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6011B1 - 세라마이드를 함유하는 α-겔 구조의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세라마이드를 함유하는 α-겔 구조의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6011B1
KR102096011B1 KR1020180155658A KR20180155658A KR102096011B1 KR 102096011 B1 KR102096011 B1 KR 102096011B1 KR 1020180155658 A KR1020180155658 A KR 1020180155658A KR 20180155658 A KR20180155658 A KR 20180155658A KR 102096011 B1 KR102096011 B1 KR 1020960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gel
present
skin
alkyl phosph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5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경원
김재영
이광식
이건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to KR1020180155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60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6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60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8Sphingolipids, e.g. ceramides, cerebrosides, ganglios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라마이드를 함유하는 라멜라 구조의 α-겔 화장료 조성물로서, 세라마이드, 레시틴, 올레산 에스테르계 유화제, 알킬인산염, 고급 알코올, 중화제를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세라마이드를 함유한 라멜라 α-겔 구조의 화장료 조성물은 보습효과 및 피부 장벽 개선 효과가 탁월하며, 기존 α-겔 O/W 유화화장료의 낮은 점도 경시 안정성이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Description

세라마이드를 함유하는 α-겔 구조의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Of α-Gel Structure Containing Ceramide}
본 발명은 세라마이드 성분을 함유하는 α-겔 구조의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세라마이드, 레시틴 및 올레산 에스테르계 유화제를 포함하여, 피부 보습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다중층상의 라멜라 구조를 형성하는 조성물을 제조하여 사용할 경우, 이러한 조성물이 피부 보습 및 장벽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것은 화장품 인지질로 구성된 일종의 판막 구조의 유화 형태로서, 오일층과 수상층이 차례로 블록을 쌓아놓은 형태인 라멜라 구조가 갖는 구조적인 특성으로 인한 것이다.
라멜라 구조가 형성되면 유화 입자의 점도는 높아지고 구조적으로도 안정하게 되며, 일반 O/W, W/O 구조와 비교 시 라멜라 구조의 특징상 높은 보습력을 갖는 장벽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보통 에멀젼 구조는 외상이 물인 O/W형으로 도포 시 외상인 수분이 증발되어 에멀젼의 균형이 깨지며 그 기능이 상당히 감소되게 된다. 또한 W/O상은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에는 적합하지만 사용감이 떨어진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이에 반해, 라멜라 구조는 오일층과 수상층이 다층으로 구성되어 있어 이 모두를 해결할 수 있는 좋은 구조를 갖고 있다.
본 발명에서 라멜라 구조를 형성하는 α-겔(α-gel)은, 탄소수 16이상의 직쇄상 고급 알코올 또는 미중화의 지방산과, 친수성 계면활성제가, 물과의 공존 하에서 형성하는 라멜라상의 2분자막으로 이루어진 회합체이다. 상기 고급 알코올과 계면활성제는 상기 2분자막 내에서 3:1의 분자비로 규칙적으로 배치(구체적으로는 고급 알코올의 친수기가 육각형의 모서리에, 계면활성제의 친수기가 육각형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배치)하고, 육방정계를 형성하고 있다. 라멜라 액정과 구조적으로 닮아 있지만, 라멜라 액정보다도 알킬사슬의 패킹이 높으므로 폐색성이 높고, 보수성도 우수하므로, α-겔을 이용한 상기 안정화 기술은 O/W 유화화장료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α-겔을 포함하는 O/W 유화화장료는 점도의 경시안정성이 낮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점도가 상승하는(즉, 제품이 점차 단단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10382호는 세라마이드 액정에 의한 크리스탈 외관을 가지는 피부 보습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105153호는 보습 펩타이드, 세라마이드를 함유하는 투명한 젤상 가용화 조성물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점도의 경시변화가 매우 적고, 유화 안정성이 우수하며, 피부 보습 및 피부 장벽 개선의 효과를 높인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세라마이드, 레시틴 및 올레산 에스테르계 유화제를 함유하여 α-겔 구조를 갖는 피부 보습용 또는 피부장벽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올레산 에스테르계 유화제는 폴리글리세릴-10 올리에이트, 폴리글리세릴-2 올리에이트, 폴리글리세릴-5 트리올리레이트, 소르비탄 세스퀴올리에이트, 데카글리세릴 데카올리에이트 및 소르비탄 트리올리에이트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피부 보습용 또는 피부장벽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α-겔 구조는 고급 지방족 알코올 및 알킬인산염을 추가로 포함하여 형성되는 피부 보습용 또는 피부장벽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급 지방족 알코올 성분을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1 ~ 20.0 중량% 함유하는 것인 피부 보습용 또는 피부장벽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급 지방족 알코올과 상기 알킬인산염은 3:1~5:1의 몰비로 배합되고, 알킬인산염과 중화제는 3:2~5:1의 몰비로 배합되는 것인 피부 보습용 또는 피부장벽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점도 경시변화가 적고 유화 안정성이 우수하며, 피부 보습 효과 및 피부 장벽 개선 효과가 탁월하다.
도 1은 실시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의 편광 현미경 관찰 사진을 나타낸다.
도 2는 실시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의 X선 회절 광각영역에서의 결과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이상, 하기의 정의를 가지며 본 발명의 관련 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에 부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는 바람직한 방법이나 시료가 기재되나, 이와 유사하거나 동등한 것들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용어 "약"이라는 것은 참조 양, 수준, 값, 수, 빈도, 퍼센트, 치수, 크기, 양, 중량 또는 길이에 대해 30, 25, 20, 15, 10, 9, 8, 7, 6, 5, 4, 3, 2 또는 1% 정도로 변하는 양, 수준, 값, 수, 빈도, 퍼센트, 치수, 크기, 양, 중량 또는 길이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를 통해, 문맥에서 달리 필요하지 않으면, "포함하다" 및 "포함하는"이란 말은 제시된 단계 또는 구성요소, 또는 단계 또는 구성요소들의 군을 포함하나, 임의의 다른 단계 또는 구성요소, 또는 단계 또는 구성요소들의 군이 배제되지는 않음을 내포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세라마이드와 레시틴 및 올레산 에스테르계 유화제를 함유하고 라멜라 구조인 α-겔 구조를 지닌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α-겔 구조를 이루기 위해 알킬인산염, 고급지방족 알코올 및 중화제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α-겔 구조를 형성하는데 사용 가능한 고급 지방족 알코올은 세틸 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세테아릴 알코올, 베헤닐 알코올 및 바틸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서 고급 지방족 알코올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20중량%, 바람직하게는 2~10중량%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는 함량이 0.01중량% 미만이면 유화가 구조적으로 불안정하며, 20중량% 초과이면 점도가 너무 높아 발림성이 떨어져 사용성이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사용된 알킬인산염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세틸인산염, 포타슘 세틸인산염. 포타슘 알킬 인산염, 라우릴 인산염, 미리스틸인산염, 팔미틸인산염 및 스테아릴인산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중화제는 알지닌, 트로메타민, 트리에탄올아민,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및 아미노메틸프로판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성분으로서 배합되는 탄소수 16 이상의 고급 지방족 알코올과 알킬인산염의 몰비는 3:1~5:1이 바람직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3:1이다. 상기 고급 지방족 알코올과 알킬인산염의 몰비가 3:1~5:1의 범위 내이면, α-겔의 생성 효율이 높게 나타난다. 또한, 상기 몰비보다 알킬인산염의 비율이 높은 경우에는, O/W 유화화장료의 오일 방울의 주위에 α-겔이 충분하게 형성되지 않는 경우가 있고, 고급 지방족 알코올의 비율이 높은 경우에는 고급 지방족 알코올의 결정이 유화화장료 내에 생성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성분으로서 배합되는 알킬인산염과 중화제의 몰비는 3:2~ 5:1이 바람직하다.
세라마이드는 두개의 나란한 알킬사슬이 기둥(rod) 형태를 이루고 있고 알코올(-OH) 및 카보닐(C=O) 작용기를 가지고 있어 구조상 라멜라를 이룰 수 있는 α-겔을 보다 쉽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성분으로 배합되는 세라마이드는 구체적으로, 천연 세라마이드, 유사세라마이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사용되는 레시틴은 세라마이드와 유사한 구조로 라멜라 구조를 형성하는데 도움이 되는 계면활성제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레시틴 계열의 계면활성제로는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경화레시틴, 레시틴 및 소이빈포스포리피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올레산 에스테르계 유화제는 올레산 에스테르(oleate)를 포함하는 유화제로서 예를 들어, 폴리글리세릴-10 올리에이트, 폴리글리세릴-2 올리에이트, 폴리글리세릴-5 트리올리레이트, 소르비탄 세스퀴올리에이트, 데카글리세릴 데카올리에이트, 소르비탄 트리올리에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올레산 에스테르계 유화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15중량%, 바람직하게는 2~10중량%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는 함량이 0.1중량% 미만이면 라멜라 구조 안정성이 떨어지거나 지방족 알코올에 의한 결정이 형성되며, 15중량% 초과이면 계면활성제의 결정이 형성되기 시작해 라멜라 구조와 혼재되기 시작하기 때문이다.
α-겔은 라멜라 액정과 비교하면, 둘 다 라멜라구조를 형성하여 소각 영역의 패턴으로 양자를 구별하기는 어렵지만, 광각 영역에서 뾰족한 단일 피크가 얻어지는 것이 명백히 다르므로(라멜라 액정에서는 4.5Å 부근에 halo, 즉 브로드한 단일 피크가 얻어진다), 양자를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다(공개특허 제10-2017-0008728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으로서 상기 유효 성분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팩, 마사지크림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고급 알코올과 알킬인산염, 중화제를 6:2:1 몰비로 표 1의 조성으로 성분을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유상과 수상을 각각 80℃로 가온하여 용해한 후, 두 상을 혼합하여 호모믹서로 교반하였다. 교반된 내용물은 탈포 후 서서히 30℃로 냉각하였다. 비교예 1~4도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성분 (단위: 중량 %)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유상 세틸인산염 2.00 2.00 2.00 2.00 2.00
세라마이드 1.00 1.00 1.00 - -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0.50 0.50 - 0.50 -
폴리글리세릴-10 올리에이트 0.50 - 0.50 0.50 -
세틸알코올 3.00 3.00 3.00 3.00 3.00
세테아릴알코올 3.00 3.00 3.00 3.00 3.00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5.00 5.00 5.00 5.00 5.00
스쿠알란 5.00 5.00 5.00 5.00 5.00
수상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알지닌 1.00 1.00 1.00 1.00 1.00
EDTA-2Na 0.50 0.50 0.50 0.50 0.50
부틸렌글라이콜 0.20 0.20 0.20 0.20 0.20
글리세린 3.00 3.00 3.00 3.00 3.00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실험예 1 : α-겔의 라멜라 구조형성 확인
실시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은 편광현미경(NIKON ECLIPSE 80i, Japan)을 이용하여 라멜라 구조의 액정 형성을 여부를 관찰하였다. 일반적으로 편광현미경으로 라멜라 구조의 액정 형성을 몰타 십자가(maltese cross)로 관찰하며 실시예 1도 라멜라 액정을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생성된 실시예 1이 안정한 α-겔 구조를 형성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WAXS (Wide-angle X-ray Scattering)로 광각영역을 측정한 결과 21도 부근에서 뾰족한 단일 피크를 나타내는 것을 도 2에서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조성물은 라멜라 구조의 α-겔 형성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 점도 경시변화와 유화 안정성 확인
상기 실시예 1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점도의 경시변화와 유화안정성을 평가했다. 실시예 1과 동일조건으로 만들어진 비교예 1~4를 제조하여 실온에 보관하여 3주간 Brookfield viscometer(7rod/50rpm/30℃)로 점도를 측정하여 점도의 경시변화를 확인하였다. 또한 4℃, 45℃, 50℃, Cycling(4℃~45℃) 조건에 한 달 동안 보관하여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실험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안정도 점도 경시 변화(단위:cps)
당일 익일 1주 2주 3주
실시예 1 12850 14800 15030 14950 15200
비교예 1 12900 16140 19350 25930 31500
비교예 2 10820 13120 17380 21820 28920
비교예 3 7910 10610 14000 17070 23510
비교예 4 6120 8080 12520 16350 19410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비교예 1~4보다 안정도가 우수하고 점도 경시 변화 폭이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α-겔을 포함하는 O/W 유화화장료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점도가 상승하는 부분이 개선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 보습효과 및 지속성
상기 실시예 1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임상 보습 효과 및 지속력을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설문 조사를 통하여 피부가 건조하다고 느끼는 건강한 성인 남녀 25 명에게 실시예 1 및 비교예 1~4의 화장료 조성물을 1일 2회씩 4주간 팔의 상박에 도포하게 하였다. 보습 효과는 실사용 시험 시작 후부터 2주, 그리고 종료 후의 개선 효과를 Corneometer CM 820 (Corage +Khazaka, Germany)를 이용하여 표피 수분량에 따른 전기전도도의 변화로 수치화하여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사용 전 사용 2주 후 사용 4주 후
실시예 1 23.7 49.5 53.9
비교예 1 21.9 43.4 46.5
비교예 2 22.7 40.1 45.4
비교예 3 21.3 39.2 42.3
비교예 4 22.1 37.0 40.6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실시예 1과 비교예 1~4와 피부 수분 측정 결과 실시예 1이 비교예 1~4보다 보습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 : 피부장벽 개선 효과
25℃, 상대습도 45%, 공기의 흐름이 없는 실내에서 건강한 여성 2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피부 장벽 손상은 소듐라우릴설페이트(SLS, Sodium Lauryl Sulfate) 1% 수용액을 이용하여 유발하였고,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4의 화장료 조성물을 팔의 상박에 도포한 후 TEWAMETER TM210(C+K eletronic GmhH. Germany)을 이용하여 경피수분손실량을 측정하였다. 즉, TEWL(Transepidermal Water Loss)값을 시간 변화에 따른 TEWL 값 변화량을 측정하여 피부장벽 회복율을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구 분 피부장벽 회복율(%)
2D 4D 6D 8D
실시예 1 49.4 85.3 98.6 107.1
비교예 1 39.2 72.5 83.3 94.5
비교예 2 36.2 69.6 80.2 91.3
비교예 3 33.9 63.4 78.7 88.1
비교예 4 32.8 51.0 65.3 79.2
상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함유한 실시예 1이 비교예 1~4에 비해 경피수분손실량이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5)

  1. 세라마이드, 레시틴, 올레산 에스테르계 유화제, 고급 지방족 알코올, 알킬인산염 및 중화제를 함유하여 형성된 α-겔 구조를 갖고,
    상기 고급 지방족 알코올과 상기 알킬인산염은 3:1 내지 5:1의 몰비로 배합되고, 상기 알킬인산염과 상기 중화제는 3:2 내지 5:1의 몰비로 배합되는 것인,
    피부 보습용 또는 피부장벽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올레산 에스테르계 유화제는 폴리글리세릴-10 올리에이트, 폴리글리세릴-2 올리에이트, 폴리글리세릴-5 트리올리레이트, 소르비탄 세스퀴올리에이트, 데카글리세릴 데카올리에이트 및 소르비탄 트리올리에이트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피부 보습용 또는 피부장벽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급 지방족 알코올 성분을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1 ~ 20.0 중량% 함유하는 것인 피부 보습용 또는 피부장벽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삭제
  5. 삭제
KR1020180155658A 2018-12-06 2018-12-06 세라마이드를 함유하는 α-겔 구조의 화장료 조성물 KR1020960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5658A KR102096011B1 (ko) 2018-12-06 2018-12-06 세라마이드를 함유하는 α-겔 구조의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5658A KR102096011B1 (ko) 2018-12-06 2018-12-06 세라마이드를 함유하는 α-겔 구조의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6011B1 true KR102096011B1 (ko) 2020-04-02

Family

ID=70281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5658A KR102096011B1 (ko) 2018-12-06 2018-12-06 세라마이드를 함유하는 α-겔 구조의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60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582377A (zh) * 2023-11-01 2024-02-23 完美(广东)日用品有限公司 一种可形成稳定α-凝胶的乳化剂组合物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8364B1 (ko) * 1999-07-27 2007-02-05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수중유형 유화조성물
KR20120066077A (ko) * 2010-03-17 2012-06-21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유화조성물
JP2013177367A (ja) * 2012-02-01 2013-09-09 Nikko Chemical Co Ltd αゲル構造体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または皮膚外用剤
JP2016108270A (ja) * 2014-12-05 2016-06-20 花王株式会社 化粧料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8364B1 (ko) * 1999-07-27 2007-02-05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수중유형 유화조성물
KR20120066077A (ko) * 2010-03-17 2012-06-21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유화조성물
JP2013177367A (ja) * 2012-02-01 2013-09-09 Nikko Chemical Co Ltd αゲル構造体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または皮膚外用剤
JP2016108270A (ja) * 2014-12-05 2016-06-20 花王株式会社 化粧料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 블로그(https://blog.naver.com/loved_girl/220887066027), "[스킨푸드] 유자 오일씨 크림(BBH)" (2016.12.15.)*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582377A (zh) * 2023-11-01 2024-02-23 完美(广东)日用品有限公司 一种可形成稳定α-凝胶的乳化剂组合物
CN117582377B (zh) * 2023-11-01 2024-05-14 完美(广东)日用品有限公司 一种可形成稳定α-凝胶的乳化剂组合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0905B1 (ko) 헥사고날 젤 구조를 가지는 피부 외용제
KR20140145968A (ko) 약산성 피부 외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KR101458108B1 (ko) 피부 장벽 기능 증진용 유사지질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CN111568782B (zh) 一种具有改善皮肤屏障的纳米乳液组合物及其应用
KR20130055069A (ko) 재결정 입자를 갖는 수중유 유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09980B1 (ko) 보습 복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017336A (ko) 액정 형성 복합체를 함유하는 피부 보습 증진용 또는 각질감소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07090B1 (ko) 보습력이 우수한 젤 타입의 에센스 화장료 조성물
JPH11302155A (ja) アトピー性皮膚炎のための皮膚外用剤
KR101176523B1 (ko) 성상 변화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96011B1 (ko) 세라마이드를 함유하는 α-겔 구조의 화장료 조성물
KR101198275B1 (ko) 폴리글리세릴 지방산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헥사고날 구조의 피부외용제조성물
KR100879134B1 (ko) 수용성 성분 함유 오일형 화장료 조성물
KR101125922B1 (ko) 저점도의 화장료 조성물
KR101325553B1 (ko) 아미노 레불리닉산을 배합시킨 액정 유화 베이스를포함하는 피부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JPWO2003041665A1 (ja) ゲル状組成物
KR20190079291A (ko) 식물성오일 유래의 유사세라마이드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40111816A (ko) 액정 겔 수화기술을 이용한 피부 보습 및 유연성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54749B1 (ko) 유성성분을 함유한 안정화된 나노베지클 및 이를 포함하는투명 화장료 조성물
KR20190106702A (ko) 천연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다중 라멜라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KR102311828B1 (ko)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를 포함하는 안정화된 화장료 조성물
JPS61204109A (ja) 乳化型の外用組成物
KR20110076076A (ko) 라멜라 액정이 수분산된 실리콘 중 수(w/s) 타입 유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JP3931295B2 (ja) 整髪用乳化化粧料
JP5495852B2 (ja) 皮膚外用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