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3984A - 투명성이 높은 유화 조성물 및 투명성이 높은 화장료 - Google Patents

투명성이 높은 유화 조성물 및 투명성이 높은 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3984A
KR20140123984A KR1020147024506A KR20147024506A KR20140123984A KR 20140123984 A KR20140123984 A KR 20140123984A KR 1020147024506 A KR1020147024506 A KR 1020147024506A KR 20147024506 A KR20147024506 A KR 20147024506A KR 20140123984 A KR20140123984 A KR 201401239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emulsion
composition
acid
fatty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4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9778B1 (ko
Inventor
유우키 이마이즈미
마키코 아이미
Original Assignee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23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39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9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97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61K8/553Phospholipids, e.g. lecit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3Stero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8Tocopherol, i.e. vitamin 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6Optical properties
    • A61K2800/262Transparent; Transluc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하기 (A)~(D)의 성분: (A)하기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글리시레틴산 유도체, (B) 토코페롤 및 그 유도체, 및 탄소수 10~18개의 지방산 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유제, (C) 인 지질, 및 (D) 수용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고, 또한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글리시레틴산 유도체의 함유량이 0.5질량% 이상 10질량% 이하인 유화 조성물.
Figure pct00012

[일반식(1) 중, R1 및 R2는 R1이 -C12H25, -C14H29, -C16H33, -C18H37, 또는 -C20H41을 나타내고, 또한 R2가 수소원자를 나타내거나 또는 R1이 수소원자를 나타내고, 또한 R2가 -(C=O)C11H23, -(C=O)C13H27, -(C=O)C15H31, 또는 -(C=O)C17H35를 나타낸다]

Description

투명성이 높은 유화 조성물 및 투명성이 높은 화장료{HIGHLY TRANSPARENT EMULSION COMPOSITION AND HIGHLY TRANSPARENT COSMETIC}
본 발명은 투명성이 높은 유화 조성물 및 투명성이 높은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화장료 등에 있어서 각종 유용성 약제를 배합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고, 통상 오일이 배합되어 있는 유액, 크림 등에 있어서 유용성 약제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한 유용성 약제의 예로서는 글리시레틴산 스테아릴 등의 글리시레틴산 유도체를 들 수 있고, 항염증 효과를 갖는 약제로서 화장료 등에 배합되어 있다.
한편, 화장수 등의 수성 조성물에 글리시레틴산 유도체 등의 유용성 약제를 배합할 경우에는 계면활성제를 사용해서 가용화시킴으로써 수성 조성물에 배합하거나 또는 다량의 유제나 유화제를 사용해서 유화 조성물의 유상 성분에 배합시키고, 그 유화 조성물을 수성 조성물에 배합하는 것이 필요해진다.
계면활성제를 사용한 유화 조성물에 관한 기술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 4524098호 공보에는 알킬화 다당류에 인 지질 및 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조합한 유화 분산물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4341983호 공보에는 유용성 약제 함유 왁스 미세 분산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2007-197328호 공보는 인 지질을 사용해서 수중에 난수용성의 생리 활성 물질을 간편하게 유화 또는 가용화시키는 기술로서 난수용성의 생리 활성 물질과 인 지질이 유기 용매 중에 균일하게 용해되어 있는 용액으로부터 유기 용매를 제거하여 난수용성의 생리 활성 물질과 인 지질을 동시에 석출시켜서 얻어진 난수용성 생리 활성 물질-인 지질 복합체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일본 특허 4524098호 공보에 기재되는 유화 조성물에 관한 기술에서는 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피부로의 자극이 예기된다.
또한, 일본 특허 4341983호 공보에 개시되는 분산 조성물은 고체로부터 반고체상의 왁스의 분산 조성물이기 때문에 외관의 투명성이 낮은 경우가 있고, 유용성 약제의 용해성이 낮을 경우에는 내포할 수 있는 약제량이 적은 경우가 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2007-197328호 공보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유기 용매를 사용하고 있고, 건조 분무하는 공정이 필요한 점에서 제조 설비의 대규모화나 비용 상승이 예기되고, 또한 잔존 용매의 생체로의 안전성에 대해서 검토가 필요한 경우가 있다.
또한, 글리시레틴산 유도체 등의 유용성 약제를 가용화하기 위해서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경우, 피부로의 자극을 고려하면 그 종류나 배합량에 제한이 예기된다. 또한, 그에 따라 배합하는 유분, 향료, 유용성 약제를 포함하는 약제의 종류나 배합량도 제한되는 것이 예기된다.
한편, 유용성 약제를 함유하는 유화 조성물은 화장료 등에 적용했을 경우, 유제 배합에 의한 깊은 감촉이 있는 사용성을 갖는 반면, 유제나 유화제에 의한 끈적임이 강하여 사용 감촉이 뒤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화장료 제제에 적용되는 유화 조성물에는 투명성이 요구되는 경우도 많다. 한편, 유화 조성물의 입자 지름, 유제의 굴절률, 유제의 함유량의 각 요소에 의존해서 유화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제제에 입사한 광이 산란되기 때문에 이들 각 요소가 큰 경우에는 유화 조성물에 탁함이 발생해서 투명성이 손상되어 외관상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유화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제제에 있어서의 탁도를 저감시키는 수단으로서는, 예를 들면 유화 조성물의 입자 지름을 작게 하는 것을 들 수 있지만, 입자 지름을 작게 하기 위해서는 계면활성제의 양을 늘릴 필요가 있기 때문에, 특히 화장료에 적용한 경우에 있어서 피부 자극이나 사용감의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별도의 수단으로서 유화 조성물에 함유되는 유용성 약제의 농도를 낮게 하면 유제량이 적어져 입자 지름을 작게 할 수 있지만, 화장료 제제에 적용했을 경우, 대량의 유화 조성물을 첨가할 필요가 있어 결과적으로는 유제나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이 증가해 버리기 때문에 화장료에서의 피부 자극이나 사용감이 손상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글리시레틴산 유도체 등의 유용성 약제를 고농도로 함유하면서 투명성 및 경시 안정성이 우수한 유화 조성물, 및 유화 조성물을 함유하고, 투명성 및 경시 안정성이 우수하며, 또한 사용감이 우수한 화장료가 요망되고 있지만, 아직 제공되어 있지 않은 것이 현상황이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글리시레틴산 유도체를 고농도로 함유하고, 또한 투명성 및 경시 안정성이 우수한 유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글리시레틴산 유도체를 고농도로 함유하고, 투명성 및 경시 안정성이 우수하며, 또한 사용감이 우수한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은 이하와 같다.
[1] 하기 (A)~(D)의 성분:
(A) 하기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글리시레틴산 유도체,
(B) 토코페롤 및 그 유도체, 및 탄소수 10~18개의 지방산 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유제,
(C) 인 지질, 및
(D) 수용성 계면활성제
를 함유하고, 또한 하기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글리시레틴산 유도체의 함유량이 0.5질량% 이상 10질량% 이하인 유화 조성물.
Figure pct00001
일반식(1) 중, R1 및 R2는 R1이 -C12H25, -C14H29, -C16H33, -C18H37, 또는 -C20H41을 나타내고, 또한 R2가 수소원자를 나타내거나 또는 R1이 수소원자를 나타내고, 또한 R2가 -(C=O)C11H23, -(C=O)C13H27, -(C=O)C15H31, 또는 -(C=O)C17H35를 나타낸다.
[2] [1]에 있어서, (A)성분이 글리시레틴산 스테아릴을 포함하는 유화 조성물.
[3] [1] 또는 [2]에 있어서, (D)성분이 수크로오스 지방산 에스테르 및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유화 조성물.
[4]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B)성분이 아세트산 토코페롤, 토코페롤, 토코트리에놀, 미리스트산 이소프로필, 팔미트산 이소프로필, 세박산 디이소프로필, 카프르산 프로필렌글리콜, 및 디카프르산 프로필렌글리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유화 조성물.
[5]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C)성분이 레시틴을 포함하는 유화 조성물.
[6]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글리시레틴산 유도체의 함유량이 1.0질량% 이상 5.0질량% 이하인 유화 조성물.
[7] [6]에 있어서, (B)성분이 토코페롤, 아세트산 토코페롤, 및 토코트리에놀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유화 조성물.
[8] [6] 또는 [7]에 있어서, (E) 아미노산 에스테르 및 지방산 글리세리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더 포함하는 유화 조성물.
[9] [6]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B)성분 및 (E)성분의 총 함유량이 10질량%~25질량%인 유화 조성물.
[10] [6]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B)성분 및 (E)성분의 총 함유량에 대한 (C)성분의 함유 비율[C/(B+E)]이 질량 기준으로 0.01~0.5인 유화 조성물.
[11]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글리시레틴산 유도체의 함유량이 0.5질량% 이상 1.0질량% 미만인 유화 조성물.
[12] [11]에 있어서, (B)성분이 팔미트산 이소프로필, 세박산 디이소프로필, 카프르산 프로필렌글리콜, 및 디카프르산 프로필렌글리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유화 조성물.
[13] [1]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유화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14] [13]에 있어서, 파장 650㎚의 광을 사용해서 측정한 흡광도가 0.001~0.2인 화장료.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글리시레틴산 유도체를 고농도로 함유하고, 투명성 및 경시 안정성이 우수한 유화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글리시레틴산 유도체를 고농도로 함유하고, 투명성 및 경시 안정성이 우수하고, 사용감이 우수한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을 사용해서 나타내어진 수치 범위는 「~」의 전후에 기재되는 수치를 각각 최소값 및 최대값으로서 포함하는 범위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상」이란 용매의 종류에 관계없이 「유상」에 대한 단어로서 사용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공정」이라는 단어는 독립된 공정뿐만 아니라 다른 공정과 명확히 구별할 수 없을 경우에도 본 공정의 소기의 목적이 달성되면 본 용어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조성물 중의 각 성분의 양은 조성물 중에 각 성분에 해당하는 물질이 복수 존재할 경우에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조성물 중에 존재하는 상기 복수의 물질의 합계량을 의미한다.
[유화 조성물]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은 하기 (A)~(D)의 성분:
(A) 하기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글리시레틴산 유도체(이하, 적당히 「글리시레틴산 유도체」라고 칭한다),
(B) 토코페롤 및 그 유도체, 및 탄소수 10~18개의 지방산 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유제(이하, 적당히 「특정 유제」라고 칭한다),
(C) 인 지질, 및
(D) 수용성 계면활성제
를 함유하고, 또한 하기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글리시레틴산 유도체의 함유량이 0.5질량% 이상 10질량% 이하인 유화 조성물이다.
Figure pct00002
일반식(1) 중, R1 및 R2는 R1이 -C12H25, -C14H29, -C16H33, -C18H37, 또는 -C20H41을 나타내고, 또한 R2가 수소원자를 나타내거나 또는 R1이 수소원자를 나타내고, 또한 R2가 -(C=O)C11H23, -(C=O)C13H27, -(C=O)C15H31, 또는 -(C=O)C17H35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은 상기 구성을 가짐으로써 글리시레틴산 유도체를 0.5질량% 이상 10질량% 이하의 고농도로 함유하면서 투명성 및 경시 안정성이 우수한 것이 된다. 이 때문에 글리시레틴산 유도체에 기대되는 효과를 장기간에 걸쳐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은 수중 유형의 유화 조성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글리시레틴산 유도체는 유용성 물질이며, 유화 조성물에 있어서 유상 성분 중 하나로서 함유된다. 따라서, 글리시레틴산 유도체를 함유하는 유화 조성물에 있어서 그 투명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글리시레틴산 유도체를 용해할 수 있고, 또한 유화 조성물의 투명성을 손상하지 않는 유제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자들은 유화 조성물에 글리시레틴산 유도체를 고농도로 함유시킬 경우에 문제가 되는 투명성 및 경시 안정성이 글리시레틴산 유도체에 대한 용해성 및 굴절률의 관점으로부터 특정 유제를 선택함으로써 얻어진다는 지견을 얻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을 화장료에 적용했을 경우에 문제가 되는 사용감(깊은 감촉이 있으면서 끈적임이 없다)에 대해서도 화장료 중에 함유되는 유제량을 총체적으로 저감함으로써 개선할 수 있다는 지견을 얻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른 것이다.
이하에서는 우선, 유제를 선택하기 위한 조건인 투명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탁도~
본 발명에 있어서는 투명성의 지표로서 탁도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탁도는 물로 소정 배율로 희석하고, 파장 650㎚의 광을 사용해서 25℃에서 측정한 흡광도에 의해 규정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투명성이 높은 유화 조성물의 탁도(흡광도)는 0.001~0.2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5~0.175,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5~0.15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투명성」의 지표가 되는 흡광도(탁도)는 분광 광도계(V-630, JASCO Corporation제)를 사용해서 측정한다.
유화 조성물과 탁도(τ)의 관계는 유화 조성물의 입자 지름(d)이 가시광 파장(λ)보다 작을 경우, 이하의 식 A에 의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ct00003
식 A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탁도(τ)에는 유화 조성물의 입자 지름(d), 유화 조성물의 입자수(n), 및 유제의 상대 굴절률(m)이 기여한다. 여기에서, 유화 조성물의 입자수(n)는 유화 조성물 중의 유제량에 의해 규정된다.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이면 그 탁도는 화장료에 있어서의 유화 조성물의 배합량에 의해 규정된다.
여기에서, 유화 조성물의 입자 지름 및 입자수란 유화 조성물 중의 분산 입자의 입자 지름 및 입자수를 가리킨다.
따라서, 유화 조성물의 투명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탁도를 저감시키는 것이 필요하며, 이것에는 a) 유화 조성물의 입자 지름을 작게 하는 것, b) 유화 조성물의 입자수를 적게 하는 것, 및 c) 유제의 상대 굴절률을 작게 하는 것이 필요해진다.
이하, 탁도를 저감시키기 위한 요소인 유화 조성물의 입자 지름, 입자수, 유제의 상대 굴절률에 대해서 더 설명한다.
·유화 조성물의 입자 지름
식 A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유화 조성물의 입자 지름은 탁도에 대하여 6승에 의존하는 점에서 투명성을 얻기 위해서는 유화 조성물의 입자 지름을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유화 조성물의 입자 지름의 변화에 의해 유화 조성물의 외관은 이하와 같이 변화된다.
즉, 유화 조성물의 입자 지름이 1㎛~10㎛에서는 광이 산란되기 때문에 유화 조성물의 외관은 백색이지만, 입자 지름이 작아짐에 따라 파란색을 띰과 아울러 반투명이 되고, 입자 지름이 더 작아지면 투명이 된다.
유화 조성물의 평균 입자 지름으로서는 50㎚~30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투명성의 관점으로부터 50㎚~200㎚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150㎚의 범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에 있어서 탁도 0.001~0.2의 투명성을 얻기 위해서는 유화 조성물의 평균 입자 지름이 2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 이하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 이하이다.
유화 조성물에 포함되는 분산 입자의 입자 지름은 시판된 입도 분포계 등으로 계측할 수 있다. 입도 분포의 측정법으로서는 광학 현미경법, 다초점 레이저 현미경법, 전자 현미경법, 원자간력 현미경법, 정적 광산란법, 레이저 회절법, 동적 광산란법, 원심 침강법, 전기 펄스 계측법, 크로마토그래피법, 초음파 감쇠법 등이 알려져 있고, 각각의 원리에 대응한 장치가 시판되어 있다.
입경 범위 및 측정의 용이함으로부터 본 발명에 있어서의 분산 입자의 입경 측정에서는 동적 광산란법을 사용한다. 동적 광산란을 사용한 시판된 측정 장치로서는 나노트랙 UPA(Nikkiso Co., Ltd.), 동적 광산란식 입경 분포 측정 장치 LB-550(HORIBA, Ltd.), 농후계 입경 애널라이저 FPAR-1000(Otsuka Electronics Co., Ltd.)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평균 입자 지름은 입경 애널라이저 FPAR-1000(Otsuka Electronics Co., Ltd.)을 사용해서 25℃에서 측정한 값을 채용한다.
[39] ·유화 조성물의 입자수
유화 조성물의 입자수는 유화 조성물 중에 포함되는 분산 입자의 수이다. 입자수는 입자 지름을 일정하게 하면 유화 조성물 중에 분산되어 있는 유량(油量)으로 규정된다. 또한, 화장료에 있어서는 유화 조성물의 배합량에 의해 입자수가 규정된다. 유화 조성물 중에 포함되는 분산 입자수가 증가하면 입자에 의해 산란되는 광도 늘어나기 때문에 탁도는 높아진다.
여기에서, 유량이란 유화 조성물 중에 포함되는 유제의 총량이다.
유화 조성물 중의 유량이 많은 것은 탁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탁도를 낮게 억제하기 위해서는 유화 조성물 중의 유량을 적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화 조성물 중의 유량이 많은 것은 탁도뿐만 아니라, 경시 안정성도 악화시켜 유화 조성물을 화장료에 적용했을 경우에는 사용감의 악화로도 더 연결되기 때문에 유화 조성물 중의 유량은 적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제의 상대 굴절률
굴절률은 물질 중에 있어서의 광이 진행되는 방법의 지표이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유화 조성물에 있어서, 유제[즉, 분산되어 있는 유적(油滴)]의 상대 굴절률은 유화 조성물의 탁도에 기여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유제의 굴절률이라고 할 때에는 20℃에 있어서의 물에 대한 상대 굴절률을 의미한다.
유화 조성물의 굴절률이 높고, 물의 굴절률(20℃)인 1.333으로부터의 굴절률의 차가 클수록 탁도는 커진다. 따라서, 탁도를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굴절률의 저감이 필요하며, 유제의 선택이 중요해진다.
일반적으로 굴절률의 2승은 유전율과 동등하다고 알려져 있고, 유전율이나 극성이 높은 유제일수록 굴절률은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굴절률은 굴절률 측정기(RX-5000α, ATAGO AND CO., LTD.제)를 사용해서 측정한 값을 채용한다.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에 함유되는 필수 성분 및 임의 성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A) 글리시레틴산 유도체>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은 상기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글리시레틴산 유도체를 함유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글리시레틴산 유도체는 유용성 약제로서 함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글리시레틴산 유도체는 상기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것이며, ⅰ) 글리시레틴산의 3위치의 수산기를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또는 에이코사노산으로 에스테르화한 형태, 및 ⅱ) 글리시레틴산의 20위치의 카르복실기를 라우릴알코올, 미리스틸알코올, 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또는 에이코사놀로 에스테르화한 형태의 2형태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글리시레틴산 유도체로서는 일반식(1) 중, R1이 -C16H33, -C18H37, 또는 -C20H41을 나타내고, 또한 R2가 수소원자를 나타내는 글리시레틴산 유도체, 또는 R1이 수소원자를 나타내고, 또한 R2가 -(C=O)C15H31 또는 -(C=O)C17H35를 나타내는 글리시레틴산 유도체가 바람직하고, 또한 R1이 -C18H37이며 또한 R2가 수소원자로 나타내어지는 글리시레틴산 스테아릴이 가장 바람직하다. 글리시레틴산 스테아릴은 CAS No. 13832-70-7의 화합물이며, 지용성 물질이고, 또한 일반적인 유제에 대한 상용성이 낮은 화합물이다.
글리시레틴산 스테아릴은 종래 항염증, 항알레르기제로서 비누, 크림, 유액에 사용되어 있었지만, 기술의 이유로부터 투명성이 높은 유화 조성물에 적용되는 경우는 거의 없었다.
글리시레틴산 스테아릴의 제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감초로부터 추출된 글리시레틴산을 가수분해함으로써 글리시레틴산으로 한 후, 스테아릴알코올과 에스테르화 반응시켜서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에 있어서의 글리시레틴산 유도체의 함유량은 0.5질량% 이상 10질량% 이하이다. 글리시레틴산 유도체에 기대되는 소기의 효과를 충분히 발휘시키기 위해서는 하한값은 0.9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1.5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글리시레틴산 유도체의 함유량의 상한은 화장료로서의 촉감 및 용해성의 관점으로부터는 8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7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에 있어서의 글리시레틴산 유도체의 함유량의 범위는 0.5질량% 이상 10질량% 이하의 범위 내에 있어서 상기한 하한 및 상한을 조합해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에 있어서의 글리시레틴산 유도체의 함유량은 1.0질량% 이상 5.0질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2.0질량% 이상 4.0질량% 이하이다. 글리시레틴산 유도체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임으로써 글리시레틴산 유도체를 고농도로 함유하면서 높은 투명성을 장기간에 걸쳐서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투명성이 높은 유화 조성물을 그 적합한 용도의 하나인 화장료에 적용했을 경우에 있어서는 글리시레틴산 유도체를 고농도로 함유하면서 우수한 경시 안정성이 얻어져 끈적임 등의 사용감의 저하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유제의 함유량이 상대적으로 저감되는 점에서 사용감도 향상시킬 수 있다.
<(B) 특정 유제>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은 토코페롤 및 그 유도체 및 탄소수 10~18개의 지방산 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유제(특정 유제)를 함유한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유화 조성물에 있어서 탁도를 저감하기 위해서 유화 조성물에 포함되는 분산 입자의 입자 지름을 작게 하고, 또한 입자수를 적게 하기 위해서는 물의 굴절률보다 높은 굴절률을 갖는 유제의 함유량을 적게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 적합하게 사용되는 유제로서는 글리시레틴산 유도체를 고농도로 용해할 수 있고, 또한 굴절률이 낮은 유제를 선택하는 것이 필요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특정 유제의 특성은 글리시레틴산 유도체에 대한 용해성과 굴절률의 관계로부터 하기의 유제Ⅰ 및 유제Ⅱ로 크게 구별된다.
유제 I:
글리시레틴산 유도체의 용해성이 우수하지만, 유제Ⅱ보다 굴절률이 높은 유제.
유제Ⅱ:
글리시레틴산 유도체의 용해성은 유제Ⅰ보다 뒤떨어지지만, 굴절률이 낮은 유제.
특정 유제로서 유제Ⅰ를 사용했을 경우에는 글리시레틴산 유도체의 용해성이 높기 때문에 유화 조성물에 있어서의 유제의 함유량을 억제할 수 있는 점에서 탁도의 저감을 기대할 수 있다. 한편, 특정 유제로서 유제Ⅱ를 사용했을 경우에는 유제 자체의 굴절률이 낮기 때문에 탁도의 저감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유제Ⅰ에는 토코페롤 및 그 유도체가 해당되고, 유제Ⅱ에는 탄소수 10~18개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해당된다.
특정 유제인 유제Ⅰ 및 유제Ⅱ는 유화 조성물 중에 어느 한쪽만이 함유되어도 좋고, 쌍방이 병용되어도 좋다. 또한, 유제Ⅰ 또는 유제Ⅱ에 포함되는 화합물은 1종만이 함유되어도 좋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좋다.
글리시레틴산 유도체의 함유량이 1.0질량% 이상 5.0질량% 이하인 경우에는 특정 유제로서 유제Ⅰ로 분류되는 유제만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글리시레틴산 유도체의 함유량이 0.5질량% 이상 1.0질량% 미만인 경우에는 특정 유제로서 유제Ⅱ로 분류되는 유제만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토코페롤 및 그 유도체≫
토코페롤 및 그 유도체는 상기 유제Ⅰ에 포함되는 특정 유제이다. 토코페롤 및 그 유도체는 후술하는 탄소수 10~18개의 지방산 에스테르에 비해 유제로서의 굴절률은 높지만, 글리시레틴산 유도체의 용해성이 매우 높은 유제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토코페롤 및 그 유도체는 토코페롤 및 기본 골격을 토코페롤로 한 유도체를 가리키고, 구체적으로는 토코페롤의 이성체인 α, β, γ, 및 δ토코페롤, 토코페롤이 갖는 OH기가 지방산으로 수식된 아세트산 토코페롤, 기본 골격을 토콜로 하는 토코트리에놀 등을 들 수 있다.
토코페롤 및 그 유도체의 유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구체적으로는 해바라기, 옥수수, 올리브, 유채, 대두, 낙화생, 아몬드이어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토코페롤 및 그 유도체로서는 토코페롤, 아세트산 토코페롤, 또는 토코트리에놀을 보다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토코페롤 및 그 유도체는 단독이어도 2종 이상을 조합시켜도 좋다.
≪탄소수 10~18개의 지방산 에스테르≫
탄소수 10~18개의 지방산 에스테르는 상기 유제Ⅱ에 포함되는 특정 유제이다. 탄소수 10~18개의 지방산 에스테르는 상기 토코페롤 및 그 유도체에 비해 글리시레틴산 유도체의 용해성은 작지만, 굴절률이 낮은 유제이다.
탄소수 10~18개의 지방산 에스테르를 구성하는 지방산으로서는 카프르산, 세박산,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펜타데실산, 팔미트산, 팔미톨레산, 마르가르산, 스테아르산, 올레산, 바크센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엘레오스테아르산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또는 세박산을 들 수 있다. 또한, 지방산에 반응시키는 알코올로서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펜탄올 등의 1가의 알코올, 에틸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등의 다가 알코올을 들 수 있다. 상기 알코올은 직쇄이어도, 분기를 갖고 있어도 상관없다.
탄소수 10~18개의 지방산 에스테르로서는 글리시레틴산 유도체의 용해성 및 굴절률이 낮은 관점으로부터 미리스트산 이소프로필, 팔미트산 이소프로필, 세박산 디이소프로필, 카프르산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디카프르산 프로필렌글리콜이 바람직하고, 미리스트산 이소프로필, 팔미트산 이소프로필, 또는 세박산 디이소프로필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특정 유제는 글리시레틴산 유도체의 함유량이 1.0질량% 이상 5.0질량% 이하일 경우에는 아세트산 토코페롤, 토코페롤, 및 토코트리에놀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특정 유제는 글리시레틴산 유도체의 함유량이 0.5질량% 이상 1.0질량% 미만인 경우에는 미리스트산 이소프로필, 팔미트산 이소프로필, 세박산 디이소프로필, 카프르산 프로필렌글리콜, 및 카프르산 프로필렌글리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에 있어서는 특정 유제인 (B)성분 이외의 다른 유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다른 유제로서는 (B)성분 이외의 유제이면 특별히 한정은 없다. 다른 유제의 예로서 후술하는 (E) 아미노산 에스테르 및 지방산 글리세리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카로티노이드류, 유용성 비타민을 포함하는 라디칼 보충제, 액체의 유지류, 지방산 에스테르, 고급 지방산, 고급 알코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E) 아미노산 에스테르 및 지방산 글리세리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상기 다른 유제 중에서도 글리시레틴산 유도체의 함유량이 1.0질량% 이상 5.0질량% 이하일 경우, 유화 조성물의 투명성 및 경시 안정성의 관점으로부터 (E) 아미노산 에스테르 및 지방산 글리세리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이 (E)성분을 함유할 경우, 1종 또는 2종 이상의 아미노산 에스테르만을 함유해도 좋고, 1종 또는 2종 이상의 지방산 글리세리드만을 함유해도 좋고, 1종 또는 2종 이상의 아미노산 에스테르와 1종 또는 2종 이상의 지방산 글리세리드를 조합해서 함유해도 좋다.
≪아미노산 에스테르≫
아미노산 에스테르로서는 글루탐산 골격을 갖는 에스테르인 라우로일글루탐산 디헥실데실, 라우로일글루탐산 디이소스테아릴, 라우로일글루탐산 디옥틸도데실, 라우로일글루탐산 비스(헥실데실/옥틸도데실), 스테아로일글루탐산 디옥틸도데실, 라우로일글루탐산 디(콜레스테릴/옥틸도데실), 라우로일글루탐산 디(콜레스테릴/베헤닐/옥틸도데실), 라우로일글루탐산 디(피토스테릴/옥틸도데실), 라우로일글루탐산 디(옥틸도데실/피토스테릴/베헤닐), 라우로일글루탐산(피토스테릴/베헤닐/옥틸도데실/이소스테아릴), 라우로일글루탐산 디옥틸도데세스-2, 라우로일글루탐산 디옥틸도데세스-5, 라우로일글루탐산 디스테아레스-2, 또는 라우로일글루탐산 디스테아레스-5가 바람직하고, 라우로일글루탐산 디헥실데실, 라우로일글루탐산 디이소스테아릴, 라우로일글루탐산 디옥틸도데실, 라우로일글루탐산 비스(헥실데실/옥틸도데실), 스테아로일글루탐산 디옥틸도데실, 또는 라우로일글루탐산 디(콜레스테릴/옥틸도데실)이 더욱 바람직하다.
≪지방산 글리세리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지방산 글리세리드로서는 지방산이 글리세롤과 에스테르 결합한 모노, 디, 또는 트리글리세리드이며, 구성하는 지방산 부분이 탄소수 6~18개의 직쇄 또는 분기 지방산으로부터 유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방산 글리세리드로서는 트리에틸헥사노인, 트리카프릴산 글리세릴, 트리카프르산 글리세릴, 트리(카프릴산/카프르산) 글리세릴, 트리라우르산 글리세릴, 트리미리스트산 글리세릴, 트리팔미톨레산 글리세릴, 트리팔미트산 글리세릴, 트리리놀레산 글리세릴, 트리리놀렌산 글리세릴, 트리스테아르산 글리세릴, 트리올레산 글리세릴, 또는 트리이소스테아르산 글리세릴 바람직하다.
상기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 중에서도 유화 조성물의 안정성의 관점으로부터 트리리놀레산 글리세릴, 트리리놀렌산 글리세릴, 트리스테아르산 글리세릴, 트리올레산 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 글리세릴, 트리카프릴산 글리세릴, 트리카프르산 글리세릴, 또는 트리(카프릴산/카프르산) 글리세릴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는 지방산 글리세리드를 포함하는 식물 유지, 동물 유지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동백 기름, 마카다미아 넛 오일, 피마자유, 아보카도유, 달맞이꽃 종자유, 터틀 오일, 밍크 오일, 난황유, 퍼식 오일, 소맥배아유, 사산쿠아 오일, 아마인유, 면실유, 들깨 오일, 다실유, 카야 오일, 쌀겨 기름, 중국 동백 기름, 일본 동백 기름, 호호바 오일, 배아유, 샐러드유, 새플라워 오일(홍화유), 팜유, 코코넛 오일, 낙화생유, 아몬드 오일, 헤이즐넛 오일, 포도유를 들 수 있다.
(B)성분인 특정 유제 및 다른 유제의 총 함유량으로서는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의 탁도를 낮게 억제하고, 또한 유화 조성물을 화장료에 적용했을 때에 화장료 사용감을 향상시키는 관점으로부터 유화 조성물의 총량에 대하여 1질량%~35질량%가 바람직하다.
또한, 글리시레틴산 유도체의 함유량이 1.0질량% 이상 5.0질량% 이하인 경우에 있어서 (B)성분인 특정 유제 및 (E)성분인 다른 유제의 총 함유량으로서는 10질량%~25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15질량%~20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C) 인 지질>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은 인 지질을 함유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인 지질로서는 글리세로인 지질을 들 수 있다. 글리세로인 지질로서는, 예를 들면 포스파티드산, 비스포스파티드산, 레시틴(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포스파티딜메틸에탄올아민, 포스파티딜세린, 포스파티딜이노시톨, 포스파티딜글리세린, 디포스파티딜글리세린(카르디올리핀)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을 포함하는 대두, 옥수수, 낙화생, 유채씨, 보리 등의 식물 유래의 것이나, 난황, 소 등의 동물 유래의 것 및 대장균 등의 미생물 유래 등의 각종 레시틴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글리세로인 지질로서 효소 분해한 글리세로인 지질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레시틴을 효소 분해한 리솔레시틴(효소 분해 레시틴)은 산 또는 알칼리 촉매에 의한 레시틴의 가수분해에 의해 얻어지는 이외에, 포스포리파아제A1 또는 A2를 사용한 레시틴의 가수분해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리솔레시틴으로 대표되는 리소 화합물을 화합물명으로 나타내면 리소포스파티드산, 리소포스파티딜글리세린, 리소포스파티딜이노시톨, 리소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리소포스파티딜메틸에탄올아민, 리소포스파티딜콜린(리솔레시틴), 리소포스파티딜세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인 지질은 단독 또는 복수종의 혼합물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인 지질로서는 유화 조성물의 투명성 및 경시 안정성의 관점으로부터 리솔레시틴 이외의 인 지질이 바람직하고, 정제 레시틴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들의 레시틴을 함유함으로써 유화 조성물의 투명성이 보다 향상되고, 유화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의 투명성 및 경시 안정성 및 사용감에 대해서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에 있어서, 인 지질의 함유량은 조성물 전체의 0.1질량%~1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질량%~8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질량%~4질량%이다. 인 지질의 함유량을 0.1질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유화 조성물의 유화 안정성이 보다 양호해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인 지질의 함유량을 10질량% 이하로 함으로써 과잉한 인 지질이 유성 성분으로부터 멀어져 수중에 인 지질 분산체를 형성하는 일 없이 유화 조성물의 유화 안정성이 얻어지는 점으로부터 바람직하다.
또한, 글리시레틴산 유도체의 함유량이 1.0질량% 이상 5.0질량% 이하인 경우에 있어서, (C)성분인 인 지질의 함유량은 (B)성분인 특정 유제 및 (E)성분인 기타 유제의 총 함유량(B+E)에 대한 함유 비율[C/(B+E)]로서 0.01~0.5가 바람직하고, 0.05~0.25가 보다 바람직하고, 0.07~0.2가 더욱 바람직하다.
<(D) 수용성 계면활성제>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은 수용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수용성 계면활성제는 유화 조성물 중의 유상/수상의 계면 장력을 크게 낮출 수 있고, 그 결과 유화 조성물의 입자 지름을 가늘게 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수용성 계면활성제로서는 경시 안정성의 관점으로부터 HLB 8 이상의 것이 바람직하고, 10 이상의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2 이상의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HLB값의 상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는 20 이하이며, 18 이하가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HLB는 통상 계면활성제의 분야에서 사용되는 친수성-소수성의 밸런스이며, 통상 사용하는 계산식, 예를 들면 가와카미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하기 가와카미식을 채용한다.
HLB=7+11.7log(Mw/Mo)
여기에서, Mw는 친수기의 분자량, Mo는 소수기의 분자량이다.
또한, 카탈로그 등에 기재되어 있는 HLB의 수치를 사용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식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HLB의 가성성을 이용해서 임의의 HLB값의 계면활성제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수용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양이온성, 음이온성, 양성, 비이온성의 각 계면활성제를 들 수 있고,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예로서는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유기산 모노글리세리드,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 축합 리시놀레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수크로오스 지방산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성 계면활성제는 증류 등에 의해로 고도로 정제된 것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고, 반응 혼합물이어도 좋다.
수용성 계면활성제로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수크로오스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가장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수용성 계면활성제는 수크로오스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는 평균 중합도가 2이상(바람직하게는 6~15, 보다 바람직하게는 8~10)인 폴리글리세린과, 탄소수 8~18개의 지방산(예를 들면 카프릴산, 카프르산,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올레산, 및 리놀레산으로부터 선택되는 지방산)의 에스테르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의 바람직한 예로서는 헥사글리세린모노올레산 에스테르, 헥사글리세린모노스테아르산 에스테르, 헥사글리세린모노팔미트산 에스테르, 헥사글리세린모노미리스트산 에스테르, 헥사글리세린모노라우르산 에스테르, 데카글리세린모노올레산 에스테르, 데카글리세린모노스테아르산 에스테르, 데카글리세린모노팔미트산 에스테르, 데카글리세린모노미리스트산 에스테르, 데카글리세린모노라우르산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데카글리세린모노올레산 에스테르(HLB=12), 데카글리세린모노스테아르산 에스테르(HLB=12), 데카글리세린모노팔미트산 에스테르(HLB=13), 데카글리세린모노미리스트산 에스테르(HLB=14), 데카글리세린모노라우르산 에스테르(HLB=16) 등이다. 이들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를 단독 또는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수크로오스 지방산 에스테르로서는 지방산의 탄소수가 12개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2~20개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수크로오스 지방산 에스테르의 바람직한 예로서는 수크로오스디올레산 에스테르, 수크로오스디스테아르산 에스테르, 수크로오스디팔미트산 에스테르, 수크로오스디미리스트산 에스테르, 수크로오스디라우르산 에스테르, 수크로오스모노올레산 에스테르, 수크로오스모노스테아르산 에스테르, 수크로오스모노팔미트산 에스테르, 수크로오스모노미리스트산 에스테르, 수크로오스모노라우르산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에서도 수크로오스모노올레산 에스테르, 수크로오스모노스테아르산 에스테르, 수크로오스모노팔미트산 에스테르, 수크로오스모노미리스트산 에스테르, 수크로오스모노라우르산 에스테르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들의 수크로오스 지방산 에스테르를 단독 또는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로서는 지방산의 탄소수가 8개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2개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의 바람직한 예로서는 모노카프릴산 소르비탄, 모노라우르산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르산 소르비탄, 세스퀴스테아르산 소르비탄, 트리스테아르산 소르비탄, 이소스테아르산 소르비탄, 세스퀴이소스테아르산 소르비탄, 올레산 소르비탄, 세스퀴올레산 소르비탄, 트리올레산 소르비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를 단독 또는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로서는 지방산의 탄소수가 8개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2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옥시에틸렌의 에틸렌옥사이드의 길이(부가 몰수)로서는 2~100이 바람직하고, 4~50이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의 바람직한 예로서는 폴리옥시에틸렌모노카프릴산 소르비탄, 폴리옥시에틸렌모노라우르산 소르비탄, 폴리옥시에틸렌모노스테아르산 소르비탄, 폴리옥시에틸렌세스퀴스테아르산 소르비탄, 폴리옥시에틸렌트리스테아르산 소르비탄, 폴리옥시에틸렌이소스테아르산 소르비탄, 폴리옥시에틸렌세스퀴이소스테아르산 소르비탄, 폴리옥시에틸렌올레산 소르비탄, 폴리옥시에틸렌세스퀴올레산 소르비탄, 폴리옥시에틸렌트리올레산 소르비탄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계면활성제는 단독 또는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수용성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은 유화 조성물의 전체량에 대하여 0.5질량%~30질량%가 바람직하고, 1질량%~2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2질량%~15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수용성 계면활성제량을 0.5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은 소정량의 글리시레틴산 유도체의 용해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유상/수상 간의 계면 장력을 낮추기 쉬운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30질량% 이하로 하는 것은 계면활성제를 과잉량으로 하는 일 없이 유화 조성물의 거품 등이 발생하기 어려운 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은 상술한 성분(A)~(D)을 포함한다.
성분(A)~(D)의 바람직한 조합은 성분(A)이 글리시레틴산 스테아릴이며, 성분(B)이 토코페롤 및 그 유도체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며, 성분(C)이 레시틴이며, 성분(D)이 수크로오스 지방산 에스테르 및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다.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은 성분(A)의 글리시레틴산 유도체의 함유량이 1.0질량% 이상 5.0질량% 이하일 때, 성분(E)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이 성분(E)을 포함할 경우, 성분(A)~성분(E)의 바람직한 조합은 성분(A)이 글리시레틴산 스테아릴이며, 성분(B)이 토코페롤 및 그 유도체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며, 성분(C)이 레시틴이며, 성분(D)이 수크로오스 지방산 에스테르 및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며, 성분(E)이 아미노산 에스테르 및 지방산 글리세리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조합이다.
보다 바람직한 조합은 성분(A)이 글리시레틴산 스테아릴이며, 성분(B)이 토코페롤, 토코트리에놀, 및 아세트산 토코페롤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며, 성분(C)이 정제 레시틴이며, 성분(D)이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이며, 성분(E)이 아미노산 에스테르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조합이다.
성분(A)~성분(E)을 상기와 같이 조합했을 경우에 한층 더 투명성 및 경시 안정성이 우수하고, 또한 화장료에 배합했을 때에 사용감이 매우 우수한 유화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다가 알코올>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은 투명성, 경시 안정성, 및 방부성의 관점으로부터 다가 알코올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가 알코올은 보습 기능이나 점도 조정 기능 등을 갖고 있다. 또한, 다가 알코올은 물과 유지 성분의 계면 장력을 저하시켜 계면을 넓기 쉽게 하고, 미세하며, 또한 안정된 미립자를 형성하기 쉽게 하는 기능도 갖고 있다. 이상으로부터 유화 조성물이 다가 알코올을 함유하는 것은 유화 입자 지름을 보다 미세화할 수 있고, 또한 입자 지름이 미세한 입자 지름의 상태인 채로 장기에 걸쳐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는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다. 또한, 다가 알코올의 첨가에 의해 유화 조성물의 수분 활성을 낮출 수 있어 미생물의 번식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다가 알코올로서는 2가 이상의 알코올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다가 알코올로서는, 예를 들면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트리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3-메틸-1,3-부탄디올, 1,3-부틸렌글리콜, 이소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1,2-펜탄디올, 1,2-헥산디올,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다가 알코올을 단독 또는 복수종의 혼합물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다가 알코올로서는 그 1분자 중에 있어서의 수산기의 수가 3개 이상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수성 매체와 유성 성분의 계면 장력을 보다 효과적으로 저하시킬 수 있고, 보다 미세하며, 또한 안정된 유화 조성물을 형성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을 화장료에 적용했을 경우에 있어서 경피 흡수성을 보다 높은 것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조건을 만족하는 다가 알코올 중에서도, 특히 글리세린을 사용했을 경우, 유화 조성물의 입자 지름이 보다 작아지고, 또한 입자 지름이 작은 채 장기에 걸쳐 안정되게 유지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다가 알코올의 함유량은 유화 조성물이 나타내는 투명성, 경시 안정성, 및 방부성에 추가해서 유화 조성물의 점도의 관점으로부터 조성물의 전체량에 대하여 10질량%~60질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질량%~55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0질량%~50질량%이다.
다가 알코올의 함유량이 10질량% 이상이면 유성 성분의 종류나 함유량 등에 의해서도 충분한 보존 안정성이 얻어지기 쉬운 점에서 바람직하다. 한편, 다가 알코올의 함유량이 60질량% 이하이면 최대한의 효과가 얻어지고, 유화 조성물의 점도가 높아지는 것을 억제하기 쉬운 점에서 바람직하다.
<기타 첨가 성분>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에는 상기 성분 이외에 식품, 화장품 등의 분야에 있어서 통상 사용되는 첨가 성분을 그 형태에 따라서 적당히 함유시켜도 좋다.
다른 첨가 성분은 그 특성에 따라 유용성 또는 수용성의 첨가 성분으로서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에 함유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기타 첨가 성분으로서는 글루코오스, 수크로오스, 카파 카라기난, 로커스트빈검, 구아검, 히드록시프로필구아검, 크산탄검, 카라야검, 타마린드 종자 다당, 아라비아검, 트래거캔스검, 히알루론산, 히알루론산 나트륨, 콘드로이틴황산 나트륨, 덱스트린 등의 단당류 또는 다당류; 소르비톨, 만니톨, 말티톨, 락토스, 말토트리이톨, 자일리톨 등의 당 알코올; 염화나트륨, 황산 나트륨 등의 무기염; 카제인, 알부민, 메틸화 콜라겐, 가수분해 콜라겐, 수용성 콜라겐, 젤라틴 등의 분자량 5000초과 단백질; 글리신, 알라닌, 발린, 류신, 이소류신, 세린, 트레오닌,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시스틴, 메티오닌, 라이신, 히드록시라이신, 아르기닌, 히스티딘, 페닐알라닌, 티로신, 트립토판, 프롤린, 히드록시프롤린, 아세틸히드록시프롤린 등의 아미노산 및 그들의 유도체;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에틸렌글리콜, 산화에틸렌·산화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등의 합성 고분자;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메틸셀룰로오스 등의 수용성 셀룰로오스 유도체; 플라보노이드류(카테킨, 안토시아닌, 플라본, 이소플라본, 플라반, 플라바논, 루틴), 아스코르브산 또는 그 유도체(아스코르브산, 아스코르브산 나트륨, 아스코르브산 칼륨, 아스코르브산 칼슘, L-아스코르브산 인산 에스테르, 인산 아스코르빌마그네슘, 인산 아스코르빌나트륨, 황산 아스코르빌, 황산 아스코르빌 2나트륨염, 및 아스코르빌-2-글루코시드 등), 토코트리에놀 및 그 유도체, 페놀산류(클로로겐산, 엘라그산, 갈산, 갈산 프로필), 리그난류, 커큐민류, 쿠마린류, 프테로스틸벤 등을 포함하는 히드록시스틸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첨가 성분은 그 기능에 의거하여, 예를 들면 기능성 성분, 부형제, 점도 조정제, 라디칼 포착제 등으로서 포함되어도 좋다.
그 외, 본 발명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여러 가지 약효 성분, pH 조정제, pH 완충제,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향료, 착색제 등, 통상 그 용도에 사용되는 다른 첨가물을 병용할 수 있다.
<용도>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은 화장료 용도 등에 적용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로서는 화장수, 미용액, 유액, 크림 팩·마스크, 팩, 세발용 화장품, 향수 화장품, 액체 보디 세정료, UV 케어 화장품, 방취 화장품, 오랄 케어 화장품 등(화장품의 경우) 등의 화장료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은 투명성이 요구되는 수성의 화장료에 특히 적합하게 적용된다.
화장수, 미용액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투명성을 갖는 것이 요구되고, 그 경시 변화 후에도 투명한 것이 요구된다. 여기에서 말하는 「투명성」이란 기술한 탁도를 지표로 하는 것이며, 파장 650㎚의 광을 사용해서 25℃에서 측정한 흡광도에 의해 규정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 있어서의 「투명성」의 지표가 되는 흡광도(탁도)는 기술의 분광 광도계를 사용해서 측정한다.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을 적용해서 이루어지는 화장료의 적합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을 포함하고, 또한 파장 650㎚의 광을 사용해서 측정한 흡광도(탁도)가 0.001~0.2인 화장료(본 발명의 화장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광도(탁도)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0.175,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1~0.15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글리시레틴산 유도체의 함유에 기대되는 효과의 관점으로부터 화장료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글리시레틴산 유도체를 0.01질량%~0.5질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투명성 및 경시 안정성의 관점으로부터는 본 발명의 화장료는 수소 첨가되어 있지 않은 인 지질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장료에 있어서의 탁도를 억제하는 관점으로부터 화장료에 배합되는 유화 조성물의 양을 적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점으로부터 본 발명의 화장료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의 배합량이 화장료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1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질량%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2질량% 이하이다.
[유화 조성물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수성 매체에 수용성 계면활성제를 용해시켜서 수상을 얻는 것, b) 특정 유제, 인 지질, 및 소망에 의해 함유되는 다른 유제를 혼합 또는 용해해서 유상을 얻는 것, c) 교반 하에서 수상과 유상을 혼합해서 유화 분산을 행하여 유화 조성물을 얻는 것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이 바람직하다.
유화 분산에 있어서의 유상과 수상의 비율(질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유상/수상 비율(질량%)로서 0.1/99.9~50/50이 바람직하고, 0.5/99.5~30/70이 보다 바람직하고, 1/99~20/80이 더욱 바람직하다. 유상/수상 비율을 0.1/99.9 이상으로 함으로써 유효 성분이 낮아지지 않기 때문에 유화 조성물의 실용상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경향이 되어 바람직하다. 또한, 유상/수상 비율을 50/50 이하로 함으로써 계면활성제 농도가 흐려지는 일 없이 유화 조성물의 경시 안정성이 유지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유화 분산은 1스텝의 유화 조작을 행해도 좋지만, 2스텝 이상의 유화 조작을 행하는 것이 균일하며 미세한 유화 입자를 얻는 점으로부터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전단 작용을 이용하는 통상의 유화 장치(예를 들면, 스터러나 임펠러 교반, 호모 믹서, 연속 유통식 전단 장치 등)를 사용해서 유화한다는 1스텝의 유화 조작에 추가해서 고압 호모지나이저, 초음파 분산기 등을 통해서 유화하는 등의 방법에 의해 2종 이상의 유화 장치를 병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고압 호모지나이저를 사용함으로써 유화물을 더욱 균일한 미립자의 액적에 일치시킬 수 있다. 또한, 더욱 균일한 입자 지름의 액적으로 할 목적으로 복수회 행해도 좋다.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은 적당히 pH 조정제를 사용할 수 있다. pH 조정제에 의해 조정된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의 pH 값은 4~1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pH 조정제는 유화 조성물을 조제하기 전 및 후 중 어디에 사용해도 좋다. pH의 변동폭을 작게 해서 보다 완화된 조건으로 pH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한 점으로부터 pH 조정제는 유화 조성물의 조제 전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때에는 pH 조정제는 유화 조성물을 조제하기 전의 수상 조성물 및 유상 조성물 중 어디에 첨가해도 좋다.
pH 조정제로서는 무기산, 유기산, 무기 염기 및 그들의 염을 사용해도 좋고, 구체적으로는 시트르산, 글루콘산, 카르복실산, 타르타르산, 숙신산, 아세트산 또는 프탈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모르폴리노에탄술폰산, 2-[4-(2-히드록시에틸)-1-피페라디닐]에탄술폰산과 같은 유기산과 그 염; 트리스(히드록시메틸), 아미노메탄, 암모니아와 같은 유기 염기; 염산, 과염소산, 탄산과 같은 무기산과 그 염; 인산 나트륨, 인산 칼륨, 수산화칼슘,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마그네슘과 같은 무기 염기; 인산수소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과 같은 무기 수소염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 및 필요에 따라서 첨가할 수 있는 성분을 스터러나 임펠러 교반, 호모 믹서 등을 사용하여 혼합하는 등 해서 얻을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그들에 조금도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유화 조성물의 조제와 평가
[실시예 1-1]
<유화 조성물(EM-1)의 조제>
하기 성분을 70℃에서 가열하면서 1시간 용해해서 수상 조성물을 얻었다.
·수크로오스모노스테아르산 에스테르(HLB=16) 9.3g
·모노올레산 데카글리세릴(HLB=12) 18.9g
·글리세린 125.97g
·순수 83.97g
또한, 하기 성분을 70℃에서 가열하면서 1시간 용해해서 유상 조성물을 얻었다.
·글리시레틴산 스테아릴 2.76g
·토코페롤 27.81g
·트리(카프릴산/카프르산) 글리세릴 27.69g
·정제 레시틴(대두 유래) 3.6g
수상 조성물을 교반한 상태로 유지하면서 유상 조성물을 첨가한 후 고압 호모지나이저를 사용해서 4분간 분산함으로써 예비 유화물을 얻었다.
이어서, 얻어진 예비 유화물을 약 60℃까지 냉각하고, 알티마이저 HJP-25005(Sugino Machine Limited제)를 사용해서 245㎫의 압력으로 고압 유화를 행했다.
그 후, 얻어진 유화 조성물을 평균 구멍 지름 1㎛의 마이크로필터로 여과하고, 80℃에서 30분 가열 멸균함으로써 글리시레틴산 유도체 함유 유화 조성물 EM-1을 조제했다.
또한, 수상 조성물 및 유상 조성물의 조제에 사용한 각 성분의 상세는 후술한 바와 같다.
[실시예 1-2~1-30, 비교예 1-1~1-5]
실시예 1에 있어서 글리시레틴산 유도체 함유 유화 조성물 EM-1의 조제에 사용한 각 성분의 종류 및 양을 하기 표 1~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경한 이외에는 모두 실시예 1-1과 마찬가지로 해서 실시예 1-2~1-30 및 비교예 1-1~1-5의 글리시레틴산 유도체 함유 유화 조성물 EM-2~EM-35를 얻었다.
또한, 비교예 1-1의 글리시레틴산 유도체 함유 유화 조성물 EM-11은 글리시레틴산 유도체의 함유량이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에 있어서의 글리시레틴산 유도체의 함유량의 하한값보다 적은 유화 조성물이다.
[유화 조성물의 평가]
상기에서 얻어진 각 글리시레틴산 유도체 함유 유화 조성물의 평가를 초기 탁도, 경시 안정성의 평가를 행했다. 상세는 이하와 같다.
1-1. 초기 탁도의 평가
각 글리시레틴산 유도체 함유 유화 조성물(EM-1~EM-35) 0.1g을 각각 9.9g의 순수에 첨가하고, 마그네틱 스터러를 사용해서 10분간 교반을 행하여 물 희석액을 얻었다.
얻어진 각 유화 조성물의 물 희석액을 사용하고, 탁도의 지표로서 650㎚에 있어서의 흡광도를 분광 광도계(V-630, JASCO Corporation제)를 사용하여 25℃에서 측정해서 하기 평가 기준에 의거하여 초기 탁도를 평가했다.
-평가 기준-
S: 0.1 이하
A: 0.1보다 크고 0.15 이하
B: 0.15보다 크고 0.2 이하
C: 0.2보다 크다
1-2.경시 안정성 평가
경시 안정성의 평가(투명성의 지속성)는 각 글리시레틴산 유도체 함유 유화 조성물을 4℃에서 1년간 경시시킨 후에 있어서의 흡광도를 초기 탁도와 마찬가지로 해서 측정하고, 조정 직후의 초기 탁도로부터의 흡광도의 변화율 A(%)를 하기 식에 의거하여 구하고, 하기 기준으로 평가했다.
변화율 A(%)=4℃에서 1년간 경시시킨 후의 흡광도/조제 직후의 흡광도×100
변화율 A(%)가 100%에 가까울수록 유화 조성물은 경시 안정성이 우수한 것을 나타낸다.
-평가 기준-
S: 120% 미만
A: 120% 이상 150% 미만
B: 150% 이상 200% 미만
C: 200% 이상
이상의 결과를 하기 표 1~표 4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상기 표 1~표 4에 나타내어지는 각 성분의 상세는 이하와 같다.
수크로오스모노스테아르산 에스테르는 Mitsubishi-Kagaku Foods Corporation제 RYOTO Sugar Ester S-1670(HLB=16)을 사용했다.
모노올레산 데카글리세릴(별명 데카글리세린모노올레산 에스테르), 모노미리스트산 데카글리세릴(별명 데카글리세린모노미리스트산 에스테르)은 각각 Nikko Chemicals Co., Ltd.제 NIKKOL Decaglyn 1-O(HLB=12), NIKKOL Decaglyn 1-M(HLB=14)을 사용했다.
토코페롤은 RIKEN VITAMIN CO., LTD.제의 RIKEN E oil 800을 사용했다.
아세트산 토코페롤은 BASF사의 비타민 E 아세테이트를 사용했다.
미리스트산 이소프로필, 팔미틴이소프로필, 세박산 디이소프로필, 카프르산 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르산 프로필렌글리콜은 각각 Nikko Chemicals Co., Ltd.제NIKKOL-IPM-100, IPP, DIS, Sefsol-218, Sefsol-228을 사용했다.
트리(카프릴산/카프르산) 글리세릴은 Kao Corporation의 COCONAD MT를 사용했다.
이소스테아르산, 이소스테아릴알코올은 각각 KOKYU ALCOHOL KOGYO CO., LTD.의 이소스테아르산 EX, 이소스테아릴알코올 EX 레시틴을 사용했다.
디오네오펜탄산 디메틸펜탄디올은 NIPPON FINE CHEMICAL CO., LTD.의 Neosolue-MP를 사용했다.
정제 레시틴(SLP-화이트), 조제 레시틴(SLP-페이스트), 리솔레시틴(화이트리조), 수첨 레시틴(SLP-화이트H). 각각, Tsuji Oil Mills CO., LTd.제(대두 유래)를 사용했다.
2. 화장료의 조제와 평가
이어서, 상기에서 조제한 글리시레틴산 유도체 함유 유화 조성물을 사용해서 화장료의 예로서 화장수 및 겔상 화장료를 조제하고, 투명성, 안정성, 사용감을 평가했다.
[실시예 2-1~2-16, 비교예 2-1~2-2]
<화장수의 조제>
상기에서 얻어진 글리시레틴산 유도체 함유 유화 조성물 중 표 5 또는 표 6에 기재되는 유화 조성물을 사용하여 글리시레틴산 유도체의 함유량이 0.01~0.5질량%가 되도록 하기에 의해 조제한 화장수제제 모의액으로 희석하고, 마그네틱 스터러를 사용해서 10분간 교반을 행하여 평가용 시료를 조제했다.
각 실시예의 화장수에 있어서의 글리시레틴산 유도체의 함유량은 표 5또는 표 6에 기재되는 바와 같다.
-화장수제제 모의액의 조제-
화장수제제 모의액은 10mM 시트르산 버퍼 수용액(pH7)에 화장수에 있어서의 함유량이 표 5 또는 표 6에 나타내는 양이 되도록 다가 알코올: 1,3부틸렌글리콜(BG) 10질량%, 방부제: 페녹시에탄올 0.3질량%를 첨가하여 혼합함으로써 조제했다.
[실시예 2-17~2-21]
<겔상 화장료의 조제>
다가 알코올: 1,3부틸렌글리콜(BG), 글리세린, 및 방부제: 페녹시에탄올을 용해시킨 정제수에 증점제: 카르복시비닐폴리머 및 아크릴산·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분산시켜서 이루어지는 겔제제 모의액을 조제했다. 그 후, 상기에서 얻어진 글리시레틴산 유도체 함유 유화 조성물 중 표 7에 기재되는 유화 조성물을 사용하여 글리시레틴산 유도체의 함유량이 0. 05질량%가 되도록 겔제제 모의액에 첨가해서 교반하고, pH 조정제: NaOH로 pH 조제(pH: 6.0)를 행함으로써 겔상 화장료를 제작했다.
[평가]
상기에서 얻어진 각 화장수 및 겔상 화장료를 사용하고, 초기 탁도, 경시 안정성의 평가를 행했다. 또한, 전용 패널을 사용해서 화장료로서의 사용감의 평가를 행했다. 상세는 이하와 같다.
2-1. 초기 탁도의 평가
상기에서 얻어진 각 화장수 및 겔상 화장료를 사용하고, 탁도의 지표로서 650㎚에 있어서의 흡광도를 분광 광도계(U-3310, Hitachi, Ltd.제)를 사용해서 25℃에서 측정하고, 하기 평가 기준에 의거하여 초기 탁도를 평가했다.
-평가 기준-
S: 0.1 이하
A: 0.1보다 크고 0.15 이하
B: 0.15보다 크고 0.2 이하
C: 0.2보다 크다
2-2. 경시 안정성 평가
경시 안정성의 평가(화장료에 있어서의 투명성의 지속성)는 상기에서 얻어진 각 화장수 및 겔상 화장료에 대해서 조제 직후 및 40℃의 조건 하에서 경시시킨 후의 탁도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평가했다.
탁도 변화는 40℃에서 2주간 경시시킨 후의 화장수 또는 겔상 화장료에 대해서 파장 650㎚의 광에 대한 흡광도를 초기 탁도와 마찬가지로 해서 측정하고, 조정 직후의 초기 탁도로부터의 흡광도의 변화율 B(%)를 하기 식에 의거하여 구하고, 하기 기준으로 평가했다.
변화율 B(%)=40℃에서 2주간 경시시킨 후의 흡광도/조제 직후의 흡광도×100
변화율 B(%)가 100%에 가까울수록 화장료는 경시 안정성이 우수한 것을 나타낸다.
-평가 기준-
S: 120% 미만
A: 120% 이상 150% 미만
B: 150% 이상 200% 미만
C: 200% 이상
2-3. 사용감의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의 화장수 및 겔상 화장료에 대해서 전문 패널 10명에 의해 사용감(깊은 감촉, 끈적임이 없음)의 양부를 하기의 평가 기준에 의해 평가했다.
-평가 기준-
S: 10명 중 7명 이상이 「좋다」라고 대답했다
A: 10명 중 5~6명이 「좋다」라고 대답했다
B: 10명 중3~4명이 「좋다」라고 대답했다
C: 10명 중 2명 이하가 「좋다」라고 대답했다
이상의 평가 결과를 화장수에 대해서는 표 5~표 6에 겔상 화장료에 대해서는 표 7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8
Figure pct00009
Figure pct00010
표 1~표 4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실시예의 유화 조성물은 글리시레틴산 유도체를 고농도로 함유하면서 높은 투명성을 갖고, 경시 안정성이 우수한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표 5~표 7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실시예의 유화 조성물을 사용해서 이루어지는 화장료는 글리시레틴산 유도체를 고농도로 함유하면서 높은 투명성을 갖고, 경시 안정성이 우수하고, 또한 사용감(깊은 감촉, 끈적임이 없음)도 양호한 것이 확인되었다.
일본 출원 2012-066379의 개시는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도입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모든 문헌, 일본 특허 출원, 및 기술 규격은 각각의 문헌, 일본 특허 출원, 및 기술 규격이 참조에 의해 도입되는 것이 구체적이며 또한 각각에 기재된 경우와 동 정도로 본 명세서 중에 참조에 의해 도입된다.

Claims (14)

  1. 하기 (A)~(D)의 성분:
    (A) 하기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글리시레틴산 유도체,
    (B) 토코페롤 및 그 유도체, 및 탄소수 10~18개의 지방산 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유제,
    (C) 인 지질, 및
    (D) 수용성 계면활성제
    를 함유하고, 또한 하기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글리시레틴산 유도체의 함유량이 0.5질량% 이상 10질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 조성물.
    Figure pct00011

    [일반식(1) 중, R1 및 R2는 R1이 -C12H25, -C14H29, -C16H33, -C18H37, 또는 -C20H41을 나타내고, 또한 R2가 수소원자를 나타내거나 또는 R1이 수소원자를 나타내고, 또한 R2가 -(C=O)C11H23, -(C=O)C13H27, -(C=O)C15H31, 또는 -(C=O)C17H35를 나타낸다]
  2. 제 1 항에 있어서,
    (A)성분은 글리시레틴산 스테아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D)성분은 수크로오스 지방산 에스테르 및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B)성분은 토코페롤, 아세트산 토코페롤, 토코트리에놀, 미리스트산 이소프로필, 팔미트산 이소프로필, 세박산 디이소프로필, 카프르산 프로필렌글리콜, 및 디카프르산 프로필렌글리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C)성분은 레시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글리시레틴산 유도체의 함유량은 1.0질량% 이상 5.0질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 조성물.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B)성분은 토코페롤, 아세트산 토코페롤, 및 토코트리에놀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 조성물.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E) 아미노산 에스테르 및 지방산 글리세리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 조성물.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B)성분 및 (E)성분의 총 함유량은 10질량%~25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 조성물.
  10. 제 6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B)성분 및 (E)성분의 총 함유량에 대한 (C)성분의 함유 비율[C/(B+E)]은 질량 기준으로 0.01~0.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 조성물.
  11.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글리시레틴산 유도체의 함유량은 0.5질량% 이상 1.0질량%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 조성물.
  12. 제 11 항에 있어서,
    (B)성분은 팔미트산 이소프로필, 세박산 디이소프로필, 카프르산 프로필렌글리콜, 및 디카프르산 프로필렌글리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 조성물.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화 조성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14. 제 13 항에 있어서,
    파장 650㎚의 광을 사용해서 측정한 흡광도는 0.001~0.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KR1020147024506A 2012-03-22 2013-03-19 투명성이 높은 유화 조성물 및 투명성이 높은 화장료 KR1016297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66379 2012-03-22
JP2012066379 2012-03-22
PCT/JP2013/057901 WO2013141263A1 (ja) 2012-03-22 2013-03-19 透明性の高い乳化組成物及び透明性の高い化粧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3984A true KR20140123984A (ko) 2014-10-23
KR101629778B1 KR101629778B1 (ko) 2016-06-13

Family

ID=49222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4506A KR101629778B1 (ko) 2012-03-22 2013-03-19 투명성이 높은 유화 조성물 및 투명성이 높은 화장료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829264B1 (ko)
JP (1) JP5918163B2 (ko)
KR (1) KR101629778B1 (ko)
CN (1) CN104203205B (ko)
WO (1) WO201314126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7771A (ko) * 2016-04-14 2017-10-2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페녹시에탄올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34978B1 (ko) * 2021-06-17 2021-12-03 여명바이오켐 주식회사 고체촉매를 이용한 라우로일 글루탐산 유도체 합성방법 및 라우로일 글루탐산 유도체 함유 화장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20653B2 (ja) * 2013-04-12 2017-04-2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乳化組成物及び化粧料
JP6403375B2 (ja) * 2013-11-08 2018-10-10 ホーユー株式会社 非酸化染毛2剤型染毛剤
CN105686968B (zh) * 2014-12-11 2020-09-22 花王株式会社 皮肤化妆品以及皮肤护理方法
JP6342366B2 (ja) * 2015-06-30 2018-06-13 花王株式会社 透明性化粧料
DE102016205332A1 (de) * 2016-03-31 2017-10-05 Henkel Ag & Co. Kgaa Schweißhemmende und/oder deodorierende kosmetische Mittel mit geringem Emulgatorgehalt
JP6522033B2 (ja) * 2017-03-27 2019-05-2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乳化組成物
US10600402B2 (en) * 2017-05-18 2020-03-24 Elwha Llc Systems and methods for acoustic mode conversion
KR102395902B1 (ko) * 2017-11-17 2022-05-09 (주)아모레퍼시픽 투명한 화장료 조성물
JP7163261B2 (ja) * 2019-09-27 2022-10-3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水中油型乳化組成物、及び皮膚外用剤
WO2023159476A1 (en) * 2022-02-25 2023-08-31 L'oreal Composition for caring for keratin material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7866A (ja) * 1998-12-28 2000-09-12 Lion Corp 皮膚外用剤
JP2008115111A (ja) * 2006-11-06 2008-05-22 Pola Chem Ind Inc 乳化剤形の化粧料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16792B2 (ja) * 1995-12-25 2004-04-05 ライオン株式会社 皮膚外用剤
JPH11302155A (ja) * 1998-04-24 1999-11-02 La Shinshia Kk アトピー性皮膚炎のための皮膚外用剤
JP2001354518A (ja) * 2000-06-09 2001-12-25 Lion Corp 皮膚外用剤
JP2002212087A (ja) * 2001-01-22 2002-07-31 Kose Corp 皮膚外用剤
JP2003104886A (ja) * 2001-09-28 2003-04-09 Lion Corp 皮膚外用剤組成物
JP2003335627A (ja) * 2002-03-14 2003-11-25 Lion Corp 化粧料含浸シート
JP2003300853A (ja) * 2002-04-05 2003-10-21 Lion Corp 皮膚外用剤組成物
ITMI20020756A1 (it) * 2002-04-09 2003-10-09 Sinclair Pharma S R L Composizioni farmaceutiche topiche per il trattamento delle dermatiti
JP4549006B2 (ja) * 2002-05-07 2010-09-22 ロート製薬株式会社 ゲル軟膏
ITRM20030204A1 (it) * 2003-04-29 2004-10-30 Provincia Italiana Della Congregazi One Dei Figli Formulazione dermatologica.
JP2004346039A (ja) * 2003-05-23 2004-12-09 Treasure Jp Inc 乳化組成物
JP4524098B2 (ja) * 2003-12-18 2010-08-11 日光ケミカルズ株式会社 水中油型用の乳化剤組成物、及び該組成物を含有する化粧料
JP2005220084A (ja) * 2004-02-06 2005-08-18 Kose Corp アセロラ種子抽出物含有組成物
JP2005314254A (ja) * 2004-04-28 2005-11-10 Pola Chem Ind Inc 医薬部外品に好適な皮膚外用剤
JP4368250B2 (ja) * 2004-06-09 2009-11-18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ポスト・フォーム剤形の温感化粧料
JP2007126444A (ja) * 2005-10-03 2007-05-24 Kose Corp 皮膚外用剤
JP5089887B2 (ja) 2006-01-23 2012-12-05 日本精化株式会社 生理活性物質含有複合体
JP4341983B2 (ja) 2007-12-07 2009-10-14 株式会社資生堂 皮膚外用剤
JP5052558B2 (ja) * 2009-04-03 2012-10-17 ロート製薬株式会社 ゲル軟膏
DE102010041352A1 (de) 2010-09-24 2012-03-29 Hilti Aktiengesellschaft Handgeführtes Elektrowerkzeuggerät mit einem Absaugadapter
JP6348253B2 (ja) * 2012-01-27 2018-06-27 株式会社コーセー グリチルレチン酸ステアリル配合乳化組成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7866A (ja) * 1998-12-28 2000-09-12 Lion Corp 皮膚外用剤
JP2008115111A (ja) * 2006-11-06 2008-05-22 Pola Chem Ind Inc 乳化剤形の化粧料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7771A (ko) * 2016-04-14 2017-10-2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페녹시에탄올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34978B1 (ko) * 2021-06-17 2021-12-03 여명바이오켐 주식회사 고체촉매를 이용한 라우로일 글루탐산 유도체 합성방법 및 라우로일 글루탐산 유도체 함유 화장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41263A1 (ja) 2013-09-26
EP2829264A4 (en) 2015-09-09
EP2829264A1 (en) 2015-01-28
KR101629778B1 (ko) 2016-06-13
JP5918163B2 (ja) 2016-05-18
CN104203205B (zh) 2017-06-23
EP2829264B1 (en) 2018-02-14
JP2013224290A (ja) 2013-10-31
CN104203205A (zh) 2014-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9778B1 (ko) 투명성이 높은 유화 조성물 및 투명성이 높은 화장료
KR101154693B1 (ko) 크림상 o/w형 유화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CN105101941B (zh) 水包油型乳液组合物
KR101868726B1 (ko) 세라마이드 분산 조성물의 제조 방법
CN104755071A (zh) 皮肤外用剂
JP5889220B2 (ja) 水性分散組成物
JP6120653B2 (ja) 乳化組成物及び化粧料
JP6005018B2 (ja) 化粧料及びグリチルレチン酸誘導体含有乳化組成物
EP2520273B1 (en) Cosmetic preparation
CN104936577B (zh) 水包油型乳液组合物及其用途
JP6815497B2 (ja) 自己乳化性を有する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ナノエマルション、及びその製造方法
JP5306675B2 (ja) ショ糖脂肪酸エステル及び水中油型乳化組成物用乳化剤
JP7163261B2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及び皮膚外用剤
JP5706223B2 (ja) W/o/w型乳化組成物
JP2013082643A (ja) O/w型エマルジョン
KR101929932B1 (ko) 보습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24021930A (ja) 乳化組成物及び化粧料
JP6522033B2 (ja) 乳化組成物
JP2748962B2 (ja) 親水性ゲル状組成物および水中油型乳化組成物
JP2024021931A (ja) 乳化組成物及び化粧料
JP5306676B2 (ja) ショ糖脂肪酸エステル及び水中油型乳化組成物用乳化剤
JP2007169174A (ja) O/w型乳化組成物
JP2022084415A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
CN105168033B (zh) 含熔岩海水的纳米磷脂质脂质体化妆品及其制备方法
JP2002226319A (ja) 皮膚外用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