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6595A - 다이립 구동구조 - Google Patents

다이립 구동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6595A
KR20160016595A KR1020150095723A KR20150095723A KR20160016595A KR 20160016595 A KR20160016595 A KR 20160016595A KR 1020150095723 A KR1020150095723 A KR 1020150095723A KR 20150095723 A KR20150095723 A KR 20150095723A KR 20160016595 A KR20160016595 A KR 201600165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lip
die
operating rod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5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4003B1 (ko
Inventor
가츠유키 나카노
Original Assignee
스미도모쥬기가이 모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도모쥬기가이 모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도모쥬기가이 모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16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65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4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40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29C47/1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29C48/305Extrusion nozzles or dies having a wide opening, e.g. for forming sheets
    • B29C48/31Extrusion nozzles or dies having a wide opening, e.g. for forming sheets being adjustable, i.e. having adjustable exit sections
    • B29C48/313Extrusion nozzles or dies having a wide opening, e.g. for forming sheets being adjustable, i.e. having adjustable exit sections by positioning the die l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05C5/0254Coating heads with slot-shaped outlet
    • B29C47/165
    • B29C47/5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29C48/305Extrusion nozzles or dies having a wide opening, e.g. for forming sheets
    • B29C48/31Extrusion nozzles or dies having a wide opening, e.g. for forming sheets being adjustable, i.e. having adjustable exit 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29C48/305Extrusion nozzles or dies having a wide opening, e.g. for forming sheets
    • B29C48/315Extrusion nozzles or dies having a wide opening, e.g. for forming sheets with parts oscillating relative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8/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xtrusion moulding
    • B29C29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8/92009Measured parameter
    • B29C2948/92114Dimensions
    • B29C2948/92152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8/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xtrusion moulding
    • B29C29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8/92504Controlled parameter
    • B29C2948/92609Dimensions
    • B29C2948/92628Width or h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8/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xtrusion moulding
    • B29C29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8/92504Controlled parameter
    • B29C2948/92609Dimensions
    • B29C2948/92647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29C48/08Flat, e.g. panels flexible, e.g.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29C48/3001Extrusion nozzles or di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their manufacturing proc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레버기구를 이용하여 립 간의 간극을 조정하는 다이립 구동구조에 있어서, 그 간극조정을 위한 구동력을 보다 효율적으로 작용시킨다.
일 양태의 다이립 구동구조에서는, 레버(34)의 회전력이 작동로드(36)의 축선방향의 힘으로 변환되고, 그 축선방향의 힘이 플렉시블 립부(22)에 대한 가압 하중 또는 인장 하중이 된다. 그리고, 레버(34)가 당해 레버(34)의 작용점(P)에 있어서 작동로드(36)에 직접 힘을 부여한다.

Description

다이립 구동구조{DIE LIP DRIVING STRUCTURE}
본 출원은 2014년 8월 5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14-159643호에 근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한다. 그 출원의 전체 내용은 이 명세서 중에 참고로 원용되어 있다.
본 발명은, 다이립 구동부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필름, 종이, 호일 등의 기재에 수지를 코팅하는 라미네이트 프로세스에 있어서, 그 코팅의 막두께를 제어하는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시스템에서는, 압출기를 거친 용융수지의 유량을 제어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T다이가 이용된다. T다이는, 그 용융수지를 내부의 매니폴드에 저류시킨 후에 폭방향으로 분배하여, 선단에 마련된 한 쌍의 립의 간극으로부터 시트 형상으로 도출한다.
이 T다이로부터 도출되는 용융수지의 유량은, 그 립의 간극의 크기를 조정함으로써 제어된다. 구체적으로는, 한 쌍의 립의 일방을 고정립, 타방을 플렉시블 립부로 하고, 액추에이터의 구동에 의하여 플렉시블 립부를 탄성변형시킴으로써 그 간극을 조정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구성에서는, 다이 본체의 측면에 레버기구가 배치되고, 그 레버의 일단부가 플렉시블 립부에 연결되며, 타단부가 액추에이터에 접속되어 있다. 액추에이터를 구동하여 레버를 회동시킴으로써, 플렉시블 립부를 탄성변형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레버기구에 의하면, 액추에이터의 구동력이 지레의 원리에 의하여 증폭되어 플렉시블 립부에 전달되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제어를 행할 수 있다.
일본 공개특허 2010-247343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구성에서는, 레버를 다이 본체의 측면에 설치하는 관계상, 플렉시블 립부에 작용시키는 힘의 방향과 레버에 의한 회전력의 방향이 일치하지 않아, 그 회전력을 최대한으로 이용할 수 없는 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레버기구를 이용하여 립 간의 간극을 조정하는 다이립 구동구조에 있어서, 그 간극조정을 위한 구동력을 보다 효율적으로 작용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다이 본체에 마련된 제1 립과 제2 립 중 적어도 일방을 구성하는 플렉시블 립부에 대하여 가압 하중 또는 인장 하중을 부여함으로써, 제1 립과 제2 립의 간극을 조정하는 다이립 구동구조이다. 이 다이립 구동구조는, 다이 본체에 대한 위치가 고정된 회동축을 지지점으로 하여 지지된 레버와, 다이 본체에 의하여 축선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지지되고, 레버의 작용점에 지지된 작동로드를 구비한다.
레버의 회전력이 작동로드의 축선방향의 힘으로 변환되고, 그 축선방향의 힘이 플렉시블 립부에 대한 가압 하중 또는 인장 하중이 된다. 그리고, 레버가 당해 레버의 작용점에 있어서 작동로드에 직접 힘을 부여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레버기구를 이용하여 립 간의 간극을 조정하는 다이립 구동구조에 있어서, 그 간극조정을 위한 구동력을 보다 효율적으로 작용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관한 다이립 구동구조가 적용된 T다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다이립 구동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다이립 구동부의 구성부품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다이립 구동구조에 의한 구동력 전달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다이립 구동부와 수지 반송기구의 배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제2 실시형태에 관한 다이립 구동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제3 실시형태에 관한 다이립 구동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제4 실시형태에 관한 다이립 구동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9는 제5 실시형태에 관한 다이립 구동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편의상, 도시한 상태를 기준으로 상하 등의 위치 관계를 표현하는 경우가 있다.
[제1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다이립 구동구조를 라미네이트의 T다이에 적용하는 것으로서 구체화한 것이다. 이 T다이는, 압출기를 거친 용융수지를 내부의 매니폴드에 일단 저류시킨 후에 폭방향으로 분배하여, 한 쌍의 립의 간극으로부터 도출하여 시트 형상으로 성형하는 것이다.
도 1은, 실시형태에 관한 다이립 구동구조가 적용된 T다이의 사시도이다. T다이(10)는, 다이 본체(12)와 다이 본체(14)를 조립하여 구성된다. 다이 본체(12)의 하단에는 가동립(16)이 마련되고, 다이 본체(14)의 하단에는 고정립(18)이 마련되어 있다. 이들 립(16, 18)은, 각각 다이 본체(12, 14)의 폭방향으로 뻗으면서 서로 대향 배치되어, 수지 코팅막의 두께를 조정하기 위한 한 쌍의 립(제1 립, 제2 립)을 구성한다.
다이 본체(12)의 하단 근방에는 오목 형상의 절결부(20)가 폭방향을 따라 마련되고, 그 절결부(20)를 경계로 탄성변형 가능한 플렉시블 립부(22)가 형성되어 있다. 이 플렉시블 립부(22)가 가동립(16)을 구성한다. 플렉시블 립부(22)를 구동함(변형시킴)으로써, 가동립(16)과 고정립(18)의 간극을 조정할 수 있다. 이 플렉시블 립부(22)는, 다이 본체(12)에 장착된 액추에이터(24)에 의하여 구동된다.
다이 본체(12)와 다이 본체(14)의 사이에는 매니폴드(26)가 형성된다. 도시하지 않은 압출기로부터 보내지는 용융수지가 이 매니폴드(26)에 일단 체류되어, 폭방향(도시 길이방향)으로 분배된다. 그 용융수지가 고정립(18)과 플렉시블 립부(22)의 간극(S)을 통과함으로써, 그 간극(S)의 크기에 따른 두께의 수지막(R)이 성형된다. 또한, 이 수지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뷰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등, 다양한 종류의 것이 성형 대상으로 될 수 있다.
다이 본체(12)는, 그 폭방향을 따라 복수의 구동기구(28)와 그것을 구동하는 액추에이터(24)가 마련되어 있다. 그들 액추에이터(24)는, 다이 본체(12)의 측면을 따라 고정된 단면 L자 형상의 하우징(25)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각각의 액추에이터(24)가, 플렉시블 립부(22)를 개별적으로 변형시킬 수 있어, 각 영역마다 간극(S)의 조정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2는, 다이립 구동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다이립 구동부의 구성부품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기구(28)는, 액추에이터(24)에 의한 구동력을 증폭하여 플렉시블 립부(22)를 구동하는 레버기구로서 구성되어 있다.
도 3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기구(28)는, 다이 본체(12)의 측면에 장착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30)와, 그 한 쌍의 지지부재(30)에 의하여 수평으로 고정되는 회동축(32)과, 그 회동축(32)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레버(34)와, 레버(34)에 의한 회전력을 받아 축선방향으로 작동하는 작동로드(36)와, 작동로드(36)와 플렉시블 립부(22)를 축선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부재(3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작동로드(36)는, 다이 본체(12)의 측면에 장착되는 베어링부재(40)에 의하여 축선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된다.
한 쌍의 지지부재(30)는 평판 형상을 이루고, 서로 평행이 되도록 다이 본체(12)에 나사체결되며, 양자 간에는 레버(34)를 개재시키기 위한 스페이스가 마련된다. 베어링부재(40)는 직육면체 형상을 이루고, 지지부재(30)의 하방에서 다이 본체(12)에 나사체결된다. 베어링부재(40)를 관통하도록 삽입 관통 구멍(42)이 형성되어 있다. 그 삽입 관통 구멍(42)의 내주면이 이른바 슬라이딩 베어링(무급유 타입의 베어링)을 구성하여, 작동로드(36)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한다.
작동로드(36)는, 단차를 가진 원기둥 형상을 이루고, 그 중간부가 베어링부재(40)의 삽입 관통 구멍(42)에 삽입 관통된다. 작동로드(36)의 상부에는 직경 축소부(44)가 마련되어, 레버(34)와의 연결부를 형성하고 있다. 작동로드(36)의 하부에는 오목 형상의 걸림 결합부(46)가 마련되어, 연결부재(38)와의 접속부를 형성하고 있다. 플렉시블 립부(22)에는, 절결부(20)의 위치에서 작동로드(36)의 선단면과 대향하는 수압면(23)이 마련되어 있다.
연결부재(38)는 종단면으로부터 보아 두 갈래 형상을 이루고, 다이 본체(12)와의 대향면의 상하에 걸림 결합부(48, 50)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걸림 결합부(48)는, 작동로드(36)의 걸림 결합부(46)와 대체로 상보적인 형상을 이룬다. 걸림 결합부(50)는, 플렉시블 립부(22)에 있어서 폭방향으로 연신되는 걸어맞춤홈(52)과 대체로 상보적인 형상을 이룬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림 결합부(48)가 걸림 결합부(46)에 걸어맞춰지고, 걸림 결합부(50)가 걸어맞춤홈(52)에 걸어맞춰지도록 하여, 작동로드(36)와 연결부재(38)가 나사체결된다. 걸림 결합부(48)와 걸림 결합부(46)의 서로의 대향면이 테이퍼면으로 되어 있다. 이로써, 나사(54)를 체결함에 따라 작동로드(36)의 선단면이 플렉시블 립부(22)의 수압면(23)에 가압되어, 작동로드(36)와 플렉시블 립부(22)가 단단히 고정된다. 연결부재(38)의 걸림 결합부(50)와, 작동로드(36)의 선단부에 의하여 플렉시블 립부(22)의 일부가 사이에 끼이는 형태가 되고, 이로써, 작동로드(36)가 그 축선방향으로 플렉시블 립부(22)와 접속된다.
레버(34)는, 다이 본체(12)의 측면과 대략 평행으로 뻗는 긴 판 형상의 본체(60)를 가지고, 그 일단부가 회동축(32)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레버(34)가 비작동 상태에 있어서 본체(60)와 작동로드(36)가 대략 평행이 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또, 본체(60)의 일단부로부터 그 본체(60)의 축선과 직각 방향으로 연신되도록 두 갈래 형상의 연결부(62)가 마련되어 있다. 즉, 연결부(62)는 한 쌍의 연결편(64)으로 이루어지고, 그들의 간격이 작동로드(36)의 직경 축소부(44)의 외경보다 약간 크며, 그들의 폭이 직경 축소부(44)의 길이보다도 약간 작게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연결부(62)가 직경 축소부(44)에 끼워맞춰지는 양태로 레버(34)와 작동로드(36)가 연결되게 된다. 또한, 레버(34)의 회전력이 작동로드(36)에 직접 부여되는 구성이라면, 본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연결부(62)가 본체(60)의 축선으로부터 직각 방향으로 연신되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본체(60)의 축선과 연결부(62)의 연신 방향이 예각을 이루어도 되고, 혹은 둔각을 이루어도 된다. 또, 레버(34)가 비작동 상태에 있어서 본체(60)와 작동로드(36)가 평행이 되지 않도록 해도 된다.
한편, 액추에이터(24)는, 공압 구동 방식의 것으로, 압축 공기의 급배에 의하여 작동하는 한 쌍의 벨로우즈(70, 72)를 포함한다. 레버(34)에 대하여 다이 본체(12)측에 벨로우즈(70)가 배치되고, 레버(34)에 대하여 다이 본체(12)와는 반대측에 벨로우즈(72)가 배치되어 있다. 즉, 레버(34)의 역점이 되는 상단부가, 벨로우즈(70)와 벨로우즈(72)의 사이에 끼이도록 지지되어 있다. 벨로우즈(70, 72)의 일방에 압축 공기가 공급됨으로써, 레버(34)가 도면 중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구체적으로는, 압축 공기의 공급에 의하여 벨로우즈(70)가 신장되면, 레버(34)가 도면 중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그 회전력이 작동로드(36)의 축선방향 상방으로의 힘으로 변환된다. 그 결과, 플렉시블 립부(22)에 대하여 인장 하중이 부여되어, 립 간의 간극이 증대하는 방향으로 변화된다. 한편, 압축 공기의 공급에 의하여 벨로우즈(72)가 신장되면, 레버(34)가 도면 중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그 회전력이 작동로드(36)의 축선방향 하방으로의 힘으로 변환된다. 그 결과, 플렉시블 립부(22)에 대하여 가압 하중이 부여되어, 립 간의 간극이 감소하는 방향으로 변화된다.
이러한 공압 구동을 실현하기 위하여, 도시하지 않은 에어공급원과 벨로우즈(70, 72)를 연결하는 에어공급 회로가 마련되어 있다. 다이 본체(12)에는 그 에어공급 회로와 벨로우즈(70)를 연통시키는 에어공급로(74)가 형성되고, 하우징(25)에는 그 에어공급 회로와 벨로우즈(72)를 연통시키는 에어공급로(76)가 형성되어 있다.
다만, 도시를 생략하지만, 에어공급원과 에어공급로(74, 76)의 사이에는, 상류측으로부터 압력조정밸브, 전환밸브가 마련되어 있다. 압력조정밸브는, 에어공급원으로부터 벨로우즈(70, 72)로 공급하는 압축 공기의 압력을 조정한다. 한편, 전환밸브는, 압력조절된 압축 공기를 벨로우즈(70, 72) 중 어느 하나에 공급하도록 전환한다. 즉, 에어공급 회로에 있어서의 통로의 전환에 의하여, 에어공급로(74, 76)의 일방과 에어공급원을 연통시키고, 타방에 대해서는 대기로 개방한다. 이로써, 압축 공기가 공급된 측의 벨로우즈가 신장되어, 대기 개방된 측의 벨로우즈가 축소되게 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다이립 구동구조에 의한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다이립 구동구조에 의한 구동력 전달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A)는 다이립 구동부의 중립상태(벨로우즈(70, 72)가 모두 비작동 상태)를 나타내고, 도 4(B)는 다이립 구동부의 확개(擴開)작동상태(벨로우즈(70)만 작동한 상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레버(34)의 회전력이 작용점(P)에 있어서 작동로드(36)에 직접 부여된다. 즉, 레버(34)의 회전력이 작동로드(36)의 축선방향의 힘으로서 플렉시블 립부(22)에 부여된다. 그 때, 작동로드(36)가 다이 본체(12)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지지되기 때문에, 그 축선방향의 힘이 플렉시블 립부(22)에 효율적으로 전달된다. 그 결과, 립(16, 18) 간의 간극 조정을 위한 구동력을 효율적으로 작용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버(34)와 작동로드(36)의 접속점(레버(34)의 작용점(P))과, 회동축(32)(레버(34)의 지지점)을 연결하는 직선(L1)이, 작동로드(36)의 축선(L2)과 직교하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회동축(32)을 중심으로 하여 작용점(P)을 통과하는 가상원(C)의 접선방향과, 작동로드(36)의 축선방향이 일치한다.
이로 인하여,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버(34)의 회전력의 작용점(P)에 있어서의 방향과, 작동로드(36)의 축선방향이 일치한다. 그 결과, 레버(34)의 회전력이 그대로 작동로드(36)의 축선방향의 구동력이 되어, 힘의 전달 효율을 최대한으로 높일 수 있다. 즉, 플렉시블 립부(22)를 확개작동시킬 때의 액추에이터(24)의 구동력을 매우 효율적으로 작용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도면 중 굵은 선 화살표 참조).
다만, 도시를 생략하지만, 다이립 구동부의 협소작동상태(벨로우즈(72)만 작동한 상태)에 있어서도, 도 4(B)에 있어서의 힘의 방향이 반대가 되는 것만으로, 레버(34)의 회전력의 작용점(P)에 있어서의 방향과, 작동로드(36)의 축선방향이 일치한다. 그 결과, 확개작동 시와 마찬가지로 레버(34)의 회전력이 그대로 작동로드(36)의 축선방향의 구동력이 되어, 힘의 전달 효율을 최대한으로 높일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립 간의 간극 조정을 위한 구동력을 효율적으로 작용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만, 레버(34)의 회전력이 작동로드(36)에 직접 부여되는 구성이면, 본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연결부(62)의 연신 방향(회동축(32)과 작용점(P)을 연결하는 방향)과 작동로드(36)의 축선방향이 예각 또는 둔각을 이룬 결과, 레버(34)의 회전력의 작용점(P)에 있어서의 방향(편의상 "회전력 작용방향"이라고도 함)과, 작동로드(36)의 축선방향(편의상 "축선력 작용방향"이라고도 함)이 일치하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그 경우, 본체(60)와 작동로드(36)가 평행인 한편, 본체(60)의 축선과 연결부(62)의 연신 방향이 예각 또는 둔각을 이루는 것이어도 된다. 혹은, 본체(60)의 축선과 연결부(62)의 연신 방향이 직각을 이루는 한편, 본체(60)와 작동로드(36)가 평행이 아닌 것이어도 된다. 혹은, 본체(60)의 축선과 연결부(62)의 연신 방향이 예각 또는 둔각을 이루고, 또한 본체(60)와 작동로드(36)가 평행이 아닌 것이어도 된다. 또, 본체(60)로서 적어도 일부에 굴곡부 또는 만곡부를 가지는 것(축선을 반드시 특정할 수 없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도 5는, 다이립 구동부와 수지 반송기구의 배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5의 (A)는 본 실시형태의 다이립 구동부를 채용한 경우를 나타내고, 도 5의 (B)는 비교예에 관한 다이립 구동부를 채용한 경우를 나타낸다. 비교예에 있어서는, 레버와 플렉시블 립부가 작동로드를 통하는 일 없이 접촉되어 장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T다이(10)는 라미네이트에 설치되어, 도시하지 않은 압출기로부터 압출된 용융수지를 가동립(16)(플렉시블 립부(22))과 고정립(18)의 간극으로부터 흘려보낸다. 도 5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T다이(10)는, 하방에 마련된 성형롤(80)과 닙롤(82)의 닙부(84)를 향하여 필름 형상의 용융수지를 도출한다. 이 닙부(84)로는, 다른 반송로로부터 기재 시트가 보내진다. 이들 용융수지와 기재 시트가, 닙롤(82)과 성형롤(80)의 사이에 끼워 넣어져 서로 압착되어, 라미네이트 된 적층 필름이 형성된다. 적층 필름은, 성형롤(80)의 주위에 권취됨으로써 냉각된 후, 반송방향 하류로 유도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작동로드(36)를 다이 본체(12)의 측면을 따르도록 배치하고, 레버(34)의 회전력을 작동로드(36)의 축선방향의 힘으로 변환하여, 플렉시블 립부(22)에 대하여 다이 본체(12)의 측면을 따른 방향의 구동력을 부여한다. 또, 레버(34)의 작용점을, 회동축(32)보다 다이 본체(12) 측에 위치시키고 있다. 이로 인하여, 도시와 같이, 레버(34)의 작용점(P)을 비교적 상방 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 또, 회동축(32)을 플렉시블 립부(22)로부터 상방으로 떨어진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그 결과, T다이(10)에 있어서의 수지의 유출구와 닙부(84)의 에어갭(G)을 작게 할 수 있다. 이것은, 에어갭(G)에 있어서 발생하는 수지 필름의 양단의 슈링크 현상(넥인)을 억제할 수 있어, 성형 후의 트리밍에 의한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 즉 제품 유효폭의 확대가 가능해지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대하여, 도 5의 (B)에 나타내는 비교예는, 플렉시블 립부(122)로부터 가로방향으로 연신된 수압부의 선단면과, 레버(34)에 고정된 전달부재(140)의 선단을 접촉시키고 있다. 이로써, 레버(34)의 회전력을 플렉시블 립부(122)에 직접 전달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레버(34)의 작용점(P)을 회동축(32)의 하방 위치로 설정하고 있다. 그 결과, 레버(34)의 작용점은, 회동축(32)보다도 다이 본체(12) 측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다이립 구동부와 닙롤(82)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에어갭(G)을 크게 하지 않을 수 없다. 바꾸어 말하면, 도 5의 (A)에 나타내는 본 실시형태의 작동로드(36)의 구성 및 배치를 채용함으로써, 회동축(32)과 닙롤(82)의 사이의 스페이스를 최대한 작게 할 수 있고, 이로써, 에어갭(G)을 작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T다이(10)로부터 송출되는 수지 필름의 수율을 비교예보다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T다이(10)에 의하면, 레버(34)의 작용점에 있어서의 회전력의 방향과, 작동로드(36)에 의한 힘의 전달방향(축선방향)을 일치시킴으로써, 액추에이터(24)의 구동력을 플렉시블 립부(22)에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 작동로드(36)를 다이 본체(12)의 측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배치함으로써, 레버(34)의 작용점을 고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 이로써, 다이 본체(12)에 있어서의 수지 유출구와 수지 반송기구(롤 등)의 에어갭(G)을 작게 할 수 있어, 수지 필름 성막 시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다이립 구동구조는, 작동로드와 플렉시블 립부의 접속 구조가 상이한 것 이외에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이로 인하여,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거나 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제2 실시형태에 관한 다이립 구동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작동로드(236)의 하부에 수나사부(240)가 마련되어 있다. 수나사부(240)의 기단부에는 너트(242)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한편, 연결부재(238)는 종단면 U자 형상을 이루고, 그 상부에는 수나사부(240)와 나사결합 가능한 암나사부(244)가 관통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수나사부(240)를 암나사부(244)를 관통할 정도까지 나사결합시킴으로써, 작동로드(236)의 선단면이 플렉시블 립부(22)의 수압면(23)에 가압되어, 작동로드(236)와 플렉시블 립부(22)가 단단히 고정된다. 그 때, 너트(242)를 체결함으로써, 작동로드(236)와 연결부재(238)의 고정을 안정시킬 수 있다. 이 때, 연결부재(238)의 걸림 결합부(50)와 작동로드(236)의 선단부에 의하여 플렉시블 립부(22)의 일부가 사이에 끼이는 형태가 되고, 이로써, 작동로드(236)가 그 축선방향으로 플렉시블 립부(22)와 접속된다.
[제3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다이립 구동구조는, 작동로드와 플렉시블 립부의 접속 구조가 상이한 것 이외에는 제2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이로 인하여, 제2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거나 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은, 제3 실시형태에 관한 다이립 구동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작동로드(336)의 하부에 수나사부(240)가 마련되어, 그 기단부에 너트(242)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한편, 플렉시블 립부(22)의 수압면(23)에 암나사부(344)가 마련되어 있어, 수나사부(240)가 축선방향으로 나사결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수나사부(240)를 암나사부(344)에 나사결합시킴으로써, 작동로드(336)와 플렉시블 립부(22)를 직접 연결할 수 있다. 그 때, 너트(242)를 체결함으로써, 작동로드(336)와 플렉시블 립부(22)를 단단히 고정할 수 있다. 이 때, 수나사부(240)의 암나사부(344)에 대한 나입량(螺入量)을 조정함으로써, 작동로드(336)와 레버(34)의 위치 관계를 고정밀도로 설정할 수 있다. 즉, 레버(34)의 회전력의 작용점(P)에 있어서의 방향과, 작동로드(336)의 축선방향을 일치시킬 수 있다.
[제4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다이립 구동구조는, 작동로드와 레버의 접속 구조가 상이한 것 이외에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도 8은, 제4 실시형태에 관한 다이립 구동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작동로드(436)의 상단부에 나사(420)를 축선방향으로 조립함으로써, 작동로드(436)의 상단과 나사(420)의 헤드부의 사이에 직경 축소부(444)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레버(34)의 연결부(62)를 그 직경 축소부(444)에 조립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제1 실시형태와 같이 작동로드(36)의 외주면에 직경 축소부(44)를 가공하는 공정이 불필요해진다. 직경 축소부(444)는 작용점(P)을 구성하는 점에서 높은 정밀도가 요구되기 때문에, 그 절삭 가공 등을 생략함으로써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나사(420)의 체결 강도를 크게 함으로써, 작동로드(436)와 레버(34)를 보다 강고하게 연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5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다이립 구동구조는, 작동로드와 레버의 접속 구조가 상이한 것 이외에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도 9는, 제5 실시형태에 관한 다이립 구동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9의 (A)는 작동로드와 레버의 접속부 및 그 주변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며, 도 9의 (B)는 작동로드의 정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작동로드(536)의 상단부에 두 갈래 형상의 암부(540)가 마련되고, 그 암부(540)를 횡단하도록 회동축(544)이 마련되어 있다. 한편, 레버(534)의 연결부(562)는, 제1 실시형태와 같은 두 갈래 형상이 아니라, 플랜지 형상으로 연신되어, 그 중앙에 회동축(544)을 삽입 관통시키기 위한 삽입 관통 구멍(546)이 마련되어 있다. 연결부(562)는, 회동축(544)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회동축(544)의 위치가 레버(534)의 작용점이 된다. 레버(534)가 작동로드(536)와의 연결부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작동로드(536)를 비교적 크게 변위시키는 경우에, 작용점(P)에 과대한 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형태에 근거하여 설명했다. 이 실시형태는 어디까지나 예시이며, 그들의 각 구성요소나 각 처리 프로세스의 조합에 여러 가지 변형예가 가능한 것, 또 그러한 변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이해되는 바이다.
(변형예 1)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액추에이터의 구동에 의한 레버 및 작동로드의 작동에 의하여, 플렉시블 립부에 대하여 인장 하중 및 가압 하중의 쌍방을 부여할 수 있는 구성으로 했다. 즉, 다이립 구동부의 중립상태로부터 플렉시블 립부를 확개작동할 수 있고, 또 협소작동할 수 있도록 했다. 변형예에 있어서는, 플렉시블 립부에 대하여 인장 하중 또는 가압 하중의 일방만을 부여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여, 플렉시블 립부의 확개작동 또는 협소작동의 일방만을 가능하게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작동로드(36)의 일단측이 플렉시블 립부(22)에 대하여 가압방향 또는 인장방향의 일방에만 가압력(구동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접속되어도 된다. 그 경우, 작동로드(36)를 통하여 가압력이 해제되면, 플렉시블 립부(22)가 그 탄성 등에 의하여 가압력 부여 전의 상태로 되돌아오도록 해도 된다.
(변형예 2)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액추에이터(24)로서 공압 구동 방식의 것을 채용하고, 벨로우즈(70, 72)의 일방에 압축 공기를 공급할 때에는, 타방을 대기로 개방하는 구성을 예시했다. 변형예에 있어서는, 벨로우즈(70, 72)의 쌍방으로 압축 공기를 공급하여, 그들에 압력차를 발생시킴으로써, 플렉시블 립부에 인장 하중 또는 가압 하중을 부여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예를 들면 벨로우즈(70, 72)에 대하여 개별의 압력조정밸브를 마련함으로써 그 압력차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변형예 3)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1개의 레버의 양측에 인장용의 벨로우즈(70)와, 가압용의 벨로우즈(72)를 각각 마련하는 구성을 예시했다. 변형예에 있어서는, 1개의 레버의 편측에만 1개의 벨로우즈를 마련하고, 그 벨로우즈를 승압 또는 감압함으로써 레버를 인장방향 또는 가압방향으로 작동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변형예 4)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액추에이터(24)로서 공압 구동 방식의 것을 채용했지만, 수압 또는 유압에 의한 구동 방식으로 해도 된다. 또, 벨로우즈로서 원형 타입의 것을 예시했지만, 직사각형 또는 그 외의 형상을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모터 구동 또는 그 외의 액추에이터를 채용해도 된다. 혹은, 액추에이터를 마련하지 않고, 레버를 수동에 의하여 작동시키는 것으로 해도 된다.
(변형예 5)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다이립 구동구조를 라미네이트용의 다이에 적용했지만, 필름 성형용 다이, 시트 성형용 다이를 포함하고, 예를 들면 코터용 다이나 용액 캐스트용 다이 등, 그 외의 용도의 다이에 적용해도 된다.
(변형예 6)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다이립 구동구조를 T다이에 적용했지만, 예를 들면 인플레이션 성형용의 둥근 다이 등에 적용해도 된다.
(변형예 7)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동로드(36)가 베어링부재(40)에 지지되는 구성을 나타냈지만, 작동로드(36)의 선단이 플렉시블 립부(22)에 단단히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베어링부재(40)가 없더라도, 다이 본체(12)에 의하여 플렉시블 립부(22)를 통하여 작동로드(36)를 축선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그 경우에는 베어링부재(40)를 생략해도 된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베어링부재(40)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10 T다이
12, 14 다이 본체
16 가동립
18 고정립
22 플렉시블 립부
24 액추에이터
28 구동기구
32 회동축
34 레버
36 작동로드
38 연결부재
40 베어링부재
70, 72 벨로우즈
122 플렉시블 립부
140 전달부재
236 작동로드
238 연결부재
336, 436 작동로드
534 레버
536 작동로드
544 회동축

Claims (7)

  1. 다이 본체에 마련된 제1 립과 제2 립 중 적어도 일방을 구성하는 플렉시블 립부에 대하여 가압 하중 또는 인장 하중을 부여함으로써, 상기 제1 립과 상기 제2 립의 간극을 조정하는 다이립 구동구조로서,
    상기 다이 본체에 대한 위치가 고정된 회동축을 지지점으로 하여 지지된 레버와,
    상기 다이 본체에 의하여 축선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레버의 작용점에 지지된 작동로드,
    를 구비하고,
    상기 레버의 회전력이 상기 작동로드의 축선방향의 힘으로 변환되고, 그 축선방향의 힘이 상기 플렉시블 립부에 대한 가압 하중 또는 인장 하중이 되며,
    상기 레버가 당해 레버의 작용점에 있어서 상기 작동로드에 직접 힘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립 구동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립부에 하중이 부여되지 않는 중립상태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작용점과 상기 회동축을 연결하는 직선이 상기 작동로드의 축선과 직교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레버의 회전력의 상기 작용점에 있어서의 방향과, 상기 작동로드의 축선방향이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립 구동구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작동로드와 상기 플렉시블 립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작동로드와 상기 플렉시블 립부의 상대 위치가 상기 연결부재에 의하여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립 구동구조.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작용점이, 상기 회동축보다 상기 다이 본체 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립 구동구조.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역점을 포함하는 당해 레버의 본체와 상기 작동로드가 대략 평행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립 구동구조.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작동로드가, 상기 다이 본체의 측면과 대략 평행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립 구동구조.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다이 본체의 측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1 립과 상기 제2 립의 간극을 조정하기 위하여 출력되는 구동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레버의 상기 회동축과는 반대측의 단부를 구동하는 액추에이터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립 구동구조.

KR1020150095723A 2014-08-05 2015-07-06 다이립 구동구조 KR1017640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59643A JP6399850B2 (ja) 2014-08-05 2014-08-05 ダイリップ駆動構造
JPJP-P-2014-159643 2014-08-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6595A true KR20160016595A (ko) 2016-02-15
KR101764003B1 KR101764003B1 (ko) 2017-08-01

Family

ID=53835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5723A KR101764003B1 (ko) 2014-08-05 2015-07-06 다이립 구동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700911B2 (ko)
EP (1) EP2982489B1 (ko)
JP (1) JP6399850B2 (ko)
KR (1) KR101764003B1 (ko)
CN (1) CN105313300B (ko)
TW (1) TWI64478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13024B2 (ja) 2015-11-27 2021-08-04 住友重機械モダン株式会社 フィルム成形装置
DE102016007363B4 (de) * 2016-06-16 2018-03-08 Wolfgang Hausmann Querschnittsveränderungseinrichtung einer Spendeeinrichtung für eine Vorrichtung zur Folienherstellung
US11426914B2 (en) * 2019-03-15 2022-08-30 The Japan Steel Works, Ltd. Resin film manufacturing device and resin film manufacturing method
JP7329832B2 (ja) * 2019-10-31 2023-08-21 株式会社城北精工所 押出成形用ダイ
JP7412311B2 (ja) 2020-09-18 2024-01-1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ヒンジキャップ
WO2022123294A1 (en) 2020-12-09 2022-06-1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adjusting a slot die used for making an extruded article
WO2022123295A1 (en) 2020-12-09 2022-06-1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adjusting a slot die used for making an extruded article
WO2022123296A1 (en) 2020-12-09 2022-06-1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lot die position adjustment with ringing constraint
JP2023553102A (ja) 2020-12-09 2023-12-20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スロットダイ位置調整
JPWO2022130903A1 (ko) 2020-12-18 2022-06-23
EP4309871A1 (en) * 2021-03-16 2024-01-24 The Japan Steel Works, Ltd. Lip spacing adjustment device, extrusion-molding die, extrusion -molding device, lip spacing adjustment method, and film manufacturing method
JP2024511228A (ja) 2021-04-16 2024-03-12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ハイブリッド制御によるスロットダイ調整
CN113334730B (zh) * 2021-08-05 2021-10-19 昌邑市永富弹簧有限公司 一种洗衣机减震组件生产用橡胶条预成型装置
WO2023059333A1 (en) 2021-10-08 2023-04-1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lot die assembly with tuned stiffness, reduced draw zone, and force budget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502267A (en) * 1974-06-06 1978-03-01 Agfa Gevaert Extrusion dies in which at least one lip of the die orifice is adjustable
JPS5983622A (ja) * 1982-11-05 1984-05-15 Toshiba Mach Co Ltd プラスチツクフイルム又はシ−ト成形用ダイのダイスリツト間隙制御装置
JPS612522A (ja) * 1984-06-16 1986-01-08 Kazuo Tanimoto プラスチツクシ−ト,フイルム用押出金型
DE3731961A1 (de) * 1987-09-23 1989-04-06 Hoechst Ag Vorrichtung zur spalteinstellung einer duese
JP3109034B2 (ja) * 1992-04-15 2000-11-13 住友重機械プラスチックマシナリー株式会社 Tダイリップ駆動部の構造
JP2538482B2 (ja) * 1992-04-20 1996-09-25 バンドー化学株式会社 Tダイのリップ間隔調整装置
JP2996882B2 (ja) * 1994-10-20 2000-01-11 東芝機械株式会社 熱変位式tダイ
US6017207A (en) * 1996-09-24 2000-01-25 Cloeren Incorporated Apparatus for adjusting die lip gap
JP3315077B2 (ja) * 1998-03-26 2002-08-19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Tダイリップ駆動制御装置
JP2001277331A (ja) 2000-03-31 2001-10-09 Toshiba Mach Co Ltd Tダイのリップ隙間調整装置
JP2001293767A (ja) * 2000-04-11 2001-10-23 Toshiba Mach Co Ltd Tダイのリップ隙間調整装置
US6663375B1 (en) * 2000-06-19 2003-12-16 Extrusion Dies, Inc. Dual flexible lip extrusion apparatus with pivoting actuation member
JP2009247344A (ja) 2008-04-08 2009-10-29 Hidenari Honda クイルカッター
JP2009247345A (ja) 2008-04-09 2009-10-29 Suiken Create Kk 養液栽培方法及び養液栽培装置
JP5554006B2 (ja) * 2009-04-10 2014-07-23 住友重機械モダン株式会社 Tダイ用リップ駆動部
JP5220678B2 (ja) 2009-04-10 2013-06-26 住友重機械モダン株式会社 Tダイ用リップ駆動部
JP5280285B2 (ja) 2009-04-10 2013-09-04 住友重機械モダン株式会社 Tダイ用リップ駆動部
US8506280B1 (en) * 2010-11-23 2013-08-13 Allied Dies, Inc. Lip adjustment system having cross-ba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036926A (ja) 2016-03-22
TWI644783B (zh) 2018-12-21
US20160038964A1 (en) 2016-02-11
TW201605603A (zh) 2016-02-16
EP2982489B1 (en) 2018-10-24
CN105313300A (zh) 2016-02-10
CN105313300B (zh) 2018-11-30
JP6399850B2 (ja) 2018-10-03
EP2982489A2 (en) 2016-02-10
EP2982489A3 (en) 2016-03-09
KR101764003B1 (ko) 2017-08-01
US9700911B2 (en) 2017-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4003B1 (ko) 다이립 구동구조
CN104444514A (zh) 模切机覆膜辊筒张力调节装置
JP6913024B2 (ja) フィルム成形装置
JP2016030446A (ja) 共押出フィードブロック、共押出輪郭付けインサート組立体、及び操作方法
JP2007153471A (ja) 連続シート搬送装置のガイド機構
US9216534B2 (en) Coextrusion feedblock and coextrusion profiling insert assembly
JP4716879B2 (ja) 押出成形用tダイ
JP5498826B2 (ja) コーティングダイ
US20160031113A1 (en) Device for separating a tubular web
US20210215214A1 (en) Brake device
KR200488507Y1 (ko) 와이어 송급기
US10024457B2 (en) Throttle valve
JP2011218651A (ja) 押出成形用フラットダイ
WO2010071004A1 (ja) 制動制御機構
US11697240B2 (en) Blown film forming apparatus
CN104853922A (zh) 用于对准串联式印刷机的印刷单元的监控系统
JP5185982B2 (ja) 流量制御弁
JP3808461B2 (ja) 流体通路の接続装置
JP6676456B2 (ja) スリッタ装置におけるカッタ装置
JP4236046B2 (ja) スロットルバルブ全閉時の空気流量調節構造および方法
KR200408645Y1 (ko) 조리기용 가스 압력조절기
KR101798263B1 (ko) 차량의 핸들 각도 조절장치
CN108240364A (zh) 一种自平衡阀体
KR20130127325A (ko) 차량용 브레이크 부스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