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6702A - 천연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다중 라멜라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천연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다중 라멜라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6702A
KR20190106702A KR1020190021970A KR20190021970A KR20190106702A KR 20190106702 A KR20190106702 A KR 20190106702A KR 1020190021970 A KR1020190021970 A KR 1020190021970A KR 20190021970 A KR20190021970 A KR 20190021970A KR 20190106702 A KR20190106702 A KR 201901067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ramide
cosmetic composition
weight
emulsion cosmetic
polyoxyeth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1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민주
이준배
박명삼
박천호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21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06702A/ko
Publication of KR20190106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67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8Sphingolipids, e.g. ceramides, cerebrosides, ganglios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95Liquid cryst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다중 라멜라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다중 라멜라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은 난용성 피부 지질성분인 천연 세라마이드를 안정화시켜, 천연 세라마이드가 고농도로 포함되면서도 결정화되어 석출되거나 겔화에 의하여 경도가 높아지는 현상을 배제할 수 있어 안정된 형태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천연 세라마이드를 고농도로 포함하면서도 저점도를 유지하여 사용감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천연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다중 라멜라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Multilamellar Emulsio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Natural Ceramide}
본 발명은 천연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다중 라멜라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 각질층의 구조는 피부 고유의 보습 보호 기능을 발휘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특히 각질층의 세포간지질은 각화된 세포 사이에서 라멜라 액정 구조를 형성하여 수분증발을 억제하고, 외부의 유해한 물질들이 피부 속으로 침투하는 것을 막아주는 피부장벽 기능을 수행한다. 세포간지질은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지방산 등의 지질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에서 세라마이드는 세포간지질 성분의 40% 이상을 구성하는 성분이기 때문에 화장품 산업에서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세라마이드는 소수성이고, 결정화 경향이 큰 고(高)난용성 물질이기 때문에 화장품 제형 내에서 겔화(gelation) 또는 결정화되어 석출되는 현상을 일으켜 제형의 안정성을 방해한다.
세라마이드 안정화를 위한 시도로는, 대한민국 특허 제439595호에서는 마이크로 입자크기의 액정캡슐을 만들어 세라마이드를 안정화하였고, 대한민국 특허 제837558호에서는 고압형 유화기를 이용하여 왁스 매트릭스 및 세라마이드를 이중 캡슐화하여 안정화하였고, 대한민국 특허 제713555호에서는 세라마이드를 인지질, 지방산 및 지방알코올의 혼합물로 구성된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하였다. 이러한 캡슐화는 포함할 수 있는 세라마이드의 함량이 감소한다는 문제가 있을뿐만 아니라, 당류계 혹은 고분자 계열의 캡슐화제에 의하여 사용감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세라마이드 용해도를 증진하기 위하여 수상 작용기를 붙여 합성한 세라마이드 유도체(이하, '세라마이드 유도체' 또는 '유사 세라마이드'라 합니다)를 화장품에 적용하여 안정화하려는 시도도 있다. 대한민국 특허 제539965호는 세라마이드 유도체에 다양한 유화제를 조합하여 리포좀 및 에멀젼 형태로 세라마이드 유도체를 안정화하였다. 다만, 이러한 세라마이드 유도체는 인체에 실제로 존재하는 세라마이드가 아니기 때문에 피부 보습 보호 기능에 있어 천연 세라마이드와 같은 탁월한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일 양상은 천연 세라마이드 0.1 내지 10 중량% 및 고급지방알코올 6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다중 라멜라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양상은 (a) 천연 세라마이드 0.1 내지 10 중량% 및 고급지방알코올 6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유상부를 혼합하고 80 내지 90℃ 에서 가온 용해시키는 단계; (b) 물 및 폴리올 성분을 혼합한 수상부를 가온 용해시키는 단계; (c) 상기 유상부를 상기 수상부에 80 내지 90℃ 에서 첨가한 후 교반하는 단계; (d) 상기 교반된 혼합용액에 점증제를 혼합하고 방부제를 첨가한 다음 교반하는 단계; 및 (e) 상기 교반 후 반응물을 30℃까지 냉각한 후 기포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천연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다중 라멜라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양상은 천연 세라마이드 0.1 내지 10 중량% 및 고급지방알코올 6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다중 라멜라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천연 세라마이드를 안정하게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개발에 있어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연구 노력한 결과, 인체에 실제로 존재하는 천연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면서도 고급지방알코올 함량을 최적화하여, 다중 라멜라 구조의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천연 세라마이드가 제형 내에서 석출되지 않으면서도, 겔화 현상 없이 점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제형 내에 안정하게 다량 함유됨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수중유형, 유중수형, 및 비수계 분산 중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일 수 있다. 용어, "수중유형 (oil-in-water: O/W)"은 "수중유 에멀젼 (oil-in-water emulsion)"과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되며, 물에 오일이 분산되어 있는 형태를 의미한다. 용어, "유중수형 (water-in-oil: W/O)"은 "유중수 에멀젼 (water-in-oil emulsion)"과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되며, 오일에 물이 분산되어 있는 형태를 의미한다. 용어, "비수계 분산형 (non-aqueous dispersion)"은 물이 아닌 용매에 분산되어 있는 형태를 의미한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특히 유중수(water-in-oil) 에멀젼 제형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유중수 에멀젼 제형은 일반적인 화장료의 에멀젼 제조에 사용되는 수상부 및 유상부 성분들의 혼합에 의해 종래 알려진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일 구체예는 하기에 기술되었다.
본 발명에서 '천연 세라마이드'는 피부간지질 성분 중 자연계에 존재하는 세라마이드 성분을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되었다. 따라서 합성 세라마이드 또는 유사(pseudo) 세라마이드 등을 제외하는 의미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천연 세라마이드는 세라마이드 1, 세라마이드 2, 세라마이드 3, 세라마이드 4, 세라마이드 5, 세라마이드 6, 세라마이드 7. 세라마이드 8 및 그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인 것일 수 있다. 세라마이드는 두개의 나란한 알킬사슬이 기둥(rod) 형태를 이루고 있고 알코올(-OH) 및 카보닐(C=O) 작용기를 가지고 있어 구조상 라멜라를 이룰 수 있는 알파결정(α-crystal)을 형성할 수 있지만, 이 알파결정 상은 준안정(metastable) 상태이기 때문에 쉽게 감마결정(γ-crystal)으로 전이된다. 또한 대부분의 오일에 용해가 어려운 난용성이기 때문에 에멀젼의 내상에 안정하게 가두기 어려워 화장품 제형에 다량으로 사용하기에는 제약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천연 세라마이드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대비 0.1 내지 10 중량%, 예를 들어, 0.1 내지 7 중량%, 0.1 내지 5 중량%, 0.1 내지 2 중량%, 0.1 내지 1 중량%, 1 내지 10 중량%, 1 내지 5 중량%, 2 내지 7 중량%, 0.5 내지 3 중량%, 0.5 내지 5 중량%, 5 내지 10 중량%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0.1 중량% 미만에서는 세라마이드의 보습 효과가 나타나기 힘들며, 10 중량% 초과의 경우 난용성이 두드러져 제형화가 어려운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에서 '고급지방알코올'은 탄소수 6개 이상의 1가 알코올을 의미할 수 있다. 화장료 조성물에서는 천연 유지나 석유에서 추출되는 고급알코올로 크림형태의 유성 원료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고급지방알코올은 라놀린알코올(lanolin alcohol), 베헤닐알코올(behenyl alcohol, Docosanol), 베타시토스테롤(beta-sitosterol), 세틸알코올(cetyl alcohol), 스테아릴알코올(stearyl alcohol), 아라키딜알코올(arachidyl alcohol, Eicosanol), 옥틸도데칸올(octyl dodecanol), 올레일알코올(oleyl alcohol), 이소스테아릴알코올(isostearyl alcohol), 콜레스테롤(cholesterol), 세토스테아릴알코올(cetostearyl alcohol, cetearyl alcohol)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하나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고급지방알코올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대비 6 내지 10 중량%일 수 있다. 예를 들어, 8 내지 10 중량%, 9 내지 10 중량%일 수 있다. 이하 실험예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6 중량% 미만의 경우에는 천연 세라마이드가 결정화되어 석출되고, 또는 겔화가 진행되어 경도가 화장료 조성물에 적절하지 않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한편, 10 중량% 초과의 경우에는 너무 낮은 경도 및 너무 높은 고급지방알코올 함량으로 인하여, 제형화에 적합한 경도를 얻을 수 없으며, 밀착감 기타 전반적인 사용감이 매우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다중 라멜라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은 왁스류, 계면활성제, 오일, 폴리올 및 그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왁스류'는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왁스류라면 제한이 없으나, 예를 들어, 지방산, 식물성 왁스, 광물성 왁스, 합성 왁스, 오조케라이트, 세틸 팔미테이트, 솔비탄 팔미테이트, 비즈 왁스, 지질 및 지질 펩타이드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왁스류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 내지 30중량%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0.1 내지 30 중량%, 0.1 내지 25 중량%, 0.1 내지 15 중량%, 0.5 내지 10 중량%, 0.5 내지 25 중량%, 0.5 내지 20 중량%, 0.5 내지 15 중량%, 1 내지 15 중량%, 1 내지 30 중량%, 5 내지 25 중량% 또는 10 내지 3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0.1 중량% 미만일 경우 베이스 원료로서의 역할을 다 할 수 없으며, 30 중량% 초과로 포함될 경우 제형 안정성을 구현할 수 없을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계면활성제라면 제한이 없으나, 예를 들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류, 야자유지방산모노에탄올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라우릴황산나트륨, 피로글루타민산이소스테아린산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 알킬벤젠술폰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에테르, 디알킬술포숙신산, 브롬화세틸피리디늄, 염화-n-옥타데실트리메틸 암모늄, 모노알킬인산, N-아실술타민산, N-아실글루타민,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황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 환원 라놀린, 슈거에스테르 및 그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 예를 들면, 0.1 내지 7 중량%, 0.1 내지 5 중량%, 0.1 내지 2 중량%, 0.1 내지 1 중량%, 1 내지 10 중량%, 1 내지 5 중량%, 2 내지 7 중량%, 0.5 내지 3 중량%, 0.5 내지 5 중량%, 5 내지 10 중량%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0.1 중량%보다 계면활성제 함량이 작을 경우, 액정에멀젼 입자가 거대하게 형성되거나 또는 유화자체가 불가능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10 중량% 초과의 계면활성제가 사용될 경우에는 에멀젼 입자가 극히 작게 형성되어 액정의 성질을 보여줄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오일이라면 제한이 없으나, 예를 들어,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세틸 옥타노에이트, 세틸 2-에틸 헥사노에이트, 옥틸-도데실 미리스테이트, C14-18 알킬 에틸헥사토에이트,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 레이트, 데실 코코에이트, 부틸렌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 디이 소스테아릴 말레이트, 디-에스터계 오일은 디카프레이트, 디-C12-13 알킬 말레이트, 네오펜틸 글리콜 디헵타노에이트, 네어펜틸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디카프리릴 카보네이트,트리데실 스테아레이트, 트리데실 트리멜리테이트,수소화 폴리이소부텐, 수소화 폴리이소부텐, 수소화 폴리데켄, 스쿠알란, 호호바유, 피마자유, 올리브유, 대두유, 야자유, 팜유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오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 내지 30 중량%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0.1 내지 30 중량%, 0.1 내지 25 중량%, 0.1 내지 15 중량%, 0.5 내지 15 중량%, 0.5 내지 25 중량%, 0.5 내지 20 중량%, 0.5 내지 15 중량%, 1 내지 15 중량%, 1 내지 30 중량%, 5 내지 25 중량% 또는 10 내지 3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0.1 중량% 미만일 경우 베이스 원료로서의 역할을 다 할 수 없으며, 30 중량% 초과로 포함될 경우 제형 안정성을 구현할 수 없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은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폴리올이라면 제한이 없으나, 예를 들어,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피로글루타민산, 아세틸글루타민산, 프로시아니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올은 예를 들어,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 내지 30 중량%, 0.1 내지 25 중량%, 0.1 내지 15 중량%, 0.5 내지 10 중량%, 0.5 내지 25 중량%, 0.5 내지 20 중량%, 0.5 내지 15 중량%, 1 내지 15 중량%, 1 내지 30 중량%, 5 내지 25 중량% 또는 10 내지 3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0.1 중량% 미만일 경우 베이스 원료로서의 역할을 다 할 수 없으며, 30 중량% 초과로 포함될 경우 제형 안정성을 구현할 수 없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다중 라멜라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은 또한 화장품에 통상 사용되는 추가 성분, 예컨대 물 성분, 보습제, 유화제, 점증제, 분산제, 색소, 향료, 충전제, 보존제, 방부제, 중성화제, 자외선 차단제, 감미료, 비타민, 항산화제, 자유-라디칼 스케빈저, 금속 이온 봉쇄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는 임의의 통상적 미용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점증제로서는, 예를 들어,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메틸폴리실록산, 덱스트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라긴난, 히드록시프 로필메틸셀룰로오스 등을 들 수 있다. 점증제는 0 내지 5 중량%의 비율로 배합될 수 있다.
방부제로서는 안식향산, 살리실산, 디히드로아세트산 혹은 그들의 염류,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의 페놀류, 트리클로산 할로카본 등을 들 수 있다. 방부제는 0 내지 0.3 중량%의 비율로 배합될 수 있다.
물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수돗물, 미네랄 워터, 소금물(salt water), 해수, 해양 심층수, 초순수, 극지(極地) 얼음 유래 물, 미네랄 함유수 (mineral-containing water),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물은 임의의 비율로 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다중 라멜라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가 가능하다. 예시적인 제품 형태는 립스틱, 립 글로스, 립 크림, 아이섀도 등의 메이크업 화장료; 헤어 스틱, 포마드 등의 모발 화장료; 스킨, 수분 젤, 수분 크림, 에멀젼, 에센스, 2단계 에센스, 세럼, 로션, 크림, 액상 파운데이션, 또는 고체 파운데이션 제형등의 기초 화장료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따른 천연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다중 라멜라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의 유리한 특성이 예상된 첨가에 의해 악영향을 받지 않거나 실질적으로 받지 않도록, 임의의 추가 성분 및/또는 이의 양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추가 성분의 배합량은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선정 가능하며, 그 배합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약 0.001 내지 약 50 중량%, 구체적으로 약 0.01 내지 약 10 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험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은 라멜라 구조의 특징인 십자형 모양(Maltese cross)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비교예 1 내지 3의 경우는 고급지방알코올이 제외되거나(0%) 함량이 적음(2, 4 중량%)에 따라 다중 라멜라 구조가 관찰되지 않거나 미약함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천연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면서도 다층 라멜라 구조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도 1), 석출 및 겔화가 일어나지 않으면서도 경도가 적당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도 2). 한편, 사용감 역시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양상은 (a) 천연 세라마이드 0.1 내지 10 중량% 및 고급지방알코올 6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유상부를 혼합하고 80 내지 90℃ 에서 가온 용해시키는 단계; (b) 물 및 폴리올 성분을 혼합한 수상부를 가온 용해시키는 단계; (c) 상기 유상부를 상기 수상부에 80 내지 90℃ 에서 첨가한 후 교반하는 단계; (d) 상기 교반된 혼합용액에 점증제를 혼합하고 방부제를 첨가한 다음 교반하는 단계; 및 (e) 상기 교반 후 반응물을 30℃까지 냉각한 후 기포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천연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다중 라멜라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교반하는 단계는 호모믹서로 교반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다중 라멜라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은 난용성 피부 지질성분인 천연 세라마이드를 안정화시켜, 천연 세라마이드가 고농도로 포함되면서도 결정화되어 석출되거나 겔화에 의하여 경도가 높아지는 현상을 배제할 수 있어 안정된 형태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천연 세라마이드를 고농도로 포함하면서도 저점도를 유지하여 사용감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3의 편광현미경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3의 X-선 산란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5의 60일 동안의 경도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 및 실험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및 실험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실험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5의 제조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단위: 중량%)을 갖는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5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내지 5는 고급지방알코올 함량이 낮거나 높은(각 0, 2, 4, 5, 11 중량%) 화장료 조성물이고, 실시예 1 내지 3은 고급지방알코올 함량이 각 6, 8, 10 중량%인 화장료 조성물이다.
구체적으로는 표 1에 기재된 각 성분과 함량에 따라 각 원료를 비이커에 계량한 후 A상(유상부)을 80 내지 90℃로 가온 용해 시킨 후, 실온의 B상(수상부)에 서서히 투입한다. 이 때, A상과 B상의 혼합물을 일정하게 교반한 후 C파트(점증제)를 투입하여 교반하고, 40℃까지 냉각한 다음, D파트(방부제)를 투입한다. 그 후 냉각하고 기포를 제거하여 각각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A 고급지방알코올 - 2.0 4.0 5.0 11.0 6.0 8.0 10.0
계면활성제 2.0 2.0 2.0 2.0 2.0 2.0 2.0 2.0
천연 세라마이드 3.0 3.0 3.0 3.0 3.0 3.0 3.0 3.0
오일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B 정제수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글리세린 5.0 5.0 5.0 5.0 5.0 5.0 5.0 5.0
부틸렌글라이콜 5.0 5.0 5.0 5.0 5.0 5.0 5.0 5.0
C 점증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D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실험예 1: 화장료 조성물 입자 특성 확인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3의 입자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편광현미경으로 각 조성물을 관찰하고 사진을 촬영하여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고급지방알코올의 함량이 높을수록 입자의 크기가 큰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 내지 3에서는 다중 라멜라 구조의 특징인 십자형 모양(Maltese cross)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비교예 1 내지 3의 경우는 고급지방알코올이 제외되거나(0%) 함량이 적음(2, 4 중량%)에 따라 다중 라멜라 구조가 관찰되지 않거나 미약함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천연 세라마이드의 경우 가장 적정한 농도인 6 내지 10 중량%의 고급지방알코올에 의하여 안정된 입자를 형성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실험예 2: 제형 내 천연 세라마이드 안정도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3의 제형 내 천연 세라마이드 안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X-선 산란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으며, 도 2는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3의 X-선 산란 그래프이다.
비교예 1 및 2 조성물의 경우, 빨간색 점선으로 표시한 것과 같이, 천연 세라마이드 고유의 결정 피크(peak)가 관찰되었고, 이는 천연 세라마이드가 결정화되고 석출되었음을 의미한다. 비교예 1의 조성물은 세라마이드의 석출이 가장 크게 일어났으며, 이는 편광현미경으로 제형을 관찰했을 때 에멀젼과 함께 결정상이 공존하는 것을 확인한 결과와 경향성이 일치한다.
실시예 1 내지 3 조성물의 경우는 별도의 세라마이드 석출 피크 없이 제형의 피크만 관찰되었다. 이는 고급지방알코올의 함량이 적정하여 천연 세라마이드가 제형 내에 안정하게 포함될 수 있었다는 점을 보여준다.
실험예 3: 경도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5의 물성을 평가하기 위해 제조 후 시간 경과에 따른 경도 변화를 관찰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조성물을 200 mL 시료 용기에 넣은 후에 레오미터(Rheometer)를 이용하여 경도를 60일 동안 측정하였다. 도 3은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3의 시간 경과에 따른 경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비교예 1 조성물의 경우, 세라마이드의 석출이 가장 크게 일어남을 X-선 회절 분석을 통해 확인했다. 세라마이드가 에멀젼 내에 안정화하지 못하고 완전히 탈리되었기 때문에 경도가 가장 낮고, 변화도 작게 관찰되었다.
비교예 2 내지 4 조성물의 경우, 시간 경과에 따라 경도의 변화가 크게 관찰되었다. 비교예 1과 다르게 완전히 세라마이드 석출이 일어난게 아니라, 부분적으로 석출이 일어나거나 세라마이드가 에멀젼 내에 불안정하게 위치하고 있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겔화가 일어나 경도의 변화가 컸다.
실시예 1 내지 3 조성물의 경우, 시간 경과에 따라 경도 변화가 작게 관찰되었다. 세라마이드가 에멀젼 내에 안정화되어 경도가 전체적으로 낮으면서 변화도 적은 안정한 제형임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 사용감 관능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5의 사용감을 평가하기 위하여 성인 여성 30명을 대상으로,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3를 각 군에 적절히 조절하여 얼굴 양쪽 부위에 사용하게 한 후, 하기 평가 기준에 따라 바를 때 느끼는 발림성, 영양감의 사용감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상기 기준 중 발림성은 피부에 펴 발리는 느낌으로 피부에 부드럽게 발리는 성질로 뻑뻑함, 끈적임 없이 발리는 것을 포함한다. 영양감은 피부에 도포 시 피부에 영양과 보습을 부여하는 느낌을 말한다. 밀착성은 피부에 도포 시 조성물이 피부 표면에 얇게 발려 피부에 달라붙는 느낌을 말한다. 이와 같은 세 가지 기준은 화장료로서의 사용 가치를 높여주며 특히 탄력감과 밀착성은 기능성 화장료의 중요한 특징이 될 수 있다.
<평가기준>
24명 이상의 여성이 우수하다고 판정 : ◎
18-23명의 여성이 우수하다고 판정 : O
10-17명의 여성이 우수하다고 판정 : △
10명 이하의 여성이 우수하다고 판정 : X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발림성 X X
영양감 X
밀착성 X
전반적인 만족도 X X
상기 표 2에 나타낸 결과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5 조성물의 비교한 평가 결과, 본 발명의 조성물(실시예 1 내지 3)이 발림성, 영양감, 밀착성 및 전반적인 만족도가 나머지 조성물(비교예 1 내지 5)보다 월등하게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실시예 3은 전반적으로 사용감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급지방알코올이 존재하지 않거나 함량이 낮은 비교예 1 및 2는 발림성 및 영양감이 매우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비교예 3 및 4는 발림성이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고급지방알코올의 함량이 가장 큰 비교예 5는 너무 고농도의 고급지방알코올 때문에 밀착성, 영양감이 하락하여 전반적인 만족도가 매우 낮았다. 이로써 고급지방 알코올의 함량이 어느 이상이 되면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적 점도가 너무 낮아져 영양감이 줄어들 뿐만 아니라, 도포 후 피부에 남는 느낌이 커 밀착성이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3 화장료 조성물은 난용성 피부 지질성분인 천연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면서도 제형 안정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화장료로 사용하기에 가장 적합한 형태인 것을 확인하였다.

Claims (8)

  1.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천연 세라마이드 1 내지 4 중량% 및 세토스테아릴 알코올(Cetostearyl alcohol) 6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다중 라멜라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중 라멜라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은 유중수(water-in-oil) 에멀젼 제형인 것인 다중 라멜라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중 라멜라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은 왁스류, 계면활성제, 오일, 폴리올 및 그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다중 라멜라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류, 야자유지방산모노에탄올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라우릴황산나트륨, 피로글루타민산이소스테아린산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 알킬벤젠술폰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에테르, 디알킬술포숙신산, 브롬화세틸피리디늄, 염화-n-옥타데실트리메틸 암모늄, 모노알킬인산, N-아실술타민산, N-아실글루타민,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황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 환원 라놀린, 슈거에스테르 및 그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인 것인 다중 라멜라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천연 세라마이드는 세라마이드 1, 세라마이드 2, 세라마이드 3, 세라마이드 4, 세라마이드 5, 세라마이드 6, 세라마이드 7. 세라마이드 8 및 그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인 것인 다중 라멜라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천연 세라마이드는 세라마이드 3인 것인 다중 라멜라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토스테아릴 알코올은 8 내지 10 중량% 포함되는 것인 다중 라멜라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8. (a)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천연 세라마이드 1 내지 4 중량% 및 세토스테아릴 알코올(Cetostearyl alcohol) 6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유상부를 혼합하고 80 내지 90℃ 에서 가온 용해시키는 단계;
    (b) 물 및 폴리올 성분을 혼합한 수상부를 가온 용해시키는 단계;
    (c) 상기 유상부를 상기 수상부에 80 내지 90℃ 에서 첨가한 후 교반하는 단계;
    (d) 상기 교반된 혼합용액에 점증제를 혼합하고 방부제를 첨가한 다음 교반하는 단계; 및
    (e) 상기 교반 후 반응물을 30℃까지 냉각한 후 기포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천연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다중 라멜라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90021970A 2019-02-25 2019-02-25 천연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다중 라멜라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KR201901067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970A KR20190106702A (ko) 2019-02-25 2019-02-25 천연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다중 라멜라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970A KR20190106702A (ko) 2019-02-25 2019-02-25 천연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다중 라멜라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8290 Division 2018-03-09 2018-03-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6702A true KR20190106702A (ko) 2019-09-18

Family

ID=68071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1970A KR20190106702A (ko) 2019-02-25 2019-02-25 천연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다중 라멜라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0670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18044A1 (ko) * 2019-12-11 2021-06-17 코스맥스 주식회사 난용성 물질의 안정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08608B1 (ko) * 2023-02-07 2023-12-04 주식회사 유어초이스바이씨랩 피부 보습 및 피부 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18044A1 (ko) * 2019-12-11 2021-06-17 코스맥스 주식회사 난용성 물질의 안정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73957A (ko) * 2019-12-11 2021-06-21 코스맥스 주식회사 난용성 물질의 안정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104616A (ko) * 2019-12-11 2021-08-25 코스맥스 주식회사 난용성 물질의 안정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108927A (ko) * 2019-12-11 2021-09-03 코스맥스 주식회사 난용성 물질의 안정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08608B1 (ko) * 2023-02-07 2023-12-04 주식회사 유어초이스바이씨랩 피부 보습 및 피부 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209213T2 (de) Lichtdurchlässige Nanoemulsion, ihr Herstellungsverfahren und ihre Verwendungen in der Kosmetik, Dermatologie und/oder Ophthalmologie
EP1380278A1 (en) Cosmetic emulsion preparation and agent for external use
KR101867847B1 (ko) 재결정 입자를 갖는 수중유 유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60130215A (ko) 수중유형 유화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사용한 피부외용제 및 화장품
KR101762416B1 (ko) 화장료용 마이셀 조성물
KR20160116877A (ko) 라멜라 액정 구조를 가지는 다중 에멀전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US10342755B2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specific combination of surfactants
JP2013006790A (ja) O/w型エマルジョン
KR102359729B1 (ko) 유화 제형의 끈적임 저감 및 투명도 향상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80459B1 (ko) 활성 성분 안정화 및 피부 흡수 촉진을 위한 다중 에멀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KR20180023537A (ko) 고함량의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106702A (ko) 천연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다중 라멜라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JP2005179313A (ja) 皮膚化粧料用基剤の製造方法および皮膚化粧料
KR101868481B1 (ko) 눈꽃모양 입자를 형성하는 보습 크림의 화장료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KR102500905B1 (ko) 천연 세라마이드를 함유한 반투명 제형의 나노에멀젼 및 이를 포함한 화장료 조성물
KR100527346B1 (ko) 유사 세라마이드를 함유한 다중 라멜라 에멀젼 형태의 화장료
KR102138733B1 (ko) 인지질 나노구조체를 함유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06722B1 (ko) 저점도 수중유중수형 다중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WO2015064681A1 (ja) 外用組成物
JP2006045061A (ja) セラミド類含有組成物、セラミド類含有水性製剤及びこれらを含有する飲食料、化粧料、皮膚外用剤
TW202308591A (zh) 化妝料
WO2019172640A1 (ko) 천연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다중 라멜라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JP2000072618A (ja) 皮膚外用剤用乳化剤
KR102236418B1 (ko) 청량감을 갖는 세라마이드 함유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44391B1 (ko) 안정도가 개선된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