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6233A - 스크린 인쇄기 - Google Patents

스크린 인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6233A
KR20130056233A KR1020127028622A KR20127028622A KR20130056233A KR 20130056233 A KR20130056233 A KR 20130056233A KR 1020127028622 A KR1020127028622 A KR 1020127028622A KR 20127028622 A KR20127028622 A KR 20127028622A KR 20130056233 A KR20130056233 A KR 201300562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upport
guide
movable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8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6583B1 (ko
Inventor
마나부 미즈노
츠요시 미즈코시
요시무네 요코이
Original Assignee
후지 기카이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0102298A external-priority patent/JP570095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110427A external-priority patent/JP5634743B2/ja
Application filed by 후지 기카이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기카이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56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62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6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6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1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 H05K3/12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thick film techniques, e.g. printing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or similar techniques for applying conductive paste or ink patterns
    • H05K3/121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thick film techniques, e.g. printing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or similar techniques for applying conductive paste or ink patterns by screen printing or stencil printing
    • H05K3/1233Methods or means for supplying the conductive material and for forcing it through the screen or stenc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08Machines
    • B41F15/0881Machines for printing on polyhedral artic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4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soldering
    • H05K3/3457Solder materials or compositions; Methods of application thereof
    • H05K3/3485Applying solder paste, slurry or pow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creen Printers (AREA)

Abstract

개선된 스크린 인쇄기를 제공한다. 인쇄기 본체 (18) 의 본체부 (20) 와 지지대부 (22) 를 별체로 구성하고, 지지대부 (22) 에 본체부 (20) 를 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시킨다. 본체부 (20) 에 이송 나사 (150) 를, 전후 방향에 평행한 자세로 축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또한 회전 가능하게 유지시키고, 지지대부 (22) 에 설치한 너트 (154) 에 나사 결합한다. 이송 나사 (150) 에 부착한 핸들 (152) 을 작업자가 회전 조작하여, 본체부 (20) 를 지지대부 (22) 에 대하여 전방으로 이동시켜, 지지대부 (22) 로부터 인출한다. 이에 따라, 지지대부 (22) 의 후방부 상방이자 본체부 (20) 의 후방에 스페이스가 얻어져, 작업자가 메인터넌스 등을 실시할 수 있다. 본체부 (20) 는 작업자의 핸들 조작에 의해 지지대부 (22) 상에 인입됨과 함께, 인입 장치의 작동에 의해 후퇴단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Description

스크린 인쇄기 {SCREEN PRINTER}
본 발명은 스크린 인쇄기에 관한 것이다.
스크린 인쇄기에는, 하기의 특허문헌 1 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인쇄기 본체와, 인쇄기 본체에 유지된 기판 반송 지지 장치 및 인쇄 장치를 갖는 것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15307호
그러나, 종래의 스크린 인쇄기에는 아직 개선의 여지가 있다. 예를 들어, 스크린 인쇄기의 전방에는, 통상의 조작이나 전방으로부터 실시하는 것이 가능한 작업 등을 실시하기 위한 전방 스페이스가 필요하지만, 메인터넌스 등을 실시하기 위해 스크린 인쇄기의 후방에도 작업 스페이스가 필요한 경우가 많아, 그 경우에는, 스크린 인쇄기를 설치할 때, 전방 스페이스에 더하여 후방 스페이스도 확보하면서 설치하는 것이 필요하여 소요 스페이스가 넓어져, 스페이스 효율이 나쁘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사정을 배경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문제를 해소하는 등 개선된 스크린 인쇄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는, (a) 회로 기판을 좌우 방향으로 반송하여, 인쇄 위치에 위치 결정하여 지지하는 기판 반송 지지 장치와, (b) 그 기판 반송 지지 장치에 지지된 회로 기판에 스크린 인쇄를 실시하는 인쇄 장치와, (c) 이들 기판 반송 지지 장치와 인쇄 장치를 유지하는 인쇄기 본체를 포함하는 스크린 인쇄기에 있어서, 상기 인쇄기 본체의 본체부와 지지대부를 별체로 구성하고, 지지대부에 본체부를 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시킴으로써 해결된다.
본체부를 지지대부에 대하여 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지지대부의 후방부 상방이자 본체부의 후방에 스페이스가 얻어져, 작업자가 메인터넌스 등의 작업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스크린 인쇄기는 전면 (前面) 측으로부터 조작되는 것이 보통이고, 그것의 전방에 작업 스페이스를 설치하는 것은 불가결하다. 또, 스크린 인쇄기가, 후면측으로부터도 작업을 실시하는 것이 필요한 것인 경우에는, 통상이라면 그 스크린 인쇄기를, 그것의 후면을 벽 혹은 다른 장치에 근접시킨 상태로 설치할 수는 없다. 그에 비해, 상기 구성의 스크린 인쇄기에 있어서는, 본체부가 지지대부에 대하여 전방으로 이동됨으로써 본체부의 후방에 스페이스가 형성되므로, 후면측에 작업 스페이스가 없는 상태로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바꾸어 말하면, 전방 스페이스를 후방으로부터의 작업을 실시하기 위해 이용할 수 있는 것이며, 스크린 인쇄기의 전방과 후방의 양방에 작업 스페이스를 확보하지 않아도 되어, 단위 스페이스당의 생산성이 향상되고, 스페이스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얻어진다.
이하에, 본원에 있어서 특허청구가 가능하다고 인식되고 있는 발명 (이하, 「청구 가능 발명」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청구 가능 발명은, 본원 발명의 하위 개념 발명이나, 본원 발명의 상위 개념 혹은 다른 개념의 발명을 포함하는 경우도 있다) 의 양태를 몇 가지 예시하여, 이들에 관해 설명한다. 각 양태는 청구항과 마찬가지로, 항으로 구분하고, 각 항에 번호를 부여하고, 필요에 따라 다른 항의 번호를 인용하는 형식으로 기재한다. 이것은, 어디까지나 청구 가능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며, 청구 가능 발명을 구성하는 구성 요소의 조합을, 이하의 각 항에 기재된 것으로 한정하는 취지가 아니다. 즉, 청구 가능 발명은, 각 항에 부수되는 기재, 실시형태의 기재, 종래 기술, 기술 상식 등을 참작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 해석에 따르는 한, 각 항의 양태에 또 다른 구성 요소를 부가한 양태도, 또 각 항의 양태로부터 구성 요소를 삭제한 양태도, 청구 가능 발명의 한 양태가 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각 항에 있어서, (1) 항이 청구항 1 에 해당하고, (3) 항이 청구항 2 에, (5) 항이 청구항 3 에, (9) 항이 청구항 4 에, (10) 항이 청구항 5 에, (11) 항이 청구항 6 에, (15) 항이 청구항 7 에 각각 해당한다.
(1) (a) 회로 기판을 좌우 방향으로 반송하여, 인쇄 위치에 위치 결정하여 지지하는 기판 반송 지지 장치와, (b) 그 기판 반송 지지 장치에 지지된 회로 기판에 스크린 인쇄를 실시하는 인쇄 장치와, (c) 이들 기판 반송 지지 장치와 인쇄 장치를 유지하는 인쇄기 본체를 포함하는 스크린 인쇄기에 있어서,
상기 인쇄기 본체의 본체부와 지지대부를 별체로 구성하고, 지지대부에 본체부를 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인쇄기.
(2) 상기 본체부와 상기 지지대부 사이에, 상기 본체부의 상기 지지대부에 대한 상대 이동의 저항을 경감하는 저항 경감 장치가 설치된 (1) 항에 기재된 스크린 인쇄기.
본체부가 지지대부에 대하여 경쾌하게 이동 가능해져, 본체부의 이동 작업이 용이해짐과 함께, 본체부 및 지지대부의 상대 이동시의 마찰에 의한 손상이 회피되어, 수명이 긴 스크린 인쇄기가 얻어진다. 본체부의 지지대부에 대한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 장치를 설치하여, 그 안내 장치를 저항 경감 장치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3) 상기 저항 경감 장치가,
상기 지지대부에 전후 방향에 평행하게 고정된 제 1 가이드와, 상기 본체부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가이드와 전후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걸어맞추는 제 1 걸어?춤 블록을 포함하는 제 1 저항 경감부와,
상기 본체부에 전후 방향에 평행하게 고정된 제 2 가이드와, 상기 지지대부의 전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 2 가이드와 전후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걸어맞추는 제 2 걸어?춤 블록을 포함하는 제 2 저항 경감부를 포함하는 (2) 항에 기재된 스크린 인쇄기.
본체부와 지지대부는 제 1, 제 2 걸어?춤 블록과 제 1, 제 2 가이드의 걸어맞춤에 의해 안내되며, 이동의 전후에 있어서 상대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 제 1, 제 2 걸어?춤 블록과 제 1, 제 2 가이드 중 적어도 일방의 경도를 높이고, 면 조도를 작게 함과 함께 윤활을 충분히 실시하거나, 혹은, 제 1, 제 2 걸어?춤 블록을 강구 (鋼球) 등의 전동체 (轉動體) 를 갖는 것으로 하는 것 등에 의해, 접촉부의 마찰을 경감할 수 있다. 게다가, 본체부가 지지대부에 대하여 가장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도, 가장 후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도, 본체부와 지지대부가 서로 겹치는 부분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있어서, 제 1, 제 2 걸어?춤 블록이 제 1, 제 2 가이드와 걸어맞추기 때문에, 본체부가 지지대부에 의해 가장 안정적으로 지지되게 되고, 또한, 제 1, 제 2 걸어?춤 블록과 제 1, 제 2 가이드에 작용하는 최대 하중을 작게 할 수 있어,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제 1, 제 2 저항 경감부를 제 1, 제 2 안내부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4) 상기 본체부의 상기 지지대부에 대한 전진단 위치를 규정하는 스토퍼 장치를 포함하는 (1) 항 내지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크린 인쇄기.
본체부가 지지대부로부터 떨어지거나, 지지대부에 대하여 기울어진 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5) 상기 본체부가 상기 지지대부에 대하여, 상기 스토퍼 장치에 의해 규정되는 상기 전진단 위치로 이동된 상태로, 그 본체부의 무게 중심이, 상기 지지대부의 그 본체부를 지지하는 부분의 전단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구성으로 된 (4) 항에 기재된 스크린 인쇄기.
본체부가 전방으로 최대 스트로크 이동된 상태에 있어서도, 본체부가 지지대부에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6) 또한, 상기 본체부의 적어도 후방부가 상기 지지대부로부터 상방으로 부상하는 것을 방지하는 부상 방지 장치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본체부가 상기 지지대부에 대하여, 상기 스토퍼 장치에 의해 규정되는 상기 전진단 위치로 이동된 상태로, 이들 본체부와 지지대부를 합한 것의 무게 중심이, 상기 지지대부의 바닥면에 접하는 부분의 전단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구성으로 된 (4) 항에 기재된 스크린 인쇄기.
지지대부의 중량을 이용하여, 본체부의 전방으로의 최대 스트로크를 크게 할 수 있다.
(7) 또한,
상기 본체부에, 전후 방향에 평행한 자세로 또한 회전 가능하게 유지된 이송 나사와,
그 이송 나사를 회전시키기 위해 회전 조작되는 핸들과,
상기 지지대부에 회전 불가능하게 유지되고, 상기 이송 나사와 나사 결합된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핸들의 회전 조작에 따라 상기 본체부를 상기 지지대부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진퇴시키는 매뉴얼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1) 항 내지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크린 인쇄기.
작업자가 본체부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 작업자에 의한 핸들의 회전 조작 속도에는 한도가 있기 때문에, 본체부의 진퇴 속도가 제한되어, 전진, 후퇴 중 어느 경우에도 정지시에 있어서의 충격이 적고, 지지대부가 바닥면에 대하여 틀어지는 것, 혹은 관성력에 기초하는 회전 모멘트에 의해, 본체부가 단독으로 또는 지지대부와 함께 전방으로 기울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8) 또한, 동력에 의해 작동하는 액추에이터를 구비하고, 그 액추에이터의 작동력에 기초하여 상기 본체부를 상기 지지대부에 대하여 진퇴시키는 동력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1) 항 내지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크린 인쇄기.
동력 구동 장치는, 예를 들어, 전동 (電動) 회전 모터, 이송 나사, 너트를 포함하는 장치가 된다.
본체부가 동력에 의해 이동된다. 본체부의 전진단 위치 및 후퇴단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를 설치하고, 그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액추에이터가 제어되도록 하면, 작업자는 전진, 후퇴를 지령하는 조작 부재를 조작하면 된다. 전진단 위치 및 후퇴단 위치를 규정하는 스토퍼 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9) 또한,
(a) 상기 본체부에, 전후 방향에 평행한 자세로 또한 회전 가능하게 유지된 이송 나사와, (b) 그 이송 나사를 회전시키기 위해 회전 조작되는 핸들과, (c) 상기 지지대부에 회전 불가능하게 유지되고, 상기 이송 나사와 나사 결합된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핸들의 회전 조작에 따라 상기 본체부를 상기 지지대부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진퇴시키는 매뉴얼 구동 장치와,
상기 본체부의 상기 지지대부에 대한 후퇴단 위치를 규정하는 스토퍼 장치와,
동력에 의해 작동하는 액추에이터를 구비하고, 그 액추에이터의 작동력에 기초하여 상기 본체부를 상기 지지대부에 대하여, 상기 스토퍼 장치에 의해 후퇴가 저지될 때까지 후퇴시키는 동력 구동 장치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너트와 상기 지지대부 사이에, 상기 동력 구동 장치에 의해 상기 본체부가 후퇴되는 스트로크 이상의 상대 이동을, 상기 이송 나사의 회전을 수반하지 않고 허용하는 유극이 형성된 (1) 항 내지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크린 인쇄기.
본체부가 매뉴얼 구동 장치에 의해 이동되는 것에 의한 효과가 얻어질 뿐만 아니라, 동력 구동 장치의 작동에 의해, 작업자가 의식하지 않더라도, 본체부가 항상 확실하게 후퇴단 위치에 위치 결정되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동력 구동 장치에 의한 본체부의 후퇴시에는 이송 나사가 회전하지 않고, 핸들이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작업자가 자신의 조작 이상으로 핸들이 회전하여 위화감을 느끼는 경우가 없다.
(10) 또한,
상기 스크린 인쇄기의, 상기 본체부 내에 배치 형성되는 장치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는 가동 부재와,
그 가동 부재를, 상기 본체부 내에 위치하는 수납 위치와, 상기 본체부의 후방으로 노출된 메인터넌스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동 부재 지지 장치를 포함하는 (1) 항 내지 (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크린 인쇄기.
본체부 내의 장치를 가동 부재에 탑재하고, 본체부의 전방으로의 이동에 의해 얻어지는 후방 스페이스에 인출하여 메인터넌스 작업 등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 본체부의 전후 방향의 중앙부 부근에 장치를 설치하더라도 메인터넌스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져, 본체부 내의 공간의 유효 이용에 의해 인쇄기를 컴팩트하게 구성하여, 스페이스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11) 상기 가동 부재 지지 장치가,
상기 본체부에, 전후 방향에 평행하게 설치된 제 3 가이드와,
그 제 3 가이드에, 그 제 3 가이드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유지되고, 상기 가동 부재를 전후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유지하는 제 4 가이드와,
상기 가동 부재가 상기 본체부의 후방으로 인출될 때, 그 가동 부재의 인출 스트로크보다 작은 스트로크만큼 상기 제 4 가이드를 상기 제 3 가이드에 대하여 후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4 가이드 이동 장치를 포함하는 (10) 항에 기재된 스크린 인쇄기.
제 4 가이드가 제 3 가이드에 안내되면서 제 3 가이드에 대하여 후방으로 이동하고, 그 제 4 가이드에 가동 부재가 지지되게 되므로, 제 3 가이드를 일시적으로 후방으로 연장한 것과 동동하게 되어, 가동 부재의 후퇴 스트로크를 크게 하면서, 가동 부재를 본체부에 안정적으로 지지시킬 수 있다.
제 4 가이드 이동 장치로는 다음 항에 기재된 연동형이 바람직하지만, 불가결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 3 가이드와 제 4 가이드 사이에 제 4 가이드의 제 3 가이드에 대한 상대 이동 가능량을 규정하는 스토퍼 장치를 설치함과 함께, 가동 부재와 제 4 가이드 사이에 가동 부재의 제 4 가이드에 대한 상대 이동 가능량을 규정하는 스토퍼 장치를 설치하여, 이들 양 스토퍼 장치를 제 4 가이드 이동 장치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12) 상기 제 4 가이드 이동 장치가, 상기 제 3 가이드, 상기 제 4 가이드 및 상기 가동 부재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가동 부재의 상기 후방으로의 인출에 연동하여, 그 가동 부재의 인출량의 절반량씩 상기 제 4 가이드를 상기 제 3 가이드에 대하여 후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연동형 제 4 가이드 이동 장치인 (11) 항에 기재된 스크린 인쇄기.
제 4 가이드가 제 3 가이드에 대하여 길이의 거의 절반 거리 이동하고, 가동 부재가 제 4 가이드에 대하여 전후 방향의 치수의 거의 절반 거리 이동하게 되므로, 가동 부재의 후퇴 스트로크가 최대인 상태에 있어서도, 제 4 가이드는 제 3 가이드에 의해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그 제 4 가이드에 의해 가동 부재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된다.
(13) 상기 인쇄기 본체의 상류측과 하류측 중 적어도 일방에, (a) 상기 기판 반송 지지 장치와의 사이에서 회로 기판의 전달을 실시함과 함께, 상기 기판 반송 지지 장치에 의한 회로 기판의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동 컨베이어와, (b) 그 가동 컨베이어를 이동시키는 컨베이어 이동 장치를 포함하는 셔틀 컨베이어가 부착된 (1) 항 내지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크린 인쇄기.
셔틀 컨베이어는 다양한 양태로 사용할 수 있어, 스크린 인쇄기의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항에 기재된 스크린 인쇄기에 의하면, 인쇄기 본체를 셔틀 컨베이어의 지지체로서 사용할 수 있어, 셔틀 컨베이어를 바닥면에 설치하기 위한 전용 지지체가 불필요하다. 또, 기판 반송 지지 장치와 가동 컨베이어의 높이 방향의 위치 맞춤이 용이하다.
본 항에 기재된 특징은, (1) 항 내지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특징으로부터도 독립적으로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14) 상기 셔틀 컨베이어가 제거 가능하게 부착된 (13) 항에 기재된 스크린 인쇄기.
스크린 인쇄기의 구성이나, 피인쇄제가 인쇄된 회로 기판에 관해 전자 회로 부품의 장착 등의 대 (對) 기판 작업을 실시하는 대 기판 작업기의 종류 등에 따라서 셔틀 컨베이어가 필요하면 부착하고, 불필요하면 제거하여 라인을 짧게 구성하거나 할 수 있어, 유연성이 우수한 스크린 인쇄기가 얻어진다. 또, 본체부 내의 장치에 대한 메인터넌스 작업의 형편에 따라, 셔틀 컨베이어를 제거하는 것도 가능하다.
(15) 상기 셔틀 컨베이어가 상기 본체부에 부착되고, 그 본체부와 함께 상기 지지대부에 대하여 전방으로 이동 가능한 (13) 항 또는 (14) 항에 기재된 스크린 인쇄기.
셔틀 컨베이어에 관한 메인터넌스 작업 등이 용이해진다. 또, 본 항이 (14) 항에 종속하는 양태에 있어서는, 셔틀 컨베이어의 제거 작업이 용이해진다.
(16) 상기 본체부 내의 공기를 상기 셔틀 컨베이어의 하부 스페이스에 배출함으로써, 상기 본체부 내에 있어서 발생한 열을 본체부 밖으로 배출하는 배열 장치를 포함하는 (13) 항 내지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크린 인쇄기.
본체부 내에 발생한 공기를 후방으로 배출할 수 없는 경우, 예를 들어, 스크린 인쇄기가 벽면을 따라서 설치되는 경우나, 다른 장치와 등을 맞대고 설치되는 경우라도 배열이 양호하게 실시된다.
셔틀 컨베이어의 하부 스페이스 내에, 배출된 공기를 상방으로 유도하여, 가열된 공기가 인접하는 장치에 분사되는 것을 억제하는 도풍판, 도풍 덕트 등의 도풍 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7) 상기 셔틀 컨베이어의 하부 스페이스에 상기 본체부 내의 장치의 보조 기계가 배치 형성된 (13) 항 내지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크린 인쇄기.
셔틀 컨베이어 내부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함으로써 스크린 인쇄기를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보조 기계로는, 예를 들어, 트랜스, 진공 발생 장치 및 가압 공기 발생 장치 중 적어도 하나가 적합하다.
도 1 은 일 실시형태인 스크린 인쇄기를 구비한 전자 회로 조립 라인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상기 스크린 인쇄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 은 상기 스크린 인쇄기의 인쇄 장치, 마스크 유지 장치 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 는 상기 스크린 인쇄기의 기판 반송 지지 장치 및 셔틀 컨베이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 는 상기 스크린 인쇄기의 인쇄기 본체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 은 상기 인쇄기 본체의 본체부의 지지대부에 대한 인출, 인입시에 있어서의 매뉴얼 구동 장치의 너트의 이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 은 상기 스크린 인쇄기의 차륜 장치, 인입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일부 단면) 이다.
도 8 은 상기 본체부가 지지대부로부터 인출되고, 가동대가 수납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 는 상기 가동대가 메인터넌스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 은 상기 가동대 및 가동대 지지 장치의 일방측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 은 상기 가동대 지지 장치의 2 개의 가이드를 나타내는 배면도 (일부 단면) 이다.
도 12 는 상기 가동대가 상기 2 개의 가이드의 일방에 설치된 롤러에 의해 안내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13 은 상기 스크린 인쇄기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이하, 청구 가능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자세히 설명한다. 또한, 청구 가능 발명은, 하기 실시형태 외에 상기 [발명의 양태] 의 항에 기재된 양태를 비롯하여, 당업자의 지식에 기초하여 다양한 변경을 실시한 양태로 실시할 수 있다.
도 1 에, 청구 가능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스크린 인쇄기를 포함하는 전자 회로 조립 라인을 도시한다. 본 전자 회로 조립 라인은, 1 대 이상,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복수대, 예를 들어 2 대의 스크린 인쇄기 (10) (이후, 인쇄기 (10) 로 약칭한다) 와, 1 대 이상,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복수대, 예를 들어 4 대의 전자 회로 부품 장착기 (14) (이후, 장착기 (14) 로 약칭한다) 를 구비하고 있다. 인쇄기 (10) 및 장착기 (14) 는, 회로 기판에 대하여 작업을 실시하는 대 기판 작업기의 일종이며, 전자 회로 조립 라인은 대 기판 작업 라인의 일종이다. 2 대의 인쇄기 (10) 는 스크린 인쇄 라인을 구성하며, 4 대의 장착기 (14) 에 대하여, 전자 회로 조립 라인에 있어서의 회로 기판의 반송 방향에 있어서 상류측에 서로 인접하고, 회로 기판의 반송 방향에 평행하게 좌우로 나열되어 배치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좌우 방향이 회로 기판의 반송 방향이며,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은 모두 수평이다. 또, 본 전자 회로 조립 라인은, 인쇄기 (10) 및 장착기 (14) 의 각 배면이 벽면 (도시 생략) 을 따른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2 대의 인쇄기 (10) 는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류측의 인쇄기 (10) 를 대표하여 설명한다.
인쇄기 본체 (18) 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부 (20) 와 지지대부 (22) 가 별체로 구성되며, 본체부 (20) 는 지지대부 (22) 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지지대부 (22) 는, 그 4 모퉁이에 설치된 각부 (脚部) (24) 에 있어서 바닥면 (26) 상에 설치되어 있다.
본체부 (20) 는 복수의 부재가 조립되어 이루어지며, 복수의 단부 (段部),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단부 (上段部) (28), 중단부 (中段部) (30) 및 하단부 (下段部) (32) 를 포함한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단부 (28) 에 마스크 유지 장치 (34) 및 인쇄 장치 (36) 가 설치되고, 중단부 (30) 에 기판 반송 지지 장치 (38) 및 통과 기판 반송 장치 (40) (도 4 참조) 가 설치되어 있다. 본 마스크 유지 장치 (34) 는, 마스크 지지대 (42) 상에 재치된 마스크 (44) 를 수평 자세로 유지한다. 인쇄 장치 (36) 는, 1 쌍의 스퀴지 (46), 이들 스퀴지 (46) 를 마스크 (44) 를 따라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스퀴지 이동 장치 (48) 및 1 쌍의 스퀴지 (46) 를 각각 승강시켜, 마스크 (44) 에 접촉, 이간시키는 스퀴지 승강 장치 (50) 를 포함한다.
본 기판 반송 지지 장치 (38) 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단부 (30) 의 전방부에 설치되고, 메인 컨베이어 (60) 와, 반송 방향에 있어서 메인 컨베이어 (60) 의 상류측에 배치 형성된 인 컨베이어 (62) 와, 하류측에 배치 형성된 아웃 컨베이어 (64) 를 포함한다. 메인 컨베이어 (60) 는, 컨베이어 장치 (66) 및 기판 지지 장치 (68) 를 포함한다. 컨베이어 장치 (66) 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벨트 컨베이어에 의해 구성되며, 1 쌍의 컨베이어 벨트 (70) 와, 이들 컨베이어 벨트 (70) 를 각각 주회 (周回) 시키는 벨트 주회 장치 (72) 를 포함한다. 1 쌍의 컨베이어 벨트 (70) 는 각각 사이드 프레임 (74) 에 의해 주회 가능하게 지지되며, 주회용 모터 (76) 를 구동원으로 하는 벨트 주회 장치 (72) 에 의해 동기하여 주회되고, 회로 기판을 그 피인쇄면이 수평이 되는 자세로 반송한다.
메인 컨베이어 (60) 에는 스토퍼 장치 (도시 생략) 가 설치되고, 회로 기판이 소정의 인쇄 위치에 정지되어 위치 결정된다. 또, 컨베이어 장치 (66) 의 회로 기판의 반송폭은, 반송폭 변경 장치 (82) 에 의해 자동적으로 변경된다. 기판 지지 장치 (68) 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3 에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 부재인 복수의 지지핀 (86), 핀 지지대 (88) 및 지지대 승강 장치 (90) 를 포함하며, 회로 기판 (92) 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기판 지지 장치 (68) 는 컨베이어 장치 (66) 와 공동으로 기판 클램프 장치를 구성하며, 메인 컨베이어 (60) 가 승강 장치 (도시 생략) 에 의해 승강됨으로써, 회로 기판 (92) 이 마스크 (44) 의 하면에 접촉 이간된다.
인 컨베이어 (62) 및 아웃 컨베이어 (64) 는, 메인 컨베이어 (60) 와 마찬가지로, 컨베이어 장치 (94) 및 반송폭 변경 장치 (96) (도 4 참조) 를 구비하고 있고, 동일한 작용을 이루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대응 관계를 나타내고,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통과 기판 반송 장치 (40) 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단부 (30) 의 후방부에 설치되고, 컨베이어 (62, 64) 와 마찬가지로 컨베이어 장치 (100) 및 반송폭 변경 장치 (102) 를 구비하고 있다. 컨베이어 장치 (100) 는 벨트 컨베이어에 의해 구성되며, 컨베이어 (62, 64) 와 평행하게 설치되고, 반송 방향에 있어서 인쇄기 (10) 의 일방 끝으로부터 타방 끝에 이를 때까지 설치되어 있다. 통과 기판 반송 장치 (40) 에 있어서 컨베이어 (62, 64) 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작용을 이루는 구성용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대응 관계를 나타내고, 설명을 생략한다.
본 인쇄기 (10) 에 있어서 인쇄기 본체 (18) 의 본체부 (20) 는, 작업자가 매뉴얼 구동 장치 (120) 를 조작함으로써 지지대부 (22) 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진퇴되고, 본체부 (20) 의 지지대부 (22) 에 대한 상대 이동의 저항이 저항 경감 장치 (122) 에 의해 경감된다.
본 저항 경감 장치 (122) 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저항 경감부 (130) 와 제 2 저항 경감부 (132) 를 포함한다. 저항 경감부 (130) 는, 지지대부 (22) 에 설치된 1 쌍의 가이드 (134) 와, 본체부 (20) 에 설치된 1 쌍의 걸어?춤 블록 (136) 을 포함한다. 본 가이드 (134) 는 레일상을 이루며, 지지대부 (22) 의 상면 후방부의 좌우 방향으로 떨어진 양 단부에 각각 전후 방향에 평행하게 고정되어 있다. 또, 1 쌍의 걸어?춤 블록 (136) 은, 본체부 (20) 의 하면의 후단부의 좌우 방향으로 떨어진 양 단부에 각각 고정되어 설치되어 있다.
저항 경감부 (132) 는, 본체부 (20) 에 설치된 1 쌍의 가이드 (138) 와, 지지대부 (22) 에 설치된 1 쌍의 걸어?춤 블록 (140) 을 포함한다. 본 가이드 (138) 는 레일상을 이루며, 본체부 (20) 의 하면 전방부의 좌우 방향으로 떨어진 양 단부 (端部) 에 각각 전후 방향에 평행하게 고정되고, 걸어?춤 블록 (140) 은 지지대부 (22) 의 상면의 전단부의 좌우 방향으로 떨어진 양 단부에 각각 고정되어 설치되어 있다.
걸어?춤 블록 (136, 140) 은 각각 가이드 (134, 138) 에 전후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춰져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걸어?춤 블록 (136, 140) 이 각각 복수의 강구 (도시 생략) 를 주회로를 따라서 주회 가능하게 유지하고, 이들 강구의 일부에 의해, 가이드 (134, 138) 의 각 1 쌍의 측면에 각각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형성된 가이드 홈과 걸어맞춰져, 본체부 (20) 의 하중을 지지할 뿐만 아니라, 어떠한 이유로 본체부 (20) 에 외력이 가해진 경우에, 본체부 (20) 가 지지대부 (22) 로부터 부상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복수의 강구 및 가이드 (134, 138) 의 가이드 홈이 부상 방지 장치를 구성하고 있다. 이 부상 방지 장치의 구성은 잘 알려져 있어,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매뉴얼 구동 장치 (120) 는,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송 나사 (150), 핸들 (152) 및 너트 (154) 를 포함한다. 이송 나사 (150) 는, 본체부 (20) 의 하면의 전방부측에 전후 방향에 평행한 자세로, 축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또한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그 전단부는 본체부 (20) 의 전단부에 이름과 함께, 핸들 (152) 이 부착되어 있다.
너트 (154) 는,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대부 (22) 의 전방부에 설치되고, 복수의 강구를 유지하여 이송 나사 (150) 와 나사 결합되어, 이송 나사 (150) 와 함께 볼나사 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너트 (154) 에는, 그 하면의 전후 방향으로 떨어진 2 개 지점에 각각 돌출부 (156, 158) 가 돌출 형성되어 걸어맞춤부를 구성하고, 이들 돌출부 (156, 158) 가, 지지대부 (22) 에 설치된 걸어맞춤부 (160) 의 전후에 위치하는 상태로 너트 (154) 가 설치되어 있다. 걸어맞춤부 (160) 는 지지대부 (22) 의 좌우 방향의 양재 (粱材) 에 의해 구성되며, 돌출부 (156, 158) 의 간격은 걸어맞춤부 (160) 의 전후 방향의 길이보다 길어져,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너트 (154) 와 지지대부 (22) 사이에는 전후 방향의 유극이 형성되어 있다.
너트 (154) 와 걸어맞춤부 (160) 사이의 상하 방향의 간극은 작게 되어 있고, 이에 따라 너트 (154) 의 지지대부 (22) 에 대한 전후 방향에 평행한 축선 둘레의 회전이 저지된다. 또, 너트 (154) 는, 돌출부 (156, 158) 의 일방이 걸어맞춤부 (160) 에 걸어맞춤으로써 지지대부 (22) 에 대한 이동이 저지되고, 그 상태로 핸들 (152) 이 회전 조작됨으로써, 이송 나사 (150) 가 회전되면서 축방향으로 이동되고, 본체부 (20) 가 지지대부 (22) 에 대하여 전진, 후퇴된다. 유극을 형성하는 이유는 이후에 설명한다. 지지대부에 1 쌍의 걸어맞춤부가 설치되고, 너트에 이들 1 쌍의 걸어맞춤부와 택일적으로 걸어맞추는 걸어맞춤부가 설치되어도 된다.
본체부 (20) 의 지지대부 (22) 에 대한 전진단 위치 및 후퇴단 위치는, 도 7 에 나타내는 스토퍼 장치 (164) 에 의해 규정된다. 스토퍼 장치 (164) 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본체부 (20) 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돌출부상의 본체부측 스토퍼부 (166) 와, 지지대부 (22) 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돌출부상의 1 쌍의 지지대부측 스토퍼부 (168, 170) 를 포함한다. 지지대부측 스토퍼부 (168, 170) 는 전후 방향으로 거리를 두고 설치되며, 본체부측 스토퍼부 (166) 의 전방측의 지지대부측 스토퍼부 (168) 에 대한 맞닿음에 의해 본체부 (20) 의 전진단 위치가 규정되고, 후방측의 지지대부측 스토퍼부 (170) 에 대한 맞닿음에 의해 후퇴단 위치가 규정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전방측의 지지대부측 스토퍼부 (168) 는, 본체부 (20) 가 지지대부 (22) 에 대하여 전진단 위치로 이동된 상태로, 본체부 (20) 의 무게 중심이, 지지대부 (22) 의 본체부 (20) 를 지지하는 부분의 전단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 후방측의 지지대부측 스토퍼부 (170) 는,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부 (20) 전체가 지지대부 (22) 상에 인입된 위치를 후퇴단 위치로 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력 구동 장치인 인입 장치 (180) 가 설치되고, 본체부 (20) 는 자동적으로 후퇴단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본 인입 장치 (180) 는 에어 실린더 (182) 를 구동원으로 한다. 에어 실린더는, 유체압 액추에이터인 유체압 실린더의 일종이며, 압축 에어를 동력으로 하여 작동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에어 실린더 (182) 는 피스톤이 도시하지 않은 탄성 부재에 의해 후퇴 방향으로 탄성 지지된 단동 실린더가 되며, 그 실린더 하우징 (184) 의 일단부가 지지대부 (22) 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고, 피스톤 로드 (186) 의 선단부에 걸어맞춤 부재인 레버 (188) 가 부착되어 있다. 레버 (188) 는 지지대부 (22) 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고, 그 회동 축선으로부터 연장되어 나온 아암부 (190) 가 피스톤 로드 (186) 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 레버 (188) 의 회동 축선으로부터, 아암부 (190) 와는 반대측으로 연장되어 나온 다른 아암부 (192) 의 선단부에는 롤러 (194) 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걸어맞춤부인 회전 걸어맞춤부를 구성하고 있다.
본체부 (20) 의 하단부에는,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어맞춤 돌출부 (196) 가 돌출 형성되어, 피걸어맞춤부를 구성하고 있다. 레버 (188) 는 피스톤 로드 (186) 의 신축에 의해 회동되며,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러 (194) 가 걸어맞춤 돌출부 (196) 의 이동 경로보다 하방에 위치하여 그 진퇴를 허용하는 퇴피 위치와,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러 (194) 가 상기 이동 경로 내에 진입되고, 걸어맞춤 돌출부 (196) 에 걸어맞춰 본체부 (20) 를 후퇴시키는 작용 위치로 이동된다. 또한, 인입 장치 (180) 및 걸어맞춤 돌출부 (196) 와 상기 스토퍼 장치 (164) 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상이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에어 실린더 (182) 는, 지지대부 (22) 에 설치된 센서 (200) (도 1 참조) 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작동되고, 센서 (202) (도 1, 도 6 참조) 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작동이 해제된다. 센서 (200, 202) 는, 예를 들어, 비접촉형 센서의 일종인 광전 센서인 투과형 광전 센서에 의해 구성되며, 수광부의 수광의 유무에 따라 상이한 신호를 출력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센서 (200) 는 본체부측 스토퍼부 (166) 에 의해 수광부의 수광이 방해되어, 신호가 ON 에서 OFF 로 변화하고, 그 변화에 기초하여 에어 실린더 (182) 에 압축 에어가 공급되어, 레버 (188) 가 작용 위치로 회동된다. 그 때문에, 센서 (200) 및 걸어맞춤 돌출부 (196) 는, 본체부측 스토퍼부 (166) 와 후방측의 지지대부측 스토퍼부 (170) 의 거리가 롤러 (194) 의 작동 스트로크보다 짧아진 상태로 롤러 (194) 가 걸어맞춤 돌출부 (196) 의 전단면에 걸어맞추고, 본체부 (20) 를 후방으로 밀어서 후퇴단 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 있어서도 계속 미는 상태가 얻어지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본체부측 스토퍼부 (166) 에는, 그 전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나온 돌조부 (204) 가 설치되어, 본체부측 스토퍼부 (166) 와 함께 피검출부를 구성하고 있고, 본체부 (20) 가 후퇴단 위치로 이동된 상태에 있어서도 수광부의 수광이 방해된다. 그 때문에, 에어 실린더 (182) 의 작동에 의해 본체부 (20) 가 후퇴단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로 유지된다.
센서 (202) 는 지지대부 (22) 의, 상기 너트 (154) 의 후방측의 돌출부 (158) 와 걸어맞춤부 (160) 사이의 유극의 크기에 따라서 출력 신호가 변화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본체부 (20) 가 후퇴단 위치에 위치 결정된 상태에서는, 도 6(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부 (156, 158) 와 걸어맞춤부 (160) 사이에 간극이 있지만, 이후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본체부 (20) 가 지지대부 (22) 로부터 인출될 때 너트 (154) 가 이송 나사 (150) 에 대하여 후방으로 이동하고, 돌출부 (156) 가 걸어맞춤부 (160) 에 걸어맞추기 때문에, 돌출부 (158) 와 걸어맞춤부 (160) 사이의 간극이 커져, 도 6(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대가 된다. 그 때문에, 센서 (202) 는, 본체부 (20) 가 후퇴단 위치에 위치 결정되어, 간극이 최대보다 짧은 상태에서는 수광부의 수광이 방해되어 OFF 신호를 출력하고, 간극이 최대의 상태가 되기 이전에 수광부가 수광 상태가 되어 ON 신호를 출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센서 (202) 의 출력 신호의 OFF 로부터 ON 으로의 변화에 기초하여 에어 실린더 (182) 의 에어실이 대기에 개방되고, 레버 (188) 가 퇴피 위치로 회동되어 본체부 (20) 의 지지대부 (22) 에 대한 전진이 허용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센서 (202) 가, 인입 장치 (180) 의 작동 해제를 지령하는 해제 지령 장치를 구성하고 있다. 해제 지령 장치는, 작업자에 의해 조작되는 스위치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작업자가 본체부 (20) 의 지지대부 (22) 로부터의 인출 조작에 앞서 스위치를 조작하여, 작동 해제를 제어 장치에 입력하고, 에어 실린더 (182) 의 에어실이 대기에 개방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체부 (20) 에는,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륜 장치 (208) 가 설치되어 있다. 차륜 장치 (208) 는, 차륜 (210) 및 차륜 유지체 (212) 를 포함하고, 본체부 (22) 의 저벽 (214) 의 전단부의 하면 (216) 에 부착되어 있다. 차륜 유지체 (212) 는 차륜 (210) 을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고, 저벽 (214) 과의 사이에 배치 형성된 탄성 부재인 압축 코일 스프링 (218) 에 의해 본체부 (20) 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어 있다. 스프링 (218) 은 1 개 이상,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복수, 예를 들어 3 개 설치되어 있다. 3 개의 스프링 (218) 중 2 개는, 차륜 유지체 (212) 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로드 (220) 의 외측에 끼워 맞춰져 있다. 가이드 로드 (220) 는 봉상을 이루며, 차륜 유지체 (212) 상에 돌출 형성됨과 함께 저벽 (214) 을 상하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관통되어 있다. 스프링 (218) 의 탄성 지지에 의한 본체부 (20) 와 차륜 유지체 (212) 의 이간 한도는, 가이드 로드 (220) 의 상단부에 설치된 걸어맞춤부 (222) 가 저벽 (214) 의 상면에 걸어맞춤으로써 규정되어 있고, 스프링 (218) 에는 예하중이 부여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걸어맞춤부 (222) 는, 저벽 (214) 에 걸어맞춘 상태에 있어서, 차륜 (210) 이 바닥면 (26) 으로부터 약간 떨어진 상태가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탄성 부재는, 차륜 유지체와 본체부 사이에 설치되는 것 대신, 혹은 그것과 함께, 차륜과 차륜 유지체 사이에 설치되어도 된다.
본체부 (20) 의 하단부 (32) 내에는,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부재인 가동대 (240) 및 가동 부재 지지 장치인 가동대 지지 장치 (242) 가 설치되어 있다. 가동대 지지 장치 (242) 는,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단부 (32) 의 하부에 전후 방향에 평행하게 설치된 1 쌍의 가이드 (244) 와, 이들 가이드 (244) 에 유지된 다른 1 쌍의 가이드 (246) 와, 가이드 (246) 를 가이드 (244) 에 대하여 후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연동형 가이드 이동 장치 (248) 를 포함한다. 도 8 에는 일방의 가이드 (244, 246) 가 도시되어 있다. 1 쌍의 가이드 (244) 는 긴 형상을 이루며, 좌우 방향으로 떨어져 설치되고, 도 11 에 일방을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단부 (32) 에 연직 자세로 고정되어 설치된 측판부 (252) 와, 측판부 (252) 의 하단부로부터 직각으로 연장되어 나온 레일부 (254) 와, 측판부 (252) 의 상단부로부터 연장되어 나온 걸어맞춤부 (256) 를 포함한다.
1 쌍의 가이드 (246) 는 긴 형상을 이루며, 일방을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직으로 설치되는 측판부 (258) 와, 측판부 (258) 의 하단부로부터 직각으로 돌출된 리브 (260) 와, 횡단면 형상이 L 자형을 이루며, 측판부 (258) 의 상단부로부터 돌출된 유지부 (262) 를 포함한다. 측판부 (258) 의 하부의 후방측에는,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 개의 롤러 (264) 가 전후 방향으로 거리를 두고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들 롤러 (264) 는, 그 하부가, 리브 (260) 에 형성된 개구 (266) 를 통해 리브 (260) 의 하방으로 돌출됨과 함께, 가이드 (244) 의 레일부 (254) 상에 전동 가능하게 재치되고, 가이드 (246) 는 가이드 (244) 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가이드 (246) 의 가이드 (244) 에 대한 이동은, 리브 (260) 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설치된 스토퍼부 (270) 가, 레일부 (254) 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형성된 절결 (272) 내에 끼워 넣어져, 절결 (272) 의 전단면 (274), 후단면 (276) 에 맞닿음으로써 규정된다. 이들 스토퍼부 (270), 단면 (274, 276) 이 스토퍼 장치 (278) 를 구성하며, 가이드 (246) 의 가이드 (244) 에 대한 이동량을 가이드 (246) 의 길이의 거의 절반으로 하도록 되어 있다.
측판부 (258) 에는 또한,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전단부의 상부에 롤러 (280) 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 롤러 (280) 는, 가이드 (244) 의 걸어맞춤부 (256) 에 형성된 홈 (281) 에 끼워 맞춰져 있다. 측판부 (258) 에는 또한, 그 후단부의 하부에 롤러 (282) 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됨과 함께, 유지부 (262) 의 전후 방향의 중간부에 롤러 (284) 가 회전 가능하게 또한 전후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롤러 (284) 의 이동은, 유지부 (262) 에 설치된 스토퍼부 (도시 생략) 에 의해 규정되며, 상기 2 개의 롤러 (264) 의 사이에 있어서 이동한다.
가동대 (240) 에는, 그 좌우 방향으로 떨어진 양 측면에 각각 레일 (290) 이 설치되어 있다 (도 10 에는, 일방의 레일 (290) 이 도시되어 있다). 레일 (290) 은 전후 방향으로 길게, 도 11 및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 (246) 의 롤러 (264, 282) 상에 탑재되어 지지되어 있다. 레일 (290) 의 후단부와, 후단부로부터 전방으로 떨어진 부분에는 각각 돌출부 (292, 294) 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측판부 (258) 에 돌출 형성된 돌출부 (296) 에 맞닿음으로써, 가동대 (240) 의 가이드 (246) 에 대한 전진단 위치와 후퇴단 위치가 규정된다. 돌출부 (292, 294, 296) 가 걸어맞춤부를 구성하고, 스토퍼 장치 (298) 를 구성하고, 가동대 (240) 의 가이드 (246) 에 대한 이동량을 가동대 (240) 의 전후 방향의 치수의 거의 절반으로 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회전 지지체를 구성하는 롤러 (264, 282) 및 스토퍼 장치 (278, 298) 가 연동형 가이드 이동 장치 (248) 를 구성하고 있다.
가동대 (240) 상에는, 인쇄기 (10) 를 구성하는 장치, 예를 들어, 전장품의 일종이며, 인쇄기 (10) 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300) 가 탑재된다. 제어 장치 (300) 는 컴퓨터를 주체로 하여 구성되며, 인쇄기 (10) 를 구성하는 각종 장치의 구동원 등을 제어한다. 본 인쇄기 (10) 에 있어서 구동원을 구성하는 모터의 대부분은 전동 모터의 일종이며, 회전 각도의 정확한 제어가 가능한 회전 전동 모터인 서보 모터에 의해 구성된다. 리니어 모터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제어 장치 (300) 는, 전자 회로 조립 라인 전체를 제어하는 통괄 제어 장치 (302) (도 1 참조) 에 의해 통괄하여 제어된다. 통괄 제어 장치 (302) 는 컴퓨터를 주체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인쇄기 (10) 에는, 도 4 및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부 (20) 의 하류측에 셔틀 컨베이어 (310) 가 부착되어 있다. 본 셔틀 컨베이어 (310) 는, 컨베이어 본체 (312), 가동 컨베이어 (314) 및 컨베이어 이동 장치 (316) 를 포함한다. 컨베이어 본체 (312) 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부재가 조립되어 프레임상을 이루고, 복수의 단부, 예를 들어, 상단부 (318) 와 하단부 (320) 로 나뉘어져 있다. 컨베이어 본체 (312) 는, 본체부 (20) 의 하류측의 측면에 복수의 볼트 (도시 생략) 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볼트를 풀어서 본체부 (20) 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셔틀 컨베이어 (310) 는,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면 (26) 으로부터 떠 있는 상태로 본체부 (20) 에 부착되어 있다.
가동 컨베이어 (314) 는 상단부 (318) 에 설치되고,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컨베이어 장치 (326) 및 반송폭 변경 장치 (328) 를 구비하고 있다. 컨베이어 장치 (326) 는, 상기 컨베이어 (62, 64) 의 컨베이어 장치 (94) 와 동일하게 구성되며, 1 쌍의 사이드 프레임 (330) 에 각각 지지된 컨베이어 벨트 (332) 와, 주회용 모터 (334) 를 구동원으로 하여, 1 쌍의 컨베이어 벨트 (332) 를 각각 주회시키는 벨트 주회 장치 (336) 를 포함한다.
컨베이어 이동 장치 (316) 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원인 셔틀용 모터 (342), 벨트 (344) 및 복수의 풀리 (346) 를 포함한다. 벨트 (344) 는 타이밍 벨트가 되고, 풀리 (346) 는 타이밍 풀리가 되어 있다. 복수의 풀리 (346) 중 1 개가 셔틀용 모터 (342) 에 의해 회전되고, 벨트 (344) 가 이동된다. 이에 따라, 1 쌍의 가이드 로드 (348) 를 포함하는 안내 장치 (350) 에 의해 안내되면서, 1 쌍의 사이드 프레임 (330) 이 반송폭 변경 장치 (328) 와 함께 이동된다. 가동 컨베이어 (314) 는 전후 방향의 임의의 위치로 이동되고, 도 4 에 일점쇄선 및 이점쇄선으로 예시하는 바와 같이, 그 상류측 혹은 하류측에 있어서 회로 기판의 전달을 실시하는 컨베이어에 이어지는 위치로 이동된다. 셔틀 컨베이어 (310) 는 제어 장치 (300) 에 의해 제어된다.
컨베이어 본체 (312) 의 하단부 (320) 에는,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바닥재 (360) 가 부착되고, 하단부 (320) 내의 스페이스인 하부 스페이스 (362) 에 본체부 (20) 내의 보조 기계,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트랜스 (364) 가 배치 형성되어 있다. 인쇄기 본체 (18) 및 컨베이어 본체 (312) 는 각각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366, 368) 에 의해 덮여 있다. 하우징 (366, 368) 은 각각 인쇄기 (10) 의 하류측 및 상류측에 있어서 회로 기판의 전달에 필요한 개구가 형성됨과 함께, 하단부 (32) 내의 스페이스인 하부 스페이스 (370) 와 셔틀 컨베이어 (310) 의 하부 스페이스 (362) 가 이어지도록 되어 있고, 인쇄기 (10) 의 보조 기계를 셔틀 컨베이어 (310) 내에 두고 사용할 수 있다. 하우징 (366) 의 전면에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 (372) 가 형성되며, 작업자는 개구 (372)를 통해 손을 넣어 상기 핸들 (152) 을 조작한다.
또, 본체부 (20) 의 하단부 (32) 의 셔틀 컨베이어 (310) 에 인접하는 부분의 상부에는,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열 장치의 일종인 팬 (376) 이 부착되어 있다. 팬 (376) 은, 본체부 (20) 내에서 발생한 열을 본체부 (20) 밖으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본체부 (20) 에 부착된 셔틀 컨베이어 (310) 의 하부 스페이스 (362) 에 배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하부 스페이스 (362) 에는 도풍판 (378) 이 부착되어 있다. 도풍판 (378) 은, 하부 스페이스 (362) 의 상부에, 하방일수록 본체부 (20) 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경사져 부착되어 있어, 하부 스페이스 (362) 내에 놓이는 보조 기계와의 간섭이 회피됨과 함께, 팬 (376) 에 의해 배출된 공기를 상방으로 유도하여, 하우징 (368) 의 천정부에 형성된 배기구를 통해 밖으로 배출시킨다. 이에 따라, 본체부 (20) 로부터 배출된 뜨거운 공기가 하류측의 인쇄기 (10) 혹은 장착기 (14) 에 분사되거나, 인접하는 장치로부터의 배기와 부딪치는 것이 회피된다.
상기 4 대의 장착기 (14) 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104075호에 기재된 전자 회로 부품 장착기와 동일하게 구성되며, 모듈화되어 있고, 도 1 에 일부를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 장착기 본체 (390), 기판 반송 장치 (392), 기판 지지 장치 (394), 부품 공급 장치 (396), 부품 장착 장치 (398) 및 제어 장치 (400) 등을 포함하며, 1 장의 회로 기판에 대한 전자 회로 부품의 장착을 분담하고, 병행하여 실시한다. 기판 반송 장치 (392) 는 1 쌍의 컨베이어 (402) 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컨베이어 (402) 는, 장착기 본체 (390) 의 전후 방향으로 나열되어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컨베이어 (402) 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벨트 컨베이어에 의해 구성되며, 도시를 생략하는 반송폭 변경 장치에 의해 반송폭이 자동적으로 조절된다. 기판 지지 장치 (394) 는 2 개의 컨베이어 (402) 의 각각에 대하여 설치되며, 어느 컨베이어 (402) 에 의해 반송되는 회로 기판도 기판 지지 장치 (394) 에 의해 지지되고, 전자 회로 부품의 장착이 실시된다. 제어 장치 (400) 는 컴퓨터를 주체로 하여 구성되며, 상기 통괄 제어 장치 (302) 에 의해 통괄하여 제어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전자 회로 조립 라인에 있어서는, 2 대의 인쇄기 (10) 에 있어서 병행하여 회로 기판에 대한 피인쇄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크림상 땜납 (이후, 땜납으로 약칭한다) 의 인쇄가 실시된다. 2 대의 인쇄기 (10) 중, 상류측의 인쇄기 (10) 에 있어서 땜납이 인쇄되는 회로 기판은 기판 반송 지지 장치 (38) 에 공급되고, 인 컨베이어 (62) 로부터 메인 컨베이어 (60) 에 반입된다. 회로 기판은 기판 지지 장치 (68) 에 의해 지지되어 마스크 (44) 에 접촉되고, 인쇄 장치 (36) 에 의해 땜납이 인쇄된다. 인쇄 후, 회로 기판은 아웃 컨베이어 (64) 로 반출되고, 아웃 컨베이어 (64) 로부터 셔틀 컨베이어 (310) 의 가동 컨베이어 (314) 에 이동 탑재된다. 그리고, 가동 컨베이어 (314) 로부터 하류측의 인쇄기 (10) 의 통과 기판 반송 장치 (40) 에 반입되어 그 인쇄기 (10) 를 통과하고, 하류측의 인쇄기 (10) 의 셔틀 컨베이어 (310) 에 의해 장착기 (14) 의 후방측의 컨베이어 (402) 에 반입되어, 전자 회로 부품이 장착된다.
또, 하류측의 인쇄기 (10) 에 있어서 땜납이 인쇄되는 회로 기판은, 상류측의 인쇄기 (10) 의 통과 기판 반송 장치 (40) 에 공급되고, 그 상류측 인쇄기 (10) 를 통과하고, 셔틀 컨베이어 (310) 에 의해 하류측의 인쇄기 (10) 의 기판 반송 지지 장치 (38) 에 반입되어 땜납이 인쇄된다. 그리고, 셔틀 컨베이어 (310) 에 의해 장착기 (14) 의 전방측의 컨베이어 (402) 에 반입되어, 전자 회로 부품이 장착된다.
본 인쇄기 (10) 에 있어서, 통상적으로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부 (20) 가 지지대부 (22) 상에 인입되고, 인입 장치 (180) 의 작동에 의해 후퇴단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또, 도 6(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너트 (154) 의 돌출부 (156, 158) 와 지지대부 (22) 의 걸어맞춤부 (160) 사이에 간극이 있다. 그 때문에, 작업자가 메인터넌스 등을 실시하기 위해 본체부 (20) 를 지지대부 (22) 로부터 인출할 때에는 핸들 (152) 을 회전 조작하지만, 당초에는 이송 나사 (150) 는 이동하지 않고, 너트 (154) 가 이송 나사 (150) 에 대하여 후퇴되어, 도 6(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측의 돌출부 (156) 가 걸어맞춤부 (160) 에 걸어맞춰진다. 그 때문에, 돌출부 (158) 와 걸어맞춤부 (160) 사이의 간극이 커지고, 센서 (202) 의 신호가 OFF 에서 ON 으로 변하여, 본체부 (20) 의 인출이 실시되는 것이 검출된다. 그리고, 레버 (188) 가 퇴피 위치로 회동되어 본체부 (20) 의 인출이 허용되고, 핸들 (152) 이 회전 조작됨으로써 이송 나사 (150) 가 전진되고, 이에 따라,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부 (20) 가 하우징 (366) 과 함께 지지대부 (22) 로부터 인출된다. 본체부 (20) 와 함께 셔틀 컨베이어 (310) 도 인출되어, 지지대부 (22) 에 대하여 전방으로 이동된다.
인출은, 가이드 (134, 138) 및 걸어?춤 블록 (136, 140) 에 의해 안내됨과 함께, 이동 저항이 경감된다. 작업자는 본체부 (20) 를 전진단 위치까지 인출할 수 있지만, 걸어?춤 블록 (136) 이 본체부 (20) 의 후단부에 설치되고, 걸어?춤 블록 (140) 이 지지대부 (22) 의 전단부에 설치됨과 함께, 이들에 대응하여 가이드 (134, 138) 가 각각 지지대부 (22) 와 본체부 (22) 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본체부 (20) 는 지지대부 (22) 로부터의 인출량의 크기에 상관없이, 지지대부 (22) 와 겹치는 부분이 항상 4 모퉁이에서 지지되어,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바닥면 (26) 은 평탄하고, 차륜 (210) 은, 본체부 (20) 의 인출시에도 인입시에도 원칙적으로는 바닥면 (26) 으로부터 약간 떨어져 있지만, 본체부 (20) 가 지지대부 (22) 로부터 인출된 상태로 본체부 (20) 에 아래로 향한 힘이 가해지고, 본체부 (20) 가 약간 기울어진 경우에는 바닥면 (26) 에 접촉하여 그 이상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 만약 바닥면 (26) 이 평면이 아니기 때문에 차륜 (210) 이 바닥면 (26) 에 접촉한 경우에는, 스프링 (218) 이 압축되고, 차륜 (210) 이 바닥면 (26) 상을 전동 (轉動) 하여, 본체부 (20) 는 수평 자세를 유지하면서 진퇴되는 것이 허용된다. 이와 같이, 차륜 (210) 이 바닥면 (26) 에 접촉한 상태에서는, 탄성 부재가 본체부 (20) 의 중량의 적어도 일부를 차륜 (210) 에 전달한다.
본체부 (20) 를 지지대부 (22) 상으로 복귀시키는 경우에는, 작업자는 핸들 (152) 을 인출시와는 역방향으로 회전 조작한다. 조작 개시 당초에는 이송 나사 (150) 는 축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고, 너트 (154) 가 이송 나사 (150) 에 대하여 전방으로 이동되어, 도 6(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방측의 돌출부 (158) 가 걸어맞춤부 (160) 에 걸어맞춰진다. 그 상태로부터 다시 핸들 (152) 이 회전 조작됨으로써, 이송 나사 (150) 가 후퇴되고, 본체부 (20) 가 하우징 (366) 과 함께 지지대부 (22) 상에 인입된다. 또한, 이 너트 (154) 의 이동에 의해 센서 (202) 의 검출 신호가 ON 에서 OFF 로 변하지만, 이 변화는 제어 장치 (300) 에 있어서 무시되고, 이용되지 않는다.
본체부측 스토퍼 돌출부 (166) 가 센서 (200) 에 의해 검출되면, 에어 실린더 (182) 가 작동되어 레버 (188) 가 작용 위치로 회동되고, 본체부 (20) 를 자동적으로 후퇴단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 때, 너트 (154) 는 도 6(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부 (156) 와 걸어맞춤부 (160) 사이에 간극이 있기 때문에, 이송 나사 (150) 와 함께 후방으로 이동된다. 그 때문에, 이송 나사 (150) 가 회전되지 않고 후퇴할 뿐이며, 핸들 (152) 도 회전되지 않는다. 너트 (154) 와 걸어맞춤부 (160) 사이의 유극은, 인입 장치 (180) 가 본체부 (20) 를 후퇴단 위치로 후퇴시키는 스트로크보다 크게 되어 있어, 인입 장치 (180) 에 의한 본체부 (20) 의 인입이 이송 나사 (150) 의 회전을 수반하지 않고 허용된다. 본체부 (20) 의 인입과 함께 셔틀 컨베이어 (310) 도 후퇴되어, 지지대부 (20) 와 나열되는 위치로 복귀된다.
인쇄기 (10) 에 있어서 상기 가동대 (240) 는, 항상은 도 8 에 나타내는 수납 위치에 위치되어 있다. 본체부 (20) 가 지지대부 (22) 로부터 인출되면, 지지대부 (22) 의 후방부 상방에 빈 스페이스가 얻어진다. 그 때문에, 작업자는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대 (240) 를 본체부 (20) 의 후방으로 노출된 메인터넌스 위치로 인출하여, 제어 장치 (300) 에 대하여 메인터넌스를 실시할 수 있다. 본체부 (20) 와 함께 셔틀 컨베이어 (310) 도 지지대부 (22) 보다 전방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셔틀 컨베이어 (310) 의 후방에도 빈 스페이스가 얻어져, 작업자가 본체부 (20) 의 후방 스페이스에 들어가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다.
가동대 (240) 는, 본체부 (20) 로부터 인출될 때 롤러 (264, 282) 를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가동대 (240) 가 경쾌하게 이동됨과 함께, 롤러 (264) 가 레일부 (254) 상을 전동하고, 가이드 (246) 가 가이드 (244) 에 대하여 후방으로 이동된다. 전동시에 있어서의 롤러 (264) 의 정점의 주속은 회전축선의 2 배이고, 롤러 (264) 의 전동에 의해 이동하는 가이드 (246) 의 이동 거리는, 레일 (290) 이 롤러 (264) 의 정상면에 재치된 가동대 (240) 의 절반이고, 가이드 (246) 는 가동대 (240) 의 인출량의 절반량씩, 가이드 (244) 에 대하여 후퇴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 때문에, 가동대 (240), 가이드 (246) 는 각각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퇴단 위치까지 이동된 상태에서도, 가이드 (246, 244) 에 의해 전후 방향의 치수의 거의 절반 길이가 지지되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또, 가이드 (246) 의 롤러 (284) 가 롤러 (264) 와의 사이에서 레일 (290) 을 사이에 끼움으로써, 가동대 (240) 가 뒤로 기울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롤러 (280) 가 가이드 (244) 의 걸어맞춤부 (256) 에 걸어맞춤으로써, 가이드 (246) 가 뒤로 기울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가동대 (240) 를 수납 위치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작업자는 가동대 (240) 를 밀어서 본체부 (20) 내로 이동시킨다. 이 경우에도, 롤러 (264, 282) 의 회전에 의해 가동대 (240) 가 전진됨과 함께, 롤러 (264) 의 전동에 의해 가이드 (246) 가 가이드 (244) 에 대하여 전진되어, 가이드 (244) 내에 수용된다.
또한, 본체부의 지지대부로부터의 인출에 의해, 본체부의 후방에 스페이스가 얻어지기 때문에, 인쇄기를 다른 장치와 등을 맞대게 하여 배치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장치는, 인쇄기여도 되고, 장착기, 접착제 도포기, 기판 검사기 등, 인쇄기 이외의 대 기판 작업기여도 되고, 대 기판 작업기 이외의 장치여도 된다. 예를 들어, 도 1 에 나타내는 전자 회로 조립 라인과 동일한 라인을 2 세트, 좌우 대칭으로 배치 형성하고, 인쇄기끼리, 장착기끼리 서로 등을 맞대도록 하여 설치해도 되고, 혹은 2 세트의 전자 회로 조립 라인을 180 도 회전시킨 위상으로 설치하여, 인쇄기와 장착기가 서로 등을 맞대도록 하여 설치해도 된다. 이와 같이 전자 회로 조립 라인을 설치하면, 생산성이 보다 향상되는 효과가 얻어진다.
전자 회로 조립 라인은, 인쇄기를 1 대 포함하는 라인으로 해도 된다.
또, 인쇄기에 차륜 장치와 부상 방지 장치 중 적어도 일방이 설치되면, 본체부가 지지대부에 대하여, 스토퍼 장치에 의해 규정되는 전진단 위치로 이동된 상태로, 본체부의 무게 중심을, 지지대부의 본체부를 지지하는 부분의 전단보다 전방에 위치시켜, 본체부의 전방에 대한 최대 스트로크를 크게 할 수 있다. 차륜 장치만이 설치되는 경우, 차륜은 항상 바닥면에 접촉하도록 설치된다. 부상 방지 장치만이 설치되는 경우, 본체부와 지지대부를 합한 것의 무게 중심은, 지지대부의 바닥면에 접하는 부분의 전단보다 후방에 위치된다. 양 장치가 설치되는 경우, 차륜은 원칙적으로는 바닥면으로부터 약간 떨어진 상태로 설치되고, 특수한 경우, 예를 들어, 부상 방지 장치의 구성 요소간에 간극이 있으면 접지하여 본체부가 앞으로 기우는 것을 방지하고, 혹은 바닥면에 볼록부가 있으면, 탄성 부재의 탄성 변형에 의해 본체 부재의 자세를 수평으로 유지하면서 이것을 타고 넘는다.
또한 인쇄기는 통과 기판 반송 장치는 갖지 않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러한 인쇄기에 있어서 셔틀 컨베이어는 필요에 따라서 설치되며, 예를 들어, 피인쇄제가 인쇄된 회로 기판이 공급되는 장치가, 평행하게 배치 형성된 복수의 기판 반송 장치를 구비하는 경우에 설치된다.
10 : 스크린 인쇄기
18 : 인쇄기 본체
20 : 본체부
22 : 지지대부
120 : 매뉴얼 구동 장치
122 : 저항 경감 장치
240 : 가동대
242 : 가동대 지지 장치
310 : 셔틀 컨베이어

Claims (7)

  1. (a) 회로 기판을 좌우 방향으로 반송하여, 인쇄 위치에 위치 결정하여 지지하는 기판 반송 지지 장치와, (b) 그 기판 반송 지지 장치에 지지된 회로 기판에 스크린 인쇄를 실시하는 인쇄 장치와, (c) 이들 기판 반송 지지 장치와 인쇄 장치를 유지하는 인쇄기 본체를 포함하는 스크린 인쇄기에 있어서,
    상기 인쇄기 본체의 본체부와 지지대부를 별체로 구성하고, 지지대부에 본체부를 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인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상기 지지대부 사이에,
    상기 지지대부에 전후 방향에 평행하게 고정된 제 1 가이드와, 상기 본체부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가이드와 전후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걸어맞추는 제 1 걸어?춤 블록을 포함하는 제 1 저항 경감부와,
    상기 본체부에 전후 방향에 평행하게 고정된 제 2 가이드와, 상기 지지대부의 전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 2 가이드와 전후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걸어맞추는 제 2 걸어?춤 블록을 포함하는 제 2 저항 경감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의 상기 지지대부에 대한 상대 이동의 저항을 경감하는 저항 경감 장치가 설치된 스크린 인쇄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본체부의 상기 지지대부에 대한 전진단 위치를 규정하는 스토퍼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가 상기 지지대부에 대하여 상기 스토퍼 장치에 의해 규정되는 상기 전진단 위치로 이동된 상태로, 그 본체부의 무게 중심이, 상기 지지대부의 그 본체부를 지지하는 부분의 전단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구성으로 된 스크린 인쇄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또한,
    (a) 상기 본체부에, 전후 방향에 평행한 자세로 또한 회전 가능하게 유지된 이송 나사와, (b) 그 이송 나사를 회전시키기 위해 회전 조작되는 핸들과, (c) 상기 지지대부에 회전 불가능하게 유지되고, 상기 이송 나사와 나사 결합된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핸들의 회전 조작에 따라 상기 본체부를 상기 지지대부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진퇴시키는 매뉴얼 구동 장치와,
    상기 본체부의 상기 지지대부에 대한 후퇴단 위치를 규정하는 스토퍼 장치와,
    동력에 의해 작동하는 액추에이터를 구비하고, 그 액추에이터의 작동력에 기초하여 상기 본체부를 상기 지지대부에 대하여, 상기 스토퍼 장치에 의해 후퇴가 저지될 때까지 후퇴시키는 동력 구동 장치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너트와 상기 지지대부 사이에, 상기 동력 구동 장치에 의해 상기 본체부가 후퇴되는 스트로크 이상의 상대 이동을, 상기 이송 나사의 회전을 수반하지 않고 허용하는 유극이 형성된 스크린 인쇄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스크린 인쇄기의, 상기 본체부 내에 배치 형성되는 장치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는 가동 부재와,
    그 가동 부재를, 상기 본체부 내에 위치하는 수납 위치와, 상기 본체부의 후방으로 노출된 메인터넌스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동 부재 지지 장치를 포함하는 스크린 인쇄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부재 지지 장치가,
    상기 본체부에, 전후 방향에 평행하게 설치된 제 3 가이드와,
    그 제 3 가이드에, 그 제 3 가이드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유지되고, 상기 가동 부재를 전후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유지하는 제 4 가이드와,
    상기 가동 부재가 상기 본체부의 후방으로 인출될 때, 그 가동 부재의 인출 스트로크보다 작은 스트로크만큼 상기 제 4 가이드를 상기 제 3 가이드에 대하여 후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4 가이드 이동 장치를 포함하는 스크린 인쇄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기 본체의 상기 본체부의 상류측과 하류측 중 적어도 일방에, (a) 상기 기판 반송 지지 장치와의 사이에서 회로 기판의 전달을 실시함과 함께, 상기 기판 반송 지지 장치에 의한 회로 기판의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동 컨베이어와, (b) 그 가동 컨베이어를 이동시키는 컨베이어 이동 장치를 포함하는 셔틀 컨베이어가 부착되고, 그 본체부와 함께 상기 지지대부에 대하여 전방으로 이동 가능한 스크린 인쇄기.
KR1020127028622A 2010-04-27 2011-04-25 스크린 인쇄기 KR1018765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02298 2010-04-27
JP2010102298A JP5700951B2 (ja) 2010-04-27 2010-04-27 スクリーン印刷機
JPJP-P-2010-110427 2010-05-12
JP2010110427A JP5634743B2 (ja) 2010-05-12 2010-05-12 スクリーン印刷機
PCT/JP2011/060072 WO2011136180A1 (ja) 2010-04-27 2011-04-25 スクリーン印刷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6233A true KR20130056233A (ko) 2013-05-29
KR101876583B1 KR101876583B1 (ko) 2018-07-10

Family

ID=44861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8622A KR101876583B1 (ko) 2010-04-27 2011-04-25 스크린 인쇄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919248B2 (ko)
KR (1) KR101876583B1 (ko)
CN (1) CN102869512B (ko)
DE (1) DE112011101481B4 (ko)
WO (1) WO20111361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215022B3 (de) * 2014-07-30 2015-09-03 Ekra Automatisierungssysteme Gmbh Drucksystem und Verfahren zum Bedrucken von Substraten
JP6722269B2 (ja) * 2016-02-24 2020-07-15 株式会社Fuji スクリーン印刷機
CN111086318A (zh) * 2020-01-20 2020-05-01 广东捷骏电子科技有限公司 真空丝印机

Family Cites Families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73232A (en) 1977-03-09 1978-02-14 Brewer Harold Hazen Screen printing apparatus
JPS6284871A (ja) * 1985-10-08 1987-04-18 Fuji Kikai Seizo Kk プリント基板スクリ−ン印刷機
JPS62200430A (ja) 1986-02-28 1987-09-04 Nec Corp システム制御方式
JPH02207590A (ja) 1989-02-07 1990-08-17 Ckd Corp 印刷方法及び印刷機
JPH04129630A (ja) 1990-09-20 1992-04-30 Tokico Ltd 搬送装置
JP2949860B2 (ja) 1991-01-14 1999-09-20 ソニー株式会社 スクリーン自動交換印刷機
US5436028A (en) 1992-07-27 1995-07-25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ly applying solder paste to multiple types of printed circuit boards
JPH07241977A (ja) * 1994-03-07 1995-09-19 Sanyo Electric Co Ltd スクリーン印刷機
JPH1044371A (ja) 1996-08-08 1998-02-17 Rhythm Watch Co Ltd スクリーン印刷におけるスキージ機構及びスキージ方法
JP3296726B2 (ja) 1996-08-22 2002-07-02 三洋電機株式会社 はんだペースト認識方法及びスクリーン印刷機
JP2000168040A (ja) 1998-12-04 2000-06-20 Minami Kk スクリーン印刷機
JP2000177100A (ja) 1998-12-17 2000-06-27 Fuji Mach Mfg Co Ltd スクリーン装置
JP2000263749A (ja) * 1999-03-15 2000-09-26 Eitekku Tectron Kk 印刷回路基板用のスクリーン印刷機
JP2001150631A (ja) 1999-11-30 2001-06-05 Minoguruupu:Kk 片持フレーム式スクリーン印刷機における印刷テーブル支持機構
US6836960B2 (en) 2000-05-15 2005-01-0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Board transfer apparatus, board transfer method, and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JP4146985B2 (ja) 2000-05-15 2008-09-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基板搬送装置及び方法、並びに部品実装装置
JP3710693B2 (ja) * 2000-07-26 2005-10-26 理想科学工業株式会社 印刷装置
JP3553511B2 (ja) 2001-02-14 2004-08-11 マイクロ・テック株式会社 スクリーン印刷装置
US6626106B2 (en) 2001-04-17 2003-09-30 Speedline Technologies, Inc. Cleaning apparatus in a stencil printer
JP3880850B2 (ja) 2001-12-07 2007-02-14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スクリーン印刷機
US7363702B2 (en) 2002-04-01 2008-04-29 Fuji Machine Mfg. Co., Ltd. Working system for circuit substrate
JP4320204B2 (ja) 2002-07-19 2009-08-26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対基板作業システム
JP4063044B2 (ja) 2002-10-25 2008-03-1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スクリーン印刷システムおよびスクリーン印刷方法
JP4449376B2 (ja) 2003-09-10 2010-04-14 株式会社日立プラントテクノロジー スクリーン印刷機
JP4443317B2 (ja) 2004-06-15 2010-03-31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スクリーン清掃装置
JP4413717B2 (ja) 2004-09-01 2010-02-10 理想科学工業株式会社 スクリーン印刷装置
JP4647390B2 (ja) 2005-05-18 2011-03-09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スクリーン清掃装置
JP4909539B2 (ja) 2005-07-08 2012-04-04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スキージヘッド
JP4944407B2 (ja) 2005-08-01 2012-05-30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スクリーン・基板位置合わせ方法および装置
JP2007090632A (ja) 2005-09-28 2007-04-12 Yamaha Motor Co Ltd マーク認識方法および印刷装置
JP4870969B2 (ja) 2005-11-02 2012-02-08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印刷装置およびそのカメラ移動方法
JP4857720B2 (ja) 2005-11-11 2012-01-1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スクリーン印刷装置およびスクリーン印刷方法
JP4932285B2 (ja) 2006-03-10 2012-05-16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スクリーン印刷装置
JP5023904B2 (ja) 2007-09-11 2012-09-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スクリーン印刷装置
JP5415011B2 (ja) 2008-04-02 2014-02-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スクリーン印刷装置
JP4872961B2 (ja) 2008-04-04 2012-02-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子部品搭載装置
JP5407187B2 (ja) 2008-06-10 2014-02-05 ソニー株式会社 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スクリーン印刷装置
CN101686635B (zh) 2008-09-27 2014-03-19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电子部件贴装系统及电子部件贴装方法
JP4883071B2 (ja) 2008-10-03 2012-02-2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子部品実装システム
JP4883072B2 (ja) 2008-10-03 2012-02-2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子部品実装システム
JP5679399B2 (ja) * 2008-11-25 2015-03-04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スクリーン印刷機および印刷ユニット
JP5155834B2 (ja) * 2008-12-02 2013-03-06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回路基板検査装置
JP5753699B2 (ja) * 2011-02-09 2015-07-22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印刷作業支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1101481B4 (de) 2023-06-07
CN102869512B (zh) 2014-09-03
DE112011101481T5 (de) 2013-02-07
US20130061766A1 (en) 2013-03-14
CN102869512A (zh) 2013-01-09
WO2011136180A1 (ja) 2011-11-03
US8919248B2 (en) 2014-12-30
KR101876583B1 (ko) 2018-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49186B2 (ja) トレイフィーダー用トランスファ
RU2373089C1 (ru) Транспортиров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несущего типа
CN105436877A (zh) 一种全自动螺丝锁附机构
CN109230515A (zh) 一种自动贴膜机
KR20130056233A (ko) 스크린 인쇄기
CN105163513A (zh) 一种柔性线路板贴片机
CN102941580B (zh) 有限尺寸空间内的大行程机械臂装置
JP3974912B2 (ja) トレーフィーダ
CN107572247B (zh) 一种pcb收放板机及其收放方法
JP3063275B2 (ja) 電子部品実装装置および電子部品実装方法
CN109368401B (zh) 一种取料下降机构和取料提升机构
JP5634743B2 (ja) スクリーン印刷機
CN210626878U (zh) 曝光机自动上下料机的归零装置及其曝光机上下料机
KR101185952B1 (ko) 인슐레이션 패널 표면처리장치 및 그의 방법
KR101474759B1 (ko) 스크린 인쇄 장치
JPWO2015083239A1 (ja) ワーク移送システム
JP5756367B2 (ja) 作業機本体移動装置
JP4681158B2 (ja) 電気部品装着システム
KR101482779B1 (ko) 스크린 이동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스크린 인쇄 장치
JP4484819B2 (ja) 電子回路部品供給装置
CN209832969U (zh) 一种侧喷装置
JP4096837B2 (ja) 電子部品実装用装置の直動機構
JP2003092492A (ja) 部品供給装置および部品供給方法
KR20170089723A (ko) 갠트리 이송 장치
JP6728967B2 (ja) 昇降機能を有する台車コンベ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