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9032A - 감열 기록 재료 - Google Patents

감열 기록 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9032A
KR20170109032A KR1020177024307A KR20177024307A KR20170109032A KR 20170109032 A KR20170109032 A KR 20170109032A KR 1020177024307 A KR1020177024307 A KR 1020177024307A KR 20177024307 A KR20177024307 A KR 20177024307A KR 20170109032 A KR20170109032 A KR 201701090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tive recording
heat
coating composition
recording lay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4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8570B1 (ko
Inventor
안드레아스 야기엘로
마티아스 마르크스
마틴 슈리어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하이텍 페이퍼 유럽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349881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70109032(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하이텍 페이퍼 유럽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미츠비시 하이텍 페이퍼 유럽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70109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90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8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85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4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characterised by the base backcoat, intermediate, or covering layers, e.g. for thermal transfer dye-donor or dye-receiver sheets; Heat, radiation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or layers; combined with other image registration layers or compositions; Special originals for reproduction by thermography
    • B41M5/42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 B41M5/426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characterised by inorganic compounds, e.g. metals, metal salts, metal comple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4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characterised by the base backcoat, intermediate, or covering layers, e.g. for thermal transfer dye-donor or dye-receiver sheets; Heat, radiation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or layers; combined with other image registration layers or compositions; Special originals for reproduction by thermography
    • B41M5/42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 B41M5/44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characterised by the macromolecular compounds
    • B41M5/443Silicon-containing polymers, e.g. silicones, silox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3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using chemical colour formers
    • B41M5/323Organic colour formers, e.g. leuco dy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4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characterised by the base backcoat, intermediate, or covering layers, e.g. for thermal transfer dye-donor or dye-receiver sheets; Heat, radiation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or layers; combined with other image registration layers or compositions; Special originals for reproduction by thermography
    • B41M5/42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 B41M5/44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characterised by the macromolecular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2205/00Printing methods or features related to printing methods; Location or type of the layers
    • B41M2205/04Direct thermal recording [DT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2205/00Printing methods or features related to printing methods; Location or type of the layers
    • B41M2205/40Cover layers; Layers separated from substrate by imaging layer; Protective layers; Layers applied before imag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t Sensitive Colour Forming Recording (AREA)

Abstract

- 정면 및 상기 정면의 반대편에 있는 후면을 포함하는 웹-형상 기재(1),
- 웹-형상 기재(1)의 정면에 배치된 감열 기록층(3)을 포함하고,
상기 감열 기록층(3)은 적어도 하나의 염료 전구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염료 전구체와 반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현색제를 포함하며,
- 웹-형상 기재(1)의 후면에 도포될 수 있는 접착제층(7)에 대해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감열 기록 재료의 정면 표면(6)을 갖는 감열 기록 재료가 제안되는데,
여기서 제안된 감열 기록 재료는, 탈착성 정면 표면(6)의 형성을 위해 감열 기록 재료가
* 감열 기록층(3) 위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이형제를 포함하는 퍼니시(5),

* 적어도 하나의 이형제-포함 퍼니시(5) 및 감열 기록층(3) 사이에 형성된 확산층(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종류의 감열 기록 재료의 제조 방법 및 그 용도가 또한 제안된다.

Description

감열 기록 재료
본 발명은 웹(web)-형상 기재 및 상기 웹-형상 기재의 정면에 배치된 감열(heat-sensitive) 기록층을 포함하고, 상기 감열 기록층은 적어도 하나의 염료 전구체(dye precursor)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염료 전구체와 반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현색제((color) developer)를 포함하는 감열 기록 재료에 관한 것이다. 염료 전구체와 반응한다는 것은, 여기에서 제안하는 모든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의미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현색제가 외부 열의 충분한 공급 시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염료 전구체와 반응함으로써 시각적으로 식별 가능한 인쇄 이미지를 형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감열 기록 재료의 표면은 웹-형상 기재의 후면에 도포될 수 있는 접착제층에 대해 탈착 가능하게(dehesively) 형성된다.
외부 열의 공급 시에 색상-형성 반응을 하는 감열 기록 재료는 무엇보다도 상인 발행 티켓 및/또는 영수증 및/또는 출입 카드에 사용되는 큰 이점에 기인하여, 다년간 알려져 왔고 근본적으로 지속적인 인기를 누려왔다. 색상-형성 성분, 즉 염료 전구체 및 열의 공급 시에 상기 전구체와 반응하고 또한 색상 수용체로도 불리는 현색제는 이러한 종류의 감열 기록 과정에서 기록 재료 자체 내에 있기 때문에, 토너 및 잉크 카트리지가 없고 정기적인 정비가 더 이상 필요없는 감열식 프린터(thermal printer)는 다수 개로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기능 구성의 측면에서 이미 상술한 기록층을 정면 쪽에 포함하고, 사용자가 감열 기록 재료를 자가-접착성 티켓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접착제층을 후면 쪽에 포함하는 감열 기록 재료가 특히 인기있다. 이 혁신적인 기술은 소매업에서, 예를 들어 자가-칭량(self-weighed) 제품의 가격 책정을 위해, 또한 대중교통에서, 예를 들어 수하물 라벨로서 매우 확실하게 자리 잡게 되었다.
이들의 사용 시간까지, 후면 접착제층은 별도의 이형지에 의해 완전히 덮일 수 있지만, 후면 접착제층에 대해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표면을 정면 쪽에 갖는 기록 재료가 훨씬 더 인기있고 또한 다루기에 더 실용적이다. 이 경우에서, 이들의 사용까지, 후면 접착제층은 기록 재료 자체의 정면 쪽으로 탈착 가능하게 형성된 표면에 의해 완전히 덮이고, 롤처럼 감기며, 여기서 정면 및 후면이 각 경우에서 맞닿는다.
DE 44 25 737 A1의 첫 번째 단락에서 직접 설명된 바와 같이, 접착제층에 대해 탈착 특성을 갖는 소위 이형지를 제조하기 위해, 종이 웹이 실리콘층을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상황에서 원치 않는, 도포된 실리콘의 침투, 특히 수성 및 특히 무-용제 실리콘 수지의 종이로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해, 물유리 코팅을 구비하고 이후 실리콘 수지로 퍼니싱(furnishing)하는 종이 웹이 제안된다. 상기 특허 명세서에서 밝힌 바와 같이, 물유리 코팅의 제안은 한편으로는 감열 기록 재료에 부적합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광범위한 조사 후에 본 발명자들이 인식했듯이, 실리콘 퍼니시(furnish) 아래에 위치한 기록층으로의 실리콘 침투의 최대한으로 효과적인 방지도 자가-접착성 감열 티켓의 형성에 좋지 않다.
다시, 원지(base paper)로의 도포된 실리콘의 정말 원하지 않는 침투를 방지할 목적으로, EP 2 239 368 A1은 원지의 표면 코팅 이후 표면 조도 < 100 nm로의 캘린더링(calendering)을 제안한다. 상기 특허 명세서도 감열 기록 재료에 관한 것이 아니고, 상기 특허 명세서도 실리콘 침투의 매우 효과적인 방지라는 목적을 가져서, 여기서 제안된 본 발명의 개념과 반대되는 목표 방향을 지향한다.
EP 0 780 241 B1의 주제는 감열 기록 재료인데, 그 표면은 다양한 인쇄 공정에 대해 특히 기계적으로 안정하고, 또한 내수성, 광 안정성 및 노화(graying)의 측면에서 이점을 갖는다. 상기 특허에서 제안된 감열 기록 재료는 UV-경화 수지 및 공중합 성분으로서 실리콘 성분을 포함하는 공중합체 수지를 특징으로 하는 보호층을 갖는다. 상기 특허 명세서는, 설령 그 용도에 적합한 것으로 밝혀졌다고 하더라도, 자가-접착성 티켓용 감열 기록 재료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는다.
이런 의미에서, EP 1 637 339 B1은 기재, 감열 기록층 및 보호층을 포함하고, 보호층은 바인더 수지, 충전재 및 가교제 뿐만 아니라, 특히 이형제를 포함하는 감열 기록 재료를 제안한다. 상기 이형제는 특정 화학식의 구형 및 입자상 실리콘 화합물로 도입된다. 상기 공지된 제안의 단점은 기재, 기록층 및 마지막 보호층을 제조하는데 복잡하고 비싸다는 것이고, 여기서 보호층은 충전재 및 바인더 성분 때문에 자기 능력 이상을 나타냄으로써, 또한 시각적으로 식별 가능한 인쇄 이미지를 형성하기 위해 공급되는 외부 열에 대해 공지된 감열 기록 재료의 동적 및 정적 감도를 감소시킨다.
본원과 유사하게 관련된 문헌은 WO 2013/069581 A1 및 DE 198 06 433 A1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시각적으로 식별 가능한 인쇄 이미지를 형성하기 위해 공급되는 외부 열에 대해 강력한 감도를 갖고, 적절한 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이형지 없이 후면 접착제층을 구비한 자가-접착성 티켓으로 구현될 수 있는 감열 기록 재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의 달성을 위해,
- 정면 및 상기 정면의 반대편에 있는 후면을 포함하는 웹-형상 기재(1),
- 웹-형상 기재(1)의 정면에 배치된 감열 기록층(3)을 포함하고,
상기 감열 기록층(3)은 적어도 하나의 염료 전구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염료 전구체와 반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현색제를 포함하며,
- 웹-형상 기재(1)의 후면에 도포될 수 있는 접착제층(7)에 대해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감열 기록 재료의 정면 표면(6)을 갖는 감열 기록 재료가 제안되는데,
여기서 제안된 감열 기록 재료는, 탈착성 정면 표면(6)의 형성을 위해 감열 기록 재료가
* 감열 기록층(3) 위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이형제를 포함하는 퍼니시(5),
* 적어도 하나의 이형제-포함 퍼니시(5) 및 감열 기록층(3) 사이에 형성된 확산층(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자체 연구에서 확립된 바와 같이, 놀랍게도, 확산층(4)은 이형제를 포함하는 퍼니시(5) 및 감열 기록층(3) 사이의 층간(inter-ply) 접착력에 상당한 기여를 한다. 확산층(4)이 없을 경우, 이형제를 포함하는 퍼니시(5) 및 감열 기록층(3) 사이의 층간 접착력에 문제가 발생함으로써, 기록 재료의 사용과 관련하여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형태는
- 정면 및 상기 정면의 반대편에 있는 후면을 갖는 웹-형상 기재(1),
- 웹-형상 기재(1)의 정면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염료 전구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염료 전구체와 반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현색제를 포함하는 감열 기록층(3),
- 실리콘 성분을 포함하고 감열 기록층(3)에 배치되는 퍼니시(5)로 구성되거나 이들을 포함하며,
감열 기록층(3)의 퍼니시(5) 쪽으로, 실리콘 성분을 함유하는 확산층(4)이 형성되고,
기록층(3)의 실리콘 성분 및 퍼니시(5)의 실리콘 성분 사이의 질량 비율은 5:95 내지 50:50이며,
확산층(4) 및 퍼니시(5)의 실리콘 성분은 재료적으로 동일한 감열 기록 재료에 관한 것이다.
기록층(3)의 실리콘 성분 및 퍼니시(5)의 실리콘 성분은 서로 공유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감열 기록 재료는 퍼니시(5)가 퍼니시(5)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적어도 50 wt%,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5 wt%,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5 wt% 범위의 실리콘 성분으로 구성되고,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성분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실리콘 아크릴레이트의 축합에 의해 형성된 폴리실리콘 아크릴레이트인 것이다. 적어도 50 wt%의 분율의 결과로서, 퍼니시는 웹-형상 기재(1)의 후면에 도포될 수 있는 접착제에 대해 특히 탈착 가능하게 형성된다.
완전히 기능성 기록 재료의 형태로, 바람직하게는 웹-형상 기재(1)의 후면에 배치된 접착제층(7)을 포함한다. 시각적으로 식별 가능한 인쇄 이미지를 형성하기 위해 공급되는 외부 열에 대해 감열 기록층의 동적 및 정적 감도가 이형제를 포함하는 퍼니시(5)에 의해 감소하고, 그 일부가, 충전재-함유 보호층의 경우와 동일한 정도로 발생하지 않지만, 그럼에도 적어도 명확히 식별 가능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 제안된 감열 기록 재료는 중간층(2)을 포함하며, 중간층은 중공 안료를 포함하고 웹-형상 기재(1) 및 감열 기록층(3)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본 발명에서는 유리하다.
이러한 종류의 감열 기록 재료는
- 정면 및 상기 정면의 반대편에 있는 후면을 갖는 웹-형상 기재(1)를 형성하는 단계,
- 선택적으로:
* 적어도 중공 안료를 포함하는 제1코팅 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
* 제공된 제1코팅 조성물을 도포하여 중공 안료를 포함하는 중간층(2)을 형성하는 단계,
* 제1코팅 조성물을 건조하는 단계,
- 적어도 하나의 염료 전구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염료 전구체와 반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현색제를 포함하는 제2코팅 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
- 제공된 제2코팅 조성물을 도포하여 웹-형상 기재(1)의 정면에 배치된 감열 기록층(3)을 형성하는 단계,
- 제2코팅 조성물을 건조하는 단계,
- 적어도 하나의 이형제를 포함하는 제3코팅 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
- 제공된 제3코팅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
- 도포된 제3코팅 조성물로부터, 이형제 중 적어도 일부의, 형성된 감열 기록층(3)의 상부 영역으로의 면적 확산(areal diffusion)에 의해 확산층(4)을 형성하는 단계,
- (바람직하게는 고-에너지 방사선에 의해) 제3코팅 조성물을 건조 및/또는 가교하여 이형제를 포함하는 퍼니시(5)를 형성하는 단계,
- 선택적으로:
* 제4코팅 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
* 제공된 제4코팅 조성물을 도포하여 웹-형상 기재(1)의 후면에 배치된 접착제층(7)을 형성하는 단계,
* 제4코팅 조성물을 건조 및/또는 가교하는 단계를 적어도 포함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다.
감열 기록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 정면 및 상기 정면의 반대편에 있는 후면을 갖는 웹-형상 기재(1)를 형성하는 단계,
- 선택적으로:
* 적어도 중공 안료를 포함하는 제1코팅 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
* 제공된 제1코팅 조성물을 도포하여 중공 안료를 포함하는 중간층(2)을 형성하는 단계,
* 제1코팅 조성물을 건조하는 단계,
- 적어도 하나의 염료 전구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염료 전구체와 반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현색제를 포함하는 제2코팅 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
- 제공된 제2코팅 조성물을 도포하여 웹-형상 기재(1)의 정면에 배치된 감열 기록층(3)을 형성하는 단계,
- 제2코팅 조성물을 건조하는 단계,
- 적어도 하나의 이형제를 포함하는 제3코팅 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
- 제공된 제3코팅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
- 도포된 제3코팅 조성물로부터, 이형제 중 적어도 일부의, 형성된 감열 기록층(3)의 상부 영역으로의 면적 확산에 의해 확산층(4)을 형성하는 단계,
- 고-에너지 방사선에 의해 제3코팅 조성물을 가교하여 이형제를 포함하는 퍼니시(5)를 형성하는 단계,
- 선택적으로:
* 제4코팅 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
* 제공된 제4코팅 조성물을 도포하여 웹-형상 기재(1)의 후면에 배치된 접착제층(7)을 형성하는 단계,
* 제4코팅 조성물을 건조 및/또는 가교하는 단계를 적어도 포함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다.
본 발명의 감열 기록 재료는 대안적으로
- 정면 및 상기 정면의 반대편에 있는 후면을 갖는 웹-형상 기재(1)를 제공 또는 제조하는 단계,
- 선택적으로:
* 적어도 중공 안료를 포함하는 제1코팅 조성물을 제공 또는 제조하는 단계,
* 제공 또는 제조된 제1코팅 조성물을 도포하여 중공 안료를 포함하는 중간층(2)을 형성하는 단계,
* 제1코팅 조성물을 건조함으로써, 중공 안료를 포함하는 중간층(2)을 형성하는 단계,
- 적어도 하나의 염료 전구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염료 전구체와 반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현색제를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을 제공 또는 제조하는 단계,
- 제공 또는 제조된 코팅 조성물을 웹-형상 기재(1)의 정면에 도포하는 단계,
- 도포된 코팅 조성물을 건조함으로써, 감열 기록층(3)을 형성하는 단계,
- 실리콘 성분을 포함하는 제3코팅 조성물을 제공 또는 제조하는 단계,
- 제공 또는 제조된 제3코팅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
- 도포된 제3코팅 조성물의 실리콘 성분 중 적어도 일부의, 도포된 제3코팅 조성물을 향하는 감열 기록층(3)의 면으로의 면적 확산에 의해 확산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 제3코팅 조성물을 건조 및/또는 가교함으로써, 퍼니시(5) 및 확산층(4)을 형성하는 단계,
- 선택적으로:
* 접착제 또는 접착제 전구체를 포함하는 제4코팅 조성물을 제공 또는 제조하는 단계,
* 제공 또는 제조된 제4코팅 조성물을 기재(1)의 후면에 도포하는 단계,
* 제4코팅 조성물을 건조 및/또는 가교함으로써, 웹-형상 기재(1)의 후면에 배치된 접착제층(7)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도포된 제3코팅 조성물 중 5 wt% 내지 50 wt%, 바람직하게는 6 wt% 내지 45 wt%, 더욱 바람직하게는 7 wt% 내지 40 wt%, 특히 바람직하게는 8 wt% 내지 32 wt%의 실리콘 성분이 도포된 제3코팅 조성물을 향하는 감열 기록층(3)의 면으로 확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전 단락부터 추론하였듯이, 확산층(4)은 퍼니시(5)로부터 이형제 중 적어도 일부의, 퍼니시(5)의 도포 전에 도포된 감열 기록층(3)의 퍼니시(5) 쪽을 향한 상부 영역으로의 면적 확산에 의해 형성된다. 이 목적을 위해, 우선, 제2코팅 조성물로 구성된 감열 기록층(3)이 웹-형상 기재(1)에 또는 미리 도포되어 완전히 형성된 중공-안료-포함 중간층(2)에 도포되고 건조된다. 이런 식으로 완전히 형성된 감열 기록층(3)에, 이후, 미리 제조된 제3코팅 조성물이 도포되는데, 그 도포는 바람직하게는 패턴화-롤러 도포기 메커니즘에 의해 또는 5-롤 밀에 의해 수행된다. 상기 제3코팅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이형제를 포함하고, 상기 이형제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실리콘 성분을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제3코팅 조성물용 조성은
- 적어도 하나의 이형제로서, 실리콘 성분 및/또는 실리콘 아크릴레이트 및/또는 실리콘 오일,
- 이형제의 이형력 효과를 조종하는 성분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접착 촉진제,
- 고-에너지 방사선, 더욱 구체적으로는 자외선 방사선의 영향 하에, 가교 반응을 하는 적어도 하나의 물질, 및
- 적어도 하나의 광개시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코팅 조성물 및/또는 실리콘 성분은 50 내지 1000 mPas,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 mPas 또는 500 내지 1000 mPas의 점도를 갖는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성분은 수성 에멀션 또는 UV-가교성 실리콘 성분을 포함하고, 가교는 (바람직하게는 질소로 구성된 보호 대기 하에) 라디칼적으로(radically) 또는 양이온적으로(cationically) 수행된다. 수성 실리콘 에멀션의 경우에, 퍼니시(5)는 수성 실리콘 에멀션의 건조(및 선택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가교)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건조는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 범위의 온도에서 약하게 수행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특히 바람직하게는, UV-가교성 실리콘 성분은 (고-에너지 방사선(예를 들어 UV 방사선)의 조사 후에) 라디칼 또는 양이온 유도로 가교 반응을 한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성분은 열적으로 가교하는 실리콘 성분 또는 유기 용매 용액 형태의 실리콘 성분이 아니다.
완전히 형성된 감열 기록층(3)에 제3코팅 조성물의 도포 이후, 제3코팅 조성물의 일부는 형성된 감열 기록층(3)의 상부 영역으로 확산되는데, 제3코팅 조성물의 전체 이형제 중, 형성된 감열 기록층(3)의 상부 영역으로 확산되는 분율은 5 내지 50 wt%, 바람직하게는 6 내지 45 wt%, 더욱 바람직하게는 7 내지 40 wt%, 매우 바람직하게는 8 내지 32 wt%이다. 방사선-가교성 제3코팅 조성물의 경우에, 건조에 의해 및/또는 도포된 제3코팅 조성물을 포함하는 감열 기록 재료로의 고-에너지 방사선의 조사에 의해, 이형제를 포함하는 퍼니시(5)가 이후 제3코팅 조성물로부터 완전히 형성되고, 상기 퍼니시(5)의 그 아래 위치한 감열 기록층(3)으로의 고정은 기록층에 확산된 제3코팅 조성물의 일부에 의해 확보된다. 제3코팅 조성물의 확산된 부분을 포함하는 감열 기록층(3)의 상부 영역은 이후 상술한 건조 및/또는 가교를 통해 확산층(4)을 형성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이루어진 다양한 연구에서 본 발명자들이 인식한 바와 같이, 이형제를 포함하는 퍼니시(5)에 대해, 0.5 g/㎡ 내지 3 g/㎡, 바람직하게는 0.8 g/㎡ 내지 1.85 g/㎡, 더욱 바람직하게는 0.85 g/㎡ 내지 1.35 g/㎡ 범위의 단위 면적당 질량이 특히 적합하고, 동시에 감열 기록층(3)의 상부 영역으로서 확산층(4)은 0.2 ㎛ 내지 0.8 ㎛, 바람직하게는 0.2 ㎛ 내지 0.5 ㎛의 바람직한 두께를 가지며, 제3코팅 조성물의 일부는 확산층(4)에 대해 0.15 g/㎡ 내지 0.65 g/㎡의 바람직하게 계산된 단위 면적당 질량으로 확산되는 것이 최적으로 인식되었다.
감열 기록층(3)으로의 제3코팅 조성물의 확산 부분의 양에 영향을 주기 위해, 감열 기록층(3)으로 바람직하게는 도입되는 바인더 및 안료가 중요한 부분이다. 한편, 매우 유용하고 이에 따라 바람직한 것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감열 기록층(3)은 바람직하게는 다음의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무기 안료를 포함한다:
- 카올리나이트(kaolinite)(카올린)
- 규산 마그네슘 수화물(탈크)
- 수산화알루미늄
- 탄산칼슘
- 이산화규소(실리카)
특히 바람직하게는, 무기 안료는 예를 들어 카올리나이트 및 탈크의 경우에서처럼 형태에서 혈소판-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카올리나이트 및 탈크가 무기 안료로서 특히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특히 바람직하게는, 무기 혈소판-형상 안료(더욱 구체적으로 카올리나이트 및 탈크)는 5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100,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00의 종횡비("형상 계수"로도 불림)를 갖는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무기 안료의 종횡비는 20보다 크다. 종횡비는 다른 성분들과 혼합되기 전에 무기 안료의 혈소판의 직경 및 두께 사이에 형성된 비율(몫)이다. 20의 종횡비는 혈소판의 직경이 혈소판의 두께보다 20배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감열 기록층(3) 중 안료의 양과 관련하여, 감열 기록층(3)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8 내지 18 wt%(완전 건조) 범위가 특히 적합하고, 이 범위는 하단에서 좁은데, 감열식 프린트헤드 및 상단에서 가능한 침착물(deposit)의 위험을 증가시킴으로써 인쇄 이미지를 형성하는 감열식 프린트헤드 열에 대한 감도 감소를 증가시킨다.
감열 기록층(3)으로 확산되는 제3코팅 조성물의 바람직한 이형제로서 실리콘의 소수성 특성 때문에, 감열 기록층(3)은 적어도 하나의 친수성 바인더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고려된다. 여기서, 폴리비닐 알코올, 스티렌-부타디엔 라텍스, 스티렌-아크릴레이트 라텍스, 녹말,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젤라틴, 카세인, 완전 가수분해 폴리비닐 알코올,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폴리비닐 알코올-코-에틸렌 공중합체, 카르복실기-변성 폴리비닐 알코올, 아세토아세틸기-변성 폴리비닐 알코올, 디아세토기-변성 폴리비닐 알코올, 실라놀기-변성 폴리비닐 알코올, 설폰산기-변성 폴리비닐 알코올, 에폭시기-변성 폴리비닐 알코올, 키토산, 폴리아크릴산, 폴리메타크릴산, 폴리아크릴산 에스터, 폴리메타크릴산 에스터,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아크릴 수지, 푸란 수지, 케톤 수지, 옥시벤조일 폴리에스터, 폴리아세탈, 폴리에테르 케톤, 폴리에테르 설폰, 폴리아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아미노비스말레이미드, 폴리메틸펜텐, 폴리페닐렌 옥사이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폴리페닐렌 설폰, 폴리설폰, 폴리알릴레이트, 폴리알릴설폰, 폴리부타디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공중합체 및 아크릴아미드/아크릴산 에스터/메타크릴산 삼원중합체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바인더가 특히 바람직하다.
여기서, 다음의 군에서 선택된 바인더가 특히 바람직하다:
-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 폴리비닐 알코올
- 스티렌-부타디엔 라텍스
- 스티렌-아크릴레이트 라텍스
- 녹말
- 메틸셀룰로오스
- 폴리비닐 알코올-코-에틸렌 공중합체.
바인더로서 사용되는 폴리비닐 알코올은 97 mol% 초과의 가수분해도, 바람직하게는 97 mol% 내지 약 99 mol%, 또는 대안적으로 99 mol% 초과의 가수분해도를 갖고, 4 질량% 및 20℃에서 수용액에 대해 DIN 53015에 따라 측정된 점도는 7 mPas 초과, 바람직하게는 12 mPas 초과,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mPas 초과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99 내지 99.8 mol%의 가수분해도를 갖는 폴리비닐 알코올(PVA) 15-99, 또는 PVA 15-99보다 높은 가수분해도 및/또는 높은 점도의 대응 PVA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바인더는 가교성(자가-가교성 또는 외부 가교성) 및/또는 변성 폴리비닐 알코올을 포함하고, 변성 폴리비닐 알코올은 바람직하게는 디아세톤-변성 폴리비닐 알코올, 실라놀기-변성 폴리비닐 알코올, 카르복실기-변성 폴리비닐 알코올 및/또는 폴리비닐 알코올-코-에틸렌 공중합체이며, 바람직하게는 디아세톤-변성 폴리비닐 알코올 또는 실라놀기-변성 폴리비닐 알코올 및/또는 폴리비닐 알코올-코-에틸렌 공중합체이다.
특히, 사용되는 바인더는 비-자가-가교성 폴리비닐 알코올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감열 기록층(3)은 붕산, 폴리아민, 에폭시 수지, 디알데히드, 포름알데히드 올리고머, 에피클로로히드린 수지, 아디프산 디히드라지드, 디메틸우레아, 멜라민-포름알데히드 단독 또는 서로의 블렌드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가교 보조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는 유일한 바인더로서 취해지거나, 특히 바람직한 바인더로서 폴리비닐 알코올과 조합되며, 감열 기록층(3)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20 wt%의 범위로 감열 기록층(3)에 도입된다.
제안된 방법은 웹-형상 기재(1)의 정면에 배치되는 감열 기록층(3)을 형성하는 제2코팅 조성물의 제조를 포함하고; 이 목적을 위해 고체 성분 및 액체 성분의 정확한 공급 및 계량을 위한 컨테이너 밸런스의 사용이 특히 적절하다.
감열 기록층(3)을 형성하기 위해 의도된 제2코팅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 4-[(4-(1-메틸에톡시)페닐)설포닐]페놀,
- N-(p-톨루엔설포닐)-N'-3-(p-톨루엔설포닐옥시페닐)우레아,
- 디이소프로필디페놀,
- 4,4-설포닐디페놀, 및
- N-[2-(3-페닐우레이도)페닐]벤젠셀폰아미드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현색제를 포함하고,
이 중에서도 특히
- N-(p-톨루엔설포닐)-N'-3-(p-톨루엔설포닐옥시페닐)우레아
- N-[2-(3-페닐우레이도)페닐]벤젠셀폰아미드가 바람직하다.
기재된 현색제는 한편으로 감열 기록층(3)으로의 확산이 완전히 방지될 수 없는 접착제층(7)의 성분에 대한 충분한 안정성을 보장한다. 다른 한편 이들은 또한 시각적으로 식별 가능한 인쇄 이미지를 형성하기 위해 공급되는 외부 열에 대한 충분한 감도를 보장한다.
감열 기록 재료는 감열 기록층(3)을 형성하는 제2코팅 조성물의 염료 전구체로서, 바람직하게는 3-디에틸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anilinofluoran), 3-디부틸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3-(N-메틸-N-프로필)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3-(N-에틸-N-이소아밀)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3-(N-메틸-N-시클로헥실)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3-(N-에틸-N-톨릴)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3-(N-에틸-N-테트라히드로푸릴)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3-디-n-펜틸-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3-디-n-부틸아미노-7-(2-클로로아닐리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7-(2-클로로아닐리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6-메틸-7-크실리디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7-(2-카르보메톡시페닐아미노)플루오란, 3-(N-시클로펜틸-N-에틸)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3-(N-에틸-4-톨루이디노)-6-메틸-7-(4-톨루이디노)플루오란, 3-(N-메틸-N-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3-피롤리디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3-피롤리디노-6-메틸-7-(4-n-부틸페닐아미노)플루오란, 및 3-피페리디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것들을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3-디에틸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3-디부틸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3-(N-메틸-N-프로필)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3-(N-에틸-N-이소아밀)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3-(N-메틸-N-시클로헥실)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3-(N-에틸-N-톨릴)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및 3-(N-에틸-N-테트라히드로푸릴)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것들이다. 여기서 특히 바람직한 것은 ODB-2로도 알려진 3-디부틸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이다.
감열 기록층(3)을 형성하는 제2코팅 조성물은 열 반응 감도를 증가시킬 목적을 위해, N-히드록시메틸스테아라미드, N-스테아릴스테아라미드, 에틸렌비스스테아라미드, N-스테아릴우레아, 벤질 2-나프틸 에테르, m-테르페닐, 4-벤지비페닐, 1,2-비스(3-메틸페녹시)에탄, 1,2-디페녹시에탄, 2,2'-비스(4-메톡시페녹시) 디에틸 에테르, α,α'-디페녹시크실렌, 비스(4-메톡시페닐) 에테르, 디페닐 아디페이트, 디벤질 옥살레이트, 비스(4-클로로벤질) 옥살레이트 에스터, 디벤질 테레프탈레이트, 벤질 파라벤, 페닐 벤젠설포네이트 에스터, 4,4'-디알릴옥시디페닐 설폰, 디페닐 설폰, 4-아세틸아세토페논, 아세토아세트아닐리드, 지방산 아닐리드, 살리실아닐리드, 스테아라미드, 디메틸 설폰, 2-(2H-벤조트리아졸-2-일)-p-크레졸, 및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증감제(sensitizer)를 함유할 수 있다. 제2코팅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벤질 2-나프틸 에테르, 1,2-비스(3-메틸페녹시)에탄, 및 1,2-디페녹시에탄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증감제를 포함한다. 첫 번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이들 증감제는 각 경우에서 단독으로, 달리 말하면 상기 군에서 기재된 다른 증감제와 조합되지 않고 사용된다. 두 번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2개의 증감제가 제2코팅 조성물에 도입된다.
감열 기록층(3)을 형성하기 위해 제2코팅 조성물을 도포하는 적절한 코팅 장치는 특히 롤러 블레이드 코터, 나이프 코터, 커튼 코터 또는 에어브러시를 포함한다. 0.15 g/㎡ 내지 0.65 g/㎡의 확산층(4)의 바람직하게 계산된 단위 면적당 질량을 포함하여, 감열 기록층(3)의 단위 면적당 질량은 2.4 내지 6.2 g/㎡,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6.2 g/㎡,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4.9 g/㎡이다.
특히 여기서 제안된 감열 기록 재료의 동적 및 정적 감도를 개선하기 위해, 여기서 제안된 기록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중간층(2)을 포함하는데, 상기 중간층은 중공 안료를 포함하고 웹-형상 기재(1) 및 감열 기록층(3) 사이에 배치되며, 이러한 중간층은 상세한 설명 내에서 이미 위에서 다루어진 종류의 것이다. 중간층(2)에서 유기 중공 안료가 가장 중요한 이유는 이러한 유기 안료가 중간층(2)의 일부에서 높은 열 반사 능력에 특히 이롭다는 것이다. 중공 안료는 그 내부에 공기를 특징으로 하여, 좋은 단열재에 해당한다. 따라서 이런 식으로 열 반사층으로서 최적화된 중간층(2)은 열에 대한 기록층(3)의 반응성을 아주 분명히 증가시킨다.
유기 중공 안료 이외에, 중간층(2)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또한 무기 안료를 포함하는데, 무기 안료는 천연 및 하소(calcined) 카올린, 실리콘 산화물, 및 특히 벤토나이트, 탄산칼슘, 및 또한 수산화알루미늄, 및 특히 베마이트(boehmite)를 포함하는 군에서 개별적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선택된다. 열 헤드는 감열 기록층(3)에서 염료 전구체와 현색제의 색상-형성 반응을 개시하여 기록층(3)에서 왁스 같은 성분의 융해를 유발한다. 중간층(2)에 바람직하게 도입된 무기 안료는 또한 상기 융해의 흡수력을 유발한다. 중간층(2)의 무기 안료는 일본 표준 JIS K 5101에 따라 측정된, 적어도 80 ㎤/100 g,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0 ㎤/100 g의 오일 흡수력을 갖는 것이 여기서 특히 유리하다. 상기 요건은 위에서 지정된 무기 안료에 의해 충족된다.
중간층(2) 내에서 유기 중공 안료 전체 및 무기 안료 전체 사이의 비율은 두 형태의 안료에 의해 형성되는 효과 사이에서 절충되고, 상기 절충은 안료 혼합물이 5 내지 30 wt%, 더욱 바람직하게는 8 내지 20 wt% 범위의 유기 안료 및 95 내지 70 wt%, 더욱 바람직하게는 92 내지 80 wt% 범위의 무기 안료로 구성될 경우 특히 유리하게 해결된다. 다른 유기 안료 및/또는 다른 무기 안료로 구성된 안료 혼합물도 생각할 수 있다.
유기 중공 안료 및 선택적으로 또한 무기 안료 이외에, 중간층(2)은 예를 들어 특히 좋은 결과를 제공하도록, 스티렌-부타디엔 라텍스와 함께, 바람직하게는 합성 고분자를 기반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바인더를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녹말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천연 고분자의 혼합물과 함께 합성 바인더의 사용은 특히 적절한 실시형태를 제공한다. 다른 유기 및 무기 안료를 이용한 실험의 경우에서 추가로 관측된 바와 같이, 특히 적절한 실시형태는 각 경우에서 wt%를 기준으로, 중간층 내에 3:7 내지 1:9의 바인더/안료 비율로 제공된다.
중간층(2)을 형성하는 제1코팅 조성물은 롤 코터, 나이프 코터, 및 (롤러) 블레이드 코터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레벨링(leveling) 코팅 기술에 의해 바람직하게 도포된다. 특히, 기재된 코팅 방법 중 하나를 이용할 경우, 중간층(2)은 기재 표면의 레벨링에 긍정적인 기여를 함으로써, 감열 기록층(3)을 형성하기 위해 도포되는 제2코팅 조성물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중간층(2)을 형성하는 코팅 조성물의 후속 건조는 열풍 부유 건조기(hot air flotation dryer) 또는 접촉 건조기를 통해서처럼, 열 공급에 의해 통상적으로 완수된다. 열풍 부유 건조기 및 접촉 건조기의 조합도 잘 확립되어 있다. 중간층(2)의 단위 면적당 질량에 대해, 5 내지 20 g/㎡, 더욱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2 g/㎡의 바람직한 범위가 적절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중공 안료를 포함하는 중간층(2) 대신에, 중공 안료를 포함하지 않고 오히려 무기 안료를 포함하는 중간층이 웹-형상 기재(1) 및 감열 기록층(3) 사이에 사용되며, 여기서 무기 안료는 바람직하게는 천연 또는 하소 카올린, 실리콘 산화물 및 더욱 특히 벤토나이트, 탄산칼슘, 및 또한 수산화알루미늄 및 더욱 특히 베마이트를 포함하는 군에서 개별적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선택된다.
웹-형상 기재(1)로는 종이에 국한되지 않지만, 표면-처리되지 않고, 시장에서 특히 높은 재활용성 때문에 높은 친환경성 측면에서 인정받는 기재인 종이, 특히 코팅 원지(base paper)가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바람직하다. 표면-처리되지 않은 코팅 원지는 사이즈 프레스 또는 코팅 장치에서 처리되지 않은 코팅 원지를 말한다. 본 발명에서 웹-형상 기재(1)로서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폴리올레핀 및 폴리올레핀-코팅 종이로 구성된 필름이 동일하게 가능하고, 이러한 예에 제외는 없다.
단위 면적당 질량, wt%(중량%) 및 중량부(중량부)와 관련하여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 제공된 정보는 각 경우에서 "완전 건조(bone dry)" 중량, 즉 절대 건조 중량부를 기준으로 한다. 안료-함유 중간층의 유기 안료에 관한 기재에서, 이와 관련한 수치 정보는 이미-공급된 형태에서 안료 내부 및 둘레에 있는 물의 중량 분율을 뺀 "공기 건조" 중량, 즉 공기-건조 중량부로부터 계산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자가-부착성 티켓, 자가-부착성 출입 카드, 자가-부착성 구매 증거, 자가-부착성 라벨 또는 자가-부착성 출입 카드로서 본 발명의 감열 기록 재료의 용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감열 기록 재료이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하게는 바람직한 것으로 상술한 형태 중 2개 이상이 동시에 구현되고,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나타나는 이러한 형태들 및 대응 특징들의 조합이 특히 바람직하다.
도 1은 여기서 제안된 감열 기록 재료의 기본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다음의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실시예 1:
2.4 g/㎡, 2.5 g/㎡, 3.0 g/㎡, 4.0 g/㎡, 5.0 g/㎡, 및 6.2 g/㎡의 단위 면적당 다른 질량을 갖는 다양한 감열 기록 재료가 제조되었다. 사용된 웹-형상 기재(원지)는 64 g/㎡의 단위 면적당 질량을 갖는 실시예 2에 기술된 원지이었다. 감열 기록층(3)에 사용된 수성 코팅 슬립은 표 1에 나타낸 조성에 따른 다음의 성분들을 함유하였다.
감열 기록층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wt%(완전 건조)의 양
염료 전구체 3-디부틸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ODB-2) 9 9 9
현색제 N-(p-톨루엔설포닐)-N'-3-(p-톨루엔설포닐옥시페닐)우레아
(Pergafast® 201 (BASF))
20 20 20
증감제 벤질 2-나프틸 에테르(BNE) 16 16
1,2-디페녹시에탄 16
바인더 폴리비닐 알코올 15
폴리비닐 알코올-코-에틸렌 공중합체(EVOH) 15 15
코바인더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10 10
메틸셀룰로오스 2 2
안료 탈크(25의 종횡비를 갖는 혈소판 형상) 16 16
88
각 경우에서 롤러 블레이드 코터에 의해 상기 감열 기록층 상부에, 2.5 g/㎡의 단위 면적당 질량을 갖는 감열 기록층이 도포되었다. 상기 목적에 사용된 수성 코팅 슬립은 표 2에 나타낸 조성에 따른 다음의 성분들을 함유하였다.
실시예 2:
사용된 웹-형상 기재는 64 g/㎡의 단위 면적당 질량을 갖는 원지로서, 초지기(paper machine)에 공급된 펄프의 전체 고체 함량(완전 건조)을 기준으로 0.8 wt%의 스톡 사이징(stock sizing)으로서 AKD 사이즈 및 또한 다른 통상적인 보조제(adjuvant)를 첨가한, 표백 및 분쇄된 하드우드 및 소프트우드 펄프로부터, Fourdrinier 초지기를 이용하여 형성되었다.
안료로서 하소 카올린, 바인더로서 스티렌-부타디엔 라텍스 및, 다른 보조제에 더해, 코바인더로서 녹말을 포함하는 중간층이 정면에 도포되었고, 상기 중간층은 코팅 나이프를 이용하여 9 g/㎡의 단위 면적당 질량으로 도포되었다.
롤러 블레이드 코터에 의해 상기 안료 함유 중간층 상부에, 2.5 g/㎡의 단위 면적당 질량을 갖는 감열 기록층이 도포되었다. 상기 목적에 사용된 수성 코팅 슬립은 표 2에 나타낸 조성에 따른 다음의 성분들을 함유하였다.
감열 기록층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wt%(완전 건조)의 양
염료 전구체 3-디부틸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ODB-2) 9
현색제 N-(p-톨루엔설포닐)-N'-3-(p-톨루엔설포닐옥시페닐)우레아
(Pergafast® 201 (BASF))
20
증감제 벤질 2-나프틸 에테르(BNE) 16
바인더 폴리비닐 알코올-코-에틸렌 공중합체(EVOH) 15
코바인더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10
메틸셀룰로오스 2
안료 탈크(25의 종횡비를 갖는 혈소판 형상) 16
88
퍼센트 측면 및 wt%(완전 건조)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기재되지 않은 감열 기록층의 다른 성분들은 분산제, 소포제, 형광 발광제, 증점제, 왁스 및 가교제를 포함하였다.
감열 기록층의 도포 이후, 건조 및 캘린더링되었고, 정면 표면 평활도에 대해 500 Bekk/sec(DIN ISO 53107)의 값이 측정되었다.
중간층 및 감열 기록층을 갖도록 형성된 웹-형상 기재의 정면에(감열 기록층 상에), 패턴화된 롤 도포기를 이용하여 라디칼 경화 표면 UV 실리콘 시스템이 코팅되었다. 이 목적을 위해 사용된 무-용매 Evonik 표준 실리콘 시스템은 표 3에 나타낸 조성물을 포함하였다. 여기에 추가된 실리콘은 약 1.2 g/㎡이었다.
RC-711 실리콘 아크릴레이트 25 중량부
RC-902 실리콘 아크릴레이트 50 중량부
RC-1772 실리콘 아크릴레이트(매팅제와의 혼합물) 25 중량부
TEGO 광개시제 A-18 2 중량부
이형제를 포함하고 이와 같이 얻어진 퍼니시는 질소로 구성된 보호 가스 대기 하에 UV 램프(80 W/cm)로 완전히 경화되었다.
이를 통해, 이형제를 포함하는 퍼니시층이 감열 기록층으로부터 탈착되지 않은 본 발명의 감열 기록 재료가 제공되었다. 30일 동안 저장 후에도, 이형제를 포함하는 퍼니시층은 감열 기록층으로부터 탈착되지 않을 수 있었다. 형성된 기록 재료의 감도는 우수하였다.
실시예 3:
안료 함유 중간층의 조성이 변경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가 반복되었다. 안료 함유 중간층의 변경된 조성은 표 4에 나타냈다.
100 중량부
미세 중공 입자(입자 크기: 0.45 ㎛)의 30% 분산액 300 중량부
산화 녹말의 25% 용액 24 중량부
48% 라텍스(유리 전이 온도: 0℃) 25 중량부
이를 통해, 이형제를 포함하는 퍼니시층이 감열 기록층으로부터 탈착되지 않은 본 발명의 감열 기록 재료가 제공되었다. 30일 동안 저장 후에도, 이형제를 포함하는 퍼니시층은 감열 기록층으로부터 탈착되지 않을 수 있었다. 형성된 기록 재료의 감도는 우수하였다.
실시예 4:
폴리아크릴계 수지 접착제의 도포에 의해, 실시예 2에서 형성된 감열 기록층의 웹-형상 기재의 후면에 접착제층이 형성되었다.
웹-형상 기재가 이후 감겨서, 접착제층이 이형제를 포함하는 퍼니시층 상에 놓이게 되었다. 30일 동안 저장 후에도, 감열 기록 재료의 각 층은 펼쳐질 수 있었고, 이형제를 포함하는 퍼니시층은 감열 기록층으로부터 탈착되지 않았으며, 또는 이형제를 포함하는 퍼니시층에 남아있는 접착제층의 잔류물이 없었다.
실시예 5:
폴리아크릴계 수지 접착제의 도포에 의해, 실시예 3에서 형성된 감열 기록층의 웹-형상 기재의 후면에 접착제층이 형성되었다.
웹-형상 기재가 이후 감겨서, 접착제층이 이형제를 포함하는 퍼니시층 상에 놓이게 되었다. 30일 동안 저장 후에도, 감열 기록 재료의 각 층은 펼쳐질 수 있었고, 이형제를 포함하는 퍼니시층은 감열 기록층으로부터 탈착되지 않았으며, 또는 이형제를 포함하는 퍼니시층에 남아있는 접착제층의 잔류물이 없었다.
(1) 기재
(2) 중공 안료를 포함하는 중간층
(3) 감열 기록층
(4) 확산층
(5) 이형제를 포함하는 퍼니시
(6) 정면 표면
(7) 접착제층

Claims (15)

  1. 감열 기록 재료로서,
    - 정면 및 상기 정면의 반대편에 있는 후면을 포함하는 웹-형상 기재(1),
    - 웹-형상 기재(1)의 정면에 배치된 감열 기록층(3)을 포함하고,
    상기 감열 기록층(3)은 적어도 하나의 염료 전구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염료 전구체와 반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현색제를 포함하며,
    - 웹-형상 기재(1)의 후면에 도포될 수 있는 접착제층(7)에 대해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감열 기록 재료의 정면 표면(6)을 갖고,
    감열 기록 재료는 탈착성 정면 표면(6)의 형성을 위해
    * 감열 기록층(3) 위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이형제로서 실리콘 성분을 포함하는 퍼니시(5),

    * 적어도 하나의 이형제-포함 퍼니시(5) 및 감열 기록층(3) 사이에 형성되고, 퍼니시(5)로부터 이형제 중 적어도 일부의, 퍼니시(5)의 도포 전에 도포된 감열 기록층(3) 중 퍼니시(5) 쪽을 향한 상부 영역으로의 면적 확산에 의해 형성되는 확산층(4)을 포함하며,
    퍼니시(5)의 전체 이형제 중 감열 기록층(3)의 상부 영역으로 확산되는 분율은 5 내지 50 w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 기록 재료.
  2. 제1항에 있어서,
    퍼니시(5)의 전체 이형제 중 6 내지 45 wt%, 바람직하게는 7 내지 40 wt%, 더욱 바람직하게는 8 내지 31 wt%의 분율이 형성된 감열 기록층(3)의 상부 영역으로 확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 기록 재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감열 기록층(3)은 적어도 하나의 혈소판-형상 안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 기록 재료.
  4. 제3항에 있어서,
    혈소판-형상 안료는 5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100,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00의 종횡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 기록 재료.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퍼니시(5)는 UV-가교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 기록 재료.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감열 기록 재료는 웹-형상 기재(1)의 후면에 배치된 접착제층(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 기록 재료.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감열 기록 재료는, 중공 안료를 포함하고 웹-형상 기재(1) 및 감열 기록층(3)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층(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 기록 재료.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감열 기록층(3)은
    - 4-[(4-(1-메틸에톡시)페닐)설포닐]페놀,
    - N-(p-톨루엔설포닐)-N'-3-(p-톨루엔설포닐옥시페닐)우레아,
    - 디이소프로필디페놀,
    - 4,4-설포닐디페놀,
    - N-[2-(3-페닐우레이도)페닐]벤젠셀폰아미드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현색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 기록 재료.
  9. 제8항에 있어서,
    감열 기록층(3)은
    - N-(p-톨루엔설포닐)-N'-3-(p-톨루엔설포닐옥시페닐)우레아,
    - N-[2-(3-페닐우레이도)페닐]벤젠셀폰아미드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현색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 기록 재료.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감열 기록층(3)은 염료 전구체로서 3-디부틸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 기록 재료.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감열 기록층(3)은 적어도 하나의 친수성 바인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 기록 재료.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감열 기록층(3)은 바인더로서
    -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 폴리비닐 알코올
    - 스티렌-부타디엔 라텍스
    - 스티렌-아크릴레이트 라텍스
    - 녹말
    - 메틸셀룰로오스
    - 폴리비닐 알코올-코-에틸렌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 기록 재료.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감열 기록층(3)은
    - 카올리나이트(카올린)
    - 규산 마그네슘 수화물(탈크)
    - 수산화알루미늄
    - 탄산칼슘
    - 이산화규소(실리카)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 기록 재료.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감열 기록 재료의 제조 방법으로서,
    - 정면 및 상기 정면의 반대편에 있는 후면을 갖는 웹-형상 기재(1)를 형성하는 단계,
    - 선택적으로:
    * 적어도 중공 안료를 포함하는 제1코팅 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
    * 제공된 제1코팅 조성물을 도포하여 중공 안료를 포함하는 중간층(2)을 형성하는 단계,
    * 제1코팅 조성물을 건조하는 단계,
    - 적어도 하나의 염료 전구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염료 전구체와 반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현색제를 포함하는 제2코팅 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
    - 제공된 제2코팅 조성물을 도포하여 웹-형상 기재(1)의 정면에 배치된 감열 기록층(3)을 형성하는 단계,
    - 제2코팅 조성물을 건조하는 단계,
    - 적어도 하나의 이형제를 포함하는 제3코팅 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
    - 제공된 제3코팅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
    - 도포된 제3코팅 조성물로부터, 이형제 중 적어도 일부의, 형성된 감열 기록층(3)의 상부 영역으로의 면적 확산에 의해 확산층(4)을 형성하는 단계,
    - 제3코팅 조성물을 건조 및/또는 가교하여 이형제를 포함하는 퍼니시(5)를 형성하는 단계,
    - 선택적으로:
    * 제4코팅 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
    * 제공된 제4코팅 조성물을 도포하여 웹-형상 기재(1)의 후면에 배치된 접착제층(7)을 형성하는 단계,
    * 제4코팅 조성물을 건조 및/또는 가교하는 단계를 적어도 포함하는 방법.
  15. 자가-부착성 티켓으로서,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감열 기록 재료를 사용하는 방법.
KR1020177024307A 2015-06-24 2016-06-24 감열 기록 재료 KR1020585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5173719 2015-06-24
EP15173719.4 2015-06-24
EP15176526.0 2015-07-13
EP15176526.0A EP3109059B1 (de) 2015-06-24 2015-07-13 Wärmeempfindliches aufzeichnungsmaterial
PCT/EP2016/064676 WO2016207356A1 (de) 2015-06-24 2016-06-24 Wärmeempfindliches aufzeichnungsmateri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9032A true KR20170109032A (ko) 2017-09-27
KR102058570B1 KR102058570B1 (ko) 2019-12-23

Family

ID=53498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4307A KR102058570B1 (ko) 2015-06-24 2016-06-24 감열 기록 재료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0328735B2 (ko)
EP (2) EP3109059B1 (ko)
JP (2) JP2018509316A (ko)
KR (1) KR102058570B1 (ko)
CN (1) CN107107642B (ko)
DE (1) DE202015009476U1 (ko)
ES (2) ES2684629T3 (ko)
PL (2) PL3109059T3 (ko)
RU (1) RU2670521C1 (ko)
WO (1) WO201620735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5925A (ko) * 2020-03-23 2022-10-31 쾰러 이노베이션 & 테크놀로지 게엠베하 감열 기록 물질에서의 현색제로서의 N-(p-톨루엔술포닐)-N'-(3-p-톨루엔술포닐-옥시-페닐)우레아의 용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09059B1 (de) * 2015-06-24 2018-06-27 Mitsubishi HiTec Paper Europe GmbH Wärmeempfindliches aufzeichnungsmaterial
DE102016219569A1 (de) * 2016-10-07 2018-04-12 Mitsubishi Hitec Paper Europe Gmbh Wärmeempfindliches Aufzeichnungsmaterial
DE202017006776U1 (de) 2016-10-07 2018-05-16 Mitsubishi Hitec Paper Europe Gmbh Wärmeempfindliches Aufzeichnungsmaterial
DE102016219567A1 (de) * 2016-10-07 2018-04-12 Mitsubishi Hitec Paper Europe Gmbh Wärmeempfindliches Aufzeichnungsmaterial
DE102018102180A1 (de) * 2018-01-31 2019-08-01 Mitsubishi Hitec Paper Europe Gmbh Wärmeempfindliches Aufzeichnungsmaterial
JP6955465B2 (ja) * 2018-03-16 2021-10-27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感熱記録媒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102021115909A1 (de) 2021-06-18 2022-12-22 Koehler Innovation & Technology Gmbh Wärmeempfindliche Aufzeichnungsmaterialien
DE102021133751A1 (de) 2021-12-17 2023-06-22 Koehler Innovation & Technology Gmbh Wärmeempfindliches Aufzeichnungsmaterial
DE102021120941A1 (de) 2021-08-11 2023-02-16 Koehler Innovation & Technology Gmbh Wärmeempfindliches Aufzeichnungsmaterial
KR20240036602A (ko) 2021-08-11 2024-03-20 쾰러 이노베이션 & 테크놀로지 게엠베하 감열성 기록 재료, 감열성 기록 재료를 탈색시키는 방법, 섬유상 재료 혼합물, 재생지를 제조하는 방법, 및 재생지
DE102021133333A1 (de) 2021-12-15 2023-06-15 Koehler Innovation & Technology Gmbh Bahnförmiges wärmeempfindliches Aufzeichnungsmaterial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71289A (ja) * 1983-09-28 1985-04-23 Fuji Photo Film Co Ltd 感熱記録材料
JPH0379388A (ja) * 1989-08-23 1991-04-04 Kanzaki Paper Mfg Co Ltd 感熱記録体
JPH058541A (ja) 1991-07-05 1993-01-19 Mitsubishi Paper Mills Ltd 剥離型感熱記録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292713A (en) 1992-07-15 1994-03-08 Stenzel Herbert J Linerless thermal and thermal transfer labels
DE4425737C2 (de) 1994-07-21 1998-01-08 Kaemmerer Gmbh Trennrohpapier mit silikathaltigen Primerstrichen und damit hergestelltes Trennpapier
JP3426069B2 (ja) * 1995-12-21 2003-07-14 株式会社リコー 感熱記録材料
EP0780241B1 (en) 1995-12-21 2001-08-01 Ricoh Company, Ltd Thermosensitive recording material with protective layer
DE19806433B4 (de) * 1998-02-17 2004-11-11 Mitsubishi Hitec Paper Flensburg Gmbh Verwendung eines wärmeempfindlichen Aufzeichnungsmaterials als Etikett
JPH11348430A (ja) 1998-06-11 1999-12-21 Oji Paper Co Ltd 感熱記録用粘着シート
GB9827569D0 (en) 1998-12-16 1999-02-10 Ciba Geigy Ag Heat sensitive recording material
JP3901922B2 (ja) 2000-09-08 2007-04-04 三菱製紙株式会社 感熱記録材料
FI110677B (fi) 2001-10-12 2003-03-14 Jujo Thermal Oy Lämpöherkkä tallennusmateriaali
US7157517B2 (en) * 2003-07-16 2007-01-02 Wayne State University Method of delaminating a graphite structure with a coating agent in a supercritical fluid
EP1586620A1 (fr) 2004-04-15 2005-10-19 Total S.A. Procede de purification de brut de forage, procede de separation d'une emulsion hydrocarbonee eau-dans-l'huile et dispositifs pour leur mise en oeuvre
JP4263145B2 (ja) 2004-07-26 2009-05-13 株式会社東芝 画像消去装置
JP4467001B2 (ja) * 2004-08-26 2010-05-26 株式会社リコー 感熱記録材料およびその用途
FR2881700B1 (fr) 2004-09-15 2008-07-18 Wagon Sas Systeme de galerie pour vehicule automobile, a longeron incorporant des traverses amovibles, et vehicule correspondant
JP4464232B2 (ja) 2004-09-21 2010-05-19 株式会社リコー 感熱記録材料および感熱記録ラベル
JP2006095842A (ja) 2004-09-29 2006-04-13 Dainippon Printing Co Ltd 感熱記録体
EP1800888B1 (en) * 2004-09-29 2008-11-19 Nippon Paper Industries Co., Ltd. Thermally sensitive recording medium
EP2239368A1 (de) 2009-04-09 2010-10-13 Cham Paper Group Schweiz AG Flächiges Substrat auf organischer Basis, Verwendung eines solchen Substrats sowie Verfahren
KR101668231B1 (ko) * 2011-10-31 2016-10-21 닛뽄세이시가부시끼가이샤 페놀술폰산 아릴 에스테르, 현색제 및 감열 기록 재료
KR20140063705A (ko) * 2011-11-07 2014-05-27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감열 기록 라벨
JP5887423B2 (ja) * 2012-11-21 2016-03-16 日本曹達株式会社 非フェノール系化合物を用いた記録材料
JP6036286B2 (ja) 2012-12-27 2016-11-30 株式会社Ihi ラジアルタービン及び過給機
BR112015018750B1 (pt) * 2013-02-13 2021-12-07 Oji Holdings Corporation Material de registro sensível ao calor
EP3109059B1 (de) * 2015-06-24 2018-06-27 Mitsubishi HiTec Paper Europe GmbH Wärmeempfindliches aufzeichnungsmateria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5925A (ko) * 2020-03-23 2022-10-31 쾰러 이노베이션 & 테크놀로지 게엠베하 감열 기록 물질에서의 현색제로서의 N-(p-톨루엔술포닐)-N'-(3-p-톨루엔술포닐-옥시-페닐)우레아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09059A1 (de) 2016-12-28
JP2019206188A (ja) 2019-12-05
EP3221153A1 (de) 2017-09-27
US20170368859A1 (en) 2017-12-28
JP2018509316A (ja) 2018-04-05
RU2670521C1 (ru) 2018-10-23
KR102058570B1 (ko) 2019-12-23
PL3109059T3 (pl) 2018-10-31
ES2684629T3 (es) 2018-10-03
WO2016207356A1 (de) 2016-12-29
EP3109059B1 (de) 2018-06-27
DE202015009476U1 (de) 2017-10-26
PL3221153T3 (pl) 2018-12-31
CN107107642A (zh) 2017-08-29
EP3221153B1 (de) 2018-08-15
US10328735B2 (en) 2019-06-25
ES2693023T3 (es) 2018-12-07
CN107107642B (zh) 2019-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8570B1 (ko) 감열 기록 재료
CN104995033A (zh) 热敏记录体
CN101842246A (zh) 热敏记录介质
CN101652253A (zh) 感热记录体
JP6571778B2 (ja) オフセット印刷用感熱記録材料
WO2006035567A1 (ja) 感熱記録体
US9050844B2 (en) Heat-sensitive recording material with barrier coating
JPS5945191A (ja) 保存性の改良された感熱記録シ−ト
JP2009285833A (ja) 感熱記録体
WO2014181746A1 (ja) 感熱記録体
WO2010074018A1 (ja) 感熱記録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ES2623811T3 (es) Material de registro termosensible con un derivado del ácido salicílico como revelador (del color) capaz de reaccionar con un precursor de colorante
JP2008087390A (ja) 感熱記録体
CA2136827C (en) Thermosensitive recording element
US8859460B2 (en) Heat-sensitive recording material having authenticity feature
KR20220070021A (ko) 무페놀 유기 색상 현상제를 포함하는 감열 기록 재료
JP2008183745A (ja) 感熱記録体
JPH06239019A (ja) ラベル用感熱記録シート
JPH04110188A (ja) 感熱記録体
JP2792291B2 (ja) 感熱記録材料
JP4152115B2 (ja) 感熱記録体
JP2014162210A (ja) 感熱記録材料
JP2006247864A (ja) 多色感熱記録材料
JP2008087391A (ja) 感熱記録体
JP2009023125A (ja) 感熱記録材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