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8608B1 - 피부 보습 및 피부 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 보습 및 피부 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8608B1
KR102608608B1 KR1020230016121A KR20230016121A KR102608608B1 KR 102608608 B1 KR102608608 B1 KR 102608608B1 KR 1020230016121 A KR1020230016121 A KR 1020230016121A KR 20230016121 A KR20230016121 A KR 20230016121A KR 102608608 B1 KR102608608 B1 KR 1026086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weight
oil
moisturizing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6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어초이스바이씨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어초이스바이씨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어초이스바이씨랩
Priority to KR1020230016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86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8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86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8Sphingolipids, e.g. ceramides, cerebrosides, ganglios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2Alcohols having more than seven atoms in an unbroken ch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2Starch; Amylose; Amylopectin;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7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insects, e.g. shella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Zo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올, 항산화제, 오일점증제, 및 잔량으로서 정제수를 포함하는 수상부 80~85중량%, 식물성 오일,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및 세라마이드엔피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피부컨디셔닝제 12~18.9중량% 유화안정제 1~5중량% 및 수분증발차단제 0.1~2중량%를 포함하되, 수상부/식물성 오일의 중량비는 6~10인 피부 보습 및 피부 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피부 보습 및 피부 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MOISTURIZING AND ENHANCING SKIN BARRIER}
본 발명은 피부 보습 및 피부 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외부 환경과 항상 접하고 있는 기관으로 외부의 물리적 손상 및 화학물질 등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고, 세균, 곰팡이, 바이러스 등이 피부로 침범하는 것을 방지하며, 수분 손실을 막는 보호장벽 역할을 수행한다. 피부는 표피층, 진피층, 피하지방층 등 3개의 층으로 구성되고, 표피층의 가장 바깥에 존재하는 각질층에는 천연지질방어막인 수지질막이 있어 외부로부터 침입하는 유해한 물질들과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항원을 막아주고 피부표면에서 과도한 수분의 증발을 억제해 적정한 유수분을 보존한다. 이 수지질막이 약해지면 피부장벽이 무너지게 되고 각질층의 표피세포는 와해되며 해로운 외부 요인들에 취약해져 공기 중에 수분을 빼앗기는 경피수분손실이 일어나면서 피부는 건조해지며 가려운 증상이 나타나기도 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갈라짐 등의 증상이 동반되기도 한다. 이러한 증상으로 고통받는 현대인이 증가하면서 특허문헌 1, 2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보습감을 갖으면서도 인체에 무해한 천연성분을 적용한 다양한 보습제품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수상성분과 유상성분의 혼합을 위해 다량의 유화제를 사용하고 있어 피부에 알레르기 등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20294호 (2016.05.04)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10170호 (2021.09.30)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 세라마이드 및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를 적용함과 동시에 식물성 오일의 함량을 조절함으로써 별도의 유화제 첨가 없이도 수상부에 쉽게 용해될 수 있는 피부 보습 및 피부 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보습 및 피부 장벽 강화용 화장료 폴리올, 항산화제, 오일점증제, 및 잔량으로서의 정제수를 포함하는 수상부 80~85중량%, 식물성 오일,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및 세라마이드엔피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피부컨디셔닝제 12~18.9중량% 유화안정제 1~5중량% 및 수분증발차단제 0.1~2중량%를 포함하되, 수상부/식물성 오일의 중량비는 6~10이다.
여기서, 상기 식물성 오일은 쌀겨오일, 해바라기씨오일, 올리브오일, 캐스터오일, 팜오일, 호호바오일 및 코코넛야자오일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상부는 정제수 66~70중량%, 폴리올 10~15중량%, 항산화제 0.1~1중량%와, 오일점증제 0.1~0.5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세라마이드 및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를 적용함과 동시에 식물성 오일의 함량을 조절함으로써 별도의 유화제 첨가 없이도 수상부에 쉽게 용해되어 다양한 제형 제조가 가능하고 유화제로 인한 피부 알레르기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상부/식물성 오일의 중량비를 6~10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제형 안정성이 향상되어 피부에 도포 및 흡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피부 보습과 피부장벽 강화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는 하나, 본 발명이 도시된 실시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에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 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보습 및 피부 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은 세라마이드 및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를 적용함과 동시에 식물성 오일의 함량을 조절하여 기존 천연유래 소재 화장료 조성물이 수중유형(O/W)으로 제조 시 다량의 유화제를 필요로 했던 문제를 해결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피부 보습 및 피부 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보습 및 피부 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은 수상부 80~85중량%, 식물성 오일,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Glyceryl Stearate) 및 세라마이드엔피(Ceramide NP)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피부컨디셔닝제 12~18.9중량% 유화안정제 1~5중량% 및 수분증발차단제 0.1~2중량%를 포함하되, 수상부/식물성 오일의 중량비는 6~10범위일 수 있다.
상기 언급한 수상부/식물성 오일의 중량비를 만족하는 경우에는 제형 안정성이 향상되어 피부에 도포 및 흡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피부 보습과 피부장벽 강화 효과가 우수할 수 있으나, 상기 언급한 수상부/식물성 오일의 중량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수상부에 비해 식물성 오일의 함량비가 높아 제대로 섞이지 못한 여분의 식물성 오일이 화장료 표면으로 부유하여 제형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
수상부는 정제수, 폴리올, 항산화제와, 오일점증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정제수는 용매로 사용되는 물질로, 화장료 조성물의 각각의 성분을 용해시키고 피부 침투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정제수는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66~70중량%로 포함될 수 있는데, 이는 정제수가 66중량% 미만이면, 화장료 조성물 각각의 성분이 고르게 분산되기 어렵고, 70중량%를 초과하면, 점성이 낮아서 쉽게 흘러 사용감이 나빠질 수 있다.
폴리올은 피부에 보습을 제공하는 물질로, 글리세린(Glycerin), 소르비톨(Sorbitol), 에리스리톨(Erythritol), 말티톨(Maltitol), 에칠헥산디올(Ethyl Hexanediol), 1,2-헥산디올(1,2-Hexanediol), 피이지/피피지/폴리부틸렌글리콜-8/5/3글리세린(PEG/PPG/Polybutylene Glycol-8/5/3Glycol),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폴리프로필렌글리콜(Polypropylene Glycol), 디프로필렌글리콜(Dipropylene Glycol),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부틸렌글리콜(Butylene Glycol) 및 펜틸렌글리콜(Pentylene Glycol)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린(Glycerin), 1,2-헥산디올(1,2-Hexanediol) 및 부틸렌글리콜(Butylene Glycol)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린(Glycerin), 1,2-헥산디올(1,2-Hexanediol) 및 부틸렌글리콜(Butylene Glycol)이 1: 1~3: 9~12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폴리올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10~15중량%로 포함될 수 있는데, 이는 폴리올이 10중량% 미만이면, 피부에 도포 후 보습력 유지 시간이 짧을 수 있고, 15중량%를 초과하면, 제형이 탁해지고 사용감이 나빠질 수 있다.
항산화제는 피부세포 손상을 막고 회복시키는 역할을 하는 물질로, 아시아티코사이드(Asiaticoside), 마데카소사이드(Madecassoside), 로즈마리잎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항산화제는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1중량%로 포함될 수 있는데, 이는 항산화제가 0.1중량% 미만이면, 피부 산화 방지 또는 피부 회복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1중량%를 초과하면, 필요 이상의 사용으로 인한 효과는 그 비용대비 그다지 크지 않을 수 있다.
오일점증제는 유상부의 고유한 특성을 유지시키면서 점증시키는 역할을 하는 물질로, 덱스트린(Dextrin), 메틸셀룰로오스(Methyl Cellulose), 에틸셀룰로오스(Ethyl Cellulose),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Hydroxymethyl Cellulose),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Hydroxyethyl Cellulose) 및 귀리커넬가루(Avena Sativa (Oat) Kernel Flour)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덱스트린(Dextrin) 및 귀리커넬가루(Avena Sativa (Oat) Kernel Flour)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오일점증제는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0.5중량%로 포함될 수 있는데, 이는 오일점증제가 0.1중량% 미만이면, 유상부의 겔화가 어려울 수 있고, 0.5중량%를 초과하면, 점도가 상승되어 밤 형태가 될 수 있다.
하기 후술할 피부컨디셔닝제, 유화안정제와, 수분증발차단제는 유상부에 해당되는 물질일 수 있다.
피부컨디셔닝제는 피부에 도포 후 보습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물질로, 식물성 오일,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Glyceryl Stearate) 및 세라마이드엔피(Ceramide NP)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식물성 오일,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Glyceryl Stearate) 및 세라마이드엔피(Ceramide NP) 가 947~1185: 250: 1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세라마이드 및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를 적용함과 동시에 식물성 오일의 함량을 조절함으로써 별도의 유화제 첨가 없이도 수상부에 쉽게 용해되어 다양한 제형 제조가 가능하고 유화제로 인한 피부 알레르기를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피부컨디셔닝제는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12~18.9중량%로 포함될 수 있는데, 이는 피부컨디셔닝제가 12중량% 미만이면, 피부 도포 시 수상부와 함께 쉽게 증발되어 피부에서의 보습력을 장시간 유지하기 어려울 수 있고, 18.9중량%를 초과하면, 필요 이상의 사용으로 인한 그 효과는 그다지 크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식물성 오일은 쌀겨오일(Oryza Sativa (Rice) Bran Oil), 해바라기씨오일(Helianthus Annuus (Sunflower) Seed Oil), 올리브오일(Olea Europaea (Olive) Fruit Oil), 캐스터오일(Castor Oil), 팜오일(Palm Oil), 호호바오일(Jojoba Oil) 및 코코넛야자오일 (Cocos Nucifera (Coconut) Oil)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쌀겨오일(Oryza Sativa (Rice) Bran Oil), 해바라기씨오일(Helianthus Annuus (Sunflower) Seed Oil) 및 올리브오일(Olea Europaea (Olive) Fruit Oil)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쌀겨오일(Oryza Sativa (Rice) Bran Oil), 해바라기씨오일(Helianthus Annuus (Sunflower) Seed Oil) 및 올리브오일(Olea Europaea (Olive) Fruit Oil)이 5~6: 1: 1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피부에 피부 흡수력이 탁월하여 피부 보습력을 장시간 유지할 수 있다.
유화안정제는 오일을 유화시키기에는 유화력이 부족하여 유화제라고는 할 수 없지만 유화안정성에 도움을 주는 물질로, 비즈왁스(Bees Wax), 카르나우바왁스(Carnauba Wax), 파라핀왁스(Paraffin Wax), 세테아릴알코올(Cetearyl Alcohol), 베헤닐알코올(Behenyl Alcohol), 세틸알코올(Cetyl Alcohol) 및 스테아릴알코올(Stearyl Alcohol)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비즈왁스(Bees Wax), 세테아릴알코올(Cetearyl Alcohol) 또는 이들의 혼합물, 가장 바람직하게는 비즈왁스(Bees Wax) 및 세테아릴알코올(Cetearyl Alcohol)이 1: 1.2~2.5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유화안정제는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1~5중량%로 포함될 수 있는데, 유화안정제가 1중량% 미만이면, 분산 안정도가 좋지 않아 제형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고, 5중량%를 초과하면, 점도 상승으로 이해 뭉침 현상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사용감 및 발림성이 저하될 수 있다.
수분증발차단제는 피부로부터 수분이 증발되는 것을 방지하는 물질로, 세틸팔미테이트(Cetyl Palmitate)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수분증발차단제는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2중량%로 포함될 수 있는데, 수분증발차단제가 0.1중량% 미만이면, 피부의 수분 증발 방지 효과가 미미하며 피부 각질과 트러블을 유발할 수 있고, 2중량%를 초과하면, 필요 이상의 사용으로 인한 효과는 그다지 크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피부 보습 및 피부 장벽 강화는 피부재생기능, 피부산화방지, 피부염증억제 및 피부주름방지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효능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피부 보습 및 피부 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은 수상부와 피부컨디셔닝제, 유화안정제와, 수분증발차단제로 이루어진 유상부를 각각 85~90℃에서 용해 및 혼합한 후 유상부를 15~40rpm으로 교반한 다음 수상부를 투입하고 1000~4000rpm으로 5~10분동안 혼합하고 25~35℃로 급냉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85~90℃의 높은 온도로 가온된 유상부에 수상부를 투입합으로써 비교적 작은 크기의 유상입자를 수득할 수 있으며, 급냉을 통해 안정도를 보다 증대할 수 있다.
실시예 1: 피부 보습 및 피부 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
하기 표 1에 기재된 성분 및 함량으로 이루어진 수상부와 유상부를 각각 90℃에서 용해 및 혼합한 후 유상부를 30rpm으로 교반하였다. 그리고 수상부를 투입하여 3000rpm으로 10분간 혼합한 다음 30℃로 급냉하여 피부 보습 및 피부 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1에서 수상부 및 유상부의 함량은 중량%이다.
구분 성분 실시예 1 실시예 2
수상부 정제수 66.637 69.47
폴리올 부틸렌글리콜 10 10
1,2-헥산디올 2 2
글리세린 1 0.84
항산화제 아시아티코사이드 0.1 0.1214
마데카소사이드 0.7 0.68
로즈마리잎추출물 0.0015 0.00012
오일점증제 덱스트린 0.2 0.1986
귀리커넬가루 0.0015 0.00012
유상부 피부컨디셔닝제 쌀겨오일 8.55 6.83976
해바라기씨오일 1.65 1.32
올리브오일 1.65 1.32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2.5 2.5
세라마이드엔피 0.01 0.01
유화안정제 세테아릴알코올 2.5 2.5
비즈왁스 1.5 1.2
수분증발차단제 세틸팔미테이트 1 1
비교예 1 내지 5: 피부 보습 및 피부 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
하기 표 2에 기재된 성분 및 함량으로 적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피부 보습 및 피부 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분 성분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수상부 정제수 66.2 77.81 71.5 67.6 75.45
폴리올 부틸렌글리콜 10 10 10 10 10
1,2-헥산디올 2 2 2 2 2
글리세린 1 1 1 1 1
항산화제 아시아티코사이드 0.1 0.1 0.1 0.1 0.1
마데카소사이드 0.7 0.7 0.7 0.7 0.7
오일점증제 덱스트린 0.2 0.2 0.2 0.2 0.2
유상부 피부
컨디셔닝제
쌀겨오일 11.4 1.15 5.7 8.5 2.85
해바라기씨오일 2.2 0.22 1.1 1.65 0.55
올리브오일 2.2 0.22 1.1 1.65 0.55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 2.5 2.5 2.5 2.5
세라마이드엔피 - 0.1 0.1 0.1 0.1
유화안정제 세테아릴알코올 2.5 2.5 2.5 2.5 2.5
비즈왁스 1.5 1.5 1.5 1.5 1.5
실험예 1: 보존 안정성 평가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보습 및 피부 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의 보존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해 항온조(0℃, 40℃, 45℃, 50℃, cycle) 및 실온에서 4주 동안 매주 제형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1 비교예 1
0℃ 1주차
2주차 X
3주차 X
4주차 X
40℃ 1주차
2주차 X
3주차 X
4주차 X
45℃ 1주차
2주차 X
3주차 X
4주차 X
50℃ 1주차
2주차 X
3주차 X
4주차 X
cycle 1주차 X
2주차 X
3주차 X
4주차 X
실온 1주차
2주차
3주차
4주차 X
○: 양호, △: 불안정, X: 분리
표 3을 참조하면, 실시예 1이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와 세라마이드엔피가 결여된 비교예 1에 비해 보존안정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1의 경우 1주차를 제외하고는 모든 온도 조건에서 수상부와 유상부가 분리되어 보존안정성이 매우 좋지 못하였다.
실험예 2: 보습 평가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보습 및 피부 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의 보습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40~60세 여성 5명을 대상으로 제품 도포 전, 도포 직후, 및 시간 경과에 따른 피부 수분도를 Corneo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각 시험 제품을 바르기 전 물로 세안 진행하고 세안 1분 후 피부 수분도를 측정하였다. 시험 제품을 시험 부위에 적용시킨 후, 도포 직후, 2시간 경과 후, 8시간 경과 후의 피부 수분도를 각각 3회 측정하여 평균값을 산출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4에 나타내었다.
단위는 단위상수인 A.U.이며 피부 보습량과 측정값은 비례한다.
구분 사용 전 도포 직후 2시간 경과 8시간 경과
무도포 19.001±5.1125 20.44±5.11 20.43±5.21 20.18±5.18
실시예 1 19.584±5.816 30.97±5.48 56.81±5.39 58.50±4.98
실시예 2 19.232±6.353 30.84±5.21 55.85±6.35 58.10±5.95
비교예 1 20.211±7.168 31.47±7.24 24.21±7.11 23.18±7.31
비교예 2 19.376±6.022 29.88±6.14 38.94±6.21 40.47±5.97
비교예 3 19.216±5.273 30.64±5.24 42.55±5.11 44.78±5.01
비교예 4 20.213±6.373 30.14±6.41 45.18±6.12 47.44±6.64
비교예 5 19.784±5.891 29.11±5.87 32.54±5.77 39.59±5.88
표 4를 참조하면, 도포 직후에는 실시예 1, 2와 비교예 1 내지 5에서 모두 사용 전과 비교하여 피부 수분도가 증가하였으나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와 세라마이드엔피가 결여된 비교예 1은 도포 2시간 경과 후부터는 보습 효과가 확인되지 않았다. 실시예 1, 2와 비교예 2 내지 5에서는 도포 8시간 경과 후에도 피부 수분도가 높은 상태로 유지됨을 확인하였다. 특히, 식물성 오일의 함량이 높은 실시예 1, 2의 피부 수분도가 가장 높게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이상, 본 발명의 관련 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기재되는 모든 간행물의 내용은 본 발명에 도입된다.

Claims (8)

  1. 폴리올 10~15중량%, 항산화제 0.1~1중량%, 오일점증제 0.1~0.5중량%, 및 정제수 66~70중량%를 포함하는 수상부 80~85중량%;
    식물성 오일,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및 세라마이드엔피를 포함하는 피부컨디셔닝제 12~18.9중량%;
    유화안정제 1~5중량%; 및
    수분증발차단제 0.1~2중량%를 포함하되, 수상부/식물성 오일의 중량비는 6~10이고,
    상기 피부컨디셔닝제는 상기 식물성 오일,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및 세라마이드엔피가 947~1185: 250: 1 중량비로 혼합된 것이며,
    상기 항산화제는 아시아티코사이드, 마데카소사이드 및 로즈마리잎추출물이고, 상기 오일점증제는 덱스트린 및 귀리커넬가루이며, 상기 식물성 오일은 쌀겨오일, 해바라기씨오일 및 올리브오일이고, 상기 수분증발차단제는 세틸팔미테이트인 피부 보습 및 피부 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은 글리세린, 소르비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에칠헥산디올, 1,2-헥산디올, 피이지/피피지/폴리부틸렌글리콜-8/5/3글리세린,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및 펜틸렌글리콜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피부 보습 및 피부 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안정제는 비즈왁스, 카르나우바왁스, 파라핀왁스, 세테아릴알코올, 베헤닐알코올, 세틸알코올 및 스테아릴알코올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피부 보습 및 피부 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7. 삭제
  8. 삭제
KR1020230016121A 2023-02-07 2023-02-07 피부 보습 및 피부 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086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6121A KR102608608B1 (ko) 2023-02-07 2023-02-07 피부 보습 및 피부 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6121A KR102608608B1 (ko) 2023-02-07 2023-02-07 피부 보습 및 피부 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8608B1 true KR102608608B1 (ko) 2023-12-04

Family

ID=89165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6121A KR102608608B1 (ko) 2023-02-07 2023-02-07 피부 보습 및 피부 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860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0382A (ko) * 2013-07-19 2015-01-28 한국콜마주식회사 세라마이드 액정에 의한 크리스탈 외관을 가지는 피부 보습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620294B1 (ko) 2013-01-31 2016-05-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실온 충진이 가능한 고경도 화장료 조성물
KR20190106702A (ko) * 2019-02-25 2019-09-18 코스맥스 주식회사 천연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다중 라멜라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KR102310170B1 (ko) 2019-11-04 2021-10-08 아이큐어 주식회사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0294B1 (ko) 2013-01-31 2016-05-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실온 충진이 가능한 고경도 화장료 조성물
KR20150010382A (ko) * 2013-07-19 2015-01-28 한국콜마주식회사 세라마이드 액정에 의한 크리스탈 외관을 가지는 피부 보습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90106702A (ko) * 2019-02-25 2019-09-18 코스맥스 주식회사 천연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다중 라멜라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KR102310170B1 (ko) 2019-11-04 2021-10-08 아이큐어 주식회사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7608B1 (ko) 에멀젼화된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E102004016710B4 (de) Formulierung zur Fußpflege
KR101466650B1 (ko) 폴리올 및 유화제를 포함하는 저 자극 및 고 보습성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09980B1 (ko) 보습 복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WO2016159457A1 (ko) 식물 유래 천연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07090B1 (ko) 보습력이 우수한 젤 타입의 에센스 화장료 조성물
KR101070819B1 (ko) 폴리 이온 복합체를 이용한 실리콘 중수 및 수중 실리콘 유화형 화장료 조성물
KR20160065658A (ko) 유화제를 함유하지 않는 워셔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KR100722677B1 (ko) 고내상 유중수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
KR102608608B1 (ko) 피부 보습 및 피부 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56116B1 (ko) 천연 추출물과 천연오일을 포함한 나노 액정 에멀젼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20096664A (ko) 실리콘중수형 유화액 및 이를 포함하는 유성 화장료 조성물
KR102560840B1 (ko) 다층상 화장료 조성물
KR102563508B1 (ko) 고함량의 오일을 안정화시킨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102509002B1 (ko) 고함량의 버터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101992104B1 (ko)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85428B1 (ko) 저자극 수중유 유화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26209B1 (ko) 액정 에멀전 기반의 저점도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WO2009115216A1 (de) Verwendung eines bestandteils oder extraktes aus der baobab-pflanze bei hauterkrankungen
KR102428284B1 (ko) 다당류 점증제를 포함하지 않는 피지 흡착 크림 조성물
KR20140092491A (ko) 온열 마사지 화장료 조성물
KR102211941B1 (ko) 에리스리톨과 디실록산을 포함하는 냉감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96011B1 (ko) 세라마이드를 함유하는 α-겔 구조의 화장료 조성물
CN108743499B (zh) 一种高渗透性保湿面霜及其制备方法
KR101638013B1 (ko) 안정한 수중유형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