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8507Y1 - 와이어 송급기 - Google Patents

와이어 송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8507Y1
KR200488507Y1 KR2020150007196U KR20150007196U KR200488507Y1 KR 200488507 Y1 KR200488507 Y1 KR 200488507Y1 KR 2020150007196 U KR2020150007196 U KR 2020150007196U KR 20150007196 U KR20150007196 U KR 20150007196U KR 200488507 Y1 KR200488507 Y1 KR 2004885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wire
leaf spring
roller
pressing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71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1707U (ko
Inventor
김종준
김종철
권용섭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500071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507Y1/ko
Publication of KR201700017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7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5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50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2Automatic feeding or moving of electrodes or work for spot or seam welding or cutting
    • B23K9/133Means for feeding electrodes, e.g. drums, rolls,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2Automatic feeding or moving of electrodes or work for spot or seam welding or cutting
    • B23K9/133Means for feeding electrodes, e.g. drums, rolls, motors
    • B23K9/1333Deree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2Automatic feeding or moving of electrodes or work for spot or seam welding or cutting
    • B23K9/133Means for feeding electrodes, e.g. drums, rolls, motors
    • B23K9/1336Driv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warding And Storing Of Filamentary Material (AREA)
  • Wir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와이어 송급기에 관한 것으로, 다면체로 구성되는 장력조절캠의 회전을 통해 판스프링을 가압하고, 판스프링의 개수를 다수개로 구성하여 필요에 따라 장력조절캠에 가압되는 판스프링의 개수를 조절함으로써 판스프링에 의해 가압되는 가압롤러부의 가압력이 오차 없이 일정하게 조절되도록 하고, 와이어 교체 삽입시 가압롤러부의 회전공간이 불필요하여 협소공간에서도 장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와이어 송급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일측면에 송급모터가 부착되어 있는 송급기몸체; 상기 송급기몸체에 설치되고 상기 송급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송급롤러; 상기 송급롤러와 마주보도록 위치하고 송급롤러와의 사이로 공급되는 와이어를 가압해주는 가압롤러부; 상기 가압롤러부의 상부에 일측단이 고정부재에 의해 가압 고정되고, 탄성을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가압롤러부를 송급롤러 방향으로 가압해주는 판스프링; 상기 송급기몸체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판스프링의 타측단 상부면에 밀착되어 회전시에 판스프링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변화되도록 함으로써 가압롤러부의 가압력이 조절되도록 하는 장력조절캠; 상기 송급기몸체에 설치되고 송급롤러와 가압롤러부 사이로 인입되는 와이어를 가이드해주는 인입가이드부; 상기 송급기몸체에 설치되고 송급롤러와 가압롤러부 사이에서 송급되는 와이어를 가이드해주는 출구가이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와이어 송급기{Wire feeder}
본 고안은 와이어 송급기에 관한 것으로, 장력조정캠과 판스프링의 조합에 의해 작업자의 미세 조정 오차 없이 일정한 장력이 부여되도록 하고 협소한 공간에서도 장착이 가능한 와이어 송급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 와이어 송급기는 용접기 본체에 용접 와이어를 지속적으로 송급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정확한 속도의 송급 능력과 더불어 부대장치로서의 경량화 및 소형화가 필수적이다.
이러한 와이어 송급기는 와이어를 송급해주는 송급롤러와, 상기 용접와이어에 밀착되어 용접와이어를 가압해줌으로써 용접와이어가 송급되도록 하는 가압롤러와, 상기 가압롤러의 가압량을 조절하도록 코일스프링이 구비된 가압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가압레버를 일정하게 회전시켜 가압롤러의 가압량을 조절하게 된다.
상기 가압롤러는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가압브래킷에 설치되며 와이어를 교체할 경우에는 상기 가압브래킷을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용접와이어의 가압력을 해제한 상태에서 와이어를 교체하게 된다.
그러나 협소한 공간에서는 상기 가압브래킷을 회전시켜주기 위한 공간이 마련되지 않아 와이어의 교체 작업이 매우 어려워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와이어 송급기는 코일스프링의 장력을 가압레버에 표기된 눈금을 통해 작업자가 파악하여 장력을 조절하게 되나, 눈금을 읽는 오차만큼 와이어 송급을 위해 가해지는 장력에 차이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연질 또는 경질의 와이어 사용시에는 가압레버에 구비된 코일 스프링의 힘이 더 필요한 경우, 스프링의 부피가 더욱 커지고 이로 인해 가압레버 또한 크기가 증가되어 협소한 공간에서는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번호 10-2010-0053200 공개특허번호 10-2013-0122077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다면체로 구성되는 장력조절캠의 회전을 통해 판스프링을 가압하고, 판스프링의 개수를 다수개로 구성하여 필요에 따라 장력조절캠에 가압되는 판스프링의 개수를 조절함으로써 판스프링에 의해 가압되는 가압롤러부의 가압력이 오차 없이 일정하게 조절되도록 하고, 와이어 교체 삽입시 가압롤러부의 회전공간이 불필요하여 협소공간에서도 장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와이어 송급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고안은, 일측면에 송급모터가 부착되어 있는 송급기몸체; 상기 송급기몸체에 설치되고 상기 송급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송급롤러; 상기 송급롤러와 마주보도록 위치하고 송급롤러와의 사이로 공급되는 와이어를 가압해주는 가압롤러부; 상기 가압롤러부의 상부에 일측단이 고정부재에 의해 가압 고정되고, 탄성을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가압롤러부를 송급롤러 방향으로 가압해주는 판스프링; 상기 송급기몸체에 설치되고 송급롤러와 가압롤러부 사이로 인입되는 와이어를 가이드해주는 인입가이드부; 상기 송급기몸체에 설치되고 송급롤러와 가압롤러부 사이에서 송급되는 와이어를 가이드해주는 출구가이드부; 상기 인입가이드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판스프링의 타측단 상부면에 밀착되어 회전시에 판스프링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변화되도록 함으로써 가압롤러부의 가압력이 조절되도록 하는 장력조절캠;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판스프링은, 다수겹으로 구성하고 필요에 따라 고정부재의 조임을 해제한 후 고정부재를 축으로 일부의 판스프링을 회전시켜 장력조절캠에 의해 가압되는 판스프링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력조절캠은, 인입가이드부에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다면체의 단면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판스프링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조절되도록 하는 캠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장력조절캠과, 판스프링의 개수 조절을 통해 다양하고 정밀하게 가압롤러부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어 작업의 정밀도를 향샹시켜주고 이로 인해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와이어의 교체시에 장력조절캠의 회전 및 판스프링의 개수조절을 통해 송급롤러와 가압롤러 사이의 틈새를 만들 수 있어 종래와 같이 가압롤러부를 일방향으로 완전히 회전시켜야만 와이어를 교체할 수 있게 되는 공간상의 문제를 극복할 수 있어 협소한 공간에서도 장착이 가능한 효과를 구비한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도 1 은 본 고안에 의한 와이어 송급기를 나타낸 정면도,
도 2 는 본 고안에 의한 와이어 송급기를 나타낸 평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의한 와이어 송급기를 나타낸 측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의한 와이어 송급기의 장력조절캠을 나타낸 예시도,
도 5 는 본 고안에 의한 와이어 송급기의 장력조절캠의 회전을 통한 판스프링의 가압력 조절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6 은 본 고안에 의한 와이어 송급기의 판스프링 개수를 조절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의한 와이어 송급기를 나타낸 정면도, 도 2 는 본 고안에 의한 와이어 송급기를 나타낸 평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의한 와이어 송급기를 나타낸 측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의한 와이어 송급기의 장력조절캠을 나타낸 예시도, 도 5 는 본 고안에 의한 와이어 송급기의 장력조절캠의 회전을 통한 판스프링의 가압력 조절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6 은 본 고안에 의한 와이어 송급기의 판스프링 개수를 조절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도면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와이어 송급기는, 일측면에 송급모터(110)가 부착되어 있는 송급기몸체(100)와, 상기 송급기몸체(100)에 설치되고 송급모터(110)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어 와이어(800)가 송급되도록 하는 송급롤러(200)와, 상기 송급롤러(200)와 마주보도록 위치하고 송급롤러(200)와의 사이로 공급되는 와이어(800)를 가압해주는 가압롤러부(300)와, 상기 가압롤러부(300)의 상부에 일측단이 고정부재(510)에 의해 고정되고 탄성력을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가압롤러부(300)를 송급롤러(200) 방향으로 가압해주는 판스프링(500)과, 상기 송급기몸체(100)의 일측에 설치되어 송급롤러(200)와 가압롤러부(300) 사이로 인입되는 와이어(800)를 가이드해주는 인입가이드부(600)와, 상기 송급기몸체(100)에 설치되어 송급롤러(200)와 가압롤러부(300) 사이에서 송급되는 와이어(800)를 가이드해주는 출구가이드부(700)와, 상기 인입가이드부(600)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판스프링(500)의 타측단 상부면에 밀착되어 회전시에 판스프링(500)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변화되도록 함으로써 가압롤러부(300)의 가압력을 조절해주는 장력조절캠(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압롤러부(300)는, 송급기몸체(100)에 일측단이 힌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가압브래킷(320)과, 상기 가압브래킷(320)에 회전되도록 설치되고 송급롤러(200)와 마주보도록 위치하여 송급롤러(200)와의 사이로 공급되는 와이어(800)를 가압해주는 가압롤러(3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판스프링(500)은 일측단이 가압롤러부(300)의 가압브래킷(320) 상부에 볼트와 같은 고정부재(510)를 통해 조여져 고정되고 타측단은 상기 장력조절캠(400)에 의해 가압되어 가압롤러부(300)가 송급롤러(200)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판스프링(500)은 고정부재(510)를 조임을 해제할 경우 고정부재(510)를 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판스프링(500)은 다수겹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장력조절캠(400)에 의해 가압되는 판스프링(500)의 개수를 조절하여 와이어(800)를 가압하는 가압력의 조건에 맞도록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6 에서와 같이 다수의 판스프링(500)들 중 일부의 판스프링(500)을 상기 고정부재(510)를 축으로 회전시켜 장력조절캠(400)에 의해 가해지는 판스프링(500)의 개수를 조절해줌으로써 가압롤러부(300)를 통한 와이어의 가압력을 미세하고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연질이나 경질의 와이어 종류에 관계없이 판스프링(500)의 개수를 조절하여 가압롤러부(300)의 장력 변화를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4의 (A)(B)는 장력조절캠의 정면 및 측면을 나타낸 것으로, 장력조절캠(400)은 인입가이드부(600)에 설치되는 회전축(410)과 상기 회전축(410)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다면체의 단면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판스프링(500)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조절되도록 하는 캠(4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전축(410)은 볼트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인입가이드부(600)에 삽입되어 너트를 통해 고정되며 회전시에는 너트를 풀어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너트의 조임으로 고정된다.
상기 캠(420)은 단면의 형태가 4각형 형태로 형성되되,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모서리는 라운드 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캠(420)은 회전축(410)의 중심에서 각각의 모서리까지의 거리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회전시킬 경우 판스프링(500)을 가압하게 되는 가압력이 변화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4 에서와 같이 회전축(410)의 중심에서 각 모서리까지의 거리를 나타내는 a, b, c, d의 거리를 각각 4mm, 4.5mm, 4mm, 7.5mm 로 서로 다르게 형성하여 다양한 가압 조건에 맞도록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인입가이드부(600)는 와이어(800)가 안정적으로 가이드 되면서 송급롤러(200)와 가압롤러부(300) 사이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고 출구가이드부(700)는 송급롤러(200)와 가압롤러부(300)의 작동에 의해 송급되는 와이어(800)가 유동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송급되도록 가이드해주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상기 장력조절캠(400)의 회전을 통한 가압력 조절 및 장력조절캠(400)에 의해 가압되는 판스프링(500)의 개수 조절을 통해 다양하고 정밀하게 가압롤러부(300)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어 작업의 정밀도를 향샹시켜주고 이로 인해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와이어(800)의 교체시에 장력조절캠(400)의 회전 및 판스프링(500)의 개수조절을 통해 송급롤러(200)와 가압롤러(310) 사이의 틈새를 만들 수 있어 종래와 같이 가압롤러부(300)를 일방향으로 완전히 회전시켜야만 와이어(800)를 교체할 수 있게 되는 공간상의 문제를 극복할 수 있어 협소한 공간에서도 장착이 가능하여 사용성이 뛰어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와이어 송급기를 이용하여 와이어에 가해지는 장력을 조절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장력조절캠(400)을 회전시켜 판스프링(500)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가장 약해지도록 하고 장력조절캠(400)에 의해 가압되는 판스프링(500)의 개수를 조절하여 송급롤러(200)와 가압롤러(310) 사이로 와이어(800)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이후 인입가이드부(600)를 통해 와이어(800)를 삽입하여 송급롤러(200)와 가압롤러(310) 사이로 와이어(800)를 삽입시키고 삽입된 와이어를 상기 출구가이드부(700)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하여 와이어(800)의 설치를 완료한다.
이후 필요한 가압력이 가해지도록 장력조절캠(400)을 회전시켜 캠(420)에 의해 판스프링(500)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오차없이 부여되도록 한 후 송급모터(110)를 작동시켜 와이어(800)의 송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장력조절캠(400)을 이용하여 판스프링(500)에 가압력을 부여하기 전에 장력조절캠(400)에 가압력이 가해지는 판스프링(500)의 개수를 조절하여 보다 정밀하게 가압력을 조절하여 정밀한 작업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와이어(800)를 교체할 경우에는 판스프링(500)에 최소의 가압력이 가해지는 위치로 장력조절캠(400)을 회전시켜 송급롤러(200)와 가압롤러(310) 사이에 틈새를 형성하고 와이어(800)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해 협소한 공간에서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송급기몸체 (110) : 송급모터
(200) : 송급롤러 (300) : 가압롤러부
(310) : 가압롤러 (320) : 가압브래킷
(400) : 장력조절캠 (410) : 회전축
(420) ; 캠 (500) : 판스프링
(510) : 고정부재
(600) : 인입가이드부 (700) : 출구가이드부
(800) : 와이어

Claims (3)

  1. 일측면에 송급모터가 부착되어 있는 송급기몸체;
    상기 송급기몸체에 설치되고 상기 송급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송급롤러;
    상기 송급롤러와 마주보도록 위치하고 송급롤러와의 사이로 공급되는 와이어를 가압해주는 가압롤러부;
    상기 가압롤러부의 상부에 일측단이 고정부재에 의해 가압 고정되고, 탄성을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가압롤러부를 송급롤러 방향으로 가압해주는 판스프링;
    상기 송급기몸체에 설치되고 송급롤러와 가압롤러부 사이로 인입되는 와이어를 가이드해주는 인입가이드부;
    상기 송급기몸체에 설치되고 송급롤러와 가압롤러부 사이에서 송급되는 와이어를 가이드해주는 출구가이드부;
    상기 인입가이드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판스프링의 타측단 상부면에 밀착되어 회전시에 판스프링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변화되도록 함으로써 가압롤러부의 가압력이 조절되도록 하는 장력조절캠;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판스프링은, 다수겹으로 구성하고 고정부재의 조임을 해제한 후 고정부재를 축으로 일부의 판스프링을 회전시켜 장력조절캠에 의해 가압되는 판스프링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송급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절캠은, 인입가이드부에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다면체의 단면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판스프링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조절되도록 하는 캠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송급기.
KR2020150007196U 2015-11-06 2015-11-06 와이어 송급기 KR2004885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196U KR200488507Y1 (ko) 2015-11-06 2015-11-06 와이어 송급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196U KR200488507Y1 (ko) 2015-11-06 2015-11-06 와이어 송급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707U KR20170001707U (ko) 2017-05-17
KR200488507Y1 true KR200488507Y1 (ko) 2019-02-14

Family

ID=59021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7196U KR200488507Y1 (ko) 2015-11-06 2015-11-06 와이어 송급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50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2875B1 (ko) * 2019-03-29 2020-11-25 우성정밀공업 주식회사 결속와이어 수동공급장치를 구비한 결속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2629B1 (ko) * 2006-07-20 2007-07-25 김팔현 이산화탄소 용접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4268Y1 (ko) * 1985-12-30 1988-11-30 금성전선 주식회사 체인 장력 조절장치
KR101038833B1 (ko) 2008-11-12 2011-06-03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다중 접속식 와이어 송급장치
KR20130122077A (ko) 2012-04-30 2013-11-0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용접와이어 송급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2629B1 (ko) * 2006-07-20 2007-07-25 김팔현 이산화탄소 용접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707U (ko) 2017-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62821B1 (en) Cutting plotter
KR101764003B1 (ko) 다이립 구동구조
TWI655072B (zh) 用於加工機械的壓輥的調整裝置,特別是開槽機,以及加工機械,特別是具有此種調整裝置的開槽機
EP0932462A1 (en) Improved wire straightening device
WO1998012005A9 (en) Improved wire straightening device
KR200488507Y1 (ko) 와이어 송급기
KR20180063488A (ko) 코일 포장용 자동 내주링 제조 장치
US9114656B2 (en) Method and device for exchanging an adhesive application roller
JP2018097066A5 (ko)
JP5203372B2 (ja) 板切断機用板押え装置
CN109501478B (zh) 一种打印头调控装置
JP2020146717A (ja) パイプベンダ
EP3390707B1 (en) Yarn feeder with motor assembly for yarn tension regulation
US10556395B2 (en) Steel wire deforming apparatus for bead cores
US9662831B1 (en) Band pressing device for edge banding machine
US6635006B2 (en) Adjustable buckle chute folding machine
US1978303A (en) Feed roll for presses
JP4651455B2 (ja) 材料供給装置
CN103342009A (zh) 预热缸用的纸张张力调整装置
JP2005279771A (ja) アンコイラ
KR101587229B1 (ko) 평각선 이송장치
KR20170076270A (ko) 다열 프로그래시브 성형이 가능한 트랜스퍼 금형
JP2017042873A (ja) ロール加工装置及びロール位置調整ユニット
JP6793948B2 (ja) パイプ曲げ装置
CN202336558U (zh) 一种弹簧机的滑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