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8021A - 차량용 시트 및 시트 백 보드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 및 시트 백 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8021A
KR20130128021A KR1020137028903A KR20137028903A KR20130128021A KR 20130128021 A KR20130128021 A KR 20130128021A KR 1020137028903 A KR1020137028903 A KR 1020137028903A KR 20137028903 A KR20137028903 A KR 20137028903A KR 20130128021 A KR20130128021 A KR 201301280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seat back
spring
resin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8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5243B1 (ko
Inventor
히사야 모리
신지 아와타
히데키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130128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80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5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52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0Upholstery springs ; Upholstery
    • B60N2/7094Upholstery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8Seat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8Seat coverings
    • B60N2/5816Seat coverings attachments thereof
    • B60N2/5825Seat coverings attachments thereof by hooks, staples, clips, snap fasten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0Upholstery springs ; Upholstery
    • B60N2/72Attachment or adjustment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수지 스프링에 시트 표피를 용이하게 계지할 수 있는 차량용 시트 및 시트 백 보드를 얻는다. 시트 백 보드(16)에서는, 커버(20) 측에 부착된 클립(22C)을, 시트 백 보드(16)의 세로 방향 클립 계합부(59)에 계합시킴으로써, 커버(20)를 시트 백 보드(16)의 백 스프링부(38)에 계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호그 링 등에 의한 계지 구조와 비교하여, 백 스프링부(38)로의 커버(20)의 계지 작업을 용이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시트 백 보드(16)의 백 스프링부(38)에는, 세로 방향 클립 계합부(59)를 설치하기 위해 단순한 한 쌍의 개구(58)가 형성되어 있는 것에 불과하기 때문에, 백 스프링부(38)의 성형성이 악화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 및 시트 백 보드{VEHICLE SEAT AND SEAT BACK BOARD}
본 발명은 수지 스프링을 구비한 차량용 시트 및 시트 백 보드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시트에는, 경량화의 요청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차량용 시트의 경량화를 도모하는 관점에서, 시트 백 프레임에 설치된 좌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 사이에 걸쳐 놓여지는 스프링을, 수지제로 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 특개2004-138156호 공보
그런데, 차량용 시트에 설치되는 금속제의 스프링에는, 일반적으로 쿠션재인 패드가 지지됨과 함께, 당해 패드의 표면을 덮는 시트 표피가 호그 링(hog ring) 등을 개재하여 계지(係止; anchoring)된다. 이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은 수지 스프링에 있어서도, 시트 표피를 계지하기 위한 구조를 설정하는 것이 생각되지만, 호그 링 등에 의한 종래의 계지 구조에서는, 계지 작업이 번잡하다.
본 발명은 상기 사실을 고려하여, 수지 스프링에 시트 표피를 용이하게 계지할 수 있는 차량용 시트 및 시트 백 보드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관련된 차량용 시트는, 수지제로 되어, 양단(兩端)측이 시트 프레임에 지지됨과 함께, 개구가 형성된 수지 스프링과, 상기 수지 스프링에 지지된 패드와, 상기 패드의 표면을 덮는 시트 표피와, 상기 시트 표피 측에 부착되어, 상기 개구의 가장자리부에 계지된 계지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차량용 시트에서는, 시트 프레임에 지지된 수지 스프링에는, 패드가 지지되어 있다. 이 패드를 덮는 시트 표피에는 계지 수단이 부착되어 있고, 이 계지 수단은, 수지 스프링에 형성된 개구의 가장자리부에 계합(係合; engaging)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계지 수단을 개재하여 시트 표피를 용이하게 수지 스프링에 계지할 수 있다. 또한, 수지 스프링에는, 시트 표피를 계지하기 위해 단순한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에 불과하기 때문에, 수지 스프링의 성형성이 악화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관련된 차량용 시트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차량용 시트에 있어서, 상기 수지 스프링에는, 한 쌍의 상기 개구가 인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계지 수단은, 상기 한 쌍의 개구의 각각에 삽입됨과 함께 각 선단(先端)측에 클로(claw)부가 형성된 한 쌍의 아암(arm)부를 가지는 클립으로 되며, 상기 한 쌍의 개구의 사이가, 상기 각 클로부가 걸리는 클립 계합부로 되어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차량용 시트에서는, 클립에 설치된 한 쌍의 아암부가, 수지 스프링에 형성된 한 쌍의 개구의 각각에 삽입되면, 한 쌍의 아암부의 선단측에 형성된 클로부가, 한 쌍의 개구의 사이에 형성된 클립 계합부에 걸린다. 이에 따라, 클립이 부착된 시트 표피를, 용이하게 수지 스프링에 계지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아암부를 서로 이간시킴으로써, 클립 즉 시트 표피를 수지 스프링으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화살촉 형상의 계지 수단을 하나의 개구에 삽입하여 당해 개구의 가장자리부에 계지하는 구성과 비교하여, 수지 스프링으로부터의 계지 수단의 떼어냄 작업을 용이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관련된 차량용 시트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차량용 시트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상기 한 쌍의 아암부의 기단(基端)측을 서로 접근시킴으로써 상기 한 쌍의 아암부의 중간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상기 한 쌍의 아암부의 선단측이 서로 이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차량용 시트에서는, 클립을 수지 스프링으로부터 떼어낼 때에는, 한 쌍의 아암부의 기단측을 서로 접근시키면 된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아암부의 중간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한 쌍의 아암부의 선단측이 서로 이간하므로, 수지 스프링의 클립 계합부에 대한 클로부의 걸림을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수지 스프링으로부터의 클립(즉 시트 표피)의 떼어냄 작업을 한층 더 용이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관련된 차량용 시트는, 청구항 1∼청구항 3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차량용 시트에 있어서, 상기 수지 스프링은, 단면 파상(波狀)으로 형성된 휨부를 구비하고, 상기 개구는, 상기 휨부에 형성되어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차량용 시트에서는, 수지 스프링이 단면 파상으로 형성된 휨부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간단한 구성으로 용이하게 수지 스프링에 스프링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당해 수지 스프링에 형성되는 개구의 배치를 적절히 설정 변경함으로써, 수지 스프링의 스프링 정수(定數)를 용이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관련된 차량용 시트는, 청구항 1∼청구항 4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차량용 시트에 있어서, 상기 수지 스프링은, 양단부가 상기 시트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개구는, 상기 수지 스프링의 양단부 및 중앙부를 제외한 부위에 형성되어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차량용 시트에서는, 수지 스프링의 양단부가 시트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수지 스프링의 중앙측에 하중이 입력되었을 때에는, 양단 고정 지지 빔(beam)과 동일하게, 수지 스프링의 양단부 및 중앙부에 있어서 응력이 최대가 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클립을 수지 스프링에 계합시키기 위한 개구가, 수지 스프링의 양단부 및 중앙부를 제외한 부위에 형성되어 있다. 즉, 응력이 최대가 되는 부위를 피하여 개구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수지 스프링의 강도 및 강성을 확보하면서, 수지 스프링의 폭 등을 작게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지 스프링, 나아가서는 차량용 시트의 경량화 및 저비용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관련된 차량용 시트는, 청구항 1∼청구항 5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차량용 시트에 있어서, 상기 시트 표피 측에 부착된 적어도 2개의 상기 계지 수단이, 상기 수지 스프링에 형성된 적어도 2개의 상기 개구의 가장자리부에 대해 계합 방향을 다르게 하여 각각 계지됨으로써, 상기 패드가 상기 시트 표피에 의해서 적어도 2개의 방향으로부터 상기 수지 스프링에 위치 결정되어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차량용 시트에서는, 시트 표피 측에 부착된 적어도 2개의 계지 수단이, 수지 스프링에 형성된 적어도 2개의 개구의 가장자리부에 각각 계지되어 있다. 이에 따라, 패드가 시트 표피에 의해서 적어도 2개의 방향으로부터 수지 스프링에 위치 결정되어 있으므로, 패드가 수지 스프링에 대해 부주의하게 위치 어긋나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2개의 개구의 가장자리부에 대한 적어도 2개의 계지 수단의 계합 방향이 다르게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각 개구의 치수를 각 계지 수단의 치수보다 크게 설정함으로써, 각 계지 수단이 수지 스프링에 대해 계합 방향과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대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경우에도, 적어도 2개의 계지 수단에 의해서 적어도 2개의 방향으로부터 패드를 수지 스프링에 위치 결정할 수 있다. 즉, 수지 스프링에 대한 패드의 조립 편차를 계지 수단의 상기 상대 이동에 의해 흡수하면서, 패드를 수지 스프링에 대해 적어도 2개의 방향으로 위치 결정할 수 있으므로, 차량용 시트의 제조를 용이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관련된 차량용 시트는, 청구항 1∼청구항 6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차량용 시트에 있어서, 상기 시트 프레임은, 좌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을 가지는 시트 백 프레임이고, 상기 수지 스프링은,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 사이에 시트 백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패드는, 상기 수지 스프링의 전면(前面) 측에 배치됨과 함께 스스로의 전면 측과 후면(後面) 측을 연통하는 연통부가 설치된 시트 백 패드이고, 상기 시트 표피는, 상기 시트 백 패드의 적어도 전면 측을 덮고 있으며, 상기 클립은, 상기 연통부에 삽입되어 상기 개구의 가장자리부에 계지되어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차량용 시트에서는, 시트 백 프레임에 설치된 좌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 사이에, 수지 스프링이 시트 백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이 수지 스프링의 전면 측에는, 시트 백 패드가 배치되어 있고, 당해 시트 백 패드의 적어도 전면 측을 덮는 시트 표피에는, 클립이 부착되어 있다. 이 클립은, 시트 백 패드에 설치된 연통부에 삽입되어, 수지 스프링에 형성된 개구의 가장자리부에 계합하고 있다. 이에 따라, 클립을 개재하여 시트 백의 시트 표피를 용이하게 수지 스프링에 계지할 수 있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에 관련된 차량용 시트는, 청구항 7에 기재된 차량용 시트에 있어서, 상기 수지 스프링은, 상기 시트 백 프레임의 배면 측에 배치되는 백 보드부를 구비한 수지제의 시트 백 보드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청구항 8에 기재된 차량용 시트에서는, 수지제의 시트 백 보드에 백 보드부 및 수지 스프링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시트 백의 스프링이 금속제인 경우에 비해, 부품점수 및 조립 공수(工數)를 삭감할 수 있음과 함께, 경량화 및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수지 스프링에는, 시트 표피를 계지하기 위해 단순한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에 불과하기 때문에, 백 보드부와 일체로 형성된 구성이더라도, 성형성이 악화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에 관련된 차량용 시트는, 청구항 8에 기재된 차량용 시트에 있어서, 상기 수지 스프링은, 시트 백 높이 방향에 간격을 두고 복수 설치되고, 당해 복수의 수지 스프링에는, 평단면시(視)에서 본 경우에 시트 백 폭 방향으로 복수의 곡면을 연속시킴으로써 파상으로 형성된 휨부가 설치됨과 함께, 시트 백 높이 방향의 어느 한 쪽에 금형 제거할 수 있도록 빼기 구배가 설정되어 있다.
청구항 9에 기재된 차량용 시트에서는, 시트 백 보드가 백 보드부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복수 개의 수지 스프링을 백 보드부와 수지 성형으로 일체로 형성하기 위해서는, 시트 백 높이 방향의 어느 한 쪽에 금형을 제거하는 방법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이 점을 고려하여, 각 수지 스프링의 각각에 형성된 휨부에, 빼기 구배를 설정했으므로, 시트 백 높이 방향의 어느 한 쪽에 금형 제거할 수 있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에 관련된 차량용 시트는, 청구항 3에 기재된 차량용 시트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아암부의 각 중간부에는,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설치되어 있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차량용 시트에서는, 클립에 설치된 한 쌍의 아암부의 기단측이 서로 접근되면, 한 쌍의 아암부의 중간부에 설치된 돌출부가 서로 접근하여 맞닿음으로써, 이들 돌출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한 쌍의 아암부의 선단측이 서로 이간한다. 이에 따라, 클립의 구성을 간단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에 관련된 시트 백 보드는, 수지의 판재에 의해서 형성됨과 함께 시트 백 프레임의 배면 측에 배치되는 백 보드부와, 수지제로 되어 상기 백 보드부에 일체 또는 일체적으로 설치됨과 함께, 상기 시트 백 프레임에 설치된 좌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 사이에 시트 백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수지 스프링을 가지고, 또한, 상기 수지 스프링에 개구가 형성된 백 스프링부를 구비하고 있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시트 백 보드에서는, 수지제의 시트 백 보드에 백 보드부 및 수지 스프링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시트 백의 스프링이 금속제인 경우에 비해, 부품점수 및 조립 공수를 삭감할 수 있음과 함께, 경량화 및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수지 스프링에는, 시트 표피를 계지하기 위해 단순한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에 불과하기 때문에, 백 보드부와 일체로 형성된 구성이더라도, 성형성이 악화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청구항 12에 기재된 발명에 관련된 시트 백 보드는, 청구항 11에 기재된 시트 백 보드에 있어서, 상기 수지 스프링은, 단면 파상으로 형성된 휨부를 구비하고, 상기 개구는, 상기 휨부에 형성되어 있다.
청구항 12에 기재된 시트 백 보드에서는, 수지 스프링이 단면 파상으로 형성된 휨부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간단한 구성으로 용이하게 수지 스프링에 스프링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당해 수지 스프링에 형성되는 개구의 배치를 적절히 설정 변경함으로써, 수지 스프링의 스프링 정수를 용이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청구항 13에 기재된 발명에 관련된 시트 백 보드는, 청구항 11 또는 청구항 12에 기재된 시트 백 보드에 있어서, 상기 수지 스프링은,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에 고정됨과 함께, 상기 개구는, 상기 수지 스프링의 양단부 및 중앙부를 제외한 부위에 형성되어 있다.
청구항 13에 기재된 시트 백 보드에서는, 시트 백 프레임의 좌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에 수지 스프링의 양단부가 고정되기 때문에, 수지 스프링의 중앙측에 하중이 입력되었을 때에는, 양단 고정 지지 빔과 동일하게, 수지 스프링의 양단부 및 중앙부에 있어서 응력이 최대가 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클립을 수지 스프링에 계합시키기 위한 개구가, 수지 스프링의 양단부 및 중앙부를 제외한 부위에 형성되어 있다. 즉, 응력이 최대가 되는 부위를 피하여 개구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수지 스프링의 강도 및 강성을 확보하면서, 수지 스프링의 폭 등을 작게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지 스프링, 나아가서는 시트 백 보드의 경량화 및 저비용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14에 기재된 발명에 관련된 시트 백 보드는, 청구항 11∼청구항 13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시트 백 보드에 있어서, 상기 수지 스프링은, 상기 백 보드부의 높이 방향에 간격을 두고 복수 설치되고, 당해 복수의 수지 스프링에는, 평단면시에서 본 경우에 상기 백 보드부의 폭 방향으로 복수의 곡면을 연속시킴으로써 파상으로 형성된 휨부가 일체로 설치됨과 함께, 상기 백 보드부의 높이 방향의 어느 한 쪽에 금형 제거할 수 있도록 빼기 구배가 설정되어 있다.
청구항 14에 기재된 시트 백 보드에서는, 백 보드부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복수 개의 수지 스프링을 백 보드부와 수지 성형으로 일체로 형성하기 위해서는, 백 보드부의 높이 방향의 어느 한 쪽에 금형을 제거하는 방법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이 점을 고려하여, 각 수지 스프링의 각각에 형성된 휨부에, 빼기 구배를 설정했으므로, 백 보드부의 높이 방향의 어느 한 쪽에 금형 제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련된 차량용 시트 및 시트 백 보드에서는, 수지 스프링에 시트 표피를 용이하게 계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시트의 시트 백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어지는 시트 백 프레임에 시트 백 보드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어지는 시트 백의 조립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 평단면도(도 2의 3-3선을 따른 절단면을 나타내는 확대 평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어지는 시트 백의 조립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5의 (a)는 시트 백 보드의 상측 백 스프링부의 부분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평단면도이고, (b)는 당해 상측 백 스프링부의 부분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c)는 당해 상측 백 스프링부에 생기는 응력의 분포도이다.
도 6은 도 3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 평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비교예를 나타내는 도 3에 대응한 평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시트 백 보드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9에 나타내어지는 시트 백 보드의 평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0에 부호 E로 나타내어지는 범위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 평단면도이다.
〔제 1 실시형태〕
이하에, 도 1∼도 7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관련된 차량용 시트의 제 1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 중에 적절히 나타내어지는 화살표 FR은 차량 전(前)측 방향을 나타내고 있고, 화살표 UP는 차량 상측 방향을 나타내고 있으며, 화살표 W는 차량 폭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시트의 전후 방향, 상하 방향, 및 폭 방향(좌우 방향)은, 차량의 전후 방향, 상하 방향, 및 폭 방향(좌우 방향)과 일치하고 있다.
<전체 구성>
도 1에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시트(10)의 등받이인 시트 백(12)의 분해 사시도가 나타내어져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각 구성 요소를 보는 각도를 약간 바꾸어서 그리고 있다. 또, 도 4에는, 차량용 시트(10)의 종단면도가 나타내어져 있다. 이들 도면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차량용 시트(10)는, 탑승자가 착좌하는 시트 쿠션(11)(도 4 참조)과, 시트 쿠션(11)의 후단(後端)부에 경도(傾倒) 가능하게 지지된 시트 백(12)과, 시트 백(12)의 상단(上端)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도시하지 않은 헤드레스트(headrest)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각 도면 중에 적절히 나타내어지는 화살표 A는, 시트 백(12)의 전측 방향을 나타내고 있고, 화살표 B는, 시트 백(12)의 높이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또, 시트 백(12)의 폭 방향은, 차량 폭 방향(시트 폭 방향) W와 일치하고 있다.
도 1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상기 시트 백(12)은, 시트 백(12)의 골격 부재를 구성하는 금속제의 시트 백 프레임(14)(시트 프레임)과, 시트 백 프레임(14)의 전면 측에 장착되는 수지 스프링 일체 백 보드(이하, 단지 「시트 백 보드」라고 칭한다.)(16)와, 시트 백(12)의 쿠션재를 구성함과 함께 시트 백 보드(16)의 전면 측으로부터 부착되어 시트 백 프레임(14)에 지지되는 시트 백 패드(18)와, 시트 백 패드(18)의 주면(主面)인 전면을 덮는 커버(시트 표피)(20)와, 커버(20)를 시트 백 보드(16)에 부착하기 위한 세로 방향 부착 부재(22) 및 가로 방향 부착 부재(24)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에, 각 구성 요소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시트 백 프레임(14)의 구성>
도 1∼도 4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시트 백 프레임(14)은, 정면시(視)(차량의 정면에서 본 경우를 가리킨다.)에 있어서,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시트 백 폭 방향에 대향하여 배치된 좌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26)과, 좌우의 사이드 프레임(26)의 상단부끼리를 연결하는 역 U자 형상의 어퍼(upper) 프레임(28)과, 좌우의 사이드 프레임(26)의 하단(下端)부끼리를 시트 백 폭 방향에 연결하는 로우어(lower) 프레임(3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시트 백(12)은 어퍼 프레임(28)도 포함시켜 4개의 부재가 모두 프레스 성형에 의해서 제작되어 있지만, 다른 프레임 구조를 채용해도 된다. 예를 들면, 어퍼 프레임만을 역 U자 형상으로 구부린 파이프재(材)로 구성해도 되고, 어퍼 프레임과 좌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을 역 U자 형상으로 구부린 하나의 파이프재로 구성해도 된다.
다음으로, 상기 좌우의 사이드 프레임(26)의 단면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사이드 프레임(26)은, 측벽부(26A)와, 전(前)벽부(26B)와, 후(後)벽부(26C)로 구성되어 있고, 시트 백 폭 방향 내방측이 개구된 개방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측벽부(26A)는 전체적으로는 하단부로부터 상단부를 향할수록 폭이 좁아져 있다. 또, 측벽부(26A)의 하부에는, 상하 한 쌍의 부착 구멍(32, 33)(도 1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전벽부(26B)는 측벽부(26A)의 전단(前端)으로부터 시트 백 폭 방향 내방측이고 또한 약간 비스듬히 전방으로 연장 돌출된 후에, 원호면을 개재하여 시트 백 폭 방향 내방측이고 또한 약간 비스듬히 후방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다. 후벽부(26C)는 측벽부(26A)의 후단으로부터 시트 백 폭 방향 내방측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다. 후벽부(26)의 시트 백 폭 방향 중앙부에는, 시트 백 전방측으로 원호 형상으로 팽출된 팽출부가 설치되어 있고, 후벽부(26)의 선단부는 시트 백 전방측으로 비스듬하게 절곡되어 있다. 후벽부(26C)의 폭은 전벽부(26B)의 폭에 대해 충분히 넓게 설정되어 있다. 또, 후벽부(26C)의 상부측에도 부착 구멍(34)(도 1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시트 백 보드(16)의 구성>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시트(10)의 주요부를 구성하는 시트 백 보드(16)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도 4(특히 도 1 및 도 2)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시트 백 보드(16)는, 수지의 판재로 형성됨과 함께 시트 백 프레임(14)의 배면 측에 배치된 백 보드부(36)와, 수지제로 되어 백 보드부(36)에 일체로 설치됨과 함께 좌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26)에 지지되도록 걸쳐 놓여져서, 시트 백 패드(18)를 지지함과 함께, 시트 백 후방측으로의 하중이 작용함으로써 하중 작용 방향(시트 백 후방측)으로 휨 변형 가능하게 형성된 백 스프링부(38)(수지 스프링)를 구비하고 있다.
백 보드부(36)는, 시트 백 프레임(14)보다 한층 작게 형성된 보드 본체(40)와, 이 보드 본체(40)의 외주부에 일체 성형된 U홈 형상의 계지부(42)로 구성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보드 본체(40)는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된 시트 백 프레임(14)의 개구부의 내주연보다 한층 작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시트 백 프레임(14)으로의 조립 상태에서는, 보드 본체(40)는 좌우의 사이드 프레임(26)에 있어서의 후벽부(26C)의 선단부(내단(內端)부) 사이의 약간 시트 백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보드 본체(40)는, 시트 백 프레임(14)에 대해 전방측으로부터 조립 가능하게 되어 있다(도 3 참조). 계지부(42)의 단면 형상은, 시트 백 후방측이 개방된 U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계지부(42)는, 후술하는 커버(20)의 외주부를 계지하기 위해 이용되지만, 판 형상의 보드 본체(40)를 보강하여 백 보드부(36) 전체의 면 강성(剛性)을 높이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백 스프링부(38)는, 백 보드부(36)의 하부측에 일체로 형성된 하측 백 스프링부(44)와, 백 보드부(36)의 상부측에 일체로 형성된 상측 백 스프링부(46)로 구성되어 있다. 상측 백 스프링부(46)는, 하측 백 스프링부(44)에 대해 시트 백 높이 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간한 위치에 독립하여 설치되어 있다. 하측 백 스프링부(44)는, 시트 백 높이 방향(백 보드부(36)의 높이 방향)에 상하 3단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3개의 하측 백 스프링 본체부(48, 49, 51)와, 이들 3개의 하측 백 스프링 본체부(48, 49, 51)에 있어서의 시트 백 폭 방향(길이 방향)의 양단부를 시트 백 높이 방향에 연결함과 함께 백 보드부(36)와도 연결하고 또한 사이드 프레임(26)에 고정되는 좌우 한 쌍의 하측 보드 사이드부(50)(연결 고정부)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하측 백 스프링부(44)를 몇 개의 하측 백 스프링 본체부로 구성하는지는 임의이고, 요구되는 쿠션 성능과의 관계에서 적절히 변경된다. 따라서, 하측 백 스프링 본체부의 상하 폭을 넓혀서 1개로 해도 되고, 반대로 2개 또는 4개 이상의 복수 개로 해도 된다.
도 2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하측 백 스프링 본체부(48, 49, 51)는, 시트 백 폭 방향 중앙측이 휨부(48A, 49A, 51A)(스프링 일반부)로 되어 있다. 이들 휨부(48A, 49A, 51A)는, 평단면시에서 본 경우에 시트 백 폭 방향(백 보드부(36)의 폭 방향)으로 복수의 곡면을 연속시킴으로써 단면 파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백 보드부(36) 측(시트 백 후방측)으로의 하중이 작용함으로써 신장한다. 이에 따라, 하측 백 스프링 본체부(48, 49, 51)가 하중 작용 방향인 백 보드부(36) 측으로 휨 변형(탄성 변형)하도록 되어 있다. 또, 하측 백 스프링 본체부(48, 49, 51)의 시트 백 폭 방향 양단측에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된 평평부(48B, 49B, 51B)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 평평부(48B, 49B, 51B)에 있어서의 시트 폭 방향 양단부는, 좌우 한 쌍의 하측 보드 사이드부(50)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또, 상단과 하단의 하측 백 스프링 본체부(48, 51)에 있어서의 휨부(48A, 51A)의 시트 백 폭 방향 양단부에는, 각각 일대일 세트의 세로 방향 개구(58)(개구)가 시트 백 폭 방향에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다. 각 개구(58)는, 시트 백 높이 방향으로 긴 장원(長圓)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좌우로 근접하여 이웃하는 한 쌍의 세로 방향 개구(58)의 사이에는, 커버(20)를 계지하기 위한 세로 방향 클립 계합부(59)가 형성되어 있다. 이 세로 방향 클립 계합부(59)는, 시트 백 높이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도 3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상술한 백 보드부(36)는, 하측 백 스프링부(44)의 시트 백 후방측에 소정 거리만큼 이간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하측 백 스프링부(44)와 백 보드부(36)의 사이에는 소정의 간극(52)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간극(52)의 범위 내에서 하측 백 스프링 본체부(48, 49, 51)는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백 보드부(36)는, 하측 백 스프링부(44)의 휨량을 소정량 이하로 제한하는 제한 부재로서도 기능하고 있다.
한편, 하측 보드 사이드부(50)는, 사이드 프레임(26)의 측벽부(26A)에 대해 시트 백 폭 방향 내방측에 배치된 내벽(50A)을 가지고 있다. 이 내벽(50A)에는, 하측 백 스프링 본체부(48, 49, 51)의 시트 백 폭 방향 외방측 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또, 하측 보드 사이드부(50)는, 사이드 프레임(26)의 측벽부(26A)에 대해 시트 백 폭 방향 외방측에 배치된 외벽(50B)을 가지고 있다. 이 외벽(50B)은, 내벽(50A)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고, 측벽부(26A)의 외측면에 접촉하고 있다. 또한, 하측 보드 사이드부(50)는, 사이드 프레임(26)의 전벽부(26B)의 전면 측에서 내벽(50A) 및 외벽(50B)의 전단부끼리를 연결한 전벽(50C)과, 내벽(50A)의 후단부로부터 시트 백 폭 방향 내방측으로 연장 돌출되어 백 보드부(36)에 연결된 후측벽(50D)을 구비하고 있다.
상술한 상하 3단의 하측 백 스프링 본체부(48, 49, 51)의 시트 백 폭 방향 양단부는, 좌우 한 쌍의 하측 보드 사이드부(50)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즉, 하측 백 스프링 본체부(48, 49, 51)는 시트 백 높이 방향에 복수 단으로 설치되지만, 이들 하측 백 스프링 본체부(48, 49, 51)의 시트 백 폭 방향 양단부가 좌우 한 쌍의 하측 보드 사이드부(50)에 의해서 연결됨으로써, 하측 백 스프링부(44)가 백 보드부(36)에 일체화되어 있다. 또한, 하측 보드 사이드부(50)는, 상단의 하측 백 스프링 본체부(48)의 상부 가장자리로부터 하단의 하측 백 스프링 본체부(51)의 하부 가장자리까지의 범위를 포함하도록 그 길이 방향 치수가 설정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상기 하측 보드 사이드부(50)의 외벽(50B)에는, 상하 한 쌍의 투과 구멍(61, 63)이 형성되어 있다. 상측의 투과 구멍(61)은, 상단의 하측 백 스프링 본체부(48)와 동등한 높이에 배치되어 있고, 하측의 투과 구멍(63)은, 하단의 하측 백 스프링 본체부(51)와 동등한 높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들 상하 한 쌍의 투과 구멍(61, 63)은, 사이드 프레임(26)의 측벽부(26A)에 형성된 상하 한 쌍의 부착 구멍(32, 33)과 각각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측 보드 사이드부(50)는, 시트 백 폭 방향 외방측으로부터 투과 구멍(61, 63)에 삽입된 고정구(具)인 클립(65, 67)(도 2 및 도 3 참조)이, 부착 구멍(32, 33)에 감입(嵌入) 계지됨으로써, 사이드 프레임(26)에 체결 고정되어 있다. 또한, 하측 보드 사이드부(50)의 고정 수단으로서는, 리벳, 스크루, 나사 또는 볼트와 웰드(weld) 너트 등의 고정구(체결구(具))로 사이드 프레임(26)에 체결하는 구성, 구조용 접착제로 사이드 프레임(26)에 접착하는 구성 등, 다양한 태양이 적용 가능하다.
한편, 상측 백 스프링부(46)는, 기본적으로는 하측 백 스프링부(44)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측 백 스프링 본체부(54)와 상측 보드 사이드부(56)(연결 고정부)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측 백 스프링 본체부(54)의 시트 백 폭 방향 중앙측에는, 백 보드부(36) 측(시트 백 후방측)으로의 하중이 작용하면 신장하여 휨 변형(탄성 변형)하도록 평단면 파상으로 형성된 휨부(54A)(스프링 일반부)가 설치되어 있다.
또, 이 휨부(54A)의 시트 백 폭 방향 양단부에는, 하측 백 스프링 본체부(48, 51)에 형성된 한 쌍의 세로 방향 개구(58) 및 세로 방향 클립 계합부(59)와 동일한 세로 방향 개구(58) 및 세로 방향 클립 계합부(59)가 형성되어 있다. 즉, 이 시트 백 보드(16)에는, 일대일 세트의 세로 방향 개구(58)가 합계 6세트 형성되어 있고, 세로 방향 클립 계합부(59)가 6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휨부(54A)의 시트 백 폭 방향 중간부에 있어서의 좌우 양측에는, 각각 일대일 세트의 가로 방향 개구(69)(개구)가 시트 백 높이 방향에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다. 각 가로 방향 개구(69)는, 시트 백 폭 방향으로 긴 장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하에 근접하여 이웃하는 한 쌍의 가로 방향 개구(69)의 사이에는, 커버(20)를 계지하기 위한 가로 방향 클립 계합부(71)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가로 방향 클립 계합부(71)는, 시트 백 폭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즉, 백 스프링부(38)(수지 스프링)에는, 일대일 세트의 세로 방향 개구(58)와 일대일 세트의 가로 방향 개구(69)가 인접 방향을 다르게 하여 복수 세트 형성됨으로써, 연장 방향이 다른 복수의 세로 방향 클립 계합부(59) 및 가로 방향 클립 계합부(71)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측 보드 사이드부(56)는, 계지부(42)보다 시트 백 폭 방향 외방측을 향해 돌출된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술한 좌우의 사이드 프레임(26)의 측벽부(26A) 사이에 들어가는 길이 방향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후벽부(26C)의 부착 구멍(34)에 시트 백 후방측으로부터 삽입된 클립(73)(도 2 참조)이, 상측 보드 사이드부(56)에 형성된 투과 구멍(75)(도 1 참조)에 감입 계지됨으로써, 상측 보드 사이드부(56)가 사이드 프레임(26)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측 보드 사이드부(56)의 고정 수단으로서는, 상술한 하측 보드 사이드부(50)의 고정 수단과 동일하게, 다양한 태양이 적용 가능하다.
여기서, 상술한 일대일 세트의 가로 방향 개구(69)는, 상측 백 스프링부(46)(백 스프링부(38))의 시트 폭 방향 양단부 및 시트 폭 방향 중앙부를 제외한 부위에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5의 (a) 및 도 5의 (b)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각 가로 방향 개구(69)는, 상측 백 스프링부(46)의 시트 백 폭 방향 중앙과, 상측 백 스프링부(46)의 사이드 프레임(26)으로의 고정 위치인 투과 구멍(75)(클립(73))의 중심의 사이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각 가로 방향 개구(69)는, 상측 백 스프링부(46)의 시트 백 폭 방향 중앙(좌우의 투과 구멍(75)의 중심 사이의 길이를 L로 한 경우에 L/2의 위치)과, 좌우의 투과 구멍(75)의 중심의 위치(0, L의 위치)의 사이의 중앙(L/4, 3L/4의 위치)에 중심이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5의 (b)에 있어서 W는, 상측 백 스프링부(46)의 상하 폭 치수를 나타내고 있고, t1, t3는 가로 방향 개구(69)의 상하 폭 치수를 나타내고 있으며, t2는 가로 방향 클립 계합부(71)의 상하 폭 치수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5의 (a) 및 도 5의 (b)에서는, 도면의 크기의 관계상, 상측 백 스프링부(46)의 시트 백 우방측의 절반만이 도시되어 있고, 3L/4의 위치에 형성된 가로 방향 개구(69)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또한, 도 5의 (a) 및 도 5의 (b)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세로 방향 개구(58) 및 세로 방향 클립 계합부(59)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시트 백 패드(18)의 구성>
도 1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시트 백 패드(18)는, 크게 구별하면, 패드 중앙 상부(62)와, 패드 중앙 하부(64)와, 좌우 한 쌍의 패드 사이드부(66)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시트 백 패드(18)는, 우레탄폼 등에 의해서 제작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패드 중앙 상부(62)의 종단면 형상은, 상하 좌우 역방향의 대략 J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패드 중앙 상부(62)는, 시트 백 프레임(14)의 어퍼 프레임(28)에 시트 백 상방측으로부터 계지되어 있다. 패드 중앙 하부(64)의 종단면 형상은, 좌우 역방향의 대략 J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패드 중앙 하부(64)는, 하부가 상부보다 시트 전방측으로 볼록 만곡 형상으로 부풀어오른 형상을 하고 있다. 이 패드 중앙 하부(64)는, 사이드 프레임(26)의 하단부끼리를 시트 폭 방향에 연결하는 커넥팅 로드(68)에 시트 백 하방측으로부터 계지되어 있다. 또한, 커넥팅 로드(68)는, 시트 백 프레임(14)의 로우어 프레임(30)의 전방측으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 도 3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패드 사이드부(66)의 횡단면 형상은, 대략 C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패드 사이드부(66)는, 하측 보드 사이드부(50)가 장착된 상태의 사이드 프레임(26)에 둘러 감아지도록 하여 장착되어 있다. 또한, 패드 사이드부(66)는, 하부가 상부보다 시트 백 전방측으로 볼록 만곡 형상으로 부풀어오른 형상을 이루고 있고, 또한 패드 중앙 상부(62) 및 패드 중앙 하부(64)보다 시트 백 전방측으로 팽출되어 탑승자 H에 대한 사이드 서포트성을 확보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4로 되돌아가서, 상술한 시트 백 보드(16)는, 종단면에서 보아, 패드 중앙 상부(62)의 배면 측 하단부(62A)로부터 패드 중앙 하부(64)의 배면 측 상단부(64A)에 걸쳐 배치되어 있다. 정확하게는, 패드 중앙 하부(64)의 배면 측 상단부(64A)는 배면 측 하단부(62A)보다 얇게 형성되어 있고, 그 얇아진 부분에 백 보드부(36)의 하단부가 전후로 겹쳐서 배치되어 있다.
또, 상술한 패드 중앙 상부(62)와 패드 중앙 하부(64)의 사이에는, 커버 매달기용의 연통부의 일부를 구성하는 가로 방향 홈(7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패드 중앙 상부(62), 패드 중앙 하부(64)와 패드 사이드부(66)의 사이에는, 좌우 한 쌍의 커버 매달기용의 연통부의 일부를 구성하는 세로 방향 홈(7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가로 방향 홈(70) 및 세로 방향 홈(72)은 모두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가로 방향 홈(70) 및 세로 방향 홈(72)의 홈 폭은, 후술하는 세로 방향 부착 부재(22) 및 가로 방향 부착 부재(24)가 삽입 통과 가능한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또, 세로 방향 홈(72)의 바닥측에는, 후술하는 클립(22C)이 삽입되는 복수(여기서는 3개)의 연통 구멍(82)(도 3 및 도 6 참조)이 시트 백 높이 방향으로 이간하여 형성되어 있고, 당해 연통 구멍(82) 및 세로 방향 홈(72)을 개재하여 시트 백 패드(18)의 전면 측과 후면 측이 연통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가로 방향 홈(70)의 바닥측에는, 후술하는 클립(24C)이 삽입되는 복수(여기서는 2개)의 연통 구멍(84)(도 4 참조)이 시트 백 폭 방향으로 이간하여 형성되어 있고, 당해 연통 구멍(84) 및 가로 방향 홈(70)을 개재하여 시트 백 패드(18)의 전면 측과 후면 측이 연통되어 있다.
<커버(20)의 구성 및 부착 구조>
도 1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커버(20)는, 시트 백 패드(18)를 정면측으로부터 덮는 것이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또, 커버(20)는, 상기 시트 백 패드(18)의 분할 구성에 맞추어서 커버 중앙 상부(74), 커버 중앙 하부(76), 좌우 한 쌍의 커버 사이드부(78)를 구비하고 있다. 이 커버(20)는, 세로 방향 부착 부재(22), 가로 방향 부착 부재(24), 시트 백 보드(16)의 세로 방향 클립 계합부(59) 및 가로 방향 클립 계합부(71) 등에 의해서 시트 백 보드(16)에 부착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세로 방향 부착 부재(22)는, 띠 형상으로 형성된 연결 천(22A)과, 연결 천(22A)의 한 쪽의 측 가장자리에 설치된 수지제의 긴 클립 부착부(22B)(서스펜더(suspender))와, 당해 클립 부착부(22B)에 부착된 복수(여기서는 3개)의 수지제의 클립(22C)(계지 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결 천(22A)의 다른 쪽의 측 가장자리는, 커버 중앙 상부(74), 커버 중앙 하부(76)와 커버 사이드부(78)에 봉제에 의해 미리 부착되어 있고, 연결 천(22A)은, 클립 부착부(22B)와 함께 시트 백 패드(18)의 세로 방향 홈(72) 내에 삽입되어 있다(도 3 및 도 6 참조). 또한, 도 1에서는 세로 방향 부착 부재(22)(및 가로 방향 부착 부재(24))를 커버(20)로부터 분리하여 그리고 있지만, 세로 방향 부착 부재(22)(및 가로 방향 부착 부재(24))는, 상술한 바와 같이 커버(20)에 미리 부착되어 있다.
또, 복수의 클립(22C)은, 시트 백 높이 방향으로 이간하여 배치되어 있다. 각 클립(22C)은, 도 6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수지 재료에 의해서 긴 형상으로 형성된 한 쌍의 아암부(86)(그립핑(gripping)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한 쌍의 아암부(86)의 기단부(길이 방향 일단(一端)부)에는, 감합 홈(88)이 형성되어 있다. 한 쪽의 아암부(86)의 감합 홈(88)에는, 클립 부착부(22B)의 일측 측부가 슬라이드식으로 감합되어 있고, 다른 쪽의 아암부(86)의 감합 홈(88)에는, 클립 부착부(22B)의 타측 측부가 슬라이드식으로 감합되어 있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아암부(86)가 클립 부착부(22B)에 부착되어 있고, 한 쌍의 아암부(86)의 길이 방향 타단(他端)측(선단측)은 클립 부착부(22B)로부터 연결 천(22A)과는 반대측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아암부(86)의 클립 부착부(22B)의 부착 방법은 적절히 변경할 수 있는 것이고, 예를 들면 인서트 성형에 의해서 이들을 일체적으로 형성해도 된다. 또, 한 쌍의 아암부(86)의 길이 방향 중간부에는, 서로 접근 하는 측(상대방 측)으로 단면 원호 형상으로 돌출(팽출)된 돌출부(86A)가 설치되어 있고, 한 쌍의 아암부(86)의 길이 방향 타단부(선단부)에는, 서로 접근하는 측(상대방 측)으로 단면 삼각 형상으로 돌출된 클로부(86B)가 설치되어 있다.
상술한 복수의 클립(22C)은, 세로 방향 홈(72)의 바닥측에 형성된 연통 구멍(82) 내에 삽입되어 있고, 한 쌍의 아암부(86)의 선단측이 시트 백 패드(18)의 후면 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들 클립(22C)은, 각 세로 방향 클립 계합부(59)(일대일 세트의 개구(58)의 가장자리부)에 대해 시트 백 폭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계합하고 있다. 즉, 한 쌍의 아암부(86)의 선단부는, 일대일 세트의 개구(58)에 각각 삽입되어 있고, 한 쌍의 아암부(86)의 선단부 사이에는, 시트 백 보드(16)의 세로 방향 클립 계합부(59)가 끼워져 있다. 그리고, 각 아암부(86)의 클로부(86B)가 세로 방향 클립 계합부(59)에 걸림으로써, 각 클립(22C)이 시트 백 보드(16)에 계지되어 있다. 이에 따라, 커버(20)의 중앙부가 세로 방향으로 시트 백 보드(16)에 부착되어 있다. 단, 클립(22C)은, 개구(58)보다 시트 백 높이 방향을 따른 치수가 충분히 작게 설정되어 있어, 시트 백 보드(16)에 대해 개구(58)의 범위 내에서 시트 백 높이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클립(22C)을 세로 방향 클립 계합부(59)에 계지할 때에는, 한 쌍의 아암부(86)의 클로부(86B)에 설치된 경사면이 세로 방향 클립 계합부(59)에 압박됨으로써, 한 쌍의 아암부(86)의 선단측이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한다. 그리고, 그 후에 한 쌍의 아암부(86)의 선단측이 탄성 복귀함으로써 각 클로부(86B)가 세로 방향 클립 계합부(59)에 걸리도록 되어 있다. 또, 이 클립(22C)에서는, 한 쌍의 아암부(86)의 기단측을 협지하여 서로 접근시킴으로써, 한 쌍의 아암부(86)의 길이 방향 중간부에 설치된 돌출부(86A)가 서로 맞닿는다. 이 상태로부터 더욱 한 쌍의 아암부(86)의 기단측을 협지하여 서로 접근시킴으로써, 각 돌출부(86A)를 지지점으로 하여 한 쌍의 아암부(86)의 선단측이 서로 이간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세로 방향 클립 계합부(59)에 대한 각 클로부(86B)의 걸림 상태(즉 세로 방향 클립 계합부(59)로의 클립(22C)의 계지 상태)가 해제되어, 시트 백 보드(16)로부터의 클립(22C)의 떼어냄이 가능해진다.
한편, 가로 방향 부착 부재(24)는, 도 1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띠 형상으로 형성된 연결 천(24A)과, 연결 천(24A)의 한 쪽의 측 가장자리에 설치되고 수지제가 긴 클립 부착부(24B)와, 당해 클립 부착부(24B)에 부착된 복수(여기서는 2개)의 수지제의 클립(24C)(계지 수단)으로 구성되어 있고, 세로 방향 부착 부재(22)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연결 천(24A)의 다른 쪽의 측 가장자리는, 커버 중앙 상부(74), 커버 중앙 하부(76)에 봉제에 의해 미리 부착되어 있다. 또, 복수의 클립(24C)은, 클립(22C)과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시트 백 폭 방향으로 이간하여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클립(24C)이 시트 백 보드(16)의 백 스프링 본체부(54)에 형성된 좌우 한 쌍의 가로 방향 클립 계합부(71)(일대일 세트의 개구(69)의 가장자리부)에 대해 시트 백 높이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계합함으로써, 커버(20)의 중앙부가 가로 방향으로 시트 백 보드(16)에 부착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커버(20) 측에 부착된 복수의 클립(22C, 24C)이 시트 백 보드(16)에 계지됨으로써, 시트 백 패드(18)가 시트 백 폭 방향 및 시트 백 높이 방향으로부터 시트 백 보드(16)에 대해 위치 결정되어 있다. 또한, 클립(24C)의 가로 방향 클립 계합부(71)로의 계지 방법 및 계지 해제 방법은, 클립(22C)의 경우와 동일하다. 또, 클립(24C)은, 개구(69)보다 시트 백 폭 방향을 따른 치수가 충분히 작게 설정되어 있어, 시트 백 보드(16)에 대해 개구(69)의 범위 내에서 시트 백 폭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커버(20)의 외주부의 적절 위치에는, 촉(화살촉) 형상으로 된 외주 계지부(80)가 봉제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외주 계지부(80)는 백 보드부(36)의 계지부(42)에 차량 후방측으로부터 삽입되어 계지되어 있다. 이에 따라, 커버(20)의 외주부가 백 보드부(36)에 계지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작용 및 효과)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구성의 차량용 시트(10)에서는, 수지제의 백 보드부(36)에 수지제의 백 스프링부(38)(수지 스프링)를 일체로 형성한 시트 백 보드(16)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시트 백 보드(16)를 금속제의 시트 백 프레임(14)에 시트 백 전방측으로부터 감합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좌우의 보드 사이드부(50)가 좌우의 사이드 프레임(26)에 시트 백 전방측으로부터 감합되고, 이 상태에서 사이드 프레임(26)에 시트 백 폭 방향 외측으로부터 고정된다. 그 후, 시트 백 패드(18)가 시트 백 프레임(14)에 시트 백 전방측으로부터 부착되고, 또한 커버(20)가 시트 백 패드(18)에 씌워진다. 커버(20)에는 미리 세로 방향 부착 부재(22) 및 가로 방향 부착 부재(24)가 봉제에 의해 미리 고정되어 있고, 커버(20)를 시트 백 패드(18)에 씌우면서 세로 방향 부착 부재(22)의 클립(22C) 및 가로 방향 부착 부재(24)의 클립(24C)을 대응하는 세로 방향 클립 계합부(59) 및 가로 방향 클립 계합부(71)에 계합시킨다. 또한, 커버(20)의 외주 계지부(80)를 백 보드부(36)의 계지부(42)에 계지시켜 간다.
상기와 같이 하여 조립된 시트 백(12)은 시트 쿠션(11) 및 도시하지 않은 헤드레스트가 부착되어 차량용 시트(10)로 된다. 탑승자 H(도 3 참조)가 차량용 시트(10)에 착좌하면, 커버(20) 및 시트 백 패드(18)를 개재하여 백 스프링부(38)에 시트 백 후방측으로의 하중 P가 입력된다. 이 때문에, 하측 백 스프링 본체부(48, 49, 51) 및 상측 백 스프링 본체부(54)가 하중 작용 방향인 시트 백 후방측으로 휨 변형한다. 또, 이 때의 하중 P는 좌우의 보드 사이드부(50)보다 좌우의 사이드 프레임(26)에 전달되기 때문에, 좌우의 사이드 프레임(26)으로부터 시트 백 전방측으로의 반력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탑승자 H로부터 백 스프링부(38)에 하중 P가 입력되면, 자신은 휨 변형하여 시트 백(12)의 쿠션성의 확보에 기여하고, 하중 P 자체는 좌우의 사이드 프레임(26)에 전달하여 좌우의 사이드 프레임(26)에서 지지된다. 그 결과, 시트 백(12)의 쿠션 성능이 충분히 확보된다. 또, 백 스프링부(38)는 수지제로 되어 백 보드부(36)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백 스프링부(38)를 금속제의 시트 백 스프링으로 구성하는 경우에 비해, 부품점수 및 조립 공수(工數)가 삭감된다. 그 결과,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시트 백(12)의 쿠션 성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또한 경량화 및 저비용화를 한층 더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커버(20) 측에 부착된 복수의 클립(22C, 24C)을, 시트 백 보드(16)의 세로 방향 클립 계합부(59) 및 가로 방향 클립 계합부(71)에 계합시킴으로써, 커버(20)를 시트 백 보드(16)의 백 스프링부(38)에 계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호그 링 등에 의한 계지 구조와 비교하여, 백 스프링부(38)(수지 스프링)로의 커버(20)의 계지 작업을 용이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금속제의 호그 링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차량용 시트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시트 백 보드(16)의 백 스프링부(38)에는, 세로 방향 클립 계합부(59) 및 가로 방향 클립 계합부(71)를 설치하기 위해 단순한 개구(58, 69)가 형성되어 있는 것에 불과하기 때문에, 백 스프링부(38)의 성형성이 악화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클립(22C, 24C)에 설치된 한 쌍의 아암부(86)가, 일대일 세트의 개구(58, 69)의 각각에 삽입되면, 한 쌍의 아암부(86)의 선단측에 형성된 클로부(86B)가, 일대일 세트의 개구(58, 69)의 사이에 형성된 세로 방향 클립 계합부(59) 및 가로 방향 클립 계합부(71)에 걸린다. 이에 따라, 클립(22C, 24C)이 부착된 커버(20)를, 용이하게 시트 백 보드(16)에 계지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아암부(86)를 서로 이간시킴으로써, 클립(22C, 24C), 즉 커버(20)를 시트 백 보드(16)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화살촉 형상의 계지 수단을 하나의 개구에 삽입하여 당해 개구의 가장자리부에 계지하는 구성과 비교하여, 시트 백 보드(16)로부터의 계지 수단(즉 커버(20))의 떼어냄 작업을 용이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클립(22C, 24C)에 있어서의 한 쌍의 아암부(86)의 기단측을 서로 접근시킴으로써, 한 쌍의 아암부(86)의 중간부(돌출부(86A))를 지지점으로 하여 한 쌍의 아암부(86)의 선단측이 서로 이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세로 방향 클립 계합부(59) 및 가로 방향 클립 계합부(71)에 대한 클립(22C, 24C)의 계지 상태(클로부(86B)의 걸림 상태)를 해제할 수 있으므로, 클립(22C, 24C), 즉 커버(20)를 용이하게 시트 백 보드(16)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따라서, 커버(20)의 교환 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클립(22C, 24C)은, 한 쌍의 아암부(86)의 중간부에 설치된 단순한 돌출부(86A)를 지지점으로 하여 선단측이 서로 이간하기 때문에, 클립(22C, 24C)의 구성을 극히 간단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트 백 보드(16)의 백 스프링부(38)가 단면 파상으로 형성된 휨부(48A, 49A, 51A, 54A)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간단한 구성으로 용이하게 백 스프링부(38)에 스프링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당해 백 스프링부(38)에 형성되는 개구(58, 69)의 배치를 적절히 설정 변경함으로써, 백 스프링부(38)의 스프링 정수를 용이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백 스프링부(38)에 있어서 커버(20)를 계지하기 위한 구조와, 스프링 정수를 변화시키는 구조가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이 점에 있어서도 백 스프링부(38)의 경량화 및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측 백 스프링부(46)의 시트 백 폭 방향 양단부가, 시트 백 프레임(14)의 사이드 프레임(26) 측에 지지(고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측 백 스프링부(46)의 시트 폭 방향 중앙측에 하중 P(도 3 참조)가 입력되었을 때에는, 양단 고정 지지 빔과 동일하게, 상측 백 스프링부(46)의 시트 백 폭 방향 양단부 및 시트 백 폭 방향 중앙부에 있어서 응력이 최대가 되는 한편, 상측 백 스프링부(46)의 시트 백 폭 방향 양단부와 시트 백 폭 방향 중앙부의 중간에서는 응력이 최소가 된다(도 5의 (c) 참조). 이 점,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로 방향 개구(69)가 상측 백 스프링부(46)의 시트 백 폭 방향 양단부와 시트 백 폭 방향 중앙부의 중간, 즉 응력이 부하가 가장 적은 부위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측 백 스프링부(46)의 강도 및 강성을 확보하면서, 상측 백 스프링부(46)의 폭 등을 작게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측 백 스프링부(46), 나아가서는 차량용 시트(10)의 경량화 및 저비용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세로 방향 개구(58)에 대해서도, 상측 백 스프링부(46) 및 하측 백 스프링부(44)에 있어서의 시트 백 폭 방향 양단부 및 시트 백 폭 방향 중앙부를 제외한 부위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상측 백 스프링부(46)에 있어서의 상측 백 스프링 본체부(54)의 폭 W가 작아짐으로써, 휨의 조정을 행할 수도 있다. 즉, 스프링으로의 입력 하중을 P, 스프링의 길이를 L, 스프링의 영률(Young's modulus)을 E, 스프링의 단면 2차 모멘트를 I로 하면, 스프링의 휨 δ는 「PL3/48EI」의 계산식에 의해 도출된다. 또, 스프링의 휨 δ는 「1/W」에 비례하기 때문에, W(스프링의 폭)를 작게 함으로써, 스프링의 휨 δ를 크게 확보할 수 있다. 이 점은, 하측 백 스프링부(44)의 하측 백 스프링 본체부(48, 49, 51)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커버(20) 측에 부착된 복수의 클립(22C) 및 클립(24C)이 시트 백 보드(16)에 계지됨으로써, 시트 백 패드(18)가 커버(20)에 의해서 시트 백 폭 방향 및 시트 백 높이 방향(2개의 방향)으로부터 시트 백 보드(16)에 위치 결정되어 있으므로, 시트 백 패드(18)가 시트 백 보드(16)에 대해 부주의하게 위치 어긋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세로 방향 클립 계합부(59)에 대한 클립(22C)의 계합 방향이 시트 백 폭 방향이 되고, 가로 방향 클립 계합부(71)에 대한 클립(24C)의 계합 방향이 다르게 설정되어 있다. 더해서, 클립(22C)은, 시트 백 보드(16)에 대해 개구(58)의 범위 내에서 시트 백 높이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 클립(24C)은, 시트 백 보드(16)에 대해 개구(69)의 범위 내에서 시트 백 폭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시트 백 보드(16)에 대한 시트 백 패드(18)의 조립 편차를, 클립(22C, 24C)의 상기 상대 이동에 의해 흡수하면서, 시트 백 패드(18)를 시트 백 보드(16)에 대해 시트 백 폭 방향 및 시트 백 높이 방향으로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용 시트의 제조를 용이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지제의 시트 백 보드(16)에 백 보드부(40) 및 백 스프링부(38)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지만, 백 스프링부(38)에는, 단순한 개구(58, 69)가 형성되어 있는 것에 불과하기 때문에, 시트 백 보드(16)의 양호한 성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즉, 커버(20)와 백 스프링부(38)의 계지 구조로서는,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내어지는 비교예와 같이, 백 스프링부(38)에 한 쌍의 클로부(104)를 돌출 형성함과 함께, 커버(20) 측에 연결된 단면 화살표 형상의 계합부(102)를 한 쌍의 클로부(104)에 탄성적으로 계합시키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생각된다. 그러나, 이 경우, 클로부(104)의 선단측의 걸림 형상이 금형의 금형 제거 방향에 대해 언더컷(undercut)이 되기 때문에, 몰드 코어에 의한 대응을 취할 필요가 있다. 또, 한번 클로부(104)에 계합한 계합부(102)를 떼어내는 것이 곤란해져서, 커버(20)의 교환 등이 번잡해진다. 이 점, 본 실시형태에서는, 개구(58, 69)의 채용에 의해 양호한 성형성이 확보됨과 함께, 클립(22C, 24C)의 채용에 의해서 커버(20)의 용이한 착탈(着脫)이 실현된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8∼도 10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관련된 차량용 시트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상술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본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시트 백 보드(100)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시트 백 보드(16)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단, 이 시트 백 보드(100)에서는, 백 보드부(36)에는 하측 백 스프링부(44’)만이 일체로 수지 성형되어 있고, 상측 백 스프링부(46’)는 열 용착에 의해 백 보드부(36)에 일체화되어 있다. 하측 백 스프링부(44’)에 있어서의 하측 백 스프링 본체부(48’, 49’, 51’)의 휨부(48A’, 49A’, 51A’)(파상 부분)에는, 도시하지 않은 슬라이드형을 사용하여 수지 성형할 때에, 슬라이드형을 시트 백 높이 방향의 상측으로 탈형(脫型)할 수 있도록 빼기 구배(테이퍼 형상)가 설정되어 있다.
보충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0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하측 백 스프링 본체부(48’, 49’, 51’)의 스프링 깊이를 H1, H2, H3로 하고, 스프링 피치를 L1, L2, L3로 하며, 스프링 판두께를 t1, t2, t3로 한 경우에, 이하의 (1)∼(3)의 관계식이 성립하도록, 하측 백 스프링 본체부(48’, 49’, 51’)에 형상차가 설정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하측 백 스프링 본체부(48’, 49’, 51’)의 사이에 있어서, 이하의 (1)∼(3)의 관계식이 만족됨과 함께, 하측 백 스프링 본체부(48’, 49’, 51’)의 각각에 상술의 빼기 구배가 설정되어 있다.
H1<H2<H3 … (1)
L1<L2<L3 … (2)
t1<t2<t3 … (3)
또한, 도 8에서는, 휨부(48A’, 49A’, 51A’)의 테이퍼 형상을 상당히 과장하여 그리고 있다. 또, 도 8에는, 상측 백 스프링부(46’)의 휨부(파상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지만, 상측 백 스프링부(46’)는 백 보드부(36)에 대해 뒤에 붙이므로 임의의 파형 형상을 부여할 수 있고, 또 파형 형상을 부여하지 않는 선택도 취할 수 있다.
또, 상측 백 스프링부(46’)의 양단부에 설치된 상측 보드 사이드부(56)(연결 고정부)를, 하측 백 스프링부(44’)에 있어서의 하측 보드 사이드부(50)의 연장부로서 인식함으로써, 하측 백 스프링부(44’) 및 상측 백 스프링부(46’)의 양쪽을 백 보드부(36)와 일체로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상측 백 스프링부(46’)의 휨부에도 테이퍼 형상이 설정되므로, 하측 백 스프링부(44)의 휨부(48A’, 49A’, 51A’)를 포함하여 상측 백 스프링부(46)의 휨부의 빼기 구배를 결정하면 된다.
또, 도 8∼도 10에 있어서는, 개구(58, 69), 세로 방향 클립 계지부(59), 및 세로 방향 클립 계지부(71) 등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지만, 상술한 것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작용·효과)
상기 구성에 의해서도, 상술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하의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즉, 이 시트 백 보드(100)에서는, 하측 백 스프링부(44’)가 백 보드부(36)에 일체로 성형된다. 이 때문에, 시트 백 보드(100)의 제작에 있어서, 시트 백 보드(100)의 전방측(도 9의 화살표 C 참조) 및 후방측(도 9의 화살표 D 참조)으로 금형을 제거하는 일반적인 성형 방법을 채용하면, 하측 백 스프링부(44’)와 백 보드부(36)의 사이의 간극(52)에, 언더컷이 되는 에어리어가 발생한다. 이 에어리어의 성형을 일체의 슬라이드형에 의해서 대응하려고 하면, 시트 백 보드(100)의 높이 방향의 어느 한 쪽에 슬라이드형을 제거하는 방법을 채용하게 되지만, 이 경우, 하측 백 스프링 본체부(48’, 49’, 51’)의 전체를 슬라이드형에서 제거하는 형상으로 설계할 필요가 있다.
이 점,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측 백 스프링 본체부(48’, 49’, 51’)의 휨부(48A’, 49A’, 51A’)에 빼기 구배 및 형상차가 설정되어 있으므로, 슬라이드형이 일체의 것이더라도, 시트 백 높이 방향 상측에 용이하게 슬라이드형을 제거할 수 있다. 그 결과, 시트 백 보드(100)를 효율적으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됨과 함께, 금형의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의 보충 설명〕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수지제의 백 보드부(36)에 수지제의 백 스프링부(38)(수지 스프링)를 일체로 형성했지만, 청구항 1∼7, 10에 관련된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백 보드부와 수지 스프링을 각각 형성해도 된다. 또, 수지제의 백 보드부에 수지 스프링을 일체적으로 형성해도 된다. 즉, 백 보드부와 수지 스프링을 각각 제작하고 나서 양자를 용착 등에 의해 일체화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수지 스프링을 구성하는 백 스프링 본체부와 보드 사이드부를 다른 부품으로서 제작하고 나서 용착 등에 의해 일체화하도록 해도 된다. 더욱 보충하면, 상술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연결 고정부(50)를 백 스프링부(38) 측의 구성 요소로서 설명했지만, 연결 고정부(50)를 백 보드부(36) 측의 구성 요소로 인식해도, 그와 같이 해석하는 것 자체는 조금도 지장이 없다. 왜냐하면, 시트 백 보드의 완성품의 상태에서는, 연결 고정부라는 구성 요소를 백 스프링부 측에 포함시키는지, 그렇지 않으면 백 보드부 측에 포함시키는지는, 구분을 어떻게 하는지의 문제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또,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시트 백(12)에 설치된 백 스프링부(38)(수지 스프링)에, 시트 백(12)의 커버(20)를 계지하기 위한 계지 구조에 대해 설명했지만, 청구항 1∼6, 10에 관련된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시트 쿠션에 설치된 수지 스프링에, 당해 시트 쿠션의 시트 표피를 계지하기 위한 계지 구조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양단측이 시트 쿠션 프레임에 지지된 수지 스프링에 시트 쿠션 패드가 지지되고, 당해 시트 쿠션 패드의 표면을 덮는 시트 표피 측에 부착된 클립이, 수지 스프링에 형성된 개구의 가장자리부에 계지되는 구성으로 된다.
또,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백 스프링부(38)에는, 한 쌍의 개구(58, 69)가 인접 방향을 다르게 하여 복수 세트 형성됨으로써 연장 방향이 다른 복수의 세로 방향 클립 계합부(59) 및 가로 방향 클립 계합부(71)가 형성되고, 이들 클립 계합부(59, 71)에 클립(22C, 24C)이 계합된 구성으로 했지만, 청구항 1∼5, 10∼14에 관련된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한 쌍의 개구 및 클립 계합부의 형상이나 방향은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또,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하측 백 스프링(44)(44’) 및 상측 백 스프링부(46)(46’)의 시트 백 폭 방향 양단부가 사이드 프레임(26)에 고정되고, 개구(58, 69)가 하측 백 스프링(44)(44’) 및 상측 백 스프링부(46)(46’)의 시트 백 폭 방향 양단부 및 시트 백 폭 방향 중앙부를 제외한 부위에 형성된 구성으로 했지만, 청구항 1∼4, 11, 12에 관련된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개구의 배치는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또,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백 스프링부(38)에는, 한 쌍의 개구(58, 69)가 인접하여 형성됨과 함께, 한 쌍의 개구(58, 69)의 사이가 클립 계합부(59, 71)로 되고, 이들 클립 계합부(59, 71)가, 한 쌍의 아암부(86)를 가지는 클립(22C, 24C)에 의해서 끼워지는 구성으로 했지만, 청구항 1, 11∼14에 관련된 발명은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개구의 수나 클립(계지 수단)의 구성은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선단측에 탄성 변형 가능한 클로부(걸림 형상)가 설치된 계지 수단(계지구(具))을, 하나의 개구에 삽입하여 당해 개구의 가장자리부에 걸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백 스프링부(38)가 단면 파상으로 형성된 휨부(48A, 49A, 51A, 54A)(48A’, 49A’, 51A’, 54A’)를 구비하고, 이들 휨부에 개구(58, 69)가 형성된 구성으로 했지만, 청구항 1∼3, 11에 관련된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휨부의 형상은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또, 개구가 휨부 이외의 평판 형상의 부분에 형성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백 스프링부(38)를 하측 백 스프링부(44)(44’)와 상측 백 스프링부(46)(46’)로 나누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양자를 연결하여 일체화해도 된다. 즉, 하측 보드 사이드부(50)를 시트 백 상방측으로 연장하여 상측 백 스프링 본체부(54)(54’)의 시트 폭 방향의 양단부와 연결시키는 구성을 취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측 백 스프링부(46)(46’)를 한 단(1개)으로 구성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복수 단(복수 개)으로 구성해도 되고, 백 보드부(36)의 상부로부터 하부에 걸쳐 등간격으로 복수 단(복수 개)의 백 스프링부를 설치하는 구성을 취해도 된다.
그 밖에, 본 발명은,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상기 각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Claims (14)

  1. 수지제로 되어, 양단측이 시트 프레임에 지지됨과 함께, 개구가 형성된 수지 스프링과,
    상기 수지 스프링에 지지된 패드와,
    상기 패드의 표면을 덮는 시트 표피와,
    상기 시트 표피 측에 부착되어, 상기 개구의 가장자리부에 계지된 계지 수단
    을 구비한 차량용 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스프링에는, 한 쌍의 상기 개구가 인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계지 수단은, 상기 한 쌍의 개구의 각각에 삽입됨과 함께 각 선단측에 클로부가 형성된 한 쌍의 아암부를 가지는 클립으로 되며,
    상기 한 쌍의 개구의 사이가, 상기 각 클로부가 걸리는 클립 계합부로 되어 있는 차량용 시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상기 한 쌍의 아암부의 기단측을 서로 접근시킴으로써 상기 한 쌍의 아암부의 중간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상기 한 쌍의 아암부의 선단측이 서로 이간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차량용 시트.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스프링은, 단면 파상으로 형성된 휨부를 구비하고, 상기 개구는, 상기 휨부에 형성되어 있는 차량용 시트.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스프링은, 양단부가 상기 시트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개구는, 상기 수지 스프링의 양단부 및 중앙부를 제외한 부위에 형성되어 있는 차량용 시트.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표피 측에 부착된 적어도 2개의 상기 계지 수단이, 상기 수지 스프링에 형성된 적어도 2개의 상기 개구의 가장자리부에 대해 계합 방향을 다르게 하여 각각 계지됨으로써, 상기 패드가 상기 시트 표피에 의해서 적어도 2개의 방향으로부터 상기 수지 스프링에 위치 결정되어 있는 차량용 시트.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프레임은, 좌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을 가지는 시트 백 프레임이고, 상기 수지 스프링은,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 사이에 시트 백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패드는, 상기 수지 스프링의 전면 측에 배치됨과 함께 스스로의 전면 측과 후면 측을 연통하는 연통부가 설치된 시트 백 패드이고, 상기 시트 표피는, 상기 시트 백 패드의 적어도 전면 측을 덮고 있으며, 상기 클립은, 상기 연통부에 삽입되어 상기 개구의 가장자리부에 계지되어 있는 차량용 시트.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스프링은, 상기 시트 백 프레임의 배면 측에 배치되는 백 보드부를 구비한 수지제의 시트 백 보드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는 차량용 시트.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스프링은, 시트 백 높이 방향에 간격을 두고 복수 설치되고, 당해 복수의 수지 스프링에는, 평단면시에서 본 경우에 시트 백 폭 방향으로 복수의 곡면을 연속시킴으로써 파상으로 형성된 휨부가 설치됨과 함께, 시트 백 높이 방향의 어느 한 쪽에 금형 제거할 수 있도록 빼기 구배가 설정되어 있는 차량용 시트.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아암부의 중간부에는,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설치되어 있는 차량용 시트.
  11. 수지의 판재에 의해서 형성됨과 함께 시트 백 프레임의 배면 측에 배치되는 백 보드부와,
    수지제로 되어 상기 백 보드부에 일체 또는 일체적으로 설치됨과 함께, 상기 시트 백 프레임에 설치된 좌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 사이에 시트 백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수지 스프링을 가지고, 또한, 상기 수지 스프링에 개구가 형성된 백 스프링부
    를 구비한 시트 백 보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스프링은, 단면 파상으로 형성된 휨부를 구비하고, 상기 개구는, 상기 휨부에 형성되어 있는 시트 백 보드.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스프링은,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에 고정됨과 함께, 상기 개구는, 상기 수지 스프링의 양단부 및 중앙부를 제외한 부위에 형성되어 있는 시트 백 보드.
  14. 제 1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스프링은, 상기 백 보드부의 높이 방향에 간격을 두고 복수 설치되고, 당해 복수의 수지 스프링에는, 평단면시에서 본 경우에 상기 백 보드부의 폭 방향으로 복수의 곡면을 연속시킴으로써 파상으로 형성된 휨부가 일체로 설치됨과 함께, 상기 백 보드부의 높이 방향의 어느 한 쪽에 금형 제거할 수 있도록 빼기 구배가 설정되어 있는 시트 백 보드.
KR1020137028903A 2011-05-02 2011-05-02 차량용 시트 및 시트 백 보드 KR1014952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1/060554 WO2012150633A1 (ja) 2011-05-02 2011-05-02 車両用シート及びシートバックボー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8021A true KR20130128021A (ko) 2013-11-25
KR101495243B1 KR101495243B1 (ko) 2015-02-24

Family

ID=47107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8903A KR101495243B1 (ko) 2011-05-02 2011-05-02 차량용 시트 및 시트 백 보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505329B2 (ko)
EP (1) EP2705981B1 (ko)
JP (1) JP5692369B2 (ko)
KR (1) KR101495243B1 (ko)
CN (1) CN103502047B (ko)
AU (1) AU2011367335A1 (ko)
BR (1) BR112013027943B1 (ko)
RU (1) RU2540033C1 (ko)
WO (1) WO201215063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4412A (ko) * 2021-07-21 2023-01-30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차량용 시트 조립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434667B1 (es) * 2011-06-16 2014-11-14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Tablero de asiento y asiento de vehiculo
MX356084B (es) * 2012-09-03 2018-05-14 Ts Tech Co Ltd Asiento de vehículo y armazón de asiento para el asiento del vehículo.
DE102012109710A1 (de) * 2012-10-11 2014-06-12 Grammer Ag Fahrzeugsitz mit veränderbarer Rückenlehnenform
WO2015016351A1 (ja) * 2013-08-01 2015-02-05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シートバックフレーム、車両用シート及びシートバックフレームの製造方法
JP6351998B2 (ja) * 2014-02-28 2018-07-04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JP2016087196A (ja) * 2014-11-07 2016-05-23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JP6307419B2 (ja) * 2014-11-26 2018-04-04 株式会社タチエス シート
WO2016098672A1 (ja) * 2014-12-16 2016-06-23 デルタ工業株式会社 シート
JP6612778B2 (ja) * 2014-12-16 2019-11-27 デルタ工業株式会社 シート
ES2792517T3 (es) * 2015-01-20 2020-11-11 Smp Deutschland Gmbh Modelo de recubrimiento de cuero
DE202016100270U1 (de) * 2016-01-21 2017-01-26 Froli Kunststoffwerk Heinrich Fromme, Inh. Margret Fromme-Ruthmann E.Kfr. Auflagevorrichtung für eine Liege- oder eine Sitzfläche eines Möbels und Liege- oder Sitzmöbel
CN108601451B (zh) * 2016-02-12 2021-07-06 安道拓卢森堡控股有限公司 座椅靠背框架
JP6572801B2 (ja) * 2016-03-03 2019-09-11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JP6245300B2 (ja) * 2016-04-28 2017-12-13 マツダ株式会社 シートバック構造
US11046222B2 (en) * 2016-08-04 2021-06-29 Ts Tech Co., Ltd. Fatigue reducing seat
US10220750B2 (en) * 2016-08-05 2019-03-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ner carrier substrate mechanical lock with head restraint guide sleeves
US10328830B2 (en) * 2016-10-13 2019-06-25 Lear Corporation Seat assembly having a bolster subassembly
US10625645B2 (en) * 2017-02-13 2020-04-21 Lear Corporation Trim clip
GB201702823D0 (en) * 2017-02-22 2017-04-05 Acro Aircraft Seating Ltd Seat part comprising a seat cover
JP6475278B2 (ja) * 2017-03-24 2019-02-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JP6812902B2 (ja) * 2017-05-23 2021-01-13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US20190337432A1 (en) 2018-05-02 2019-11-07 Lear Corporation Vehicle seating system
WO2020021834A1 (ja) * 2018-07-24 2020-01-30 株式会社タチエス 乗物用シート
US10967772B2 (en) 2019-01-23 2021-04-06 Volvo Car Corporation Vehicle seat cushion carrier assembly for modular vehicle seat or the like
US11730281B2 (en) * 2019-02-01 2023-08-22 Ts Tech Co., Ltd. Vehicle seat
DE102020104233A1 (de) * 2019-08-05 2021-02-11 Adient Engineering and IP GmbH Sitzpolsterelement und Fahrzeugsitz
US11325515B2 (en) 2020-02-10 2022-05-10 Lear Corporation Seat assembly and seat portion
JP7299186B2 (ja) * 2020-03-19 2023-06-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JP2022026974A (ja) * 2020-07-31 2022-02-10 アディエント・エンジニアリング・アンド・アイピー・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車両用シート
JP2024059199A (ja) * 2022-10-18 2024-05-01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39002A (en) * 1970-04-06 1972-02-01 Gulf & Western Metals Forming Seat construction
US3794378A (en) * 1972-11-24 1974-02-26 Ford Motor Co Seat assembly
US4653603A (en) * 1983-08-25 1987-03-31 Gordon Rosenmeier Rotary fluid devices
JPS60134000U (ja) * 1984-02-14 1985-09-06 アラコ株式会社 車両用シ−トの構造
JPS61150845A (ja) 1984-12-25 1986-07-09 Nissan Motor Co Ltd シ−トクツシヨン取付構造
JPH056825Y2 (ko) * 1986-09-30 1993-02-22
IT1219016B (it) 1988-02-12 1990-04-24 Tis Tecnologia Innovazione Sti Elemento di molleggio e contenimento laterale per una seduta e o uno schienale di un sedile e sedile in corporante tale elemento
JPH0247899A (ja) * 1988-08-10 1990-02-16 Kajima Corp 電波吸収壁体
FR2636320B1 (fr) * 1988-09-14 1993-12-10 Nobel Plastiques Dispositif d'accrochage permettant la realisation de rappels de tissus de recouvrement de sieges
EP0443057B1 (de) * 1990-02-21 1994-08-24 Ignaz Vogel GmbH &amp; Co KG, Fahrzeugsitze Fahrgastsitz
JP2526956Y2 (ja) * 1990-10-18 1997-02-26 デルタ工業株式会社 リヤシートのシートベルト格納部構造
JPH0644458U (ja) 1992-11-30 1994-06-14 池田物産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JP2573412Y2 (ja) 1993-03-24 1998-05-28 池田物産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JPH06304353A (ja) 1993-04-27 1994-11-01 Ikeda Bussan Co Ltd 車両用シートの表皮材の引き部構造
US5893579A (en) * 1996-06-04 1999-04-13 Honda Giken Kogo Kabushiki Kaisha Seat mounted air bag system
JP3547259B2 (ja) * 1996-06-26 2004-07-2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抗菌性複合体樹脂組成物並びにその製造方法
JPH1071916A (ja) * 1996-08-29 1998-03-17 Ikeda Bussan Co Ltd 側突用エアバッグ組込みシート
GB2337291B (en) * 1998-05-14 2002-03-20 Ts Tech Co Ltd Tensioning clip for seat covering
GB9824704D0 (en) * 1998-11-12 1999-01-06 Mgr Foamtex Ltd Aircraft seats
JP2004008488A (ja) * 2002-06-07 2004-01-15 Suzuki Motor Corp シートのトリム吊り込み構造
JP2004138156A (ja) 2002-10-17 2004-05-13 Nhk Spring Co Ltd ばね装置
FR2851524B1 (fr) 2003-02-21 2005-05-06 Faurecia Sieges Automobile Dossier de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US7100990B2 (en) * 2003-10-22 2006-09-05 Tachi-S Co. Ltd. Seat back structure of vehicle seat
US7487575B2 (en) * 2005-07-13 2009-02-10 Lyle J Smith System for attaching trim covers to a flexible substrate
DE102007006013A1 (de) * 2007-02-07 2008-08-14 Autoflug Gmbh Sicherheitssitz mit einer zusätzlichen verstellbaren Rückenlehne
US8091184B2 (en) * 2007-04-19 2012-01-10 Hope Global, Division Of Nfa Corp. Festooned trim clip system and method for attaching festooned clips to a substrate
US8099837B2 (en) * 2007-09-07 2012-01-24 Hope Global, Division Of Nfa Corporation Low-profile upholstery clip for attaching a bead to a foam substrate
US20090146470A1 (en) * 2007-09-25 2009-06-11 Tk Holdings Inc. Vehicle seat
US9555728B2 (en) * 2008-06-03 2017-01-31 Lear Corporation Layered seating system with attachments
JP5251377B2 (ja) 2008-09-08 2013-07-31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の表皮材の引き込み構造
US8197010B2 (en) * 2008-11-12 2012-06-12 Lear Corporation Seat trim assembly
CA2950118C (en) * 2008-12-12 2019-04-23 Formway Furniture Limited A chair, a support, and components
CA2749402C (en) * 2009-02-26 2017-05-09 Magna Seating Inc. Anti-rotation arrow retainer and clip
FR2947775B1 (fr) 2009-07-08 2011-08-05 Cera Armature de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JP5491100B2 (ja) * 2009-08-25 2014-05-14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シートカバー取付用クリップ、及びシートパッド並びにその製造方法
US8191971B2 (en) * 2010-03-17 2012-06-05 Lear Corporation Seat trim assembly
KR101370669B1 (ko) * 2010-08-10 2014-03-04 도요타 지도샤(주) 차량용 시트 및 시트 백 보드
WO2012157099A1 (ja) * 2011-05-18 2012-11-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シート構成部材及びこれを用いた車両用シート
EP2738048B1 (en) * 2011-07-28 2016-08-17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Vehicle seat provided with side airbag device
WO2013061407A1 (ja) * 2011-10-25 2013-05-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及び樹脂製シートバックバネ
US9746048B2 (en) * 2012-07-06 2017-08-29 Ts Tech Co., Ltd. Seat device for vehic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4412A (ko) * 2021-07-21 2023-01-30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차량용 시트 조립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2150633A1 (ja) 2014-07-28
RU2540033C1 (ru) 2015-01-27
BR112013027943A2 (pt) 2017-01-17
KR101495243B1 (ko) 2015-02-24
JP5692369B2 (ja) 2015-04-01
AU2011367335A1 (en) 2013-11-21
EP2705981B1 (en) 2019-04-03
US20140049090A1 (en) 2014-02-20
BR112013027943B1 (pt) 2021-01-12
US9505329B2 (en) 2016-11-29
EP2705981A4 (en) 2014-12-03
CN103502047A (zh) 2014-01-08
EP2705981A1 (en) 2014-03-12
CN103502047B (zh) 2015-12-02
WO2012150633A1 (ja) 2012-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28021A (ko) 차량용 시트 및 시트 백 보드
KR101343476B1 (ko) 시트백 보드 및 차량용 시트
KR101370669B1 (ko) 차량용 시트 및 시트 백 보드
JP6294772B2 (ja) 車両用シート
WO2014024936A1 (ja) 車両用シート
US20120133193A1 (en) Vehicle seat
US10442332B2 (en) Seat backrest and seat including the same
KR102131531B1 (ko) 시트백
US20170113587A1 (en) Pad
WO2015183730A1 (en) Seat back and process of making seat back of hybrid construction
JP2012071627A (ja) 車両用シート及びシートバックボード
JP6130201B2 (ja) 乗物用シート
JP6339802B2 (ja) 表皮吊込構造
JP5444765B2 (ja) 車両用シート
JP6314270B2 (ja) 乗物用シート
JP5664097B2 (ja) シートバックボード及びこれを用いた車両用シート
JP5724815B2 (ja) 樹脂製シートバックボード及び車両用シート
JP2012056482A (ja) 車両用シート
JP2022058114A (ja) 乗物用シート
JP2013189149A (ja) 乗物用シート
JP2012056483A (ja) シートバックボード及びこれを用いた車両用シート
JP2016150661A (ja) 車両用シート
JP2021169274A (ja) スライド装置
JP2017184945A (ja) 乗物用シート
JP2006116124A (ja) 車両のシートバックフレーム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