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9932B1 - 보습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보습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9932B1
KR101929932B1 KR1020160172329A KR20160172329A KR101929932B1 KR 101929932 B1 KR101929932 B1 KR 101929932B1 KR 1020160172329 A KR1020160172329 A KR 1020160172329A KR 20160172329 A KR20160172329 A KR 20160172329A KR 101929932 B1 KR101929932 B1 KR 101929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hemical formula
cosmetic composition
weight
fatty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2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0075A (ko
Inventor
김진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크로파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크로파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크로파세
Priority to KR1020160172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9932B1/ko
Publication of KR20180070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0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9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99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8Sphingolipids, e.g. ceramides, cerebrosides, ganglios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5Ketones, e.g. benzophenone
    • A61K8/355Quin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1Vitamin A; Derivatives thereof, e.g. ester of vitamin A acid, ester of retinol, retinol, retin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6Ascorbic acid, i.e. vitamin 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넓은 온도 범위에서 가시광선의 빛을 반사시키는 콜레스테릭 액정이 형성되도록 액정형성물질과 함께 하나 이상의 액정활성제를 첨가하여 넓은 온도 범위에서도 콜레스테릭 액정이 안정적으로 형성되어 홀로그램 효과와 함께 다양한 펄감을 가지는 보습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와 같은 펄감 이외에도 탁월한 보습 효과를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보습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Cosmetic composition of skin mois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보습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넓은 온도 범위에서 가시광선의 빛을 반사시키는 콜레스테릭 액정이 형성되도록 하나 이상의 액정활성제를 첨가하여 피부나 입술에 도포 시에도 상당한 시각적인 효과를 줄 수 있으며, 동시에 보습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보습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정이란 액체에 특유한 유동성과 결정에 특유한 광학적 이방성을 동시에 나타내는 물질의 상태로, 특정 온도 이상에서는 방향의 질서도 없어져 순수한 액체가 되고, 온도가 내려가면서 방향에서의 질서가 생긴다. 그리고 온도를 더욱 더 내리면 액체가 응고하는 것과 같이 위치의 이동도 없어지는 순수한 고체가 된다. 즉, 순수 고체와 액체 사이의 중간단계를 액정이라 한다.
액정은 크게 분류하여 스멕틱(smectic) 액정, 네마틱(nematic) 액정 및 콜레스테릭(cholesteric) 액정인 3종류의 액정이 있다. 그 중 콜레스테롤의 유도체에서 발견되어 명명된 콜레스테릭 액정은 나선구조를 가져 백색광 아래서 원편광을 한 간섭색과 큰 선광도를 보여 홀로그램과 같은 광학적 특성을 나타내므로 전자산업뿐만 아니라 화장품 산업분야에도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콜레스테릭 액정의 응용성은 콜레스테릭 액정이 나선형 피치 길이(helical pitch lengths)에 선택적인 파장을 반사시켜 다양한 색을 보이게 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콜레스테릭 액정은 비주얼적으로 차별화할 수 있는 화장품 조성료로서 미적소구를 할 수 있는 매우 흥미로운 화장품 소재 중 하나이다. 또한 콜레스테릭 액정을 구성하고 있는 콜레스테릭 유도체는 피부유사구조를 하고 있어 피부친화성 보습효능을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콜레스테릭 액정은 제형 적용 시 낮은 온도에서 결정상(crystal phase)으로 전환되고, 고온에서는 등방상(isotropic phase)으로 전환되는 경향이 있어 넓은 온도범위 내에서 그 액정상을 유지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문헌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3-0045452에는 기존에 사용하던 액정에 분산하는 안료(oil dispersion pigment) 대신에 유용성 염료(oil soluble dye)를 사용하여 홀로그램 효과를 발현하고 있으나, 여전히 콜레스테릭 액정을 나타내는 유도체가 온도 변화에 액정성을 잃는 단점을 해소하지 못하였으며, 색상을 발현하는 개체가 유용성 염료로 한정되어 다양한 색상을 더 발현하기 어려운 단점이 존재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3-0045452 (2013년 05월 06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상세하게는 넓은 온도 범위에서 가시광선의 빛을 반사시키는 콜레스테릭 액정이 형성되도록 액정형성물질과 함께 하나 이상의 액정활성제를 첨가하여 넓은 온도 범위에서도 콜레스테릭 액정이 안정적으로 형성되어 홀로그램 효과와 함께 다양한 펄감을 가지는 보습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펄감 이외에도 탁월한 보습 효과를 가지는 보습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보습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세라마이드, 양친매성 지질, 계면활성제, 폴리올, 액정활성제 및 용매를 포함하는 보습 화장료 조성물로, 상기 액정활성제는 하기 화학식 1 또는 2의 구조를 갖는 것인 보습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16123546912-pat00001
[화학식 2]
Figure 112016123546912-pat00002
(상기 화학식 1 또는 2에서 D1 내지 D3는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플루오린이고;
L1, L2는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단일결합,
Figure 112016123546912-pat00003
,
Figure 112016123546912-pat00004
,
Figure 112016123546912-pat00005
,
Figure 112016123546912-pat00006
또는
Figure 112016123546912-pat00007
이고;
L3 내지 L10은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Figure 112016123546912-pat00008
,
Figure 112016123546912-pat00009
,
Figure 112016123546912-pat00010
,
Figure 112016123546912-pat00011
,
Figure 112016123546912-pat00012
또는
Figure 112016123546912-pat00013
이고;
R1, R2는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플루오린, (C1-C10)알킬, (C1-C10)알콕시, -CN, -CF3 또는 -OCF3이며;
m, n은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0 또는 1의 정수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a) 진공 유화조에 세라마이드, 양친매성 지질, 폴리올, 계면활성제 및 유용성 활성물질을 넣고 60 내지 90℃로 가열하여 유상부를 제조하는 단계;
b) 수상 용해조에 수용성 활성물질을 첨가하고 60 내지 100℃로 가열하여 수상부를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유상부가 포함된 진공 유화조에 수상부를 투입하고 분산한 후 냉각하여 원액을 형성하는 단계; 및
d) 진공 유화조에 용매를 투입하고 25 내지 80℃로 가열한 후, 상기 원액을 투입하고 분산 및 냉각하여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보습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보습 화장료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액정활성제를 첨가하여 넓은 온도 범위에서도 콜레스테릭 액정이 안정적으로 형성되어 홀로그램 효과와 함께 다양한 펄감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액정활성제와 함께 액정활성제를 보완하는 활성보조제를 더 첨가하여 더욱 탁월한 콜레스테릭 액정 유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보습 화장료 조성물은 탁월한 보습 효과를 동시에 가져 피부 도포 시 다양한 펄감과 함께 우수한 피부 보습 효과 및 피부 장벽 기능 개선 효과를 가져 화장품 조성물 이외에도 손상된 피부의 회복 또는 예방용 조성물로 사용이 가능하다.
이하 구체예 또는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보습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구체예 또는 실시예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참조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달리 정의되지 않은 한, 모든 기술적 용어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당업자 중 하나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원에서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 구체예를 효과적으로 기술하기 위함이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는 문맥에서 특별한 지시가 없는 한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피부"라 함은, 동물의 체표를 덮는 조직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얼굴 또는 바디 등의 체표를 덮는 조직뿐만 아니라, 두피와 모발을 포함하는 최광의의 개념이다.
액정은 화장품 산업에 응용되어 보습과 활성물질의 전달 체계를 조절해 주는 물질로 사용될 수 있다. 유방성 액정은 농도 등에 따라 액정 형성을 하는 것으로서 계면활성제에서 흔히 나타나는 상거동이기 때문에 라멜라 액정으로 화장품에 응용이 될 수 있고, 열방성 액정은 온도 변화에 의해 액정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그 중 하나인 콜레스테릭 액정(cholesteric liquid crystal) 조성물은 독특한 광학적 성질을 갖고 있어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여 화장품으로 사용할 수 있다.
액정은 상전이 메커니즘에 따라 농도전이액정과 온도전이액정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이는 온도전이에 관련된 것으로 그 배열에 따라 스메틱, 네마틱, 및 콜레스테릭 액정을 형성할 수 있다. 콜레스테릭 액정이 형성되는 경우, 그 광학적 특이성으로 인해 가시광선 영역의 빛을 반사하여 육안으로 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습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와 같은 액정의 광학적 특성에 착안한 것으로, 콜레스테릭 액정을 형성할 수 있는 양친매성 지질류와, 상기 양친매성 지질류가 콜레스테릭 액정으로 변화하고,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이 넓은 온도 범위에서도 액정 본연의 구조를 잃지 않고 유지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액정활성제를 더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넓은 온도 범위에서도 콜레스테릭 액정이 안정적으로 형성 및 유지되어 홀로그램 효과와 함께 다양한 펄감을 가질 수 있으며, 또한 우수한 피부 보습 효과 및 피부 장벽 기능 개선 효과를 가지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보습 화장료 조성물은 세라마이드, 양친매성 지질, 계면활성제, 폴리올, 액정활성제 및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세라마이드는 스핑고신과 지방산으로 구성된 지질 분자로 세포막, 세포간 지질에 고농도로 존재하여 여러 가지 신호 전달 분자로 기능하며, 피부보호장벽 및 수분증발억제, 피부 성장 및 분화조절, 피부 염증과 피부 증식을 억제, 피부 기능 이상을 정상화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세라마이드는 천연 세라마이드와 유사 세라마이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천연 세라마이드는 자연에 존재하는 세라마이드로서, 상기 천연 세라마이드의 예로는 세라마이드 1, 세라마이드 2, 세라마이드 3, 세라마이드 4, 세라마이드 5, 세라마이드 6, 세라마이드 7, 세라마이드 8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유사(pseudo) 세라마이드는 천연 세라마이드의 구조인 이중사슬 라멜라 구조를 가지는 화합물을 통칭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 16 내지 21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다.
[화학식 16]
Figure 112016123546912-pat00014
(상기 화학식 16에서 R은 (C1-C20)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족 사슬이다.)
[화학식 17]
Figure 112016123546912-pat00015
(상기 화학식 17에서 R, R'은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C1-C20)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족 사슬이고;
n은 1 또는 2의 정수이다.)
[화학식 18]
Figure 112016123546912-pat00016
(상기 화학식 18에서 R, R'은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이며;
A1, A2는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이고;
m, n은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정수이다.)
[화학식 19]
Figure 112016123546912-pat00017
(상기 화학식 19에서 R, R'은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C1-C20)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족 사슬이며;
A1 내지 A3은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Figure 112016123546912-pat00018
,
Figure 112016123546912-pat00019
,
Figure 112016123546912-pat00020
또는
Figure 112016123546912-pat00021
이고, 단 A1 내지 A3이 모두 수소인 경우는 제외한다;
M, M1 및 M2는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알칼리 금속, 리신, 아르기닌, 히스티딘, 트리에탄올아민, 암모니아, 폴리쿼터늄-4, 폴리쿼터늄-6, 폴리쿼터늄-7, 폴리쿼터늄-10, 폴리쿼터늄-11, 폴리쿼터늄-16, 라우릴디메틸벤질암모늄클로라이드 및 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클로라이드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고;
L은 알칼리 토금속이고;
j는 0 또는 1의 정수이고;
k, l은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1 또는 2의 정수이며;
m, n은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1 내지 3의 정수이다.)
[화학식 20]
Figure 112016123546912-pat00022
(상기 화학식 20에서 R, R'은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C1-C20)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족 사슬이며;
R3 내지 R4는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C1-C4)알킬 또는 (C1-C4)히드록시 알킬이며;
R5는 -A 또는 -CH2CH2OA이며;
A는
Figure 112016123546912-pat00023
,
Figure 112016123546912-pat00024
,
Figure 112016123546912-pat00025
,
Figure 112016123546912-pat00026
,
Figure 112016123546912-pat00027
또는
Figure 112016123546912-pat00028
이고;
M, M1 및 M2는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알칼리 금속, 리신, 아르기닌, 히스티딘, 트리에탄올아민, 암모니아, 폴리쿼터늄-4, 폴리쿼터늄-6, 폴리쿼터늄-7, 폴리쿼터늄-10, 폴리쿼터늄-11, 폴리쿼터늄-16, 라우릴디메틸벤질암모늄클로라이드 및 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클로라이드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다.)
[화학식 21]
Figure 112016123546912-pat00029
(상기 화학식 21에서 R은
Figure 112016123546912-pat00030
이며;
B는 토코페롤의 5-, 7- 또는 8- 위치의 메틸기이고, m은 1 내지 3의 정수이며, D는 -CH2-CH(CH3)- 또는 -CH(CH3)=C-이며;
A1 내지 A3은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A1 내지 A3은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Figure 112016123546912-pat00031
,
Figure 112016123546912-pat00032
,
Figure 112016123546912-pat00033
또는
Figure 112016123546912-pat00034
이고, 단 A1 내지 A3이 모두 수소인 경우는 제외한다;
M, M1 및 M2는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알칼리 금속, 리신, 아르기닌, 히스티딘, 트리에탄올아민, 암모니아, 폴리쿼터늄-4, 폴리쿼터늄-6, 폴리쿼터늄-7, 폴리쿼터늄-10, 폴리쿼터늄-11, 폴리쿼터늄-16, 라우릴디메틸벤질암모늄클로라이드 및 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클로라이드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고;
L은 알칼리 토금속이고;
j는 0 또는 1의 정수이고;
k, l은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1 또는 2의 정수이며;
m, n은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1 내지 3의 정수이다.)
상술한 화학식 16 내지 21의 화합물은 피부 보습 및 피부 장벽 기능 회복에 있어 천연 세라마이드에 버금가는 우수한 효과를 가지는 유사(pseudo) 세라마이드들이다. 상기 유사 세라마이드는 세라마이드 원래의 효과인 수분 장벽기능을 발현함과 동시에 그 자체로도 2차 감염의 원인균인 다양한 균류, 예를 들어 Propionibacterium acnes 등의 여드름균, Pityrosporium ovale 등의 비듬균, Trichophyton mentagrophyte 및 Epidermophyton floccosum 등의 무좀균류에 대한 항균 효과도 매우 크기 때문에 항균 효과와 저장 안정성 개선 효과 등의 부가적인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세라마이드는 전체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 중 0.1내지 10 중량% 포함할 수 있다. 0.1 중량% 미만이면 보습 효과가 미비할 수 있으며, 10 중량%를 초과하면 제형 내 용해가 어려워 저온보관성이 크게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양친매성 지질은 구조에 있어서 대부분 지질-유사 (소수성) 분자이지만, 한쪽 말단에서 극성, 하전, 또는 극성과 하전의 조합 (친수성) 부분을 갖는 분자를 지칭한다. 이때 친수성 부분은 헤드기로서 지칭되고, 지질 부분은 테일기로 지칭될 수 있다.
상기 양친매성 지질은 주위의 온도에 따라 결정을 형성할 수 있으며, 피부와 유사한 형태의 고밀도 지질 네트워크를 균일하고 안정하게 형성하며, 콜레스테릭 액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콜레스테릭 액정상은 네마틱 액정의 방향자(director)가 나선 축을 따라 꼬이면서 층을 이루어 배열되는 것으로, 층별로 일정 각도씩 회전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가짐에 따라 기존의 양친매성 지질이 갖는 보습 효과는 유지되면서 동시에 빛의 복굴절에 의한 편광 무늬를 가지므로, 소비자에게 심미감을 줄 수 있어 화장품의 품질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상기 양친매성 지질의 예로는 피부 각질의 주성분인 인지질, 글리코리피드 및 스핑고리피드 이외에도 피부 유사막을 갖는 고밀도 지질 네트워크를 균일하고 안정하게 형성하며 액정 형성 이외에도 친수성 활성 물질을 액정 내에 함유하여 안정화할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양친매성 지질로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베헤닐알코올, 바틸알코올, 피탄트리올, 글리세릴디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디이소스테아레이트, 펜타에리쓰리틸디스테아레이트, 펜타에리쓰리틸디이소스테아레이트, 펜타에리쓰리틸테트라스테아레이트, 펜타에리쓰리틸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 콜레쓰-5, 콜레쓰-10, 콜레쓰-20, 콜레쓰-30, 데옥시피탄트리일팔미트아마이드엠이에이, 디에톡시에틸석시네이트, 비스-에톡시디글리콜석시네이트, 디팔미토일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코코일알라닌, 팔미토일프롤린, 갈라토실세라마이드, 수소첨가레시틴, 폴리글리세릴-10 디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10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2 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2 디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6 디스테아레이트 및 폴리글리세릴-6 디이소스테아레이트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으며, 이 중 수소첨가레시틴을 사용하는 것이 펄 생성 후 고온 안정성이 우수하여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수소첨가레시틴은 식물, 동물 또는 미생물의 생체로부터 추출 분리된 공지의 각종 레시틴에 수소첨가 반응을 유도하여 수득할 수 있다.
상기 레시틴의 구체예로서는, 대두, 옥수수, 땅콩, 유채씨, 보리 등의 식물, 난황, 소 등의 동물, 대장균 등의 미생물 등에 유래하는 각종 레시틴을 들 수 있으며, 화합물명으로 예시하면 포스파티드산, 포스파티딜글리세린, 포스파티딜이노시톨,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포스파티딜메틸에탄올아민,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세린, 비스포스파티드산, 다이포스파티딜글리세린(카디올리핀) 등의 글리세로레시틴; 스핑고미엘린 등의 스핑고레시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양친매성 지질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 중 0.1 내지 3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0.1 중량% 미만인 경우 고온 안정성이 떨어져 온도 변화에 따라 액정 형성이 미비할 수 있으며, 30 중량%를 초과하면 전체 화장료 조성물의 탁도 및 점도가 상승하여 바름성이 떨어지고 펄감이 제대로 발현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와 같은 양친매성 지질 이외에도 피토스핑고신(Phytosphingosine)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토스핑고신은 불포화 탄화수소를 가진 18-탄소 아미노알콜이며, 스핑고리피드의 일부를 형성한다. 또한 세포막 지질 이중층에 존재하는 세포막 구조 성분으로 알려져 있으며, 신호 전달 분자로 기능하여 세포 분화, 증식, 세포의 프로그램사, 세포사를 조절하는 역할도 한다. 또한 외부 병원균에 대해 항균 작용을 하며, 피부 감염으로 인한 염증 완화 및 피부 재생 능력을 높이는 효과를 가진다.
상기 피토스핑고신은 본 발명의 목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첨가량을 한정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양친매성 지질 100 중량부 대비 10 내지 50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화장료 조성물의 펄감이 유지되면서 동시에 피토스핑고신의 제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친수성 성분 및 친유성 성분을 층분리 없이 용매 내에 분산시키기 위한 것으로, 분산입자의 미세화 및 분산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물질이라면 본 발명에서 그 종류를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계면활성제의 일예로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 유기산 모노 글리세라이드, 프로필렌글라이콜 지방산 에스터, 폴리글리세린 축합 리시놀레산 에스터,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터, 자당 지방산 에스터 및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으며, 이 중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터를 사용하는 것이 분산상/연속상의 계면 장력을 크게 낮춰 분산입자의 미세화를 달성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터는 하나 이상이 평균 중합도가 20 내외인 폴리옥시에틸렌과 탄소수 5 내지 20의 지방산, 예를 들어 카프릴산, 카프르산,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올레산 및 리놀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지방산이 포함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터의 보다 바람직한 예로서는,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Monolaurate),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Monostearate),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Monooleate),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트리올레에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Trioleate),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Monopalmitate),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트리스테아레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Tristearate)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계면활성제는 전체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 중 0.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0.1 중량% 미만인 경우 친수성 성분과 친유성 성분의 분리로 인해 펄감이 발현되기 어려우며, 10 중량% 초과인 경우 다른 성분들의 첨가량 저하로 인해 액정 형성이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폴리올은 분자 구조 내에 2개 이상의 히드록시기를 갖는 고분자를 통칭하는 것으로, 세라마이드 분산 입자의 미세화와 화장료 조성물의 경시 안정성 및 스킨케어 효과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폴리올의 일예로는 글리세린, 다이글리세린, 트라이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다이올 화합물(예를 들면, 부틸렌글라이콜, 아이소프렌글라이콜, 폴리에틸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라이콜, 폴리프로필렌글라이콜, 에틸렌글라이콜, 다이에틸렌글라이콜, 펜틸렌글라이콜, 1,2-펜테인다이올, 1,2-헥세인다이올,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 3-메틸-1,3-뷰테인다이올 등), 말티톨, 환원 물엿, 자당, 락티톨, 팔라티니트, 에리트리톨, 소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자일로스, 글루코스, 락토스, 만노스, 말토스, 갈락토스, 프럭토스, 이노시톨, 펜타에리트리톨, 말토트라이오스, 소르비탄, 트레할로스, 전분 분해당, 전분 분해당 환원 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의 예 중에서도, 다가 알코올로서는, 세라마이드 분산 입자의 미세화 및 스킨케어 효과의 향상의 관점에서, 글리세린 및 다이올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고, 글리세린 및 적어도 1종의 다이올 화합물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특히, 다가 알코올로서, 글리세린과 적어도 1종의 다이올 화합물을 병용하면, 보다 미세한 세라마이드 분산 입자를 포함하며, 스킨케어 효과가 현저히 우수한 세라마이드 분산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글리세린과 적어도 1종의 다이올 화합물을 병용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글리세린과 다이올 화합물의 비율(글리세린 양:다이올 화합물의 총량)로서는, 세라마이드 분산 조성물의 경시 안정성의 관점에서, 질량 기준으로, 1 내지 100 : 1 중량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폴리올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 중 20 내지 6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20 중량% 미만인 경우 분산 입자의 미세화 및 스킨케어 효과가 미비하며, 60 중량% 초과인 경우 다른 성분들의 첨가량 저하로 인해 액정 형성이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용매는 상기 성분들, 특히 친유성 성분의 분산 입자가 분산상으로서 분산되는 연속상으로서, 일예로, 순수, 이온교환수 등 불순물이 최대한 제거된 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용매는 전체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 중 20 내지 60 중량%인 것이 성분들의 안정적인 분산을 달성하면서도 펄감이 제대로 발현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액정활성제는 상기 양친매성 지질, 특히 상기 수소첨가레시틴이 형성하는 콜레스테릭 액정을 외부의 환경 변화로부터 유지시켜 펄감을 장시간 발현하기 위한 것으로, 분자 내에 다양한 카이럴 센터(chiral center)를 가져 메소젠의 역할을 하며, 상기 양친매성 지질에 포함된 선형 탄화수소 체인은 유연 격자의 역할을 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다양한 성질을 갖는 콜레스테릭 액정 형성을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액정활성제로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 1 또는 2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6123546912-pat00035
[화학식 2]
Figure 112016123546912-pat00036
(상기 화학식 1 또는 2에서 D1 내지 D3는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플루오린이고;
L1, L2는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단일결합,
Figure 112016123546912-pat00037
,
Figure 112016123546912-pat00038
,
Figure 112016123546912-pat00039
,
Figure 112016123546912-pat00040
또는
Figure 112016123546912-pat00041
이고;
L3 내지 L10은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Figure 112016123546912-pat00042
,
Figure 112016123546912-pat00043
,
Figure 112016123546912-pat00044
,
Figure 112016123546912-pat00045
,
Figure 112016123546912-pat00046
또는
Figure 112016123546912-pat00047
이고;
R1, R2는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플루오린, (C1-C10)알킬, (C1-C10)알콕시, -CN, -CF3 또는 -OCF3이며;
m, n은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0 또는 1의 정수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R1 또는 R2는 하나 또는 모두 직쇄 또는 분지형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직쇄형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로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 22의 구조들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다.
[화학식 22]
Figure 112016123546912-pat00048
또한 상기 화학식 2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로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 23의 구조들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다.
[화학식 23]
Figure 112016123546912-pat00049
상기 액정활성제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통해 다양한 카이럴 센터를 가지므로, 다양한 거울상이성질체 형태로 나타날 수 있으며, 당연히 라세미 형태 또는 광학 활성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액정활성제는 하기 화학식 3 내지 15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화학식 3]
Figure 112016123546912-pat00050
[화학식 4]
Figure 112016123546912-pat00051
[화학식 5]
Figure 112016123546912-pat00052
[화학식 6]
Figure 112016123546912-pat00053
[화학식 7]
Figure 112016123546912-pat00054
[화학식 8]
Figure 112016123546912-pat00055
[화학식 9]
Figure 112016123546912-pat00056
[화학식 10]
Figure 112016123546912-pat00057
[화학식 11]
Figure 112016123546912-pat00058
[화학식 12]
Figure 112016123546912-pat00059
[화학식 13]
Figure 112016123546912-pat00060
[화학식 14]
Figure 112016123546912-pat00061
[화학식 15]
Figure 112016123546912-pat00062
상기 화학식 3 내지 15의 화합물 또한 메소젠성 구조를 가지며, 하나 이상의 카이럴 잔기 또는 하나 이상의 카이럴 중심을 가져 상기 화학식 1 또는 2의 액정활성제와 혼합 시 양친매성 지질의 액정 형성 및 유지를 더욱 향상시키게 된다.
상기 화학식 3 내지 15의 화합물 중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학식 9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이다. 상기 화학식 9는 콜레스테롤 구조의 몸체와 말단의 지방족 잔기를 가져, 그 자체로도 콜레스테릭 액정 형성을 위한 나선구조로 변화할 수 있으며, 동시에 상기 액정활성제의 역할을 통해 형성된 콜레스테릭 액정이 온도 변화에도 그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액정활성제는 전체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 중 0.01 내지 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0.01 중량% 미만인 경우 분산 입자의 미세화 및 스킨케어 효과가 미비하며, 5 중량% 초과인 경우 다른 성분들의 첨가량 저하로 인해 액정 형성이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정활성제가 화학식 1 또는 2의 화합물(제1액정활성제)과, 화학식 3 내지 15의 화합물(제2액정활성제)이 혼합된 형태일 경우, 그 혼합비가 1 : 0.1 내지 0.5인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은 조성을 가질 경우 콜레스테릭 액정이 넓은 온도 범위에서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전체 화장료 조성물의 펄감이 유지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습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액정활성제의 활성도를 더욱 높이기 위해 윌포사이드(wilfoside), 가가미닌(gagaminine)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활성보조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활성보조제는 일종의 산화방지제로, 상기 양친매성 지질, 활성보조제의 추가적인 산화를 막아 콜레스테릭 액정의 형성을 더욱 용이하게 하며, 추가적으로 혈관을 이완하는 효과를 가져 산화 스트레스로 인한 피부의 혈관 기능 장애를 회복시키는 부가적인 효과도 가진다.
상기 활성보조제는 전체 액정활성제 100 중량부 대비 0.01 내지 1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0.01 중량부 미만 첨가되는 경우 양친매성 지질 또는 활성보조제의 산화방지 효과가 미비하며, 1 중량부 초과 첨가되는 경우 피부에 적용 시 지나친 모세혈관의 확장이 발생하여 피부가 붉어지거나 열증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성분 이외에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유용성 활성성분이나 수용성 활성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용성 또는 수용성 활성성분은 피부의 미백, 주름 개선, 항노화 등의 효과를 가지는 물질들로, 성분의 용해성에 따라 상기와 같이 나눌 수 있으며, 각각 콜레스테릭 액정의 유용성 부분과 수용성 부분에 캡슐화되어 안정화될 수 있다.
상기 유용성 활성성분의 일예로는 미백, 주름, 항노화 등의 효과가 우수한 이데베논(Idebenone), 코엔자임 큐10, 토코페롤 및 그 유도체들, 비타민 C 유용성 유도체들, 레티놀(retinol) 및 그 유도체, 올레아놀릭산(oleanolic acid), 우르솔릭산(ursolic acid), 디아세틸볼딘(diacetyl boldine) 및 유용성 감초추출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성 활성성분의 일예로는 미백, 주름, 항노화 등의 효과가 우수한 아데노신, 알부틴, 비타민 C 및 그 친수성 유도체들, 비타민 B3, 비타민 B5 및 비타민 H를 포함하는 친수성 비타민류 및 그 유도체; 코직산(Kojic acid) 및 그 유도체들; 아세틸글루코사민 효모추출물, 수용성 캐비어 추출물, 마데카소사이드를 포함한 센텔라아시아티카 추출물 및 셀레늄 아스파테이트를 포함하는 식물추출물; 및 세포배양을 통해 얻어진 각종 펩타이드(Peptide) 성분에서 선택되는 단독 또는 이들 중 2종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용성 활성성분 또는 유용성 활성성분은 상기 활성성분들의 용해성 또는 그 효능을 발휘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성분의 첨가량을 한정하지 않으며, 물질 각각의 활성도 및 용해성에 따라 함량을 정하여 사용하거나, 전체 활성성분의 함량을 한정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이외에도 다양한 제약성분, 방부제, 살균제, 착색제, 염료, 안료, 식물 엑기스, pH 완충제, 산화방지제, 자외선흡수제, 자외선산란제, 향료, 보습제, 증점제, 에몰리언트제, pH 조절제, 냉감제, 제한제 등의 추가적인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본 발명의 목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첨가량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a) 진공 유화조에 세라마이드, 양친매성 지질, 폴리올, 계면활성제 및 유용성 활성물질을 넣고 60 내지 90℃로 가열하여 유상부를 제조하는 단계;
b) 수상 용해조에 수용성 활성물질을 첨가하고 60 내지 100℃로 가열하여 수상부를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유상부가 포함된 진공 유화조에 수상부를 투입하고 분산한 후 냉각하여 원액을 형성하는 단계; 및
d) 진공 유화조에 용매를 투입하고 25 내지 80℃로 가열한 후, 상기 원액을 투입하고 분산 및 냉각하여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에서, a) 단계는 유상부를 제조하는 단계로 세라마이드, 양친매성 지질, 폴리올, 계면활성제 및 유용성 활성물질과 상기 성분들 이외에 포함되는 기타 유용성 물질을 유화조에 투입하고 이를 가열과 함께 교반하여 진행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성분들의 첨가량은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생략하며, 상기 성분들을 60 내지 90 ℃로 가온하고, 가온과 동시에 균일하게 100 내지 500 rpm의 속도로 교반하여 유상부를 제조할 수 있다.
다음 b) 단계는 수상부를 제조하는 단계로 수용성 활성물질과, 상기 성분들 이외에 포함되는 기타 수용성 물질을 수상 용해조에 투입한 후 가열과 함께 교반하여 진행할 수 있다.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성분들의 첨가량은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생략하며, 상기 성분들을 60 내지 100 ℃로 가온하고, 가온과 동시에 균일하게 100 내지 500 rpm의 속도로 교반하여 유상부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a) 단계를 통해 제조된 유상부와, 상기 b) 단계를 통해 제조된 수상부를 혼합하는 단계로, 상기 a) 단계에서 제조된 유상부가 포함된 진공 유화조에 b) 단계의 수상부를 투입하여 분산시키고 상온(10 내지 25℃)으로 냉각하여 원액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상부의 투입 시 온도는 60 내지 90 ℃가 바람직하며, 500 내지 1,000 rpm 미만의 속도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진공 유화조에 용매를 투입하고 가열한 후, 상기와 같이 제조된 원액을 진공 유화조에 투입하여 액정화할 수 있다. 이때 용매의 가열 온도는 60 내지 80 ℃인 것이 좋으며, 혼합 후 상온으로 냉각하여 분산, 액정화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은 넓은 온도 범위에서도 콜레스테릭 액정이 안정적으로 형성되어 홀로그램 효과와 함께 다양한 펄감을 가질 수 있으며, 이외에도 우수한 피부 보습 효과 및 피부 장벽 기능 개선 효과를 가져 화장품 조성물 이외에도 손상된 피부의 회복 또는 예방용 조성물로 사용이 가능하다.
이하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는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제조된 시편의 물성을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액정형성)
20㎖ 투명한 유리용기에 시편 10g을 투입하였다. 시편을 상온(20℃)에서 각각 -5℃, 0℃, 5℃, 10℃, 20℃, 40℃로 변화시킨 후, 변화한 온도를 유지하면서 육안으로 분석 가능한 가시광선 빛을 발하는지 관찰하였다.
(펄감)
펄감이 높을 경우 반사광량의 세기가 세지는 점에 착안하여, 시편을 각각 유브이셀(UV cell)에 넣은 다음, 윤기측정기(microgross meter, 85°를 이용하여 3회 반복하여 측정한 후, 이의 평균값을 측정하였다.
또한 제조된 시편을 흉터가 없는 일반인의 손등에 3g 도포한 다음 성인 남녀 20명을 대상으로 펄감을 각각 평가하였다. 이때 평가 기준은 하기와 같다.
* 펄감 평가 기준
5 : 펄감이 우수하고, 입체감이 확연함
4 : 펄감은 우수하나, 입체감이 떨어짐
3 : 펄감이 두드러지지 않으며, 입체감이 없음
2 : 펄감과 입체감이 거의 나타나지 않음
1 : 펄감, 입체감이 전혀 나타나지 않음
(수분보유능)
SKICON-200(IBS사)을 사용하여 피부표면의 전기 전도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25℃, 40%의 상대습도를 유지하는 항온항습실에서 피부 16㎠당 0.03 g의 시료를 도포한 후 도포 후 1시간(1H), 도포 후 3시간(3H)의 저항값(수분손실량)을 측정하였다. 단, 시료 도포 전 평균 us(micros)은 50으로 하였다.
(피부 첩포시험)
시험 부위인 팔(Forearm) 또는 등(Back)에 피부 질환이 없는 성인 남녀 20명을 대상으로 하여 시편을 5%를 정제수에 분산하고, 핀 챔버(Finn chamber, 100 ×10, EPITEST, 핀란드국)에 15 ㎕의 분산된 시료를 도포한 후, 시험 부위에 밀폐 첩포하였다. 24시간 동안 첩포하고 첩포를 제거한 후 표시용 펜으로 시험부위를 표시하였다. 첩포 제거 2시간 후에 시험 부위를 관찰하여 홍반 및 부종 유무를 관찰하였다.
피부 반응은 국제접촉피부염연구회(ICDRG: International Contact Dermatitis Research Group)의 규정에 따라 하기 표 1과 같이 판정하였다.
[표 1]
Figure 112016123546912-pat00063
(액정활성제의 제조)
① 8-프로필-3-(3,4,5-트라이플루오로페닐)-6a,7,8,9,10,10a-헥사하이드로-6H-벤조크로멘
903㎎(23.8mmol)의 리튬 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를 20㎖의 테트라히드로퓨란(THF)에 혼합하고, 50㎖의 THF에 10g(23.8mmol)의 에틸 5-프로필-2-(3',4',5'-트라이플루오로-3-하이드록시바이페닐-4-일)사이클로헥세인카복실레이트의 용액을 빙냉시키면서 적가하였다. 냉각 상태를 제거한 후, 배치를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고, 1시간 동안 환류시킨 다음, 얼음에 첨가하였다. 2M 황산을 사용하여 산성화한 후, 혼합물을 메틸터셔리부틸 에테르로 3회 추출하고, 합한 유기 상을 물로 세척한 다음,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하였다. 감압 하에 용매를 제거한 다음, 잔사를 실리카겔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수득된 3',4',5'-트라이플루오로-4-(2-하이드록시메틸-4-프로필사이클로헥실)바이페닐-3-올을 100㎖의 THF에 용해시키고, 6.24g(23.8mmol)의 트라이페닐포스핀을 첨가한 다음, 50㎖의 THF에 5.3g(26.2mmol)의 다이아이소프로필 아조다이카복실레이트의 용액을 빙냉시키면서 적가하였다. 냉각 상태를 제거한 후, 배치를 실온에서 12시간 교반하였다. 물을 첨가한 후, 유기 상을 분리한 다음, 수성 상을 메틸터셔리부틸 에테르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물 및 염화나트륨 포화용액으로 세척한 다음,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하였다. 그리고 감압 하에 용매를 제거한 다음, 잔사를 실리카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하기 화학식 22-1의 8-프로필-3-(3,4,5-트라이플루오로페닐)-6a,7,8,9,10,10a-헥사하이드로-6H-벤조[c]크로멘을 무색 결정으로서 수득하였다.
[화학식 22-1]
Figure 112016123546912-pat00064
② 4-사이아노-3-플루오로페닐 8-에틸-4-플로오로-6H-벤조[c]크로멘-3-카르복실레이트
상기 8-프로필-3-(3,4,5-트라이플루오로페닐)-6a,7,8,9,10,10a-헥사하이드로-6H-벤조크로멘과 유사한 방식으로 하기 화학식 23-1의 4-사이아노-3-플루오로페닐 8-에틸-4-플로오로-6H-벤조[c]크로멘-3-카르복실레이트를 수득하였다.
[화학식 23-1]
Figure 112016123546912-pat00065
(실시예 1)
진공유화조에 세라마이드(CERAMIDE 3, 두산바이오텍사, 대한민국), 양친매성 지질(하이드로제네티드 레시틴, Cas No. 92128-87-5), 계면활성제(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이트, Tween 80, 신원무역상사), 폴리올(1,3-부틸렌글리콜), 액정활성제(8-프로필-3-(3,4,5-트라이플루오로페닐)-6a,7,8,9,10,10a-헥사하이드로-6H-벤조크로멘)를 첨가하고 75℃로 가열하여 유상부를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수상용해조에 정제수를 투입하고 80℃로 가열한 후, 가열된 정제수를 진공유화조에 투입하고 600rpm의 회전 속도로 교반하여 균일하게 분산하고, 조성물의 온도를 30℃로 냉각하여 원액을 제조하였다.
다시 진공유화조에 상온의 정제수를 투입하여 상온에서 원액과 혼합한 후, 600rpm의 회전 속도로 교반하여 균일하게 분산하고, 조성물의 온도를 30℃로 냉각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조성비는 하기 표 2와 같다.
[표 2]
Figure 112016123546912-pat00066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액정활성제로 4-사이아노-3-플루오로페닐 8-에틸-4-플로오로-6H-벤조[c]크로멘-3-카르복실레이트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액정활성제의 첨가량은 그대로 하되, 8-프로필-3-(3,4,5-트라이플루오로페닐)-6a,7,8,9,10,10a-헥사하이드로-6H-벤조크로멘과 4-사이아노-3-플루오로페닐 8-에틸-4-플로오로-6H-벤조[c]크로멘-3-카르복실레이트를 1 : 1 중량비로 혼합하여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3에서 액정활성제의 함량은 그대로 하되8-프로필-3-(3,4,5-트라이플루오로페닐)-6a,7,8,9,10,10a-헥사하이드로-6H-벤조크로멘, 4-사이아노-3-플루오로페닐 8-에틸-4-플로오로-6H-벤조[c]크로멘-3-카르복실레이트과 (2R,8S,9S,10R,13R,14S,17R)-2,3,4,7,8,9,10,11,12,13,14,15,16,17-테트라데카하이드로-10,13-디메틸-17-((R)-6-메틸헵탄-2-일)1H-사이클로펜타[a]페난트렌-2-일 노나노에이트를 1 : 1 : 1 중량비로 혼합하여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4에서 상기 액정활성제 100 중량부 대비 활성보조제(윌포사이드)를 0.5 중량부 더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상기 실시예 5에서 활성보조제의 첨가량을 2 중량부로 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일반 진주광택안료(Timironⓡ Starluster MP-115, MICA, TITANIUM DIOXIDE, MERCK사) 5 중량%를 정제수 95 중량%에 분산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액정활성제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조성비는 하기 표 3과 같다.
[표 3]
Figure 112016123546912-pat00067
[표 4]
Figure 112016123546912-pat00068
상기 표 4와 같이 본원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넓은 온도 범위에서 콜레스테릭 액정의 안정성을 유지하였으며, 이에 따른 펄감도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보습효과가 탁월하고 피부에 자극이 거의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액정활성제로 두 가지 성분을 첨가하거나(실시예 3), 세 가지 성분을 혼합하여 첨가한 경우(실시예 4), 한 가지 성분만을 첨가한 실시예들에 비해 액정형성 온도범위와 펄감이 좀 더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활성보조제를 더 첨가한 실시예 5는 액정형성능은 유지하면서 펄감과 보습 효과를 크게 상승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활성보조제를 필요 이상 첨가한 실시예 6은 홍반과 같은 피부자극이 나타나 적정 첨가량이 액정활성제 대비 1 중량부 이하인 것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시험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0)

  1. 세라마이드, 양친매성 지질, 계면활성제, 폴리올, 액정활성제 및 용매를 포함하는 보습 화장료 조성물로, 상기 액정활성제는 8-프로필-3-(3,4,5-트라이플루오로페닐)-6a,7,8,9,10,10a-헥사하이드로-6H-벤조크로멘, 4-사이아노-3-플루오로페닐 8-에틸-4-플로오로-6H-벤조[c]크로멘-3-카르복실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인 보습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활성제는 하기 화학식 3 내지 15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인 보습 화장료 조성물.
    [화학식 3]
    Figure 112016123546912-pat00082

    [화학식 4]
    Figure 112016123546912-pat00083

    [화학식 5]
    Figure 112016123546912-pat00084

    [화학식 6]
    Figure 112016123546912-pat00085

    [화학식 7]
    Figure 112016123546912-pat00086

    [화학식 8]
    Figure 112016123546912-pat00087

    [화학식 9]
    Figure 112016123546912-pat00088

    [화학식 10]
    Figure 112016123546912-pat00089

    [화학식 11]
    Figure 112016123546912-pat00090

    [화학식 12]
    Figure 112016123546912-pat00091

    [화학식 13]
    Figure 112016123546912-pat00092

    [화학식 14]
    Figure 112016123546912-pat00093

    [화학식 15]
    Figure 112016123546912-pat00094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친매성 지질은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베헤닐알코올, 바틸알코올, 피탄트리올, 글리세릴디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디이소스테아레이트, 펜타에리쓰리틸디스테아레이트, 펜타에리쓰리틸디이소스테아레이트, 펜타에리쓰리틸테트라스테아레이트, 펜타에리쓰리틸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 콜레쓰-5, 콜레쓰-10, 콜레쓰-20, 콜레쓰-30, 데옥시피탄트리일팔미트아마이드엠이에이, 디에톡시에틸석시네이트, 비스-에톡시디글리콜석시네이트, 디팔미토일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코코일알라닌, 팔미토일프롤린, 갈라토실세라마이드, 수소첨가레시틴, 폴리글리세릴-10 디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10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2 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2 디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6 디스테아레이트 및 폴리글리세릴-6 디이소스테아레이트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인 보습 화장료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 유기산 모노 글리세라이드, 프로필렌글라이콜 지방산 에스터, 폴리글리세린 축합 리시놀레산 에스터,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터, 자당 지방산 에스터 및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인 보습 화장료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은 글리세린, 부틸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디글리세린, 펜틸렌글리콜, 이소프렌글리콜 및 에리스리톨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인 보습 화장료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습 화장료 조성물은 세라마이드 0.1 내지 10 중량% 양친매성 지질 0.1 내지 30 중량%, 계면활성제 0.1 내지 10 중량%, 폴리올 20 내지 60 중량%, 액정활성제 0.01 내지 5 중량% 및 용매 20 내지 60 중량%를 포함하는 보습 화장료 조성물.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습 화장료 조성물은 보습제, 증점제, 에몰리언트제, 자외선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방지제, pH 조절제, 염료, 안료, 향료, 냉감제 및 제한제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인 보습 화장료 조성물.
  10. a) 진공 유화조에 세라마이드, 양친매성 지질, 폴리올, 계면활성제, 액정활성제 및 유용성 활성물질을 넣고 60 내지 90℃로 가열하여 유상부를 제조하는 단계;
    b) 수상 용해조에 수용성 활성물질을 첨가하고 60 내지 100℃로 가열하여 수상부를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유상부가 포함된 진공 유화조에 수상부를 투입하고 분산한 후 냉각하여 원액을 형성하는 단계; 및
    d) 진공 유화조에 용매를 투입하고 25 내지 80℃로 가열한 후, 상기 원액을 투입하고 분산 및 냉각하여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보습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으로, 상기 액정활성제는 8-프로필-3-(3,4,5-트라이플루오로페닐)-6a,7,8,9,10,10a-헥사하이드로-6H-벤조크로멘, 4-사이아노-3-플루오로페닐 8-에틸-4-플로오로-6H-벤조[c]크로멘-3-카르복실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인 보습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KR1020160172329A 2016-12-16 2016-12-16 보습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29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2329A KR101929932B1 (ko) 2016-12-16 2016-12-16 보습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2329A KR101929932B1 (ko) 2016-12-16 2016-12-16 보습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0075A KR20180070075A (ko) 2018-06-26
KR101929932B1 true KR101929932B1 (ko) 2018-12-18

Family

ID=62788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2329A KR101929932B1 (ko) 2016-12-16 2016-12-16 보습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99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09608B (zh) * 2021-12-28 2023-09-29 中山中研化妆品有限公司 乳液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7197B1 (ko) 2011-10-26 2018-09-06 (주)아모레퍼시픽 유용성 색소가 포함된 콜레스테릭 액정을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0075A (ko) 2018-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2493B1 (ko) 베시클 분산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KR100861980B1 (ko) 피부유사막을 갖는 비수계 액정상 캡슐기제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624888B1 (ko) 자기유화형 나노 리포좀 및 다중층 액정 함유 베지클,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KR101629778B1 (ko) 투명성이 높은 유화 조성물 및 투명성이 높은 화장료
JP6377381B2 (ja) リポソーム組成物
KR101497055B1 (ko) 고밀도 지질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색상과 펄감을 구현한 고보습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34451A (ko) 세포간지질을 함유하는 다층 라멜라 액정에멀젼의 제조방법
KR101868726B1 (ko) 세라마이드 분산 조성물의 제조 방법
BRPI0813092B1 (pt) composição de emulsão óleo em água e método para produzir a mesma.
KR101492290B1 (ko) 베시클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KR101577874B1 (ko) 당세라마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유사 지질 조성을 갖는 액정상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094477B1 (ko) pH 감응형 보습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EP2832346B1 (en) Aqueous dispersed composition
KR102080459B1 (ko) 활성 성분 안정화 및 피부 흡수 촉진을 위한 다중 에멀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KR20060089903A (ko) 유용성 감초추출물을 안정화하고 경피흡수를 촉진하는제미니계 계면활성제를 함유한 유상부 액정 조성물 및이로부터 미백 화장료의 제조방법
KR102181475B1 (ko) 난용성 성분 안정화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6606424B (zh) 一种含菊粉月桂基氨基甲酸酯和脂肪醇的液晶体系的制备和应用
JP2010059066A (ja) アルキルグリセリルエーテル配合組成物およびこれを含有する化粧料又は皮膚外用剤
JP2005179313A (ja) 皮膚化粧料用基剤の製造方法および皮膚化粧料
KR102500905B1 (ko) 천연 세라마이드를 함유한 반투명 제형의 나노에멀젼 및 이를 포함한 화장료 조성물
KR20160082054A (ko) 유화제를 함유하지 않는 수중유 유화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29932B1 (ko) 보습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106702A (ko) 천연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다중 라멜라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KR102477246B1 (ko) 난용성 성분 안정화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86316B1 (ko) 경피흡수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