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9521A - 릴 시트용 가동 후드, 릴 시트 및 이를 구비하는 낚싯대 - Google Patents

릴 시트용 가동 후드, 릴 시트 및 이를 구비하는 낚싯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9521A
KR20150029521A KR20140065032A KR20140065032A KR20150029521A KR 20150029521 A KR20150029521 A KR 20150029521A KR 20140065032 A KR20140065032 A KR 20140065032A KR 20140065032 A KR20140065032 A KR 20140065032A KR 20150029521 A KR20150029521 A KR 201500295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d
reel seat
reel
movable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65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8880B1 (ko
Inventor
가즈히토 오무라
Original Assignee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to US14/910,978 priority Critical patent/US9832982B2/en
Priority to CN201480049064.9A priority patent/CN105611830B/zh
Priority to JP2015536532A priority patent/JP5940739B2/ja
Priority to PCT/JP2014/073030 priority patent/WO2015037470A1/ja
Publication of KR20150029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95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8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88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6Devices for fixing reels on ro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21Frame details
    • A01K89/01127Reel suppor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화감을 감소키면서 그립감을 향상시킨 릴 시트를 가능하게 하는 가동 후드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용 가동 후드는, 릴 시트의 바디가 관통하고, 바디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하측에서 릴의 부착 다리를 바디에 고정하는 후드부와, 바디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후드부에 연결되고, 내주면에서 바디의 외주면과 나사결합하는 너트부를 가진다. 후드부는 너트부에 면하는 기단과 기단의 반대쪽에 선단을 갖는다. 후드부를 측면에서 볼 때, 후드부의 상측에서의 기단에서 선단까지의 길이는 후드부의 하측에서의 기단에서 선단까지의 길이보다 길고, 후드부의 상측의 윤곽선은 상방으로 볼록한 곡선을 가진다.

Description

릴 시트용 가동 후드, 릴 시트 및 이를 구비하는 낚싯대{MOVABLE HOOD FOR REEL SEAT, REEL SEAT AND FISHING ROD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릴의 부착 다리를 릴 시트의 바디에 고정하기 위한 가동 후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가동 후드를 구비하는 릴 시트 및 낚싯대에 관한 것이다.
스피닝 릴, 베이트 캐스팅 릴과 같은 낚싯대용 릴은 릴 시트에 의해 낚싯대에 장착된다. 릴 시트의 일 예로서, 낚싯대의 외면에 부착되는 평판형 릴 시트 또는 낚싯대가 관통하는 원통형 릴 시트가 있다.
원통형의 릴 시트는, 예컨대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30)의 부착 다리(31)를 릴 시트(10)의 바디(11)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후드(12)와 가동 후드(13)를 가지며, 가동 후드(13)는 릴 시트의 바디(11)를 따라 이동 가능한 링 형상을 가진다. 릴의 부착 다리(31) 중 하나를 고정 후드(12)에 의해 바디(11)에 고정하고, 가동 후드(13)에 의해 릴의 부착 다리(31) 중 다른 하나를 바디(11)에 고정하여, 릴(30)은 릴 시트(10)에 장착된다.
릴(30)이 장착된 낚싯대(20)를 잡을 때, 사용자는 손가락 사이에 릴의 부착 다리(31)를 두고 릴 시트(10)를 감싸 쥐며, 사용자의 손바닥 및 손가락은 고정 후드(12)나 가동 후드(13)의 외면과 바디(11)의 외면에 닿게 된다. 릴(30)을 바디(11)에 고정할 때, 바디(11)와 가동 후드(13)의 사이에는 간극(예컨대, 도 1에서 부호 G로 지시한 부분)이 있거나, 바디(11)의 외면과 가동 후드(13)의 외면 사이의 높낮이차로 인한 단차(예컨대, 도 2에서 부호 S로 지시한 부분)가 존재하므로, 사용자는 자신의 손바닥이나 손가락에 돌기물을 잡는 것 같은 이물감 및 위화감을 느낄 수 있으며, 또한 안정된 그립감으로 낚싯대(20)를 잡을 수 없다. 이물감과 위화감을 감소시키고 그립감을 향상시킨 릴 시트가 당해 분야에서 요구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9-268416호 일본 등록특허공보 제305376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9-268416호는 릴 시트의 바디와 가동 후드 사이의 단차를 감소시킨 릴 시트를 개시한다. 이 특허문헌에 의하면, 가동 후드와 바디 사이의 단차를 감소시키기 위해, 가동 후드는 빗살 형상의 부분을 가지며 바디는 가동 후드의 빗살 형상의 부분과 맞물리는 맞물림부를 가진다. 그러나, 가동 후드의 빗살 형상의 부분의 강도가 약해 바디의 맞물림부로부터 벌어져 단차를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일본 등록특허공보 제3053767호는 가동 후드에 오목부를 마련한 릴 시트를 개시한다. 그러나, 오목부를 갖는 가동 후드는 가동 후드가 낚싯대의 선단 측에 놓이게 되는 릴 시트에만 적용될 수 있으며, 가동 후드가 낚싯대의 후단 측에 놓이게 되는 유형의 릴 시트에 적용하게 되면, 가동 후드의 오목부가 손바닥의 아래에 위치되어 그립감을 저하시키게 된다.
낚싯대를 격렬하게 흔들거나 낚싯대를 진동시키는 동작을 고려하는 경우, 사용자의 손바닥에 가해지는 위화감을 줄이기 보다는, 사용자가 릴 시트를 안정적으로 잡을 수 있도록, 릴 시트는 양호한 그립감을 가져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릴 시트 및 가동 후드는 그립감의 향상과 위화감의 저하를 모두 만족시키지 못한다. 또한, 릴 시트에는 전용의 가동 후드만이 채용되고 있어서, 릴 시트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이 제한적이다. 이와 같이 종래의 릴 시트 및 가동 후드는 사용자에게 폭 넓은 선택을 제공하지 못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릴 시트의 유형에 관계 없이 적용되어 사용자의 손에 대한 위화감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그립감을 향상시킨 릴 시트용 가동 후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릴 시트에 대한 선택을 다양하게 하는 가동 후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가동 후드를 구비하여 그립감이 양호한 릴 시트와 이러한 릴 시트를 구비하는 낚싯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낚싯대에 릴을 장착하기 위한 릴 시트에 사용되는 가동 후드가 제공된다.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 릴 시트용 가동 후드는 릴 시트의 바디가 관통하고, 상기 바디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하측에서 릴의 부착 다리를 상기 바디에 고정하는 후드부와, 상기 바디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상기 후드부에 연결되고, 내주면에서 상기 바디의 외주면과 나사결합하는 너트부를 포함한다. 상기 후드부는 상기 너트부에 면하는 기단과 상기 기단의 반대쪽에 선단을 갖는다. 상기 후드부를 측면에서 볼 때, 상기 후드부의 상측에서의 상기 기단에서 상기 선단까지의 길이는 상기 후드부의 하측에서의 상기 기단에서 상기 선단까지의 길이보다 길다. 또한, 상기 후드부를 측면에서 볼 때, 상기 후드부의 상측의 윤곽선은 상방으로 볼록한 곡선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볼록한 곡선의 정점은 상기 상측에서의 상기 기단에서 상기 선단까지의 길이에 대하여 상기 기단으로부터 80% 이하의 거리에 위치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후드부를 측면에서 볼 때, 상기 후드부의 하측의 윤곽선은 상방으로 오목한 곡선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후드부를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선단의 상측 및 하측 사이의 윤곽선은 상기 기단 쪽으로 오목한 곡선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후드부는 상기 릴 시트의 바디가 관통하는 제1 보어와 제2 보어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보어는 상기 기단으로부터 상기 선단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2 보어는 상기 제1 보어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고 상기 제1 보어로부터 상기 선단으로 연장하며, 상기 후드부를 정면에서 볼 때, 상기 제1 보어와 상기 제2 보어의 사이에 단차가 형성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선단으로부터 상기 단차까지의 깊이는 상기 상측에서의 상기 기단에서 상기 선단까지의 길이의 30% 내지 70% 범위이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릴 시트용 가동 후드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릴 시트의 바디의 외주면과 상기 후드부의 내주면 사이에 끼워지는 보조 후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후드는 상기 제2 보어와 상기 릴 시트의 바디의 사이에 끼워지는 삽입부를 가진다. 또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조 후드는 측방에 개구 또는 오목부를 가진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측에서의 상기 기단에서 상기 선단까지의 길이는 40mm 이하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릴 시트에 관련된다.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 릴 시트는 릴의 한 쌍의 부착 다리가 안착하는 안착부를 하측에 구비하고, 일단부의 외주면에 수나사부를 구비하며, 길이방향으로 낚싯대의 일부가 관통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길이방향에서의 양단부 중 하나의 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한 쌍의 부착 다리 중 하나를 상기 바디의 안착부에 고정하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가동 후드와, 상기 가동 후드와 대향하여 상기 바디에 위치하고 상기 한 쌍의 부착 다리 중 다른 하나를 상기 바디의 안착부에 고정하는 고정 후드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 후드의 너트부는 그 내주면에서 상기 수나사와 나사결합한다.
본 발명은 또 다른 측면은 낚싯대에 관련되며, 상기 낚싯대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용 가동 후드 또는 전술한 릴 시트를 구비한다.
실시예에 따른 가동 후드에 의하면, 후드부의 릴의 부착 다리를 고정하는 하측의 길이보다 그 반대쪽의 상측의 길이가 길고, 상측의 윤곽선은 상방으로 볼록한 곡선을 가진다. 따라서, 가동 후드는 향상된 그립감으로 릴 시트의 후단측 또는 선단측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가동 후드가 릴 시트의 후단측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가동 후드와 사용자의 손바닥 사이의 간극이 없어지고, 실시예에 따른 가동 후드가 릴 시트의 선단측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엄지 손가락은 강하게 후드부의 상측에 접촉할 수 있다. 또한, 후드부의 선단측 및 하측 윤곽선은 오목한 곡선으로 되므로, 사용자의 손가락이 후드부에 접촉할 때 손가락이 적정의 위치로 유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에 의해 위화감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그립감이 향상된 릴 시트가 달성된다. 또한, 후드부 내부에 형성된 단차와 후드부와 릴 시트의 바디에 끼워지는 보조 후드에 의해, 릴 시트의 그립감을 유지하면서도 사용자의 릴 시트에 대한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다.
도 1은 스피닝 릴을 릴 시트에 고정하는 종래의 가동 후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는 스피닝 릴을 릴 시트에 고정하는 종래의 또 다른 가동 후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동 후드가 릴 시트의 후단측에 결합되어 있고, 가동 후드에 의해 릴이 릴 시트에 고정된 것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하는 가동 후드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하는 가동 후드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Ⅵ-Ⅵ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Ⅶ-Ⅶ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동 후드가 릴 시트의 전단측에 장착되어 있고, 가동 후드에 의해 릴이 릴 시트에 고정된 것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3에 도시하는 릴 시트의 사용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도 8에 도시하는 릴 시트의 사용예를 도시한다.
도 11은 보조 후드가 결합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동 후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2는 가동 후드와 보조 후드를 도시하는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13은 다른 예의 보조 후드가 결합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동 후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릴 시트용 가동 후드의 실시예와, 이를 구비하는 릴 시트 및 낚싯대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13에 있어서,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 또는 대응하는 요소 또는 부품을 지시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전방", "전" 등의 방향지시어는 낚싯대의 선단 측을 향하는 방향(예컨대, 도 3에서 화살표(T)로 지시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후방", "후" 등의 방향지시어는 낚싯대의 후단 측을 향하는 방향(예컨대, 도 3에서 화살표(B)로 지시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하방", "하" 등의 방향지시어는 릴 시트에 대하여 릴이 장착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고, "상방", "상" 등의 방향지시어는 그 반대방향을 의미한다.
또, 본 명세서에 사용된 "윤곽선"이라는 용어는, 가동 후드의 정면도 또는 측면도에서 가동 후드를 구성하는 요소 또는 부품의 최외측에 보이는 선을 말한다. 예컨대, "상측의 윤곽선" 또는 "하측의 윤곽선"은 가동 후드를 측면에서 볼 때 해당 요소 또는 부품의 가장 위쪽 또는 가장 아래쪽에 위치하는 선을 말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100U)는, 스피닝 릴(이하, 간단히 "릴"이라 한다)(300)을 낚싯대(200)에 장착하는데 사용된다.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에 장착될 수 있는 릴이 도 3에 도시하는 스피닝 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릴(300)은, 낚싯줄이 감기는 스풀, 스풀을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 등을 구비하며, 릴 시트(100U)에의 부착을 위한 부착 다리(310)를 가진다. 부착 다리(310)는 대략 T자 형상을 가지며, 그 선단에 대략 직선형으로 연장하는 전방 부착 다리(311)와 후방 부착 다리(312)를 구비한다. 전방 부착 다리(311)와 후방 부착 다리(312)는 그 선단 또는 후단으로 갈수록 횡단면적이 축소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따라서, 전방 부착 다리(311)는 그 선단부에 선단으로 기울어진 사면(313)을 가지고, 후방 부착 다리(312)는 그 후단부에 후단으로 기울어진 사면(314)을 가진다. 전방 부착 다리(311)와 후방 부착 다리(312)는 후술하는 릴 시트의 전방 및 후방 삽입 공동에 그 선단부 및 후단부에서 각각 삽입된다.
릴 시트(100U)는, 바디(110)와, 고정 후드(120)와, 가동 후드(130)를 구비한다. 가동 후드(130)는 바디(110)의 길이방향에서의 양 단부 중 하나의 단부에 위치하고, 바디(1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고정 후드(120)는 가동 후드(130)에 대향하여 바디(110)에 위치한다. 가동 후드(130)는 릴(300)의 한 쌍의 부착 다리(310) 중 하나를 바디(110)에 고정하며, 고정 후드(120)는 릴(300)의 한 쌍의 부착 다리(310) 중 다른 하나를 바디(110)에 고정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릴 시트(100U)는 가동 후드(130)가 바디(110)의 후단측(낚싯대의 후단측)에 위치하는 이른바 "업 로크(up lock)" 타입의 릴 시트이다. 업 로크 타입의 릴 시트에서는, 고정 후드(120)에 의해 릴(300)의 전방 부착 다리(311)가 고정되고 가동 후드(130)에 릴(300)의 후방 부착 다리(312)가 고정된다.
릴 시트(100U)의 바디(110), 고정 후드(120), 가동 후드(130)는 수지 재료 또는 금속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릴 시트(100U)의 가동 후드(130)는 그 전체가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거나, 적어도 릴의 부착 다리(310)를 고정하는 부분이 수지 재료로 이루어진다.
릴 시트(100U)의 바디(110)는 길이방향으로 보어(111)(도 12 참조)가 관통하여 연장하는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진다. 바디(110)의 보어(111)에는 낚싯대(200)의 블랭크(210)가 끼워져, 바디(110)를 관통한다. 또한, 일 예로서, 릴 시트(100U)의 바디(110)는 접착에 의해 낚싯대(200)에 고정될 수 있다.
바디(110)는 릴(300)의 부착 다리(310)를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부(112)(도 12 참조)를 가진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안착부(112)는 바디(110)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안착부(112)에는 릴(300)의 부착 다리(310)가 안착한다.
바디(110)는 일단부에 그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수나사(113)를 가진다. 도 3에 도시된 예에서, 수나사(113)는 바디(110)의 후단에 형성되어 있다. 수나사(113)는 후술하는 가동 후드(130)의 너트부(132)에 형성된 암나사와 나사결합된다.
또한, 바디(110)는 그 외주면에 가동 후드(130)의 바디(110)의 길이방향에서의 이동을 가이드 또는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홈(114)(도 12 참조)을 가진다. 가이드 홈(114)은 바디(110)의 상측에서 바디(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로 연장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바디(110)의 가이드 홈(114)은 바디(110)의 상측이 아닌 부분에서 바디(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바디(110)의 후단에는 그립부(140)가 상보적으로 결합되고 있다. 그립부(140)는 바디(110)의 보어(111)와 동축을 갖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그 중앙의 보어에는 낚싯대(200)의 블랭크(210)가 압입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고정 후드(120)는 바디(110)와 일체로 되어 있다. 고정 후드(120)는 안착부(112)를 덮도록 형성된 커버부(122)를 가지며, 커버부(122)는 후단으로 갈수록 하방으로의 높이가 커지는 형상을 취한다. 따라서, 고정 후드(120)와 바디(110)의 안착부(112)와의 사이에는, 릴(300)의 부착 다리(310) 중 하나가 삽입되는 전방 삽입 공동(121)이 한정된다. 전방 삽입 공동(121)의 횡단면의 형상은 대략 원호형이며, 바디(110)의 전방으로 갈수록 그 상하의 폭이 축소한다. 따라서, 고정 후드(120)의 커버부(122)의 내면은 전방 부착 다리(311)의 선단부의 사면(313)과 접촉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고정 후드(120)는 별개의 부품으로 제조되어 바디(110)에 부착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릴 시트(100U)에 사용되는 가동 후드(130)를 설명한다.
가동 후드(13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릴 시트(100U)의 바디(110)가 가동 후드(130)에 끼워져 가동 후드(130)를 관통한다. 가동 후드(130)는, 바디(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이동가능하나 바디(110)의 둘레방향에서는 이동하지 않는 후드부(131)와, 후드부(131)에 바디(110)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후드부(131)를 바디(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밀거나 당기기 위한 너트부(132)를 포함한다. 너트부(132)가 후드부(131)를 바디(110)의 길이방향으로 밀어붙이는 힘에 의해, 후드부(131)는 그 하측에서 릴(300)의 후방 부착 다리(312)를 바디(110)에 압박하여 바디(110)에 고정한다.
후드부(131)와 너트부(132)는 대략 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안에 릴 시트(100U)의 바디(110)가 관통하며, 바디(110)의 중심축(CA)과 동축으로 된 보어(133)를 가진다. 너트부(132)는 그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134)에서 바디(110)의 수나사(113)와 나사결합하여, 바디(110)를 따라 나사운동에 의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며, 후드부(131)는 너트부(132)의 상기 전방 또는 후방의 이동에 의해, 고정 후드(120) 쪽으로 밀려지거나 고정 후드(120)로부터 멀어지게 당겨진다.
너트부(132)는 후드부(131)에 면하는 단부의 내주면에, 후드부(131)와의 연결을 위한 걸림 홈(135)을 가진다. 걸림 홈(135)은 너트부(132)의 내주면의 원주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후드부(131)는 너트부(132)에 면하는 기단(BE)에 너트부(132)의 걸림 홈(135)에 맞물리는 후크 형상의 걸림 돌기(136)를 가진다. 걸림 돌기(136)는 후드부(131)의 기단(BE)에 그 원주방향으로 단속적으로 또는 연속하여 연장한다. 너트부(132)의 걸림 홈(135)에 후드부(131)의 걸림 돌기(136)가 맞물려서, 너트부(132)는 후드부(131)에 바디(110)의 중심축(CA)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다른 실시예로서, 후드부(131)가 상기 걸림 홈을 가질 수 있고, 너트부(132)가 상기 걸림 돌기를 가질 수 있다.
너트부(132)의 암나사(134)가 바디(110)의 수나사(113)와 나사결합되므로, 너트부(132)를 바디(110)에 대하여 일방향 또는 그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수나사(113)와 암나사(134)의 상호작용에 의해 너트부(132)는 나사운동을 하여, 회전하면서 바디(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예컨대, 너트부(132)를 바디(110)의 전단(고정 후드(120)) 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너트부(132)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나사결합된 바디(110)의 수나사(113)와 너트부(132)의 암나사(134)에 의해, 너트부(132)는 바디(110)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바디(110)의 전단 쪽으로 이동되며, 너트부(132)의 전단면이 후드부(131)의 기단(BE)에 접촉하여, 너트부(132)가 후드부(131)를 바디(110)의 전단 쪽으로 밀게 된다. 후드부(131)는 너트부(132)의 미는 힘에 의해, 릴(300)의 후방 부착 다리(312)를 그 하측 내면에서 바디(110)의 안착부(112)에 대해 압박하여, 후드부(131)가 후방 부착 다리(312)를 바디(110)에 고정하게 된다. 또한, 너트부(132)를 바디(110)의 후단 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너트부(132)를 상기 일 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너트부(132)는 바디(110)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바디(110)의 후단 쪽으로 이동되며, 너트부(132)의 걸림 홈(135)이 걸림 돌기(136)를 걸어, 너트부(132)가 후드부(131)를 바디(110)의 후단 측으로 당기게 된다.
전술한 후드부(131)의 전후 방향의 이동에 있어서, 후드부(131)는 바디(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바디(110)의 중심축(CA)에 대하여 회전함이 없이 바디(110)의 전단 또는 후단 쪽으로 직선으로 이동된다. 후드부(131)의 직선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해, 가동 후드(130)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후드부(131)의 상단측 내주면에서 돌출하고 바디(110)의 가이드 홈(114)에 끼워지는 가이드 돌기(137)를 구비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가이드 홈(114)은 바디(110)의 상측이 아닌 부분에 마련될 수 있으며, 가이드 돌기(137)는 이러한 부분에 대응하는 후드부(131)의 내주면에서 돌출할 수 있다.
후드부(131)의 하반부는 전단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더 돌출하여, 후방 부착 다리(312)를 덮는 커버부(138)를 형성한다. 따라서, 커버부(138)와 바디(110)의 안착부(112) 사이에 릴(300)의 후방 부착 다리(312)가 삽입되는 후방 삽입 공동(139)이 한정된다. 후드부(131)는 커버부(138)의 내면에서 후방 부착 다리(312)의 사면(314)을 안착부(112)에 대하여 압박한다.
후드부(131)는 너트부(132)에 면하는 기단(BE)과, 기단(BE)의 반대쪽에 선단(TE)을 갖는다. 후드부(131)를 측면에서 볼 때, 후드부(131)의 상측에서의 기단(BE)에서 선단(TE1)까지의 길이(L1)는 후드부(131)의 하측에서의 기단(BE)에서 선단(TE2)까지의 길이(L2)보다 길다. 즉, 후드부(131)의 상반부는 하반부보다 그 선단 쪽으로 더 돌출하여, 후드부(131)는 릴의 후방 부착 다리(312)를 고정하는 하측보다 긴 상측을 갖게 된다. 일 예로서, 후드부(131)의 상측에서의 길이(L1)는, 2개의 손가락을 놓을 수 있는 정도의 길이로서 40mm 이하이다. 후드부(131)의 상측의 길이(L1)가 40mm를 초과하면, 가동 후드(130)를 경량화시키기 어렵고, 후드부(131)가 두께에 비해 길이가 지나치게 커져 강도가 약해진다. 또한, 후드부(131)를 측면에서 볼 때, 후드부(131)의 상측의 윤곽선(CL1)은 상방으로 볼록한 곡선을 포함한다. 즉, 측면에서 볼 때, 후드부(131)의 상측 외면은 상방으로 둥글게 볼록한 면을 가진다. 상측이 둥글게 볼록한 후드부(131)는, 사용자가 릴 시트(100U)를 쥘 때, 사용자의 손바닥 안에 생기는 오목한 부분과 접촉할 수 있어, 사용자의 손바닥과 가동 후드(130) 사이의 간극을 제거한다. 한편, 가동 후드(130)가 바디(110)의 전단측(낚싯대의 전단측)에 위치하는 이른바 "다운 로크(down lock)" 타입의 릴 시트(100D)(도 8 참조)에서는, 후드부(131)의 상측의 볼록한 곡면은 사용자의 엄지가 누르게 되는 융기 부분으로 작용하게 되어, 사용자는 후드부(131)의 상측의 볼록한 곡면에 강한 힘을 가해 잡을 수 있게 된다.
후드부(131)를 측면에서 볼 때, 후드부(131)의 상측의 윤곽선(CL1)이 갖는 볼록한 곡선의 정점(TP)은 후드부(131)의 상측에서의 길이(L1)에 대하여 기단(BE)으로부터 80% 이하의 거리에 위치한다. 즉, 기단(BE)으로부터 정점(TP)까지의 길이를 L3라고 할 때, (L3/L1) ≤ 0.8 이다. 정점(TP)이 상기 기단(BE)으로부터 80% 이하의 거리에 위치하지 못하면(즉, 정점(TP)이 상측의 길이(L1)에 대하여 기단(BE)으로부터 80%를 초과하는 거리에 위치하면), 후드부(131)의 상측의 윤곽선(CL1)이 갖는 볼록한 곡선은 정점(TP)을 기준으로 뒤쪽이 앞쪽에 비해 완만해진다. 이 경우, 낚싯대를 감싸 쥘 때, 후드부(131)의 볼록한 부분의 위치가 손바닥 안에 생기는 오목한 부분에 대응하지 않아, 홀드감을 저하시킨다. 또한, 정점(TP)에서 선단(TE1)까지의 볼록한 곡선이 급격한 경사로 되어, 바디(110)와의 사이에 단차 형상으로 되며, 사용자는 이물감 및 위화감을 느끼게 되고, 안정된 그립감으로 낚싯대를 잡을 수 없다.
후드부(131)를 측면에서 볼 때, 후드부(131)의 상측의 선단(TE1)과 후드부(131)의 하측의 선단(TE2) 사이의 윤곽선(CL3)은 기단(BE) 쪽으로 오목한 곡선을 포함한다. 상기 윤곽선(CL3)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오목한 곡선은 후드부(131)의 상측의 선단(TE1)에서 하측의 선단(TE2)으로 갈수록 완만하게 만곡하거나, 급격히 만곡하다가 완만하게 만곡할 수 있다.
후드부(131)를 측면에서 볼 때, 후드부(131)의 하측의 윤곽선(CL2)(즉, 커버부(138)의 하측의 윤곽선)은 상방으로 오목한 곡선을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후드부(131)의 하측(커버부(138)의 외면)을 손가락으로 위화감 없이 감아 쥘 수 있다.
한편, 후드부(131)의 상측 및 하측 사이의 윤곽선(CL3)을 나타내는 선단측 가장자리부(E)의 두께는 기단(BE)에서 멀어질수록 감소한다. 따라서, 후드부(131)의 두께에 의해 후드부(131)와 바디(110) 사이에 단차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릴 시트(100U)의 바디(110)가 관통하는 후드부(131)의 보어(133)는 제1 보어(133A)와 제2 보어(133B)를 가진다. 제1 보어(133A)는 기단(BE)으로부터 선단(TE)으로 연장한다. 또한, 제2 보어(133B)는 제1 보어(133A)의 직경(D1)보다 큰 직경(D2)을 갖고, 제1 보어(133A)로부터 선단(TE)으로 연장한다. 따라서, 후드부(131)를 정면에서 볼 때, 제1 보어(133A)와 제2 보어(133B) 사이에는 원호형의 단차(133C)(도 5 참조)가 형성된다. 후드부(131)의 상측의 선단(TE1)으로부터 단차(133C)까지 깊이(L4)는 후드부(131)의 상측에서의 길이(L1)의 30% 내지 70% 범위이다. 단차(133C)의 깊이(L4)가 후드부(131)의 상측에서의 길이(L1)의 30% 미만이 되면, 후드부(131)의 보조 후드(150A, 150B)(도 11 내지 도 13 참조)를 유지하는 힘이 저하되고, 낚싯대를 흔들 때 손바닥과의 마찰로 인해 보조 후드(150A, 150B)가 빠질 가능성이 있다. 또한, 단차(133C)의 깊이(L4)가 후드부(131)의 상측에서의 길이(L1)의 70%를 초과하게 되면, 후드부(131)의 기단(BE) 부분의 두께가 얇아져 너트부(132)와 결합되는 부분의 강도가 저하하고, 파손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후드부(131)의 내측이 두개의 보어로 이루어지고 그 사이에 단차(133C)가 형성됨으로써, 후드부(131)는 후술하는 보조 후드를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다. 또한, 후드부(131)가 단차(133C)를 경계로 하여 더 큰 직경을 갖는 제2 보어(133B)를 가지므로, 바디의 가동 후드가 설치되는 곳에 단차가 있는 릴 시트에도 실시예의 가동 후드(130)가 상기 단차를 덮는 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전술한 후드부(131)에 있어서, 그 전장은 후드부(131) 상측에서의 길이(L1)로 정의될 수 있다. 또, 후드부(131)의 전고는 후드부(131) 상측에서의 정점(TP)과 커버부(138)의 최하측 까지의 길이로 정의될 수 있다. 후드부(131)가 중량이 증가하지 않으면서 릴(300)의 부착 다리를 고정하는데 충분한 강도를 갖고 전술한 윤곽선(CL1, CL2, CL3)이 나타나도록, 후드부(131)의 전장은 제1 보어(133A)의 직경(D1)의 2/3 내지 5/2 범위로 정해질 수 있고, 후드부(131)의 전고는 제1 보어(133A)의 직경(D1)의 2.5배까지로 정해질 수 있다.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가동 후드(130)가 다운 로크 타입의 릴 시트에 결합된 것을 도시한다. 다운 로크 타입의 릴 시트(100D)에서는 가동 후드(130)가 릴 시트(100D)의 전단에 위치하게 되며, 가동 후드(130)에 의해 릴(300)의 전방 부착 다리(311)가 고정되고 고정 후드(120)에 의해 릴(300)의 후방 부착 다리(312)가 고정된다. 다운 로크 타입의 릴 시트(100D)는 가동 후드(130)의 위치와 수나사(113)의 위치가 업 로크 타입의 릴 시트(100U)와 반대로 된 것을 제외하고는, 업 로크 타입의 릴 시트(100U)와 유사한 구성을 가진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실시예의 가동 후드(130)를 구비하는 릴 시트(100U, 100D)가 제공하는 그립감을 설명한다.
도 9는 업 로크 타입의 릴 시트(100U)를 사용하는 예를 도시하고, 도 10은 다운 로크 타입의 릴 시트(100D)를 사용하는 예를 도시한다. 사용자가 릴 시트(100U, 100D)를 감아 쥘 때, 사용자는 중지(H3)와 약지(H4)의 사이에 릴의 부착 다리(310)를 끼우고 릴 시트(100U, 100D)를 감아 쥐는 경우가 많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중지(H3)로는 릴 시트(100U, 100D)를 가볍게 쥐고, 약지(H4)와 소지(H5)로는 릴 시트(100U, 100D)를 쥔다. 또한, 엄지(H1)는 바디(110)의 상면을 누르거나(도 9 참조) 가동 후드(130)의 후드부(131)의 상면을 누르게 되며(도 10 참조), 손바닥(H6)은 후드부(131)의 위에 위치하거나(도 9 참조) 바디(110)의 상면에 접촉한다(도 10 참조).
도 9에 도시하는 업 로크 타입의 릴 시트(100U)의 사용예에서는, 가동 후드(130)의 후드부(131)의 상면에 손바닥(H6)이 접촉하고, 후드부(131)의 하면에 소지(H5)가 접촉한다. 또, 후드부(131)의 선단(TE)에 약지(H4)가 위치한다. 후드부(131)의 상측의 상방으로 볼록한 곡면이 손바닥(H6)과 접촉하므로, 후드부(131)와 손바닥(H6) 사이의 간극이 없어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릴 시트(100U)를 강하게 감아 쥘 수 있다. 또한, 후드부(131)의 선단(TE)의 너트부(132) 쪽으로 오목한 윤곽선(CL3)을 따라 약지(H4)가 릴의 부착 다리(310)와 후드부(131)의 선단(TE) 사이에 놓이게 되므로, 약지(H4)가 고정되고 낚싯대(200)를 강하게 휘두르는 경우에도 릴 시트(100U)는 사용자의 손 내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후드부(131)의 하측의 상방으로 오목한 윤곽선(CL2)에 소지(H5)가 걸리므로, 사용자는 안정되고 향상된 그립감으로 릴 시트(100U)를 감아 쥘 수 있다.
도 10에 도시하는 다운 로크 타입의 릴 시트(100D)의 사용예에서는, 후드부(131)의 상방으로 볼록한 곡선의 윤곽선(CL1)에 엄지(H1)가 접촉하고, 후드부(131)의 하측의 상방으로 오목한 곡선의 윤곽선(CL2)에 검지(H2)가 접촉한다. 또, 후드부(131)의 너트부(132) 쪽으로 오목한 윤곽선(CL3)을 따라서 중지(H3)가 위치한다. 엄지(H1)가 후드부(131)의 상측의 볼록한 곡면과 접촉하므로, 사용자는 엄지(H1)로 누르는 힘을 강하게 할 수 있고, 따라서, 낚싯대(200)를 강하게 휘둘러 내릴 수 있다. 또한, 후드부(131)의 하측의 상방으로 오목한 윤곽선(CL2)에 검지(H2)가 걸리므로, 사용자는 안정되고 향상된 그립감으로 릴 시트(100D)를 감아 쥘 수 있고, 낚싯대(200)를 강하게 휘둘러 올릴 수 있다. 또한, 후드부(131)의 선단(TE)의 너트부(132) 쪽으로 오목한 윤곽선(CL3)을 따라 중지(H3)가 놓이게 되므로, 중지(H3)가 고정되고 낚싯대(200)를 강하게 휘두르는 경우에도 릴 시트(100U)는 사용자의 손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예의 가동 후드(130)는 업 로크 타입의 릴 시트(100U)와 다운 로크 타입의 릴 시트(100D)에 모두 적용되어, 사용자의 손에 가하는 위화감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그립감 및 홀드감을 향상시킨다.
도 11 내지 도 13은 가동 후드에 끼워지는 보조 후드를 도시한다.
사용자의 다양한 손의 형상, 다양한 손가락 위치 등을 보조하여 그립감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실시예의 가동 후드(130)는 후드부(131)와 릴 시트의 바디(110) 사이에 개재되는 보조 후드(150A, 150B)를 구비한다. 보조 후드(150A, 150B)에 의해, 사용자는 릴 시트(100U, 100D)를 잡을 때 손가락을 릴 시트의 바디(110)에 유도시킬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보조 후드(150A, 150B)는 바디(110)의 둘레를 감싸도록 링 형상을 가지며, 이 경우 보조 후드(150A, 150B)의 내경은 바디(110)와 릴의 전방 부착 다리(311) 또는 후방 부착 다리(312)를 그 안에 수용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진다. 보조 후드(150A, 150B)는 바디(110)를 부분적으로 감싸도록 C자형의 횡단면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보조 후드(150A, 150B)는 사용자가 마찰감과 쿠션감을 느낄 수 있는 재료로 형성된다. 예컨대, 보조 후드(150A, 150B)는 바디(110)에 밀착될 수 있도록 탄력성이 우수한 고무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보조 후드(150A, 150B)는 독특한 그립감을 제공하도록 표면이 엠보싱 처리될 수도 있다.
보조 후드(150A, 150B)는 그 일부가 릴 시트(100U, 100D)의 바디(110)의 외주면과 가동 후드(130)의 후드부(131)의 내주면 사이에 끼워진다. 즉, 보조 후드(150A, 150B)는 후드부(131)의 제2 보어(133B)와 릴 시트의 바디(110)의 외주면 사이에 끼워지는 삽입부(151)를 가진다. 보조 후드(150A, 150B)의 삽입부(151) 또한 링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보조 후드(150A, 150B)를 후드부(131)에 끼울 때 그 선단에서 후드부(131)의 단차(133C)와 접촉한다. 보조 후드(150A, 150B)를 후드부(131)에 삽입할 때, 후드부(131)의 단차(113C)는 삽입부(151)에 대한 스토퍼로서 기능하게 되어, 보조 후드(150A, 150B)는 일정한 위치에서 후드부(131)와 바디(110)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조 후드(150A)는 측방에 개구 또는 오목부(152)를 가질 수 있다. 개구 또는 오목부(152)에는, 예컨대 사용자의 중지(H3)의 끝 부분이 위치될 수 있어, 그립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보조 후드(150A, 150B)가 가동 후드(130)의 후드부(131)와 릴 시트(100U, 100D)의 바디(110)의 사이에 개재되므로, 바디가 가동 후드 측에 상기한 단차 또는 간극을 갖는 릴 시트(후드부(131)의 내경에 비해 바디의 외경이 작은 경우)에 보조 후드(150A, 150B)를 적용하면, 이러한 단차 또는 간극을 메울 수 있다. 나아가, 보조 후드(150A, 150B)의 윤곽선을 통해 사용자의 손가락이 유도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자신의 손의 크기나 악력에 맞추어서 그립 스타일을 적절히 바꿀 수 있고 양호한 그립감으로 릴 시트(100U, 100D)를 쥘 수 있다. 이와 같이, 가동 후드(130)에 보조 후드(150, 150A)를 결합시킴으로써, 사용자는 가동 후드(130)가 채용되는 릴 시트에 대한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다. 또한, 제조 업체는 보조 후드(150A, 150B)를 통해 자사만의 독자적 가동 후드와 릴 시트를 실현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U, 100D: 릴 시트 110: 바디
111: 보어 112: 안착부
113: 수나사 114: 가이드홈
120: 고정 후드 121: 전방 삽입 공동
122: 커버부 130: 가동 후드
131: 후드부 132: 너트부
133: 보어 133A: 제1 보어
133B: 제2 보어 133C: 단차
134: 암나사 135: 걸림 홈
136: 걸림 돌기 137: 가이드 돌기
138: 커버부 139: 후방 삽입 공동
BE: 후드부의 기단 TE: 후드부의 선단
CL1: 상측 윤곽선 CL2: 하측 윤곽선
CL3: 선단측 윤곽선 150: 보조 후드
151: 삽입부 152: 개구
200: 낚싯대 300: 릴
310: 릴의 부착 다리

Claims (12)

  1. 릴 시트의 바디가 관통하고, 상기 바디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하측에서 릴의 부착 다리를 상기 바디에 고정하는 후드부와,
    상기 바디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상기 후드부에 연결되고, 내주면에서 상기 바디의 외주면과 나사결합하는 너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드부는 상기 너트부에 면하는 기단과 상기 기단의 반대쪽에 선단을 갖고,
    상기 후드부를 측면에서 볼 때, 상기 후드부의 상측에서의 상기 기단에서 상기 선단까지의 길이는 상기 후드부의 하측에서의 상기 기단에서 상기 선단까지의 길이보다 길고,
    상기 후드부를 측면에서 볼 때, 상기 후드부의 상측의 윤곽선은 상방으로 볼록한 곡선을 포함하는,
    릴 시트용 가동 후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한 곡선의 정점은 상기 상측에서의 상기 기단에서 상기 선단까지의 길이에 대하여 상기 기단으로부터 80% 이하의 거리에 위치하는
    릴 시트용 가동 후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부를 측면에서 볼 때, 상기 후드부의 하측의 윤곽선은 상방으로 오목한 곡선을 포함하는
    릴 시트용 가동 후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부를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선단의 상측 및 하측 사이의 윤곽선은 상기 기단 쪽으로 오목한 곡선을 포함하는
    릴 시트용 가동 후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부는 상기 릴 시트의 바디가 관통하는 제1 보어와 제2 보어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보어는 상기 기단으로부터 상기 선단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2 보어는 상기 제1 보어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고 상기 제1 보어로부터 상기 선단으로 연장하며,
    상기 후드부를 정면에서 볼 때, 상기 제1 보어와 상기 제2 보어의 사이에 단차가 형성되는
    릴 시트용 가동 후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으로부터 상기 단차까지의 깊이는 상기 상측에서의 상기 기단에서 상기 선단까지의 길이의 30% 내지 70% 범위인
    릴 시트용 가동 후드.
  7. 제5항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가 상기 릴 시트의 바디의 외주면과 상기 후드부의 내주면 사이에 끼워지는 보조 후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후드는 상기 제2 보어와 상기 릴 시트의 바디의 사이에 끼워지는 삽입부를 가지는
    릴 시트용 가동 후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후드는 측방에 개구 또는 오목부를 갖는
    릴 시트용 가동 후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에서의 상기 기단에서 상기 선단까지의 길이는 40mm 이하인
    릴 시트용 가동 후드.
  10. 릴의 한 쌍의 부착 다리가 안착하는 안착부를 하측에 구비하고, 일단부의 외주면에 수나사부를 구비하며, 길이방향으로 낚싯대의 일부가 관통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길이방향에서의 양단부 중 하나의 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한 쌍의 부착 다리 중 하나를 상기 바디의 안착부에 고정하는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가동 후드와,
    상기 가동 후드와 대향하여 상기 바디에 위치하고 상기 한 쌍의 부착 다리 중 다른 하나를 상기 바디의 안착부에 고정하는 고정 후드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 후드의 너트부는 그 내주면에서 상기 수나사와 나사결합하는,
    릴 시트.
  11.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릴 시트용 가동 후드를 구비하는 낚싯대.
  12. 제10항에 따른 릴 시트를 구비하는 낚싯대.
KR20140065032A 2013-09-10 2014-05-29 릴 시트용 가동 후드, 릴 시트 및 이를 구비하는 낚싯대 KR1015088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910,978 US9832982B2 (en) 2013-09-10 2014-09-02 Movable hood for reel seat, reel seat, and fishing rod including same
CN201480049064.9A CN105611830B (zh) 2013-09-10 2014-09-02 用于卷筒座的可动罩、卷筒座和包括两者的钓竿
JP2015536532A JP5940739B2 (ja) 2013-09-10 2014-09-02 リールシート用可動フード、リールシート及びこれを備える釣竿
PCT/JP2014/073030 WO2015037470A1 (ja) 2013-09-10 2014-09-02 リールシート用可動フード、リールシート及びこれを備える釣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8609 2013-09-10
KR1020130108609 2013-09-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9521A true KR20150029521A (ko) 2015-03-18
KR101508880B1 KR101508880B1 (ko) 2015-04-07

Family

ID=53023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65032A KR101508880B1 (ko) 2013-09-10 2014-05-29 릴 시트용 가동 후드, 릴 시트 및 이를 구비하는 낚싯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832982B2 (ko)
JP (1) JP5940739B2 (ko)
KR (1) KR101508880B1 (ko)
CN (1) CN105611830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4642A (ko) * 2018-11-29 2020-06-08 전성규 릴 시트
KR102150338B1 (ko) * 2019-12-17 2020-09-01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릴 시트 및 이를 구비하는 낚싯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91723B2 (en) * 2018-12-13 2020-10-06 GLV International, LLC Combination spinning reel seat handle system
JP7133503B2 (ja) * 2019-03-26 2022-09-08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リール固定装置
JP6872825B2 (ja) * 2019-07-08 2021-05-19 富士工業株式会社 リールシート及びこれを備える釣り竿
KR102605253B1 (ko) 2021-06-18 2023-11-23 이재일 양방향으로 릴 시트를 구비한 조상기용 낚싯대
WO2023023643A1 (en) * 2021-08-20 2023-02-23 Pure Fishing, Inc. Fishing rod locking mechanism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5098Y2 (ko) * 1985-12-26 1991-07-25
JP2548017Y2 (ja) 1993-05-29 1997-09-17 ダイワ精工株式会社 筒状リールシート
JP3038290B2 (ja) * 1994-06-09 2000-05-08 富士工業株式会社 釣り用リールシートの摺動フード
JP3053767B2 (ja) * 1996-05-16 2000-06-19 富士工業株式会社 釣竿用リールシート
JP3654566B2 (ja) 1999-03-25 2005-06-02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釣竿のリールシート
JP2001061381A (ja) * 1999-08-27 2001-03-13 Fuji Kogyo Co Ltd 可動フード
CA2315442C (en) * 2000-08-10 2008-05-27 Wye-Yoshi Corporation Fishing rod handle
JP4767438B2 (ja) 2001-06-07 2011-09-07 株式会社シマノ 釣竿
GB0409143D0 (en) * 2004-04-23 2004-05-26 Fox Int Group Ltd A reel seat
JP4812009B2 (ja) * 2006-04-19 2011-11-09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取付用のリールシート
JP2008220213A (ja) 2007-03-09 2008-09-25 Shimano Inc 釣り竿
JP5496467B2 (ja) * 2008-04-08 2014-05-21 株式会社シマノ 筒状リールシート及び釣り竿
JP5288451B2 (ja) 2008-05-08 2013-09-11 株式会社シマノ リールシート
JP5339525B2 (ja) * 2009-07-01 2013-11-13 株式会社シマノ リールシー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4642A (ko) * 2018-11-29 2020-06-08 전성규 릴 시트
KR102150338B1 (ko) * 2019-12-17 2020-09-01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릴 시트 및 이를 구비하는 낚싯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611830B (zh) 2017-10-27
JP5940739B2 (ja) 2016-06-29
KR101508880B1 (ko) 2015-04-07
US9832982B2 (en) 2017-12-05
JPWO2015037470A1 (ja) 2017-03-02
CN105611830A (zh) 2016-05-25
US20160198689A1 (en) 2016-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8880B1 (ko) 릴 시트용 가동 후드, 릴 시트 및 이를 구비하는 낚싯대
KR101466540B1 (ko) 릴 시트용 가동 후드, 릴 시트 및 이를 구비하는 낚싯대
TW202007269A (zh) 釣竿用捲線器座與釣竿,及釣竿用捲線器座的移動襯套
JP5458337B2 (ja) 用具の柄
US5797554A (en) Cushion grip for fishing reel
JP3053767B2 (ja) 釣竿用リールシート
WO2015037470A1 (ja) リールシート用可動フード、リールシート及びこれを備える釣竿
US9321607B2 (en) Hand-held tape dispenser
JP6757263B2 (ja) リール固定装置
US10429164B2 (en) Tape measure structure
JP6734217B2 (ja) リールシート
JP2003310109A (ja) リールシート
TWM409474U (en) Button structure with bent connecting rod
KR102604072B1 (ko) 릴 시트
CN211657212U (zh) 卷线器固定装置
JP2009296989A (ja) リールシート及び釣り竿
JP2007215754A (ja) 瞼にアイラインを描くための補助具
JP2020162513A (ja) リール固定装置
JP3182851U (ja) 釣針外し具
JP3204481U (ja) 髪飾り具
KR20170024980A (ko) 칼 손잡이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칼
KR200364273Y1 (ko) 컴퓨터마우스
JP4330033B1 (ja) 縫い針
JP2019092907A (ja) まつ毛カール器
JP3147430U (ja) シンブ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