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2500A - 수전 작업차 - Google Patents

수전 작업차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2500A
KR20180002500A KR1020170070614A KR20170070614A KR20180002500A KR 20180002500 A KR20180002500 A KR 20180002500A KR 1020170070614 A KR1020170070614 A KR 1020170070614A KR 20170070614 A KR20170070614 A KR 20170070614A KR 20180002500 A KR20180002500 A KR 201800025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feeding
frame
section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0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1274B1 (ko
Inventor
요시아키 소노다
가즈야 다케다
마사토 후루미조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6129160A external-priority patent/JP663588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6129161A external-priority patent/JP6739249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180002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5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1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12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8Broadcast seeders; Seeders depositing seeds in rows
    • A01C7/081Seeders depositing seeds in rows using pneuma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3Transplanting machines for aquatic plants; for planting underwater, e.g. ric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6Other parts or details or planting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5/00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001Fertiliser distributors with slowly turning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5/00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04Fertiliser distributors using b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8Broadcast seeders; Seeders depositing seeds in rows
    • A01C7/12Seeders with feeding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9/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powder-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9/0007Pneumatic dusters
    • A01M9/003Pneumatic field dusters, e.g. self-propelled, drawn or tractor-mount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ertilizing (AREA)

Abstract

분립체를 저류하는 저류부 및 저류부로부터 분립체를 조출하여 논바닥에 공급하는 조출부를 구비한 수전 작업차에 있어서, 조출부의 메인터넌스 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한다.
저류부(12)가 조출부(13)에 접속된 작업 위치와, 저류부(12)가 조출부(13)로부터 분리되어 이격된 비작업 위치 A2에 걸쳐, 저류부(12)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이동 기구(53)를 구비한다. 분립체가 저류부(12)로부터 조출부(13)에 들어가는 것을 허용하는 개방 위치, 및, 분립체가 저류부(12)로부터 나오는 것을 막는 폐쇄 위치로 조작 가능한 개폐부(59)를 저류부(12)에 구비한다.

Description

수전 작업차{PADDY FIELD WORK MACHINE}
본 발명은 승용형 이앙기나 승용형 직파기 등과 같이, 농용의 분립체(비료, 약제 및 종자 등)를 논바닥에 공급하는 수전 작업차에 있어서, 메인터넌스 작업의 구성에 관한 것이다.
수전 작업차의 일례인 승용형 이앙기에서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비료(분립체에 상당)를 저류하는 저류부(특허문헌 1의 도 1, 도 2, 도 3의 참조 부호 31)와, 분립체를 조출하는 회전체(특허문헌 1의 도 8의 참조 부호 37)를 내장한 조출부(특허문헌 1의 도 1, 도 2, 도 8의 참조 부호 32)가 구비되고, 기체의 진행에 수반하여, 조출부에 의해 저류부로부터 비료가 조출되어 논바닥에 공급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저류부 및 조출부를 구비한 경우, 조출부의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할 필요가 있다.
특허문헌 1에서는, 저류부의 하부에 조출부의 상부가 접속되어 있고, 회전체의 회전 축심의 부분에 있어서, 조출부가, 상부 조출 케이스(특허문헌 1의 도 8 및 도 9의 참조 부호 35)와, 하부 조출 케이스(특허문헌 1의 도 8 및 도 9의 참조 부호 36)의 2분할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하부 조출 케이스를 상부 조출 케이스로부터 하측으로 분리함으로써, 조출부의 하측으로부터 조출부의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한다(특허문헌 1의 도 8 및 도 9 참조).
일본 특허 공개 제2013-74호 공보
특허문헌 1에서는, 회전체의 회전축의 부분에 있어서, 조출부가 상부 조출 케이스와 하부 조출 케이스로 분할되어 있으므로, 회전체의 베어링부에 상부 및 하부 조출 케이스의 분할 부분이 위치하게 된다.
이에 의해, 회전체의 베어링부가, 상부 조출 케이스측의 부분과 하부 조출 케이스측의 부분으로 나누어지는 분할 구조를 구비한 것으로 되므로, 구조의 간소화의 면에서 불리한 상태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은 분립체를 저류하는 저류부, 및 저류부로부터 분립체를 조출하여 논바닥에 공급하는 조출부를 구비한 수전 작업차에 있어서, 조출부의 메인터넌스 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수전 작업차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구성하는 것에 있다.
분립체를 저류하는 저류부와, 상기 저류부에 접속되어 상기 저류부로부터 분립체를 조출하여 논바닥에 공급하는 조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저류부가 상기 조출부로부터 분리 가능하고,
상기 저류부가 상기 조출부에 접속된 작업 위치와, 상기 저류부가 상기 조출부로부터 분리되어 이격된 비작업 위치에 걸쳐, 상기 저류부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이동 기구가 구비되어 있고,
분립체가 상기 저류부로부터 상기 조출부에 들어가는 것을 허용하는 개방 위치와, 분립체가 상기 저류부로부터 나오는 것을 막는 폐쇄 위치로 조작 가능한 개폐부가, 상기 저류부에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저류부가 조출부에 접속된 상태(작업 위치)로부터, 이동 기구에 의해, 저류부를 조출부로부터 분리하여 조출부로부터 이격할 수 있다(비작업 위치). 이에 의해, 저류부가 접속되는 조출부의 부분(저류부가 분리된 조출부의 부분)이 개방된 상태로 되므로, 전술한 조출부의 부분으로부터 조출부의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저류부를 조출부로부터 분리한다고 하는 비교적 단순한 분리 구조를 구비하고 있고, 분립체를 조출하는 회전체의 회전축의 부분에 있어서 조출부를 분할하는 구조가 아니므로(회전체의 베어링부가 분할 구조를 구비한 것은 아니므로), 구조의 간소화의 면에서 유리한 것으로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저류부를 조출부로부터 분리하여 비작업 위치로 이동시키는 경우, 저류부에 남아 있던 분립체가 저류부로부터 나와, 기체의 각 부에 부착될 가능성이 있다(예를 들어 비료가 금속 부분에 부착되면, 금속 부분에 녹이 발생하기 쉬워지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저류부를 비작업 위치로 이동시키는 경우, 사전에 개폐부를 폐쇄 위치로 조작해 둠으로써, 저류부를 비작업 위치로 이동시킬 때에, 저류부에 남아 있던 분립체가 저류부로부터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며, 분립체가 기체의 각 부에 부착되는 것에 의한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저류부를 작업 위치로 이동시키면, 개폐부를 개방 위치로 조작하면 되는 것이며, 분립체가 저류부로부터 조출부에 들어가, 조출부로부터 조출되게 된다.
저류부가 작업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 있어서, 분립체가 논바닥에 공급되지 않는 상태를 설정하는 경우, 개폐부를 폐쇄 위치로 조작함으로써, 분립체가 저류부로부터 나오는 상태(분립체가 조출부에 들어가는 상태)를 막을 수 있으므로, 분립체가 논바닥에 공급되지 않는 상태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저류부가 분리된 상기 조출부의 부분에 있어서,
분립체를 조출하는 회전체가, 상기 조출부로부터 떼어 내기 가능하면 적합하다.
조출부에는, 분립체를 조출하는 회전체가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저류부를 조출부로부터 분리하여 비작업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회전체를 조출부로부터 떼어 낼 수 있는 것이며, 조출부(회전체)의 메인터넌스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저류부가 분리된 상기 조출부의 부분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부가, 상기 조출부로부터 떼어 내기 가능하면 적합하다.
조출부에는, 전술한 회전체에 더하여, 회전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부가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저류부를 조출부로부터 분리하여 비작업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회전체와 베어링부를 조출부로부터 떼어 낼 수 있는 것이며, 조출부(회전체 및 베어링부)의 메인터넌스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조출부가 인접하여 구비되고, 복수의 상기 조출부에 걸쳐 공통의 상기 저류부가 구비되어 있고,
복수의 상기 조출부에 대응하는 복수의 상기 개폐부가, 상기 저류부에 구비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조출부에 걸치는 공통의 저류부를 비작업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복수의 조출부의 메인터넌스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조출부에 대응하는 복수의 개폐부가, 저류부에 구비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전술한 바와 같이, 저류부가 작업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 있어서, 분립체가 논바닥에 공급되지 않는 상태를 설정하는 경우, 조출부마다 개폐부를 폐쇄 위치로 조작함으로써, 조출부마다 분립체가 논바닥에 공급되지 않는 상태를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출부의 상부와 상기 저류부의 하부가 접속 및 분리 가능하면 적합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저류부의 하부에 조출부의 상부가 접속되어 있고(작업 위치), 저류부의 하부를 조출부의 상부로부터 분리하여, 저류부를 조출부로부터 이격할 수 있다(비작업 위치). 이에 의해, 조출부의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되므로, 조출부의 하측으로부터가 아니라, 조출부의 상측으로부터 조출부의 메인터넌스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출부가 기체의 후방부에 구비되고,
상기 저류부의 하부가 상기 조출부의 상부에 접속된 상기 작업 위치와, 상기 저류부의 하부가 상기 조출부의 상부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저류부가 상기 조출부로부터 상측 및 후방측으로 이격된 상기 비작업 위치에 걸쳐, 상기 저류부가 상기 이동 기구에 의해 상기 조출부의 후방측의 좌우 방향의 횡축심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면 적합하다.
수전 작업차에서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조출부를 기체의 후방부에 구비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기체의 작업자는 저류부의 전방측에 위치하고 있어, 기체의 작업자는 저류부의 전방측으로부터 저류부를 작업 및 비작업 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 기구에 의해, 저류부를 조출부의 후방측의 횡축심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으므로, 저류부의 전방측에 위치하는 기체의 작업자가, 작업 위치 및 작업 위치의 상측 및 후방측의 비작업 위치로, 저류부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비작업 위치에 있어서, 저류부가 조출부로부터 상측 및 후방측으로 이격되게 되므로, 저류부의 전방측에 위치하는 기체의 작업자에게 있어서, 저류부가 메인터넌스 작업의 방해로 되는 일이 없어, 조출부의 메인터넌스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수전 작업차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구성하는 것에 있다.
분립체를 저류하는 저류부와, 상기 저류부의 하부에 접속되어 상기 저류부로부터 분립체를 조출하여 논바닥에 공급하는 조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저류부의 하부가 상기 조출부의 상부로부터 분리 가능하고,
상기 저류부를 지지하는 저류부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저류부 프레임이, 상기 저류부의 전방측 또는 후방측에 위치하여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에 연결되어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 제2 프레임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저류부 프레임이 좌우 방향의 횡축심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저류부 프레임을 상기 횡축심 주위로 요동시킴으로써, 상기 저류부의 하부가 상기 조출부의 상부에 접속된 작업 위치와, 상기 저류부의 하부가 상기 조출부의 상부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저류부가 상기 조출부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비작업 위치에 걸쳐, 상기 저류부가 상기 저류부 프레임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저류부의 하부에 조출부의 상부가 접속되어 있고(작업 위치), 저류부의 하부를 조출부의 상부로부터 분리하여, 저류부를 조출부로부터 상측으로 이격할 수 있다(비작업 위치). 이에 의해, 조출부의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되므로, 조출부의 하측으로부터가 아니라, 조출부의 상측으로부터 조출부의 메인터넌스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저류부의 하부와 조출부의 상부라는 비교적 단순한 부분에 분리 구조를 구비하고 있고, 분립체를 조출하는 회전체의 회전축의 부분에 있어서 조출부를 분할하는 구조가 아니므로(회전체의 베어링부가 분할 구조를 구비한 것은 아니므로), 구조의 간소화의 면에서 유리한 것으로 된다.
분립체를 저류하는 저류부는, 분립체를 저류하는 용량을 확보하기 위해 비교적 큰 것으로 구성되는 경우가 있고, 경량화를 위해 합성 수지에 의해 구성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저류부의 전방측 또는 후방측에 위치하여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 제1 프레임과, 제1 프레임에 연결되어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 제2 프레임을 구비한 저류부 프레임에 의해, 저류부가 지지되므로, 저류부가 비교적 큰 것이어도, 저류부가 합성 수지에 의해 구성되어 강성이 충분하지 않은 것이어도, 저류부 프레임에 의해 저류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작업 및 비작업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의하면, 저류부 프레임이 좌우 방향의 횡축심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므로, 저류부가 작업 위치로부터 상측 및 전방측의 비작업 위치로 이동, 또는, 저류부가 작업 위치로부터 상측 및 후방측의 비작업 위치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며, 저류부의 전방측 또는 후방측에 위치하는 작업자가 용이하게 저류부를 작업 및 비작업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저류부 프레임에, 상기 제2 프레임의 연장 부분에 연결되어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 제3 프레임이 구비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저류부 프레임에 있어서, 제1 및 제2 프레임에 더하여, 제2 프레임의 연장 부분에 연결되어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 제3 프레임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저류부 프레임에 의해 저류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작업 및 비작업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3 프레임에, 상기 저류부를 상기 작업 위치와 상기 비작업 위치에 걸쳐 수동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손잡이부가 구비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저류부 프레임에 있어서, 작업자가 제3 프레임에 구비된 손잡이부를 가짐으로써, 저류부를 작업 및 비작업 위치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저류부 프레임을 횡축심 주위로 요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3 프레임에, 상기 저류부를 상기 작업 위치에서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가 구비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저류부 프레임에 있어서, 제3 프레임에 구비된 고정구에 의해, 저류부를 작업 위치에서 고정함으로써, 저류부를 작업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출부를 지지하는 조출부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조출부 프레임이, 상기 조출부의 전방측에 위치하여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 전방 프레임과, 상기 조출부의 후방측에 위치하여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 후방 프레임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저류부 프레임이 상기 전방 또는 후방 프레임의 상기 횡축심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저류부 및 조출부를 구비한 수전 작업차에서는, 조출부 프레임을 구비함으로써, 조출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하는 경우가 많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구조라고 해도 되는 조출부 프레임의 전방 프레임(후방 프레임)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저류부를 작업 및 비작업 위치로 이동 가능(저류부 프레임을 횡축심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함으로써, 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는 것이며, 저류부 프레임 및 조출부 프레임에 의해, 저류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작업 및 비작업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저류부를 상기 비작업 위치에서 지지하는 지지 부재가, 상기 조출부 프레임에 구비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저류부를 비작업 위치로 이동시킨 경우, 조출부 프레임에 구비된 지지 부재에 의해 작업 위치의 저류부를 지지함으로써, 작업 위치에 있어서 저류부가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존의 구조라고 해도 되는 조출부 프레임에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지지 부재의 지지 구조의 간소화의 면에서 유리한 것으로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출부를 작동 상태와 정지 상태로 조작 가능한 조작 레버가, 상기 조출부 프레임에 구비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저류부 및 조출부를 구비한 수전 작업차에서는, 조출부를 작동 상태와 정지 상태로 조작 가능한 조작 레버를 구비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구조라고 해도 되는 조출부 프레임에 조작 레버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조작 레버의 지지 구조의 간소화의 면에서 유리한 것으로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저류부가 상기 작업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측면에서 보아, 상기 저류부의 상기 횡축심측의 부분이, 상기 횡축심의 상측을 넘어서 돌출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저류부가 작업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측면에서 보아 저류부의 횡축심측의 부분이 횡축심의 상측을 넘어서 돌출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저류부의 무게 중심을 횡축심에 가까운 상태(비작업 위치에 가까운 상태)로 할 수 있으므로, 저류부를 용이하게 작업 및 비작업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저류부 프레임을 횡축심 주위로 용이하게 요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저류부의 하부를 개방하여 분립체가 상기 저류부의 하부로부터 상기 조출부에 들어가는 것을 허용하는 개방 위치와, 상기 저류부의 하부를 폐쇄하여 분립체가 상기 저류부의 하부로부터 나오는 것을 막는 폐쇄 위치로 조작 가능한 개폐부가, 상기 저류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저류부의 하부를 조출부의 상부로부터 분리하여, 저류부를 비작업 위치로 이동시키는 경우, 저류부에 남아 있던 분립체가 저류부의 하부로부터 나와, 기체의 각 부에 부착될 가능성이 있다(예를 들어 비료가 금속 부분에 부착되면, 금속 부분에 녹이 발생하기 쉬워지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저류부를 비작업 위치로 이동시키는 경우, 사전에 개폐부를 폐쇄 위치로 조작해 둠으로써, 저류부를 비작업 위치로 이동시킬 때에, 저류부에 남아 있던 분립체가 저류부의 하부로부터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며, 분립체가 기체의 각 부에 부착되는 것에 의한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저류부를 작업 위치로 이동시키면, 개폐부를 개방 위치로 조작하면 되는 것이며, 저류부의 분립체가 저류부의 하부를 통해 조출부에 들어가, 조출부로부터 조출되게 된다.
저류부가 작업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 있어서, 분립체가 논바닥에 공급되지 않는 상태를 설정하는 경우, 개폐부를 폐쇄 위치로 조작함으로써, 분립체가 저류부의 하부로부터 나오는 상태(분립체가 조출부에 들어가는 상태)를 막을 수 있으므로, 분립체가 논바닥에 공급되지 않는 상태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조출부가 인접하여 구비되고, 복수의 상기 조출부에 걸쳐 공통의 상기 저류부가 구비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조출부에 걸치는 공통의 저류부를 비작업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복수의 조출부의 메인터넌스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조출부가 기체의 후방부에 좌우 방향을 따라서 구비되고, 상기 횡축심이 상기 조출부의 후방측에 구비되고,
상기 저류부 프레임을 상기 횡축심 주위로 요동시킴으로써, 상기 저류부의 하부가 상기 조출부의 상부에 접속된 상기 작업 위치와, 상기 저류부의 하부가 상기 조출부의 상부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저류부가 상기 조출부로부터 상측 및 후방측으로 이격된 상기 비작업 위치에 걸쳐, 상기 저류부가 상기 저류부 프레임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면 적합하다.
수전 작업차에서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복수의 조출부를 기체의 후방부에 좌우 방향을 따라서 구비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기체의 작업자는 저류부의 전방측에 위치하고 있어, 기체의 작업자는 저류부의 전방측으로부터 저류부를 작업 및 비작업 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저류부 프레임을 조출부의 후방측의 횡축심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으므로, 저류부의 전방측에 위치하는 기체의 작업자가, 작업 위치 및 작업 위치의 상측 및 후방측의 비작업 위치로, 저류부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비작업 위치에 있어서, 저류부가 조출부로부터 상측 및 후방측으로 이격되게 되므로, 저류부의 전방측에 위치하는 기체의 작업자에게 있어서, 저류부가 메인터넌스 작업의 방해로 되는 일이 없어, 조출부의 메인터넌스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은 승용형 이앙기의 전체 측면도이다.
도 2는 시비 장치의 전체 정면도이다.
도 3은 시비 장치의 전체 배면도이다.
도 4는 조출부의 부근의 전체 평면도이다.
도 5는 저류부의 접속부의 부근의 전체 평면도이다.
도 6은 저류부를 작업 위치로 조작한 상태에 있어서, 도 2의 VI-VI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저류부를 비작업 위치로 조작한 상태에 있어서, 도 2의 VI-VI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조출부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9는 조출부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조출부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조출부의 종단 정면도이다.
도 12는 저류부의 접속부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저류부를 작업 위치로 조작한 상태에 있어서, 도 2의 XIII-XIII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시비 장치의 전동계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15는 시비 장치의 개략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은, 특별한 설명이 없는 한, 이하와 같이 기재하고 있다. 기체의 작업 주행 시에 있어서의 전진측의 진행 방향이 「전」이고, 후진측의 진행 방향이 「후」이다. 전후 방향에서의 전방 자세를 기준으로 하여 우측에 상당하는 방향이 「우」이고, 좌측에 상당하는 방향이 「좌」이다.
[1]
승용형 이앙기의 전체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및 좌측의 전륜(1), 우측 및 좌측의 후륜(2)으로 지지된 기체의 후방부에, 상하 요동 가능한 링크 기구(3)가 구비되고, 링크 기구(3)의 후방부에 8조식 형식의 모내기 장치(5)가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고, 링크 기구(3)를 승강 구동하는 유압 실린더(4)가 구비되어, 수전 작업차의 일례인 승용형 이앙기가 구성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내기 장치(5)는 4개의 전동 케이스(6), 전동 케이스(6)의 후방부의 우측 및 좌측부에 회전 구동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 케이스(7), 회전 케이스(7)의 양단에 구비된 한 쌍의 식부 아암(8), 플로트(9) 및 모종 적재대(10)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체의 전방부의 엔진(17)의 동력이, 주행용의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도시하지 않음), 미션 케이스(18)에 구비된 주간 변속 장치(도시하지 않음) 및 식부 클러치(도시하지 않음)로부터, PTO축(19)을 통해 모내기 장치(5)에 전달된다. 이에 의해, 모종 적재대(10)가 좌우로 왕복 횡이송 구동되는 것에 수반하여, 회전 케이스(7)가 회전 구동되어, 모종 적재대(10)의 하부로부터 식부 아암(8)이 교대로 모종을 취출하여 논바닥에 이식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및 좌측의 기체 프레임(28)이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고, 기체 프레임(28)의 전방부에 미션 케이스(18)가 연결되고, 미션 케이스(18)의 전방부에 연결된 프레임(30)에 엔진(17)이 지지되어 있다. 기체 프레임(28)의 후방부에 우측 및 좌측의 지지 부재(38)가 연결되어 있고, 지지 부재(38)에 운전 좌석(31)이 지지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체 프레임(28)에 스텝(32)이 지지되어 있고, 지지 부재(38)에 후방부 스텝(33)이 지지되어 있다. 이에 의해, 스텝(32)보다도 후방부 스텝(33)이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기체의 후방부에 구비되어 있고, 후방부 스텝(33)의 전방부의 좌우 중앙에 운전 좌석(31)이 구비되고, 운전 좌석(31)의 후방측이며 후방부 스텝(33)의 상측에, 시비 장치(11)가 구비되어 있다.
[2]
다음에, 시비 장치(11)의 전체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도 2,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8개의 조출부(13)가 기체의 후방부에 좌우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우측의 4개의 조출부(13)의 상부에 걸쳐, 분립상의 비료(분립체에 상당)를 저류하는 우측의 저류부(12)가 접속되어 있고, 좌측의 4개의 조출부(13)의 상부에 걸쳐, 분립상의 비료(분립체에 상당)를 저류하는 좌측의 저류부(12)가 접속되어 있다.
도 1, 도 2,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비 장치(11)의 좌측의 횡측부에, 블로어(14) 및 블로어(14)를 구동하는 전동 모터(25)가 구비되어 있고, 좌측의 횡프레임(41)(후술하는 [3] 참조)에 블로어(14)가 연결되어 있다.
도 2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로어(14)에 분기부(26)가 접속되고, 분기부(26)와 조출부(13)의 전방부에 걸쳐 공급 덕트(27)가 접속되어 있고, 조출부(13)의 흡입부(13a)가 공급 덕트(27)에 접속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로어(14)에 흡입 덕트(20)가 접속되어 있고, 흡입 덕트(20)가 후방부 스텝(33)의 개구부(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후방부 스텝(33) 및 스텝(32)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엔진(17)의 근처까지 연장되어 있다.
도 1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로트(9)에 작구기(15)가 연결되며, 8개의 작구기(15)가 구비되어 있고, 조출부(13)와 작구기(15)에 걸쳐 8개의 호스(16)가 접속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저류부(12), 조출부(13), 블로어(14), 작구기(15) 및 호스(16) 등에 의해, 시비 장치(11)가 구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부 작업 상태에 있어서, 블로어(14)의 흡입 작용에 의해, 엔진(17)의 부근의 따뜻한 공기가, 흡입 덕트(20)를 통해 블로어(14)에 흡입되고, 블로어(14)의 반송풍이 공급 덕트(27)를 통해 조출부(13)에 공급된다.
저류부(12)로부터 비료가 소정량씩 조출부(13)에 의해 조출되면, 블로어(14)의 반송풍에 의해 비료가 호스(16)를 통해 작구기(15)에 공급되는 것이며, 작구기(15)에 의해 논바닥에 형성된 홈에, 비료가 작구기(15)를 통해 공급된다.
[3]
다음에, 시비 장치(11)에 있어서, 조출부(13)의 지지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도 3, 도 4,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및 좌측의 지지 프레임(39)이 지지 부재(38)의 후방부에 연결되어 후방부 스텝(33)을 관통하여 상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우측 및 좌측의 지지 프레임(39)의 상부에 걸쳐 좌우 방향으로, 각파이프 형상의 후방 프레임(40)이 연결되어 있다.
도 2, 도 3, 도 4,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재를 상자 형상으로 절곡하여 구성된 횡프레임(41)이 후방 프레임(40)의 우측 및 좌측부에 전후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고, 우측 및 좌측의 횡프레임(41)의 전방부에 걸쳐 좌우 방향으로 전방 프레임(42)이 연결되어 있다. 후방 프레임(40)의 좌우 방향의 중간부와 전방 프레임(42)의 좌우 방향의 중간부에 걸쳐, 복수개의 판 형상의 중간 프레임(43)이 연결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후방 프레임(40), 횡프레임(41), 전방 프레임(42) 및 중간 프레임(43) 등에 의해,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 형상의 조출부 프레임(44)이 구성되어 있다.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8개의 조출부(13)에 있어서, 2개의 조출부(13)가 인접하여 구비되어 있다(연결되어 있다). 2개의 조출부(13)가 평면에서 본 전후 방향에 있어서 전방 및 후방 프레임(42, 40) 사이에 배치되고, 평면에서 본 좌우 방향에 있어서 횡 및 중간 프레임(41, 43) 사이[중간 프레임(43)의 사이]에 배치되고, 조출부(13)의 전방부가 전방 프레임(42)에 연결되어 있다. 도 3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프레임(45)이 전방 프레임(42)에 연결되어 후방측의 경사 하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프레임(45)에 조출부(13)가 연결되어 있다.
도 3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출부(13)의 하부에 깔때기부(13b)가 구비되어 있다. 조출부(13)의 깔때기부(13b)의 전방부에 흡입부(13a)가 구비되고, 조출부(13)의 흡입부(13a)에 걸쳐 공급 덕트(27)가 접속되어 있고, 조출부(13)의 깔때기부(13b)의 후방부에 호스(16)가 접속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 4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프레임(42)이 조출부(13)의 전방측에 위치하여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로 되고, 후방 프레임(40)이 조출부(13)의 후방측에 위치하여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로 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부 스텝(33)의 우측 및 좌측의 횡측부의 외측에, 우측 및 좌측의 프레임(34)이 구비되어 있고, 우측 및 좌측의 프레임(34)에 걸쳐 프레임(35, 46)이 연결되어 있다. 프레임(35)이 저류부(12)의 전방측에 위치하고, 프레임(46)이 공급 덕트(27)의 전방측에 위치하고 있고, 프레임(35, 46)이, 저류부(12) 및 공급 덕트(27)의 전방측을 보호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35)의 좌측부에 프레임(36)이 연결되고, 프레임(36)의 상부에 천장판(36a)이 연결되어 있고, 프레임(36)[천장판(36a)]이 블로어(14) 및 전동 모터(25)의 상측 및 전방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프레임(36)[천장판(36a)]이 블로어(14) 및 전동 모터(25)의 상측 및 전방측을 보호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4]
다음에, 시비 장치(11)에 있어서, 조출부(13)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 도 9,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8개의 조출부(13)에 있어서, 2개의 조출부(13)가 인접하여 구비되고, 2개의 조출부(13)의 케이스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8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출부(13)의 하부에 깔때기부(13b)가 구비되고, 깔때기부(13b)의 전방부에 흡입부(13a)가 구비되어 있다. 조출부(13)의 깔때기부(13b)가 연결 부재(47)에 의해 조출부(13)에 접속되어 있고, 연결 부재(47)를 떼어냄으로써, 조출부(13)의 깔때기부(13b)를 조출부(13)로부터 떼어 낼 수 있다.
도 8, 도 9,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류부(12)의 비료를 조출하여 조출부(13)의 깔때기부(13b)에 공급하는 회전체(48)가 조출부(13)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고, 회전체(48)는 외주부에 복수의 오목부를 구비한 원통 형상이다. 회전체(48)는 구동축(49)에 일체 회전하도록 연결되어 있고, 구동축(49)의 양측의 단부에 베어링부(50, 51)가 설치되어 있다.
도 8, 도 9,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체(48)의 외주부에 접촉하는 브러시(52)가 조출부(13)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고, 회전체(48)의 회전에 수반하여 비료가 회전체(48)의 오목부에 들어가면, 브러시(52)의 쓸어 냄 작용에 의해, 회전체(48)의 오목부의 용적에 상당하는 비료가 조출부(13)의 깔때기부(13b)에 공급된다. 브러시(52)는 기부(52a)에 구비되고, 기부(52a)에 손잡이부(52b)가 구비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8개의 조출부(13)에 있어서, 2개의 조출부(13)의 일체화된 케이스, 깔때기부(13b), 회전체(48), 구동축(49), 베어링부(50, 51) 및 브러시(52) 등이 동일한 것이며, 8개의 조출부(13)의 공통 부품으로 되어 있다.
후술하는 [5]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저류부(12)를 비작업 위치 A2로 이동시키면, 도 9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출부(13)의 상부가 개방되는 것이며, 회전체(48), 구동축(49) 및 베어링부(50, 51)를 일체로, 조출부(13)의 상부로부터 설치할 수 있다(떼어 낼 수 있다). 마찬가지로, 브러시(52)[기부(52a) 및 손잡이부(52b)]를 조출부(13)의 상부로부터 설치할 수 있다(떼어 낼 수 있다).
도 9, 도 10,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어링부(50)에, 손잡이부(50a)가 구비되어 있다. 베어링부(51)에 고정용의 걸림 결합부(51a)가 구비되어 있고, 걸림 결합부(51a)는 구동축(49)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며 돌출측(외측)으로 가압되고, 걸림 결합부(51a)에 조작용의 볼록부(51b)가 구비되어 있다.
도 9, 도 10 및 도 11의 좌측에 도시한 상태는, 회전체(48), 구동축(49) 및 베어링부(50, 51), 브러시(52)[기부(52a) 및 손잡이부(52b)]가 조출부(13)에 설치된 상태이며, 베어링부(51)의 걸림 결합부(51a)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조출부(13)의 내면에 걸림 결합하고 있다.
도 9, 도 10 및 도 11의 좌측에 도시한 상태에 있어서, 베어링부(50)가 조출부(13)의 좌우 중앙부에 설치되고, 베어링부(51)가 조출부(13)의 우측 및 좌측부에 설치되어 있고, 구동축(49)의 단부의 구동 기어(49a) 및 베어링부(51)의 볼록부(51b)가 조출부(13)의 외측으로 나와 있다.
도 9, 도 10 및 도 11의 좌측에 도시한 상태에 있어서, 우선 브러시(52)의 손잡이부(52b)를 잡고, 브러시(52)를 상측으로 빼내도록 하여 떼어 낸다. 다음에 베어링부(51)의 볼록부(51b)를 서로 접근시키도록 조작하여, 베어링부(51)의 걸림 결합부(51a)를 조출부(13)의 내면으로부터 이격하면서, 베어링부(50)의 손잡이부(50a)를 잡고, 베어링부(50, 51)를 상측으로 빼내도록 하여 떼어 낸다. 이에 의해, 베어링부(50, 51)와 일체로, 회전체(48) 및 구동축(49)이 떼어 내진다(도 11의 우측 참조).
[5]
다음에, 시비 장치(11)에 있어서, 저류부(12)의 지지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그것의 1).
도 2, 도 3,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8개의 조출부(13)에 있어서, 2개의 조출부(13)가 인접하여 구비되어 있고(연결되어 있고), 우측의 4개의 조출부(13)의 상부에 걸쳐 우측의 저류부(12)의 하부가 접속되어 있고, 좌측의 4개의 조출부(13)의 상부에 걸쳐 좌측의 저류부(12)의 하부가 접속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 제1 프레임(61)이 구비되고, 제1 프레임(61)의 우측 및 좌측부, 좌우 중앙부에 제2 프레임(62)이 연결되어, 제2 프레임(62)이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2 프레임(62)의 연장 부분에 걸쳐 제3 프레임(63)이 연결되어, 제3 프레임(63)이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61), 제2 프레임(62) 및 제3 프레임(63) 등에 의해, 저류부 프레임(53)(이동 기구에 상당)이 구성되어 있다. 저류부(12)의 하부가 제2 프레임(62)에 연결되어, 저류부(12)가 저류부 프레임(53)에 지지된 상태로 되어 있고, 저류부(12)의 후방측에 제1 프레임(61)이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고, 저류부(12)의 전방측에 제3 프레임(63)이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고, 저류부(12)의 횡측에 제2 프레임(62)이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로 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류부 프레임(53)에 있어서, 제1 프레임(61)에 지지점 부재(61a)가 연결되어 있고, 도 4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출부 프레임(44)에 있어서, 후방 프레임(40)에 지지점 부재(40a)가 연결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 프레임(40)의 지지점 부재(40a)의 좌우 방향의 횡축심 P1 주위로, 제1 프레임(61)의 지지점 부재(61a)가 상하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저류부 프레임(53)이 조출부(13)의 후방측의 횡축심 P1 주위로 상하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류부 프레임(53)을 횡축심 P1 주위로 상하로 요동시킴으로써, 저류부(12)의 하부가 조출부(13)의 상부에 접속된 작업 위치 A1과, 저류부(12)의 하부가 조출부(13)의 상부로부터 분리되어, 저류부(12)가 조출부(13)로부터 상측 및 후방측으로 이격된 비작업 위치 A2에 걸쳐, 저류부(12)를 이동시킬 수 있다.
[6]
다음에, 시비 장치(11)에 있어서, 저류부(12)의 지지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그것의 2).
도 5, 도 6,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류부 프레임(53)에 있어서, 제3 프레임(63)이 저류부(12)의 전방측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제3 프레임(63)이 저류부(12)를 작업 위치 A1과 비작업 위치 A2에 걸쳐 수동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손잡이부로 되어 있다.
이 경우, 전용의 손잡이부(도시하지 않음)를 제3 프레임(63)에 연결해 두어도 된다.
도 5, 도 6,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류부 프레임(53)에 있어서, 제3 프레임(63)의 좌우 중앙부에, 고정구(63a)가 연결되어 있다. 도 2, 도 6,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출부 프레임(44)에 있어서, 제3 프레임(63)의 고정구(63a)에 대응하는 전방 프레임(42)의 위치에, 브래킷(54)이 연결되고, 브래킷(54)에 버클 부재(55)가 구비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 2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류부(12)를 작업 위치 A1에 위치시킨 상태에 있어서, 버클 부재(55)를 제3 프레임(63)의 고정구(63a)에 걺으로써, 저류부(12)를 작업 위치 A1로 고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버클 부재(55)를 제3 프레임(63)에 구비하고, 고정구(63a)를 브래킷(54)에 연결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버클 부재(55)가 고정구로 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류부 프레임(53)에 있어서, 좌우 중앙부의 제2 프레임(62)의 전방부에, 지지 부재(56)가 전후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조출부 프레임(44)에 있어서, 지지 부재(56)에 대응하는 중간 프레임(43)에, 전후 방향을 따른 긴 구멍(43a)이 개구되어 있고, 지지 부재(56)의 하부의 횡방향의 핀(56a)이 중간 프레임(43)의 긴 구멍(43a)에 삽입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류부(12)를 작업 위치 A1에 위치시키면, 지지 부재(56)가 쓰러진 상태로 되어, 지지 부재(56)의 핀(56a)이 중간 프레임(43)의 긴 구멍(43a)의 후단부에 위치하고 있다.
도 6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류부(12)를 비작업 위치 A2로 이동시키면, 지지 부재(56)가 기립해 가고, 지지 부재(56)의 핀(56a)이 중간 프레임(43)의 긴 구멍(43a)을 따라서 전방측으로 이동한다. 저류부(12)를 비작업 위치 A2로 이동시키면, 지지 부재(56)가 기립하는 것이며, 지지 부재(56)의 핀(56a)이 중간 프레임(43)의 긴 구멍(43a)의 전단부의 오목부에 들어가 보유 지지된다.
이에 의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부재(56)에 의해, 저류부(12)를 작업 위치 A1로 이동하지 않도록 비작업 위치 A2에서 지지(보유 지지)할 수 있는 것이며, 저류부(12)가 비작업 위치 A2로부터 후방측으로 더 이동하는 상태가 방지된다.
[7]
다음에, 시비 장치(11)에 있어서, 저류부(12)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도 3,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류부(12)는 반투명의 합성 수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저류부(12)의 상부의 후방부의 좌우 방향의 횡축심 P2 주위로 개폐 가능한 덮개부(12a)가 구비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류부(12)가 작업 위치 A1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측면에서 보아, 저류부(12)의 후방부(12R)[저류부(12)의 횡축심 P1측의 부분에 상당]가 횡축심 P1의 상측을 넘어서 후방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 3, 도 5, 도 8,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류부(12)는 4개의 조출부(13)의 상부에 걸쳐 접속되므로, 저류부(12)의 하부에, 인접하는 2개의 조출부(13)에 대응하는 접속부(57)가 구비되고, 인접하는 다른 2개의 조출부(13)에 대응하는 접속부(57)가 구비되어 있고, 2개의 접속부(57)가 저류부(12)의 하부에 구비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 6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류부(12)의 작업 위치 A1에 있어서, 저류부(12)의 접속부(57)가 조출부(13)의 상부에 접속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류부(12)의 비작업 위치 A2에 있어서, 저류부(12)의 접속부(57)가 조출부(13)의 상부로부터 분리되어, 저류부(12)가 조출부(13)로부터 상측 및 후방측으로 이격된다.
도 6, 도 8,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류부(12)를 작업 위치 A1로 이동시키면[저류부(12)의 접속부(57)가 조출부(13)의 상부에 접속되면], 조출부(13)에 있어서, 접속부(57)에 의해, 베어링부(50, 51) 및 브러시(52)[기부(52a) 및 손잡이부(52b)]가 압박된 상태로 되어, 베어링부(50, 51) 및 브러시(52)[기부(52a) 및 손잡이부(52b)]가 조출부(13)에 안정적으로 지지(보유 지지)된다.
도 8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부(57)는 2개의 조출부(13)의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접속부(57)의 외주부에 고무제의 시일 부재(58)가 설치되어 있다. 접속부(57)에 있어서 2개의 조출부(13)[회전체(48)]에 대응하는 부분에,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 형상의 복수의 개구부(57a)와, 단면에서 보아 삼각 형상의 복수의 구획부(57b)가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도 8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조출부(13)에 대응하여, 2개의 평판 형상의 개폐부(59)가 구비되어 있고, 접속부(57)의 개구부(57a)와 동일한 형상의 개구부(59a)가, 접속부(57)의 개구부(57a)와 동일한 피치로, 개폐부(59)에 구비되어 있다. 접속부(57)의 개구부(57a)의 하측의 부분에 개폐부(59)가 배치되고, 접속부(57)의 하부에 설치된 안내 부재(60)에 의해, 개폐부(59)가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개폐부(59)의 손잡이부(59b)가 저류부(12)의 전방부에 위치하고 있다.
도 12의 하측에 도시한 상태는, 개폐부(59)의 손잡이부(59b)가 접속부(57)로부터 당김 조작되어, 개폐부(59)가 개방 위치로 조작된 상태이며, 접속부(57)의 개구부(57a)와 개폐부(59)의 개구부(59a)가 일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개폐부(59)가 개방 위치로 조작된 상태에 있어서, 저류부(12)의 하부[접속부(57)]가 개방된 상태로 되어, 저류부(12)의 비료가 접속부(57) 및 개폐부(59)의 개구부(57a, 59a)를 통해, 조출부(13)에 들어간다. 전항 [2]에 기재된 식부 작업 상태에 있어서, 개폐부(59)를 개방 위치로 조작한다.
도 8 및 도 12의 상측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부(59)의 손잡이부(59b)를 접속부(57)에 누름 조작하여, 개폐부(59)를 폐쇄 위치로 조작하면, 개폐부(59)의 개구부(59a)가 접속부(57)의 구획부(57b)의 하측으로 이동하여, 개폐부(59)에 의해 접속부(57)의 개구부(57a)가 폐쇄된다. 이에 의해, 저류부(12)의 하부[접속부(57)]가 폐쇄된 상태로 되어, 비료가 저류부(12)의 하부로부터 나오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전항 [5]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저류부(12)를 비작업 위치 A2로 이동시킬 때에, 개폐부(59)를 폐쇄 위치로 조작해 둔다.
[8]
다음에, 시비 장치(11)에의 전동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17)의 동력이, 주행용의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도시하지 않음) 및 미션 케이스(18)에 구비된 시비 클러치(도시하지 않음)로부터, 기체의 하부에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 전동축(21)에 전달되고 있다.
도 1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비 장치(11)의 우측 후방부의 좌우 방향을 따라서 전동축(22)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전동축(21)의 후방부에 연결된 아암(21a)과, 전동축(22)의 좌측부에 연결된 아암(22a)에 걸쳐, 연계 로드(23)가 접속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전동축(21)의 회전 동력이, 전동축(21)의 아암(21a) 및 연계 로드(23)에 의해 상하의 왕복 동력으로 변환되고, 연계 로드(23)에 의해 소정 각도의 범위에서의 왕복 회전 동력으로서 전동축(22)에 전달된다.
도 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출부 프레임(44)에 있어서, 우측의 횡프레임(41)에 공급량 변경 장치(24)가 구비되어 있고, 전동축(22)의 우측부가 공급량 변경 장치(24)에 접속되어 있다. 도 6, 도 7, 도 13,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출부(13)의 후방부의 좌우 방향을 따라서, 구동축(37)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구동축(37)의 우측부가 공급량 변경 장치(24)에 접속되어 있다.
도 6, 도 7, 도 13,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기어(37a)가 구동축(37)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구동 기어(37a)가 구동축(49)의 구동 기어(49a)(전항 [4] 참조)에 교합되어 있다. 시프트 부재(37b)가 구동축(37)에 일체 회전 및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고, 시프트 부재(37b)가 구동 기어(37a)에 교합하는 작동 위치 및 구동 기어(37a)로부터 이격한 정지 위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시프트 부재(37b)가 구동 기어(37a)와의 교합측의 작동 위치에 가압되어 있다.
이에 의해, 구동 기어(37a)와 시프트 부재(37b)에 의해, 하나의 조출부(13)를 작동 상태 및 정지 상태로 조작 가능한 시비 클러치가 구성되어 있다.
이상의 구조에 의해,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동축(21)의 회전 동력이, 전동축(21)의 아암(21a) 및 연계 로드(23)에 의해, 상하의 왕복 회전 동력으로 변환되어 전동축(22)에 전달되고, 전동축(22)의 왕복 회전 동력이, 공급량 변경 장치(24)에 의해 일방향의 회전 동력으로 변환되어, 구동축(37)에 전달된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급량 변경 장치(24)에 있어서 구동축(37)의 회전 속도가 수동으로 변경 가능하고, 구동축(37)의 동력이 구동 기어(37a)로부터 구동축(49)의 구동 기어(49a)에 전달되고, 회전체(48)가 회전 구동되어 조출부(13)로부터 비료가 조출된다.
[9]
다음에, 시비 클러치의 조작계에 대하여 설명한다(그것의 1).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축(37)과 평행하게 조작축(64)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조작축(64)에 있어서의 구동축(37)의 시프트 부재(37b)에 대향하는 부분에, 캠 부재(64a)가 연결되어 있다.
도 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축(64)을 회전 구동하는 전동 모터(65)가 우측의 횡프레임(41)에 구비되어 있고, 조작 지령에 기초하여 전동 모터(65)가 작동한다. 조작축(64)이 회전 구동되면, 조작축(64)의 캠 부재(64a)에 의해, 구동축(37)의 시프트 부재(37b)가 구동 기어(37a)로부터 이격측으로 조작되어, 조출부(13)가 정지 상태로 된다(시비 클러치의 정지 위치).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8개의 조출부(13)에 있어서, 2개의 조출부(13)가 인접하여 구비되어 있음으로써(연결되어 있음으로써), 기체의 진행 방향을 향하여 좌측으로부터, 1번째의 2개의 조출부(13), 2번째의 2개의 조출부(13), 3번째의 2개의 조출부(13), 4번째의 2개의 조출부(13)로서 설정한 것으로 한다.
도 3 및 도 14에 도시한 상태는, 조작축(64)의 모든 캠 부재(64a)가 구동축(37)의 모든 시프트 부재(37b)로부터 이격되어, 구동축(37)의 모든 시프트 부재(37b)가 구동 기어(37a)에 교합한 상태이며, 1∼4번째의 2개의 조출부(13)의 작동 상태이다(시비 클러치의 작동 위치).
1∼4번째의 2개의 조출부(13)[8개의 조출부(13)]의 작동 상태에 있어서,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축(64)이 일방향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 구동될 때마다, 1번째의 2개의 조출부(13)의 정지 상태, 1, 2번째의 2개의 조출부(13)의 정지 상태[4개의 조출부(13)의 정지 상태], 1, 2, 3번째의 2개의 조출부(13)의 정지 상태[6개의 조출부(13)의 정지 상태], 1, 2, 3, 4번째의 2개의 조출부(13)의 정지 상태[8개의 조출부(13)의 정지 상태]를 얻을 수 있다.
1∼4번째의 2개의 조출부(13)[8개의 조출부(13)]의 작동 상태에 있어서,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축(64)이 역방향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 구동될 때마다, 4번째의 2개의 조출부(13)의 정지 상태, 4, 3번째의 2개의 조출부(13)의 정지 상태[4개의 조출부(13)의 정지 상태], 4, 3, 2번째의 2개의 조출부(13)의 정지 상태[6개의 조출부(13)의 정지 상태], 4, 3, 2, 1번째의 2개의 조출부(13)의 정지 상태[8개의 조출부(13)의 정지 상태]를 얻을 수 있다.
[10]
다음에, 시비 클러치의 조작계에 대하여 설명한다(그것의 2).
도 4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출부 프레임(44)에 있어서, 중간 프레임(43)에 브래킷(43b)이 연결되어 있고, 후방 프레임(40)의 우측부에 브래킷(66)이 연결되어 있다. 중간 프레임(43)의 브래킷(43b) 및 브래킷(66)에, 스프링 선재로 구성된 8개의 조작 레버(67)가 연결되고, 8개의 조작 레버(67)가 전방 프레임(42)의 하측을 통해 전방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8개의 조작 레버(67)의 각각은, 8개의 조출부(13)의 각각에 있어서, 구동축(37)의 시프트 부재(37b)의 상측 근방에 위치하고 있고, 조작 레버(67)를 조작하지 않은 상태[조작 레버(67)의 작동 위치]에 있어서, 구동축(37)의 시프트 부재(37b)가 구동 기어(37a)에 교합하고 있다[조출부(13)의 작동 상태].
전항 [9]에 기재된 바와 같이, 조작축(64)의 캠 부재(64a)에 의해, 구동축(37)의 시프트 부재(37b)가 구동 기어(37a)로부터 이격측으로 조작되어도[조출부(13)의 정지 상태], 구동축(37)의 시프트 부재(37b)가 조작 레버(67)로부터 이격될 뿐이며, 조작축(64)의 캠 부재(64a)에 의한 구동축(37)의 시프트 부재(37b)의 조작에 지장은 없다.
도 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레버(67)를 탄성 변형시키면서, 조작 레버(67)에 의해 구동축(37)의 시프트 부재(37b)를 구동 기어(37a)로부터 이격 측으로 조작할 수 있는 것이며, 조작 레버(67)를 전방 프레임(42)의 걸림 결합부(도시하지 않음)에 보유 지지함으로써[조작 레버(67)의 정지 위치], 구동축(37)의 시프트 부재(37b)를 구동 기어(37a)로부터 이격측으로 조작한 상태로 보유 지지할 수 있다[조출부(13)의 정지 상태](시비 클러치의 정지 위치).
전술한 바와 같이, 조작 레버(67)에 의해 구동축(37)의 시프트 부재(37b)를 구동 기어(37a)로부터 이격측으로 조작하여 보유 지지한 상태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조작축(64)이 회전 구동되어도, 조작축(64)의 캠 부재(64a)가 구동축(37)의 시프트 부재(37b)에 접촉하지 않고 공회전할 뿐이며, 조작 레버(67)에 의해 구동축(37)의 시프트 부재(37b)를 구동 기어(37a)로부터 이격측으로 조작하여 보유 지지한 상태에 지장은 없다.
도 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레버(67)는 8개의 조출부(13)의 각각에 대하여 구비되어 있으므로, 조작 레버(67)에 의해 8개의 조출부(13)의 각각을 독립하여 정지 상태로 조작할 수 있다.
[11]
다음에, 식부 작업이 종료된 후에 있어서, 저류부(12)에 남은 비료를 회수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 도 13,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기부(26)로부터 배출 덕트(29)가 후방측으로 연장되어, 조출부(13)의 후방측에서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프레임(45)이 경사 하측의 후방측으로 연장되고, 배출 덕트(29)가 프레임(45)의 연장 부분에 연결되어 지지되어 있다. 조출부(13)의 후방부로부터 배출부(13c)가 연장되어, 배출부(13c)가 배출 덕트(29)에 접속되어 있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출 덕트(29)는 측면에서 보아, 조출부(13)의 깔때기부(13b) 및 호스(16)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고, 조출부(13)의 깔때기부(13b)의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조출부(13)의 깔때기부(13b)가 배출 덕트(29)보다도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로어(14)의 반송풍의 전환 조작용의 셔터(26a)가 분기부(26)에 구비되어 있다. 도 8, 도 9,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출부(13)의 배출부(13c)를 개폐 가능한 셔터(13d)가 구비되어 있다.
도 2, 도 4,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출부 프레임(44)에 있어서, 우측의 횡프레임(41)에 전환 레버(68)가 상하 방향으로 요동 조작 가능하게 지지되고, 전환 레버(68)를 안내하는 레버 가이드(69)가 구비되어 있다. 전환 레버(68)에 연결된 조작축(70)이 전방 프레임(42)의 전방측을 따라서 좌우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고, 조작축(70)의 연장 부분과 분기부(26)의 셔터(26a)에 걸쳐 연계 링크(71)가 접속되고, 조작축(70)의 중간 부분과 조출부(13)의 셔터(13d)에 걸쳐 연계 링크(72)가 접속되어 있다.
도 15에 도시한 상태는, 전환 레버(68)를 공급 위치로 조작한 상태이며, 조작축(70) 및 연계 링크(71)에 의해, 분기부(26)의 셔터(26a)가 배출 덕트(29)의 입구를 막는 위치로 조작되고[블로어(14)와 공급 덕트(27)가 접속된 상태], 조작축(70) 및 연계 링크(72)에 의해, 조출부(13)의 셔터(13d)가 폐쇄 위치로 조작된 상태(도 8 참조)이다.
전환 레버(68)를 공급 위치로 조작한 상태에 있어서, 전항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블로어(14)의 반송풍이 공급 덕트(27)를 통해 조출부(13)에 공급되고, 저류부(12)로부터 비료가 소정량씩 조출부(13)에 의해 조출되어, 블로어(14)의 반송풍에 의해 비료가 호스(16)를 통해 작구기(15)에 공급되는 것이며, 작구기(15)에 의해 논바닥에 형성된 홈에, 비료가 작구기(15)를 통해 공급된다.
식부 작업이 종료된 후에 있어서, 저류부(12)에 남은 비료를 회수하는 경우,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환 레버(68)를 배출 위치로 조작한다.
전환 레버(68)를 배출 위치로 조작하면, 조작축(70) 및 연계 링크(71)에 의해, 분기부(26)의 셔터(26a)가 공급 덕트(27)의 입구를 막는 위치로 조작되고[블로어(14)와 배출 덕트(29)가 접속된 상태], 조작축(70) 및 연계 링크(72)에 의해, 조출부(13)의 셔터(13d)가 개방 위치로 조작된다.
전환 레버(68)를 배출 위치로 조작한 상태에 있어서, 모든 개폐부(59)를 개방 위치로 조작함으로써(전항 [7] 참조), 도 8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류부(12)의 비료가 조출부(13)의 배출부(13c)로부터 배출 덕트(29)로 나오는 것이며, 블로어(14)의 반송풍이 배출 덕트(29)에 공급되어, 배출 덕트(29)로 나온 비료가 보내어져 배출 덕트(29)의 배출구(29a)로부터 배출되어 회수된다.
[발명의 실시의 제1 다른 형태]
전술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있어서, 링크 기구(3)의 후방부에 모내기 장치(5) 및 시비 장치(11)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저류부 프레임(53)의 후방부[제1 프레임(61)]를, 조출부 프레임(44)에 있어서의 후방 프레임(40)의 횡축심 P1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여, 저류부(12)를 조출부(13)로부터 상측 및 후방측으로 이격된 비작업 위치 A2로 이동시키도록 구성하면 된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반대로, 저류부 프레임(53)의 전방부[제3 프레임(63)]를, 조출부 프레임(44)에 있어서의 전방 프레임(42)의 횡축심 P1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여, 저류부(12)를 조출부(13)로부터 상측 및 전방측으로 이격된 비작업 위치 A2로 이동시키도록 구성해도 된다.
[발명의 실시의 제2 다른 형태]
전술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발명의 실시의 제1 다른 형태]에 있어서, 저류부 프레임(53)의 후방부 또는 전방부를, 조출부(13)를 지지하는 조출부 프레임(44)이 아니라, 기체[링크 기구(3)]에 구비되어 조출부(13)의 전방측 또는 후방측에 배치된 다른 지지 프레임(도시하지 않음)의 횡축심 P1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해도 된다.
[발명의 실시의 제3 다른 형태]
전술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발명의 실시의 제1 다른 형태] [발명의 실시의 제2 다른 형태]에 있어서, 저류부(12)를 저류부 프레임(53)에 의해 횡축심 P1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 아니라, 저류부(12)를 4연 링크 기구(도시하지 않음)(이동 기구에 상당)에 의해 평행하게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거나, 평행하게 전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거나, 평행하게 좌우 이동 가능하게 지지해도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저류부(12)를 전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 경우, 저류부(12)의 하부의 후방부가 조출부(13)의 전방부에 접속되도록 구성하여, 저류부(12)의 하부의 후방부가 조출부(13)의 전방부에 접속된 작업 위치 A1, 및, 저류부(12)의 하부의 후방부가 조출부(13)의 전방부로부터 분리되어, 저류부(12)가 조출부(13)로부터 전방측으로 이격된 비작업 위치 A2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해도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저류부(12)를 전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 경우, 저류부(12)의 하부의 전방부가 조출부(13)의 후방부에 접속되도록 구성하여, 저류부(12)의 하부의 전방부가 조출부(13)의 후방부에 접속된 작업 위치 A1, 및, 저류부(12)의 하부의 전방부가 조출부(13)의 후방부로부터 분리되어, 저류부(12)가 조출부(13)로부터 후방측으로 이격된 비작업 위치 A2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해도 된다.
[발명의 실시의 제4 다른 형태]
전술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발명의 실시의 제1 다른 형태]∼[발명의 실시의 제3 다른 형태]에 있어서, 저류부(12)를 비작업 위치 A2로 이동시키면, 회전체(48), 구동축(49) 및 베어링부(50, 51)를, 일체가 아니라 개별로 독립하여 조출부(13)로부터 떼어 낼 수 있도록 구성해도 된다.
전술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발명의 실시의 제1 다른 형태]∼[발명의 실시의 제3 다른 형태]에 있어서, 저류부(12)를 비작업 위치 A2로 이동시키면, 회전체(48)를 조출부(13)로부터 떼어 낼 수 있고, 구동축(49) 및 베어링부(50, 51)는 조출부(13)에 남도록 구성해도 된다[회전체(48) 및 구동축(49)을 조출부(13)로부터 떼어 낼 수 있고, 베어링부(50, 51)는 조출부(13)에 남도록 구성해도 된다].
[발명의 실시의 제5 다른 형태]
전술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발명의 실시의 제1 다른 형태]∼[발명의 실시의 제4 다른 형태]에 있어서, 우측의 저류부(12) 및 좌측의 저류부(12)를 개별로 작업 위치 A1 및 비작업 위치 A2로 이동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저류부(12)를 일체로 작업 위치 A1 및 비작업 위치 A2로 이동시키도록 구성해도 된다.
전술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발명의 실시의 제1 다른 형태]∼[발명의 실시의 제4 다른 형태]에 있어서, 조출부(13)의 각각에 독립된 저류부(12)를 구비하고[예를 들어 8개의 조출부(13)를 구비한 경우, 8개의 작은 저류부(12)를 구비함], 하나의 조출부(13)에 대응하는 하나의 저류부(12)를 독립하여 작업 위치 A1 및 비작업 위치 A2로 이동시키도록 구성해도 된다.
[발명의 실시의 제6 다른 형태]
시비 장치(11)가 아니라, 농용의 분립체로서 약제를 논바닥에 공급하는 약제 공급 장치(저류부 및 조출부)(도시하지 않음)나, 농용의 분립체로서 종자를 논바닥에 공급하는 파종 장치(저류부 및 조출부)(도시하지 않음)에 대하여, 전술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발명의 실시의 제1 다른 형태]∼[발명의 실시의 제5 다른 형태]에 기재된 구성을 적용해도 된다.
[발명의 실시의 제7 다른 형태]
전술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발명의 실시의 제1 다른 형태]∼[발명의 실시의 제6 다른 형태]에 있어서, 저류부 프레임(53)에 있어서의 제3 프레임(63)을 폐지하고, 저류부 프레임(53)이 제1 및 제2 프레임(61, 62)을 구비하도록 구성하고, 저류부 프레임(53)의 후방부[제1 프레임(61)], 또는 저류부 프레임(53)의 전방부[제2 프레임(62)의 전방부]를, 조출부 프레임(44)에 있어서의 후방 프레임(40)[전방 프레임(42)]의 횡축심 P1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해도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저류부 프레임(53)에 있어서의 제3 프레임(63)을 폐지한 경우, 저류부(12)의 전방측에 제1 프레임(61)을 배치하고, 제1 프레임(61)으로부터 제2 프레임(62)이 후방측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저류부 프레임(53)의 후방부[제2 프레임(62)의 후방부], 또는 저류부 프레임(53)의 전방부[제1 프레임(61)]를 조출부 프레임(44)에 있어서의 후방 프레임(40)[전방 프레임(42)]의 횡축심 P1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면 된다.
[발명의 실시의 제8 다른 형태]
전술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발명의 실시의 제1 다른 형태]∼[발명의 실시의 제7 다른 형태]에 있어서, 저류부 프레임(53)의 후방부 또는 전방부를, 조출부(13)를 지지하는 조출부 프레임(44)이 아니라, 기체[링크 기구(3)]에 구비되어 조출부(13)의 전방측 또는 후방측에 배치된 다른 지지 프레임(도시하지 않음)의 횡축심 P1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해도 된다.
[발명의 실시의 제9 다른 형태]
전술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발명의 실시의 제1 다른 형태]∼[발명의 실시의 제8 다른 형태]에 있어서, 저류부 프레임(53)의 전방부를, 조출부(13)의 전방측의 횡축심 P1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여, 저류부(12)를 조출부(13)로부터 상측 및 전방측으로 이격된 비작업 위치 A2로 이동시키도록 구성한 경우, 저류부(12)가 작업 위치 A1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측면에서 보아, 저류부(12)의 전방부[저류부(12)의 횡축심 P1측의 부분에 상당]가, 횡축심 P1의 상측을 넘어서 전방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해도 된다.

Claims (17)

  1. 분립체를 저류하는 저류부와, 상기 저류부에 접속되어 상기 저류부로부터 분립체를 조출하여 논바닥에 공급하는 조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저류부가 상기 조출부로부터 분리 가능하고,
    상기 저류부가 상기 조출부에 접속된 작업 위치와, 상기 저류부가 상기 조출부로부터 분리되어 이격된 비작업 위치에 걸쳐, 상기 저류부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이동 기구가 구비되어 있고,
    분립체가 상기 저류부로부터 상기 조출부에 들어가는 것을 허용하는 개방 위치와, 분립체가 상기 저류부로부터 나오는 것을 막는 폐쇄 위치로 조작 가능한 개폐부가 상기 저류부에 구비되어 있는, 수전 작업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부가 분리된 상기 조출부의 부분에 있어서,
    분립체를 조출하는 회전체가, 상기 조출부로부터 떼어 내기 가능한, 수전 작업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부가 분리된 상기 조출부의 부분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부가, 상기 조출부로부터 떼어 내기 가능한, 수전 작업차.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조출부가 인접하여 구비되고, 복수의 상기 조출부에 걸쳐 공통의 상기 저류부가 구비되어 있고,
    복수의 상기 조출부에 대응하는 복수의 상기 개폐부가, 상기 저류부에 구비되어 있는, 수전 작업차.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출부의 상부와 상기 저류부의 하부가 접속 및 분리 가능한, 수전 작업차.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출부가 기체의 후방부에 구비되고,
    상기 저류부의 하부가 상기 조출부의 상부에 접속된 상기 작업 위치와, 상기 저류부의 하부가 상기 조출부의 상부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저류부가 상기 조출부로부터 상측 및 후방측으로 이격된 상기 비작업 위치에 걸쳐, 상기 저류부가 상기 이동 기구에 의해 상기 조출부의 후방측의 좌우 방향의 횡축심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수전 작업차.
  7. 분립체를 저류하는 저류부와, 상기 저류부의 하부에 접속되어 상기 저류부로부터 분립체를 조출하여 논바닥에 공급하는 조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저류부의 하부가 상기 조출부의 상부로부터 분리 가능하고,
    상기 저류부를 지지하는 저류부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저류부 프레임이, 상기 저류부의 전방측 또는 후방측에 위치하여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에 연결되어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 제2 프레임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저류부 프레임이 좌우 방향의 횡축심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저류부 프레임을 상기 횡축심 주위로 요동시킴으로써, 상기 저류부의 하부가 상기 조출부의 상부에 접속된 작업 위치와, 상기 저류부의 하부가 상기 조출부의 상부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저류부가 상기 조출부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비작업 위치에 걸쳐, 상기 저류부가 상기 저류부 프레임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수전 작업차.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부 프레임에, 상기 제2 프레임의 연장 부분에 연결되어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 제3 프레임이 구비되어 있는, 수전 작업차.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프레임에, 상기 저류부를 상기 작업 위치와 상기 비작업 위치에 걸쳐 수동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손잡이부가 구비되어 있는, 수전 작업차.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프레임에, 상기 저류부를 상기 작업 위치에서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가 구비되어 있는, 수전 작업차.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출부를 지지하는 조출부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조출부 프레임이, 상기 조출부의 전방측에 위치하여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 전방 프레임과, 상기 조출부의 후방측에 위치하여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 후방 프레임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저류부 프레임이 상기 전방 또는 후방 프레임의 상기 횡축심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수전 작업차.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부를 상기 비작업 위치에서 지지하는 지지 부재가, 상기 조출부 프레임에 구비되어 있는, 수전 작업차.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출부를 작동 상태와 정지 상태로 조작 가능한 조작 레버가, 상기 조출부 프레임에 구비되어 있는, 수전 작업차.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부가 상기 작업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측면에서 보아, 상기 저류부의 상기 횡축심측의 부분이, 상기 횡축심의 상측을 넘어서 돌출되어 있는, 수전 작업차.
  1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부의 하부를 개방하여 분립체가 상기 저류부의 하부로부터 상기 조출부에 들어가는 것을 허용하는 개방 위치와, 상기 저류부의 하부를 폐쇄하여 분립체가 상기 저류부의 하부로부터 나오는 것을 막는 폐쇄 위치로 조작 가능한 개폐부가, 상기 저류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있는, 수전 작업차.
  16. 제7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조출부가 인접하여 구비되고, 복수의 상기 조출부에 걸쳐 공통의 상기 저류부가 구비되어 있는, 수전 작업차.
  17. 제7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조출부가 기체의 후방부에 좌우 방향을 따라서 구비되고, 상기 횡축심이 상기 조출부의 후방측에 구비되고,
    상기 저류부 프레임을 상기 횡축심 주위로 요동시킴으로써, 상기 저류부의 하부가 상기 조출부의 상부에 접속된 상기 작업 위치와, 상기 저류부의 하부가 상기 조출부의 상부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저류부가 상기 조출부로부터 상측 및 후방측으로 이격된 상기 비작업 위치에 걸쳐, 상기 저류부가 상기 저류부 프레임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수전 작업차.
KR1020170070614A 2016-06-29 2017-06-07 수전 작업차 KR1024312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29160 2016-06-29
JP2016129160A JP6635882B2 (ja) 2016-06-29 2016-06-29 水田作業車
JP2016129161A JP6739249B2 (ja) 2016-06-29 2016-06-29 水田作業車
JPJP-P-2016-129161 2016-06-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500A true KR20180002500A (ko) 2018-01-08
KR102431274B1 KR102431274B1 (ko) 2022-08-11

Family

ID=60970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0614A KR102431274B1 (ko) 2016-06-29 2017-06-07 수전 작업차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31274B1 (ko)
CN (2) CN10753513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97057A (zh) * 2018-10-19 2019-01-15 浙江理工大学 中间不连接式水稻侧深施肥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99630A (zh) * 2018-02-28 2019-09-06 株式会社久保田 乘坐型作业机
CN110199634B (zh) * 2018-02-28 2022-06-14 株式会社久保田 乘坐型作业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88017A (en) * 1992-12-08 1994-02-22 Republic Tool & Mfg. Corp. Collapsible spreader
KR20030044834A (ko) * 2001-11-30 2003-06-09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분립체 토출기
JP2013000074A (ja) 2011-06-17 2013-01-07 Kubota Corp 水田作業機の農用資材供給装置
US20140196645A1 (en) * 2011-01-06 2014-07-17 Cnh Canada, Ltd. Method Of Providing Sectional Control During Seeding Of a Field Using A Farm Implement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0917A (ja) * 1997-01-29 1998-08-11 Taisho Corp 散布装置
JP3397754B2 (ja) * 1999-06-30 2003-04-21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US7051663B2 (en) * 2001-12-18 2006-05-30 Deere & Company Pivoting planting units vertically
JP2004024178A (ja) * 2002-06-27 2004-01-29 Iseki & Co Ltd 苗移植機
CN1268195C (zh) * 2003-03-27 2006-08-09 株式会社久保田 水田作业机
JP2004321104A (ja) * 2003-04-25 2004-11-18 Iseki & Co Ltd 粉粒体吐出機
JP2005237245A (ja) * 2004-02-25 2005-09-08 Iseki & Co Ltd 苗植機の粉粒体繰出装置
JP5108807B2 (ja) * 2009-02-24 2012-12-26 株式会社クボタ 粉粒体供給装置
JP5237855B2 (ja) * 2009-02-25 2013-07-17 株式会社クボタ 農用供給装置
JP5698013B2 (ja) * 2011-01-26 2015-04-08 株式会社クボタ 粉粒体散布装置
JP2013066449A (ja) * 2011-09-26 2013-04-18 Iseki & Co Ltd 苗移植機
JP6157053B2 (ja) * 2011-12-20 2017-07-05 株式会社クボタ 水田作業機
JP5984691B2 (ja) * 2013-01-21 2016-09-06 株式会社クボタ 水田作業機
JP5984690B2 (ja) * 2013-01-21 2016-09-06 株式会社クボタ 水田作業機
JP2015039325A (ja) * 2013-08-21 2015-03-02 株式会社クボタ 水田作業機
JP6138028B2 (ja) * 2013-11-14 2017-05-31 株式会社クボタ 水田作業機
CN205213382U (zh) * 2015-12-07 2016-05-11 株式会社久保田 水田作业机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88017A (en) * 1992-12-08 1994-02-22 Republic Tool & Mfg. Corp. Collapsible spreader
KR20030044834A (ko) * 2001-11-30 2003-06-09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분립체 토출기
US20140196645A1 (en) * 2011-01-06 2014-07-17 Cnh Canada, Ltd. Method Of Providing Sectional Control During Seeding Of a Field Using A Farm Implement
JP2013000074A (ja) 2011-06-17 2013-01-07 Kubota Corp 水田作業機の農用資材供給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97057A (zh) * 2018-10-19 2019-01-15 浙江理工大学 中间不连接式水稻侧深施肥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731804A (zh) 2022-07-12
CN107535136B (zh) 2022-03-04
CN114731804B (zh) 2024-04-19
CN107535136A (zh) 2018-01-05
KR102431274B1 (ko) 2022-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2826B1 (ko) 수전 작업차
JP5249811B2 (ja) 作業機
JP5237855B2 (ja) 農用供給装置
KR20180002500A (ko) 수전 작업차
WO2019082517A1 (ja) 乗用田植機
JP6739249B2 (ja) 水田作業車
JP6635882B2 (ja) 水田作業車
JP2007037440A (ja) 施肥装置付き乗用田植機
JP2010193861A (ja) 粉粒剤施用装置
JP4816001B2 (ja) 作業車両
CN105191551B (zh) 插播系水田作业机
JP7138590B2 (ja) 水田作業機
JP2015123045A (ja) 苗移植機の施肥装置
JP2013099349A (ja) 施肥装置
JP2007282584A (ja) 苗移植機
JP5189523B2 (ja) 施肥装置
JP5547996B2 (ja) 農用粒状物供給装置
JP5596640B2 (ja) 水田作業機
JP4727865B2 (ja) 側条施肥機
JP2017201925A (ja) 作業車両
JP6827351B2 (ja) 田植機
JP6532365B2 (ja) 水田作業機
JP2003210012A (ja) 施肥装置付き乗用型苗植機
JP2007089499A (ja) 水田作業機
JP2007282584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