경의 크기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L자형 돌기'가 도 17(a)에 도시된 경우와 같이 하향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와 같이, 가동 후드(140)의 압박부(142)에 'L자형 돌기'를 형성함으로써, 릴의 릴 다리에 의하여 압박부(142)에 작용하는 위로 밀어 올리는 힘과 좌우로 벌어지는 힘에 의해 가동 후드가 파손되는 리스크를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하방 돌기(144)를 높이방향(HD) 하측으로 향하게 형성함으로써, 시트 바디(110)의 두께 감소를 실현하여 시트 바디(110)의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고, 성형 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8은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400)를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도 19는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400)를 도시하는 상면도이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성과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릴 시트(400)는 '스피닝 릴 시트'로 참조될 수 있다. 릴 시트(400)는 스피닝 릴을 장착할 수 있고, 스피닝 릴은 릴 시트(400)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릴 시트(400)는, 릴 시트(400)의 본체로서 기능하는 시트 바디(410) 및 시트 바디(410)에 축방향(AD)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동 후드(44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시트 바디(410)는 분리가능하게 구성되는 파이프 바디(420)와 그립 바디(4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시트 바디(410)는 파이프 바디(420)에 대응하는 형상과 그립 바디(430)에 대응하는 형상을 구비하는 일체형 바디로 구성될 수 있다.
파이프 바디(420)는 간체의 축방향(AD)으로 삽입되는 보어(423)를 내주부에서 한정하고 릴 다리 지지부(425)를 외주부(422)의 하측에 구비할 수 있다.
그립 바디(430)는 파이프 바디(420)를 부분적으로 감싸는 커버부(431)를 구비할 수 있다. 커버부(431)는 축방향(AD)으로 연장하며 그립 바디(430)의 후방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커버부(431)는 파이프 바디(420)의 릴 다리 지지부(425)를 노출시키면서 파이프 바디(420)의 외주부(422)를 부분적으로 감쌀 수 있다.
그립 바디(430)는 커버부(431)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하는 원통부(436)를 구비할 수 있다. 원통부(436)는 그 내주부에서 파이프 바디(420)의 전단부를 수용할 수 있다. 또한, 고정 후드(438)가 그립 바디(430)의 원통부(436)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원통부(436)의 후방 상단부는 측방 부분보다 더욱 두꺼운 두께를 가지면서 상방으로 돌출하여, 고정 후드(438)를 형성할 수 있다.
커버부(431)는 축방향(AD)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커버 엣지(433, 434)를 가질 수 있다. 커버부(431)의 커버 엣지(433, 434)는 파이프 바디(420)의 외주부(422)에 걸림결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부(431)는 양측 커버 엣지(433, 434)에서 파이프 바디(420)의 외주부(422)에 걸림결합하여, 파이프 바디(420)와 그립 바디(430)를 둘레방향(CD)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가동 후드(440)는 나사 운동에 의해 파이프 바디(420)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가동 후드(440)는 너트부(441)와 압박부(442)를 포함할 수 있다. 압박부(442)는 후드부(4424)와 절결부(4425)를 구비할 수 있다. 커버부(431)의 후단은 절결부(4425)와 상호 보완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가동 후드(440)가 파이프 바디(420)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파이프 바디(420)가 너트부(441)와 압박부(442)를 관통할 수 있다.
도 20은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400)와 스피닝 릴(15)이 설치된 낚싯대(4)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시트 바디(410)는 간체(11)에 고정되며, 스피닝 릴(15)의 한 쌍의 릴 다리(15A, 15B)를 지지할 수 있다. 그립 바디(430)는 파이프 바디(420)에 간체의 축방향(AD)으로 결합되며, 사용자가 릴 시트(400)를 그립하는 부분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일방의 손으로 그립 바디(430)를 그립하고 타방의 손으로 릴(15)에 마련된 핸들을 조작할 수 있다. 그립 바디(430)의 상부 부분(437)은 손바닥의 그립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측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스피닝 릴(15)의 릴 다리(15A, 15B)은 하방을 향하는 릴 다리 지지부(425) 상에 놓일 수 있다. 전방 릴 다리(15A)는 고정 후드(438)에 의해 지지되고, 후방 릴 다리(15B)는 후드부(4424)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스피닝 릴(15)이 중력에 의해 릴 시트(400)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사용자가 릴 시트(400)를 파지하게 되면,스피닝 릴(15)의 다리 기둥(15C)은 사용자의 중지와 약지 사이에 끼워지게 될 수 있다. 이 경우, 스풀(15D)은 사용자의 손등 및 다리 기둥(15C) 보다 더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중지는 전방 릴 다리(15A)의 하측면을 파지하고, 약지는 후방 릴 다리(15B)의 상측면을 파지할 수 있다. 또한, 엄지와 검지는 원통부(436)의 외주면을 파지할 수 있고, 검지는 원통부(436)의 외주면의 하측 부분을 파지할 수 있다. 또한, 새끼손가락은 가동 후드(440)를 파지하게 될 수 있다.
도 21은 도 19에 도시된 릴 시트(400)를 IV-IV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너트부(441)와 압박부(442)는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너트부(441)는 전단 부근에, 플랜지(4412)와, 플랜지(4412)에 인접한 걸림 홈(4413)과, 걸림 홈(4413)에 인접한 걸림 돌기(4414)가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4412)와 걸림 홈(4413)은 둘레방향(CD)으로 연장할 수 있다. 압박부(442)의 후단에는, 너트부(441)의 걸림 홈(4413)에 걸림결합되는 걸림 돌기(4422)와, 걸림 돌기(4422)에 인접하고 너트부(441)의 걸림 돌기(4414)가 걸림결합되는, 걸림 홈(4423)이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걸림 돌기(4414)와 걸림 홈(4423) 간의 걸림 결합이, 압박부(442)와 너트부(441)에 상대 회전을 제공할 수 있다.
너트부(441)를 파이프 바디(420)를 중심으로 하여 둘레방향(CD)에서의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수나사(426)와 암나사(4411) 간의 나사 운동에 의해, 너트부(441)는 회전하면서, 플랜지(4412)를 통해 압박부(442)를 고정 후드(438)를 향해 이동시킬 수 있다. 압박부(442)가 릴 다리에 접촉하면, 너트부(441)를 약간 더 회전시킴에 따라, 수나사(426)와 암나사(4411) 간의 나사 체결력으로, 압박부(442)는 릴 다리를 파이프 바디의 릴 다리 지지부에 압박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너트부(441)를 상기 일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수나사(426)와 암나사(4411) 간의 나사 운동에 의해, 너트부(441)는 회전하면서 고정 후드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될 수 있다. 즉, 너트부(441)의 걸림 돌기(4414)가 압박부(442)의 걸림 돌기(4422)를 후방으로 당겨서, 릴 다리를 압박하는 압박부(442)가 고정 후드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될 수 있다.
도 22는 도 18에 도시된 릴 시트(400)를 III-III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V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파이프 바디(420)는 간체의 축방향(AD)으로 삽입되는 보어(423)를 내주부에서 한정하고 릴 다리 지지부(425)를 외주부(422)의 하측에 구비할 수 있다.
파이프 바디(420)는 외주부(422)의 높이방향(HD) 상측 부분에 한 쌍의 실링 돌기(4251)를 구비할 수 있다. 실링 돌기(4251)는 파이프 바디(420)의 외주부(422)에서 폭방향(WD)으로 돌출하며 축방향(AD)으로 연장할 수 있다. 그립 바디(430)의 커버부(431)는, 실링 돌기(4251)에 걸림결합하는 실링 홈(4351)을 구비할 수 있다. 서로 걸림결합된 실링 돌기(4251)와 실링 홈(4351)에 의해, 커버부(431)의 커버 엣지(433, 434)의 상측에 위치하는 간극(411)이 실링될 수 있다.
압박부(442)는 가이드 돌기(443)의 폭방향(WD) 내측 선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상방 돌기(4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돌기(443)는 압박부(442)의 전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443)와 상방 돌기(444)는 'L 자형 돌기'를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 홈(427)은 파이프 바디(420)의 후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상방 돌기(444)는 가이드 홈(427)의 외측면(4271), 실링 돌기(4251)의 하측면(4251A), 및 커버부(431)의 커버 엣지(434)의 폭방향 내측면(4341A)이 형성하는 돌기 수용부(412)에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후드부(4424)에 양 측으로 벌어지는 힘(FW)이 작용하는 경우, 상방 돌기(444)의 폭방향 외측면(4441)은 커버 엣지(434)의 폭방향 내측면(4341A)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술한 바 같이, 가이드 돌기(443)와 상방 돌기(444)는 'L 자형 돌기'를 형성하므로, 릴 다리에 의해 압박부(442)가 하측으로 끌어 내리는 힘(FH)을 받는 경우, 가이드 돌기(443)의 하측면(4431)이 측벽 돌기(429)의 상측면(4291)과 접촉하게 되어 릴(15)을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압박부(442)에 좌우로 벌어지는 힘(FW)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하방 돌기(444)의 폭방향 외측면(4441)과 커버 엣지(434)의 폭방향 내측면(4341A)의 접촉에 의해 릴(15)을 고정할 수 있다.
도 24는 본 개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500)와 스피닝 릴(15)이 설치된 낚싯대(5)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성과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가동 후드(540)는 릴 시트(50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릴 시트(500)는 시트 바디(510)와 시트 바디(510)의 전방에 결합되는 가동 후드(540)를 포함한다. 시트 바디(510)는 파이프 바디(520)과 그립 바디(530)를 포함하고, 그립 바디(530)는 커버부(53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동 후드(540)에는 전방(FD)을 향하여 절결된 절결부(5425)가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531)의 전단부는 절결부(5425)와 상호 보완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에에서, 사용자의 검지는 가동 후드(540)의 하측면을 파지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커버부(531)의 상측면의 전방 부분에는 오목부(538)가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릴 시트(500)를 파지할 때, 오목부(538)에 엄지를 위치시킴으로써, 엄지의 그립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캐스팅 시에 힘을 주기가 쉽다.
도 25는 도 24에 도시된 릴 시트(500)를 V-V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6은 도 25에 도시된 Q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파이프 바디(520)는 외주부(522)의 높이방향(HD) 상측 부분에 한 쌍의 실링 돌기(5251)를 구비할 수 있다. 실링 돌기(5251)는 파이프 바디(520)의 외주부(522)에서 폭방향(WD)으로 돌출하며 축방향(AD)으로 연장할 수 있다. 그립 바디(530)의 커버부(531)는, 실링 돌기(5251)에 걸림결합하는 실링 홈(5351)을 구비할 수 있다. 서로 걸림결합된 실링 돌기(5251)와 실링 홈(5351)에 의해, 커버부(531)의 커버 엣지(533, 534)의 상측에 위치하는 간극(511)이 실링될 수 있다.
압박부(542)는 가이드 돌기(543)의 폭방향(WD) 내측 선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상방 돌기(5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돌기(543)는 압박부(542)의 후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543)와 상방 돌기(544)는 'L 자형 돌기'를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 홈(527)은 파이프 바디(520)의 전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도 26을 참조하면, 상방 돌기(544)는 가이드 홈(527)의 외측면(5271), 실링 돌기(5251)의 하측면(5251A), 및 커버부(531)의 커버 엣지(534)의 폭방향 내측면(5341A)이 형성하는 돌기 수용부(512)에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후드부(5424)에 양 측으로 벌어지는 힘(FW)이 작용하는 경우, 상방 돌기(544)의 폭방향 외측면(5441)은 커버 엣지(534)의 폭방향 내측면(5341A)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술한 바 같이, 가이드 돌기(543)와 상방 돌기(544)는 'L 자형 돌기'를 형성하므로, 릴 다리에 의해 압박부(542)가 하측으로 끌어 내리는 힘(FH)을 받는 경우, 가이드 돌기(543)의 하측면(5431)이 측벽 돌기(529)의 상측면(5291)과 접촉하게 되어 릴(15)을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압박부(542)에 좌우로 벌어지는 힘(FW)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하방 돌기(544)의 폭방향 외측면(5441)과 커버 엣지(534)의 폭방향 내측면(5341A)의 접촉에 의해 릴(15)을 고정할 수 있다.
이상 일부 실시예들과 첨부된 도면에 도시하는 예에 의해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할 수 있다.
1: 낚싯대, 11: 간체, 13, 15: 릴, 13A, 13B, 15A, 15B: 릴 다리, 100, 400, 500: 릴 시트, 110, 210, 310, 410, 510: 시트 바디, 111, 411, 511: 간극, 120, 420, 520: 파이프 바디, 121: 내주부, 122, 422, 522: 외주부, 123, 423, 523: 보어, 125, 425, 525: 릴 다리 지지부, 127, 427, 527: 가이드 홈, 128: 절결 슬릿, 1251, 4251, 5251: 실링 돌기, 130, 430, 530: 그립 바디, 131, 431, 531: 커버부, 133, 134, 433, 434, 533, 534: 제1 및 제2 커버 엣지, 135:트리거부, 139: 전단부, 1351, 4351, 5351: 실링 홈, 140, 240, 340, 440, 540: 가동 후드, 141, 441: 너트부, 142, 442, 542: 압박부, 1424, 4424, 5424: 후드부, 1425, 4425, 5425: 절결부

Claims (10)

  1. 릴의 릴 다리를 고정하여 상기 릴을 낚싯대의 간체에 부착하는 릴 시트이며,
    상기 간체에 부착되고 상기 릴을 지지하는 시트 바디(110, 410, 510)와,
    상기 시트 바디(110, 410, 510)의 전방부 또는 후방부에 상기 간체의 축방향(AD)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릴 다리를 상기 시트 바디(110, 410, 510)에 대하여 압박하여 고정하는 가동 후드(140, 440, 540)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 후드(140, 440, 540)는, 상기 릴 다리를 덮어 압박하도록 구성되는 후드부(1424, 4424, 5424)와, 상기 후드부의 하측 또는 상측에서 상기 가동 후드(140, 440, 540)의 둘레방향을 따라 상기 둘레방향의 일부에서 상기 시트 바디(110, 410, 510)의 일부와 상보적인 형상을 갖도록 상기 가동 후드의 외부 표면을 관통하여 오목하게 절단된 형상을 갖는 절결부(1425, 4425, 5425)를 구비하고,
    상기 시트 바디(110, 410, 510)는 상기 시트 바디(110, 410, 510)의 측부에 형성되어 상기 축방향(AD)을 따라 연장된 가이드 홈(127, 427, 527)을 구비하고,
    상기 가동 후드(140, 440, 540)는 상기 가동 후드(140, 440, 540)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축방향(AD)을 따라 연장된 L자형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L자형 돌기는 상기 가동 후드(140, 440, 540)가 상기 시트 바디(110, 410, 510)의 전방부 또는 후방부에 결합될 때 상기 가이드 홈(127, 427, 527)에 걸리도록 구성되는,
    릴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바디(110)는,
    상기 간체가 상기 간체의 축방향(AD)으로 삽입되는 보어(123)를 내주부에서 한정하고 상기 릴 다리가 놓이는 릴 다리 지지부(125)를 외주부(122)의 상측에 구비하는 파이프 바디(120)와,
    상기 릴 다리 지지부(125)를 노출시키면서 상기 파이프 바디(120)의 외주부(122)를 감싸고 양측 엣지(133, 134)에서 상기 파이프 바디(120)의 외주부(122)에 걸림결합되는 커버부(131)를 구비하고 상기 축방향(AD)으로 상기 파이프 바디(120)의 후방부에 결합되는 그립 바디(130)를 포함하는,
    릴 시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131)는 상기 가동 후드(140)가 상기 그립 바디(130)를 향하여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절결부(1425)가 형성하는 공간으로 삽입되는 전단부(139)를 포함하고,
    상기 전단부(139)는 상기 절결부(1425)의 오목하게 절단된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
    릴 시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 바디(130)는 상기 그립 바디(130)의 후방 위치에서 상기 커버부(131)의 하측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트리거부(135)를 구비하고,
    상기 트리거부(135)로부터 상기 전단부(139)의 선단까지의 길이(C)는 상기 릴이 상기 릴 다리 지지부에 놓인 상태를 기준으로 아래의 수식 1 및 수식 2를 만족하도록 설정되는,
    수식 1: A>B1, 수식 2: C-A>B2
    (A: 트리거부(135)로부터 릴의 스풀 축(O)까지의 길이, B1: 릴의 후방측 릴 다리(13B)와 스풀 축(O) 사이의 길이, B2: 릴의 전방측 릴 다리(13A)와 스풀 축(O) 사이의 길이, C: 트리거부(135)로부터 전단부(139)의 선단까지의 길이)
    릴 시트.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L자형 돌기는 상기 가동 후드(140)의 내측면으로부터 폭방향 내측으로 연장된 가이드 돌기(143) 및 상기 가이드 돌기(143)의 폭방향 내측 선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하방 돌기(144)를 포함하는,
    릴 시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절결부(1425)는 상기 축방향(AD)으로 위치하는 제1 절결 엣지(1426)와, 상기 제1 절결 엣지(1426)로부터 높이방향(HD) 하측으로 연장하는 제2 절결 엣지(1427)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돌기(143)는 상기 제1 절결 엣지(1426)로부터 폭방향(WD) 내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가이드 돌기(143)와 가이드 홈(127)의 절결 라인(LC)은 상기 보어(123)의 중심(OB)을 지나는 수평선 부근에 형성되는,
    릴 시트.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바디(120)는 파이프 바디(120)의 외주부(122)에서 폭방향(WD)으로 돌출한 실링 돌기(1251)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부(131)는 상기 실링 돌기(1251)에 걸림결합하는 실링 홈(1351)을 구비하고,
    상기 하방 돌기(144)는 상기 가이드 홈(127)의 외측면(1271)과 상기 실링 돌기(1251)의 상측면(1251A) 및 상기 커버부(131)의 폭방향 내측면(1341A)이 형성하는 돌기 수용부(112)에 수용되는,
    릴 시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바디(410, 510)는,
    상기 간체가 상기 간체의 축방향(AD)으로 삽입되는 보어(423, 523)를 내주부에서 한정하고 상기 릴 다리가 놓이는 릴 다리 지지부(425, 525)를 외주부(422, 522)의 하측에 구비하는 파이프 바디(420, 520)와,
    상기 릴 다리 지지부(425, 525)를 노출시키면서 상기 파이프 바디(420, 520)의 외주부(422, 522)를 감싸고 양측 엣지(433, 434, 533, 534)에서 상기 파이프 바디(420, 520)의 외주부(422, 522)에 걸림결합되는 커버부(431, 531)를 구비하고 상기 축방향(AD)으로 상기 파이프 바디(420, 520)에 결합되는 그립 바디(430, 530)를 포함하는,
    릴 시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L자형 돌기는 상기 가동 후드(440, 540)의 내측면으로부터 폭방향 내측으로 연장된 가이드 돌기(443, 543) 및 상기 가이드 돌기(443, 543)의 폭방향 내측 선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상방 돌기(444, 544)를 포함하는,
    릴 시트.
  10. 간체(11)와,
    상기 간체(11)에 부착되는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릴 시트를 포함하는
    낚싯대.
KR1020190168754A 2019-07-08 2019-12-17 릴 시트 및 이를 구비하는 낚싯대 KR102150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8754A KR102150338B1 (ko) 2019-12-17 2019-12-17 릴 시트 및 이를 구비하는 낚싯대
JP2020113918A JP6872825B2 (ja) 2019-07-08 2020-07-01 リールシート及びこれを備える釣り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8754A KR102150338B1 (ko) 2019-12-17 2019-12-17 릴 시트 및 이를 구비하는 낚싯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0338B1 true KR102150338B1 (ko) 2020-09-01

Family

ID=72450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8754A KR102150338B1 (ko) 2019-07-08 2019-12-17 릴 시트 및 이를 구비하는 낚싯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03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616119A (en) * 2022-01-27 2023-08-30 Globeride Inc Reel seat and fishing rod
KR102662072B1 (ko) * 2022-11-03 2024-04-30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릴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낚싯대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8636A (ja) 1997-06-30 1999-01-26 Daiwa Seiko Inc 釣 竿
KR0135758Y1 (ko) * 1996-10-22 1999-02-01 유병돈 스피닝과 캐스팅의 겸용구성이 가능한 낚시대용 릴시트구조
JP2000032883A (ja) * 1998-07-17 2000-02-02 Ryobi Ltd 釣り竿のリールシート
JP2004024162A (ja) * 2002-06-27 2004-01-29 Shimano Inc 釣竿
JP2012110303A (ja) * 2010-11-27 2012-06-14 Shimano Inc 筒状リールシート及び釣竿
KR101466540B1 (ko) * 2013-09-10 2014-11-27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릴 시트용 가동 후드, 릴 시트 및 이를 구비하는 낚싯대
KR20150029521A (ko) * 2013-09-10 2015-03-18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릴 시트용 가동 후드, 릴 시트 및 이를 구비하는 낚싯대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5758Y1 (ko) * 1996-10-22 1999-02-01 유병돈 스피닝과 캐스팅의 겸용구성이 가능한 낚시대용 릴시트구조
JPH1118636A (ja) 1997-06-30 1999-01-26 Daiwa Seiko Inc 釣 竿
JP2000032883A (ja) * 1998-07-17 2000-02-02 Ryobi Ltd 釣り竿のリールシート
JP2004024162A (ja) * 2002-06-27 2004-01-29 Shimano Inc 釣竿
JP2012110303A (ja) * 2010-11-27 2012-06-14 Shimano Inc 筒状リールシート及び釣竿
KR101466540B1 (ko) * 2013-09-10 2014-11-27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릴 시트용 가동 후드, 릴 시트 및 이를 구비하는 낚싯대
KR20150029521A (ko) * 2013-09-10 2015-03-18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릴 시트용 가동 후드, 릴 시트 및 이를 구비하는 낚싯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616119A (en) * 2022-01-27 2023-08-30 Globeride Inc Reel seat and fishing rod
GB2616119B (en) * 2022-01-27 2024-06-05 Globeride Inc Reel seat and fishing rod
KR102662072B1 (ko) * 2022-11-03 2024-04-30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릴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낚싯대
KR102662076B1 (ko) 2022-11-03 2024-05-03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릴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낚싯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0338B1 (ko) 릴 시트 및 이를 구비하는 낚싯대
KR101466540B1 (ko) 릴 시트용 가동 후드, 릴 시트 및 이를 구비하는 낚싯대
US6629382B2 (en) Fishing rod handle
US7137585B2 (en) Fishing line guide mechanism for a spinning reel
US9832982B2 (en) Movable hood for reel seat, reel seat, and fishing rod including same
KR102062710B1 (ko) 릴 시트용 팜 레스트, 릴 시트, 및 낚싯대
JP2008220213A (ja) 釣り竿
KR102150347B1 (ko) 릴 시트 및 이를 구비하는 낚싯대
JP6839879B2 (ja) リールシート及びこれを備える釣り竿
US5131596A (en) Double bearing fishing reel with fishing line guide mechanism
KR20170088741A (ko) 낚시용 스피닝 릴의 로터
JP6872825B2 (ja) リールシート及びこれを備える釣り竿
JP7376449B2 (ja) リールシート
US5115591A (en) Fishing rod
KR20020089203A (ko) 스피닝 릴의 로터
CN211657212U (zh) 卷线器固定装置
JP5997994B2 (ja) 魚釣り用リールのハンドル
KR20240013649A (ko) 낚싯대 핸들 및 이를 포함하는 낚싯대
US10791723B2 (en) Combination spinning reel seat handle system
JP2024014820A (ja) 釣竿ハンドル及びこれを含む釣竿
JP2919798B2 (ja) 釣竿用導糸環
JP2004016198A (ja) 釣竿のハンドル
JP2022031422A (ja) 魚釣用リールのハンドルノブ及びこのハンドルノブを備える魚釣用リール
JP7078404B2 (ja) リール脚固定装置
JP4064247B2 (ja) 釣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