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7325A - 차량용 브레이크 부스터 - Google Patents

차량용 브레이크 부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7325A
KR20130127325A KR1020120051164A KR20120051164A KR20130127325A KR 20130127325 A KR20130127325 A KR 20130127325A KR 1020120051164 A KR1020120051164 A KR 1020120051164A KR 20120051164 A KR20120051164 A KR 20120051164A KR 20130127325 A KR20130127325 A KR 201301273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lunger valve
reaction
housing
brake boo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1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익순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51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27325A/ko
Publication of KR20130127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73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2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gaseous
    • B60T13/46Vacuum systems
    • B60T13/52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 B60T13/567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casing or by its strengthening or moun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2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gaseous
    • B60T13/46Vacuum systems
    • B60T13/52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 B60T13/57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contro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2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gaseous
    • B60T13/46Vacuum systems
    • B60T13/52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 B60T13/573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characterised by reaction devices
    • B60T13/575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characterised by reaction devices using resilient discs or p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브레이크 부스터에 관한 것으로, 하우징부와, 하우징부에 삽입되는 플런져밸브부와, 플런져밸브부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플런져밸브부에 가압되어 반력을 발생시키는 리액션디스크부 및 하우징부에 결합되고 리액션디스크부의 위치를 변화시켜 플런져밸브부와 리액션디스크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하여, 점핑력 구간을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브레이크 부스터{BRAKE BOOST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브레이크 부스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리액션디스크와 플런져밸브 사이 간격을 조절하여 점핑력을 변화시키는 차량용 브레이크 부스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브레이크시스템은 엔진에서 발생되는 부압(진공압)과 대기압의 차이를 이용하여 브레이크 페달의 밟는 힘을 증폭시키는 브레이크 부스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브레이크 부스터는 브레이크페달과 클레비스핀으로 결합된 오퍼레이팅로드와, 오퍼레이팅로드와 볼조인트 형식으로 결합된 플런져밸브와, 플런져밸브의 전방에 이격되어 설치된 리액션디스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플런져밸브와 리액션디스크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은 제동력 발생시 변형되는 리액션디스크가 플런져밸브와 맞닿음으로써 없어지게 된다.
한편, 플런져밸브와 리액션디스크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은 차량의 특성에 따라 미리 셋팅된다.
플런져밸브와 리액션디스크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은 브레이크 부스터의 배력특성에서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았을 때 답력의 증가 없이 브레이크 부스터의 출력만 증가하는 점프 인(jump-in) 구간으로 나타나는데, 점프 인 구간은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을 때 제동이 발생하는 시기를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로서 작용한다.
만약, 플런져밸브와 리액션디스크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이 과도하게 크면 제동이 빨라져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조금만 밟더라도 급제동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반대로 플런져밸브와 리액션디스크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이 너무 좁으면 제동력 발생시점이 늦어져 사고의 우려가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04-0071872호(2004.08.16 공개, 발명의 명칭: 차량용 브레이크 부스터)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차량용 브레이크 부스터의 조립이 완료되면 플런져밸브와 리액션디스크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 조절이 불가능하여 차량이 최적의 제동성을 확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플런져밸브와 리액션디스크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을 조절하는 차량용 브레이크 부스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차량용 브레이크 부스터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에 삽입되는 플런져밸브부; 상기 플런져밸브부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플런져밸브부에 가압되어 반력을 발생시키는 리액션디스크부; 및 상기 하우징부에 결합되고, 상기 리액션디스크부의 위치를 변화시켜 상기 플런져밸브부와 상기 리액션디스크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절부는 상기 하우징부에 나사 조립되어 위치가 변화되는 가변부; 및 상기 가변부에 걸림 고정되고, 상기 리액션디스크부와 결합되는 푸시로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변부는 상기 푸시로드부가 관통되기 위한 관통홀이 형성되는 관통관; 및 상기 관통관의 단부에서 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부에 나사 결합되는 체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통관의 외측에는 복수개의 조절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푸시로드부는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는 출력축; 및 상기 출력축의 단부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체결판에 걸쳐지고, 상기 리액션디스크부와 결합되는 걸림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브레이크 부스터는 플런져밸브부와 리액션디스크부 사이의 간격이 조절됨으로써, 제동력 발생시점을 결정하는 점핑력 구간의 조절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브레이크 부스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브레이크 부스터에서 가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브레이크 부스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브레이크 부스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브레이크 부스터에서 가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브레이크 부스터(1)에는 하우징부(10), 플런져밸브부(20), 리액션디스크부(30) 및 조절부(40)가 구비된다.
이러한 차량용 브레이크 부스터(1)는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력을 증폭시켜 마스터실린더에 제공한다.
하우징부(10)는 차체에 고정 설치되고, 브레이크 페달과 마스터실린더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하우징부(10)의 내부는 진공챔버와 대기압챔버로 구획된다.
플런져밸브부(20)는 하우징부(10)에 삽입된다. 이러한 플런져밸브부(20)에는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력이 전달되어 하우징부(10) 내부에서 이동된다.
리액션디스크부(30)는 하우징부(10)에 내장되고, 플런져밸브부(20)와 이격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하우징부(10)로 유입된 대기가 리액션디스크부(30)에 힘을 전달하고, 고무재질인 리액션디스크부(30)는 변형되어 플런져밸브부(20)와 접촉된다.
이때, 리액션디스크부(30)가 변형된 상태에서 플런져밸브부(20)와 접촉되어 반력을 발생시키기까지의 하중을 점핑력이라 한다.
통상 리액션디스크부(30)와 플런져밸브부(20) 사이의 간격이 넓으면 점핑력이 커서, 리액션디스크부(30)를 변형시키기 위해 많은 힘을 필요로 한다.
반면에, 리액션디스크부(30)와 플런져밸브부(20) 사이의 간격이 좁으면 점핑력이 작아서 리액션디스크부(30)를 변형시키기 위해 적은 힘을 필요로 한다.
조절부(40)는 하우징부(10)에 결합되어 리액션디스크부(30)의 위치를 변화시킨다. 이러한 조절부(40)에 의해 리액션디스크부(30)와 플런져밸브부(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40)에는 가변부(50) 및 푸시로드부(60)가 구비된다.
가변부(50)는 하우징부(10)에 나사 조립되어 위치가 변화되고, 푸시로드부(60)는 가변부(50)에 걸림 고정된다. 이때, 푸시로드부(60)는 리액션디스크부(30)와 결합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부(50)에는 관통관(51) 및 체결판(52)이 구비된다.
관통관(51)에는 푸시로드부(60)가 관통되기 위한 관통홀(511)이 중앙에 형성된다.
체결판(52)은 관통관(51)의 단부에서 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체결판(52)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하우징부(10)의 결합관부(11)에 나사 조립된다.
이때, 관통관(51)의 외측에는 복수개의 조절면(512)이 형성된다. 이러한 조절면(512)은 스패너와 같은 도구와 접촉되어 관통관(51)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시로드부(60)에는 출력축(61) 및 걸림판(62)이 구비된다.
출력축(61)은 관통홀(511)을 관통한다. 이러한 출력축(61)은 마스터실린더에 하중을 전달한다.
걸림판(62)은 출력축(61)의 단부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체결판(52)에 걸쳐진다. 이러한 걸림판(62)은 리액션디스크부(30)와 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브레이크 부스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력이 입력축에 전달되고, 입력축은 플런져밸브부(20)를 이동시킨다.
입력축을 감싸며 배력작용을 하는 파워피스톤은 입력축의 이동력을 출력축(61)에 전달한다.
한편, 플런져밸브부(20)와 리액션디스크부(30)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이들이 내장된 하우징부(10)에는 가변부(50)가 나사 결합된다.
이때, 가변부(50)에는 관통관(51) 및 관통관(51)에서 확장되어 하우징부(10)에 나사 결합되는 체결판(52)이 구비되고, 출력축(61)은 관통관(51)를 관통한다.
또한, 출력축(61)의 단부에서 확장되는 걸림판(62)에는 리액션디스크부(30)가 결합된다.
따라서, 점핑력이 낮은 경우, 가변부(50)를 회전시켜 출력축(61)의 하중을 줄여주면, 리액션디스크부(30)의 내압이 줄어들고 리액션디스크부(30)와 플런져밸브부(20) 사이의 거리가 늘어나 점핑력이 높아진다.
반대로, 점핑력이 과도하게 높은 경우, 가변부(50)를 회전시켜 출력축(61)의 하중을 증가시키면, 리액션디스크부(30)의 내압이 증가하고 리액션디스크부(30)와 플런져밸브부(20) 사이의 거리가 줄어들어 점핑력이 낮아진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하우징부 20 : 플런져밸브부
30 : 리액션디스크부 40 : 조절부
50 : 가변부 51 : 관통관
52 : 체결판 60 : 푸시로드부
61 : 출력축 62 : 걸림판

Claims (5)

  1.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에 삽입되는 플런져밸브부;
    상기 플런져밸브부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플런져밸브부에 가압되어 반력을 발생시키는 리액션디스크부; 및
    상기 하우징부에 결합되고, 상기 리액션디스크부의 위치를 변화시켜 상기 플런져밸브부와 상기 리액션디스크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브레이크 부스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하우징부에 나사 조립되어 위치가 변화되는 가변부; 및
    상기 가변부에 걸림 고정되고, 상기 리액션디스크부와 결합되는 푸시로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브레이크 부스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부는
    상기 푸시로드부가 관통되기 위한 관통홀이 형성되는 관통관; 및
    상기 관통관의 단부에서 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부에 나사 결합되는 체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브레이크 부스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관의 외측에는 복수개의 조절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량용 브레이크 부스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로드부는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는 출력축; 및
    상기 출력축의 단부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체결판에 걸쳐지고, 상기 리액션디스크부와 결합되는 걸림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브레이크 부스터.
KR1020120051164A 2012-05-14 2012-05-14 차량용 브레이크 부스터 KR201301273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1164A KR20130127325A (ko) 2012-05-14 2012-05-14 차량용 브레이크 부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1164A KR20130127325A (ko) 2012-05-14 2012-05-14 차량용 브레이크 부스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7325A true KR20130127325A (ko) 2013-11-22

Family

ID=49854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1164A KR20130127325A (ko) 2012-05-14 2012-05-14 차량용 브레이크 부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2732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54827B2 (en) Operation of a brake booster as a pedal simulator
KR101724969B1 (ko) 페달 시뮬레이터를 가지는 브레이크 장치
US20100295365A1 (en) Braking control apparatus
KR102258688B1 (ko) 전자식 유압 브레이크 장치
JP6012225B2 (ja) ブレーキ装置
JP2018510095A (ja) 車両のための複合型ブレーキ装置
JP2013154842A (ja) 電動倍力装置
US20170274879A1 (en) Hydraulic braking system and braking operation device
JP5784149B2 (ja) ブレーキシステム、および車両のブレーキシステムを作動させる方法
KR101945748B1 (ko) 스마트 부스터 제동 시스템의 압력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15532243A (ja) 車両のブレーキシステム用のブレーキ倍力装置、および車両のブレーキシステム用のブレーキ倍力装置の製造法
KR101612268B1 (ko) 전동 브레이크 장치의 드래그 토크 조정 장치 및 방법
KR20130127325A (ko) 차량용 브레이크 부스터
KR20100064436A (ko) 차량용 스톱 램프 스위치
JP5716901B2 (ja) 気圧式倍力装置
TWI729696B (zh) 連動煞車系統
KR20140044712A (ko) 차량용 제동장치
KR200293708Y1 (ko) 자동차의 브레이크 부스터
US20200172071A1 (en) Electric brake booster
US20030019694A1 (en) Dry interface corner vehicle braking system
KR102620655B1 (ko) 브레이크 장치
WO2015080882A1 (en) Master cylinder with recessed piston-rod interface
KR20140083815A (ko) 통합형 제동 시스템
CN113911245B (zh) 连动刹车系统
CN206734289U (zh) 一种新能源车用制动主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