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4682A - 화합물, 수지, 리소그래피용 하층막 형성재료, 리소그래피용 하층막, 패턴 형성방법, 및 화합물 또는 수지의 정제방법 - Google Patents

화합물, 수지, 리소그래피용 하층막 형성재료, 리소그래피용 하층막, 패턴 형성방법, 및 화합물 또는 수지의 정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4682A
KR20160134682A KR1020167025379A KR20167025379A KR20160134682A KR 20160134682 A KR20160134682 A KR 20160134682A KR 1020167025379 A KR1020167025379 A KR 1020167025379A KR 20167025379 A KR20167025379 A KR 20167025379A KR 20160134682 A KR20160134682 A KR 201601346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acid
layer film
compound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5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8654B1 (ko
Inventor
타카시 마키노시마
마사토시 에치고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 가스 케미칼 컴파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 가스 케미칼 컴파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미쯔비시 가스 케미칼 컴파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60134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46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8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86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9/00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hydroxy or O-metal group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39/12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hydroxy or O-metal group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polycyclic with no unsaturation outside the aromatic rings
    • C07C39/15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hydroxy or O-metal group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polycyclic with no unsaturation outside the aromatic rings with all hydroxy groups on non-condensed rings, e.g. phenylphenol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7/00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37/68Purification; separation; Use of additives, e.g. for stabil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8/00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phenols only
    • C08G8/04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phenols only of aldehy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8/00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phenols only
    • C08G8/04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phenols only of aldehydes
    • C08G8/08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phenols only of aldehydes of formaldehyde, e.g. of formaldehyde formed in situ
    • C08G8/10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phenols only of aldehydes of formaldehyde, e.g. of formaldehyde formed in situ with pheno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61/04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phenols only
    • C09D161/06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phenols only of aldehydes with phen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61/04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phenols only
    • C09D161/06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phenols only of aldehydes with phenols
    • C09D161/12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phenols only of aldehydes with phenols with polyhydric pheno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02Lithographic processes using patterning methods other than those involving the exposure to radiation, e.g. by stam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048Photosensitiv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olvents or agents facilitating spreading, e.g. tensio-active ag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9Photosensitive material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details, e.g. supports, auxiliary layers
    • G03F7/094Multilayer resist systems, e.g. planarising lay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9Photosensitive material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details, e.g. supports, auxiliary layers
    • G03F7/11Photosensitive material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details, e.g. supports, auxiliary layers having cover layers or intermediate layers, e.g. subbing lay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16Coating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20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26Processing photosensitive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G03F7/30Imagewise removal using liquid means
    • G03F7/32Liquid compositions therefor, e.g. developers
    • G03F7/325Non-aqueous compositions
    • G03F7/327Non-aqueous alkaline compositions, e.g. anhydrous quaternary ammonium sal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7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 H01L21/0271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organic layers
    • H01L21/0273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organic layer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photoresist lay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terials For Photolithography (AREA)
  • Phenolic Resins Or Amino Resins (AREA)
  • Photosensitive Polymer And Photoresist Processing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특정 식으로 표시된다. 상기 특정 식에 따른 구조를 가지므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습식프로세스가 적용가능하며, 내열성 및 에칭내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특정 구조를 가지므로, 내열성이 높고, 탄소농도가 비교적 높으며, 산소농도가 비교적 낮고, 용매용해성도 높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이용함으로써, 고온 베이크시의 막의 열화가 억제되고, 산소 플라즈마에칭 등에 대한 에칭내성도 우수한 하층막을 형성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레지스트층과의 밀착성도 우수하므로, 우수한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합물, 수지, 리소그래피용 하층막 형성재료, 리소그래피용 하층막, 패턴 형성방법, 및 화합물 또는 수지의 정제방법{COMPOUND, RESIN, BASE LAYER FILM-FORMING MATERIAL FOR LITHOGRAPHY, BASE LAYER FILM FOR LITHOGRAPHY, PATTERN-FORMING METHOD, AND METHOD FOR REFINING COMPOUND OR RESIN}
본 발명은, 특정 구조를 갖는 화합물 또는 수지에 관한 것이다. 또한, 이 화합물 또는 수지를 함유하는 리소그래피용 하층막 형성재료, 이 재료로부터 얻어지는 리소그래피용 하층막 및 이 재료를 이용하는 패턴 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이 화합물 또는 수지의 정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디바이스의 제조에 있어서, 포토레지스트 재료를 이용한 리소그래피에 의한 미세가공이 행해지고 있는데, 최근, LSI의 고집적화와 고속도화에 수반하여, 패턴룰에 의한 추가적인 미세화가 요구되고 있다. 현재의 범용기술로서 이용되고 있는 광노광을 이용한 리소그래피에 있어서는, 광원의 파장에서 유래하는 본질적인 해상도의 한계에 다다르고 있다.
레지스트 패턴 형성시에 사용하는 리소그래피용 광원은, KrF엑시머레이저(248nm)로부터 ArF엑시머레이저(193nm)로 단파장화되고 있다. 그러나, 레지스트 패턴의 미세화가 진행됨에 따라, 해상도의 문제 또는 현상 후에 레지스트 패턴이 무너진다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레지스트의 박막화가 요구되게 된다. 이러한 요망에 대하여, 단순히 레지스트의 박막화를 행하면, 기판가공에 충분한 레지스트 패턴의 막두께를 얻는 것이 어려워진다. 이에 따라, 레지스트 패턴뿐만 아니라, 레지스트와 가공하는 반도체기판의 사이에 레지스트 하층막을 제작하고, 이 레지스트 하층막에도 기판가공시의 마스크로서의 기능을 갖게 하는 프로세스가 필요하게 된다.
현재, 이러한 프로세스용 레지스트 하층막으로서, 다양한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종래의 에칭속도가 빠른 레지스트 하층막과는 달리, 레지스트에 가까운 드라이에칭속도의 선택비를 갖는 리소그래피용 레지스트 하층막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리소그래피용 레지스트 하층막을 형성하기 위한 재료로서, 소정의 에너지가 인가됨으로써 말단기가 탈리하여 설폰산잔기를 발생시키는 치환기를 적어도 갖는 수지성분과 용매를 함유하는 다층 레지스트 프로세스용 하층막 형성재료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또한, 레지스트에 비해 작은 드라이에칭속도의 선택비를 갖는 리소그래피용 레지스트 하층막도 들 수 있다. 이러한 리소그래피용 레지스트 하층막을 형성하기 위한 재료로서, 특정의 반복단위를 갖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레지스트 하층막 재료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참조). 나아가, 반도체기판에 비해 작은 드라이에칭속도의 선택비를 갖는 리소그래피용 레지스트 하층막도 들 수 있다. 이러한 리소그래피용 레지스트 하층막을 형성하기 위한 재료로서, 아세나프틸렌류의 반복단위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반복단위를 공중합하여 이루어지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레지스트 하층막 재료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3 참조).
한편, 이러한 레지스트 하층막에 있어서 높은 에칭내성을 갖는 재료로는, 메탄가스, 에탄가스, 아세틸렌가스 등을 원료에 이용한 CVD에 의해 형성된 아몰퍼스 카본 하층막이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프로세스 상의 관점에서, 스핀코트법이나 스크린인쇄 등의 습식프로세스에서 레지스트 하층막을 형성할 수 있는 레지스트 하층막 재료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광학특성 및 에칭내성이 우수함과 함께, 용매에 가용이며 습식프로세스가 적용가능한 재료로서, 특정 구성단위를 포함하는 나프탈렌포름알데히드 중합체 및 유기용매를 함유하는 리소그래피용 하층막 형성조성물을 제안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4 및 5를 참조).
또한, 3층 프로세스에 있어서의 레지스트 하층막의 형성에 있어서 이용되는 중간층의 형성방법에 관해서는, 예를 들어, 실리콘질화막의 형성방법(예를 들어, 특허문헌 6 참조)이나, 실리콘 질화막의 CVD형성방법(예를 들어, 특허문헌 7 참조)이 알려져 있다. 또한, 3층 프로세스용 중간층 재료로는, 실세스퀴옥산 베이스의 규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재료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8 및 9 참조).
일본특허공개 2004-177668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2004-271838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2005-250434호 공보 국제공개 제2009/072465 국제공개 제2011/034062 일본특허공개 2002-334869호 공보 국제공개 제2004/066377 일본특허공개 2007-226170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2007-226204호 공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종래 수많은 리소그래피용 하층막 형성재료가 제안되어 있으나, 스핀코트법이나 스크린인쇄 등의 습식프로세스가 적용가능한 높은 용매용해성을 가질뿐만 아니라, 내열성 및 에칭내성을 높은 수준으로 양립시킨 것은 없어, 새로운 재료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포토레지스트 하층막을 형성할 때에, 습식프로세스가 적용가능하며, 내열성 및 에칭내성이 우수한, 화합물, 수지, 리소그래피용 하층막 형성재료, 리소그래피용 하층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패턴 형성방법, 해당 화합물 또는 수지의 정제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특정구조를 갖는 화합물 또는 수지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1]
하기 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
[화학식 1]
Figure pct00001
(식(1) 중, R1은, 탄소수 1~30의 2n가의 기이며, R2~R5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10의 직쇄상, 분지상 혹은 환상의 알킬기, 탄소수 6~10의 아릴기, 탄소수 2~10의 알케닐기, 티올기 또는 수산기이며, 여기서, R4의 적어도 1개 및/또는 R5의 적어도 1개는 수산기 및/또는 티올기이며, m2 및 m3은, 각각 독립적으로 0~8의 정수이며, m4 및 m5는, 각각 독립적으로 0~9의 정수이며, 여기서, m4 및 m5의 적어도 1개는 1~9의 정수이며, n은, 1~4의 정수이며, p2~p5는 각각 독립적으로 0~2의 정수이다.)
[2]
R2의 적어도 1개 및/또는 R3의 적어도 1개가 수산기 및/또는 티올기인, [1]에 기재된 화합물.
[3]
상기 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하기 식(1a)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1] 또는 [2]에 기재된 화합물.
[화학식 2]
Figure pct00002
(식(1a) 중, R1~R5 및 n은, 상기 식(1)에서 설명한 것과 동의이며, m2' 및 m3'은 각각 독립적으로 0~4의 정수이며, m4' 및 m5'는 각각 독립적으로 0~5의 정수이며, 여기서, m4' 및 m5'의 적어도 1개는 1~5의 정수이다.)
[4]
상기 n이 1이며, 상기 R1이, RA-RB로 표시되는 기이며, 여기서, 해당 RA는 메틴기이며, 해당 RB는 탄소수가 7 이상의 아릴기인,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화합물.
[5]
상기 식(1a)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하기 식(1b)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3]에 기재된 화합물.
[화학식 3]
Figure pct00003
(식(1b) 중, R1은 상기 식(1)에서 설명한 것과 동의이며, R6 및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10의 직쇄상, 분지상 혹은 환상의 알킬기, 탄소수 6~10의 아릴기, 탄소수 2~10의 알케닐기, 티올기 또는 수산기이며, m6 및 m7은, 각각 독립적으로 0~7의 정수이다.)
[6]
상기 식(1b)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하기 식(BiF-1)로 표시되는, [5]에 기재된 화합물.
[화학식 4]
Figure pct00004
[7]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화합물을 모노머로 하여 얻어지는, 수지.
[8]
하기 식(2)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수지.
[화학식 5]
Figure pct00005
(식(2) 중, R1은, 탄소수 1~30의 2n가의 기이며, R2~R5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10의 직쇄상, 분지상 혹은 환상의 알킬기, 탄소수 6~10의 아릴기, 탄소수 2~10의 알케닐기, 티올기 또는 수산기이며, 여기서, R4의 적어도 1개 및/또는 R5의 적어도 1개는 수산기 및/또는 티올기이며, L은, 단결합 또는 탄소수 1~20의 직쇄상 혹은 분지상의 알킬렌기이며, m2 및 m3은, 각각 독립적으로 0~8의 정수이며, m4 및 m5는, 각각 독립적으로 0~9의 정수이며, 여기서, m4 및 m5의 적어도 1개는 1~9의 정수이며, n은, 1~4의 정수이며, p2~p5는 각각 독립적으로 0~2의 정수이다.)
[9]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화합물을 함유하는, 리소그래피용 하층막 형성재료.
[10]
[7] 또는 [8]에 기재된 수지를 함유하는, 리소그래피용 하층막 형성재료.
[11]
유기용매를 추가로 함유하는, [9] 또는 [10]에 기재된 리소그래피용 하층막 형성재료.
[12]
산발생제를 추가로 함유하는, [9]~[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리소그래피용 하층막 형성재료.
[13]
가교제를 추가로 함유하는, [9]~[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리소그래피용 하층막 형성재료.
[14]
[9]~[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리소그래피용 하층막 형성재료로부터 형성되는 리소그래피용 하층막.
[15]
기판 상에, [9]~[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하층막 형성재료를 이용하여 하층막을 형성하는 공정(A-1)과,
상기 하층막 상에, 적어도 1층의 포토레지스트층을 형성하는 공정(A-2)과,
상기 공정(A-2) 후, 이 포토레지스트층의 소정의 영역에 방사선을 조사하고, 알칼리 현상을 행하는 공정(A-3),
을 갖는, 레지스트 패턴 형성방법.
[16]
기판 상에, [9]~[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하층막 형성재료를 이용하여 하층막을 형성하는 공정(B-1)과,
상기 하층막 상에, 규소원자를 함유하는 레지스트 중간층막 재료를 이용하여 중간층막을 형성하는 공정(B-2)과,
상기 중간층막 상에, 적어도 1층의 포토레지스트층을 형성하는 공정(B-3)과,
상기 공정(B-3) 후, 상기 포토레지스트층의 소정의 영역에 방사선을 조사하고, 알칼리 현상하여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B-4)과,
상기 공정(B-4) 후, 상기 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로 하여 상기 중간층막을 에칭하고, 얻어진 중간층막 패턴을 에칭마스크로 하여 상기 하층막을 에칭하고, 얻어진 하층막 패턴을 에칭마스크로 하여 기판을 에칭함으로써 기판에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B-5),
을 갖는, 회로패턴 형성방법.
[17]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청구항 7 또는 8에 기재된 수지의 정제방법으로서,
물과 임의로 혼화하지 않는 유기용매 및, 상기 화합물 또는 상기 수지를 포함하는 용액과, 산성의 수용액을 접촉시켜 추출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정제방법.
[18]
상기 산성의 수용액이, 염산, 황산, 질산 및 인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무기산 수용액이거나, 또는,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옥살산, 말론산, 숙신산, 푸마르산, 말레산, 주석산, 구연산, 메탄설폰산, 페놀설폰산, p-톨루엔설폰산 및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기산 수용액인, [17]에 기재된 정제방법.
[19]
상기 물과 임의로 혼화하지 않는 유기용매가, 톨루엔, 2-헵탄온, 시클로헥사논, 시클로펜탄온, 메틸이소부틸케톤,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또는 아세트산에틸인, [17] 또는 [18]에 기재된 정제방법.
[20]
상기 용액과 산성의 수용액을 접촉시켜 추출하는 공정 후, 추가로 물에 의한 추출처리를 행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17]~[1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정제방법.
본 발명에 따르면, 습식프로세스가 적용가능하며, 내열성 및 에칭내성이 우수한 포토레지스트 하층막을 형성하기 위하여 유용한 리소그래피용 하층막 형성재료를 실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이하, 「본 실시형태」라고 함)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이며, 본 발명은 본 실시형태로만 한정되지 않는다.
[화합물]
본 실시형태의 화합물은, 하기 식(1)로 표시된다. 본 실시형태의 화합물은,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포토레지스트 하층막을 형성할 때에, 습식프로세스가 적용가능하며, 내열성 및 에칭내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화합물은 특정 구조를 가지므로, 내열성이 높고, 탄소농도가 비교적 높으며, 산소농도가 비교적 낮고, 용매용해성도 높다. 이에 따라, 본 실시형태의 화합물을 이용함으로써, 고온 베이크시의 막의 열화가 억제되고, 산소플라즈마 에칭 등에 대한 에칭내성도 우수한 하층막을 형성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레지스트층과의 밀착성도 우수하므로, 우수한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화학식 6]
Figure pct00006

상기 (1)식 중, R1은, 탄소수 1~30의 2n가의 기이다. 본 실시형태의 화합물은, 이 R1을 개재하여 각각의 방향환이 결합된 구성을 갖는다.
R2~R5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10의 직쇄상, 분지상 혹은 환상의 알킬기, 탄소수 6~10의 아릴기, 탄소수 2~10의 알케닐기, 티올기 및 수산기로 이루어진 기로부터 선택되는 1가의 기이다. 여기서, R4의 적어도 1개 및/또는 R5의 적어도 1개는 수산기 및/또는 티올기이다.
m2 및 m3은, 각각 독립적으로 0~8의 정수이며, m4 및 m5는, 각각 독립적으로 0~9의 정수이다. 여기서, m4 및 m5의 적어도 1개는 1~9의 정수이다. 즉, m4 및 m5는, 동시에 0이 되지는 않는다.
n은, 1~4의 정수이다.
p2~p5는 각각 독립적으로 0~2의 정수이다.
또한, 상기 2n가의 기란, n=1일 때는, 탄소수 1~30의 알킬렌기, n=2일 때는, 탄소수 1~30의 알칸테트라일(アルカンテトライル)기, n=3일 때는, 탄소수 2~30의 알칸헥사일(アルカンヘキサイル)기, n=4일 때는, 탄소수 3~30의 알칸옥타일(アルカンオクタイル)기를 나타낸다. 상기 2n가의 기로는, 예를 들어, 직쇄상 탄화수소기, 분지상 탄화수소기 또는 환식 탄화수소기를 갖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환식 탄화수소기에 대해서는, 유교환식(有橋環式) 탄화수소기도 포함된다. 또한, 상기 2n가의 기는, 탄소수 6~30의 방향족기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2n가의 기는, 이중결합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이 기는 헤테로원자를 가질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원료의 입수성과 내열성 부여의 관점에서, 상기 n이 1이며, 상기 R1이, RA-RB로 표시되는 기이며, 여기서, 해당 RA는 메틴기이며, 해당 RB는 탄소수가 7 이상의 아릴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탄소수가 7 이상의 아릴기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비페닐, 나프탈렌, 안트라센, 피렌, 페릴렌, 플루오렌, 트리페닐메탄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승화성의 억제와 내열성의 향상의 관점에서는, 상기 n이 2~4의 정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비교적 저분자량이면서도, 그 구조의 강직함에 의해 높은 내열성을 가지므로, 고온 베이크조건으로도 사용가능하다. 또한, 비교적 저분자량이고 저점도인 점에서, 단차를 갖는 기판(특히, 미세한 스페이스나 홀패턴 등)이어도, 그 단차의 구석까지 균일하게 충전시키는 것이 용이하다. 그 결과, 이를 이용한 리소그래피용 하층막 형성재료는 매립특성을 비교적 유리하게 높일 수 있다. 또한, 비교적 높은 탄소농도를 갖는 화합물인 점에서, 높은 에칭내성도 부여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의 화합물의 분자량으로는, 5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00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3000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자량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가교의 용이함과 유기용매에 대한 용해성의 관점에서, R2의 적어도 1개 및/또는 R3의 적어도 1개가 수산기 및/또는 티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원료의 공급성의 관점에서, 하기 식(1a)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화학식 7]
Figure pct00007

상기 식(1a) 중, R1~R5 및 n은, 상기 식(1)에서 설명한 것과 동의이다.
m2' 및 m3'은 각각 독립적으로 0~4의 정수이며, m4' 및 m5'는 각각 독립적으로 0~5의 정수이다. 여기서, m4' 및 m5'의 적어도 1개는 1~5의 정수이다. 즉, m4' 및 m5'는, 동시에 0이 되지는 않는다.
상기 식(1a)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유기용매에 대한 용해성의 관점에서, 하기 식(1b)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화학식 8]
Figure pct00008
상기 식(1b) 중, R1은, 상기 식(1)에서 설명한 것과 동의이다.
R6 및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10의 직쇄상, 분지상 혹은 환상의 알킬기, 탄소수 6~10의 아릴기, 탄소수 2~10의 알케닐기, 티올기 또는 수산기이다.
m6 및 m7은, 각각 독립적으로 0~7의 정수이다.
상기 식(1b)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추가적인 유기용매에 대한 용해성의 관점에서, 하기 식(BiF-1)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이 보다 더욱 바람직하다.
[화학식 9]
Figure pct00009

이하에, 상기 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구체예를 나타내나, 여기서 열거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화학식 10]
Figure pct00010

[화학식 11]
Figure pct00011

[화학식 12]
Figure pct00012

[화학식 13]
Figure pct00013

[화학식 14]
Figure pct00014

[화학식 15]
Figure pct00015

상기 화합물 중, R2~R5, m2~m5는, 상기 식(1)에서 설명한 것과 동의이다.
[화학식 16]
Figure pct00016

[화학식 17]
Figure pct00017

[화학식 18]
Figure pct00018

[화학식 19]
Figure pct00019

상기 화합물 중, R2~R5는, 상기 식(1)에서 설명한 것과 동의이다.
m2' 및 m3'은 각각 독립적으로 0~4의 정수이며, m4' 및 m5'는 각각 독립적으로 0~5의 정수이다. 여기서, m4' 및 m5'의 적어도 1개는 1~5의 정수이다. 즉, m4' 및 m5'는, 동시에 0이 되지는 않는다.
[화학식 20]
Figure pct00020

[화학식 21]
Figure pct00021
[화학식 22]
Figure pct00022

상기 화합물 중, R2~R5, m2~m5는, 상기 식(1)에서 설명한 것과 동의이다.
[화학식 23]
Figure pct00023

[화학식 24]
Figure pct00024

[화학식 25]
Figure pct00025

상기 화합물 중, R2~R5는, 상기 식(1)에서 설명한 것과 동의이다.
m2' 및 m3'은 각각 독립적으로 0~4의 정수이며, m4' 및 m5'는 각각 독립적으로 0~5의 정수이다. 여기서, m4' 및 m5'의 적어도 1개는 1~5의 정수이다. 즉, m4' 및 m5'는, 동시에 0이 되지는 않는다.
[화학식 26]
Figure pct00026

[화학식 27]
Figure pct00027

[화학식 28]
Figure pct00028

[화학식 29]
Figure pct00029

[화학식 30]
Figure pct00030

[화학식 31]
Figure pct00031

[화학식 32]
Figure pct00032

[화학식 33]
Figure pct00033

[화학식 34]
Figure pct00034

[화학식 35]
Figure pct00035

[화학식 36]
Figure pct00036

[화학식 37]
Figure pct00037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공지의 수법을 응용하여 적당히 합성할 수 있고, 그 합성수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압하, 비페놀류, 비티오페놀류, 비나프톨류, 비티오나프톨류 또는 비안트라센올류와, 대응하는 알데히드류 또는 케톤류를 산촉매하에서 중축합반응시킴으로써, 상기 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가압하에서 행할 수도 있다.
상기 비페놀류로는, 예를 들어, 비페놀, 메틸비페놀, 메톡시비나프톨 등을 들 수 있으나,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비페놀을 이용하는 것이 원료의 안정공급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비티오페놀류로는, 예를 들어, 비티오페놀, 메틸비티오페놀, 메톡시비티오페놀 등을 들 수 있으나,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비티오페놀을 이용하는 것이 원료의 안정공급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비나프톨류로는, 예를 들어, 비나프톨, 메틸비나프톨, 메톡시비나프톨 등을 들 수 있으나,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비나프톨을 이용하는 것이, 탄소원자농도를 높이고, 내열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비티오나프톨류로는, 예를 들어, 비티오나프톨, 메틸비티오나프톨, 메톡시비티오나프톨 등을 들 수 있으나,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비티오나프톨을 이용하는 것이, 탄소원자농도를 높이고, 내열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비안트라센올류로는, 예를 들어, 비안트라센올, 메틸비안트라센올, 메톡시비안트라센올 등을 들 수 있으나,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비안트라센올을 이용하는 것이 원료의 안정공급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알데히드류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포름알데히드, 트리옥산, 파라포름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 프로필알데히드, 부틸알데히드, 헥실알데히드, 데실알데히드, 운데실알데히드, 페닐아세트알데히드, 페닐프로필알데히드, 푸르푸랄, 벤즈알데히드, 하이드록시벤즈알데히드, 플루오로벤즈알데히드, 클로로벤즈알데히드, 니트로벤즈알데히드, 메틸벤즈알데히드, 디메틸벤즈알데히드, 에틸벤즈알데히드, 프로필벤즈알데히드, 부틸벤즈알데히드, 시클로헥실벤즈알데히드, 벤즈알데히드, 하이드록시벤즈알데히드, 플루오로벤즈알데히드, 클로로벤즈알데히드, 니트로벤즈알데히드, 메틸벤즈알데히드, 디메틸벤즈알데히드, 에틸벤즈알데히드, 프로필벤즈알데히드, 부틸벤즈알데히드, 시클로헥실벤즈알데히드, 비페닐알데히드, 나프트알데히드, 안트라센카르복시알데히드, 페난트렌카르복시알데히드, 피렌카르복시알데히드, 글리옥살, 글루타르알데히드, 프탈알데히드, 나프탈렌디카르복시알데히드, 비페닐디카르복시알데히드, 안트라센디카르복시알데히드, 비스(디포르밀페닐)메탄, 비스(디포르밀페닐)프로판, 벤젠트리카르복시알데히드를 이용하는 것이, 높은 내열성을 부여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케톤류로는, 예를 들어,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시클로부탄온, 시클로펜탄온, 시클로헥사논, 노보나논, 트리시클로헥사논, 트리시클로데칸온, 아다만타논, 플루오레논, 벤조플루오레논, 아세나프텐퀴논, 아세나프테논, 안트라퀴논 등을 들 수 있으나,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시클로펜탄온, 시클로헥사논, 노보나논, 트리시클로헥사논, 트리시클로데칸온, 아다만타논, 플루오레논, 벤조플루오레논, 아세나프텐퀴논, 아세나프테논, 안트라퀴논을 이용하는 것이, 높은 내열성을 부여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반응에 이용하는 산촉매에 대해서는, 공지의 것으로부터 적당히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산촉매로는, 무기산이나 유기산이 널리 알려져 있고, 예를 들어, 염산, 황산, 인산, 브롬화수소산, 불산 등의 무기산이나, 옥살산, 말론산, 숙신산, 아디프산, 세바스산, 구연산, 푸마르산, 말레산, 포름산, p-톨루엔설폰산, 메탄설폰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디클로로아세트산, 트리클로로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 벤젠설폰산, 나프탈렌설폰산, 나프탈렌디설폰산 등의 유기산이나, 염화아연, 염화알루미늄, 염화철, 삼불화붕소 등의 루이스산, 혹은 규텅스텐산, 인텅스텐산, 규몰리브덴산 또는 인몰리브덴산 등의 고체산 등을 들 수 있으나,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 중에서도, 제조상의 관점에서, 유기산 및 고체산이 바람직하고, 입수의 용이함이나 취급의 용이함 등의 제조상의 관점에서, 염산 또는 황산을 이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산촉매에 대해서는,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산촉매의 사용량은, 사용하는 원료 및 사용하는 촉매의 종류, 더 나아가 반응조건 등에 따라 적당히 설정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반응원료 100질량부에 대하여, 0.01~10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응시에는, 반응용매를 이용할 수도 있다. 반응용매로는, 이용하는 알데히드류 또는 케톤류와, 비페놀류, 비티오페놀류, 비나프톨류, 비티오나프톨류 또는 비안트라센디올류와의 반응이 진행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것 중에서 적당히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옥산, 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등이 예시된다. 또한, 용매는, 1종을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용매의 사용량은, 사용하는 원료 및 사용하는 촉매의 종류, 더 나아가 반응조건 등에 따라 적당히 설정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반응원료 100질량부에 대하여 0~2000질량부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반응에 있어서의 반응온도는, 반응원료의 반응성에 따라 적당히 선택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통상 10~200℃의 범위이다.
본 실시형태의 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기 위해서는, 반응온도는 높은 편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60~200℃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또한, 반응방법은, 공지의 수법을 적당히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비페놀류, 비티오페놀류, 비나프톨류, 비티오나프톨류 또는 비안트라센디올류와, 알데히드류 혹은 케톤류와, 촉매를 일괄적으로 투입하는 방법이나, 비페놀류, 비티오페놀류, 비나프톨류, 비티오나프톨류 또는 비안트라센디올류나, 알데히드류 또는 케톤류를 촉매존재하에서 적하하는 방법이 있다. 중축합반응 종료 후, 얻어진 화합물의 단리는, 상법에 따라 행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계내에 존재하는 미반응 원료나 촉매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반응솥의 온도를 130~230℃까지 상승시키고, 1~50mmHg 정도로 휘발분을 제거하는 등의 일반적 수법을 채용함으로써, 목적물인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한 반응조건으로는, 알데히드류 또는 케톤류 1몰에 대하여, 비페놀류, 비티오페놀류, 비나프톨류, 비티오나프톨류 또는 비안트라센디올류를 1.0몰~과잉량, 및 산촉매를 0.001~1몰 사용하고, 상압에서, 50~150℃에서 20분~100시간 정도 반응시킴으로써 진행된다.
반응 종료 후, 공지의 방법에 의해 목적물을 단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응액을 농축하고, 순수를 첨가하여 반응생성물을 석출시키고, 실온까지 냉각한 후, 여과를 행하여 분리시키고, 얻어진 고형물을 여과하여, 건조시킨 후, 칼럼크로마토에 의해, 부생성물과 분리정제하고, 용매유거, 여과, 건조를 행하여 목적물인 상기 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수지]
본 실시형태의 수지는, 상기 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모노머로 하여 얻어지는 수지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수지는, 식(2)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다.
[화학식 38]
Figure pct00038

식(2) 중, R1은, 탄소수 1~30의 2n가의 기이며, 이 기로는, 예를 들어, 직쇄상 탄화수소기, 분지상 탄화수소기 또는 환식 탄화수소기를 갖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환식 탄화수소기에 대해서는, 유교환식 탄화수소기도 포함된다. 또한, 이 2n가의 기는 탄소수 6~30의 방향족기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2n가의 기는, 이중결합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이 기는 헤테로원자를 가질 수도 있다.
R2~R5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10의 직쇄상, 분지상 혹은 환상의 알킬기, 탄소수 6~10의 아릴기, 탄소수 2~10의 알케닐기, 티올기 또는 수산기이다. 여기서, R4의 적어도 1개 및/또는 R5의 적어도 1개는 수산기 및/또는 티올기이다.
L은, 단결합 또는 탄소수 1~20의 직쇄상 혹은 분지상의 알킬렌기이다.
m2 및 m3은, 각각 독립적으로 0~8의 정수이며, m4 및 m5는, 각각 독립적으로 0~9의 정수이다. 여기서, m4 및 m5의 적어도 1개는 1~9의 정수이다. 즉, m4 및 m5는, 동시에 0이 되지는 않는다.
n은, 1~4의 정수이다.
p2~p5는 각각 독립적으로 0~2의 정수이다.
본 실시형태의 수지에 있어서, 원료의 입수성과 내열성 부여의 관점에서, 상기 n이 1이며, 상기 R1이, RA-RB로 표시되는 기이며, 여기서, 해당 RA는 메틴기이며, 해당 RB는 탄소수가 7 이상의 아릴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탄소수가 7 이상의 아릴기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비페닐, 나프탈렌, 안트라센, 피렌, 페릴렌, 플루오렌, 트리페닐메탄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수지는, 예를 들어, 상기 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가교반응성이 있는 화합물과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진다.
가교반응성이 있는 화합물로는, 상기 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올리고머화 또는 폴리머화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 구체예로는, 알데히드, 케톤, 카르본산, 카르본산할라이드, 할로겐함유 화합물, 아미노 화합물, 이미노 화합물, 이소시아네이트, 불포화탄화수소기함유 화합물 등을 들 수 있으나,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의 수지의 구체예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상기 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가교반응성이 있는 화합물인 알데히드와의 축합반응 등에 의해 노볼락화한 수지를 들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노볼락화할 때에 이용하는 알데히드로는, 예를 들어, 포름알데히드, 트리옥산, 파라포름알데히드, 벤즈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 프로필알데히드, 페닐아세트알데히드, 페닐프로필알데히드, 하이드록시벤즈알데히드, 클로로벤즈알데히드, 니트로벤즈알데히드, 메틸벤즈알데히드, 에틸벤즈알데히드, 부틸벤즈알데히드, 비페닐알데히드, 나프트알데히드, 안트라센카브로알데히드, 페난트렌카르보알데히드, 피렌카르보알데히드, 푸르푸랄 등을 들 수 있으나,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 중에서도, 포름알데히드가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알데히드류는,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데히드류의 사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상기 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 1몰에 대하여, 0.2~5몰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2몰이다.
상기 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알데히드의 축합반응에 있어서, 촉매를 이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하는 산촉매에 대해서는, 공지의 것으로부터 적당히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산촉매로는, 무기산이나 유기산이 널리 알려져 있고, 예를 들어, 염산, 황산, 인산, 브롬화수소산, 불산 등의 무기산이나, 옥살산, 말론산, 숙신산, 아디프산, 세바스산, 구연산, 푸마르산, 말레산, 포름산, p-톨루엔설폰산, 메탄설폰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디클로로아세트산, 트리클로로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 벤젠설폰산, 나프탈렌설폰산, 나프탈렌디설폰산 등의 유기산이나, 염화아연, 염화알루미늄, 염화철, 삼불화붕소 등의 루이스산, 혹은 규텅스텐산, 인텅스텐산, 규몰리브덴산 또는 인몰리브덴산 등의 고체산 등을 들 수 있으나,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 중에서도, 제조상의 관점에서, 유기산 및 고체산이 바람직하고, 입수의 용이함이나 취급의 용이함 등의 제조상의 관점에서, 염산 또는 황산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산촉매에 대해서는,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산촉매의 사용량은, 사용하는 원료 및 사용하는 촉매의 종류, 더 나아가 반응조건 등에 따라 적당히 설정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반응원료 100질량부에 대하여, 0.01~10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인덴, 하이드록시인덴, 벤조푸란, 하이드록시안트라센, 아세나프틸렌, 비페닐, 비스페놀, 트리스페놀, 디시클로펜타디엔, 테트라하이드로인덴, 4-비닐시클로헥센, 노보나디엔, 5-비닐노보나-2-엔, α-피넨, β-피넨, 리모넨 등의 비공역 이중결합을 갖는 화합물과의 공중합반응의 경우는, 알데히드류를 이용하지 않아도 된다.
상기 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알데히드의 축합반응에 있어서, 반응용매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 중축합에 있어서의 반응용매로는, 공지의 것 중에서 적당히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물,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옥산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용매는, 1종을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용매의 사용량은, 사용하는 원료 및 사용하는 촉매의 종류, 더 나아가 반응조건 등에 따라 적당히 설정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반응원료 100질량부에 대하여 0~2000질량부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반응온도는, 반응원료의 반응성에 따라 적당히 선택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통상 10~200℃의 범위이다. 또한, 반응방법은, 공지의 수법을 적당히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상기 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 알데히드류, 촉매를 일괄적으로 투입하는 방법이나, 상기 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나 알데히드류를 촉매존재하에서 적하하는 방법이 있다.
중축합 반응 종료 후, 얻어진 화합물의 단리는, 상법에 따라서 행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계내에 존재하는 미반응 원료나 촉매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반응솥의 온도를 130~230℃까지 상승시키고, 1~50mmHg 정도로 휘발분을 제거하는 등의 일반적 수법을 채용함으로써, 목적물인 노볼락화한 수지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의 수지는, 상기 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단독중합체일 수도 있으나, 다른 페놀류와의 공중합체일 수도 있다. 여기서 공중합 가능한 페놀류로는, 예를 들어, 페놀, 크레졸, 디메틸페놀, 트리메틸페놀, 부틸페놀, 페닐페놀, 디페닐페놀, 나프틸페놀, 레조르시놀, 메틸레조르시놀, 카테콜, 부틸카테콜, 메톡시페놀, 메톡시페놀, 프로필페놀, 피로갈롤, 티몰 등을 들 수 있으나,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수지는, 상기 서술한 다른 페놀류 이외에, 중합가능한 모노머와 공중합시킨 것일 수도 있다. 이러한 공중합모노머로는, 예를 들어, 나프톨, 메틸나프톨, 메톡시나프톨, 디하이드록시나프탈렌, 인덴, 하이드록시인덴, 벤조푸란, 하이드록시안트라센, 아세나프틸렌, 비페닐, 비스페놀, 트리스페놀, 디시클로펜타디엔, 테트라하이드로인덴, 4-비닐시클로헥센, 노보나디엔, 비닐노보나엔, 피넨, 리모넨 등을 들 수 있으나,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수지는, 상기 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상기 서술한 페놀류의 2원 이상의(예를 들어, 2~4원계) 공중합체일 수도 있고, 상기 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상기 서술한 공중합모노머의 2원 이상의(예를 들어, 2~4원계) 공중합체일 수도 있고, 상기 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상기 서술한 페놀류와 상기 서술한 공중합모노머의 3원 이상의(예를 들어, 3~4원계) 공중합체일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수지의 분자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평균 분자량(Mw)이 500~30,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50~20,000이다. 또한, 가교효율을 높임과 함께 베이크 중의 휘발성분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본 실시형태의 수지는, 분산도(중량평균 분자량Mw/수평균 분자량Mn)가 1.2~7의 범위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Mn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구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또는 이 화합물을 모노머로 하여 얻어지는 수지는, 습식프로세스의 적용이 보다 용이해지는 등의 관점에서, 용매에 대한 용해성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들 화합물 및/또는 수지는, 1-메톡시-2-프로판올(PGME) 및/또는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PGMEA)를 용매로 하는 경우, 해당 용매에 대한 용해도가 1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PGME 및/또는 PGMEA에 대한 용해도는, 「수지의 질량÷(수지의 질량+용매의 질량)×100(질량%)」이라 정의된다. 예를 들어, 상기 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또는 이 화합물을 모노머로 하여 얻어지는 수지 10g이 PGMEA 90g에 대하여 용해된다고 평가되는 것은, 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또는 이 화합물을 모노머로 하여 얻어지는 수지의 PGMEA에 대한 용해도가 「10질량% 이상」이 되는 경우이며, 용해되지 않는다고 평가되는 것은, 해당 용해도가 「10질량% 미만」이 되는 경우이다.
[리소그래피용 하층막 형성재료]
본 실시형태의 리소그래피용 하층막 형성재료는, 상기 서술한 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 화합물을 모노머로 하여 얻어지는 수지를 함유한다. 즉, 본 실시형태의 리소그래피용 하층막 형성재료는, 본 실시형태의 상기 화합물 또는 수지를 적어도 함유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므로, 본 실시형태의 리소그래피용 하층막 형성재료는, 습식프로세스가 적용가능하며, 내열성 및 에칭내성이 우수하다. 나아가, 본 실시형태의 리소그래피용 하층막 형성재료는 상기 화합물 또는 수지를 이용하고 있으므로, 고온 베이크시의 막의 열화가 억제되고, 산소플라즈마 에칭 등에 대한 에칭내성도 우수한 하층막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리소그래피용 하층막 형성재료는 레지스트층과의 밀착성도 우수하므로, 우수한 레지스트 패턴을 얻을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리소그래피용 하층막 형성재료는, 상기 서술한 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또는 이 화합물을 모노머로 하여 얻어지는 수지 이외에, 필요에 따라, 유기용매, 가교제, 산발생제의 다른 성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이들의 임의성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리소그래피용 하층막 형성재료는, 유기용매를 함유할 수도 있다. 유기용매로는, 상기 서술한 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또는 이 화합물을 모노머로 하여 얻어지는 수지가 적어도 용해되는 것이면, 공지의 것을 적당히 이용할 수 있다.
유기용매의 구체예로는,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 등의 케톤계 용매;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등의 셀로솔브계 용매; 유산에틸,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아세트산이소아밀, 유산에틸, 메톡시프로피온산메틸, 하이드록시이소부티르산메틸 등의 에스테르계 용매;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1-에톡시-2-프로판올 등의 알코올계 용매; 톨루엔, 자일렌, 아니솔 등의 방향족계 탄화수소 등을 들 수 있으나,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의 유기용매는, 1종을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 중에서, 안전성의 관점에서, 시클로헥사논,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유산에틸, 하이드록시이소부티르산메틸, 아니솔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리소그래피용 하층막 형성재료가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서술한 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함유량 및/또는 이 화합물을 모노머로 하여 얻어지는 수지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총량 100질량부에 대하여, 1~7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0질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5~40질량부이다.
본 실시형태의 리소그래피용 하층막 형성재료는, 인터믹싱을 억제하는 등의 관점에서, 필요에 따라 가교제를 함유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사용가능한 가교제의 구체예로는, 멜라민 화합물, 구아나민 화합물, 글리콜우릴 화합물, 우레아 화합물, 에폭시 화합물, 티오에폭시 화합물,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아지드 화합물, 알케닐에테르기 등의 2중결합을 포함하는 화합물로서, 메틸올기, 알콕시메틸기, 아실옥시메틸기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를 치환기(가교성기)로서 갖는 것 등을 들 수 있으나,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이들 가교제는, 1종을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은 첨가제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가교성기를 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또는 이 화합물을 모노머로 하여 얻어지는 수지에 있어서의 폴리머측쇄에 펜던트기로서 도입할 수도 있다. 또한, 하이드록시기를 포함하는 화합물도 가교제로서 이용할 수 있다.
멜라민 화합물의 구체예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헥사메틸올멜라민, 헥사메톡시메틸멜라민, 헥사메틸올멜라민의 1~6개의 메틸올기가 메톡시메틸화한 화합물 또는 그 혼합물, 헥사메톡시에틸멜라민, 헥사아실옥시메틸멜라민, 헥사메틸올멜라민의 메틸올기의 1~6개가 아실옥시메틸화한 화합물 또는 그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에폭시 화합물의 구체예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트리스(2,3-에폭시프로필)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메틸올메탄트리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글리시딜에테르, 트리에틸올에탄트리글리시딜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구아나민 화합물의 구체예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테트라메틸올구아나민, 테트라메톡시메틸구아나민, 테트라메틸올구아나민의 1~4개의 메틸올기가 메톡시메틸화한 화합물 또는 그 혼합물, 테트라메톡시에틸구아나민, 테트라아실옥시구아나민, 테트라메틸올구아나민의 1~4개의 메틸올기가 아실옥시메틸화한 화합물 또는 그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글리콜우릴 화합물의 구체예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테트라메틸올글리콜우릴, 테트라메톡시글리콜우릴, 테트라메톡시메틸글리콜우릴, 테트라메틸올글리콜우릴의 메틸올기의 1~4개가 메톡시메틸화한 화합물 또는 그 혼합물, 테트라메틸올글리콜우릴의 메틸올기의 1~4개가 아실옥시메틸화한 화합물 또는 그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우레아 화합물의 구체예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테트라메틸올우레아, 테트라메톡시메틸우레아, 테트라메틸올우레아의 1~4개의 메틸올기가 메톡시메틸화한 화합물 또는 그혼합물, 테트라메톡시에틸우레아 등을 들 수 있다.
알케닐에테르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의 구체예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에틸렌글리콜디비닐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디비닐에테르, 1,2-프로판디올디비닐에테르, 1,4-부탄디올디비닐에테르, 테트라메틸렌글리콜디비닐에테르, 네오펜틸글리콜디비닐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비닐에테르, 헥산디올디비닐에테르, 1,4-시클로헥산디올디비닐에테르, 펜타에리스리톨트리비닐에테르,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비닐에테르, 솔비톨테트라비닐에테르, 솔비톨펜타비닐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비닐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리소그래피용 하층막 형성재료에 있어서, 가교제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상기 서술한 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이 화합물을 모노머로 하여 얻어지는 수지 100질량에 대하여, 5~5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40질량부이다. 상기의 바람직한 범위로 함으로써, 레지스트층과의 믹싱현상의 발생이 억제되는 경향이 있으며, 또한, 반사방지효과가 높아지고, 가교 후의 막형성성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본 실시형태의 리소그래피용 하층막 형성재료는, 열에 의한 가교반응을 더욱 촉진시키는 등의 관점에서, 필요에 따라 산발생제를 함유할 수도 있다. 산발생제로는, 열분해에 의해 산을 발생시키는 것, 광조사에 의해 산을 발생시키는 것 등이 알려져 있으나,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산발생제로는,
1) 하기 일반식(P1a-1), (P1a-2), (P1a-3) 또는 (P1b)의 오늄염,
2) 하기 일반식(P2)의 디아조메탄 유도체,
3) 하기 일반식(P3)의 글리옥심 유도체,
4) 하기 일반식(P4)의 비스설폰 유도체,
5) 하기 일반식(P5)의 N-하이드록시이미드 화합물의 설폰산에스테르,
6) β-케토설폰산 유도체,
7) 디설폰 유도체,
8) 니트로벤질설포네이트 유도체,
9) 설폰산에스테르 유도체
등을 들 수 있으나,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이들 산발생제는, 1종을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화학식 39]
Figure pct00039

상기 식 중, R101a, R101b, R101c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12의 직쇄상, 분지상 혹은 환상의 알킬기, 알케닐기, 옥소알킬기 또는 옥소알케닐기; 탄소수 6~20의 아릴기; 또는 탄소수 7~12의 아랄킬기 혹은 아릴옥소알킬기를 나타내고, 이들 기의 수소원자의 일부 또는 전부가 알콕시기 등에 의해 치환될 수도 있다. 또한, R101b와 R101c는 환을 형성할 수도 있고, 환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R101b, R101c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6의 알킬렌기를 나타낸다. K-는 비구핵성 대향이온을 나타낸다. R101d, R101e, R101f, R101g는, 각각 독립적으로 R101a, R101b, R101c에 수소원자를 첨가하여 나타낸다. R101d와 R101e, R101d와 R101e와 R101f는 환을 형성할 수도 있고, 환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R101d와 R101e 및 R101d와 R101e와 R101f는 탄소수 3~10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또는, 식 중의 질소원자를 환 중에 갖는 복소방향족 환을 나타낸다.
상기의 R101a, R101b, R101c, R101d, R101e, R101f, R101g는 서로 동일할 수도 상이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알킬기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sec-부틸기, tert-부틸기, 펜틸기, 헥실기, 헵틸기, 옥틸기,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시클로헵틸기, 시클로프로필메틸기, 4-메틸시클로헥실기, 시클로헥실메틸기, 노보닐기, 아다만틸기 등을 들 수 있다. 알케닐기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비닐기, 알릴기, 프로페닐기, 부테닐기, 헥세닐기, 시클로헥세닐기 등을 들 수 있다. 옥소알킬기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2-옥소시클로펜틸기, 2-옥소시클로헥실기 등이나, 2-옥소프로필기, 2-시클로펜틸-2-옥소에틸기, 2-시클로헥실-2-옥소에틸기, 2-(4-메틸시클로헥실)-2-옥소에틸기 등을 들 수 있다. 옥소알케닐기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2-옥소-4-시클로헥세닐기, 2-옥소-4-프로페닐기 등을 들 수 있다. 아릴기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페닐기, 나프틸기 등이나, p-메톡시페닐기, m-메톡시페닐기, o-메톡시페닐기, 에톡시페닐기, p-tert-부톡시페닐기, m-tert-부톡시페닐기 등의 알콕시페닐기; 2-메틸페닐기, 3-메틸페닐기, 4-메틸페닐기, 에틸페닐기, 4-tert-부틸페닐기, 4-부틸페닐기, 디메틸페닐기 등의 알킬페닐기; 메틸나프틸기, 에틸나프틸기 등의 알킬나프틸기; 메톡시나프틸기, 에톡시나프틸기 등의 알콕시나프틸기; 디메틸나프틸기, 디에틸나프틸기 등의 디알킬나프틸기; 디메톡시나프틸기, 디에톡시나프틸기 등의 디알콕시나프틸기 등을 들 수 있다. 아랄킬기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벤질기, 페닐에틸기, 페네틸기 등을 들 수 있다. 아릴옥소알킬기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2-페닐-2-옥소에틸기, 2-(1-나프틸)-2-옥소에틸기, 2-(2-나프틸)-2-옥소에틸기 등의 2-아릴-2-옥소에틸기 등을 들 수 있다. K-의 비구핵성 대향이온으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염화물이온, 브롬화물이온 등의 할라이드이온; 트리플레이트, 1,1,1-트리플루오로에탄설포네이트, 노나플루오로부탄설포네이트 등의 플루오로알킬설포네이트; 토실레이트, 벤젠설포네이트, 4-플루오로벤젠설포네이트, 1,2,3,4,5-펜타플루오로벤젠설포네이트 등의 아릴설포네이트; 메실레이트, 부탄설포네이트 등의 알킬설포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R101d, R101e, R101f, R101g가 식 중의 질소원자를 환 중에 갖는 복소방향족 환인 경우, 그 복소방향족 환으로는, 이미다졸 유도체(예를 들어 이미다졸, 4-메틸이미다졸, 4-메틸-2-페닐이미다졸 등), 피라졸 유도체, 푸라잔 유도체, 피롤린 유도체(예를 들어 피롤린, 2-메틸-1-피롤린 등), 피롤리딘 유도체(예를 들어 피롤리딘, N-메틸피롤리딘, 피롤리디논, N-메틸피롤리돈 등), 이미다졸린 유도체, 이미다졸리딘 유도체, 피리딘 유도체(예를 들어 피리딘, 메틸피리딘, 에틸피리딘, 프로필피리딘, 부틸피리딘, 4-(1-부틸펜틸)피리딘, 디메틸피리딘, 트리메틸피리딘, 트리에틸피리딘, 페닐피리딘, 3-메틸-2-페닐피리딘, 4-tert-부틸피리딘, 디페닐피리딘, 벤질피리딘, 메톡시피리딘, 부톡시피리딘, 디메톡시피리딘, 1-메틸-2-피리돈, 4-피롤리디노피리딘, 1-메틸-4-페닐피리딘, 2-(1-에틸프로필)피리딘, 아미노피리딘, 디메틸아미노피리딘 등), 피리다진 유도체, 피리미딘 유도체, 피라진 유도체, 피라졸린 유도체, 피라졸리딘 유도체, 피페리딘 유도체, 피페라진 유도체, 모르폴린 유도체, 인돌 유도체, 이소인돌 유도체, 1H-인다졸 유도체, 인돌린 유도체, 퀴놀린 유도체(예를 들어 퀴놀린, 3-퀴놀린카르보니트릴 등), 이소퀴놀린 유도체, 신놀린 유도체, 퀴나졸린 유도체, 퀴녹살린 유도체, 프탈라진 유도체, 푸린 유도체, 프테리딘 유도체, 카바졸 유도체, 페난트리딘 유도체, 아크리딘 유도체, 페나진 유도체, 1,10-페난트롤린 유도체, 아데닌 유도체, 아데노신 유도체, 구아닌 유도체, 구아노신 유도체, 우라실 유도체, 우리딘 유도체 등이 예시된다.
상기 식(P1a-1)과 식(P1a-2)의 오늄염은, 광산발생제 및 열산발생제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상기 식(P1a-3)의 오늄염은, 열산발생제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화학식 40]
Figure pct00040

식(P1b) 중, R102a, R102b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8의 직쇄상, 분지상 또는 환상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R103은 탄소수 1~10의 직쇄상, 분지상 또는 환상의 알킬렌기를 나타낸다. R104a, R104b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3~7의 2-옥소알킬기를 나타낸다. K-는 비구핵성 대향이온을 나타낸다.
상기 R102a, R102b의 구체예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sec-부틸기, tert-부틸기, 펜틸기, 헥실기, 헵틸기, 옥틸기,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시클로프로필메틸기, 4-메틸시클로헥실기, 시클로헥실메틸기 등을 들 수 있다. R103의 구체예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메틸렌기, 에틸렌기, 프로필렌기, 부틸렌기, 펜틸렌기, 헥실렌기, 헵틸렌기, 옥틸렌기, 노닐렌기, 1,4-시클로헥실렌기, 1,2-시클로헥실렌기, 1,3-시클로펜틸렌기, 1,4-시클로옥틸렌기, 1,4-시클로헥산디메틸렌기 등을 들 수 있다. R104a, R104b의 구체예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2-옥소프로필기, 2-옥소시클로펜틸기, 2-옥소시클로헥실기, 2-옥소시클로헵틸기 등을 들 수 있다. K-는 식(P1a-1), (P1a-2) 및 (P1a-3)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화학식 41]
Figure pct00041

상기 식(P2) 중, R105, R106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12의 직쇄상, 분지상 또는 환상의 알킬기 또는 할로겐화알킬기, 탄소수 6~20의 아릴기 또는 할로겐화아릴기, 또는 탄소수 7~12의 아랄킬기를 나타낸다.
R105, R106의 알킬기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sec-부틸기, tert-부틸기, 펜틸기, 헥실기, 헵틸기, 옥틸기, 아밀기,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시클로헵틸기, 노보닐기, 아다만틸기 등을 들 수 있다. 할로겐화알킬기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트리플루오로메틸기, 1,1,1-트리플루오로에틸기, 1,1,1-트리클로로에틸기, 노나플루오로부틸기 등을 들 수 있다. 아릴기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페닐기, p-메톡시페닐기, m-메톡시페닐기, o-메톡시페닐기, 에톡시페닐기, p-tert-부톡시페닐기, m-tert-부톡시페닐기 등의 알콕시페닐기; 2-메틸페닐기, 3-메틸페닐기, 4-메틸페닐기, 에틸페닐기, 4-tert-부틸페닐기, 4-부틸페닐기, 디메틸페닐기 등의 알킬페닐기 등을 들 수 있다. 할로겐화아릴기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플루오로페닐기, 클로로페닐기, 1,2,3,4,5-펜타플루오로페닐기 등을 들 수 있다. 아랄킬기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벤질기, 페네틸기 등을 들 수 있다.
[화학식 42]
Figure pct00042

식(P3) 중, R107, R108, R109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12의 직쇄상, 분지상 혹은 환상의 알킬기 또는 할로겐화알킬기; 탄소수 6~20의 아릴기 혹은 할로겐화아릴기; 또는 탄소수 7~12의 아랄킬기를 나타낸다. R108, R109는 서로 결합하여 환상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고, 환상구조를 형성하는 경우, R108, R109는 각각 탄소수 1~6의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알킬렌기를 나타낸다.
R107, R108, R109의 알킬기, 할로겐화알킬기, 아릴기, 할로겐화아릴기, 아랄킬기로는, R105, R106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기를 들 수 있다. 또한, R108, R109의 알킬렌기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메틸렌기, 에틸렌기, 프로필렌기, 부틸렌기, 헥실렌기 등을 들 수 있다.
[화학식 43]
Figure pct00043

상기 식(P4) 중, R101a, R101b는 상기와 동일하다.
[화학식 44]
Figure pct00044

상기 식(P5) 중, R110은 탄소수 6~10의 아릴렌기, 탄소수 1~6의 알킬렌기 또는 탄소수 2~6의 알케닐렌기를 나타낸다. 이들 기의 수소원자의 일부 또는 전부는, 추가로 탄소수 1~4의 직쇄상 혹은 분지상의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 니트로기, 아세틸기, 또는 페닐기로 치환될 수도 있다. R111은 탄소수 1~8의 직쇄상, 분지상 혹은 치환의 알킬기, 알케닐기 또는 알콕시알킬기, 페닐기, 또는 나프틸기를 나타낸다. 이들 기의 수소원자의 일부 또는 전부는, 추가로 탄소수 1~4의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 탄소수 1~4의 알킬기, 알콕시기, 니트로기 또는 아세틸기로 치환될 수도 있는 페닐기; 탄소수 3~5의 헤테로방향족기; 또는 염소원자, 불소원자로 치환될 수도 있다.
여기서, R110의 아릴렌기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1,2-페닐렌기, 1,8-나프틸렌기 등을 들 수 있다. 알킬렌기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메틸렌기, 에틸렌기, 트리메틸렌기, 테트라메틸렌기, 페닐에틸렌기, 노보난-2,3-디일기 등을 들 수 있다. 알케닐렌기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1,2-비닐렌(ビニレン)기, 1-페닐-1,2-비닐렌기, 5-노보넨-2,3-디일기 등을 들 수 있다. R111의 알킬기로는, R101a~R101c와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알케닐기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비닐기, 1-프로페닐기, 알릴기, 1-부테닐기, 3-부테닐기, 이소프레닐(イソプレニル)기, 1-펜테닐기, 3-펜테닐기, 4-펜테닐기, 디메틸알릴기, 1-헥세닐기, 3-헥세닐기, 5-헥세닐기, 1-헵테닐기, 3-헵테닐기, 6-헵테닐기, 7-옥테닐기 등을 들 수 있다. 알콕시알킬기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메톡시메틸기, 에톡시메틸기, 프로폭시메틸기, 부톡시메틸기, 펜틸옥시메틸기, 헥실옥시메틸기, 헵틸옥시메틸기, 메톡시에틸기, 에톡시에틸기, 프로폭시에틸기, 부톡시에틸기, 펜틸옥시에틸기, 헥실옥시에틸기, 메톡시프로필기, 에톡시프로필기, 프로폭시프로필기, 부톡시프로필기, 메톡시부틸기, 에톡시부틸기, 프로폭시부틸기, 메톡시펜틸기, 에톡시펜틸기, 메톡시헥실기, 메톡시헵틸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추가로 치환될 수도 있는 탄소수 1~4의 알킬기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tert-부틸기 등을 들 수 있다. 탄소수 1~4의 알콕시기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메톡시기, 에톡시기, 프로폭시기, 이소프로폭시기, n-부톡시기, 이소부톡시기, tert-부톡시기 등을 들 수 있다. 탄소수 1~4의 알킬기, 알콕시기, 니트로기 또는 아세틸기로 치환될 수도 있는 페닐기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페닐기, 톨릴기, p-tert-부톡시페닐기, p-아세틸페닐기, p-니트로페닐기 등을 들 수 있다. 탄소수 3~5의 헤테로방향족기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피리딜기, 푸릴기 등을 들 수 있다.
산발생제의 구체예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테트라메틸암모늄, 노나플루오로부탄설폰산테트라메틸암모늄, 노나플루오로부탄설폰산트리에틸암모늄, 노나플루오로부탄설폰산피리디늄, 캠퍼설폰산트리에틸암모늄, 캠퍼설폰산피리디늄, 노나플루오로부탄설폰산테트라n-부틸암모늄, 노나플루오로부탄설폰산테트라페닐암모늄, p-톨루엔설폰산테트라메틸암모늄,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디페닐요오드늄,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p-tert-부톡시페닐)페닐요오드늄, p-톨루엔설폰산디페닐요오드늄, p-톨루엔설폰산(p-tert-부톡시페닐)페닐요오드늄,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트리페닐설포늄,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p-tert-부톡시페닐)디페닐설포늄,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비스(p-tert-부톡시페닐)페닐설포늄,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트리스(p-tert-부톡시페닐)설포늄, p-톨루엔설폰산트리페닐설포늄, p-톨루엔설폰산(p-tert-부톡시페닐)디페닐설포늄, p-톨루엔설폰산비스(p-tert-부톡시페닐)페닐설포늄, p-톨루엔설폰산트리스(p-tert-부톡시페닐)설포늄, 노나플루오로부탄설폰산트리페닐설포늄, 부탄설폰산트리페닐설포늄,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트리메틸설포늄, p-톨루엔설폰산트리메틸설포늄,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시클로헥실메틸(2-옥소시클로헥실)설포늄, p-톨루엔설폰산시클로헥실메틸(2-옥소시클로헥실)설포늄,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디메틸페닐설포늄, p-톨루엔설폰산디메틸페닐설포늄,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디시클로헥실페닐설포늄, p-톨루엔설폰산디시클로헥실페닐설포늄,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트리나프틸설포늄,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시클로헥실메틸(2-옥소시클로헥실)설포늄,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2-노보닐)메틸(2-옥소시클로헥실)설포늄, 에틸렌비스[메틸(2-옥소시클로펜틸)설포늄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1,2'-나프틸카르보닐메틸테트라하이드로티오페늄트리플레이트 등의 오늄염; 비스(벤젠설포닐)디아조메탄, 비스(p-톨루엔설포닐)디아조메탄, 비스(자일렌설포닐)디아조메탄, 비스(시클로헥실설포닐)디아조메탄, 비스(시클로펜틸설포닐)디아조메탄, 비스(n-부틸설포닐)디아조메탄, 비스(이소부틸설포닐)디아조메탄, 비스(sec-부틸설포닐)디아조메탄, 비스(n-프로필설포닐)디아조메탄, 비스(이소프로필설포닐)디아조메탄, 비스(tert-부틸설포닐)디아조메탄, 비스(n-아밀설포닐)디아조메탄, 비스(이소아밀설포닐)디아조메탄, 비스(sec-아밀설포닐)디아조메탄, 비스(tert-아밀설포닐)디아조메탄, 1-시클로헥실설포닐-1-(tert-부틸설포닐)디아조메탄, 1-시클로헥실설포닐-1-(tert-아밀설포닐)디아조메탄, 1-tert-아밀설포닐-1-(tert-부틸설포닐)디아조메탄 등의 디아조메탄 유도체; 비스-(p-톨루엔설포닐)-α-디메틸글리옥심, 비스-(p-톨루엔설포닐)-α-디페닐글리옥심, 비스-(p-톨루엔설포닐)-α-디시클로헥실글리옥심, 비스-(p-톨루엔설포닐)-2,3-펜탄디온글리옥심, 비스-(p-톨루엔설포닐)-2-메틸-3,4-펜탄디온글리옥심, 비스-(n-부탄설포닐)-α-디메틸글리옥심, 비스-(n-부탄설포닐)-α-디페닐글리옥심, 비스-(n-부탄설포닐)-α-디시클로헥실글리옥심, 비스-(n-부탄설포닐)-2,3-펜탄디온글리옥심, 비스-(n-부탄설포닐)-2-메틸-3,4-펜탄디온글리옥심, 비스-(메탄설포닐)-α-디메틸글리옥심,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α-디메틸글리옥심, 비스-(1,1,1-트리플루오로에탄설포닐)-α-디메틸글리옥심, 비스-(tert-부탄설포닐)-α-디메틸글리옥심, 비스-(퍼플루오로옥탄설포닐)-α-디메틸글리옥심, 비스-(시클로헥산설포닐)-α-디메틸글리옥심, 비스-(벤젠설포닐)-α-디메틸글리옥심, 비스-(p-플루오로벤젠설포닐)-α-디메틸글리옥심, 비스-(p-tert-부틸벤젠설포닐)-α-디메틸글리옥심, 비스-(자일렌설포닐)-α-디메틸글리옥심, 비스-(캠퍼설포닐)-α-디메틸글리옥심 등의 글리옥심 유도체; 비스나프틸설포닐메탄, 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설포닐메탄, 비스메틸설포닐메탄, 비스에틸설포닐메탄, 비스프로필설포닐메탄, 비스이소프로필설포닐메탄, 비스-p-톨루엔설포닐메탄, 비스벤젠설포닐메탄 등의 비스설폰 유도체; 2-시클로헥실카르보닐-2-(p-톨루엔설포닐)프로판, 2-이소프로필카르보닐-2-(p-톨루엔설포닐)프로판 등의 β-케토설폰 유도체; 디페닐디설폰 유도체, 디시클로헥실디설폰 유도체 등의 디설폰 유도체, p-톨루엔설폰산2,6-디니트로벤질, p-톨루엔설폰산2,4-디니트로벤질 등의 니트로벤질설포네이트 유도체; 1,2,3-트리스(메탄설포닐옥시)벤젠, 1,2,3-트리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옥시)벤젠, 1,2,3-트리스(p-톨루엔설포닐옥시)벤젠 등의 설폰산에스테르 유도체; N-하이드록시석신이미드메탄설폰산에스테르, N-하이드록시석신이미드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에스테르, N-하이드록시석신이미드에탄설폰산에스테르, N-하이드록시석신이미드1-프로판설폰산에스테르, N-하이드록시석신이미드2-프로판설폰산에스테르, N-하이드록시석신이미드1-펜탄설폰산에스테르, N-하이드록시석신이미드1-옥탄설폰산에스테르, N-하이드록시석신이미드p-톨루엔설폰산에스테르, N-하이드록시석신이미드p-메톡시벤젠설폰산에스테르, N-하이드록시석신이미드2-클로로에탄설폰산에스테르, N-하이드록시석신이미드벤젠설폰산에스테르, N-하이드록시석신이미드-2,4,6-트리메틸벤젠설폰산에스테르, N-하이드록시석신이미드1-나프탈렌설폰산에스테르, N-하이드록시석신이미드2-나프탈렌설폰산에스테르, N-하이드록시-2-페닐석신이미드메탄설폰산에스테르, N-하이드록시말레이미드메탄설폰산에스테르, N-하이드록시말레이미드에탄설폰산에스테르, N-하이드록시-2-페닐말레이미드메탄설폰산에스테르, N-하이드록시글루타르이미드메탄설폰산에스테르, N-하이드록시글루타르이미드벤젠설폰산에스테르, N-하이드록시프탈이미드메탄설폰산에스테르, N-하이드록시프탈이미드벤젠설폰산에스테르, N-하이드록시프탈이미드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에스테르, N-하이드록시프탈이미드p-톨루엔설폰산에스테르, N-하이드록시나프탈이미드메탄설폰산에스테르, N-하이드록시나프탈이미드벤젠설폰산에스테르, N-하이드록시-5-노보넨-2,3-디카르복시이미드메탄설폰산에스테르, N-하이드록시-5-노보넨-2,3-디카르복시이미드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에스테르, N-하이드록시-5-노보넨-2,3-디카르복시이미드p-톨루엔설폰산에스테르 등의 N-하이드록시이미드 화합물의 설폰산에스테르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특히,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트리페닐설포늄,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p-tert-부톡시페닐)디페닐설포늄,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트리스(p-tert-부톡시페닐)설포늄, p-톨루엔설폰산트리페닐설포늄, p-톨루엔설폰산(p-tert-부톡시페닐)디페닐설포늄, p-톨루엔설폰산트리스(p-tert-부톡시페닐)설포늄,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트리나프틸설포늄,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시클로헥실메틸(2-옥소시클로헥실)설포늄,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2-노보닐)메틸(2-옥소시클로헥실)설포늄, 1,2'-나프틸카르보닐메틸테트라하이드로티오페늄트리플레이트 등의 오늄염; 비스(벤젠설포닐)디아조메탄, 비스(p-톨루엔설포닐)디아조메탄, 비스(시클로헥실설포닐)디아조메탄, 비스(n-부틸설포닐)디아조메탄, 비스(이소부틸설포닐)디아조메탄, 비스(sec-부틸설포닐)디아조메탄, 비스(n-프로필설포닐)디아조메탄, 비스(이소프로필설포닐)디아조메탄, 비스(tert-부틸설포닐)디아조메탄 등의 디아조메탄 유도체; 비스-(p-톨루엔설포닐)-α-디메틸글리옥심, 비스-(n-부탄설포닐)-α-디메틸글리옥심 등의 글리옥심 유도체, 비스나프틸설포닐메탄 등의 비스설폰 유도체; N-하이드록시석신이미드메탄설폰산에스테르, N-하이드록시석신이미드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에스테르, N-하이드록시석신이미드1-프로판설폰산에스테르, N-하이드록시석신이미드2-프로판설폰산에스테르, N-하이드록시석신이미드1-펜탄설폰산에스테르, N-하이드록시석신이미드p-톨루엔설폰산에스테르, N-하이드록시나프탈이미드메탄설폰산에스테르, N-하이드록시나프탈이미드벤젠설폰산에스테르 등의 N-하이드록시이미드 화합물의 설폰산에스테르 유도체 등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본 실시형태의 리소그래피용 하층막 형성재료에 있어서, 산발생제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상기 서술한 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또는 이 화합물을 모노머로 하여 얻어지는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0.1~5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40질량부이다. 상기의 바람직한 범위로 함으로써, 산발생량이 많아져 가교반응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으며, 또한, 레지스트층과의 믹싱현상의 발생이 억제되는 경향이 있다.
나아가, 본 실시형태의 리소그래피용 하층막 형성재료는, 보존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등의 관점에서, 염기성 화합물을 함유할 수도 있다.
염기성 화합물은, 산발생제로부터 미량으로 발생한 산이 가교반응을 진행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산에 대한 ??쳐의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염기성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제1급, 제2급 또는 제3급의 지방족 아민류, 혼성아민류, 방향족 아민류, 복소환아민류, 카르복시기를 갖는 함질소 화합물, 설포닐기를 갖는 함질소 화합물, 수산기를 갖는 함질소 화합물, 하이드록시페닐기를 갖는 함질소 화합물, 알코올성 함질소 화합물, 아미드 유도체, 이미드 유도체 등을 들 수 있으나,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제1급의 지방족 아민류의 구체예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암모니아, 메틸아민, 에틸아민, n-프로필아민, 이소프로필아민, n-부틸아민, 이소부틸아민, sec-부틸아민, tert-부틸아민, 펜틸아민, tert-아밀아민, 시클로펜틸아민, 헥실아민, 시클로헥실아민, 헵틸아민, 옥틸아민, 노닐아민, 데실아민, 도데실아민, 세틸아민, 메틸렌디아민, 에틸렌디아민, 테트라에틸렌펜타민(テトラエチレンペンタミン) 등을 들 수 있다. 제2급의 지방족 아민류의 구체예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디메틸아민, 디에틸아민, 디-n-프로필아민, 디이소프로필아민, 디-n-부틸아민, 디이소부틸아민, 디-sec-부틸아민, 디펜틸아민, 디시클로펜틸아민, 디헥실아민, 디시클로헥실아민, 디헵틸아민, 디옥틸아민, 디노닐아민, 디데실아민, 디도데실아민, 디세틸아민, N,N-디메틸메틸렌디아민, N,N-디메틸에틸렌디아민, N,N-디메틸테트라에틸렌펜타민 등을 들 수 있다. 제3급의 지방족 아민류의 구체예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트리-n-프로필아민, 트리이소프로필아민, 트리-n-부틸아민, 트리이소부틸아민, 트리-sec-부틸아민, 트리펜틸아민, 트리시클로펜틸아민, 트리헥실아민, 트리시클로헥실아민, 트리헵틸아민, 트리옥틸아민, 트리노닐아민, 트리데실아민, 트리도데실아민, 트리세틸아민, N,N,N',N'-테트라메틸메틸렌디아민, N,N,N',N'-테트라메틸에틸렌디아민, N,N,N',N'-테트라메틸테트라에틸렌펜타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혼성아민류의 구체예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디메틸에틸아민, 메틸에틸프로필아민, 벤질아민, 페네틸아민, 벤질디메틸아민 등을 들 수 있다. 방향족 아민류 및 복소환아민류의 구체예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아닐린 유도체(예를 들어 아닐린, N-메틸아닐린, N-에틸아닐린, N-프로필아닐린, N,N-디메틸아닐린, 2-메틸아닐린, 3-메틸아닐린, 4-메틸아닐린, 에틸아닐린, 프로필아닐린, 트리메틸아닐린, 2-니트로아닐린, 3-니트로아닐린, 4-니트로아닐린, 2,4-디니트로아닐린, 2,6-디니트로아닐린, 3,5-디니트로아닐린, N,N-디메틸톨루이딘 등), 디페닐(p-톨릴)아민, 메틸디페닐아민, 트리페닐아민, 페닐렌디아민, 나프틸아민, 디아미노나프탈렌, 피롤 유도체(예를 들어 피롤, 2H-피롤, 1-메틸피롤, 2,4-디메틸피롤, 2,5-디메틸피롤, N-메틸피롤 등), 옥사졸 유도체(예를 들어 옥사졸, 이소옥사졸 등), 티아졸 유도체(예를 들어 티아졸, 이소티아졸 등), 이미다졸 유도체(예를 들어 이미다졸, 4-메틸이미다졸, 4-메틸-2-페닐이미다졸 등), 피라졸 유도체, 푸라잔 유도체, 피롤린 유도체(예를 들어 피롤린, 2-메틸-1-피롤린 등), 피롤리딘 유도체(예를 들어 피롤리딘, N-메틸피롤리딘, 피롤리디논, N-메틸피롤리돈 등), 이미다졸린 유도체, 이미다졸리딘 유도체, 피리딘 유도체(예를 들어 피리딘, 메틸피리딘, 에틸피리딘, 프로필피리딘, 부틸피리딘, 4-(1-부틸펜틸)피리딘, 디메틸피리딘, 트리메틸피리딘, 트리에틸피리딘, 페닐피리딘, 3-메틸-2-페닐피리딘, 4-tert-부틸피리딘, 디페닐피리딘, 벤질피리딘, 메톡시피리딘, 부톡시피리딘, 디메톡시피리딘, 1-메틸-2-피리돈, 4-피롤리디노피리딘, 1-메틸-4-페닐피리딘, 2-(1-에틸프로필)피리딘, 아미노피리딘, 디메틸아미노피리딘 등), 피리다진 유도체, 피리미딘 유도체, 피라진 유도체, 피라졸린 유도체, 피라졸리딘 유도체, 피페리딘 유도체, 피페라진 유도체, 모르폴린 유도체, 인돌 유도체, 이소인돌 유도체, 1H-인다졸 유도체, 인돌린 유도체, 퀴놀린 유도체(예를 들어 퀴놀린, 3-퀴놀린카르보니트릴 등), 이소퀴놀린 유도체, 신놀린 유도체, 퀴나졸린 유도체, 퀴녹살린 유도체, 프탈라진 유도체, 푸린 유도체, 프테리딘 유도체, 카바졸 유도체, 페난트리딘 유도체, 아크리딘 유도체, 페나진 유도체, 1,10-페난트롤린 유도체, 아데닌 유도체, 아데노신 유도체, 구아닌 유도체, 구아노신 유도체, 우라실 유도체, 우리딘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나아가, 카르복시기를 갖는 함질소 화합물의 구체예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아미노안식향산, 인돌카르본산, 아미노산 유도체(예를 들어 니코틴산, 알라닌, 아르기닌, 아스파라긴산, 글루타민산, 글리신, 히스티딘, 이소류신, 글리실류신, 류신, 메티오닌, 페닐알라닌, 트레오닌, 라이신, 3-아미노피라진-2-카르본산, 메톡시알라닌) 등을 들 수 있다. 설포닐기를 갖는 함질소 화합물의 구체예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3-피리딘설폰산, p-톨루엔설폰산피리디늄 등을 들 수 있다. 수산기를 갖는 함질소 화합물, 하이드록시페닐기를 갖는 함질소 화합물, 알코올성 함질소 화합물의 구체예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2-하이드록시피리딘, 아미노크레졸, 2,4-퀴놀린디올, 3-인돌메탄올하이드레이트,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N-에틸디에탄올아민, N,N-디에틸에탄올아민,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 2,2'-이미노디에탄올, 2-아미노에탄올, 3-아미노-1-프로판올, 4-아미노-1-부탄올, 4-(2-하이드록시에틸)모르폴린, 2-(2-하이드록시에틸)피리딘, 1-(2-하이드록시에틸)피페라진, 1-[2-(2-하이드록시에톡시)에틸]피페라진, 피페리딘에탄올, 1-(2-하이드록시에틸)피롤리딘, 1-(2-하이드록시에틸)-2-피롤리디논, 3-피페리디노-1,2-프로판디올, 3-피롤리디노-1,2-프로판디올, 8-하이드록시율롤리딘(ヒドロキシユロリジン), 3-퀴누클리디놀(イヌクリジノ-ル), 3-트로판올(トロパノ-ル), 1-메틸-2-피롤리딘에탄올, 1-아지리딘에탄올, N-(2-하이드록시에틸)프탈이미드, N-(2-하이드록시에틸)이소니코틴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아미드 유도체의 구체예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포름아미드, N-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포름아미드, 아세트아미드, N-메틸아세트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프로피온아미드, 벤즈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미드 유도체의 구체예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프탈이미드, 석신이미드, 말레이미드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리소그래피용 하층막 형성재료에 있어서, 염기성 화합물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상기 서술한 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 혹은 이 화합물을 모노머로 하여 얻어지는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0.001~2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1질량부이다. 상기의 바람직한 범위로 함으로써, 가교반응을 과도하게 손상시키는 일 없이 보존안정성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리소그래피용 하층막 형성재료는, 열경화성의 부여나 흡광도를 컨트롤하는 목적으로, 다른 수지 및/또는 화합물을 함유할 수도 있다. 이러한 다른 수지 및/또는 화합물로는, 나프톨수지, 자일렌수지나프톨변성수지, 나프탈렌수지의 페놀변성수지, 폴리하이드록시스티렌, 디시클로펜타디엔수지, (메트)아크릴레이트, 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타크릴레이트, 테트라메타크릴레이트, 비닐나프탈렌, 폴리아세나프틸렌 등의 나프탈렌환, 페난트렌퀴논, 플루오렌 등의 비페닐환, 티오펜, 인덴 등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복소환을 포함하는 수지나 방향족환을 포함하지 않는 수지; 로진계 수지, 시클로덱스트린, 아다만탄(폴리)올, 트리시클로데칸(폴리)올 및 이들의 유도체 등의 지환구조를 포함하는 수지 또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으나,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나아가, 본 실시형태의 리소그래피용 하층막 형성재료는, 공지의 첨가제를 함유할 수도 있다. 상기 공지의 첨가제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자외선흡수제, 계면활성제, 착색제,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를 들 수 있다.
[리소그래피용 하층막 및 패턴 형성방법]
본 실시형태의 리소그래피용 하층막은, 본 실시형태의 리소그래피용 하층막 형성재료로부터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레지스트 패턴 형성방법은, 기판 상에, 본 실시형태의 리소그래피용 하층막 형성재료를 이용하여 하층막을 형성하는 공정(A-1)과, 상기 하층막 상에, 적어도 1층의 포토레지스트층을 형성하는 공정(A-2)과, 상기 제2의 형성공정 후, 상기 포토레지스트층의 소정의 영역에 방사선을 조사하고, 알칼리 현상을 행하는 공정(A-3)을 갖는다.
나아가, 본 실시형태의 회로패턴 형성방법은, 기판 상에, 본 실시형태의 리소그래피용 하층막 형성재료를 이용하여 하층막을 형성하는 공정(B-1)과, 상기 하층막 상에, 규소원자를 함유하는 레지스트 중간층막 재료를 이용하여 중간층막을 형성하는 공정(B-2)과, 상기 중간층막 상에, 적어도 1층의 포토레지스트층을 형성하는 공정(B-3)과, 상기 공정(B-3) 후, 상기 포토레지스트층의 소정의 영역에 방사선을 조사하고, 알칼리 현상하여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B-4)과, 상기 공정(B-4) 후, 상기 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로 하여 상기 중간층막을 에칭하고, 얻어진 중간층막 패턴을 에칭마스크로 하여 상기 하층막을 에칭하고, 얻어진 하층막 패턴을 에칭마스크로 하여 기판을 에칭함으로써 기판에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B-5)을 갖는다.
본 실시형태의 리소그래피용 하층막은, 본 실시형태의 리소그래피용 하층막 형성재료로부터 형성되는 것이면, 그 형성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수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형태의 리소그래피용 하층막 형성재료를 스핀코트나 스크린인쇄 등의 공지의 도포법 혹은 인쇄법 등으로 기판 상에 부여한 후, 유기용매를 휘발시키는 등 하여 제거함으로써, 하층막을 형성할 수 있다.
하층막의 형성시에는, 상층 레지스트와의 믹싱현상의 발생을 억제함과 함께 가교반응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베이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베이크온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80~450℃의 범위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400℃이다. 또한, 베이크시간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10~300초의 범위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층막의 두께는, 요구성능에 따라 적당히 선정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통상, 30~20,000nm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15,000nm이다.
하층막을 제작한 후, 2층 프로세스의 경우는 그 위에 규소함유 레지스트층, 혹은 통상의 탄화수소로 이루어진 단층레지스트, 3층 프로세스의 경우는 그 위에 규소함유 중간층, 다시 그 위에 규소를 포함하지 않는 단층레지스트층을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이 레지스트층을 형성하기 위한 포토레지스트 재료로는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기판 상에 하층막을 제작한 후, 2층 프로세스의 경우는 그 하층막 상에 규소함유 레지스트층 혹은 통상의 탄화수소로 이루어진 단층레지스트를 제작할 수 있다. 3층 프로세스의 경우는 그 하층막 상에 규소함유 중간층, 다시 그 규소함유 중간층 상에 규소를 포함하지 않는 단층레지스트층을 제작할 수 있다. 이들 경우에 있어서, 레지스트층을 형성하기 위한 포토레지스트 재료는, 공지의 것에서 적당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2층 프로세스용의 규소함유 레지스트 재료로는, 산소가스에칭내성의 관점에서, 베이스폴리머로서 폴리실세스퀴옥산 유도체 또는 비닐실란 유도체 등의 규소원자함유 폴리머를 사용하고, 또한 유기용매, 산발생제, 필요에 따라 염기성 화합물 등을 포함하는 포지티브형의 포토레지스트 재료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여기서 규소원자함유 폴리머로는, 이러한 레지스트 재료에 있어서 이용되고 있는 공지의 폴리머를 사용할 수 있다.
3층 프로세스용의 규소함유 중간층으로는 폴리실세스퀴옥산 베이스의 중간층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중간층에 반사방지막으로서 효과를 갖도록 함으로써, 효과적으로 반사를 억제할 수 있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193nm 노광용 프로세스에 있어서, 하층막으로서 방향족기를 많이 포함하고 기판에칭내성이 높은 재료를 이용하면, k값이 높아지고, 기판반사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는데, 중간층에서 반사를 억제함으로써, 기판반사를 0.5% 이하로 할 수 있다. 이러한 반사방지효과가 있는 중간층으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193nm 노광용으로는 페닐기 또는 규소-규소결합을 갖는 흡광기가 도입된, 산 혹은 열로 가교하는 폴리실세스퀴옥산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또한, Chemical Vapour Deposition(CVD)법으로 형성한 중간층을 이용할 수도 있다. CVD법으로 제작한 반사방지막으로서의 효과가 높은 중간층으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SiON막이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는, CVD법보다 스핀코트법이나 스크린인쇄 등의 습식프로세스에 의한 중간층의 형성이, 간편하고 비용적인 메리트가 있다. 또한, 3층 프로세스에 있어서의 상층레지스트는, 포지티브형이나 네가티브형 어느 것이어도 되고, 또한, 통상 이용되고 있는 단층레지스트와 동일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형태의 하층막은, 통상의 단층레지스트용 반사방지막 혹은 패턴무너짐 억제를 위한 하지재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의 하층막은, 하지가공을 위한 에칭내성이 우수하므로, 하지가공을 위한 하드마스크로서의 기능도 기대할 수 있다.
상기 포토레지스트 재료에 의해 레지스트층을 형성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 하층막을 형성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스핀코트법이나 스크린인쇄 등의 습식프로세스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또한, 레지스트 재료를 스핀코트법 등으로 도포한 후, 통상, 프리베이크가 행해지는데, 이 프리베이크는, 80~180℃에서 10~300초의 범위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상법에 따라, 노광을 행하고, 포스트익스포져베이크(PEB), 현상을 행함으로써, 레지스트 패턴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레지스트막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일반적으로는, 30~500nm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400nm이다.
또한, 노광광은, 사용하는 포토레지스트 재료에 따라 적당히 선택하여 이용하면 된다. 일반적으로는, 파장 300nm 이하의 고에너지선, 구체적으로는 248nm, 193nm, 157nm의 엑시머레이저, 3~20nm의 연X선, 전자빔, X선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의 방법에 의해 형성되는 레지스트 패턴은, 본 실시형태의 하층막에 의해 패턴무너짐이 억제된 것이 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형태의 하층막을 이용함으로써, 보다 미세한 패턴을 얻을 수 있고, 또한, 그 레지스트 패턴을 얻기 위하여 필요한 노광량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이어서, 얻어진 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로 하여 에칭을 행한다. 2층 프로세스에 있어서의 하층막의 에칭으로는, 가스에칭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가스에칭으로는, 산소가스를 이용한 에칭이 호적하다. 산소가스에 더하여, He, Ar 등의 불활성 가스나, CO, CO2, NH3, SO2, N2, NO2 , H2가스를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산소가스를 이용하지 않고, CO, CO2, NH3, N2, NO2 , H2가스만으로 가스에칭을 행할 수도 있다. 특히 후자의 가스는, 패턴측벽의 언더컷 방지를 위한 측벽보호를 위하여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한편, 3층 프로세스에 있어서의 중간층의 에칭에 있어서도, 가스에칭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가스에칭으로는, 상기의 2층 프로세스에 있어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이 적용가능하다. 특히, 3층 프로세스에 있어서의 중간층의 가공은, 프론계의 가스를 이용하여 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로 하여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중간층 패턴을 마스크로 하여, 예를 들어 산소가스에칭을 행함으로써, 하층막의 가공을 행할 수 있다.
여기서, 중간층으로서 무기하드마스크 중간층막을 형성하는 경우는, CVD법이나 ALD법 등으로, 규소산화막, 규소질화막, 규소산화질화막(SiON막)이 형성된다. 질화막의 형성방법으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일본특허공개 2002-334869호 공보(특허문헌 6), WO2004/066377(특허문헌 7)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중간층막 상에 직접 포토레지스트막을 형성할 수 있으나, 중간층막 상에 유기반사방지막(BARC)을 스핀코트로 형성하여, 그 위에 포토레지스트막을 형성할 수도 있다.
중간층으로서, 폴리실세스퀴옥산 베이스의 중간층도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레지스트 중간층막에 반사방지막으로서 효과를 갖도록 함으로써, 효과적으로 반사를 억제할 수 있는 경향이 있다. 폴리실세스퀴옥산 베이스의 중간층의 구체적인 재료에 대해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일본특허공개 2007-226170호(특허문헌 8), 일본특허공개 2007-226204호(특허문헌 9)에 기재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다음 기판의 에칭도, 상법에 의해 행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기판이 SiO2, SiN이면 프론계 가스를 주체로 한 에칭, p-Si나 Al, W에서는 염소계, 브롬계 가스를 주체로 한 에칭을 행할 수 있다. 기판을 프론계 가스로 에칭하는 경우, 2층 레지스트프로세스의 규소함유 레지스트와 3층 프로세스의 규소함유 중간층은, 기판가공과 동시에 박리된다. 한편, 염소계 혹은 브롬계 가스로 기판을 에칭한 경우는, 규소함유 레지스트층 또는 규소함유 중간층의 박리가 별도로 행해지고, 일반적으로는, 기판가공 후에 프론계 가스에 의한 드라이에칭박리가 행해진다.
본 실시형태의 하층막은, 이들 기판의 에칭내성이 우수한 특징이 있다. 또한, 기판은, 공지의 것을 적당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Si, α-Si, p-Si, SiO2, SiN, SiON, W, TiN, Al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기판은, 기재(지지체) 상에 피가공막(피가공기판)을 갖는 적층체일 수도 있다. 이러한 피가공막으로는, Si, SiO2, SiON, SiN, p-Si, α-Si, W, W-Si, Al, Cu, Al-Si 등 다양한 Low-k막 및 그 스토퍼(ストッパ-)막 등을 들 수 있고, 통상, 기재(지지체)와는 상이한 재질의 것이 이용된다. 또한, 가공대상이 되는 기판 혹은 피가공막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통상, 50~10,000nm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5~5,000nm이다.
[화합물 또는 수지의 정제방법]
본 실시형태의 화합물 또는 수지의 정제방법은, 물과 임의로 혼화하지 않는 유기용매 및, 상기 화합물 또는 상기 수지를 포함하는 용액(이하, 「용액(A)」이라고도 함)과, 산성의 수용액을 접촉시켜 추출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 화합물을 모노머로 하여 얻어지는 수지를, 물과 임의로 혼화하지 않는 유기용매에 용해시키고, 그 용액을 산성수용액과 접촉시켜 추출처리를 행함으로써, 이 화합물 또는 이 수지와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용액(A)에 포함되는 금속분을 수상으로 이행시킨 후, 유기상과 수상을 분리하여 정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정제방법에 의해, 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 화합물을 모노머로 하여 얻어지는 수지 중의 다양한 금속의 함유량을 현저하게 저감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물과 임의로 혼화하지 않는 유기용매란, 실온하에 있어서의 물에 대한 용해도가 30% 미만인 유기용매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용해도는 2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미만이다. 물과 임의로 혼화하지 않는 유기용매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반도체 제조 프로세스에 안전하게 적용할 수 있는 유기용매가 바람직하다. 사용하는 유기용매의 양은, 사용하는 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 화합물을 모노머로 하여 얻어지는 수지에 대하여, 통상 1~100질량배 정도 사용된다.
사용되는 용매의 구체예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디에틸에테르, 디이소프로필에테르 등의 에테르류,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n-부틸, 아세트산이소아밀 등의 에스테르류,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에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 시클로펜탄온, 2-헵탄온, 2-펜타논 등의 케톤류,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PGMEA),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등의 글리콜에테르아세테이트류, n-헥산, n-헵탄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류, 톨루엔, 자일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염화메틸렌, 클로로포름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톨루엔, 2-헵탄온, 시클로헥사논, 시클로펜탄온, 메틸이소부틸케톤,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아세트산에틸 등이 바람직하고, 시클로헥사논,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 용매는 각각 단독으로 이용할 수도 있고, 또한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산성의 수용액으로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유기, 무기계 화합물을 물에 용해시킨 수용액 중에서 적당히 선택된다. 예를 들어, 염산, 황산, 질산, 인산 등의 무기산을 물에 용해시킨 수용액, 또는,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옥살산, 말론산, 숙신산, 푸마르산, 말레산, 주석산, 구연산, 메탄설폰산, 페놀설폰산, p-톨루엔설폰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등의 유기산을 물에 용해시킨 수용액을 들 수 있다. 이들 산성의 수용액은, 각각 단독으로 이용할 수도 있고, 또한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이들 산성의 수용액 중에서도, 황산, 질산, 및 아세트산, 옥살산, 주석산, 구연산 등의 카르본산의 수용액이 바람직하고, 황산, 옥살산, 주석산, 구연산의 수용액이 보다 바람직하고, 옥살산의 수용액이 더욱 바람직하다. 옥살산, 주석산, 구연산 등의 다가카르본산은 금속이온에 배위하고, 킬레이트 효과가 발생하므로, 보다 효과적으로 금속을 제거할 수 있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여기서 이용하는 물은, 본 실시형태의 목적에 따라, 금속함유량이 적은 것, 예를 들어 이온교환수 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 사용하는 산성의 수용액의 pH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 화합물을 모노머로 하여 얻어지는 수지에 대한 영향을 고려하고, 수용액의 산성도를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 pH범위는 0~5 정도이며, 바람직하게는 pH 0~3 정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 사용하는 산성의 수용액의 사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금속제거를 위한 추출횟수를 저감하는 관점 및 전체의 액량을 고려하여 조작성을 확보하는 관점에서, 해당 사용량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액의 사용량은, 통상, 유기용매에 용해된 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 화합물을 모노머로 하여 얻어지는 수지의 용액에 대하여 10~200질량%이며, 바람직하게는 20~100질량%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은 산성의 수용액과, 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 화합물을 모노머로 하여 얻어지는 수지 및 물과 임의로 혼화하지 않는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용액(A)을 접촉시킴으로써 금속분을 추출할 수 있다.
추출처리를 행할 때의 온도는 통상, 20~90℃이며, 바람직하게는 30~80℃의 범위이다. 추출조작은, 예를 들어, 교반 등에 의해, 잘 혼합시킨 후, 정치함으로써 행해진다. 이에 따라, 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 화합물을 모노머로 하여 얻어지는 수지와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용액에 포함되어 있던 금속분이 수상으로 이행(移行)한다. 또한 본 조작에 의해, 용액의 산성도가 저하되고, 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 화합물을 모노머로 하여 얻어지는 수지의 변질을 억제할 수 있다.
얻어지는 혼합물은, 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 화합물을 모노머로 하여 얻어지는 수지와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용액상과 수상으로 분리하므로 디캔테이션 등에 의해 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 화합물을 모노머로 하여 얻어지는 수지와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용액을 회수한다. 정치하는 시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용액상과 수상의 분리를 보다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서, 해당 정치하는 시간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 정치하는 시간은 1분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10분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0분 이상이다. 또한, 추출처리는 1회만으로도 상관없으나, 혼합, 정치, 분리라는 조작을 복수회 반복하여 행하는 것도 유효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용액(A)과 산성의 수용액을 접촉시켜 추출하는 공정 후, 추가로 물에 의한 추출처리를 행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산성의 수용액을 이용하여 상기 추출처리를 행한 후에, 이 수용액으로부터 추출되고, 회수된 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 화합물을 모노머로 하여 얻어지는 수지와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용액(A)을, 추가로 물에 의한 추출처리에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물에 의한 추출처리는, 예를 들어, 교반 등에 의해, 잘 혼합시킨 후, 정치함으로써 행해진다. 그리고 얻어지는 용액은, 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 화합물을 모노머로 하여 얻어지는 수지와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용액상과 수상으로 분리되기 때문에, 디캔테이션 등에 의해 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 화합물을 모노머로 하여 얻어지는 수지와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용액상을 회수한다. 또한, 여기서 이용하는 물은, 본 실시형태의 목적에 따라, 금속함유량이 적은 것, 예를 들어 이온교환수 등인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처리는 1회만으로도 상관없으나, 혼합, 정치, 분리라는 조작을 복수회 반복하여 행하는 것도 유효하다. 또한, 추출처리에 있어서의 양자의 사용비율이나, 온도, 시간 등의 조건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앞선 산성의 수용액과의 접촉처리의 경우와 동일해도 상관없다.
이리하여 얻어진 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 화합물을 모노머로 하여 얻어지는 수지와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용액에 혼입될 수 있는 수분에 대해서는, 감압증류 등의 조작을 실시함으로써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유기용매를 첨가하고, 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 화합물을 모노머로 하여 얻어지는 수지의 농도를 임의의 농도로 조정할 수 있다.
얻어진 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 화합물을 모노머로 하여 얻어지는 수지와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용액으로부터, 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 화합물을 모노머로 하여 얻어지는 수지를 단리하는 방법은, 예를 들어, 감압제거, 재침전에 의한 분리, 및 이들의 조합 등, 공지의 방법으로 행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농축조작, 여과조작, 원심분리조작, 건조조작 등의 공지의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실시형태를 합성예 및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나, 본 실시형태는, 이들 예에 의해 전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탄소농도 및 산소농도)
유기원소분석에 의해 탄소농도 및 산소농도(질량%)를 측정하였다.
장치: CHN코더 MT-6(Yanaco Analytical Systems Inc.제)
(분자량)
LC-MS분석에 의해, Water사제 Acquity UPLC/MALDI-Synapt HDMS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폴리스티렌환산 분자량)
겔침투크로마토그래피(GPC) 분석에 의해, 폴리스티렌환산의 중량평균 분자량(Mw), 수평균 분자량(Mn)을 구하고, 분산도(Mw/Mn)를 구하였다.
장치: Shodex GPC-101형(Showa Denko K.K.제)
칼럼: KF-80M×3
용리액: THF 1mL/min
온도: 40℃
(열분해온도(Tg))
SII NanoTechnology Inc.제 EXSTAR6000DSC장치를 사용하고, 시료 약 5mg을 알루미늄제 비밀봉용기에 넣고, 질소가스(30mL/min) 기류중 승온속도 10℃/min로 500℃까지 승온하였다. 이 때, 베이스라인에 감소부분이 나타나는 온도를 열분해온도(Tg)로 하였다.
(용해도)
23℃에서, 화합물의 1-메톡시-2-프로판올(PGME) 및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PGMEA)에 대한 용해량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평가A: 20wt% 이상
평가B: 10wt% 이상 20wt% 미만
평가C: 10wt% 미만
(실시예 1) BiF-1의 합성
교반기, 냉각관 및 뷰렛을 구비한 내용적 200mL의 용기를 준비하였다. 이 용기에, 4,4-비페놀(Tokyo Chemical Industry Co., Ltd.제 시약) 30g(161mmol)과, 4-비페닐알데히드(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제) 15g(82mmol)과, 아세트산부틸 100mL를 투입하고, p-톨루엔설폰산(Kanto Chemical Co., Inc.제 시약) 3.9g(21mmol)을 첨가하여, 반응액을 조제하였다. 이 반응액을 90℃에서 3시간 교반하여 반응을 행하였다. 다음에, 반응액을 농축하고, 헵탄 50g을 첨가하여 반응생성물을 석출시키고, 실온까지 냉각한 후, 여과를 행하여 분리하였다. 여과에 의해 얻어진 고형물을 건조시킨 후, 칼럼크로마토에 의한 분리정제를 행함으로써,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목적 화합물(BiF-1) 5.8g을 얻었다.
또한, 400MHz-1H-NMR에 의해 이하의 피크가 발견되고, 하기 식의 화학구조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1H-NMR: (d-DMSO, 내부표준TMS)
δ(ppm) 9.4(4H,O-H), 6.8~7.8(22H,Ph-H), 6.2(1H,C-H)
[화학식 45]
Figure pct00045

유기원소 분석의 결과, 얻어진 화합물(BiF-1)의 탄소농도는 82.9%, 산소농도는 11.8%였다. 탄소함유율이 높고, 산소함유율이 낮은 점에서, 화합물(BiF-1)은 높은 에칭내성을 갖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얻어진 화합물에 대하여, 상기 방법에 의해 분자량을 측정한 결과, 536이었다.
열중량측정(TG)의 결과, 얻어진 화합물(BiF-1)의 10% 열감량온도는 400℃ 이상이었다. 이에 따라, 높은 내열성을 갖고, 고온 베이크에 대한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PGME 및 PGMEA에 대한 용해성을 평가한 결과, 30wt% 이상(평가A)이며, 화합물(BiF-1)은 우수한 용해성을 갖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에 따라, 화합물(BiF-1)은 용액상태에서 높은 보존안정성을 갖고, 반도체 미세가공 프로세스에서 널리 이용되는 엣지비드(エッジビ-ト) 린스액(PGME/PGMEA 혼합액)에도 충분히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실시예 2) BiF-2의 합성
교반기, 냉각관 및 뷰렛을 구비한 내용적 300mL의 용기를 준비하였다. 이 용기에, OPP-BP(Honshu Chemical Industry Co., Ltd.제) 60g(178mmol)과, 4-비페닐알데히드(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제) 16g(89mmol)과, 아세트산부틸 100mL를 투입하고, p-톨루엔설폰산(Kanto Chemical Co., Inc.제 시약) 3.9g(21mmol)을 첨가하여, 반응액을 조제하였다. 이 반응액을 90℃에서 5시간 교반하여 반응을 행하였다. 다음에, 반응액을 농축하고, 헵탄 100g을 첨가하여 반응생성물을 석출시키고, 실온까지 냉각한 후, 여과를 행하여 분리하였다. 여과에 의해 얻어진 고형물을 건조시킨 후, 칼럼크로마토에 의한 분리정제를 행함으로써,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목적화합물(BiF-2) 7.5g을 얻었다.
또한, 400MHz-1H-NMR에 의해 이하의 피크가 발견되고, 하기 식의 화학구조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1H-NMR: (d-DMSO, 내부표준TMS)
δ(ppm) 9.1(4H,O-H), 6.8~8.2(39H,Ph-H), 6.5(1H,C-H)
[화학식 46]
Figure pct00046

유기원소 분석의 결과, 얻어진 화합물(BiF-2)의 탄소농도는 87.1%, 산소농도는 7.6%였다. 탄소함유율이 높고, 산소함유율이 낮은 점에서, 화합물(BiF-2)은 높은 에칭내성을 갖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얻어진 화합물에 대하여, 상기 방법에 의해 분자량을 측정한 결과, 840이었다.
열중량측정(TG)의 결과, 얻어진 화합물(BiF-2)의 10% 열감량온도는 400℃ 이상이었다. 이에 따라, 높은 내열성을 갖고, 고온 베이크에 대한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PGME 및 PGMEA에 대한 용해성을 평가한 결과, 30wt% 이상(평가A)이며, 화합물(BiF-2)은 우수한 용해성을 갖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에 따라, 화합물(BiF-2)은 용액상태에서 높은 보존안정성을 갖고, 반도체 미세가공 프로세스에서 널리 이용되는 엣지비드 린스액(PGME/PGMEA 혼합액)에도 충분히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실시예 3)
딤로스 냉각관, 온도계 및 교반날개를 구비한, 바닥부 분리가 가능한 내용적 1L의 4개구 플라스크를 준비하였다. 이 4개구 플라스크에, 질소기류 중, 실시예 1에서 얻어진 화합물(BiF-1)을 376g(0.7mol), 40질량% 포르말린 수용액 210g(포름알데히드로서 2.8mol,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제) 및 98질량% 황산 0.01mL를 투입하고, 상압하, 100℃에서 환류시키면서 7시간 반응시켰다. 그 후, 희석용매로서 에틸글림(Tokyo Chemical Industry Co., Ltd.제 시약특급) 180g을 반응액에 첨가하고, 정치 후, 하상의 수상을 제거하였다. 다시, 중화 및 수세를 행하고, 용제를 감압하에서 유거함으로써, 담갈색 고체의 수지(BiFP-1) 354g을 얻었다.
얻어진 수지(BiFP-1)의 폴리스티렌환산 분자량을 상기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 Mn: 1211, Mw: 2167, Mw/Mn: 1.79였다.
유기원소 분석의 결과, 얻어진 수지(BiFP-1)의 탄소농도는 81.2%, 산소농도는 7.6%였다. 탄소함유율이 높고, 방향환 비율이 높고, 산소함유율이 낮은 점에서, 수지(BiFP-1)는 높은 에칭내성을 갖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열중량측정(TG)의 결과, 수지(BiFP-1)의 10% 열감량온도는 400℃ 이상이었다. 이에 따라, 높은 내열성을 갖고, 고온 베이크에 대한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PGME 및 PGMEA에 대한 용해성을 평가한 결과, 30wt% 이상(평가A)이며, 수지(BiFP-1)는 우수한 용해성을 갖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에 따라, 수지(BiFP-1)는 용액상태에서 높은 보존안정성을 갖고, 반도체 미세가공 프로세스에서 널리 이용되는 엣지비드 린스액(PGME/PGMEA 혼합액)에도 충분히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실시예 4)
딤로스 냉각관, 온도계 및 교반날개를 구비한, 바닥부 분리가 가능한 내용적 1L의 4개구 플라스크를 준비하였다. 이 4개구 플라스크에, 질소기류 중, 실시예 1에서 얻어진 화합물(BiF-1)을 134g(0.25mol), 4-비페닐알데히드 182g(1.0mol,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제) 및 파라톨루엔설폰산 0.5g을 투입하고, 용매로서 에틸글림(Tokyo Chemical Industry Co., Ltd.제 시약특급) 180g을 첨가하고, 상압하, 120℃에서 7시간 반응시켰다. 그 후, 희석용매로서 에틸글림(Tokyo Chemical Industry Co., Ltd.제 시약특급) 180g을 반응액에 첨가하고, 정치 후, 하상의 수상을 제거하였다. 다시, 중화 및 수세를 행한 반응액을 빈용매 n-헵탄(Kanto Chemical Co., Inc.제 시약특급) 600g 중에 적하하고, 고체를 석출시켰다. 용제를 감압하에서 건조함으로써, 담갈색 고체의 수지(BiFP-2) 254g을 얻었다.
얻어진 수지(BiFP-2)의 폴리스티렌환산 분자량을 상기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 Mn: 1345, Mw: 2461, Mw/Mn: 1.83이었다.
유기원소 분석의 결과, 얻어진 화합물(BiFP-2)의 탄소농도는 83.2%, 산소농도는 4.6%였다. 탄소함유율이 높고, 산소함유율이 낮은 점에서, 화합물(BiFP-2)은 높은 에칭내성을 갖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열중량측정(TG)의 결과, 얻어진 화합물(BiFP-2)의 10% 열감량온도는 400℃ 이상이었다. 이에 따라, 높은 내열성을 갖고, 고온 베이크에 대한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PGME 및 PGMEA에 대한 용해성을 평가한 결과, 30wt% 이상(평가A)이며, 화합물(BiFP-2)은 우수한 용해성을 갖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에 따라, 화합물(BiFP-2)은 용액상태에서 높은 보존안정성을 갖고, 반도체 미세가공 프로세스에서 널리 이용되는 엣지비드 린스액(PGME/PGMEA 혼합액)에도 충분히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실시예 5) TeF-1의 합성
교반기, 냉각관 및 뷰렛을 구비한 내용적 500mL의 용기를 준비하였다. 이 용기에, 4,4-비페놀(Tokyo Chemical Industry Co., Ltd.제 시약) 30g(161mmol)과, 4,4'-비페닐디카르복시알데히드(Tokyo Chemical Industry Co., Ltd.제 시약) 8.5g(40mmol)과, 에틸글림(Tokyo Chemical Industry Co., Ltd.제 시약특급) 300g을 투입하고, p-톨루엔설폰산(Kanto Chemical Co., Inc.제 시약) 3.9g(21mmol)을 첨가하여, 반응액을 조제하였다. 이 반응액을 90℃에서 3시간 교반하여 반응을 행하였다. 다음에, 반응액을 농축하고, 헵탄 50g을 첨가하여 반응생성물을 석출시키고, 실온까지 냉각한 후, 여과를 행하여 분리하였다. 여과에 의해 얻어진 고형물을 건조시킨 후, 칼럼크로마토에 의한 분리정제를 행함으로써,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목적화합물(TeF-1) 4.0g을 얻었다.
또한, 400MHz-1H-NMR에 의해 이하의 피크가 발견되고, 하기 식의 화학구조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1H-NMR:(d-DMSO, 내부표준TMS)
δ(ppm) 9.4(8H,O-H), 6.8~7.8(36H,Ph-H), 6.2(2H,C-H)
[화학식 47]
Figure pct00047

유기원소 분석의 결과, 얻어진 화합물(TeF-1)의 탄소농도는 81.03%, 산소농도는 13.93%였다. 탄소함유율이 높고, 산소함유율이 낮은 점에서, 화합물(TeF-1)은 높은 에칭내성을 갖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얻어진 화합물에 대하여, 상기 방법에 의해 분자량을 측정한 결과, 918이었다.
열중량측정(TG)의 결과, 얻어진 화합물(TeF-1)의 10% 열감량온도는 400℃ 이상이었다. 이에 따라, 높은 내열성을 갖고, 고온 베이크에 대한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PGME 및 PGMEA에 대한 용해성을 평가한 결과, 30wt% 이상(평가A)이며, 화합물(TeF-1)은 우수한 용해성을 갖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에 따라, 화합물(TeF-1)은 용액상태에서 높은 보존안정성을 갖고, 반도체 미세가공 프로세스에서 널리 이용되는 엣지비드 린스액(PGME/PGMEA 혼합액)에도 충분히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실시예 6) TeF-2의 합성
교반기, 냉각관 및 뷰렛을 구비한 내용적 500mL의 용기를 준비하였다. 이 용기에, 4,4-비페놀(Tokyo Chemical Industry Co., Ltd.제 시약) 30g(161mmol)과, 테레프탈알데히드(Tokyo Chemical Industry Co., Ltd.제 시약) 5.4g(40mmol)과, 에틸글림(Tokyo Chemical Industry Co., Ltd.제 시약특급) 300g을 투입하고, p-톨루엔설폰산(Kanto Chemical Co., Inc.제 시약) 3.9g(21mmol)을 첨가하여, 반응액을 조제하였다. 이 반응액을 90℃에서 3시간 교반하여 반응을 행하였다. 다음에, 반응액을 농축하고, 헵탄 50g을 첨가하여 반응생성물을 석출시키고, 실온까지 냉각한 후, 여과를 행하여 분리하였다. 여과에 의해 얻어진 고형물을 건조시킨 후, 칼럼크로마토에 의한 분리정제를 행함으로써,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목적화합물(TeF-2) 3.2g을 얻었다.
또한, 400MHz-1H-NMR에 의해 이하의 피크가 발견되고, 하기 식의 화학구조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1H-NMR: (d-DMSO, 내부표준TMS)
δ(ppm) 9.4(8H,O-H), 6.8~7.8(32H,Ph-H), 6.2(2H,C-H)
[화학식 48]
Figure pct00048

유기원소 분석의 결과, 얻어진 화합물(TeF-2)의 탄소농도는 79.79%, 산소농도는 15.18%였다. 탄소함유율이 높고, 산소함유율이 낮은 점에서, 화합물(TeF-2)은 높은 에칭내성을 갖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얻어진 화합물에 대하여, 상기 방법에 의해 분자량을 측정한 결과, 842였다.
열중량측정(TG)의 결과, 얻어진 화합물(TeF-2)의 10% 열감량온도는 400℃ 이상이었다. 이에 따라, 높은 내열성을 갖고, 고온 베이크에 대한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PGME 및 PGMEA에 대한 용해성을 평가한 결과, 30wt% 이상(평가A)이며, 화합물(TeF-2)은 우수한 용해성을 갖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에 따라, 화합물(TeF-2)은 용액상태에서 높은 보존안정성을 갖고, 반도체 미세가공 프로세스에서 널리 이용되는 엣지비드 린스액(PGME/PGMEA 혼합액)에도 충분히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비교예 1)
딤로스 냉각관, 온도계 및 교반날개를 구비한, 바닥부 분리가 가능한 내용적 10L의 4개구 플라스크를 준비하였다. 이 4개구 플라스크에, 질소기류 중, 1,5-디메틸나프탈렌 1.09kg(7mol,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제), 40질량% 포르말린 수용액 2.1kg(포름알데히드로서 28mol,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제) 및 98질량% 황산(Kanto Chemical Co., Inc.제) 0.97mL를 투입하고, 상압하, 100℃에서 환류시키면서 7시간 반응시켰다. 그 후, 희석용매로서 에틸벤젠(Wako Pure Chemical Industries, Ltd.제 시약특급) 1.8kg을 반응액에 첨가하고, 정치 후, 하상의 수상을 제거하였다. 다시, 중화 및 수세를 행하고, 에틸벤젠 및 미반응의 1,5-디메틸나프탈렌을 감압하에서 유거함으로써, 담갈색 고체의 디메틸나프탈렌포름알데히드수지 1.25kg을 얻었다.
얻어진 디메틸나프탈렌포름알데히드의 분자량은, Mn: 562, Mw: 1168, Mw/Mn: 2.08이었다. 또한, 탄소농도는 84.2질량%, 산소농도는 8.3질량%였다.
계속해서, 딤로스 냉각관, 온도계 및 교반날개를 구비한 내용적 0.5L의 4개구 플라스크를 준비하였다. 이 4개구 플라스크에, 질소기류하에서, 상기와 같이 하여 얻어진 디메틸나프탈렌포름알데히드수지 100g(0.51mol)과 파라톨루엔설폰산 0.05g을 투입하고, 190℃까지 승온시켜 2시간 가열한 후, 교반하였다. 그 후 다시, 1-나프톨 52.0g(0.36mol)을 첨가하고, 다시 220℃까지 승온시켜 2시간 반응시켰다. 용제희석 후, 중화 및 수세를 행하고, 용제를 감압하에서 제거함으로써, 흑갈색 고체의 변성수지(CR-1) 126.1g을 얻었다.
얻어진 수지(CR-1)는, Mn: 885, Mw: 2220, Mw/Mn: 4.17이었다. 또한, 탄소농도는 89.1질량%, 산소농도는 4.5질량%였다.
열중량측정(TG)의 결과, 얻어진 수지(CR-1)의 10% 열감량온도는 350℃ 미만이었다. 이에 따라, 높은 에칭내성 및 내열성이 필요시되는 고온 베이크에 대한 적용이 곤란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PGME 및 PGMEA에 대한 용해성을 평가한 결과, 10wt% 이상 20wt% 미만(평가B)이라고 평가되었다.
(실시예 7~12, 비교예 2)
표 1에 나타낸 조성이 되도록, 리소그래피용 하층막 형성재료를 조제하였다. 즉, 하기의 재료를 사용하였다.
산발생제: Midori Kagaku Co., Ltd.제 디터셔리부틸디페닐요오드늄노나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DTDPI)
가교제: Sanwa Chemical Industry Co., Ltd.제 NIKALAC(ニカラック) MX270(NIKALAC)
유기용매: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아세테이트(PGMEA)
노볼락: Gun Ei Chemical Industry Co., Ltd.제 PSM4357
이어서, 실시예 7~12, 비교예 2의 하층막 형성재료를 실리콘기판 상에 회전도포하고, 그 후, 240℃에서 60초간, 다시 400℃에서 120초간 베이크하여, 막두께 200nm의 하층막을 각각 제작하였다.
그리고, 하기에 나타낸 조건으로 에칭시험을 행하고, 에칭내성을 평가하였다. 평가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에칭시험]
에칭장치: Samco International, Inc.제 RIE-10NR
출력: 50W
압력: 20Pa
시간: 2min
에칭가스
Ar가스유량:CF4가스유량:O2가스유량=50:5:5(sccm)
[에칭내성의 평가]
에칭내성의 평가는, 이하의 순서로 행하였다.
우선, 실시예 7~12에서 이용한 화합물을 대신하여 노볼락(Gun Ei Chemical Industry Co., Ltd.제 PSM4357)을 이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7~12와 동일한 조건으로, 노볼락의 하층막을 제작하였다. 그리고, 이 노볼락의 하층막을 대상으로 하여, 상기의 에칭시험을 행하고, 이때의 에칭레이트를 측정하였다.
이어서, 실시예 7~12 및 비교예 2의 하층막을 대상으로 하여, 상기 에칭시험을 동일하게 행하고, 이때의 에칭레이트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노볼락의 하층막의 에칭레이트를 기준으로 하여, 이하의 평가기준으로 에칭내성을 평가하였다.
[평가기준]
A: 노볼락의 하층막에 비해 에칭레이트가, -10% 미만
B: 노볼락의 하층막에 비해 에칭레이트가, -10%~+5%
C: 노볼락의 하층막에 비해 에칭레이트가, +5% 초과
Figure pct00049

(실시예 13)
이어서, 실시예 7의 리소그래피용 하층막 형성재료의 용액을 막두께 300nm의 SiO2기판 상에 도포하고, 240℃에서 60초간, 다시 400℃에서 120초간 베이크함으로써, 막두께 70nm의 하층막을 형성하였다. 이 하층막 상에, ArF용 레지스트용액을 도포하고, 130℃에서 60초간 베이크함으로써, 막두께 140nm의 포토레지스트층을 형성하였다.
또한, ArF레지스트용액으로는, 하기 식(11)의 화합물: 5질량부, 트리페닐설포늄노나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1질량부, 트리부틸아민: 2질량부, 및 PGMEA: 92질량부를 배합하여 조제한 것을 이용하였다.
식(11)의 화합물은, 다음과 같이 조제하였다. 즉, 2-메틸-2-메타크릴로일옥시아다만탄 4.15g, 메타크릴로일옥시-γ-부티로락톤 3.00g, 3-하이드록시-1-아다만틸메타크릴레이트 2.08g,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38g을, 테트라하이드로푸란 80mL에 용해시켜 반응용액으로 하였다. 이 반응용액을, 질소분위기하, 반응온도를 63℃로 유지하여, 22시간 중합시킨 후, 반응용액을 400mL의 n-헥산 중에 적하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생성수지를 응고정제시키고, 생성된 백색 분말을 여과하고, 감압하 40℃에서 하룻밤 건조시켜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었다.
[화학식 49]
Figure pct00050

상기 식(11) 중, 40, 40, 20이라는 것은, 각 구성단위의 비율을 나타낸 것이며, 블록공중합체를 나타낸 것은 아니다.
이어서, 전자선 묘화장치(ELIONIX Inc.제; ELS-7500, 50keV)를 이용하여, 포토레지스트층을 노광하고, 115℃에서 90초간 베이크(PEB)하고, 2.38질량% 테트라메틸암모늄하이드록시드(TMAH) 수용액으로 60초간 현상함으로써, 포지티브형의 레지스트 패턴을 얻었다.
(비교예 3)
하층막의 형성을 행하지 않는 것 이외는, 실시예 13과 동일한 방법으로, 포토레지스트층을 SiO2기판 상에 직접 형성하고, 포지티브형의 레지스트 패턴을 얻었다.
[평가]
실시예 13 및 비교예 3의 각각에 대하여, 얻어진 55nmL/S(1:1) 및 80nmL/S(1:1)의 레지스트 패턴의 형상을 Hitachi, Ltd.제 전자현미경(S-4800)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현상 후의 레지스트 패턴의 형상에 대해서는, 패턴무너짐이 없고, 직사각형성이 양호한 것을 양호로 하고, 그렇지 않은 것을 불량으로서 평가하였다. 또한, 해당 관찰의 결과, 패턴무너짐이 없고, 직사각형성이 양호한 최소의 선폭을 해상성으로서 평가의 지표로 하였다. 나아가, 양호한 패턴 형상을 묘화가능한 최소의 전자선 에너지량을 감도로 하고, 평가의 지표로 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51

표 2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실시예 7의 하층막은, 비교예 3에 비해, 해상성 및 감도 모두 유의하게 우수한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현상 후의 레지스트 패턴 형상도 패턴무너짐이 없고, 직사각형성이 양호한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현상 후의 레지스트 패턴 형상의 상위로 인해, 실시예 7의 리소그래피용 하층막 형성재료는, 레지스트 재료와의 밀착성이 좋은 것이 나타났다.
(실시예 14) BiF-1의 정제
1000mL 용량의 4개구 플라스크(바닥부 분리형)에, 실시예 1에서 얻어진 BiF-1을 PGMEA에 용해시킨 용액(10질량%)을 150g 투입하고, 교반하면서 80℃까지 가열하였다. 이어서, 옥살산 수용액(pH1.3) 37.5g을 첨가하고, 5분간 교반 후, 30분 정치하였다. 이에 따라 유상과 수상으로 분리되므로, 수상을 제거하였다. 이 조작을 1회 반복한 후, 얻어진 유상에, 초순수 37.5g을 투입하고, 5분간 교반 후, 30분 정치하고, 수상을 제거하였다. 이 조작을 3회 반복한 후, 80℃로 가열하면서 플라스크내를 200hPa 이하로 감압함으로써, 잔류수분 및 PGMEA를 농축유거하였다. 그 후, EL그레이드의 PGMEA(Kanto Chemical Co., Inc.제 시약)를 희석하고, 10질량%로 농도조정을 행함으로써, 금속함유량이 저감된 BiF-1의 PGMEA용액을 얻었다.
(참고예 1) 이온교환수지에 의한 정제방법
이온교환수지(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DIAION: SMT100-믹스수지) 25g을 시클로헥사논으로 팽윤 후, Teflon(등록상표)칼럼에 충전하고, 1,3-디옥솔란을 500mL 통액함으로써 용매치환하였다. 이어서, 실시예 1에서 얻어진 BiF-1을 1,3-디옥솔란에 용해시킨 용액(10질량%) 500g을 통액함으로써 BiF-1의 디옥솔란용액을 얻었다.
처리전의 BiF-1의 10질량% PGMEA용액, 실시예 14 및 참고예 1에 있어서 얻어진 용액에 대하여, 각종 금속함유량을 ICP-MS에 의해 측정하였다. 측정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52

본 출원은, 2014년 3월 13일 출원의 일본특허출원(특원 2014-050768호)에 기초한 것이며,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편입된다.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화합물 및 수지는, 탄소농도가 비교적 높고, 산소농도가 비교적 낮으며, 내열성이 비교적 높고, 용매용해성도 비교적 높아, 습식프로세스가 적용가능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수지를 이용하는 리소그래피용 하층막 형성재료 및 하층막은 이들 성능이 요구되는 각종 용도에 있어서, 넓고 또한 유효하게 이용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전기용 절연재료, 레지스트용 수지, 반도체용 봉지수지, 프린트배선판용 접착제, 전기기기·전자기기·산업기기 등에 탑재되는 전기용 적층판, 전기기기·전자기기·산업기기 등에 탑재되는 프리프레그의 매트릭스수지, 빌드업 적층판 재료, 섬유강화 플라스틱용 수지, 액정표시패널의 봉지용 수지, 도료, 각종 코팅제, 접착제, 반도체용의 코팅제, 반도체용의 레지스트용 수지, 하층막 형성용 수지 등에 있어서, 넓고 유효하게 이용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은, 리소그래피용 하층막 및 다층레지스트용 하층막의 분야에 있어서, 특히 유효하게 이용가능하다.

Claims (20)

  1. 하기 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
    [화학식 1]
    Figure pct00053

    (식(1) 중, R1은, 탄소수 1~30의 2n가의 기이며, R2~R5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10의 직쇄상, 분지상 혹은 환상의 알킬기, 탄소수 6~10의 아릴기, 탄소수 2~10의 알케닐기, 티올기 또는 수산기이며, 여기서, R4의 적어도 1개 및/또는 R5의 적어도 1개는 수산기 및/또는 티올기이며, m2 및 m3은, 각각 독립적으로 0~8의 정수이며, m4 및 m5는, 각각 독립적으로 0~9의 정수이며, 여기서, m4 및 m5의 적어도 1개는 1~9의 정수이며, n은, 1~4의 정수이며, p2~p5는 각각 독립적으로 0~2의 정수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R2의 적어도 1개 및/또는 R3의 적어도 1개가 수산기 및/또는 티올기인, 화합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하기 식(1a)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화합물.
    [화학식 2]
    Figure pct00054

    (식(1a) 중, R1~R5 및 n은, 상기 식(1)에서 설명한 것과 동의이며, m2' 및 m3'은 각각 독립적으로 0~4의 정수이며, m4' 및 m5'는 각각 독립적으로 0~5의 정수이며, 여기서, m4' 및 m5'의 적어도 1개는 1~5의 정수이다.)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n이 1이며, 상기 R1이, RA-RB로 표시되는 기이며, 여기서, 해당 RA는 메틴기이며, 해당 RB는 탄소수가 7 이상의 아릴기인, 화합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식(1a)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하기 식(1b)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화합물.
    [화학식 3]
    Figure pct00055

    (식(1b) 중, R1은 상기 식(1)에서 설명한 것과 동의이며, R6 및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10의 직쇄상, 분지상 혹은 환상의 알킬기, 탄소수 6~10의 아릴기, 탄소수 2~10의 알케닐기, 티올기 또는 수산기이며, m6 및 m7은, 각각 독립적으로 0~7의 정수이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식(1b)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하기 식(BiF-1)로 표시되는, 화합물.
    [화학식 4]
    Figure pct00056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합물을 모노머로 하여 얻어지는, 수지.
  8. 하기 식(2)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수지.
    [화학식 5]
    Figure pct00057

    (식(2) 중, R1은, 탄소수 1~30의 2n가의 기이며, R2~R5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10의 직쇄상, 분지상 혹은 환상의 알킬기, 탄소수 6~10의 아릴기, 탄소수 2~10의 알케닐기, 티올기 또는 수산기이며, 여기서, R4의 적어도 1개 및/또는 R5의 적어도 1개는 수산기 및/또는 티올기이며, L은, 단결합 또는 탄소수 1~20의 직쇄상 혹은 분지상의 알킬렌기이며, m2 및 m3은, 각각 독립적으로 0~8의 정수이며, m4 및 m5는, 각각 독립적으로 0~9의 정수이며, 여기서, m4 및 m5의 적어도 1개는 1~9의 정수이며, n은, 1~4의 정수이며, p2~p5는 각각 독립적으로 0~2의 정수이다.)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합물을 함유하는, 리소그래피용 하층막 형성재료.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기재된 수지를 함유하는, 리소그래피용 하층막 형성재료.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유기용매를 추가로 함유하는, 리소그래피용 하층막 형성재료.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산발생제를 추가로 함유하는, 리소그래피용 하층막 형성재료.
  13.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교제를 추가로 함유하는, 리소그래피용 하층막 형성재료.
  14. 제9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리소그래피용 하층막 형성재료로 형성되는 리소그래피용 하층막.
  15. 기판 상에, 제9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하층막 형성재료를 이용하여 하층막을 형성하는 공정(A-1)과,
    상기 하층막 상에, 적어도 1층의 포토레지스트층을 형성하는 공정(A-2)과,
    상기 공정(A-2) 후, 이 포토레지스트층의 소정의 영역에 방사선을 조사하고, 알칼리 현상을 행하는 공정(A-3),
    을 갖는, 레지스트 패턴 형성방법.
  16. 기판 상에, 제9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하층막 형성재료를 이용하여 하층막을 형성하는 공정(B-1)과,
    상기 하층막 상에, 규소원자를 함유하는 레지스트 중간층막 재료를 이용하여 중간층막을 형성하는 공정(B-2)과,
    상기 중간층막 상에, 적어도 1층의 포토레지스트층을 형성하는 공정(B-3)과,
    상기 공정(B-3) 후, 상기 포토레지스트층의 소정의 영역에 방사선을 조사하고, 알칼리 현상하여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B-4)과,
    상기 공정(B-4) 후, 상기 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로 하여 상기 중간층막을 에칭하고, 얻어진 중간층막 패턴을 에칭마스크로 하여 상기 하층막을 에칭하고, 얻어진 하층막 패턴을 에칭마스크로 하여 기판을 에칭함으로써 기판에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B-5),
    을 갖는, 회로패턴 형성방법.
  1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제7항 또는 제8항에 기재된 수지의 정제방법으로서,
    물과 임의로 혼화하지 않는 유기용매 및, 상기 화합물 또는 상기 수지를 포함하는 용액과, 산성의 수용액을 접촉시켜 추출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정제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산성의 수용액이, 염산, 황산, 질산 및 인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무기산 수용액이거나, 또는,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옥살산, 말론산, 숙신산, 푸마르산, 말레산, 주석산, 구연산, 메탄설폰산, 페놀설폰산, p-톨루엔설폰산 및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기산 수용액인, 정제방법.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물과 임의로 혼화하지 않는 유기용매가, 톨루엔, 2-헵탄온, 시클로헥사논, 시클로펜탄온, 메틸이소부틸케톤,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또는 아세트산에틸인, 정제방법.
  20. 제17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과 산성의 수용액을 접촉시켜 추출하는 공정 후, 추가로 물에 의한 추출처리를 행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정제방법.
KR1020167025379A 2014-03-13 2015-03-13 화합물, 수지, 리소그래피용 하층막 형성재료, 리소그래피용 하층막, 패턴 형성방법, 및 화합물 또는 수지의 정제방법 KR1023186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50768 2014-03-13
JPJP-P-2014-050768 2014-03-13
PCT/JP2015/057471 WO2015137486A1 (ja) 2014-03-13 2015-03-13 化合物、樹脂、リソグラフィー用下層膜形成材料、リソグラフィー用下層膜、パターン形成方法、及び化合物又は樹脂の精製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4682A true KR20160134682A (ko) 2016-11-23
KR102318654B1 KR102318654B1 (ko) 2021-10-28

Family

ID=54071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5379A KR102318654B1 (ko) 2014-03-13 2015-03-13 화합물, 수지, 리소그래피용 하층막 형성재료, 리소그래피용 하층막, 패턴 형성방법, 및 화합물 또는 수지의 정제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294183B2 (ko)
EP (1) EP3118183B1 (ko)
JP (1) JP6573217B2 (ko)
KR (1) KR102318654B1 (ko)
CN (1) CN106103396B (ko)
SG (1) SG11201607444VA (ko)
TW (1) TWI659013B (ko)
WO (1) WO20151374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6848B1 (ko) 2014-03-13 2021-11-17 미쯔비시 가스 케미칼 컴파니, 인코포레이티드 레지스트 조성물 및 레지스트 패턴 형성방법
US10294183B2 (en) 2014-03-13 2019-05-21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Compound, resin, material for forming underlayer film for lithography, underlayer film for lithography, pattern forming method, and method for purifying the compound or resin
EP3257835A4 (en) * 2015-02-12 2018-10-03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Compound, resin, lithography underlayer film forming material, lithography underlayer film forming composition, lithography underlayer film, method for forming resist pattern, method for forming circuit pattern, and method for purifying compound or resin
WO2016143635A1 (ja) * 2015-03-06 2016-09-15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化合物、樹脂、リソグラフィー用下層膜形成材料、リソグラフィー用下層膜、パターン形成方法及び化合物又は樹脂の精製方法
CN107407874A (zh) * 2015-03-30 2017-11-28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辐射敏感组合物、非晶膜和抗蚀图案形成方法
CN107428646B (zh) * 2015-03-30 2021-03-02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化合物、树脂、和它们的纯化方法、及其应用
CN107533290B (zh) * 2015-03-30 2021-04-09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抗蚀基材、抗蚀剂组合物及抗蚀图案形成方法
WO2016190044A1 (ja) * 2015-05-27 2016-12-01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ヒドロキシ置換芳香族化合物の製造方法
US10550068B2 (en) * 2015-07-23 2020-02-04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Compound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102599929B1 (ko) 2015-08-24 2023-11-09 더 스쿨 코포레이션 칸사이 유니버시티 리소그래피용 재료 및 그 제조방법, 리소그래피용 조성물, 패턴 형성방법, 그리고, 화합물, 수지, 및 이들의 정제방법
US11130724B2 (en) * 2015-12-25 2021-09-28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Compound, resin, composition, resist pattern formation method, and circuit pattern formation method
US20190048129A1 (en) * 2016-02-11 2019-02-14 Az Electronic Materials (Luxembourg) S.A.R.L. A polymer, composition, forming sacrificial layer and method for semiconductor device therewith
EP3451059A4 (en) * 2016-04-28 2019-04-03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COMPOSITION FOR FORMING A RESISTANT LAYER, LITHOGRAPHY LAYER AND STRUCTURAL FORMING METHOD
JP7194355B2 (ja) * 2016-07-21 2022-12-22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化合物、樹脂、組成物及びパターン形成方法
CN109476580A (zh) * 2016-07-21 2019-03-15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化合物、树脂、组合物和图案形成方法
WO2018047724A1 (ja) * 2016-09-12 2018-03-15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樹脂組成物、プリプレグ、金属箔張積層板、樹脂シート及びプリント配線板
US20190359756A1 (en) * 2016-09-13 2019-11-28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Optical member forming composition
TW201827389A (zh) * 2016-09-20 2018-08-01 日商三菱瓦斯化學股份有限公司 化合物、樹脂、組成物,以及阻劑圖型形成方法及電路圖型形成方法
JP6489289B2 (ja) * 2016-11-11 2019-03-27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レジスト形成用感光性樹脂組成物、樹脂膜、硬化膜、および半導体装置
US20200247739A1 (en) * 2017-02-23 2020-08-06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Compound, resin, composition, pattern formation method, and purification method
KR20190124716A (ko) * 2017-02-28 2019-11-05 미쯔비시 가스 케미칼 컴파니, 인코포레이티드 화합물 또는 수지의 정제방법, 및 조성물의 제조방법
EP3747954A4 (en) 2018-01-31 2021-02-17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COMPOSITION, METHOD FOR PRODUCING A RESIST PATTERN, AND METHOD FOR PRODUCING AN INSULATING FILM
WO2019230639A1 (ja) * 2018-05-28 2019-12-05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化合物、樹脂、組成物、レジストパターン形成方法、回路パターン形成方法及び樹脂の精製方法
KR102287506B1 (ko) * 2018-07-11 2021-08-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하드마스크 조성물, 하드마스크 층 및 패턴 형성 방법
CN109188866A (zh) * 2018-08-16 2019-01-11 韩国高智株式会社 一种用于抗反射有机硬掩模的组合物
EP3842863A4 (en) * 2018-08-20 2021-11-03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FILM EDUCATION MATERIAL FOR LITHOGRAPHY, COMPOSITION FOR FILM FORMATION FOR LITHOGRAPHY, LAYER FILM FOR LITHOGRAPHY AND PATTERN GENERATION PROCESS
KR20210093904A (ko) * 2018-11-21 2021-07-28 미쯔비시 가스 케미칼 컴파니, 인코포레이티드 리소그래피용 막형성재료, 리소그래피용 막형성용 조성물, 리소그래피용 하층막 및 패턴 형성방법
KR20210121061A (ko) * 2019-01-31 2021-10-07 미쯔비시 가스 케미칼 컴파니, 인코포레이티드 화합물, 수지, 조성물, 레지스트 패턴 형성방법, 회로패턴 형성방법 및 수지의 정제방법
WO2022176571A1 (ja) * 2021-02-16 2022-08-25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樹脂、組成物、レジストパターン形成方法、回路パターン形成方法及び樹脂の精製方法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02245A (en) * 1970-06-05 1972-11-07 Polaroid Corp Photographic diffusion-transfer processes and elements utilizing ph-sensitive optical filter agents to prevent fogging by extraneous actinic radiation during development
JPH10161332A (ja) * 1996-12-03 1998-06-19 Canon Inc 電子写真感光体、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装置
JP2002334869A (ja) 2001-02-07 2002-11-22 Tokyo Electron Ltd シリコン窒化膜の形成方法、形成装置及びこの形成装置の洗浄前処理方法
JP2004177668A (ja) 2002-11-27 2004-06-24 Tokyo Ohka Kogyo Co Ltd 多層レジストプロセス用下層膜形成材料およびこれを用いた配線形成方法
WO2004066377A1 (ja) 2003-01-24 2004-08-05 Tokyo Electron Limited 被処理基板上にシリコン窒化膜を形成するcvd方法
JP2004271838A (ja) 2003-03-07 2004-09-30 Shin Etsu Chem Co Ltd レジスト下層膜材料ならびにパターン形成方法
JP2005250434A (ja) 2004-02-04 2005-09-15 Shin Etsu Chem Co Ltd レジスト下層膜材料ならびにパターン形成方法
JP2007204574A (ja) * 2006-02-01 2007-08-16 Fujifilm Corp ポリアリレート、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7226204A (ja) 2006-01-25 2007-09-06 Shin Etsu Chem Co Ltd 反射防止膜材料、基板、及びパターン形成方法
JP2007226170A (ja) 2006-01-27 2007-09-06 Shin Etsu Chem Co Ltd 反射防止膜材料、反射防止膜を有する基板及びパターン形成方法
WO2009072465A1 (ja) 2007-12-07 2009-06-11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リソグラフィー用下層膜形成組成物及び多層レジストパターン形成方法
WO2011034062A1 (ja) 2009-09-15 2011-03-24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芳香族炭化水素樹脂及びリソグラフィー用下層膜形成組成物
WO2013134997A1 (zh) * 2012-03-16 2013-09-19 中国科学院化学研究所 含双酚a骨架结构的分子玻璃光刻胶及其制备方法和应用
US20140065533A1 (en) * 2012-08-31 2014-03-06 Xerox Corporation Imaging member layers

Family Cites Families (6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67854B (de) 1961-07-25 1964-04-16 Pelikan Werke Wagner Guenther Aufzeichnungs- und Vervielfaeltigungs-Material
MX144572A (es) * 1970-06-05 1981-10-28 Polaroid Corp Una unidad de pelicula fotografica
JPS5280022A (en) 1975-12-26 1977-07-05 Fuji Photo Film Co Ltd Light solubilizable composition
GB2145414B (en) * 1983-08-24 1987-04-15 Ciba Geigy O-linked polyphenols
JP2700918B2 (ja) 1989-04-26 1998-01-21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ポジ型フオトレジスト組成物
JPH03228051A (ja) 1990-02-01 1991-10-09 Fuji Photo Film Co Ltd リーダスプライサ及びフイルムプロセサ
JP2761786B2 (ja) 1990-02-01 1998-06-04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ポジ型フオトレジスト組成物
JPH04297430A (ja) 1991-03-15 1992-10-21 Idemitsu Kosan Co Ltd ポリフェニル誘導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904610B2 (ja) * 1991-04-24 1999-06-14 日東電工株式会社 半導体装置
JP3052449B2 (ja) 1991-07-17 2000-06-12 住友化学工業株式会社 レジストの金属低減化方法
US5281689A (en) * 1992-12-11 1994-01-25 General Electric Company Polycarbonate from bis[4'-(4-hydroxyphenyl)-phenyl]alkanes
JP3377265B2 (ja) 1992-12-24 2003-02-17 住友化学工業株式会社 感光性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JP2642069B2 (ja) 1993-12-28 1997-08-20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アクチュエータのリトラクト方法及び磁気ディスク装置
JPH08137100A (ja) 1994-11-11 1996-05-31 Fuji Photo Film Co Ltd ポジ型フォトレジスト組成物
JPH09106070A (ja) 1995-10-09 1997-04-22 Fuji Photo Film Co Ltd ポジ型フォトレジスト組成物
JPH10307384A (ja) 1997-05-08 1998-11-17 Fuji Photo Film Co Ltd ポジ型フォトレジスト組成物
JP2001122828A (ja) 1999-10-27 2001-05-08 Shinnakamura Kagaku Kogyo Kk 2官能(メタ)アクリル酸エステル組成物とそのための2価アルコール
US6660811B2 (en) 2001-01-30 2003-12-09 Dainippon Ink And Chemicals, Inc. Epoxy resin composition and curing product thereof
JP2002275112A (ja) 2001-03-14 2002-09-25 Nippon Soda Co Ltd ビナフトール化合物およびその製造法
WO2004037879A2 (en) 2002-10-24 2004-05-06 South Dakota School Of Mines And Technology Monomers containing at least one biaryl unit and polymers and derivatives prepared therefrom
US20070059632A1 (en) 2003-09-18 2007-03-15 Dai Oguro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JP2005187335A (ja) 2003-12-24 2005-07-14 Midori Kagaku Kenkyusho:Kk 新規なシアネートエステルとその製造方法
JP4249096B2 (ja) 2004-02-20 2009-04-02 東京応化工業株式会社 パターン形成材料用基材、ポジ型レジスト組成物およびレジストパターン形成方法
EP1739485B1 (en) 2004-04-15 2016-08-31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Resist composition
TWI495632B (zh) 2004-12-24 2015-08-11 Mitsubishi Gas Chemical Co 光阻用化合物
JP4466854B2 (ja) 2005-03-18 2010-05-26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フォトレジスト下層膜形成材料及びパターン形成方法
JP2006276742A (ja) 2005-03-30 2006-10-12 Fuji Photo Film Co Ltd ポジ型レジスト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パターン形成方法
US7452658B2 (en) 2006-02-16 2008-11-18 Cornell University Molecular glass photoresists
JP4858136B2 (ja) 2006-12-06 2012-01-18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感放射線性レジスト組成物
JP5446118B2 (ja) 2007-04-23 2014-03-19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感放射線性組成物
KR100908601B1 (ko) * 2007-06-05 2009-07-21 제일모직주식회사 반사방지 하드마스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기판상 재료의패턴화 방법
JP4929110B2 (ja) 2007-09-25 2012-05-09 株式会社東芝 感光性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パターン形成方法
JP5317609B2 (ja) 2008-09-24 2013-10-16 株式会社東芝 感光性化合物、感光性組成物、およびパターン形成方法
JP5257009B2 (ja) * 2008-11-14 2013-08-07 Jsr株式会社 レジスト下層膜形成用組成物、レジスト下層膜の形成方法、及びパターン形成方法
KR101411737B1 (ko) 2009-09-29 2014-06-25 제이에스알 가부시끼가이샤 패턴 형성 방법 및 레지스트 하층막 형성용 조성물
JP5068828B2 (ja) 2010-01-19 2012-11-07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レジスト下層膜形成用組成物、レジスト下層膜形成方法、及びパターン形成方法
JP5556773B2 (ja) 2010-09-10 2014-07-23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ナフタレン誘導体及びその製造方法、レジスト下層膜材料、レジスト下層膜形成方法及びパターン形成方法
JP2012083731A (ja) 2010-09-13 2012-04-26 Idemitsu Kosan Co Ltd 感放射線性組成物、及びフォトレジスト組成物
JP5266294B2 (ja) * 2010-11-01 2013-08-21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レジスト下層膜材料及びこれを用いたパターン形成方法
CN103282396B (zh) 2010-12-28 2015-03-18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芳烃树脂、光刻法用底层膜形成组合物以及形成多层抗蚀图案的方法
KR101430116B1 (ko) 2011-05-12 2014-08-14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스트레커 반응용 촉매를 사용하는 키랄성 α-아미노나이트릴의 제조방법
CN103619892B (zh) 2011-06-03 2016-08-24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酚醛系树脂以及光刻用下层膜形成材料
KR101907481B1 (ko) 2011-08-12 2018-10-12 미쯔비시 가스 케미칼 컴파니, 인코포레이티드 리소그래피용 하층막 형성재료, 리소그래피용 하층막 및 패턴형성방법
CN106957217B (zh) 2011-08-12 2020-07-24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用于抗蚀剂组合物的多元酚化合物
TWI596082B (zh) 2011-08-12 2017-08-21 三菱瓦斯化學股份有限公司 環狀化合物、其製造方法、組成物及光阻圖型之形成方法
JP6012055B2 (ja) 2011-09-07 2016-10-25 ダウ コーニング コーポレーションDow Corning Corporation チタン含有錯体及び縮合反応触媒、該触媒の調製方法、及び該触媒を含有する組成物
CN107329367B (zh) 2011-12-09 2021-03-23 旭化成株式会社 感光性树脂组合物、固化浮雕图案的制造方法、半导体装置及显示体装置
JP5925721B2 (ja) 2012-05-08 2016-05-25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有機膜材料、これを用いた有機膜形成方法及びパターン形成方法
JP6191831B2 (ja) * 2012-08-10 2017-09-06 日産化学工業株式会社 レジスト下層膜形成組成物
CN103804196B (zh) 2012-11-06 2016-08-31 中国科学院理化技术研究所 星形金刚烷衍生物分子玻璃及其制备方法、应用
CN105209974B (zh) * 2013-05-13 2020-05-29 日产化学工业株式会社 含有使用双酚醛的酚醛清漆树脂的抗蚀剂下层膜形成用组合物
CN104557552B (zh) 2013-10-22 2016-08-31 中国科学院理化技术研究所 一种星形四苯基乙烯衍生物分子玻璃、正性光刻胶、正性光刻胶涂层及其应用
US10294183B2 (en) 2014-03-13 2019-05-21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Compound, resin, material for forming underlayer film for lithography, underlayer film for lithography, pattern forming method, and method for purifying the compound or resin
KR102326848B1 (ko) * 2014-03-13 2021-11-17 미쯔비시 가스 케미칼 컴파니, 인코포레이티드 레지스트 조성물 및 레지스트 패턴 형성방법
US10745372B2 (en) 2014-12-25 2020-08-18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Compound, resin, material for forming underlayer film for lithography, underlayer film for lithography, pattern forming method, and purification method
EP3257835A4 (en) 2015-02-12 2018-10-03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Compound, resin, lithography underlayer film forming material, lithography underlayer film forming composition, lithography underlayer film, method for forming resist pattern, method for forming circuit pattern, and method for purifying compound or resin
WO2016143635A1 (ja) 2015-03-06 2016-09-15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化合物、樹脂、リソグラフィー用下層膜形成材料、リソグラフィー用下層膜、パターン形成方法及び化合物又は樹脂の精製方法
CN107533290B (zh) 2015-03-30 2021-04-09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抗蚀基材、抗蚀剂组合物及抗蚀图案形成方法
CN107407874A (zh) 2015-03-30 2017-11-28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辐射敏感组合物、非晶膜和抗蚀图案形成方法
CN107430344B (zh) 2015-04-07 2021-03-26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光刻用下层膜形成用材料、光刻用下层膜形成用组合物、光刻用下层膜及图案形成方法
CN108349860A (zh) 2015-09-03 2018-07-31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化合物及其制造方法、组合物、光学部件形成用组合物、光刻用膜形成组合物、抗蚀剂组合物、抗蚀图案形成方法、辐射敏感组合物、非晶膜制造方法、光刻用下层膜形成材料、光刻用下层膜形成用组合物、光刻用下层膜制造方法、抗蚀图案形成方法、电路图案形成方法、纯化方法
CN108137478B (zh) 2015-09-10 2021-09-28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化合物、其组合物、纯化方法以及抗蚀图案形成方法、非晶膜的制造方法

Patent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02245A (en) * 1970-06-05 1972-11-07 Polaroid Corp Photographic diffusion-transfer processes and elements utilizing ph-sensitive optical filter agents to prevent fogging by extraneous actinic radiation during development
JPH10161332A (ja) * 1996-12-03 1998-06-19 Canon Inc 電子写真感光体、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装置
JP2002334869A (ja) 2001-02-07 2002-11-22 Tokyo Electron Ltd シリコン窒化膜の形成方法、形成装置及びこの形成装置の洗浄前処理方法
JP2004177668A (ja) 2002-11-27 2004-06-24 Tokyo Ohka Kogyo Co Ltd 多層レジストプロセス用下層膜形成材料およびこれを用いた配線形成方法
WO2004066377A1 (ja) 2003-01-24 2004-08-05 Tokyo Electron Limited 被処理基板上にシリコン窒化膜を形成するcvd方法
JP2004271838A (ja) 2003-03-07 2004-09-30 Shin Etsu Chem Co Ltd レジスト下層膜材料ならびにパターン形成方法
JP2005250434A (ja) 2004-02-04 2005-09-15 Shin Etsu Chem Co Ltd レジスト下層膜材料ならびにパターン形成方法
JP2007226204A (ja) 2006-01-25 2007-09-06 Shin Etsu Chem Co Ltd 反射防止膜材料、基板、及びパターン形成方法
JP2007226170A (ja) 2006-01-27 2007-09-06 Shin Etsu Chem Co Ltd 反射防止膜材料、反射防止膜を有する基板及びパターン形成方法
JP2007204574A (ja) * 2006-02-01 2007-08-16 Fujifilm Corp ポリアリレート、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WO2009072465A1 (ja) 2007-12-07 2009-06-11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リソグラフィー用下層膜形成組成物及び多層レジストパターン形成方法
WO2011034062A1 (ja) 2009-09-15 2011-03-24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芳香族炭化水素樹脂及びリソグラフィー用下層膜形成組成物
WO2013134997A1 (zh) * 2012-03-16 2013-09-19 中国科学院化学研究所 含双酚a骨架结构的分子玻璃光刻胶及其制备方法和应用
US20140065533A1 (en) * 2012-08-31 2014-03-06 Xerox Corporation Imaging member lay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18183B1 (en) 2021-07-21
CN106103396A (zh) 2016-11-09
JPWO2015137486A1 (ja) 2017-04-06
WO2015137486A1 (ja) 2015-09-17
KR102318654B1 (ko) 2021-10-28
SG11201607444VA (en) 2016-10-28
TWI659013B (zh) 2019-05-11
CN106103396B (zh) 2021-11-30
EP3118183A4 (en) 2017-10-25
JP6573217B2 (ja) 2019-09-11
TW201600505A (zh) 2016-01-01
US20170073288A1 (en) 2017-03-16
US10294183B2 (en) 2019-05-21
EP3118183A1 (en) 2017-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73217B2 (ja) 化合物、樹脂、リソグラフィー用下層膜形成材料、リソグラフィー用下層膜、パターン形成方法、及び化合物又は樹脂の精製方法
KR101869929B1 (ko) 페놀계 수지 및 리소그래피용 하층막 형성 재료
JP5979384B2 (ja) リソグラフィー用下層膜形成材料、リソグラフィー用下層膜及びパターン形成方法
JP6670453B2 (ja) 化合物、樹脂、リソグラフィー用下層膜形成材料、リソグラフィー用下層膜形成用組成物、リソグラフィー用下層膜、レジストパターン形成方法、回路パターン形成方法及び化合物又は樹脂の精製方法
KR102154109B1 (ko) 화합물, 리소그래피용 하층막 형성재료, 리소그래피용 하층막 및 패턴 형성방법
KR102643950B1 (ko) 화합물, 수지, 및 이들의 정제방법, 리소그래피용 하층막 형성재료, 하층막 형성용 조성물, 및 하층막, 그리고, 레지스트패턴 형성방법, 및 회로패턴 형성방법
WO2016104214A1 (ja) 化合物、樹脂、リソグラフィー用下層膜形成材料、リソグラフィー用下層膜、パターン形成方法及び精製方法
KR102552910B1 (ko) 화합물, 수지, 리소그래피용 하층막 형성재료, 리소그래피용 하층막, 패턴 형성방법 및 화합물 또는 수지의 정제방법
KR20140090144A (ko) 플루오렌 구조를 가지는 수지 및 리소그래피용 하층막 형성재료
KR102178662B1 (ko) 화합물, 리소그래피용 하층막 형성재료, 리소그래피용 하층막 및 패턴 형성방법
KR20180034412A (ko) 화합물, 수지, 리소그래피용 하층막 형성재료, 리소그래피용 하층막 형성용 조성물, 리소그래피용 하층막 및 레지스트 패턴 형성방법, 회로 패턴 형성방법, 및, 정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