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7719B1 - 차량의 전기접점식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전기접점식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7719B1
KR100867719B1 KR1020070061636A KR20070061636A KR100867719B1 KR 100867719 B1 KR100867719 B1 KR 100867719B1 KR 1020070061636 A KR1020070061636 A KR 1020070061636A KR 20070061636 A KR20070061636 A KR 20070061636A KR 100867719 B1 KR100867719 B1 KR 1008677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brake pedal
pedal switch
fixed
fixed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1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병엽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61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77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7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7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4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by electrical means, e.g. using travel or force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6Disposition of pedal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브레이크 페달의 동작을 감지한 후 차량의 제동과 연계되어 동작되는 각종의 제어장치로 제동신호를 보내는 스위치의 장착작업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컨넥터 케이스가 바디에 대하여 회동이 가능하도록 한 차량의 전기접점식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전기접점식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는 차량의 브레이크 페달이 동작됨이 인식되도록 브레이크 페달의 로드 일측의 고정측에 장착되는 전기접점식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에 있어서, 내부가 비고 일측이 개방된 통형상으로 폐쇄된 타측에는 중공형의 체결볼트가 관통되게 돌출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체결볼트 내경을 관통하여 그 외측 끝단은 브레이크 페달의 로드 일측에 접촉가능하도록 노출되어지되 그 내측 끝단은 상기 하우징의 끝보다 길게 연장형성된 작동 로드와; 내부가 빈 통형상으로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고정장착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외측에 위치된 채 하우징에 조립되며 그 내측에는 작동 로드의 일단을 탄력지지하는 완충용 스프링이 수용된 커버와; 상기 바디의 내측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칭형태로 고정장착되어지되 원형의 절연체를 사이에 두고 원형상의 내측 고정접점과 외측 고정접점으로 구분형성된 한쌍의 전방 고정접점 및 후방 고정접점과; 상기 한쌍의 전방 고정접점과 후방 고정접점 사이에 간격유지용 스프링으로써 탄성지지된 채 작동 로드의 외주연에 형성되어지되 작동 로드의 동작에 따라서 내측 고정접점과 외측 고정접점중 어느 일측의 고정접점과 접촉이 이루어지고 다른 타측의 고정접점과는 단락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된 한쌍의 전방 가동접점 및 후방 가동접점과; 상기 전방 고정접점을 이루는 내측 고정접점과 외측 고정접점과는 각각 별도로 접속된 상태가 유지되어지되 일측은 상기 전방 고정접점을 따라 회동이 가능한 반원형상으로 형성되고 다른 일측은 직선상으로 형성되는 한쌍의 전방 슬라이딩 접점과; 상기 후방 고정접점을 이루는 내측 고정접점과 외측 고정접점과는 각각 별도로 접속된 상태가 유지되어지되 일측은 상기 후방 고정접점을 따라 회동이 가능한 반원형상으로 형성되고 다른 일측은 직선상으로 형성되는 한쌍의 후방 슬라이딩 접점과; 상기 전방 슬라이딩 접점 및 후방 슬라이딩 접점의 외측단과 일체를 이루며 컨넥터의 접속이 가능하도록 바디 일측에 형성되는 컨넥터 케이스;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 슬라이딩 접점, 컨넥터, 회동

Description

차량의 전기접점식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Brake pedal switch on the vehicle}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접점식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의 대략적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접점식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의 정면도.
도 3a 는 도 1 에 표시된 A-A선 단면도.
도 3b 는 도 1 에 표시된 B-B선 단면도.
도 4a 및 도 4c 는 각각 도 3a 에 표시된 C-C선 단면도, D-D선 단면도 및 E-E선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접점식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가 장착된 상태의 도면.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접점식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의 장착과정을 보인 도면.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접점의 회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접점식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의 작동상태도.
도 9 및 도 10 은 종래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전기접점식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
110 : 하우징 112 : 체결볼트
114 : 너트 120 : 바디
122 : 레일 130 : 커버
140 : 컨넥터 케이스 150 : 작동 로드
160 : 전방 고정접점 162 : 후방 고정접점
160a,162a : 외측 고정접점 160b,162b : 내측 고정접점
164 : 돌출접점 166 : 절연체
170 : 전방 가동접점 172 : 후방 가동접점
170a,172a : 스프링 시트 170b,172b : 날개편
180 : 전방 슬라이딩 접점 182 : 후방 슬라이딩 접점
180a,182a : 대반경측 접점 180b,182b : 소반경측 접점
190 : 완충용 스프링 192 : 간격유지용 스프링
본 발명은 차량의 전기접점식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브레이크 페달의 동작을 감지한 후 차량의 제동과 연계되어 동 작되는 각종의 제어장치로 제동신호를 보내는 스위치의 장착작업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컨넥터 케이스가 바디에 대하여 회동이 가능하도록 한 차량의 전기접점식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차량의 제동은 주지된 바와 같이 스티어링 휠의 하측에 마련된 브레이크 페달을 운전자의 한쪽발로 밟는 과정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브레이크 페달의 동작은 기계적인 수단들에 의해서 차량의 바퀴에 마련된 브레이크로 전달됨으로서 차량의 바퀴에 강제적인 제동력이 가해진다.
한편,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음과 동시에 브레이크 페달의 일측에 마련된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에서는 운전자의 제동 의도를 인식한 후 차량의 제동과 연계되어 동작되는 엔진의 제어부 및 제동등 제어부로 제동신호를 보내게 된다.
이러한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는 그 적용방식에 따라서 크게 공압식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와 전기접점식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로 구분된다. 공압식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는 에어 튜브를 통과하는 공기압에 따라서 온(OFF)/오프(OFF) 동작을 인식하는 방식으로 일반적으로는 차량의 실외에 장착됨으로서 장착과정에서의 큰 문제점이 없다. 반면에 전기접점식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는 브레이크 페달의 동작과 연동되는 스프링의 장력변화에 의한 접점의 상태에 따라서 온(ON)/오프(OFF) 동작을 인식하는 방식으로 브레이크 페달이 힌지결합되는 부근에 위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9 및 도 10은 종래의 전기접점식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가 장착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전기접점식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10)는 브레이크 페달(20)의 회동 중심점이 되는 힌지(24) 부근의 고정측에 별도의 브라켓(30) 등으로써 지지된 상태로 조립된다. 이때, 전기접점식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10)의 하우징(12)로부터 일측으로 돌출형성된 작동 로드(14)는 브레이크 페달(20)의 로드(22) 상부측에 돌출형성된 작동편(16)에 맞닿아 있는 상태에 있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20)을 밟게 되면 힌지(24)를 회동점으로 하여 브레이크 페달(20)의 로드(22)가 회동되면서 작동편(26)으로부터 작동 로드(14)가 떨어지게 되면서 전기접점식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10)에서는 운전자가 제동의도를 감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종래의 전기접점식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10)는 그 일측에 마련된 체볼트(18)를 브라켓(30)의 체결공에 끼운 후 너트(32)를 체결하는 방식으로 조립이 이루어지는데,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10)의 몸체에 대하여 컨넥터가 접속되기 위한 컨넥터 케이스(16)가 회동이 불가능한 구조로 형성됨으로서 컨넥터를 접속하고 분리하는 과정 등에서 장착위치가 변경되어 주변의 부품에 간섭이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의 브레이크 페달의 동작을 감지한 후 차량의 제동과 연계되어 동작되는 각종의 제어장치로 제동신호를 보내는 스위치의 장착공정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컨넥터 케이스가 바디에 대하여 회동이 가능하도록 한 차량의 전기접점식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전기접점식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는 전술한 바와 같은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차량의 브레이크 페달이 동작됨이 인식되도록 브레이크 페달의 로드 일측의 고정측에 장착되는 전기접점식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에 있어서, 내부가 비고 일측이 개방된 통형상으로 폐쇄된 타측에는 중공형의 체결볼트가 관통되게 돌출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체결볼트 내경을 관통하여 그 외측 끝단은 브레이크 페달의 로드 일측에 접촉가능하도록 노출되어지되 그 내측 끝단은 상기 하우징의 끝보다 길게 연장형성된 작동 로드와; 내부가 빈 통형상으로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고정장착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외측에 위치된 채 하우징에 조립되며 그 내측에는 작동 로드의 일단을 탄력지지하는 완충용 스프링이 수용된 커버와; 상기 바디의 내측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칭형태로 고정장착되어지되 원형의 절연체를 사이에 두고 원형상의 내측 고정접점과 외측 고정접점으로 구분형성된 한쌍의 전방 고정접점 및 후방 고정접점과; 상기 한쌍의 전방 고정접점과 후방 고정접점 사이에 간격유지용 스프링으로써 탄성지지된 채 작동 로드의 외주연에 형성되어지되 작동 로드의 동작에 따라서 내측 고정접점과 외측 고정접점중 어느 일측의 고정접점과 접촉이 이루어지고 다른 타측의 고정접점과는 단락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된 한쌍의 전방 가동접점 및 후방 가동접점과; 상기 전방 고정접점을 이루는 내측 고정접점과 외측 고정접점과는 각각 별도로 접속된 상태가 유지되어지되 일측은 상기 전방 고정접점을 따라 회동이 가능한 반원형상으로 형성되고 다른 일측은 직선상으로 형성되는 한쌍의 전방 슬라이딩 접점과; 상기 후방 고정접점을 이루는 내측 고정접점과 외측 고정접점과는 각각 별도로 접속된 상태가 유지되어지되 일측은 상기 후방 고정접점을 따라 회동이 가능한 반원형상으로 형성되고 다른 일측은 직선상으로 형성되는 한쌍의 후방 슬라이딩 접점과; 상기 전방 슬라이딩 접점 및 후방 슬라이딩 접점의 외측단과 일체를 이루며 컨넥터의 접속이 가능하도록 바디 일측에 형성되는 컨넥터 케이스;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접점식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에서 전방 슬라이딩 접점 및 후방 슬라이딩 접점과 접하는 측의 전방 고정접점 및 후방 고정접점의 외측면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엠보싱형태의 돌출접점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접점식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에서 돌출접점은 60°의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접점식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에서 전방 가동접점 및 후방 가동접점에는 각각 작동 로드의 외주연에 축결합된 채 간격유지용 스프링의 일단이 접하게 되는 환형상의 스프링 시트의 외측으로 연장형성된 날개편이 돌출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접점식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에서 작동 로드의 도중에는 전방 가동접점 및 후방 가동접점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스톱퍼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접점식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에서 전방 슬라이딩 접점은 후방 슬라이딩 접점과의 위상을 줄이기 위하여 그 중간 부분이 계단상으로 절곡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접점식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에서 전방 및 후방 슬라이딩 접점 중에서 작은 원형상의 내측 고정접점에 접촉되는 접점은 큰 원형상의 외측 고정접점에 간섭되지 않도록 외측 고정접점에 위치되는 부분의 도중이 절곡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접점식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에서 바디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접점식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에서 바디에는 전방 슬라이딩 접점 및 후방 슬라이딩 접점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허용하는 레일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접점식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에서 바디의 외측에 위치되는 컨넥터 케이스의 내측면은 곡면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접점식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의 구성 및 작동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접점식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의 대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접점식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의 정면도이며, 도 3a 는 도 1 에 표시된 A-A선 단면도이고, 도 3b 는 도 1 에 표시된 B-B선 단면도이며, 도 4a 및 도 4c 는 각각 도 3a 에 표시된 C-C선 단면도, D-D선 단면도 및 E-E선 단면도로서, 도면 중에 표시되는 도면부호 100은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전 기접점식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를 지시하는 것이다.
상기한 전기접점식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100)의 몸체는 하우징(110), 바디(120), 커버(130) 및 컨넥터 케이스(140)로 구분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일측이 개방된 통형상으로 형성되며 폐쇄된 다른 측면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접점식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100)를 고정된 차체 측에 장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중공형의 체결볼트(112)가 길게 연장형성된다. 그리고 하우징(110)의 내부측 공간에는 내부가 빈 형태의 바디(120)가 고정된 채로 조립되는데, 바디(120)의 도중에는 컨넥터 케이스(140)가 회동되는 과정에서 후설할 슬라이딩 접점(180,182)이 통과되기 위한 레일(122)이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형성된다. 한편, 하우징(110)의 개방된 측은 별도의 커버(130)로써 마감됨으로서 전기접점식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100)의 몸체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그 몸체의 일측으로는 컨넥터가 조립되기 위한 컨넥터 케이스(140)가 하우징(110) 및 바디(120)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된다. 특히, 컨넥터 케이스(140)의 내측면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 및 커버(130)의 외형에 맞추어 곡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중공형의 체결볼트(112)의 내부에는 길이가 긴 작동 로드(150)가 전후진 동작이 가능하도록 삽입되어지되, 그 외측 끝단은 체결 볼트(112)의 끝단부보다 소정 길이 더 노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한편 그 내측 끝단은 커버(130)의 내측면에 일단이 탄력지지되는 완충용 스프링(190)으로써 탄력지지된다.
한편, 상기한 바디(120)의 내측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한쌍의 전방 고정접 점(160) 및 후방 고정접점(162)이 서로 대칭된 형태로 형성되는데, 전후방 고정접점(160,162)은 각각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체(166)를 사이에 두고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외측 고정접점(160a,162a)과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내측 고정접점(160b,162b)으로 구분형성된다. 그리고 후설할 슬라이딩 접점(180,182)이 접촉되는 고정접점의 면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의 돌출접점(164)이 엠보싱 형상으로 돌출형성된다. 돌출접점(164)의 간격은 슬라이딩 접점(180,182)이 180°범위 내에서 회동되도록 설정되는 점을 감안할 때 60°각도 간격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절연체(166)는 외측 고정접점(160a,162a)과 내측 고정접점(160b,162b) 사이를 완전히 절연시키기 위하여 환형상으로 형성된다.
특히, 전방 및 후방의 외측 고정접점(160a,162a)은 바디(120)의 내측면에 고정된 상태로 조립이 이루어지고, 내측 고정접점(160b,162b)은 절연체(166)를 매개로 외측 고정접점(160a,162a)에 고정된 상태로 조립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환형상의 전방 및 후방의 내측 고정접점(160b,162b)의 내주연을 통해서는 작동 로드(150)의 도중이 관통하여 통과되는 형태로 조립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전방 고정접점(160)과 후방 고정접점(162)의 사이 공간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한쌍의 전방 가동접점(170) 및 후방 가동접점(172)이 형성된다. 전방 가동접점(170) 및 후방 가동접점(172)의 외측면은 각각 작동 로드(150)의 도중에 환상으로 돌출된 형태의 스톱퍼(152,154)에 의해서 걸린 상태가 유지되고, 전방 가동접점(170)과 후방 가동접점(172) 내측면 사이에는 간격유지용 스프링(192)이 개재됨으로서 한쌍의 전후방 가동접점(170,172)은 서로 소정의 간격이 유지된 채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고 설정된 범위 내에서만 동작될 수 있게 된다.
간격유지용 스프링(192)의 장착을 위해서 서로 마주하는 전방 가동접점(170) 및 후방 가동접점(172)의 내측면에는 각각 환상의 스프링 시트(170a,172a)가 형성된다. 한편, 그 스프링 시트(170a,172a)의 외측으로는 도 4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편(170b,172b)이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므로서 상기 작동 로드(150)의 동작시 전방 가동접점(170) 및 후방 가동접점(172)로써 외측 고정접점(160a,162a)과 내측 고정접점(160b,162b)이 서로 접촉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외측 고정접점(160a,162a)과 내측 고정접점(160b,162b)의 보다 효과적인 접촉을 위하여 날개편(170b,172b)의 도중은 주변보다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접점식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100)에서 컨넥터가 접속되는 컨넥터 케이스(140)가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되더라도 전방 고정접점(160) 및 후방 고정접점(162)으로 전달된 제동신호가 끊이지 않고 컨넥터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전방 슬라이딩 접점(180) 및 후방 슬라이딩 접점(182)이 형성된다.
전후방 슬라이딩 접점(180,182)은 각각 대경의 외측 고정접점(160a,162a)에 접촉되는 부분인 대반경측 접점(180a,182a)과, 소경의 내측 고정접점(160b,162b)에 접촉되는 부분인 소반경측 접점(180b,182b)으로 구분된 한쌍으로 형성된다.
전방 슬라이딩 접점(180)은 도 4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반경측 접점(180a)의 일측이 직경이 큰 외측 고정접점(160a)에 접촉되기 위하여 반원형상으로 형성되고, 소반경측 접점(180b)의 일측이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내측 고정접점(160b)에 접촉되기 위하여 반원형상으로 형성된다. 전방 슬라이딩 접점(180)을 이루는 한쌍의 접점의 다른 외측은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케이블 케이스(140)에 인서트 사출된다. 특히, 전방 슬라이딩 접점(180)은 후방 슬라이딩 접점(182)과의 위상을 줄이기 위하여 그 중간부분이 계단상으로 절곡된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방 슬라이딩 접점(182)은 도 4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반경측 접점(182a)의 일측이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외측 고정접점(162a)에 접촉되기 위하여 반원형상으로 형성되고, 소반경측 접점(182b)의 일측이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내측 고정접점(162b)에 접촉되기 위하여 반원형상으로 형성된다.
전방 및 후방 슬라이딩 접점(180,182) 중에서 내측 고정접점(160b,162b)에 접촉되기 위한 소반경측 접점(180b,182b)의 부분에서 외측 고정접점(160a,162a)을 지나는 부분은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전기접점식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100)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 제동을 시도하였을 경우에 스위치 접점이 온/오프 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제동신호가 감지될 수 있도록 장착된다. 장착과정에서 체결볼트(112)는 차체 측으로부터 연장된 브라켓(300)의 체결공에 끼워진 상태에서 브라켓(300)의 양측에서 너트(114)를 체결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도 5 에서는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기 전의 상태를 보인 도면으로서, 작동 로드(150)의 끝단이 브레이크 페달의 로드(200) 일측에 연장형성된 작동편(210)에 접촉된 상태이다. 이때, 전방 가동접점(170)은 전방 고정접점(160)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인 반면에 후방 가동접점(172)은 후방 고정접점(162)에 접촉된 상태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접점식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100)는 그 장착과정 및 컨넥터 케이스(140)에 컨넥터를 접속시키는 과정에서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방향으로 컨넥터 케이스(140)의 방향을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변의 부품과 간섭이 발생되지 않는 위치로 컨넥터 케이스(140)의 방향을 적절히 설정할 수가 있게 된다. 도 7 은 컨넥터 케이스(140)가 회동되는 과정에서의 슬라이딩 접점(180,182)의 상태를 보인 도면으로서, 컨넥터 케이스(140)가 회동되더라도 전후방 고정접점(160,162)에는 여전히 슬라이딩 접점(180,182)이 접촉된 상태에 있게 됨으로서 제동신호를 인식하거나 제동신호를 전달하는 데에는 아무런 지장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접점식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100)가 장착된 브레이크 페달을 운전자가 밟아 제동을 시도한 경우를 보인 도면이다. 즉,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게 되면 브레이크 페달의 로드(200)는 힌지(220)를 회동점으로 하여 회동하게 되면서 로드(200)에 일체로 형성된 작동편(210)이 전기 접점식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100)의 작동 로드(150)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그러면 작동 로드(150)는 커버(130) 측에 마련된 완충용 스프링(190)의 탄성력에 의해서 외측으로 소정의 구간만큼 더 돌출되어지고, 이 과정에서 전방 가동접점(170)과 후방 가동접점(172)은 가동 가능한 스트로크 범위 내에서 전진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전방 가동접점(170)과 전방 고정접점(160)이 접촉된 상태가 되는 반면에 후방 가동접점(172)과 후방 고정접점(162)은 단락된 상태가 되면서, 슬라이딩 접점(180,182)을 통해서 제동신호가 컨넥터 케이스(140)에 접속된 컨넥터로 연결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전기접점식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100)는 컨넥터 케이스(140)가 회동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서 그 장착과정 및 컨넥터를 접속시키는 과정 등에서 작업자의 작업공정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뿐만 아닐, 전기접점식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100)의 주변에 장착되는 다른 부품들과의 간섭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를 장착하는 작업과정이나 컨넥터 케이스에 컨넥터를 연결하는 작업과정 등에서 체결볼트 및 너트의 체결상태를 해제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컨넥터 케이스의 회동이 가능하게 됨으로서 작업자의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질 수 있는 커다란 장점이 있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접점식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에서는 컨넥터 케이스의 회동이 가능하게 됨으로서 전기접점식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 주변에 장착되는 타부품들과의 간섭을 줄일 수 있는 커다란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0)

  1. 차량의 브레이크 페달이 동작됨이 인식되도록 브레이크 페달의 로드 일측의 고정측에 장착되는 전기접점식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에 있어서,
    내부가 비고 일측이 개방된 통형상으로 폐쇄된 타측에는 중공형의 체결볼트(112)가 관통되게 돌출형성된 하우징(110)과;
    상기 체결볼트(112) 내경을 관통하여 그 외측 끝단은 브레이크 페달의 로드 일측에 접촉가능하도록 노출되어지되 그 내측 끝단은 상기 하우징(110)의 끝보다 길게 연장형성된 작동 로드(150)와;
    내부가 빈 통형상으로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에 고정장착되는 바디(120)와;
    상기 바디(120)의 외측에 위치된 채 하우징(110)에 조립되며 그 내측에는 작동 로드(150)의 일단을 탄력지지하는 완충용 스프링(190)이 수용된 커버(130)와;
    상기 바디(120)의 내측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칭형태로 고정장착되어지되 원형의 절연체(166)를 사이에 두고 원형상의 내측 고정접점(160b,162b)과 외측 고정접점(160a,182a)으로 구분형성된 한쌍의 전방 고정접점(160) 및 후방 고정접점(162)과;
    상기 한쌍의 전방 고정접점(160)과 후방 고정접점(162) 사이에 간격유지용 스프링(192)으로써 탄성지지된 채 작동 로드(150)의 외주연에 형성되어지되 작동 로드(150)의 동작에 따라서 내측 고정접점(160b,162b)과 외측 고정접점(160a,162a)중 어느 일측의 고정접점과 접촉이 이루어지고 다른 타측의 고정접점과는 단락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된 한쌍의 전방 가동접점(170) 및 후방 가동접점(172)과;
    상기 전방 고정접점(160)을 이루는 내측 고정접점(160b)과 외측 고정접점(160a)과는 각각 별도로 접속된 상태가 유지되어지되 일측은 상기 전방 고정접점(160)을 따라 회동이 가능한 반원형상으로 형성되고 다른 일측은 직선상으로 형성되는 한쌍의 전방 슬라이딩 접점(180)과;
    상기 후방 고정접점(162)을 이루는 내측 고정접점(162b)과 외측 고정접점(162a)과는 각각 별도로 접속된 상태가 유지되어지되 일측은 상기 후방 고정접점(162)을 따라 회동이 가능한 반원형상으로 형성되고 다른 일측은 직선상으로 형성되는 한쌍의 후방 슬라이딩 접점(182)과;
    상기 전방 슬라이딩 접점(180) 및 후방 슬라이딩 접점(182)의 외측단과 일체를 이루며 컨넥터의 접속이 가능하도록 바디(120) 일측에 형성되는 컨넥터 케이스(14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점식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슬라이딩 접점(180) 및 후방 슬라이딩 접점(182)과 접하는 측의 전방 고정접점(160) 및 후방 고정접점(162)의 외측면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엠보싱형태의 돌출접점(16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점식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접점(164)은 60°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점식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가동접점(170) 및 후방 가동접점(172)에는 각각 작동 로드(150)의 외주연에 축결합된 채 간격유지용 스프링(192)의 일단이 접하게 되는 환형상의 스프링 시트(170a,172a)의 외측으로 연장형성된 날개편(170b,172b)이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점식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로드(150)의 도중에는 전방 가동접점(170) 및 후방 가동접점(172)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스톱퍼(152,15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점식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슬라이딩 접점(180)은 후방 슬라이딩 접점(182)과의 위상을 줄이기 위하여 그 중간 부분이 계단상으로 절곡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점식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슬라이딩 점점(180) 및 후방 슬라이딩 접점(182) 중에서 내측 고정접점(160b,162b)에 접촉되는 소반경측 접점(180b,182b)은 외측 고정접점(160a,162a)에 간섭되지 않도록 외측 고정접점(160a,162a)에 위치되는 소반경측 접점(180b,182b)의 도중이 절곡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점식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12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점식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120)에는 전방 슬라이딩 접점(180)과 후방 슬라이딩 접점(182)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허용하는 레일(12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점식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120)의 외측에 위치되는 컨넥터 케이스(140)의 내측면은 곡면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점식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
KR1020070061636A 2007-06-22 2007-06-22 차량의 전기접점식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 KR1008677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1636A KR100867719B1 (ko) 2007-06-22 2007-06-22 차량의 전기접점식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1636A KR100867719B1 (ko) 2007-06-22 2007-06-22 차량의 전기접점식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7719B1 true KR100867719B1 (ko) 2008-11-10

Family

ID=40283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1636A KR100867719B1 (ko) 2007-06-22 2007-06-22 차량의 전기접점식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77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6067B1 (ko) * 2008-12-05 2011-10-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스톱 램프 스위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5606A (ja) 1999-07-26 2001-02-09 Smk Corp スイッチ付きコネクタ
JP2001292512A (ja) 2000-02-23 2001-10-19 Alstom 軸方向に移動可能なスイッチング部材を有する三位置電気スイッチ
KR20020044814A (ko) * 2000-12-06 2002-06-19 이철환 자동차용 페달 스위치
KR20040044288A (ko) * 2002-11-21 2004-05-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상용차량의 브레이크등 작동수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5606A (ja) 1999-07-26 2001-02-09 Smk Corp スイッチ付きコネクタ
JP2001292512A (ja) 2000-02-23 2001-10-19 Alstom 軸方向に移動可能なスイッチング部材を有する三位置電気スイッチ
KR20020044814A (ko) * 2000-12-06 2002-06-19 이철환 자동차용 페달 스위치
KR20040044288A (ko) * 2002-11-21 2004-05-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상용차량의 브레이크등 작동수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6067B1 (ko) * 2008-12-05 2011-10-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스톱 램프 스위치
US8053690B2 (en) 2008-12-05 2011-11-08 Hyundai Motor Company Automotive brake light switch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88984B1 (en) Tilt steering assembly
EP1281584B1 (en) Horn actuat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steering wheel
US11370377B2 (en) Vehicle steering wheel and steering wheel assembly having a vehicle steering wheel of this kind
JP6350639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CN104185573B (zh) 用于机动车辆的转向柱开关系统的复位装置和机动车辆
KR100867719B1 (ko) 차량의 전기접점식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
KR102509492B1 (ko) 구동의 완충을 갖춘 페달 디바이스
CN103062249B (zh) 制动装置
KR101485753B1 (ko) 자전거용 안전 브레이크 장치
JP6158671B2 (ja) 車両用アクセルペダル装置
CN110936932B (zh) 一种制动踏板和车辆辅助制动系统
US8998251B2 (en) Horn switch device for steering wheel
US20230365081A1 (en) Vehicle steering wheel
KR102529927B1 (ko) 혼 스위치를 구비한 트랙터용 스티어링 어셈블리
CN102555895A (zh) 汽车制动灯开关与脚踏板总成的安装结构
KR20140078945A (ko) 자동차의 인사이드 미러 마운팅 장치
KR102296535B1 (ko) 브레이크 호스의 레이아웃 설정용 금구
KR20120034905A (ko)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 지지장치
KR100423054B1 (ko) 다기능 스위치의 턴 시그널 자동 취소장치
CN216443719U (zh) 一种电动滑板车
EP4000083B1 (en) Key switch
KR100331418B1 (ko) 브레이크페달 장착용 마운팅브라켓과 카울판넬의 결합구조
KR20100037868A (ko) 가변 레버비를 갖는 차량용 페달 시스템
KR101545814B1 (ko) 차량용 클러치 페달 스위치
KR20060024973A (ko) 혼 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