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1598A -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 - Google Patents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1598A
KR20130111598A KR1020137016384A KR20137016384A KR20130111598A KR 20130111598 A KR20130111598 A KR 20130111598A KR 1020137016384 A KR1020137016384 A KR 1020137016384A KR 20137016384 A KR20137016384 A KR 20137016384A KR 20130111598 A KR20130111598 A KR 201301115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plate
cover lens
transparent electrode
film sensor
top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6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0693B1 (ko
Inventor
료메이 오모테
히로아키 마쓰무라
Original Assignee
니폰샤신인사츠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샤신인사츠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샤신인사츠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11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15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0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0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Abstract

정전(靜電) 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1)은, 커버 렌즈(2)와, 필름 센서(3)를 구비하고 있다. 필름 센서(3)는, 기재(基材) 필름(4)과, A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기재 필름(4) 상에 병설되는 복수의 제1 투명 전극(5)과, 복수의 제1 투명 전극(5)과의 사이에서 절연성을 유지하고 또한 Y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제1 투명 전극(5)과 교차하여 병설되는 복수의 제2 투명 전극(6)과, 제1 투명 전극(5)에 각각 접속되어 접속 단자에 이를 때까지 인출되는 복수의 제1 인출 배선(7)과, 제2 투명 전극(6)에 각각 접속되어 접속 단자에 이를 때까지 인출되는 복수의 제2 인출 배선(8)을 가지고 있다. 제1 인출 배선(7) 및 제2 인출 배선(8)은, 커버 렌즈(2)의 가식(加飾) 영역(2B)에 의해 은폐되어 있다. 필름 센서(3)는, 커버 렌즈(2)의 천면판(2A)의 이면(裏面)에 대향하는 천면판 대응부(31)와, 제1 측면판(22) 및 제2 측면판(23) 중 적어도 한쪽의 이면에 대향하는 입상부(立上部)(32, 33)를 가지고 있다. 제2 인출 배선(8)의 전부 또는 대부분이, 입상부(32, 33)에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ELECTROSTATIC CAPACITIVE TOUCH SCREEN}
본 발명은, 커버 렌즈의 이면(裏面)에 필름 센서를 접착에 의해 구비하여 터치 입력 기능을 발휘하는, 정전(靜電) 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종래, PDA, 핸디 터미널 등 휴대 정보 단말기, 복사기, 팩시밀리 등 OA 기기, 스마트 폰, 휴대 전화기, 휴대 게임기기, 전자 사전,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 소형 PC, 각종 가전 제품 등의 전자 제품은, 통상, 액정 디스플레이(LCD) 앞에 커버 렌즈를 설치하고, 액정 디스플레이 표면을 보호하여 손상되거나 오염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현재, 신호에 의해 입력 조작하는 편리성을 높이기 위해, 판형의 커버 렌즈와 필름 센서의 중합층을, 조합한 후에, 전자 제품의 액정 디스플레이 앞에 배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투시 영역과 상기 투시 영역 이외의 가식(加飾) 영역을 가지는 판형의 커버 렌즈와, 커버 렌즈의 이면측(裏面側)에 접착되고, 기재(基材) 필름과, 기재 필름 상에 병설되는 복수의 제1 투명 전극과, 이들 제1 투명 전극과의 사이에서 절연성을 유지하고 또한 상기 제1 투명 전극과 교차하여 병설되는 복수의 제2 투명 전극과, 제1 투명 전극에 각각 접속되어 접속 단자에 이를 때까지 인출되는 복수의 제1 인출 배선과, 제2 투명 전극에 각각 접속되어 접속 단자에 이를 때까지 인출되는 복수의 제2 인출 배선을 가지고, 커버 렌즈와의 중복 부분에 있어서 제1 인출 배선 및 상기 제2 인출 배선이 상기 가식 영역에 의해 은폐된 필름 센서를 구비한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이 존재한다.
또한, 커버 렌즈가, 직사각형의 천면판(天面板)과, 상기 천면판의 한 변에 연속되는 제1 측면판과, 제1 측면판에 대향하여 천면판의 다른 한 변에 연속되는 제2 측면판을 구비한 하우징 구조이며, 필름 센서가 상기 커버 렌즈의 상기 천면판의 이면측에만 설치된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도,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2008―302600호 공보
그러나, 특허 문헌 1과 같이, 필름 센서(103)가 커버 렌즈(102)의 천면판(121)의 이면측에만 설치되는 구성에서는,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렌즈(102)의 천면판(121) 중 필름 센서(103)의 제1 인출 배선(107) 및 제2 인출 배선(108)을 덮는 부분은, 가식 영역(102B)으로 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투시 영역(102A)으로는 할 수 없다. 즉, 천면판(121)의 주위둘레에 프레임 부분이 형성된다. 시장에 있어서는 더 좁은 프레임화, 즉 협(狹) 프레임화가 요구되고 있지만, 병렬되는 인출 배선의 피치를 좁혀도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없는 협 프레임화 또는 프레임레스(frameless)가 가능한,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하에,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복수의 태양(態樣; aspect)을 설명한다. 이들 태양은, 필요에 따라 임의로 조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견지(見地)에 관한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은, 커버 렌즈와, 필름 센서를 구비하고 있다.
커버 렌즈는, 천면판과, 천면판의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 양측의 변에 연속되는 제1 측면판 및 제2 측면판을 가지고, 투시 영역과 투시 영역 이외의 가식 영역을 가진다. 필름 센서는, 커버 렌즈의 이면측에 접착되어 있다.
필름 센서는, 기재 필름과, 복수의 제1 투명 전극과, 복수의 제2 투명 전극과, 복수의 제1 인출 배선과, 복수의 제2 인출 배선을 가지고 있다. 복수의 투명 전극은,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기재 필름 상에 병설되어 있다. 복수의 제2 투명 전극은, 복수의 제1 투명 전극과의 사이에서 절연성을 유지하고 또한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제1 투명 전극과 교차하여 병설되어 있다. 복수의 제1 인출 배선은, 제1 투명 전극에 각각 접속되어 접속 단자에 이를 때까지 인출되어 있다. 복수의 제2 인출 배선은, 제2 투명 전극에 각각 접속되어 접속 단자에 이를 때까지 인출되어 있다.
제1 인출 배선 및 제2 인출 배선은, 커버 렌즈의 가식 영역에 의해 은폐되어 있다.
필름 센서는, 커버 렌즈의 천면판의 이면에 대향하는 천면판 대응부와, 제1 측면판 및 제2 측면판 중 적어도 한쪽의 이면에 대향하는 입상부(立上部; rising portion))를 가지고 있다.
제2 인출 배선의 전부 또는 대부분이, 입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필름 센서의 휨 부분이 내측 R 치수 1㎜ ~ 4㎜이어도 된다.
제2 투명 전극의 일부가, 입상부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그 경우, 투명 전극이, 바인더 수지 중에 은나노 섬유 또는 카본 나노 튜브를 포함하는 도전 패턴층이어도 된다.
터치 스크린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필름 센서의 이면에 배치되고, 필름 센서의 입상부에 대응하는 제2 입상부를 가진다. 커버 렌즈의 투시 영역이, 천면판으로부터, 필름 센서의 입상부에 대향하는 측면판까지 넓어져 있어도 된다.
필름 센서가, 커버 렌즈에 대한 접착 전에, 입상부를 가지는 형상으로 미리 부형(賦形)된 것이어도 된다.
필름 센서가, 커버 렌즈의 제1 측면판 및 제2 측면판의 양쪽을 따르도록 부형되어 있어도 된다.
필름 센서의 입상부의 하단이, 커버 렌즈의 대응하는 측면판의 하단보다 아래쪽에 위치해도 된다.
필름 센서가, 제1 기재 필름과, 제2 기재 필름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제1 기재 필름은, 제1 투명 전극 및 제1 인출 배선을 지지한다. 제2 기재 필름은, 제2 투명 전극 및 제2 인출 배선을 지지하고 있고, 제1 기재 필름과는 크기가 상이하다. 제1 기재 필름은, 상기 천면판의 이면에만 대응하고 있고, 제2 기재 필름은, 천면판의 이면에 대응하는 제1 부분과, 제1 측면판 및 상기 제2 측면판의 이면에 각각 대응하는 제2 부분 및 제3 부분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은,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인출 배선의 형성 위치가 커버 렌즈의 천면판 내에 한정되지 않기 때문에, 인출 배선을 은폐하는 가식 영역의 내측 에지를 천면판의 외형 직전까지 형성할 수 있어, 종래에는 없는 천면판에서의 가식 영역이 협 프레임화, 또는 프레임레스가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필름 센서의 일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필름 센서의 일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필름 센서의 일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필름 센서의 일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필름 센서의 부형 공정의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커버 렌즈의 변화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커버 렌즈의 변화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필름 센서의 투명 전극 부분의 일례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15는 필름 센서의 투명 전극 부분의 일례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16은 본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필름 센서의 일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8은 종래의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의 일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터치 스크린(1)은, 커버 렌즈(2)와, 상기 커버 렌즈(2)의 이면측에 접착된 필름 센서(3)를 구비하고 있다.
커버 렌즈(2)는, 배후에 배치하는 디스플레이를 외계의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다. 커버 렌즈(2)는, 직사각형의 천면판(21)과, 상기 천면판(21)의 한 변에 연속되는 단책형(短冊形)의 제1 측면판(22)과, 상기 제1 측면판(22)에 대향하여 천면판(21)의 다른 한 변에 연속되는 단책형의 제2 측면판(23)을 구비한 하우징 구조를 취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천면판(21)은 도면의 A 방향(제1 방향)으로 길게 되어 있고, 제1 측면판(22) 및 제2 측면판(23)은, A 방향에 직교하는 B 방향(제2 방향) 양측의 변에 연속되어 있다. 그리고, 천면판은 직사각형이 아니어도 되고, 측면판은 단책형이 아니어도 된다.
또한, 커버 렌즈(2)의 천면판(21)은, 일반적으로 평면이 바람직하다. 천면판(21)이 곡면이면, 필름 센서(3)를 천면판(21)의 이면을 따라 접합할 때 공기나 기포가 들어가는 경우가 있어, 터치 입력 기능이 저하되거나, 외관도 손상되거나 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커버 렌즈(2)의 재료로서는, 투명성이 높고, 또한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파손되지 않을 필요가 있고, 예를 들면, 유리판, 수지판 등을 들 수 있다. 유리판의 재료로서는, 화학 강화 유리가 바람직하고, 수지판의 재료로서는, 아크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등이 바람직하다.
또한, 커버 렌즈(2)의 두께는 0.5㎜ ~ 2㎜가 바람직하다. 두께가 2㎜를 넘으면, 광투과율을 극단적으로 삭감하여, 배후에 배치하는 디스플레이의 화상을 희미해지게 하여 화상 색채를 어둡게 하는 등의 문제가 생기기 쉽게 된다. 반대로, 두께가 0.5㎜로 충족되지 않으면, 커버 렌즈(2)는 사용에 있어서 여러 가지 외계의 충격력에 견딜 수 없어, 배후에 배치하는 디스플레이를 보호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커버 렌즈(2)는, 배후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의 화상을 투시하는 투시 영역(2A)과, 상기 투시 영역(2A) 이외의 불투명한 가식 영역(2B)을 가진다. 가식 영역(2B)은, 필름 센서(3)의 투명 전극을 제어 회로에 접속하는 배선을 은폐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상과 같은 커버 렌즈(2)에 대한 필름 센서(3)의 접착에는, 광학용 투명 점착재(Optical Clear Adhesive: OCA)(10)를 사용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적어도 커버 렌즈(2)의 천면판(21) 이면에 광학용 투명 점착재(粘着材)(10)가 형성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천면판(21) 이면에만 광학용 투명 점착재(10)를 형성하면, 필름 센서(3)의 접착이 용이하다. 한편, 천면판(21) 이면뿐만아니라, 제1 측면판(22) 및 제2 측면판(23)까지 광학용 투명 점착재(10)를 설치하면, 필름 센서(3)의 밀착이 확실하게 된다.
광학용 투명 점착재(10)로서는, 아크릴계 및 고무계 등이 있지만, 투명성의 점에서 아크릴계가 바람직하다. 이들 점착제 중에는, 점착성 폴리머 성분 이외에, 가소제, 점착 부여 성분 등이 포함되어 있어도 지장을 주지 않지만, 투명성을 해치는 첨가제의 사용은 바람직하지 않다. 아크릴계 점착제의 주성분인 점착성 폴리머로서는, 아크릴산2-에틸헥실, 아크릴산 부틸, 아크릴산 이소옥틸, 메타크릴산 부틸, 메타크릴산 프로필 등의 알킬기의 탄소수가 1 ~ 10의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와,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인산, 푸마르산, 아크릴산 히드록시 에틸, 메타크릴산 히드록시 에틸 등의 관능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를 주성분으로서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의 공중합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고무계 점착제의 주성분인 점착성 폴리머로서는, 스티렌/부타디엔 랜덤 공중합체, 스티렌/이소프렌계 블록 공중합체, 천연 고무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필름 센서(3)의 기본 구조는, 기재 필름(4)과, 제1 투명 전극(5)과, 복수의 제2 투명 전극(6)과, 복수의 제1 인출 배선(7)과, 복수의 제2 인출 배선(8)을 가지고 있다. 복수의 제1 투명 전극(5)은, 기재 필름(4) 상에 병설된다. 복수의 제2 투명 전극(6)은, 제1 투명 전극(5)과의 사이에서 절연성을 유지하고 또한 제1 투명 전극(5)과 교차하여 병설된다. 복수의 제1 인출 배선(7)은, 제1 투명 전극(5)에 각각 접속되어 접속 단자에 이를 때까지 인출된다. 복수의 제2 인출 배선(8)은, 제2 투명 전극(6)에 각각 접속되어 접속 단자에 이를 때까지 인출된다. 커버 렌즈(2)와의 중복 부분에 있어서, 제1 인출 배선(7) 및 제2 인출 배선(8)이, 가식 영역(2B)에 의해 은폐되어 있다.
제1 투명 전극(5)은, 도면의 A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제2 투명 전극(6)은, 도면의 B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필름 센서(3)는, 커버 렌즈(2)의 천면판(21A)의 이면에 대향하는 천면판 대응부(31)와, 제1 측면판(22A) 및 제2 측면판(22B)의 이면에 대향하는 입상부(32, 33)를 가지고 있다.
제2 인출 배선(8)은, 입상부(32, 33)에 대응하는 제1 부분(8a)과, 천면판 대응부(31)에 대응하는 제2 부분(8b)을 가지고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1 부분(8a)은, 제2 투명 전극(6)으로부터 입상부(32, 33)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과, 입상부(32, 33)의 길이 방향(도면의 A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과, 제2 부분(8b)으로부터 입상부(32, 33)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가지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2 인출 배선(8)의 제1 부분(8a)은 제2 부분(8b)에 비해 양이 많고, 제2 부분(8b)은, 제2 인출 배선(8) 전체의 7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90% 이상 있다.
그리고, 필름 센서(3)는 전술한 기본 구조를 가지지만, 세부적인 점에서 서로 구성 또는 사용 상태가 상이한 몇 가지의 종류가 있고, 예를 들면, 하기 1 ~ 7에 나타낸 것을 들 수 있다.
(1) 기재 1층 타입 FaceUp
기재 필름(4)과, 기재 필름(4) 상에 병설되는 복수의 제1 투명 전극(5)과, 기재 필름(4)의 제1 투명 전극(5)이 형성된 면과 동일면 상에 제1 투명 전극(5)과 교차하여 병설되는 복수의 제2 투명 전극(6)과, 제1 투명 전극(5)과 제2 투명 전극(6)과의 교차부에 개재되는 중간 절연층(9)과, 제1 투명 전극(5)에 각각 접속되어 접속 단자에 이를 때까지 인출되는 복수의 제1 인출 배선(7)과, 제2 투명 전극(6)에 각각 접속되어 접속 단자에 이를 때까지 인출되는 복수의 제2 인출 배선(8)을 가지는 것이며(도 7 참조), 기재 필름(4) 측을 커버 렌즈(2)에 대향시킨다.
(2) 기재 1층 타입 FaceDown
기재 필름(4) 측과는 반대측을 커버 렌즈(2)에 대향시키는 것 이외에, 상기 (1)과 같다.
(3) 기재 1층 타입 양면
기재 필름(4)과, 기재 필름(4) 상에 병설되는 복수의 제1 투명 전극(5)과, 기재 필름(4)의 제1 투명 전극(5)이 형성된 면과는 반대측의 면 상에 제1 투명 전극(5)과 교차하여 병설되는 복수의 제2 투명 전극(6)과, 제1 투명 전극(5)에 각각 접속되어 접속 단자에 이를 때까지 인출되는 복수의 제1 인출 배선(7)과, 제2 투명 전극(6)에 각각 접속되어 접속 단자에 이를 때까지 인출되는 복수의 제2 인출 배선(8)을 가지는 것이다(도 8 참조).
(4) 기재 2층 타입 FaceUp
상기 (1) ~ (3)과 달리 기재 필름을 추가로 1매 더 구비하는 것이며, 제1 기재 필름(4A)과, 제1 기재 필름(4A) 상에 병설되는 복수의 제1 투명 전극(5)과, 제1 투명 전극(5)에 각각 접속되어 접속 단자에 이를 때까지 인출되는 복수의 제1 인출 배선(7)과, 제1 투명 전극(5) 및 접속 단자를 제외한 제1 인출 배선(7)을 감싸 접합된 제2 기재 필름(4B)과, 제2 기재 필름(4B) 상에 있어서 제1 투명 전극(5)과 교차하여 병설되는 복수의 제2 투명 전극(6)과, 제2 기재 필름(4B) 상에 있어서 제2 투명 전극(6)에 각각 접속되어 접속 단자에 이를 때까지 인출되는 복수의 제2 인출 배선(8)을 가지는 것이며(도 9 참조), 제1 기재 필름(4A) 측을 커버 렌즈(2)에 대향시킨다.
(5) 기재 2층 타입 FaceDown
제2 기재 필름(4B) 측을 커버 렌즈(2)에 대향시키는 것 이외에, 상기 (4)와 같다.
(6) 기재 2층 타입 양면
상기 (1) ~ (3)과 달리 기재 필름을 추가로 1매 더 구비하는 것이며, 제1 기재 필름(4A)과, 제1 기재 필름(4A) 상에 병설되는 복수의 제1 투명 전극(5)과, 제1 기재 필름(4A)의 제1 투명 전극(5)이 형성된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접합된 제2 기재 필름(4B)과, 이 제2 기재 필름(4B)의 제1 기재 필름(4A)이 접합된 면과는 반대측의 면 상에 제1 투명 전극(5)과 교차하여 병설되는 복수의 제2 투명 전극(6)과, 제1 투명 전극(5)에 각각 접속되어 접속 단자에 이를 때까지 인출되는 복수의 제1 인출 배선(7)과, 제2 투명 전극(6)에 각각 접속되어 접속 단자에 이를 때까지 인출되는 복수의 제2 인출 배선(8)을 가지는 것이다(도 10 참조).
(7) 차폐층 부착
상기 (1)~(6)의 구성에 더하여, 최배면(最背面)에 차폐 필름이 접합된 것이다(도시하지 않음).
기재 필름(4, 4A, 4B)의 재료로서는, 투명성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PET), 폴리이미드(PI), 폴리에테르설폰(PES),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프로필렌(PP), 폴리아미드(PA), 폴리아크릴(PAC), 노르보르넨계의 열가소성 투명 수지 등의 필름, 또는 이들 적층체 등이 사용된다. 시클로 올레핀 폴리머(COP)도 이용 가능하다.
기재 필름(4, 4A, 4B)의 두께는, 통상, 각 필름의 단독 두께로 20㎛ 이상, 필름 센서(3)에 사용되는 각 필름의 합계 두께가 500㎛ 이하로 되어 있다. 단독 두께가 20㎛으로 충족되지 않으면 필름 제조 시의 핸들링이 어려워, 합계 두께가 500㎛를 넘으면 투광성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4)~(6)의 기재 2층 타입의 필름 센서(3)의 경우, 제1 측면판(22) 및 제2 측면판(23)에 대응하는 부분에 배치되지 않는 인출 배선의 지지체로 되는 쪽의 기재 필름에 대하여는, 커버 렌즈(2)의 천면판(21)의 이면측에만 배치되는 치수로 설계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렌즈(2)의 이면측에 접착된 필름 센서(3)가, 제1 기재 필름(4A)과, 복수의 제1 투명 전극(5)과, 제2 기재 필름(4B)과, 복수의 제2 투명 전극(6)과, 복수의 제1 인출 배선(7)과, 복수의 제2 인출 배선(8)을 가지고 있다. 복수의 제1 투명 전극(5)은, 제1 기재 필름(4A) 상에 병설된다. 제2 기재 필름(4B)은, 제1 기재 필름(4A)과는 크기가 상이하다. 제2 투명 전극(6)은, 제1 투명 전극(5)과의 사이에서 절연성을 유지하고 또한 제1 투명 전극(5)과 교차하여 제2 기재 필름(4B) 상에 병설된다. 복수의 제1 인출 배선(7)은, 제1 투명 전극(5)에 각각 접속되어 접속 단자에 이를 때까지 인출된다. 복수의 제2 인출 배선(8)은, 제2 투명 전극(6)에 각각 접속되어 접속 단자에 이를 때까지 인출된다. 커버 렌즈(2)와의 중복 부분에 있어서, 제1 인출 배선(7) 및 제2 인출 배선(8)이, 가식 영역(2B)에 의해 은폐되어 있다.
도 16에 있어서는, 제1 투명 전극(5) 및 제1 인출 배선(7)을 지지하는 제1 기재 필름(4A)은 천면판(21)의 이면측에만 배치되어 있고, 제2 투명 전극(6) 및 제2 인출 배선(8)을 지지하는 제2 기재 필름(4B)이 제1 측면판(22) 및 제2 측면판(23)의 이면까지 배치되어 있다. 즉, 제2 기재 필름(4B)은, 천면판의 이면에 대응하는 제1 부분(4C)과, 제1 측면판(22) 및 제2 측면판(23)의 이면에 대응하는 제2 부분(4D) 및 제3 부분(4E)을 가지고 있다.
이 경우, 실질적으로는 2층 중 1층의 기재 필름만을 측면판에 대향시키면 되므로, 필름 센서(3)가 쉽게 굽혀져, 접착이 용이해진다.
제1 투명 전극(5) 및 제2 투명 전극(6)의 패턴에 대하여, 도 14를 사용하여 보충 설명한다.
제1 투명 전극(5)은, 평면에서 볼 때 다이아몬드형 형상을 가지는 다이아몬드형 전극(51)과, 이 다이아몬드형 전극(51)의 복수를 도면 중 세로 방향(Y 방향)으로 관통하는 접속 배선(52)을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다이아몬드형 전극(51)과 접속 배선(52)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접속 배선(52) 및 거기에 관통된 복수의 다이아몬드형 전극(51)을 1조(組)로 하여, 상기 1조가 도면 중 가로 방향(X 방향)으로 반복 배열된다. 한편, 제2 투명 전극(6)은, 복수의 다이아몬드형 전극(61)과, 이들을 관통하는 접속 배선(62)을 구비하고 있다. 단, 이 경우, 접속 배선(62)의 연장 방향은, 접속 배선(52)의 그것과는 상이하고, 도면 중 가로 방향(X 방향)이다. 또한, 그에 따라, 접속 배선(62) 및 거기에 관통된 복수의 다이아몬드형 전극(61)으로 이루어지는 1조가, 반복 배열되는 방향은, 도면 중 세로 방향(Y 방향)이다.
그리고, 도 14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다이아몬드형 전극(51)과 다이아몬드형 전극(61)과의 배치 관계는 상보적(相補的)이다. 즉, 다이아몬드형 전극(51)을 매트릭스형으로 배열하는 경우에 생기는 다이아몬드형 형상의 간극을 메우도록, 복수의 다이아몬드형 전극(61)은 배열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14에 있어서는 일렬로 배열된 다이아몬드형 전극(51, 61)군의 가장 끝에 삼각형 전극을 구비하고 있다. 이 삼각형 전극은, 직사각형의 투시 영역(2A)에 합쳐진 직사각형의 센서 유효 영역으로 하기 위해, 및 투과율이 불균일하게 되는 이른바 골격이 보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한 것이지만, 생략해도 상관없다.
이와 같이 X 방향 전극 및 Y 방향 전극이 평면에서 볼 때 격자를 형성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이 격자 상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사용자의 손가락 등이 필름 센서(3)를 덮는 커버 렌즈(2)를 통하여 접하면[예를 들면, 파선(破線) 동그라미 FR의 위치], 상기 손가락 등과 그것이 접하는 X 방향 전극과의 사이에 컨덴서가 설치되고, 또한, 상기 손가락 등과 그것이 접하는 Y 방향 전극과의 사이에 컨덴서가 설치된다. 이 컨덴서의 형성에 의해, 상기의 X 방향 전극 및 Y 방향 전극의 정전 용량은 증대한다. 외부 회로의 위치 검출부는, 이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 생기는 정전 용량의 변화량, 또한 최대의 정전 용량을 가지는 X 방향 전극 및 Y 방향 전극을 검출하고, 투시 영역(2A) 내의 어디에 접촉되었는지를, 특정값인 X 좌표값 및 Y 좌표값의 조(組)로서 취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1 투명 전극(5) 및 제2 투명 전극(6)의 재료로서는, 80% 이상의 광선 투과율(투광성) 및 수mΩ으로부터 수백Ω의 표면 저항값(도전성)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산화 인듐, 산화 주석, 인듐주석 산화물(ITO), 주석 안티몬산 등의 금속 산화물이나, 금, 은, 동, 백금, 팔라듐, 알루미늄, 로듐 등의 금속 등으로 성막할 수 있다. 이들 재료로 이루어지는 제1 투명 전극(5) 및 제2 투명 전극(6)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스퍼터법, 진공 증착법, 이온 플레이팅법 등의 PVD법, 또는 CVD법, 도공법(塗工法) 등으로 투명 도전막을 형성한 후에 에칭에 의해 패터닝하는 방법이나, 인쇄법 등이 있다.
제1 인출 배선(7) 및 제2 인출 배선(8)은, 통상, 스크린 인쇄에 의해 형성하지만, 형성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인출 배선(7) 및 제2 인출 배선(8)의 재료로서는, 일반적으로 은페이스트 또는, 동페이스트, 은과 카본, 등을 사용하지만, 체적 저항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안정적인 재료이면, 다른 재료를 선정해도 된다.
또한, 제1 인출 배선(7) 및 제2 인출 배선(8)은, 제1 투명 전극(5) 및 제2 투명 전극(6)과 같은 재료로 이루어지는 투명 도전층과, 상기 투명 도전층 상에 적층된 금속층으로 이루어지는 2층 구조로 구성해도 된다. 금속층의 재료로서는, 알루미늄, 니켈, 동, 은, 주석 등을 들 수 있다. 제1 인출 배선(7) 및 제2 인출 배선(8)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스퍼터법, 진공 증착법, 이온 플레이팅법 등의 PVD법, 또는 CVD법, 도공법 등으로 투명 도전막 및 금속막을 적층 형성한 후에 에칭에 의해 패터닝하는 방법이 있다.
상기 (1) 및 (2)의 중간 절연층(9)으로서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등의 열경화성 수지, 아크릴계 수지 등의 자외선 경화성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7)의 차폐 필름으로서는, 전술한 기재 필름(4)과 마찬가지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수지 필름에, 전술한 제1 투명 전극(5) 및 제2 투명 전극(6)과 마찬가지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투명 도전막을 전면적(全面的)으로 형성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4)~(7)의 필름을 복수 사용하는 경우의 접착에는, 전술한 커버 렌즈(2)에 대한 필름 센서(3)의 접착에 사용한 광학용 투명 점착재(10)를 사용할 수 있다[도면 중, 광학용 투명 점착재(10)는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의 특징은, 부형된 필름 센서(3)를 사용하는 것에 있다.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필름 센서(3)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렌즈(2)의 천면판(21), 제1 측면판(22) 및 제2 측면판(23)의 이면에 대향하도록, 입상부(32, 33)를 가지고 있고, 입상부에, 상기 입상부(32, 33)와 직교하는 방향을 축으로 하는 복수의 제2 투명 전극(6)에 접속되는 인출 배선(8)의 대부분이, 제1 측면판(22) 및 제2 측면판(23)에 대응하는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인출 배선의 형성 위치가 커버 렌즈(2)의 천면판(21) 내에 한정되지 않기 때문에, 이것을 은폐하는 가식 영역(2B)의 내측 에지를 천면판(21)의 외형 직전까지 형성할 수 있어, 천면판(21)에서의 가식 영역(2B)의 협 프레임화가 가능해진다. 최선의 경우, 천면판(21)에 있어서 프레임레스로 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1)~(7)에 예로 든 것과 같은 필름 센서(3) 중 (1), (3), (4) 및 (6)의 필름 센서(3)의 경우,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천면판(21)의 제1 측면판(22) 및 제2 측면판(23)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2변 중 어느 하나의 변(21A)과, 제1 측면판(22)의 좌우단 중 천면판(21)의 변(21A) 측의 일단(22A)과, 제2 측면판(23)의 좌우단 중 천면판(21)의 변(21A) 측의 일단(23A)으로부터는, 제1 인출 배선(7) 및 제2 인출 배선(8)의 접속 단자(11)가 커버 렌즈(2)로 덮히지 않도록, 부형된 필름 센서(3)가 노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접속 단자(11)에 있어서 접속되는 FPC(도시하지 않음)가 커버 렌즈(2)와 필름 센서(3)의 사이에 위치하지 않으므로, 필름 센서(3)를 커버 렌즈(2)와 쉽게 접착할 수 있고, 또한 FPC가 커버 렌즈(2)의 단면(端面) 등에 당겨 걸려 벗겨지는 경우도 없다.
필름 센서(3)는, 내측 R 치수 1㎜ ~ 4㎜로 상승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직각이 아니고 내측 R 치수 1㎜ 이상의 라운드로 함으로써, 제1 측면판 및 제2 측면판에 대응하는 부분에 배치되어 인출 배선이 파괴되어 단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단, 내측 R 치수가 4㎜를 넘으면, 협 프레임화의 효과가 적어진다.
그리고, 필름 센서(3)는, 커버 렌즈(2)의 천면판(21), 제1 측면판(22) 및 제2 측면판(23)의 이면에 대향하도록 배치하지만,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필름 센서(3)의 표면측 형상이 커버 렌즈(2)의 이면측 형상과 완전히 일치하고 있는 경우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즉 필름 센서(3)의 표면측 형상이 커버 렌즈(2)의 이면측 형상과 근사(近似)한 형상, 예를 들면, 필름 센서(3)의 외측 R 부분과 커버 렌즈(2)와의 사이에서 거리가 넓어져 있는 형상 등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필름 센서(3)의 치수가 다음과 같이 설계되어 있다. 즉, 부형된 필름 센서(3)의 하단이, 커버 렌즈(2)의 제1 측면판(22) 및 제2 측면판(23)의 하단과 같은 높이로 또는 하단보다 위쪽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이 터치 스크린(1)을 내장한 전자 기기의 박형화가 가능하다.
<제2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의 터치 스크린(1)은, 부형된 필름 센서(3)의 하단이, 커버 렌즈(2)의 제1 측면판(22) 및 제2 측면판(23)의 하단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필름 센서(3)의 치수가 설계되어 있는 점(도 3 및 도 4 참조)에서, 제1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커버 렌즈(2)에 대한 접착 시 등에 있어서 커버 렌즈(2)로부터 돌출된 부분을 잡는 것 등이 가능하므로, 필름 센서(3)를 취급하기 쉽다.
<제3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의 터치 스크린(1)에서는, 제1 투명 전극(5) 및 제2 투명 전극(6) 중 적어도 한쪽이, 필름 센서(3)의 입상부(32, 33)에도 존재하고 있어도 되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투명 전극(6)의 양단이 입상부(32, 33)까지 넓어져 있는 점(도 17 참조)에서, 제1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센싱 영역을 천면판(21)의 외형보다 외측까지 형성할 수 있으므로, 천면판(21)에서의 가식 영역(2B)의 협 프레임화 또는 프레임레스가 더욱 확실해진다. 또한, 가식 영역(2B) 중 제1 측면판(22) 및 제2 측면판(23)을 덮는 부분을 입력에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투명 전극을 필름 센서의 입상부까지 설치하는 경우, 이들 투명 전극은, 바인더 수지 중에 은나노 섬유 또는 카본 나노 튜브를 포함하는 도전 패턴층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은나노 섬유 또는 카본 나노 튜브(CNT)를 포함하는 도전 패턴층은 우수한 굴곡성과 성형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들로 이루어지는 투명 전극은 필름 센서(3)가 굽혀지는 것에 의해 손상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커버 렌즈(2)에 대한 필름 센서(3)의 접착에 사용하는 광학용 투명 점착재(10)는, 커버 렌즈(2)의 천면판(21)의 이면만아니라 제1 측면판(22) 및 제2 측면판(23)의 이면까지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투명 전극의 재료로서는,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PEDOT)도 바람직하다.
<제4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의 터치 스크린은, 입상부(32, 33)를 가지는 필름 센서(3)의 이면에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2)가 배치되어 있다. 즉,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2)는, 주면부(主面部)(12a)와 입상부(12b)를 가지고 있다. 또한, 커버 렌즈(2)의 투시 영역(2A)은, 천면판(21)뿐만아니라, 제1 측면판(22) 및 제2 측면판(23)까지 넓어져 있는 점(도 6 참조)이, 제3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커버 렌즈(2)의 제1 측면판(22) 및 제2 측면판(23)에까지, 디스플레이 화면을 투시하면서의 터치 입력이 가능하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2)로서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나 전자 페이퍼 외에, 공지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2)와 필름 센서(3)는 접합할 수 있어도 된다.
<제5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의 터치 스크린에서는, 필름 센서(3)가 커버 렌즈(2)에 대한 접착 전에 입상부를 가지는 형상으로 미리 부형되어 있는 점에서, 제1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접착하면서 동시에 커버 렌즈(2)의 이면을 따라 굽힐 필요가 없기 때문에, 필름 센서(3)의 커버 렌즈(2)에 대한 접착이 용이하며, 또한 소정의 형상으로 확실하게 굽힐 수가 있다.
필름 센서(3)의 부형은, R 벤딩 가공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1 참조). R 벤딩 가공은, 코너 부분에 직각이 아니고 라운드하게 하는 가공이다. R 벤딩 가공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필름 센서(3)의 벤딩하고자 하는 부분을 스테인레스관 등에 의해 보호된 히터(파이프 히터)(13)의 중심선 상에 맞추어 올려놓고 필름 센서(3)의 파이프 히터(13)와의 접촉 부분을 가열 연화시켜, 충분히 연화했더니 신속하게 목적으로 하는 각도로 굽히는 것이 있다. R 휨의 내측 R 치수는, 상기한 필름 센서(3)이면 1㎜ ~ 4㎜이다. 그리고, R 벤딩 가공 방법은, 상기한 방법 이외의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실시형태의 작용 효과>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1)(터치 스크린의 일례)은, 커버 렌즈(2)(커버 렌즈의 일례)와 필름 센서(3)(필름 센서의 일례)를 구비하고 있다.
커버 렌즈(2)는, 천면판(21)(천면판의 일례)과, 천면판(21)의 A 방향(제1 방향의 일례)과 직교하는 B 방향(제2 방향의 일례) 양측의 변에 연속되는 제1 측면판(22) 및 제2 측면판(23)을 가지고, 투시 영역(2A)(투시 영역의 일례)과 투시 영역 이외의 가식 영역(2B)(가식 영역의 일례)을 가진다. 필름 센서(3)는, 커버 렌즈(2)의 이면측에 접착된다.
필름 센서(3)는, 기재 필름(4)(기재 필름의 일례)과, 복수의 제1 투명 전극(5)(제1 투명 전극의 일례)과, 복수의 제2 투명 전극(6)(제2 투명 전극의 일례)과, 복수의 제1 인출 배선(7)(제1 인출 배선의 일례)과, 복수의 제2 인출 배선(8)(제2 인출 배선의 일례)을 가지고 있다. 복수의 제1 투명 전극(5)과, A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기재 필름(4) 상에 병설된다. 복수의 제2 투명 전극(6)은, 제1 투명 전극(5)과의 사이에서 절연성을 유지하고 또한 B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제1 투명 전극(5)과 교차하여 병설된다. 복수의 제1 인출 배선(7)은, 제1 투명 전극(5)에 각각 접속되어 접속 단자에 이를 때까지 인출된다. 복수의 제2 인출 배선(8)은, 제2 투명 전극(6)에 각각 접속되어 접속 단자에 이를 때까지 인출되는 것을 가지고 있다.
제1 인출 배선(7) 및 제2 인출 배선(8)은, 커버 렌즈(2)의 가식 영역(2B)에 의해 은폐되어 있다.
필름 센서(3)는, 커버 렌즈(2)의 천면판(2A)의 이면에 대향하는 천면판 대응부(31)(천면판 대응부의 일례)와, 제1 측면판(22) 및 제2 측면판(23) 중 적어도 한쪽의 이면에 대향하는 입상부(32, 33)(입상부의 일례)를 가지고 있다.
제2 인출 배선(8)의 전부 또는 대부분이, 입상부(32, 33)에 배치되어 있다.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1)은,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2 인출 배선(8)의 형성 위치가 커버 렌즈(2)의 천면판(21A) 내에 한정되지 않기 때문에, 이것을 은폐하는 가식 영역(2B)의 내측 에지를 천면판(21A)의 외형 직전까지 형성할 수 있어, 종래에는 없는 천면판에서의 가식 영역의 협 프레임화, 또는 프레임레스가 가능해진다.
<변형예>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특히,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복수의 실시형태 및 변형예는 필요에 따라 임의로 조합 가능하다.
(a) 커버 렌즈(2)가, 천면판(21)의 제1 측면판(22) 및 제2 측면판(23)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변으로서, 접속 단자(11) 측의 변(21A)과는 반대측의 변에 연속되는 단책형의 제3 측면판(24)을 구비하고, 상기 제3 측면판(24)의 좌우단이 제1 측면판(22) 및 제2 측면판(23)과 연속되는 하우징 구조라도 된다(도 12 참조).
(b) 제1 실시형태의 항에서의 설명에 있어서, 커버 렌즈(2)의 천면판(21)은 일반적으로 평면이 바람직한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측면판(22) 및 제2 측면판(23)으로부터 양자의 중간선에 가까워짐에 따라 솟아오르는 곡면에 대하여는, 평면과 마찬가지로 전술한 접착의 문제는 없기 때문에, 커버 렌즈(2)로서 사용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실시형태 및 상기 변형예에서는, 천면판과 측면판과의 경계가 명확하고, 또한 측면판이 평판이었다. 그러나, 천면판으로부터 측면판에 대하여 만곡되어 있고, 천면판과 측면판과의 경계가 반드시 명확하지 않은 형상에도 본 발명은 적용할 수 있다(도시하지 않음).
(c) 상기 각각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투명 전극(5, 6)은 다이아몬드형 전극(51) 및 다이아몬드형 전극(61)을 전면에 깔도록(spread out) 설치하고 있지만(셀프 커패시턴스: self capacitance), 필름 센서(3)의 투명 전극(5, 6)은 이 태양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투명 전극(5, 6)은 밴드형 전극을 매트릭스형으로 배치한 것(상호 커패시턴스: mutual capacitance)만이라도 된다.
(d) 상기 각각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필름 센서(3)는, 커버 렌즈(2)의 천면판(21), 제1 측면판(22) 및 제2 측면판(23)의 이면에 대향하도록, 입상부를 가지고 있지만, 필름 센서(3)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필름 센서(3)는 커버 렌즈(2)의 천면판(21)과 제1 측면판(22) 및 제2 측면판(23) 중 한쪽의 측면 판의 이면에만 대향하도록, 입상부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도 5에 나타낸 예에서는, 필름 센서(3)는, 제1 측면판(22)에 대향하는 입상부(32)를 가진다. 그 결과, 제2 인출 배선(8)은, 입상부(32, 33)에 대응하는 제1 부분(8a)만을 가지고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1 부분(8a)은, 제2 투명 전극(6)으로부터 입상부(32, 33)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과, 입상부(32, 33)의 길이 방향(도면의 A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가지고 있다.
(e) 도 1, 도 3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천면판(21) 이면에만 광학용 투명 점착재(10)를 설치하는 경우, 제1 측면판 및 제2 측면판에 대응하는 부분에 배치된 필름 센서(3)의 인출 배선을 절연층으로 보호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이들 인출 배선이 제1 측면판 및 제2 측면판의 이면과 마찰되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도시하지 않음).
(f) 커버 렌즈(2)의 제1 측면판(22), 제2 측면판(23) 및 제3 측면판(24)은, 하단이나 좌우단에 헤드폰 단자용 등의 절결부(切缺部)나 커버 렌즈(2) 걸림용 등의 클로우부(claw portion) 등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도시하지 않음).
[산업 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PDA, 핸디 터미널 등 휴대 정보 단말기, 복사기, 팩시밀리 등 OA 기기, 스마트 폰, 휴대 전화기, 휴대 게임기기, 전자 사전,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 소형 PC, 각종 가전 제품 등에 하우징의 일부로서 내장되는,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1, 101: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
2, 102: 커버 렌즈
2A, 102A: 투시 영역
2B, 102B: 가식 영역
3, 103: 필름 센서
4, 104: 기재 필름
4A: 제1 기재 필름
4B: 제2 기재 필름
5, 105: 제1 투명 전극
6, 106: 제2 투명 전극
7, 107: 제1 인출 배선
8, 108: 제2 인출 배선
9: 중간 절연층
10, 110: 광학용 투명 점착재
11, 111: 접속 단자
12: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13: 파이프 히터
21, 121: 천면판
22, 122: 제1 측면판
23, 123: 제2 측면판
32, 33: 입상부

Claims (9)

  1. 천면판(天面板)과, 상기 천면판의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 양측의 변에 연속되는 제1 측면판 및 제2 측면판을 가지고, 투시 영역과 상기 투시 영역 이외의 가식(加飾) 영역을 가지는 커버 렌즈; 및
    상기 커버 렌즈의 이면측(裏面側)에 접착된 필름 센서;
    를 포함하고,
    상기 필름 센서는, 기재(基材) 필름과,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기재 필름 상에 병설되는 복수의 제1 투명 전극과, 상기 복수의 제1 투명 전극과의 사이에서 절연성을 유지하고 또한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제1 투명 전극과 교차하여 병설되는 복수의 제2 투명 전극과, 상기 제1 투명 전극에 각각 접속되어 접속 단자에 이를 때까지 인출되는 복수의 제1 인출 배선과, 상기 제2 투명 전극에 각각 접속되어 접속 단자에 이를 때까지 인출되는 복수의 제2 인출 배선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제1 인출 배선 및 상기 제2 인출 배선이, 상기 커버 렌즈의 상기 가식 영역에 의해 은폐되어 있고,
    상기 필름 센서는, 상기 커버 렌즈의 상기 천면판의 이면에 대향하는 천면판 대응부와, 상기 제1 측면판 및 상기 제2 측면판 중 적어도 한쪽의 이면에 대향하는 입상부(立上部)를 가지고 있고,
    상기 제2 인출 배선의 전부 또는 대부분이, 상기 입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센서의 휨 부분이 내측 R 치수 1㎜ ~ 4㎜인,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투명 전극의 일부가 상기 입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투명 전극이, 바인더 수지 중에 은나노 섬유 또는 카본 나노 튜브를 포함하는 도전 패턴층인,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센서의 이면에 배치되고, 상기 필름 센서의 상기 입상부에 대응하는 제2 입상부를 가지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 렌즈의 상기 투시 영역이, 상기 천면판으로부터 상기 필름 센서의 상기 입상부에 대향하는 측면판까지 넓어져 있는,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센서가, 상기 커버 렌즈에 대한 접착 전에, 상기 입상부를 가지는 형상으로 미리 부형(賦形)되어 있는,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센서가, 상기 커버 렌즈의 상기 제1 측면판 및 상기 제2 측면판의 양쪽을 따르도록 부형되어 있는,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센서의 상기 입상부의 하단이, 상기 커버 렌즈의 대응하는 측면판의 하단보다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는,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센서가, 상기 제1 투명 전극 및 상기 제1 인출 배선을 지지하는 제1 기재 필름과, 상기 제2 투명 전극 및 상기 제2 인출 배선을 지지하는, 상기 제1 기재 필름과는 크기가 상이한 제2 기재 필름을 가지고,
    상기 제1 기재 필름은, 상기 천면판의 이면에만 대응하고 있고,
    상기 제2 기재 필름은, 상기 천면판의 이면에 대응하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측면판 및 상기 제2 측면판의 이면에 각각 대응하는 제2 부분 및 제3 부분을 가지고 있는,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
KR1020137016384A 2011-03-31 2012-03-09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 KR1013806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80810 2011-03-31
JPJP-P-2011-080810 2011-03-31
PCT/JP2012/056192 WO2012132846A1 (ja) 2011-03-31 2012-03-09 静電容量方式のタッチスクリー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1598A true KR20130111598A (ko) 2013-10-10
KR101380693B1 KR101380693B1 (ko) 2014-04-02

Family

ID=46930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6384A KR101380693B1 (ko) 2011-03-31 2012-03-09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122088B2 (ko)
JP (1) JP5113960B2 (ko)
KR (1) KR101380693B1 (ko)
CN (1) CN103384866B (ko)
TW (1) TWI433283B (ko)
WO (1) WO2012132846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91208A (ja) * 2012-03-13 2013-09-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タッチスクリーン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備える携帯端末
KR20150063838A (ko) * 2013-12-02 2015-06-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타입 전자기기 및 그 구동방법
KR20150142214A (ko) * 2014-06-11 2015-12-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곡면 기판과의 접착성을 개선시킨 터치 패널
KR20170041807A (ko) * 2014-09-11 2017-04-17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적층 구조체, 터치 패널,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10095340B2 (en) 2016-08-05 2018-10-09 Dongwoo Fine-Chem Co., Ltd. Touch sensor laminate, touch screen panel and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0168840B2 (en) 2015-01-06 2019-01-01 Samsung Display Co., Ltd Touch screen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04953A1 (de) * 2007-01-26 2008-07-31 Tesa Ag Heizelement
US9210810B2 (en) * 2012-07-12 2015-12-08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Method of fabricating flexible devices
JP5347096B1 (ja) * 2012-09-13 2013-11-20 株式会社ワンダーフューチャーコーポレーション タッチパネルの製造方法及びタッチパネル、並びにタッチパネルと表示装置を具備する入出力一体型装置
TWI472977B (zh) * 2012-09-13 2015-02-11 Rtr Tech Technology Co Ltd 觸控面板及其製造方法
CN104736757B (zh) * 2012-09-14 2017-07-04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洗衣机
TWI490742B (zh) * 2012-10-01 2015-07-01 Young Lighting Technology Inc 觸控面板
US20140104185A1 (en) * 2012-10-15 2014-04-17 Htc Corporation Touch display device and handheld electronic device
CN103838416A (zh) * 2012-11-25 2014-06-04 福建省辉锐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触控屏模组的制备方法、触控屏模组及数码产品
JP2014115321A (ja) * 2012-12-06 2014-06-26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表示装置
CN103870080A (zh) * 2012-12-07 2014-06-18 联胜(中国)科技有限公司 触控面板及触控显示模块
JP6192293B2 (ja) * 2012-12-28 2017-09-06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カバーガラス一体型タッチセンサと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積層用シート
TW201432532A (zh) * 2013-02-05 2014-08-16 Unidisplay Inc 觸控面板及其製造方法以及觸控顯示面板
JP2014157400A (ja) * 2013-02-14 2014-08-28 Dainippon Printing Co Ltd 画像表示装置
JP2014170334A (ja) * 2013-03-04 2014-09-18 Alps Electric Co Ltd 静電容量式タッチパネ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手持ち式電子機器
JP6277538B2 (ja) * 2013-06-03 2018-02-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用導電シート
WO2015004764A1 (ja) * 2013-07-11 2015-01-15 ポリマテック・ジャパン株式会社 タッチセンサ
JP6134968B2 (ja) * 2013-07-17 2017-05-31 グンゼ株式会社 表示装置
KR102008795B1 (ko) * 2013-07-29 2019-10-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윈도우
CN103558934A (zh) * 2013-09-27 2014-02-05 南昌欧菲光科技有限公司 触控显示模组及电子装置
CN103677404B (zh) * 2013-09-27 2019-01-22 南昌欧菲光科技有限公司 无边框的触摸屏
CN103631438B (zh) * 2013-09-27 2017-11-21 南昌欧菲光科技有限公司 具有弧面的触摸屏及电子产品
US9430180B2 (en) 2013-11-15 2016-08-3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panel and electronic device
TW201520862A (zh) * 2013-11-19 2015-06-01 Wintek Corp 觸控面板
CN104699331B (zh) * 2013-12-09 2018-01-19 深圳桑菲消费通信有限公司 电容式触摸屏及应用该电容式触摸屏的终端
WO2015109558A1 (en) * 2014-01-26 2015-07-30 Nokia Technologies Oy A method for producing an electronic device and an electronic device thus produced
TWI470505B (zh) 2014-01-29 2015-01-21 Wistron Corp 觸控面板
JP5990205B2 (ja) * 2014-02-19 2016-09-0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積層構造体およびタッチパネルモジュール
JP6253448B2 (ja) * 2014-02-25 2017-12-2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導電性フィルムシート
JP2015161985A (ja) * 2014-02-26 2015-09-07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
JP5856207B2 (ja) * 2014-02-26 2016-02-09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
CN104881161B (zh) * 2014-02-27 2017-12-01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触控面板
US9626049B2 (en) * 2014-05-05 2017-04-18 Stmicroelectronics Asia Pacific Pte Ltd Capacitive touch screen including a first sensor pattern for mutual sensing and a second sensor pattern for self sensing
JP6195275B2 (ja) * 2014-05-13 2017-09-13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入力装置及び入力装置の製造方法
KR101867749B1 (ko) 2014-05-16 2018-06-15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터치 패널용 도전 시트 및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CN104090679A (zh) * 2014-07-01 2014-10-08 江西合力泰科技有限公司 一种无边框的透明触控屏
JP6372747B2 (ja) * 2014-07-07 2018-08-1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装置およびタッチ位置検出機能付き表示装置
KR102251881B1 (ko) * 2014-07-31 2021-05-1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디바이스
CN104166477B (zh) * 2014-08-11 2018-06-22 深圳市宇顺电子股份有限公司 触控屏的制作方法及触控屏
CN104133604A (zh) * 2014-08-15 2014-11-05 无锡宇宁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g+f结构的无边框触摸屏
KR20170018900A (ko) 2014-08-28 2017-02-20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적층 구조체 및 터치 패널 모듈
CN104407754A (zh) * 2014-11-20 2015-03-11 业成光电(深圳)有限公司 触控显示装置
CN105807146B (zh) * 2014-12-31 2018-10-02 清华大学 静电分布测量装置
CN105807974B (zh) * 2014-12-31 2018-09-11 清华大学 触摸和悬停感测装置
CN105988609B (zh) 2015-01-28 2019-06-04 中强光电股份有限公司 触控式投影幕及其制造方法
CN104658427B (zh) * 2015-02-12 2017-06-16 苏州佳世达电通有限公司 具有宽阔可视区的显示器
JP5956629B1 (ja) * 2015-02-27 2016-07-27 株式会社フジクラ 配線構造体及びタッチセンサ
JP6062135B1 (ja) * 2015-02-27 2017-01-18 株式会社フジクラ 配線体、配線基板、配線構造体、及びタッチセンサ
US10394398B2 (en) 2015-02-27 2019-08-27 Fujikura Ltd. Wiring body, wiring board, wiring structure, and touch sensor
TWI553536B (zh) 2015-03-13 2016-10-11 中強光電股份有限公司 觸控式投影幕及觸控式投影系統
JP2016177405A (ja) * 2015-03-19 2016-10-0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
JP6346584B2 (ja) * 2015-03-31 2018-06-20 グンゼ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6163168A (zh) * 2015-04-22 2016-11-23 富泰华精密电子(郑州)有限公司 壳体及采用该壳体的电子装置
KR102378357B1 (ko) * 2015-08-24 2022-03-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운용방법
CN106502440A (zh) * 2015-09-08 2017-03-15 宸鸿科技(厦门)有限公司 触控显示装置及其制作方法
US10671222B2 (en) * 2015-09-30 2020-06-02 Apple Inc. Touch sensor pattern for edge input detection
US11036318B2 (en) 2015-09-30 2021-06-15 Apple Inc. Capacitive touch or proximity detection for crown
KR102562895B1 (ko) * 2015-12-15 2023-08-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KR102399297B1 (ko) * 2016-01-27 2022-05-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KR20170111685A (ko) * 2016-03-29 2017-10-12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터치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KR102458892B1 (ko) * 2016-04-27 2022-10-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JP6382888B2 (ja) * 2016-06-09 2018-08-29 Nissha株式会社 電極パターン一体化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TWI722048B (zh) 2016-06-10 2021-03-21 日商半導體能源研究所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及電子裝置
US10101860B2 (en) * 2016-07-20 2018-10-16 Displax S.A. Borderless projected capacitive multitouch sensor
TWI610281B (zh) * 2017-03-09 2018-01-0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面板
KR102325818B1 (ko) 2017-06-01 2021-11-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 및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 방법
JP6480989B2 (ja) * 2017-08-03 2019-03-13 Nissha株式会社 成形品、電気製品及び成形品の製造方法
CN207249638U (zh) * 2017-08-23 2018-04-17 意力(广州)电子科技有限公司 触控显示屏及触控电子产品
JP6795101B2 (ja) * 2017-09-13 2020-12-02 ヤマハ株式会社 タッチセンサ構造及び情報端末用のケース
CN107728850B (zh) * 2017-11-03 2020-08-04 业成科技(成都)有限公司 触控显示面板
CN108182881B (zh) * 2017-12-20 2020-08-25 上海天马有机发光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制备方法
CN109037253A (zh) * 2018-06-26 2018-12-18 上海奕瑞光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平板探测器结构
TWI687306B (zh) * 2018-09-21 2020-03-11 鼎展電子股份有限公司 適於作為跡線電極的合金與使用該合金的觸控面板
JP7063464B2 (ja) 2018-11-15 2022-05-09 尾池工業株式会社 可撓性加飾積層シート、タッチパネル用モジュールおよびタッチパネル
EP3901746A4 (en) * 2018-12-19 2022-08-31 Sekisui Polymatech Co., Ltd. SENSORS
KR102634289B1 (ko) * 2019-01-03 2024-02-05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후방 글라스 터치 센서
CN109683747B (zh) * 2019-01-29 2020-11-24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触控屏
KR102650383B1 (ko) 2019-03-26 2024-03-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CN112764586A (zh) * 2021-01-28 2021-05-07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7021A (ja) * 1989-06-26 1991-02-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表示装置
JP2002311449A (ja) * 2001-02-06 2002-10-23 Seiko Epson Corp 液晶装置、液晶装置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TW200417929A (en) * 2002-12-10 2004-09-16 Nissha Printing Narrow frame type touch panel
JP2005031790A (ja) * 2003-07-08 2005-02-03 Alps Electric Co Ltd 静電容量式入力センサの実装方法および電子機器
JP2008302600A (ja) 2007-06-08 2008-12-18 Tdk Corp タッチパネル用中間体、タッチパネル、インモールド用金型およびタッチパネル用中間体製造方法
JP3145184U (ja) 2008-07-15 2008-10-02 洋華光電股▲ふん▼有限公司 タッチセンサ効果を備えるカバーレンズ
JP5322622B2 (ja) 2008-12-21 2013-10-23 アルパイン株式会社 狭額縁lcd対応タッチパネル
CN101943965B (zh) * 2009-07-08 2013-09-18 群康科技(深圳)有限公司 触摸屏及具有触摸屏的电子装置
KR101152716B1 (ko) * 2010-07-12 2012-06-15 일진디스플레이(주) 정전용량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윈도우 패널 일체형의 정전용량 터치 패널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91208A (ja) * 2012-03-13 2013-09-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タッチスクリーン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備える携帯端末
KR20150063838A (ko) * 2013-12-02 2015-06-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타입 전자기기 및 그 구동방법
KR20150142214A (ko) * 2014-06-11 2015-12-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곡면 기판과의 접착성을 개선시킨 터치 패널
KR20170041807A (ko) * 2014-09-11 2017-04-17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적층 구조체, 터치 패널,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10168840B2 (en) 2015-01-06 2019-01-01 Samsung Display Co., Ltd Touch screen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0095340B2 (en) 2016-08-05 2018-10-09 Dongwoo Fine-Chem Co., Ltd. Touch sensor laminate, touch screen panel and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016048A1 (en) 2014-01-16
WO2012132846A1 (ja) 2012-10-04
JP5113960B2 (ja) 2013-01-09
KR101380693B1 (ko) 2014-04-02
CN103384866A (zh) 2013-11-06
JPWO2012132846A1 (ja) 2014-07-28
TWI433283B (zh) 2014-04-01
CN103384866B (zh) 2014-11-19
US9122088B2 (en) 2015-09-01
TW201248801A (en) 2012-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0693B1 (ko)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
US10078386B2 (en) Touch device
KR102119603B1 (ko)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JP2017010542A (ja) 圧力検出のための電極シート及びこれを含む圧力検出モジュール
US10191590B2 (en) Touch window
KR20150069950A (ko) 터치 패널
CN106155403B (zh) 触控元件
EP2854000A1 (en) Touch window and touch device with the same
CN103257763B (zh) 输入装置及其制造方法
JP2012203628A (ja) タッチパネル及びこれを備えた電子機器
EP2541381B1 (en) Input device, display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CN109074195B (zh) 静电电容式传感器
KR102187705B1 (ko)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0228789B2 (en) Conductive film,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touch panel comprising conductive film, and display device
US9342171B2 (en) Touch panel with first and second electrodes extending in the same direction but on opposite surfaces of a substrate
US20190258345A1 (en) Assembling Structure of Flexible Flat Cable of Touch Panel
KR102238815B1 (ko) 터치 윈도우
KR101956095B1 (ko) 터치 패널
JP3145184U (ja) タッチセンサ効果を備えるカバーレンズ
KR102008736B1 (ko) 터치 패널 및 이의 구동방법
KR20120135733A (ko) 터치 패널, 이의 제조 방법 및 터치 패널을 포함한 액정 표시 장치
US10809859B2 (en) Capacitive sensor
KR102212889B1 (ko)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N103631415A (zh) 触摸屏及触控显示装置
KR20160020876A (ko) 터치윈도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