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4436A - 차량용 스톱 램프 스위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스톱 램프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4436A
KR20100064436A KR1020080122869A KR20080122869A KR20100064436A KR 20100064436 A KR20100064436 A KR 20100064436A KR 1020080122869 A KR1020080122869 A KR 1020080122869A KR 20080122869 A KR20080122869 A KR 20080122869A KR 20100064436 A KR20100064436 A KR 201000644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stop lamp
lamp switch
casing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2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6067B1 (ko
Inventor
장재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2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6067B1/ko
Priority to US12/463,955 priority patent/US8053690B2/en
Publication of KR20100064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44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6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60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01H13/18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adapted for actuation at a limit or other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path of a body, the relative movement of switch and body being primarily for a purpose other than the actuation of the switch, e.g. door switch, limit switch, floor-levelling switch of a li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4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braking action or preparation for braking, e.g. by detection of the foot approaching the brake ped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18Safety devices; Monitoring
    • B60T17/22Devices for monitoring or checking brake systems; Sign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01H13/16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adapted for operation by a part of the human body other than the hand, e.g. by foo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레이크 부스터에 부착되어 공기흡입밸브에 의해 스위치 로드의 작동이 제어됨으로써 스톱 램프 스위치의 스위치 로드의 돌출길이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차량용 스톱 램프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가 다이어프램에 의해 정압실과 변압실로 구획되며 상기 변압실 일측면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케이싱; 및 정압실과 변압실이 연통되는 진공 통로가 형성되며,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에 의해 외기로부터 상기 변압실로 유입되는 공기 및 상기 변압실로부터 상기 정압실로 유입되는 공기를 제어하는 공기흡입밸브;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부스터에 장착되며, 스위치 몸체; 상기 스위치 몸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공기흡입밸브의 작동에 의해 돌출길이가 조절되는 스위치 로드; 및 상기 스위치 몸체를 상기 케이싱에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작업자가 스톱 램프 스위치의 스위치 로드의 간극을 조절하지 않더라도 스위치 로드의 돌출길이가 일정하게 유지되며, 브레이크 부스터의 공기흡입밸브에 연동되어 작동됨으로써 브레이크 부스터에 의해 유압이 발생되는 시점에 정확히 스톱 램프를 점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스톱램프, 스위치, 브레이크 부스터, 간격

Description

차량용 스톱 램프 스위치{STOP LAMP SWITCH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스톱 램프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브레이크 부스터에 부착되어 공기흡입밸브에 의해 스위치 로드의 작동이 제어됨으로써 스톱 램프 스위치의 스위치 로드의 돌출길이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차량용 스톱 램프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후미에는 후진 시 점등되는 후진 램프, 방향지시램프와 더불어 제동 시 점등되는 스톱 램프 등의 테일 램프가 설치되어 있어 주행 중 후방에 따라오는 차량 운전자가 전방 차량의 주행상태를 파악하여 추돌사고를 예방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테일 램프 중 스톱 램프는 운전자가 제동 시 브레이크 페달을 작동시키면 브레이크 페달에 장착된 스톱 램프 스위치가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을 감지하여 스톱 램프에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점등하게 된다. 특히 스톱 램프는 운전자가 제동조작 시 후방차량에 경고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어서 차량 안전운행에 있어 매 우 중요하고, 주행 시 가장 빈번하게 조작하는 것이어서 빠른 응답성이 요구된다.
이때 스톱 램프에 전력을 인가하기 위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 페달(2)과 연동되어 작동되는 스톱 램프 스위치(1)가 설치된다.
종래의 스톱 램프 스위치(1)는 패달 프레임(4)의 일측에 설치되는데, 스위치 본체(5)와, 상기 스위치 본체(5)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그 끝부분이 브레이크 페달(2)에 접촉되는 스위치 로드(6)와, 상기 스위치 로드(6)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페달 프레임(4)에 장착되는 너트(7)로 구성된다.
이때 스톱 램프 스위치(1)는 브레이크 페달(2)에 부착되는 과정에서 1~2mm의 간극(d)을 두고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의 스톱 램프 스위치의 간극(d)은 브레이크 페달(2)의 작동과 차량의 진동에 의해 운행 중 수시로 변하게 되는데, 간극(d)이 좁아지게 되면 스위치 로드(6)가 충분히 돌출되기 전에 브레이크 부스터(3)에 의해 유압이 형성되어 경고등이 점등되며, 간극(d)이 넓어지게 되면 스위치 로드(6)가 과다 돌출됨으로써 스톱 램프가 상시 점등되어 배터리가 방전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스톱 램프 스위치(1)는 스톱 램프 스위치(1)를 페달 프레임(4)에 조립할 때 공구를 사용하여 너트(7)를 풀어서 스위치 로드(6)의 길이를 맞춘 후 너트(7)를 조이는 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로우며 작업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작업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진동 등으로 인해 너트(7)가 풀림으로써 스톱 램프 스위치가 올바르게 작동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위치 로드의 돌출길이가 일정하게 유지되며, 브레이크 부스터의 공기흡입밸브에 연동되어 작동됨으로써 브레이크 부스터에 의해 유압이 발생되는 시점에 정확히 스톱 램프를 점등시키는 차량용 스톱 램프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신속하고 정확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차량의 진동과 충격에도 고정상태가 정확히 유지되는 차량용 스톱 램프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스톱 램프 스위치는, 내부가 다이어프램에 의해 정압실과 변압실로 구획되며 상기 변압실 일측면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케이싱; 및 정압실과 변압실이 연통되는 진공 통로가 형성되며,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에 의해 외기로부터 상기 변압실로 유입되는 공기 및 상기 변압실로부터 상기 정압실로 유입되는 공기를 제어하는 공기흡입밸브;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부스터에 장착되며, 스위치 몸체와; 상기 스위치 몸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공기흡입밸브의 작동에 의해 돌출길이가 조절되는 스위치 로드와;상기 스위치 몸체를 상기 케이싱에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스톱 램프 스위치에 의하면, 작업자가 스톱 램프 스위치의 스위치 로드의 간극을 조절하지 않더라도 스위치 로드의 돌출길이가 일정하게 유지되며, 브레이크 부스터의 공기흡입밸브에 연동되어 작동됨으로써 브레이크 부스터에 의해 유압이 발생되는 시점에 정확히 스톱 램프를 점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스톱 램프 스위치에 의하면, 스톱 램프 스위치를 브레이크 부스터에 돌려 끼워 넣는 동작만으로 설치가 완료되므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설치가 가능하며, 진동과 충격에도 고정상태가 정확히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내부가 다이어프램에 의해 정압실과 변압실로 구획되며 상기 변압실 일측면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케이싱; 및 정압실과 변압실이 연통되는 진공 통로가 형성되며,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에 의해 외기로부터 상기 변압실로 유입되는 공기 및 상기 변압실로부터 상기 정압실로 유입되는 공기를 제어하는 공기흡입밸브;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부스터에 장착되며, 스위치 몸체; 상기 스위치 몸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공기흡입밸브의 작동에 의해 돌출길이가 조절되는 스위치 로드; 및 상기 스위치 몸체를 상기 케이싱에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 여 구성되는 차량용 스톱 램프 스위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공기흡입밸브는, 실린더부 및 상기 실린더부에 슬라이딩되는 구조로 결합되는 몸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스위치 로드의 선단은 상기 공기흡입밸브의 몸체부의 선단부에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결합부는, 상기 공기흡입밸브와 외기를 연통시키는 외기 통로를 제공하며, 상기 외기 통로는 상기 결합부의 외주면에 부분적으로만 나사산이 형성됨으로써 제공된다.
나아가 상기 케이싱에는 브래킷이 상기 관통공 부분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브래킷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브래킷에는 공기 통로가 관통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브레이크 부스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자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스톱 램프 스위치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스톱 램프 스위치가 브레이크 부스터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5는 도 4의 B부분의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스톱 램프 스위치(8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역할을 하는 스위치 몸체(810), 스톱 램프 스위치(800)을 차량에 장착시키는 결합부(820), 스위치 몸체(810)에 일측으로 돌출되어 브레이크의 작동을 감지하는 스위치 로드(830)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스위치 로드(830)는 스위치 몸체(8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후단에 개재되는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에 의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가압력을 받게 된다. 따라서 스위치 로드(830)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스위치 몸체(810) 및 결합부(820)로부터 최대한 돌출된 상태에 있게 되며, 스위치 로드(830)의 후단에 개재되는 탄성부재의 탄성력보다 큰 스톱 램프 스위치(800) 몸체측으로 작용하는 외력이 스위치 로드(830)에 가해지면 스위치 로드(830)는 스위치 몸체(810) 안으로 삽입된다.
상기 스위치 로드(830)는 스위치 몸체(810)를 슬라이딩 이동하며 스위치 로드(830)의 돌출길이에 의해 스톱 램프 스위치(800)가 온(ON) 되거나 오프(OFF) 된다. 일반적으로 스톱 램프 스위치(800)는 오프(OFF) 상태에 있게 되며, 스위치 로드(830)가 일정 길이 이상으로 돌출되는 경우 온(ON) 된다.
상기 결합부(820)는 스위치 몸체(810)를 차량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상기 스위치 로드(830)의 슬라이딩 경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결합부(82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824)이 형성되는데, 이때 외주면의 둘레 전부에 걸쳐서 나사산(824)이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부분적으로만 형성되고, 결합부(820) 중 나사산(824)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은 평면(822)형상으로 형성되어 후술할 외기 통로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스톱 램프 스위치(800)는 종래에 브레이크 페달에 설치되던 것과 달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 부스터의 케이싱(100)의 일측에 설치된다.
브레이크 부스터는 진공과 대기압의 차이를 이용하여 입력축에 가해진 제동력을 배가하여 출력축으로 전달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에 의한 스톱 램프 스위치(800)가 설치되는 브레이크 부스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00)과,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에 의한 가압력을 전달받는 입력축(400)과, 입력축(400)의 작동에 의한 배력을 마스터실린더에 전달하는 출력축(500)으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케이싱(100) 내부는 다이어프램(310)에 의해서 정압실(210)과 변압실(220)로 구획되며, 이들은 후술할 공기흡입밸브(900)에 형성된 진공 통로를 통해 연통되어 있다. 상기 다이어프램(310)의 전면에는 정압실(210)과 변압실(220)의 압력차에 의해 발생한 힘을 전달받는 파워피스톤(320)이 접해있다. 정압실(210)의 일측 외벽에는 차량 엔진의 흡기장치와 연통되는 진공 연결파이프(120)가 설치되어 있고, 정압실(210) 내부에는 리턴스프링(800)이 설치되어 브레이크의 비작동 시 상기 리턴스프링(80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다이어프램(310)과 파워피스톤(320)이 원위치로 복원된다.
상기 다이어프램(310)과 파워피스톤(320)의 중앙에는 가운데 관통공이 형성된 원판형의 스템부(140)가 결합된다. 따라서 스템부(140)를 일측에서 누르면 이에 연결된 다이어프램(310)과 파워피스톤(320)이 함께 움직이게 된다.
상기 입력축(400)의 선단에는 입력축(400)에 가해진 가압력을 출력축(500)에 전달하는 플런저(700)가 연결되며, 플런저(700)와 출력축(500) 사이에는 탄성재질인 원판형의 리액션디스크(510)가 구비된다. 그리고 플런저(700)와 리액션디스크(510) 사이에는 소정의 갭이 존재한다.
상기 플런저(700)의 선단부는 다이어프램(310)의 중앙에 구비되는 스템부(140)에 형성된 관통공에 슬라이딩될 수 있게 삽입된다. 이때 스템부(140)는 플런저(700)에 의해 완전히 씰링되어 정압실(210)과 변압실(220)간의 공기의 흐름이 차단된다.
상기 플런저(700)의 후단부는 케이싱(100)의 외부로 돌출되는데, 케이싱(100)과 플런저(700)가 교차하는 지점에는 씰(750)이 마련되어 플런저(700)가 움직이더라도 변압실(220) 내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플런저(700)와 스템부(140) 사이에는 플런저(700)를 후방으로 복귀시키도록 압축코일스프링인 리턴스프링(740)이 설치된다.
케이싱(100), 다이어프램(310) 및 파워피스톤(320)의 일측에는 관통공(110)이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110)에는 변압실(220)로부터 정압실(210)로 유입되는 공기 및 대기로부터 변압실(220)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일체형의 공기흡입밸브(900)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흡입밸브(900)는 본 발명에 의한 스톱 램프 스위치(800)의 스위치 로드(830)의 돌출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부품으로서, 중공의 실린더부(960)와 상기 실린더부(960)를 관통하여 슬라이딩되는 구조로 결합되는 몸체부(910)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부(910)와 실린더 부(960) 사이에는 스프링(970)이 개재된다. 상기 실린더부(960)는 원기둥, 사각기둥 등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으나 조립 편의성을 위해서는 원기둥 형태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부(910)가 실린더부(960)에 삽입되면 몸체부(910)와 실린더부(960) 내벽 사이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는데, 상기의 공간이 진공 통로로서, 정압실(210)과 변압실(220)이 상기 진공 통로에 의해 연통되어 변압실(220)의 공기가 정압실(210)로 유입된다.
케이싱(100)에 형성되는 관통공(110) 부분은 케이싱(100)이 대기측으로 돌출되는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공기흡입밸브(900) 몸체부(910)의 선단부(920)는 케이싱(100)의 관통공(110) 부분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원뿔형으로 형성되어 공기흡입밸브(900)의 몸체부(910)가 관통공(110)에 밀착될 때 외기가 변압실(220)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또한 공기흡입밸브(900) 몸체부(910)의 선단부(920) 상면에는 자석(930)이 부착되어 상기 몸체부(910)가 철로 제작되는 케이싱(100)에 자력에 의해 부착된다.
공기흡입밸브(900) 몸체부(910)의 후단부(940)는 실린더부(960)가 다이어프램(310)과 함께 이동 시 실린더부(960)가 몸체부(910)로부터 빠지지 않고 걸릴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단면의 형상이 단턱지게 형성되거나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등 그 형상이 여러 가지로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다이어프램(310)및 파워피스톤(320)의 관통공과 실린더부(960)의 외주면에는 나사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공기흡입밸브(900)는 다이어프램(310)에 쉽게 끼워질 수 있고, 정압실(210)은 외부와의 기밀이 유지된다.
상기 케이싱(100)의 관통공(110) 부분에는 단면이 원형인 브래킷(130)이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브래킷(130)의 내주면에는 나사산(130)이 형성됨으로써 스톱 램프 스위치(800)의 결합부(820)와 브래킷(130)이 나사결합 되도록 구성된다.
결합부(820)와 브래킷(130)이 나사결합에 의해 스톱 램프 스위치(800)가 케이싱(100)에 설치되어 고정되는 경우 스위치 로드(830)의 선단은 공기흡입밸브(900)의 선단부(920)에 접촉된다. 따라서 상기 스위치 로드(830)는 공기흡입밸브(900)의 선단부(920)에 의해 가압되어 스위치 몸체(810) 측으로 일정 길이만큼 삽입되어 선단부(920)와 스위치 로드(830) 사이에는 간극(D)이 형성된다.
또한 결합부(820)의 외주면에는 일정부분에는 나사산(824)이 형성되고 나사산(824)이 형성되지 아니한 나머지 부분은 평면(822)으로 형성됨으로써 결합부(820)와 브래킷(130)이 나사결합에 의해 스톱 램프 스위치(800)가 케이싱(100)에 설치되어 고정되는 경우 브래킷(130) 내벽과 결합부(820) 사이에는 외기 통로가 형성된다. 상기 외기 통로는 브레이크 부스터 외부의 공기가 공기흡입밸브(900)를 거쳐 변압실(220) 내부로 유입되는 통로 역할을 한다.
나아가 외부의 공기가 변압실(220) 내부로 더욱 잘 유입될 수 있도록 브래킷(130)에는 공기 통로(134)가 형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톱 램프 스위치(800)의 동작을 도 6a 내지 도 6c 및 도 7a 내지 도 7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기 전 브레이크 부스터의 작동 정지 상태 에서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흡입밸브(900) 몸체부(910)의 선단부(920)는 케이싱(100)의 내측면과 접해있게 된다. 이때 스위치 로드(830)의 돌출길이(D), 즉 선단부(920)와 결합부(820) 사이의 간극(D)은 최소가 된다.
이 상태에서 정압실(210)에는 엔진의 흡기장치로부터 형성되는 부압이 작용하며, 이 부압은 공기흡입밸브(900)의 실린더부(960) 내부의 진공통로를 통해 변압실(220)로 전달된다. 따라서 변압실(220) 내의 공기는 공기흡입밸브(900)를 통해 정압실(210)을 거쳐 진공 연결파이프(120)로 빠져나간다. 따라서 정압실(210)과 변압실(220)은 부압 상태에 놓이게 되며, 다이어프램(310)은 리턴스프링(800)의 탄성에 의해 정지위치에 유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입력축(400)이 전진하여 플런저(700)를 밀게 되는데, 상기 플런저(700)와 스템부(140) 사이에 개재된 리턴스프링(740)에 의해 스템부(140)도 정압실(210) 측으로 밀리게 된다. 이때 정압실(210) 내부에 마련된 리턴스프링(800)의 탄성계수 값이 플런저(700) 선단에 개재된 리턴스프링(740)의 탄성계수 값보다 작도록 구성됨으로써, 입력축(400)이 플런저(700)를 밀 경우 플런저(700)가 이동하는 거리보다 다이어프램(310) 및 파워피스톤(320)이 이동하는 거리가 훨씬 길게 된다.
따라서 다이어프램(310)이 정압실(210) 측으로 약간 전진하게 되는데, 다이어프램(310) 이동하는 경우 이와 결합된 공기흡입밸브(900)가 함께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흡입밸브(900)의 몸체부(910)는 선단부(920)에 마련된 자석(930)에 의해 케이싱(100)에 부착된 상태로 유지되므로 실린 더부(960)만 다이어프램(310)과 함께 이동한다. 따라서 스위치 로드(830)의 돌출길이(D)는 브페이크 페달을 밟기 전과 동일하게 유지된다.
상기와 같이 실린더부(960)가 이동하면서 몸체부(910) 후단의 테이퍼진 부분에 밀착됨으로써 공기흡입밸브(900) 내의 진공 통로가 막히게 되므로 변압실(220)에 가해지는 진공 부압이 단락된다. 이 상태에서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템부(140)가 리액션디스크(510)로부터 일정 간격 떨어진 상태에 있게 된다.
그 후 입력축(400)이 플런저(700)를 계속 밀면 스템부(140)가 밀리면서, 스템부(140)에 연결된 다이어프램(310)이 계속 밀리게 된다. 스템부(140)가 밀려서 리액션디스크(510)와 접하게 되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템부(140)가 리액션디스크(510)를 가압하게 되고, 리액션디스크(510) 중 스템부(140)의 관통공 부분에 접하여 스템부(140)에 의해 가압되지 않는 부분은 관통공 측으로 볼록하게 부풀어 오른다. 스템부(140)와 일체로 움직이는 다이어프램(310)과 파워피스톤(320)이 밀림에 따라 공기흡입밸브(900)의 실린더부(960)가 함께 밀리게 되는데, 실린더부(960)의 일단이 몸체부(910)의 테이퍼진 부분에 걸리게 되어 몸체부(910)를 정압실(210) 측으로 당기게 되므로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910) 선단은 케이싱(100)으로부터 떨어진다. 케이싱(100)과 공기흡입밸브(900)의 선단의 접촉이 해제되는 순간 외부공기가 케이싱(100)의 브래킷(130) 및 스톱 램프 스위치(800)의 결합부(820)에 사이에 형성된 외기 통로를 통해 부압 상태였던 변압실(220)로 급속히 유입됨으로써 변압실(220)은 대기압 상태가 된다. 변압실(220)이 대기압 상태가 되면 부압 상태의 정압실(210)과의 압력차이가 발생되고, 이로 인해 파워피스 톤(320)이 정압실(210) 측으로 밀리게 된다. 이때 파워피스톤(320)에 연결된 스템부(140)가 함께 움직이면서 출력축(500)을 밀어주게 된다. 파워피스톤(320)의 이동에 의해 실린더부(960)가 이동하여 스위치 로드(830)의 돌출길이(D)가 미리 정해진 길이 이상 되면 스톱 램프 스위치(800)가 온(ON)되어 스톱 램프가 점등된다.
이 상태에서는 리액션디스크(510)가 플런저(700)와 직접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출력축(500)의 반력이 플런저(700)에 전달되지 않으므로 입력의 증가 없이도 제동력이 급격히 증가하는 현상이 일어난다. 이를 점프인(jump-in) 효과라 하고 이때 발생되는 출력값을 점프인 값이라 한다.
그 후 리액션디스크(510)와 플런저(700)가 접촉하기 시작하면 출력축(500)의 반력이 입력축(400)에 전달되어 그 후에는 입력에 비례하는 출력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해 입력보다 증폭된 출력이 출력축을 통하여 마스터실린더 어셈블리로 전달되어 제동유압이 발생된다.
그리고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에서 발을 떼면 리턴스프링(800)과 파워피스톤(32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다이어프램(310)과 입력축(400)이 원위치로 복원되며, 공기흡입밸브(900)도 케이싱(100) 쪽으로 후퇴하여 공기흡입밸브(900)의 몸체부(910)는 케이싱(100)의 관통공(110)에 다시 부착된다.
따라서 공기흡입밸브(900)의 선단부(920)에 의해 스위치 로드(830)가 다시 스위치 몸체(810) 내부로 삽입되며, 스위치는 오프(OFF)되어 스톱 램프는 점멸된다.
이와 동시에 정압실(210)과 변압실(220)이 연통되는 진공 통로가 열리게 되 어 변압실(220) 공기는 진공 통로를 통해 진공상태의 정압실(210)로 빠져나가고, 정압실(210) 공기는 진공 연결파이프(120)와 진공호스를 통해 빠져나감으로써 브레이크 부스터는 초기상태로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스톱 램프 스위치가 장착된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차량용 스톱 램프 스위치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스톱 램프 스위치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스톱 램프 스위치가 브레이크 부스터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B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스톱 램프 스위치의 작동상태를 순차적으로 예시한 B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스톱 램프 스위치가 장착되는 브레이크 부스터의 작동상태를 순차적으로 예시한 C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케이싱 110 : 관통공
140 : 스템부 210 : 정압실
220 : 변압실 310 : 다이어프램
320 : 파워피스톤 400 : 입력축
500 : 출력축 510 : 리액션디스크
700 : 플런저 750 : 씰
800 : 스톱 램프 스위치 810 : 스위치 몸체
820 : 결합부 830 : 스위치 로드
900 : 공기흡입밸브 910 : 몸체부
920 : 공기흡입밸브 선단부 930 : 자석
940 : 공기흡입밸브 후단부 960 : 실린더부
970 : 스프링

Claims (7)

  1. 내부가 다이어프램에 의해 정압실과 변압실로 구획되며 상기 변압실 일측면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케이싱; 및
    정압실과 변압실이 연통되는 진공 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다이어프램에 삽입되어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에 의해 상기 케이싱의 관통공에 밀착되거나 이격되는 공기흡입밸브;
    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부스터에 장착되며,
    스위치 몸체;
    상기 스위치 몸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공기흡입밸브의 작동에 의해 돌출길이가 조절되는 스위치 로드; 및
    상기 스위치 몸체를 상기 케이싱에 결합시키는 결합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용 스톱 램프 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입밸브는,
    실린더부 및 상기 실린더부에 슬라이딩되는 구조로 결합되는 몸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스위치 로드의 선단은 상기 공기흡입밸브의 몸체부의 선단부에 접촉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톱 램프 스위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공기흡입밸브와 외기를 연통시키는 외기 통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톱 램프 스위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 통로는 상기 결합부의 외주면에 부분적으로만 나사산이 형성됨으로써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톱 램프 스위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에는 브래킷이 상기 관통공 부분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톱 램프 스위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톱 램프 스위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에는 공기 통로가 관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톱 램프 스위치.
KR1020080122869A 2008-12-05 2008-12-05 차량용 스톱 램프 스위치 KR1010760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2869A KR101076067B1 (ko) 2008-12-05 2008-12-05 차량용 스톱 램프 스위치
US12/463,955 US8053690B2 (en) 2008-12-05 2009-05-11 Automotive brake light switc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2869A KR101076067B1 (ko) 2008-12-05 2008-12-05 차량용 스톱 램프 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4436A true KR20100064436A (ko) 2010-06-15
KR101076067B1 KR101076067B1 (ko) 2011-10-21

Family

ID=42229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2869A KR101076067B1 (ko) 2008-12-05 2008-12-05 차량용 스톱 램프 스위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053690B2 (ko)
KR (1) KR1010760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90265B (zh) * 2011-07-22 2013-09-25 上海阳明汽车部件有限公司 双路制动灯开关
KR101383730B1 (ko) * 2012-12-24 2014-04-17 한국오므론전장(주) 차량용 클러치 페달의 통합 스위치
WO2017151686A1 (en) 2016-02-29 2017-09-08 Safely Brake, Inc. Safety brake light module and method of engaging a safety brake light
DE102020209077A1 (de) * 2020-07-20 2022-01-20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Verfahren zur Überwachung der Funktionstüchtigkeit eines Bremssystems in einem Fahrzeug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20836A (en) * 1978-12-20 1980-09-02 Ranco Incorporated Pressure responsive control unit employing snap action diaphragm
US4297550A (en) * 1979-03-01 1981-10-27 Betty Leighton Method and construction for vehicle brake pedal and switch assembly
JPS60206765A (ja) 1984-03-30 1985-10-18 Aisin Seiki Co Ltd 車両のブレ−キ装置
US4626636A (en) * 1985-03-25 1986-12-02 Stewart-Warner Corporation Pressure operated switch assembly with external pressure control
GB8802297D0 (en) * 1988-02-02 1988-03-02 Lucas Ind Plc Brake servo booster
US5141295A (en) * 1988-05-09 1992-08-25 Alfred Teves Gmbh Brake power booster with diaphragm position sensing devices
JPH0577714A (ja) 1991-09-18 1993-03-30 Aisin Seiki Co Ltd 倍力装置
US5207770A (en) * 1992-01-29 1993-05-04 Allied-Signal Inc. Modifier for vacuum booster reaction force
KR100329527B1 (ko) * 1993-07-27 2002-10-04 루카스 인더스트리즈 피엘씨 전자제어식부스터를구비한차량브레이크시스템
FR2751929B1 (fr) 1996-08-05 1998-10-30 Bosch Sist De Frenado Sl Servomoteur de freinage a reaction pneumatique selective
US5992947A (en) * 1997-09-18 1999-11-30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Negative pressure type booster
KR200227704Y1 (ko) * 1997-12-30 2001-10-25 이계안 자동주행시스템용부스터의제동스위치장착구조
JP3903635B2 (ja) * 1999-04-06 2007-04-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取付寸法調整部材
JP3941332B2 (ja) * 2000-04-13 2007-07-0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プッシュスイッチ及びその製造方法
JP3829275B2 (ja) * 2001-08-14 2006-10-04 株式会社日本ロック 車両用ブレーキスイッチ
JP2003104188A (ja) 2001-09-28 2003-04-09 Tokico Ltd 制御型ブレーキブースタ
KR100534872B1 (ko) * 2003-12-10 2005-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스톱램프 스위치 구조
KR100729338B1 (ko) * 2006-10-19 2007-06-15 주식회사 트루윈 스톱램프 스위치
KR100867719B1 (ko) * 2007-06-22 2008-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전기접점식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
KR100996831B1 (ko) * 2008-03-10 2010-11-26 주식회사 인팩 스탑램프 스위치
KR101000250B1 (ko) * 2008-05-21 2010-1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스톱램프 스위치 장착구조
KR100921279B1 (ko) * 2008-07-31 2009-10-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브레이크 부스터
KR101047631B1 (ko) * 2008-09-09 2011-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톱 램프 스위치 장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053690B2 (en) 2011-11-08
KR101076067B1 (ko) 2011-10-21
US20100140063A1 (en) 2010-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6067B1 (ko) 차량용 스톱 램프 스위치
ATE427435T1 (de) Radbremse
US7543525B2 (en) Automobile clutch booster
CA2430961A1 (en) Integrated foot control valve actuator
KR100921279B1 (ko) 브레이크 부스터
CA2715457C (en) Pneumatic impact tool
CN101378871B (zh) 气压式往复运动工具
SI1386812T1 (sl) Sprejemni valj vzmeti za zavore vozil
US20050023887A1 (en) Vacuum actuated brake pressure intensifier
KR200293708Y1 (ko) 자동차의 브레이크 부스터
KR20100030286A (ko) 브레이크부스터용 포핏스프링의 장력 조정장치
KR100931086B1 (ko) 차량용 브레이크 부스터
KR100381776B1 (ko) 자동차의 브레이크 부스터
KR200427196Y1 (ko) 클러치 부스터
KR19980061357A (ko) 자동차용 클러치 장치의 부스터
KR20130127325A (ko) 차량용 브레이크 부스터
EP1520764A3 (de) Steuerventileinrichtung für eine indirekt wirkende Druckluftbremse eines Schienenfahrzeugs
KR200285913Y1 (ko) 차량용 배력장치의 진공스위치
KR100578412B1 (ko) 도약력 조절기를 구비한 진공 배력장치
KR100820093B1 (ko) 클러치용 마스터 실린더
KR100677848B1 (ko) 차량용 브레이크 부스터
KR20100023669A (ko) 차량용 브레이크 부스터
JPS6235985Y2 (ko)
KR200400886Y1 (ko) 자동차용 브레이크 부스터
KR100941811B1 (ko) 자동차용 에어부스터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