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3558A - 신경 및 뇌 종양을 포함한 여러 종양에 대한 새로운 면역 치료 - Google Patents

신경 및 뇌 종양을 포함한 여러 종양에 대한 새로운 면역 치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3558A
KR20160103558A KR1020167022929A KR20167022929A KR20160103558A KR 20160103558 A KR20160103558 A KR 20160103558A KR 1020167022929 A KR1020167022929 A KR 1020167022929A KR 20167022929 A KR20167022929 A KR 20167022929A KR 20160103558 A KR20160103558 A KR 201601035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s
cell
peptide
tumor
can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2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3426B1 (ko
Inventor
올리버 쇼르
노베르트 힐프
토니 바인쉔크
클라우디아 트라우트바인
스테펜 발터
하르프리트 싱
Original Assignee
이매틱스 바이오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매틱스 바이오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이매틱스 바이오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60103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35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3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34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7/00Peptides having 5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7/04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7/06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having 5 to 11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08Peptides having 5 to 11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14Blood; Artificial blood
    • A61K35/17Lymphocytes; B-cells; T-cells; Natural killer cells; Interferon-activated or cytokine-activated lymphocy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0005Vertebrate antigens
    • A61K39/0011Cancer antig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46Cellular immunotherapy
    • A61K39/461Cellular immunotherapy characterised by the cell type used
    • A61K39/4611T-cells, e.g. tumor infiltrating lymphocytes [TIL], lymphokine-activated killer cells [LAK] or regulatory T cells [Tre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46Cellular immunotherapy
    • A61K39/464Cellular immunotherapy characterised by the antigen targeted or presented
    • A61K39/4643Vertebrate antigens
    • A61K39/4644Cancer antig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002Packag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yringes or needles, kits for 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ulcers, gastritis or reflux esophagitis, e.g. antacids, inhibitors of acid secretion, mucosal protec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8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pancreatic disorders, e.g. pancreatic 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prost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12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kidne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61P35/02Antineoplastic agents specific for leukem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4Immunostimul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705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4/70503Immunoglobulin superfamily
    • C07K14/70539MHC-molecules, e.g. HLA-molecu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7/00Peptides having 5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7/04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7/08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having 12 to 20 amino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34Cells from the blood or the immune system
    • C12N5/0636T lymphocytes
    • C12N5/0638Cytotoxic T lymphocytes [CTL] or lymphokine activated killer cells [LAK]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34Cells from the blood or the immune system
    • C12N5/0639Dendritic cells, e.g. Langherhans cells in the epiderm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74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cancer
    • G01N33/57484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cancer involving compounds serving as markers for tumor, cancer, neoplasia, e.g. cellular determinants, receptors, heat shock/stress proteins, A-protein, oligosaccharides, metabolites
    • G01N33/57492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cancer involving compounds serving as markers for tumor, cancer, neoplasia, e.g. cellular determinants, receptors, heat shock/stress proteins, A-protein, oligosaccharides, metabolites involving compounds localized on the membrane of tumor or cancer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1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whole cells, viruses or DNA/RNA
    • A61K2039/515Animal cells
    • A61K2039/5154Antigen presenting cells [APCs], e.g. dendritic cells or macroph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1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whole cells, viruses or DNA/RNA
    • A61K2039/515Animal cells
    • A61K2039/5158Antigen-pulsed cells, e.g. T-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1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whole cells, viruses or DNA/RNA
    • A61K2039/53DNA (RNA) vacc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5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combination antigen/adjuvant
    • A61K2039/55511Organic adjuv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5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combination antigen/adjuvant
    • A61K2039/55511Organic adjuvants
    • A61K2039/55516Proteins; Pep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5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combination antigen/adjuvant
    • A61K2039/55511Organic adjuvants
    • A61K2039/55522Cytokines; Lymphokines; Interfer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5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combination antigen/adjuvant
    • A61K2039/55511Organic adjuvants
    • A61K2039/55561CpG containing adjuvants; Oligonucleotide containing adjuv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5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combination antigen/adjuvant
    • A61K2039/55588Adjuvants of undefined 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7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response, e.g. Th1, Th2
    • A61K2039/572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response, e.g. Th1, Th2 cytotoxic respon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6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tics by the carrier linked to the antigen
    • A61K2039/6031Proteins
    • A61K2039/605MHC molecules or liga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6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tics by the carrier linked to the antigen
    • A61K2039/6031Proteins
    • A61K2039/6081Albumin; Keyhole limpet haemocyanin [KL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6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tics by the carrier linked to the antigen
    • A61K2039/6093Synthetic polymers, e.g. polyethyleneglycol [PEG], Polymers or copolymers of (D) glutamate and (D) lys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9/00Fusion polypept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9/00Fusion polypeptide
    • C07K2319/40Fusion polypeptide containing a tag for immunodetection, or an epitope for immun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1/00Active agents used in cell culture processes, e.g. differentation
    • C12N2501/50Cell markers; Cell surface determina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Abstract

본 발명은 면역치료 방법에 사용되는 펩티드, 핵산 및 세포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암의 면역치료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더 나아가 종양-관련 세포독성 T 세포 (CTL) 펩티드 에피톱이 단독 또는 다른 종양-관련 펩티드와 결합하여 활성적인 백신의 약학 조성물로 사용되어 항-종양 면역 반응을 자극하는 것과 관련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인간 종양 세포의 HLA 클래스 I 및 클래스 II 분자에서 유도된 항-종양 면역 반응을 일으키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백신의 구성물인 30개의 펩티드 서열과 이들의 변이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신경 및 뇌 종양을 포함한 여러 종양에 대한 새로운 면역 치료{NOVEL IMMUNOTHERAPY AGAINST SEVERAL TUMORS INCLUDING NEURONAL AND BRAIN TUMORS}
본 발명은 면역 치료법에 사용되는 펩티드, 핵산 및 세포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암의 면역 치료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더 나아가 암 관련 세포 독성 T 세포 (CTL) 펩티드의 항원 요소, 단독 또는 다른 암 관련 펩티드와 결합하여 항암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백신의 구성물인 활성 약학 성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30 펩티드 서열과 인산 종양 세포의 HLA 클래스 I과 II 분자에서 유도된 변이체와 관련되고 항종양 면역 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백신 조성물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신경아교종은 신경계의 아교세포로부터 발생하는 뇌종양이다. 아교세포는, 흔히 신경아교 또는 단순히 아교라고 불리는 비신경세포로서 세포 지원과 영양을 제공하고, 항상성을 유지하며, 미엘린을 생성하고, 신경계의 신호 전달에 참여한다. 아교세포의 가장 중요한 2개의 소집단은 종양이 발생하는 세포의 종류에 따라 이름이 붙혀진 별아교세포에서 발생한 별아교세포종과 핍지교종세포에서 발생한 핍지신경교종을 포함한다. 별아교세포종의 소집단에 속하는 다형성 아교모세포종 (앞으로는 아교모세포종이라 함)은 성인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악성 뇌종양이며 모든 악성 뇌종양의 40% 및 아교모세포종의 50%를 차지한다 (CBTRUS, 2006). 이는 공격적으로 중추 신경계를 침습하고 모든 신경교종 중에서 가장 높은 악성 종양 수준 (등급 IV)으로 랭킹되어 있다. 비록 신경 영상, 미세 수술법의 발전 및 테모졸로미드 또는 방사선과 같은 다양한 치료의 옵션이 꾸준히 개발되는 데에도 불구하고, 교모세포종은 여전히 불치병으로 남아 있다. 첫 진단 후 평균 수명은 9 내지 12개월로 뇌종양의 치사율은 아주 높다. 1986 내지 1990년 사이의 5년 생존율은 8.0%였다. 현재까지, 총 종양 절제를 포함한 적극적인 치료 후 5년 생존율은 아직도 10%보다 낮다. 따라서, 대체적인 효과적 치료 방법이 적극 필요하다.
아교모세포종의 암세포는 뇌종양 중에서 가장 미분화된 종양으로서, 이 암세포들은 이동 및 확산의 높은 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매우 침투력이 높아 좋지 않은 예후에 기여한다. 아교모세포종은 빠르고 침습적이고 침윤적인 뇌에서의 성장으로 인해 죽음을 초래한다. 침윤적인 성장 패턴으로 인해 이 종양들은 수술적 제거가 불가능하다. 아교모세포종은 또한 상대적으로 방사선 및 화학 요법에 내성을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치료 후 재발생률이 높다. 게다가, 수술적 제거와 방사선 요법 후 모든 종양 세포를 완전 박멸하는 데에 종양 세포에 대한 면역 반응은 효과가 거의 없다.
아교모세포종은 미분화된 별아교세포종 또는 전조 신경교 세포의 악성 변화 중의 유전자 메커니즘의 차이에 따라 원발성 아교모세포종(드 노보)과 2차 아교모세포종으로 구분된다. 2차 아교모세포종은 45세까지의 젊은 인구에서 발생한다. 평균적으로 4년 내지 5년 사이에, 2차 아교모세포종은 낮은 등급의 별아교세포종에서 미분화된 별아교세포종을 통해 발전한다. 이와 반대로, 원발성 아교모세포종은 대개 나이가 든 인구에서 발생하며 평균 연령은 55세이다. 대게, 원발성 아교모세포종은 임상 또는 병리학적으로 아무 이상이 없는 상태에서 3개월 이내에 종양의 진행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진 급격 발병형 아교모세포종으로 발생한다 (Pathology and Genetics of the Nervous Systems. 29-39 (IARC Press, Lyon, France, 2000)).
아교모세포종은 미엘린 신경 세포를 따라 이동하여 중추 신경계에 광범위하게 퍼진다. 대부분의 경우, 외과적 치료는 한정 지속적인 치료 효과를 보인다. 악성 아교모세포종 세포는 T 세포의 증식을 손상시키고 면역 자극 사이토카인 IL-2의 생산을 막는 면역 억제제의 생산을 통해 숙주의 면역 체계에 의한 발각을 피한다.
두개 내의 (intracranial) 종양은 뇌, 뇌막, 뇌하수체, 두개골, 및 심지어는 잔여 배아 조직을 포함하는 중추 신경계의 어떠한 구조나 세포의 종류에서부터 발생될 수 있다. 미국에서의 전체 연간 원발성 뇌종양의 발생률은 100,000 당 14이다. 가장 흔한 뇌종양은 수막종으로서 전체 원발성 뇌종양의 27%를 차지하며, 아교모세포종은 전체 원발성 뇌종양의 23%를 차지한다(아교모세포종은 성인 악성 뇌종양의 40%를 차지한다). 이 종양의 많은 부분이 공격적이거나 높은 등급에 속한다. 원발성 뇌종양은 소아 고형 종양 중 가장 흔하고 백혈병 이후 두 번째로 가장 흔한 소아 사망의 원인이다.
아교모세포종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에 대한 검색은 오늘날에도 계속된다. 이 종양 세포와 싸우기 위한 면역치료법, 또는 면역 체계를 이용하는 치료법은 이미 연구된 바 있다. 아교모세포종 환자에서의 면역 치료 방법을 이용한 격려적인 결과가 자가 조직 종양 세포 용해물, 및 항원 특정 CTL 반응, 및 이는 기본 치료를 이용했을 때와 비교했을 때, 더 연장된 평균 생존 시간을 유도하기 위한 EGFRvIII을 이용한 Celldex와 환자 유도 수지상 세포 세포 기반 백신 방법 "DCVax 뇌"를 이용하여 Northwest Biotherapeutics에 의해 획득되었다 (Heimberger et al., 2006).
대장암
미국 암 협회에 따르면, 대장암 (CRC)은 미국에서 세 번째로 가장 흔한 암이며, 매년 175,000명의 새로운 환자에게 영향을 미친다. 미국, 일본,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스페인 및 영국에서 이 암은 480,000명이 넘는 환자들에게 영향을 미친다. 그 것은 선진국에서 가장 일반적인 암 사망의 원인이다. 대장 선암 환자들의 1- 및 5-년 상대적 생존율은 각각 84% 및 64%이다. 생존율은 5년 후에도 계속 감소하며 진단 후 10년에는 57%가 된다. 대장 선암이 초기, 국소 단계에서 발견되었을 때는 5-년 생존율이 90%이다. 하지만, 대장 선암의 39% 만이 주로 낮은 검진율 때문에 이 시기에 진단된다. 암이 주위의 장기 또는 림프절로 지역적으로 퍼지면, 5-년 생존율은 68%로 떨어진다. 원거리 전이가 있는 사람들에게는, 5-년 생존율이 10%이다.
연구에 따르면 대장 선암의 발병은 선천적과 후천적 요인의 상호 작용의 결과이다. 대부분의 경우 선종성 용종이 대장 종양의 전조로 보인다. 그러나 그 전환은 몇 년이 걸릴 수도 있다. 대장암의 주요 위험 요인은 나이이며, 90%의 진단이 50 세 이상에서 나타난다. 미국 암 협회에 따르면 대장암의 다른 위험 요인은 알코올 소비, 지방 및/또는 빨간 고기가 많은 식단 및 과일 및 채소의 섭취 부족이 있다. 발병률은 계속 높아지고 있으며, 특히 일본과 같은 곳에서는, 지방과 고기 섭취가 많고 섬유소의 섭취가 줄어든 서양화된 식단이 비난을 받는다. 그러나, 발병률은 이전보다는 빨리 높아지지 않고 있고 이는 검진의 증가와 용종이 암으로 발전되는 것을 막는 용종 제거 때문일 수도 있다.
대부분의 고형 종양에서와 같이, 1차 치료는 수술이다. 그러나, 그것의 혜택은 초기-단계의 환자에게 국한되며, 상당한 비율의 환자가 질병이 진행된 단계에서 진단된다. 진행된 대장암에는 플루러유러실에 기반을 둔 방식의 화학요법 방식이 표준 치료법이다. 이런 방식들의 대부분은 소위 FOLFOX (지속적 정맥주입 5-FU/류코보린 + 옥살리플라틴) 및 FOLFIRI (이리노테칸, 류코보린, 볼러스 및 지속적-주입 5-FU) 프로토콜이라고 불린다.
이리노테칸 및 옥살리플라틴과 같은 3 세대 세포 독성제의 도입은 효험 개선의 희망을 상당히 높였지만, 예후는 여전히 상대적으로 부족하고, 생존율은 일반적으로 전이 질병에서 20 개월 정도로 남아있으며, 결과적으로, 질병의 충족되지 않은 요구는 높게 남아있다.
최근에 아바스타틴 (베바시주맙)과 에르비툭스 (세툭시맙) 같은 새로운 세대의 약물, 분자-타켓된 요원들이 사용 가능해졌으며, 약 40개의 화합물이 대장암의 여러 단계를 위한 임상 개발의 후기 단계에 있다. 이 화합물들의 여러 조합이 미래에 기대되는 잠재 치료 옵션의 수를 증가시킨다. 대부분의 물질은 2단계에 있고, 대장암 환자의 약 80%에서 EGF가 과발현되는 사실 때문에 어떤 다른 대장암 실험에서 보다 이 화합물들에 의해 EGFR은 처리된다.
최근에 승인된 단클론 항체 (mAbs) (세툭시맙 + 이리노테칸 또는 FOLFOX4; 단일 요원으로서의 베바시주맙 또는 FOLFOX4와 함께)와 화학 요법을 결합한 II 단계 환자들의 임상 실험이 현재 진행 중이다. 3 내지 4년간의 관찰 기간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얻기 위해서 예상된다.
일반적으로 현재 종양학에서 사용되는 단클론 항체 (mAb)는 활성화된 면역 치료를 방해하지 않을 뛰어난 가능성이 있다. 사실, VEGF의 소모가 (베바시주맙에 의한) T-세포의 DC-매개 활성화에 긍정적으로 기여한다는 임상 전 (GABRILOVICH 1999) 및 임상적 증거가 있다 (Osada T, Chong G, Tansik R, Hong T, Spector N, Kumar R, Hurwitz HI, Dev I, Nixon AB, Lyerly HK, Clay T, Morse MA. The effect of anti-VEGF therapy on immature myeloid cell and dendritic cells in cancer patients. Cancer Immunol Immunother. 2008 년 1월 10일).
전립선암 및 기타 종양
2007 년에 27,050명의 사망이 예상되는 전립선암은 남성의 암의 주요 사망 원인이다. 1990 년대 초반부터 백인과 아프리카계 미국인 남성 사이에서는 사망률이 감소되고 있지만, 아프리카계 미국인 남성의 사망률은 백인 남성의 그것보다 두 배 이상으로 유지된다. 전립선암은 남성에서 가장 자주 진단되는 암이다. 불분명하게 남아있는 이유로, 발병률은 백인보다 아프리카계 미국인에서 상당히 더 높다. 전립선암의 발병률은 지난 20년 동안 상당한 변화가 있었다: 1988년 내지 1992년에서는 빠른 증가, 1992년 내지 1995년에서는 급속한 감속, 및 1995년 이후에는 완화된 증가. 이러한 경향은 전립선-특이적 항원 (PSA) 혈액 검사와 함께 전립선암 검진의 증가를 많은 부분이 반영한다. 지난 10년의 완화된 발병률 증가는 65세보다 젊은 남성들 사이에서 널리 보급된 PSA 검진 때문일 가능성이 크다. 전립선암 발병률은 65 세 이상의 남성에서는 변화가 없었다. 발병률은 백인 남성에서는 1992년(10,000 남성 중 237.6) 및 아프리카계 백인에서는 1993년 (10,000 남성 중 342.8)에 최고치를 보였다.
전립선암의 치료는 철저한 감시, 수술, 방사능 치료, 고강도 집중 초음파 (HIFU), 화학 요법, 저온 수술, 호르몬 요법, 또는 이의 조합을 포함한다. 어떤 옵션이 가장 최선인 것은 질병의 단계, 글리슨 점수, 및 PSA 수준에 달려있다. 다른 중요한 요소에는 남성의 나이, 전반적인 건강, 및 잠재적인 치료와 가능성 있는 부작용에 대한 감정들이 있다. 모든 치료 방법에, 발기 부전 및 비뇨기 요실금 등의 상당한 부작용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치료 방법 토론은 종종 치료의 목표와 라이프 스타일 변경의 위험의 균형에 초점을 맞춘다.
만약 암이 전립선 밖으로 퍼질 경우에는, 치료 옵션이 크게 변경되기 때문에, 전립선암을 치료하는 대부분의 의사들은 확산의 가능성을 예측하는 다양한 노모그램을 사용한다. 철저한 감시, HIFU, 방사능 치료, 저온 수술 및 수술은 암이 전립선 내에 남아있는 남성들에게 일반적으로 권해 진다. 호르몬 치료와 화학 요법은 종종 전립선 밖으로 확산된 질병의 경우를 위해 남겨진다. 그러나, 예외가 있다: 방사능 치료는 일부 진행된 암에 사용될 수 있으며, 호르몬 치료가 초기 단계의 종양에 사용될 수도 있다. 냉동요법, 호르몬 요법 및 화학 요법은 초기 치료가 실패하여 암이 진행될 때 권해질 수도 있다.
임상적으로 의심되는 조직-제한된 성장 때문에 과격한 전립선 절제술을 받는 전립선암 환자들의 상당수에서, 수술 준비의 최종 조직학적 정밀검사는 국소적으로 확산된 종양이 장기의 경계를 넘어 확장되는 것을 보인다. 이런 환자들은 초기의 국소 재발의 위험이 크며, 보통 생화학적 재발의 관점에서 PSA 수준의 증가로 감지된다. 이런 상황에서 치료 방법은 외부 방사선 치료 및 호르몬 박리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런 치료적 접근 방법의 가치는, 특히 환자의 장기적인 생존 연장에 대해서는, 증명되었다고 간주되면 안 된다. 또한, 요도 협착의 발달 (방사선 치료), 성욕의 손실, 및 발기 불능, 골다공증에 대한 골격 칼슘 염의 손실 위험, 및 병리학적 뼈 골절의 현저한 증가 위험 (호르몬 박리) 같은 가능성 있는 치료-관련 합병증이 고려되어야 한다.
모든 전립선암의 90%는 국소적이며 지역적인 단계에서 발견된다 이런 단계에서 진단된 종양의 환자들의 5년 상대적 생존율은 100%에 접근한다. 지난 25년 동안, 모든 단계에서의 5년 생존율이 69%에서 거의 90%로 증가했다. 가장 최근의 데이터에 따르면, 상대적인 10년 생존율은 93%이고 15년 생존율은 77%이다. 생존율의 이 극적인 개선은, 특히 5년에서, 부분적으로 빠른 진단과 치료의 개선에 기인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생존율은 다른 조직이나 장기로 확산한 후에는 크게 떨어진다.
폐암
미국에서 2007년에 210,000건이 예상되고, 암 진단의 15%를 차지한다. 남성에서 발병률은 1984년의 100,000건 당 102건에서 2003년에 100,000건 당 78.5건으로 크게 감소하고 있다. 여성에서, 발명률은 오랜 기간의 증가 후 안정기에 접근하고 있다. 폐암은 치료의 목적을 위해 소세포 (13%) 또는 비소세포 (87%)로 임상적으로 분류된다.
폐암은 남성과 여성에서 가장 큰 암-관련 사망의 이유이다. 2007년에 모든 암 사망의 29%를 차지하는 160,390건이 예상된다. 1987년부터, 매년 유방암보다 폐암으로 사망한 여성이 더 많았다. 남성 사망률은 1991년 내지 2003년 사이 매년 1.9%씩 상당하게 감소했다. 여성 폐암 사망률은 수 십년 동안의 지속적인 증가 후 안정기에 접근하고 있다. 폐암 사망률의 이런 경향은 지난 30년간의 흡연률 감소를 반영한다.
치료 방법은 유형 (소세포 또는 비소세포) 및 암의 단계에 따라 결정되고 수술, 방사선 요법, 화학 요법, 및 베바시주맙 (아바스틴, 등록상표명) 또는 얼로티닙 (타세바, 등록상표명) 등의 목적된 생물학적 요법 등을 포함한다. 국소 암에서는 수술이 일반적인 선택이다. 최근의 연구는 초기 단계, 비소세포 폐암에서의 생존율은 수술에 따른 화학 요법으로 인해 개선된다는 것을 보였다. 질병이 발견되는 시간에 이미 확산되었기 때문에, 방사선 요법과 화학 요법이, 때때로는 수술과 함께 종종 사용된다. 화학 따로 또는 방사선과 같이 하는 요법은 소세포 폐암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치료 방법이며, 이 처방에서, 환자의 큰 비율이 완화를 경험하며, 이것은 어떤 경우에서는 오래 지속될 수 있다.
폐암의 1년 상대적 생존율은 1975년 내지 1979년 사이의 37%에서 2002년의 42%로 약간 증가했고, 이것은 대부분 수술 기술과 결합된 요법의 개선 때문이다. 그러나, 모든 단계를 합한 5년 생존율은 겨우 16% 밖에 되지 않는다. 질병이 국소화되었을 때 발견된 경우에는 생존율이 49%이다 하지만, 16%의 폐암만이 이 초기 단계에서 진단된다.
그러므로 신경교종, 전립선 종양, 유방암, 식도암, 대장암, 투명 세포 신장 세포 암종, 폐암, 중추신경계, 난소, 흑색종, 췌장암, 편평 상피 세포 암종, 백혈병 및 수모세포종 및 서바이빈의 과발현을 보이는 다른 종양들에 대한 화학 요법적인 요소나 다른 심각한 부작용으로 이끄는 요소들을 사용하지 않아서 환자들의 복지를 향상시키는 새로운 효과적이고 안전한 치료 방법에 대한 요구가 남아 있다.
제 1 측면에서, 본 발명은 서열 번호 1 내지 서열 번호 30의 군 중에서 선택된 서열을 가진 펩티드, 또는 서열 번호 1 내지 서열 번호 30과 최소한 85% 상동성인 변이체, 또는 앞에서 언급한 변이체의 펩티드와 T 세포 교차-반응을 유도하는 변이체로서, 앞에서 언급한 펩티드가 인간 서바이빈의 전장 폴리펩티드가 아닌 펩티드에 관한 것이다. 가급적, 앞에서 언급한 펩티드는 HLA-A*02 또는 HLA-DR 같은 특이적 HLA-아형을 가진 펩티드에서 선택된다.
제 2 측면에서, 본 발명은 핵산, 본 발명에 따른 펩티드의 인코딩 또는 앞에서 언급한 핵산을 발현할 수 있는 발현 벡터에 관한 것이다.
제 3 측면에서, 본 발명은 핵산을 가진 숙주 세포 또는 숙주 세포가 가급적이면 항원 제시 세포, 특히 수지상 세포 또는 항원 제시 세포일 때의 본 발명에 따른 발현 벡터에 관한 것이다.
제 4 측면에서, 본 발명은 생체 외에서 세포독성 T 림프구 (CTL)를, 항원 특이적 방식으로 CTL을 활성화시키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적합한 항원 제시 세포 또는 항원 제시 세포를 모방하는 인공 구축물의 표면에 발현된 인간 클래스 I 또는 II MHC 분자가 로딩된 항원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활성화된 세포독성 T 림프구 (CTL)의 생체 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항원은 본 발명에 따른 펩티드이다.
제 5 측면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펩티드, 본 발명에 따른 핵산 또는 발현 벡터, 본 발명에 따른 세포, 또는 본 발명에 따라 암의 치료를 위해 또는 바람직하게는 백신인 항암 약품 생산을 위해 생산된 활성화된 세포독성 T-림프구 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여기서 말하는 암은 성상세포종, 모양세포성 성상세포종, 배아형성장애 신경상피 종양, 핍지교종, 상의세포종, 다형성 아교모세포종, 혼합성 신경 교종, 핍지성상세포종, 수모세포종, 망막아종, 신경아세포종, 배아종, 기형종, 신경절 교종, 신경절세포종, 중앙 신경절세포종, 원시신경외배엽종양 (PNET, 예, 수모세포종, 속질상피종, 신경아 세포종, 망막아종, 뇌실막모세포종), 송과선 유조직의 종양 (예, 송과체종, 송과체모세포종), 뇌실막 세포종, 맥락막총종, 불특정 기원의 신경상피종(예, 대뇌신경교종증, 성상모세포종), 아교모세포종 전립선종, 유방암, 식도암, 결장암, 대장암, 신장 세포 암종, 투명 세포 신세포암, 폐암, 중추신경, 난소암, 흑색종, 췌장암, 편평세포암종, 백혈병 및 수모세포종 및 다른 종양 또는 서바이빈 및 또는 본 발명의 다른 단백질의 과발현을 나타내는 암 중의 하나이다.
제 6 측면에서는, 본 발명은 (a) 본 발명에 따른 펩티드, 본 발명에 따른 핵산 또는 발현 벡터, 본 발명에 따른 세포 또는 본 발명에 따라 만들어진 활성화된 세포독성 T-림프구를 액체 상태 또는 냉동건조 상태로 가지고 있는 약학 조성물을 포함하는 용기, (b) 선택적으로, 동결 건조된 공식을 위해서 희석된 또는 재구성된 용액을 가지고 있는 두 번째 용기 (c) 선택적으로 서열 번호 1 내지 30에 따른 펩티드의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펩티드, 및 (d) 선택적으로, 이 액체 및/또는 재구성 및/또는 냉동건조된 배합물 사용을 위한 사용설명서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구성에서는 펩티드가 서열 번호 1 내지 서열 번호 24의 군에서 선택된다.
제 7 측면에서는, 본 발명은 HLA-제한 항원과 복합체화된 인간 주요 조직 적합 유전자 복합체 (MHC) 클래스 I 또는 II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재조합된 항체 생산 방법으로서, 상술한 인간 주요 조직 적합 유전자 복합체 (MHC) 클래스 I 또는 II를 발현하는 유전자 조작된 세포를 포함하는 비인간 포유동물을 상술한 HLA-제한 항원과 복합체화된 가용성 형태의 MHC 클래스 I 또는 II 분자로 면역화시키는 단계; 상술한 비인간 포유동물의 항체 생산 세포로부터 mRNA 분자를 단리하는 단계; 상술한 mRNA 분자로 인코딩된 단백질 분자를 표시하는 파지 (phage) 디스플레이 라이브러리를 생산하는 단계; 및 상술한 파지 디스플레이 라이브러리로부터 하나 이상의 파지를 단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술한 하나 이상의 파지가 상술한 HLA-제한 항원과 복합체화된 상술한 인간 주요 조직 적합 유전자 복합체 (MHC) 클래스 I 또는 II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상술한 항체를 표시하는 방법에 관련된다.
제 8 측면에서, 본 발명은 HLA-제한 항원과 복합체화된 인간 주요 조직 적합 유전자 복합체 (MHC) 클래스 I 또는 II와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바람직하게는 다클론성의 항체, 단클론 및/또는 키메릭 항체와 관련된다.
본 발명은 면역 치료법에 사용되는 펩티드, 핵산 및 세포를 제공한다.
도 1은 MHC 클래스 I 제한 방법으로 제시된 아교모세포종 샘플 GB6010에서 종양 관련 펩티드 (TUMAP) IGF2BP3-001을 식별하는 ESI-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질량 스펙트럼을 표시한다.
도 2는 아교모세포종 샘플에서 강하게 과잉 발현되는 발명의 표적 유전자 mRNA 발현 프로파일을 묘사한다. 이들 유전자의 발현은 정상 조직에서는 부재하거나 아주 낮게 발현되지만 아교모세포종 샘플에서는 강하게 발현이 증가된다. 유전자 칩 분석으로 인해 몇몇의 정상 조직과 개개의 다형성 아교모세포종 (GBM) 샘플에서 상대적인 mRNA 발현이 보여진 바 있다. 값은 정상 신장에서의 발현 수준에 대한 상대값이다 (항상 임의로 값은 1.0으로 설정됨). 정상 세포의 값은 상용되는 mRNA 풀에 의해 산출된다. 괄호 안에 있는 글자는 분석 소프트웨어에 의해 주어진 "검출 콜"을 나타낸다. "검출 콜"은 유전 정보가 특이적으로 샘플에서 검출되었는지 또는 특정한 검출이 관찰되지 않았는지를 지정한다. 이는 "P" (존재), "A" (부재), 또는 "M" (한계적으로 검출)으로 나타내어진다.
도 3은 건강한 기증자의 말초 혈액의 CSP-001과 NLGN4X-001 특정 CD8+림프구의 마이크로스피어 드리븐 분아 증식의 테트라머 분석을 보여준다. 웰 (well) 당 1 x 106 CD8+ 농축된 PBMC가 항-CD28 플러스 고밀도 종양 항원 A*0201/CSP-001 (왼쪽 패널) 또는 항-CD28 플러스 고밀도 종양 항원 A*0201/NLGN4X-001 (오른쪽 패널)과 연결된 마이크로스피어로 매주 자극되었다. 생체 외에서의 3번의 자극 후, 세포는 항체 CD8 FITC와, 형광 발색단으로 표지된 테트라머 A*0201/ CSP-001과 A*0201/ NLGN4X-001로 염색된다. 세포는 CD8+ 림프구에 의해 게이팅되고 숫자는 CD8+ 림프구 사이의 표시된 4분면의 세포의 퍼센티지를 나타낸다.
도 4는 발명의 HLA 클래스 I 펩티드의 HLA-A*0201 대립 유전자에 의해 코딩된 MHC 분자에 대한 친화력을 보여준다. 발명의 HLA 클래스 I TUMAP와 대조군 펩티드 HBV-001 (강한 A*02 결합체)의 분해 상수 (KD)는 ELISA-기반 MHC 재접힘 분석에 의해 측정된다.
별도로 설명되지 않은 이상 여기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아래와 같이 정의된다.
"펩티드"는 알파-아미노와 옆 아미노산의 카보닐 기 사이의 펩티드 결합으로 보통 서로 연결되는 아미노산 잔기의 서열을 가리킨다. 펩티드는 9개의 아미노산의 길이가 바람직하지만 8개의 아미노산까지 짧을 수도 있고 16개 또는 10, 11, 12, 13, 14 또는 15개의 아미노산까지 길 수도 있다.
여기에서 "올리고펩티드"라는 용어는 인접 아미노산의 알파-아미노 및 카보닐 기 사이에서 일반적으로 펩티드 결합으로 연결되는, 아미노산 잔기를 지정하는 데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올리고펩티드의 길이는 정확한 에피톱 또는 에피톱들이 유지되는 이상 중요하지 않다. 올리고펩티드는 일반적으로 30개의 아미노산 보다 길이가 짧고, 14개의 아미노산 보다 길다.
"폴리펩티드"라는 용어는 인접 아미노산의 알파-아미노 및 카보닐 기 사이에서 일반적으로 펩티드 결합으로 연결되는, 아미노산 잔기를 지정하는 데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폴리펩티드의 길이는 정확한 에피톱들이 유지되는 이상 중요하지 않다. 펩티드 또는 올리고 펩티드와 다르게, 폴리펩티드는 약 30개의 아미노산 이상의 분자를 가지고 있는 것을 말한다.
이런 분자의 펩티드, 올리고펩티드, 단백질, 또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코딩은 면역 반응을 유도할 수 있으면 "면역성"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면역원")이다. 본 발명의 경우, 면역성은 T-세포 반응을 유도하는 능력으로 특정하게 정의된다. 그러므로, "면역원"은 면역 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분자이고, 본 발명의 경우, T-세포 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분자이다.
T 세포 "에피톱"은 적당한 친화력을 가진 MHC/펩티드 혼합물에 결합하는 T-세포 수용체에 일치하는 T 세포에 의해 인식되는 삼항 혼합물을 (MHC 클래스 I 알파 쇄, 베타-2-미세글로블린 및 펩티드) 생성하는 클래스 I 또는 II MHC 수용체에 결합하는 짧은 펩티드를 필요로 한다. MHC 클래스 I 분자에 결합하는 펩티드는 일반적으로 길이가 8 내지 14개의 아미노산이며, 가장 일반적으로 길이가 9개의 아미노산이다. MHC 클래스 II 분자에 결합하는 T 세포 에피톱은 일반적으로 길이가 12 내지 30개의 아미노산이다. MHC 클래스 II 분자에 결합하는 펩티드의 경우, 같은 펩티드와 그에 상응하는 T 세포 에피톱은 공동의 핵심 분절을 공유할 수 있지만, 각각 핵심 서열의 아미노-말단의 상단과 카복시-말단의 하단의 다른 길이의 측면 서열 때문에 전장은 다를 수 있다. MHC 클래스 II 수용체는 더 열려있는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그에 따라 MHC 클래스 II에 결합한 펩티드는 MHC 클래스 I 분자 펩티드-결합한 분열 보다 MHC 클래스 II 분자 펩티드-결합한 분열의 구조에 더 완전하게 묻혀있지 않다. 놀랍게도, 이것은 서열 번호 1에 따른 펩티드에서는 사실이 아니며, 이는 펩티드 길이의 작은 변화가 활동의 극단적인 감소를 이끌기 때문이다 (아래 참조).
인간에는 MHC 클래스 I 분자를 인코딩하는 세 개의 유전자 좌가 있다 (인간의 MCH-분자는 또한 지정된 인간 백혈구 항원이다 (HLA)): HLA-A, HLA-B, 및 HLA-C. HLA-A*01, HLA-A*02, 및 HLA-A*11은 유전자 좌에서 발현할 수 있는 다른 MHC 클래스 I 대립 유전자의 예이다.
MHC 클래스 II 유전자의 인간 게놈에는 세 개의 다른 유전자 좌가 있다: HLA-DR, HLA-DQ, 및 HLA-DP. MHC 클래스 II 수용체는 세포막에서 막을 통하는 영역을 통해 고정시키는 알파와 베타 쇄를 가지고 있는 이형 이중체이다. HLA-DRB1*04 및 HLA-DRB1*07은 이런 유전자 좌에 인코딩되는 것으로 알려진 다른 MHC 클래스 II 베타 대립 유전자의 두 가지 예이다. 클래스 II 대립 유전자는 굉장히 다형체이다, 예를 들면, 수 백 개의 다른 HLA-DRB1 대립 유전자가 설명되었다. 따라서, 치료와 진단 목적을 위해서 적당한 친화력으로 여러 다른 HLA 클래스 수용체에 결합하는 펩티드는 굉장히 바람직하다. 몇 개의 다른 HLA 클래스 II 분자에 결합하는 펩티드는 불규칙 결합체라고 불린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것처럼, DNA 배열에 대한 참조는 단일 가닥 및 이중 가닥 DNA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특정 서열은, 문맥에서 다르게 나타내지 않는 한, 그 서열의 단일 가닥 DNA, 상보성이 있는 그런 서열의 양면 (이중 가닥 DNA) 및 그런 서열의 보안을 말하는 것이다. 용어 "코딩 영역"은 자연적인 게놈 환경에서 유전자의 발현 제품을 자연스럽게 또는 정상적으로 코딩하는 유전자의 부분을 말한다, 예를 들면, 유전자의 본래의 발현 상품을 위한 생체 안 영역 코딩.
코딩 영역은 정상적이거나 변이 또는 개조된 유전자에 있을 수 있거나, DNA 서열, 또는 실험실에서 DNA 합성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진 방법을 사용해서 실험실에서 전적으로 복합체화된 유전자에 있을 수 있다.
"뉴클레오티드 서열"는 디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의 헤테로중합체를 말한다.
특정 펩티드, 올리고펩티드 또는 폴리펩티드에 대한 뉴클레오티드 서열 코딩은 자연적으로 발생하거나 합성 구축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펩티드, 폴리펩티드 및 단백질을 인코딩하는 DNA 분절은 cDNA 단편들과 짧은 올리고 뉴클레오티드 링커, 또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연속에서 미생물이나 바이러스 오페론에서 유도된 규제 요소를 가진 재조합 전사 단위에서 발현될 수 있는 합성 유전자를 제공하기 위해서 조립된다.
용어 "발현 생성물"은 유전자의 자연 번역 생성물인 폴리펩티드 또는 단백질 또는 유전적 코딩 퇴화로 인해 결과된 어떤 핵산 서열 코딩과 상응하며 그러므로 같은 아미노산을 코딩한다.
코딩 서열을 말할 때, 용어 "단편"은 발현 제품이 완전한 코딩 영역의 발현 제품과 같은 생물학적 기능이나 활동을 유지하는 완전한 코딩 영역보다 적은 부분의 DNA를 말한다.
용어 "DNA 분절"은 최소한 하나의 상당히 순수한 형태로 분리되는 DNA 에서 유도된 별도의 단편 또는 큰 DNA 구성의 구성 요소의 형태의 DNA 중합체를 말한다, 예를 들면, 내생 오염이 없고 분절의 식별, 조작 및 복구를 가능하게 하는 양 또는 농도이며 그의 표준 생화학 방법에 따른 구성 요소 뉴클레오티드 서열은, 예를 들면, 복제 벡터이다. 그런 분절은 일반적으로 진핵 생물 유전자에 나타나는 내부 비 이전 서열, 또는 인트론에 의해 방해되지 않는 오픈 리딩 프레임의 형태로 제공된다. 비-이전 DNA의 서열은 같은 것이 코딩 영역의 조작이나 발현을 방해하지 않는 오픈 리딩 프레임의 하단에 나타날 수 있다.
용어 "프라이머"는 하나의 표준 DNA와 짝을 이룰 수 있는 짧은 핵산 서열이며 DNA 폴리머라아제가 디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 연결을 시작하는 3'-OH 말단을 제공한다.
용어 "프로모터"는 전사를 시작하기 위한 RNA 폴리머라아제의 결합에 관련된 DNA의 영역을 뜻한다.
용어 "오픈 리딩 프레임 (ORF)"은 아미노산을 위한 종단 코돈이 없는 세 쌍둥이 코딩의 연속을 뜻하며 단백질로 (잠재적으로) 이전 가능한 서열이다.
용어 "단리"는 물질이 원래의 환경 (예를 들면,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경우에는 자연 환경)에서 제거되는 것을 뜻한다. 예를 들면, 자연-발생하는 살아 있는 동물에서 나타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폴리펩티드는 단리되지 않지만, 자연계에서 공존하는 물질의 부분 또는 전체에서 분리되는 같은 뉴클레오티드 또는 폴리펩티드는 단리된다. 그런 폴리뉴클레오티드는 벡터의 부분이며 또는 그런 뉴클레오티드 또는 폴리펩티드는 구성의 한 부분일 수 있으며, 그런 벡터 또는 구성이 자연 환경의 한 부분이 아닐 때 여전히 단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밝혀지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재조합 또는 면역성의 폴리펩티드는 "정제" 상태일 수도 있다. 용어 "정제"는 완벽한 순결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오히려, 그것은 상대적인 정의로 만들어 졌으며, 관련된 기술자들이 이해하는 용어로써 상당히 정제된 준비 또는 부분적으로 정제된 준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cDNA 라이브러리에서 단리된 각각의 클론은 전기 영동 동일성으로 통상적으로 정제된다. 시작하거나 자연의 물질의 최소한 하나 이상의 순서의 크기의 정제는, 가급적으로 둘 또는 세 순서, 및 더 가급적으로는 넷 또는 다섯 순서의 크기는 명시적으로 심사 숙고된다. 또한 바람직한 무게의 99.999%, 또는 최소한 99.99% 또는 99.9%; 및 심지어는 99% 보다 큰 정제도를 가진 제시된 폴피펩티드는 명시적으로 심사 숙고된다.
본 발명에서 밝혀진 핵산과 폴리펩티드 발현 생성물은, 그런 핵산 및/또는 그런 폴리펩티드를 가진 발현 벡터 뿐만 아니라, "강화된 형태"일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것처럼, 용어 "강화"는 물질의 농도가 최소한 그것의 자연적 농도의 (예를 들면) 최소한 2, 5, 10, 100, 또는 1000 배 정도이고, 무게로써는 유리하게 0.01%, 가급적으로는 최소한 무게의 0.1% 정도이다. 무게의 약 0.5%, 1%, 5%, 10%, 및 20% 강화 준비도 심사 숙고된다. 서열, 구성, 벡터, 클론, 및 본 발명의 다른 물질들은 유리하게 강화된 또는 단리된 형태가 될 수 있다.
용어 "활성 단편"은 예를 들면 토끼, 또는 쥐 및 인간을 포함한 포유동물 같은 동물에게 따로 또는 적당한 보조제와 함께 투여했을 때 면역 반응 (예를 들면, 면역성 활동이 있는)을 생성하고 면역 반응이 인간과 같은 수용자 동물 내에서 T-세포 반응을 자극하는 형태로 면역 반응을 나타내는 단편이다. 다르게는, "활성 단편"은 또한 생체 외 T-세포 반응을 유도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부분", "분절", 및 "단편"이라는 용어는, 폴리펩티드와 관련하여 사용될 때, 서열이 더 큰 서열의 하위 집합을 형성하는 아미노산 잔기와 같은 잔기의 지속적인 서열을 말한다. 예를 들면, 만약에 폴리펩티드가 트립신이나 키모트립신 같은 일반적인 엔도펩티다아제 중 어떤 치료를 받는다면, 그런 치료로 인해 생기는 올리고펩티드는 시작하는 폴리펩티드의 부분, 분절 또는 단편을 나타낼 것이다. 이것은 그러한 단편이 아미노산 서열의 한 부분으로써 서열 번호 1 내지 서열 번호 30의 자연적 생성하는, 또는 "부모" 단백질, 즉 서바이빈에 상응하는 서열 번호 1 내지 서열 번호 30과 완전히 동일하거나 상당히 일치하는 분절, 단편 또는 부분을 가질 것이라고 뜻한다. 폴리뉴클레오티드에 관련해서 사용될 때, 그런 용어들은 일반적인 엔도뉴클레아제 중 어떤 것과 함께 언급된 폴리뉴클레오티드의 치료에 의해 생성된 제품을 말한다.
본 발명에 따라, 서열을 말할 때 용어 "백분율 동일성" 또는 "백분율 동일한"은 설명되거나 명시된 서열 ("기준 서열")에 비교될 서열의 정렬 후 ("비교 서열") 서열이 명시된 또는 설명된 서열에 비교되는 것을 말한다. 백분율 동일성 하기 공식에 따라서 결정된다:
백분율 동일성 = 100[I -(C/R)]
여기서 C는 기준 서열과 비교 서열의 정렬의 길이에 비해 기준 서열과 비교 서열의 차이의 숫자이고, 그 점에서
(i) 비교 서열에서 상응하는 정렬된 염기 또는 아미노산이 없는 기준 서열에 각 염기 또는 아미노산;
(ii) 기준 서열의 각 갭; 및
(iii) 비교 서열의 정렬된 염기 또는 아미노산과 다른 기준 서열의 각 정렬 된 염기 또는 아미노산
이 차이를 구성하고,
R은 비교 서열과의 정렬의 길이에 기준 서열 염기 또는 아미노산의 숫자이고 기준 서열에 생긴 공백도 염기 또는 아미노산 개수로 계산된다.
만약에 위에서와 같이 계산된 비교 서열과 기준 서열 사이의 백분율 동일성이 특정 최소 백분율과 같거나 더 크면 위에서 계산된 백분율 동일성이 특정 백분율 동일성보다 작은 경우에 정렬이 있더라도 비교 서열은 기준 서열에 최소 백분율 동일성이 있다.
여기에서 밝혀진 본래 펩티드는 달리 언급되지 않는 이상 다른, 아마도 선발적인, 펩티드 쇄의 부위의 하나 또는 이상의 잔기의 대체에 의해 변형될 수 있다. 그런 대체는, 예를 들면, 소수성의 아미노산이 다른 소수성의 아미노산으로 대체되는 것처럼, 보존적일 수 있다. 심지어 더 보존적인 것은 류신이 이소류신으로 대체되는 것 같이, 같거나 비슷한 크기와 화학적 특성을 가진 아미노산으로 대체되는 것이다.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동종 단백질의 종족에서의 서열 변화의 연구에서, 특정 아미노산 대체는 다른 것들보다 더 자주 용납되고 있으며, 이들은 본래의 아미노산과 대체 사이에서 크기, 전하, 극성, 및 소수성이 비슷한 상관관계를 보이며, 이것은 "보존적 대체"를 정의하는데 기본이 된다.
여기서 보존적인 대체는 아래의 다섯 개 군 중 하나의 교환으로 정의된다: 군 1-작은 지방성, 무극성의 또는 약간 극성의 잔기 (Ala, Ser, Thr, Pro, Gly); 군 2-극성의, 음성 전하의 잔기와 그들의 아미드 (Asp, Asn, Glu, Gln); 군 3-극성의, 양성 전하된 잔기 (His, Arg, Lys); 군 4-큰, 지방성, 무극성 잔기 (Met, Leu, Ile, Val, Cys); 및 군 5-큰 방향족 잔기 (Phe, Tyr, Trp).
덜 보존적인 대체는 알라닌을 이소류신 잔기로 대체하는 것처럼, 비슷한 성질이지만 크기가 어느 정도 다른 아미노산으로 대체하는 것을 포함한다. 아주 비-보존적인 대체는 산성 아미노산을 극성의, 또는 심지어는 성질이 기본적인 아미노산으로 대체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런 "라디칼" 대체는, 그러나, 화학적 작용이 완전히 예측 불가능하고 라디칼 대체는 단순한 화학 원리에서 예측 가능하지 않은 뜻밖의 발생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효과가 없다고 기각할 수 없다.
물론, 이런 대체는 일반적인 L-아미노산 외 다른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므로, D-아미노산이 발명의 항원 펩티드에서 흔히 발견되지만 여기에서 아직 공개가 되야 하는 L-아미노산의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비-표준 R 기를 가지고 있지 않은 아미노산 (즉, 자연 단백질의 일반적인 20개의 아미노산에서 찾을 수 없는 R 기) 역시 본 발명에 따라 면역성과 면역성 폴리펩티드를 생산하기 위해서 대체될 수 있다.
만약 하나 이상의 위치에서 아래에서 정의된 것과 굉장히 비슷하거나 더 큰 항원 활동을 가진 대체가 발견되면, 그런 대체의 합성은 복합체화된 대체가 펩티드의 항원성에 더해지거나 시너지 효과의 결과를 내는지 결정하기 위해 테스트된다. 최대, 펩티드에서 네 가지 이상의 위치는 대체될 수 없다.
용어 "T-세포 반응"은 특정 확산과 생체 안 밖에서 유도되는 효과기 기능의 활성화를 뜻하다. MHC 클래스 I 제한 CTL에서는, 효과기 기능이 펩티드-펄스, 펩티드-전조 펄스 또는 자연적 펩티드를 나타내는 목적 세포들의 세포 용해, 사이토킨의 분비, 가급적 인터페론-감마, TNF-알파, 또는 펩티드에서 유도되는 IL-2, 효과기 분자의 분비, 가급적 그랜자임 또는 펩티드에서 유도되는 퍼로핀류 또는 탈과립일 수 있다. MHC 클래스 II-제한 보조 T 세포에서는, 효과기 기능은 사이토킨의 펩티드 유도된 분비, 가급적, IFN-감마, TNF-알파, IL-4, IL5, IL-10, 또는 IL-2, 또는 펩티드-유도되는 탈과립일 수 있다. CTL과 보조 T 세포의 가능한 효과기 기능은 이 목록에 국한되지 않는다.
가급적, 서열 번호 1 내지 30 중 어떤 것에서 유도된 펩티드 특정 CLT가 대체 펩티드에 대해 시험될 때, 대체 펩티드가 배경에 상대적으로 세포 용해의 최대 증가의 절반을 달성할 때의 펩티드 농도는 약 1 mM 이하, 가급적으로 약 1 μM 이하, 더 가급적으로 약 1 nM 이하, 여전히 더 가급적으로 약 100 pM 이하, 및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는 약 10 pM 이하이다. 대체 펩티드가 하나 이상, 최소 2, 및 가급적으로 3개의 개별의 CTL에 의해 이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현 발명의 에피톱은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종양 관련 또는 종양 특정 에피톱과 동일하거나 실질상 동일한 항원적 활동력을 가지고 있는 한, 참조 펩티드와 비교 시 4개 이하의 다른 잔기를 가지고 있는 에피톱을 포함한다.
면역 반응 자극은 자가 면역 구조가 항원의 존재를 이질의 것으로 인식하는 것에 의존한다. 종양 관련 항원 존재의 발견은 숙주 면역 체계를 이용하여 종양 세포의 표면에 발현되는 목적 항원에 특정한 면역 반응을 촉진하여 이로 인하여 종양의 회귀를 유도하고, 정지 또는 늦춰진 성장을 일으키는 것에 대한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면역 구조의 채액 및 세포, 양방을 설비하는 다양한 메커니즘은 현재 암 면역 치료로 탐구된다.
세포 면역 반응의 특정 요소들은 종양 세포를 특이적으로 인식하고 파괴할 수 있다. 종양-침투 세포 집단 또는 말초 혈액에서의 세포 독성 T 세포 (CTL)의 단리는 그런 세포들이 암에 대한 자연적 면역 방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말해준다 (Cheever et al., 1993; Zeh, III et al., 1999). 대장암을 앓고 있는 환자들의 415 표본의 분석에 의하면, Galon 외는 종양 조직의 면역 세포의 유형, 밀도 및 위치가 환자들의 생존에 널리 사용되는 종양의 TNM-단계화 보다 더 나은 예언자라는 것을 보여줬다 (Galon et al., 2006).
MHC 클래스 I은 주로 내생 단백질, DRIP 및 더 큰 펩티드의 단백질 가수분해 분열의 결과를 보이는 펩티드를 나타낸다. MHC 클래스 II 분자는 주로 전문적인 항원을 나타내는 세포들 (APC)에서 발견되며, 주로 세포 이물 흡수중에 APC에 의해 흡수되고 그 후 처리되는 외생의 또는 막을 통해서 생기는 단백질의 펩티드를 나타낸다 (Cresswell, 1994). 펩티드의 합성물과 MHC 클래스 I 분자는 적당한 TCR (T-세포 수용체)을 가진 CD8-양성 세포 독성 T-림파구에 의해 인식되고 펩티드의 합성물과 MHC 클래스 II 분자는 적당한 TCR을 가진 CD4-양성-보조-T 세포에 의해 인식된다. TCR, 펩티드 및 MHC가 화학량적인 양 1:1:1로 존재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있다.
CD4-양성 보조 T 세포는 CD8-양성 세포 독성 T 세포 (Wang and Livingstone, 2003; Sun and Bevan, 2003; Shedlock and Shen, 2003)에 의한 효과적인 반응을 유도하고 지속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처음에는, 림프절에서의 CTL의 준비와 확장은 CD4+ T 세포(Schoenberger et al., 1998)에 의해서 지원된다. 하나의 메커니즘은 그러므로 단순 CD8+ 세포를 기능적인 CD4+ T-세포 APC 상호작용으로의 (Castellino et al., 2006) 안내일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기능적 CD8+ 기억 세포의 생성은 CD4+ T 세포 지원에 대부분의 경우 의존한다 (Sun and Bevan, 2003; Janssen et al., 2003). 이러한 이유로, 종양 관련 항원 (TAA)에서 유도된 CD4 양성 T-세포 에피톱의 식별은 항-종양 면역 반응 (Kobayashi et al., 2002; Qin et al., 2003; Gnjatic et al., 2003)을 일으키기 위한 의약품의 개발에 아주 중요하다. 종양 부위에서, 보조 T 세포는, CTL 친화적 사이토킨 주위 환경을 지원하고 (Qin and Blankenstein, 2000; Mortara et al., 2006) 효과기 세포, 예를 들면 CTL, NK 세포들, 대식 세포, 과립구를 유치한다 (Marzo et al., 2000; Hwang et al., 2007)
염증이 없는 경우, MHC 클래스 II 분자의 발현은 주로 면역계의 세포, 특히 전문적 항원 제시 세포 (APC)로 제한된다, 예를 들면, 단핵 세포, 단핵 세포-유도된 세포, 대식 세포, 모수석 세포. 암 환자에서, 종양의 세포는 놀랍게도 MHC 클래스 II를 발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Dengjel et al., 2006)
예를 들면, 쥐 같은 포유동물 동물 모델에서 CTL 효과기 세포 없이도 (즉, CD8-양성 T 림파구), CD4-양성 T 세포가 인터페론-감마 (IFNγ)의 분비에 의한 혈관신생의 저해를 통한 종양의 억제 징후에 충분하다는 것이 보여졌다 (Qin and Blankenstein, 2000). 또한 림포톡신 및 그랜자임 B를 통한 세포 독성 CD4+ T 세포에 의한 직접적 살상이 제안되었다 (Penna et al., 1992; Littaua et al., 1992).
또한, HLA 클래스 II 분자에 의해 나타나는 종양-관련 항원에서의 펩티드를 인식하는 CD4-양성 T 세포가 종양 진행을 항체 유도 (Ab) 반응을 통해서 중화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Kennedy et al., 2003).
HLA 클래스 I 분자에 결합하는 종양-관련 펩티드와 달리, 종양 관련 항원 (TAA)의 클래스 II 리간드의 소수만이 이제까지 설명되었다.
HLA 클래스 II 분자의 제정적인 발현이 일반적으로 면역계의 세포로 제한되기 때문에 (Mach et al., 1996), 클래스 II 펩티드를 기본 종양에서 단리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다고 간주되었다. 그러나, Dengjel 등은 최근에 MHC 클래스 II 에피톱을 종양에서 직접적으로 식별하는데 성공 했다 (WO 2007/028574, EP 1 760 088 B1; (Dengjel et al., 2006)).
종양 특정 세포 독성 T 림파구에 의해 인식되는 항원, 그들의 에피톱은, 발현되고 같은 원조의 변형 없는 세포들에 비해서, 각각의 종양의 규제된 세포인 효소, 수용체, 전사 인자 등의 모든 단백질 클래스에서 유도된 분자일 수 있다.
종양 관련 항원 (TAA)의 현재 분류는 다음과 같은 주요 군을 포함한다 (Novellino et al., 2005):
1. 암-고환 항원: 제일 처음으로 T 세포에 의해 인식된 TAA는 이 종류에 속하며 (van der Bruggen et al., 1991), 이는 그 멤버들의 발현이 조직학적으로 인간 종양과 다르며, 정상 조직 중, 고환의 정모 세포/정원 세포에서만 있으며, 때로는 태반에서도 있기 때문에 암-고환 (CT)이라고 최초에 불려졌다. 고환의 세포들이 클래스 I 또는 II HLA 분자를 발현하지 않기 때문에, 이 항원들은 정상 세포에 있는 T 세포에 의해 인식될 수 없으며 면역학적으로 종양-특이적이라고 간주될 수 있다. CT 항원의 잘 알려진 예로는 MAGE 족 멤버들 또는 NY_ESO_1이 있다.
2. 다른 항원들: 이 TAA는 종양과 종양이 생긴 정상 조직 사이에서 공유되고, 대부분은 흑색종과 정상 멜라노사이트에서 발견된다. 많은 멜라노사이트 혈통-관련 단백질은 멜라닌의 생합성에 관련되어 있으며 그러므로 종양 특이적이 아니지만 암 면역치료에 널리 사용된다. 예로는, 티로시나아제 및 흑색종을 위한 멜란-A/MART-1 또는 전립선암을 위한 PSA가 있고 이로 국한되지 않는다.
3. 과발현된 TAA: 일반적으로 낮은 발현 수준이 있는 많은 정상 조직 뿐만 아니라 조직학적으로 다른 종양 종류들에서 유전자를 인코딩하는 널리 발현된 TAA가 발견된다. 정상 조직에서 처리되고 잠재적으로 표현되는 많은 에피톱이 T 세포 인식의 한계치 수준보다 낮을 수 있고, 그의 종양 세포에서의 과발현은 이전에 생성된 내성을 중단함으로써 항암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TAA의 이 종류의 유망한 예로는Her-2/neu, 서바이빈, 텔레머라제 또는 WT1이 있다.
4. 종양 특이적 항원: 이러한 독특한 TAA는 정상 유전자의 변이로부터 발생한다 (β - 카네틴, CDK4 등). 이러한 분자 변경의 일부는 종양 변이 및/또는 진행과 관련되어 있다. 종양 관련 항원은 일반적으로 강한 면역 반응을 정상 조직에 대한 자기 면역 반응에 대한 위험성 없이 유도할 수 있다. 반면에, 대부분의 경우 TAA는 그들이 발견되고 일반적으로 많은 개개의 종양에서 공유되지 않는 정확한 종양에만 적절하다.
5. 비정상 번역 후 변형에서 발생하는 TAA: 이러한 TAA는 특이적이지도 않고 과발현되지도 않는 단백질에서 발생할 수 있지만 종양에서 주로 활동적인 번역 후 과정에 의해 종양과 관련된다. 이 클래스의 예는 종양 특이적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는 저하동안의 단백질 접합과 같은 이벤트 또는 MUC1을 위한 종양의 새로운 에피톱으로 이끄는 변경된 당화 패턴에서 발생한다 (Hanada et al., 2004; Vigneron et al., 2004).
6. 종양 바이러스 단백질: 이러한 TAA는 원종양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 바이러스 단백질이며, 그들이 이질적이기 때문에 (인간 태생이 아닌), T-세포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이런 단백질의 예로는 인간 유두종 종류 16 바이러스 단백질, 및 경부 암종에서 발현하는 E6과 E7이 있다.
종양-특이적 또는 관련된 항원과 같은 세포 독성 T-림파구에 의해 단백질이 인식되고, 치료에 사용되려면, 특정한 전제 조건이 충족되어야 한다. 항원은 정상적인 건강한 조직에 의해 비교적 작은 양이 아닌 주로 종양 세포에 의해 발현되어야 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항원이 하나의 유형의 종양에서 뿐만 아니라 높은 농도로 나타나는 것이다 (즉 세포 마다 펩티드의 각각의 사본 번호). 종양-특이적 및 종양-관련 항원은 종종 기능 때문에 정상 세포를 종양 세포로의 형질전환, 예컨대 세포 주기 관리 또는 아포토시스의 억제와 관련된 단백질에서 직접적으로 유도된다. 또한, 형질전환을 직접적으로 일으키는 단백질의 하류 표적은 과조절될 수 있으며 따라서 간접적으로 종양-관련될 수 있다. 그런 간접적 종양-관련된 항원은 백신 접근법의 표적이 될 수 도 있다 (Singh-Jasuja et al., 2004). 두 경우 다 에피톱이 항원의 아미노산 서열에 나타나는 것이 중요하며, 종양 관련 항원에서 유도된 그런 펩티드는 ("면역성 펩티드") 생체 내 또는 외 T-세포-반응을 유도해야 한다.
기본적으로, MHC 분자에 결합할 수 있는 어떤 펩티드는 T-세포 에피톱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생체 내 또는 외 T-세포 반응의 유도의 전제 조건은 상응하는 TCR이 있는 T 세포의 존재와 이 특정 에피톱에 대한 면역성 내성의 부재이다.
따라서, TAA는 종양 백신의 개발을 위한 출발점이다. TAA의 식별과 특성화의 방법은 환자 또는 건강한 대상에서 단리될 수 있는 CTL의 사용에 기반되거나, 다른 전송 프로파일 또는 종양과 정상 조직 사이에 다른 펩티드 발현 패턴의 생성이다 (Lemmel et al., 2004; Weinschenk et al., 2002).
그러나, 종양 조직 또는 인간 종양 세포주에서 과발현되거나 그런 조직 또는 세포주에서 선택적으로 발현되는 유전자의 식별은 면역 치료에서 이런 유전자에서 복사된 항원의 이용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다. 이것은 상응하는 TCR이 있는 T 세포가 나타나야 하고 이 특정 에피톱에 대한 면역성 내성이 없거나 최소화되야 하기 때문에 개인의 이러한 항원의 에피톱의 소집단이 그런 응용에 적당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능성 T 세포가 있는 MHC 분자와 관련이 있게 나타나는 과발현된 그런 펩티드 또는 선택적으로 발현된 단백질만 선택하는 것은 중요하다. 그런 기능성 T 세포는 특정 항원에 의해 자극되었을 때 클론적으로 확대되고 효과기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T 세포 ("효과기 T 세포")로 정의된다.
조력 T 세포는 항-종양 면역에서 CTL 효과기 기능을 조절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CD8-양성 킬러 T 세포의 효과기 기능을 지지하는 TH1 유형의 조력 T 세포 반응을 일으키는 조력 T 세포 에피톱은, 세포 표면에 종양-관련 펩티드/MHC 합성을 보이는 종양 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 기능을 포함한다. 이런 식으로 종양-관련 조력 T 세포 펩티드 에피톱은, 따로 또는 다른 종양-관련 펩티드와 함께, 항-종양 면역 반응을 자극하는 백신 조성물의 활성 약학 원료로 사용될 수 있다.
CD8 및 CD4에 의존하는 두 유형의 반응이 항-종양 효과에 같이 시너지 있게 기여함으로, CD8+ CTL (리간드: MHC 클래스 I 분자 + 펩티드 에피톱) 또는 CD4-양성 조력 T 세포 (리간드: MHC 클래스 II 분자 + 펩티드 에피톱)에 의해 인식되는 종양-관련 항원의 식별 및 특성화가 종양 백신의 개발에 중요하다.
암 치료의 심각한 부작용과 비용을 감안할 때 더 나은 예후 및 진단 방법이 간절히 필요하다. 그러므로, 일반적으로 암과 특히 아교모세포종의 바이오마커를 나타내는 다른 요인들의 식별이 필요하다. 또한, 일반적으로 암과 특히 아교모세포종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는 요인의 식별이 필요하다.
또한 급격한 전립선 절제 수술 이후 국소적으로 진행된 종양 성장이 있을 때 남아있는 잔기 종양에 의해 보통 초래되는 생화학적 재발이 있는 전립선암 환자를 위한 설립된 치료 디자인이 없다. 새로운 현재 사용 가능한 치료 접근 방법의 치료 효능에 비교해 더 낮은 병적 상태를 수여하는 치료 접근 방법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아교모세포종, 전립선암 및 서바이빈 및/또는 CSP 및/또는 본 발명의 다른 펩티드를 과발현하는 다른 종양의 치료에 유용한 펩티드를 제공한다. 이 펩티드는 부분적으로 직접적으로 질량분석법에 의해 원발성 인간 아교모세포종 샘플의 HLA 분자에 의해 자연적으로 제시됨이 밝혀졌거나 (실시예 1 및 도 1 참조), SYFPEITHI 예측 알고리즘에 의해 서열 번호 26은 HLA-DR 대립유전자 HLA-DRB1*01, DRB1*03, DRB1*04, DRB1*11, 및 DRB1*15에 결합하는 불규칙한 결합체로 예상되었다 (Rammensee et al., 1995). 이 데이터와 DRB1 대립 유전자의 빈도에 기반하여, A*02-양성의 백인의 92%가 서열 번호 26에 의한 펩티드와 결합하는 하나 이상의 DRB1 대립 유전자를 발현한다고 가정할 수 있다.
서열 번호 26 내지 서열 번호 30이 유도된 원천 유전자 서바이빈은 정상 세포에 비해서 (실시예 2 및 도 2 참조) 아교모세포종, 전립선암, 유방암, 식도암, 대장암, 투명 신장 세포 선암, 폐암, CNS, 난소, 흑색종 (Tamm et al. 1998) 췌장암, 편평상피 세포 선암, 백혈병 및 수모세포종에서 높게 발현되는 것으로 보여졌으며 종양 관련 펩티드의 높은 수준을 보여주었고, 즉, 이러한 펩티드가 정상 조직이 아닌 종양 조직에서는 강하게 나타났다. WO 2004/067023은 클래스 I HLA 분자와 높은 친화력으로 결합할 수 있는 펩티드, 종양 관련 항원 서바이빈에서 유래한 MHC 클래스 I-제한 펩티드를 묘사한다.
HLA-결합된 펩티드는 면역계 특히 T 림파구/T 세포에 의해서 인식된다. T 세포들은 인식되는 HLA/펩티드 복합체를 나타내는 세포들 (예를 들면, 유도된 펩티드를 제시하는 아교모세포종 세포)을 파괴한다. 서바이빈-유도 펩티드에 의해서 활성화된 보조 T 세포는 종양 혈관 신생을 억제할 수 있으며, 면역계의 효과기 세포를 유치하고, CTL 준비, 증식, 및 유지되는 CD8+ T-세포 반응을 촉진한다.
본 발명의 모든 펩티드는 T 세포 반응을 자극할 수 있는 것으로 보여졌다 (실시예 3 및 도 3 참조). 그러므로, 펩티드는 환자의 종양 세포를 파괴할 수 있는 면역 반응을 생성하는데 유용하다. 환자의 면역 반응은 설명된 펩티드의 직접적인 투여 또는 면역성을 강화할 수 있는 제제 (즉, 보조제)와 섞인 적당한 전구체 물질 (예를 들면, 연장된 펩티드, 단백질, 또는 이러한 펩티드를 인코딩하는 핵산)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으로 유도될 수 있다. 이런 치료적 백신에서 생긴 면역 반응은 본 발명의 목적 펩티드가 비교가능한 복제수로 정상 조직에서는 나타나지 않고, 환자의 정상 세포에 대한 기피되는 자기 면역 반응의 위험을 배제하기 때문에 종양 세포에 아주 특이적일 수 있다.
약학 조성물은 유리 형태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형태로 구성된 펩티드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것처럼,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펩티드가 제제의 산 또는 염기 염을 만들며 변형되는 공개된 펩티드의 유도를 말한다. 예를 들면, 산 염은 적당한 산과의 반응을 가진 자유 염기 (일반적으로 중성 NH2 기가 있는 약물의 중성 형태)에서 준비된다. 산 염을 준비할 때 적당한 산은 예를 들면, 염산, 브롬화 수소산, 황산, 질산, 인산과 같은 무기산 뿐만 아니라 초산, 프로피온산, 글리콜산, 피루브산, 수산, 말산, 말론산, 호박산, 말레산, 푸마르산, 주석산, 구연산, 벤조산, 계피산, 맨델릭산, 메탄설폰산, 에탄설폰산, p-톨루엔설폰산, 살리실산과 같은 유기산을 포함한다. 반대로, 펩티드에서 나타날 수 있는 산 잔기의 염기 염의 준비는 수산화 나트륨, 수산화 칼륨, 수산화 암모늄, 수산화 칼슘, 트라이메틸아민 같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기를 사용한다.
특별히 바람직한 약학 조성물의 구현은 초산 (아세트산염) 또는 염산 (염화물)의 염으로의 펩티드를 가진다.
암 치료에 유용함에 덧붙여, 본 발명의 펩티드는 진단제로도 유용하다. 펩티드가 아교모세포종에서 생성되고 이런 펩티드가 정상 조직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다는 것이 결정되었기 때문에 이런 펩티드는 암의 존재의 진단에 사용될 수 있다.
주장되는 펩티드의 조직 생검에서의 존재는 암의 진단에 병리학자를 도울 수 있다. 항체, 질량 분석, 또는 이 분야에 다른 알려진 방법을 통한 특정 펩티드의 탐지는 조직이 악성 또는 염증이 있는지 또는 일반적으로 병들어 있는지 병리학자에게 말해줄 수 있다. 펩티드 기의 존재는 병든 조직의 분류 또는 하위 분류를 가능하게 한다.
병든 조직 표본의 펩티드의 탐지는 특히 만약 T 림파구가 알려져 있거나 작업의 메커니즘에 참여 예정일 때, 면역계를 포함한 치료의 이익에 대한 결정을 내릴 수 있게 한다. MHC 발현의 손실은 감염된 악성 세포가 면역 감시를 탈출하는데서 잘 설명되는 메커니즘이다. 그러므로, 펩티드의 존재는 이 메커니즘이 분석된 세포에서 악용되지 않는 것을 보여준다.
펩티드는 펩티드 또는 MHC 분자에 복합체화된 펩티드에 대한 T 세포 반응 또는 항체 반응 같은 펩티드에 대한 림파구 반응을 분석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런 림파구 반응은 추가 치료 단계에서 결정을 내릴 때 전조 마커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런 반응은 또한 림파구 반응을 여러 방법으로, 예를 들면, 단백질 백신, 핵산, 자가 조직 물질, 림파구의 양자 면역 전송을 유도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면역치료의 대리 마커로 사용될 수 있다. 유전자 치료 설정에서, 펩티드에 대한 림파구 반응은 부작용의 평가에서 고려할 수 있다. 림파구 반응의 모니터링은 이식 요법의 후속 시험 (예를 들면, 이식 대 숙주 및 숙주 대 융합 질병의 검출)을 위한 중요한 도구가 될 수도 있다.
펩티드는 MHC/펩티드 합성물에 대한 특정 항체를 생성하고 개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은 병든 조직에 치료, 독성 물질 목표 또는 방사능 물질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런 항체의 또 다른 사용은 PET 같은 이미지 목적을 위해 병든 질병의 방사성 핵종을 목표로 할 수도 있다. 이 사용은 작은 전이를 감지하거나 병든 조직의 크기와 정확한 위치를 결정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그들은 병리학자의 암 진단을 생검의 샘플에 기반을 두어 확인할 수 있다.
표 1은 본 발명에 의한 펩티드, 그들의 각각의 서열 번호, 각각의 펩티드가 결합하는 HLA 대립 유전자, 및 이런 펩티드들이 발생할 수 있는 원천의 단백질을 나타낸다. 서열 번호 1에 따른 펩티드는 HLA-A*02 뿐만 아니라 HLA-DR에 결합하며 그러므로 2개의 다른 반응을 유도해 낸다는 점은 특별히 흥미롭다.
[표 1]
Figure pat00001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프로테오글리칸 4 ( CSPG4 )
CSPG4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프로테오글리칸)는 신혈관 생성의 기능을 가지고 있는 초기 혈관 주위 세포의 막관통 단백질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프로테오글리칸을 나타낸다 (Ozerdem, 2006). 배발생 중, CSPG4 프로테오글리칸은 미숙한 모세 혈관에서 발현되지만, 혈관이 성숙하면서 이들의 발현을 잃게된다. 이것은 이른 세포 표면 멜라노마 진행 마커로 알려져 있으며, 세포 증식, 이동과 침습의 자극에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CSPG4는 인간 멜라노마의 90% 이상에서 강하게 발현되어 있다. 비록 CSPG4는 엄격히 암 특이적이 아닐지라도, 자가면역 부재 시 멜라노마 환자와 건강한 개인들의 암-반응성 CD4+ T-세포의 반응은 HLA-DR11을 발현하는 멜라노마 세포에 있는 CSPG4693-709를 인식한다 (Erfurt et al., 2007).
CSPG4의 발현은 인테그린 매개된 세포 확산, FAK (초점 유착 키나제) 인산화, 및 ERK1/2의 (세포 외 신호-조절 키나제) 활성화를 강화 시킨다 (Yang et al., 2004). 또한, 생체 외 데이터에서 CSPG4가 종양 앤지오제네시스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축적되는 증거가 있다. 그러므로, CSPG4-양성 종양은 신혈관형성 속도와 혈관 볼륨을 크게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여졌으며 CSPG4는 내피 세포 증식 및 앤지오제네시스를 보통 억제하는 앤지오스태틴을 단리시키는 것으로 보여졌다. 미숙 혈관들도 CSPG4-양성 혈관주위세포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혈관 생성 중 앤지오스태틴의 차단 효과를 막음으로써 내피 세포 증식을 조절하는 데 세포 군의 역할을 보여준다. (Chekenya et al., 2002b)
또한 보통 조직에서 활성화된 혈관주변세포를 제외한 내피 세포, 연골세포, 민무늬 근육 세포, 특정한 외피 내에 있는 바닥층의 각질형성세포 및 머리카락 난포 내에 있는 세포 등에서 CSPG4의 발현이 묘사된 바 있다 (Campoli et al., 2004).
혈관형성과 CNS 병리에 대한 반응 중에, 높은 운동력을 가진 CSPG4 세포는 급속한 형태학 변화를 겪고 혈관 성장과 수리가 발생하는 곳으로 모집된다. CSPG4는 종양 세포와 악성 뇌종양 혈관에 있는 주변 세포에 의해 과발현된다 (Chekenya and Pilkington, 2002). CSPG4 양성 인간 글리오마 세포주를 면역 결핍된 누드 쥐 뇌로 세포 이식을 함으로써 이 종양들은 대조군에 비교하여 볼 때 더 높은 미세혈관 밀도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으며 이는 CSPG4 발현이 숙주 유도 암 혈관의 기능과 구조를 모두 규제한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Brekke et al., 2006). 누드 쥐로의 GBM 생검 자료의 이종이식 (xerograft) 실험에서 CSPG4가 주로 주변세포와 암 혈관의 바닥막 구성 요소의 혈관과 관련되어 있고 발현은 높은 세포 증식 영역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Chekenya et al., 2002a). 또한, CSPG4 발현은 글리오마 이식 모델의 암 진행과 일치하였다 (Wiranowska et al., 2006). 악성 진행은 종양과 그것의 기질 사이의 혼선에 의해 유지되며, 활성화된 기질은 혈관 형성, 세포외 기질 구성 및 자극적 성장 인자를 제공함으로써 증식과 침입 종양 세포를 양육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CSPG4는 종양-기질 활성화에서 세포 유착 변경, 전이, 증식 및 혈관 형태 형성을 통해 중요한 역할을 한다.
CSPG4는 인간 글리오마에서 낮은 등급의 글리오마에 비교하여 높은 등급의 글리오마에서 더 높은 발현도로 상이하게 발현된다 (Chekenya et al. 1999). GSP4의 높은 발현도는 증가된 31 인테그린/PI3K 신호 활성화와 하류의 표적에 의해 매개된 다중약물저항에 관련되어 있고, 세포 생존을 촉진한다 (Chekenya et al., 2008).
CSP-001은 다음의 장기/조직과 암에서 발견되었다:
뇌: - 아교모세포종 - 이차 아교모세포종 (성상세포종에서 유도)
결장: - 선암 (점액성 유형 제외), 원발성
직장: - 선암, 전이
위: - 선암 (반지 세포 유형 제외), 원발성
신장: - 신장 세포 암, 세포계 - 신장 세포 암, 투명 세포 유형, 전이, 모든 이차 부위 - 신장 세포 암, 투명 세포 유형, 원발성 - 신장 세포 암, 원발성
폐: - 선암, 원발성 - 선 편평 세포 암종, 원발성 - 원발성 암 - 소세포암, 원발성 - 편평 세포 암종, 원발성
췌장: - 선암, 원발성 - 췌도 세포의 종양, 악성, 전이
전립선: - 선암, 원발성
피부: - 전이 악성 흑색종, 림프절의 전이
따라서, 서열 번호 1에 따른 펩티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이 다음의 치료를 위해 특히 바람직하다.
뇌: - 아교모세포종 - 이차 아교모세포종 (성상세포종에서 유도)
결장: - 선암 (점액성 유형 제외), 원발성
직장: - 선암, 전이
위: - 선암 (반지 세포 유형 제외), 원발성
신장: - 신장 세포 암, 세포계 - 신장 세포 암, 투명 세포 유형, 전이, 모든 이차 부위 - 신장 세포 암, 투명 세포 유형, 원발성 - 신장 세포 암, 원발성
폐: - 선암, 원발성 1단계, - 선 편평 세포 암종, 원발성 - 원발성 암 - 소세포암, 원발성 - 편평 세포 암종, 원발성
췌장: - 선암, 원발성 - 췌도 세포의 종양, 악성, 전이
전립선: - 선암, 원발성
피부: - 전이 악성 흑색종, 림프절의 전이
아실 코에이 합성요소 버블검 패밀리 멤버 1 ( ACSBG1 )
이 유전자에 의해 인코딩된 단백질은 장쇄 아실 코에이 활동성을 가지고 있다. 이는 뇌에서의 장쇄 지방산 대사와 말이집발생의 활성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여겨진다. 지방산의 아실 코에이로의 티오산에스터화로 인한 활성화는 이러한 분자의 클래스의 대부분의 반응을 위한 필요 조건이다. 암-특이적 기능 또는 과발현은 조사 보고된 바가 없다. ACSBG1의 뇌, 부신, 정소, 및 난소에서의 발현 패턴 및 이의 기능은 X-연관 부신 백질 이영양증 (XALD)의 생화학 병리학에서의 이 단백질의 역할을 제안한다. XALD는 심하고, 종종 치명적인, 신경 퇴행성 질병으로서 이는 긴 사슬 지방산의 높은 혈장과 조직 수준에 의해 특징지어진다 (Asheuer et al., 2005; Pei et al., 2003).
브레비칸 ( BCAN )
브레비칸은 세포외 기질 단백질으로서 출생 시에서 8세의 나이까지 높은 수준으로 발현되며, 20세에 이르면 이는 감소되고 이 낮은 수준은 정상적인 성인 피질에서 이 상태로 유지된다. GPI 동형은 균일하게 성장 중 발현된다 (Gary et al., 2000). 악성 신경교종은 공격적으로 주변의 정상적인 뇌에 조직- 또는 종양-특이적 세포외 단백질에 의해 매개되어 침습을 한다. 따라서 세포외 기질은 세포의 움직임에 대한 조직의 허용을 부분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신경교종의 중추 신경계의 ECM을 변경할 수 있는 능력이 이들 세포의 침습성을 매개할 수 있다. 신경 교종에서 극적인 상향 조절을 보이는 하나의 ECM 분자가 BCAN, 뇌 특정 콘드로이틴 황 프로테오글리칸이다. BCAN 발현은 또한 성장 중 높아진 신경교세포 운동 시 및 뇌 손상 후에 상향 조절된다. 신경교종에서 정상 수준에 비교할 시 7배 이상의 증가가 감지될 수 있다 (Gary et al., 2000; Gary et al., 1998). 신경교종에서의 BCAN 상향 조절 외에도, 전장 단백질의 단백 가수분해 과정 또한 침습에 기여할 수 있다 (Gary et al., 1998; Nutt et al., 2001). BCAN의 ADAMTS 가족의 금속효소에 의한 단백 가수분해 과정은 신경교종에서 전-침습 효과의 필수 과정이다. 돌연변이 "절개할 수 없는" 형태의 BCAN은 신경교종 세포의 생체 외 침습과 생체 안 종양 진행을 강화시킬 수 없다 (Viapiano et al., 2008). BCAN의 mRNA는 정상 성인 인간 피질에서 또는 다른 비신경교종 종양에서 감지가 안 되며, 따라서 BCAN은 유일하며 선택적인 신경교종의 표지로 간주된다 (Jaworski et al., 1996). 더 나아가, 단백질 분석은 전장 BCAN의 높은 발현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신경교종에서의 유일한 동형의 존재를 드러냈다. 따라서, B/bΔg는 핵심 단백질의 불완전 또는 감소된 당화에서 발생하는 BCAN mRNA의 전장 산출물이다. B/bΔg는 정상 성인 뇌에서는 존재하지 않으나 고분화 신경교종에서는 발견된다 (Viapiano et al., 2005).
BCAN은 교아세포종-유도 줄기-유사 종양 세포의 유형에서 선택적으로 과발현된다고 묘사된 바 있다 (Gunther et al., 2008). 이 줄기-유사 세포의 아류형은 생체 안에서 가장 높은 분화가능한 잠재성과 종양 형성 가능성을 보인다.
키틴 분해 효소 3-유사 1 (연골 당단백질-39) ( CHI3L1 )
CHI3L1은 "포유동물 키틴 분해 효소-유사 단백질"의 멤버로서 고형 종양의 몇몇의 종류에서 발현 및 분비된다. 이는 암세포와 종양 관련 대식 세포에 인해 생산되고, 조직 리모델링 프로세스에 관련되어 있는 세포에 대한 성장 인자의 활동성을 나타내며 세포 증식, 분화, 생존, 침습, 전이, 혈관 신생 및 종양 주변의 세포외 기질의 염증과 리모델링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Johansen et al., 2006; Johansen et al., 2007; Ringsholt et al., 2007). 더 나아가, CHI3L1은 류머티즘형 관절염의 자가항원의 후보자이다. 건강한 기증자의 CHI3L1에 유도된 CD4 T 세포주는 CD25, 글루코 코르티코이드-유도 종양 궤사 인자 수용체, 및 Foxp3 분자를 발현하였으며, 이들은 항원-특이적 T 세포의 반응을 억제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 류머티즘형 관절염 환자의 50%에서 전염증성 T 조력 1 표현형으로의 분극을 나타내며 이들은 항원-특이적 리콜 반응에 대한 상당히 덜 강력한 억제성을 보인다 (van Bilsen et al., 2004).
CHI3L1은 신경계에서 세포 스트레스에 의해 유도된다고 알려지며 대부분의 인간 뇌 종양에서 발현되며 JAK/STAT 신호 전달 경로를 활성화하는 옹코스태틴 M에 의해 상향 조절된다 (Krona et al., 2007). CHI3L1의 발현은 아교모세포종의 p-MAPK, p-mTOR 및 p-p70S6K의 발현과도 관련이 있다 (Pelloski et al., 2006).
몇몇의 유전자 발현 연구에서 CHI3L1은 정상 뇌와 비교했을 때 아교모세포종에서 3배 내지 62배 이상 더 높이 발현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Saidi et al., 2007; Kroes et al., 2007; Shostak et al., 2003; Tanwar et al., 2002). 면역조직화학 연구는 기능적 핵을 가지고 있는 모든 세포는 CHI3L1을 그들의 세포질에서 발현할 수 있는 능력이 있으나 CHI3L1-발현의 강도는 세포의 활동성에 의해 좌우됨을 밝혔다. 따라서 높은 물질 대사를 가지고 있는 세포가 가장 높은 세포질 염색을 보인다 (Ringsholt et al., 2007). 더 나아가, 면역조직화학 연구에 의해 역형성 핍지교종에 비교할 시, 아교모세포종이 현저하게 높은 CHI3L1 발현을 보인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다 (Nutt et al., 2005). 아교모세포종 샘플의 CHI3L1 단백질 수준에 대한 웨스턴 블롯 분석은 GBM의 65%에서 현저한 증가를 나타내고, 저분화 아교모세포종 (등급 II와 III) 또는 정상 뇌에서는 감지될 수 없는 수준을 보였다 (Tanwar et al., 2002). 퍼지지 않고, 수술로서 치료가 가능한 모양세포성 성상세포종에 비교하였을 때, 단지 아교모세포종만이 CHI3L1을 발현하였다 (Colin et al., 2006).
CHI3L1의 혈청 수준은 다양한 악성 종양에서 높아지며 이는 더 낮은 생존율과 관련된다. 높은 CHI3L1의 혈청 수준은 가장 짧은 재발 없는 간격과 가장 짧은 전체 생존을 가지고 있는 전이암 환자에서 나타난다. 특정한 아교모세포종 환자의 혈청에서 CHI3L1의 발현이 높게 나타난다 (Kim et al., 2007; Johansen et al., 2007; Johansen et al., 2006; Junker et al., 2005; Tanwar et al., 2002). 활성화된 종양을 가지고 있는 GBM 환자는 질병의 방사선적인 증거가 없는 환자에 비교 시, 상당히 높은 CHI3L1의 수준을 보인다. 더 나아가 GBM에서의 CHI3L1과 생존 사이에는 역 상관 관계가 있다 (Hormigo et al., 2006; Pelloski et al., 2005).
추가적으로, 높은 CHI3L1-발현은 유방암에서 관찰되며, 이는 더 큰 종양 크기, 저종양 분화도와 더 낮은 무질병 생존 기간과 서로 관련된다 (Kim et al., 2007; Coskun et al., 2007). 더 나아가, 머리와 목의 편평 세포 암종에서는 증가된 CHI3L1의 혈청 수준이 53%에서 감지되었다. 높은 혈청 CHI3L1 수준을 가지고 있는 환자는 정상 CHI3L1 혈청 수준을 가지고 있는 환자와 비교했을 시, 더 짧은 생존 기간을 가지고 있다 (33개월 대 84개월) (Roslind et al., 2008).
전립선암을 가지고 있는 환자들은 BPH 또는 건강한 사람들과 비교했을 시, 상당히 높은 CHI3L1의 혈청 수준을 가지고 있다 (Kucur et al., 2008).
CAP- GLY 도메인 포함 링커 단백질 2 ( CLIP2 )
CLIP2에 의해 인코딩된 단백질은 세포질 링커 단백질 군에 속하며, 이는 특정한 세포막 기관과 미소관 사이의 상호 작용을 매개하는 역할을 한다고 제의되었다. CLIP2는 미소관 및 모수석의 라멜라 바디라고 불리우는 기관과 모두 관련이 있다고 밝혀졌다 (NCBI 웹사이트의 일반 정보).
CLIP2는 미소관의 타이로시네이트된 말단으로 집중되나 비타이로시네이트 말단으로는 집중되지 않는다. 튜뷸린-타이로신 리가아제 (TTL)라는 효소는 튜뷸린 타이로시네이션 사이클에서 C-말단 타이로신 잔기를 알파-튜뷸린에 추가하는 반응에서 촉매작용을 하며, 이는 종양 진행에 관련되어 있으며 신경계의 조직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Peris et al., 2006). 하나의 연구는 30 케이스의 원발성 아교모세포종의 동결 절편의 DNA게놈을 GenoSensor Array 300을 이용하여 전체 게놈의 유전자 증폭, 유전자 삭제, 및 염색체 정보를 연구했다. 종종 증폭되어 나타나는 유전자는 CLIP2 (63.3%), EGFR (53.3%), IL6 (53.3%), ABCB1 (MDR1) (36.7%),및 PDGFRA (26.7%)를 포함했다 (Suzuki et al., 2004).
용질 담체 유기 음이온 수송군 멤버 1 C1 ( SLCO1C1 )
SLCO1C1은 선택적으로 혈뇌 장벽에서 발현된다 (Chu et al., 2008). SLCO1C1은 선택적인 기질 선호성을 가지고 있으며 뇌와 정소에서 갑상선 호르몬의 처분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도 있다 (Pizzagalli et al., 2002). SLCO1C1은 면역 형광 검사법에 의해 특이적으로 검출이 가능하지 않다. SLCO1A2와 SLCO2B1은 혈뇌 장벽과 혈종양 장벽을 이루는 내피 세포의 세뇨관강막에서 면역 형광 검사 현미경 사용에 의해 검출될 수 있으나 신경교종 세포에서는 검출되지 않는다 (Bronger et al., 2005).
다이스트로브레빈 , 알파 ( DTNA )
알파-다이스트로브레빈은 일차적으로 골격근 세포의 다이스트로핀-당단백 세포질의 구성요소로 묘사되었다. DTNA의 동형은 세포와 조직에서 다른 국재성을 보이고, 상피세포의 기저외측 막에서, 다이스트로브레빈은 세포외 기질, 말초 및 트랜스멤브레인 단백질과의 접촉을 조정한다. 이러한 구조적인 역할 이외에, DTNA는 세포 신호 전달과 세포 분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들은 재편성 시 치밀 결합부와 연관이 있다고 가정된다 (Sjo et al., 2005). DTNA는 시냅스 생성과 안정성 및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의 클러스터링에 관련이 있다.
표피 성장 인자 수용체 ( 적혈모구 백혈병 바이러스성 (v- erb -b) 종양 유전자 유사체, 조류) (EGFR)
최근 관심 분야는 표피 성장 인자 수용체 (EGFR)이고 이는 아교모세포종에서 이의 기형이 가장 흔한 변형의 형태이기 때문이다. 특히 EGFRvIII (표피 성장 인자 수용체 변형 III)은 EGFR의 종양 발생적이고, 항시 활성 돌연변이 형태이며 이는 흔히 아교모세포종에서 발현된다 (Zawrocki and Biernat, 2005). EGFR은 선조 세포의 표현형을 조정하는 몇몇의 경로의 활성화에 관여한다. 활성화된 EGFR 티로신 키나제 활동은 신경 줄기 세포 이주, 분열과 생존을 강화시킨다. EGFR 신호가 아교모세포종에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아교모세포종이 암 줄기 세포로부터 유래되며, EGFR 신호가 이런 전구체 세포에서 흔히 변경된다고 결론지어 질 수 있다 (Yuso-Sacido et al., 2006).
원발성 아교모세포종은 노인 환자에서 신생으로 발생하며, 종종 EGFR을 과발현한다. EGFR 과발현은 증가된 혈관 신생, 부종 및 침습과 관련이 있다 (Aghi et al., 2005). 또한, EGFR 증폭된 아교모세포종은 방사선 저항력이 있으며 (Barker et al., 2001) 이들은 치료 후 더 빨리 재발한다 (Schlegel et al., 1994).
GBM은 과다한 EGFR의 활성화가 종양 성장과 환자 생존과 관련된 단 하나의 비상피 인간 종양이며, EGFR 활성화는 GBM 침입을 생체 외에서 증진한다 (Penar et al., 1997).
EGFR은 erbB의 원형종양 유전자이다. EGFR의 과발현은 증가된 활성화된 리간드:수용체 복합체의 형성을 통해 세포 성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유전자 증폭은 GBM 종양에서 EGF 수용체의 과발현의 기초를 이루는 과정이다 (Thompson and Gill, 1985). 염색체 7에 있는 EGFR 유전자는 고 등급 신경교종에서 복사 숫자를 자주 획득한다고 알려져 있다 (Okada et al., 2007). 짧은 간섭 RNA에 의한 EGFR의 소모는 아교모세포종 세포의 종양 형성을 폐지한다 (Huang et al., 2007).
EGFR 과발현은 40 내지 70%의 GBM에서 검출되지만, 모양세포, 저 등급 또는 퇴화성 성상세포에서는 EGFR이 음성으로 나타난다 (Agosti et al., 1992; Schwechheimer et al., 1995; Eppenberger and Mueller, 1994; Huncharek and Kupelnick, 2000; Liu et al., 2006a). EGFR의 높은 혈청 수준은 감소된 생존 기간을 나타낸다 (Quaranta et al., 2007). 더 나아가, 고등급 성상세포종을 가지고 있는 장기 생존자는 EGFRvIII 음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Liang et al., 2008).
노치(Notch)-1은 EGFR 발현을 상향 조절하며 EGFR과 노치-1 mRNA 수준의 상호 연관성이 원발성 고등급 인간 아교모세포종에서 밝혀졌다 (Purow et al., 2008). EGFR은 아교모세포종을 포함한 몇몇의 종양에서의 증식, 생존과 종양 형성에 기여하는 c-Jun NH2-말단 키나아제 (JNK)의 구조적 활성화에 관련되어 있다 (Li et al., 2008a).
비록 EGFRvIII이 신경 교종 세포에서 작은 퍼센티지로 발현될 지라도, 대부분의 세포는 변형된 표현형을 나타낸다. 무활동의 아교모세포종 세포에서의 EGFRvIII의 발현은 세포 주변으로 방출되고 EGFRvIII을 가지고 있지 않는 암 세포의 원형질 막과 합병하여 종양 형성 활동성을 전달시키는 지질-뗏목 관련 미세 소포의 형성을 자극한다 (Al-Nedawi et al., 2008).
지방산 결합 단백질 7, 뇌 ( FABP7 )
지방산 결합 단백질 (FABP)은 세포질의 14-15kDa 단백질이며, 이는 지방산 섭취, 운반과 표적화와 연관되어 있다. 이들은 지방산의 농도를 조정하며 이를 통해 효소, 세포막, 이온 채널과 수용체, 및 유전자 발현과 세포 성장과 분화의 기능에 영향을 미친다. 9개의 FABP 종류가 특정 조직 분포에 의해 식별될 수 있다. 30 내지 70%의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비슷한 지방산이 결합해 있는 3차, 베타-클램 구조를 가지고 있다. 신경 조직은 별개의 공간적-임시적 분포를 가지고 있는 네 개의 FABP 종류를 가지고 있다 (Veerkamp and Zimmerman, 2001). FABP7은 성장하는 뇌와 망막에서 높은 수준으로 발현되며 이의 발현은 성인 CNS에서 현저히 줄어든다 (Godbout et al., 1998). 생체 외 실험 결과에 기반하여, FABP7은 성장하는 뇌의 요골 교세포 체계의 설립에 필수인 것으로 제안되었다 (Mita et al., 2007). 정상 뇌 FABP7 단백질은 거의 검출되지 않지만 몇몇의 GBM에서 중간 정도에서 강한 핵 및 세포질의 발현을 보인다. FABP7-형질감염 세포는 대조군과 비교할 시 5배 더 큰 이동력을 보인다. 따라서, 특히 아교모세포종에서의 FABP7 과발현과 연관된 더 짧은 총 생존 기간은 주변의 뇌 실질로의 종양의 이동과 침투에 의한 것일 수도 있다 (Liang et al., 2005). FABP7의 핵 이동은 특이적으로 EGFR 증폭과 더 침투적인 종양과 관련되어 있다 (Kaloshi et al., 2007). 따라서, 핵 FABP7은 EGFR 활동화에 의해 GBM 종양 세포의 이동을 촉진하기 위하여 유도될 수 있다 (Liang et al., 2006).
FABP7 발현은 신장 세포 암의 마커로 보여진 바 있다. FABP7-발현은 신장 샘플 중 단지 암종의 조직에서만 발견되고 비암성 부분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 (Teratani et al., 2007). 신장 세포 암에서의 FABP7의 발현은 정상 신장 조직과 비교 시 20배 높은 것으로 보여졌다 (Domoto et al., 2007; Buchner et al., 2007). 또한 FABP7이 흑생종에서 종종 발현되며, 이는 세포 증식과 침습에 관련되어 있을 수 있다 (Goto et al., 2006).
교세포 섬유성 산성 단백질 ( GFAP )
GFAP는 성숙한 성상세포의 주요 중간물 필라멘트 단백질 중 하나를 인코딩한다. 이는 성상세포를 다른 교세포로부터 구별하는 마커로 사용된다. 이 유전자의 돌연변이는 중추 신경 계통 교세포의 희귀한 병인 알렉산더 병의 원인이 된다. 추가적인 비정상적 전사체가 묘사된 바 있으나, 이의 총 길이 서열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자폐성의 뇌에서는 증가된 수준이 보여졌고, 심한 우울증에서는 낮아진 GFAP의 수준이 보여졌다.
전체 뇌가 방사선화된 후 10년 후 신생의 종양을 발생시킨 영장류의 뇌가 분석되었다. 종양 전구체는 세포 비정형과 유사 분열을 증명하였으며, 이들은 종양-관련 마커 GFAP, EGFR 및 p53 음성이었다 (Lubensky et al., 2006).
성상세포 종양에서 GFAP 양성 세포의 숫자와 염색의 강도는 악성 정도와 직접 비례를 보였다. 모든 핍지 교종 3개의 케이스는 GFAP에 대한 음성 반응을 보였다 (Reyaz et al., 2005). 순수한 성상세포 종양은 GFAP에 대해 면역조직화학적으로 음성이다 (Mokhtari et al., 2005). 높은 등급의 신경교종을 가지고 있는 환자에서의 GFAP 혈청 수준은 종양 부피와 선형 상관 관계를 나타낸다 (Brommeland et al., 2007). GB 환자중에서도 종양 부피, 종양 괴사 부피, 괴사 GFAP 양성 세포의 양 및 혈청 GFAP 수준 사이의 상당한 상관 관계가 검출된다 (Jung et al., 2007).
히스톤 탈아세틸효소 억제제 4-페닐 부티레이트에 의한 아교모세포종 처리 후, 증가된 농도의 비 인산화 GFAP가 검출되고, 인산화된 동형은 변하지 않았다 (Asklund et al., 2004).
TGF-알파로 처리된 아교모세포종 세포주에서 GFAP 유전자 전사, mRNA 수준, 및 특정 단백질 합성은 50% 정도 감소된다 (Zhou and Skalli, 2000).
기술적으로, GFAP 프로모터는 종종 마우스 모델에서 특히 신경 체계의 희망하는 단백질의 발현을 유도하는 수단으로 사용된다.
이자의 랑게르한스 섬 세포는 GFAP를 발현하는 주변 슈반 세포(pSC)로 둘러싸여 있다. 자기 면역성의 이자 신경 체계 조직 요소의 목표화는 자연적인 제 1형 당뇨병의 초기에 없어서는 안 되는 부분이다 (Winer et al., 2003). 이러한 이자에서의 발현은 이매틱스 또는 일괄 조직의 외부의 유전자 발현 데이터에서 반영되지 않는다. GFAP-001은 건강한 기증자에 비교했을 시 더 증가된 그랜자임 B-분비 CTL (생체 외 ELISPOT) 활동성을 보이는 당뇨병 자기항원에 대한 항체 반응을 가지고 있는 제 1형 당뇨병 환자와 그들의 비-당뇨병 친척의 에피톱으로 밝혀졌다 (Standifer et al., 2006).
흥미롭게, 특히, 당뇨병 등의 자기 면역병의 발현과 신경교종 발달 사이의 역 상관 관계가 존재하는 듯 하다 (Aronson and Aronson, 1965; Schlehofer et al., 1999; Brenner et al., 2002; Schwartzbaum et al., 2003; Schwartzbaum et al., 2005).
G 단백 연결 수용체 56 ( GPR56 )
GPR56은 전형적이 아닌 뮤신-유사 줄기를 형성하는 긴 Ser/Thr-풍부 부분을 포함한 현저하게 큰 N-말단의 세포 밖의 부분을 가지고 있는 G 단백 연결 수용체 (GPCR)이며, 이러한 특징으로 인하여, GPR56은 세포-세포간, 또는 세포-세포간질간의 상호 영향에 역할을 한다고 생각된다. 높은 수준의 mRNA 발현과 이의 넓은 분포와 함께, 이 수용체의 세포-세포간의 상호 영향에서의 역할이 제안되었다 (Liu et al., 1999). GPR56은 세크레틴의 GPCR군에 포함되며, 이들은 신경의 전구 세포의 발달의 역할이 있으며 이는 인간 뇌의 발육상의 기형과 연계된다. 정상 조직과 비교 시, 높은 GPR56 발현은 몇몇의 암 조직 세포 표현형의 변형과 관련되어 있으며, 이는 잠재적인 종양 형성의 기능을 암시한다. RNA 간섭에 의한 GPR56 침묵은 세포 사멸을 유도하고 증가된 아노이키스를 통한 암 세포의 부착-비의존성 성장의 감소의 결과를 낳는다. GPR56 침묵은 또한 세포외 기질의 세포 부착을 감소시킨다 (Ke et al., 2007). GPR56의 상향 조절은 기능성 게놈을 이용하여 다형성 아교모세포종에서 보여진 바 있다. 면역조직화학 연구는 아교모세포종/성상세포종 샘플 대부분에서의 GPR56의 발현을 확인하였고 이의 수준은 정상 성인 뇌에서는 감지되지 않았다 (Shashidhar et al., 2005). 이자 암 세포에서는, GPR56 mRNA는 높은 수준으로 발현되나, GPR56 단백질은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낮은 또는 탐지할 수 없는 수준으로 존재하며 이는 GPR56 단백질이 인간 이자 암 세포에서는 억제된다는 것을 가르킨다 (Huang et al., 2008). 전이에 관한 이전의 연구는 흑생종 세포주의 아주 전이적인 변이체에서 GPR56이 현저하게 하향 조절되었음을 보여주었으며, 이는 GPR56의 과발현이 종양 성장 및 전이를 억제한다는 것을 암시한다. 이 성장 억제는 GPR56과 광범위한 간질의 조직 성분이면서 종양 성장 자체의 억제와 연루된, 조직 트랜스글루타미네이즈 (TG2) 사이의 상호 작용에 의해서 매개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Xu et al., 2006; Xu and Hynes, 2007). 또 하나의 GPR56의 억제 효과는 신경 전구 세포 (NPC)의 이동에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 GPR56은 NPC에서 높게 발현되며 아마도 Galpha(12/13)와 Rho 신호 통로를 통한 NPC 이동에 관여할 것이며, 이는 GPR56이 중추 신경계의 발달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제안한다 (Iguchi et al., 2008).
글루타메이트 수용체, 이온향성 , AMPA 4 ( GRIA4 )
α-아미노-3-하이드록시-5-메틸-4-이속사졸프로피온산(AMPA)-종류 글루타메이트 수용체 (AMPAR)는 중추 신경계의 흥분성 시냅스에서의 빠른 신경 전달을 매개하며 GluR1 내지 GluR4 (GRIA4)까지의 4개의 단백질 세트에서의 서브유니트로 구성되어 있다.
GRIA4 서브유니트는 인간 아교모세포종 세포의 어디에서나 발현되며, 이는 Ca2+-투과성 AMPAR을 조작한다. Ca2 +-비투과성 수용체로의 전환은 세포의 운동을 억제하며 세포 사멸을 유도하고 Ca2 +-투과성 AMPA 수용체는 종양 세포의 이동과 증식을 촉진한다. 따라서 Ca2 +-투과성 AMPA 수용체는 아교모세포종의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Ishiuchi et al., 2002).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 2 mRNA 결합 단백질 3 ( IGF2BP3 )
IGF2BP3은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II mRNA-결합 단백질 군의 멤버이며, 이는 mRNA 국재성, 회전율과 번역 조절에 관여한다. 인코딩된 단백질은 몇몇의 KH 도메인을 포함하며, 이는 RNA 결합에 중요하고 이들은 RNA 합성과 신진대사에 관여한다. 이는 주로 배아 발달 중에 다소의 종양에서 발현된다. 따라서, IGF2BP3은 암태아성 단백질이라고 간주된다 (Liao et al., 2005). 아교모세포종에서의 IGF2BP3 발현에 관한 특정한 정보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으나, IGF2BP3은 몇몇의 다른 악성 종양에서 과발현되었다고 묘사된 바 있다. 따라서 IGF2BP3은 716개의 투명 세포 신 세포 암 표본의 30%에서 발현되었다. 이번 연구에서, 이의 발현은 원발성 종양의 전진한 확산과 분화 정도 외에도 종괴 응고성 괴사와 육종성 변화 등과 같은 다른 불리한 기능과도 연관이 있음이 밝혀졌다. 더 나아가, 양성 IGF2BP3 발현은 5배 내지 10배의 증가된 원격 전이의 위험과 42% 내지 50% 증가된 RCC로 인한 사망의 위험과 연관되었으며, 이는 IGF2BP3의 발현이 투명 세포 신 세포 암의 침습적인 행동을 예측하는 독립적인 예측자가 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Hoffmann et al., 2008; Jiang et al., 2006; Jiang et al., 2008). IGF2BP3 발현은 또한 형성 이상의 특징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발현이 전혀 검출되지 않은 양성의 모반에 비교하였을 때, 악성 흑생종에서 검출될 수 있었다 (Pryor et al., 2008). 자궁 내막 암에서, IGF2BP3의 발현은 유형 II 자궁 내막 암과 관련되어 있고, 자궁 내막 종양 병변 중 침습적인 조직학적인 표현형과 밀접하게 연관된다 (Zheng et al., 2008). 식도 편평 세포 암종을 가지고 있는 20명의 환자 중, TIL, 국소적 림프절 림프구세포와 말초 혈액 림프구의 IGF2BP3에서 얻어진 HLA-A2402-제한 에피톱 펩티드에 대한 특정 T-세포 반응 유도가 모든 케이스의 40%에서 관찰되었다 (Mizukami et al., 2008). IGF2BP3은 또한 이자암에서 높은 수준으로 발현된다. 2개의 연구에서 90% 이상의 이자 종양 조직 샘플이 면역염색 후 IGF2BP3 발현을 보인 데에 반하여 비종양 이자 조직에서는 IGF2BP3이 음성을 나타내었다. 더 나아가 IGF2BP3 mRNA는 이자암에서 비-종양 조직 샘필과 비교하였을 시 증가되어 과발현되었으며, 발현은 종양 단계가 발전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Yantiss et al., 2005; Yantiss et al., 2008). IGF2BP3 발현은 높은 단계의 요로 상피 세포암에서 현저하게 증가되고 양성의 요로 상피 조직 또는 낮은 단계의 요로 상피 세포암에서는 보통 발현이 안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 나아가, IGF2BP3-양성 종양을 가지고 있는 환자는 IGF2BP3-음성 종양에 비교하였을 때 현저히 낮은 비진행 생존기간과 무병 생존율을 나타냈다. 최초 진단 시 표면의 침습적인 요로 상피 세포암을 가지고 있는 IGF2BP3-양성 환자는 나중에 전이가 발생하였으나, IGF2BP3-음성 환자에서는 전이가 발생하지 않았다. 또한, 이 연구의 데이터는 IGF2BP3이 유두 모양과 편평 병변 모두에서 요로 상피 세포암이 낮은 단계에서 높은 단계로 진행하는 것에 관여를 한다고 밝혔다 (Li et al., 2008b; Sitnikova et al., 2008).
거대뇌 백색질 뇌증 피질 하 포낭 1 ( MLC1 )
거대뇌 백색질 뇌증 피질 하 포낭 (MLC)은 아동의 보통염색체 열성 대뇌 백질 질병이다. MLC는 염색체 MLC1의 돌연변이에 의해서 야기된다 (Ilja Boor et al., 2006). 발명자들의 이해에 따르면, 논문에 MLC1과 뇌종양의 관련에 대한 보고는 없다.
한 논문이 MLC1의 쥐 뇌에서의 세포상 및 지역상 분포에 대해 연구했다 (Schmitt et al., 2003). 다능성 신경계 전구체 세포에서 가장 높은 MLC1의 발현이 산전과 주산기 기간 동안 나타났다. 성인 쥐 뇌에서는 MLC1 mRNA가 배타적으로 교세포에서 검출되었다. 이와 반대로, 발생 중이거나 성장한 성상세포, 희소돌기아교세포 등에서는 MLC1 발현이 검출되지 않았다.
네스틴 ( NES )
발생 중, 신경상피세포 뇌실층에서 중간 필라멘트 네스틴의 광범한 발현이 중추 신경계의 모든 부분에서 수정 후 연령 11주에 나타나는 데에 반해, 네스틴 면역 반응성은 2, 3분기 사이에 줄어든다 (Takano and Becker, 1997; Lendahl et al., 1990; Zimmerman et al., 1994; Tohyama et al., 1992). 뇌실층으로부터의 이동중 또는 후에, 네스틴 발현은 분열후 뉴런에서 현저히 하향 조절된다 (Arnold and Trojanowski, 1996). 비 종양 성인 인간 뇌 조직의 네스틴 염색은 아주 작은 숫자의 내피 세포의 단지 약한 염색만을 보였다 (Dahlstrand et al., 1992). 네스틴은 종양성 형질전환 중 다시 발현될 수 있다 (Veselska et al., 2006). 신경교종 조직에서, 네스틴 면역반응성은 종양에서만 일어나며 생성된 네스틴의 양은 신경교종의 단계가 점점 더 악성 아교모세포종으로 변화함에 따라 증가한다. 아교모세포종 (악성 단계 IV)은 가장 높은 네스틴-양성 세포의 발병률을 발현하며 대부분 가장 높은 네스틴 염색 수준을 보인다. 네스틴 발현은 다양한 종류의 신경외배엽성 착점인 중추 신경계의 원발성 종양 세포에서 검출되지만, 전이 종양 세포에서는 검출되지 않는다 (Dahlstrand et al., 1992; Tohyama et al., 1992). 네스틴은 거의 미만성 별 세포종에서 발현되지 않으며, 역형성 성상세포종에서는 가변적으로 발현되며 아교모세포종에서는 강하고 불규칙적으로 발현되며, 이의 분포는 GFAP와 비멘틴 (Vimentin)과 상보적이다 (Schiffer et al., 2006). 임상적으로, 네스틴-음성 CNS 생식 세포 종양은 보급을 나타내지 않았는데 반해, 보급을 보인 모든 종양은 강하게 네스틴 단백질을 발현했다 (Sakurada et al., 2007).
네스틴을 강하게 발현하는 종양 세포는 혈관과 가까이 위치하며 (Dahlstrand et al., 1992), (Kurihara et al., 2000; Sugawara et al., 2002; Florenes et al., 1994; Strojnik et al., 2007) 내피에 의한 네스틴 발현의 활성화는 혈관 생성 마커로 제안된 바 있다 (Teranishi et al., 2007; Maderna et al., 2007; Amoh et al., 2005; Mokry et al., 2004).
GBM은 종양 생성 능력을 포함한 줄기 세포에서 예상되는 상보적 기능적 성질 전체를 가지고 있는 변형된 전구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세포는 GBM을 연속 이식에서도 설립할 수 있으며 따라서 신경 종양 줄기 세포라고 식별된다 (Galli et al., 2004). 이 세포는 CD133+ 인간 뇌 종양의 세포 부차 집단에 속하며 NSC 마커 네스틴을 공동 발현하지만 분화된 신경 계통 마커를 발현하지 않는다 (Singh et al., 2004b; Singh et al., 2003; Singh et al., 2004a; Mao et al., 2007). 뇌 종양에서의 CD133+/네스틴+ 집단의 존재는 아교모세포종의 원점이 정상 줄기 세포일 수도 있다는 것을 제안한다 (Shiras et al., 2007). 뇌 종양과 줄기 세포에서 노치 시그널링이 활성화되어 있으며, 네스틴 프로모터가 노치 활동에 의해서 활성화된다는 것이 배양에서 보여진 바 있다 (Shih and Holland, 2006).
쥐 성상세포종 C6 세포주를 네스틴 siRNA 듀플렉스로 감염시킴으로서 네스틴 siRNA의 효력 있는 억제 효과가 배양된 성상세포종 세포의 세포 성장에 용량 의존적으로 끼치는 영향을 밝혔다 (Wei et al., 2008).
네스틴 발현은 또한 전립선 (Gu et al., 2007; Gipp et al., 2007) 및 이자 (Carriere et al., 2007), 및 흑색종 (Klein et al., 2007)의 암 줄기 세포에서도 보고되었다. 더 나아가 네스틴은 다음의 종양에서도 발현된다: GIST (Tsujimura et al., 2001; Sarlomo-Rikala et al., 2002), 흑색종, 대장암 (Teranishi et al., 2007) 및 이자 종양 (Ohike et al., 2007; Kleeberger et al., 2007).
네스틴 발현은 또한 정상 조직에서도 나타난다: 네스틴 발현은 정상 성숙 인간 신장 사구체의 족세포에서 보고되었다. 정상적인 상태에서 네스틴은 몇몇의 사구체 세포 유형에서 발달의 이른 단계에서 발현되며 성장된 사구체에서는 족세포로 한정되며 (Ishizaki et al., 2006), 이는 네스틴이 족세포의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함을 암시한다. 성인 사구체는 족세포의 형태를 가지고 있는 비멘틴-발현 세포에서의 네스틴 면역 반응을 보인다 (Bertelli et al., 2007). 네스틴은 비멘틴과의 상호 작용을 통해 사구체 여과 중 높은 인장 응력을 경험하는 족세포의 기계적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Perry et al., 2007). 따라서, 인간 신장에서 네스틴은 사구체 발생의 첫 단계에서 족세포, 혈관간, 내피 세포에서 발현된다. 이 발현은 후에 성장한 사구체에서는 족세포에서만으로 제한되며 이는 성인 인간 신장의 다른 구조에서도 검출되지 않는다 (Su et al., 2007). 면역조직화학법은 정상 인간 부신 외피에서의 지속된 네스틴의 발현을 밝혔다. 네스틴 발현 세포는 일반적으로 망상대에서 위치하고 있는 데에 반해 부신 종양에서는 네스틴-면역반응 세포의 숫자가 다양하다(Toti et al., 2005).
네스틴 발현은 정상 위장의 카할 간질 세포 (interstitial cells of Cajal (ICC))에서 보고되었다. 따라서 대부분의 근육 내의 위전 정부 (antrum) ICC, 몇몇의 근층간 신경총 ICC, 및 거의 대부분의 대장의 원형 근육의 ICC가 면역 반응성을 가지고 있다 (Vanderwinden et al., 2002). 이자에서는, 네스틴-면역반응 세포는 섬과 외분비선 부분에서 찾아질 수 있다. 큰 체관에서, 네스틴-양성 세포는 관 외피를 감싸고 있는 결합 조직 내에 흩어져 있는 작은 모세관을 나타낸다. 따라서, 네스틴은 인간 이자의 혈관 내피 세포에서 발현된다 (Klein et al., 2003). 섬 자체에서는 네스틴을 발현하는 전구 세포가 찾아진다. 네스틴-양성 섬-유래 전구 세포는 췌장 섬에 존재하며 내분비 세포의 신생에 관여할 수 있는 별개의 세포 집단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추측된다 (Zulewski et al., 2001). 성인 정상 간에서 비멘틴과 네스틴 양성인 인간 간 줄기 세포의 집단이 단리될 수 있다 (Herrera et al., 2006). 세포 배양 분석에서, 면역 염색을 이용한 세포 골격과 세포간질의 구성에 대한 연구는 태아의 폐- 및 성인 골수-유도 세포가 비멘틴과 네스틴 단백질을 중간 필라멘트에서 발현한다는 것을 밝혔다 (Sabatini et al., 2005). 젊은 영구 치아에서, 네스틴이 기능적인 치아 모세포에서 발견된다. 이들의 발현은 하향 조절되고 네스틴은 나이 든 영구 치아에서는 찾을 수 없지만, 부식하거나 손상된 치아에서는 상향 조절된다 (About et al., 2000).
네스틴-발현 성인 줄기 세포는 성숙한 하수체 전엽의 페리루미날 지역에서 검출되었으며, 유전자 유도 가능 예정 배엽도를 이용하여, 이들이 모든 6개의 완전 분화된 뇌하수체의 내분비 세포 유형 부분 집합의 발생에 기여한다고 밝혀졌다. 이러한 줄기 세포는, 기관 형성에 현저한 역할을 하지는 않지만, 출생 후의 확대를 경험하며 분화된 자손의 생성을 시작하며, 이들은 시초에는 태아의 전구체로부터 유도된 완전히 분화된 세포로 이루어 졌던 기관을 차지하기 시작한다 (Gleiberman et al., 2008).
핵 수용체 아과 2, 군 E, 멤버 1 ( NR2E1 )
NR2E1 (TLX)은 전사 인자로서 하류 대상 유전자의 히스톤 탈아세틸효소를 모집하여 그들의 전사를 억제하고, 다시 신경 줄기 세포 분열을 조절함으로써, 이는 신경 줄기 세포 분열과 자기 재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HDAC의 모집은 TLX, 사이클린-의존성 키나아제 억제제, p21(CIP1/WAF1) (p21), 및 종양 억제 유전자 PTEN 대상 유전자의 전사 억제를 불러일으킨다 (Sun et al., 2007). 분기하는 호메오박스 유전자의 TLX/HOX11 아과는 배발생의 다양한 측면에 연관되어 있으며, TLX1/HOX11 및 TLX3/HOX11L2의 경우에는, 두드러지게 인간 T-세포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의 종양 유전자로서의 역할을 한다 (Dixon et al., 2007). NR2E1은 망막 조직 프로그램의 기초가 되며 연장된 망막 형성 기간 동안의 망막 후계자의 올바른 숫자의 생성 및 신경교 세포의 생성을 제어한다 (Miyawaki et al., 2004). 아교모세포종 특정의 정보는 발견되지 않았다.
신경성 세포 결합 분자 ( NRCAM )
인간 NRCAM (Neuroglia related Cell Adhesion Molecule)은 다형성 아교모세포종 조직 (GMT)에서 정상 뇌 조직(NBT)과 비교했을 시 과발현된다. NRCAM은 앤키린과 상호 작용하는 싱글-패스 유형 I 트랜스멤브레인 단백질로 묘사가 된 바 있다. 안티센스 hNRCAM은 본래의 hNRCAM 발현의 감소를 초래하며, 세포 형태의 변화, 세포 분열률 감소 및 세포 사이클의 연장을 일으킨다. 더 나아가, 이러한 세포에서의 안티센스 hNRCAM 과발현은 광범위한 연질 한천 콜로니 숫자의 감소를 일으켰으며 생체 외에서 여분의 세포외 메트릭스 (ECM) 겔을 통한 침습을 일으켰다. 누드 쥐의 안티센스 hNRCAM의 피하 주사는 벡터로만 감염된 세포에 비교하였을 때 종양 형성의 완전한 억제를 일으켰다. 안티센스 hNRCAM 발현 플라스미드의 종양 직접 투여 역시 누드 쥐의 생체 안에서의 느린 종양 성장을 보였다 (Sehgal et al., 1999). 유전자-특이적 RT-PCR 분석은 hNRCAM이 정상 뇌 조직과 비교 시 높은 단계 성상세포종, 신경교종과 아교모세포종 조직에서 과발현됨을 나타냈다 (Sehgal et al., 1998). 면역 글로불린 항체-유사 세포 점착 분자군의 세포-세포간 점착 분자인 NRCAM은 신경 세포 발전과 안내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최근 인간 흑색종과 대장암 세포와 조직의 베타-카테닌 시그널링 표적 유전자로 식별되었다. 레트로바이러스로 매개되는 NRCAM의 섬유아세포로의 형질 도입은 세포 이동과 종양생성을 유도한다 (Conacci-Sorrell et al., 2005). NRCAM의 베타-카테닌 또는 플라코글로빈으로 인한 전사의 유도는 흑색종과 대장암의 종양 생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아마 이는 세포 성장과 운동을 촉진함으로 이루어 질 것이다 (Conacci-Sorrell et al., 2002). 또한 베타-카테닌 시그널링의 다른 표적 (예를 들면 MYC) 또한 상향 조절된다 (Liu et al., 2008). NrCAM은 인간 유두형의 갑상선암에서 mRNA와 단백질 수준에서 종양의 단계에 상관없이 과발현된다 (Gorka et al., 2007).
종양에서의 NRCAM mRNA의 과발현은 높은 분열정도와 관련되어 있고 뇌실막세포의 나쁜 결과와 관련이 있다 (Zangen et al., 2007).
포도플라닌 ( PDPN )
PDPN은 인간 조직에서 다양한 분포를 가지고 있는 뮤신-유사 유형-I 완전 세포막 당단백이다. 이는 암 세포 이동, 침습, 전이 및 악성 진행에 관련되어 있고, 혈소판 집합에 관련이 있다. CLEC-2는 가장 처음으로 식별된 포도플라닌의 병리 생리학적 수용체이다 (Kato et al., 2008). 115 아교모세포종이 면역조직화학법과 항-PDPN 항체를 이용하여 조사되었다. 아교모세포종의 47%가 PDPN을 표면 세포에서 발현하였으며, 특히 괴사성 부분과 분열하는 내피 세포 주변에서 발현되었다. 더 나아가, PDPN mRNA와 단백질 발현은 역형성 별세포종과 비교했을 때 아교모세포종에서 현저하게 높이 나타났으며 이는 PDPN 발현이 성상세포 종양의 악성화와 관련이 있을 수 있음을 제안한다 (Mishima et al., 2006). PDPN은 또한 다른 또 하나의 연구에서 아교모세포종의 82.9% (29/35)에서 발현되는 것으로 보여졌다 (Shibahara et al., 2006). 아교모세포종 세포주의 PDPN 발현과 혈소판-집합 활동을 조사하는 연구에서, LN319는 높은 수준으로 PDPN을 발현하고 혈소판 집합을 유도하였다. 높게 반응성이 있는 항-PDPN 항체인 NZ-1은 LN391에 의한 혈소판 집합을 중성화시켰으며, 이는 PDPN이 의해서 유도된 혈소판 집합의 주 이유인 것으로 제안한다 (Kato et al., 2006). 면역조직화학법으로 확인된 바와 같이 PDPN 유전자 발현 수준은 비-종양 백질아교모세포종에서 현저하게 높다 (Scrideli et al., 2008). PDPN은 특이적으로 배양 세포와 종양-관련 임파계 혈관신생 중, 임파계에서는 발현되나 혈관내피세포에서는 발현되지 않는다. PDPN이 일차적으로 정상 인간 표피에서는 부재하지만, 이의 발현은 28개 중 22개의 편평 세포 암종에서 강하게 유도되었으며, 이는 PDPN의 종양 진행의 역할을 제안한다 (Schacht et al., 2005). PDPN은 몇몇의 인간 종양에서 침습 전면에서 상향 조정된다. 배양된 인간 유방암 세포, 이자 베타 세포 종양 생성의 마우스 모델, 및 인간암 생검의 배양에서 PDPN 발현의 조사는 PDPN이 종양 세포 참략을 생체 내와 생체 외에서 촉진한다는 것을 보였다. PDPN은 작은 Rho군의 GTP 단백질의 활동을 하향조절함으로써 생기는 필로포디아로 인한 집단 세포 이동을 촉진한다. 결론적으로, PDPN은 외피-간엽조직 기원의 변천 부재 시, 종양 세포 침습의 대안 경로를 유도한다 (Wicki et al., 2006). PDPN 발현 수준은 대부분의 대장 종양 환자에서 강화되어 나타난다 (Kato et al., 2003). TGF-베타는 종양 세포에서 PDPN의 생리적인 조절기의 역할을 하도록 되어 있다 (Suzuki et al., 2008). PDPN은 식도, 폐, 간, 결장과 유방암 및 림프 내피 세포에서 유도된 암세포에서 발현된다 (Kono et al., 2007).
테네이신 C ( 헥사브라키온 ) ( TNC )
정상 뇌에서는 발현되지 않는 데에 반해 아교모세포종에서의 세포외 기질 당단백질 TNC의 발현 및 이의 아교모세포종-증식 내피 기저막과의 관계, 및 TNC가 신경 교종의 유용한 마커라는 것은 이미 1983년에 제안되었다 (Bourdon et al., 1983). 종양 진행 과정 중, 종양 조직의 ECM은 개조되며 혈관 생성 같이 중요한 단계를 포함한 종양 진행 과정에 더 유리한 환경을 제공한다 (Carnemolla et al., 1999). TNC는 높은 증식 지수를 가지고 있는 종양 혈관에서 과발현되며 이는 TNC가 종양 혈관 신생에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Kim et al., 2000). 종양에서 TNC-발현은 저산소증에 인해 유도될 수 있다 (Lal et al., 2001). TNC 유도는 TGF-베타에 의해 매개되며, 이는 높은 단계의 신경 교종의 건강한 실질조직으로의 침범의 메커니즘을 제공한다(Hau et al., 2006). 또한, TNC 과발현은 테네이신-C 유전자 프로모터의 가스트린에 의한 특정한 유도의 결과이며, 이는 현저하게 인간 교야종 세포의 이동을 조정한다 (Kucharczak et al., 2001). TNC는 트로포미오신-1을 하향 조절하고 따라서 액틴 스트레스 섬유를 안정화시킨다. 이는 또한 Wnt 억제제 Dickkopf1을 하향 조절한다. 감소된 트로포미오신-1 발현과 증가된 Wnt 시그널링이 종양 생성과 변형에 밀접히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TNC는 특이적으로 이런 시그널링 경로를 조정하여 신경교종 세포의 증식을 강화시킨다 (Ruiz et al., 2004).
종양-공급 혈관 주위의 TNC의 혈관 주위 염색이 아교모세포종 조직에서 발견되었고 WHOII와 III 아교모세포종에서는 TNC 염색이 더 낮은 빈도로 관찰되었으며, 이는 TNC 염색의 강도가 종양 단계와 서로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나타내며, 가장 강한 염색이 나쁜 예후를 나타낸다 (Herold-Mende et al., 2002; Zukiel et al., 2006). 가장 높은 TNC-발현이 종양을 감싸고 있는 결합 조직에서 관찰된다 (Chiquet-Ehrismann and Tucker, 2004). TNC는 또한 뇌실인접 구역 (SVZ) 내의 줄기 세포의 생태적 지위의 생성에 기여하며, 성장 인자 시그널링을 조정하여 신경계 줄기 세포의 발달을 가속화한다. TNC는 신경 줄기 세포에서의 EGFR의 적절한 발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이는 FGF2 시그널링을 강화시킨다. TNC의 SVZ에 있는 세포에 끼치는 두드러진 영향은 발달 진행의 조절이다 (Garcion et al., 2004). TNC는 규제된 인간 NSC 이동 (촉각주성)의 가장 강한 유도자이다. 종양-유도 ECM은 따라서 파종성의 종양 세포의 NSC 향성의 허용적 환경을 제공한다 (Ziu et al., 2006).
TNC 경로는 또한 포유동물의 종양 성장과 전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MDA-MB-435 세포에서의 TNC 봉쇄 또는 압도는 세포 이동과 부착-비의존성 세포 증식의 현저한 손상을 불러일으킨다. 감소된 TNC 발현을 가지고 있는 클론 MDA-MB-435 세포가 주입된 생쥐에서 원발성 종양 성장의 현저한 감소와 원발성 종양의 외과적 제거 후 종양 재발의 감소를 보였으며 폐 전이의 낮은 빈도를 보였다 (Calvo et al., 2008).
서바이빈 ( BIRC5 )
BIRC5 (서바이빈)의 발현, 아포토시스 단백질 (IAP) 억제제 종족의 일원은 성인 정상 차별화된 조직에서 크게 감소된 발현으로 태아 조직과 다양한 인간 암에서 특히 그들의 증식 지수가 낮을 때 상승한다. 서바이빈은 세포 증식과 세포 사멸 둘 다 조절할 수 있는 것 같다. 서바이빈이 보통 세포 암 영역에 자리잡고 암의 부족한 예후와 관련되어 있지만, 핵 영역화, 바람직한 예후의 지표 역시 보고되었다 (O'Driscoll et al., 2003). 서바이빈의 및 서바이빈에 의한 조절은 여러 메커니즘으로 설명되었다. 서바이빈은 분자 보호자 Hsp60과 관련되어 있는 것 같다. 생체 내, Hsp60은 일치하는 정상 조직에 비해서 기본 인간 종양에서 풍부하게 발현된다. 작은 간섭 RNA에 의한 Hsp60의 급성 절제는 서바이빈의 미토콘드리아 집단을 불안정하게 하고, 미토콘드리아 기능 장애를 유도하며 카스파제-종속적인 아포토시스 (Ghosh et al., 2008)를 활성화시킨다. 또한, Ras 억제는 아포토시스에 서바이빈 "브레이크"의 방출과 미토콘드리아 세포사멸 통로의 활성화 결과를 낳는다. 특히 아교모세포종에서, 아포토시스에 대한 저항은 서바이빈을 목표로 하는 Ras 억제제에 의해 폐지될 수 있다 (Blum et al., 2006). 또한 신경 교종에서의 NF-kappaB 과다 활동과 NF-kappaB 목표 유전자의 하나인 서바이빈의 과다 발현에는 상관 관계가 있는 것 같다. 그러므로, NF-kappaB-활성화된 항-세포사멸 유전자는 종양 샘플에서 과다 발현된다. 특히 아교모세포종에서, 아주 높은 서바이빈 발현 수준이 발견된다 (Angileri et al., 2008). 뇌 신경 교종에서 서바이빈 과발현은 악성 증식, 항-아포토시스와 앤지오제네시스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도 있다고 암시된다 (Zhen et al., 2005; Liu et al., 2006). 서바이빈 발현과 아교모세포종에서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여러 가지 분석이 수행되었다. 요약하면, 서바이빈 발현, 특히 핵 및 성상세포 종양의 세포질에서의 동시 발현은 악성 단계와 (아교모세포종에서 가장 높은 서바이빈 발현과) 서바이빈-음성 종양을 가진 환자들에 비해 더 짧은 전반적인 생존 시간과 상당히 관련되어 있었다 (Kajiwara et al., 2003; Saito et al., 2007; Uematsu et al., 2005; Mellai et al., 2008; Grunda et al., 2006; Xie et al., 2006; Sasaki et al., 2002; Chakravarti et al., 2002).
서바이빈-과발현은 다른 종양 실체에 대해서도 설명된다. 유방암에서, 서바이빈 발현은 더 높은 단계와 더 짧은 질병 없는 생존과 관련되어 있다 (Yamashita et al., 2007; Al-Joudi et al., 2007; Span et al., 2004). 식도암 세포주에서, 서바이빈의 촉진자 활동이 정상 조직에서보다 28.5배 높은 것으로 보여졌다 (Sato et al., 2006). 대장암에서, 서바이빈 발현은 또한 병리학적 단계와 림프절 전이 (Tan et al., 2005)와 관련되었다. 투명 세포 신장 세포 선암의 공격성은 서바이빈 발현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여졌다. 또한, 서바이빈의 발현은 암-특이적 서바이빈과 반비례한다 ((Kosari et al., 2005). 서바이빈 발현은 정상 피부가 아닌 각질형성세포암과 다세포 분열 질환 피부 병변의 패널에서 발견될 수 있다 (Bowen et al., 2004). 췌장암 세포주에서, 서바이빈은 시험된 세포주의 58%에서 증폭되었다 ((Mahlamaki et al., 2002). 편평상피 세포 선암에서, 서바이빈 발현은 더 공격적이고 침락적인 임상 표현형이 있는 경우를 식별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Lo et al., 2001).
서바이빈이 암 치료에 촉망되는 목표이기 때문에, 서바이빈-유도된 펩티드를 사용한 연구는 서바이빈이 종양 환자에서 CD8+ T 세포-매개 반응을 유도하여 면역적이라는 것을 보였다. 또한, 서바이빈은 같은 환자의 말초 혈액 림파구의 CD4+ T-세포 반응성을 특이적으로 자극했다 (Casati et al., 2003; Piesche et al., 2007).
서바이빈 (SVN, BIRC)은 암 단체의 다수에서 과발현된다. 그러므로, 일반적으로, 서바이빈의 과발현은 더 짧은 전반적인 생존과 더 높은 악성 단계에 관련된다고 생각된다.
본 발명은 더 나아가 아교모세포종의 예후에 사용될 수 있는 특정한 마커 단백질에 관한 것이다. 또한, 이 본 발명은 이러한 암 치료의 새로운 목표에 대한 사용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서 제공된 바와 같이, 단백질 GFAP, FABP7, DTNA, NR2E1, SLCO1C1, CHI3L1, ACSBG1, IGF2BP3, NLGN4X, MLC1, NRCAM, BCAN, EGFR, PDPN, NES, 및 CLIP2는 정상 뇌와 다른 주요 조직 (예, 간, 신장, 심장)에 비교했을 때, 강하게 아교모세포종에서 과발현된다. 이 GRP56, CSPG4, NRCAM, TNC, BIRC5, CLIP2, NES, PDPN, EGFR, BCAN, GRIA4 단백질은 악성 변형, 세포 성장, 증식, 혈관 생성 또는 정상 조직으로의 침습 등에 관련이 있으므로 종양 생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NES, TNC, BIRC5, EGFR 단백질은 아교모세포종의 암 줄기 세포 또는 줄기 세포 생태적 지위와 관련이 있다. 암줄기 세포는 종양 세포 소집단으로서 지속된 종양 성장에 필요한 자가 갱신의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이 세포는 암줄기 세포의 자가 갱신의 유지를 위해 필요한 암 줄기 세포 생태적 지위라고 알려져 있는 특수화되고 고도로 조직화된 구조에서 존재한다. 종양에서의 BIRC5, NRCAM, IGF2BP3 단백질의 과발현은 환자들의 나쁜 예후와 만성 질환 단계와 관련이 있다.
BCA, CLIP2, DTNA, NLGNAX, NR2E1, NRCAM 및 PDPN은 신경계의 종양 성장에 필요한 조직 리모델링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밝혀졌다. 따라서, BCA, CLIP2, DTNA, NLGNAX, NR2E1, NRCAM 및 PDPN의 과발현은 아교모세포종을 다른 형태의 암에서부터 분리하는 마커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인간인, 아교모세포종을 가지고 있는 동물을 식별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 구현의 가능성은 80% 내지 100%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방법은 동물에서 얻어진 종양 샘플에서 BCA, CLIP2, DTNA, NLGNAX, NR2E1, NRCAM 및 PDPN 단백질 중의 하나 이상의 수준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현에서, 샘플은 근치적 수술에 의해서 얻어진다. 다른 구현에서는, 샘플은 경피경침생검으로 얻어진다.
BCA, CLIP2, DTNA, NLGNAX, NR2E1, NRCAM 또는 PDPN의 수준이 같은 견본의 외피 세포에 비교할 시, 20% 또는 그 이상으로 상향 조절되었다고 결정될 때, 동물 피실험자는 아교모세포종을 가지고 있는 확률이 높다고 식별된다.
BCA, CLIP2, DTNA, NLGNAX, NR2E1, NRCAM, 및 PDPN을 포함하는 군 중에 더욱 많은 다른 단백질이 상향 조절되었을 시, 동물 피실험자가 아교모세포종을 가지고 있는 확률은 더 높아진다.
하나의 구현에서, BCA, CLIP2, DTNA, NLGNAX, NR2E1, NRCAM 또는 PDPN 수준의 결정은 동일 반응계에서 실행된다. 다른 구현에서는, BCA, CLIP2, DTNA, NLGNAX, NR2E1, NRCAM 또는 PDPN 수준의 결정은 생체 외에서 실행된다. 또 다른 구현에서 BCA, CLIP2, DTNA, NLGNAX, NR2E1, NRCAM 또는 PDPN 수준의 결정은 생체 안에서 실행된다. 바람직한 구현에서, BCA, CLIP2, DTNA, NLGNAX, NR2E1, NRCAM 또는 PDPN 수준의 결정은 웨스턴 블롯과 결합된 레이저 캡쳐 현미경법으로 실행된다.
특정한 구현에서, BCA, CLIP2, DTNA, NLGNAX, NR2E1, NRCAM 또는 PDPN 수준의 결정은 BCA, CLIP2, DTNA, NLGNAX, NR2E1, NRCAM 또는 PDPN에 특이적인 항체를 사용하여 실행된다. 다른 구현에서, BCA, CLIP2, DTNA, NLGNAX, NR2E1, NRCAM 또는 PDPN 수준의 결정은 BCA, CLIP2, DTNA, NLGNAX, NR2E1, NRCAM 또는 PDPN을 인코딩하는 mRNA에 특이적인 프라이머를 이용한 PCR을 통해 실행된다. 또 다른 구현에서, BCA, CLIP2, DTNA, NLGNAX, NR2E1, NRCAM 또는 PDPN 수준의 결정은 BCA, CLIP2, DTNA, NLGNAX, NR2E1, NRCAM 또는 PDPN을 인코딩하는 mRNA에 대한 뉴클레오타이드 프로브를 사용하여 실행된다. 하나의 구현에서, BCA, CLIP2, DTNA, NLGNAX, NR2E1, NRCAM 또는 PDPN 수준의 결정은 노던 블롯을 사용하여 실행된다. 다른 구현에서, BCA, CLIP2, DTNA, NLGNAX, NR2E1, NRCAM 또는 PDPN 수준의 결정은 리보핵산분해효소보호검색법을 사용하여 실행된다. 다른 구현에서, 효소 면역법 (ELISA), 표지면역검정법 (RIA)과 같은 면역 실험, 및 (피, 혈청, 가래, 소변 또는 복막액 등과 같은) 체액 샘플의 BCA, CLIP2, DTNA, NLGNAX, NR2E1, NRCAM과 PDPN의 폴리펩티드를 검출하기 위해 웨스턴 블롯을 사용할 수도 있다. 난소, 림프마디, 난소 표면 외피 세포 긁음 샘플, 폐 생검, 간 생검, 및 세포를 포함하는 복막액, 가래, 및 흉막 삼출 등과 같은 체액 등과 같은 생검, 조직 샘플 및 세포 샘플은 자족적인 단위로 분산화시키거나 조직 또는 세포의 샘플을 액체화시키고 이를 폴리펩티드 검출을 위한 ELISA, RIA, 또는 웨스턴 블롯과 같은 면역분석법을 사용하여 실험할 수 있다. 이러한 세포 또는 조직의 샘플은 역 전사 중합 효소 반응 (RT-PCR) 증폭, 노던 혼성화, 또는 슬롯- 또는 돗-블롯팅 등의 핵산 기반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될 수도 있다. 조직 샘플 내의 종양 세포의 분포를 시각화하기 위해서는, 샘플의 조직 구조를 보존하는 예를 들면, 면역조직 염색, 동일 반응계 RNA 교배 또는 동일 반응계 RT-PCR 등을 포함한 진단 실험이 사용되어 아교모세포종 마커 폴리펩티드 또는 mRNA를 검출할 수 있다. 종양의 생체 내 위치를 알아내기 위해서는, 대상에게 BCA, CLIP2, DTNA, NLGNAX, NR2E1, NRCAM 또는 PDPN의 폴리펩티드 (특히, 세포 표면 위치 폴리펩티드)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상자성 추적기 또는 영상 방법에 따른 적당한 다른 검출이 가능한 부분과 접합되었거나 결합이 된, 항체를 주입한 후 자기 공명 화상법 (MRI) 등의 영상 실험을 사용할 수 있으며, 대안적으로는 비표지 종양 마커-특이적 항체는 검출이 가능한 부분과 결합된 2차적인 항체를 사용하여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은 더 나아가 BCA, CLIP2, DTNA, NLGNAX, NR2E1, NRCAM 및/또는 PDPN 폴리펩티드, 및 이들의 기능적, 단백분해성 및 항원성 단편을 포함하는 키메릭/융합 단백질/펩티드를 제공한다.
혼성 분자의 융합 파트너 또는 부분은 CD4+ T-세포를 자극하기 위한 적당한 에피톱을 제공한다. CD4+ 자극 에피톱은 이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으며 파상풍 톡소이드에서 식별된 것을 포함한다. 더 바람직한 구현에서 펩티드는 융합 단백질이며, 특히 N-말단 HLA-DR 항원-결합 불변 쇄 (Ii)의 아미노산을 포함한다. 하나의 구현에서 본 발명의 펩티드는 인간 부분이 하나 이상의 발명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한 결절인 인간 단백질 또는 단백질 부분의 융합 단백질이고 다른 폴리펩티드 부분이다.
BCA, CLIP2, DTNA, NLGNAX, NR2E1, NRCAM 또는 PDPN 폴리펩티드에 대한 항체, BCA, CLIP2, DTNA, NLGNAX, NR2E1, NRCAM 또는 PDPN 폴리펩티드의 키메릭/융합 단백질에 대한 항체, 및 BCA, CLIP2, DTNA, NLGNAX, NR2E1, NRCAM 또는 PDPN 폴리펩티드 단편에 대한 단백 분해성, 항원성 단편 및 이러한 단편을 포함한 키메릭/융합 단백질/펩티드를 포함한 것들 또한 본 발명의 부분이다. 또한, 이러한 항체를 사용하여 특히 아교모세포종의 암의 예후를 알아내는 것 역시 본 발명의 한 부분이다.
본 발명의 항체는 다클론 항체, 단클론 항체 및/또는 키메릭 항체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단클론 항체 불사 세포주 또한 본 발명의 한 부분이다.
이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인은, 종양 마커인 BCA, CLIP2, DTNA, NLGNAX, NR2E1, NRCAM 또는 PDPN의 발현이 높으면 높을수록 아교모세포종 환자의 예후는 더 나쁜 것을 의미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상대적으로 높은 BCA, CLIP2, DTNA, NLGNAX, NR2E1, NRCAM 또는 PDPN의 발현 수준은 상대적으로 큰 원발성 종양, 더 높은 종양 부담 (예, 더 많은 전이), 또는 상대적으로 높은 악성종양 표현형을 나타낼 수도 있다.
BCA, CLIP2, DTNA, NLGNAX, NR2E1, NRCAM 및 PDPN을 포함하는 군의 더 많은 단백질의 과발현이 있을수록, 환자의 예후는 더 나쁘다.
발명의 진단 및 예후 방법은 다음과 같은 알려진 방법을 사용한다. 예, BCA, CLIP2, DTNA, NLGNAX, NR2E1, NRCAM 및 PDPN 폴리펩티드를 검출하기 위한 항체-기반 방법 및 핵산 교배- 및/또는 증폭-기반 BCA, CLIP2, DTNA, NLGNAX, NR2E1, NRCAM 및/또는 PDPN mRNA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들을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빠른 종양 세포 파괴가 종종 자기 항체의 생성을 유도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아교모세포종 종양 마커는 환자의 BCA, CLIP2, DTNA, NLGNAX, NR2E1, NRCAM 또는 PDPN에 대한 자기항체를 검출하기 위해 혈청학적 분석법에 사용될 수도 있다 (예, 환자의 혈정의 ELISA 실험). BCA, CLIP2, DTNA, NLGNAX, NR2E1, NRCAM 및 PDPN 폴리펩티드-특이적 자기항체 수준은 대조군 샘플과 비교했을 때 적어도 3배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5배 이상 또는 7배 이상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10배 이상 또는 20배 이상) 높은 것이 아교모세포종의 존재를 표시한다.
세포-표면에 위치한, 세포 내의, 및 분비된 BCA, CLIP2, DTNA, NLGNAX, NR2E1, NRCAM 및 PDPN 폴리펩티드는 모두 생검, 예컨대 조직이나 세포 샘플 (복막강의 삼출액 등을 포함하하지만 액체 샘플에서 얻어진 세포 포함)의 분석을 위해 사용되어 아교모세포종 세포를 포함하는 조직이나 세포를 식별할 수 있다. 생검은 손상 조직 또는 전체 세포 샘플로써 분석될 수 있거나, 조직 또는 세포 샘플은 특정한 진단 실험의 유형에 맞추어 세분화되거나/되고 액체화되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생검 또는 샘플은, 예컨대, 면역조직화학, 동일 반응계 mRNA 교배, 또는 동일 반응계 RT-PCR을 사용하는, BCA, CLIP2, DTNA, NLGNAX, NR2E1, NRCAM 및 PDPN 폴리펩티드 또는 mRNA 수준의 동일 반응계 분석을 위한 전체-조직 또는 전체-세포 분석이 사용될 수 있다. . 당해 분야의 숙련자는 ELISA, 면역블로팅 검사법, 또는 이와 동급의 방법 등의 면역적 방법을 사용한 폴리펩티드 또는 mRNA 수준을 분석, 또는 RT-PCR, 노던 교배, 또는 슬롯- 또는 돗-블롯팅 등을 이용한 핵산-기반 분석 방법을 사용한 mRNA 수준 분석을 사용한 조직 또는 세포의 과정을 이해할 것이다.
BCA , CLIP2 , DTNA , NLGNAX , NR2E1 , NRCAM PDPN 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키트
본 발명은 환자의 아교모세포종 마커 유전자로서 증가된 BCA, CLIP2, DTNA, NLGNAX, NR2E1, NRCAM 및 PDPN의 발현 수준을 검출하기 위한 키트를 제공한다. 아교모세포종 마커 폴리펩티드를 검출하는 데 사용되는 키트는 바람직하게는 선택된 아교모세포종 마커 폴리펩티드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를 포함한다. 아교모세포종 마커 mRNA를 검출하는 키트는 바람직하게는 하나 또는 이상의 BCA, CLIP2, DTNA, NLGNAX, NR2E1, NRCAM 및 PDPN mRNA와 특이적으로 교배하는 핵산을 포함한다 (예, 하나 이상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또는 프로브, DNA 프로브, RNA 프로브, 또는 RNA 프로브를 생성하기 위한 주형).
특히, 항체-기반 키트는 또한 항체 또는 이들의 면역반응적 단편에 특이적으로 결합된 BCA, CLIP2, DTNA, NLGNAX, NR2E1, NRCAM 및/또는 PDPN 폴리펩티드의 존재의 검출 및/또는 수준을 측정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키트는 항원에 반응하는 항체와 이 항체와 항원의 반응을 검출하는 데 사용되는 시약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키트는 ELISA 키트일 수 있고, 필요할 경우, 대조군 (예컨대, 특정량의 특정 아교모세포종 마커 폴리펩티드) 1차 및 2차 항체, 및 위에서 묘사된 바와 같은 검출이 가능한 물질, 효소 기질 및 색상 시약과 같은 임의의 필요한 시약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진단 키트는 대체적으로 보통 여기서 설명된 바와 같이 조성물과 시약을 포함한 면역 블롯 키트일 수도 있다.
핵산-기반 키트는 조직 또는 세포 생검 샘플의 BCA, CLIP2, DTNA, NLGNAX, NR2E1, NRCAM 및 PDPN의 mRNA 수준을 검출 및/또는 측정함으로써 BCA, CLIP2, DTNA, NLGNAX, NR2E1, NRCAM 및 PDPN의 발현 수준을 검출 및/또한 측정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RT-PCR 키트는 증가된 BCA, CLIP2, DTNA, NLGNAX, NR2E1, NRCAM 및 PDPN의 발현을 검출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아교모세포종 마커 mRNA의 역전사를 실행하여 cDNA를 생성하고 아교모세포종 마커 cDNA의 PCR 증폭하는 데에 충분한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를 포함하고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또한 적당한 양자화를 위한 음성, 양성 및 내부 대조군을 실행하기 위한 PCR 템플릿 분자와 프라이머를 포함한다. 이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역전사와 PCR 반응을 실행하기 위해 어떻게 적당한 프라이머를 선택할 수 있는지, 및 어떤 적당한 대조군 반응을 실행해야 되는지를 이해할 것이다. 이에 대한 안내는 예를 들면 문헌 [F. Ausubel et al., Current Protocols in Molecular Biology, John Wiley & Sons, New York, N.Y., 1997] 등에서 찾을 수 있다. 다수의 이형의 RT-PCR이 이 분야에서 알려져 있다. 항체 독소의 BCA, CLIP2, DTNA, NLGNAX, NR2E1, NRCAM 및 PDPN으로의 특정 부의 전달이 아교모세포종의 치료와 예방의 치료 목표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면에 위치한 BCA, CLIP2, DTNA, NLGNAX, NR2E1, NRCAM 및 PDPN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분자는 방사성 동위 원소 또는 다른 독소 화합물과 결합될 수 있다. 항체 결합체는 대상에서 주입되어 항체가 동족의 아교모세포종 세포에 결합할 수 있게 하며, 이에 의해 난소암을 치료하게 된다.
치료 부분은 독소, 방사성 동위 원소, 약, 화학약품 또는 단백질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문헌 [Bera et al. "Pharmacokinetics and antitumor activity of a bivalent disulfide-stabilized Fv immunotoxin with improved antigen binding to erbB2" Cancer Res. 59:4018-4022 (1999)] 참조). 예를 들면, 항체는 박테리아 독소 (예, 디프테리아 독소, 슈도모나스 세균외 독소 A, 콜레라 독소) 또는 식물 독소 (예, 리신 독소)와 결합되거나 연결되어 독소를 BCA, CLIP2, DTNA, NLGNAX, NR2E1, NRCAM 및 PDPN을 발현하는 세포로 표적화 전달될 수 있다. 이 면역독소는 세포로 전달될 수 있으며 세포 표면-위치 아교모세포종 마커 펩티드와 결합함으로써, 아교모세포종 마커-특이적 항체에 결합된 독소는 세포로 전달된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측면은 HLA-제한 항원 (아래에서 "복합체-특이적 항체"로 지정되는)과 복합체화된 인간 주요 조직 적합 유전자 복합체 (MHC) 클래스 I 또는 II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와 관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HLA-제한 항원과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복합체화된 인간 주요 조직 적합 유전자 복합체 (MHC) 클래스 I 또는 II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를 생산하는 방법에 관련되고, 상기 방법은 앞에서 언급한 인간 주요 조직 적합 유전자 복합체 (MHC) 클래스 I 또는 II를 발현하는 세포를 포함하는 유전자 조작된 비-인간 포유동물을 앞에서 언급한 HLA-제한 항원과 복합체화된 MHC 클래스 I 또는 II 분자의 가용성 형태로 면역화시키는 단계; mRNA 분자를 언급한 비-인간 포유동물의 항체를 생성하는 세포로부터 단리하는 단계; 언급된 mRNA 분자에 의해 인코딩된 단백질 분자를 표시하는 파지 디스플레이 라이브러리를 생산하는 단계; 및 언급된 파지 디스플레이 라이브러리에서 하나 이상의 파지를 단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파지는 언급된 HLA-제한 항원과 복합체화되는 인간 주요 조직 적합 유전자 복합체 (MHC) 클래스 I 또는 II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언급된 항체를 표시한다. 이런 항체의 생산을 위한 도구 뿐 아니라 그런 항체와 단일 체인 클래스 I 주요 조직 적합 유전자 복합체를 생산하는 각각의 방법은 WO 03/068201, WO 2004/084798, WO 01/72768, WO 03/070752, 및 문헌 [Cohen CJ, Denkberg G, Lev A, Epel M, Reiter Y. MHC-제한적, 펩티드-특이적, T-세포 수용체 같은 특징과의 재조합성 항체 항원 표시와 TCR-펩티드-MHC 상호 작용을 연구하는 새로운 도구. J Mol Recognit. 2003 Sep-Oct;16(5):324-32], 문헌 [Denkberg G, Lev A, Eisenbach L, Benhar I, Reiter Y. 흑색종 분화 항원을 향한 TCR-같은 특징과 재조합적인 항체를 이용한 선택적인 흑색종과 APC의 목적. J Immunol. 2003년 9월 1;171(5):2197-207] 및 문헌 [Cohen CJ, Sarig O, Yamano Y, Tomaru U, Jacobson S, Reiter Y. MHC 클래스 1 항원 표시의 직접적인 표현형 분석 시각화, 정량 및 펩티드-특이성을 이용한 인간 바이러스 에피톱 동일 반응계 감지, MHC-제한 인간 재조합적 항체. J Immunol. 2003 Apr 15;170(8):4349-61]에 공개되어 있고, 이들은 모두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이들의 전체내용이 참고로서 혼입되어 있다.
가급적, 20 나노몰, 더 가급적으로 10 나노몰 이하의 결합 친화력으로 항체가 복합체에 결합하는 것은 본 발명의 문맥에서 "특이적"이라고 간주된다.
용어 "항체"는 여기에서 광범위한 의미로 사용되며, 다클론 및 단클론 항체를 둘 다 포함한다. 손상되지 않은 면역 글로불린 항체 분자 뿐만 아니라, 용어 "항체"에 포함되어 있는 것은 그런 면역 글로불린 항체 분자와 여기서 설명된 원하는 특성 (예를 들면, 위에서와 같은 복합체-특이적 항체인 것, 높아진 수준의 암 마커 유전자를 나타내는 암 세포에 독성 전달, 및/또는 서바이빈 같은 암 마커 폴리펩티드의 활동 억제)을 보이는 한 인간화된 버전의 면역 글로불린 항체 분자들의 단편 또는 중합체이다.
또한, 특정한 리간드 (예, 세포 표면-위치 단백질에 결합하는 리간드)를 가지고 있는 BCA, CLIP2, DTNA, NLGNAX, NR2E1, NRCAM 및 PDPN 폴리펩티드에서는, 위에서 묘사된 바와 같이 리간드가 항체 대신에 독성 화합물을 아교모세포종 세포로 목표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발명의 항체는 커머셜 소스에서 구입해야 한다. 본 발명의 항체는 잘 알려진 방법을 통해서 만들어 질 수도 있다. 이 분야의 기술자는 전장 아교모세포종 마커 폴리펩티드 또는 부분이 본 발명의 항체를 만드는 데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항체를 생성하는 데에 사용될 폴리펩티드는 자연적인 원천에서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정제될 수 있으며, 또는 재조합 DNA 기술을 이용하에 만들어 질 수도 있다. 예를 들면 BCA, CLIP2, DTNA, NLGNAX, NR2E1, NRCAM 또는 PDPN 폴리펩티드 또는 그의 부분을 인코딩하는 cDNA는 원핵 세포 (예, 박테리아) 또는 진핵 세포 (예, 효모, 곤충 또는 포유동물 세포)에서 발현될 수 있으며, 재조합 단백질은 그 후 정제되고 아교모세포종 마커 폴리펩티드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단클론 또는 다클론 항체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당해 분야의 기술자는 단일 세포 또는 다세포성 항체의 2개 이상의 생성은 목적 (예를 들면, ELISA, 면역 조직 화학, 생체 내 영상법, 면역 독성 치료)에 필요한 특이성과 친화력이 있는 항체를 획득할 수 있는 가능성을 최대화하는 것을 알고 있다. 항체는 그들의 원하는 활동에 대해 알려진 방법으로 항체가 사용될 목적에 따라 실험된다 (예, ELISA, 면역 조직 화학, 면역 치료 등 항체 생산과 실험에 대한 더 자세한 사항을 위해서는 예를 들어 문헌 [Harlow and Lane, Antibodies: A Laboratory Manual,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Cold Spring Harbor, N.Y., 1988]을 참조한다). 예를 들면, 항체는 ELISA 분석, 웨스턴 블롯, 포말린-고정 암 샘플 또는 냉동 조직 절편의 면역 조직화학 염색으로 실험될 수 있다. 이러한 생체 외 최초 특성화 후, 치료의 목적 또는 생체 내 진단의 목적을 가진 항체는 알려진 임상 실험 방법에 따라 실험된다.
"단클론 항체"라는 용어는 여기서 대체로 균등질 항체 개체군에서 획득이 된 것을 말한다. 즉, 이 개체군이 포함하는 각각의 항체는 자연적으로 일어날 수 있는 소수의 돌연변이체를 제외하고는 동일하다. 단클론 항체는 여기서 특히 중쇄 및/또는 경쇄의 한 부분이 특정한 종 또는 특정한 항체 클래스 또는 서브클래스에서 유도된 항체의 서열과 상응하거나 일치하고, 쇄의 나머지 부분은 다른 종 또는 다른 항체 클래스 또는 서브클래스에서 유도된 항체, 및 이러한 항체의 단편의 서열과 상응하거나 일치하고, 희망하는 상반되는 활동성을 보여주는 "키메릭(chimeric)" 항체를 포함한다 (미국 특허 4,816,567).
본 발명의 단클론 항체는 하이브리도마 방법을 사용하여 준비될 수 있다. 하이브리도마 방법에서는, 생쥐 또는 다른 적당한 숙주 동물이 보통 면역성을 주는 작용제에 의해 면역되어, 면역성을 주는 작용제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를 생산하거나 이를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는 림프구를 유도해 낸다. 다른 방법으로는, 림프구는 생체 외에서 면역화될 수도 있다.
단클론 항체는 미국 특허 4,816,567에서 묘사된 바 있는 재조합 DNA 방법으로 만들어 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단클론 항체를 인코딩하는 DNA는 손쉽게 단리되고 전통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염기 서열 분석이 가능하다 (예, 마우스 유래 항체의 중쇄 및 경쇄를 인코딩하는 유전자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로브를 사용함으로써).
생체 외 방법 또한 1가 (monovalent)의 항체를 준비하는 데에 적당하다. 이 분야에서 잘 알려진 방법을 사용하여 항체를 절편화시켜 항체의 단편을 특히 여기서는 Fab 단편을 생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파파인을 사용하여 절편화가 이루어 질 수 있다. 이 파파인 절편화의 예는 WO 94/29348 (1994년 12월 22일 공개) 및 미국 특허 4,342,566에 묘사되어 있다. 항체의 파파인 절편화는 각각 하나의 항원 결합 위치 및 남은 Fe 단편을 포함한 Fab 단편의 동일한 2개의 항원 결합 단편을 생산한다. 펩신 치료는 2개의 항원 결합 위치를 가지고 있으며 여전히 교차 결합의 능력을 가지고 있는 단편을 만든다.
항체 단편도, 이가 다른 서열과 붙어 있든 그렇지 않든 간에, 이 단편의 활동력이 변경되지 않은 항체 또는 항체 단편에 비교할 시, 현저하게 바뀌거나 손상이 되지 않는 한, 삽입, 삭제, 치환, 또는 특정한 위치의 또는 특정한 아미노산 잔기의 다른 선택된 변경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은 이황화물 결합의 능력이 있는 아미노산의 제거/추가, 생물적 생명의 증가, 분비 특징의 변화 등의 추가적인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도, 항체 단편은 결합성, 결합 도메인에서의 결합 조정 등의 생물작용 성질을 소유하고 있어야 한다. 항체의 기능적인 또는 활동적인 범위는 단백질의 특정한 지역의 돌연변이 생성, 발현 및 이 발현된 폴리펩티드의 실험에 의해 확인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이 분야의 기술자가 손쉽게 알 수 있는 기술이며 이는 항체 단편을 인코딩하는 핵산의 위치-특이적 돌연변이 생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체는 인간화된 항체 또는 인간 항체를 더 나아가 포함할 수도 있다. 인간화된 형태의 비-인간 (예, 쥣과 동물) 항체는 최소의 비-인간 면역글로불린 항체에서 유도된 서열을 포함하는 키메릭 면역글로불린 항체, 면역글로불린 쇄 또는 이들의 단편(Fv, Fab, Fab' 또는 다른 항체의 항원 결합의 결과)이다. 인간화된 항체는 상보성 결정 영역 (complementary determining region (CDR))의 잔기가 생쥐, 쥐 또는 토끼와 같은 비-인간 종(공여 항체)의 CDR의 잔유물로 바뀐 요구되는 특이성, 친화력 및 수용력을 가진 인간 면역글로불린 (수용 항체)이다. 몇몇의 예에서는, 인간 면역글로불린의 Fv 구조 (FR) 잔기가 상응하는 비-인간 잔기로 교체된다. 인간화된 항체는 수용 항체 또는 수입된 CDR 또는 구조 서열의 어디에서도 찾을 수 없는 서열을 포함하기도 한다. 보통, 인간 항체는 변이성 도메인을 하나 이상 또는 거의 대부분 2개를 포함하며, 모든 또는 실질상 모든 CDR 범위는 비-인간 면역글로불린에 상응하고 모든 또는 실질상 모든 구조 범위는 인간 면역글로불린 일치 서열이다. 인간화된 항체는 이상적으로 적어도 보통 인간 면역글로불린의 면역글로불린 불변 범위 (Fc)의 한 부분 또한 포함할 것이다.
이 분야에서 비-인간 항체를 인간화하는 방법은 잘 알려져 있다. 보통, 인간화된 항체는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가 비-인간 근원에서 이에 도입된다. 이 비-인간 아미노산 잔기는 종종 "수입" 잔기라고 일컬어지며, 이는 대게 "수입" 변수 도메인에서 출처한다. 인간화는 본질적으로 설치류의 CDR 또는 상응하는 인간 항체 서열의 CDR 서열을 인간의 것으로 교체하는 것으로 실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인간화된" 항체는 실질적으로 전체보다 적은 인간 변수 도메인이 상응하는 비-인간 종의 서열로 교체된, 키메릭 항체 (미국 특허 4,816,567)이다. 실제적으로, 인간화된 항체는 보통 몇몇의 CDR 잔기 및 가능하게는 몇몇의 구조 잔기가 설치류의 유사한 영역의 잔기와 대체된 인간 항체이다.
면역되었을 때, 내생의 면역글로불린 생성이 없는 중에 전체 인간 항체를 생산할 수 있는 유전자이식 동물(예, 생쥐)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키메릭 배선 돌연변이 생쥐의 항체의 중쇄 결합 영역 유전자 동형 삭제는 내생 항체 생산의 완전한 억제 결과를 가져온다. 이러한 배선 돌연변이 생쥐로의 인간 배선 면역글로불린 유전자 정렬의 전달은 항원이 존재할 때 인간 항체 생산의 결과를 낳을 것이다. 인간 항체는 파지 디스플레이 라이브러리에서도 생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체는 대상에게 바람직하게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내에서 투여된다. 보통, 적당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 제형을 등장 상태로 만들기 위해 제형에 사용된다.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의 예로는, 링거 용액(Ringer's solution) 및 포도당 용액이 있다. 이 용액의 pH는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약 8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약 7 내지 약 7.5이다. 더 많은 담체는 항체를 포함하는 세포간질이 필름, 리포좀 또는 미세입자와 같은 형태로 되어 있는 고체 소수성 중합체 반투성의 세포간질과 같은 지속적인 방출 준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투여 방법 및 투여되는 항체의 농도에 따라 어떤 담체가 더 바람직한지는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항체는 대상, 환자 또는 세포에 주사 (예, 정맥내, 복강내, 피하, 근육내), 또는 주입과 같은 혈액으로서의 전달이 효율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는 다른 방법으로 투여될 수 있다. 항체는 국소 뿐만 아니라 전신의 치료 효과를 얻기 위해 종양 내 또는 종괴 주의의 방법으로도 투여될 수도 있다. 국소 또는 정맥내 주사가 바람직하다.
항체 투여의 효율적인 용량과 스케쥴은 경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결정을 내리는 것은 이 분야의 기술 중의 하나다. 이 분야의 기술자는 투여되는 항체의 용량은 예를 들어 이 항체를 받는 대상, 투여 방법, 사용되는 특정한 항체의 종류 및 투여되는 다른 약들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Antibodies in Human Diagnosis and Therapy, Haber et al, eds. Raven Press, New York (1977) pp. 365-389). 단독으로 사용될 시 전형적인 항체의 일일 용량은 1 μg/kg 내지 100 mg/kg으로 다를 수 있으며, 위에 언급된 요인을 고려할 때 이 보다 더 높을 수도 있다. 암의 치료를 위한 항체의 투여 후, 이 분야의 기술자들에게 알려진 방법으로 이 항체의 치료적 효율성을 평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이즈, 숫자, 및/또는 치료를 받고 있는 대상의 암의 분포 등이 종양 영상 기술을 이용하여 모니터링될 수 있다. 항체의 투여가 없을 경우 일어 날 수 있는 종양의 성장을 정지시켜, 종양을 오그라들게 하거나, 새로운 종양의 성장을 예방하는 치료의 목적으로 투여된 항체는 효과있는 아교모세포종의 치료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아교모세포종 종양 마커 BCA, CLIP2, DTNA, NLGNAX, NR2E1, NRCAM 및 PDPN이 아교모세포종 세포에서 높게 발현되고 정상 세포에서는 극단적으로 낮게 발현되기 때문에, BCA, CLIP2, DTNA, NLGNAX, NR2E1, NRCAM 또는 PDPN 발현 또는 폴리펩티드 활동의 억제는 아교모세포종 치료와 예방의 치료 방법에 통합될 수 있다.
안티센스 유전자 요법의 원리는 유전자 발현의 서열 특이적 억제가 게놈 DNA 또는 mRNA와 대조 안티센스 종의 세포내 교배에 의해서 성취될 수 있다는 가설에 기반한다. 이러한 혼성 핵산 듀플렉스 (duplex)는 목표 종양 항원-인코딩 게놈 DNA의 전사, 또는 처리/운반/번역 및/또는 목표 종양 항원 mRNA의 안정성을 방해한다.
안티센스 핵산은 여러가지의 방법을 사용하여 운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또는 안티센스 RNA는 대상에게 종양 세포로의 흡입이 가능한 형태 (예, 혈관 내 주사)로 직접 주입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안티센스 RNA (또는 RNA 단편)를 인코딩하는 바이러스 또는 플라스미드 벡터가 세포로 생체내 상태에서 주입될 수 있다. 안티센트 효과는 센스 서열에 의해 유도될 수 있지만, 표현형 변화의 정도에는 많은 편차가 있다. 효과적인 안티센스 치료로 유도된 표현형 변화는 이러한 변화 (예컨대, 목표 mRNA 수준, 목표 단백질 수준, 및/또는 목표 단백질 활동 수준)에 따라 평가될 수 있다.
특정한 예에서, 아교모세포종 마커 기능의 안티센스 유전자 치료법에 의한 억제는 안티센스 아교모세포종 마커 RNA의 대상로의 직접적인 주입에 의해 성취될 수 있다. 안티센스 종양 마커 RNA는 어떠한 기존 기술을 이용하여 생성되고 단리될 수 있으나, 이는 고효율 프로모터 (예, T7 프로모터)의 제어가 있는 안티센스 종양 마커 cDNA를 이용하여 가장 빠르게 생체 외 전사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안티-센스 종양 마커 RNA의 세포로의 주입은 아래 묘사된 직접 핵산 주입의 어떠한 방법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BCA, CLIP2, DTNA, NLGNAX, NR2E1, NRCAM 및/또는 PDPN의 기능을 억제하는 다른 전략으로는 항- BCA, CLIP2, DTNA, NLGNAX, NR2E1, NRCAM 및/또는 PDPN 항체 또는 BCA, CLIP2, DTNA, NLGNAX, NR2E1, NRCAM 및/또는 PDPN 항체의 부분의 세포내 발현을 이용한 유전자 요법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BCA, CLIP2, DTNA, NLGNAX, NR2E1, NRCAM 또는 PDPN 폴리펩티드에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이의 생물학적 활동을 억제하는 단클론 항체를 인코딩하는 유전자 (또는 유전자 단편)는 핵산 발현 벡터의 특이적인 (조직- 또는 종양-특이적) 유전자 조절 서열의 전사 제어 하에 위치된다. 벡터는 이 후 대상에게 주입되며 이는 아교모세포종 세포 또는 다른 세포로 흡입되고, 이는 항- BCA, CLIP2, DTNA, NLGNAX, NR2E1, NRCAM 또는 PDPN 항체를 분비하며 따라서 BCA, CLIP2, DTNA, NLGNAX, NR2E1, NRCAM 및 PDPN의 생물학적 활동을 억제한다. 바람직하게는, BCA, CLIP2, DTNA, NLGNAX, NR2E1, NRCAM 또는 PDPN 폴리펩티드는 아교모세포종 세포의 세포외 표면에 위치한다.
외생 DNA의 대상의 세포로의 주입과 흡수를 포함하는 위에 묘사된 방법 (예, 유전자 전사에 의한 형질감염)에서, 본 발명의 핵산은 벌거벗은 DNA 또는 벡터 형태의 핵산일 수 있으며, 이는 핵산을 세포로 전달하여 아교모세포종 마커 단백질 발현의 억제에 사용된다. 벡터는 아데노바이러스 벡터 (Quantum Biotechnologies, Inc. Laval, Quebec, Canada)와 같이 상용적으로 구입할 수 있다. 핵산 또는 벡터의 세포로서의 전달은 여러가지의 메커니즘으로 이루어 진다. 하나의 예로서, 이 전달은 LIPOFECTIN, LIPOFECTAMINE (GIBCO- 25 BRL, Inc., Gaithersburg, Md.), SUPERFECT (Qiagen, Inc. Hilden, Germany) 및 TRANSFECTAM (Promega Biotec, Inc., Madison, Wis.)과 같이 상용적으로 구입이 가능한 리포솜 준비물 또는 이 분야의 기준 방법에 의해서 개발된 다른 리포솜을 사용하여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핵산 또는 벡터의 생체내 전달은 Genetronics, Inc. (San Diego, Calif.)와 SONOPORATION 기계 (ImaRx Pharmaceutical Corp., Tucson, Ariz.)를 사용한 전기 천공법을 사용하여 이루어 질 수 있다.
하나의 예를 들어, 벡터 전달은 예를 들면, 레트로 바이러스 벡터와 같은 바이러스 체계를 통하여 재조합 레트로바이럴 게놈으로 패키징되어 이루어 질 수 있다. 재조합 레트로 바이러스는 이 후 감염되고 따라서 감염된 세포 안티센스 핵산을 전달하여 BCA, CLIP2, DTNA, NLGNAX, NR2E1, NRCAM 또는 PDPN의 발현을 억제하는 데에 사용된다. 변형된 핵산의 표유류로의 주입의 정확한 방법은 물론 레트로 바이러스 벡터의 사용에 국한되지 않는다. 아데노바이러스 벡터, 아데노-관련 바이러스 벡터 (AAV), 렌티바이러스 벡터, 슈도유형 레트로바이러스 벡터 등을 포함한 다른 기술 또한 이러한 절차에 널리 사용된다. 리포솜 전달과 수용체-매개 및 다른 세포이물 흡수 메커니즘을 포함한 물리적인 형질 도입 기술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방법들 중 또는 다른 유전자 전달 방법과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항체는 생체 내의 진단 분석에 사용될 수도 있다. 보통, 항체는 방사성핵종 (예, 111In, 99Tc, 14C, 131I, 3H, 32P 또는 35S)으로 표지되고, 면역 섬광 조형술을 사용하여 종양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하나의 구현에서는, 항체 또는 BCA, CLIP2, DTNA, NLGNAX, NR2E1, NRCAM 및 PDPN 중 2개 이상의 암 목표의 세포밖 도메인에 결합을 하고 친화성 값(Kd)은 1x10 μM 보다 낮다.
진단의 용도로 사용되는 항체는 여러가지의 영상 방법으로 감지될 수 있는 적당한 프로브로 표지될 수 있다. 프로브의 감지 방법은 형광, 광학, 공초점 및 전자 현미경, 자기 공명 단층 촬영 영상 및 분광기 형광 투시법, 전산화 단층 촬영과 양전자 방사 단층 촬영기를 포함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적당한 프로브는 플루오레세인, 로다민, 에오신과 다른 형광체, 방사성 동위 원소, 금, 가돌리늄과 다른 란탄계열 원소, 상자 성체의 이온, 플루오르-18 및 다른 양전자 방출 방사성 핵종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프로브는 2개 이상의 기능을 가지고 있을 수 있으며, 여기에 나열된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감지될 수 있다. 이러한 항체는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여기에 나열된 프로브로 표지될 수 있다. 이렇게 항체와 프로브를 연결하는 것으로는 이 분야에서 잘 알려진 것들 중에 프로브의 공유원자 연결, 프로브의 항체로의 편입, 및 프로브의 결합을 위한 킬레이트 화합물의 공유원자 연결 등을 들 수 있다. 면역조직화학을 위해서, 질병조직샘플은 신선하거나 냉동되었거나 파라핀에 파묻여 포르말린과 같은 방부제로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고정되었거나 파묻여 있는 샘플을 포함하고 있는 조직 절편은 표지된 1차 항체와 2차 항체와 접촉되며 여기서 동일 반응계 또는 생체 외 BCA, CLIP2, DTNA, NLGNAX, NR2E1, NRCAM 및 PDPN 단백질 발현 감지를 위한 항체가 사용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측면의 서열 번호 1 내지 서열 번호 30의 군 또는 서열 번호 1 내지 서열 번호 30의 85% 유사체가 있는 이들의 변이체에서 또는 관심 펩티드의 T 세포의 교차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선택된 서열을 포함하는 펩티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측면의 서열 번호 1 내지 서열 번호 24의 군 또는 서열 번호 1 내지 서열 번호 24의 85% 유사체가 있는 이들의 변이체에서 또는 관심 펩티드의 T 세포의 교차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선택된 서열을 포함하는 펩티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펩티드는 인간 주요 조직 적합 유전자 복합체 클래스-I 또는 II와 결합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서, "상동"이라는 용어는 2개의 아미노산 서열, 즉, 펩티드 또는 폴리펩티드 서열 사이의 일치 정도를 일컫는다. 전술한 "상동"은 비교될 2개의 서열에 대한 최적 상태에서 2개의 서열을 나란히 정렬시킴으로서 결정된다. 여기서 비교되는 2개의 서열은 이 2개의 서열의 최적 정렬 상태에서 추가나 (예를 들면 빈 공간이거나 이와 비슷한) 삭제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서열 상동 관계는 예를 들면 ClustalW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정렬을 만들어 계산할 수 있다 (Nucleic Acid Res., 22(22): 4673 4680 (1994). 일반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서열 분석 소프트웨어, 더 구체적으로 벡터 NTI, GENETYX 또는 분석 기구 등은 공용 데이터 베스에서 제공된다.
이 분야의 전문가는 특이적인 펩티드의 변이체에 의해서 유도된 T 세포가 그 자신의 펩티드와 상호 반응할 수 있을지를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Fong et al., 2001) (Zaremba et al., 1997; Colombetti et al., 2006; Appay et al., 2006).
주어진 아미노산의 "변이체"라는 것으로 발명자들은 예를 들면, 하나 또는 2개의 아미노 산의 측쇄가 변경되어 그 펩티드가 여전히 서열 번호 1 내지 30에 있는 주어진 아미노산의 서열을 가지고 있는 펩티드가 결합하는 것과 대체로 같은 방법으로 HLA 분자와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일컫는다 (예를 들면 그들을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다른 아미노산 또는 다른 측쇄로 교체함을 말한다). 예를 들면, 펩티드 변경에 의해 이가 HLA-A*02 또는 DR과 같은 적당한 MHC 분자의 결합 홈과 상호 작용하는 능력을 적어도 유지하거나 증가시키고 이에 따라 이는 활성화된 CTL의 TCR과 결합할 수 있는 능력을 적어도 유지하거나 증가시키게 된다. 이 CTL은 그 결과로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정의된 바 있는 같은 혈족의 펩티드의 자연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폴리펩티드를 발현하는 세포와 상호 반응을 하고 그 세포들을 죽인다. 과학 문헌에서 및 데이터 베이스에서 얻을 수 있듯이, HLA 결합 펩티드의 특정한 위치는 전형적으로 HLA 수용기의 결합 모티프에 맞는 핵심 고정 잔기가며 이는 결합 홈을 이루고 있는 폴리펩티드의 양극성, 전기 물리성, 소수성 및 공간적 특성에 의해 정의된다. 따라서 이 분야의 전문가는 알려진 고정 잔기를 유지하는 동시에 서열 번호 1 내지 30의 정해진 아미노산을 변경함에 따라 이러한 변이체들이 MHC 클래스 I 또는 II 분자와 결합할 수 있는 능력을 유지할 수 있는지를 알 수 있다. 이 본 발명의 변이체는 활성화된 CTL의 TCR과 결합할 수 있는 능력을 유지하고, 이는 그 결과로 본 발명의 측면에서 같은 혈족의 펩티드라고 정의가 된 자연 아미노 서열을 포함하고 있는 폴리펩티드를 발현하는 세포와 상호 반응을 하고 이들을 죽인다.
T-세포 수용체와 작용하는 데에 전체적으로 기여를 하지 않는 아미노산 잔기들은 이가 결합됨으로서 T-세포의 반응성에 큰 영향을 주지 않고 관련된 MHC와의 결합을 제거하지 않는 다른 아미노산과의 교체에 의해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주어진 조건 외에도, 본 발명의 펩티드는 아미노산 서열 또는 그 한 부분 또는 주어진 변이체를 포함하는 (발명자들이 올리고펩티드 또는 폴리펩티드를 포함한다고 일컫는) 어떠한 펩티드가 될 수도 있다.
[표 2]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9
MHC 클래스 II에 의해서 제시된 펩티드에 대해 더 알려진 사항은 이 펩티드들은 특정한 HLA-대립 유전자 특정 모티프 및, 선택적으로, 핵심 서열의 기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즉, 펩티드와 자연적인 대응물을 인식하는 T 세포 복제 세포 모두 또는 한 부분의 상호 작용과 관련이 없는 것으로 간주된) N-말단 및/또는 C-말단 확장부분에 맞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핵심 서열"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N-말단 및/또는 C-말단 확장은 예를 들면, 각각 1개에서 10개의 아미노산 길이이다. 이 펩티드는 MHC 클래스 II 분자를 적재하기 위해 직접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이 서열은 다음에 주어진 묘사에 따라 벡터로 복제될 수 있다. 펩티드가 원래 세포에 있는 더 큰 펩티드의 처리 후에 나오는 결과물이기 때문에 더 긴 펩티드가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펩티드는 어떤 사이즈가 될 수도 있으나, 전형적으로 분자 무게가 100,000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50,000 이하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10,000 이하이며, 전형적으로 약 5,000 정도이다. 아미노산 잔기의 숫자로 환산을 한다면, 본 발명의 펩티드는 1,000 잔기보다 적은, 바람직하게는 500개의 잔기보다 적은, 더 바람직하게는 100개보다 더 적은, 더 바람직하게는 100개보다 적은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30개에서 8개 잔기 사이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컫는 펩티드 또는 변이체가 전체 8 내지 100개, 바람직하게는 8 내지 30개, 가장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6개의 길이, 따라서 8, 9, 10, 11, 12, 13, 14, 15, 16개의 아미노산을 가지고 있는 펩티드 및 변이체를 제공한다.
더 긴 펩티드도 적당할 수 있다. 표 2에서 묘사된 9-mer 또는 10-mer 펩티드가 MHC 클래스 I-펩티드에 바람직하며, 12- 내지 15-mer이 MHC 클래스 II 펩티드에서 바람직하다.
MHC 클래스 II 제한 펩티드에 대해서는, MHC 분자에 의해 같은 핵심 서열을 가지고 있는 몇몇의 다른 펩티드가 제시될 수 있다. 인식하는 T (조력) 세포와의 상호 작용이 9 내지 11개의 아미노산으로 되어 있는 핵심 서열에 의해 정의되기 때문에, 몇몇의 길이의 변이체가 같은 T (조력) 세포 클론에 의해 인식될 수 있다. 따라서, 핵심 결합 서열의 몇몇의 다른 길이 변이체가 따로 N- 또는 C-말단의 처리와 트리밍이 필요 없이 MHC 클래스 II의 직접 적재에 사용될 수 있다. 대응적으로, 본 발명의 펩티드와 교차 반응하는 T 세포를 유도하는 자연적으로 발생되는 또는 인공 변이체는 종종 길이 변이체이다.
만약 12개 아미노산 잔기보다 더 긴 펩티드가 MHC 클래스 II 분자에 결합하는 데에 사용될 경우, 핵심 HLA 결합 부위를 감싸는 잔기들이 MHC 클래스 II 분자의 결합 홈에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또는 펩티드를 T (-조력) 세포에 제시하는 능력에 실질상 영향을 주지 않는 잔기가 바람직하다. 그러나, 앞에서 지적이 된 바처럼, 더 큰 펩티드가 적당한 항원 제시 세포에 의해 단편화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플리뉴클레오티드에 의해 인코딩될 때 더 긴 펩티드가 사용될 수도 있다. 그러나, 같은 경우에 핵심 서열을 감싸는 부분이 MHC 클래스 II 분자의 펩티드 결합 또는 MHC:펩티드의 2분자체 복합체와 TCR과의 상호 작용을 같은 핵심 서열을 가지고 있는 참조 펩티드와 비교 시 2개 모든 방향에서 영향을 끼친다는 것이 보여진 바 있다. 펩티드 내의 분자 내 3차 구조 (예, 루프 형성)는 대부분 MHC 또는 TCR과의 상호 작용을 감소시킨다. MHC 또는 TCR의 펩티드 결합 홈을 감싸는 부분의 분자간 상호 작용은 이 상호 작용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친화력의 변화는 MHC 클래스 II 펩티드가 T (조력) 세포 반응을 유도하는 잠재력에 극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또한, 약 8 내지 10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MHC 클래스 I 에피톱이 실제의 에피톱을 포함한 더 긴 펩티드 또는 단백질의 처리에 의해서 생성될 수도 있다. 실제의 에피톱을 감싸는 잔기가 처리 과정 중 실제 에피톱을 드러내는 데에 필요한 단백질 분해 절단에 실질상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펩티드는 HLA 분자에 서열 번호 1 내지 서열 번호 30의 펩티드가 결합하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결합할 수 있다는 전제 하에, 바람직한 펩티드는 핵심 서열이 서열 번호 1 내지 서열 번호 30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되고 1개 내지 10개의 아미노산이 C-말단 및/또는 N-말단의 연장부분으로 있는 것이며, 더 바람직한 것은 전체의 이 연장 아미노산의 숫자가 1 내지 12개인 것이며, 더 바람직한 것은 1개 내지 10개인 것이며, 더 바람직한 것은 1개 내지 8개, 더 바람직한 것은 1개 내지 6개, 더 바람직한 것은 1개 내지 4개이며 더욱 바람직한 것은 1개 내지 2개인 것이며, 이 때 이 연장 아미노산은 임의의 비율로 C-말단과 N-말단에 분포가 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든 연장 아미노산이 하나의 말단에 추가될 수도 있거나, 아미노산이 똑같이 양 쪽의 말단에 추가될 수도 있으며, 임의의 비율로 추가될 수도 있다).
연장 아미노산은 또한 생체 내 펩티드 파괴의 속도를 감소시켜 CTL에 사용 가능한 실제 펩티드의 양이 이러한 연장 아미노산이 없는 펩티드에 비교하였을 때 더 많게 되며, 따라서 이는 전구약물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MHC 클래스 I 에피톱의 펩티드와 변이체를 제공하며 여기서 펩티드 또는 변이체는 총 길이가 8 내지 100개이며, 바람직하게는 8 내지 30 사이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6개이며, 이는 즉 8, 9, 10, 11, 12, 13, 14, 15, 16개의 아미노산이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펩티드 또는 변이체는 인간 조직 적합 유전자 복합체 (MHC) 클래스 I 또는 II와 결합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펩티드 또는 변이체와 MHC 복합체의 결합은 이 분야에서 알려진 예를 들어 다른 MHC 클래스 II 대립 유전자에 대한 문헌에 묘사되어 있는 등의 방법에 의해서 실험될 수 있다 (Vogt et al., 1994; Malcherek et al., 1994; Manici et al., 1999; Hammer et al., 1995; Tompkins et al., 1993; Boyton et al., 1998).
특별히 바람직한 발명의 구현은 서열 번호 1 내지 서열 번호 30에 따른 아미노산을 포함하거나 이를 본질적으로 포함하는 것이다.
"본질적으로 포함하는"이란 서열 번호 1 내지 서열 번호 30 또는 변이체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추가적인 N- 및 또는 C-말단에 위치하고 있는 아미노산이 MHC 분자 에피톱에 대한 에피톱으로 기능하는 펩티드의 한 부분을 형성하지 않는 펩티드를 일컫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길이의 아미노산은 본 발명에 따르면 세포 안으로의 효율적인 펩티드의 도입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에서는, 펩티드는 예를 들면 NCBI, GenBank Accession-number X00497에서 유도된 것처럼 HLA-DR 항원-결합 불변 쇄 (p33, 다음의 "Ii") N-말단 아미노산을 포함하고 있는 융합 단백질이다 (Strubin, M. et al 1984).
추가적으로, 펩티드 또는 변이체는 안정성 및/또는 MHC 분자와의 결합성을 높혀 더 강한 면역 반응을 일으킬 수 있도록 변형될 수 있다. 펩티드 서열의 최적화를 위한 방법은 이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으며, 예를 들면 반대 펩티드 결합 또는 비-펩티드 결합을 도입하는 것이 있다.
반대 펩티드 결합에서는 아미노산 잔기가 펩티드 (-CO-NH-) 연결로 결합되어 있지 않으나 펩티드 결합이 반대로 되어 있다. 이러한 역-인버스 펩티드 모방형 물질은 이 분야에서 잘 알려진 방법으로 생성될 수 있으며, 이 방법의 예는 이 문헌의 참조 문헌으로 들어 있는 문헌 [Meziere et al (1997) J. Immunol. 159, 3230-3237]에 묘사되어 있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 방법은 백본의 변경를 포함하지만, 측쇄의 방향을 바꾸지 않는 유사펩티드를 만드는 것을 포함한다. 문헌 [Meziere et al (1997)]은 MHC 결합과 T 조력 세포 반응에서 이 유사 펩티드가 유용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CO-NH 대신에 NH-CO 결합을 포함하고 있는 역-인버스 펩티드는 단백질 가수 분해에 대한 저항력이 훨씬 높다.
비-펩티드 결합의 예는 -CH2-NH, -CH2S-, -CH2CH2-, -CH=CH-, -COCH2-, -CH(OH)CH2-, 및 -CH2SO- 등이다. 미국 특허 4,897,445는 기본 과정을 거쳐 복합체화된 폴리펩티드와 아미노 알데하이드와 아미노산을 NaCNBH4 존재 하에 반응시켜 생성된 비-펩티드 결합을 포함한 폴리펩티드 쇄의 비-펩티드 결합 (-CH2-NH) 고체상 합성의 방법을 제공한다.
위에서 묘사가 된 서열을 가지고 있는 펩티드는 안정성, 생물학적 이용 가능성, 및/또는 펩티드의 결합을 증가시키기 위해 추가적인 화학 기를 아미노 및 또는 카복시 말단에 결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카보벤족실, 단실, 또는 t- 부틸옥시카보닐 기 등의 소수성 기가 펩티드의 아미노 말단에 추가될 수 있다. 비슷하게, 아세틸 기 또는 9-플루오레닐메톡시-카보닐 기가 펩티드의 아미노 말단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소수성 기, t-부틸옥시카보닐, 또는 아미도 기 또한 펩티드의 카복시 말단에 추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펩티드는 그들의 입체 배치를 변화시키기 위해 생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펩티드의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의 D-이성질체가 보통의 L-이성질체 대신에 사용될 수도 있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의 펩티드의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가 비-자연적으로 일어나는 아미노산 잔기와 대체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변화는 안정성, 생물학적 이용 가능성, 및/또는 본 발명의 펩티드의 결합을 증가시킬 수 있다.
유사하게, 본 발명의 펩티드 또는 변이체는 특이적인 아미노산을 펩티드 생성 전 또는 후에 반응을 시킴으로서 화학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의 예는 이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으며 예를 들어 이 문헌의 참조 문헌에 포함되어 있는 문헌 [R. Lundblad, Chemical Reagents for Protein Modification, 3rd ed. CRC Press, 2005]에 잘 묘사되어 있다. 아미노산의 화학 변형은 아실화, 아미딘화, 리신의 피리독실화, 환원성 알킬화 반응, 아미노산의 2,4,6-트라이니트로벤젠 설폰화 (TNBS)에 의한 트라이니트로벤질화, 카복실 기의 아미드 변형 및 퍼포민산에 의한 설피드릴 변형, 시스틴의 시스테산으로의 산화, 머큐리얼 유도체 생성, 다른 티올 합성의 다이설피드 생성, 말레이 미드와의 반응, 요오도아세트산 또는 요오드아세트아미드에 의한 카복시메틸화 및 사이안산 염에 의한 알칼리성 pH에서의 카바밀화를 포함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은 변형을 말한다. 이에 관해서, 더 광대한 단백질의 화학 변형에 대한 방법론에 대해서는 전문가는 문헌 [Current Protocols In Protein Science, Eds. Coligan et al. (John Wiley & Sons NY 1995-2000)]의 15장을 참조하길 바란다.
PEG를 이용한 치료 단백질과 펩티드의 성공적인 변형은 하이드로겔 준비시 사용되는 단백질을 글루타르알데하이드, 폴리에틸렌글리콜 다이아크릴레이트 및 포름알데하이드와 교차 결합하는 동시 순환 반감기를 증가시키는 것과 관련되어 있다. 면역 치료를 위한 알레르겐의 화학 변형은 종종 칼륨 시안산염의 카바밀화와 관련이 있다.
펩티드 또는 변이체, 여기에서 펩티드는 변형되었거나 비-펩티드 결합을 포함하는 것이 본 발명의 구현에서 바람직하다. 보통, 펩티드와 변이체 (적어도 펩티드 링크를 아미노산 잔기 사이에 포함하는 것들)는 문헌 [Lu et al (1981)] 및 그 문헌의 참조 자료에서 묘사된 바처럼 고체성 펩티드 생성의 Fmoc-폴리아미드 모드에서 합성될 수 있다. 일시적인 N-말단 기 보호는 9-플루오레닐메틸옥시카보닐 (Fmoc)에 의해 제공된다. 이렇게 염기 불안정한 보호기의 반복적인 절단은 N,N-다이메틸포름아미드의 20% 피페리딘를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측쇄 기능은 뷰틸 에테르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세린 트레오닌 및 티로신의 경우), 뷰틸 에스터 (글루탐산 및 아스파르트산의 경우), 뷰틸옥시카보닐 변이체 (리신과 히스티딘의 경우), 트라이틸 변이체 (아르지닌의 경우). 글루타민 또는 아스파라진이 C-말단의 잔기인 경우, 4,4'-다이메톡시벤즈하이드릴이 사용되어 측쇄 아미도 기능을 보호한다. 고체형 보조는 다이메틸아크릴아미드 (백본-모노머), 비스아크릴로일에틸렌 다이아민 (가교 결합) 및 아크릴로일사르코신 메틸 에스터 (기능 작용제)의 3개의 모노머로 만들어진 폴리다이메틸-아크릴아미드 중합체에 기반을 둔다. 펩티드 대 레진 절단 가능 연결 작용제로 사용되는 것은 산-불안정 4-하이드록시메틸-페녹시아세트산 변이체이다. 모든 아미노산 변이체는 역 N,N-다이사이클로헥실-카보다이이미드/1-하이드록시벤조트라이아졸에 의한 커플링 과정에 의해 추가되는 아스파라진과 글루타민을 제외하여 미리 생성된 대칭의 무수물 변이체로서 추가된다. 모든 커플링과 탈보호 반응은 닌하이드린, 트라이니트로벤젠설폰산 또는 이소틴 실험 과정에 의해 모니터링된다. 합성 완성 시에, 펩티드는 레진 기반에서 50% 스캐빈저 믹스를 포함한 95%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에 의한 측쇄 보호기 제거와 동시에 절단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스캐빈저로는 에탄다이티올, 페놀, 아니솔 및 물을 포함하고, 정확한 선택은 합성되는 펩티드에 포함되어 있는 아미노산에 따라 결정된다. 펩티드의 합성에 있어서 고체상과 액체상 방법의 결합 또한 가능하다 (예를 들면, 문헌 [Bruckdorfer et al. 2004]과 그에 들어 있는 참조 문헌을 참고).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은 진공 상태에서 증발 및 따른 디에틸에테르에 의한 분쇄에 의해 제거되고 초기 펩티드를 생성한다. 존재하는 어떠한 스캐빈저는 수성상의 냉동건조에 의한 간단한 추출 과정에 의해 제거되며 이는 스캐빈저가 없는 초기 펩티드를 생성한다. 펩티드 합성의 시약은 예를 들면 Calbiochem-Novabiochem (UK) Ltd (Nottingham NG7 2QJ, UK)와 같은 곳에서 제공된다.
정제는 재 결정화,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 소수성 상호 작용 크로마토그래피 및 (보통) 예를 들면 아세토니트릴/물 구배 분리를 사용하는 역상 고 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등의 단일 방법 또는 이의 결합 방법에 의해 시행된다.
펩티드의 분석은 박막 크로마토그래피, 전기 이동, 특히 모세관 전기 이동, 고체상 추출 (CSPE), 역상 고 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산 가수 분해 후 아미노산 분석 및 고속 원자 폭격 질량 분광분석, 및 MALDI와 ESI-Q-TOF 질량 분광분석 등에 의해 이루어진다.
더 나아간 본 발명의 측면은 본 발명의 펩티드 또는 펩티드 변이체를 인코딩하는 핵산 (예를 들면 폴리뉴클레오티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예를 들면, DNA, cDNA, PNA, CNA, RNA 또는 이의 조합일 수 있으며, 한 가닥 및/또는 이중 사슬로 되어 있을 수 있고, 또는 본래의 형일 수도 또는 예를 들면 포스포로티오에이트 백본을 가지고 있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안정화된 형으로 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펩티드를 코딩하는 한 인트론을 포함할 수도 또는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물론, 단지 자연적으로 일어나는 아미노산 잔기로 이루어진 및 자연적으로 일어나는 펩티드 결합에 의해 결합된 펩티드만이 폴리뉴클레오티드에 의해서 인코딩될 수 있다. 더 나아간 발명의 측면은 본 발명에 따른 폴리펩티드를 발현할 수 있는 발현 벡터에 대한 설명을 제공한다.
특히 DNA와 같은 폴리뉴클레오티드를 벡터, 예를 들면 상보적인 응집성 말단을 이용하여 연결하는 여러 가지 방법이 개발되었다. 예를 들면, 상보적인 동종중합체 트랙트가 DNA 단편에 추가되어 이를 벡터 DNA에 삽입할 수 있다. 벡터와 DNA 단편은 이 후 상보적인 동종중합체 꼬리와 함께 수소 결합을 이용하여 재조합 DNA 분자를 생성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제한 부위를 포함하는 복합체화된 연결기는 DNA 단편과 벡터를 결합하는 다른 방법을 제시한다. 여러 가지의 제한 엔도뉴클레아제 부위를 포함하는 합성 연결부위는 상업적으로 International Biotechnologies Inc (New Haven, CN, USA)를 비롯한 곳에서 구입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폴리펩티드를 인코딩하는 DNA를 변형하는 바람직한 방법은 문헌 [Saiki et al (1988)]에 의해 발표된 바 있는 폴리머라아제 연쇄 반응을 이용한다. 이 방법은 예를 들면 적당한 제한 부위를 만들어 적당한 벡터로의 DNA 도입 또는 이 분야에서 알려져 있는 DNA를 다른 용도를 위해 변형하는 데에 사용될 수도 있다. 만약 바이러스 벡터가 사용된다면, 수두- 또는 아데노바이러스 벡터가 바람직하다.
DNA (또는 레트로 바이러스 벡터일 시, RNA)는 그 후 적당한 숙주에서 발현되며 이는 본 발명의 펩티드 또는 변이체를 가지고 있는 폴리펩티드를 생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펩티드 또는 변이체를 인코딩하는 DNA는 알려진 기술과 여기에서 배울 수 있는 것과 함께 적당히 사용되어 적당한 숙주 세포를 본 발명의 폴리펩티드를 발현하고 생성하는 것으로 형질전환시키는 데에 사용된다. 이러한 기술은 다음에 발표되어 있다. 미국 특허 4,440,859, 4,530,901, 4,582,800, 4,677,063, 4,678,751, 4,704,362, 4,710,463, 4,757,006, 4,766,075, 및 4,810,648.
본 발명의 합성물을 만드는 폴리펩티드를 인코딩하는 DNA (또는 레트로바이러스 벡터일 경우, RNA)는 많은 종류의 다른 DNA 서열과 결합되어, 적당한 숙주로의 도입을 유도할 수 있다. 동반 DNA는 숙주의 특성, DNA를 숙주로 도입하는 방법, 및 에피소말 유지 또는 통합이 필요한 지에 따라 결정될 것이다.
보통, DNA는 플라스미드와 같은 발현 벡터로 발현을 위한 올바른 방향 및 올바른 리딩프레임에 맞추어 삽입된다. 필요할 경우, DNA는 바람직한 숙주에 의해 인식되는 적당한 전사 규제 제어 뉴클레오티드 서열 (하지만, 이 제어는 대부분의 경우 숙주 세포 내에 이미 존재한다)과 함께 연결될 수도 있다. 벡터는 그 후 숙주로 기본적인 기술을 통해 도입된다. 보통, 모든 숙주가 벡터에 의해 형질전환되지 않는다. 따라서, 형질전환된 세포를 선택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하나의 선택 기술은 발현 벡터에 필요한 형질전환된 세포에서 선택이 가능한 예를 들면, 항생제 저항력과 같은, 제어 요소를 통합시키는 것이다.
다른 방법으로는, 이러한 선택이 가능한 특성이 다른 벡터에 있을 수도 있으며, 이는 바람직한 숙주 세포를 동시-형질전환하는 데에 사용된다.
발명의 재조합 DNA에 의해 형질전환된 숙주 세포는 충분한 시간 동안 적당한 상태에서 이 분야의 전문가에 의해서 배양되고 이는 폴리펩티드의 발현을 가능하게 하며, 이는 후에 회수된다.
박테리아 (예를 들면, 에스케리치아 콜라이(Escherichia coli)와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효소 (예를 들면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 cerevisiae)), 효모와 사상균류 (예를 들면 아스퍼길러스 스피시즈(Aspergillus spec.)), 식물 세포, 동물 세포 및 곤충 세포 등의 많은 발현 체계가 알려져 있다. 바람직하게는, 체계는 ATCC Cell Biology Collection에서 구할 수 있는 CHO 세포 등의 포유동물 세포로 구성될 수 있다.
구조성 발현을 위한 전형적인 포유동물 세포 벡터 플라스미드는 CMV 또는 SV40 프로모터와 적당한 폴리 A 꼬리 및 네오마이신과 같은 저항 마커를 포함한다. 하나의 예는, Pharmacia (Piscataway, NJ, USA)에서 구할 수 있는 pSVL이다. 유도가능 포유동물 발현 벡터는 pMSG이며 이 또한 Pharmacia에서 구할 수 있다. 유용한 효소 플라스미드 벡터는 pRS403-406과 pRS413-416이며 이는 대부분 Stratagene Cloning Systems (La Jolla, CA 92037, USA)에서 구할 수 있다. 플라스미드 pRS403, pRS404, pRS405 및 pRS406은 효소 통합 플라스미드 (YIps)이며 이는 효소 선택 마커 HIS3, TRP1, LEU2와 URA3을 통합한다. 플라스미드 pRS413-416은 효소 동원체 플라스미드 (Ycps)이다. 예를 들면 Sigma-Aldrich에서 나오는 CMV 프로모터 기반 벡터는 일시적인 또한 안정된 발현, 세포질 발현 또는 분비, 및 FLAG, 3xFLAG, c-myc 또는 MAT 등의 다양한 합성의 N-말단 또는 C-말단 태깅 등을 제공한다. 이러한 융합 단백질은 재조합 단백질의 감지, 정제와 분석을 가능하게 한다. 듀얼-태깅된 융합은 감지의 유연성을 제공한다.
강한 인간 사이토메갈로 바이러스 (CMV) 프로모터 규제 지역은 구성적인 단백질 발현 수준을 높게는 COS 세포에서 1 mg/L까지 작동한다. 좀 더 효능이 약한 세포주에서는, 단백질 수준이 전형적으로 약 0.1 mg/L 정도이다. SV40 복제 원점이 있음으로서 SV40, 복제를 가능하게 하는 COS 세포 DNA 복제의 수준이 높은 결과를 낳는다. CMV 벡터는 예를 들면 (박테리아 세포에서의 복제를 위해) pMB1 원점, (박테리아에서 암피실린 저항 선택을 위해) b-락타마아제 유전자, hGH poly A, 및 f1 원점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프리프로트립신 (PPT)을 포함하는 벡터 서열은 FLAG 융합 단백질의 분비를 ANTI-FLAG 항원, 레진, 및 접시를 사용하여 정제하는 배지로 방향을 정할 수가 있다. 다른 벡터와 발현 체계는 여러 가지의 숙주 세포 사용에 대해 널리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폴리뉴클레오티드 벡터 구성에 의해 변형된 숙주 세포에 관한 것이다. 숙주 세포는 원핵 세포이거나 진핵세포일 수 있다. 박테리아 세포가 몇몇의 상황에서 바람직한 원핵 숙주 세포일 수 있으며, 보통 Bethesda Research Laboratories Inc. (Bethesda, MD, USA)에서 구할 수 있는 에스케리치아 콜라이 계통 DH5, 예를 들면 에스케리치아 콜라이 균주 DH5 및 RR1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ATCC) (Rockville, MD, USA (No ATCC 31343))에서 입수가능하다. 바람직한 진핵 숙주 세포는 효소, 곤충, 포유동물 세포를 포함하고, 생쥐, 쥐, 원숭이 또는 인간 섬유아 세포와 대장 세포주 등의 척추 동물이 바람직하다. 효소 숙주 세포는 YPH499, YPH500 및 YPH501을 포함하며, 이는 대부분 Stratagene Cloning Systems (La Jolla, CA 92037, USA)에서 구입이 가능하다. 바람직한 포유동물 숙주 세포는 ATCC에서 구입이 가능한 CCL61로 알려져 있는 중국 햄스터 난소 세포, ATCC에서 CRL 1658로 알려져 있는 스위스 생쥐 배아 세포 NIH/3T3, ATCC에서 CRL 1650 세포로 알려져 있는 원숭이 신장-유도 COS-1 세포와 293 세포로 알려져 있는 인간 배아 신장 세포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한 곤충 세포는 Sf9 세포이며 이는 배큘로 바이러스 발현 벡터에 의해 세포로 감염될 수 있다. 발현을 위한 적당한 숙주 세포의 선택에 대한 개관은 예를 들면 문헌 [Paulina Balbas and Argelia Lorence "Methods in Molecular Biology Recombinant Gene Expression, Reviews and Protocols," Part One, Second Edition, ISBN 978-1-58829-262-9] 및 당해 분야의 숙련자에게 공지된 문헌에서 찾을 수 있다.
적당한 세포 숙주를 본 발명의 DNA 구성으로 변형하는 것은 보통 사용되는 벡터의 유형에 따라 결정되는 잘 알려진 방법으로 완성된다. 원핵 숙주 세포의 변형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문헌 [Cohen et al (1972) Proc. Natl. Acad. Sci. USA 69, 2110] 및 문헌 [Sambrook etal (1989) 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ual,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Cold Spring Harbor, NY]을 참조하기 바란다. 효소 세포의 변형은 문헌 [Sherman et al (1986) Methods In Yeast Genetics, A Laboratory Manual, Cold Spring Harbor, NY]에 묘사가 되어 있다. 문헌 [Beggs (1978) Nature 275,104-109]에 나와 있는 방법도 유용하다. 척추 동물 세포에 대해서는, 이러한 세포를 감염시키는 시약, 예를 들면 칼슘 인산염과 DEAE-덱스트란 또는 리포좀 공식에 대한 내용은 문헌 [Stratagene Cloning Systems, or Life Technologies Inc., Gaithersburg, MD 20877, USA]에 나와 있다. 전기 천공법 역시 형질전환 또는/및 세포를 감염시키는 데에 유용하며 이는 효소 세포, 박테리아 세포, 곤충세포 및 척추동물 세포 형질전환에 잘 알려져 있다.
성공적으로 형질전환된 세포는, 즉 본 발명의 DNA 구성을 가지고 있는 세포는, 잘 알려진 PCR과 같은 기술로 식별된다. 다른 방법으로는, 상청액에 존재하는 단백질은 항생제를 사용함으로써 감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한 숙주 세포, 예를 들면 박테리아, 효소 및 곤충 세포와 같은 세포는 본 발명의 펩티드의 준비에 유용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다른 숙주 세포 또한 특정한 치료 방법에 유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수지상 세포와 같은 항원 제시 세포는 적당한 MHC 분자에 적재가 되도록 하는 본 발명의 펩티드를 발현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핵산 또는 발명에 따른 발현 벡터를 포함하는 숙주 세포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구현에서, 숙주 세포는 항원 제시 세포이며, 특히 수지상 세포 또는 항원 제시 세포이다. 전립선 산성 포스파타제 (PAP)를 포함하는 재조합된 융합 단백질 APC는 현재 전립선암의 치료 방법에 대해 조사 중이다 (SipuleucelT) (Small EJ et al 2006; Rini et al 2006).
본 발명의 더 나아간 측면은 펩티드 또는 그의 변이체의 숙주 세포를 배양하고 펩티드를 숙주 세포 또는 배지에서 단리하는 것을 포함한 생산 방법을 제공한다.
펩티드에 대한 다른 구현에서는, 본 발명의 핵산 또는 벡터 발현이 의학에서 사용된다. 예를 들면, 펩티드 또는 그의 변이체는 혈관내 주사, 피부하 주사, 피내 주사, 복강내 주사, 근육내 주사를 위해 제조될 수 있다. 펩티드 주사의 바람직한 방법은 피부하, 피내, 근육내 및 혈관내 주사를 포함한다. 펩티드 또는 DNA의 50 μg 및 1.5 mg, 바람직하게는 125 μg 내지 500 μg 사이의 복용량이 각각의 펩티드 또는 DNA에 따라서 주사될 수 있다. 이러한 범위의 1회 분량이 전의 임상실험에서 성공적으로 사용이 된 바 있다 (Brunsvig et al 2006 Staehler et al 2007).
이 실험의 다른 측면은 활성화된 T 세포와 항원 적재된 적당한 항원 제시 세포의 표면에서 T-세포를 항원이 본 발명의 펩티드라고 할 때 항원 특정 매너로서 활성화시키는 데 충분한 시간 동안에 발현되는 인간 클래스 I 또는 II MHC 분자의 접촉을 포함하는 생체 외의 방법으로 생성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충분한 양의 항원이 항원 제시 세포와 함께 사용된다.
MHC 클래스 II 에피톱이 항원으로 사용되는 경우, T-세포는 CD4-양성 조력 세포이고, 바람직하게는 TH1-유형이다. MHC 클래스 II 분자는 어떠한 적당한 세포의 표면에서 발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세포는 자연적으로 MHC 클래스 II 분자를 발현하지 않는다 (이런 경우, 세포는 이러한 분자를 발현하도록 감염되어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만약에 세포가 MHC 클래스 II 분자를 자연적으로 발현하는 경우, 항원 제시 또는 항원 제시 경로에서 불완전한 것을 선호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MHC 클래스 II 분자를 발현하는 세포가 T-세포를 활성시키기 전에 주어진 펩티드 항원에 의해 완전히 적재되는 것이 가능하다.
항원 제시 세포 (또는 자극 세포)는 전형적으로 MHC 클래스 II 분자를 표면에 가지고 있고, 바람직하게는 대부분 MHC 클래스 II 분자를 선택된 항원으로 적재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MHC 클래스 II 분자는 선택된 항원에 의해 생체 외에서는 쉽게 적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포유동물 세포는 TAP 펩티드 트랜스포터가 결핍되어 있거나, 감소된 수준 또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TAP 펩티드 트랜스포터가 결핍되어 있는 적당한 세포로는 T2, RMA-S 및 초파리 세포를 들 수 있다. TAP이란 항원 처리에 관련된 트랜스포터를 일컫는다.
인간 펩티드 적재 결핍 세포주 T2는 Type Culture Collection (12301 Parklawn Drive, Rockville, Maryland 20852, USA)의 카탈로그 번호 CRL 1992로 구입이 가능하고, 초파리 세포주 Schneider 2는 ATCC의 카탈로그 번호 CRL 19863으로 구입이 가능하며, 생쥐 RMA-S 세포주는 문헌 [Karre et al 1985]에서 묘사된 바 있다.
바람직하게는, 숙주 세포는 감염전에 대부분 MHC 클래스 I 분자를 발현하지 않는다. 또한 자극 세포가 B7.1, B7.2, ICAM-1 및 LFA 3 등의 T-세포에 대한 동시-자극 시그널을 제공하는 데에 중요한 분자를 발현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다수의 MHC 클래스 II 분자의 핵산 서열 및 동시자극 분자의 서열은 GenBank와 EMBL 데이터베이스에서 공개적으로 제공된다.
유사하게, MHC 클래스 I 에피톱이 항원으로 사용되는 경우, T 세포는 CD8-양성 CTL이다.
만약 항원 제시 세포가 이러한 에피톱을 발현하도록 감염되었다면, 세포는 펩티드 서열 번호 1 내지 서열 번호 30 또는 이의 변이체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발현 벡터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CTL을 생체 외에서 발전시키는 몇몇의 다른 방법도 사용된 바 있다. 예를 들면, 문헌 [Peoples et al (1995)]과 문헌 [Kawakami et al (1992)]에서 묘사된 방법은 CTL 생성 시, 자가 조직의 종양-침투 림프구를 사용한다. 문헌 [Plebanski et al (1995)]은 자가 조직 말초의 혈액 (PLB)을 CTL 준비 시 사용한다. 문헌 [Jochmus et al (1997)]은 수지상 세포를 펩티드 또는 폴리펩티드로 펄스시키거나, 재조합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에 의해 자가 조직 CTL의 생성하는 방법을 묘사한다. 문헌 [Hill et al (1995)] 및 문헌 [Jerome et al (1993)]은 자가 세포 CTL 생성 시 B 세포를 사용한다. 또한, 펩티드 또는 폴리펩티드로 펄스된 또는 재조합된 바이러스에 의해 감염된 대식 세포가 자가 조직 CTL의 준비 시 사용될 수 있다. 문헌 [S. Walter et al. 2003]은 인공 항원 제시 세포(aAPC)를 사용하는 생체 외 T 세포의 프라이밍을 묘사하며, 이는 역시 선택된 펩티드에 대한 펩티드에 대해 T 세포를 발전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이 연구에서, aAPC는 미리 생성된 MHC:펩티드 복합체를 폴리스티렌 입자 (마이크로 비드)의 표면과 커플링을 시키고 바이오틴-스트렙트아비딘을 이용함으로써 발전된다. 이 체계는 aAPC의 정확한 MHC 밀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허용하며, 이는 항원-특이적 T 세포 반응을 혈액 샘플에서 높은 효율성으로 고- 또는 저- 결항력을 선택적으로 유도해 낼 수 있게 한다. MHC:펩티드 복합체를 제외하고, aAPC는 그들의 표면에 커플된 항-CD28 항원과 같은 동시-자극 활동을 가지고 다른 단백질을 운반해야 한다. 또한 이러한 aAPC-기반 체계는 종종 예를 들면, 인터루킨-12와 같은 사이토카인 같은 적당한 가용성 인자를 필요로 한다.
동종이계 세포는 T 세포의 준비에 역시 사용될 수 있으며 방법은 WO 97/26328에 더 자세하게 묘사되어 있으며, 여기에 참조 문헌으로 포함되어 있다. 예를 들어, 초파리 세포와 T2 세포에 추가적으로, CHO 세포, 바큘로 바이러스-감염 곤충 세포, 박테리아, 효소, 백시니아-감염된 표적 세포 등과 같은 다른 세포들도 항원을 제시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식물 바이러스가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문헌 [Porta et al (1994)]을 참조). 이는 외부 펩티드의 제시를 위한 동부모자이크바이러스의 높은 수확 체계로서 발전에 대해 묘사한다.
이 실험의 펩티드에 대해 활성화된 T-세포는 치료에서 유용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더 나아간 측면은 앞서 말한 발명의 방법으로 획득할 수 있는 활성화된 T 세포에 대한 내용을 제공한다.
위에서 말한 방법으로 생성된 활성화된 T 세포는 서열 번호 1 내지 서열 번호 30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고 있는 폴피펩티드를 비정상적으로 발현하는 세포를 선택적으로 인식한다.
바람직하게는, T-세포는 그의 TCR을 HLA/펩티드-복합체와 상호 작용 (예, 결합)을 함으로써 이런 세포를 인식한다. 이 T-세포는 효율적인 활성화된 T-세포의 숫자가 투여되었을 시 본 발명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고 있는 플리펩티드를 비정상적으로 발현하는 환자의 표적 세포를 죽이는 데 유용하다. 환자에게 투여된 T-세포는 위에서 묘사된 바와 같이 환자에게 유도되고 활성화된다 (즉, 이는 자가 조직 T-세포이다). 다른 방법으로는, T-세포는 환자에게 유도가 안 되고, 다른 개인에서 유도된다. 물론, 이 개인이 건강한 개인인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자들이 말하는 "건강한 개인"이라고 함은 개인이 전체적으로 좋은 건강을 가지고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충분한 면역 체계를 가지고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손쉽게 실험되고 감지될 수 있는 어떤 질병도 겪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생체 안에서, 본 발명에 따른 CD4-양성 T-세포는 종양 세포 (이들은 가끔 MHC 클래스 II를 발현하기도 한다)이거나 종양을 감싸고 있는 간질성 세포 (종양 세포) (이는 가끔 MHC 클래스 II를 또한 발현하기도 한다 (Dengjel et al., 2006)).
본 발명의 T-세포는 활성적인 치료 구성의 성분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고 있는 폴리펩티드를 비정상적으로 발현하는 환자의 표적 세포를 죽이고 환자에게 위에 정의된 바처럼 효율적인 T-세포의 숫자를 투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비정상적으로 발현되는"이라는 것은 폴리펩티드가 정상 수준에 비교했을 때 과발현되거나 유전자가 종양이 유도된 조직에서는 침묵적이지만 (silent) 종양에서는 발현되는 것을 말한다. "과잉발현"이라는 것은 폴리펩티드가 정상 조직에서 존재하는 수준의 적어도 1.2배 이상으로 존재하는 것을 말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배,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배 또는 10배 이상으로 존재하는 것을 말한다.
T 세포는 예를 들면 위에서 묘사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얻어질 수 있다.
흔히 T-세포의 입양 전송이라고 불리우는 것에 대한 프로토콜은 이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으며, 이는 문헌 [Rosenberg et al., 1987; Rosenberg et al., 1988; Dudley et al., 2002; Yee et al., 2002; Dudley et al., 2005]에서 찾아 볼 수 있으며, 문헌 [Gattinoni et al., 2006]과 문헌 [Morgan et al., 2006]에서 리뷰되어 있다.
본 발명의 어떤 분자 (즉, 펩티드, 핵산, 발현 벡터, 세포, 활성화된 CTL, T-세포 수용체 또는 이를 인코딩하는 핵산)든 병을 고치는 데에 있어서 면역 반응을 피할 수 있는 성질을 가진 세포에 포함되어 있는 것은 중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포함되어 있는 어떤 분자든지 약으로 사용되거나 약을 만드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이 분자는 단독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어떤 알려진 분자와 함께 결합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 본 발명의 제약은 백신이다. 이는 환자의 영향을 받은 기관에 직접적으로 투여될 수 있거나 i.d., i.m., s.c., i.p. 및 i.v.로서 전체적으로 투여되거나 환자에게서 또는 나중에 환자에게 투여될 인간 세포주에 생체 외상으로 적용될 수도 있거나 나중에 환자에게 다시 투여될 선택된 면역 세포의 부분 집단에 생체 외 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만약 핵산이 생체 외에서 세포에 투여되면, 인터루킨-2와 같은 면역 유도 사이토카인과 함께 발현되는 것이 유용할 수도 있다. 펩티드는 상당히 순도가 높을 수도 있거나, 면역-유도 보조제 (아래 참조)와 합성되어 있거나 면역-유도 사이토카인과 함께 복합체로 사용되거나, 리포좀과 같은 적당한 전달 체계와 함께 투여될 수도 있다. 펩티드는 또한 keyhole limpet haemocyanin (KLH) 또는 mannan (WO 95/18145 및 문헌 [Longenecker et al (1993)] 참조)과 같은 적당한 담체와 함께 복합 단백질을 이룰 수도 있다. 펩티드는 또한 태그될 수도 있거나, 융합 단백질일 수도 있거나, 혼성 분자 (hybrid molecule)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펩티드의 서열은 CD4 또는 CD8을 유도하는 것으로 기대될 수 있다. 하지만, CD8 CTL의 유도는 CD4 T-조력 세포가 있는 상태에서 더 효율적이다. 따라서, CD8 CTL을 유도하는 MHC 클래스 I 에피톱에 있어서는 융합 파트너 또는 혼성 분자의 부분이 적당하게 CD4-양성 T 세포를 유도하는 에피톱을 제공한다. CD4-와 CD8-유도 에피톱은 이 분야에서 잘 알려졌고 본 발명에서 식별된 것들을 포함한다.
백신의 한 부분은 적어도 서열 번호 1 또는 20 중의 하나의 펩티드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펩티드를 포함한다. 이 펩티드는 바람직하게는 2개 내지 50개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2개 내지 25개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2개 내지 15개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2, 3, 4, 5, 6, 7, 8, 9, 10, 11, 12 또는 13개의 펩티드이다. 펩티드는 하나 이상의 특정한 TAA에서 유도되었고 이는 MHC 클래스 I 및/또는 클래스 II 분자에 결합할 수 있다.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상당히 순도가 높을 수 있거나, 적당한 벡터 또는 전달 체계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핵산은 DNA, cDNA, PNA, CNA, RNA 또는 이들의 결합일 수 있다. 이런 핵산을 디자인하고 소개하는 방법은 이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다. 개요는 문헌 [Pascolo S. 2006; Stan R. 2006] 또는 문헌 [A Mahdavi 2006]에 의해 제공된다. 폴리뉴클레오티드 백신은 준비하기가 쉽지만, 이들 벡터의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동작 모드는 완전히 이해가 되지 않았다. 적당한 벡터와 전달 체계는 아데노바이러스, 백시니아 바이러스, 레트로바이러스, 헤르페스 바이러스, 아데노-결합 바이러스 또는 하나 이상의 바이러스를 포함하는 혼성체 등의 바이러스 DNA 및/또는 RNA를 포함한다. 비-바이러스 전달 체계는 양이온 지질과 양이온 중합체를 포함하고 이는 이 DNA 전달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다. "유전자-총"을 통한 물리적 전달 또한 사용될 수 있다. 펩티드 또는 핵산에 의해 인코딩된 펩티드는 융합 단백질이 될 수도 있고, 예로서는 위에서 언급한 각각의 반대 CDR을 위한 T 세포를 유도하는 에피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약은 하나 이상의 보조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제는 면역 반응을 비-특이적으로 향상시키거나 강력하게 하는 물질을 말한다(예: CTL과 항원에 대한 조력 T 세포에 의해서 매개된 면역 반응). 따라서 본 발명에서 이는 중요한 제약 구성이라고 할 수 있다. 적당한 보조제는 다음을 포함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1018 ISS, 알루미늄 염, 암필박스 (Amplivax), AS15, BCG, CP-870,893, CpG7909, CyaA, dSLIM, 플라젤린 또는 플라젤린에서 유도된 TLR5 리간드, FLT3 리간드, GM-CSF, IC30, IC31, 이미퀴모드 (Imiquimod) (ALDARA), ImuFact IMP321, IL-2, IL-13, IL-21과 같은 인터루킨, 인터페론-알파 또는 -베타, 또는 이들의 페길화된 유도체, IS 패치, ISS, ISCOMATRIX, ISCOMs, 주브이뮨 (JuvImmune), LipoVac, MALP2, MF59, 모노포스포릴 지질 A, 몬타나이드 IMS 1312, 몬타나이드 ISA 206, 몬타나이드 ISA 50V, 몬타나이드 ISA-51, 워터인오일과 오일인워터 에멀전, OK-432, OM-174, OM-197-MP-EC, ONTAK, OspA, PepTel (등록상표명) 벡터 시스템, PLG와 덱스트란 극미립자, 레시퀴모드, SRL172, 비로솜 (Virosomes) 및 다른 바이러스-유사 입자, YF-17D, VEGF 트랩, R848, 베타-글루칸, Pam3Cys, 사포닌에서 유도된 아퀼라스 QS21 스틸물론, 마이코박테리아 추출물과 합성 세균의 세포 벽 모방제, 및 다른 리비의 데톡스 (Ribi's Detox), 쿠일 (Quil), 또는 수퍼포스 (Superfos)와 같은 독점 보조제 등이 있다. Freund's 또는 GM-CSF와 같은 보조제가 바람직하다. 몇몇의 면역적 보조제 (예: MF59)는 수지상 세포에 특이적이고, 그들의 준비 방법은 이전에 묘사된 바 있다 (Dupuis M et al 1998; Allison 1998). 또한, 사이토카인도 사용될 수 있다. 몇몇의 사이토카인은 수지상 세포의 림포이드 조직으로의 이동과 직접적으로 연관된 바 있으며 (예: TNF-α), 이는 수지상 세포의 더 효율적인 T-림프구에 대한 항원 제시 세포로의 성장을 가속시키고 (예: GM-CSF, IL-1 및 IL-4) (미국 특허 5,849,589, 본 발명의 참조 문헌으로 들어가 있음) 면역보조제의 역할을 한다 (예: IL-12, IL-15, IL-23, IL-7, IFN-알파, IFN-베타) (Gabrilovich et al 1996).
CpG 면역유도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백신 세팅에서 보조제의 효율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논설에 국한하지 않고, CpG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톨-유사 수용체 (TLR), 특히 TLR9를 통해 천성 (비-적응) 면역 체계를 활성화시킨다. CpG에 의해 유도된 TLR9의 활성화는 펩티드 또는 단백질 항원, 살아 있거나 죽은 바이러스, 수지상 세포 백신, 자가 세포 백신 및 예방적 및 치료적 백신의 다당류 접합체를 포함한 넓은 종류의 항원에 대한 항원-특성 체액성 및 세포성 반응을 향상시킨다. 더 중요하게 이는 수지상 세포의 성장 및 차별화를 향상시키고 이는 TH1 세포의 활성화를 향상시키며 강한 세포독성 T-림프구 (CTL) 생성을 CD4 T 세포의 도움이 없을 때에도 향상시킨다. TLR9의 유도에 의해 일어난 TH1 바이어스는 보통 TH2 바이어스를 일으키는 alum 또는 비완성된 Freund's adjuvant (IFA) 백신 보조제가 존재할 때도 유지된다. CpG 올리고뉴클리오티드는 다른 보조제와 함께 제조되거나 함께 투여될 시 또는 특히 항원이 상대적으로 약할 때 강한 반응을 얻어 내기 위해 필요한 미세입자, 나노입자, 지질 에멀전 또는 비슷한 제약으로 되어 있을 경우 더 큰 보조제 활동을 보인다. 그들은 또한 면역 반응을 가속화시키고, 몇몇의 연구에서 보여진 바 있듯이 CpG가 없을 때 전체 복용량이 일으키는 항체 반응 정도를 일으키기 위한 항원의 복용량을 약 두 배 정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Krieg et al 2006). 미국특허 6,406,705 B1은 CpG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비-핵산 보조제 및 항원-특이적 면역 반응을 일으키는 항원의 결합 사용에 대해 묘사한다. CpG TLR9 길항제는 Mologen (Berlin, Germany)에 의해 만들어진 dSLIM (double Stem Loop Immunomodulator)이며 이는 본 발명의 제약 구성의 바람직한 바이다. RNA 결합 TLR 7, TLR 8 및/또는 TLR 9 등의 다른 TLR 결합 분자 또한 사용이 가능하다.
다른 유용한 보조제의 예는 다음을 포함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화학적으로 변형된 CpGs (예: CpR, Idera), Poly(I:C)와 같은 dsRNA 유사체 및AmpliGen, 면역활성적인 작은 분자 및 비-CpG 박테리아 DNA 또는 RNA 및 사이클로포스아미드, 수니티닙, 베바시주맙, 셀레브렉스, NCX-4016, 실데나필, 타달라필, 바르데나필, 소라페닙, 테모졸로마이드, 템시롤리무스, XL-999, CP-547632, 파조파닙, VEGF 트랩, ZD2171, AZD2171, 안티-CTLA4 및 SC58175와 같은 항원을 들 수 있으며 이는 치료적으로 또는 보조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보조제와 첨가제의 양과 농도는 특별히 다른 실험할 필요 없이 기술이 뛰어난 개인에 의해서 쉽게 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한 보조제는 dSLIM, 인터페론-알파, -베타, CpG7909, IC31, ALDARA (이미퀴모드), PeviTer, RNA, 타달라필, 테모졸로마이드 및 주브이뮨이 있다.
바람직한 보조제는 dSLIM, BCG, OK432, 이미퀴모드, 레시퀴모드, GMCSF, 인터페론-알파, PeviTer 및 주브이뮨 또는 이들의 배합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바람직한 구현에서, 보조약은 그래뉼로 부위 마크로파지 콜로니-자극 인자 (GM-CSF, 사르가라모스팀), 이미퀴모드, 레시퀴모드, 및 인테페론-알파같은 콜로니-자극 인자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다.
더 바람직한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구현에서는, 보조제는 이미퀴모드 또는 레시퀴모드이다. 더 바람직한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구현에서는, GM-CSF와 이미퀴모드의 결합이 보조제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하, 피부내, 근육내 또는 구두의 투약 등의 비경구 투약에 사용된다. 이것을 위해서, 펩티드와 선택에 따라 다른 분자들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바람직하게는 수성) 담체에서, 녹여지거나 중지된다. 추가로, 조성물은 완충제, 결합제, 발파제, 희석제, 향미료, 윤활제 등의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펩티드는 사이토카인 같은 면역 자극 물질과 같이 투여될 수 있다. 이런 조성물에서 사용될 수 있는 첨가제의 광범위한 목록은 예를 들면 문헌 [A. Kibbe, 제약 첨가제의 안내서, 3. Ed. 2000, American Pharmaceutical Association and pharmaceutical press.]에서 찾을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은 선종성 또는 암질병의 예방, 방지 및/또는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히 글리오마, 뇌암, 유방암, 전립선암, 식도암, 결장암, 신장암, 이자암, 편평 세포 암종 및 피부의 케라티노사이트 종양, 백혈병, 폐암, 난소암, 및 흑생종에 유용한 치료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음을 포함한 키트(kit)를 포함한다:
(a) 위에 묘사된 바와 같은 약학 조성물을 용액 또는 냉동건조된 형태로 포함하고 있는 용기;
(b) 선택사항으로 냉동건조된 약학 조성물을 위한 희석제 또는 재구성액을 포함하는 두 번째의 용기; 및
(c) 선택사항으로, (i) 용액의 사용 또는 (ii) 냉동건조된 형태의 약학 조성물의 재구성 및/또는 사용에 대한 지침서.
이 키트는 또한 (iii) 완충제, (iv) 희석제 (v) 필터 (vi) 바늘 또는 (v) 주사기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용기는 바람직하게는 병, 물약병, 주사기 또는 실험관이고, 다용도 용기일 수도 있다. 약학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동결건조되어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키트는 바람직하게는 냉동건조되어 있는 약제를 적당한 용기와 이들의 재구성 및/또는 사용에 관한 지침서를 함께 포함한다. 적당한 용기는 예를 들면, 병, 물약병 (예: 듀얼 챔버 물약병), 주사기 (듀얼 챔버 주사기 등) 및 실험관을 포함한다. 용기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 등의 여러 가지의 자재로 만들어 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키트 및/또는 용기는 재구성 및/또는 사용에 대한 사용법을 포함한 지침서를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면, 라벨에는 냉동건조되어 있는 약제를 위에 묘사된 바와 같이 펩티드의 농도를 재구성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다. 라벨은 또한 약제가 피하투여가 가능한지 아니면 유용한지를 보여줄 수도 있다.
약제를 포함한 용기는 재구성된 약제의 반복된 투여를 가능하게 하는 다용도 물약병일 수 있다 (예: 약 2 내지 6회의 투여). 키트는 또한 적당한 희석제(예: 중탄산 용액)를 포함하는 두 번째의 용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희석제와 동결 건조된 약제를 섞을 때는, 재구성된 약제의 최종 펩티드 농도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15 mg/mL/펩티드 (=75μg)이고 바람직하게는 3 mg/mL/펩티드 (=1500μg)를 넘지 않아야 한다. 키트는 다른 완충제, 희석제, 필터, 바늘, 주사기, 및 패키지 삽입 및 사용 설명서 등의 사용자의 입장에서 필요한 것을 더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키트는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을 포함하는 하나의 용기를 다른 제품과 함께 또는 단독으로 포함하거나 (예: 다른 화합물 또는 약학 조성물) 각각의 조성물을 각자 다른 용기에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키트는 다음과 같은 두 번째의 화합물 또는 그들의 조성물과 함께 투여될 수 있는 약학 조성물을 포함한다: 보조제 (예: GM-CSF), 화학요법제, 천연 제품, 호르몬 또는 길항제, 항-혈관신생 제제 또는 억제제, 괴사유도제 또는 킬레이터. 키트의 조성물은 미리 혼합되어 있을 수도 있거나, 각각의 조성물이 각각 따로 용기에 담겨 있을 수도 있다. 키트의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액체 용액에 제공될 수도 있고, 바람직하게는 수용액, 더욱 바람직하게는 무균 수용액에 제공된다. 키트의 조성물은 적당한 용해제를 첨가함으로서 액체로 바뀔 수 있는 고체로 제공될 수도 있고, 바람직하게는 이는 다른 용기에 담겨 제공된다.
치료 키트의 용기는 물약병, 실험관, 플라스크, 병, 주사기 또는 고체나 액체를 담을 수 있는 다른 임의의 용기일 수도 있다. 보통, 하나 이상의 구성물이 있을 경우, 키트는 두 번째의 물약병 또는 다른 용기를 포함하고, 이는 각각의 복용을 가능하게 한다. 키트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액체를 포함하고 있는 용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치료 키트는 현재 키트의 조성물인 본 발명의 제제를 투여할 수 있는 기구를 포함한다 (예: 하나 이상의 바늘, 주사기, 안약 투입제, 피펫 등).
본 제형은 구강 (경구), 비강, 안약 형태, 피하, 피내, 근육내, 혈관내 또는 경피 등 어떠한 투여 형태로든 펩티드 투여에 적당한 제형이다. 바람직한 투여 경로는 피하 경로이고 가장 바람직한 투여 경로는 피내 경로이다. 주입 펌프에 의해서도 투여가 가능하다.
BCA, CLIP2, DTNA, NLGNAX, NR2E1, NRCAM 및 PDPN에서 유도된 본 발명의 펩티드가 아교모세포종에서 단리되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약제는 바람직하게는 아교모세포종의 치료에 사용된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구현을 포함하는 다음의 실시예와 도면에서 묘사될 것이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하여, 여기에서 언급되는 모든 참조 문헌은 전체로 인용되었다.
도 1: GB6010 원발성 종양 샘플에서의 존재를 나타내는 IGF2BP3-001의 질량 스펙트럼의 예. NanoESI-LCMS는 GB6010의 GBM 샘플에서 녹여서 분리된 펩티드 풀에서 실행되었다. m/z 536.3238 ± 0.001 Da, z = 2의 질량 크로마토그램은 보존 기간 49.89 분에서 최고점을 나타낸다. B) 질량 크로마토그램의 48.76분에서의 검출 최고점은 MS 스펙트럼에서 m/z 536.3239의 시그널을 보였다. 지정된 보존 기간에서의 nanoESI-LCMS 실험에서의 선택된 선임자 m/z 536.3239의 충돌로 유도된 디케이 질량 스펙트럼은 GB6010 샘플에서의 IGF2BP3-001의 존재를 확인했다. D) IGF2BP3-001의 복합체화된 단편 패턴 기준 펩티드는 기록되고 C에 보여진 자연산 TUMAP 단편 패턴과 서열 검증을 위해 비교되었다.
도 2a는 정상 조직과 19개의 아교모세포종 샘플에서 선택된 단백질의 mRNA의 발현 프로필을 보여준다.
도 2b는 정상 조직과 19개의 아교모세포종 샘플에서 선택된 단백질의 mRNA의 발현 프로필을 보여준다.
도 3은 IMA950 클래스 I TUMAP의 생체 외 면역성의 예를 보여준다.
도 4는 본 발명의 HLA 클래스 I 펩티드와 A*02의 반응의 예를 보여준다.
서열 번호 1 내지 24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종양 관련 펩티드 서열을 보여준다.
실시예
FTELTLGEF (HLA-A1; PolyPeptide Laboratories, Wolfenbuttel, Germany), LMLGEFLKL (HLA-A2; Clinalfa, Sissach, Switzerland), 및 EPDLAQCFY (HLA-B35; PolyPeptide Laboratories) 펩티드는 제약 품질로 획득되었다.
실시예 1:
세포 표면에 있는 종양 관련 펩티드의 식별
조직 샘플
환자들의 종양 조직은 Hopital Cantonal Universitaire de Geneve (종양 면역학의 의학 종양학 연구소) 및 Neurochirurgische Universitats-Klinik Heidelberg (Molekularbiologisches Labor)에서 제공되었다. 모든 환자들의 서면 통지 동의는 수술 전에 받았다. 조직은 수술 직후 액체 질소에 충격-동결되었고 TUMAP가 -80℃에서 분리될 때까지 저장되었다.
조직 샘플에서 HLA 펩티드의 단리
약간 변형된 프로토콜에 따르면, 충격 냉동된 조직 샘플의 HLA 펩티드 공동 출자는 단단한 조직의 면역 촉진에 의해 HLA-A*02-특이적 항체 BB7.2 또는 HLA-A, -B, -C-특이적 항체 W6/32, CNBr-활성화 된 세파로오스, 산성치료와 한외 여과를 이용해 취득되었다 (Falk, K. et al 1991; Seeger, F.H. et al. T 1999).
방법
얻어진 HLA 펩티드 풀은 그들의 소수성에 의해 역상 크로마토 그래피를 이용하여 분리되었고 (Acquity UPLC system, Waters) 녹여서 분리하는 펩티드는 ESI 소스를 갖춘 LTQ-Orbitrap 하이브리드 질량 스펙트로미터 (ThermoElectron)에 의해 분석되었다. 펩티드 풀은 1.7 μm C18 역상 물질 (Waters)로 팩트되어 있는 합성-실리카 마이크로-모세관 칼럼 (75 μm i.d. x 250 mm)에 바로 로딩된다. 이어서, 펩티드는 두-단계 180분-10% 내지 33%의 이진 구배를 이용하여 분리되고, 여기서 유량은 분당 300 nL이다. 구배는 용매 A (물의 0.1% 포름산)와 용매 B (아세토니트릴의 0.1% 포름산)로 이루어져 있다. 금이 입혀진 유리 모세관 (PicoTip, New Objective)이 미세-ESI 소스로의 소개에 사용되었다. LTQ-Orbitrap 질량 스펙트로미터가 TOP5 전략을 이용한 데이터-의존 모드에서 작동되었다. 간략하게, 스캔 사이클은 오비트랩(orbitrap)의 높은 질량 정확도(R = 30 000)의 전스캔으로 시작되고, 이후 5개의 가장 많은 이전에 선택한 이온의 동적 배제에 의한 전조 이온에 대한 오비트랩(R = 7500)의 MS/MS 스캔이 이어진다. 탄덤 질량 스펙트럼은 SEQUEST와 추가적인 수동 컨트롤에 의해 해석된다. 식별된 TUMAP 서열은 자연적인 TUMAP 단편 패턴을 인공 서열-동일 기준 펩티드의 단편 패턴과 비교함으로서 보증되었다. 도 1은 UPLC 체계의 MHC 클래스 1과 관련된 IGF2BP3-001 펩티드와 이의 분리 프로필의 예를 보여준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펩티드를 인코딩하는 유전자의 발현 프로필
암 세포의 표면에 MHC 분자에 의해 제시되는 모든 펩티드가 면역 치료에 적당한 것은 아니다. 이는 이 펩티드의 거의 대부분이 많은 세포 유형에서 발현되는 정상 세포 단백질에서 유도가 된 것이기 때문이다. 아주 적은 몇 개의 펩티드가 암과 관련이 있고, 높은 특수성을 가지고 자기가 유도된 암의 T 세포를 유도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이런 펩티드를 식별하고 백신에 의해서 발생하는 자가면역의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발명자들은 정상 조직과 비교했을 때 종양 세포에서 현저히 과발현되는 단백질에 초점을 맞추었다.
가장 이상적인 펩티드는 암에서만 발견되는 단백질이고 다른 어떠한 조직에서도 찾을 수 없는 것이다. 이러한 발현 프로필과 비슷한 것을 가지고 있는 유전자에 의해서 생성되는 펩티드를 식별하기 위하여 식별된 펩티드는 단백질과 유전자에 할당되었고, 이 유전자들의 발현 프로필이 생성되었다.
RNA 소스와 준비
수술로 제거된 조직 표본은 각각의 환자로부터 성문의 동의서가 주어진 후 2개의 임상 실험 센터에서 제공되었다 (실시예 1 참조). 암 조직 표본은 액체 질소에 의해 수술 직후 스냅-냉동되었고 절구와 유봉을 이용하여 액체 질소 환경 아래에서 균질화되었다. 총 RNA는 TRIzol (Invitrogen, Karlsruhe, Germany)을 이용하여 샘플로부터 준비되었고 이는 RNeasy (QIAGEN, Hilden, Germany)에 의해 청소되었다 이 2개의 모든 방법은 제조 업체의 설명서에 따라 실행되었다.
건강한 인간 조직의 총 RNA는 상업적으로 얻어졌다 (Ambion, Huntingdon, UK; Clontech, Heidelberg, Germany; Stratagene, Amsterdam, Netherlands; BioChain, Hayward, CA, USA). 여러 개인에서 얻어진 RNA (2에서 123명의 개인)는 각각의 개인에게 균등 가중치를 두어 섞어졌다. 백혈구는 4명의 자원 봉사자의 혈액 샘플에서 단리되었다.
RNA 샘플의 양과 질은 Agilent 2100 Bioanalyzer (Agilent, Waldbronn, Germany)에 의해 RNA 6000 Pico LabChip Kit (Agilent)를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마이크로어레이 실험
모든 암과 정상 조직 RNA 샘플의 유전자 발현 분석은 Affymetrix Human Genome (HG) U133A 또는 HG-U133 Plus 2.0 oligonucleotide microarrays (Affymetrix, Santa Clara, CA, USA)에 의해 실행되었다. 모든 단계는 Affymetrix의 사용 설명서에 따라 실행되었다 (http://www.affymetrix.com/support/technical/manual/expression_manual.affx). 짧게, 두 줄기 cDNA는 SuperScript RTII (Invitrogen)와 올리고-dT-T7 프라이머(MWG Biotech, Ebersberg, Germany)를 사용하여 사용 설명서에 따라 총 RNA 5 내지 8 μg으로부터 합성되었다. 생체 외 전사는 U133A arrays를 위한 BioArray High Yield RNA Transcript Labelling Kit (ENZO Diagnostics, Inc., Farmingdale, NY, USA) 또는 U133 Plus 2.0 arrays를 위한 GeneChip IVT Labelling Kit (Affymetrix)를 사용하여 실행되었다. 이는 cRNA 단편화, 교배 및 스트렙트아비딘-피코에리트리틴 및 비오티닐화된 항-스트렙트아비딘 항체로의 염색으로 이어졌다. 이미지는 Agilent 2500A GeneArray Scanner (U133A) 또는 Affymetrix Gene-Chip Scanner 3000 (U133 Plus 2.0)을 이용하여 스캔되었고, 데이터는 기본 세팅을 이용하여 GCOS software (Affymetrix)를 통해 분석되었다. 정상화를 위해, 100 Affymetrix에 의해 제공된 가사 유전자가 사용되었다 (http://www.affymetrix.com/support/technical/mask_files.affx). 상대적인 발현 값은 시그널 로그 비율을 통해 계산되었고 정상 샘플의 값은 임의로 1.0으로 정해졌다.
본 발명의 아교모세포종에서 높이 과발현되는 소스 유전자의 발현 프로필은 도 2에서 보여진다.
실시예 3
IMA950 MHC 클래스 I 제시 펩티드의 생체 외 면역성
본 발명의 TUMAP의 면역성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 이미 잘 설립된 생체 외 플랫폼 (Walter, S, Herrgen, L, Schoor, O, Jung, G, Wernet, D, Buhring, HJ, Rammensee, HG, and Stevanovic, S; 2003, Cutting edge: predetermined avidity of human CD8 T cells expanded on calibrated MHC/anti-CD28-coated microspheres, J.Immunol., 171, 4974-4978)을 이용한 조사를 수행했다. 이 방법으로 우리는 13개의 HLA-A*0201 제한된 TUMAP의 높은 면역성 (50% 이상의 실험된 기증자 TUMAP-특이적 CTL에서 검출되었다)을 보여줄 수 있었으며, 이것은 이 펩티드들이 인간에 존재하는 CD8+ 전조 T 세포에 대한 T 세포 에피톱이라는 것을 보여주었다 (표 3).
CD8 + T 세포의 생체 외 감작
펩티드-MHC 합성 (pMHC)과 항-CD28 항체로 로딩된 인공 항원을 나타내는 세포 (aAPC)에 의한 생체 외 자극을 실행하기 위해서 우선 표준 밀도 증감 분리 매질 (PAA, Colbe, Germany)을 사용하여 새로운 HLA-A*02+ 버피 코트에서 PBMC (말초 혈액 단핵 세포)를 분리했다. 버피 코트는 혈액 은행 Tubingen 또는 Katharinenhospital Stuttgart에서 획득되었다. 분리된 PBMC는 T-세포 매질 (TCM)에서 10% 열 활성화된 인간 AB 혈청 (PAA, Colbe, Germany), 100 U/ml 페니실린 / 100 μg/ml 스트렙토마이신 (Cambrex, Verviers, Belgium), 1 mM 나트륨 피루브산 (CC Pro, Neustadt, Germany) 및 20 μg/ml 겐타 마이신 (Cambrex)이 추가된 RPMI-Glutamax (Invitrogen, Karlsruhe, Germany)를 가진 인간 생체 외 감작을 위해 하룻밤 동안 배양되었다. CD8+ 림프구는 제조자의 지시에 따라 CD8+ MACS 양성 선택 키트 (Milteny, Bergisch Gladbach, Germany)를 사용하여 단리되었다. 수득된 CD8+ T 세포를 2.5 nm/ml IL-7 (PromoCell, Heidelberg, Germany) 및 10 U/ml IL-2 (Chiron, Munich, Germany)가 보충된 TCM에서 사용될 때까지 배양하였다. pMHC/항-CD28 코팅된 비드의 생성, T 세포 자극과 실행된 해독은 이전에 사소하게 변형되어 설명되었다 (Walter, et al., 2003). 간단히 말해서, 막을 통해서 생기는 도메인이 결핍되고 중쇄의 카복시 말단에서 바이오틴화된 항체 재조합 HLA-A*0201 분자는 문헌 [Altman, et al., 1996]에 의해 설명된 방법에 따라 만들어졌다. 정제된 동시자극 마우스 IgG2a 항 인간 CD28 Ab 9.3 (Jung, G, Ledbetter, JA, and Muller-Eberhard, HJ; 종양 세포에 항체 타활용에 의해 결합하는 휴식하고 있는 인간 T 림파구의 세포 독성의 유도, Proc Natl Acad Sci USA, 1987, 84, 4611-4615)은 제조 업체가 (Perbio, Bonn, Germany) 권장하는 대로 설포-N-하이드록시석신이미도바이오틴을 이용하여 화학적으로 바이오틴화되었다. 사용된 비드는 크기가 5.60 μm 스트렙트아비딘 코팅된 스티로폼 입자였다 (Bangs Labooratories, Illinois/USA). 양성과 음성 대조군으로 사용되는 pMHC는 각각 A*0201/MLA-001 (변형된 Melan-A/MART-1의 펩티드 ELAGIGILTV)과 A*0201/DDX5-001 (DDX5의 YLLPAIVHI) 또는 A*0201/HBV-001 (FLPSDFFPSV)였다.
600 ng의 바이오틴 항-CD28 플러스 200 ng의 관련된 바이오틴-pMHC (고 밀도 비드) 또는 2 ng의 관련 플러스 200 ng 비관련 (pMHC 자료관) MHC (저 밀도 비드)의 존재에 800,000 비드 / 200 μl는 96-웰 플레이트에 코팅되었다. 96-웰 플레이트의 자극은 1x106 CD8+ T 세포와 씻겨지고 코팅된 비드 2x105를 5 ng/ml IL-12 (PromoCell) 추가된 200 μl의 TCM에서 3 내지 4일간 37℃에서 공동배양함으로써 시작된다. 매질의 반은 80 U/ml IL-2로 추가된 새로운 CM에 의해 교환되고 배양은 37℃ 에서 3 내지 4일간 계속되었다. 이 자극 주기는 총 세 번 수행되었다. 결국, 테트라머 분석은 형광 MHC 테트라머 (문헌 [Altman, JD, Moss, PA, Goulder, PJ, Barouch, DH, Heyzer-Williams, MG, Bell, JI, McMichael, AJ, and Davis, MM; 특정 T 림파구의 표현형 분석, Science, 1996, 274, 94-96]에서 설명된 대로 산출되었다) 플러스 4가지 색 FACSCalibur (BD) 위의 항체 CD8-FITC 복제 SK1 (BD, Heidelberg, Germany) 같이 수행되었다. 펩티드 특이적 세포는 총 CD8+ T 세포의 백분율로 계산되었다. 테트라머 분석의 평가는 FCS Express 소프트웨어 (De Novo Software)를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특정 테트라머 + CD8+ 림파구의 생체 외 감작은 적절한 통문과 음성 대조군 자극과 비교함으로써 발견되었다. 주어진 항원의 면역성은 건강한 기증자의 최소한 하나의 생체 외 자극된 평가 가능한 웰이 생체 외 자극 후 CD8+ T 세포주를 보이면 발견되었다 (예를 들면, 이 웰은 CD8+ T 세포 중 최소한 1%의 특정 테트라머+를 가졌으며 특정 테트라머+ 세포의 백분율은 최소한 음성 대조군 자극의 매질보다 10배여야 한다).
IMA910 펩티드의 생체 외 면역성
실험된 HLA 클래스 I 펩티드에서, 생체 외 면역성은 펩티드 특이적 T 세포주의 형성에 의해 입증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2개의 펩티드에 대한 TUMAP-특이적 테트라머 염색의 유동세포계측법의 결과가 도 3에 보여진다. 본 발명의 13개의 펩티드에 대한 결과는 표 3에 요약되어 있다.
[표 3]
Figure pat00010
건강한 혈액 기증자에서 얻어진 이 결과 외에도, BCA-002, CHI3L1-001, 및 NLGN4X-001 펩티드 또한 작은 숫자의 아교모세포종 환자에게 실험되었다. 모든 펩티드는 건강한 기증자에게 비교했을 때 비슷한 정도의 면역성이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고, 이는 백신의 관련있는 목표 인구의 전구체 T 세포의 존재를 확인하는 것이다.
실시예 4
HLA -A*0201 및 본 발명의 HLA 클래스 I-제한 펩티드의 결합
목표와 요약
암 면역 치료의 한 부분으로서 펩티드의 행동 모드가 중요한 매개 변수이기 때문에, 이 분석의 목표는 HLA 클래스 I 펩티드의 HLA-A*0201의 대립 유전자에 의해 인코딩된 MHC 분자와의 결합을 평가하기 위해서였다. HLA-A*0201과의 친화력은 여기서 실험된 모든 HLA 클래스 I-제한 펩티드에서 중간에서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분해상수는 간염 핵심 항원에서 유도된 A*02의 강한 결합체인 양성 대조군 펩티드인 HBV-001의 수준으로 보여졌다. 이 결과는 본 발명의 모든 실험된 HLA 클래스 I 펩티드의 강한 결합 친화력을 확인하였다.
시험의 원리
안정적인 HLA/펩티드 복합체는 세 개의 분자를 포함한다: HLA 중연쇄, 베타-2 마이크로글로뷸린 (b2m) 및 펩티드 리간드. 변성된 재조합 HLA-A*0201 중연쇄 분자의 활동 하나가 보존되어 이들을 기능적으로 동등한 "빈 HLA-A*0201 분자"로 만들 수 있다. b2m을 포함하는 수성 완충제 및 적당한 펩티드가 희석되었을 때, 이러한 분자는 빠르게 및 효율적으로 완전히 펩티드-의존 방법으로 접힌다. 이러한 분자의 사용 가능성은 ELISA-기반 분석에 사용되어 펩티드와 HLA 클래스 I 분자 사이의 상호 작용 친화력을 측정하는 데에 사용된다 (Sylvester-Hvid et al., 2002).
정제된 재조합 HLA-A*0201 분자는 b2m과 측정된 관심의 펩티드의 용량과 함께 배양된다. 새로이 접힌 HLA/펩티드 복합체의 양은 양적 ELISA에 의해 결정된다. 분해 상수 (KD 값)는 검량선 용 HLA/펩티드 복합체를 사용한 희석의 기존 커브를 이용하여 계산된다.
결과
결과는 도 4에 보여진다. 더 낮은 KD 값은 HLA-A*0201의 더 높은 친화력을 나타낸다. 이 실험의 모든 실험된 펩티드는 KD 값이 강한 A*02 결합체로 알려진, HBV-001 양성 대조군의 수준인 HLA-A*0201에 대한 강한 친화력을 보여주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모든 클래스 I TUAMP는 MHC 분자 A*02에 대한 강한 결합 친화력을 가지고 있다.
참조문헌 목록
About I, Laurent-Maquin D, Lendahl U, Mitsiadis TA (2000). Nestin expression in embryonic and adult human teeth under normal and pathological conditions. Am J Pathol. 157, 287-295.
Aghi M, Gaviani P, Henson JW, Batchelor TT, Louis DN, Barker FG (2005). Magnetic resonance imaging characteristics predict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amplification status in glioblastoma. Clin Cancer Res. 11, 8600-8605.
Agosti RM, Leuthold M, Gullick WJ, Yasargil MG, Wiestler OD (1992). Expression of the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in astrocytic tumours is specifically associated with glioblastoma multiforme. Virchows Arch. A Pathol. Anat. Histopathol. 420, 321-325.
Al-Joudi FS, Iskandar ZA, Imran AK(2007). Survivin expression correlates with unfavourable prognoses in invasive ductal carcinoma of the breast. Med J Malaysia 62, 6-8.
Al-Nedawi K, Meehan B, Micallef J, Lhotak V, May L, Guha A, Rak J (2008). Intercellular transfer of the oncogenic receptor EGFRvIII by microvesicles derived from tumour cells. Nat. Cell Biol.
Altman JD, Moss PA, Goulder PJ, Barouch DH, Heyzer-Williams MG, BellJI, McMichael AJ, Davis MM (1996). Phenotypic analysis of antigen-specific T lymphocytes. Science 274, 94-96.
Amoh Y, Yang M, Li L, Reynoso J, Bouvet M, Moossa AR, Katsuoka K, Hoffman RM (2005). Nestin-linked green fluorescent protein transgenic nude mouse for imaging human tumor angiogenesis. Cancer Res. 65, 5352-5357.
Angileri FF, Aguennouz M, Conti A, La TD, Cardali S, Crupi R, Tomasello C, Germano A, Vita G, Tomasello F (2008). Nuclear factor-kappaB activation and differential expression of survivin and Bcl-2 in human grade 2-4 astrocytomas. Cancer.
Appay V, Speiser DE, Rufer N, Reynard S, Barbey C, Cerottini JC, Leyvraz S, Pinilla C, Romero P (2006). Decreased specific CD8+ T cell cross-reactivity of antigen recognition following vaccination with Melan-A peptide. Eur. J Immunol. 36, 1805-1814.
Arnold SE, Trojanowski JQ (1996). Human fetal hippocampal development: II. The neuronal cytoskeleton. J Comp Neurol. 367, 293-307.
ARONSON SM, ARONSON BE (1965). CENTRAL NERVOUS SYSTEM IN DIABETES MELLITUS: LOWERED FREQUENCY OF CERTAIN INTRACRANIAL NEOPLASMS. Arch. Neurol. 12, 390-398.
Asheuer M, Bieche I, Laurendeau I, Moser A, Hainque B, Vidaud M, Aubourg P (2005). Decreased expression of ABCD4 and BG1 genes early in the pathogenesis of X-linked adrenoleukodystrophy. Hum. Mol. Genet. 14, 1293-1303.
Asklund T, Appelskog IB, Ammerpohl O, Ekstrom TJ, Almqvist PM (2004). Histone deacetylase inhibitor 4-phenylbutyrate modulates glial fibrillary acidic protein and connexin 43 expression, and enhances gap-junction communication, in human glioblastoma cells. Eur. J Cancer 40, 1073-1081.
Barker FG, Simmons ML, Chang SM, Prados MD, Larson DA, Sneed PK, Wara WM, Berger MS, Chen P, Israel MA, Aldape KD (2001). EGFR overexpression and radiation response in glioblastoma multiforme.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51, 410-418.
Bertelli E, Regoli M, Fonzi L, Occhini R, Mannucci S, Ermini L, Toti P (2007). Nestin expression in adult and developing human kidney. J Histochem. Cytochem. 55, 411-421.
Blum R, Jacob-Hirsch J, Rechavi G, Kloog Y (2006). Suppression of survivin expression in glioblastoma cells by the Ras inhibitor farnesylthiosalicylic acid promotes caspase-dependent apoptosis. Mol. Cancer Ther. 5, 2337-2347.
Bourdon MA, Wikstrand CJ, Furthmayr H, Matthews TJ, Bigner DD (1983). Human glioma-mesenchymal extracellular matrix antigen defined by monoclonal antibody. Cancer Res. 43, 2796-2805.
Bowen AR, Hanks AN, Murphy KJ, Florell SR, Grossman D (2004). Proliferation, apoptosis, and survivin expression in keratinocytic neoplasms and hyperplasias. Am J Dermatopathol. 26, 177-181.
Boyton RJ, Lohmann T, Londei M, Kalbacher H, Halder T, Frater AJ, Douek DC, Leslie DG, Flavell RA, Altmann DM (1998). Glutamic acid decarboxylase T lymphocyte responses associated with susceptibility or resistance to type I diabetes: analysis in disease discordant human twins, non-obese diabetic mice and HLA-DQ transgenic mice. Int. Immunol. 10, 1765-1776.
Brekke C, Lundervold A, Enger PO, Brekken C, Stalsett E, Pedersen TB, Haraldseth O, Kruger PG, Bjerkvig R, Chekenya M (2006). NG2 expression regulates vascular morphology and function in human brain tumours. Neuroimage. 29, 965-976.
Brenner AV, Linet MS, Fine HA, Shapiro WR, Selker RG, Black PM, Inskip PD (2002). History of allergies and autoimmune diseases and risk of brain tumors in adults. Int. J Cancer 99, 252-259.
Brommeland T, Rosengren L, Fridlund S, Hennig R, Isaksen V (2007). Serum levels of glial fibrillary acidic protein correlate to tumour volume of high-grade gliomas. Acta Neurol. Scand. 116, 380-384.
Bronger H, Konig J, Kopplow K, Steiner HH, Ahmadi R, Herold-Mende C, Keppler D, Nies AT (2005). ABCC drug efflux pumps and organic anion uptake transporters in human gliomas and the blood-tumor barrier. Cancer Res. 65, 11419-11428.
Brychtova S, Fiuraskova M, Hlobilkova A, Brychta T, Hirnak J (2007). Nestin expression in cutaneous melanomas and melanocytic nevi. J Cutan. Pathol. 34, 370-375.
Buchner A, Castro M, Hennig A, Popp T, Assmann G, Hofstetter A, Stief C, Zimmermann W (2007). [Transcriptome analyses in renal cell carcinoma. Combination of laser microdissection and microarrays]. Urologe A 46, 1170-1175.
Calvo A, Catena R, Noble MS, Carbott D, Gil-Bazo I, Gonzalez-Moreno O, Huh JI, Sharp R, Qiu TH, Anver MR, Merlino G, Dickson RB, Johnson MD, Green JE (2008). Identification of VEGF-regulated genes associated with increased lung metastatic potential: functional involvement of tenascin-C in tumor growth and lung metastasis. Oncogene.
Campoli MR, Chang CC, Kageshita T, Wang X, McCarthy JB, Ferrone S (2004). Human high molecular weight-melanoma-associated antigen (HMW-MAA): a melanoma cell surface chondroitin sulfate proteoglycan (MSCP) with biological and clinical significance. Crit Rev. Immunol. 24, 267-296.
Carnemolla B, Castellani P, Ponassi M, Borsi L, Urbini S, Nicolo G, Dorcaratto A, Viale G, Winter G, Neri D, Zardi L (1999). Identification of a glioblastoma-associated tenascin-C isoform by a high affinity recombinant antibody. Am J Pathol. 154, 1345-1352.
Carriere C, Seeley ES, Goetze T, Longnecker DS, Korc M (2007). The Nestin progenitor lineage is the compartment of origin for pancreatic intraepithelial neoplasia. Proc Natl. Acad. Sci. U. S. A 104, 4437-4442.
Casati C, Dalerba P, Rivoltini L, Gallino G, Deho P, Rini F, Belli F, Mezzanzanica D, Costa A, Andreola S, Leo E, Parmiani G, Castelli C (2003). The apoptosis inhibitor protein survivin induces tumor-specific CD8+ and CD4+ T cells in colorectal cancer patients. Cancer Res. 63, 4507-4515.
Castellino F, Huang AY, tan-Bonnet G, Stoll S, Scheinecker C, Germain RN (2006). Chemokines enhance immunity by guiding naive CD8+ T cells to sites of CD4+ T cell-dendritic cell interaction. Nature 440, 890-895.
Chakravarti A, Noll E, Black PM, Finkelstein DF, Finkelstein DM, Dyson NJ, Loeffler JS (2002). Quantitatively determined survivin expression levels are of prognostic value in human gliomas. J Clin Oncol 20, 1063-1068.
Cheever MA, Chen W, Disis ML, Takahashi M, Peace DJ (1993). T-cell immunity to oncogenic proteins including mutated ras and chimeric bcr-abl. Ann N. Y. Acad. Sci. 690, 101-112.
Chekenya M, Enger PO, Thorsen F, Tysnes BB, Al-Sarraj S, Read TA, Furmanek T, Mahesparan R, Levine JM, Butt AM, Pilkington GJ, Bjerkvig R (2002a). The glial precursor proteoglycan, NG2, is expressed on tumour neovasculature by vascular pericytes in human malignant brain tumours. Neuropathol. Appl. Neurobiol. 28, 367-380.
Chekenya M, Hjelstuen M, Enger PO, Thorsen F, Jacob AL, Probst B, Haraldseth O, Pilkington G, Butt A, Levine JM, Bjerkvig R (2002b). NG2 proteoglycan promotes angiogenesis-dependent tumor growth in CNS by sequestering angiostatin. FASEB J 16, 586-588.
Chekenya M, Immervoll H (2007). NG2/HMP proteoglycan as a cancer therapeutic target. Methods Mol. Biol. 361, 93-117.
Chekenya M, Krakstad C, Svendsen A, Netland IA, Staalesen V, Tysnes BB, Selheim F, Wang J, Sakariassen PO, Sandal T, Lonning PE, Flatmark T, Enger PO, Bjerkvig R, Sioud M, Stallcup WB (2008). The progenitor cell marker NG2/MPG promotes chemoresistance by activation of integrin-dependent PI3K/Akt signaling. Oncogene.
Chekenya M, Pilkington GJ (2002). NG2 precursor cells in neoplasia: functional, histogenesis and therapeutic implications for malignant brain tumours. J Neurocytol. 31, 507-521.
Chekenya M, Rooprai HK, Davies D, Levine JM, Butt AM, Pilkington GJ (1999). The NG2 chondroitin sulfate proteoglycan: role in malignant progression of human brain tumours. Int J Dev. Neurosci. 17, 421-435.
Chiquet-Ehrismann R, Tucker RP (2004). Connective tissues: signalling by tenascins. Int. J Biochem. Cell Biol. 36, 1085-1089.
Chu C, Li JY, Boado RJ, Pardridge WM (2008). Blood-brain barrier genomics and cloning of a novel organic anion transporter. J Cereb. Blood Flow Metab 28, 291-301.
Colin C, Baeza N, Bartoli C, Fina F, Eudes N, Nanni I, Martin PM, Ouafik L, Figarella-Branger D (2006). Identification of genes differentially expressed in glioblastoma versus pilocytic astrocytoma using Suppression Subtractive Hybridization. Oncogene 25, 2818-2826.
Colombetti S, Basso V, Mueller DL, Mondino A (2006). Prolonged TCR/CD28 engagement drives IL-2-independent T cell clonal expansion through signaling mediated by the mammalian target of rapamycin. J Immunol. 176, 2730-2738.
Conacci-Sorrell M, Kaplan A, Raveh S, Gavert N, Sakurai T, Ben-Ze'ev A (2005). The shed ectodomain of Nr-CAM stimulates cell proliferation and motility, and confers cell transformation. Cancer Res. 65, 11605-11612.
Conacci-Sorrell ME, Ben-Yedidia T, Shtutman M, Feinstein E, Einat P, Ben-Ze'ev A (2002). Nr-CAM is a target gene of the beta-catenin/LEF-1 pathway in melanoma and colon cancer and its expression enhances motility and confers tumorigenesis. Genes Dev. 16, 2058-2072.
Coskun U, Yamac D, Gulbahar O, Sancak B, Karaman N, Ozkan S (2007). Locally advanced breast carcinoma treated with neoadjuvant chemotherapy: are the changes in serum levels of YKL-40, MMP-2 and MMP-9 correlated with tumor response? Neoplasma 54, 348-352.
Cresswell P (1994). Assembly, transport, and function of MHC class II molecules. Annu. Rev. Immunol. 12, 259-293.
Dahlstrand J, Collins VP, Lendahl U (1992). Expression of the class VI intermediate filament nestin in human central nervous system tumors. Cancer Res. 52, 5334-5341.
Dengjel J, Nastke MD, Gouttefangeas C, Gitsioudis G, Schoor O, Altenberend F, Muller M, Kramer B, Missiou A, Sauter M, Hennenlotter J, Wernet D, Stenzl A, Rammensee HG, Klingel K, Stevanovic S (2006). Unexpected Abundance of HLA Class II Presented Peptides in Primary Renal Cell Carcinomas. Clin Cancer Res. 12, 4163-4170.
Dixon DN, Izon DJ, Dagger S, Callow MJ, Taplin RH, Kees UR, Greene WK (2007). TLX1/HOX11 transcription factor inhibits differentiation and promotes a non-haemopoietic phenotype in murine bone marrow cells. Br. J Haematol. 138, 54-67.
Domoto T, Miyama Y, Suzuki H, Teratani T, AraiK, Sugiyama T, Takayama T, Mugiya S, Ozono S, Nozawa R (2007). Evaluation of S100A10, annexin II and B-FABP expression as markers for renal cell carcinoma. Cancer Sci. 98, 77-82.
Dudley ME, Wunderlich JR, Robbins PF, Yang JC, Hwu P, Schwartzentruber DJ, Topalian SL, Sherry R, Restifo NP, Hubicki AM, Robinson MR, Raffeld M, Duray P, Seipp CA, Rogers-Freezer L, Morton KE, Mavroukakis SA, White DE, Rosenberg SA (2002). Cancer regression and autoimmunity in patients after clonal repopulation with antitumor lymphocytes. Science 298, 850-854.
Dudley ME, Wunderlich JR, Yang JC, Sherry RM, Topalian SL, Restifo NP, Royal RE, Kammula U, White DE, Mavroukakis SA, Rogers LJ, Gracia GJ, Jones SA, Mangiameli DP, Pelletier MM, Gea-Banacloche J, Robinson MR, Berman DM, Filie AC, Abati A, Rosenberg SA (2005). Adoptive cell transfer therapy following non-myeloablative but lymphodepleting chemotherapy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refractory metastatic melanoma. J. Clin. Oncol. 23, 2346-2357.
Eppenberger U, Mueller H (1994). Growth factor receptors and their ligands. J Neurooncol. 22, 249-254.
Erfurt C, Sun Z, Haendle I, Schuler-Thurner B, Heirman C, Thielemans K, van der BP, Schuler G, Schultz ES (2007). Tumor-reactive CD4+ T cell responses to the melanoma-associated chondroitin sulphate proteoglycan in melanoma patients and healthy individuals in the absence of autoimmunity. J Immunol. 178, 7703-7709.
Florenes VA, Holm R, Myklebost O, Lendahl U, Fodstad O (1994). Expression of the neuroectodermal intermediate filament nestin in human melanomas. Cancer Res. 54, 354-356.
Fong L, Hou Y, Rivas A, Benike C, Yuen A, Fisher GA, Davis MM, Engleman EG (2001). Altered peptide ligand vaccination with Flt3 ligand expanded dendritic cells for tumor immunotherapy. Proc. Natl. Acad. Sci. U. S. A 98, 8809-8814.
Galli R, Binda E, Orfanelli U, Cipelletti B, Gritti A, De VS, Fiocco R, Foroni C, Dimeco F, Vescovi A (2004).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umorigenic, stem-like neural precursors from human glioblastoma. Cancer Res. 64, 7011-7021.
Galon J, Costes A, Sanchez-Cabo F, Kirilovsky A, Mlecnik B, Lagorce-Pages C, Tosolini M, Camus M, Berger A, Wind P, Zinzindohoue F, Bruneval P, Cugnenc PH, Trajanoski Z, Fridman WH, Pages F (2006). Type, density, and location of immune cells within human colorectal tumors predict clinical outcome. Science 313, 1960-1964.
Garcion E, Halilagic A, Faissner A, ffrench-Constant C (2004). Generation of an environmental niche for neural stem cell development by the extracellular matrix molecule tenascin C. Development 131, 3423-3432.
Gary SC, Kelly GM, Hockfield S (1998). BEHAB/brevican: a brain-specific lectican implicated in gliomas and glial cell motility. Curr. Opin. Neurobiol. 8, 576-581.
Gary SC, Zerillo CA, Chiang VL, Gaw JU, Gray G, Hockfield S (2000). cDNA cloning, chromosomal localization, and expression analysis of human BEHAB/brevican, a brain specific proteoglycan regulated during cortical development and in glioma. Gene 256, 139-147.
Gattinoni L, Powell DJ, Jr., Rosenberg SA, Restifo NP (2006). Adoptive immunotherapy for cancer: building on success. Nat. Rev. Immunol. 6, 383-393.
Ghosh JC, Dohi T, Kang BH, Altieri DC(2008). Hsp60 regulation of tumor cell apoptosis. J Biol. Chem. 283, 5188-5194.
Gipp J, Gu G, Crylen C, Kasper S, Bushman W (2007). Hedgehog pathway activity in the LADY prostate tumor model. Mol. Cancer 6, 19.
Gleiberman AS, Michurina T, Encinas JM, Roig JL, Krasnov P, Balordi F, Fishell G, Rosenfeld MG, Enikolopov G (2008). Genetic approaches identify adult pituitary stem cells. Proc Natl. Acad. Sci. U. S. A 105, 6332-6337.
Gnjatic S, Atanackovic D, Jager E, Matsuo M, Selvakumar A, Altorki NK, Maki RG, Dupont B, Ritter G, Chen YT, Knuth A, Old LJ (2003). Survey of naturally occurring CD4+ T cell responses against NY-ESO-1 in cancer patients: correlation with antibody responses. Proc Natl. Acad. Sci. U. S. A 100, 8862-8867.
Godbout R, Bisgrove DA, Shkolny D, Day RS, III (1998). Correlation of B-FABP and GFAP expression in malignant glioma. Oncogene 16, 1955-1962.
Gorka B, Skubis-Zegadlo J, Mikula M, Bardadin K, Paliczka E, Czarnocka B (2007). NrCAM, a neuronal system cell-adhesion molecule, is induced in papillary thyroid carcinomas. Br. J Cancer 97, 531-538.
Goto Y, Matsuzaki Y, Kurihara S, Shimizu A, Okada T, Yamamoto K, Murata H, Takata M, Aburatani H, Hoon DS, Saida T, Kawakami Y (2006). A new melanoma antigen fatty acid-binding protein 7, involved in proliferation and invasion, is a potential target for immunotherapy and molecular target therapy. Cancer Res. 66, 4443-4449.
Grunda JM, Nabors LB, Palmer CA, Chhieng DC, Steg A, Mikkelsen T, Diasio RB, Zhang K, Allison D, Grizzle WE, Wang W, Gillespie GY, Johnson MR (2006). Increased expression of thymidylate synthetase (TS), ubiquitin specific protease 10 (USP10) and survivin is associated with poor survival in glioblastoma multiforme (GBM). J Neurooncol. 80, 261-274.
Gu G, Yuan J, Wills M, Kasper S (2007). Prostate cancer cells with stem cell characteristics reconstitute the original human tumor in vivo. Cancer Res. 67, 4807-4815.
Gunther HS, Schmidt NO, Phillips HS, Kemming D, Kharbanda S, Soriano R, Modrusan Z, Meissner H, Westphal M, Lamszus K (2008). Glioblastoma-derived stem cell-enriched cultures form distinct subgroups according to molecular and phenotypic criteria. Oncogene 27, 2897-2909.
Hammer J, Gallazzi F, Bono E, Karr RW, Guenot J, Valsasnini P, Nagy ZA, Sinigaglia F (1995). Peptide binding specificity of HLA-DR4 molecules: correlation with rheumatoid arthritis association. J Exp. Med 181, 1847-1855.
Hanada K, Yewdell JW, Yang JC (2004). Immune recognition of a human renal cancer antigen through post-translational protein splicing. Nature 427, 252-256.
Hau P, Kunz-Schughart LA, Rummele P, Arslan F, Dorfelt A, Koch H, Lohmeier A, Hirschmann B, Muller A, Bogdahn U, Bosserhoff AK (2006). Tenascin-C protein is induced by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1 but does not correlate with time to tumor progression in high-grade gliomas. J Neurooncol. 77, 1-7.
Heimberger AB, Hussain SF, Aldape K, Sawaya R, Archer GA, Friedman H, Reardon D, Friedman A, Bigner DD, Sampson JH. Tumor-specific peptide vaccination in newly-diagnosed patients with GBM.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2006 ASCO Annual Meeting Proceedings Part I Vol 24, No. 18S (June 20 Supplement), 2006: 2529. 6-20-2006.
Herold-Mende C, Mueller MM, Bonsanto MM, Schmitt HP, Kunze S, Steiner HH (2002). Clinical impact and functional aspects of tenascin-C expression during glioma progression. Int. J Cancer 98, 362-369.
Herrera MB, Bruno S, Buttiglieri S, Tetta C, Gatti S, Deregibus MC, Bussolati B, Camussi G (2006).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stem cell population from adult human liver. Stem Cells 24, 2840-2850.
Hoffmann NE, Sheinin Y, Lohse CM, Parker AS, Leibovich BC, Jiang Z, Kwon ED (2008). External validation of IMP3 expression as an independent prognostic marker for metastatic progression and death for patients with clear cell renal cell carcinoma. Cancer 112, 1471-1479.
Hormigo A, Gu B, Karimi S, Riedel E, Panageas KS, Edgar MA, Tanwar MK, Rao JS, Fleisher M, DeAngelis LM, Holland EC (2006). YKL-40 and matrix metalloproteinase-9 as potential serum biomarkers for patients with high-grade gliomas. Clin Cancer Res. 12, 5698-5704.
Huang J, Hu J, Bian X, Chen K, Gong W, Dunlop NM, Howard OM, Wang JM (2007). Transactivation of the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by formylpeptide receptor exacerbates the malignant behavior of human glioblastoma cells. Cancer Res. 67, 5906-5913.
Huang Y, Fan J, Yang J, Zhu GZ (2008). Characterization of GPR56 protein and its suppressed expression in human pancreatic cancer cells. Mol. Cell Biochem. 308, 133-139.
Huncharek M, Kupelnick B (2000).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gene amplification as a prognostic marker in glioblastoma multiforme: results of a meta-analysis. Oncol Res. 12, 107-112.
Hwang ML, Lukens JR, Bullock TN(2007). Cognate memory CD4+ T cells generated with dendritic cell priming influence the expansion, trafficking, and differentiation of secondary CD8+ T cells and enhance tumor control. J Immunol. 179, 5829-5838.
Iguchi T, Sakata K, Yoshizaki K, Tago K, Mizuno N, Itoh H (2008). Orphan G protein-coupled receptor GPR56 regulates neural progenitor cell migration via a Galpha 12/13 and Rho pathway. J Biol. Chem.
Ilja Boor PK, de GK, Mejaski-Bosnjak V, Brenner C, van der Knaap MS, Scheper GC, Pronk JC (2006). Megalencephalic leukoencephalopathy with subcortical cysts: an update and extended mutation analysis of MLC1. Hum. Mutat. 27, 505-512.
Ishiuchi S, Tsuzuki K, Yoshida Y, Yamada N, Hagimura N, Okado H, Miwa A, Kurihara H, Nakazato Y, Tamura M, Sasaki T, Ozawa S (2002). Blockage of Ca(2+)-permeable AMPA receptors suppresses migration and induces apoptosis in human glioblastoma cells. Nat. Med 8, 971-978.
Ishizaki M, Ishiwata T, Adachi A, Tamura N, Ghazizadeh M, Kitamura H, Sugisaki Y, Yamanaka N, Naito Z, Fukuda Y (2006). Expression of nestin in rat and human glomerular podocytes. J Submicrosc. Cytol. Pathol. 38, 193-200.
Janssen EM, Lemmens EE, Wolfe T, Christen U, von Herrath MG, Schoenberger SP (2003). CD4+ T cells are required for secondary expansion and memory in CD8+ T lymphocytes. Nature 421, 852-856.
Jaworski DM, Kelly GM, Piepmeier JM, Hockfield S (1996). BEHAB (brain enriched hyaluronan binding) is expressed in surgical samples of glioma and in intracranial grafts of invasive glioma cell lines. Cancer Res. 56, 2293-2298.
Jiang Z, Chu PG, Woda BA, Rock KL, Liu Q, Hsieh CC, Li C, Chen W, Duan HO, McDougal S, Wu CL (2006). Analysis of RNA-binding protein IMP3 to predict metastasis and prognosis of renal-cell carcinoma: a retrospective study. Lancet Oncol 7, 556-564.
Jiang Z, Lohse CM, ChuPG, Wu CL, Woda BA, Rock KL, Kwon ED (2008). Oncofetal protein IMP3: a novel molecular marker that predicts metastasis of papillary and chromophobe renal cell carcinomas. Cancer 112, 2676-2682.
Johansen JS, Jensen BV, Roslind A, Nielsen D, Price PA (2006). Serum YKL-40, a new prognostic biomarker in cancer patients? Cancer Epidemiol. Biomarkers Prev. 15, 194-202.
Johansen JS, Jensen BV, Roslind A, Price PA (2007). Is YKL-40 a new therapeutic target in cancer? Expert. Opin. Ther. Targets. 11, 219-234.
Jung CS, Foerch C, Schanzer A, Heck A, Plate KH, Seifert V, Steinmetz H, Raabe A, Sitzer M (2007). Serum GFAP is a diagnostic marker for glioblastoma multiforme. Brain 130, 3336-3341.
Jung G, Ledbetter JA, Muller-Eberhard HJ (1987). Induction of cytotoxicity in resting human T lymphocytes bound to tumor cells by antibody heteroconjugates. Proc Natl Acad Sci U S A 84, 4611-4615.
Junker N, Johansen JS, Hansen LT, Lund EL, Kristjansen PE (2005). Regulation ofYKL-40 expression during genotoxic or microenvironmental stress in human glioblastoma cells. Cancer Sci. 96, 183-190.
Kajiwara Y, Yamasaki F, Hama S, Yahara K, Yoshioka H, Sugiyama K, Arita K, Kurisu K (2003). Expression of survivin in astrocytic tumors: correlation with malignant grade and prognosis. Cancer 97, 1077-1083.
Kaloshi G, Mokhtari K, Carpentier C, Taillibert S, Lejeune J, Marie Y, Delattre JY, Godbout R, Sanson M (2007). FABP7 expression in glioblastomas: relation to prognosis, invasion and EGFR status. J Neurooncol. 84, 245-248.
Kato Y, Fujita N, Kunita A, Sato S, Kaneko M, Osawa M, Tsuruo T (2003). Molecular identification of Aggrus/T1alpha as a platelet aggregation-inducing factor expressed in colorectal tumors. J Biol. Chem. 278, 51599-51605.
Kato Y, Kaneko MK, Kunita A, Ito H, Kameyama A, Ogasawara S, Matsuura N, Hasegawa Y, Suzuki-Inoue K, Inoue O, Ozaki Y, Narimatsu H (2008). Molecular analysis of the pathophysiological binding of the platelet aggregation-inducing factor podoplanin to the C-type lectin-like receptor CLEC-2. Cancer Sci. 99, 54-61.
Kato Y, Kaneko MK, Kuno A, Uchiyama N, Amano K, Chiba Y, Hasegawa Y, Hirabayashi J, Narimatsu H, Mishima K, Osawa M (2006). Inhibition of tumor cell-induced platelet aggregation using a novel anti-podoplanin antibody reacting with its platelet-aggregation-stimulating domain. Biochem. Biophys. Res. Commun. 349, 1301-1307.
Ke N, Sundaram R, Liu G, Chionis J, Fan W, Rogers C, Awad T, Grifman M, Yu D, Wong-Staal F, Li QX (2007). Orphan G protein-coupledreceptor GPR56 plays a role in cell transformation and tumorigenesis involving the cell adhesion pathway. Mol. Cancer Ther. 6, 1840-1850.
Kennedy RC, Shearer MH, Watts AM, Bright RK (2003). CD4+ T lymphocytes play a critical role in antibody production and tumor immunity against simian virus 40 large tumor antigen. Cancer Res. 63, 1040-1045.
Kim CH, Bak KH, Kim YS, Kim JM, Ko Y, Oh SJ, Kim KM, Hong EK (2000). Expression of tenascin-C in astrocytic tumors: its relevance to proliferation and angiogenesis. Surg Neurol. 54, 235-240.
Kim SH, Das K, Noreen S, Coffman F, Hameed M (2007). Prognostic implications of immunohistochemically detected YKL-40 expression in breast cancer. World J Surg Oncol 5, 17.
Kleeberger W, Bova GS, Nielsen ME, Herawi M, Chuang AY, Epstein JI, Berman DM (2007). Roles for the stem cell associated intermediate filament Nestin in prostate cancer migration and metastasis. Cancer Res. 67, 9199-9206.
Klein T, Ling Z, Heimberg H, Madsen OD, Heller RS, Serup P (2003). Nestin is expressed in vascular endothelial cells in the adult human pancreas. J Histochem. Cytochem. 51, 697-706.
Klein WM, Wu BP, Zhao S, Wu H, Klein-Szanto AJ, Tahan SR (2007). Increased expression of stem cell markers in malignant melanoma. Mod. Pathol. 20, 102-107.
Kobayashi H, Omiya R, Ruiz M, Huarte E, Sarobe P, Lasarte JJ, Herraiz M, Sangro B, Prieto J, Borras-Cuesta F, Celis E (2002). Identification of an antigenic epitope for helper T lymphocytes from carcinoembryonic antigen. Clin Cancer Res. 8, 3219-3225.
Kono T, ShimodaM, Takahashi M, Matsumoto K, Yoshimoto T, Mizutani M, Tabata C, Okoshi K, Wada H, Kubo H (2007). Immunohistochemical detection of the lymphatic marker podoplanin in diverse types of human cancer cells using a novel antibody. Int J Oncol 31, 501-508.
Kosari F, Parker AS, Kube DM, Lohse CM, Leibovich BC, Blute ML, Cheville JC, Vasmatzis G (2005). Clear cell renal cell carcinoma: gene expression analyses identify a potential signature for tumor aggressiveness. Clin Cancer Res. 11, 5128-5139.
Kroes RA, Dawson G, Moskal JR (2007). Focused microarray analysis of glyco-gene expression in human glioblastomas. J Neurochem. 103 Suppl 1, 14-24.
Krona A, Aman P, Orndal C, Josefsson A (2007). Oncostatin M-induced genes in human astrocytomas. Int. J Oncol 31, 1457-1463.
Kucharczak J, Pannequin J, Camby I, Decaestecker C, Kiss R, MartinezJ (2001). Gastrin induces over-expression of genes involved in human U373 glioblastoma cell migration. Oncogene 20, 7021-7028.
Kucur M, Isman FK, Balci C, Onal B, Hacibekiroglu M, Ozkan F, Ozkan A (2008). Serum YKL-40 levels and chitotriosidase activity as potential biomarkers in primary prostate cancer and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Urol. Oncol 26, 47-52.
Kurihara H, Zama A, Tamura M, Takeda J, Sasaki T, Takeuchi T (2000). Glioma/glioblastoma-specific adenoviral gene expression using the nestin gene regulator. Gene Ther. 7, 686-693.
Lal A, Peters H, St CB, Haroon ZA, Dewhirst MW, Strausberg RL, Kaanders JH, van der Kogel AJ, Riggins GJ (2001). Transcriptional response to hypoxia in human tumors. J Natl. Cancer Inst. 93, 1337-1343.
Lemmel C, Weik S, Eberle U, Dengjel J, Kratt T, Becker HD, Rammensee HG, Stevanovic S (2004). Differential quantitative analysis of MHC ligands by mass spectrometry using stable isotope labeling. Nat. Biotechnol. 22, 450-454.
Lendahl U, Zimmerman LB, McKay RD (1990). CNS stem cells express a new class of intermediate filament protein. Cell 60, 585-595.
Li JY, Wang H, May S, Song X, Fueyo J, Fuller GN, Wang H (2008a). Constitutive activation of c-Jun N-terminal kinase correlates with histologic grade and EGFR expression in diffuse gliomas. J Neurooncol. 88, 11-17.
Li L, Xu H, Spaulding BO, Cheng L, Simon R, Yao JL, di Sant'agnese PA, Bourne PA, Huang J (2008b). Expression of RNA-binding protein IMP3 (KOC) inbenign urothelium and urothelial tumors. Hum. Pathol.
Liang ML, Ma J, Ho M, Solomon L, Bouffet E, Rutka JT, Hawkins C (2008). Tyrosine kinase expression in pediatric high grade astrocytoma. J Neurooncol. 87, 247-253.
Liang Y, Bollen AW, Aldape KD, Gupta N(2006). Nuclear FABP7 immunoreactivity is preferentially expressed in infiltrative glioma and is associated with poor prognosis in EGFR-overexpressing glioblastoma. BMC. Cancer 6, 97.
Liang Y, Diehn M, Watson N, Bollen AW, Aldape KD, Nicholas MK, Lamborn KR, Berger MS, Botstein D, Brown PO, Israel MA (2005). Gene expression profiling reveals molecularly and clinically distinct subtypes of glioblastoma multiforme. Proc. Natl. Acad. Sci. U. S. A 102, 5814-5819.
Liao B, Hu Y, Herrick DJ, Brewer G (2005). The RNA-binding protein IMP-3 is a translational activator of insulin-like growth factor II leader-3 mRNA during proliferation of human K562 leukemia cells. J Biol. Chem. 280, 18517-18524.
Littaua RA, Takeda A, Cruz J, Ennis FA (1992). Vaccinia virus-specific human CD4+ cytotoxic T-lymphocyte clones. J Virol. 66, 2274-2280.
Liu M, Parker RM, Darby K, Eyre HJ, Copeland NG, Crawford J, Gilbert DJ, Sutherland GR, Jenkins NA, Herzog H (1999). GPR56, a novel secretin-like human G-protein-coupled receptor gene. Genomics 55, 296-305.
Liu S, Ginestier C, Charafe-Jauffret E, Foco H, Kleer CG, Merajver SD, Dontu G, Wicha MS (2008). BRCA1 regulates human mammary stem/progenitor cell fate. Proc Natl. Acad. Sci. U. S. A 105, 1680-1685.
Liu W, Putnam AL, Xu-Yu Z, Szot GL, LeeMR, Zhu S, Gottlieb PA, Kapranov P, Gingeras TR, de St Groth BF, Clayberger C, Soper DM, Ziegler SF, Bluestone JA (2006a). CD127 expression inversely correlates with FoxP3 and suppressive function of human CD4(+) T reg cells. J Exp. Med 203, 1701-1711.
Liu X, Chen N, Wang X, He Y, Chen X, Huang Y, Yin W, Zhou Q (2006b). Apoptosis and proliferation markers in diffusely infiltrating astrocytomas: profiling of 17 molecules. J Neuropathol. Exp. Neurol. 65, 905-913.
Lo ML, Staibano S, Pannone G, Mignogna MD, Mariggio A, Salvatore G, Chieffi P, Tramontano D, De RG, Altieri DC (2001). Expression of the apoptosis inhibitor survivin in aggressive squamous cell carcinoma. Exp. Mol. Pathol. 70, 249-254.
Lubensky IA, Vortmeyer AO, Kim S, Lonser RR, Park DM, Ikejiri B, Li J, Okamoto H, Walbridge S, Ryschkewitsch C, Major E, Oldfield EH, Zhuang Z (2006). Identification of tumor precursor cells in the brains of primates with radiation-induced de novo glioblastoma multiforme. Cell Cycle 5, 452-456.
Mach B, Steimle V, Martinez-Soria E, Reith W (1996). Regulation of MHC class II genes: lessons from a disease. Annu. Rev. Immunol. 14, 301-331.
Maderna E, Salmaggi A, Calatozzolo C, Limido L, Pollo B (2007). Nestin, PDGFRbeta, CXCL12 and VEGF in Glioma Patients: Different Profiles of (Pro-Angiogenic) Molecule Expression Are Related with Tumor Grade and May Provide Prognostic Information. Cancer Biol. Ther. 6.
Mahlamaki EH, Barlund M, Tanner M, Gorunova L, Hoglund M, Karhu R, Kallioniemi A (2002). Frequent amplification of 8q24, 11q, 17q, and 20q-specific genes in pancreatic cancer. Genes Chromosomes. Cancer 35, 353-358.
Malcherek G, Gnau V, Stevanovic S, Rammensee HG, Jung G, Melms A (1994). Analysis of allele-specific contact sites of natural HLA-DR17 ligands. J Immunol. 153, 1141-1149.
Manici S, Sturniolo T, Imro MA, Hammer J, Sinigaglia F, Noppen C, Spagnoli G, Mazzi B, Bellone M, Dellabona P, Protti MP (1999). Melanoma cells present a MAGE-3 epitope to CD4(+) cytotoxic T cells in association with histocompatibility leukocyte antigen DR11. J Exp. Med 189, 871-876.
Mao Y, Zhou L, Zhu W, Wang X, Yang G, Xie L, Mao X, Jin K (2007). Proliferative status of tumor stem cells may be correlated with malignancy grade of human astrocytomas. Front Biosci. 12, 2252-2259.
Marzo AL, Kinnear BF, Lake RA, Frelinger JJ, Collins EJ, Robinson BW, Scott B (2000). Tumor-specific CD4+ T cells have a major "post-licensing" role in CTL mediated anti-tumor immunity. J Immunol. 165, 6047-6055.
Mellai M, Caldera V, Patrucco A, Annovazzi L, Schiffer D (2008). Survivin expression in glioblastomas correlates with proliferation, but not with apoptosis. Anticancer Res. 28, 109-118.
Mishima K, Kato Y, Kaneko MK, Nishikawa R, Hirose T, Matsutani M (2006). Increased expression of podoplanin in malignant astrocytic tumors as a novel molecular marker of malignant progression. Acta Neuropathol. 111, 483-488.
Mita R, Coles JE, Glubrecht DD, Sung R, Sun X, Godbout R (2007). B-FABP-expressing radial glial cells: the malignant glioma cell of origin? Neoplasia. 9, 734-744.
Miyawaki T, Uemura A, Dezawa M, Yu RT, Ide C, Nishikawa S, Honda Y, Tanabe Y, Tanabe T (2004). Tlx, an orphan nuclear receptor, regulates cell numbers and astrocyte development in the developing retina. J Neurosci. 24, 8124-8134.
Mizukami Y, Kono K, Daigo Y, Takano A, Tsunoda T, KawaguchiY, Nakamura Y, Fujii H (2008). Detection of novel cancer-testis antigen-specific T-cell responses in TIL, regional lymph nodes, and PBL in patients with esophageal squamous cell carcinoma. Cancer Sci.
Mokhtari K, Paris S, guirre-Cruz L, Privat N, Criniere E, Marie Y, Hauw JJ, Kujas M, Rowitch D, Hoang-Xuan K, Delattre JY, Sanson M (2005). Olig2 expression, GFAP, p53 and 1p loss analysis contribute to glioma subclassification. Neuropathol. Appl. Neurobiol. 31, 62-69.
Mokry J, Cizkova D, Filip S, Ehrmann J, Osterreicher J, Kolar Z, English D (2004). Nestin expression by newly formed human blood vessels. Stem Cells Dev. 13, 658-664.
Morgan RA, Dudley ME, Wunderlich JR, Hughes MS, Yang JC, Sherry RM, Royal RE, Topalian SL, Kammula US, Restifo NP, Zheng Z, Nahvi A, de Vries CR, Rogers-Freezer LJ, Mavroukakis SA, Rosenberg SA (2006). Cancer Regression in Patients After Transfer of Genetically Engineered Lymphocytes. Science.
Mortara L, Castellani P, Meazza R, Tosi G, De Lerma BA, Procopio FA, Comes A, Zardi L, Ferrini S, Accolla RS (2006). CIITA-induced MHC class II expression in mammary adenocarcinoma leads to a Th1 polarization of the tumor microenvironment, tumor rejection, and specific antitumor memory. Clin Cancer Res. 12, 3435-3443.
Novellino L, Castelli C, Parmiani G (2005). A listing of human tumor antigens recognized by T cells: March 2004 update. Cancer Immunol. Immunother. 54, 187-207.
Nutt CL, Betensky RA, Brower MA, Batchelor TT, Louis DN, Stemmer-Rachamimov AO (2005). YKL-40 is a differential diagnostic marker for histologic subtypes of high-grade gliomas. Clin Cancer Res. 11, 2258-2264.
Nutt CL, Matthews RT, Hockfield S (2001). Glial tumor invasion: a role for the upregulation and cleavage of BEHAB/brevican. Neuroscientist. 7, 113-122.
O'Driscoll L, Linehan R, Clynes M (2003). Survivin: role in normal cells and in pathological conditions. Curr. Cancer Drug Targets. 3, 131-152.
Ohike N, Sato M, Hisayuki T, Imataka H, Sato S, Wada Y, Saito K, Takahashi M, Tajiri T, Kunimura T, Morohoshi T (2007).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of nestin and c-kit and their significance in pancreatic tumors. Pathol. Int. 57, 589-593.
Okada Y, Ohno C, Ueki K, Ogino M, Kawamoto S, Kim P (2007). Comparison of numerical change of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gene among pre- and postradiation glioma, and gliosis, and its clinical use. Brain Tumor Pathol. 24, 15-18.
Ozerdem U (2006). Targeting of pericytes diminishes neovascularization and lymphangiogenesis in prostate cancer. Prostate 66, 294-304.
Pei Z, Oey NA, Zuidervaart MM, Jia Z, Li Y, Steinberg SJ, Smith KD, Watkins PA (2003). The acyl-CoA synthetase "bubblegum" (lipidosin): further characterization and role in neuronal fatty acid beta-oxidation. J Biol. Chem. 278, 47070-47078.
Pelloski CE, Lin E, Zhang L, Yung WK, Colman H, Liu JL, Woo SY, Heimberger AB, Suki D, Prados M, Chang S, Barker FG, III, Fuller GN, Aldape KD (2006). Prognostic associations of activated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and Akt pathways in glioblastoma. Clin Cancer Res. 12, 3935-3941.
Pelloski CE, Mahajan A, Maor M, Chang EL, Woo S, Gilbert M, Colman H, Yang H, Ledoux A, Blair H, Passe S, Jenkins RB, Aldape KD (2005). YKL-40 expression is associated with poorer response to radiation and shorter overall survival in glioblastoma. Clin Cancer Res. 11, 3326-3334.
Penar PL, Khoshyomn S, Bhushan A, Tritton TR (1997). Inhibition of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associated tyrosine kinase blocks glioblastoma invasion of the brain. Neurosurgery 40, 141-151.
Penna A, Fowler P, Bertoletti A, Guilhot S, Moss B, Margolskee RF, Cavalli A, Valli A, Fiaccadori F, Chisari FV, . (1992). Hepatitis B virus (HBV)-specific cytotoxic T-cell (CTL) response in humans: characterization of HLA class II-restricted CTLs that recognize endogenously synthesized HBV envelope antigens. J Virol. 66, 1193-1198.
Peris L, Thery M, Faure J, Saoudi Y, Lafanechere L, Chilton JK, Gordon-Weeks P, Galjart N, Bornens M, Wordeman L, Wehland J, Andrieux A, Job D (2006). Tubulin tyrosination is a major factor affecting the recruitment of CAP-Gly proteins at microtubule plus ends. J Cell Biol. 174, 839-849.
Perry J, Ho M, Viero S, Zheng K, Jacobs R, Thorner PS (2007). The intermediate filament nestin is highly expressed in normal human podocytes and podocytes in glomerular disease. Pediatr. Dev. Pathol. 10, 369-382.
Piesche M, Hildebrandt Y, Zettl F, Chapuy B, Schmitz M, Wulf G, Trumper L, Schroers R (2007). Identification of a promiscuous HLA DR-restricted T-cell epitope derived from the inhibitor of apoptosis protein survivin. Hum. Immunol. 68, 572-576.
Pizzagalli F, Hagenbuch B, Stieger B, Klenk U, Folkers G, Meier PJ (2002). Identification of a novel human organic anion transporting polypeptide as a high affinity thyroxine transporter. Mol. Endocrinol. 16, 2283-2296.
Pryor JG, Bourne PA, Yang Q, Spaulding BO, Scott GA, Xu H (2008). IMP-3 is a novel progression marker in malignant melanoma. Mod. Pathol. 21, 431-437.
Purow B, Sundaresan TK, Burdick MJ, Kefas B, Comeau L, Hawkinson M, Su Q, Kotliarov Y, Lee J, Zhang W, Fine HA (2008). Notch-1 Regulates Transcription of the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Through p53. Carcinogenesis.
Qin Z, Blankenstein T (2000). CD4+ T cell--mediated tumor rejection involves inhibition of angiogenesis that is dependent on IFN gamma receptor expression by nonhematopoietic cells. Immunity. 12, 677-686.
Qin Z, Schwartzkopff J, Pradera F, Kammertoens T, Seliger B, Pircher H, Blankenstein T (2003). A critical requirement of interferon gamma-mediated angiostasis for tumor rejection by CD8+ T cells. Cancer Res. 63, 4095-4100.
Quaranta M, Divella R, Daniele A, Di TS, Venneri MT, Lolli I, Troccoli G (2007).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serum levels and prognostic value in malignant gliomas. Tumori 93, 275-280.
Rammensee HG, Bachmann J, Emmerich NP, Bachor OA, Stevanovic S (1999). SYFPEITHI: database for MHC ligands and peptide motifs. Immunogenetics 50, 213-219.
Rammensee,H.G., Bachmann,J., and Stevanovic,S. (1997). MHC Ligands and Peptide Motifs. Springer-Verlag, Heidelberg, Germany).
Rammensee HG, Friede T, Stevanoviic S (1995). MHC ligands and peptide motifs: first listing. Immunogenetics 41, 178-228.
Reyaz N, Tayyab M, Khan SA, Siddique T (2005). Correlation of glial fibrillary acidic protein (GFAP) with grading of the neuroglial tumours. J Coll. Physicians Surg. Pak. 15, 472-475.
Ringsholt M, Hogdall EV, Johansen JS, Price PA, Christensen LH (2007). YKL-40 protein expression in normal adult human tissues--an immunohistochemical study. J Mol. Histol. 38, 33-43.
Rosenberg SA, Lotze MT, Muul LM,Chang AE, Avis FP, Leitman S, Linehan WM, Robertson CN, Lee RE, Rubin JT, . (1987). A progress report on the treatment of 157 patients with advanced cancer using lymphokine-activated killer cells and interleukin-2 or high-dose interleukin-2 alone. N. Engl. J. Med. 316, 889-897.
Rosenberg SA, Packard BS, Aebersold PM, Solomon D, Topalian SL, Toy ST, Simon P, Lotze MT, Yang JC, Seipp CA, . (1988). Use of tumor-infiltrating lymphocytes and interleukin-2 in the immunotherapy of patients with metastatic melanoma. A preliminary report. N. Engl. J Med 319, 1676-1680.
Roslind A, Johansen JS, Christensen IJ, Kiss K, Balslev E, Nielsen DL, Bentzen J, Price PA, Andersen E (2008). High serum levels of YKL-40 in patients with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head and neck are associated with short survival. Int. J Cancer 122, 857-863.
Ruiz C, Huang W, Hegi ME, Lange K, Hamou MF, Fluri E, Oakeley EJ, Chiquet-Ehrismann R, Orend G (2004). Growth promoting signaling by tenascin-C [corrected]. Cancer Res. 64, 7377-7385.
Sabatini F, Petecchia L, Tavian M, Jodon dV, V, Rossi GA, Brouty-Boye D (2005). Human bronchial fibroblasts exhibit a mesenchymal stem cell phenotype and multilineage differentiating potentialities. Lab Invest 85, 962-971.
Saidi A, Javerzat S, Bellahcene A, De VJ, Bello L, Castronovo V, Deprez M, Loiseau H, Bikfalvi A, Hagedorn M (2007). Experimental anti-angiogenesis causes upregulation of genes associated with poor survival in glioblastoma. Int. J Cancer.
Saito T, Arifin MT, Hama S, Kajiwara Y, Sugiyama K, Yamasaki F, Hidaka T, Arita K, Kurisu K (2007). Survivin subcellular localization in high-grade astrocytomas: simultaneous expression in both nucleus and cytoplasm is negative prognostic marker. J Neurooncol. 82, 193-198.
Sakurada K, Saino M, Mouri W, Sato A, Kitanaka C, Kayama T (2007). Nestin expression in central nervous system germ cell tumors. Neurosurg. Rev.
Sarlomo-Rikala M, Tsujimura T, Lendahl U, Miettinen M (2002). Patterns of nestin and other intermediate filament expression distinguish between 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s, leiomyomas and schwannomas. APMIS 110, 499-507.
Sasaki T, Lopes MB, Hankins GR, Helm GA(2002). Expression of survivin, an inhibitor of apoptosis protein, in tumors of the nervous system. Acta Neuropathol. 104, 105-109.
Sato F, Abraham JM, Yin J, Kan T, Ito T, Mori Y, Hamilton JP, Jin Z, Cheng Y, Paun B, Berki AT, Wang S, Shimada Y, Meltzer SJ (2006). Polo-like kinase and survivin are esophageal tumor-specific promoters. Biochem. Biophys. Res. Commun. 342, 465-471.
Schacht V, Dadras SS, Johnson LA, Jackson DG, Hong YK, Detmar M (2005). Up-regulation of the lymphatic marker podoplanin, a mucin-type transmembrane glycoprotein, in human squamous cell carcinomas and germ cell tumors. Am J Pathol. 166, 913-921.
Schiffer D, Manazza A, Tamagno I (2006). Nestin expression in neuroepithelial tumors. Neurosci. Lett. 400, 80-85.
Schlegel J, Merdes A, Stumm G, Albert FK, Forsting M, Hynes N, Kiessling M (1994). Amplification of the epidermal-growth-factor-receptor gene correlates with differentgrowth behaviour in human glioblastoma. Int. J Cancer 56, 72-77.
Schlehofer B, Blettner M, Preston-Martin S, Niehoff D, Wahrendorf J, Arslan A, Ahlbom A, Choi WN, Giles GG, Howe GR, Little J, Menegoz F, Ryan P (1999). Role of medical history in brain tumour development. Results from the international adult brain tumour study. Int. J Cancer 82, 155-160.
Schmitt A, Gofferje V, Weber M, Meyer J, Mossner R, Lesch KP (2003). The brain-specific protein MLC1 implicated in megalencephalic leukoencephalopathy with subcortical cysts is expressed in glial cells in the murine brain. Glia 44, 283-295.
Schoenberger SP, Toes RE, van d, V, Offringa R, Melief CJ (1998). T-cell help for cytotoxic T lymphocytes is mediated by CD40-CD40L interactions. Nature 393, 480-483.
Schwartzbaum J, Jonsson F, Ahlbom A, Preston-Martin S, Lonn S, Soderberg KC, Feychting M (2003). Cohort studies of association between self-reported allergic conditions, immune-related diagnoses and glioma and meningioma risk. Int. J Cancer 106, 423-428.
Schwartzbaum J, Jonsson F, Ahlbom A, Preston-Martin S, Malmer B, Lonn S, Soderberg K, Feychting M (2005). Prior hospitalization for epilepsy, diabetes, and stroke and subsequent glioma and meningioma risk. Cancer Epidemiol. Biomarkers Prev. 14, 643-650.
Schwechheimer K, Huang S, Cavenee WK (1995). EGFR gene amplification--rearrangement in human glioblastomas. Int. J Cancer 62, 145-148.
Scrideli CA, Carlotti CG, Jr., Okamoto OK, Andrade VS, Cortez MA, Motta FJ, Lucio-Eterovic AK, Neder L, Rosemberg S, Oba-Shinjo SM, Marie SK, Tone LG (2008). Gene expression profile analysis of primary glioblastomas and non-neoplastic brain tissue: identification of potential target genes by oligonucleotide microarray and real-time quantitative PCR. J Neurooncol.
Sehgal A, Boynton AL, Young RF, Vermeulen SS, Yonemura KS, Kohler EP, Aldape HC, Simrell CR, Murphy GP (1998). Cell adhesion molecule Nr-CAM is over-expressed in human brain tumors. Int J Cancer 76, 451-458.
Sehgal A, Ricks S, Warrick J, Boynton AL, Murphy GP (1999). Antisense human neuroglia related cell adhesion molecule hNr-CAM, reduces the tumorigenic properties of human glioblastoma cells. Anticancer Res. 19, 4947-4953.
Shashidhar S, Lorente G, Nagavarapu U, Nelson A, Kuo J, Cummins J, Nikolich K, Urfer R, Foehr ED (2005). GPR56 is a GPCR that is overexpressed in gliomas and functions in tumor cell adhesion. Oncogene 24, 1673-1682.
Shedlock DJ, Shen H (2003). Requirement for CD4 T cell help in generating functional CD8 T cell memory. Science 300, 337-339.
Shibahara J, Kashima T, Kikuchi Y, Kunita A, Fukayama M (2006). Podoplanin is expressed in subsets of tumo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Virchows Arch. 448, 493-499.
Shih AH, Holland EC (2006). Notch signaling enhances nestin expression in gliomas. Neoplasia. 8, 1072-1082.
Shiras A, Chettiar ST, Shepal V, Rajendran G, Prasad GR, Shastry P (2007). Spontaneous transformation of human adult nontumorigenic stem cells to cancer stem cells is driven by genomic instability in a human model of glioblastoma. Stem Cells 25, 1478-1489.
Shostak K, Labunskyy V, Dmitrenko V, Malisheva T, Shamayev M, Rozumenko V, Zozulya Y, Zehetner G, Kavsan V (2003). HC gp-39 gene is upregulated in glioblastomas. Cancer Lett. 198, 203-210.
Singh SK, Clarke ID, Hide T, Dirks PB (2004a). Cancer stem cells in nervous system tumors. Oncogene 23, 7267-7273.
Singh SK, Clarke ID, Terasaki M, Bonn VE, Hawkins C, Squire J, Dirks PB (2003). Identification of a cancer stem cell in human brain tumors. Cancer Res. 63, 5821-5828.
Singh SK, Hawkins C, Clarke ID, Squire JA, Bayani J, Hide T, Henkelman RM, Cusimano MD, Dirks PB (2004b). Identification of human brain tumour initiating cells. Nature 432, 396-401.
Singh-Jasuja H, Emmerich NP, Rammensee HG (2004). The Tubingen approach: identification, selection, and validation of tumor-associated HLA peptides for cancer therapy. Cancer Immunol. Immunother. 53, 187-195.
Sitnikova L, Mendese G, Liu Q, Woda BA, Lu D, Dresser K, Mohanty S, Rock KL, Jiang Z (2008). IMP3 predicts aggressive superficial urothelial carcinoma of the bladder. Clin Cancer Res. 14, 1701-1706.
Sjo A, Magnusson KE, Peterson KH (2005). Association of alpha-dystrobrevin with reorganizing tight junctions. J Membr. Biol. 203, 21-30.
Span PN, Sweep FC, Wiegerinck ET, Tjan-Heijnen VC, Manders P, Beex LV, de Kok JB (2004). Survivin is an independent prognostic marker for risk stratification of breast cancer patients. Clin Chem. 50, 1986-1993.
Standifer NE, Ouyang Q, Panagiotopoulos C, Verchere CB, Tan R, Greenbaum CJ, Pihoker C, Nepom GT (2006). Identification of Novel HLA-A*0201-Restricted Epitopes in Recent-Onset Type 1 Diabetic Subjects and Antibody-Positive Relatives. Diabetes 55, 3061-3067.
Strojnik T, Rosland GV, Sakariassen PO, Kavalar R, Lah T (2007). Neural stem cell markers, nestin and musashi proteins, in the progression of human glioma: correlation of nestin with prognosis of patient survival. Surg Neurol. 68, 133-143.
Su W, Chen J, Yang H, You L, Xu L, Wang X, Li R, Gao L, Gu Y, Lin S, Xu H, Breyer MD, Hao CM (2007). Expression of nestin in the podocytes of normal and diseased human kidneys. Am J Physiol Regul. Integr. Comp Physiol 292, R1761-R1767.
Sugawara K, Kurihara H, Negishi M, Saito N, Nakazato Y, Sasaki T, Takeuchi T (2002). Nestin as a marker for proliferative endothelium in gliomas. Lab Invest 82, 345-351.
Sun G, Yu RT, Evans RM, Shi Y (2007). Orphan nuclear receptor TLX recruits histone deacetylases to repress transcription and regulate neural stem cell proliferation. Proc Natl. Acad. Sci. U. S. A 104, 15282-15287.
Sun JC, Bevan MJ (2003). Defective CD8 T cell memory following acute infection without CD4 T cell help. Science 300, 339-342.
Suzuki H, Kato Y, Kaneko MK, Okita Y, Narimatsu H, Kato M (2008). Induction of podoplanin by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in human fibrosarcoma. FEBS Lett. 582, 341-345.
Suzuki T, Maruno M, Wada K, Kagawa N, Fujimoto Y, Hashimoto N, Izumoto S, Yoshimine T (2004). Genetic analysis of human glioblastomas using a genomic microarray system. Brain Tumor Pathol. 21, 27-34.
Takano T, Becker LE (1997). Developmental change of the nestin-immunoreactive midline raphe glial structure in human brainstem and spinal cord. Dev. Neurosci. 19, 202-209.
Tan HY, Liu J, Wu SM, Luo HS (2005). Expression of a novel apoptosis inhibitor-survivin in colorectal carcinoma. World J Gastroenterol. 11, 4689-4692.
Tanwar MK, Gilbert MR, HollandEC (2002). Gene expression microarray analysis reveals YKL-40 to be a potential serum marker for malignant character in human glioma. Cancer Res. 62, 4364-4368.
Teranishi N, Naito Z, Ishiwata T, Tanaka N, Furukawa K, Seya T, Shinji S, Tajiri T (2007). Identification of neovasculature using nestin in colorectal cancer. Int. J Oncol 30, 593-603.
Teratani T, Domoto T, Kuriki K, Kageyama T, Takayama T, Ishikawa A, Ozono S, Nozawa R (2007). Detection of transcript for brain-type fatty Acid-binding protein in tumor and urine of patients with renal cell carcinoma. Urology 69, 236-240.
Thompson DM, Gill GN (1985). The EGF receptor: structure, regulation and potential role in malignancy. Cancer Surv. 4, 767-788.
Tohyama T, Lee VM, Rorke LB, Marvin M, McKay RD, Trojanowski JQ (1992). Nestin expression in embryonic human neuroepithelium and in human neuroepithelial tumor cells. Lab Invest 66, 303-313.
Tompkins SM, Rota PA, Moore JC, Jensen PE (1993). A europium fluoroimmunoassay for measuring binding of antigen to class II MHC glycoproteins. J Immunol. Methods 163, 209-216.
Toti P, Regoli M, Nesi G, Occhini R, Bartolommei S, Fonzi L, Bertelli E (2005). Nestin expression in normal adrenal gland and adrenocortical tumors. Histol. Histopathol. 20, 1115-1120.
Tsujimura T, Makiishi-Shimobayashi C, Lundkvist J, Lendahl U, Nakasho K, Sugihara A, Iwasaki T, Mano M, Yamada N, Yamashita K, Toyosaka A, Terada N (2001). Expression of the intermediate filament nestin in 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s and interstitial cells of Cajal. Am J Pathol. 158, 817-823.
Uematsu M, Ohsawa I, Aokage T, Nishimaki K, Matsumoto K, Takahashi H, Asoh S, Teramoto A, Ohta S (2005). Prognostic significance of the immunohistochemical index of survivin in glioma: a comparative study with the MIB-1 index. J Neurooncol. 72, 231-238.
van Bilsen JH, van DH, Lard LR, van d, V, Elferink DG, Bakker AM, Miltenburg AM, Huizinga TW, de Vries RR, Toes RE (2004). Functional regulatory immune responses against human cartilage glycoprotein-39 in health vs. proinflammatory responses in rheumatoid arthritis. Proc. Natl. Acad. Sci. U. S. A 101, 17180-17185.
van der Bruggen P, Traversari C, Chomez P, Lurquin C, De PE, Van den EB, Knuth A, Boon T (1991). A gene encoding an antigen recognized by cytolytic T lymphocytes on a human melanoma. Science 254, 1643-1647.
Vanderwinden JM, Gillard K, De Laet MH, Messam CA, Schiffmann SN (2002). Distribution of the intermediate filament nestin in the muscularis propria of the human gastrointestinal tract. Cell Tissue Res. 309, 261-268.
Veerkamp JH, Zimmerman AW (2001). Fatty acid-binding proteins of nervous tissue. J Mol. Neurosci. 16, 133-142.
Veselska R, Kuglik P, Cejpek P, Svachova H, Neradil J, Loja T, Relichova J (2006). Nestin expression in the cell lines derived from glioblastoma multiforme. BMC. Cancer 6, 32.
Viapiano MS, Bi WL, Piepmeier J, Hockfield S, Matthews RT (2005). Novel tumor-specific isoforms of BEHAB/brevican identified in human malignant gliomas. Cancer Res. 65, 6726-6733.
Viapiano MS, Hockfield S, Matthews RT (2008). BEHAB/brevican requires ADAMTS-mediated proteolytic cleavage to promote glioma invasion. J Neurooncol.
Vigneron N, Stroobant V, Chapiro J, Ooms A, Degiovanni G, Morel S, van der BP, Boon T, Van Den Eynde BJ (2004). An antigenic peptide produced by peptide splicing in the proteasome. Science 304, 587-590.
Vogt AB, Kropshofer H, Kalbacher H, Kalbus M, Rammensee HG, Coligan JE, Martin R (1994). Ligand motifs of HLA-DRB5*0101 and DRB1*1501 molecules delineated from self-peptides. J Immunol. 153, 1665-1673.
Walter S, Herrgen L, Schoor O, Jung G, Wernet D, Buhring HJ, Rammensee HG, Stevanovic S (2003). Cutting edge: predetermined avidity of human CD8 T cells expanded on calibrated MHC/anti-CD28-coated microspheres. J. Immunol. 171, 4974-4978.
Wang JC, Livingstone AM (2003). Cutting edge: CD4+ T cell help can be essential for primary CD8+ T cell responses in vivo. J Immunol. 171, 6339-6343.
Wei LC, Shi M, Cao R, Chen LW, Chan YS (2008). Nestin small interfering RNA (siRNA) reduces cell growth in cultured astrocytoma cells. Brain Res. 1196, 103-112.
Weinschenk T, Gouttefangeas C, Schirle M, Obermayr F, Walter S, Schoor O, Kurek R, Loeser W, Bichler KH, Wernet D, Stevanovic S, Rammensee HG (2002). Integrated functional genomics approach for the design of patient-individual antitumor vaccines. Cancer Res. 62, 5818-5827.
Wicki A, Lehembre F, Wick N, Hantusch B, Kerjaschki D, Christofori G (2006). Tumor invasion in the absence of epithelial-mesenchymal transition: podoplanin-mediated remodeling of the actin cytoskeleton. Cancer Cell 9, 261-272.
Winer S, Tsui H, Lau A, Song A, Li X, Cheung RK, Sampson A, Afifiyan F, Elford A, Jackowski G, Becker DJ, Santamaria P, Ohashi P, Dosch HM (2003). Autoimmune islet destruction in spontaneous type 1 diabetes is not beta-cell exclusive. Nat. Med 9, 198-205.
Wiranowska M, Ladd S, Smith SR, Gottschall PE (2006). CD44 adhesion molecule and neuro-glial proteoglycan NG2 as invasive markers of glioma. Brain Cell Biol. 35, 159-172.
Xie D, Zeng YX, Wang HJ, Wen JM, Tao Y, Sham JS, Guan XY (2006). Expression of cytoplasmic and nuclear Survivin in primary and secondary human glioblastoma. Br. J Cancer 94, 108-114.
Xu L, Begum S, Hearn JD, Hynes RO (2006). GPR56, an atypical G protein-coupled receptor, binds tissue transglutaminase, TG2, and inhibits melanoma tumor growth and metastasis. Proc Natl. Acad. Sci. U. S. A 103, 9023-9028.
Xu L, Hynes RO (2007). GPR56 and TG2: possible roles in suppression of tumor growth by the microenvironment. Cell Cycle 6, 160-165.
Yamashita S, Masuda Y, Kurizaki T, Haga Y, Murayama T, Ikei S, Kamei M, Takeno S, Kawahara K (2007). Survivin expression predicts early recurrence in early-stage breast cancer. Anticancer Res. 27, 2803-2808.
Yang J, Price MA, Neudauer CL, Wilson C, Ferrone S, Xia H, Iida J, Simpson MA, McCarthy JB (2004). Melanoma chondroitin sulfate proteoglycan enhances FAK and ERK activation by distinct mechanisms. J Cell Biol. 165, 881-891.
Yantiss RK, Cosar E, Fischer AH (2008). Use of IMP3 in identification of carcinoma in fine needle aspiration biopsies of pancreas. Acta Cytol. 52, 133-138.
Yantiss RK, Woda BA, Fanger GR, Kalos M, Whalen GF, Tada H, Andersen DK, Rock KL, Dresser K (2005). KOC (K homology domain containing protein overexpressed in cancer): a novel molecular marker that distinguishes between benign and malignant lesions of the pancreas. Am J Surg Pathol. 29, 188-195.
Yee C, Thompson JA, Byrd D, Riddell SR, Roche P, Celis E, Greenberg PD (2002). Adoptive T cell therapy using antigen-specific CD8+ T cell clones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metastatic melanoma: in vivo persistence, migration, and antitumor effect of transferred T cells. Proc. Natl. Acad. Sci. U. S. A 99, 16168-16173.
yuso-Sacido A, Graham C, Greenfield JP, Boockvar JA (2006). The duality of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EGFR) signaling and neural stem cell phenotype: cell enhancer or cell transformer? Curr. Stem Cell Res. Ther. 1, 387-394.
Zangen I, Kneitz S, Monoranu CM, Rutkowski S, Hinkes B, Vince GH, Huang B, Roggendorf W (2007). Ependymoma gene expression profiles associated with histological subtype, proliferation, and patient survival. Acta Neuropathol. 113, 325-337.
Zaremba S, Barzaga E, Zhu M, Soares N, Tsang KY, Schlom J (1997). Identification of an enhancer agonist cytotoxic T lymphocyte peptide from human carcinoembryonic antigen. Cancer Res. 57, 4570-4577.
Zawrocki A, Biernat W (2005).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in glioblastoma. Folia Neuropathol. 43, 123-132.
Zeh HJ, III, Perry-Lalley D, Dudley ME, Rosenberg SA, Yang JC (1999). High avidity CTLs for two self-antigens demonstrate superior in vitro and in vivo antitumor efficacy. J Immunol. 162, 989-994.
Zhen HN, Zhang X, Hu PZ, Yang TT, Fei Z, Zhang JN, Fu LA, He XS, Ma FC, Wang XL (2005). Survivin expression and its relation with proliferation, apoptosis, and angiogenesis in brain gliomas. Cancer 104, 2775-2783.
Zheng W, Yi X, Fadare O, Liang SX, Martel M, Schwartz PE, Jiang Z (2008). The oncofetal protein IMP3: a novel biomarker for endometrial serous carcinoma. Am J Surg Pathol. 32, 304-315.
Zhou R, Skalli O (2000). TGF-alpha differentially regulates GFAP, vimentin, and nestin gene expression in U-373 MG glioblastoma cells: correlation with cell shape and motility. Exp. Cell Res. 254, 269-278.
Zimmerman L, Parr B, Lendahl U, Cunningham M, McKay R, Gavin B, Mann J, Vassileva G, McMahon A (1994). Independent regulatory elements in the nestin gene direct transgene expression to neural stem cells or muscle precursors. Neuron 12, 11-24.
Ziu M, Schmidt NO, Cargioli TG, Aboody KS, Black PM, Carroll RS (2006). Glioma-produced extracellular matrix influences brain tumor tropism of human neural stem cells. J Neurooncol. 79, 125-133.
Zukiel R, Nowak S, Wyszko E, Rolle K, Gawronska I, Barciszewska MZ, Barciszewski J (2006). Suppression of human brain tumor with interference RNA specific for tenascin-C. Cancer Biol. Ther. 5, 1002-1007.
Zulewski H, Abraham EJ, Gerlach MJ, Daniel PB, Moritz W, Muller B, Vallejo M, Thomas MK, Habener JF (2001). Multipotential nestin-positive stem cells isolated from adult pancreatic islets differentiate ex vivo into pancreatic endocrine, exocrine, and hepatic phenotypes. Diabetes 50, 521-533.
SEQUENCE LISTING <110> Immatics Biotechnologies GmbH <120> Novel immunotherapy against several tumors including neuronal and brain tumors <130> I31774KR <140> PCT/EP2009/006980 <141> 2009-09-28 <150> EP08017305.7 <151> 2008-10-01 <150> EP08017921.1 <151> 2008-10-13 <150> US61/105,928 <151> 2008-10-16 <160> 30 <170> PatentIn version 3.4 <210> 1 <211> 9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1 Asn Leu Asp Thr Leu Met Thr Tyr Val 1 5 <210> 2 <211> 9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2 Tyr Leu Ile Ala Gly Ile Ile Ser Leu 1 5 <210> 3 <211> 9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3 Lys Ile Met Glu Arg Ile Gln Glu Val 1 5 <210> 4 <211> 9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4 Phe Leu Gly Asp Pro Pro Glu Lys Leu 1 5 <210> 5 <211> 9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5 Ala Leu Trp Ala Trp Pro Ser Glu Leu 1 5 <210> 6 <211> 9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6 Thr Leu Tyr Gly Met Leu Asn Thr Leu 1 5 <210> 7 <211> 9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7 Ser Leu Asn Glu Leu Arg Val Leu Leu 1 5 <210> 8 <211> 9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8 Lys Leu Gln Asp Glu Ala Tyr Gln Val 1 5 <210> 9 <211> 10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9 Ala Leu Ala Val Leu Ser Asn Tyr Asp Ala 1 5 10 <210> 10 <211> 9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10 Leu Thr Phe Gly Asp Val Val Ala Val 1 5 <210> 11 <211> 9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11 Asn Leu Ala Gln Asp Leu Ala Thr Val 1 5 <210> 12 <211> 9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12 Phe Leu Leu Ser Glu Pro Val Ala Leu 1 5 <210> 13 <211> 9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13 Asn Ile Leu Glu Gln Ile Val Ser Val 1 5 <210> 14 <211> 9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14 Lys Ile Gln Glu Ile Leu Thr Gln Val 1 5 <210> 15 <211> 9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15 Ser Val Val Glu Val Ile Ala Gly Ile 1 5 <210> 16 <211> 9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16 Gly Leu Gln Ser Gln Ile Ala Gln Val 1 5 <210> 17 <211> 9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17 Ser Leu Gln Glu Asn Leu Glu Ser Leu 1 5 <210> 18 <211> 11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18 Phe Leu Phe Pro Gly Thr Glu Asn Gln Glu Leu 1 5 10 <210> 19 <211> 9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19 Asn Leu Ala Glu Glu Leu Glu Gly Val 1 5 <210> 20 <211> 9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20 Lys Ile Ile Ser Glu Ile Gln Ala Leu 1 5 <210> 21 <211> 9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21 Gly Leu Trp His His Gln Thr Glu Val 1 5 <210> 22 <211> 9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22 Thr Leu Val Gly Ile Ile Val Gly Val 1 5 <210> 23 <211> 9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23 Ala Met Thr Gln Leu Leu Ala Gly Val 1 5 <210> 24 <211> 9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24 Gln Leu Leu Ala Gly Val Phe Leu Ala 1 5 <210> 25 <211> 9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25 Thr Met Leu Ala Arg Leu Ala Ser Ala 1 5 <210> 26 <211> 15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26 Thr Leu Gly Glu Phe Leu Lys Leu Asp Arg Glu Arg Ala Lys Asn 1 5 10 15 <210> 27 <211> 15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27 Thr Leu Gly Glu Phe Leu Lys Leu Asp Arg Glu Arg Ala Lys Asp 1 5 10 15 <210> 28 <211> 9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28 Phe Thr Glu Leu Thr Leu Gly Glu Phe 1 5 <210> 29 <211> 9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29 Leu Met Leu Gly Glu Phe Leu Lys Leu 1 5 <210> 30 <211> 9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30 Glu Pro Asp Leu Ala Gln Cys Phe Tyr 1 5

Claims (16)

  1. 서열번호 4, 서열번호 5, 서열번호 6, 서열번호 9, 서열번호 14, 서열번호 19, 서열번호 21, 및 서열번호 2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서열로 이루어진 펩티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펩티드가 비펩티드 결합을 포함하는, 펩티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펩티드가 융합 단백질의 일부인, 펩티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융합 단백질이 HLA-DR 항원-결합 불변 쇄(Li)의 N-말단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펩티드.
  5. 제1항에 따른 펩티드를 인코딩하는 핵산.
  6. 제5항에 따른 핵산을 발현할 수 있는 발현 벡터.
  7. 제1항에 따른 펩티드, 제5항에 따른 핵산, 또는 제6항에 따른 발현 벡터를 포함하는 암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
  8. 제 5 항에 따른 핵산 또는 상기 핵산을 발현할 수 있는 발현 벡터를 포함하는 숙주 세포로서, 항원 제시 세포이고, 인간 배아 줄기 세포가 아닌, 숙주 세포.
  9. 제 5 항에 따른 핵산 또는 제 6 항에 따른 발현 벡터를 발현하는 제 8 항에 따른 숙주 세포를 배양하고, 숙주 세포 또는 그의 배양 배지로부터 펩티드를 단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 1 항에 따른 펩티드의 제조 방법.
  10. 시험관내에서 세포독성 T 림프구(CTL)를, 항원 특이적 방식으로 CTL을 활성화시키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항원 제시 세포 또는 항원 제시 세포를 모방하는 인공 구축물의 표면에 발현된 인간 클래스 I 또는 II MHC 분자가 로딩된 항원과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활성화된 CTL의 시험관내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항원이 제 1 항에 따른 펩티드인 제조 방법.
  11. 제 1 항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폴리펩티드를 비정상적으로 발현하는 세포를 선택적으로 인식하는, 제 10 항에 따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활성화된 세포독성 T 림프구(CTL).
  12. 제 8 항에 따른 세포 또는 제 11 항에 따른 활성화된 세포독성 T 림프구를 포함하는 암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
  13. 제 1 항에 따른 펩티드, 제 8 항에 따른 세포, 또는 제 11 항에 따른 활성화된 세포독성 T 림프구를 포함하는 암 백신.
  14. 제 1 항에 따른 펩티드와 MHC의 MHC/펩티드 복합체에 대해 특이적인 항체.
  15. (a) 용액 또는 냉동건조된 형태로 제 1 항에 따른 펩티드, 제 5 항에 따른 핵산, 제 6 항에 따른 발현 벡터, 제 8 항에 따른 세포, 또는 제 11 항에 따른 활성화된 세포독성 T 림프구를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을 함유하는 용기; 및
    (b) 냉동건조된 제형을 위한 희석제 또는 재구성액을 함유하는 제 2 용기를
    를 포함하는 키트.
  16. 제 15 항에 있어서,
    (i) 용액의 사용 또는 (ii) 냉동건조된 제형의 재구성 및/또는 사용을 위한 지침서를 추가로 포함하는 키트.
KR1020167022929A 2008-10-01 2009-09-28 신경 및 뇌 종양을 포함한 여러 종양에 대한 새로운 면역 치료 KR1018834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8017305.7 2008-10-01
EP20080017305 EP2172211B1 (en) 2008-10-01 2008-10-01 Composition of tumor-associated peptides and related anti-cancer vaccine for the treatment of glioblastoma (GBM) and other cancers
EP08017921.1A EP2172212B1 (en) 2008-10-01 2008-10-13 Novel immunotherapy against several tumors including neuronal and brain tumors
EP08017921.1 2008-10-13
US10592808P 2008-10-16 2008-10-16
US61/105,928 2008-10-16
PCT/EP2009/006980 WO2010037514A2 (en) 2008-10-01 2009-09-28 Novel immunotherapy against several tumors including neuronal and brain tumor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0003A Division KR101756488B1 (ko) 2008-10-01 2009-09-28 신경 및 뇌 종양을 포함한 여러 종양에 대한 새로운 면역 치료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1349A Division KR102133402B1 (ko) 2008-10-01 2009-09-28 신경 및 뇌 종양을 포함한 여러 종양에 대한 새로운 면역 치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3558A true KR20160103558A (ko) 2016-09-01
KR101883426B1 KR101883426B1 (ko) 2018-07-31

Family

ID=40342382

Famil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9579A KR102392070B1 (ko) 2008-10-01 2009-09-28 신경 및 뇌 종양을 포함한 여러 종양에 대한 새로운 면역 치료
KR1020117010003A KR101756488B1 (ko) 2008-10-01 2009-09-28 신경 및 뇌 종양을 포함한 여러 종양에 대한 새로운 면역 치료
KR1020117010000A KR101687840B1 (ko) 2008-10-01 2009-09-28 아교모세포종(gbm) 및 다른 암의 치료를 위한 종양-관련 펩티드 및 관련된 항암 백신의 조성물
KR1020227013879A KR20220058655A (ko) 2008-10-01 2009-09-28 신경 및 뇌 종양을 포함한 여러 종양에 대한 새로운 면역 치료
KR1020167022929A KR101883426B1 (ko) 2008-10-01 2009-09-28 신경 및 뇌 종양을 포함한 여러 종양에 대한 새로운 면역 치료
KR1020187021349A KR102133402B1 (ko) 2008-10-01 2009-09-28 신경 및 뇌 종양을 포함한 여러 종양에 대한 새로운 면역 치료

Family Applications Before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9579A KR102392070B1 (ko) 2008-10-01 2009-09-28 신경 및 뇌 종양을 포함한 여러 종양에 대한 새로운 면역 치료
KR1020117010003A KR101756488B1 (ko) 2008-10-01 2009-09-28 신경 및 뇌 종양을 포함한 여러 종양에 대한 새로운 면역 치료
KR1020117010000A KR101687840B1 (ko) 2008-10-01 2009-09-28 아교모세포종(gbm) 및 다른 암의 치료를 위한 종양-관련 펩티드 및 관련된 항암 백신의 조성물
KR1020227013879A KR20220058655A (ko) 2008-10-01 2009-09-28 신경 및 뇌 종양을 포함한 여러 종양에 대한 새로운 면역 치료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1349A KR102133402B1 (ko) 2008-10-01 2009-09-28 신경 및 뇌 종양을 포함한 여러 종양에 대한 새로운 면역 치료

Country Status (25)

Country Link
US (19) US8318677B2 (ko)
EP (12) EP2172211B1 (ko)
JP (10) JP5753783B2 (ko)
KR (6) KR102392070B1 (ko)
CN (3) CN102170901B (ko)
AU (2) AU2009300088B2 (ko)
BR (2) BRPI0920791B8 (ko)
CA (9) CA2936887C (ko)
CY (11) CY1116302T1 (ko)
DK (12) DK2172211T3 (ko)
EA (3) EA023013B1 (ko)
ES (12) ES2536465T3 (ko)
HK (2) HK1159526A1 (ko)
HR (12) HRP20201025T8 (ko)
HU (11) HUE031030T2 (ko)
LT (10) LT2172212T (ko)
MX (3) MX338294B (ko)
NZ (4) NZ624533A (ko)
PL (12) PL2172211T3 (ko)
PT (12) PT2172211E (ko)
RS (12) RS53782B1 (ko)
SI (12) SI2172211T1 (ko)
TR (2) TR201900809T4 (ko)
UA (3) UA103202C2 (ko)
WO (2) WO201003751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35507B2 (en) 2004-08-19 2013-05-07 University Of Maryland Prostate-specific antigen-derived MHC class II restricted peptides and their use in vaccines to treat or prevent prostate cancer
WO2006034334A2 (en) 2004-09-21 2006-03-30 University Of Pittsburgh Of The Commonwealth System Of Higher Education Peptide analogs capable of enhancing stimulation of a glioma-specific ctl response
HUE027524T2 (en) * 2007-07-27 2016-11-28 Immatics Biotechnologies Gmbh New immunotherapy for brain tumors
EP2113253B1 (en) 2008-04-30 2010-03-31 Immatics Biotechnologies GmbH Novel formulations of tumour-associated peptides binding to human leukocyte antigen (HLA) class I or II molecules for vaccines
EP2119726B2 (en) 2008-05-14 2017-11-29 Immatics Biotechnologies GmbH Novel and powerful MHC-class II peptides derived from survivin and neurocan
PT2172211E (pt) * 2008-10-01 2015-03-09 Immatics Biotechnologies Gmbh Composição de peptídeos associados a tumores e vacina anti -cancro relacionada para o tratamento de glioblastoma (gbm) e outros tipos de câncer
TW201124530A (en) * 2009-12-01 2011-07-16 Oncotherapy Science Inc IMP-3 oligopeptides and vaccines including the same
SE535982C2 (sv) * 2009-12-15 2013-03-19 Theravac Pharmaceuticals Ab Ett nytt vaccin som angriper tumörkärl som ett effektivt redskap i tumörterapi
AU2015200751B2 (en) * 2010-03-19 2016-11-10 Immatics Biotechnologies Gmbh Novel immunotherapy against several tumors including gastrointestinal and gastric cancer
GB201004551D0 (en) 2010-03-19 2010-05-05 Immatics Biotechnologies Gmbh NOvel immunotherapy against several tumors including gastrointestinal and gastric cancer
CA2809362C (en) 2010-08-24 2020-03-10 University Of Pittsburgh - Of The Commonwealth System Of Higher Educatn Interleukin-13 receptor alpha 2 peptide-based brain cancer vaccines
WO2012075490A2 (en) * 2010-12-03 2012-06-07 Duke University Anti-podoplanin antibodies and methods of use
KR20130126671A (ko) * 2010-12-14 2013-11-20 이매틱스 바이오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전립선 관련 항원 분자로부터 유래된 hla 결합 펩티드 및 이의 사용방법
WO2013052158A2 (en) * 2011-04-26 2013-04-11 William Marsh Rice University Targeted nanovectors and their use for treatment of brain tumors
AU2012308302A1 (en) 2011-09-14 2014-03-20 Northwestern University Nanoconjugates able to cross the blood-brain barrier
GB201120779D0 (en) 2011-12-02 2012-01-11 Immodulon Therapeutics Ltd Cancer therapy
KR20220137154A (ko) 2012-01-20 2022-10-11 데니스 엠. 브라운 다형교모세포종 및 수모세포종을 비롯한 신생종양 질환 및 암 줄기세포의 치료를 위한 디안히드로갈락티톨 및 유사체를 비롯한 치환된 헥시톨의 용도
US10704021B2 (en) 2012-03-15 2020-07-07 Flodesign Sonics, Inc. Acoustic perfusion devices
CN103372217B (zh) * 2012-04-28 2014-12-10 中国科学院深圳先进技术研究院 聚合物纳米载体制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EP3912634B1 (en) 2012-05-16 2023-10-04 Stemline Therapeutics Inc. Cancer stem cell targeted cancer vaccines
CN112587658A (zh) * 2012-07-18 2021-04-02 博笛生物科技有限公司 癌症的靶向免疫治疗
TWI777195B (zh) * 2013-08-05 2022-09-11 德商伊瑪提克斯生物科技有限公司 新穎肽類,細胞及其用於治療多種腫瘤的用途,其製造方法及包含其等之醫藥組成物(三)
PT3456339T (pt) * 2013-08-05 2021-12-09 Immatics Biotechnologies Gmbh Nova imunoterapia contra vários tumores, tais como cancro do pulmão, incluindo cpnpc
GB201319446D0 (en) 2013-11-04 2013-12-18 Immatics Biotechnologies Gmbh Personalized immunotherapy against several neuronal and brain tumors
MX2019013161A (es) * 2013-11-04 2020-02-03 Immatics Biotechnologies Gmbh Inmunoterapia personalizada contra diversos tumores cerebrales y neuronales.
CN104698059B (zh) * 2013-12-04 2017-07-21 苏州中赢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脑胶质瘤肿瘤标志物及其应用
US9725710B2 (en) 2014-01-08 2017-08-08 Flodesign Sonics, Inc. Acoustophoresis device with dual acoustophoretic chamber
KR101503341B1 (ko) * 2014-03-12 2015-03-18 국립암센터 자가암항원 특이적 cd8+ t 세포의 분리 및 증식방법
RS60106B1 (sr) 2014-04-25 2020-05-29 Bluebird Bio Inc Mnd promoterni himerni antigenski receptori
WO2015182668A1 (ja) * 2014-05-28 2015-12-03 学校法人東京女子医科大学 膠芽腫の予測方法
JP2015227292A (ja) * 2014-05-30 2015-12-17 国立大学法人高知大学 膵がん細胞浸潤転移抑制ワクチン
NZ726989A (en) 2014-06-06 2020-08-28 Bluebird Bio Inc Improved t cell compositions
JP6366379B2 (ja) * 2014-06-20 2018-08-01 キヤノン株式会社 被検体情報取得装置
EP3215184B1 (en) * 2014-11-06 2021-03-03 OSE Immunotherapeutics Therapeutic multi-peptides t specific immune therapy for treatment of brain metastasis
US10383929B2 (en) 2014-12-12 2019-08-20 Bluebird Bio, Inc. BCMA chimeric antigen receptors
PL3626729T3 (pl) * 2014-12-23 2022-02-21 Immatics Biotechnologies Gmbh Nowe peptydy i kombinacja peptydów do stosowania w immunoterapii względem raka komórek wątroby (hcc) i innych rodzajów raka
GB201501017D0 (en) 2014-12-23 2015-03-04 Immatics Biotechnologies Gmbh Novel peptides and combination of peptides for use in immunotherapy against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and other cancers
GB201423361D0 (en) * 2014-12-30 2015-02-11 Immatics Biotechnologies Gmbh Method for the absolute Quantification of naturally processed HLA-Restricted cancer peptides
US11377651B2 (en) 2016-10-19 2022-07-05 Flodesign Sonics, Inc. Cell therapy processes utilizing acoustophoresis
US11708572B2 (en) 2015-04-29 2023-07-25 Flodesign Sonics, Inc. Acoustic cell separation techniques and processes
CR20230131A (es) * 2015-05-06 2023-06-23 Immatics Biotechnologies Gmbh NUEVOS PÉPTIDOS Y NUEVAS COMBINACIONES DE PÉPTIDOS Y DE SOPORTES PARA LA INMUNOTERAPIA CONTRA EL CARCINOMA COLORRECTAL Y OTROS TIPOS DE CÁNCER (Divisional Exp. 2017-0497)
GB201507719D0 (en) * 2015-05-06 2015-06-17 Immatics Biotechnologies Gmbh Novel peptides and combination of peptides and scaffolds thereof for use in immunotherapy against colorectal carcinoma (CRC) and other cancers
NL2014935B1 (en) 2015-06-08 2017-02-03 Applied Immune Tech Ltd T cell receptor like antibodies having fine specificity.
EP3307307A4 (en) 2015-06-09 2019-05-01 The Board of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Oklahoma COMPOSITIONS AND TREATMENTS FOR HAEMOPHILUS INFLUENZAE
CN114344462A (zh) 2015-06-24 2022-04-15 英摩杜伦治疗学公司 用于癌症治疗的检查点抑制剂和全细胞分枝杆菌
GB201511546D0 (en) 2015-07-01 2015-08-12 Immatics Biotechnologies Gmbh Novel peptides and combination of peptides for use in immunotherapy against ovarian cancer and other cancers
MA54884A (fr) 2015-07-01 2022-01-12 Immatics Biotechnologies Gmbh Neuartige peptide und kombination aus peptiden zur verwendung in der immuntherapie gegen ovarialkarzinom und andere karzinome
EP3736283A1 (en) * 2015-07-06 2020-11-11 immatics biotechnologies GmbH Novel peptides and combination of peptides for use in immunotherapy against esophageal cancer and other cancers
MY189596A (en) * 2015-07-15 2022-02-18 Immatics Biotechnologies Gmbh A novel peptides for use in immunotherapy against epithelial ovarian cancer and other cancers
GB201513921D0 (en) 2015-08-05 2015-09-23 Immatics Biotechnologies Gmbh Novel peptides and combination of peptides for use in immunotherapy against prostate cancer and other cancers
CN115925806A (zh) 2015-08-28 2023-04-07 伊玛提克斯生物技术有限公司 用于各种癌症免疫治疗的新型肽、肽组合物和支架
GB201515321D0 (en) 2015-08-28 2015-10-14 Immatics Biotechnologies Gmbh Novel peptides, combination of peptides and scaffolds for use in immunotherapeutic treatment of various cancers
EP3344276B1 (en) 2015-09-03 2020-04-22 The Board of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Oklahoma Peptide inhibitors of clostridium difficile tcdb toxin
WO2017099712A1 (en) 2015-12-07 2017-06-15 Bluebird Bio, Inc. Improved t cell compositions
GB201521746D0 (en) * 2015-12-10 2016-01-27 Immatics Biotechnologies Gmbh Novel peptides and combination of peptides for use in immunotherapy against CLL and other cancers
WO2017106638A1 (en) 2015-12-16 2017-06-22 Gritstone Oncology, Inc. Neoantigen identification, manufacture, and use
WO2017123996A1 (en) 2016-01-15 2017-07-20 City Of Hope Targeting glioblastoma stem cells through the tlx-tet3 axis
GB201603568D0 (en) * 2016-03-01 2016-04-13 Immatics Biotechnologies Gmbh Efficient treatment options including peptides and combination of peptide and cell based medicaments for use in immunotherapy against urinary bladder cancer
CN105664134B (zh) * 2016-03-13 2019-04-26 浙江药苑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治疗骨癌的药物组合物
NZ746387A (en) 2016-03-16 2022-08-26 Immatics Biotechnologies Gmbh Transfected t-cells and t-cell receptors for use in immunotherapy against cancers
GB201604494D0 (en) 2016-03-16 2016-04-27 Immatics Biotechnologies Gmbh Transfected T-Cells and T-Cell receptors for use in immunotherapy against cancers
GB201604490D0 (en) * 2016-03-16 2016-04-27 Immatics Biotechnologies Gmbh Peptides combination of peptides for use in immunotherapy against cancers
BR112018070067A2 (pt) * 2016-04-06 2019-02-12 Immatics Biotechnologies Gmbh peptídeos e combinações de peptídeos para uso em imunoterapia contra lma e outros cânceres
US11214789B2 (en) 2016-05-03 2022-01-04 Flodesign Sonics, Inc. Concentration and washing of particles with acoustics
WO2017194170A1 (en) * 2016-05-13 2017-11-16 Biontech Rna Pharmaceuticals Gmbh Methods for predicting the usefulness of proteins or protein fragments for immunotherapy
KR101881300B1 (ko) 2016-06-30 2018-07-25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아조피라졸 화합물 및 은 촉매 반응을 이용한 이의 신규한 합성방법
HRP20230698T1 (hr) * 2016-10-03 2023-10-13 Ottawa Hospital Research Institute Ppripravci i metode za pospješivanje rasta i širenja te onkolitičke i imunoterapijske djelotvornosti onkolitičkih rnk virusa
DE102016123893A1 (de) 2016-12-08 2018-06-14 Immatics Biotechnologies Gmbh T-Zellrezeptoren mit verbesserter Bindung
NZ754222A (en) 2016-12-08 2022-02-25 Immatics Biotechnologies Gmbh T cell receptors with improved pairing
MX2019004692A (es) 2017-01-06 2019-11-08 Eutilex Co Ltd Anticuerpos 4-1bb anti-humano y usos de los mismos.
GB201702863D0 (en) * 2017-02-22 2017-04-05 Evox Therapeutics Ltd Improved loading of EVs with therapeutic proteins
WO2018160498A1 (en) * 2017-02-28 2018-09-07 Lyten, Inc. Mixed allotrope particulate carbon films and carbon fiber mats
SG11201910101SA (en) * 2017-05-08 2019-11-28 Gritstone Oncology Inc Alphavirus neoantigen vectors
CN107058596A (zh) * 2017-06-19 2017-08-18 上海市第十人民医院 一种与恶性胶质瘤诊断相关的标志物及其应用
CN107034305A (zh) * 2017-06-19 2017-08-11 上海市第十人民医院 恶性胶质瘤的一种诊断标志物
WO2019075112A1 (en) 2017-10-10 2019-04-18 Gritstone Oncology, Inc. IDENTIFICATION OF NEO-ANTIGENS USING HOT POINTS
JP2021503897A (ja) 2017-11-22 2021-02-15 グリットストーン オンコロジ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新生抗原のためのジャンクションエピトープ提示の低減
EP3724327A4 (en) * 2017-12-14 2022-01-12 EZY Biotech LLC SUBJECT-SPECIFIC TUMOR-INHIBITING CELLS AND THEIR USE
US10785574B2 (en) 2017-12-14 2020-09-22 Flodesign Sonics, Inc. Acoustic transducer driver and controller
PL3773689T3 (pl) * 2018-04-11 2023-03-13 Enterome S.A. Peptydy antygenowe do zapobiegania i leczenia raka
CN108715832B (zh) * 2018-06-01 2020-11-10 段海峰 一种抑制肿瘤生长的间充质干细胞及制备方法和应用
WO2020110154A1 (en) * 2018-11-30 2020-06-04 Bharat Biotech International Limited A chimeric therapeutic vaccine
RU2706554C1 (ru) * 2018-12-13 2019-11-19 Российская Федерация, от имени которой выступает ФОНД ПЕРСПЕКТИВНЫХ ИССЛЕДОВАНИЙ Способ создания противоинфекционной иммунологической защиты к Salmonella typhimurium и Listeria monocytogenes с помощью трансгенеза Т-лимфоцитов
CN109796536B (zh) * 2019-02-22 2021-09-17 上海尚泰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靶向胶质母细胞瘤多种抗原表位的ctl的制备方法
EP3946470A4 (en) * 2019-04-05 2023-05-31 Earli Inc. IMPROVED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SYNTHETIC BIOMARKERS
JP7150289B2 (ja) * 2019-05-28 2022-10-11 ペイジ.エーアイ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デジタル病理学のための処理された画像に関するスライドを調製するために画像を処理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10579457B (zh) * 2019-09-20 2021-11-02 郑州大学第一附属医院 波形蛋白特异响应性荧光探针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2824427B (zh) * 2019-11-18 2022-06-24 杨小骏 一种抑制胶质瘤的短肽及其应用
CN113318225B (zh) * 2020-02-28 2024-01-19 无锡派列博生物医药科技有限公司 肿瘤免疫增强剂及其制法和应用
CN113621024A (zh) * 2020-03-18 2021-11-09 北京鼎成肽源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乳腺癌靶标抗原、乳腺癌靶标抗原刺激培养的ctl细胞及其应用
US11913023B2 (en) 2020-03-31 2024-02-27 Walking Fish Therapeutics, Inc. Modified B cells and methods of use thereof
CA3173480A1 (en) * 2020-03-31 2021-10-07 Kathleen Boyle Modified b cells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20230046313A (ko) 2020-08-06 2023-04-05 그릿스톤 바이오, 인코포레이티드 다중에피토프 백신 카세트
KR20220022021A (ko) 2020-08-14 2022-02-2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B형 간염 바이러스 유래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EP4203994A1 (en) * 2020-08-28 2023-07-05 Torigen Pharmaceuticals, Inc. Immune memory enhanced preparations and uses thereof
US11421015B2 (en) 2020-12-07 2022-08-23 Think Therapeutics, Inc. Method of compact peptide vaccines using residue optimization
US11058751B1 (en) 2020-11-20 2021-07-13 Think Therapeutics, Inc. Compositions for optimized RAS peptide vaccines
US11464842B1 (en) 2021-04-28 2022-10-11 Think Therapeutics, Inc. Compositions and method for optimized peptide vaccines using residue optimization
WO2023192820A2 (en) * 2022-03-30 2023-10-05 Iogenetics, Llc Tumor-associated antigens in brain tumors
PL441229A1 (pl) * 2022-05-19 2023-11-20 Instytut Biologii Doświadczalnej im. Marcelego Nenckiego Polska Akademia Nauk Zaprojektowane, syntetyczne peptydy, zawierające je kompozycje i sposoby ich zastosowania w leczeniu glejaków złośliwych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116051A2 (de) * 2004-05-25 2005-12-08 Immatics Biotechnologies Gmbh An mhc-moleküle bindende tumor-assoziierte peptide
US20080207497A1 (en) * 2000-12-04 2008-08-28 Immunotope, Inc. Cytotoxic t-lymphocyte-inducing immunogens for prevention, treatment, and diagnosis of cancer
KR101184869B1 (ko) * 2008-04-24 2012-09-20 이매틱스 바이오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백신을 위한 인간 조직 적합성 항원(hla) 종류 i 또는 ii 분자에 결합하는 종양 관련 펩티드의 신규한 제형

Family Cites Families (6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40859A (en) 1977-05-27 1984-04-03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ethod for producing recombinant bacterial plasmids containing the coding sequences of higher organisms
US4704362A (en) 1977-11-08 1987-11-03 Genentech, Inc. Recombinant cloning vehicle microbial polypeptide expression
YU44186B (en) 1978-12-22 1990-04-30 Biogen Nv Process for obtaining recombinant dnk molecules
US4530901A (en) 1980-01-08 1985-07-23 Biogen N.V. Recombinant DNA molecules and their use in producing human interferon-like polypeptides
US4342566A (en) 1980-02-22 1982-08-03 Scripps Clinic & Research Foundation Solid phase anti-C3 assay for detection of immune complexes
US4678751A (en) 1981-09-25 1987-07-07 Genentech, Inc. Hybrid human leukocyte interferons
US4766075A (en) 1982-07-14 1988-08-23 Genentech, Inc. Human tissue plasminogen activator
US4582800A (en) 1982-07-12 1986-04-15 Hoffmann-La Roche Inc. Novel vector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terferon expression
US4816567A (en) 1983-04-08 1989-03-28 Genentech, Inc. Recombinant immunoglobin preparations
US4757006A (en) 1983-10-28 1988-07-12 Genetics Institute, Inc. Human factor VIII:C gene and recombinant methods for production
US4677063A (en) 1985-05-02 1987-06-30 Cetus Corporation Human tumor necrosis factor
US4810648A (en) 1986-01-08 1989-03-07 Rhone Poulenc Agrochimie Haloarylnitrile degrading gene, its use, and cells containing the gene
US4897445A (en) 1986-06-27 1990-01-30 The Administrators Of The Tulane Educational Fund Method for synthesizing a peptide containing a non-peptide bond
US5338839A (en) * 1988-04-12 1994-08-16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DNA encoding nestin protein
GB2267257A (en) 1992-05-14 1993-12-01 Ford Motor Co A vehicle load compartment liner.
KR100235089B1 (en) 1992-05-14 1999-12-15 Mitsui Chemicals Inc Ptp or blister packaging articles and packaging material therefor
EP0703925B1 (en) 1993-06-03 1999-08-18 Therapeutic Antibodies Inc. Production of antibody fragments
AUPM322393A0 (en) 1993-12-24 1994-01-27 Austin Research Institute, The Mucin carbohydrate compounds and their use in immunotherapy
ATE244300T1 (de) 1996-01-17 2003-07-15 Imp College Innovations Ltd Immunotherapie mit verwendung von zytotoxischen t lymphozyten (ctl)
US5849589A (en) 1996-03-11 1998-12-15 Duke University Culturing monocytes with IL-4, TNF-α and GM-CSF TO induce differentiation to dendric cells
TW575583B (en) * 1996-04-24 2004-02-11 Akzo Nobel Nv Novel peptides suitable for use in antigen specific immunosuppressive therapy
CA2262007A1 (en) * 1996-07-22 1998-01-29 The Rockefeller University Env-glycoprotein vaccine for protection of htlv-i and -ii infection
AU6240798A (en) 1997-01-15 1998-08-07 Zymogenetics Inc. Zppar6, human tailless nuclear hormone receptor (tlx receptor)
CA2243984A1 (en) * 1997-02-13 1998-08-20 Smithkline Beecham P.L.C. Neural cell adhesion molecule splicing variants
US6406705B1 (en) 1997-03-10 2002-06-18 University Of Iowa Research Foundation Use of nucleic acids containing unmethylated CpG dinucleotide as an adjuvant
CA2311574A1 (en) * 1997-12-02 1999-06-10 Medarex, Inc. Cells expressing anti-fc receptor binding components
US7258860B2 (en) * 1998-03-18 2007-08-21 Corixa Corporatio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therapy and diagnosis of lung cancer
AU3762699A (en) * 1998-04-27 1999-11-16 Pacific Northwest Cancer Foundation (nr-cam) gene, nucleic acids and nucleic acid products for therapeutic and diagnostic uses for tumors
US20030082586A1 (en) * 1999-06-29 2003-05-01 Millennium Pharmaceuticals, Inc. Antibodies having diagnostic, preventive, therapeutic, and other uses
WO2001055203A1 (en) * 2000-01-31 2001-08-02 Human Genome Sciences, Inc. Nucleic acids, proteins, and antibodies
US20020168711A1 (en) * 2000-01-31 2002-11-14 Rosen Craig A. Nucleic acids, proteins, and antibodies
ATE472601T1 (de) 2000-03-27 2010-07-15 Technion Res And Dev Of Founda Einkettige haupthistokompatibilitätskomplexe der klasse i (mhc-i), kodierende konstrukte und methoden ihrer erzeugung
US20040191260A1 (en) 2003-03-26 2004-09-30 Technion Research & Development Foundation Ltd. Compositions capable of specifically binding particular human antigen presenting molecule/pathogen-derived antigen complexes and uses thereof
EP1317275A1 (de) * 2000-09-06 2003-06-11 Müller, Friederike Arzneimittel mit einer für das rna-bindende koc-protein kodierenden dna-sequenz, einem koc-protein oder einer dna-sequenz des koc-promotors
EP2295575A3 (en) * 2000-12-04 2011-07-06 Immunotope, Inc. Cytotoxic T-lymphocyte-inducing immunogens for prevention, treatment, and diagnosis of cancer
WO2002046767A2 (en) * 2000-12-08 2002-06-13 Oxford Glycosciences (Uk) Ltd. Diagnosis and treatment of alzheimer's disease
US20030109434A1 (en) * 2001-03-19 2003-06-12 Corixa Corporatio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therapy and diagnosis of kidney cancer
CA2364106A1 (fr) * 2001-11-30 2003-05-30 Christopher Gillberg Polynucleotide et proteine impliques dans la synaptogenese, variants de ceux-ci, et leurs applications therapeutiques et diagnostiques
US6589642B1 (en) 2001-12-21 2003-07-08 Kloeckner Pentaplast Of America, Inc. Three part high moisture barrier for packages
US7892559B2 (en) 2002-01-30 2011-02-22 Survac Aps Survivin-derived peptides and use thereof
US6992176B2 (en) * 2002-02-13 2006-01-31 Technion Research & Development Foundation Ltd. Antibody having a T-cell receptor-like specificity, yet higher affinity, and the use of same in the detection and treatment of cancer, viral infection and autoimmune disease
JP2005533486A (ja) 2002-02-20 2005-11-10 ダイアックス、コープ Mhc−ペプチド複合体結合リガンド
WO2004015390A2 (en) * 2002-08-09 2004-02-19 Applera Corporation Lung cancer target proteins and use thereof
JP4721633B2 (ja) * 2002-10-11 2011-07-13 財団法人癌研究会 血小板凝集促進活性を有する物質
AU2003298984A1 (en) * 2002-12-27 2004-08-23 Shenzhen Tsinghua Yuanxing Bio-Pharm Science And Technology Co., Ltd. Method of preparing a vaccine and anti-tumor vaccines
US7273980B2 (en) 2004-01-13 2007-09-25 Wardle Scott A Position and velocity transducer using a phonograph disc and turntable
WO2005071075A1 (ja) * 2004-01-23 2005-08-04 Green Peptide Co., Ltd. 上皮細胞増殖因子受容体(egfr)由来ペプチド
WO2006026569A2 (en) * 2004-08-27 2006-03-09 Northeastern University Comprehensive characterization of complex proteins at trace levels
DE602004019215D1 (de) * 2004-10-02 2009-03-12 Immatics Biotechnologies Gmbh Immunogene T-Helfer Epitope von menschlichen Tumorantigenen und deren Verwendung in immunotherapeutischen Methoden
JP5087925B2 (ja) * 2004-12-07 2012-12-05 東レ株式会社 新規癌抗原ペプチド及びその用途
KR100809410B1 (ko) * 2005-07-06 2008-03-05 주식회사 브레인가드 줄기세포 분화 유도용 조성물 및 그의 용도
DK1760088T3 (da) 2005-09-05 2008-06-09 Immatics Biotechnologies Gmbh Tumor associerede peptider, der bindes promiskuöst til human leuko-cyt-antigen (HLA) klasse II-molekyler
SI1760089T1 (sl) * 2005-09-05 2009-12-31 Immatics Biotechnologies Gmbh S tumorjem povezani peptidi, ki se veĹľejo na molekule humanega levkocitnega antigena (HLA) razreda I ali II in ustrezno cepivo proti raku
EP1938104A2 (en) 2005-10-17 2008-07-02 Institute for Systems Biology Tissue-and serum-derived glycoproteins and methods of their use
US20070248628A1 (en) * 2005-12-06 2007-10-25 Keller Lorraine H Immunogens in cancer stem cells
WO2007072494A1 (en) 2005-12-23 2007-06-28 Naik Praful Ramchandra Metallized packaging blister container
EP2089423B1 (en) * 2006-09-21 2016-10-26 Vaxil Biotherapeutics Ltd. Antigen specific multi epitope vaccines
CA2700573C (en) * 2006-09-26 2016-11-22 Cedars-Sinai Medical Center Cancer stem cell antigen vaccines and methods
CA2679743A1 (en) * 2007-03-06 2008-09-12 Barry G. Arnason Methods and compositions involving polymeric immunoglobulin fusion proteins
WO2009125394A1 (en) * 2008-04-09 2009-10-15 Technion Research & Development Foundation Ltd. Anti human immunodeficiency antibodies and uses thereof
EP2113253B1 (en) * 2008-04-30 2010-03-31 Immatics Biotechnologies GmbH Novel formulations of tumour-associated peptides binding to human leukocyte antigen (HLA) class I or II molecules for vaccines
PT2172211E (pt) 2008-10-01 2015-03-09 Immatics Biotechnologies Gmbh Composição de peptídeos associados a tumores e vacina anti -cancro relacionada para o tratamento de glioblastoma (gbm) e outros tipos de câncer
GB201004551D0 (en) 2010-03-19 2010-05-05 Immatics Biotechnologies Gmbh NOvel immunotherapy against several tumors including gastrointestinal and gastric cancer
GB201021289D0 (en) 2010-12-15 2011-01-26 Immatics Biotechnologies Gmbh Novel biomarkers for a prediction of the outcome of an immunotherapy against cancer
BR112016027814A2 (pt) * 2014-05-28 2017-10-24 Nono Inc sal de cloreto de tat-nr2b9c
AU2017253549B2 (en) * 2016-04-21 2021-01-21 Immatics Biotechnologies Gmbh Immunotherapy against melanoma and other cancers
EP3679065A4 (en) * 2017-09-06 2021-05-19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SIGNALING AND ANTIGEN-PRESENTING BIFUNCTIONAL RECEPTORS (SAB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07497A1 (en) * 2000-12-04 2008-08-28 Immunotope, Inc. Cytotoxic t-lymphocyte-inducing immunogens for prevention, treatment, and diagnosis of cancer
WO2005116051A2 (de) * 2004-05-25 2005-12-08 Immatics Biotechnologies Gmbh An mhc-moleküle bindende tumor-assoziierte peptide
KR101184869B1 (ko) * 2008-04-24 2012-09-20 이매틱스 바이오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백신을 위한 인간 조직 적합성 항원(hla) 종류 i 또는 ii 분자에 결합하는 종양 관련 펩티드의 신규한 제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Gary S.C. et al, Gene 256:pp.139-147 (2000) *
Walter S. et al, J. of Immunology, 171(10):pp.4974-8 (2003.11.15.)*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I2331118T1 (sl) 2017-01-31
US10047123B2 (en) 2018-08-14
HUE042115T2 (hu) 2019-06-28
CA2936868A1 (en) 2010-04-08
PL3069728T3 (pl) 2019-05-31
PL3120869T3 (pl) 2021-01-25
SI3120868T1 (sl) 2020-08-31
US20160355550A1 (en) 2016-12-08
SI3120870T1 (sl) 2020-08-31
PL2172212T3 (pl) 2017-04-28
HUE049364T2 (hu) 2020-09-28
HRP20200722T1 (hr) 2020-10-16
HRP20182151T1 (hr) 2019-02-08
EA201401104A1 (ru) 2015-05-29
EP3069728B1 (en) 2018-11-14
PL3120870T3 (pl) 2020-07-27
PT2341927T (pt) 2016-08-02
WO2010037514A2 (en) 2010-04-08
ES2819244T3 (es) 2021-04-15
CY1118702T1 (el) 2017-07-12
EP2331118B1 (en) 2016-10-26
CA2936869C (en) 2019-08-06
CA2936887C (en) 2019-11-12
HRP20201025T8 (hr) 2022-01-07
JP5753783B2 (ja) 2015-07-22
HRP20150223T1 (hr) 2015-06-05
LT3111952T (lt) 2018-12-27
EP3111952B1 (en) 2018-10-31
US20130004456A1 (en) 2013-01-03
HRP20150223T8 (hr) 2015-07-03
EA032437B1 (ru) 2019-05-31
EP2341927B1 (en) 2016-05-04
HRP20170115T1 (hr) 2017-03-24
BRPI0920791B1 (pt) 2022-01-18
RS60338B1 (sr) 2020-07-31
ES2770090T3 (es) 2020-06-30
HRP20201015T1 (hr) 2020-10-16
RS53782B1 (en) 2015-06-30
WO2010037513A1 (en) 2010-04-08
EP3106175A1 (en) 2016-12-21
ES2612466T3 (es) 2017-05-17
EP2172212A3 (en) 2010-04-14
LT3069728T (lt) 2019-02-11
MX338294B (es) 2016-04-11
KR102133402B1 (ko) 2020-07-14
RS55531B1 (sr) 2017-05-31
US11136352B2 (en) 2021-10-05
KR20180088494A (ko) 2018-08-03
EP3132801A1 (en) 2017-02-22
DK3120869T3 (da) 2020-08-10
CA2936870A1 (en) 2010-04-08
JP5883476B2 (ja) 2016-03-15
EP2172212B1 (en) 2016-10-05
EP3124043A1 (en) 2017-02-01
DK2331118T3 (da) 2017-01-09
LT3120868T (lt) 2020-08-10
LT3120869T (lt) 2020-11-10
DK2331118T5 (en) 2017-06-19
ES2802226T3 (es) 2021-01-18
DK3120870T3 (da) 2020-06-22
HK1161106A1 (en) 2012-08-24
EP3111952A1 (en) 2017-01-04
RS58229B1 (sr) 2019-03-29
PL3106175T3 (pl) 2020-08-24
PL2172211T3 (pl) 2015-05-29
US10100085B2 (en) 2018-10-16
US20110002963A1 (en) 2011-01-06
SI2172212T1 (sl) 2016-12-30
US10227381B2 (en) 2019-03-12
BRPI0920759A2 (pt) 2016-03-08
ES2584245T3 (es) 2016-09-26
CY1121098T1 (el) 2019-12-11
SI3069728T1 (sl) 2019-03-29
ES2802227T3 (es) 2021-01-18
RS55543B1 (sr) 2017-05-31
PT2172211E (pt) 2015-03-09
PL3132801T3 (pl) 2020-06-15
JP6297632B2 (ja) 2018-03-20
CA2739384C (en) 2017-05-02
AU2009300087A1 (en) 2010-04-08
US20160376315A1 (en) 2016-12-29
RS60385B1 (sr) 2020-07-31
MX2011003539A (es) 2011-06-20
LT2331118T (lt) 2016-12-27
HUE047365T2 (hu) 2020-04-28
HRP20200988T1 (hr) 2020-10-16
UA103202C2 (ru) 2013-09-25
ES2708654T3 (es) 2019-04-10
EP3106175B1 (en) 2020-04-01
RS60006B1 (sr) 2020-04-30
RS60656B1 (sr) 2020-09-30
TR201900809T4 (tr) 2019-02-21
ES2804723T3 (es) 2021-02-09
PT3120869T (pt) 2020-09-22
EP3120870B1 (en) 2020-04-01
JP2017018101A (ja) 2017-01-26
HRP20161504T1 (hr) 2016-12-30
HRP20190202T1 (hr) 2019-03-22
JP6214066B2 (ja) 2017-10-18
HRP20201228T1 (hr) 2021-02-05
CA2739387A1 (en) 2010-04-08
DK3132801T3 (da) 2020-02-10
CY1116302T1 (el) 2017-02-08
CY1123089T1 (el) 2021-10-29
AU2009300088B2 (en) 2014-09-04
NZ591855A (en) 2012-11-30
JP2012504393A (ja) 2012-02-23
NZ603016A (en) 2014-05-30
EP3132801B1 (en) 2019-10-30
AU2009300088A1 (en) 2010-04-08
US20210261614A1 (en) 2021-08-26
CA2936870C (en) 2019-11-26
JP2017018102A (ja) 2017-01-26
PT3124043T (pt) 2020-05-12
CA2936982C (en) 2019-12-03
CN102170901A (zh) 2011-08-31
US11208434B2 (en) 2021-12-28
CA2936920C (en) 2019-12-03
DK3106175T3 (da) 2020-06-22
JP6367266B2 (ja) 2018-08-01
JP2012504563A (ja) 2012-02-23
US20160376317A1 (en) 2016-12-29
PL3120868T3 (pl) 2020-08-24
CN106986919A (zh) 2017-07-28
PT2331118T (pt) 2017-02-06
SI3124043T1 (sl) 2020-07-31
DK3069728T3 (en) 2019-02-25
LT3124043T (lt) 2020-07-10
US20160376312A1 (en) 2016-12-29
JP2017023136A (ja) 2017-02-02
JP2017029135A (ja) 2017-02-09
US8318677B2 (en) 2012-11-27
CA2936924A1 (en) 2010-04-08
PT3069728T (pt) 2019-02-13
US10047124B2 (en) 2018-08-14
EP2172211B1 (en) 2014-12-03
JP2017000148A (ja) 2017-01-05
SI3111952T1 (sl) 2019-01-31
SI3132801T1 (sl) 2020-03-31
DK2172212T3 (da) 2016-12-19
US10046037B2 (en) 2018-08-14
KR20220058655A (ko) 2022-05-09
PL2341927T3 (pl) 2016-11-30
US20120141517A1 (en) 2012-06-07
EA023013B1 (ru) 2016-04-29
NZ591882A (en) 2012-12-21
CA2936982A1 (en) 2010-04-08
EP2172212A2 (en) 2010-04-07
KR101883426B1 (ko) 2018-07-31
KR20200085381A (ko) 2020-07-14
PT3120868T (pt) 2020-07-16
ES2536465T3 (es) 2015-05-25
EP3120868A1 (en) 2017-01-25
LT3132801T (lt) 2020-02-10
US8119139B2 (en) 2012-02-21
ES2710608T3 (es) 2019-04-26
JP6294914B2 (ja) 2018-03-14
KR20110082155A (ko) 2011-07-18
CA2936868C (en) 2019-10-22
HUE051030T2 (hu) 2021-01-28
US10919931B2 (en) 2021-02-16
KR101756488B1 (ko) 2017-07-11
CA2739384A1 (en) 2010-04-08
US20160376314A1 (en) 2016-12-29
EP2331118A1 (en) 2011-06-15
CA2936924C (en) 2019-07-16
DK2341927T3 (en) 2016-08-15
HK1159526A1 (zh) 2012-08-03
LT3106175T (lt) 2020-08-10
CY1123526T1 (el) 2022-03-24
CN102170900A (zh) 2011-08-31
BRPI0920791A2 (pt) 2019-12-10
HRP20200110T1 (hr) 2020-05-15
ES2788129T8 (es) 2020-11-04
US20150125478A1 (en) 2015-05-07
ES2607460T3 (es) 2017-03-31
HUE049366T2 (hu) 2020-09-28
US20210238227A1 (en) 2021-08-05
NZ624533A (en) 2015-09-25
CY1121258T1 (el) 2020-05-29
US20160376313A1 (en) 2016-12-29
US8653035B2 (en) 2014-02-18
US20130309193A1 (en) 2013-11-21
HUE029360T2 (en) 2017-02-28
DK2172211T3 (en) 2015-02-16
US20210347822A1 (en) 2021-11-11
JP6150859B2 (ja) 2017-06-21
US20170326217A1 (en) 2017-11-16
PT2172212T (pt) 2016-12-22
PT3132801T (pt) 2020-02-04
US20190010190A1 (en) 2019-01-10
BRPI0920791B8 (pt) 2022-02-15
HUE031030T2 (en) 2017-06-28
PT3111952T (pt) 2019-02-05
EP3120870A1 (en) 2017-01-25
HUE049367T2 (hu) 2020-09-28
TR201900852T4 (tr) 2019-02-21
EP3120868B1 (en) 2020-04-08
CA2936887A1 (en) 2010-04-08
RS60381B1 (sr) 2020-07-31
RS60386B1 (sr) 2020-07-31
EP3069728A1 (en) 2016-09-21
PL3124043T3 (pl) 2020-07-27
CY1122913T1 (el) 2021-10-29
RS58443B1 (sr) 2019-04-30
CY1122677T1 (el) 2021-03-12
EA201100586A1 (ru) 2011-10-31
US20100158931A1 (en) 2010-06-24
JP2016047825A (ja) 2016-04-07
PT3120870T (pt) 2020-07-01
EP3124043B1 (en) 2020-04-29
JP5855940B2 (ja) 2016-02-09
HUE050428T2 (hu) 2020-12-28
HRP20201015T8 (hr) 2022-01-21
JP2016145210A (ja) 2016-08-12
US9993540B2 (en) 2018-06-12
JP6294913B2 (ja) 2018-03-14
CN102170901B (zh) 2015-01-07
CA2739387C (en) 2019-10-29
AU2009300087B2 (en) 2014-09-04
EP2172211A1 (en) 2010-04-07
CY1123113T1 (el) 2021-10-29
MX2011003540A (es) 2011-06-20
CA2936869A1 (en) 2010-04-08
US10941181B2 (en) 2021-03-09
DK3120868T3 (da) 2020-06-22
KR101687840B1 (ko) 2016-12-19
US20160376316A1 (en) 2016-12-29
US8895514B2 (en) 2014-11-25
HUE041446T2 (hu) 2019-05-28
JP2014239681A (ja) 2014-12-25
CY1123098T1 (el) 2021-10-29
RS55043B1 (sr) 2016-12-30
PT3106175T (pt) 2020-07-01
DK3124043T3 (da) 2020-05-04
KR102392070B1 (ko) 2022-04-29
WO2010037514A3 (en) 2010-06-03
EP3120869B1 (en) 2020-07-22
HUE030296T2 (en) 2017-04-28
LT2172212T (lt) 2016-11-10
CA2936920A1 (en) 2010-04-08
EP3120869A1 (en) 2017-01-25
SI2341927T1 (sl) 2016-08-31
UA125277C2 (uk) 2022-02-16
DK3111952T3 (en) 2019-01-28
ES2788129T3 (es) 2020-10-20
HRP20201025T1 (hr) 2020-12-25
EA023378B1 (ru) 2016-05-31
EA201100587A1 (ru) 2011-10-31
KR20110074894A (ko) 2011-07-04
US20210253637A1 (en) 2021-08-19
UA110599C2 (uk) 2016-01-25
PL3111952T3 (pl) 2019-04-30
SI3106175T1 (sl) 2020-08-31
SI3120869T1 (sl) 2020-10-30
PL2331118T3 (pl) 2017-05-31
CY1119744T1 (el) 2018-06-27
US10906936B2 (en) 2021-02-02
LT3120870T (lt) 2020-08-10
SI2172211T1 (sl) 2015-03-31
EP2341927A2 (en) 2011-07-13
CN102170900B (zh) 2016-10-26
US8961985B2 (en) 2015-02-24
HRP20160915T1 (hr) 2016-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3426B1 (ko) 신경 및 뇌 종양을 포함한 여러 종양에 대한 새로운 면역 치료
AU2014271235B2 (en) Novel immunotherapy against several tumors including neuronal and brain tumors
AU2016204709B2 (en) Novel immunotherapy against several tumors including neuronal and brain tum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