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3476B1 - 시트백 보드 및 차량용 시트 - Google Patents

시트백 보드 및 차량용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3476B1
KR101343476B1 KR1020137004832A KR20137004832A KR101343476B1 KR 101343476 B1 KR101343476 B1 KR 101343476B1 KR 1020137004832 A KR1020137004832 A KR 1020137004832A KR 20137004832 A KR20137004832 A KR 20137004832A KR 101343476 B1 KR101343476 B1 KR 101343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cover
board
seat back
seatb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4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2620A (ko
Inventor
신지 아와타
히데키 고바야시
히사야 모리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130052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2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3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3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8Seat coverings
    • B60N2/5816Seat coverings attachments thereof
    • B60N2/5825Seat coverings attachments thereof by hooks, staples, clips, snap fasten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8Seat coverings
    • B60N2/5816Seat coverings attachmen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8Seat coverings
    • B60N2/5816Seat coverings attachments thereof
    • B60N2/5841Seat coverings attachments thereof by clamp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8Seat parts having foamed material included in cushioning par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8Seat cove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8Seat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8Seat frames
    • B60N2/686Panel like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0Upholstery springs ; Upholstery
    • B60N2/7094Upholstery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0Upholstery springs ; Upholstery
    • B60N2/72Attachment or adjustment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설계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과 함께, 시트 커버의 고정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는 시트백 보드 및 차량용 시트를 얻는다.
시트백 보드(16)에서는, 백보드부(36)가 시트백 프레임(14)의 좌우의 사이드 프레임(26) 사이를 통과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또, 백보드부(36)의 시트 폭 방향 양측에는, 사이드 프레임(26) 전측에 걸어맞추어 사이드 프레임(26)에 지지되는 연결 고정부(50)가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본 시트백 보드(16)를 시트백 프레임(14)에 대하여 시트 전방 측으로부터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설계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시트백 보드(16)에는, 시트 커버(20)에 설치된 외주 걸림부(80)가 걸어멈춰지는 커버 걸림부(42)가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시트백 보드 및 차량용 시트{SEAT BACKBOARD AND VEHICLE SEAT}
본 발명은, 시트백 보드 및 이것을 사용한 차량용 시트에 관한 것이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나타난 자동차용 시트에서는, 시트백의 더러움을 방지하기 위한 백보드가, 시트백의 배면의 오목부에 장착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0-5158호 공보
그러나,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자동차용 시트에서는, 백보드를 시트백에 대하여 시트 후방 측으로부터 밖에 장착되지 않기 때문에, 조립 공정 등도 포함한 설계의 자유도를 향상시키는 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 또,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자동차용 시트에서는, 일반적으로 시트 커버가 호그링 등에 의해 시트백 스프링 등에 고정되기 때문에, 시트 커버의 고정 구조가 복잡하다.
본 발명은 상기 사실을 고려하여, 설계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과 함께, 시트 커버의 고정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는 시트백 보드 및 차량용 시트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관련된 시트백 보드는, 차량용 시트의 시트백의 배면에 배치됨과 함께, 시트백 프레임에 있어서의 좌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 사이를 통과 가능한 크기로 형성된 백보드부와, 상기 백보드부의 시트 폭 방향 양단보다 시트 폭 방향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의 전측(前側)에 걸어맞추어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에 지지되는 좌우 한 쌍의 프레임 장착부와, 시트백의 배면 측에 배치되며, 시트백 패드의 표면을 덮는 시트 커버가 고정되는 커버 고정부를 일체 또는 일체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시트백 보드에서는, 시트백의 배면에 배치되는 백보드부는, 시트백 프레임에 있어서의 좌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 사이를 통과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또, 백보드부의 시트 폭 방향 양단보다 시트 폭 방향 외측에는,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의 전측에 걸어맞추어 이들 사이드 프레임에 지지되는 프레임 장착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본 시트백 보드를 시트백 프레임에 대하여 시트 전방 측으로부터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설계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시트백 보드에는, 시트백의 배면 측에 배치되는 커버 고정부가 설치되어 있고, 당해 커버 고정부에 시트 커버가 고정된다. 이것에 의해, 종래의 호그링 등을 사용한 시트 커버의 고정 구조와 비교하여, 시트 커버의 고정 구조를 간소화 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관련된 시트백 보드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시트백 보드에 있어서, 상기 커버 고정부는, 상기 시트 커버에 설치된 피(被)걸림부와 걸어맞춰지는 커버 걸림부이다.
청구항 2에 기재된 시트백 보드에서는, 시트백의 배면 측에 배치되는 커버 걸림부에, 시트 커버에 설치된 피걸림부가 걸어맞춰짐으로써, 시트 커버가 피걸림부를 개재하여 걸림부에 걸어멈춰진다. 이것에 의해, 시트 커버의 걸어멈춤 작업을 용이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관련된 시트백 보드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시트백 보드에 있어서, 상기 커버 걸림부는, 시트 후방 측을 향하여 개구되어 있고, 상기 피걸림부가 시트 후방 측으로부터 상기 커버 걸림부에 삽입되어 걸어멈춰진다.
청구항 3에 기재된 시트백 보드에서는, 시트 후방 측을 향하여 개구된 커버 걸림부에 대하여, 시트 커버에 설치된 피걸림부가 시트 후방 측으로부터 삽입된다. 이것에 의해, 시트 커버가 피걸림부를 개재하여 커버 걸림부에 걸어멈춰진다. 이처럼, 피걸림부를 커버 걸림부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충분하기 때문에, 시트 커버의 걸어멈춤 작업을 지극히 용이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커버 걸림부가 시트 후방 측을 향하여 개구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본 시트백 보드를 수지의 사출 성형 등에 의해 성형하는 경우에는, 백보드부의 배면(의장면)을 성형하는 금형의 빼기 방향에 대하여, 커버 걸림부가 소위 언더컷이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본 시트백 보드의 성형성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관련된 시트백 보드는, 청구항 3에 기재된 시트백 보드에 있어서, 상기 커버 걸림부의 개구부와 상기 백보드부의 배면이 동일면 상에 배치되어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시트백 보드에서는, 시트 커버에 설치된 피걸림부가 삽입되는 커버 걸림부의 개구부가, 백보드부의 배면과 동일면 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걸림부를 개재하여 커버 걸림부에 걸어멈춰지는 시트 커버와, 백보드부의 배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단차를 적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시트백의 배면 측의 외관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4에 기재된 「동일면 상」은, 엄밀히 동일면 상일 필요는 없고, 상기 서술한 효과가 얻어지는 정도의 것(대략 동일면 상)이면 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관련된 시트백 보드는,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시트백 보드에 있어서, 상기 커버 걸림부는, 상기 백보드부의 상단부 및 시트 폭 방향 양단부를 따라 연장되어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시트백 보드에서는, 백보드부의 상단부 및 시트 폭 방향 양단부를 따라 연장된 커버 걸림부에, 시트 커버에 설치된 피걸림부가 걸어멈춰지기 때문에, 백보드부의 상단부 및 시트 폭 방향 양단부를 따라 시트 커버를 정연하게 걸어멈출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관련된 시트백 보드는, 청구항 5에 기재된 시트백 보드에 있어서, 상기 커버 걸림부는, 상단 측의 시트 폭 방향 양단 측이 시트 전후 방향으로부터 보아 상방 측이고 또한 시트 폭 방향 외측을 향하여 볼록한 원호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시트백 보드에서는, 백보드부의 상단부 및 시트 폭 방향 양단부를 따라 연장된 커버 걸림부는, 상단 측의 시트 폭 방향 양단 측이 시트 전후 방향으로부터 보아 상방 측이고 또한 시트 폭 방향 외측을 향하여 볼록한 원호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다. 즉, 커버 걸림부는, 백보드부의 상단부를 따라 연장된 부위와, 백보드부의 시트 폭 방향 양단부를 따라 연장된 부위와의 연결부가 원호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어, 당해 원호 형상의 만곡부를 따라 시트 커버가 걸어멈춰진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상기 연결부에 있어서 커버 걸림부가 직각으로 굴곡되어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시트 커버에 주름이 지는 것을 방지하거나 또는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관련된 시트백 보드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시트백 보드에 있어서, 상기 백보드부보다 시트 전방 측에 배치되고, 시트 후방 측으로의 하중에 의해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 변형부를 일체 또는 일체적으로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시트백 보드에서는, 백보드부보다 시트 전방 측에는, 시트 후방 측으로의 하중에 의해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 변형부가 일체 또는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소위 S 스프링 등의 시트백 스프링을 생략한 경우에도, 착좌 탑승자의 착석감을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차량용 시트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과 관련된 차량용 시트는, 시트백 프레임과, 상기 시트백 프레임에 있어서의 좌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에 장착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시트백 보드와, 상기 시트백 프레임에 지지된 시트백 패드와, 상기 시트백 패드의 표면을 덮음과 함께, 상기 시트백 보드의 상기 커버 고정부에 고정된 시트 커버를 구비하고 있다.
청구항 8에 기재된 차량용 시트에서는, 시트백 프레임에 있어서의 좌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에 장착된 시트백 보드에, 시트백 패드의 표면을 덮는 시트 커버가 고정되어 있다. 이 시트백 보드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것이기 때문에, 상기 서술한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련된 시트백 보드 및 차량용 시트에서는, 설계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과 함께, 시트 커버의 고정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시트의 시트백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시트백 프레임에 시트백 보드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의 시트백의 조립 상태를 도 2의 3-3선을 따라 절단한 상태로 나타내는 확대 평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시트백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세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시트백 보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3에 대응한 확대 평단면도이다.
이하, 도 1∼도 5를 사용하여, 본 발명에 관련된 차량용 시트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들 도면에 있어서 적절히 나타내는 화살표 FR은 차량 전방 측을 나타내고 있고, 화살표 UP은 차량 상방 측을 나타내고 있으며, 화살표 IN은 차량 폭 방향 내측을 나타내고 있다.
<전체 구성>
도 1에는,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시트의 등받이에 상당하는 시트백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각 구성 요소를 보는 각도를 약간 바꾸어 나타내고 있다. 또, 도 4에는, 당해 시트백을 구비한 차량용 시트의 세로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용 시트(10)는, 탑승자가 착좌하는 시트 쿠션(11)(도 4 참조)과, 시트 쿠션(11)의 후단부에 경도(傾倒) 가능하게 지지된 시트백(12)과, 시트백(12)의 상단부에 상하동 가능하게 지지된 헤드레스트로 구성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시트백(12)은, 시트백(12)의 골격 부재를 구성하는 금속제의 시트백 프레임(14)과, 시트백 프레임(14)의 전면(前面) 측에 장착되는 수지 스프링 일체 백보드(이하, 간단히 「시트백 보드」라고 칭한다.)(16)와, 시트백(12)의 쿠션재를 구성함과 함께 시트백 보드(16)의 전면 측으로부터 장착되며 시트백 프레임(14)에 지지되는 시트백 패드(18)와, 시트백 패드(18)의 표면(주로 전면)을 덮는 시트 커버(표피)(20)와, 시트 커버(20)를 시트백 보드(16)에 장착하기 위한 세로 방향 장착 부재(22) 및 가로 방향 장착 부재(24)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각 구성 요소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시트백 프레임(14)의 구성>
도 1∼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백 프레임(14)은, 정면시(차량의 정면으로부터 본 경우를 가리킨다. 이하, 차량의 방향과 차량용 시트(10)의 방향은 동일한 것으로서 설명한다.)로,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시트 폭 방향(차량 폭 방향)에 대향하여 배치된 좌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26)과, 좌우의 사이드 프레임(26)의 상단부끼리를 연결하는 거꾸로 된 U자 형상의 어퍼 프레임(28)과, 좌우의 사이드 프레임(26)의 하단부끼리를 시트 폭 방향으로 연결하는 로어 프레임(3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시트백(12)은 어퍼 프레임(28)도 포함하여 4개의 부재가 모두 프레스 성형에 의해 제작되어 있지만, 다른 프레임 구조를 채용해도 된다. 예를 들면, 어퍼 프레임만을 거꾸로 된 U자 형상으로 구부린 파이프재로 구성해도 되고, 어퍼 프레임과 좌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을 거꾸로 된 U자 형상으로 구부린 하나의 파이프재로 구성해도 된다.
다음으로, 상기 좌우의 사이드 프레임(26)의 단면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이드 프레임(26)은, 측벽부(26A)와, 전벽부(26B)와, 후벽부(26C)로 구성되어 있다. 또, 사이드 프레임(26)은, 단독으로 보면 평단면으로 보아 시트 폭 방향 내측이 개구된 대략 C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측벽부(26A)는 전체적으로는 하단부로부터 상단부를 향할수록 폭이 좁아지게 되어 있다. 또, 측벽부(26A)의 하부에는, 상하로 이간되어 복수의 장착 구멍(32)(도 1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측벽부(26A)는, 전벽부(26B)의 시트 폭 방향 외측 단부로부터 시트 후방 측이며 또한 시트 폭 방향 외측으로 비스듬히 연장되어 있다. 후벽부(26C)는, 측벽부(26A)의 후단부로부터 시트 폭 방향 내측이며 또한 시트 후방 측으로 비스듬히 연장되어 있고, 선단 측이 시트 폭 방향을 따라 절곡되어 있다. 후벽부(26C)의 폭은 전벽부(26B)의 폭에 대하여 충분히 넓게 설정되어 있다.
<시트백 보드(16)의 구성>
다음으로, 시트백 보드(16)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도 4 (특히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백 보드(16)는,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시트백(12)의 배면 측에 배치된 백보드부(36)와, 백보드부(36)의 시트 폭 방향 양단보다 시트 폭 방향 외측에 설치되며, 백보드부(36)와 연결됨과 함께, 좌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26)에 고정된 좌우 한 쌍의 연결 고정부(50)(프레임 장착부)와, 좌우 한 쌍의 연결 고정부(50) 사이에 걸쳐지고, 시트백 후방 측으로의 하중이 작용함으로써 하중 작용 방향(시트 후방 측)으로 탄성적으로 휨 변형 가능하게 된 백스프링부(38)(탄성 변형부)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백보드부(36)는, 시트백 프레임(14)보다 한 단계 작게 형성된 보드 본체(40)와, 이 보드 본체(40)의 외주부에 있어서의 하단부를 제외하는 부위에 일체 성형된 U홈 형상의 커버 걸림부(42)(커버 고정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커버 걸림부(42)가 백보드부(36)에 설치되어 있다. 이 백보드부(36)는,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된 시트백 프레임(14)의 개구부의 내주연보다 한 단계 작게 형성되어 있고, 좌우의 사이드 프레임(26) 사이를 통과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백보드부(36)는, 시트백 프레임(14)에 대하여 시트 전방 측으로부터 조립 가능하게 되어 있고, 시트백 프레임(14)에 장착되어 있던 상태에서는, 좌우의 사이드 프레임(26)의 후벽부(26C)보다 약간 시트 후방 측에 배치된다(도 3 참조).
또, 커버 걸림부(42)는, 백보드부(36)의 상단부 및 시트 폭 방향 양단부(외주부에 있어서의 하단부를 제외하는 부위)를 따라 연속하여 연장되어 있고, 보드 본체(40)보다 시트 전방 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커버 걸림부(42)는, 상단 측의 시트 폭 방향 양단 측이, 시트 전후 방향으로부터 보아 상방 측이며 또한 시트 폭 방향 외측을 향하여 볼록한 원호 형상으로 만곡되어 형성되어 있고, 전체적으로는 시트 전후 방향으로부터 보아 대략 거꾸로 된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이 커버 걸림부(42)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백보드부(36)의 상단부를 따라 시트 폭 방향으로 연장된 횡연부(橫延部)(42B)와, 백보드부(36)의 시트 폭 방향 양단부를 따라 시트백 높이 방향으로 연장된 좌우 한 쌍의 종연부(縱延部)(42C)[도 2에서는 시트 좌측의 종연부(42C)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와의 연결부가, 원호 형상으로 만곡된 만곡부(42A)로 되어 있다. 이 커버 걸림부(42)의 단면 형상은, 시트 후방측을 향하여 개구된 U자 형상으로 되어 있고, 커버 걸림부(42)의 개구부(43)와 보드 본체(40)의 배면[백보드부(36)의 배면]이 동일면 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 커버 걸림부(42)는, 후술하는 시트 커버(20)의 외주부를 걸어멈추기(고정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판 형상의 보드 본체(40)를 보강하여 백보드부(36) 전체의 면강성을 높이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한편, 백스프링부(38)는, 시트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 개의 백스프링 본체부(48)를 가지고 있다. 이들 백스프링 본체부(48)는, 길이 방향의 양단부가 좌우 한 쌍의 연결 고정부(50)에 의해 시트백 높이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백스프링 본체부(48)는 시트백 높이 방향으로 4개 배치하여 설치되어 있다. 백스프링부(38)의 상부 측에는 1개의 백스프링 본체부(48)가 배치하여 설치되어 있고, 또 백스프링부(38)의 하부 측에는 3개의 백스프링 본체부(48)가 시트백 높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하여 설치되어 있다. 상부 측에 배치하여 설치된 백스프링 본체부(48)와 하부 측의 최상단에 배치하여 설치된 백스프링 본체부(48)의 간격은, 상기 3개의 백스프링 본체부(48)의 설치 간격보다 넓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이처럼 상부 측의 백스프링 본체부(48)의 설치 개수를 1개로 하고, 하부 측의 백스프링 본체부(48)의 설치 개수를 복수 개(여기서는 3개)로 하고 있는 것은, 탑승자의 착좌 시에는 배면 상부보다 배면 하부[요부(腰部)]의 서포트 성능이 더욱 요구되기 때문이다. 단, 백스프링 본체부의 설치 개수는 임의이며, 백스프링부의 상단부로부터 하단부까지 등간격으로 복수 개의 백스프링 본체부를 배치하여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백스프링 본체부(48)의 시트 폭 방향의 양측에는, 좌우 한 쌍의 휨부로서의 물결 형상 부분(48A)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백스프링 본체부(48)의 시트 폭 방향의 양측」이란, 백스프링 본체부(48)의 시트 폭 방향의 중간점(중점)을 지나는 중심선에 대하여 좌우 양측에 휨부로서의 물결 형상 부분(48A)이 존재한다는 의미이다. 이것에 의해, 백스프링 본체부(48)가 착좌 탑승자로부터 시트백 후방 측[백보드부(36)측]으로의 하중을 받으면, 좌우 한 쌍의 물결 형상 부분(48A)이 신장되고, 그 결과, 하중 작용 방향인 백보드부(36) 측으로 휨 변형(탄성 변형)되도록 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서술한 백스프링부(38)는, 백보드부(36)의 시트 전방 측에 소정거리만큼 이간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백스프링부(38)와 백보드부(36) 사이에는 소정의 간극(52)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간극(52)의 범위내에서 백스프링 본체부(48)는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백보드부(36)는, 백스프링부(38)의 휨량을 소정량 이하로 제한하는 제한 부재로서도 기능하고 있다.
한편, 연결 고정부(50)는, 평단면으로 보아 시트 후방 측이 개방된 대략 거꾸로된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하로 이웃하는 백스프링 본체부(48)의 길이 방향의 단부를 연결함과 함께 백보드부(36)에도 연결되는 내측 측벽(50A)과, 이 내측 측벽(50A)의 시트 폭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사이드 프레임(26)의 측벽부(26A)의 외측면에 면접촉 상태로 걸어멈춰지는 외측 측벽(50B)과, 내측 측벽(50A)의 전단(前端)과 외측 측벽(50B)의 전단을 차량 폭 방향으로 연결하여 사이드 프레임(26) 전벽부(26B)에 면접촉 상태로 맞닿는 전벽(50C)을 구비하고 있다. 즉, 연결 고정부(50)는, 사이드 프레임(26) 전측에 걸어맞춰져(여기서는 접촉) 있고, 사이드 프레임(26)에 의해 시트 후방 측으로부터 지지되어 있다. 이 연결 고정부(50)는, 시트백 보드(16)가 시트백 프레임(14)에 장착되었을 때에는, 사이드 프레임(20)에 대하여 전측으로부터 장착되는(감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사이드 프레임(26)에 대하여 전측으로부터 장착된다」에는, 사이드 프레임(26)에 대하여 연결 고정부(50)를 전측으로부터 걸어맞추게 하는 경우에 한하지 않고, 연결 고정부(50)에 대하여 후측으로부터 사이드 프레임(26)을 걸어맞추게 하는 경우도 포함된다. 또, 연결 고정부(50)가 사이드 프레임(26) 전측에 직접 맞닿지 않고, 양자의 사이에 다른 부재가 개재된 구성으로 해도 된다.
상기 연결 고정부(50)는, 그 외측 측벽(50B)이 사이드 프레임(26)의 측벽부(26A)의 장착 구멍(32)에 도시하지 않은 고정 수단에 의해 시트 폭 방향 외측으로부터 고정됨으로써, 사이드 프레임(26)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고정 수단으로서는, 외측 측벽(50B)에 수지 클립(고정구)을 일체로 형성하여 장착 구멍(32)에 걸어맞추게 하는 구성이나, 리벳, 스크루, 나사 또는 볼트와 웰드 너트 등의 체결 도구로 체결하는 구성, 구조용 접착제로 접착하는 구성 등, 다양한 태양이 적용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최상단의 백스프링 본체부(48)로부터 최하단의 백스프링 본체부(48)까지를 좌우 한 쌍의 연결 고정부(50)에 의해 시트백 높이 방향으로 연결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연결 고정부를 시트백 높이 방향으로 분할해도 된다. 예를 들면, 최상단에 배치된 백스프링 본체부(48)를 상측 연결 고정부로 사이드 프레임(26)에 고정하고, 하부 측에 배치된 3개의 백스프링 본체부(48)를 하측 연결 고정부로 시트백 높이 방향으로 연결하고 또한 사이드 프레임(26)에 고정하도록 해도 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부 측의 백스프링 본체부(48)를 1단(1개)으로 구성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복수단(복수 개)로 구성해도 되고, 백보드부(36)의 상부로부터 하부에 걸쳐 등간격으로 복수단(복수 개)의 백스프링 본체부를 설치하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시트백 패드(18)의 구성>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백 패드(18)는, 대별하면, 패드 중앙 상부(62)와, 패드 중앙 하부(64)와, 좌우 한 쌍의 패드 사이드부(66)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시트백 패드(18)는, 우레탄폼 등에 의해 제작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드 중앙 상부(62)의 세로 단면 형상은, 상하 좌우 역방향의 대략 J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패드 중앙 상부(62)는, 시트백 프레임(14)의 어퍼 프레임(28)에 시트백 상방 측으로부터 걸어멈춰져 있다. 패드 중앙 하부(64)의 세로 단면 형상은, 좌우 역방향의 대략 J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패드 중앙 하부(64)는, 하부가 상부보다 시트 전방 측으로 볼록하게 만곡 형상으로 팽창된 형상을 하고 있다. 이 패드 중앙 하부(64)는, 사이드 프레임(26)의 하단부끼리를 시트 폭 방향으로 연결하는 커넥팅 로드(68)에 시트백 하방 측으로부터 걸어멈춰져 있다. 또한, 커넥팅 로드(68)는, 시트백 프레임(14)의 로어 프레임(30)의 전방 측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드 사이드부(66)의 가로 단면 형상은, 대략 C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패드 사이드부(66)는, 연결 고정부(50)가 장착된 상태의 사이드 프레임(26)에 감기도록 하여 장착되어 있다. 또한, 패드 사이드부(66)는, 하부가 상부보다 시트 전방 측으로 볼록하게 만곡 형상으로 팽창된 형상을 이루고 있고, 또한 패드 중앙 상부(62) 및 패드 중앙 하부(64)보다 시트 전방 측으로 팽출되어 탑승자에 대한 사이드 서포트성을 확보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4로 되돌아가, 상기 서술한 시트백 보드(16)는, 종단면으로 보아, 패드 중앙 상부(62)의 배면 측 하단부(62A)로부터 패드 중앙 하부(64)의 배면 측 상단부(64A)에 걸쳐 배치하여 설치되어 있다. 정확히는, 패드 중앙 하부(64)의 배면 측 상단부(64A)는 배면 측 하단부(62A)보다 얇게 형성되어 있고, 그 얇아진 부분에 백보드부(36)의 하단부가 전후로 포개어 배치되어 있다.
또, 상기 서술한 패드 중앙 상부(62)와 패드 중앙 하부(64) 사이에는, 커버 매달기용의 관통 홈으로서의 가로 방향 슬릿(7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패드 중앙 상부(62), 패드 중앙 하부(64)와 패드 사이드부(66) 사이에는, 좌우 한 쌍의 커버 매달기용의 관통 홈으로서의 세로 방향 슬릿(7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가로 방향 슬릿(70)및 세로 방향 슬릿(72)의 슬릿 폭은, 후술하는 세로 방향 장착 부재(22)및 가로 방향 장착 부재(24)가 삽입 통과 가능한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또, 이들 가로 방향 슬릿(70) 및 세로 방향 슬릿(72)은 모두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시트백 패드(18)를 그 두께 방향(차량 전후 방향이기도 하다)으로 관통하고 있다.
<시트 커버(20)의 구성>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 커버(20)는, 시트백 패드(18)를 정면 측으로부터 덮는 것이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또, 시트 커버(20)는, 상기 시트백 패드(18)의 분할 구성에 맞추어 커버 중앙 상부(74), 커버 중앙 하부(76), 좌우 한 쌍의 커버 사이드부(78)를 구비하고 있다.
<시트 커버(20)의 장착 구조>
시트 커버(20)는, 세로 방향 장착 부재(22), 가로 방향 장착 부재(24), 세로 방향 수지 클로(claw)부(58), 가로 방향 수지 클로부(60), 및 외주 걸림부(80)(피걸림부) 등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로 방향 장착 부재(22)는, 띠 형상으로 형성된 장착 부재 본체(22A)와, 장착 부재 본체(22A)의 일방의 옆쪽 가장자리에 설치됨과 함께 쐐기 형상으로 형성된 수지제의 결합부(22B)로 구성되어 있다. 장착 부재 본체(22A)의 타방의 옆쪽 가장자리는, 커버 중앙 상부(74), 커버 중앙 하부(76)와 커버 사이드부(78)에 봉제에 의해 미리 장착되어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세로 방향 장착 부재(22)[및 가로 방향 장착 부재(24)]를 시트 커버(20)로부터 분리하여 나타내고 있지만, 세로 방향 장착 부재(22)[및 가로 방향 장착 부재(24)]는, 시트 커버(20)에 미리 장착되어 있다. 이에 대응하여, 백스프링 본체부(48)에 있어서의 물결 형상 부분(48A)보다 더욱 시트 폭 방향의 양 외측에는, 세로 방향 수지 클로부(58)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세로 방향 장착 부재(22)의 결합부(22B)는, 세로 방향 수지 클로부(58)에 탄성적으로 걸어맞춤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좌우 한 쌍의 세로 방향 장착 부재(22)의 결합부(22B)를 각 백스프링 본체부(48)가 대응하는 세로 방향 수지 클로부(58)에 탄성적으로 걸어맞추게 함으로써, 시트 커버(20)의 중앙부가 세로 방향으로 시트백 보드(16)에 장착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가로 방향 장착 부재(24)는, 띠 형상으로 형성된 장착 부재 본체(24A)와, 장착 부재 본체(24A)의 일방의 옆쪽 가장자리에 설치됨과 함께 쐐기 형상으로 형성된 수지제의 결합부(24B)로 구성되어 있다. 장착 부재 본체(24A)의 타방의 옆쪽 가장자리는, 커버 중앙 상부(74), 커버 중앙 하부(76)에 봉제에 의해 미리 장착되어 있다. 이에 대응하여, 최상단에 배치된 백스프링 본체부(48)에는, 시트 폭 방향의 중앙부와 양 외측 2군데에 가로 방향 수지 클로부(60)가 일체로 형성되어있다. 가로 방향 장착 부재(24)의 결합부(24B)는, 가로 방향 수지 클로부(60)에 탄성적으로 걸어맞춤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3군데에 설치된 가로 방향 장착 부재(24)의 결합부(24B)를 최상단에 배치된 백스프링 본체부(48)의 각 가로 방향 수지 클로부(60)에 탄성적으로 걸어맞춤으로써, 시트 커버(20)의 중앙부가 가로 방향으로 시트백 보드(16)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시트 커버(20)의 외주 측은, 시트백 패드(18)의 외주부에 감겨 시트백 패드(18)의 배면 측으로 되접어 꺾여 있다. 시트백 패드(18)의 배면 측에 배치된 시트 커버(20)의 외주부의 적절 위치에는, 단면 화살촉 형상으로 된 복수의 장척(長尺)의 외주 걸림부(80)가 봉제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 또한, 이들 복수의 외주 걸림부(80)는, 1개의 길이 치수가, 예를 들면 30밀리미터 정도로 설정되어 있고, 시트백 커버(20)의 외주부에는, 예를 들면 10개 정도의 외주 걸림부(80)가 장착되어 있다. 이들 외주 걸림부(80)는, 백보드부(36)의 커버 걸림부(42)의 연장 방향으로 나란히 거꾸로 된 U자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고, 커버 걸림부(42)에 시트 후방 측으로부터 삽입되어 걸어멈춰져 있다. 이것에 의해, 시트 커버(20)의 외주부가 백보드부(36)[시트백 보드(16)]에 분리 가능하게 걸어멈춰져 있다. 이 상태에서는, 시트 커버(20)의 외주부에 있어서의 커버 걸림부(42)의 외측에 배치된 부위가, 보드 본체(40)의 외주 외측[보드 본체(40)와는 반대측]을 향하여 대략 직각으로 되접어 꺾여 있고, 보드 본체(40)의 배면과 대략 동일면 상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작용 및 효과)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구성의 차량용 시트(10)에서는, 수지제의 백보드부(36)에 수지제의 백스프링부(38)를 일체로 형성한 시트백 보드(16)를 구비하고 있다. 이 시트백 보드(16)는, 본 차량용 시트(10)의 제조 시에는, 금속제의 시트백 프레임(14)에 대하여 시트 전방 측으로부터 장착된다.
구체적으로는, 좌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26) 사이를 통과 가능한 크기로 형성된 백보드부(36)가, 시트 전방 측으로부터 좌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26) 사이에 삽입된다. 그리고, 좌우 한 쌍의 연결 고정부(50)가 좌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26)에 시트 전방 측으로부터 감합되어, 수지 클립 등의 고정 수단에 의해 사이드 프레임(26)에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는, 백보드부(36)가 시트백(12)의 배면 측에 배치된다. 이처럼,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시트백 보드(16)를 시트백 프레임(14)에 대하여 시트 전방 측으로부터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 공정 등도 포함한 설계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시트백 프레임(14)에 시트백 보드(16)가 장착된 후에, 시트백 패드(18)가 시트백 프레임(14)에 시트 전방 측으로부터 장착되고, 또한 시트 커버(20)가 시트백 패드(18)에 씌워진다. 시트 커버(20)에는 미리 세로 방향 장착 부재(22) 및 가로 방향 장착 부재(24)가 봉제에 의해 미리 고정되어 있고, 시트 커버(20)를 시트백 패드(18)에 씌우면서 세로 방향 장착 부재(22), 가로 방향 장착 부재(24)를 대응하는 세로 방향 슬릿(72) 및 가로 방향 슬릿(70)에 삽입하여 세로 방향 수지 클로부(58), 가로 방향 수지 클로부(60)에 각각 걸어멈추게 한다. 또한, 시트 커버(20)의 외주 걸림부(80)를 백보드부(36)의 커버 걸림부(42)에 걸어멈추게 하여 간다. 이것에 의해, 시트 커버(20)가 시트백 보드(16)에 걸어멈춰진다(고정된다). 이처럼,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시트백 보드(16)에 시트 커버(20)의 고정 구조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의 호그링 등을 사용한 시트 커버의 고정 구조와 비교하여, 시트 커버의 고정 구조를 대폭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시트 커버(20)에 설치된 세로 방향 수지 클로부(58), 가로 방향 수지 클로부(60), 및 외주 걸림부(80)가 시트백 보드(16)와 걸어맞춰짐으로써, 시트 커버(20)가 시트백 보드(16)에 걸어멈춰진다. 따라서, 종래의 호그링 등을 사용한 시트 커버의 고정 구조와 비교하여, 시트 커버의 걸어멈춤 작업을 용이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시트 커버(20)의 외주부에 설치된 외주 걸림부(80)가, 시트 후방 측으로부터 커버 걸림부(42)에 삽입됨으로써, 시트 커버(20)의 외주부가 외주 걸림부(80)를 개재하여 커버 걸림부(42)에 걸어멈춰진다. 이처럼, 외주 걸림부(80)를 커버 걸림부(42)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충분하기 때문에, 시트 커버(20)의 걸어멈춤 작업을 매우 용이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커버 걸림부(42)가 시트 후방 측을 향하여 개구하고 있기 때문에, 시트백 보드(16)를 사출 성형 등에 의해 성형할 때에는, 백보드부(36)의 배면(의장면)을 성형하는 금형의 빼기 방향(도 3의 화살표 A 참조)에 대하여, 커버 걸림부가 소위 언더컷이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시트백 보드(16)의 성형성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 커버(20)의 외주 걸림부(80)가 삽입되는 커버 걸림부(42)의 개구부(43)가, 백보드부(36)의 배면[보드 본체(40)의 배면]과 동일면 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시트 커버(20)와 백보드부(36)의 배면 사이에 형성되는 단차를 적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시트백(12)의 배면 측의 외관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커버 걸림부(42)가 백보드부(36)의 상단부 및 시트 폭 방향 양단부를 따라 연장되어 있고, 당해 커버 걸림부(42)에 시트 커버(20)의 외주 걸림부(80)가 걸어멈춰진다. 이것에 의해, 백보드부(36)의 상단부 및 시트 폭 방향 양단부를 따라 시트 커버(20)를 정연하게 걸어멈출 수 있다. 또한, 외주 걸림부(80)는, 커버 걸림부(42)의 연장 방향으로 나란히 복수 설치되어 있다(외주 걸림부가 복수로 분할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커버 걸림부(42)와 동일한 대략 거꾸로 된 U자 형상으로 형성된 1개의 외주 걸림부를 커버 걸림부(42)에 삽입하여 걸어멈추는 경우와 비교하여, 커버 걸림부(42)로의 외주 걸림부(80)의 조립 편차를 흡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당해 조립 편차에 기인하여 시트 커버(20)에 주름이 지는 것을 방지하거나 또는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시트백(12)의 배면 측의 외관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백보드부(36)의 커버 걸림부(42)는, 횡연부(42B)와 좌우의 종연부(42C)의 각 연결부가, 원호 형상의 만곡부(42A)로 되어 있고, 이들 만곡부(42A)를 따라 시트 커버(20)가 걸어멈춰진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상기 각 연결부에 있어서 커버 걸림부(42)가 직각으로 굴곡되어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시트 커버(20)에 주름이 지는 것을 방지하거나 또는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백보드부(36)보다 시트 전방 측에는, 시트 후방 측으로의 하중에 의해 탄성 변형 가능한 백스프링부(38)가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소위 S 스프링 등의 시트백 스프링을 생략한 경우에도, 착좌 탑승자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착좌 탑승자의 승차감을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용 시트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어, 차량용 시트의 경량화 및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의 보충 설명〕
상기 서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수지제의 백보드부(36)에 수지제의 백스프링부(38)(탄성 변형부)를 일체로 형성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수지제의 백보드부(36)에 수지제의 백스프링부(38)를 일체적으로 형성해도 된다. 즉, 백보드부(36)와 백스프링부(38)를 각각 제작하고나서 양자를 용착 등에 의해 일체화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백스프링부(38)를 구성하는 백스프링 본체부(48)와 연결 고정부(50)를 별도의 부품으로서 제작하고나서 용착 등에 의해 일체화하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 관련된 백스프링부(38)를 생략하고, 별도의 탄성 변형부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예를 들면, 백보드부(36)의 시트 전방 측에 주름 상자 형상의 탄성 변형부를 설치하고, 당해 탄성 변형부가 시트 후방 측으로의 하중에 의해 압축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 예를 들면, 백보드부(36)의 시트 전방 측에, 평면으로 보아 단면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된 탄성 변형부를 설치하고, 당해 탄성 변형부가 시트 후방 측으로의 하중에 의해 탄성 변형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즉, 탄성 변형부는, 백보드부보다 시트 전방 측에 배치되어 시트백 프레임에 대하여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지지됨과 함께, 시트 후방 측으로의 하중에 의해 탄성 변형 가능한 것이면 된다. 또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에 관련된 발명에서는, 탄성 변형부가 생략된 구성으로 해도 되고, 탄성 변형부 대신 소위 S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지는 금속성의 시트백 스프링이 시트백 프레임에 장착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커버 걸림부(42)의 상단 측의 시트 폭 방향 양단측, 즉 횡연부(42B)와 좌우의 종연부(42C)의 연결부에 만곡부(42A)가 형성된 구성으로 하였지만,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에 관련된 발명에서는 이에 한정하지 않고, 횡연부(42B)와 좌우의 종연부(42C)의 연결부에 굴곡부가 형성된 구성[커버 걸림부( 42)가, 횡연부(42B)와 좌우의 종연부(42C)의 연결부에 있어서 굴곡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커버 걸림부(42)가, 백보드부(36)의 상단부 및 시트 폭 방향 양단부를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된 구성으로 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커버 걸림부(42)가, 백보드부(36)의 상단부 및 시트 폭 방향 양단부를 따라 단속적으로 형성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에 관련된 발명에서는, 커버 걸림부(42)가 형성되는 부위는, 백보드부(36)의 상단부 및 시트 폭 방향 양단부에 한정하지 않고, 시트 커버(20)의 구성 등에 따라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커버 걸림부(42)의 개구부(43)와, 백보드부(36)에 있어서의 보드 본체(40)의 배면이 동일면 상에 배치된 구성으로 하였지만,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에 관련된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커버 걸림부의 개구부와 백보드부의 배면이 시트 전후 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시트 후방 측을 향하여 개구된 커버 걸림부(42)에 대하여, 외주 걸림부(80)(피걸림부)가 시트 후방 측으로부터 삽입되어 걸어멈춰지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청구항 1 및 청구항 2에 관련된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내는 변형예와 같이, 시트 폭 방향 외측을 향하여 개구된 커버 걸림부 43´에 대하여, 외주 걸림부(80)(피걸림부)가 시트 폭 방향 외측으로부터 삽입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시트 커버(20)에 설치된 외주 걸림부(80)가, 시트백 보드(16)에 설치된 커버 걸림부(42)(커버 고정부)와 걸어맞춰지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청구항 1에 관련된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시트 커버가 수지 클립 등의 고정구에 의해 시트백 보드의 커버 고정부에 고정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그 외, 본 발명은,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상기 각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Claims (8)

  1. 차량용 시트의 시트백의 배면에 배치됨과 함께, 시트백 프레임에 있어서의 좌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 사이를 통과 가능한 크기로 형성된 백보드부와,
    상기 백보드부의 시트 폭 방향 양단보다 시트 폭 방향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의 전측에 걸어맞추어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에 지지되는 좌우 한 쌍의 프레임 장착부와,
    시트백의 배면 측에 배치되며, 시트백 패드의 표면을 덮는 시트 커버가 고정되는 커버 고정부를 일체 또는 일체적으로 구비한 시트백 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고정부는, 상기 시트 커버에 설치된 피걸림부와 걸어맞춰지는 커버 걸림부인 시트백 보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걸림부는, 시트 후방 측을 항하여 개구되어 있고, 상기 피걸림부가 시트 후방 측으로부터 상기 커버 걸림부에 삽입되어 걸어멈춰지는 시트백 보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걸림부의 개구부와 상기 백보드부의 배면이 동일면 상에 배치되어 있는 시트백 보드.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걸림부는, 상기 백보드부의 상단부 및 시트 폭 방향 양단부를 따라 연장되어 있는 시트백 보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걸림부는, 상단 측의 시트 폭 방향 양단 측이 시트 전후 방향으로부터 보아 상방 측이고 또한 시트 폭 방향 외측을 향하여 볼록한 원호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는 시트백 보드.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백보드부보다 시트 전방 측에 배치되며, 시트 후방 측으로의 하중에 의해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 변형부를 일체 또는 일체적으로 가지는 시트백 보드.
  8. 시트백 프레임과,
    상기 시트백 프레임에 있어서의 좌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에 장착된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시트백 보드와,
    상기 시트백 프레임에 지지된 시트백 패드와,
    상기 시트백 패드의 표면을 덮음과 함께, 상기 시트백 보드의 상기 커버 고정부에 고정된 시트 커버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
KR1020137004832A 2011-06-16 2011-06-16 시트백 보드 및 차량용 시트 KR1013434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1/063837 WO2012172674A1 (ja) 2011-06-16 2011-06-16 シートバックボード及び車両用シー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2620A KR20130052620A (ko) 2013-05-22
KR101343476B1 true KR101343476B1 (ko) 2013-12-19

Family

ID=47356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4832A KR101343476B1 (ko) 2011-06-16 2011-06-16 시트백 보드 및 차량용 시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979204B2 (ko)
JP (1) JP5472474B2 (ko)
KR (1) KR101343476B1 (ko)
ES (1) ES2434667B1 (ko)
WO (1) WO20121726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214039A1 (de) * 2012-05-29 2013-12-05 Keiper Gmbh & Co. Kg Lehnenteil für einen Sitz, insbesondere einen Fahrzeugsitz
JP5961453B2 (ja) * 2012-06-11 2016-08-02 日本発條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WO2014033964A1 (ja) * 2012-09-03 2014-03-06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及び車両用シートのシートフレーム
US9415713B2 (en) 2013-01-24 2016-08-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lexible seatback system
US9409504B2 (en) 2013-01-24 2016-08-0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lexible seatback system
US9399418B2 (en) 2013-01-24 2016-07-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dependent cushion extension and thigh support
JP6189099B2 (ja) * 2013-06-20 2017-08-30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JP6144169B2 (ja) * 2013-09-30 2017-06-07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KR101537862B1 (ko) * 2013-11-27 2015-07-17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자동차용 하이브리드 시트프레임
KR200477126Y1 (ko) * 2013-12-27 2015-05-07 현대다이모스(주) 시트 백보드 지지 장치
US9315131B2 (en) 2014-01-23 2016-04-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uspension seat back and cushion system having an inner suspension panel
US9421894B2 (en) 2014-04-02 2016-08-2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eating assembly with manual independent thigh supports
JP6358612B2 (ja) 2014-04-14 2018-07-18 株式会社タチエス 車両用シート
JP6165670B2 (ja) * 2014-04-25 2017-07-19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フレームのバネ部材取付け構造
JP6223902B2 (ja) * 2014-04-25 2017-11-01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KR101513266B1 (ko) * 2014-05-15 2015-04-17 (주)동도 의자 등받이 쿠션체
JP6294772B2 (ja) * 2014-06-24 2018-03-14 日本発條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JP6387258B2 (ja) * 2014-07-10 2018-09-05 日本発條株式会社 シートバックフレーム及び車両用シート
WO2016033149A1 (en) 2014-08-26 2016-03-03 Zodiac Seats Us Llc Seat support system
US9789790B2 (en) 2014-10-03 2017-10-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uned flexible support member and flexible suspension features for comfort carriers
US9566930B2 (en) * 2015-03-02 2017-02-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eat assembly with side-impact airbag deployment mechanism
WO2016186990A1 (en) * 2015-05-15 2016-11-24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A seat support structure and a seat structure including the seat support structure
US10046682B2 (en) 2015-08-03 2018-08-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ack cushion module for a vehicle seating assembly
US9935560B2 (en) 2015-09-17 2018-04-03 Stmicroelectronics S.R.L. Electronic device with a maintain power signature (MPS) device and associated methods
US10286818B2 (en) 2016-03-16 2019-05-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ual suspension seating assembly
US9849817B2 (en) 2016-03-16 2017-12-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omposite seat structure
US9994135B2 (en) 2016-03-30 2018-06-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dependent cushion thigh support
US10220737B2 (en) 2016-04-01 2019-03-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Kinematic back panel
US9889773B2 (en) 2016-04-04 2018-02-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nthropomorphic upper seatback
US9802512B1 (en) 2016-04-12 2017-10-3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orsion spring bushing
US9845029B1 (en) 2016-06-06 2017-12-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assive conformal seat with hybrid air/liquid cells
US9834166B1 (en) 2016-06-07 2017-12-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ide airbag energy management system
US9849856B1 (en) 2016-06-07 2017-12-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ide airbag energy management system
US10166894B2 (en) * 2016-06-09 2019-01-0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atback comfort carrier
US10166895B2 (en) 2016-06-09 2019-01-0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atback comfort carrier
US10377279B2 (en) 2016-06-09 2019-08-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tegrated decking arm support feature
CN106143244B (zh) * 2016-07-28 2020-03-17 周润生 一种车用座椅防尘罩固定卡具
US10220745B2 (en) * 2016-08-05 2019-03-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ner carrier substrate trim cover attachment
US10286824B2 (en) 2016-08-24 2019-05-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preader plate load distribution
US10279714B2 (en) 2016-08-26 2019-05-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ating assembly with climate control features
US10391910B2 (en) 2016-09-02 2019-08-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odular assembly cross-tube attachment tab designs and functions
US10239431B2 (en) 2016-09-02 2019-03-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ross-tube attachment hook features for modular assembly and support
US9914378B1 (en) 2016-12-16 2018-03-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ecorative and functional upper seatback closeout assembly
US10195969B2 (en) 2016-12-28 2019-02-05 Lear Corporation Vehicle seat with energy absorbing impact pad
US11052800B2 (en) * 2017-02-17 2021-07-06 Jsp Corporation Seat core material
US10596936B2 (en) 2017-05-04 2020-03-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lf-retaining elastic strap for vent blower attachment to a back carrier
DE102017207622B4 (de) 2017-05-05 2023-10-26 Lear Corporation Sitzbaugruppe mit einer an einem Rückenlehnenrahmen angeordneten Schale
US10473136B2 (en) * 2017-05-25 2019-11-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eating cushion with snap-fit fasteners to interconnect with snap-fit receivers on a structural support
DE102017215092A1 (de) * 2017-08-29 2019-02-28 Elringklinger Ag Formbauteil, Sitz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ormbauteils
JP7046584B2 (ja) * 2017-12-13 2022-04-04 株式会社タチエス シートバックボード、トリムカバー、及び乗物用シート
US10538181B2 (en) * 2018-01-11 2020-01-21 Honda Motor Co., Ltd. Seatback structure
CN108312920B (zh) * 2018-01-30 2023-08-29 重庆博奥镁铝金属制造有限公司 一种汽车座椅骨架结构
KR102413293B1 (ko) * 2018-12-19 2022-06-27 (주)엘엑스하우시스 시트백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20179774A (ja) * 2019-04-25 2020-11-05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シートバック
DE102020104233A1 (de) * 2019-08-05 2021-02-11 Adient Engineering and IP GmbH Sitzpolsterelement und Fahrzeugsitz
JP7469618B2 (ja) * 2020-03-19 2024-04-17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乗り物用シート
US20230337828A1 (en) 2022-04-22 2023-10-26 Lear Corporation Vehicle seat assembly and method of forming
JP2024059199A (ja) * 2022-10-18 2024-05-01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シー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20611A (ja) 2005-05-20 2006-11-30 Toyota Boshoku Corp 車両用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71800U (ko) 1986-10-29 1988-05-13
JPH0513280Y2 (ko) * 1988-02-22 1993-04-07
JPH0296939U (ko) 1989-01-19 1990-08-02
EP0721753B1 (en) * 1991-02-20 2000-01-26 Sunrise Medical HHG Inc. Deformity back system
EP0550774A1 (de) * 1991-11-22 1993-07-14 Ignaz Vogel GmbH &amp; Co KG, Fahrzeugsitze Gepolsterter Fahrgastsitz
JPH06304350A (ja) 1993-04-27 1994-11-01 Ikeda Bussan Co Ltd シートバック用トリムカバーの端末処理構造
US5503454A (en) * 1993-10-19 1996-04-02 Tachi-S Co., Ltd. Arrangement for securing terminal ends of an automotive seat covering member
US5556168A (en) * 1994-06-17 1996-09-17 Jay Medical Ltd. Wheelchair back system
JPH08256874A (ja) 1995-03-27 1996-10-08 Araco Corp 自動車用シートのシートバック
JPH08323073A (ja) 1995-03-31 1996-12-10 Araco Corp 自動車用シートのシートバック
SE505419C2 (sv) * 1996-09-09 1997-08-25 Volvo Ab Ryggstödsstruktur och fordonssäte med en dylik struktur
US6095611A (en) * 1997-10-07 2000-08-01 Roho, Inc. Modular backrest system for a wheelchair
DE19909362B4 (de) * 1998-03-05 2005-06-23 Aisin Seiki K.K., Kariya Sitzrahmenbaugruppe
JP3744210B2 (ja) 1998-07-10 2006-02-0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バック
JP3647294B2 (ja) 1998-12-28 2005-05-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トリムカバーの端末係止構造
US6994401B1 (en) * 2000-09-14 2006-02-07 Lear Corporation Seat backrest cover module
JP3972174B2 (ja) 2001-01-22 2007-09-05 スズキ株式会社 シートバックのカーペット構造
JP2003054301A (ja) 2001-08-22 2003-02-26 Mitsubishi Automob Eng Co Ltd 車両用カーペット取付け装置
JP2003135201A (ja) 2001-11-08 2003-05-13 Kanto Auto Works Ltd 自動車用シートのシートバックカバー取付構造
US6733074B2 (en) * 2002-06-28 2004-05-11 Marken International, Inc. Support assembly for use with a wheelchair
FR2851524B1 (fr) * 2003-02-21 2005-05-06 Faurecia Sieges Automobile Dossier de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US20060138830A1 (en) 2004-12-23 2006-06-29 Cho-Hsin Liu Barrel shaped chair of a racing car
JP4728669B2 (ja) 2005-03-11 2011-07-20 レカロ株式会社 自動車用シートのシートバックフレーム
US7188902B1 (en) * 2005-04-12 2007-03-13 Chao-Jen Chen Backupholstery adjustment device for wheelchair
DE202008017896U1 (de) * 2007-03-08 2010-09-23 Sunrise Medical Hhg Inc., Longmont Rollstuhlrückenlehne mit Zweipunkt-Montagebeschlagteilen
CN102015378B (zh) * 2008-03-25 2014-05-07 江森自控科技公司 具有安全气囊的座椅
JP2010005158A (ja) 2008-06-27 2010-01-14 Nhk Spring Co Ltd シートバックのトリムカーペット
US8727438B2 (en) * 2008-09-01 2014-05-20 Ts Tech Co., Ltd. Seat frame and vehicle seat
JP5251377B2 (ja) 2008-09-08 2013-07-31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の表皮材の引き込み構造
JP2010068901A (ja) 2008-09-17 2010-04-02 Toyota Boshoku Corp シートカバーの締結構造
JP2010142530A (ja) 2008-12-22 2010-07-01 Toyo Seat Co Ltd 車両用シート
JP5272187B2 (ja) 2009-01-29 2013-08-28 日本発條株式会社 トリムカバーの装着構造
JP5515655B2 (ja) * 2009-02-10 2014-06-11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および車両用シートの製造方法
EP2412567B1 (en) * 2009-03-24 2013-10-16 Honda Motor Co., Ltd. Vehicle seat
FR2947775B1 (fr) 2009-07-08 2011-08-05 Cera Armature de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WO2012020697A1 (en) * 2010-08-10 2012-02-16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Vehicle seat and seat back board
BR112013027943B1 (pt) * 2011-05-02 2021-01-12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assento de veículo
AU2011368544B2 (en) * 2011-05-18 2015-08-06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Seat structural member and vehicle seat using same
JP5387635B2 (ja) 2011-08-29 2014-01-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シートバックボード及びこれを用いた車両用シート
EP2612794A4 (en) * 2011-10-25 2015-03-25 Toyota Motor Co Ltd VEHICLE SEAT AND RESIN SEAT BACK FILE SPR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20611A (ja) 2005-05-20 2006-11-30 Toyota Boshoku Corp 車両用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472474B2 (ja) 2014-04-16
US20140084661A1 (en) 2014-03-27
US8979204B2 (en) 2015-03-17
JPWO2012172674A1 (ja) 2015-02-23
ES2434667R1 (es) 2014-02-28
ES2434667A2 (es) 2013-12-16
WO2012172674A1 (ja) 2012-12-20
ES2434667B1 (es) 2014-11-14
KR20130052620A (ko) 2013-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3476B1 (ko) 시트백 보드 및 차량용 시트
KR101495243B1 (ko) 차량용 시트 및 시트 백 보드
KR101370669B1 (ko) 차량용 시트 및 시트 백 보드
US20120133193A1 (en) Vehicle seat
WO2014024936A1 (ja) 車両用シート
JP5488325B2 (ja) 車両用シート
US9403457B2 (en) Headrest, vehicle seat
JP2012106578A (ja) シートバックボード及びこれを用いた車両用シート
JP6339802B2 (ja) 表皮吊込構造
JP5885494B2 (ja) 支持機構及び車両用シート
JP6204055B2 (ja) 乗物用シート
JP2012056481A (ja) シートバックボード及びこれを用いた車両用シート
JP5708211B2 (ja) シートバックボード及びこれを用いた車両用シート
JP5724815B2 (ja) 樹脂製シートバックボード及び車両用シート
JP7381968B2 (ja) シート
JP2013091360A (ja) 車両用シート
JP5384379B2 (ja) 車両用内装部品
JP6484307B2 (ja) 乗物用シート
JP2012056482A (ja) 車両用シート
WO2019203012A1 (ja) 乗物用シート
JP2024007120A (ja) シートクッション
JP2013086636A (ja) シートバックボード及びこれを用いた車両用シート
JP5672220B2 (ja) 車両用シート及びシートバックボード
JP2019137204A (ja) 乗物用シート
JP2012147938A (ja) シートバックボード及びこれを用いた車両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