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2076B1 - 릴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낚싯대 - Google Patents

릴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낚싯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2076B1
KR102662076B1 KR1020230080876A KR20230080876A KR102662076B1 KR 102662076 B1 KR102662076 B1 KR 102662076B1 KR 1020230080876 A KR1020230080876 A KR 1020230080876A KR 20230080876 A KR20230080876 A KR 20230080876A KR 102662076 B1 KR102662076 B1 KR 1026620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hood
central axis
seat
r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0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히토 오무라
Original Assignee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2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20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6Devices for fixing reels on ro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8Handgri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릴을 낚싯대의 간체에 결합시키는 릴 시트 및 릴 시트를 포함하는 낚싯대가 제공된다. 릴 시트는, 간체에 결합되는 시트 바디와 시트 바디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동 후드를 포함한다. 시트 바디는 돌출부와 팽출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곡면부를 포함하며, 곡면부는 검지와 중지에 어신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도록 만곡되어 있다. 가동 후드는, 시트 바디의 돌출부와 교차하는 후드부와 시트 바디의 돌출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여, 검지가 가동 후드의 후드부에 접촉하지 않게 한다. 가동 후드는, 후드부와 후드부의 가이드 돌기를 보강하는 보강 커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릴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낚싯대{REEL SEAT AND FISHING ROD INCLUDING SAME}
본 개시는, 낚시용 릴을 고정하는 릴 시트, 및 이러한 릴 시트를 포함하는 낚싯대에 관한 것이다.
낚시용 릴을 낚싯대의 간체에 결합시키기 위해, 릴을 고정 가능한 릴 시트(reel seat)가 간체에 연결된다. 릴 시트는, 간체가 삽입되도록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 시트 바디를 가질 수 있다. 시트 바디는 간체에 결합되며, 릴의 다리중 하나를 고정하는 고정 후드를 갖는다. 릴의 다리 중 다른 하나를 고정하기 위한 가동 후드가 시트 바디에 간체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낚시인은 캐스팅(casting) 동작, 파밍(palming) 동작, 후킹(hooking) 동작, 리트리브(retrieve) 동작, 또는, 낚싯대의 정지 상태에서 어신(魚信)을 느끼는 동작을 할 수 있다. 캐스팅 동작은, 낚시인이 낚싯대를 휘둘러 루어를 포함하는 낚시채비를 투척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파밍 동작은, 낚시인이 물고기를 제압하기 위해 릴의 스풀의 가장자리를 손바닥으로 눌러서 스풀의 회전을 제어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후킹 동작은 낚시인이 물고기의 입에 낚싯바늘을 거는 동작을 의미한다. 리트리브 동작은, 낚시인이 릴을 감아서 낚싯줄과 낚시채비를 회수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어신은 물고기가 루어에 입질을 할 때 낚싯대에 전달되는 진동을 의미한다.
낚시용 릴의 예로서, 스피닝 릴(spinning reel)과, 베이트 캐스팅 릴(bait casting reel)이 알려져 있다. 스피닝 릴은 시트 바디의 하측에 부착되고, 베이트 캐스팅 릴은 시트 바디의 상측에 부착된다.
베이트 캐스팅 릴을 사용하는 낚시에서는, 낚시인은 엄지 이외의 4개의 손가락으로 릴 시트의 시트 바디를 그립하고, 4개의 손가락은 시트 바디의 하면에 접촉된다. 따라서, 시트 바디의 하면의 형상이 낚시에서의 전술한 여러 동작 또는 어신의 감지에 중요하다.
어신은 약한 진동의 형태로서 낚싯줄로부터 시트 바디에 전달될 수 있으며, 섬세하게 시트 바디에 가해질 수 있다. 숙련된 낚시인은, 섬세한 어신을 느끼기 위해, 검지와 중지의 힘을 뺀 상태에서 검지와 중지를 시트 바디에 가볍게 접촉시킬 수 있지만, 시트 바디를 강하게 그립한 상태에서는, 섬세한 어신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없다. 비숙련의 낚시인은 시트 바디를 강하게 그립하므로, 섬세한 어신을 감지할 수 없다. 그러므로, 릴 시트의 시트 바디는, 숙련된 낚시인 또는 비숙련의 낚시인이 섬세한 어신을 감지하기 위해, 어신을 적확하게 손가락끝에 전달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릴 시트의 시트 바디는, 반원통형으로 형성된 하부를 가지며, 시트 바디의 반원통형의 하면이 낚시인의 손가락에 접촉된다. 시트 바디의 하면과 낚시인의 손가락 사이의 접촉 면적이 작고 시트 바디의 하면이 균일하게 손가락에 접촉하므로, 종래기술에 따른 릴 시트의 시트 바디는 불량한 어신 전달 성능을 갖는다.
어신의 적확한 전달에 관련하여, 얇은 두께와 경량을 갖는 시트 바디는 어신 전달 성능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어신이 시트 바디에 전달되는 형태를 고려하여 어신을 검지와 중지에 적확하게 전달할 수 있는 시트 바디의 형상에 대해서는 연구되고 있지 않다.
종래기술에 따른 릴 시트에서, 가동 후드는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낚시인의 검지가, 시트 바디의 하면과 가동 후드의 하단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에 접촉할 수 있다. 검지가 상기 간극에 접촉하면, 불쾌감이 검지에 가해질 수 있고, 그립감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낚시인은 캐스팅 동작 또는 후킹 동작 시에 실수를 할 수 있다.
검지가 상기 간극에 접촉할 가능성을 배제시키기 위해, 원통형을 갖지 않는 가동 후드가 고려될 수 있지만, 원통형을 갖지 않는 가동 후드는 저하된 강도를 가질 수 있다. 그러므로, 원통형을 갖지 않는 가동 후드를 갖는 릴 시트에 관련하여, 가동 후드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요구된다. 예를 들어, 가동 후드가 릴의 다리를 고정할 때 가동 후드에 가해지는 밀어올리는 힘과, 릴의 다리의 흔들림에 의해 가동 후드를 확장시키는 힘에 관련하여, 가동 후드가 변형됨이 없이 릴의 다리를 확실히 고정할 수 있도록 가동 후드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요구된다.
일본 특허출원공개공보 제2019-154371호 일본 특허출원공개공보 제2020-120593호 일본 특허공보 제6839879호
개시된 실시예들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해결한 릴 시트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낚시인의 손가락에 불쾌감을 주지않으며 어신을 적확하게 검지 및 중지에 전달할 수 있는 릴 시트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얇은 두께 및 경량을 갖고 일체로 형성된 시트 바디를 포함하며 향상된 어신 전달 성능을 갖는 릴 시트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향상된 강도를 갖는 가동 후드를 포함하는 릴 시트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전술한 릴 시트를 포함하는 낚싯대를 제공한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릴을 낚싯대의 간체에 결합시키는 릴 시트에 관련된다. 릴 시트의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제1 및 제2 다리를 갖는 릴을 낚싯대의 간체에 결합시키고 시트 바디와 가동 후드를 포함하는 릴 시트가 제공된다. 시트 바디는, 손가락에 의해 그립 가능한 그립 바디, 그립 바디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하는 원통 바디, 및 원통 바디와 그립 바디에 간체의 축방향으로 형성되고 간체에 결합 가능한 보어를 갖는다. 가동 후드는 원통 바디에 보어의 중심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립 바디는, 그립 바디의 상면의 일부를 형성하고 제1 및 제2 다리가 안착되는 안착부와, 안착부의 후단에 위치하고 제1 다리를 고정하는 제1 후드부와, 안착부의 아래에서 그립 바디의 전단부를 형성하고 중심축의 둘레 방향을 따라서 중심축의 외측 반경 방향으로 원통 바디에 대해 돌출하는 돌출부와, 돌출부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며 외측 반경 방향으로 팽출하는 팽출부와, 돌출부와 팽출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1 곡면부를 포함한다.
가동 후드는, 제2 다리를 안착부에 압박하여 고정하도록 형성되고 돌출부에 중심축을 따라 교차하여 수직 방향에서 돌출부의 위에 위치하는 제2 후드부와, 수직 방향에서 제2 후드부의 아래에 위치하는 공간으로 형성되며 돌출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한다.
시트 바디의 측면도에서, 제1 곡면부는 중심축에 대해 오목하게 만곡된 제1 하단 윤곽선을 갖는다. 제1 하단 윤곽선은, 검지에 접촉 가능하고 돌출부의 하단으로부터 연장하며 제1 반경을 갖는 제1 오목 원호선과, 중지에 접촉 가능하고 제1 오목 원호선으로부터 팽출부로 연장하며 제1 반경보다 큰 제2 반경을 갖는 제2 오목 원호선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시트 바디의 측면도에서, 제1 하단 윤곽선은, 돌출부의 하단과 제1 곡면부의 경계로 되는 제1 끝점과, 팽출부와 제1 곡면부의 경계로 되는 제2 끝점과, 제1 및 제2 오목 원호선의 경계로 되는 최상점을 갖는다. 제1 오목 원호선은, 제1 반경을 갖고 제1 끝점 및 최상점을 통과하는 제1 가상원의 원주선의 일부이다. 제2 오목 원호선은 제1 오목 원호선보다 길다. 제2 오목 원호선은, 제2 반경을 갖고 최상점 및 제2 끝점을 통과하며 최상점에서 제1 가상원에 외접하는 제2 가상원의 원주선의 일부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최상점은 중심축에 평행한 제1 가상수평선에 위치하고, 제2 끝점은 중심축에 평행하고 제1 가상수평선보다 중심축으로부터 멀리 있는 제2 가상수평선에 위치하며, 제1 끝점은 중심축에 평행하고 제2 가상수평선보다 중심축으로부터 멀리 있는 제3 가상수평선에 위치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끝점은, 최상점을 통과하고 제1 가상수평선으로부터 제1 끝점이 있는 방향으로 5°로 경사하는 제1 가상경사선과, 최상점을 통과하고 제1 가상수평선으로부터 제1 끝점이 있는 방향으로 15°로 경사하는 제2 가상경사선의 사이에 위치한다. 제2 끝점은, 제1 가상수평선과, 최상점을 통과하고 제1 가상수평선으로부터 제2 끝점이 있는 방향으로 5°로 경사하는 제3 가상경사선의 사이에 위치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그립 바디는, 보어와 최상점의 사이에 한정되는 제1 두께를 가지며, 제1 두께는 0.3mm 내지 1.0mm의 범위 내에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시트 바디의 단면도에서, 제1 곡면부는 중심축에 대해 볼록하게 만곡된 제1 외주 윤곽선을 갖는다. 제1 외주 윤곽선은 제1 볼록 원호선을 포함하며, 제1 볼록 원호선은, 보어에 내접하는 가상내접원의 반경보다 큰 제3 반경 및 중심축의 상방에 위치하는 중심을 갖는 제3 가상원의 원주선의 일부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볼록 원호선은, 안착부와 보어의 사이에 위치하는 중심을 갖고 최상점을 통과하는 제3 가상원의 원주선의 일부, 또는, 안착부의 상방에 위치하는 중심을 갖고 제2 끝점을 통과하는 제3 가상원의 원주선의 일부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그립 바디는, 팽출부의 후방에 위치하고 약지에 접촉 가능한 제2 곡면부와, 제2 곡면부의 후방에 위치하고 하방으로 돌출하며 약지와 소지의 사이에 삽입 가능한 트리거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시트 바디의 측면도에서, 제2 곡면부는 중심축에 평행한 직선을 포함하는 제2 하단 윤곽선을 갖는다. 시트 바디의 단면도에서, 제2 곡면부는 제2 볼록 원호선을 포함하는 제2 외주 윤곽선을 갖는다. 제2 볼록 원호선은, 보어에 내접하는 가상내접원의 반경보다 큰 제4 반경과 중심축에 중심을 갖는 제4 가상원의 원주선의 일부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하단 윤곽선의 직선은, 최상점을 통과하고 중심축에 평행한 제1 가상수평선에 위치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그립 바디는, 보어와 제2 볼록 원호선에 의해 한정되는 제2 두께를 갖고, 제2 두께는 0.3mm 내지 1.0mm의 범위 내에 있다.
릴 시트의 실시예의 또 하나의 측면에 의하면, 제1 및 제2 다리를 갖는 릴을 낚싯대의 간체에 결합시키고 시트 바디와 가동 후드를 포함하는 릴 시트가 제공된다. 시트 바디는, 손가락에 의해 그립 가능한 그립 바디, 그립 바디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하는 원통 바디, 및 원통 바디와 그립 바디에 간체의 축방향으로 형성되고 간체에 결합 가능한 보어를 갖는다. 가동 후드는 원통 바디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립 바디는, 그립 바디의 상면의 일부를 형성하고 제1 및 제2 다리가 안착되는 안착부와, 안착부의 후단에 위치하고 제1 다리를 고정하는 제1 후드부와, 안착부의 아래에서 그립 바디의 전단부를 형성하고 보어의 중심축의 둘레 방향을 따라서 중심축의 외측 반경 방향으로 원통 바디에 대해 돌출하는 돌출부와, 돌출부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며 외측 반경 방향으로 팽출하는 팽출부와, 돌출부와 팽출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1 곡면부를 포함한다. 시트 바디의 측면도에서 제1 곡면부는 중심축에 대해 오목하게 만곡된 제1 하단 윤곽선을 갖는다. 제1 하단 윤곽선은, 검지에 접촉 가능하고 돌출부의 하단으로부터 연장하며 제1 반경을 갖는 제1 오목 원호선과, 중지에 접촉 가능하고 제1 오목 원호선으로부터 팽출부로 연장하며 제1 반경보다 큰 제2 반경을 갖는 제2 오목 원호선을 포함한다. 시트 바디의 단면도에서 제1 곡면부는 중심축에 대해 볼록하게 만곡된 제1 외주 윤곽선을 갖는다. 제1 외주 윤곽선은, 보어에 내접하는 가상내접원의 반경보다 큰 제3 반경과 중심축의 상방에 위치하는 중심을 갖는 제1 볼록 원호선을 포함한다.
원통 바디는, 외주에 형성된 수나사와, 중심축을 따라서 원통 바디의 전단으로부터 수나사를 통과해 연장하는 한 쌍의 가이드 홈을 갖는다.
가동 후드는, 원통 바디의 수나사에 둘레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너트와, 너트에 의해 중심축을 따라 이동가능한 가동 바디를 포함한다.
가동 바디는, 너트가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환상부와, 환상부로부터 제1 후드부를 향해 연장하고 제2 다리를 안착부에 압박하여 고정하도록 형성되며 돌출부에 중심축을 따라 교차하여 수직 방향에서 돌출부의 위에 위치하는 제2 후드부와, 제2 후드부의 아래에 위치하고 환상부와 제2 후드부의 사이의 공간으로 형성되며 돌출부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둘레 방향에서의 제2 후드부의 한 쌍의 측단 엣지의 각각에 형성되고 한 쌍의 가이드 홈의 각각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 돌기와, 제2 후드부의 외면을 덮고 한 쌍의 측단 엣지에 걸림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제2 후드부 및 가이드 돌기를 보강하는 보강 커버를 포함한다.
릴 시트의 실시예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제1 및 제2 다리를 갖는 릴을 낚싯대의 간체에 결합시키고 시트 바디와 가동 후드를 포함하는 릴 시트가 제공된다. 시트 바디는 간체의 축방향으로 형성되고 간체에 결합 가능한 보어를 갖는다. 가동 후드는 시트 바디에 보어의 중심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시트 바디는, 시트 바디의 상면의 일부 또는 시트 바디의 하면의 일부를 형성하고 제1 및 제2 다리가 안착되는 안착부와, 가동 후드에 대향하도록 안착부에 위치하고 제1 다리를 고정하는 제1 후드부와,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안착부의 반대측에서 중심축의 둘레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고 중심축의 외측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와, 안착부 및 돌출부로부터 중심축을 따라 연장하는 원통 단부와, 원통 단부의 외주에 형성된 수나사와, 원통 단부의 일단으로부터 수나사를 통과해 돌출부로 연장하는 한 쌍의 가이드 홈을 포함한다.
가동 후드는, 시트 바디의 수나사에 둘레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너트와, 너트에 의해 중심축을 따라 이동가능한 가동 바디를 포함한다.
가동 바디는, 너트가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환상부와, 환상부로부터 제1 후드부를 향해 연장하고 제2 다리를 안착부에 압박하여 고정하도록 형성되며 돌출부에 중심축을 따라 교차하여 수직 방향에서 돌출부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2 후드부와, 수직 방향에서 제2 후드부의 반대측에 위치하고 환상부와 제2 후드부의 사이의 공간으로 형성되며 돌출부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둘레 방향에서의 제2 후드부의 한 쌍의 측단 엣지의 각각에 형성되고 한 쌍의 가이드 홈의 각각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 돌기와, 제2 후드부의 외면을 덮고 한 쌍의 측단 엣지에 걸림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제2 후드부 및 가이드 돌기의 변형을 방지하는 보강 커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보강 커버는, 외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된 커버부와, 둘레 방향에서의 커버부의 각 측단으로부터 돌출하는 걸림결합부를 포함한다. 걸림결합부는 한 쌍의 측단 엣지 중 하나에 걸림결합된다. 수용부는, 제2 후드부의 한 쌍의 측단 엣지로 각각 되고 중심축에 평행한 한 쌍의 제1 엣지와, 한 쌍의 제1 엣지를 연결하는 제2 엣지를 갖는다. 돌출부는, 한 쌍의 제1 엣지 및 제2 엣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엣지를 갖는다. 한 쌍의 제1 엣지 중 하나는 걸림결합부의 둘레 방향에서의 표면을 부분적으로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후드부는, 걸림결합부가 각각 걸림결합되는 한 쌍의 걸림결합홈을 갖는다. 한 쌍의 걸림결합홈은 한 쌍의 측단 엣지의 각각을 따라 각각 형성되고 걸림결합부의 두께에 대응하는 깊이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후드부는, 외면을 따라 한 쌍의 걸림결합홈의 사이에 형성되고 커버부가 안착되는 안착홈을 갖는다. 안착홈은 커버부의 두께에 대응하는 깊이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가이드 돌기는, 한 쌍의 측단 엣지 중 하나로부터 중심축을 향하여 연장하는 제1 돌기부와, 제1 돌기부로부터 둘레 방향에서 중심축을 넘어 연장하는 제2 돌기부를 포함한다. 한 쌍의 가이드 홈의 각각은 둘레 방향 표면과 내향 표면을 갖는다. 가이드 홈의 둘레 방향 표면은, 수직 방향에서 중심축으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둘레 방향에서 제2 돌기부의 둘레 방향 표면에 접촉 가능하다. 가이드 홈의 내향 표면은 돌출부의 내측에 위치하고 둘레 방향 표면으로부터 둘레 방향으로 연장한다. 내향 표면은 제2 돌기부의 외향면에 외측 반경 방향에서 접촉 가능하다. 걸림결합부는 제2 돌기부의 외향면과 대향하도록 한 쌍의 측단 엣지 중 하나에 걸림결합되어 가이드 돌기의 변형을 억제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보강 커버는, 걸림결합부로부터 중심축을 향하여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볼록부를 포함한다. 가이드 돌기는, 제1 돌기부에 인접하여 제2 돌기부의 외향면에 형성되고 볼록부가 걸림결합되는 오목부를 포함한다. 볼록부가 오목부에 걸림결합되어 가이드 돌기의 변형을 억제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보강 커버는 금속 재료로 이루어진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안착부는 시트 바디의 상면에 위치하다. 시트 바디는, 중심축에 대해 오목하게 만곡되고 돌출부에 인접하며 검지에 접촉 가능한 곡면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안착부는 시트 바디의 하면에 위치하고, 보강 커버는 검지에 접촉 가능하다. 시트 바디는, 중심축에 대해 오목하게 만곡되고 돌출부에 인접하며 엄지에 접촉 가능한 곡면부를 포함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안착부는 시트 바디의 하면에 위치하고, 보강 커버는 소지에 접촉 가능하다. 시트 바디는, 중심축에 대해 오목하게 만곡되고 돌출부에 인접하는 곡면부를 포함한다.
릴 시트의 실시예에 있어서, 시트 바디는 일체로 형성되며, 탄소섬유강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릴 시트를 포함하는 낚싯대에 관련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는, 간체와, 간체에 결합되는 전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시트 바디의 그립 바디는 안착부의 아래에 위치하고 그립 바디의 하면을 형성하는 돌출부를 갖고, 가동 후드는 돌출부에 상보적인 형상을 갖고 돌출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갖는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는, 낚시인의 검지가 제2 후드부의 하단에 접촉할 가능성을 배제시키며, 낚시인의 손가락이 시트 바디를 불쾌감 없이 그립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를 사용하는 낚시에서, 어신은 트리거부에 인접한 회전중심점에 대한 회전 진동의 형태로서 릴 시트에 가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에 의하면, 돌출부로부터 연장하고 중심축에 대해 오목하게 만곡된 제1 오목 원호선이 제1 곡면부의 검지접촉부에 형성되며, 검지접촉부는 회전 진동에 따른 회전력의 벡터에 대한 수직면과 같이 기능할 수 있다. 따라서, 검지접촉부는, 회전중심점을 중심으로 시트 바디에 인가되는 회전 진동으로 되는 어신을 검지에 전달할 수 있고, 검지는 릴 시트의 회전을 억제하도록 제1 곡면부의 검지접촉부에 접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를 사용하는 낚시에서, 어신은 간체의 축 방향에 따르는 선형 진동의 형태로서 릴 시트에 가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에 의하면, 제2 오목 원호선이 제1 곡면부의 중지접촉부에 형성되며, 중지접촉부는 중심축에 대해 압력각을 갖도록 기울어져 있다. 따라서, 중지접촉부는, 중심축을 따라 시트 바디에 인가되는 선형 진동으로 되는 어신을 압력각의 저항으로서 중지에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1 곡면부는 중심축에 대해 볼록하게 만곡되고 보어의 반경보다 큰 반경을 갖는 외주 윤곽선을 갖는다. 검지 및 중지에 접촉되는 제1 곡면부의 단면은, 좌우 대칭이고 둥글게 편평한 외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일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는, 낚시인의 오른손과 왼손에 관계없이, 검지 및 중지가 시트 바디에 가볍게 접촉한 상태에서도, 검지 및 중지와 시트 바디 간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고, 검지 및 중지에 대한 어신 전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시트 바디의 제1 곡면부는, 검지 및 중지의 긴장을 완화시킬 수 있고 검지 및 중지의 어신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시트 바디는 검지 및 중지에 대한 향상된 어신 전달 성능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팽출부의 후방에 위치하고 약지에 접촉되는 제2 곡면부의 영역에서, 시트 바디는 공동을 갖지 않으며 얇은 두께를 갖는다. 따라서, 약지 및 소지가 시트 바디를 강하게 그립하여 약지가 어신에 둔감한 상태에서, 약지에의 어신 전달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시트 바디는, 밀도가 낮고 인장 강도가 높은 탄소섬유강화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여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검지 및 중지에 접촉되는 제1 곡면부와 약지에 접촉되는 제2 곡면부는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고, 시트 바디는 경량을 가질 수 있으며, 제1 곡면부 및 제2 곡면부에서의 어신 전달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가동 후드의 가동 바디는 제2 후드부의 측단 엣지에 걸림결합되어 제2 후드부를 덮는 보강 커버를 포함한다. 따라서, 릴의 다리를 압박하는 제2 후드부가 보강 커버에 의해 보강될 수 있고, 릴의 다리가 폭 방향으로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가이드 돌기는 제2 후드부의 측단 엣지로부터 중심축을 향하여 돌출하는 제1 돌기부와, 제1 돌기부로부터 중심축을 넘어 연장하는 제2 돌기부를 포함한다. 제1 돌기부의 둘레 방향의 표면이 가이드 홈의 둘레 방향의 표면에 의해 지지될 수 있고, 제2 돌기부의 외향면이 돌출부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는, 가동 바디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더욱 짧은 길이를 갖는 가동 바디의 환상부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보강 커버는 제1 돌기부로부터 제2 돌기부로 전환되는 가이드 돌기의 위치에 걸림결합되어 가이드 돌기를 보강할 수 있고, 릴의 다리는 폭 방향으로 흔들림이 없이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2 후드부를 덮는 보강 커버는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릴 시트는 향상된 장식성과 고급감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를 포함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낚싯대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하는 릴 시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하는 릴 시트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6-6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의 가동 후드의 단면 형상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하는 릴 시트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4에 도시하는 릴 시트의 저면도이다.
도 10은 릴이 일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에 부착되는 일 예를 도시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릴이 일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낚시인이 릴 시트를 그립하는 일 예를 도시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의 시트 바디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하는 시트 바디의 저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에 도시하는 시트 바디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2에 도시하는 시트 바디의 정면도이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의 시트 바디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7은 도 14의 17-17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6에 도시하는 그립 바디의 하단 윤곽선을 도시하는, 시트 바디의 측면도이다.
도 19는 그립 바디의 제1 하단 윤곽선을 형성하는 가상원을 도시하는 시트 바디의 측면도이다.
도 20은 그립 바디의 제1 하단 윤곽선을 도시하는 시트 바디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제1 하단 윤곽선의 끝점 및 최상점을 도시하는, 도 16에 대응하는 시트 바디의 측면도이다.
도 22는 제1 하단 윤곽선의 끝점 및 최상점을 도시하는, 도 17에 대응하는 시트 바디의 단면도이다.
도 23은 제1 곡면부의 외주 윤곽의 범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 바디의 측면도이다.
도 24는 제1 곡면부의 외주 윤곽의 범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 바디의 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16에서의 25-25 선을 따라 취한, 시트 바디의 단면도이다.
도 26은 도 16에서의 26-26 선을 따라 취한, 시트 바디의 단면도이다.
도 27은 도 16에서의 27-27 선을 따라 취한, 시트 바디의 단면도이다.
도 2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의 시트 바디에 형성되는 제1 하단 윤곽선과 제1 외주 윤곽선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9는 낚시인이 일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의 시트 바디를 그립하는 일 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0은 제2 곡면부의 하단 윤곽과 외주 윤곽을 도시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의 시트 바디의 사시도이다.
도 31은 도 16의 31-31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2는 낚시인이 일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를 그립할 때 제2 곡면부가 약지에 접촉하는 일 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를 포함하는 낚싯대를 사용하여 낚시인이 낚시를 행하는 일 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4는 도 33의 확대도이다.
도 3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를 포함하는 낚싯대를 사용하여 낚시인이 낚시를 행하는 또 하나의 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6은 도 35의 확대도이다.
도 3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를 사용하는 낚시에서 손가락 위치 변경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9는 가동 후드와 시트 바디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 38에 도시하는 릴 시트의 전방 부분의 측면도이다.
도 40은 도 39에 도시하는 릴 시트의 전방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41은 도 39에 도시하는 릴 시트의 가동 후드의 단면 형상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2는 도 39에 도시하는 가동 후드의 분해 측면도이다.
도 43은 도 39에 도시하는 가동 후드의 가동 바디의 사시도이다.
도 44는 도 43에 도시하는 가동 바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5는 가동 후드와 시트 바디가 분해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릴 시트의 일부 측면도이다.
도 46은 도 39의 46-46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동 후드의 가동 바디의 사시도이다.
도 48은 도 47에 도시하는 가동 바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9는 도 47에 도시하는 가동 바디가 채용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50은 도 47에 도시하는 가동 바디가 채용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의 분해 측면도이다.
도 51은 도 49의 51-51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5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동 후드의 가동 바디의 사시도이다.
도 53은 도 52에 도시하는 가동 바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4는 도 52에 도시하는 가동 바디의 분해 측면도이다.
도 55는 도 52에 도시하는 가동 바디가 채용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56은 도 55의 56-56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5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를 포함하는 낚싯대의 일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58은 도 57에 도시하는 릴 시트의 측면도이다.
도 59는 도 58의 59-59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6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를 포함하는 낚싯대의 일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61은 도 60의 61-61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6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의 시트 바디를 성형할 수 있는 금형 장치의 일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가동 후드와 비교예에 따른 가동 후드에 대한 강도 측정 시험의 결과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기술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상호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또는 중요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또는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거나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기재되는 치수와 수치는 기재된 치수와 수치 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달리 특정되지 않는 한, 이러한 치수와 수치는 기재된 값 및 이것을 포함하는 동등한 범위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전방'과 '전'의 방향 용어는 낚싯대의 선단(tip)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후방'과 '후'의 방향 용어는 낚싯대의 후단(butt)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하는 화살표(FD)는 낚싯대의 선단(tip)을 향하는 전방 방향을 지시하고, 도 1에 도시하는 화살표(RD)는 낚싯대의 후단(butt)를 향하는 후방 방향을 지시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상방', '상' 등의 방향 용어와 '하방', '하' 등의 방향 용어는 첨부한 도면에서의 상방과 하방에 근거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를 포함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낚싯대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한다.
낚싯대(2000)는, 낚시 도중에 탄력적으로 변형할 수 있고 가늘고 긴 형상을 갖는 간체(竿體)(2100)를 포함한다. 낚싯대(2000)는 하나의 간체 또는 복수의 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체는 파이프 형상의 부품, 또는 원기둥 형상의 부품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낚싯대(2000)는, 제1 간체(2110)와, 제2 간체(2120)와, 제3 간체(2130)를 포함한다. 일 예로, 제1 간체(2110)는 원간으로서 참조될 수 있으며, 낚싯대의 버트측 부분을 형성한다. 낚시인은 낚시 도중에 제1 간체(2110)를 잡을 수 있다. 제3 간체(2130)의 후단부가 제2 간체(2120)의 전단부에 끼워맞춤되는 식으로, 제2 간체(2120)와 제3 간체(2130)가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는, 텔레스코픽(telescopic) 방식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간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낚싯대(2000)는 제2 간체(2120)와 제3 간체(2130)에 부착되는 복수의 낚싯줄 가이드(2200)를 포함할 수 있다. 낚싯줄 가이드(2200)는, 낚싯줄이 통과할 수 있는 가이드 링과 상기 가이드 링을 지지하고 간체에 부착되는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낚싯줄 가이드(2200)는, 낚시채비를 캐스팅할 때에 릴로부터 방출되거나, 물고기를 낚아올릴 때에 릴에 감기는 낚싯줄을 안내한다.
낚싯대(2000)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1000)를 포함한다. 릴 시트(1000)는 제2 간체(2120)의 후단부에 결합될 수 있고, 제1 간체(2110)의 전단부가 릴 시트(1000)의 후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릴 시트(1000)는 낚싯줄이 감기는 릴(2300)을 고정하고 지지한다. 낚시인은, 한 손으로 릴 시트(1000)를 그립한 상태에서, 다른 한 손으로 릴(2300)을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릴 시트(1000)는, 릴을 낚싯대의 간체에 결합시키기 위한 부품으로서 기능할 수 있고 낚시인이 그립하는 부품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낚싯대에서, 릴(2300)은 릴 시트(1000)의 상측에 부착되는 베이트 캐스팅 릴일 수 있다. 베이트 캐스팅 릴에서는, 낚싯줄이 감기는 스풀의 회전 샤프트가 간체에 직교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회전 샤프트는 그 양측에서 지지된다.
릴(2300)은 상반하는 반향으로 연장하는 제1 다리(2310) 및 제2 다리(2320)를 갖는다. 제1 및 제2 다리(2310, 2320)는 릴(2300)을 릴 시트(1000)에 부착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2에 도시하는 예에서, 제1 다리(2310)는 후방 방향(RD)으로 연장하고, 제2 다리(2320)는 전방 방향(FD)으로 연장한다. 릴 시트(1000)가 제1 다리(2310)와 제2 다리(2320)를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여, 릴(2300)이 릴 시트(10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릴 시트(1000)는, 릴 시트(1000)의 본체로서 기능하는 시트 바디(1100)를 포함한다. 낚시인은 시트 바디(1100)의 일부를 그립할 수 있다. 릴의 제1 및 제2 다리(2310, 2320)는 시트 바디(1100)의 상측에 안착되며, 시트 바디(1100)는 제1 다리(2310)를 고정한다. 릴 시트(1000)는 릴의 제2 다리(2320)를 시트 바디(1100)에 고정하는 가동 후드(1200)를 포함한다. 가동 후드(1200)는 시트 바디(110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하는 릴 시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하는 릴 시트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6-6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의 가동 후드의 단면 형상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과 도 9는 각각, 도 4에 도시하는 릴 시트의 측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1000)에서, 시트 바디(1100)는, 릴 시트를 낚싯대의 간체(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하는 제1 간체 및 제2 간체)에 부착하도록 기능하고, 릴(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하는 릴)을 지지하도록 기능한다. 시트 바디(1100)의 일부는 낚시인의 손가락에 의해 그립될 수 있고, 시트 바디(1100)의 나머지 일부는 가동 후드(1200)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시트 바디(1100)는 파이프 형상을 갖는다. 시트 바디(1100)는 그립 바디(1111)와 원통 바디(1112)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립 바디(1111)는 낚시인의 손가락에 의해 그립될 수 있다. 원통 바디(1112)는 그립 바디(1111)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한다. 원통 바디(1112)는 가동 후드(1200)를 시트 바디(1100)에 결합시키는 부분으로 기능하며, 가동 후드(1200)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파이프 형상을 갖는 시트 바디(1100)는, 간체의 축방향(AD) 또는 시트 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는 보어(1113)를 갖는다. 여기서, 간체의 축방향(AD)은, 간체의 원형의 단면 형상의 중심을 간체의 길이 방향으로 지나는 방향을 의미한다. 보어(1113)는 원통 바디(1112)와 그립 바디(1111)에 간체의 축방향(AD)으로 형성되며, 간체(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하는 제1 간체 및 제2 간체)에 결합 가능하다.
보어(1113)는 시트 바디의 전단과 후단의 사이에서 시트 바디(1100)를 축방향(AD)으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보어(1113)는 대략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며, 중심축(CA)을 한정한다. 여기서, 중심축(CA)은 시트 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보어(1113)의 단면 형상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축을 의미한다.
낚싯대의 간체가 보어(1113)에 삽입되고 끼워맞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하는 제2 간체(2120)의 후단부가 원통 바디(1112)의 전단(시트 바디의 전단)으로부터 보어(1113)에 중심축(CA)을 따라 삽입되고 끼워맞춤된다. 원통 바디(1112) 또는 원통 바디(1112) 및 그립 바디(1111)에 형성된 보어(1113)에 상기 제2 간체의 후단부가 결합될 수 있다. 릴 시트(1000)는 보어(1113)에 삽입된 제2 간체(2120)에 부착된다. 또한,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하는 제1 간체(2110)의 전단부가 그립 바디(1111)의 후단(시트 바디의 후단)으로부터 보어(1113)에 중심축(CA)을 따라 삽입되고 끼워맞춤된다. 릴 시트(1000)는 보어(1113)에 삽입된 제1 간체(2110) 및 제2 간체(2120)에 부착된다. 보어(1113)의 표면과 간체의 외주면의 사이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릴 시트(1000)와 간체(2110, 2120)가 접착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보어(1113)의 표면에는 복수의 홈(1114)(도 6 참조)이 중심축(CA)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시트 바디의 그립 바디(1111)는 그 상면에서 릴의 제1 및 제2 다리를 지지한다. 그립 바디(1111)는 상기 제1 및 제2 다리가 안착되는 안착부(1121)를 포함한다. 안착부(1121)는 중심축(CA)을 따라 그립 바디(1111)의 상면의 일부(또는 시트 바디의 상면의 일부)를 형성한다. 일 예로, 안착부(1121)는 중심축(CA)을 따라 그립 바디의 상측에 형성된 한 쌍의 레일부(1123)의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각 레일부(1123)의 전단에는, 시트 바디의 내측으로 오목한 홈(112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립 바디(1111)는 안착부(1121)의 후단에 위치하는 제1 후드부(1122)를 갖는다. 제1 후드부(1122)는 중심축(CA)을 따라 가동 후드(1200)에 대향한다. 제1 후드부(1122)는, 안착부(1121)의 후단에, 쐐기 형상의 홈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릴이 시트 바디(1100)에 부착될 때, 상기 제1 다리가 제1 후드부(1122)에 삽입되고 끼워맞춤되며, 제1 후드부(1122)는 상기 제1 다리를 안착부(1121)에 고정한다.
그립 바디(1111)는, 그립 바디의 전단부를 형성하는 돌출부(1140)를 포함한다. 낚시인이 시트 바디의 그립 바디(1111)를 그립할 때, 낚시인의 검지가 돌출부(1140)에 접촉할 수 있다. 돌출부(1140)는 중심축(CA)을 기준으로 하여 안착부(1121)의 반대측에 위치하며, 중심축의 둘레 방향(CD)으로 형성된다. 돌출부(1140)는 중심축(CA)을 기준으로 하여 안착부(1121)의 아래에 위치한다. 또한, 돌출부(1140)는 중심축(CA)의 외측 반경 방향(OD)으로 돌출한다. 상세하게는, 돌출부(1140)는 외측 반경 방향(OD)으로 원통 바디(1112)에 대해 돌출한다.
시트 바디의 원통 바디(1112)는, 안착부(1121) 및 돌출부(1140)로부터 중심축(CA)을 따라 연장하는 시트 바디의 원통 단부를 형성한다. 원통 바디(1112)는 수나사(1131)와 한 쌍의 가이드 홈(1132)을 포함한다. 수나사(1131)는 원통 바디(1112)의 외주(또는, 시트 바디의 원통 단부의 외주)에 형성된다. 수나사(1131)는 원통 바디의 전단과 그립 바디의 전단의 사이에서 소정 범위로 위치한다. 수나사(1131)는 가동 후드(1200)에 결합된다.
한 쌍의 가이드 홈(1132)은, 중심축(CA)을 따라서 원통 바디(1112)의 전단(시트 바디의 일단)으로부터 수나사(1131)를 통과해 그립 바디(1111)까지 연장한다. 한 쌍의 가이드 홈(1132)은 가동 후드(1200)의 중심축(CA)을 따르는 이동을 가이드한다. 한 쌍의 가이드 홈(1132)은 보어(1113)의 중심축(CA)에 대해 서로 대향한다. 각 가이드 홈(1132)의 후단은 레일부(1123)의 전단부의 하단과 돌출부(1140)의 상단 엣지의 사이에 위치한다.
각 가이드 홈(1132)은, 둘레 방향(CD)에서 대향하는 제1 및 제2 둘레 방향 표면(1133, 1134)과 제1 및 제2 둘레 방향 표면의 사이에서 중심축(CA)을 따라 연장하는 바닥 표면을 가질 수 있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둘레 방향 표면(1133, 1134)은 중심축(CA)의 아래와 위에 위치한다. 제1 둘레 방향 표면(1133)은 돌출부(1140)의 상단 엣지보다 아래에 위치한다. 다른 예로서, 제1 둘레 방향 표면(1133) 또는 제2 둘레 방향 표면(1134)은 중심축(CA) 상에 위치할 수 있다.
가동 후드(1200)는 시트 바디에 중심축(CA)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세하게는, 가동 후드(1200)는 원통 바디(1112)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가동 후드(1200)는 나사 작용에 의해 원통 바디(1112)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가동 후드(1200)는, 나사 작용을 일으키는 너트(1211)와, 너트(1211)에 의해 중심축(CA)을 따라 이동 가능한 가동 바디(1212)를 포함한다. 너트(1211)와 가동 바디(1212)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원통 바디(1112)가 너트(1211)와 가동 바디(1212)를 관통한다.
너트(1211)는 원통 바디(1112)의 외주를 따라 회전 가능하다. 너트(1211)는 원통 바디(1112)의 수나사(1131)에 중심축(CA)의 둘레 방향(CD)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나사 결합된다. 너트(1211)는 그 내주에 암나사(1221)를 갖는다. 암나사(1221)와 수나사(1131)가 서로 맞물려서, 너트(1211)가 원통 바디(1112)에 나사 작용에 의해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너트(1211)가 둘레방향(CD)에서 회전됨에 따라, 암나사(1221)와 수나사(1131) 간의 나사 작용에 의해, 너트(1211)는 회전과 함께 후방 방향 또는 전방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너트(1211)는 너트(1211)의 외주면에 끼워맞춤되고 탄성을 갖는 원통형의 너트 커버(1225)(도 3 참조)를 가질 수 있다. 낚시인은 너트 커버(1225)를 회전시켜서 너트(1211)를 회전시킬 수 있다.
너트(1211)는 가동 바디(1212)에 둘레 방향(CD)으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가동 바디(1212)는 릴의 상기 제2 다리를 덮어 압박할 수 있는 형상을 갖는다. 가동 바디(1212)는 중심축(CA)을 따라 축방향(AD)으로 이동가능하나 둘레 방향(CD)에서는 회전하지 않는다. 즉, 가동 바디(1212)는 중심축(CA)을 따라서만 이동되도록 원통 바디(1112)에 의해 가이드된다.
가동 바디(1212)는, 너트(1211)가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환상부(1230)를 포함한다. 너트(1211)는 후단 부근에, 플랜지(1222)와, 플랜지(1222)에 인접한 걸림 홈(1223)과, 걸림 홈(1223)에 인접한 걸림 돌기(1224)를 갖는다. 플랜지(1222)와 걸림 홈(1223)은 둘레 방향(CD)으로 연장한다. 가동 바디의 환상부(1230)는 전단에, 너트(1211)의 걸림 홈(1223)에 걸림결합되는 걸림 돌기(1231)와, 걸림 돌기(1231)에 인접하고 너트(1211)의 걸림 돌기(1224)가 걸림결합되는 걸림 홈(1232)을 갖는다. 걸림 돌기(1224)와 걸림 홈(1232) 간의 걸림 결합이, 가동 바디(1212)와 너트(1211)에 상대 회전을 제공한다.
너트(1211)를 둘레 방향(CD)에서의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수나사(1131)와 암나사(1221) 간의 나사 작용에 의해, 너트(1211)가 플랜지(1222)를 통해 가동 바디(1212)를 제1 후드부(1122)를 향해 이동시킬 수 있다. 가동 바디(1212)가 릴의 상기 제2 다리에 접촉하면, 너트(1211)를 약간 더 회전시킴에 따라, 수나사(1131)와 암나사(1221) 간의 나사 체결력으로, 가동 바디(1212)는 상기 제2 다리를 그립 바디의 안착부(1121)에 압박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너트(1211)를 상기 일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수나사(1131)와 암나사(1221) 간의 나사 작용에 의해, 너트(1211)는 제1 후드부(1122)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될 수 있다. 너트(1211)의 걸림 돌기(1224)가 가동 바디(1212)의 걸림 돌기(1231)를 전방으로 당겨서, 가동 바디(1212)가 제1 후드부(1122)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너트(1211)는 중심축(CA)을 따라 나사 작용에 의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된다. 가동 바디(1212)는 너트(1211)의 전방 또는 후방의 이동에 의해, 제1 후드부를 향해 밀려지거나 제1 후드부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된다.
가동 바디(1212)의 중심축(CA)에 따른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해, 가동 바디(1212)는 한 쌍의 가이드 돌기(1260)를 포함한다. 각 가이드 돌기(1260)는 가동 바디의 둘레 방향에서의 엣지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한다. 가이드 돌기(1260)는 한 쌍의 가이드 홈(1132)의 각각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된다. 가이드 홈(1132)이 중심축(CA)을 따라 연장하여, 가이드 돌기(1260)의 둘레 방향(CD)의 회전을 저지한다. 이에 따라, 가이드 홈(1132)에 의해 가이드 돌기(1260)가 중심축(CA)을 따라서만 안내되어, 가동 바디(1212)는 중심축(CA)을 따라서만 이동될 수 있다. 각 가이드 돌기(1260)는, 가이드 홈의 둘레 방향(CD)에서의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가질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릴 시트의 측면도에서, 가이드 돌기(1260)는, 중심축(CA)의 아래와 위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 둘레 방향 표면(1133, 1134) 간의 거리에 대응하는 폭을 가질 수 있으며, 중심축(CA)이 가이드 돌기(1260)를 통과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가이드 돌기(1260)는, 릴 시트의 측면도 또는 단면도에서 둘레 방향(CD)에서의 그 표면이 중심축(CA)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의 릴 시트에 있어서, 시트 바디(1100)와 가동 후드(1200)는, 가동 후드가 상기 제2 다리를 고정할 때, 가동 후드의 일부가 중심축(CA)을 따라 시트 바디의 일부를 교차하여, 시트 바디의 일부와 가동 후드의 일부가 수직 방향(VD)으로 위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시트 바디의 일부와 가동 후드의 일부가 수직으로 위치되므로, 시트 바디는 감소된 전장을 가질 수 있고, 낚싯인의 검지가 가동 후드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동 바디(1212)는, 환상부(1230)와, 제2 후드부(1240)와, 수용부(1250)와, 한 쌍의 가이드 돌기(1260)를 포함한다. 제2 후드부(1240)는 가동 바디(1212)의 상부 및 후방부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수용부(1250)는 수직 방향(VD)에서 제2 후드부(1240)의 반대측에 위치한다. 수용부(1250)는 가동 바디(1212)의 하부 및 후방부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후드부(1240)는 환상부(1230)로부터 제1 후드부(1122)를 향해 연장하며, 릴의 상기 제2 다리를 덮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후드부(1240)는, 원뿔대를 그 축방향으로 반분한 형상에 대략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동 바디(1212)가 너트(1211)에 의해 제1 후드부(1122)로 이동됨에 따라, 제2 후드부(1240)는 상기 제2 다리를 그립 바디의 안착부(1121)에 압박하여 고정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가동 바디(1212)는 제2 후드부(1240)에 걸림결합되어 제2 후드부(1240)를 보강하는 보강 커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수용부(1250)는 수직 방향(VD)에서 제2 후드부(1240)의 반대측에, 일 예로, 제2 후드부(1240)의 아래에 위치한다. 가동 바디(1212)의 원뿔대 형상을 가정할 때, 수용부(1250)는, 그러한 원뿔대 형상을 제2 후드부(1240)가 남도록 절결한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수용부(1250)는 제2 후드부(1240)의 아래의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수용부(1250)는 환상부(1230)와 제2 후드부(1240)의 사이의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동 후드(1200)는, 상기 제2 다리를 안착부(1121)에 압박하여 고정하는 제2 후드부(1240)와, 수직 방향(VD)에서 제2 후드부(1240)의 아래에 위치하고, 제2 후드부(1240)의 아래의 공간으로 형성되는 수용부(1250)를 포함한다.
제2 후드부(1240)와 수용부(1250)는 둘레 방향(CD)에서 공통의 엣지를 갖는다. 가이드 돌기(1260)는, 둘레 방향(CD)에서의 제2 후드부(1240)의 한 쌍의 측단 엣지(1241)의 각각에 형성된다. 또는, 가이드 돌기(1260)는, 둘레 방향(CD)에서의 수용부(1250)의 한 쌍의 상단 엣지의 각각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가이드 돌기(1260)는 제2 후드부(1240)의 측단 엣지(1241) 또는 수용부(1250)의 상단 엣지를 따라 형성된다.
시트 바디의 돌출부(1140)와 가동 바디의 수용부(1250)는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다. 가동 후드(1200)가 상기 제2 다리를 고정하기 위해 제1 후드부(1122)를 향해 이동함에 따라, 가동 바디(1212)의 제2 후드부(1240)가 돌출부(1140)에 중심축(CA)을 따라 교차하고 돌출부(1140)가 수용부(1250)에 수용된다. 이에 따라, 가동 후드(1200)가 상기 제2 다리를 고정할 때, 가동 후드의 일부(예를 들어, 제2 후드부(1240))와 시트 바디의 일부(예를 들어, 돌출부(1140))가 수직 방향(VD)으로 위치되며, 가동 후드의 상기 일부는 돌출부(1140)의 위에 위치한다.
돌출부(1140)는 수용부(1250)와 중심축(CA)을 따라 대향한다. 수용부(1250)는 돌출부(1140)에 대해 오목하다. 따라서, 가동 후드(1200)가 제1 후드부(1122)를 향해 이동되어 상기 제2 다리를 안착부(1121)에 압박하여 고정할 때, 돌출부(1140)는 수용부(1250)에 삽입 및 끼워맞춤될 수 있으며, 수용부(1250)는 돌출부(1140)를 수용할 수 있다.
릴 시트(1000)의 측면도에서, 또는 릴 시트(1000)를 측방에서 볼 때, 수용부(1250)는 L자형, 만곡한 L자형, V자형, 만곡한 V자형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도 8과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용부(1250)는, 제2 후드부(1240)의 측단 엣지(1241)로 되는 한 쌍의 제1 엣지(1251)와, 한 쌍의 제1 엣지(1251)를 연결하는 제2 엣지(1252)를 갖는다. 제1 엣지(1251)는 중심축(CA)에 평행할 수 있다. 릴 시트의 측면도에서, 제1 엣지(1251)는 중심축(CA)에 또는 중심축(CA)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할 수도 있다. 제2 엣지(1252)는 원호형으로 만곡된다.
돌출부(1140)는 수용부(1250)의 제1 엣지(1251) 및 제2 엣지(1252)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엣지를 갖는다. 돌출부(1140)는, 수용부(1250)의 제1 엣지(1251)에 대응하는 측단 엣지(1141)와, 수용부(1250)의 제2 엣지(1252)에 대응하는 내단 엣지(1142)를 갖는다. 따라서, 가동 후드(1200)가 제1 후드부(1122)를 향해 이동할 때, 수용부의 제1 엣지(1251)는 돌출부의 측단 엣지(1141)를 따라 중심축(CA)의 방향으로 이동하고, 수용부의 제2 엣지(1252)는 돌출부의 내단 엣지(1142)에 축방향(AD)으로 맞닿거나 내단 엣지(1142)로부터 약간의 거리로 이격된다. 또한, 제2 후드부(1240)가 돌출부(1140)에 중심축(CA)을 따라 교차하면서, 돌출부(1140)가 수용부(1250)에 삽입 및 끼워맞춤된다.
그립 바디(1111)는, 레일부(1123)와 돌출부(1140)의 측단 엣지(1141)를 연결하는 경사 엣지(1125)를 갖는다. 경사 엣지(1125)는 돌출부의 측단 엣지(1141)로부터 상방 및 후방으로 기울어져, 레일부(1123)에 연결된다. 가동 후드의 제2 후드부(1240)는, 경사 엣지(1125)에 대응하도록 기울어진 내단 엣지(1242)를 갖는다. 제2 후드부(1240)가 상기 제2 다리를 안착부(1121)에 고정할 때, 내단 엣지(1242)는 경사 엣지(1125)에 인접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시트 바디(1100)는 양호하고 안정적인 그립감을 낚시인의 손가락에 제공하며, 향상된 어신 전달 성능을 갖는다. 이러한 시트 바디(1100)의 기능은, 그립 바디(1111)의 하측 표면을 형성하는 부분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시트 바디의 그립 바디(1111)는, 돌출부(1140), 팽출부(1150), 제1 곡면부(1160), 제2 곡면부(1170), 및 트리거부(1180)를 포함한다. 돌출부(1140), 팽출부(1150), 제1 곡면부(1160), 제2 곡면부(1170), 및 트리거부(1180)는, 안착부(1121)의 아래에, 즉, 중심축(CA)을 기준으로 하여 안착부(1121)의 반대측에 위치한다. 돌출부(1140), 팽출부(1150), 제1 곡면부(1160), 제2 곡면부(1170) 및 트리거부(1180)의 표면이, 중심축(CA)의 아래에 위치하는 그립 바디의 하측 표면을 형성한다.
돌출부(1140)는 원통 바디(1112)의 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한다. 돌출부(1140)는 둘레 방향(CD)을 따라서 원통 바디(1112)에 대해 외측 반경 방향(OD)으로 돌출한다. 돌출부의 측단 엣지(1141)는 중심축(CA)에 평행하며, 가이드 홈(1132)에 대해 단차 형상을 만든다. 돌출부의 내단 엣지(1142)는 측단 엣지(1141)로부터 연장하고 원통 바디(1112)의 외면에 대해 단차 형상을 만든다.
팽출부(1150)는 돌출부(1140)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어 있다. 팽출부(1150)는 둘레 방향(CD)을 따라서 외측 반경 방향(OD)으로 팽출한다. 시트 바디의 측면도에서, 팽출부(1150)의 중심축(CA)으로부터의 팽출 높이는, 돌출부(1140)의 중심축(CA)으로부터의 돌출 높이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곡면부(1160)는 돌출부(1140)와 팽출부(1150)의 사이에 형성된다. 제1 곡면부(1160)는, 돌출부(1140)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고 부분적으로 돌출부(1140)에 의해 둘러싸이는 곡면부이다. 시트 바디의 측면도에서, 제1 곡면부(1160)는 중심축(CA)에 대해 오목하게 만곡되어 있다. 릴 시트의 단면도에서, 즉 릴 시트를 중심축(CA)에 직교하는 단면에서 볼 때, 제1 곡면부(1160)는 중심축(CA)에 대해 볼록하게 만곡되어 있다.
제2 곡면부(1170)는 팽출부(1150)의 후방에 위치한다. 제2 곡면부(1170)는, 그립 바디의 하측 표면에서 대략 반타원형 형상의 경계부(1171)를 통해 구분될 수 있다. 트리거부(1180)는 제2 곡면부(1170)의 후방에 위치한다. 트리거부(1180)는 그립 바디(1111)에서 하방으로, 중심축(CA)에 대한 외측 반경 방향으로 돌출한 돌기물로서 형성되어 있다. 트리거부(1180)는 전방 방향으로 약간의 각도로 기울어질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릴 시트의 시트 바디(1100)는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서 형성된다. 시트 바디(1100)는, 전술한 원통 바디와 그립 바디를 갖도록, 열가소성 수지로부터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일 예로, 시트 바디(1100)는 탄소섬유강화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탄소섬유강화 열가소성 수지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리섬유강화 열가소성 수지에 비해, 낮은 밀도와 높은 인장 강도를 갖는다. 일 예로, 시트 바디(1100)를 구성하는 재료로서, PA12-CF30(L7)의 등급을 갖는 탄소섬유강화 열가소성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탄소섬유강화 열가소성 수지의 재료 특성에서, 인장 강도는 270MPa일 수 있고, 굽힘강도는 340MPa일 수 있고, 굽힘탄성률은 17,000MPa일 수 있고, 샤르피 노치 충격 강도는 22kJ/m2일 수 있고, 하중 휨 온도는 178℃일 수 있고, 밀도는 1.16g/cm3일 수 있다.
비교예로서, 릴 시트의 시트 바디가, PA66-GF30의 등급을 갖는 유리섬유강화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유리섬유강화 열가소성 수지의 재료 특성에서, 인장 강도는 140MPa일 수 있고, 굽힘강도는 215MPa일 수 있고, 굽힘탄성률은 6,800MPa일 수 있고, 샤르피 노치 충격 강도는 16kJ/m2일 수 있고, 하중 휨 온도는 262℃일 수 있고, 밀도는 1.37g/cm3일 수 있다. 유리섬유강화 열가소성 수지와 비교하여, 낮은 밀도와 높은 인장강도를 갖는 탄소섬유강화 열가소성 수지가 일 실시예의 릴 시트의 시트 바디를 구성한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 바디는, 낚시인의 손가락에 접촉하는 부분에서 더욱 작은 두께를 가질 수 있고, 경량화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의 측면도이다. 릴이 일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에 부착되는 일 예를 도시하는, 도 10을 참조한다.
릴(2300)의 제1 다리(2310)가 안착부(1121) 상에 놓이고 시트 바디의 제1 후드부(1122)에 삽입된다. 가동 후드(1200)는 릴(2300)의 제2 다리(2320)를 안착부(1121)에 고정하기 위해 제1 후드부(1122)를 향하여 이동된다. 가동 후드(1200)는, 상기 가이드 돌기가 원통 바디의 가이드 홈(1132)에 후방 방향(RD)으로 삽입되도록, 원통 바디(1112)에 위치된다. 너트(1211)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너트(1211)와 원통 바디(1112) 간의 나사 작용에 의해, 가동 바디(1212)가 후방 방향(RD)으로 중심축(CA)을 따라 이동된다.
돌출부(1140)는 가동 후드의 수용부(1250)와 중심축(CA)을 따라 대향한다. 가동 바디(1212)가 제1 후드부(1122)를 향해 이동됨에 따라, 가동 바디의 제2 후드부(1240)는 돌출부(1140)에 중심축(CA)을 따라 교차하고, 돌출부(1140)는 수용부(1250)에 삽입된다. 돌출부(1140)가 수용부(1250)에 삽입되는 동시에, 제2 후드부(1240)는 수직 방향(VD)에서 돌출부(1140)의 위에 위치된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의 측면도이다. 릴이 일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낚시인이 릴 시트를 그립하는 일 예를 도시하는, 도 11을 참조한다.
낚시인은, 검지(F1), 중지(F2), 약지(F3) 및 소지(F4)로 시트 바디의 그립 바디(1111)를 감는 방식으로, 그립 바디(1111)를 그립할 수 있다. 낚시인이 그립 바디(1111)를 그립한 상태에서, 돌출부(1140)와 팽출부(1150)의 사이의 제1 곡면부(1160)는 검지(F1) 및 중지(F2)에 접촉 가능하다. 제2 곡면부(1170)는 약지(F3)에 접촉 가능하다. 그립 바디(1111)의 후단부의 하면은 소지(F4)에 접촉 가능하다. 트리거부(1180)는 약지(F3)와 소지(F4)의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가동 후드(1200)가 제2 다리(2320)를 고정하면, 가동 바디의 제2 후드부(1240)가 그립 바디의 돌출부(1140)의 위에 위치하고, 그립 바디의 돌출부(1140)가 가동 바디의 수용부(1250)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돌출부(1140)와 제2 후드부(1240)가 상하로 위치된다. 따라서, 그립 바디(1111)는 더욱 짧은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가동 후드(1200)는 제1 후드부(1122) 측으로 더욱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낚시인의 검지(F1)의 손가락끝이 가동 후드(1200)에 닿을 가능성이 배제될 수 있다. 즉, 돌출부(1140)가 수용부(1250)에 수용되므로, 낚시인의 검지(F1)의 손가락끝은, 그립 바디(1111)와 가동 후드(1200) 간의 경계에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낚시인은, 검지(F1)를 시트 바디(1100)(예컨대, 돌출부(1140)의 표면)에 위화감 없이 긴장을 푼 상태에서 접촉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의 릴 시트는, 낚시인에게 양호한 그립감을 제공할 수 있다.
낚시인이 시트 바디의 그립 바디를 그립할 때, 검지(F1)와 중지(F2)는 돌출부(1140)와 팽출부(1150)의 사이에서 제1 곡면부(1160)의 표면에 접촉한다. 탄소섬유강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시트 바디(1100)에 있어서, 검지(F1)와 중지(F2)가 접촉하는 부분(예컨대, 제1 곡면부(1160))은 더욱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고, 시트 바디(1100)는 경량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검지(F1)와 중지(F2)에 접촉되는 제1 곡면부(1160)에서의 어신 전달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의 시트 바디는, 손에 양호한 그립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손가락에의 어신 전달을 향상시킬 수 있다. 향상된 어신 전달 성능은, 시트 바디의 그립 바디에 마련되는, 돌출부, 제1 곡면부, 팽출부, 및 제2 곡면부의 표면 형상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의 시트 바디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3, 도 14 및 도 15는 각각, 도 12에 도시하는 시트 바디의 저면도,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한다.
돌출부(1140), 팽출부(1150), 제1 곡면부(1160), 제2 곡면부(1170), 및 트리거부(1180)의 표면이, 중심축(CA) 아래의 그립 바디(1111)의 하측 표면의 일부를 형성한다. 검지, 중지, 약지 및 소지가 그립 바디(1111)의 하측 표면을 감싸도록(예를 들어, 도 11 참조), 낚시인은 시트 바디의 그립 바디(1111)를 그립할 수 있다. 그립 바디(1111)의 하측 표면에 형성되는 전술한 부분이, 손가락에 양호한 그립감과 향상된 어신 전달을 제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12와 도 13을 참조한다. 돌출부(1140)로부터 팽출부(1150)의 전방 시작점까지의 제1 그립 영역(GR1)은 검지와 중지에 의해 그립되는 영역이다. 제1 곡면부(1160)가 제1 그립 영역(GR1)에 위치한다. 팽출부(1150)의 후방 종료점으로부터 트리거부(1180)까지의 제2 그립 영역(GR2)은 약지에 의해 그립되는 영역이다. 제2 곡면부(1170)가 제2 그립 영역(GR2)에 위치한다. 트리거부(1180)로부터 그립 바디(1111)의 후단까지의 제3 그립 영역(GR3)은 소지에 의해 그립되는 영역이다.
제1 곡면부(1160)는 돌출부(1140)의 하단으로부터 후방 방향으로 팽출부(1150)까지 연장한다. 제1 곡면부(1160)는 불연속의 면이 없이, 연속하는 형상으로 이어진다. 제2 곡면부(1170)는 반원형 또는 반타원형의 경계부(1171)를 통해 그립 바디의 하측 표면에 연결된다. 제2 곡면부(1170)는 경계부(1171)에 의해 그립 바디의 하측 표면에서 구분될 수 있다. 시트 바디를 하방에서 볼 때, 또는, 시트 바디의 저면도에서, 제2 곡면부(1170)는 경계부(1171)에 의해 반원형 또는 반타원형으로 형성되는 그립 바디(1111)의 일부이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의 시트 바디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7은 도 14의 17-17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6에 도시하는 그립 바디의 하단 윤곽선을 도시하는, 시트 바디의 측면도이다.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한다.
제1 곡면부(1160)의 표면이 제1 그립 영역(GR1)에서의 그립 바디의 하측 표면을 형성한다. 시트 바디의 측면도에서, 제1 곡면부(1160)의 표면은 돌출부(1140)와 팽출부(1150)의 사이에 위치하며, 중심축(CA)을 향하여 오목하게 만곡되어 있다. 시트 바디의 단면도에서, 제1 곡면부(1160)의 표면은 중심축(CA)으로부터 볼록하게 원호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다.
시트 바디의 측면도에서, 제1 곡면부(1160)는 제1 그립 영역에서의 그립 바디(1111)의 하단의 형상에 대응하는 제1 하단 윤곽선(1161)을 갖는다. 제1 하단 윤곽선(1161)은, 시트 바디의 측면도에서, 제1 곡면부(1160)의 하단 표면의 형상을 이루는 윤곽선을 의미한다. 제1 하단 윤곽선(1161)은 중심축(CA)에 대해 오목하게 만곡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1 곡면부의 제1 하단 윤곽선(1161)은 제1 오목 원호선(1162)과 제2 오목 원호선(1163)을 포함한다. 제1 오목 원호선(1162)은 검지에 접촉 가능하고(도 11 참조), 제2 오목 원호선(1163)은 중지에 접촉 가능하다(도 11 참조). 제1 오목 원호선(1162)과 제2 오목 원호선(1163)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 제1 오목 원호선(1162)은 돌출부(1140)의 하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며, 제2 오목 원호선(1163)은 제1 오목 원호선(1162)으로부터 팽출부(1150)로 연장한다. 제2 오목 원호선(1163)은 제1 오목 원호선(1162)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갖는다. 제1 오목 원호선(1162)은 제1 반경(R1)을 가지며, 제2 오목 원호선(1163)은 제1 반경(R1)보다 큰 제2 반경(R2)을 갖는다. 제1 곡면부(1160)는, 제1 및 제2 오목 원호선(1162, 1163)이 각각 형성되는 두개의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오목 원호선(1162)이 형성되는 제1 곡면부의 부분은 검지접촉부(1166)이다. 제2 오목 원호선(1163)이 형성되는 제1 곡면부의 부분은 중지접촉부(1167)이다. 검지접촉부(1166)는 돌출부(1140)에 의해 둘러싸이며, 중지접촉부(1167)는 검지접촉부(1166)로부터 연장한다.
돌출부(1140)와 팽출부(1150)의 사이에 한정되는 제1 곡면부(1160)는, 돌출부(1140)와 팽출부(1150)에 대한 경계를 갖고 그립 바디(1111)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트 바디의 측면도에서, 제1 하단 윤곽선(1161)은 제1 끝점(P1)과 제2 끝점(P2)을 갖는다. 또한, 제1 하단 윤곽선(1161)은 중심축(CA)에 가장 가까운 최상점(P3)을 갖는다. 제1 하단 윤곽선(1161)은 제1 곡면부에서 제1 끝점(P1)과 제2 끝점(P2)의 사이에 한정될 수 있으며, 제1 하단 윤곽선은 최상점(P3)을 통과한다. 제2 오목 원호선(1163)이 제1 오목 원호선(1162)보다 길므로, 최상점(P3)은 팽출부(1150)보다 돌출부(1140)에 가깝게 위치한다.
시트 바디의 측면도에서, 제1 끝점(P1)은 돌출부(1140)의 하단과 제1 곡면부(1160)의 경계(또는, 돌출부의 하단과 제1 오목 원호선의 경계)로 된다. 제1 곡면부(1160)의 전단과 돌출부(1140)는 제1 끝점(P1)을 통해 구분될 수 있다. 제1 끝점(P1)은 돌출부(1140)의 전단(돌출부의 내단 엣지(1142)의 최하단)으로부터 후방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으며, 돌출부(1140)는 그 전단과 제1 끝점(P1)의 사이에, 중심축(CA)에 평행한 하단 표면을 갖는다.
시트 바디의 측면도에서, 제2 끝점은 팽출부(1150)와 제1 곡면부(1160)의 경계(또는, 팽출부와 제2 오목 원호선의 경계)로 된다. 제1 곡면부(1160)의 후단과 팽출부(1150)는 제2 끝점(P2)을 통해 구분될 수 있다. 제2 끝점(P2)은, 팽출부(1150)에서 가장 하방에 위치하는 정점으로부터 전방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다. 시트 바디의 측면도에서, 팽출부(1150)는 하방으로 둥글게 볼록하다. 제2 끝점(P2)은, 곡률이 바뀌는, 제1 곡면부(1160)와 팽출부(1150)의 사이의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시트 바디의 측면도에서, 최상점(P3)은 제1 오목 원호선(1162)과 제2 오목 원호선(1163)의 경계로 된다. 제1 오목 원호선(1162)은 중심축(CA)을 따라 제1 끝점(P1)과 최상점(P3)에 의해 한정되고, 제2 오목 원호선(1163)은 중심축(CA)을 따라 최상점(P3)과 제2 끝점(P2)에 의해 한정된다.
도 18을 참조하면, 제1 하단 윤곽선(1161)의 제1 끝점(P1), 제2 끝점(P2) 및 최상점(P3)은 중심축(CA)으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중심축(CA)에 평행한 제1 가상수평선(HL1)과, 중심축(CA)에 평행하고 제1 가상수평선(HL1)보다 중심축(CA)으로부터 멀리 있는 제2 가상수평선(HL2)과, 중심축(CA)에 평행하고 제2 가상수평선(HL2)보다 중심축(CA)으로부터 멀리 있는 제3 가상수평선(HL3)을 가정한다. 제1 가상수평선(HL1)은 최상점(P3)을 지나며, 최상점(P3)은 제1 가상수평선(HL1)에 위치한다. 제2 가상수평선(HL2)은 제2 끝점(P2)을 지나며, 제2 끝점(P2)은 제2 가상수평선(HL2)에 위치한다. 제3 가상수평선(HL3)은 제1 끝점(P1)을 지나며, 제1 끝점(P1)은 제3 가상수평선(HL3)에 위치한다. 제1 가상수평선(HL1)이 중심축(CA)에 가장 가까이 위치하고, 제3 가상수평선(HL3)이 중심축(CA)으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하며, 제2 가상수평선(HL2)이 제1 가상수평선(HL1)과 제3 가상수평선(HL3)의 사이에 위치한다. 즉, 시트 바디의 측면도에서, 제2 끝점(P2)이 제1 끝점(P1)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최상점(P3)이 제2 끝점(P2)보다 상방에 위치한다.
시트 바디의 측면도에서, 제1 곡면부(1160)에 의해 형성되는 제1 오목 원호선(1162)은 제1 끝점(P1)과 최상점(P3)의 사이에서 한정되고, 제1 곡면부(1160)에 의해 형성되는 제2 오목 원호선(1163)은 최상점(P3)과 제2 끝점(P2)의 사이에서 한정된다. 제1 및 제2 오목 원호선(1162, 1163)은 소정의 반경을 갖는 곡선으로 형성된다. 제1 오목 원호선(1162)은, 제1 반경(R1)을 갖는 제1 가상원(IC1)의 원주선의 일부이다. 제2 오목 원호선(1163)은 제2 반경(R2)을 갖는 제2 가상원(IC2)의 원주선의 일부이다.
도 19는 그립 바디의 제1 하단 윤곽선을 형성하는 가상원을 도시하는 시트 바디의 측면도이다. 도 20은 그립 바디의 제1 하단 윤곽선을 도시하는 시트 바디의 사시도이다. 도 18 내지 도 20을 참조한다.
릴 시트의 정면도에서, 또는 릴 시트를 전방에서 볼 때, 중심축(CA), 제1 가상원(IC1) 및 제2 가상원(IC2)은, 시트 바디를 좌우로 반분하는 하나의 평면 내에 존재할 수 있다.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제1 반경(R1)을 갖는 제1 가상원(IC1)은 제1 끝점(P1) 및 최상점(P3)을 통과한다. 제1 가상원(IC1)의 제1 중심(C1)은 최상점(P3)으로부터 직하방에 위치한다. 즉, 중심축(CA)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하고 최상점(P3)을 지나는 가상선을 가정하면, 제1 가상원(IC1)의 제1 중심(C1)은 이러한 가상선에 위치한다. 제1 가상원(IC1)은 제2 반경(R2)을 갖는 제2 가상원(IC2)에 내접한다. 제2 가상원(IC2)은 제2 끝점(P2) 및 최상점(P3)을 통과한다. 또한, 제2 가상원(IC2)은 최상점(P3)에서 제1 가상원(IC1)에 외접한다. 제2 가상원의 제2 반경(R2)은 제1 가상원의 제1 반경(R1)보다 크다. 따라서, 제2 오목 원호선(1163)의 반경(제2 반경(R2))은 제1 오목 원호선(1162)의 반경(제1 반경(R1))보다 크다. 제2 가상원(IC2)의 제2 중심(C2)은 최상점(P3)으로부터 직하방에 또한 제1 가상원(IC1)의 중심으로부터 직하방에 위치한다.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심축(CA)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하고 최상점(P3)을 지나는 상기 가상선에, 제1 가상원(IC1)의 중심과 제2 가상원(IC2)의 중심이 위치한다. 최상점(P3)을 지나고 중심축에 평행한 제1 가상수평선(HL1)이 제1 가상원(IC1)과 제2 가상원(IC2)의 최상점(P3)에서의 접선으로 된다.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오목 원호선(1163)을 형성하는 제2 가상원(IC2)의 가상 접선(상세하게는, 최상점과 제2 끝점 사이의 제2 오목 원호선의 가상 접선)은 중심축(CA)에 대해 경사져 있다.
도 21은 도 16에 대응하는 시트 바디의 측면도이며, 제1 하단 윤곽선의 끝점 및 최상점을 도시한다. 도 22는 도 17에 대응하는 시트 바디의 단면도이며, 제1 하단 윤곽선의 끝점 및 최상점을 도시한다. 도 21과 도 22를 참조한다.
제1 및 제2 오목 원호선을 한정하는, 제1 끝점(P1), 제2 끝점(P2), 및 최상점(P3)은, 그립 바디에서 특정한 범위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시트 바디의 측면도에서, 또는 시트 바디의 단면도에서, 최상점(P3)을 통과하고 제1 가상수평선(HL1)으로부터 경사하는, 제1 가상경사선(IL1), 제2 가상경사선(IL2), 및 제3 가상경사선(IL3)을 가정한다. 제1 끝점(P1)은 제1 가상경사선(IL1)과 제2 가상경사선(IL2)의 사이에 위치한다. 제1 가상경사선(IL1)은 제1 가상수평선(HL1)으로부터 5°로 제1 끝점(P1)이 있는 방향(하방 방향)으로 경사한다. 제1 가상경사선(IL1)은 최상점(P3)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경사하며, 제1 가상경사선(IL1)과 제1 가상수평선(HL1) 간의 사잇각은 5°이다. 제2 가상경사선(IL2)은 제1 가상수평선(HL1)으로부터 15°로 제1 끝점(P1)이 있는 방향(하방 방향)으로 경사한다. 제2 가상경사선(IL2)은 최상점(P3)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경사하며, 제2 가상경사선(IL2)과 제1 가상수평선(HL1) 간의 사잇각은 15°이다. 제2 끝점(P2)은 제1 가상수평선(HL1)과 제3 가상경사선(IL3)의 사이에 위치한다. 제3 가상경사선(IL3)은 제1 가상수평선(HL1)으로부터 5°로 제2 끝점(P2)이 있는 방향(하방 방향)으로 경사한다. 제3 가상경사선(IL3)은 최상점(P3)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경사하며, 제3 가상경사선(IL3)과 제1 가상수평선(HL1) 간의 사잇각은 175°이다.
시트 바디의 그립 바디(1111)는 어신이 시트 바디에 가해질 때 시트 바디의 회전 중심이 되는 회전중심점을 갖는다. 시트 바디의 측면도 또는 중심축(CA) 따르는 시트 바디의 단면도에서, 상기 회전중심점(P4)은 팽출부(1150)의 후방에서 보어의 중심축(CA)에 위치한다. 상세하게는, 회전중심점(P4)은, 트리거부(1180)의 전단을 통과하고 중심축(CA)에 수직한 가상수직선(VL)과 중심축(CA) 간의 교점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회전중심점(P4)은 제1 가상경사선(IL1)과 제2 가상경사선(IL2)의 사이에 위치한다.
그립 바디의 제1 곡면부(1160)는 둥글게 편평한 외주 윤곽을 나타낸다. 따라서, 낚시인이 그립 바디(1111)를 그립할 때, 검지 및 중지의 손가락바닥과 시트 바디의 하면 간의 접촉면적이 증가될 수 있고, 검지 및 중지의 손가락바닥으로 어신이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제1 곡면부(1160)가 나타내는 상기 외주 윤곽은, 둥글게 만곡한 형상이며 보어의 원형 단면 형상보다 큰 형상을 의미한다. 제1 곡면부의 상기 외주 윤곽에 관련하여, 도 23과 도 24를 참조한다. 도 2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의 시트 바디의 측면도이며, 제1 곡면부의 외주 윤곽의 범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의 시트 바디의 사시도이며, 제1 곡면부의 외주 윤곽의 범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3과 도 24에서, 실선(SL)은 제1 곡면부의 상기 외주 윤곽을 지시한다. 도 24에서, 이점쇄선(DL)은 상기 외주 윤곽의 곡률 정도를 도시하는 가상선이며, 후술하는 제1 곡면부의 제1 외주 윤곽선에 대응한다. 제1 곡면부(1160)의 상기 외주 윤곽은, 제1 하단 윤곽선(1161)을 기준으로 하여 대칭의 형상을 갖는다. 또한, 상기 외주 윤곽은 돌출부(1140)와 팽출부(1150)의 사이에 위치하며, 시트 바디의 단면 형상에서 그립 바디의 하면의 형상의 일부를 형성한다. 제1 곡면부의 상기 외주 윤곽에 관련하여, 시트 바디의 단면 형상을 도시하는 도 25 내지 도 28을 참조한다. 도 25 내지 도 27은 각각, 도 16에서의 25-25 선, 26-26 선, 및 27-27 선을 따라 취한, 시트 바디의 단면도이다. 도 2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의 시트 바디에 형성되는 제1 하단 윤곽선과 제1 외주 윤곽선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5는, 제1 하단 윤곽선의 전단으로 되는 제1 끝점(P1)에서의 시트 바디의 단면도이다. 보어(1113)는 대략 원형 단면 형상을 가진다. 시트 바디의 단면도에서, 보어(1113)의 중심축(CA)에 위치하는 원점을 갖는, X좌표축과 Y좌표축이 정의될 수 있다. 이하, 상기 X좌표축은 보어의 X축 중심선(XL)으로 참조되고, 상기 Y좌표축은 보어의 Y축 중심선(YL)으로 참조되며, X축 중심선(XL)과 Y축 중심선(YL)은 중심축(CA)에서 직교한다.
도 25 내지 도 27을 참조하면, 시트 바디의 단면도에서, 상기 제1 곡면부는 상기 외주 윤곽을 형성하는 제1 외주 윤곽선(1164)을 갖는다. 제1 외주 윤곽선(1164)은, 시트 바디의 단면도에서, 상기 제1 곡면부의 표면의 외주 형상에 대응하는 윤곽선을 의미한다. 제1 외주 윤곽선(1164)은 중심축(CA)에 대해 볼록하게 만곡되어 있다.
제1 외주 윤곽선(1164)은 제1 볼록 원호선(1165)을 포함한다. 제1 볼록 원호선(1165)은, 보어의 Y축 중심선(YL)에 대해 좌우대칭인 곡선으로 형성된다. 제1 볼록 원호선(1165)은, 제3 반경(R3)을 갖는 제3 가상원(IC3)의 원주선의 일부이다. 제3 가상원(IC3)의 제3 중심(C3)은 Y축 중심선(YL)에서 중심축(CA)보다 상방에 위치한다. 또한, 제3 가상원(IC3)의 제3 반경(R3)은, 보어(1113)의 원형 단면 형상에 내접하고 중심축(CA)에 중심을 갖는 가상내접원(ICB)의 반경(RB)보다 크다.
도 28을 참조하면, 제3 가상원(IC3)의 제3 중심(C3)의 위치는 제1 끝점(P1)과 제2 끝점(P2) 사이의 영역에서 다양할 수 있다. 제3 가상원(IC3)의 제3 중심(C3)은 제1 끝점(P1)으로부터 제2 끝점(P2)을 향하여 점차 상방으로 위치될 수 있고, 제3 가상원의 제3 반경(R3)은 제1 끝점(P1)으로부터 제2 끝점(P2)을 향하여 점차 커질 수 있다.
도 25 및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끝점(P1)을 통과하는 제3 가상원(IC3)은 중심축(CA)에 위치하는 제3 중심(C3)을 갖고, 제3 반경(R3)은 돌출부(1140)의 표면과 중심축(CA) 간의 거리에 대응한다.
도 26 및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볼록 원호선(1165)은, 안착부(1121)와 보어(1113)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3 중심(C3)을 갖고 최상점(P3)을 통과하는 제3 가상원(IC3)의 원주선의 일부이다. 제3 반경(R3)은 도 25에 도시하는 제3 반경보다 크다. 따라서, 제1 끝점(P1)과 최상점(P3) 사이의 영역에서, 제3 가상원(IC3)의 제3 중심(C3)은 안착부(1121)와 중심축(CA)의 사이에 위치하며, 제3 반경(R3)은 도 25에 도시하는 제3 반경보다 크고 도 27에 도시하는 제3 반경보다 작다.
도 27 및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볼록 원호선(1165)은, 안착부(1121)의 상방에 위치하는 제3 중심(C3)을 갖고 제2 끝점(P2)을 통과하는 제3 가상원(IC3)의 원주선의 일부이다. 제3 반경(R3)은 도 26에 도시하는 제3 반경보다 크다. 따라서, 최상점(P3)과 제2 끝점(P2) 사이의 영역에서, 제3 가상원(IC3)의 제3 중심(C3)은 도 26에 도시하는 중심의 위치보다 상방에 위치하며, 제3 반경(R3)은 도 26에 도시하는 제3 반경보다 크고 도 28에 도시하는 제3 반경보다 작다.
제1 곡면부(1160)의 상기 제1 외주 윤곽선의 영역에서, 그립 바디(1111)는 최상점(P3)에서 또는 최상점(P3) 부근에서 최소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도 17과 도 28을 참조하면, 그립 바디(1111)는 보어(1113)와 최상점(P3)의 사이에 한정되는 제1 두께(T1)를 갖는다. 제1 두께(T1)는, 최상점(P3)에서의 그립 바디(1111)의 두께이다. 또한, 제1 두께(T1)는, Y축 중심선(YL)에 위치하는 보어(1113)의 최하점 및 제1 하단 윤곽선의 최상점(P3) 사이의 두께이다. 제1 두께(T1)는 0.3mm 내지 1.0mm의 범위 내에 있으며, 제1 하단 윤곽선(1161)을 따라 정의되는 그립 바디의 두께에서 최소이다. 따라서, 제1 끝점(P1)과 최상점(P3) 사이에서의 제1 오목 원호선(1162)에서의 그립 바디의 두께는 제1 두께(T1)보다 크고, 최상점(P3)과 제2 끝점(P2)의 사이에서의 제2 오목 원호선(1163)에서의 그립 바디의 두께는 제1 두께(T1)보다 크다. 또한, 제2 끝점(P2)에서의 그립 바디의 두께는 제1 두께(T1)보다 크고, 제1 끝점(P1)에서의 그립 바디의 두께는 제2 끝점(P2)에서의 그립 바디의 두께보다 크다. 제1 끝점(P1)과 제2 끝점(P2) 사이에서의 그립 바디의 두께의 변화는, 제1 및 제2 오목 원호선(1162, 1163)이 서로 상이한 곡률을 가지면서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시트 바디는 낮은 밀도와 높은 인장강도를 갖는 탄소섬유강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두께(T1)가 형성되는 제1 곡면부(1160)에 의해, 시트 바디는 제1 그립 영역(GR1)에서 얇은 두께를 가지면서 경량을 갖는다. 따라서, 검지와 중지에 접촉하는 제1 그립 영역(GR1)이 향상된 어신 전달 성능을 가질 수 있다.
도 29는 낚시인이 일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의 시트 바디를 그립하는 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9를 참조하면, 제1 곡면부의 제1 외주 윤곽선(1164)은 Y축 중심선(YL)에 대해 좌우대칭이며, 둥글게 편평한 윤곽 형상을 그립 바디의 제1 곡면부에 제공한다. 따라서, 낚시인의 오른손과 왼손에 관계 없이, 검지 및 중지의 손가락바닥이 제1 곡면부에 가볍게 접촉한 상태에서, 검지 및 중지의 손가락바닥과 제1 곡면부 간의 접촉면적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검지 및 중지의 손가락바닥에 대한 어신 전달이 향상될 수 있다.
도 3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의 시트 바디의 사시도이며, 제2 곡면부의 윤곽을 도시한다. 도 31은 도 16의 31-31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2는 낚시인이 일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를 그립할 때 제2 곡면부가 약지에 접촉하는 일 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6, 도 20 및 도 30 내지 도 32를 참조하여 시트 바디의 제2 곡면부를 설명한다.
제2 곡면부(1170)는 트리거부(1180)의 전방에 위치한다. 따라서, 낚시인이 그립 바디를 그립할 때, 제2 곡면부(1170)는 약지의 손가락바닥에 접촉 가능하다. 그립 바디는 제2 곡면부(1170)에서 일정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도 16과 도 30을 참조하면, 시트 바디의 측면도에서, 제2 곡면부(1170)는 제2 하단 윤곽선(1172)을 갖는다. 제2 하단 윤곽선(1172)은, 시트 바디의 측면도에서, 제2 곡면부(1170)의 표면에 대응하는 윤곽선이다. 제2 하단 윤곽선(1172)은 중심축(CA)에 평행한 직선(1173)을 포함한다. 도 20을 참조하면, 직선(1173)은, 제1 하단 윤곽선의 최상점(P3)을 통과하고 중심축(CA)에 평행한 제1 가상수평선(HL1)에 위치할 수도 있다.
도 30과 도 31을 참조하면, 시트 바디의 단면도에서, 제2 곡면부(1170)는 제2 외주 윤곽선(1174)을 갖는다. 제2 외주 윤곽선(1174)은, 시트 바디의 단면도에서, 제2 곡면부(1170)의 외주 형상에 대응하는 윤곽선이다. 제2 외주 윤곽선(1174)은 제2 볼록 원호선(1175)을 포함한다.
제2 볼록 원호선(1175)은 Y축 중심선(YL)에 대해 좌우대칭인 곡선으로 형성된다. 제2 볼록 원호선(1175)은 제4 반경(R4)을 갖는 제4 가상원(IC4)의 원주선의 일부이다. 이러한 제4 반경(R4)을 갖는 제2 볼록 원호선(1175)은, 경계부(1171)가 한정하는 범위 내에 존재한다. 제4 가상원(IC4)은 중심축(CA)에 위치하는 제4 중심(C4)을 갖는다. 제4 가상원의 제4 반경(R4)은, 보어(1113)에 내접하는 가상내접원(ICB)의 반경(RB)보다 크다. 즉, 제4 가상원(IC4)은 가상내접원(ICB)과 동심으로 위치한다.
그립 바디(1111)는 제2 곡면부(1170)에서 제2 두께(T2)를 갖는다. 도 30 및 도 31을 참조하면, 제2 두께(T2)는, 제2 곡면부(1170)에서, 보어(1113)와 제2 볼록 원호선(1175)에 의해 한정되는 그립 바디의 두께이다. 제2 두께(T2)는 0.3mm 내지 1.0mm의 범위 내에 있다. 따라서, 그립 바디(1111)는 제2 곡면부(1170)의 전체에 걸쳐 균일한 제2 두께(T2)를 가질 수 있다.
도 30과 도 32를 참조하면, 낚시인이 그립 바디를 그립할 때, 제2 곡면부(1170)는 약지(F3)의 손가락바닥에 접촉 가능하다. 약지가 그립 바디에 접촉하는 그립 바디의 영역에서, 그립 바디는 제2 곡면부(1170)를 포함한다. 그립 바디는 제2 곡면부(1170)에서 얇은 제2 두께(T2)를 가지며, 제2 곡면부(1170)가 형성된 그립 바디의 부분의 내부에 공동을 갖지 않는다. 그립 바디가 제2 곡면부(1170)로 인해 약지에 접촉하는 영역에서 얇은 두께를 가지므로, 그립 바디는 약지에 접촉하는 제2 곡면부(1170)에서 향상된 어신 전달 성능을 갖는다. 또한, 약지와 소지가 트리거부(1180)를 통해 그립 바디를 강하게 그립하는 경우, 약지는 어신에 둔감할 수 있지만, 그립 바디는 약지에의 어신 전달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를 포함하는 낚싯대를 사용하여 낚시인이 낚시를 행하는 일 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4는 도 33의 확대도이다. 도 33과 도 34를 참조한다.
낚시인은 낚싯대(2000)를 수면(SW)에 대해 세운 상태에서 어신을 기다릴 수 있다. 제1 곡면부(1160)가 검지(F1)의 손가락바닥 및 중지(F2)의 손가락바닥에 접촉하고 트리거부(1180)가 약지(F3)와 소지(F4)에 의해 강하게 그립된 상태에서, 낚시인은 시트 바디 그립 바디를 그립할 수 있다. 낚싯대(2000)가 수면(SW)에 대해 세워진 상태에서, 어신은 시트 바디의 회전중심점(P4)을 중심으로 하여 작용하는 회전 진동으로서, 간체(2120)와 릴 시트(1000)에 전달될 수 있다. 회전중심점(P4)은 팽출부(1150)의 후방에 또한 트리거부(1180)의 상방에서 중심축(CA)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어신은 화살표(A1)로 도시하는 회전 진동으로서, 간체(2120) 및 릴 시트(1000)에 작용될 수 있다.
회전 진동의 어신으로 인해, 회전 진동의 벡터(V1)가 제1 곡면부(1160)를 통해 검지(F1)의 손가락바닥에 작용한다. 예를 들어, 회전중심점(P4)에 중심을 갖고 제1 오목 원호선(1162)을 통과하는 제5 가상원(IC5)을 가정하는 경우, 회전 진동의 벡터(V1)는 제5 가상원(IC5)의 원주 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다. 제1 오목 원호선(1162)이 형성되는 제1 곡면부의 검지접촉부(1166)가 회전 진동의 벡터(V1)에 대해 수직면으로 된다. 또한, 검지(F1)의 손가락바닥은, 제1 오목 원호선(1162)이 형성되는 검지접촉부(1166)의 위치에, 시트 바디의 회전을 억제하도록 그립 바디를 받치면서 위치된다. 그러므로, 회전 진동의 벡터(V1)의 힘은 검지접촉부(1166)를 통해 검지(F1)의 손가락바닥에 확실하게 전달될 수 있고, 회전 진동의 어신이 검지접촉부(1166)를 통해 검지(F1)에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제1 곡면부의 검지접촉부(1166)의 외주 윤곽이 전술한 제1 볼록 원호선으로 형성되므로, 검지접촉부(1166)는 더욱 증대된 접촉 면적을 통해 어신을 검지(F1)에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곡면부의 검지접촉부(1166)는, 회전중심축(CA)을 중심으로 하여 시트 바디에 인가되는 회전 진동으로 되는 어신(즉, 회전 진동의 벡터(V1))을 검지에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도 3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를 포함하는 낚싯대를 사용하여 낚시인이 낚시를 행하는 또 하나의 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6은 도 35의 확대도이다. 도 35와 도 36을 참조한다.
낚시인은 낚싯대(2000)를 수면(SW)에 향한 상태에서 어신을 기다릴 수 있다. 낚싯대(2000)가 수면(SW)에 향한 상태에서, 어신은 낚싯줄(2400)의 긴장과 이완에 의해 화살표(A2)로 도시하는 선형 진동으로 간체(2120)의 축방향으로 릴 시트(1000)에 전달될 수 있다. 선형 진동의 어신에 의해 선형 진동의 벡터(V2)가 릴 시트의 시트 바디에 작용할 수 있다.
제1 곡면부의 제2 오목 원호선(1163)은 선형 진동의 벡터(V2)에 대해 압력각(PA)을 갖도록 선형 진동의 벡터(V2) 및 중심축(CA)에 대해 기울어져 있다. 예를 들어, 제2 오목 원호선(1163)의 가상 접선(TL)(상기 제2 가상원의 가상 접선(TL))이 중심축(CA)에 대해 경사하여, 선형 진동의 벡터(V2)에 대해 압력각(PA)을 형성한다. 제2 오목 원호선(1163)이 형성되는 중지접촉부(1167)가 압력각(PA)을 가지고 중지(F2)의 손가락 바닥에 접촉한다. 중지(F2)는, 관절의 구부러짐이 없고 긴장이 완화된 상태에서, 약지(F3)를 따라서 중지접촉부(1167)를 받칠 수 있다. 압력각(PA)을 가지고 중지(F2)에 접촉하는 중지접촉부(1167)가, 선형 진동의 벡터(V2)의 힘에 의한 저항 또는 압력을 중지(F2)에 인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선형 진동의 어신이 중지접촉부(1167)를 통해 중지(F2)에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제1 곡면부의 중지접촉부(1167)의 외주 윤곽이 전술한 제1 볼록 원호선으로 형성되므로, 중지접촉부(1167)는 더욱 증대된 접촉 면적을 통해 어신을 중지(F2)에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오목 원호선이 형성되는 중지접촉부(1167)는, 중심축(CA)을 따라 시트 바디에 인가되는 선형 진동으로 되는 어신(즉, 선형 진동의 벡터(V2))을 중지(F2)에 신뢰성 높게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약지(F3)와 소지(F4)가 그립 바디를 강하게 그립하여, 약지(F3)와 소지(F4)는 어신에 둔감할 수 있다. 그러나, 그립 바디의 제1 곡면부(1160)가 검지(F1)와 중지(F2)의 긴장을 완하시키는 형상을 가지므로, 검지(F1) 및 중지(F2)의 손가락바닥에 대한 어신 감도가 상승될 수 있고, 그립 바디의 제1 곡면부(1160)의 형상이 어신을 검지 및 중지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는, 어신을 손가락에 효과적으로 전달하며, 손가락의 위치 변경을 방해하지 않는다. 도 3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를 사용하는 낚시에서 손가락 위치 변경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7의 상측 부분은, 낚시인이 캐스팅 동작을 행할 때 낚시인이 시트 바디를 그립하는 예를 도시한다. 릴(2300)을 사용하는 캐스팅 동작에서, 낚시인은 중지(F2)와 약지(F3)의 사이에 트리거부(1180)를 끼우는 그립 형태(이른바, 투핑거 그립)로 그립 바디(1111)를 그립할 수 있다. 또는, 낚시인은 검지(F1)와 중지(F2)의 사이에 트리거부(1180)를 끼우는 그립 형태(이른바, 원핑거 그립)로 그립 바디(1111)를 그립할 수 있다.
캐스팅 동작의 후에, 낚시인은 신속하게 파밍 동작을 행한다. 도 37의 하측부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캐스팅 동작이 파밍 동작으로 바뀔 때, 약지(F3)와 소지(F4)의 사이에 트리거부(1180)를 끼우는 그립 형태(이른바, 쓰리핑거 그립)로 낚시인이 그립 바디(1111)를 그립하도록, 낚시인은 빠르게 손가락의 위치를 변경한다. 그립 바디(1111)에서, 트리거부(1180)의 전방에 위치하는 팽출부(1150)는 하방으로 크게 돌출하지 않는다. 따라서, 캐스팅 동작이 파밍 동작으로 바뀔 때, 팽출부(1150)는 손가락의 위치 변경을 방해하지 않는다.
도 3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9는 도 38에 도시하는 릴 시트의 전방 부분의 측면도이며, 가동 후드와 시트 바디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40은 도 39에 도시하는 릴 시트의 전방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41은 도 39에 도시하는 릴 시트의 가동 후드의 단면 형상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2는 도 39에 도시하는 가동 후드의 분해 측면도이다. 도 38 내지 도 42를 참조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1000)는, 가동 후드의 가동 바디가 제2 후드부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의 구조 및 구성과 동일한 구조 및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38에 도시하는 시트 바디의 그립 바디(1111)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제1 곡면부와 동일한 제1 곡면부를 포함한다.
도 38과 도 39를 참조하면, 가동 후드(1200)가 제1 후드부를 향하여 이동되어 릴의 제2 다리를 고정할 때, 제2 후드부(1240)는 돌출부(1140)의 위에 위치하고 돌출부(1140)는 수용부(1250)에 삽입된다. 그립 바디의 돌출부(1140)와 가동 후드의 제2 후드부(1240)가 수직 방향으로 위치되므로, 그립 바디(1111)는 감소된 전장을 가질 수 있고, 가동 바디의 환상부(1230)는 더욱 짧은 하단 길이(LH)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환상부(1230)의 하단 길이(LH)는 4mm 내지 6mm가 될 수 있다. 환상부(1230)로부터 돌출하는 제2 후드부(1240)가 릴의 상기 제2 다리를 안착부(1121)에 압박한다. 제2 후드부(1240)가 강한 압박력을 제2 다리에 가하지 않으면, 릴의 제2 다리는 폭 방향(WD)으로 흔들릴 수 있다. 제2 후드부(1240)가 강한 압박력을 가하기 위해, 너트(1211)의 회전 정도를 증가시키면, 제2 후드부(1240)는 제2 다리로부터의 반력에 의해 변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1000)에 의하면, 가동 바디(1212)는, 제2 후드부(1240)에 결합되어 제2 후드부(1240)와 가이드 돌기(1260)를 보강하는 보강 커버(1270)를 포함한다.
보강 커버(1270)는 가동 바디의 제2 후드부(1240)의 외면을 중심축(CA)을 따라서 또한 중심축의 둘레 방향(CD)으로 덮도록 구성된다. 보강 커버(1270)는, 가이드 돌기(1260)가 위치하는 제2 후드부(1240)의 한 쌍의 측단 엣지(1241)에 걸림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보강 커버(1270)는 가동 바디의 제2 후드부(1240) 및 가이드 돌기(126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보강 커버(1270)는 금속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보강 커버의 금속 재료는, 경량과 고강도를 갖는 티타늄일 수 있다. 또 하나의 예로, 보강 커버의 금속 재료는, 장식성을 갖는 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알루미늄일 수 있다.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는 보강 커버(1270)가 제2 후드부(1240)를 덮으므로, 가동 후드(1200)는 장식성 및 고급감을 가질 수 있다.
도 43은 도 39에 도시하는 가동 후드의 가동 바디의 사시도이고, 도 44는 도 43에 도시하는 가동 바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5는 가동 후드와 시트 바디가 분해된 상태를 도시하는 릴 시트의 일부 측면도이다. 도 46은 도 39의 46-46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2 내지 도 46을 참조한다.
보강 커버(1270)는 커버부(1271)와 걸림결합부(1272)를 포함한다. 커버부(1271)는 제2 후드부(1240)의 외면(제2 다리를 압박하는 내면(1243)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2 후드부의 표면)을 덮도록 형성된다. 또한, 커버부(1271)는 제2 후드부(1240)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된다. 걸림결합부(1272)는 둘레 방향(CD)에서의 커버부(1271)의 각 측단으로부터 중심축(CA)을 향하여 돌출한다. 걸림결합부(1272)는 제2 후드부의 측단 엣지(1241)에 걸림결합될 수 있다. 제2 후드부의 측단 엣지(1241)에 걸림결합된 걸림결합부(1272)는, 가이드 돌기(1260)와 함께 시트 바디의 가이드 홈(1132)에 삽입된다.
보강 커버(1270)는 금속 판재로부터 프레스 가공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1271)는 둘레 방향(CD)을 따라 균일한 두께를 갖도록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커버부(1271)의 단면 형상은, 제2 후드부의 외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대략 C자형을 취할 수 있다. 걸림결합부(1272)는, 가이드 돌기(1260)에 대응하는, 커버부(1271)의 각 측단부를 중심축(CA)을 향해 연속적으로 굽힘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걸림결합부(1272)는 커버부(1271)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를 가질수 있다.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는 보강 커버(1270)는 탄성 및 강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보강 커버(1270)를 제2 후드부(1240)를 향해 눌러 스냅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보강 커버(1270)가 제2 후드부(124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보강 커버(1270)가 제2 후드부(1240)에 결합되어 있는 가동 바디(1212)에서, 가동 바디(1212)는 제2 후드부(1240)와 보강 커버(1270)의 사이에 단차를 갖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2 후드부(1240)는 걸림결합부(1272)의 두께에 대응하는 깊이를 갖는 한 쌍의 걸림결합홈(1244)을 갖는다.
도 43과 도 44를 참조하면, 각 걸림결합부(1272)가 각 걸림결합홈(1244)에 걸림결합된다. 걸림결함홈(1244)은 측단 엣지(1241)를 따라 중심축(CA)에 평행하게 형성된다. 걸림결합홈(1244)은 가이드 돌기(1260)에 외측 반경 방향(OD)으로 인접한다. 걸림결합홈(1244)이 걸림결합부의 두께에 대응하는 오목 깊이를 가지므로, 걸림결합부(1272)가 제2 후드부의 측단 엣지(1241)에 걸림결합된 상태에서, 가이드 돌기(1260)의 하면(가이드 돌기의 둘레 방향 표면)과 걸림결합부(1272)의 하면(걸림결합부의 둘레 방향 표면)의 사이에 단차가 형성되지 않는다.
또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2 후드부(1240)는 보강 커버의 커버부(1271)가 안착되는 안착홈(1245)을 갖는다. 안착홈(1245)은 제2 후드부의 외면을 따라 각 걸림결합홈(1244)의 사이에 둘레 방향(CD)으로 형성되며, 커버부(1271)의 두께에 대응하는 깊이를 갖는다. 안착홈(1245)은 각 걸림결합홈(1244)에 통한다. 안착홈(1245)이 오목한 깊이를 가지므로, 안착홈(1245)은 환상부(1230)에 대해 단차를 만들고 제2 후드부의 내단 엣지(1242)에 대해 단차를 만든다. 커버부(1271)는 안착홈(1245)의 오목 깊이에 대응하는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커버부(1271)가 안착홈(1245)에 안착되면, 커버부(1271)와 환상부(1230)의 사이에 또한 커버부(1271)와 제2 후드부의 내단 엣지의 사이에 단차가 형성되지 않는다.
수용부(1250)가 제2 후드부(1240)의 아래의 공간으로 형성되므로, 제2 후드부(1240)의 측단 엣지(1241)가 수용부(1250)의 제1 엣지(즉, 도 8에 도시하는 수용부의 제1 엣지(1251))로 된다. 걸림결합부(1272)의 하면(걸림결합부의 둘레 방향에서의 표면)은 수용부(1250)의 상기 제1 엣지를 형성할 수 있으며, 중심축(CA)과 동일 높이로 위치할 수 있다. 도 43과 도 4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걸림결합부(1272)가 제2 후드부의 측단 엣지(1241)에 걸림결합된 상태에서, 걸림결합부(1272)의 하면이 수용부(1250)의 상기 제1 엣지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수용부(1250)의 제1 엣지는 걸림결합부(1272)의 하면을 부분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도 45와 도 46을 참조한다. 가이드 돌기(1260)의 하면과 걸림결합부(1272)의 하면은 중심축(CA)과 동일 높이로 위치할 수 있다. 시트 바디의 가이드 홈(1132)은 원통 바디(1112)의 전단(시트 바디의 일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한다. 가이드 홈(1132)은, 둘레 방향(CD)에서 대향하는 제1 및 제2 둘레 방향 표면(1133, 1134)과, 제1 및 제2 둘레 방향 표면의 사이에서 중심축(CA)을 따라 연장하는 바닥 표면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 돌기의 하면(1261)과 걸림결합부의 하면(1273)에 대응하는, 가이드 홈의 표면은 제1 둘레 방향 표면(1133)이다. 제2 둘레 방향 표면(1134)이 제1 둘레 방향 표면(1133)에 대향한다. 시트 바디의 측면도에서, 제1 둘레 방향 표면(1133)은 중심축(CA)과 동일 높이로 위치할 수 있으며, 부분적으로 돌출부(1140)의 측단 엣지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후드부(1240)가 돌출부(1140)의 위에 위치한 상태에서, 가이드 돌기의 하면(1261)과 걸림결합부(1272)의 하면(1273)은 둘레 방향(CD)에서 제1 둘레 방향 표면(1133)에 접촉할 수 있다.
제2 후드부(1240)가 너트(1211)의 회전에 의해 제1 후드부로 이동됨에 따라, 수용부(1250)의 상기 제1 엣지(걸림결합부의 하면(1273))는 돌출부(1140)의 상기 측단 엣지를 중심축(CA)을 따라 교차하며, 돌출부(1140)가 수용부(1250)에 삽입된다. 제2 후드부(1240)가 제1 후드부로 이동됨에 따라, 너트(1211)의 회전에 의해 제2 후드부(1240)는 그 내면(1243)에서 릴의 제2 다리(2320)를 안착부(1121)로 압박한다. 압박력이 제2 후드부(1240)로부터 제2 다리(2320)에 작용하고, 압박력에 저항하는 반력(VF)이 제2 다리(2320)로부터 제2 후드부(1240)에 작용하며, 반력(VF)은 제2 후드부(1240)를 밀어 올리도록, 즉, 제2 후드부(1240)를 상방으로 가압하도록 작용한다. 반력(VF)이 작용함에 따라, 가이드 돌기의 상면(1262)이 가이드 홈의 제2 둘레 방향 표면(1134)에 접촉된다. 너트(1211)를 더욱 회전시킴에 따라, 더욱 강한 반력(VF)이 제2 후드부(1240)에 작용한다. 이에 따라, 제2 후드부(1240)와 가이드 돌기(1260)는 변형될 수 있다. 그러나, 보강 커버의 커버부(1271)가 제2 후드부(1240)의 외면에 밀착되어 있고, 보강 커버의 걸림결합부(1272)가 가이드 돌기(1260)가 위치하는 제2 후드부의 측단 엣지에 걸림결합되어 있다. 그러므로, 보강 커버(1270)가 제2 후드부(1240)의 변형과 가이드 돌기(126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동 후드의 가동 바디의 사시도이다. 도 48은 도 47에 도시하는 가동 바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9는 도 47에 도시하는 가동 바디가 채용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50은 도 47에 도시하는 가동 바디가 채용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의 분해 측면도이다. 도 51은 도 49의 51-51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7 내지 도 51을 참조한다.
가이드 돌기(1260)는 제2 후드부의 측단 엣지(1241)로부터 중심축(CA)을 향하여 연장하는 제1 돌기부(1263)와 제1 돌기부(1263)로부터 하방으로 중심축(CA)을 넘어 연장하는 제2 돌기부(1265)를 포함한다. 따라서, 이 실시예의 가이드 돌기(1260)는, 전술한 실시예의 가이드 돌기의 둘레 방향의 두께보다 큰 둘레 방향의 두께를 갖는다.
가이드 홈(1132)은 가이드 돌기(1260)의 둘레 방향(CD)에서의 두께에 대응하는 홈 폭을 갖는다. 이 실시예의 가이드 홈(1132)은 돌출부(1140)의 측단 엣지(1141)를 통과해 연장한다.
가이드 홈(1132)은 둘레 방향(CD)에서 대향하는 두개의 표면을 가질 수 있다. 둘레 방향에서 대향하는 상기 두개의 표면 중 하방에 위치하는 표면은 제1 둘레 방향 표면(1133)이다. 제1 둘레 방향 표면(1133)은 수직 방향(VD)에서 또는 둘레 방향(CD)에서 중심축(CA)의 하방에 위치한다. 가이드 홈(1132)이 돌출부(1140)의 측단 엣지(1141)를 통과하므로, 제1 둘레 방향 표면(1133)의 일부는 돌출부(1140)의 내측에 위치한다. 제1 둘레 방향 표면(1133)은 둘레 방향(CD)에서 제2 돌기부(1265)의 하면(1266)(제2 돌기부의 둘레 방향 표면)에 접촉 가능하다.
또한, 가이드 홈(1132)은, 중심축(CA)을 따라 연장하고 외측 반경 방향(OD)에서 서로 대향하는 두개의 표면을 가질수 있다. 외측 반경 방향에서 대향하는 상기 두개의 표면 중, 더욱 외측에 위치하는 표면은 내향 표면(1135)(도 51 참조)이다. 내향 표면(1135)은 가이드 홈(1132)과 돌출부(1140)의 사이에서 한정된다. 내향 표면(1135)은 돌출부(1140)의 내측에 위치하며, 제1 둘레 방향 표면(1133)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한다. 내향 표면(1135)은 제2 돌기부(1265)의 외향면(1267)에 외측 반경 방향(OD)에서 접촉 가능하다.
보강 커버의 걸림결합부(1272)는 제2 돌기부(1265)의 외향면(1267)과 대향하도록 제2 후드부의 측단 엣지(1241)에 걸림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제2 후드부(1240)가 돌출부(1140)의 위에 위치할 때, 걸림결합부(1272)의 하면(1273)은 돌출부(1140)의 측단 엣지(1141)에 접촉 가능하다.
릴의 다리는 다양한 폭을 가질 수 있다. 가동 후드는 다양한 폭을 갖는 릴의 다리를 그립 바디의 안착부에 견고하게 고정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도 51을 참조하면, 제2 다리(2320)가 안착부(1121)에 제2 후드부(1240)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낚싯줄의 이동에 의해 릴이 폭 방향(WD)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다리(2320)의 측면이 제2 후드부(1240)의 내면(1243)과 접촉할 수 있고, 제2 후드부(1240)를 폭 방향(WD)에서 확장시키는 확장력(LF)이 외측 반경 방향(OD)에서 제2 후드부(1240)의 내면에 가해질 수 있다. 가동 바디가 상기 수용부를 포함하고 제2 후드부(1240)는 가동 바디의 환상부로부터 돌출해 있다. 확장력(LF)이 제2 후드부(1240)에 가해짐에 따라, 제2 후드부(1240)는 수직 방향에서의 제2 후드부(1240)의 정점을 기준으로 하여 폭 방향(WD)으로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제2 다리(2320)가 정위치에서 고정되지 못하므로, 캐스팅 동작이 불안정해질 수 있고, 진동으로 인한 노이즈가 발생할 수 있다.
도 50과 도 51을 참조한다. 제2 후드부(1240)가 돌출부(1140)에 교차하여 이동되면서, 반력(VF)이 제2 후드부(1240)에 작용한다. 이에 따라, 제2 후드부(1240)와 가이드 돌기(1260)가 변형될 수 있지만, 보강 커버의 커버부(1271)가 제2 후드부(124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보강 커버의 걸림결합부(1272)가 가이드 돌기(126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돌기부(1265)는 중심축(CA)을 넘어 하방으로 연장하며, 제2 돌기부의 외향면(1267)은 돌출부(1140)에 인접하는 가이드 홈의 내향 표면(1135)에 외측 반경 방향(OD)(또는 폭 방향(WD))으로 접촉 가능하며 내향 표면(1135)에 의해 지지될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돌기(1260)는 제2 돌기부(1265)에 의해, 제2 후드부(1240)를 확장시키는 확장력(LF)에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다. 또한, 걸림결합부(1272)의 내향끝면(1274)이 제2 돌기부의 외향면(1267)에 대향하므로, 보강 커버는 제2 돌기부(1265)의 외측 반경 방향(또는 폭 방향)의 밀림을 억제할 수 있으며, 가이드 돌기(1260)를 보강할 수 있다.
도 5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동 후드의 가동 바디의 사시도이다. 도 53은 도 52에 도시하는 가동 바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4는 도 52에 도시하는 가동 바디의 분해 측면도이다. 도 55는 도 52에 도시하는 가동 바디가 채용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56은 도 55의 56-56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52 내지 도 56을 참조한다. 도 52 내지 도 56에 도시하는 실시예는, 도 47 내지 도 51에서 도시하는 실시예와 비교하여, 걸림결합부와 가이드 돌기의 사이에 걸림결합을 갖는다.
보강 커버(1270)는 각 걸림결합부(1272)로부터 중심축(CA)을 향하여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볼록부(1275)를 포함한다. 일 예로, 하나 이상의 볼록부(1275)가 걸림결합부(1272)의 내향끝면(1274)으로부터 돌출할 수 있다. 각 가이드 돌기(1260)는, 볼록부(1275)가 걸림결합되는 오목부(1268)를 포함한다. 오목부(1268)는 걸림결합홈(1244)에 인접하며, 제2 돌기부의 외향면(1267)에 형성된다. 걸림결합부의 볼록부(1275)가 오목부(1268)에 걸림결합되어, 가이드 돌기(1260)가 보강될 수 있다. 또한, 볼록부(1275)가 오목부(1268)에 걸림결합되므로, 보강 커버(1270)가 제2 후드부(1240)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릴 시트의 측면도에서, 오목부(1268)는 대략 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며, 중심축(CA)의 내측 반경 방향으로 일정한 깊이를 갖는다. 오목부(1268)의 수직 방향(VD)에서의 치수는 보강 커버의 걸림결합부(1272)의 두께(또는, 볼록부(1275)의 두께)와 대략 동일한 치수일 수 있다. 두개의 오목부(1268)가 제2 돌기부(1265)의 외향면(1267)에 형성될 수 있고, 볼록부(1275)는 오목부(1268)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하나의 오목부(1268)가 제2 돌기부(1265)의 외향면(1267)에 형성될 수 있고, 볼록부(1275)는 오목부(1268)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릴 시트의 측면도에서, 볼록부(1275)는 오목부(1268)의 사각형에 상보적인 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볼록부(1275)는, 볼록부의 내측 반경 방향에서의 표면과 오목부의 외측 반경 방향에서의 표면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오목부(1268)에 걸림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보강 커버(1270)는, 걸림결합부(1272)가 외측 반경 방향(OD)으로 밀리는 것 없이, 제2 후드부(1240)의 외면에 밀착되는 만곡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볼록부(1275)가 오목부(1268)에 결합되는 위치가 가이드 홈의 내향 표면(1135)의 위에 존재하므로, 제2 돌기부(1265)가 보강될 수 있다. 오목부(1268)가 걸림결합홈(1244)에 형성되고 외측 반경 방향으로 개방한다. 즉, 오목부(1268)는, 제1 돌기부(1263)로부터 제2 돌기부(1265)로 가이드 돌기가 전환되는 위치, 즉, 제2 돌기부(1265)의 기단에 위치한다. 보강 커버의 볼록부(1275)는 걸림결합부(1272)로부터 연속하여 중심축(CA)을 향하여 돌출하여, 오목부(1268)에 걸림결합된다. 그러므로, 제1 돌기부로부터 제2 돌기부로 전환되는 가이드 돌기(1260)의 위치에서, 보강 커버의 강성에 의해, 제1 돌기부(1263)와 제2 돌기부(1265)가 외측 반경 방향으로 밀리는 것이 억제되고 가이드 돌기(1260)의 변형이 억제된다. 따라서, 제2 후드부(1240)에 확장력(LF)이 작용할 때, 가이드 돌기(1260)가 보강 커버(1270)의 강성에 의해 외측 반경 방향으로 밀리는 것이 억제되도록, 가이드 돌기(1260)가 보강된다. 또한, 제2 돌기부(1265)의 외향면(1267)이 내향 표면(1135)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도 5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를 포함하는 낚싯대의 일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58은 도 57에 도시하는 릴 시트의 측면도이다. 도 59는 도 58의 59-59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57 내지 도 59를 참조한다.
도 57에 도시하는 낚시대(2000)에서, 릴(2300)은 스피닝 릴(spinning reel)이다. 스피닝 릴에서는, 낚싯줄이 감기는 스풀의 회전축이 중심축(CA)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스피닝 릴의 제1 및 제2 다리(2310, 2320)가 릴 시트(1000)의 하측에 고정되어, 스피닝 릴이 릴 시트(1000)에 부착된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다리(2310, 2320)가 안착되는 안착부(1121)는 시트 바디(1100)의 하측에 위치하며, 그립 바디(1111)의 하면의 일부를 형성한다.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의 구조 및 구성이 중심축(CA)을 기준으로 하여 반전되어, 이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1000)의 구조 및 구성으로 될 수 있다. 즉,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의 원통 바디, 그립 바디 및 가동 후드가 중심축(CA)을 기준으로 하여 반전되어, 이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의 원통 바디, 그립 바디 및 가동 후드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1000)의 가동 후드(1200)의 구조 및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가동 후드의 구조 및 구성을 참조하여 파악될 수 있다.
릴 시트(1000)는, 간체(2110, 2120)에 결합 가능한 시트 바디(1100)를 포함하며, 시트 바디(1100)는 전술한 보어를 갖는다. 시트 바디(1100)는, 낚시인이 손가락으로 그립할 수 있는 그립 바디(1111)와 그립 바디(1111)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하는 전술한 원통 바디를 갖는다. 또한, 릴 시트(1000)는 시트 바디(1100)(상세하게는, 원통 바디)에 상기 보어의 중심축(CA)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동 후드(1200)를 포함한다.
시트 바디의 그립 바디(1111)는 검지(F1), 중지(F2), 약지(F3), 및 소지(F4)에 의해 그립될 수 있다. 시트 바디의 그립 바디(1111)는 시트 바디의 하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전술한 안착부(1121)를 포함한다. 시트 바디의 그립 바디(1111)는 전술한 돌출부(1140)를 포함한다. 돌출부(1140)는, 중심축(CA)을 기준으로 하여 안착부(1121)의 반대측에, 즉 안착부(1121)의 위에 위치한다. 돌출부(1140)는 둘레 방향(CD)으로 형성되고, 외측 반경 방향(OD)으로 돌출한다.
시트 바디의 그립 바디(1111)는, 돌출부(1140)에 인접하며 중심축(CA)에 대해 오목하게 만곡된 곡면부(1191)를 포함한다. 곡면부(1191)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제1 곡면부에 대응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곡면부(1191)는 엄지(F5)에 접촉 가능하다. 낚시인이 릴 시트(1000)를 그립할 때, 곡면부(1191)는 엄지(F5)에 대한 그립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캐스팅 동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시트 바디의 그립 바디(1111)는 곡면부(1191)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고 중심축(CA)에 대해 볼록하게 만곡된 상면부(1192)를 포함한다. 상면부(1192)는 전술한 팽출부에 대응할 수 있다. 상면부(1192)는 손바닥에 접촉 가능하다. 다른 예로서, 상면부(1192)는 중심축(CA)에 대해 오목하게 만곡된 형상을 취할 수도 있다. 또는, 코르크, EVA(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엘라스토머 또는 고무와 같은 연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부품이 상면부(1192)에 끼워맞춤될 수도 있다.
시트 바디의 그립 바디(1111)는, 중심축을 따라 가동 후드(1200)에 대향하도록 안착부에 위치하고 제1 다리(2310)를 고정하는 제1 후드부(1122)를 포함한다. 시트 바디의 원통 바디는, 안착부(1121) 및 돌출부(1140)로부터 중심축(CA)을 따라 연장하는 시트 바디의 원통 단부를 형성한다. 시트 바디의 원통 바디는, 그 외주에 형성되는 전술한 수나사와, 수나사를 통과해 연장하는 전술한 한 쌍의 가이드 홈을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홈은, 시트 바디의 원통 바디의 전단(원통 단부의 일단)으로부터 돌출부(1140)로 연장한다.
가동 후드(1200)는, 시트 바디의 상기 수나사에 둘레 방향(CD)으로 회전 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너트(1211)와, 너트(1211)에 의해 중심축(CA)을 따라 이동가능한 가동 바디(1212)를 포함한다.
가동 바디(1212)는, 환상부(1230)와, 제2 후드부(1240)와, 수용부(1250)와, 가이드 돌기(1260)와, 보강 커버(1270)를 포함한다. 너트(1211)가 환상부(1230)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 후드부(1240)는 제2 다리(2320)를 안착부(1121)에 압박하여 고정한다. 제2 후드부(1240)는 환상부(1230)로부터 제1 후드부(1122)를 향해 연장한다. 또한, 제2 후드부(1240)는 돌출부(1140)에 중심축(CA)을 따라 교차하여 수직 방향(VD)에서 돌출부의 반대측(돌출부의 아래)에 위치한다. 수용부(1250)는 환상부(1230)와 제2 후드부(1240)의 사이의 공간으로 형성되며, 돌출부(1140)를 수용한다. 가이드 돌기(1260)는, 둘레 방향(CD)에서의 제2 후드부의 각 측단 엣지에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홈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된다.
가동 바디의 보강 커버(1270)는 제2 후드부(1240)의 외면을 덮으면서, 제2 후드부의 측단 엣지(1241)에 걸림결합된다. 보강 커버(1270)는 제2 후드부와 가이드 돌기를 보강하고, 제2 후드부와 가이드 돌기의 변형을 방지한다. 이 실시예에서, 보강 커버(1270)는 검지(F1)에 접촉 가능하다. 보강 커버의 걸림결합부(1272)의 둘레 방향(CD)에서의 표면은 수용부(1250)의 상기 제1 엣지를 형성한다.
각 가이드 돌기(1260)는, 측단 엣지(1241)로부터 중심축(CA)을 향하여 연장하는 제1 돌기부(1263)와, 제1 돌기부(1263)로부터 둘레 방향(CD)에서 중심축(CA)을 넘어 상방으로 연장하는 제2 돌기부(1265)를 포함한다. 각 가이드 돌기(1260)의 오목부(1268)는, 제1 돌기부(1263)의 둘레 방향 표면(제1 돌기부의 하면)(1264)에 인접하여 제2 돌기부(1265)의 외향면(1267)에 형성된다.
가이드 홈(1132)의 제1 둘레 방향 표면(1133)은 수직 방향(VD)에서 중심축(CA)으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며, 제2 돌기부(1265)의 둘레 방향 표면(1266)(제2 돌기부의 상면)에 둘레 방향(CD)에서 접촉 가능하다. 가이드 홈(1132)의 내향 표면(1135)은 돌출부(1140)의 내측에 위치한다. 내향 표면(1135)은 제1 둘레 방향 표면(1133)으로부터 둘레 방향(CD)으로 상방으로 연장하며, 제2 돌기부의 외향면(1267)에 외측 반경 방향(OD)에서 접촉 가능하다.
보강 커버의 걸림결합부(1272)는 제2 돌기부(1265)의 외향면(1267)까지의 걸림결합홈(1244)을 덮는다. 보강 커버의 볼록부(1275)는 걸림결합부(1272)로부터 연속하여 중심축(CA)을 향하여 돌출하며, 제2 돌기부(1265)에 형성된 오목부(1268)에 걸림결합되어 가이드 돌기(1260)를 보강한다.
제2 후드부(1240)가 돌출부(1140)에 교차하여 이동되면서, 제2 후드부(1240)는 릴의 제2 다리(2320)를 안착부(1121)에 압박한다. 상기 압박에 저항하는 반력(VF)(도 59 참조)이 제2 후드부(1240)를 밀어 내리도록 작용한다. 반력(VF)에 의해 제1 돌기부(1263)의 둘레 방향 표면(제1 돌기부의 하면)(1264)이 가이드 홈(1132)의 제2 둘레 방향 표면(1134)에 접촉되어, 제2 후드부(1240)와 가이드 돌기(1260)가 변형될 수 있다. 그러나, 보강 커버의 커버부(1271)가 제2 후드부(124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보강 커버의 걸림결합부(1272)가 가이드 돌기(126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돌기부(1265)는 중심축(CA)을 넘어 상방으로 연장하며, 제2 돌기부의 외향면(1267)은 가이드 홈의 내향 표면(1135)에 외측 반경 방향(OD)(또는 폭 방향(WD))으로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돌기(1260)는 제2 돌기부(1265)에 의해, 제2 후드부(1240)를 확장시키는 확장력(LF)에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다. 또한, 걸림결합부(1272)의 내향끝면(1274)이 제2 돌기부의 외향면(1267)에 대향하므로, 보강 커버는 제2 돌기부(1265)의 외측 반경 방향(또는 폭 방향)의 밀림을 억제할 수 있으며, 가이드 돌기(1260)를 보강할 수 있다.
볼록부(1275)가 오목부(1268)에 결합되는 위치가 가이드 홈의 내향 표면(1135)의 아래에 존재하므로, 제2 돌기부(1265)가 보강될 수 있다. 제1 돌기부로부터 제2 돌기부로 전환되는 가이드 돌기(1260)의 위치에서, 보강 커버의 강성에 의해, 제1 돌기부(1263)와 제2 돌기부(1265)가 외측 반경 방향으로 밀리는 것이 억제되고 가이드 돌기(1260)의 변형이 억제된다. 따라서, 제2 후드부(1240)에 확장력(LF)이 작용할 때, 가이드 돌기(1260)가 보강 커버(1270)의 강성에 의해 반경 외측 방향으로 밀리는 것이 억제되도록, 가이드 돌기(1260)가 보강된다.
도 59에 도시하는 가이드 홈, 가이드 돌기 및 보강 커버의 구성은, 이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에 채용되는 하나의 예일 수 있다. 도 46 에 도시하는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홈, 가이드 돌기 및 보강 커버의 구성과 도 51에 도시하는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홈, 가이드 돌기 및 보강 커버의 구성이 이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에 채용될 수 있다.
도 6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를 포함하는 낚싯대의 일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61은 도 60의 61-61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60과 도 61을 참조한다.
도 60에 도시하는 낚시대(2000)에서, 릴 시트(1000)는 도 57에 도시하는 스피닝 릴과 같은 릴(2300)을 낚싯대의 간체(2110, 2120)에 결합시킨다. 이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는, 도 57 내지 도 60을 참조하여 설명한 릴 시트의 구조 및 구성이 전후로 반전되어 있는 구조 및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1000)의 가동 후드(1200)의 구조 및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가동 후드의 구조 및 구성을 참조하여 파악될 수 있다.
릴(2300)의 제1 다리(2310)는 전방 방향으로 연장하며, 릴 시트(1000)의 전방 부분에 위치한 제1 후드부(1122)에 의해 고정된다. 릴의 제2 다리(2320)는 후방 방향으로 연장하며, 릴 시트(1000)의 후방 부분에 위치한, 가동 후드(1200)의 제2 후드부(1240)에 의해 고정된다.
시트 바디의 안착부(1121)는 시트 바디의 하면에 위치한다. 돌출부(1140)는 시트 바디의 후방 부분에 위치하고, 가동 후드(1200)는 릴시트의 후방 부분에 위치한다. 제2 다리(2320)를 고정하기 위해, 가동 후드(1200)는 제1 후드부(1122)를 향하여 너트(1211)에 의해 전방 방향으로 이동된다. 곡면부(1191)는 돌출부(1140)에 인접하며 중심축(CA)에 대해 오목하게 만곡되어 있다. 곡면부(1191)는 손바닥에 접촉 가능하다. 제1 후드부(1122)가 형성된 그립 바디의 하면이 검지(F1)에 접촉 가능하고, 제1 후드부(1122)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그립 바디의 상면이 엄지(F5)에 접촉 가능하다. 보강 커버(1270)는 소지(F4)에 접촉 가능하다.
제2 후드부(1240)가 돌출부(1140)에 교차하여 이동될 때, 반력(VF)(도 61 참조)이 제2 후드부(1240)를 밀어 내리도록 작용한다. 보강 커버의 커버부(1271)가 제2 후드부(124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보강 커버의 걸림결합부(1272)가 가이드 돌기(126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돌기(1260)는 제2 돌기부(1265)에 의해, 제2 후드부(1240)를 확장시키는 확장력(LF)에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다. 또한, 걸림결합부(1272)의 내향끝면(1274)이 제2 돌기부(1265)의 외측 반경 방향(또는 폭 방향)의 밀림을 억제할 수 있으며, 가이드 돌기(1260)를 보강할 수 있다. 볼록부(1275)가 오목부(1268)에 결합되는 위치가 가이드 홈의 내향 표면(1135)의 위에 존재하므로, 제2 돌기부(1265)가 보강될 수 있다. 보강 커버의 강성에 의해, 제1 돌기부(1263)와 제2 돌기부(1265)가 외측 반경 방향으로 밀리는 것이 억제되고 가이드 돌기(1260)의 변형이 억제된다. 따라서, 제2 후드부(1240)에 확장력(LF)이 작용할 때, 가이드 돌기(1260)가 보강 커버(1270)의 강성에 의해 외측 반경 방향으로 밀리는 것이 억제되도록, 가이드 돌기(1260)가 보강된다.
도 61에 도시하는 가이드 홈, 가이드 돌기 및 보강 커버의 구성은, 이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에 채용되는 하나의 예일 수 있다. 도 46 에 도시하는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홈, 가이드 돌기 및 보강 커버의 구성과 도 51에 도시하는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홈, 가이드 돌기 및 보강 커버의 구성이 이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에 채용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의 릴 시트에서, 시트 바디는, 안착부(1121), 제1 후드부(1122), 돌출부(1140), 수나사(1131) 및 가이드 홈(1132)을 갖는다. 가이드 홈(1132)은 시트 바디의 전단 또는 후단으로부터 수나사(1131)를 통과하여 돌출부(1140)로 연장하며, 돌출부(1140)의 영역 내에서 그 종단을 갖는다. 또한, 가이드 홈(1132)은 제1 둘레 방향 표면(1133)과 내향 표면(1135)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시트 바디는, 안착부(1121), 제1 후드부(1122), 돌출부(1140), 수나사(1131) 및 가이드 홈(1132)을 갖도록 일체로 형성되며, 열가소성 수지로부터 성형될 수 있다. 일 예로, 시트 바디는 유리섬유강화 열가소성 수지로부터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또 하나의 예로, 시트 바디는, 낮은 밀도와 높은 인장 강도를 갖는 탄소섬유강화 열가소성 수지로부터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시트 바디의 성형에 관련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의 시트 바디를 성형할 수 있는 금형 장치의 일부를 도시하는 도 62를 참조한다.
성형 금형(3100)의 성형 공동(3111)은 시트 바디의 외면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시트 바디의 보어의 형상에 대응하는 코어(3200)가 성형 공동(3111) 내에 배치된다. 코어(3200)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높은 강성을 갖는다. 코어(3200)는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부분(3210)과 제2 부분(3220)을 갖는다. 제1 및 제2 둘레 방향 표면과 내향 표면을 갖는 가이드 홈은 인서트(3300)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인서트(3300)는 코어의 제1 부분(3210)에 볼트 또는 핀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얇고 변형하기 쉬운 인서트(3300)가, 코어의 제1 부분(3210)의 슬라이드력에 의해, 변형함이 없이 슬라이드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보강 커버가 제2 후드부와 가이드 돌기를 보강하여, 제2 후드부 및 가이드 돌기의 변형을 억제한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의 가동 바디는 향상된 강도를 갖는다. 가동 바디의 향상된 강도를 평가하기 위해, 실시예에 따른 가동 바디를 갖는 가동 후드와 비교예에 따른 가동 후드에 대한 강도 측정 시험이 하중 시험기를 사용하여 행해졌다. 상기 강도 측정 시험에서는, 제2 후드부를 확장시키는 확장력(예를 들어, 도 51, 도 56, 및 도 59에 도시하는 확장력(LF))이 제2 후드부에 작용하는 것과 유사하게, 하중 시험기에 의해 가동 후드에 가압력이 인가되었다. 상기 강도 측정 시험의 결과를 도시하는 도 63을 참조한다.
도 63에 도시하는 실선은, 제2 후드부와 수용부를 갖고 보강 커버가 제2 후드부에 결합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동 후드에 대한 강도 측정 시험의 결과에 대응한다. 도 63에 도시하는 일점쇄선은, 제2 후드부와 수용부를 갖지만 보강 커버를 갖지 않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동 후드에 대한 강도 측성 시험의 결과에 대응한다. 도 63에 도시하는 이점쇄선은, 제2 후드부와 수용부를 갖지 않으며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비교예에 따른 가동 후드에 대한 강도 측성 시험의 결과에 대응한다. 제2 후드부와 수용부를 갖고 보강 커버가 제2 후드부에 결합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동 후드는, 가장 높은 668N의 시험력을 나타내었다. 제2 후드부와 수용부를 갖지만 보강 커버를 갖지 않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동 후드는, 502N의 시험력을 나타내었다.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비교예에 따른 가동 후드는, 가장 낮은 420N의 시험력을 나타내었다.
이상 일부 실시예들과 첨부된 도면에 도시하는 예에 의해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인 지식을 가진 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1000: 릴 시트, 1100: 시트 바디, 1111: 그립 바디, 1112: 원통 바디, 1113: 보어, 1121: 안착부, 1122: 제1 후드부, 1131: 수나사, 1132: 가이드 홈, 1133: 제1 둘레 방향 표면, 1135: 내향 표면, 1140: 돌출부, 1141: 측단 엣지, 1142: 내단 엣지, 1150: 팽출부, 1160: 제1 곡면부, 1161: 제1 하단 윤곽선, 1162: 제1 오목 원호선, 1163: 제2 오목 원호선, 1164: 제1 외주 윤곽선, 1165: 제1 볼록 원호선, 1166: 검지접촉부, 1167: 중지접촉부, 1170: 제2 곡면부, 1172: 제2 하단 윤곽선, 1173: 직선, 1174: 제2 외주 윤곽선, 1175: 제2 볼록 원호선, 1180: 트리거부, 1191: 곡면부, 1200: 가동 후드, 1211: 너트, 1212: 가동 바디, 1230: 환상부, 1240: 제2 후드부, 1241: 측단 엣지, 1244: 걸림결합홈, 1245: 안착홈, 1250: 수용부, 1251: 제1 엣지, 1252: 제2 엣지, 1260: 가이드 돌기, 1261: 가이드 돌기의 하면, 1263: 제1 돌기부, 1265: 제2 돌기부, 1267: 외향면, 1268: 오목부, 1270: 보강 커버, 1271: 커버부, 1272: 걸림결합부, 1273: 걸림결합부의 둘레 방향에서의 표면, 1275: 볼록부, 2000: 낚싯대, 2100: 간체, 2300: 릴, 2310: 제1 다리, 2320: 제2 다리, FD: 전방 방향, RD: 후방 방향, VD: 수직 방향, CA: 보어의 중심축, CD: 중심축의 둘레 방향, OD: 중심축의 외측 반경 방향, P1: 제1 끝점, P2: 제2 끝점, P3: 최상점, P4: 회전중심점, IC1: 제1 가상원, R1: 제1 반경, IC2: 제2 가상원, R2: 제2 반경, IC3: 제3 가상원, R3: 제3 반경, IC4: 제4 가상원, R4: 제4 반경, ICB: 가상내접원, RB: 가상내접원의 반경, HL1: 제1 가상수평선, HL2: 제2 가상수평선, HL3: 제3 가상수평선, IL1: 제1 가상경사선, IL2: 제2 가상경사선, IL3: 제3 가상경사선, TL: 가상 접선, T1: 제1 두께, T2: 제2 두께, F1: 검지, F2: 중지, F3: 약지, F4: 소지, F5: 엄지

Claims (12)

  1. 제1 및 제2 다리(2310, 2320)를 갖는 릴(2300)을 낚싯대의 간체(2100)에 결합시키는 릴 시트(1000)이며,
    상기 간체의 축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간체에 결합 가능한 보어(1113)를 갖는 시트 바디(1100)와,
    상기 시트 바디에 상기 보어의 중심축(CA)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동 후드(1200)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 바디는, 상기 시트 바디의 상면의 일부 또는 상기 시트 바디의 하면의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 및 제2 다리가 안착되는 안착부(1121)와, 상기 가동 후드에 대향하도록 상기 안착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다리를 고정하는 제1 후드부(1122)와,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안착부의 반대측에서 상기 중심축의 둘레 방향(CD)을 따라서 형성되고 상기 중심축의 외측 반경 방향(OD)으로 돌출하는 돌출부(1140)와, 상기 안착부 및 상기 돌출부로부터 상기 중심축을 따라 연장하는 원통 단부와, 상기 원통 단부의 외주에 형성된 수나사(1131)와, 상기 원통 단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수나사를 통과해 상기 돌출부로 연장하는 한 쌍의 가이드 홈(1132)을 포함하고,
    상기 가동 후드는, 상기 시트 바디의 상기 수나사에 상기 둘레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너트(1211)와, 상기 너트에 의해 상기 중심축을 따라 이동가능한 가동 바디(1212)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 바디는, 상기 너트가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환상부(1230)와, 상기 환상부로부터 상기 제1 후드부를 향해 연장하고 상기 제2 다리를 상기 안착부에 압박하여 고정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에 상기 중심축을 따라 교차하여 수직 방향(VD)에서 상기 돌출부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2 후드부(1240)와, 상기 수직 방향에서 상기 제2 후드부의 반대측에 위치하고 상기 환상부와 상기 제2 후드부의 사이의 공간으로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는 수용부(1250)와, 상기 둘레 방향에서의 상기 제2 후드부의 한 쌍의 측단 엣지(1241)의 각각에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홈(1132)의 각각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 돌기(1260)와, 상기 제2 후드부의 외면을 덮고 상기 한 쌍의 측단 엣지에 걸림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2 후드부 및 상기 가이드 돌기의 변형을 방지하는 보강 커버(1270)를 포함하는,
    릴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커버(1270)는, 상기 외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된 커버부(1271)와, 상기 둘레 방향에서의 상기 커버부의 각 측단으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한 쌍의 측단 엣지 중 하나에 걸림결합되는 걸림결합부(1272)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1250)는, 상기 제2 후드부의 상기 한 쌍의 측단 엣지로 각각 되고 상기 중심축에 평행한 한 쌍의 제1 엣지(1251)와, 상기 한 쌍의 제1 엣지를 연결하는 제2 엣지(1252)를 갖고,
    상기 돌출부(1140)는, 상기 한 쌍의 제1 엣지 및 상기 제2 엣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엣지(1141, 1142)를 갖고,
    상기 한 쌍의 제1 엣지 중 하나는 상기 걸림결합부의 상기 둘레 방향에서의 표면(1273)을 부분적으로 포함하는,
    릴 시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후드부(1240)는, 상기 걸림결합부가 각각 걸림결합되는 한 쌍의 걸림결합홈(1244)을 갖고, 상기 한 쌍의 걸림결합홈은 상기 한 쌍의 측단 엣지의 각각을 따라 각각 형성되고 상기 걸림결합부의 두께에 대응하는 깊이를 갖는,
    릴 시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후드부(1240)는, 상기 외면을 따라 상기 한 쌍의 걸림결합홈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가 안착되는 안착홈(1245)을 갖고, 상기 안착홈은 상기 커버부의 두께에 대응하는 깊이를 갖는,
    릴 시트.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돌기(1260)는, 상기 한 쌍의 측단 엣지 중 하나로부터 상기 중심축을 향하여 연장하는 제1 돌기부(1263)와, 상기 제1 돌기부로부터 상기 둘레 방향에서 상기 중심축을 넘어 연장하는 제2 돌기부(1265)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홈(1132)의 각각은, 상기 수직 방향에서 상기 중심축으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상기 둘레 방향에서 상기 제2 돌기부의 둘레 방향 표면에 접촉 가능한 둘레 방향 표면(1133)과, 상기 돌출부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둘레 방향 표면으로부터 상기 둘레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제2 돌기부의 외향면(1267)에 상기 외측 반경 방향에서 접촉 가능한 내향 표면(1135)을 갖고,
    상기 걸림결합부(1272)는 상기 제2 돌기부의 상기 외향면과 대향하도록 상기 한 쌍의 측단 엣지 중 상기 하나에 걸림결합되어 상기 가이드 돌기의 변형을 억제하는,
    릴 시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커버(1270)는, 상기 걸림결합부로부터 상기 중심축을 향하여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볼록부(1275)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돌기(1260)는, 상기 제1 돌기부에 인접하여 상기 제2 돌기부의 상기 외향면에 형성되고 상기 볼록부가 걸림결합되는 오목부(1268)를 포함하고,
    상기 볼록부가 상기 오목부에 걸림결합되어 상기 가이드 돌기의 변형을 억제하는,
    릴 시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커버(1270)는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는,
    릴 시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바디(1100)는 일체로 형성되고 탄소섬유강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릴 시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1121)는 상기 시트 바디의 상기 상면에 위치하고,
    상기 시트 바디는, 상기 중심축에 대해 오목하게 만곡되고 상기 돌출부에 인접하며 검지(F1)에 접촉 가능한 곡면부(1160)를 포함하는,
    릴 시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1121)는 상기 시트 바디의 상기 하면에 위치하고,
    상기 보강 커버(1270)는 검지(F1)에 접촉 가능하며,
    상기 시트 바디(1100)는, 상기 중심축에 대해 오목하게 만곡되고 상기 돌출부에 인접하며 엄지(F5)에 접촉 가능한 곡면부(1191)를 포함하는,
    릴 시트.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1121)는 상기 시트 바디의 상기 하면에 위치하고,
    상기 보강 커버((1270)는 소지(F4)에 접촉 가능하며,
    상기 시트 바디(1100)는, 상기 중심축에 대해 오목하게 만곡되고 상기 돌출부에 인접하는 곡면부(1191)를 포함하는,
    릴 시트.
  12. 간체(2100)와,
    상기 간체에 결합되는,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릴 시트(1000)를 포함하는
    낚싯대.
KR1020230080876A 2022-11-03 2023-06-23 릴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낚싯대 KR1026620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5144 2022-11-03
KR20220145144 2022-11-03
KR1020230076064A KR102662072B1 (ko) 2022-11-03 2023-06-14 릴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낚싯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6064A Division KR102662072B1 (ko) 2022-11-03 2023-06-14 릴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낚싯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2076B1 true KR102662076B1 (ko) 2024-05-03

Family

ID=9088446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6064A KR102662072B1 (ko) 2022-11-03 2023-06-14 릴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낚싯대
KR1020230080876A KR102662076B1 (ko) 2022-11-03 2023-06-23 릴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낚싯대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6064A KR102662072B1 (ko) 2022-11-03 2023-06-14 릴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낚싯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20240147977A1 (ko)
JP (2) JP2024068154A (ko)
KR (2) KR102662072B1 (ko)
CN (2) CN117981726A (ko)
AU (1) AU2023258354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16735A (ja) 2006-02-14 2007-08-30 Asmo Co Ltd ワイパブレード
JP2016192953A (ja) 2015-03-31 2016-11-17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リール脚固定装置
KR102150338B1 (ko) 2019-12-17 2020-09-01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릴 시트 및 이를 구비하는 낚싯대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77313A (en) 1992-01-29 1994-12-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mputer graphics display method and system with shadow generation
JP6890197B2 (ja) * 2016-12-08 2021-06-18 株式会社シマノ リールシートの交換部品
WO2019147000A1 (ko) 2018-01-25 2019-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물리 상향 링크 제어 채널 상에서 다수의 상향 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7115870B2 (ja) * 2018-02-26 2022-08-09 株式会社シマノ リールシート
JP7094735B2 (ja) 2018-03-15 2022-07-04 株式会社シマノ リールシート
KR102150347B1 (ko) * 2019-12-17 2020-09-01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릴 시트 및 이를 구비하는 낚싯대
JP7011699B2 (ja) * 2020-11-04 2022-01-27 株式会社シマノ リールシート及び釣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16735A (ja) 2006-02-14 2007-08-30 Asmo Co Ltd ワイパブレード
JP2016192953A (ja) 2015-03-31 2016-11-17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リール脚固定装置
KR102150338B1 (ko) 2019-12-17 2020-09-01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릴 시트 및 이를 구비하는 낚싯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3258354A1 (en) 2024-05-23
JP2024068210A (ja) 2024-05-17
JP2024068154A (ja) 2024-05-17
KR102662072B1 (ko) 2024-04-30
CN117981726A (zh) 2024-05-07
US20240147977A1 (en) 2024-05-09
CN117981725A (zh) 2024-05-07
US20240156076A1 (en) 2024-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80761B2 (ja) 釣竿用リールシート及び釣竿並びに釣竿用リールシートの移動フード
EP2532229B1 (en) Fore handle for fishing rod
JP6691842B2 (ja) 筒状リールシート及びリールシート本体並びに釣竿
KR102662076B1 (ko) 릴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낚싯대
JP6796895B1 (ja) リールシート用パームレスト、リールシート、及び釣り竿
JP7376449B2 (ja) リールシート
JP5135489B1 (ja) 釣竿
JP7115870B2 (ja) リールシート
JP6757263B2 (ja) リール固定装置
CN211657212U (zh) 卷线器固定装置
JP2007195489A (ja) 釣竿
KR20210059597A (ko) 낚싯대
JP2007295805A (ja) 釣竿
JP2007202407A (ja) 釣竿
JP7262546B2 (ja) リールシート
JP6965393B2 (ja) 釣竿
JP7039317B2 (ja) リールシート及び釣竿
CN113994939B (zh) 卷线器座
CN112806333A (zh) 钓竿
WO2024100923A1 (ja) リールシート及び釣竿
TW202416828A (zh) 釣竿用捲線器座
JP2024014820A (ja) 釣竿ハンドル及びこれを含む釣竿
JP5838288B1 (ja) 釣竿
KR20220148111A (ko) 릴 시트
KR20240028913A (ko) 낚싯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