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40053A - 복실 용기 - Google Patents

복실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40053A
KR20130140053A KR1020137014338A KR20137014338A KR20130140053A KR 20130140053 A KR20130140053 A KR 20130140053A KR 1020137014338 A KR1020137014338 A KR 1020137014338A KR 20137014338 A KR20137014338 A KR 20137014338A KR 20130140053 A KR20130140053 A KR 201301400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velope body
seal
compartment
partition
compart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4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5769B1 (ko
Inventor
가쓰미 고우노
히데토시 사카이
가오루 시미즈
다카히데 가와이
Original Assignee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40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00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5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57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10Bag-type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75Inlet or outlet po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93Containers having several compartments for products to be mix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1/00Bags or like containers made of paper and having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 B65D31/12Bags or like containers made of paper and having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with two or mor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4Cards, coupons, or other inserts or accessories
    • B65D75/56Handles or other suspension means
    • B65D75/566Hand holes or suspension aper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61Spouts
    • B65D75/5872Non-integral spouts
    • B65D75/5883Non-integral spouts connected to the package at the sealed junction of two packag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61Flexible containers having several compartments
    • B65D81/3266Flexible containers having several compartments separated by a common rupturable seal, a clip or other removable fastening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03Accessories used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transfer or mixing of fluids, e.g. for activating fluid flow, separating fluids, filtering fluid or venting
    • A61J1/202Separating means
    • A61J1/2024Separating means having peelable se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2575/52Details
    • B65D25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2575/586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with means for reclos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Hematolog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 Bag Frame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격벽을 구비한 복실 용기에 관한 것이며, 어느 것이나 분말상의 약제를 분리 상태로 수용하고, 사용시에 간이 신속하게 혼합하여 수용액으로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복실 용기는 가요성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실질적으로 평탄상인 봉투체와, 상기 봉투체의 대향 내면을 박리 가능하게 용착하는 박리 가능 씰로서 구성되는 격벽과, 상기 복수의 격실 중 하나의 격실로 개구하도록 봉투체의 주변부에 장착되고, 액체의 주입 및 배출을 하기 위한 주출 포트로 이루어진다. 격벽은 거싯 접기된 봉투체 저부를 따라 연신되는 수평 부분과 수평 부분으로부터 봉투체의 상측부까지 구부러진 수직부로 이루어진다. 격벽에 있어서의 봉투체 저부의 근접측에 대용적의 제 1 격실이 형성되고, 격벽에 있어서의 반대측에 있어서의 소용적의 제 2 격실이 형성되고, 주출 포트는 제 1 격실로 개구한다.

Description

복실 용기{MULTI-CHAMBERED CONTAINER}
본 발명은 박리 가능 씰로서 구성되는 격벽에 의해 이간되어, 각각의 약제를 분리 수용하는 복수의 격실을 구비하고, 격벽을 박리 개통시킴으로써 격실간에 약제를 혼합하는 타입의 복실 용기에 관한 것이며, 용도로서는, 안정성을 위해 사용 직전에 혼합해야 하는 2종 이상의 분제(粉劑)의 분리 수납에 적합하며, 예를 들면, 대장 검진에 있어서의 내시경 검사 전처치에 사용하는 폴리에틸렌글리콜 전해질의 수용에 적합한 것이다.
대장 검진에 있어서의 내시경 검사에 있어서는 전처치를 위해 장관 세정 제제가 사용된다. 장관 세정 제제는 수용액으로서 복용해야 하는 것이지만, 수용액 상태에서는 경시적인 변질·변색이 있기 때문에, 분말 상태로 연약(軟弱)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사방 파우치나 용해 용기로서 겸용 가능한 자립형 봉투에 봉입 충전한 제품 형태로 제공되고, 복용 직전에 개봉하여 물에 녹여 수용액으로 하여 사용되는 것이 보통이다. 약제를 분말 상태로 수용하고, 사용시에 물을 주입함으로써 수용액으로 하는 타입의 연질 봉투상 용기에 관해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을 참조하기 바란다.
본래가 분말 성상을 이루고 직전에 물에 녹여 사용하는 타입의 장관 세정 제제로서는 폴리에틸렌글리콜(PEG)과 전해질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종래부터 존재하고 있지만, 이 경우, 소기의 세정 효과를 얻기 위해서 복용량으로서는 최대 4리터의 대량 복용이 필요하여, 연장자 등에게 부담이 크기 때문에 복용량을 삭감할 수 있는 장관 세정 제제로서 폴리에틸렌글리콜 전해질에 아스코르브산(비타민 C)을 첨가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2 참조). 이 아스코르브산을 첨가한 것은 장관 세정 능력이 우수하고, 필요 복용량을 종래의 최대 4리터 정도에서 1 내지 2리터로까지 삭감할 수 있어 복용자의 부담을 대폭 경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11-285518호 일본 특허공보 제4131266호
특허문헌 2에 있어서의 아스코르브산도 폴리에틸렌글리콜과 같이 분말상이지만 양자를 혼합하면 경시적인 착색 변질이 있다. 따라서, 사용 직전에 혼합하여 물에 녹여 사용할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한 복실 용기가 필요하다. 혼합해야 할 약제의 한쪽이 분말상이며 다른쪽이 액상인 경우의 복실 용기에 관해서는 특허문헌 1과 같이 다양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어느 것이나 분말상인 약제를 분리 상태로 수용하고, 사용시에 혼합하여 수용액으로서 제공할 수 있는 복실 용기는 아직 제안되어 있지 않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현실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복실 용기는 가요성(연약)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실질적으로 평탄상인 봉투체와, 상기 봉투체의 대향 내면을 박리 가능하게 용착하는 박리 가능 씰로서 구성되고, 봉투체의 내부 공동을 복수의 격실로 분리하는 격벽과, 상기 복수의 격실 중 하나의 격실로 개구하도록 봉투체의 주변부에 장착되어, 액체의 주입 및 배출을 하기 위한 주출(注出) 포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격실 각각에는 분말상의 약제만이 수납되고, 주출 포트로부터 복수의 격실 중 상기 하나의 격실에 주입되는 액체에 의해 거기에 수용되는 분말상의 약제가 용해되고, 박리 가능 씰을 박리시킴으로써, 용액을 복수의 격실 중 나머지 격실에 도입함으로써 거기에 수용되는 분말상의 약제가 용해된다. 격벽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봉투체의 거싯(Gusset) 접기된 저부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봉투체의 저부를 따라 봉투체의 측부로부터 봉투체의 폭에 있어서의 중간 부위까지 연신되는 제 1 부분과, 이 제 1 부분의 단부로부터 봉투체의 저부로 이간 방향으로 봉투체의 상연부까지 연신되는 제 2 부분으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격벽에 있어서의 봉투체의 저부와 근접측에 복수의 격실 중 주출 포트가 개구된 격실이 형성되고, 격벽에 있어서의 봉투체의 저부로부터 이간측에 복수의 격실 중 주출 포트가 설치되지 않은 격실이 형성된다. 격벽에 있어서의 제 1 부분과 제 2 부분의 접속부는 R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박리 가능 씰의 씰 강도는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복수의 격실 중 하나의 격실로의 주수(注水)에 의한 하중만으로 씰의 박리를 야기시키는 씰 강도나, 복수의 격실 중 하나의 격실로의 주수 후에 있어서의 봉투체의 진탕 조작에 의해 씰의 박리를 야기시키는 씰 강도나, 1개의 격실로의 주수에 의한 하중으로는 씰의 박리를 야기하지 않고, 주수 후에 가압 등에 의해 연통하는 씰 강도로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격벽을 구성하는 박리 가능 씰의 씰 강도는 1 내지 5(N/15mm)이다.
본 발명의 복실 용기에 있어서는 복수의 격실의 각각에 분말상의 약제가 수용되어 있고, 주출 포트로부터 주출 포트 설치측의 격실에 물 등의 액체를 주입함으로써 거기에 수납된 분말상의 약제가 용해되어 수용액이 된다. 격벽을 구성하는 박리 가능 씰은 씰 강도로서는 액체를 수용한 복실 용기의 씰 강도와 비교하여 미약하지만, 복수의 격실에 수납되는 약제는 분말상체뿐이며, 미약한 씰이라도 수송 등의 취급 중에 봉투체에 가해지는 외력으로는 개통되지 않는다. 그리고 씰 강도의 미약으로 인해, 약제 용해를 위한 주수 조작에서 씰부에 발생시키는 외력 또는 봉투체를 진탕하는 조작만으로 주출 포트 설치측의 격실에 있어서의 수용액에 의해 가해지는 외력이 격벽을 박리 개통에 이르게 할 수 있어 봉투체 외부로부터의 강압 조작없이, 주출 포트 비설치측의 격실에 있어서의 분말상 약제를 용해·혼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격실 각각에 수용된 분말상의 약제를 수송 등의 취급 중에 분리 유지하면서, 사용시에 진탕만으로(가압 조작을 요하지 않고) 간편 확실하게 혼합 용해시킬 수 있어 혼합하지 않은 채로 사용해 버리는 것과 같은 의료 과오에 대처할 수 있다.
격벽을 봉투체의 저부를 따라 봉투체의 측부로부터 봉투체의 폭에 있어서의 중간 부위까지 연신하는 제 1 부분과, 이 제 1 부분의 단부로부터 봉투체의 저부로 이간 방향으로 봉투체의 상연부까지 연신하는 제 2 부분으로 구성함으로써, 봉투체를 세로로 반으로 접어도 격벽이 접힌선에 걸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여, 수송 등의 취급시에 격벽에 무리한 외력이 가해지기 어렵기 때문에, 의도하지 않은 격벽의 개통에 대한 유효한 대책이 된다.
또한, 봉투체의 거싯 접기된 저부에 대한 격벽의 높이(수평부의 높이)는 개통성에 영향을 주지만, 격벽을 구성하는 박리 가능 씰의 씰 강도를 1 내지 5(N/15mm)로 함으로써, 수송 중의 취급에 의한 격벽 개통을 저지하면서, 수차례의 진탕 조작에 의해 용이하고 확실하게 개통시킬 수 있어 혼합하지 않은 채로 사용되어 버린다는 오조작의 확실한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약제의 비수용 상태에서의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복실 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복실 용기의 측면도이며, (a)는 우측면도, (b)는 좌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복실 용기의 상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복실 용기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복실 용기에 있어서의 주출 포트 단품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VI-VI선에 따른 주출 포트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VII-VII선에 따른 주출 포트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복실 용기에 있어서의 봉투체를 용착 및 절취에 의해 형성하기 위한 거싯 장착 반접기 시트의 모식적 횡단면도이다.
도 9는 분말상 약제의 수용 상태에 있어서의 도 1의 복실 용기의 거싯 장착 저부에 있어서의 모식적 부분 단면도이며, (A)는 도 1의 A-A선을 따라, (B)는 도 1의 B-B선을 따라, (C)는 도 1의 C-C선을 따라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 10은 분말상 약제의 수용 상태에 있어서의 도 1의 X-X선을 따라 도시되는 복실 용기의 모식적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분말상 약제의 수용 상태에 있어서의 도 1의 XI-XI선을 따라 도시되는 복실 용기의 모식적 부분적 종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복실 용기에 있어서의 격벽을 구성하는 박리 가능 씰의 씰 강도와 격실의 박리 개통에 이르기까지의 진탕 횟수와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박리 가능 씰의 R부 직경=20mm).
도 13은 도 12와 같지만 박리 가능 씰의 R부 직경=30mm인 경우를 도시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복실 용기에 있어서의 씰 강도 및 씰 높이 위치에 대한 개통 거동을 이미지적으로 도시하는 선도이다.
도 15는 약제 비수용 상태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복실 용기를 도시하고, (a)는 정면도, (b)는 우측면도, (c)는 좌측면도, (d)는 상면도, (e)는 저면도 를 각각 도시한다.
도 16은 약제 비수용 상태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복실 용기를 도시하고, (a)는 정면도, (b)는 우측면도, (c)는 좌측면도, (d)는 상면도, (e)는 저면도 를 각각 도시한다.
도 17은 약제 비수용 상태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복실 용기를 도시하고, (a)는 정면도, (b)는 우측면도, (c)는 좌측면도, (d)는 상면도, (e)는 저면도 를 각각 도시한다.
도 18은 약제 비수용 상태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복실 용기를 도시하고, (a)는 정면도, (b)는 우측면도, (c)는 좌측면도, (d)는 상면도, (e)는 저면도 를 각각 도시한다.
도 19는 약제 비수용 상태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복실 용기를 도시하고, (a)는 정면도, (b)는 우측면도, (c)는 좌측면도, (d)는 상면도, (e)는 저면도 를 각각 도시한다.
도 20은 약제 비수용 상태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복실 용기를 도시하고, (a)는 정면도, (b)는 우측면도, (c)는 좌측면도, (d)는 상면도, (e)는 저면도 를 각각 도시한다.
약제의 비수용 상태를 도시하는 도 1 내지 도 4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복실 용기는 연질 평탄상의 봉투체(10)를 구비하고, 봉투체(10)는 폴리에틸렌 필름의 용착·절취에 의해 구성된다. 한편, 복실 용기의 배면도는 생략하지만, 도 1의 정면도에 대해 기본적으로는 좌우 대칭의 외관이 되기 때문에 생략한다.
폴리에틸렌 필름(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투명하지만 착색해도 좋다)은 다층 필름이며, 그 두께로서는 50 내지 200㎛인 것이다. 폴리에틸렌 이외에도 폴리프로필렌 등의 적당한 플라스틱 소재로 구성할 수 있다. 그 자체는 공지의 봉투체(10)의 제대(製袋) 라인을 따라, 폴리에틸렌 필름은 반으로 접혀 시트상으로 공급되며(도 8은 한쪽에 개구부(O)를 형성하도록 반으로 접혀진 시트(S)의 상하 폴리에틸렌 필름을 S1, S2로 나타낸다), 시트(S)는 봉투체(10)의 윤곽 형상을 따라 박리 불가능하게 용착(강 씰))되고, 또한, 봉투체(10)의 내부를 2개의 격실로 분리하기 위해 박리 가능하게 용착(약 씰)되어 하나 하나의 봉투체(10)로 절단된다. 공급 시트의 반으로 접힌 부분이 개개의 봉투체의 저부가 되지만,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급 시트의 상기 반으로 접힌 부분은 미리 내측으로 접어 넣어져 있어 거싯 접기부(G)(Guesset: 이어대는 천)를 구성하도록 되어 있다. 시트의 두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최대 두꺼워도 200㎛이며, 엄밀한 작도(作圖)에서는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필름의 두께는 시각적으로는 거의 나타내기 어렵기 때문에, 본 발명의 복실 용기의 세부 구성을 도시하는 도 8 이하 도 11까지는 봉투체의 구성의 명확화를 위해, 필름의 두께는 과장하여 묘사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트로부터의 용착·절취 후의 봉투체(10)는 대향하는 표리 폴리에틸렌 필름(10-1, 10-2)으로 구성된다. 봉투체(10)의 표리면(10-1, 10-2)이 도 8에 있어서의 소재 시트의 상하 폴리에틸렌 필름(S1, S2)에 대응한다. 폴리에틸렌 필름(10-1, 10-2)을 박리 불가능하게 용접한 봉투체(10)의 외주 윤곽부=강 씰부를 도 1에 있어서 도면부호 12로 나타낸다. 외주 씰부(12)는 폴리에틸렌 필름(10-1, 10-2)의 대향면을 200℃와 같은 온도에서 용착하여 구성되고, 외주 씰부(12)는 박리 불가능하게 되어 있어 분말상의 약제 및 그 수용액을 타이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외주 씰부(12)에 있어서의 상하 필름의 용착 상태는 도 10 및 도 11에 모식적으로 도시된다. 도 8의 소재 시트의 거싯 접기부(G)가 도 9에 있어서의 봉투체(10)의 거싯 접기 저부(10A)가 되고, 약제를 수용하여 거싯 접기 저부(10A)를 확개(擴開)시켜, 안정감을 좋게 할 수 있다. 시트의 거싯 접기 부분(G)에 있어서의 가장 깊게 접어 넣어지는 부위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봉투체(10)에 있어서의 10-3으로 나타내는 부위에 대응한다. 봉투체(10)의 저부(10A)에 있어서의 외주 씰부(12)의 구조를 도 9에 의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봉투체(10)의 저부(10A)에 있어서의 폭 방향 중앙에 있어서는, 외주 씰부(강 씰부)(12)는 도 9a에 있어서 12-1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높이는 최소이며, 양측으로 갈수록 도 9b에 12-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높아져 가고, 중앙에서 낮은 아치상의 저부를 구성하고 있다. 양측에서는 도 9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거싯 접기부에서는 필름 4층, 그 상방 부분에서는 2층이 박리 불가능하게 용착된 상태로 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강 씰부(12)는 봉투체(10)의 저부(10A)보다 어느 정도 상방에 있어서 한쪽이 국부적으로 조금 내측으로 폭이 넓게 되어 있고, 이 폭이 넓은 부위(12-4)에 가늘고 긴 개구(14)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14)에는 손가락을 삽입함으로써, 강 씰부(12)의 이 부위를 손잡이(15)로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개구(14)의 전주(全周) 내부 가장자리(14')에 있어서 표리 폴리에틸렌 필름(10-1, 10-2)은 비용착으로 되어 있고, 이로 인해 이 부위에 있어서 폴리에틸렌 필름은 유연하기 때문에, 개구(14)에 손가락을 넣어 손잡이로서 쥐었을 때의 감촉을 소프트하게 할 수 있다.
저부(10A)에 대향한 봉투체(10)의 상부에 있어서의 외주 씰부(12)에 주출 포트(16)가 배치되어 있다. 주출 포트(16)는 기본적으로는 상하로 개구한 통 형상을 이루고, 봉투체(10)에 수용된 분말 약제의 수용액 조정을 위한 물의 주입 및 분말상 약제 용해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액의 배출을 위한 것이다. 주출 포트(16)는 그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강성(두께)의 통 형상을 이루고 비투명 플라스틱의 성형품이며, 봉투체(10)를 구성하는 폴리에틸렌 필름과의 용착성을 위해, 동질 소재(이 경우에는 폴리에틸렌)로 이루어진다. 도 5의 사시도와 같이 주출 포트(16)는 폐쇄 캡(도시 생략)의 나사 결합 장착을 위한 나사부(16-1)를 봉투체 외부에 있어서의 상단부에 가지고 있고, 하단은 플랜지부(16-2)(도 2 및 도 3)를 형성하고 있다. 봉투체(10)의 절취를 위한 시트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싯 접기부(G)와 반대측이 개구부(O)를 형성하고 있고, 주출 포트(16)의 장착시에 있어서의 외주 씰부(12)의 형성은 이 개구부 내에 플랜지부(16-2)에 있어서의 상단 돌출부(16-2')보다 하방 부위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행한다. 이로 인해 폴리에틸렌 필름(10-1, 10-2)의 상단(10-1A, 10-2A)(도 2)의 내면이 플랜지부(16-2)의 외면에 박리 불가능하게 용착되어(도 10), 봉투체(10)의 외주 씰부(12)에 있어서의 주출 포트(16)로의 용착부(12-3)를 구성한다.
도 1에 있어서, 도면부호 18은 박리 가능 씰(약 씰)에 의해 구성되는 격벽을 나타내고 있으며, 격벽(18)은 봉투체(10)를 구성하는 표리 폴리에틸렌 필름(10-1, 10-2)의 대향 내면을 소정 폭으로 박리 가능하게 용착함으로써 구성된다. 격벽(18)에 있어서의 표리 폴리에틸렌 필름(10-1, 10-2)의 용착 상태는 도 11에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격벽(18)의 용착 온도는 표리 폴리에틸렌 필름(10-1, 10-2)을 박리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외주 씰부(12)의 용착 온도보다 낮다. 그리고, 격벽(18)의 용착에 있어서의 대향 내면 조건은 최내층의 저용융 성분이 용융되는 온도 이상에 있어서의 적당한 가열 온도와 가열 시간의 조합에 있어서 설정할 수 있다. 즉, 저온도측에서는 씰 시간을 길게 취하고, 고온도측에서는 씰 시간은 짧게 함으로써 온도가 상이해도 동일 씰 강도로 할 수는 있기 때문에, 양자의 적당한 조합에 의해 최적 씰 조건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씰할 때의 압력에 관해서는 최내층을 밀착시킬 수 있는 압력이 확보되어 있으면, 씰 강도에 대한 압력 의존성은 그다지 없다. 폴리에틸렌의 경우에는, 격벽(18)의 용착 온도는 100 내지 118℃, 씰 시간은 2 내지 1.5초, 씰 압력 약 7kg/㎠에 의해 원하는 씰 강도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격벽(18)은 봉투체(10)에 있어서의 손잡이(15)의 내측의 측변 부위로부터 상변 부위까지 외주 씰부(12) 사이를 연신하고 있으며, 봉투체(10)의 내부 공동을 제 1 격실(20) 및 제 2 격실(22)로 구획하고 있다. 즉, 격벽(18)은 외주 씰부(12)의 측부에서부터 봉투체(10)의 저부(10A)를 따라 (대향하여) 연신되는 실질상의 수평부(18-1)(본 발명의 제 1 부분)와, 이것을 도중에 구부려 외주 씰부(12)의 상부에 접속하는 실질상의 수직부(18-2)(본 발명의 제 2 부분)로 이루어지고, 그 결과, 격벽(18)의 봉투체 저부(10A)측에 있어서의 제 1 격실(20)은 봉투체(10)의 상변으로부터 저변으로까지 연신되는 대용적의 것이 되고, 격벽(18)의 봉투체 저부(10A)로부터 이간측의 제 2 격실(22)은 봉투체(10)의 저부(10A)까지 닿지 않고 높이의 중간 정도에서 종단되고, 그 용적은 제 1 격실(20)과 비교하여 작은 것이 된다. 그리고, 주출 포트(16)는 2개의 격실 중 제 1 격실(20)로 개구하는 배치로 되어 있고, 다른쪽 제 2 격실(22)에는 주출 포트(16)는 개구하고 있지 않다. 또한, 수평부(18-1)와 직립부(18-2)의 접속부에 있어서 격벽(18)은 R부(18-3)를 구성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복실 용기는 수납해야 할 약제로서 장관 세정 제제로서 폴리에틸렌글리콜 전해질(폴리에틸렌글리콜에 전해질을 첨가한 것)에 아스코르브산을 첨가한 것을 상정하고 있다. 즉, 이 경우 폴리에틸렌글리콜 전해질 및 아스코르브산은 모두 분말상이지만 혼합하면 경시적으로 변색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복용 직전까지 분리 상태로 격리해 둘 필요가 있으며, 본 발명의 복실 용기는 이 요청에 따른 것이다. 즉, 용적이 큰 제 1 격실(20)에 폴리에틸렌글리콜 전해질 분말(40)이 수용되고(도 10), 용적이 작은 제 2 격실(22)에 아스코르브산 분말(42)이 수용된다. 도 10 및 도 11은 제 1 격실(20), 제 2 격실(22)로의 각 분말상 약제의 수납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고, 분말상 약제의 수납을 위해 봉투체(10)는 어느 정도 팽창된 상태로 되어 있다.
다음에 장관 세정 제제의 수납용으로서의 본 발명의 복실 용기의 일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면, 봉투체(10)의 제 1 격실(20), 제 2 격실(22)에 분말상의 폴리에틸렌글리콜 전해질 분말(40), 아스코르브산 분말(42)을 각각 수용하고, 주출 포트(16)에 그 나사부(16-1)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캡을 장착하여 밀봉함으로써 제품으로서 완성 출하된다. 출하의 편의상이지만, 약제를 수용한 봉투체(10)는 전체 높이(280mm)의 중간(140mm)보다 상부에서 반으로 접어, 포장 봉투에 포장된다. 후술과 같이 격벽(18)은 박리에 요하는 외력(수용물로부터 씰(18)에 가해지는 압력)은 경미하며, 한편 반으로 접은 상태는 수송 등의 취급에 의한 외력의 발생을 조장하지만, 내용물이 제 1 격실(20), 제 2 격실(22)의 양쪽 모두 분말상체이기 때문에 수송시에 씰에 가해질 수 있는 외력은 씰(18)을 박리시키는 크기는 되기 어려운 것이 확인되고 있다. 또한, 격벽(18)의 수평부(18-1)는 수송 등 취급시에 있어서의 상기 접힌선에 근접하지만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연신되고 있어 접힌선을 가로지르는 일은 없기 때문에 이 점에서도 수송 등의 취급중에 의도하지 않게 격벽(18)이 개통되는 일에 이르는 경우는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복실 용기의 사용 형태에 관해서 설명하면, 주출 포트(16)를 밀봉하고 있는 캡(도시하지 않음)을 돌림으로써 캡을 분리하고, 주출 포트(16)로부터 소정량의 증류수를 제 1 격실(20)에 주입함으로써 폴리에틸렌글리콜 전해질 분말(40)은 증류수에 용해되어 수용액이 된다. 그리고, 격벽(18)의 개통 조작을 행함으로써 제 1 격실(20)의 수용액에 제 2 격실(22) 내의 아스코르브산 분말(42)이 용해·혼합된다. 이 격벽(18)의 개통 조작에 관해서 설명하면, 제 1 격실(20)로의 주수는 격벽(18)을 개통시키고자 하는 침식을 발생시킬 수 있다. 주수에 의해 침식은 격벽(18)의 씰 강도가 약한 경우에는 그것만으로 격벽(18)을 개통에 이르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제 1 격실(20), 제 2 격실(22)로의 수납 약제는 모두 분말상이며, 물의 주입만으로 개통에 이르게 하는 미약한 씰 강도라도 수송 등의 취급 중의 진동 등에 의해 격벽의 개통이 일어나 버린다라는 우려는 없다. 그러나, 이러한 미약한 격벽(18)의 씰 강도의 설정은 격벽의 개통이 그 의도, 즉, 제 1 격실(20)로의 주수에 의한 것인지 또는 수송 등의 취급 중에 의도하지 않게 일어나버린 것인지 구별할 수 없게 하고, 최악의 경우에는 의료 과오에 이를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는, 격벽(18)의 씰 강도는 제 1 격실(20)로의 주수만으로는 개통이 일어나지 않고, 의도적인 개통 조작이 있고 비로소 개통되는 크기로 설정하고 있다. 의도적인 개통 조작으로서는, 격벽(18)의 씰 강도의 필요값이 상기의 이유로 작기 때문에, 제 1 격실(20)로의 소정량의 주수후에 봉투체(10)를 상하 또는 좌우로 진탕함으로써, 격벽(18)을 개통에 이르게 하는 유체압을 발생시킬 수 있고, 격실의 적어도 한쪽의 수용 약제가 액체인 경우와 같은 외부로부터의 손바닥에 의한 강제 가압에 의한 개통 조작까지는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다.
다음에, 격벽(18)의 씰 강도의 실험 결과에 관해서 설명하면, 다층 폴리에틸렌 필름(두께: 145㎛)으로 외주 윤곽을 따라 200℃에서 박리 불가능하게 용착함으로써 강 씰(12)(도 1)로 형성하고, 폭 10mm로 100 내지 118℃에서 박리 가능하게 용착함으로써 격벽(18)으로 구성하고, 제 1 격실(20)의 용적(거기에 채울 수 있는 물의 최대량)이 2500mL, 높이가 280mm인 봉투체로 형성하였다. 그리고, 격벽(18)이 수평부(18-1)와 이것으로부터 구부러진 직립부(18-2)로 이루어지고, 수평부(18-1)와 직립부(18-2)를 접속하는 R부(18-3)의 직경이 박리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해, R부 직경을 20mm와 30mm의 대소 2종류로 하였다. 그리고, 격벽(18)의 씰 강도의 적합한 값을 파악하기 위해 씰 조건을 적절히 변경함으로써 씰 강도(JIS Z 0238에 준거하여 씰 폭 15mm당 박리 강도(단위는 뉴턴 N)로 나타낸다)를 다단계로 변경하고, 봉투체의 제 1 격실(20)에 물을 수용한 상태에 있어서 개통성 테스트를 행하였다. 또한, 수평부(18-1)의 높이 위치가 개통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해서 봉투체의 저면으로부터의 수평부(18-1)의 높이(H)가 상이한 3종류의 격벽을 준비하였다. 수평부의 높이(H)는 제 1 격실(20)의 전체 높이(=280mm)에 있어서의 절반의 높이(=140mm)에 있어서의 용량(이하 절반 높이 용량)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여기에 높이(H)가 최저인 것은 절반 높이 용량이 700mL이 되도록 수평부(18-1)의 높이(H=h700)가 설정되고, 높이가 중간인 것은 절반 높이 용량이 1000mL이 되도록 수평부(18-1)의 높이(H=h1000)가 설정되고, 높이가 최고인 것은 절반 높이 용량이 1300mL이 되도록 수평부(18-1)의 높이(H=h1300)가 설정된다. 도 1에 있어서는 격벽(18)은 그 수평부(18-1)가 가장 높은 위치에 있는 것(수평부(18-1)의 높이(H)=h1300)의 것이 도시되어 있고, 가장 낮은 높이(H=h700) 및 중간 높이(H=h1000)인 것에 관해서는 격벽(18)의 수평부(18-1)의 높이 위치만 상상선(L', L")으로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개통성의 평가로서는 진탕 횟수를 채용하였다. 여기에, 진탕 횟수는 제 1 격실(20)(전체 용량=2500mL)에 전체 용량의 절반에 약간 미치지 못하는 1000mL의 물을 충전하고, 오른손으로 캡으로 폐쇄한 주출 포트(16)의 부위를 쥐고, 왼손으로 제 2 격실(22)에 가까운 측에 있어서의 봉투체의 저부(10A)를 쥐고, 세로 방향으로 20cm의 스트로크로 진탕했을 때의 R부(18-3)에 있어서의 격벽(18)의 개통에 이르기까지의 횟수(샘플수(n)=5의 평균값)로서 평가하였다. 표 1은 R부의 직경이 20mm인 경우에 있어서 수평부의 높이가 저(H=h700), 중간(H=h1000), 고(H=h1300)의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의 각 씰 강도에 대한 진탕 횟수의 결과를 기재한다. 표 2는 R부의 직경이 30mm인 경우에 있어서와 같은 결과를 기재한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실험 결과를 개별적으로 검토하면, 씰 수평부 높이(H)=h700의 경우, 1000mL의 충전수의 수면은 격벽(18)에 있어서의 수평부(18-1)를 초월한 상당 높이 부분에 위치한다. 격벽(18)의 개통은 가장 일어나기 쉬워 씰 강도 3N 이하에서는 진탕 조작조차 필요로 하지 않으며, 제 1 격실(20)로의 1000mL의 물의 주입만으로 개통을 야기시킬 수 있다. 씰 강도 4N 정도에서는 1 내지 2회의 진탕 조작으로 개통한다. 제 1 격실에 주입된 1000mL의 물은 격벽(18)의 수평부(18-1)를 대폭 초월하여 제 1 격실(20)을 충전하고 있기 때문에, 진탕 조작은 물을 주입하고 봉투체의 저부(10A)(거싯 접기부)를 강력하게 확개 가압하여, 씰부를 R부(18-3)로부터 박리·개통에 이르게 한다. 씰 강도가 6N으로 커도 R부(18-3)의 개통은 야기시킬 수 있지만, R부(18-3)보다 상방의 직립 부분(18-2)에는 미개통 부위가 남겨진다.
격벽(18)에 있어서의 수평부(18-1) 높이(H)=h1000의 경우, 1000mL의 충전수의 수면은 수평부(18-1)에 정확하게 걸리도록 위치한다. 이로 인해, 진탕에 의해 봉투체(10)를 확개하여 격벽(18)을 구성하는 박리 가능 씰을 박리시키는 힘은 씰 높이가 가장 낮은 H=h700인 경우 정도는 아니지만 여전히 크고, 씰 강도 2N 이하에서 진탕하지 않고, 즉, 제 1 격실로의 1000mL의 충전수의 주입만으로 개통을 일으키게 할 수 있다. 씰 강도가 7.5N까지 높아도 진탕 조작에 의해 R부(18-3)의 개통은 가능하지만, 그 상방 부분까지 개통시키는 것은 곤란하며, 직립부(18-2)에는 미개통 부위가 남는다.
격벽(18)에 있어서의 수평부(18-1) 높이(H)=h1300의 경우, 1000mL의 충전수의 수면은 수평부(18-1)보다 상당히 낮게 위치한다. 이 경우, 1000mL의 충전수가 봉투체 저부(10A)를 확개시키는 힘은 약하고, 진탕 조작에 의해 격벽(18)에 가해지는 힘도 작기 때문에, 씰 강도가 1N 정도로 약해도 충전수의 주입만으로 개통에 이르는 일은 없다. 또한, 씰 강도를 4N 정도로 올린 것만으로도, 20회 이상 진탕시키지 않으면 개통에 이르지 않는다. 개통까지 이러한 횟수의 진탕이 필요하면 개통하기 어렵다고 하는 인상을 유저에게 주어, 봉투체를 진탕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여 가압과 같은 부가적인 개통 조작을 유저에게 강요하게 된다.
도 12는 표 1(R=20mm)로부터 씰 강도와 진탕 횟수의 관계를 그래프로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13은 표 2(R=30mm)로부터 씰 강도와 진탕 횟수의 관계를 그래프로 도시한 것이다. 씰 강도를 높이면 진탕 횟수가 증가한다(개통하기 어렵게 한다)라는 일반적인 관계는 명백하다. 씰 높이 위치에 관해서는 씰 높이를 낮추면 진탕 횟수가 감소된다(개통하기 쉬워진다)라고는 말할 수 있다. 한편, R부(18-3)의 직경에 관해서는 그 값이 작으면, 격벽(18)의 침식에 의해 개통은 일어나기 쉽지만, R=20mm 정도이면 개통성에 영향은 없다고 이해된다.
도 14는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의 복실 용기의 개통 동작을 이미지적으로 도시하는 선도이며, 가로축은 씰 강도(N/15mm), 세로축은 저면으로부터의 격벽 높이(격벽 수평부(18-1)의 높이)를 의미한다. 봉투체(10)의 높이 방향에 있어서의 중간 위치를 hM으로 나타낸다. 대충 1N 이하의 라인(l1)보다 낮은 씰 강도의 영역(a)은 격벽(18)의 개통이 진탕 조작없이, 즉, 약제의 충전만으로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부적합한 영역이다. 또한, 수송 등의 취급 중의 진동에 의한 개통의 우려도 있기 때문에 이 점에서도 부적합하다(본 발명의 복실 용기의 수송 적성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씰 높이가 낮은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격벽(18)은 개통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한계의 씰 강도는 라인(l1')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허용 한계는 씰 위치가 낮아짐에 따라서 1N보다 더 강 씰 강도측으로 이행해 간다. 라인(l2)은 이 라인보다 높은 씰 강도에서는 격실 개통을 위해 물의 주입+진탕만으로는 격실의 개통을 야기시킬 수 없는 씰 강도의 한계(보다 높은 씰 강도측에서는 수용액을 수용한 제 1 격실을 외부로부터 손바닥으로 강압하는 등으로 하여 가압하지 않으면 격벽(18)을 개통시킬 수 없는 한계)이다. 즉, 라인(l1)과 라인(l2)간의 영역(b)은 진탕 조작만으로 격벽(18)의 개통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로서 최적의 씰 강도 영역을 나타낸다. 라인(l2)에 있어서의 씰 강도는 높은 씰 위치측에서는 3N 정도이지만, 씰 높이가 낮아져 가면 격벽(18)은 개통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한계의 씰 강도는 라인(l2')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3N보다 더 강 씰 강도측으로 이행해 가고, 최종적으로는 l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5N 정도가 된다. 라인(l3)은 수용액을 수용한 제 1 격실을 외부에서 강압해도 격벽(18)의 개통을 일으키게 할 수 없는 하한의 씰 강도이며 15N 정도이다. 따라서, 라인(l2)으로부터 라인(l3)의 영역(c)이 격벽 개통을 위해 진통만으로는 불가능하고 외부로부터의 강압 조작이 필요한 영역이며, 라인(l3)보다 높은 씰 강도측의 영역(d)이 외부로부터의 강압 조작에 의해서도 개통 불가능한 영역이다. 이상으로부터, 격벽(18)의 개통성에 미칠 수 있는 수평부(18-1)의 높이의 영향을 고려하면, 격벽(18)을 구성하는 박리 가능 씰의 씰 강도는 1 내지 5N이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수송 적성을 체크하기 위해 이 진동 시험 및 낙하 시험에 제공하였다. 진동 시험은 JIS Z 0232의 랜덤 진동 시험에 준거하였다(진동 시간은 60min). 진동 시험의 결과는 씰 강도 0.78, 1.17 및 2.14N/15mm의 각각의 40봉투에 관해서 씰의 개통 유무(외관 판단)에 의해 평가했지만, 각 씰 강도의 40봉투에 관해서 씰의 개통을 일으킨 것은 전무하였다.
진동 시험 후의 검체는 그 씰이 영향을 전혀 받고 있지 않은 점에서, 동일 검체를 계속해서 낙하 시험에 제공하였다. 낙하 시험은 90cm에서 3회의 낙하를 반복하여, 씰 개통의 유무에 의해 평가를 행한 결과, 0.78, 1.17 및 2.14N/15mm의 각 씰 강도의 40봉투에 관해서 씰 개통은 전무하였다. 이상의 진동 시험 및 낙하 시험의 결과로부터 격실을 구성하는 격벽(18)의 씰 강도가 최저 0.78N/15mm이면 낙하시의 부하에 대해 개통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진동 시험 및 낙하 시험에 있어서 씰 개통을 야기시키지 않는 씰 강도의 이 하한값 0.78N/15mm은, 도 14에 관련하여 먼저 설명한 진탕 또는 가압에 의한 수액(輸液)을 위한 개통 조작시의 씰 강도의 적합 범위 1 내지 5N/15mm의 하한값 1N/15mm에 대해 충분한 여유를 가지고 있으며, 본 발명의 용기는 수송 적성을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복실 용기를 도시하고 있으며, 봉투체(110)의 외주 씰부(112)(박리 불가능 씰부)에 주출 포트(116)를 장착하고, 박리 가능 씰로서의 격벽(118)(수평부(118-1)와 수직부(118-2)로 이루어진다)에 의해 봉투체(110)의 내부 공동을 제 1 격실(120) 및 제 2 격실(122)로 구획한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와 같다. 봉투체(110)의 저부(110A)가 거싯 접기부를 형성하고 있는 구성도 제 1 실시형태(도 9)와 같다. 외주 씰부(112)의 윤곽 형상 및 격벽(118)의 배치 형상은 제 1 실시형태의 외주 씰부(12) 및 격벽(18)과 어느 정도 상이하지만 그 기능에 상이한 점은 없다. 한편, 이하의 도면에서도 복실 용기의 배면도는 정면도에 대해 기본적으로는 대칭으로 나타나는 점이 상이할 뿐(나사부는 대칭으로는 나타나지 않으며 180도만큼 돌린 부분이 나타난다)이기 때문에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복실 용기를 도시하고 있으며, 봉투체(210)의 외주 씰부(212)(박리 불가능 씰부)에 주출 포트(216)를 장착하고, 박리 가능 씰로서의 격벽(218)(수평부(218-1)와 수직부(218-2)로 이루어진다)에 의해 봉투체(210)의 내부 공동을 제 1 격실(220) 및 제 2 격실(222)로 구획한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와 같다. 봉투체(210)의 저부(210A)가 거싯 접기부를 형성하고 있는 구성도 제 1 실시형태(도 9)와 같다. 외주 씰부(212)의 윤곽 형상 및 격벽(218)의 배치 형상은 제 1 실시형태의 외주 씰부(12) 및 격벽(18)과 어느 정도 상이하지만 그 기능에 상이한 점은 없다.
도 17 내지 도 19도 같은 복실 용기를 도시하고 있으며, 봉투체(310, 410, 510)의 외주 씰부(312, 412, 512)(박리 불가능 씰부)에 주출 포트(316, 416, 516)를 장착하고, 박리 가능 씰로서의 격벽(318, 418, 518)(수평부와 수직부로 이루어진다)에 의해 봉투체(310, 410, 510)의 내부 공동을 제 1 격실(320, 420, 520) 및 제 2 격실(322, 422, 522)로 구획한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와 같다. 봉투체(310, 410, 510)의 저부(310A, 410A, 510A)가 거싯 접기부를 형성하고 있는 구성도 제 1 실시형태(도 9)와 같다. 외주 씰부(312, 412, 512)의 윤곽 형상 및 격벽(318, 418, 518)의 배치 형상은 제 1 실시형태의 외주 씰부(12) 및 격벽(18)과 어느 정도 상이하지만 그 기능에 상이한 점은 없다.
도 20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봉투체(610)의 외주 씰부(612)(박리 불가능 씰부)에 주출 포트(616)를 장착하고, 박리 가능 씰로서의 격벽(618)에 의해 봉투체(610)의 내부 공동을 제 1 격실(620) 및 제 2 격실(622)로 구획하고, 봉투체(610)의 저부(610A)가 거싯 접기부를 형성하고 있는 구성도 구성은 이상의 실시형태와 같다. 그러나, 격벽(618)은 수평부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점은 이전의 어느 실시형태와도 상이하다. 이로 인해, 주출 포트(616)는 격벽(618)의 상측의 소용량의 격실(622)로 개구하고, 격벽(618)의 하측의 대용량의 격실(620)에는 주출 포트(616)는 개구하고 있지 않다. 주출 포트(616)보다 소용량의 상측의 격실(622)에 주수함으로써 격실(622)의 분말상 약제를 용해시켜 수용액으로 하고, 봉투체(610)를 진탕함으로써 격벽(618)의 개통을 야기시켜, 하측의 대용량의 격실(620)에 수용한 분말상 약제와 혼합시키도록 한다.
10…봉투체
10-1, 10-2…봉투체의 표리면
10A…봉투체의 거싯 접기 저부
12…외주 씰부(강 씰부)
14…개구
15…손잡이
16…주출 포트
16-1…나사부
16-2…플랜지부
18…격벽(박리 가능 씰부)
18-1…격벽 수평부
18-2…격벽 직립부
18-3…격벽 R부
20…제 1 격실
22…제 2 격실
40…폴리에틸렌글리콜 전해질 분말
42…아스코르브산 분말
110, 210, 310, 410, 510, 610…봉투체
116, 216, 316, 416, 516, 615…주출 포트
118, 218, 318, 418, 518, 618…격벽
120, 220, 320, 420, 520, 620…제 1 격실
122, 222, 322, 422, 522, 622…제 2 격실

Claims (6)

  1. 가요성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실질적으로 평탄상인 봉투체와, 상기 봉투체의 대향 내면을 박리 가능하게 용착하는 박리 가능 씰로서 구성되고, 봉투체의 내부 공동을 복수의 격실로 분리하는 격벽과, 상기 복수의 격실 중 하나의 격실로 개구하도록 봉투체의 주변부에 장착되고, 액체의 주입 및 배출을 하기 위한 주출 포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격실 각각에는 분말상의 약제만이 수납되고, 주출 포트로부터 복수의 격실 중 상기 하나의 격실에 주입되는 액체에 의해 거기에 수용되는 분말상의 약제가 용해되고, 박리 가능 씰을 박리시킴으로써, 용액을 복수의 격실 중 나머지 격실에 도입함으로써 거기에 수용되는 분말상의 약제가 용해되는 복실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격벽은 적어도 일부가 봉투체의 거싯 접기된 저부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는 복실 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격벽은 봉투체의 저부를 따라 봉투체의 측부로부터 봉투체의 폭에 있어서의 중간 부위까지 연신되는 제 1 부분과, 이 제 1 부분의 단부로부터 봉투체의 저부로 이간 방향으로 봉투체의 상연부까지 연신되는 제 2 부분으로 구성되고, 격벽에 있어서의 봉투체의 저부에 대해 근접측에 복수의 격실 중 주출 포트가 개구한 격실이 형성되고, 격벽에 있어서의 봉투체의 저부로부터 이간측에 복수의 격실 중 주출 포트가 비설치된 격실이 형성되는 복실 용기.
  4. 제 3 항에 있어서, 격벽에 있어서의 제 1 부분과 제 2 부분의 접속부는 R 형상을 이루는 복실 용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 가능 씰의 씰 강도는 복수의 격실 중 상기 하나의 격실로의 주수(注水) 상태에 있어서의 봉투체의 진탕 조작에 의해서만 씰의 박리를 야기시키는 씰 강도인 복실 용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격벽을 구성하는 박리 가능 씰의 씰 강도는 1 내지 5(N/15mm)인 복실 용기.
KR1020137014338A 2011-01-31 2012-01-31 복실 용기 KR1019357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18245 2011-01-31
JPJP-P-2011-018245 2011-01-31
PCT/JP2012/052053 WO2012105524A1 (ja) 2011-01-31 2012-01-31 複室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0053A true KR20130140053A (ko) 2013-12-23
KR101935769B1 KR101935769B1 (ko) 2019-01-08

Family

ID=46602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4338A KR101935769B1 (ko) 2011-01-31 2012-01-31 복실 용기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10226400B2 (ko)
EP (1) EP2671562A4 (ko)
JP (2) JP6081799B2 (ko)
KR (1) KR101935769B1 (ko)
CN (1) CN103338738B (ko)
AU (1) AU2012211812A1 (ko)
BR (1) BR112013019239A2 (ko)
CA (1) CA2826010A1 (ko)
EA (1) EA201300864A1 (ko)
IL (1) IL227622A0 (ko)
MA (1) MA34924B1 (ko)
MX (1) MX2013008504A (ko)
TN (1) TN2013000326A1 (ko)
TW (1) TWI608838B (ko)
WO (1) WO2012105524A1 (ko)
ZA (1) ZA20130575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35461B (zh) 2011-03-11 2016-06-01 諾金私人有限公司 結腸清潔溶液、用於製備該溶液之組成物、包含該組成物或溶液之套組、與製備該溶液之方法
JP5708141B2 (ja) * 2011-03-30 2015-04-30 味の素株式会社 経口投与用液剤を調製するための経口投与用製剤
WO2012150632A1 (ja) * 2011-05-02 2012-11-08 株式会社モリモト医薬 投薬用容器
HUE043605T2 (hu) 2012-09-11 2019-08-28 Norgine Bv PEG-et és aszkorbátot tartalmazó kompozíciók
ITMI20130977A1 (it) * 2013-06-13 2014-12-14 Goglio Spa Confezione in materiale flessibile per prodotti alimentari da consumare dopo riscaldamento in forno
JP2015211706A (ja) * 2014-05-01 2015-11-26 四国化工株式会社 医療用2室容器
JP2015211707A (ja) * 2014-05-01 2015-11-26 四国化工株式会社 医療用3室容器
FR3034016A1 (fr) * 2015-03-27 2016-09-30 Inst Nord Sud De Coop Biopharmaceutique Sachet pour la preparation d'une formulation pharmaceutique destinee a une administration orale, disposition comprenant un tel sachet et procedes de preparation associes
US11312561B2 (en) * 2015-11-25 2022-04-26 Pouch Pac Innovations, Llc Flexible pouch for two-component products
JP6717256B2 (ja) 2017-05-10 2020-07-01 株式会社デンソー 冷媒蒸発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7244488A (zh) * 2017-07-17 2017-10-13 东莞市科妍化妆品有限公司 一种双袋面膜袋及面膜使用方法
US20190350810A1 (en) 2018-05-18 2019-11-21 Baxter International Inc. Dual chamber flexible container and drug product using same
USD900311S1 (en) 2018-05-18 2020-10-27 Baxter International Inc. Dual chamber flexible container
US11667459B2 (en) * 2020-06-12 2023-06-06 Sonia Gonzales Infant formula receptacle with pliable pouch, and infant feeding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08043A (en) * 1984-06-22 1986-08-26 Abbott Laboratories I.V. fluid storage and mixing system
DE3904080A1 (de) * 1989-02-11 1990-08-16 Schiwa Gmbh Kollabierbarer behaelter zur aufnahme von fluessigen substanzen
JPH03122840U (ko) * 1990-03-26 1991-12-13
US5267646A (en) * 1990-11-07 1993-12-07 Otsuka Pharmaceutical Factory, Inc. Containers having plurality of chambers
US5209347A (en) 1990-12-05 1993-05-11 Clintec Nutrition Company Internal tear seal dual bag
JP3079403B2 (ja) * 1992-05-03 2000-08-21 株式会社大塚製薬工場 複室容器
US5423421A (en) 1992-05-03 1995-06-13 Otsuka Pharmaceutical Factory, Inc. Containers having plurality of chambers
SE510030C2 (sv) * 1995-08-08 1999-04-12 Gambro Ab Förfarande för blandning av steril medicinsk lösning samt behållare för utförande av förfarandet
US5928213A (en) 1996-05-13 1999-07-27 B. Braun Medical, Inc. Flexible multiple compartment medical container with preferentially rupturable seals
US5944709A (en) * 1996-05-13 1999-08-31 B. Braun Medical, Inc. Flexible, multiple-compartment drug container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same
JPH11285518A (ja) 1998-04-03 1999-10-19 Nissho Corp 液体収容バッグ
ATE398437T1 (de) * 1999-03-02 2008-07-15 Hosokawa Yoko Kk Medizinischer mehrkammer-behälter
JP4476435B2 (ja) * 1999-07-22 2010-06-09 株式会社細川洋行 仕切部材、複室輸液容器および薬剤入り複室輸液容器の製造方法
JP2002080048A (ja) 2000-09-11 2002-03-19 Fuso Pharmaceutical Industries Ltd 複室包装袋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284074B2 (ja) 2001-04-27 2009-06-24 泉工医科工業株式会社 液体バッグおよび液体バッグアッセンブリ
JP2003040282A (ja) 2001-07-30 2003-02-13 Shimizu Pharmaceutical Co Ltd 袋体およびその開口・充填方法
JP2003104390A (ja) 2001-09-28 2003-04-09 Shimizu Pharmaceutical Co Ltd 複合袋体およびその充填方法
TWI252203B (en) * 2002-03-28 2006-04-01 Showa Denko Plastic Product Co Infusion container with multiple chambers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KR100654894B1 (ko) * 2002-04-30 2006-12-08 가부시키가이샤 오츠까 세이야꾸 고죠 다중 챔버 의료용기 및 이를 수용하기 위한 백
US7175614B2 (en) * 2002-10-17 2007-02-13 Baxter International Inc. Peelable seal
GB0224909D0 (en) * 2002-10-25 2002-12-04 Norgine Europe Bv Colon cleansing compositions
US20040118477A1 (en) * 2002-11-20 2004-06-24 Desmond James F. Portable storage kit system
US7055683B2 (en) 2002-12-20 2006-06-06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Multiple compartment pouch and beverage container with smooth curve frangible seal
US7243787B2 (en) * 2003-03-26 2007-07-17 Nipro Corporation Medicine bag
EP1621177A1 (en) * 2004-07-29 2006-02-01 Fresenius Kabi Deutschland GmbH Medical container with improved peelable seal
JP2006182436A (ja) 2004-12-28 2006-07-13 Dainippon Printing Co Ltd 注出口付きパウチ
JP4689416B2 (ja) * 2005-09-13 2011-05-25 三井化学株式会社 複室容器
US7740611B2 (en) * 2005-10-27 2010-06-22 Patented Medical Solutions, Llc Method and apparatus to indicate prior use of a medical item
JP2007260253A (ja) * 2006-03-29 2007-10-11 Terumo Corp 医療用容器
JP5003037B2 (ja) * 2006-04-28 2012-08-1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注出口付きパウチ
US9004761B2 (en) * 2006-05-01 2015-04-14 Baxter International Inc. Multiple chamber container with mistake proof administration system
EP2040997B1 (en) * 2006-06-01 2011-05-18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Multiple compartment pouch with frangible seal
CN101495163B (zh) * 2006-06-15 2012-10-31 美宝有限公司 用于提供溶液的容器、系统和方法
JP4958581B2 (ja) * 2007-02-23 2012-06-20 株式会社大塚製薬工場 輸液バッグ用ポート部材、及び輸液バッグ
AU2008276916B2 (en) * 2007-07-19 2014-05-15 Otsuka Pharmaceutical Factory, Inc. Multi-chamber bag
WO2009086300A1 (en) 2007-12-27 2009-07-09 Baxter International Inc. Multi-chambered containers
CN201168199Y (zh) * 2008-03-10 2008-12-24 上海武彬包装制品有限公司 多室输液软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71562A1 (en) 2013-12-11
US10226400B2 (en) 2019-03-12
TW201235033A (en) 2012-09-01
TN2013000326A1 (en) 2015-01-20
CN103338738B (zh) 2017-08-29
CN103338738A (zh) 2013-10-02
JP6081799B2 (ja) 2017-02-15
BR112013019239A2 (pt) 2016-10-11
AU2012211812A1 (en) 2013-08-22
JPWO2012105524A1 (ja) 2014-07-03
MX2013008504A (es) 2014-02-17
TWI608838B (zh) 2017-12-21
ZA201305752B (en) 2014-10-29
EP2671562A4 (en) 2016-01-20
IL227622A0 (en) 2013-09-30
CA2826010A1 (en) 2012-08-09
WO2012105524A1 (ja) 2012-08-09
JP2017094153A (ja) 2017-06-01
EA201300864A1 (ru) 2013-12-30
MA34924B1 (fr) 2014-02-01
KR101935769B1 (ko) 2019-01-08
US20130304016A1 (en) 2013-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40053A (ko) 복실 용기
EP1955686B1 (en) Method of reinforcing soft sealing part of multicell container for medical use
US8118158B2 (en) Sealed storage bag of multiple compartment structure
RU2556472C2 (ru) Форма
KR100771572B1 (ko) 약제 백
JP5056754B2 (ja) 容器
RU2558829C2 (ru) Заполнение емкости
JP2005523772A (ja) 医療用複室容器及びこれを収容する収容袋
EP2568950B1 (en) Handling
JP4787646B2 (ja) 医療用容器
JP4708234B2 (ja) 医療用複室容器
JP5078385B2 (ja) 医療用容器
JP5053620B2 (ja) 医療用複室容器の弱シール部の補強方法
JP2004305722A (ja) 薬剤バッグ
JP4552469B2 (ja) 薬剤バッグ
JP5728806B2 (ja) 医療用複室容器
JP2006051085A (ja) 複室容器
JP2005211481A (ja) 医療用複室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