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6232A - 스크린 인쇄 라인 및 스크린 인쇄 방법 - Google Patents

스크린 인쇄 라인 및 스크린 인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6232A
KR20130056232A KR1020127028621A KR20127028621A KR20130056232A KR 20130056232 A KR20130056232 A KR 20130056232A KR 1020127028621 A KR1020127028621 A KR 1020127028621A KR 20127028621 A KR20127028621 A KR 20127028621A KR 20130056232 A KR20130056232 A KR 201300562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printing
conveyor
circuit board
shuttle
machin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8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6805B1 (ko
Inventor
마나부 미즈노
다케시 곤도
미츠아키 가토
Original Assignee
후지 기카이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0102298A external-priority patent/JP570095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110426A external-priority patent/JP572643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245587A external-priority patent/JP5719144B2/ja
Application filed by 후지 기카이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기카이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56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62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6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68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08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08Machines
    • B41F15/0881Machines for printing on polyhedral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14Details
    • B41F15/16Printing tables
    • B41F15/18Supports for workpieces
    • B41F15/26Supports for workpieces for articles with flat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12Stencil printing; Silk-screen prin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061Tools for holding the circuit boards during processing; handling transport of printed circuit boar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1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 H05K3/12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thick film techniques, e.g. printing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or similar techniques for applying conductive paste or ink patterns
    • H05K3/121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thick film techniques, e.g. printing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or similar techniques for applying conductive paste or ink patterns by screen printing or stencil printing
    • H05K3/1233Methods or means for supplying the conductive material and for forcing it through the screen or stenci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creen Printers (AREA)
  •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s (AREA)

Abstract

보다 실용적인 스크린 인쇄 라인을 제공한다. 복수 대의 스크린 인쇄기 (10) 와, 그들 복수 대의 스크린 인쇄기 (10) 의 서로 인접하는 것 사이에 배치 형성된 복수 대의 셔틀 컨베이어 (12) 를 포함하는 스크린 인쇄 라인에 있어서, 스크린 인쇄기 (10) 를, 본체와, 기판 지지 장치를 갖는 전컨베이어 (22) 와, 회로 기판의 통과를 허용하는 후컨베이어 (24) 와, 기판 지지 장치에 지지된 회로 기판에 스크린 인쇄를 행하는 인쇄 장치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 복수 대의 셔틀 컨베이어 (12) 를 전컨베이어 (22) 에 이어지는 위치와 후컨베이어 (24) 에 이어지는 위치로 이동 가능한 가동 컨베이어 (152) 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기판 지지 장치와 가동 컨베이어 (152) 의 적어도 일방에 기판 식별 장치 (268) 를 설치하고, 그 기판 식별 장치 (268) 의 식별 결과에 기초하여, 작동 양태 결정부에 의해 스크린 인쇄기 (10) 와 셔틀 컨베이어 (12) 의 적어도 일방의 작동 양태를 결정한다.

Description

스크린 인쇄 라인 및 스크린 인쇄 방법 {SCREEN PRINTING LINE AND SCREEN PRINTING METHOD}
본 발명은, 복수 대의 스크린 인쇄기를 포함하는 스크린 인쇄 라인 및 그 스크린 인쇄 라인에 있어서 행해지는 스크린 인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크린 인쇄기는, 하기의 특허문헌 1 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인쇄 장치 및 기판 반송 지지 장치를 구비하고, 스크린 인쇄기 내에 회로 기판이 반입되어 피인쇄제가 인쇄된다. 인쇄 후, 회로 기판은 스크린 인쇄기로부터 반출되어 회로 기판에 작업을 행하는 대 (對) 기판 작업기에 공급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15307호
그러나, 최근, 스크린 인쇄기로부터 대기판 작업기로의 회로 기판의 공급이 늦어지는 사태가 발생하게 되었다. 예를 들어, 대기판 작업기의 일종인 전자 회로 부품 장착기를 복수 대 포함하는 전자 회로 부품 장착 라인에 있어서, 회로 기판에 대한 전자 회로 부품의 장착 사이클 타임의 단축이 도모되고 있어, 장착 사이클 타임이 회로 기판에 대한 피인쇄제의 인쇄 사이클 타임보다 짧아지면, 회로 기판의 공급이 늦어지는 것이다.
그래서, 본 출원인은, 1 개의 전자 회로 부품 장착 라인에 대해 스크린 인쇄기를 2 대 설치하는 것을 생각하였다. 각 스크린 인쇄기를 전부 (前部) 와 후부 (後部) 에 2 대의 컨베이어를 구비한 것으로 하여, 일방의 스크린 인쇄기에서는 전부의 컨베이어에 기판 지지 장치를 설치하고, 타방의 스크린 인쇄기에서는 후부의 컨베이어에 기판 지지 장치를 설치하는 것이다. 2 대의 스크린 인쇄기에는 컨베이어를 전끼리, 후끼리 이어지는 상태로 설치하고, 회로 기판의 반송 방향에 있어서 상류측의 스크린 인쇄기의 기판 지지 장치가 설치된 컨베이어에 공급된 회로 기판은, 기판 지지 장치에 의해 지지되어 인쇄 장치에 의해 피인쇄제가 인쇄되고, 하류측의 스크린 인쇄기의 기판 지지 장치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컨베이어에 의해 반송되어 전자 회로 부품 장착 라인에 공급되도록 한다. 또, 상류측의 스크린 인쇄기의 기판 지지 장치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컨베이어에 공급된 회로 기판은, 그 스크린 인쇄 장치를 통과하여 하류측의 스크린 인쇄기의 기판 지지 장치가 설치된 컨베이어로 반입되고, 피인쇄제가 인쇄된 후, 전자 회로 부품 장착 라인에 공급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2 대의 스크린 인쇄기에 의해 스크린 인쇄 라인을 구성하면, 대기판 작업 라인에 대한 회로 기판의 공급 사이클 타임을 단축할 수 있는 것이지만, 실용상, 아직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는 점이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사정을 배경으로 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보다 실용적인 스크린 인쇄 라인 및 스크린 인쇄 방법의 제공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A) 좌우로 나란히 배치 형성되고, 각각 회로 기판에 스크린 인쇄를 행하는 복수 대의 스크린 인쇄기와, (B) 그들 스크린 인쇄기 중 서로 인접하는 것인 인접 스크린 인쇄기 사이에 배치 형성되어 회로 기판을 중계하는 1 대 이상의 셔틀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스크린 인쇄 라인으로서, 상기 복수 대의 스크린 인쇄기 각각이, (a) 기판 지지 장치를 갖고 각 스크린 인쇄기의 전부에 설치된 전 (前) 컨베이어와, (b) 각 스크린 인쇄기의 후부에 설치되어 회로 기판의 통과를 허용하는 후 (後) 컨베이어와, (c) 상기 기판 지지 장치에 지지된 회로 기판에 스크린 인쇄를 행하는 인쇄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1 대 이상의 셔틀 컨베이어 각각이, 상기 인접 스크린 인쇄기의 적어도 상기 전컨베이어에 이어지는 위치와 상기 후컨베이어에 이어지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가동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인쇄 라인이 얻어진다.
또, (A) 좌우로 나란히 배치 형성되고, 각각 회로 기판에 스크린 인쇄를 행하는 복수 대의 스크린 인쇄기와, (B) 그들 복수 대의 스크린 인쇄기 각각의 상류측과 하류측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회로 기판을 반송하는 복수 대의 셔틀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스크린 인쇄 라인으로서, 상기 복수 대의 스크린 인쇄기 각각이, (a) 본체와, (b) 기판 지지 장치를 갖고 상기 본체의 전부에 설치된 전컨베이어와, (c) 상기 본체의 후부에 설치되어 회로 기판의 통과를 허용하는 후컨베이어와, (d) 상기 기판 지지 장치에 지지된 회로 기판에 스크린 인쇄를 행하는 인쇄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대의 셔틀 컨베이어 각각이, 적어도 상기 스크린 인쇄기의 상기 전컨베이어에 이어지는 위치와 상기 후컨베이어에 이어지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가동 컨베이어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복수 대의 스크린 인쇄기와 상기 복수 대의 셔틀 컨베이어의 적어도 일방이 회로 기판의 적어도 종류를 식별하는 기판 식별 장치를 포함함과 함께, 당해 스크린 인쇄 라인이, 상기 기판 식별 장치의 식별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스크린 인쇄기와 상기 셔틀 컨베이어의 적어도 일방의 작동 양태를 결정하는 작동 양태 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인쇄 라인이 얻어진다.
또한, (A) 좌우로 나란히 배치 형성되고, 각각 회로 기판에 스크린 인쇄를 행하는 2 대의 스크린 인쇄기와, (B) 그들 2 대의 스크린 인쇄기 사이에 배치 형성되어 회로 기판을 중계하는 셔틀 컨베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2 대의 스크린 인쇄기 각각이, (a) 기판 지지 장치를 갖고 각 스크린 인쇄기의 전부에 설치된 전컨베이어와, (b) 각 스크린 인쇄기의 후부에 설치되어 회로 기판의 통과를 허용하는 후컨베이어와, (c) 상기 기판 지지 장치에 지지된 회로 기판에 스크린 인쇄를 행하는 인쇄 장치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셔틀 컨베이어가, 상기 2 대의 스크린 인쇄기의 적어도 상기 전컨베이어에 이어지는 위치와 상기 후컨베이어에 이어지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가동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스크린 인쇄 라인에 의해 행하는 스크린 인쇄 방법으로서, 상기 2 대의 스크린 인쇄기의 각각에 서로 동일한 마스크를 장착하고, 그들 2 대의 스크린 인쇄기에 있어서 동일한 제품번호의 회로 기판의 동일한 쪽의 면으로의 인쇄를 병행하여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인쇄 방법이 얻어진다.
또, 상기 2 대의 스크린 인쇄기와 그들 사이에 배치 형성된 셔틀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스크린 인쇄 라인에 의해 행하는 다른 스크린 인쇄 방법으로서, 상기 2 대의 스크린 인쇄기의 각각에 서로 상이한 마스크를 장착하고, 그들 2 대의 스크린 인쇄기에 있어서 서로 제품번호를 달리하는 회로 기판으로의 인쇄, 또는 서로 동일한 제품번호의 회로 기판의 표면과 이면으로의 인쇄를 병행하여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인쇄 방법이 얻어진다.
또, 상기 2 대의 스크린과 그들 사이에 배치 형성된 셔틀 컨베이어 대신에, 3 대의 스크린 인쇄기와 그들 사이에 배치 형성된 2 대의 셔틀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스크린 인쇄 라인에 의해 행하는 스크린 인쇄 방법으로서, 상기 3 대의 스크린 인쇄기의 각각에 서로 상이한 마스크를 장착하고, 그들 3 대의 스크린 인쇄기에 있어서 서로 제품번호를 달리하는 3 종류의 회로 기판으로의 인쇄를 병행하여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인쇄 방법이 얻어진다.
또, 상기 2 대의 스크린과 그들 사이에 배치 형성된 셔틀 컨베이어 대신에, 4 대의 스크린 인쇄기와 그들 사이에 배치 형성된 3 대의 셔틀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스크린 인쇄 라인에 의해 행하는 스크린 인쇄 방법으로서, 상기 4 대의 스크린 인쇄기의 2 대씩에 서로 동일한 마스크를 장착하고, 그들 2 대씩의 스크린 인쇄기에 있어서, 서로 제품번호를 달리하는 회로 기판으로의 인쇄, 또는 서로 동일한 제품번호의 회로 기판의 표면과 이면으로의 인쇄를 병행하여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인쇄 방법이 얻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스크린 인쇄 라인에 있어서는, 복수 대의 스크린 인쇄기 중 어느 것에 대해서도 전컨베이어에 기판 지지 장치가 설치되고, 전부에 있어서 인쇄가 행해지는데, 인접하는 스크린 인쇄기 사이에 셔틀 컨베이어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류측의 스크린 인쇄기에 있어서 인쇄가 끝난 회로 기판은 하류측의 스크린 인쇄기의 후컨베이어에 의해 그 하류측의 스크린 인쇄기를 통과하게 되고, 인쇄가 끝나지 않은 회로 기판은 하류측의 스크린 인쇄기의 전컨베이어로 반입되어 피인쇄제가 인쇄되도록 할 수 있어, 복수 대의 스크린 인쇄기에 병행하여 인쇄를 행하게 할 수 있다. 게다가, 복수 대의 스크린 인쇄기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전부에 기판 지지 장치 및 인쇄 장치가 설치되기 때문에, 작업자는 그들 장치에 용이하게 액세스할 수 있어, 단 교체, 청소, 피인쇄제의 보급 등의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상기 스크린 인쇄기, 셔틀 컨베이어, 판독 장치 및 작동 상태 결정부를 포함하는 스크린 인쇄 라인에 의하면, 회로 기판의 종류의 식별에 기초하여 스크린 인쇄기와 셔틀 컨베이어의 적어도 일방의 작동 양태를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잘못된 회로 기판에 인쇄가 행해져 버리는 것과, 셔틀 컨베이어의 가동 컨베이어가 부적절한 위치로 이동되어 버리는 것 중 적어도 일방을 양호하게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 라인 중에 있어서 일부의 회로 기판이 작업자에 의해 발취되거나, 삽입되거나 함으로써, 인쇄 라인을 흐르는 회로 기판의 순서가 예정과 달라진 경우라도, 잘못된 회로 기판에 인쇄가 행해져 버리는 것과, 셔틀 컨베이어의 가동 컨베이어가 부적절한 위치로 이동되어 버리는 것 중 적어도 일방을 양호하게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 본원에 있어서 특허 청구가 가능하다고 인식되고 있는 발명 (이하, 「청구 가능 발명」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청구 가능 발명은,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인 본원 발명의 하위 개념 발명이나, 본원 발명의 상위 개념 혹은 별도 개념의 발명을 포함하는 경우도 있다) 의 양태를 몇 가지 예시하고, 그들에 대해 설명한다. 각 양태는 청구항과 마찬가지로, 항으로 구분하고, 각 항에 번호를 붙이고, 필요에 따라 다른 항의 번호를 인용하는 형식으로 기재한다. 이것은, 어디까지나 청구 가능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이며, 청구 가능 발명을 구성하는 구성 요소의 조합을, 이하의 각 항에 기재된 것에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다. 요컨대, 청구 가능 발명은, 각 항에 부수하는 기재, 실시형태의 기재, 종래 기술, 기술 상식 등을 참작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 해석에 따르는 한에 있어서, 각 항의 양태에 추가로 다른 구성 요소를 부가한 양태도, 또, 각 항의 양태로부터 구성 요소를 삭제한 양태도, 청구 가능 발명의 일 양태가 될 수 있는 것이다.
(1) 좌우로 나란히 배치 형성되고, 각각 회로 기판에 스크린 인쇄를 행하는 복수 대의 스크린 인쇄기와, 그들 스크린 인쇄기 중 서로 인접하는 것인 인접 스크린 인쇄기 사이에 배치 형성되어 회로 기판을 중계하는 1 대 이상의 셔틀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스크린 인쇄 라인으로서,
상기 복수 대의 스크린 인쇄기 각각이, 기판 지지 장치를 갖고 각 스크린 인쇄기의 전부에 설치된 전컨베이어와, 각 스크린 인쇄기의 후부에 설치되어 회로 기판의 통과를 허용하는 후컨베이어와, 상기 기판 지지 장치에 지지된 회로 기판에 스크린 인쇄를 행하는 인쇄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1 대 이상의 셔틀 컨베이어 각각이, 상기 인접 스크린 인쇄기의 적어도 상기 전컨베이어에 이어지는 위치와 상기 후컨베이어에 이어지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가동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인쇄 라인.
본 양태의 스크린 인쇄 라인에 있어서는, 복수 대의 스크린 인쇄기 중 어느 것에 대해서도 전컨베이어에 기판 지지 장치가 설치되고, 전부에 있어서 인쇄가 행해지는데, 인접하는 스크린 인쇄기 사이에 셔틀 컨베이어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류측의 스크린 인쇄기에 있어서 인쇄가 끝난 회로 기판은 하류측의 스크린 인쇄기의 후컨베이어에 의해 그 하류측의 스크린 인쇄기를 통과하게 되고, 인쇄가 끝나지 않은 회로 기판은 하류측의 스크린 인쇄기의 전컨베이어로 반입되어 피인쇄제가 인쇄되도록 할 수 있어, 복수 대의 스크린 인쇄기에 병행하여 인쇄를 행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련된 스크린 인쇄 라인에 의하면, 복수 대의 스크린 인쇄기에 의해 인쇄가 병행하여 행해지는 것에 의한 효과가 얻어지는 데다, 복수 대의 스크린 인쇄기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전부에 기판 지지 장치 및 인쇄 장치가 설치되기 때문에, 작업자는 그들 장치에 용이하게 액세스할 수 있어, 단 교체, 청소, 피인쇄제의 보급 등의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2) 상기 복수 대의 스크린 인쇄기가 2 대의 스크린 인쇄기인 (1) 항에 기재된 스크린 인쇄 라인.
간단한 구성으로 (1) 항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를 유효하게 향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요에 따라 동종 혹은 이종의 인쇄를 병행하여 행할 수 있어, (a) 인쇄 능률의 향상, (b) 인쇄제가 인쇄된 이종의 회로 기판의 공급 가능, (c) 인쇄 중단에 의한 스크린 인쇄기로부터의 기판 공급 중단의 회피 중 적어도 하나의 효과가 얻어진다.
(3) 상기 복수 대의 스크린 인쇄기가 3 대인 스크린 인쇄기이고, 그들 3 대의 스크린 인쇄기 중 상기 인접 스크린 인쇄기 사이에 상기 셔틀 컨베이어가 1 대씩 배치 형성된 (1) 항에 기재된 스크린 인쇄 라인.
스크린 인쇄기의 수가 많을수록, 공급 능률의 대폭적인 향상이나, 인쇄 양태의 다양화를 도모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4) 상기 복수 대의 스크린 인쇄기가 4 대인 스크린 인쇄기이고, 그들 4 대의 스크린 인쇄기 중 상기 인접 스크린 인쇄기 사이에 상기 셔틀 컨베이어가 1 대씩 배치 형성된 (1) 항에 기재된 스크린 인쇄 라인.
(5) 상기 복수 대의 스크린 인쇄기 중 최상류의 것인 최상류 스크린 인쇄기의 상류측에 상기 셔틀 컨베이어가 배치 형성된 (1) 항 내지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크린 인쇄 라인.
최상류 스크린 인쇄기의 전컨베이어와 후컨베이어에 선택적으로 회로 기판을 공급할 수 있다.
(6) 상기 복수 대의 스크린 인쇄기 중 최하류의 것인 최하류 스크린 인쇄기의 하류측에 상기 셔틀 컨베이어가 배치 형성된 (1) 항 내지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크린 인쇄 라인.
스크린 인쇄 라인의 하류측에 배치 형성되는 장치가 컨베이어를 1 레인만 포함하는 경우는 물론, 스크린 인쇄 라인의 하류측에 배치 형성되는 장치가 전컨베이어와 후컨베이어의 2 레인을 포함하는 경우라도, 그들 양 컨베이어의 적어도 일방의 전후 방향의 위치와, 스크린 인쇄기의 전컨베이어와 후컨베이어의 적어도 일방의 전후 방향의 위치가 서로 상이한 경우에 유효하다. 셔틀 컨베이어는, 최하류의 스크린 인쇄기의 전, 후컨베이어 및 하류측에 배치 형성되는 장치 전, 후컨베이어의 전부에 대응하는 위치로 가동 컨베이어가 이동 가능한 구성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7) 상기 셔틀 컨베이어가, 상기 전컨베이어와의 사이에서 회로 기판의 수수를 행하는 위치보다 더 앞으로 상기 가동 컨베이어를 이동시킬 수 있는 구성을 갖는 (1) 항 내지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크린 인쇄 라인.
작업자는 가동 컨베이어에 대한 작업, 예를 들어, 회로 기판에 대한 인쇄 상태의 점검이나, 회로 기판의 발출이나, 가동 컨베이어의 보수, 점검을 가동 컨베이어 근처에서 행할 수 있어, 작업이 용이해진다.
(8) 상기 전컨베이어가, (a) 상기 기판 지지 장치를 갖는 메인 컨베이어와, (b) 그 메인 컨베이어의 상류측에 배치 형성되어 회로 기판을 상기 스크린 인쇄기로 반입하는 인 컨베이어와 상기 메인 컨베이어의 하류측에 배치 형성되어 회로 기판을 상기 스크린 인쇄기로부터 반출하는 아웃 컨베이어의 적어도 일방을 포함하는 (1) 항 내지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크린 인쇄 라인.
회로 기판을 인 컨베이어에 의해 전컨베이어의 기판 지지 장치 근처까지 반입하여, 인쇄가 가능한 상태가 되면, 즉시 기판 지지 장치로 반입하고, 지지시켜 인쇄를 행할 수 있거나, 혹은, 인쇄가 끝난 회로 기판을 아웃 컨베이어에 있어서 반출에 대비하여 대기시켜 둘 수 있어, 그것에 의해, 회로 기판의 반입, 반출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단축하여, 스크린 인쇄기의 가동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9) 상기 인 컨베이어와 상기 아웃 컨베이어의 적어도 일방이, (a) 그 적어도 일방의 반송 폭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스토퍼판과, (b) 그 스토퍼판을, 상기 적어도 일방의 반송 경로 내에 위치하여 회로 기판에 맞닿을 수 있는 작용 위치와, 상기 반송 경로로부터 퇴피하여 회로 기판의 통과를 허용하는 퇴피 위치로 이동시키는 스토퍼판 이동 장치를 포함하는 (8) 항에 기재된 스크린 인쇄 라인.
인 컨베이어나 아웃 컨베이어에 있어서의 회로 기판의 정지 위치 정밀도는 메인 컨베이어의 그것에 비교하여 낮아 지장이 없는 것이 보통이다. 그 사실을 이용하여, 회로 기판이 반송 폭 방향에 있어서 길게 스토퍼판에 맞닿아, 안정적으로 정지하도록 하는 것, 혹은, 회로 기판의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하류측의 단연 (端緣) 이 단순한 직선이 아닌 경우라도 스토퍼 장치의 조절을 행할 필요가 없게 할 수 있다.
본 항에 기재된 특징은 (1) 항 내지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특징과는 별개로 채용할 수 있다.
(10) 상기 인 컨베이어와 상기 아웃 컨베이어의 상기 적어도 일방이, 상기 스토퍼판에 회로 기판이 맞닿은 상태에서 그 회로 기판이 상기 적어도 일방의 상류측의 단으로부터 더욱 상류측으로 돌출하는 것을 허용하는 구성으로 된 (9) 항에 기재된 스크린 인쇄 라인.
인 컨베이어와 아웃 컨베이어의 적어도 일방을 반송 방향에 있어서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11) (2) 항에 기재된 스크린 인쇄 라인에 의해 행하는 스크린 인쇄 방법으로서,
상기 2 대의 스크린 인쇄기의 각각에 서로 동일한 마스크를 장착하고, 그들 2 대의 스크린 인쇄기에 있어서 동일한 제품번호의 회로 기판의 동일한 쪽의 면으로의 인쇄를 병행하여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인쇄 방법.
본 항에 기재된 방법에 의하면, 회로 기판의 표리 일방의 면에 대한 사이클 타임을 반감시킬 수 있다. 또, 일방의 스크린 인쇄기에 있어서 인쇄가 중단되어도, 타방의 스크린 인쇄기에 있어서 인쇄가 행해지기 때문에, 표리 일방의 면에 피인쇄제가 인쇄된 회로 기판의 다음 공정으로의 공급이 중단되지 않아, 다음 공정의 작업이 중단되는 경우가 없다.
(12) (2) 항에 기재된 스크린 인쇄 라인에 의해 행하는 스크린 인쇄 방법으로서,
상기 2 대의 스크린 인쇄기의 각각에 서로 상이한 마스크를 장착하고, 그들 2 대의 스크린 인쇄기에 있어서 서로 제품번호를 달리하는 회로 기판으로의 인쇄, 또는 서로 동일한 제품번호의 회로 기판의 표면과 이면으로의 인쇄를 병행하여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인쇄 방법.
제품번호를 달리하고, 피인쇄제가 인쇄된 2 종류의 회로 기판이 병행하여 얻어지거나, 또는 제품번호가 같지만, 표면에 인쇄가 행해진 회로 기판과 이면에 인쇄가 행해진 회로 기판이 병행하여 얻어진다. 그 때문에, 피인쇄제가 인쇄된 회로 기판에 전자 회로 부품이 장착되는 경우, 전자 회로 부품이 장착된 이종의 회로 기판이 연속하여 얻어진다. 혹은, 소정 장수의 회로 기판 전부에 대해 표면으로의 전자 회로 부품의 장착이 행해지는 것을 기다리지 않고, 이면으로의 전자 회로 부품의 장착을 행할 수 있어, 표리 양면에 전자 회로 부품이 장착된 회로 기판이 신속하게 얻어진다.
(13) (3) 항에 기재된 스크린 인쇄 라인에 의해 행하는 스크린 인쇄 방법으로서,
상기 3 대의 스크린 인쇄기의 각각에 서로 상이한 마스크를 장착하고, 그들 3 대의 스크린 인쇄기에 있어서 서로 제품번호를 달리하는 3 종류의 회로 기판으로의 인쇄를 병행하여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인쇄 방법.
제품번호를 달리하는 3 종류의 회로 기판에 대한 피인쇄제의 인쇄에 대응할 수 있다. (14) (4) 항에 기재된 스크린 인쇄 라인에 의해 행하는 스크린 인쇄 방법으로서,
상기 4 대의 스크린 인쇄기의 2 대씩에 서로 동일한 마스크를 장착하고, 그들 2 대씩의 스크린 인쇄기에 있어서, 서로 제품번호를 달리하는 회로 기판으로의 인쇄, 또는 서로 동일한 제품번호의 회로 기판의 표면과 이면으로의 인쇄를 병행하여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인쇄 방법.
스크린 인쇄 라인에 있어서의 스루풋, 예를 들어, 스크린 인쇄 라인에 있어서 단위 시간당 인쇄할 수 있는 회로 기판의 수가, (12) 항에 기재된 스크린 인쇄 방법이 행해지는 스크린 인쇄 라인의 배가 되어, 하류측의 전자 회로 부품 장착 라인 등의 대 (對) 회로 기판 작업 라인의 가동률이 향상된다. 또, 동일한 인쇄를 행하는 2 대의 스크린 인쇄기의 인쇄가 동시에 중단되지 않는 한, 종류를 달리하는 인쇄가 행해진 2 종류의 회로 기판이 반드시 얻어져, 다음 공정에 있어서 어느 종류의 회로 기판에 대해 공급을 기다릴 가능성이 저감된다.
(15) 본체와, 기판 지지 장치를 갖고 상기 본체의 전부에 설치된 전컨베이어와, 상기 본체의 후부에 설치되어 회로 기판의 통과를 허용하는 후컨베이어와, 상기 기판 지지 장치에 지지된 회로 기판에 스크린 인쇄를 행하는 인쇄 장치를 포함하는 스크린 인쇄기와,
그 스크린 인쇄기의 상류측과 하류측 중 어느 일방에 배치 형성되고, 상기 스크린 인쇄기의 상기 전컨베이어에 이어지는 위치와 상기 후컨베이어에 이어지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가동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셔틀 컨베이어와,
상기 스크린 인쇄기와 상기 셔틀 컨베이어의 적어도 일방에 설치되고, 회로 기판의 적어도 종류를 식별하는 기판 식별 장치와,
그 기판 식별 장치의 식별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스크린 인쇄기와 상기 셔틀 컨베이어의 적어도 일방의 작동 양태를 결정하는 작동 양태 결정부를 포함하는 스크린 인쇄 라인.
기판 식별 장치는, 스크린 인쇄기와 셔틀 컨베이어 중 적어도 상류측에 설치되는 것에 배치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셔틀 컨베이어가 상류측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작동 양태 결정부는, 적어도 셔틀 컨베이어의 가동 컨베이어가 스크린 인쇄기의 전컨베이어와 후컨베이어 중 어느 것에 이어지는 위치로 이동해야 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것이 된다. 또, 스크린 인쇄기가 상류측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작동 양태 결정부는, 적어도 스크린 인쇄기가 회로 기판에 인쇄를 행하여야 할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된다. 기판 식별 장치가 스크린 인쇄기와 셔틀 컨베이어의 양방에 배치 형성되는 경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기판 식별 장치로는, 예를 들어, 회로 기판에 부여된 바코드, 이차원 코드 등의 식별 코드를 판독하는 광학적 판독 장치나, 회로 기판에 부여된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와의 통신에 의해 회로 기판의 식별 코드를 취득하는 RFID 태그 리더 라이터 등의 통신형 인식 장치를 채용할 수 있다. 또, 식별 코드로는, 회로 기판의 종류를 나타내는 것으로 하거나, 종류뿐만 아니라 개개의 회로 기판을 식별 가능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항의 스크린 인쇄 라인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하기의 스크린 인쇄 라인의 일 구성 단위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어쨌든, 회로 기판의 종류의 식별에 기초하여 스크린 인쇄기와 셔틀 컨베이어의 적어도 일방의 작동 양태가 결정되기 때문에, 잘못된 회로 기판에 인쇄가 행해져 버리거나, 가동 컨베이어가 전컨베이어와 후컨베이어 중 부적절한 것에 이어지는 위치로 이동되어 버리는 것을 양호하게 방지할 수 있다.
(16) 좌우로 나란히 배치 형성되고, 각각 회로 기판에 스크린 인쇄를 행하는 복수 대의 스크린 인쇄기와, 그들 복수 대의 스크린 인쇄기 각각의 상류측과 하류측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회로 기판을 반송하는 복수 대의 셔틀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스크린 인쇄 라인으로서,
상기 복수 대의 스크린 인쇄기 각각이, 본체와, 기판 지지 장치를 갖고 상기 본체의 전부에 설치된 전컨베이어와, 상기 본체의 후부에 설치되어 회로 기판의 통과를 허용하는 후컨베이어와, 상기 기판 지지 장치에 지지된 회로 기판에 스크린 인쇄를 행하는 인쇄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대의 셔틀 컨베이어 각각이, 적어도 상기 스크린 인쇄기의 상기 전컨베이어에 이어지는 위치와 상기 후컨베이어에 이어지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가동 컨베이어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복수 대의 스크린 인쇄기와 상기 복수 대의 셔틀 컨베이어의 적어도 일방이 회로 기판의 적어도 종류를 식별하는 기판 식별 장치를 포함함과 함께, 당해 스크린 인쇄 라인이, 상기 기판 식별 장치의 식별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스크린 인쇄기와 상기 셔틀 컨베이어의 적어도 일방의 작동 양태를 결정하는 작동 양태 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인쇄 라인.
상기 (2) 항 내지 (10) 항에 기재된 특징은, 본 (16) 항부터 하기 (21) 항까지에 기재된 스크린 인쇄 라인에도 적용 가능하다.
(17) 당해 스크린 인쇄 라인이, 상기 복수 대의 스크린 인쇄기 각각을 제어하는 복수의 제어 컴퓨터와, 그들 제어 컴퓨터에 접속된 호스트 컴퓨터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 식별 장치가 상기 복수 대의 셔틀 컨베이어의 각각에 설치됨과 함께 상기 호스트 컴퓨터에 접속되고, 그 호스트 컴퓨터가 상기 작동 양태 결정부를 포함하고, 그 작동 양태 결정부가 결정한 작동 양태로 상기 스크린 인쇄기를 작동시킬 것을 상기 제어 컴퓨터에 지령하는 (16) 항에 기재된 스크린 인쇄 라인.
제어 컴퓨터를 셔틀 컨베이어도 제어하는 것으로 할 수 있고, 그 경우에는, 제어 컴퓨터가, 호스트 컴퓨터의 지령에 기초하여, 셔틀 컨베이어를 작동 양태 결정부가 결정한 작동 양태로 작동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18) 상기 기판 식별 장치가 상기 복수 대의 셔틀 컨베이어의 각각에 설치되고, 상기 작동 양태 결정부가, 상기 기판 식별 장치의 각각에 의한 식별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가동 컨베이어 각각이 그들의 하류측에 배치 형성되어 있는 상기 스크린 인쇄기의 상기 전컨베이어에 이어지는 위치와 상기 후컨베이어에 이어지는 위치 중 어느 곳으로 이동되어야 할지를 결정하는 (16) 에 기재된 스크린 인쇄 라인.
전컨베이어에 공급된 회로 기판에는 반드시 인쇄가 행해지도록 하면, 가동 컨베이어가 스크린 인쇄기의 전컨베이어에 이어지는 위치와 후컨베이어에 이어지는 위치 중 어느 곳으로 이동되어야 할지를 결정하는 것은, 즉, 하류측에 배치 형성된 스크린 인쇄기에 의해 인쇄가 행해져야 할지의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19) 당해 스크린 인쇄 라인이, 상기 복수 대의 스크린 인쇄기 각각을 제어하는 복수의 제어 컴퓨터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 식별 장치가 상기 복수 대의 스크린 인쇄기 각각의 상기 전컨베이어에 설치되고, 상기 작동 양태 결정부가 상기 복수의 제어 컴퓨터의 각각에 설치되고, 당해 제어 컴퓨터에 대응하는 상기 스크린 인쇄기가 상기 기판 식별 장치에 의해 식별된 회로 기판에 인쇄를 행하여야 할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16) 항에 기재된 스크린 인쇄 라인.
기판 식별 장치를 스크린 인쇄기의 전컨베이어에 설치하면, 스크린 인쇄 라인 도중에 회로 기판의 발취나 삽입이 행해진 경우라도, 잘못된 인쇄가 행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인쇄 장치에는, 회로 기판의 기준 마크를 인식하는 기준 마크 인식 장치가 설치되는 것이 보통이기 때문에, 그 기준 마크 인식 장치를 기판 식별 장치로서 이용하면, 장치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혹은, 기준 마크 인식 장치와는 별도로 기판 식별 장치를 설치하는 경우에도, 기준 마크 인식 장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장치를 기판 식별 장치의 이동 장치로서 이용하면, 장치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20) 상기 기판 식별 장치가, 상기 복수 대의 셔틀 컨베이어의 각각과 상기 복수 대의 스크린 인쇄기의 각각의 양방에 설치되고, 상기 작동 양태 결정부가,
상기 복수 대의 셔틀 컨베이어의 각각에 설치된 기판 식별 장치에 의한 식별 결과에 기초하여, 각 셔틀 컨베이어의 가동 컨베이어가 하류측의 상기 스크린 인쇄기의 상기 전컨베이어와 상기 후컨베이어 중 어느 것에 이어지는 위치로 이동되어야 할지를 결정하는 이동 위치 결정부와,
상기 복수 대의 스크린 인쇄기의 각각에 설치된 상기 기판 식별 장치에 의한 식별 결과에 기초하여, 그들 기판 식별 장치에 의해 식별된 회로 기판에, 각 기판 식별 장치가 설치된 상기 스크린 인쇄기에 의해 인쇄가 행해져야 할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인쇄 결정부를 포함하는 (16) 항에 기재된 스크린 인쇄 라인.
본 항의 구성을 채용하면, 전컨베이어와 후컨베이어로의 회로 기판의 인도가 잘못 행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셔틀 컨베이어에 있어서 회로 기판의 식별이 행해진 후에 회로 기판의 발취나 삽입이 행해진 경우에도 잘못된 인쇄가 행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21) 좌우로 나란히 배치 형성되고, 각각 회로 기판에 스크린 인쇄를 행하는 복수 대의 스크린 인쇄기와, 그들 복수 대의 스크린 인쇄기의 서로 이웃하는 것 사이에 배치 형성되어 상류측의 스크린 인쇄기로부터 하류측의 스크린 인쇄기로 회로 기판을 중계하는 1 대 이상의 셔틀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스크린 인쇄 라인으로서,
상기 복수 대의 스크린 인쇄기 각각이, 본체와, 기판 지지 장치를 갖고 상기 본체의 전부에 설치된 전컨베이어와, 상기 본체의 후부에 설치되어 회로 기판의 통과를 허용하는 후컨베이어와, 상기 기판 지지 장치에 지지된 회로 기판에 스크린 인쇄를 행하는 인쇄 장치를 포함하고, 또한, 당해 스크린 인쇄 라인이,
상기 복수 대의 스크린 인쇄기의 각각에 설치되고, 회로 기판의 적어도 종류를 식별하는 복수의 기판 식별 장치와,
그들 기판 식별 장치에 의한 식별 결과에 기초하여, 그 식별된 회로 기판에, 그들 기판 식별 장치의 각각이 설치되어 있는 상기 스크린 인쇄기가 인쇄를 행하여야 할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인쇄 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인쇄 라인.
본 항의 구성을 채용하면, 스크린 인쇄 라인 도중에 회로 기판의 발취나 삽입이 행해진 경우에도 잘못된 인쇄가 행해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1) 항 내지 (14) 항에 기재된 스크린 인쇄 방법은, 상기 (16) 항 내지 (21) 항에 기재된 스크린 인쇄 라인을 사용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또, 상기 (16) 항 내지 (21) 항에 기재된 스크린 인쇄 라인에 있어서, 스크린 인쇄기를, 본체의 전부에 설치된 전컨베이어와 후부에 설치된 후컨베이어의 양방에 기판 지지 장치가 설치되고, 그들 양방의 기판 지지 장치에 지지된 회로 기판에 대해 스크린 인쇄를 행할 수 있는 인쇄 장치를 포함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그 경우, 스크린 인쇄기에 기판 식별 장치가 설치되는 양태에 있어서는, 2 개의 기판 지지 장치의 각각에 대해 기판 식별 장치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컨베이어와 후컨베이어의 양방의 기판 지지 장치에 지지된 회로 기판에 스크린 인쇄를 행할 수 있는 인쇄 장치」로는, 예를 들어, 양방의 기판 지지 장치에 각각 대응한 2 개의 인쇄 장치나, 양방의 기판 지지 장치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 가능한 1 개의 인쇄 장치를 채용할 수 있다.
또, 상기 (16) 항 내지 (21) 항에 기재된 스크린 인쇄 라인에 있어서, 복수 대의 스크린 인쇄기를, 본체의 전부에 설치된 전컨베이어에 기판 지지 장치가 설치된 스크린 인쇄기와, 본체의 후부에 설치된 후컨베이어에 기판 지지 장치가 설치된 스크린 인쇄기의 양방을 포함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도 1 은 청구 가능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스크린 인쇄 라인을 포함하는 전자 회로 조립 라인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상기 스크린 인쇄 라인을 구성하는 2 대씩의 스크린 인쇄기 및 셔틀 컨베이어 중 1 대씩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 은 상기 스크린 인쇄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 는 상기 스크린 인쇄기의 인 컨베이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 는 상기 인 컨베이어를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도 5(a) 는 스토퍼판이 퇴피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b) 는 작용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은 상기 전자 회로 조립 라인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 은 상기 전자 회로 조립 라인에 있어서의 회로 기판에 대한 땜납의 인쇄 및 전자 회로 부품의 장착의 일 양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 은 상기 전자 회로 조립 라인에 있어서의 회로 기판에 대한 땜납의 인쇄 및 전자 회로 부품의 장착의 다른 양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 는 다른 실시형태인 스크린 인쇄 라인을 포함하는 전자 회로 조립 라인에 있어서의 회로 기판에 대한 땜납의 인쇄 및 전자 회로 부품의 장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 은 또 다른 실시형태인 스크린 인쇄 라인을 포함하는 전자 회로 조립 라인에 있어서의 회로 기판에 대한 땜납의 인쇄 및 전자 회로 부품의 장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 은 또 다른 실시형태인 스크린 인쇄 라인을 포함하는 전자 회로 조립 라인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 는 또 다른 실시형태인 스크린 인쇄 라인을 포함하는 전자 회로 조립 라인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 은 또 다른 실시형태인 스크린 인쇄 라인을 포함하는 전자 회로 조립 라인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청구 가능 발명의 몇 가지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청구 가능 발명은, 하기 실시형태 외에, 상기〔발명의 양태〕의 항에 기재된 양태를 비롯하여, 당업자의 지식에 기초하여 여러 가지 변경을 가한 양태로 실시할 수 있다.
도 1 에, 청구 가능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스크린 인쇄 라인을 포함하는 전자 회로 조립 라인을 도시한다. 본 전자 회로 조립 라인은, 복수 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2 대의 스크린 인쇄기 (10) (이후, 인쇄기 (10) 라고 약칭한다) 와, 1 대 이상,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2 대의 셔틀 컨베이어 (12) 와, 1 대 이상,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복수 대, 예를 들어, 4 대의 전자 회로 부품 장착기 (14) (이후, 장착기 (14) 라고 약칭한다) 를 구비하고 있다. 인쇄기 (10) 및 장착기 (14) 는, 회로 기판에 대해 작업을 실시하는 대기판 작업기의 일종이며, 전자 회로 조립 라인은 대기판 작업 라인의 일종이다. 2 대의 인쇄기 (10) 는, 4 대의 장착기 (14) 에 대해, 전자 회로 조립 라인에 있어서의 회로 기판의 반송 방향에 있어서 상류측에 서로 인접하고, 반송 방향과 평행하게 좌우로 나란히 배치 형성되고, 2 대의 셔틀 컨베이어 (12) 의 일방은 2 대의 인쇄기 (10) 사이에 설치되고, 타방은, 최하류의 인쇄기 (10) 인 하류측의 인쇄기 (10) 의 하류측으로서, 그 인쇄기 (10) 에 인접하는 장착기 (14) 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좌우 방향이 회로 기판의 반송 방향이고,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은 모두 수평이다.
2 대씩의 인쇄기 (10) 및 셔틀 컨베이어 (12) 는 각각,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류측의 인쇄기 (10) 및 셔틀 컨베이어 (12) 를 대표하여 설명한다.
인쇄기 (10) 는, 도 2 및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쇄기 본체 (20), 전컨베이어 (22), 후컨베이어 (24), 마스크 유지 장치 (26), 인쇄 장치 (28) 및 제어 장치 (30) 를 구비하고 있다. 본 마스크 유지 장치 (26) 는, 인쇄기 본체 (20) 의, 전컨베이어 (22) 의 후술하는 메인 컨베이어의 상방에 설치되고, 마스크 지지대 (32) 상에 탑재된 마스크 (34) 를 수평인 자세로 유지한다. 인쇄 장치 (28) 는, 1 쌍의 스퀴지 (42), 그들 스퀴지 (42) 를 마스크 (34) 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스퀴지 이동 장치 (44) 및 스퀴지 (42) 를 승강시켜, 마스크 (34) 에 접촉, 이간시키는 스퀴지 승강 장치 (46) 를 포함하고, 인쇄기 본체 (20) 의 마스크 유지 장치 (26) 의 상방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전컨베이어 (22) 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쇄기 본체 (20) 의 전부에 설치되고, 후컨베이어 (24) 는 후부에 설치되어 있다. 전컨베이어 (22) 는 메인 컨베이어 (50) 와, 반송 방향에 있어서 메인 컨베이어 (50) 의 상류측에 배치 형성된 인 컨베이어 (52) 와, 하류측에 배치 형성된 아웃 컨베이어 (54) 를 포함한다. 메인 컨베이어 (50) 는, 컨베이어 장치 (60) 및 기판 지지 장치 (62) 를 포함한다. 컨베이어 장치 (60) 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벨트 컨베이어에 의해 구성되고, 1 쌍의 컨베이어 벨트 (64) 와, 그들 컨베이어 벨트 (64) 를 각각 주회시키는 벨트 주회 장치 (66) 를 포함한다. 1 쌍의 컨베이어 벨트 (64) 는 각각, 사이드 프레임 (68) 에 의해 주회 가능하게 지지되고, 주회용 모터 (70) 를 구동원으로 하는 벨트 주회 장치 (66) 에 의해 동기하여 주회되고, 회로 기판을 그 피인쇄면이 수평이 되는 자세로 반송한다.
1 쌍의 사이드 프레임 (68) 의 일방 (도 2 에 있어서는 하측의 사이드 프레임 (68)) 은 위치를 고정시켜 설치된 고정 사이드 프레임 (68) 이 되고, 타방은 고정 사이드 프레임 (68) 에 대해 접근, 이간 가능하게 설치된 가동 사이드 프레임 (68) 이 되어, 반송 폭 변경 장치 (78) 에 의해 이동된다. 본 반송 폭 변경 장치 (78) 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원인 폭 변경용 모터 (80) 와, 가동 사이드 프레임 (68) 이 연결된 벨트 (82) 와, 고정 사이드 프레임 (68) 및 메인 컨베이어 (50) 의 본체 (83) 에 각각 장착되고, 벨트 (82) 가 감긴 풀리 (84) 를 포함한다. 벨트 (82) 및 풀리 (84) 는 각각, 타이밍 벨트 및 타이밍 풀리로 되어 있다. 복수의 풀리 (84) 중 하나가 폭 변경용 모터 (80) 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벨트 (82) 가 이동되고, 가동 사이드 프레임 (68) 이 안내 장치 (도시 생략) 에 의해 안내되면서 이동된다. 그것에 의해, 1 쌍의 사이드 프레임 (68) 의 간격이 변경되어 반송 폭이 자동으로 변경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기판 지지 장치 (62) 는, 도 3 에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 부재인 복수의 지지 핀 (90), 핀 지지대 (92) 및 지지대 승강 장치 (94) 를 포함하고, 회로 기판 (96) 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기판 지지 장치 (62) 는 컨베이어 장치 (60) 와 공동으로 기판 클램프 장치를 구성하고, 메인 컨베이어 (50) 가 승강 장치 (도시 생략) 에 의해 승강됨으로써, 회로 기판 (96) 이 마스크 (34) 의 하면에 접촉 이간된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메인 컨베이어 (50) 에는 스토퍼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스토퍼 장치는, 스토퍼 부재와, 스토퍼 부재를 수평면 내의 임의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스토퍼 부재 이동 장치를 구비하고, 스토퍼 부재가 소정의 위치에 위치되고, 회로 기판의 하류측 단에 맞닿아, 그 이동을 멈춘다.
상기 인 컨베이어 (52) 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인 컨베이어 (50) 와 마찬가지로 컨베이어 장치 (100) 및 반송 폭 변경 장치 (102) 를 구비하고 있고, 동일한 작용을 이루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대응 관계를 나타내고, 설명을 생략한다. 인 컨베이어 (52) 의 스토퍼 장치 (110) 는, 도 4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상의 스토퍼판 (112) 과, 스토퍼판 이동 장치인 스토퍼판 승강 장치 (114) 를 포함하고, 인 컨베이어 (52) 의 반송 방향에 있어서 하류측 단부 (端部) 에 설치되어 있다.
스토퍼판 승강 장치 (114) 는 에어 실린더 (116) 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에어 실린더는 유체압 액추에이터의 일종인 유체압 실린더이며, 구동원을 구성한다. 에어 실린더 (116) 는, 도 4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 컨베이어 (52) 의 본체 (118) 에 상방향으로 설치되고, 피스톤 로드 (120) 의 돌출 단부에 스토퍼판 (112) 이 장착되어 있다. 스토퍼판 (112) 은, 그 길이 방향이 반송 폭 방향과 평행이 되고, 판면이 반송 방향과 직각이며, 연직이 되는 자세로 피스톤 로드 (120) 에 장착되어 있다. 스토퍼판 (112) 은 또한, 반송 방향에 있어서는, 고정 사이드 프레임 (68) 및 가동 사이드 프레임 (68) 으로부터 하류측으로 벗어난 위치에 배치 형성되고, 스토퍼판 승강 장치 (114) 는 스토퍼판 (112) 보다 상류측에 배치 형성되어 있다.
본 인쇄기 (10) 에 있어서 회로 기판 (96) 은,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길이 방향이 전컨베이어 (22) 의 반송 폭 방향과 평행이 되는 자세로 반송되고, 스토퍼판 (112) 은, 피인쇄제인 크림상 땜납 (이후, 땜납이라고 약칭한다) 의 인쇄가 예정되어 있는 복수 종류의 회로 기판 중, 길이가 가장 긴 회로 기판 이상의 길이로 되어 있다. 스토퍼판 (112) 은, 길이 방향의 일단부가 고정 사이드 프레임 (68) 측에 위치하고, 타단부는 가동 사이드 프레임 (68) 을 넘어 연장되어, 어느 종류의 회로 기판에 대해서도, 그 하류측 단부의 전체에 맞닿아 이동을 멈출 수 있다. 판상의 스토퍼판 (112) 은 얇아, 인 컨베이어 (52) 의 하류측 단부에 설치해도 메인 컨베이어 (50) 측으로 비어져 나오는 경우가 없고, 또, 인 컨베이어 (52) 의 폭을 크게 하지 않고, 스토퍼 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스토퍼판 (112) 은, 피스톤 로드 (120) 의 신축에 의해, 도 5(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 컨베이어 (52) 에 의한 회로 기판 (96) 의 반송 경로로부터 하방으로 퇴피하여 회로 기판 (96) 의 통과를 허용하는 퇴피 위치와, 도 5(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 경로 내에 위치하여 회로 기판 (96) 에 맞닿아, 그 이동을 멈추는 작용 위치로 이동된다. 스토퍼판 (112) 의 승강은, 안내 장치 (122) 에 의해 안내된다. 안내 장치 (122) 는,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토퍼판 (112) 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각각,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자세로 설치된 1 쌍의 피안내 부재로서의 가이드 로드 (124) 와, 고정 사이드 프레임 (68) 과, 본체 (118) 의 지지부 (125) 에 각각 설치되고, 가이드 로드 (124) 가 승강 가능하게 끼워 맞춰진 안내 부재로서의 가이드 블록 (126) 을 포함한다. 상기 아웃 컨베이어 (54) 는, 인 컨베이어 (52) 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본 인쇄기 (10) 에 있어서는, 인 컨베이어 (52) 및 아웃 컨베이어 (54) 의 반송 방향의 치수는, 땜납의 인쇄가 예정되어 있는 모든 종류의 회로 기판의 반송 방향의 치수 중 최대 치수보다 짧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회로 기판의 종류에 따라서는, 스토퍼 장치 (110) 에 의해 이동이 정지된 상태에 있어서, 도 2 에 2 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회로 기판 (96) 과 같이, 그 반송 방향에 있어서 상류측의 단부가 컨베이어 (52, 54) 로부터 상류측으로 비어져 나오는 경우가 있다. 이 비어져 나온 양에 따라서는 컨베이어 (52, 54) 의 상류측에 배치 형성된 장치,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인 컨베이어 (52) 에 대해서는 셔틀 컨베이어 (12), 아웃 컨베이어 (54) 에 대해서는 메인 컨베이어 (50) 를 작동시킬 수 없는 경우가 있고, 그러한 경우에는 컨베이어 (52, 54) 로부터 회로 기판이 반출될 때까지 상류측 장치의 작동이 금지된다.
상기 후컨베이어 (24) 는 전컨베이어 (22) 와 평행하게 설치되고,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쇄기 (10) 의 반송 방향에 있어서 일방의 단에서 타방의 단에 이르는 길이를 구비하고 있다. 후컨베이어 (24) 는, 컨베이어 (52, 54) 와 마찬가지로, 컨베이어 장치 (130), 반송 폭 변경 장치 (132) 및 스토퍼 장치 (134) 를 구비하고 있고, 동일한 작용을 이루는 구성용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대응 관계를 나타내고, 설명을 생략한다.
인쇄기 본체 (20) 에 설치된 각종 장치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140) 에 의해 덮여 있다. 하우징 (140) 의 천벽부 (天壁部) (142) 의 전부는 개폐 가능한 커버 (144) 로 되어 있고, 작업자는 커버 (144) 를 열어 하우징 (140) 내의 장치에 대해 작업을 행한다.
상기 제어 장치 (30) 는 제어 컴퓨터를 주체로 하여 구성되고, 인쇄기 (10) 를 구성하는 각종 장치의 구동원 등을 제어한다. 구동원을 구성하는 모터의 상당수는 전동 모터의 일종으로서, 회전 각도의 정확한 제어가 가능한 전동 회전 모터인 서보 모터에 의해 구성된다. 리니어 모터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제어 장치 (30) 는, 전자 회로 조립 라인 전체를 제어하는 통괄 제어 장치 (148) (도 1 참조) 에 의해 통괄하여 제어된다. 통괄 제어 장치 (148) 는 호스트 컴퓨터를 주체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셔틀 컨베이어 (12) 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컨베이어 본체 (150) 와, 가동 컨베이어 (152) 와, 가동 컨베이어 이동 장치 (154) 를 포함한다. 가동 컨베이어 (152) 는, 컨베이어 장치 (160), 반송 폭 변경 장치 (162) 및 스토퍼 장치 (164) 를 구비하고 있다. 컨베이어 장치 (160) 는, 상기 컨베이어 (52, 54) 의 컨베이어 장치 (100) 와 동일하게 구성되고, 1 쌍의 사이드 프레임 (166) 에 각각 지지된 컨베이어 벨트 (168) 와, 주회용 모터 (169) 를 구동원으로 하고, 1 쌍의 컨베이어 벨트 (168) 를 각각 주회시키는 벨트 주회 장치 (170) 를 포함한다.
반송 폭 변경 장치 (162) 는, 폭 변경용 모터 (174), 벨트 (176) 및 복수의 풀리 (178) 를 포함하고, 고정 사이드 프레임 (166) (도 2 에 있어서는 하측의 사이드 프레임 (166)) 과 지지 프레임 (180) 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폭 변경용 모터 (174) 의 구동에 의해 벨트 (176) 가 이동됨으로써, 벨트 (176) 에 연결된 가동 사이드 프레임 (166) 이 고정 사이드 프레임 (166) 과 지지 프레임 (180) 에 대해 반송 폭 방향 내지 전후 방향의 임의의 위치로 이동된다. 또한, 사이드 프레임 (166) 의 고정, 가동은 반송 폭 변경 상에서의 것이다.
가동 컨베이어 이동 장치 (154) 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원인 셔틀용 모터 (190), 벨트 (192) 및 복수의 풀리 (194) 를 포함한다. 벨트 (192) 는 타이밍 벨트가 되고, 풀리 (194) 는 타이밍 풀리로 되어 있다. 복수의 풀리 (194) 중 하나가 셔틀용 모터 (190) 에 의해 회전되고, 벨트 (192) 가 이동됨으로써, 벨트 (192) 에 연결된 고정 사이드 프레임 (166) 및 지지 프레임 (180) 이 이동됨과 함께, 반송 폭 변경 장치 (162) 를 통해 가동 사이드 프레임 (166) 이 함께 이동되고, 가동 컨베이어 (152) 가 전후 방향의 임의의 위치로 이동된다.
1 쌍의 사이드 프레임 (166) 및 지지 프레임 (180) 의 이동은,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내 장치 (200) 에 의해 안내된다. 안내 장치 (200) 는 전후 방향으로 배치 형성된 1 쌍의 가이드 로드 (202) 를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벨트 (192) 및 1 쌍의 가이드 로드 (202) 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인쇄기 (10) 의 후컨베이어 (24) 의 후방측으로부터 전컨베이어 (22) 를 넘어, 전컨베이어 (22) 보다 전방으로 연장되고, 가동 컨베이어 (152) 의 이동 스트로크는, 인쇄기 (10) 의 후컨베이어 (24) 의 후단에서 전컨베이어 (22) 의 전단까지의 거리보다 길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가동 컨베이어 (152) 는, 도 2 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컨베이어 (22) 에 이어져, 회로 기판의 수수를 행하는 위치보다 더 앞쪽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 상태에서 작업자는, 셔틀 컨베이어 (12) 의 전부에 설치된 커버 (204) (도 1 참조) 를 열어, 가동 컨베이어 (152) 의 근처에서 가동 컨베이어 (152) 에 대한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커버 (204) 가 설치된 셔틀 컨베이어 (12) 의 하우징 및 인쇄기 (10) 의 하우징 (140) 에는 각각, 회로 기판의 수수를 위한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 장치 (164) 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토퍼 부재인 스토퍼편 (210) 과, 스토퍼편 이동 장치인 스토퍼편 승강 장치 (212) 를 구비하고, 가동 사이드 프레임 (166) 의 하류측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스토퍼편 승강 장치 (212) 는 에어 실린더에 의해 구성되고, 스토퍼편 (210) 을, 반송 경로 내에 위치하여 회로 기판에 맞닿을 수 있는 작용 위치로 하강시키고, 반송 경로의 상방으로 퇴피하여 회로 기판의 통과를 허용하는 퇴피 위치로 상승시킨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셔틀 컨베이어 (12) 는, 상류측에 인접하는 인쇄기 (10) 의 제어 장치 (30) 에 의해 제어된다. 셔틀 컨베이어 (12) 에 제어 장치를 설치해도 된다.
상기 4 대의 장착기 (14) 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104075호에 기재된 전자 회로 부품 장착기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모듈화되어 있고, 도 1 에 일부를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 장착기 본체 (228), 기판 반송 장치 (230), 기판 지지 장치 (232) (도 6 참조), 부품 공급 장치 (234), 부품 장착 장치 (236) 및 제어 장치 (238) 등을 포함하고, 1 장의 회로 기판에 대한 전자 회로 부품의 장착을 분담하고, 병행하여 행한다. 기판 반송 장치 (230) 는, 1 쌍의 컨베이어 (240) 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컨베이어 (240) 는,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착기 본체 (228) 의 전후 방향으로 나란히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고, 앞쪽의 컨베이어 (240) (도 6 에 있어서는 하측의 컨베이어 (240)) 를 전컨베이어 (240), 뒤쪽의 컨베이어 (240) 를 후컨베이어 (240) 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컨베이어 (240) 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벨트 컨베이어에 의해 구성되고, 도시를 생략한 반송 폭 변경 장치에 의해, 반송 폭이 자동적으로 조절된다. 기판 지지 장치 (232) 는 2 개의 컨베이어 (240) 의 각각에 대해 설치되고, 어느 컨베이어 (240) 에 의해 반송되는 회로 기판도, 기판 지지 장치 (232) 에 의해 지지되어, 전자 회로 부품의 장착이 행해진다. 제어 장치 (238) 는 컴퓨터를 주체로 하여 구성되고, 상기 통괄 제어 장치 (148) 에 의해 통괄하여 제어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전자 회로 조립 라인에 있어서는, 여러 가지 양태로 회로 기판에 대한 땜납의 인쇄가 행해진다. 그 하나를 도 7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이 양태는, 2 대의 인쇄기 (10) 에 있어서 서로 동일한 제품번호의 회로 기판의 표면과 이면으로의 땜납의 인쇄를 병행하여 행하는 양태로서, 장착기 (14) 에 있어서는, 땜납이 인쇄된 면에 따른 전자 회로 부품의 장착이 행해진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2 대의 인쇄기 (10) 중, 상류측의 인쇄기 (10) (이후, 상류 인쇄기 (10) 라고 약칭한다) 에 의해 회로 기판의 표면에 대한 땜납의 인쇄가 행해지고, 하류측의 인쇄기 (10) (이후, 하류 인쇄기 (10) 라고 약칭한다) 에 의해 회로 기판의 이면에 대한 땜납의 인쇄가 행해진다. 2 대의 인쇄기 (10) 에 있어서 각각, 회로 기판의 땜납이 인쇄되는 면에 따른 마스크 (34) 가 유지된다.
2 대의 인쇄기 (10) 에 있어서는 모두, 전컨베이어 (22) 의 인 컨베이어 (52), 아웃 컨베이어 (54) 및 후컨베이어 (24) 에 회로 기판이 반입될 때, 스토퍼판 (112) 이 작용 위치에 있어 회로 기판을 멈추고, 회로 기판의 반출시에는 퇴피 위치로 퇴피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스토퍼판 (112) 이 각 컨베이어 (52, 54, 24) 의 하류단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회로 기판을 인 컨베이어 (52) 에, 메인 컨베이어 (50) 에 인접하는 위치까지 반입하고, 후컨베이어 (24) 및 아웃 컨베이어 (54) 에, 셔틀 컨베이어 (12) 에 인접하는 위치까지 반입하여, 대기시켜 둘 수 있다. 그 때문에, 회로 기판의 메인 컨베이어 (50) 및 셔틀 컨베이어 (12) 로의 반입을 신속히 행할 수 있다.
또, 2 대의 셔틀 컨베이어 (12) 중, 인접하는 2 대의 인쇄기 (10) 사이에 배치된 상류측의 셔틀 컨베이어 (12) 의 가동 컨베이어 (152) (이후, 상류 가동 컨베이어 (152) 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는, 도 7(a) 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류측, 하류측의 양 인쇄기 (10) 의 각 전컨베이어 (22) 와의 전후 방향의 위치가 일치하여, 전컨베이어 (22) 에 이어지는 전컨베이어 대응 위치와, 2 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 인쇄기 (10) 의 각 후컨베이어 (24) 와의 전후 방향의 위치가 일치하여, 후컨베이어 (24) 에 이어지는 후컨베이어 대응 위치로 이동된다. 또한, 인접하는 인쇄기 (10) 의 전끼리의 컨베이어 (22) 사이, 후끼리의 컨베이어 (24) 사이에 전후 방향의 위치 어긋남이 있어도, 상류 가동 컨베이어 (152) 를 상, 하류의 각 전컨베이어 (22), 상, 하류의 각 후컨베이어 (24) 에 각각 이어지는 위치에 정지시킴으로써, 위치 어긋남을 보충하여 회로 기판의 수수를 행할 수 있다. 전끼리, 후끼리의 컨베이어 (22, 24) 사이의 위치 어긋남은, 인쇄기 (10) 의 위치 어긋남과, 컨베이어 (22, 24) 의 인쇄기 (10) 에 있어서의 위치 어긋남의 적어도 일방에 의해 발생하지만, 어느 것에 의한 위치 어긋남도 보충되어, 컨베이어 (22, 24) 의 인쇄기 (10) 에 있어서의 설치도, 인쇄기 (10) 의 설치도 용이해진다.
또한, 하류 인쇄기 (10) 와 최상류의 장착기 (14) 사이에 배치된 하류측의 셔틀 컨베이어 (12) 의 가동 컨베이어 (152) (이후, 하류 가동 컨베이어 (152) 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는, 도 7(b) 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류 인쇄기 (10) 의 후컨베이어 (24) 와 이어지는 인쇄기 후컨베이어 대응 위치와, 1 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상류의 장착기 (14) 의 후컨베이어 (240) 와 이어지는 장착기 후컨베이어 대응 위치와, 파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류 인쇄기 (10) 의 전컨베이어 (22) 와 이어지는 인쇄기 전컨베이어 대응 위치와, 2 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상류의 장착기 (14) 의 전컨베이어 (240) 와 이어지는 장착기 전컨베이어 대응 위치로 이동된다. 어느 가동 컨베이어 (152) 에 있어서도, 회로 기판의 반입시에는 스토퍼편 (210) 이 작용 위치에 위치되고, 반출시에는 퇴피 위치로 퇴피된다. 하류 가동 컨베이어 (152) 의 이동 위치가 임의이며, 위치 어긋남이 보충됨으로써, 하류 인쇄기 (10) 에 있어서의 컨베이어 (22, 24) 의 설치, 하류 인쇄기 (10) 의 설치, 최상류의 장착기 (14) (하류 인쇄기 (10) 로부터 회로 기판이 공급되는 장착기 (14)) 에 있어서의 전, 후의 컨베이어 (240) 의 설치 및 그 장착기 (14) 의 설치가 용이해진다.
1 종류째의 제품번호 갑의 회로 기판 (이후, 기판 갑이라고 약칭한다) 은, 먼저, 도 7(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류 인쇄기 (10) 에 표면을 위로 하여 공급되고, 인 컨베이어 (52) 에 의해, 그 하류단까지 반입된다. 메인 컨베이어 (50) 로의 기판 갑의 반입이 가능한 상태가 되면, 스토퍼판 (112) 이 퇴피되고, 인 컨베이어 (52) 및 메인 컨베이어 (50) 가 작동되어, 기판 갑이 인 컨베이어 (52) 로부터 메인 컨베이어 (50) 로 반입되고, 땜납이 인쇄된다. 인쇄 장치 (28) 에 의한 땜납의 인쇄는 잘 알려져 있어 설명을 생략한다.
인쇄 종료 후, 기판 갑은 메인 컨베이어 (50) 로부터 아웃 컨베이어 (54) 로 반출되고, 아웃 컨베이어 (54) 의 하류단에 있어서 스토퍼판 (112) 에 맞닿아, 정지된다. 기판 갑은, 상류 가동 컨베이어 (152) 가 전컨베이어 대응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아웃 컨베이어 (54) 로부터 가동 컨베이어 (152) 로 반출되고, 가동 컨베이어 (152) 의 하류단까지 반송된다. 회로 기판의 이재 (移載) 후, 상류 가동 컨베이어 (152) 는 후컨베이어 대응 위치로 이동되고, 땜납의 인쇄가 끝난 기판 갑을 하류 인쇄기 (10) 의 후컨베이어 (24) 에 이재한다. 이재는 후컨베이어 (24) 가 빈 상태로 행해지고, 회로 기판은 후컨베이어 (24) 의 하류단까지 반송되고, 하류 가동 컨베이어 (152) 로의 이재에 대비하여 대기된다. 그리고, 하류 가동 컨베이어 (152) 가 인쇄기 후컨베이어 대응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 있어서, 기판 갑이 후컨베이어 (24) 로부터 하류 가동 컨베이어 (152) 로 이재된다. 인쇄가 끝난 회로 기판은 후컨베이어 (24) 에 의해 인쇄기 (10) 의 통과가 허용되고, 인쇄 장치 (28) 가 설치된 인쇄부가 바이패스되는 것으로서, 회로 기판의 반송과 인쇄가 병행하여 행해진다.
회로 기판의 이재 후, 하류 가동 컨베이어 (152) 는 장착기 후컨베이어 대응 위치로 이동되어, 기판 갑을 최상류의 장착기 (14) 의 후컨베이어 (240) 로 보내고, 부품 장착 장치 (236) 에 의해, 기판 갑의 표면에 전자 회로 부품의 장착이 행해진다. 이후, 기판 갑은, 4 대의 장착기 (14) 의 각 후컨베이어 (240) 에 의해 반송되어, 전자 회로 부품이 장착된다.
표면으로의 전자 회로 부품의 장착이 끝난 기판 갑은, 도 7(b) 에 파선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면이 상방향이 되고, 상류 인쇄기 (10) 의 후컨베이어 (24) 에 공급되어, 그 하류단까지 반송된다. 기판 갑은 후컨베이어 (24) 에 의해 상류 인쇄기 (10) 가 통과되는 것으로서, 상류 가동 컨베이어 (152) 가 후컨베이어 대응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류 가동 컨베이어 (152) 에 이재된다. 이재 후, 상류 가동 컨베이어 (152) 가 전컨베이어 대응 위치로 이동되고, 기판 갑은 하류 인쇄기 (10) 의 인 컨베이어 (52) 에 이재되고, 인 컨베이어 (52) 로부터 메인 컨베이어 (50) 로 반입되어 이면에 땜납이 인쇄된다.
인쇄 후, 기판 갑은 메인 컨베이어 (50) 로부터 아웃 컨베이어 (54) 로 반출되고, 또한 하류 가동 컨베이어 (152) 가 인쇄기 전컨베이어 대응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하류 가동 컨베이어 (152) 에 이재된다. 이재 후, 하류 가동 컨베이어 (152) 가 장착기 전컨베이어 대응 위치로 이동되고, 기판 갑이 장착기 (14) 의 전컨베이어 (240) 로 이송되고, 부품 장착 장치 (236) 에 의해, 이면에 전자 회로 부품이 장착된다. 기판 갑은 4 대의 장착기 (14) 의 각 전컨베이어 (240) 에 의해 반송되고, 순차적으로 이면에 전자 회로 부품이 장착된다. 기판 갑의 표면과 이면으로의 땜납의 인쇄가 병행하여 행해지고, 땜납이 표면에 인쇄된 기판 갑 및 이면에 인쇄된 기판 갑이 장착기 (14) 에 공급된다. 이들 기판 갑으로의 전자 회로 부품의 장착은, 복수 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4 대의 장착기 (14) 를 포함하는 장착기 열에서 병행하여 행해진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 있어서는, 기판 갑의 표면으로의 전자 회로 부품의 장착이 후컨베이어 (240) 에 있어서, 이면으로의 장착이 전컨베이어 (240) 에 있어서 각각 행해지는 것으로 하였으나, 반대로 할 수도 있다. 그 경우에는, 기판 갑의 표면으로의 인쇄가 하류 인쇄기 (10) 에 있어서 행해지도록 하는 편이, 상류 및 하류의 셔틀 컨베이어 (12) 에 있어서의 가동 컨베이어 (152) 의 이동 거리가 짧아도 되어, 반송 능률이 높아진다.
설정 장수의 기판 갑의 표면으로의 전자 회로 부품의 장착이 종료되면, 다음으로, 상이한 제품번호 을의 회로 기판의 표리 양면으로의 전자 회로 부품의 장착이 행해진다. 그 때문에, 도 7(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류 인쇄기 (10) 에 있어서 단 교체가 행해져, 마스크 (34) 의 교환, 회로 기판의 반송 폭의 변경 등이 행해진다. 반송 폭의 변경은, 상류 인쇄기 (10) 의 전컨베이어 (22) 및 하류 인쇄기 (10) 의 후컨베이어 (24) 에 대해 행해진다. 이 동안에, 단 교체와 병행하여, 기판 갑의 이면으로의 땜납의 인쇄 및 전자 회로 부품의 장착이 행해진다.
단 교체가 종료되면, 도 7(d)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 을의 표면으로의 땜납의 인쇄 및 전자 회로 부품의 장착이 개시되고, 2 종류의 회로 기판에 대한 땜납의 인쇄가 병행하여 행해진다. 그 때문에, 2 대의 셔틀 컨베이어 (12) 의 각 가동 컨베이어 (152) 에 대해서는, 기판 갑과 을 중 어느 것을 반송하는지에 따라 반송 폭이 변경된다. 변경은, 가동 컨베이어 (152) 가 회로 기판의 수취를 행하는 컨베이어 대응 위치에 도달하기 전, 즉, 컨베이어 대응 위치로의 이동 중과 이동 개시 전의 적어도 일방에 있어서 행해진다. 그것에 의해, 폭 변경을 위하여 회로 기판의 이재에 필요로 하는 시간이 증대되는 것이 회피되어, 스크린 인쇄 라인의 가동률의 저하가 억제된다.
모든 기판 갑의 이면으로의 전자 회로 부품의 장착이 종료되면, 도 7(e)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류 인쇄기 (10) 에 대해 단 교체가 행해져, 기판 을의 이면으로의 땜납의 인쇄가 행해지게 된다. 이 때, 하류 인쇄기 (10) 의 전컨베이어 (22) 및 상류 인쇄기 (10) 의 후컨베이어 (24) 에 대해 반송 폭의 변경이 행해진다. 이 단 교체와 병행하여 기판 을의 표면으로의 땜납의 인쇄 및 전자 회로 부품의 장착이 행해지고 있고, 단 교체가 종료되면, 도 7(f)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으로의 전자 회로 부품의 장착이 끝난 기판 을이 이면을 상방향으로 하여 상류 인쇄기 (10) 의 후컨베이어 (24) 에 공급된다. 이와 같이 2 대의 인쇄기 (10) 의 일방의 단 교체와 타방의 인쇄가 병행하여 행해지기 때문에, 인쇄기 (10) 의 상황에 따라, 장착기 (14) 에 있어서의 전자 회로 부품의 장착을 정지시키지 않아도 된다.
본 전자 회로 조립 라인에 있어서는, 도 8(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 대의 인쇄기 (10) 에 의해, 동일한 제품번호의 회로 기판의 동일한 쪽의 면으로의 땜납의 인쇄를 병행하여 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2 대의 인쇄기 (10) 에 있어서 각각, 동일한 마스크 (34) 가 유지되고, 예를 들어, 기판 갑의 표면에 땜납이 인쇄된다. 그리고, 상류 인쇄기 (10) 와 하류 인쇄기 (10) 에 번갈아 기판 갑이 공급된다. 상류 인쇄기 (10) 에 있어서 땜납이 인쇄된 기판 갑은, 상류 셔틀 컨베이어 (12), 하류 인쇄기 (10) 의 후컨베이어 (24) 및 하류 셔틀 컨베이어 (12) 에 의해 장착기 (14) 의 후컨베이어 (240) 로 반송되어, 전자 회로 부품이 장착된다.
하류 인쇄기 (10) 에 있어서 땜납이 인쇄되는 기판 갑은, 상류 인쇄기 (10) 의 후컨베이어 (24) 에 공급되고, 상류 셔틀 컨베이어 (12) 에 의해 하류 인쇄기 (10) 의 전컨베이어 (22) 에 반입되어, 땜납이 인쇄된다. 그리고, 기판 갑은 하류 셔틀 컨베이어 (12) 에 의해 장착기 (14) 의 전컨베이어 (240) 에 반입되어, 전자 회로 부품이 장착된다.
이와 같이 2 대의 인쇄기 (10) 에 의해, 동일한 제품번호의 회로 기판의 동일한 쪽의 면에 병행하여 땜납의 인쇄가 행해지는 경우, 도 8(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방의 인쇄기 (10) 에 있어서 인쇄가 중단되는 경우, 예를 들어, 마스크 (34) 의 청소 혹은 마스크 (34) 상으로의 땜납의 공급이 행해지는 경우에도, 표면에 땜납이 인쇄된 회로 기판이 얻어진다.
스크린 인쇄 라인은, 스크린 인쇄기를 3 대 포함하는 라인으로 해도 된다. 그 스크린 인쇄 라인에 있어서의 땜납 인쇄의 일 양태를 도 9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전자 회로 조립 라인은, 인쇄기 (10) 가 3 대, 1 열로 늘어서 설치됨과 함께, 인접하는 인쇄기 (10) 사이와, 최상류의 인쇄기 (10) 의 상류측과, 최하류의 인쇄기 (10) 의 하류측에 각각, 셔틀 컨베이어 (12) 가 1 대씩 설치되어 있다. 최상류의 셔틀 컨베이어 (12) 는, 최상류의 인쇄기 (10) 의 제어 장치 (30) 에 의해 제어된다. 또, 최상류 셔틀 컨베이어 (12) 의 상류측에 기판 공급 장치 (260) 가 설치됨과 함께, 그들 사이에 컨베이어 (266) 가 설치되어 있다. 기판 공급 장치 (260) 및 컨베이어 (266) 는 통괄 제어 장치 (148) 에 의해 제어된다.
기판 공급 장치 (260) 에 의해, 예를 들어, 각각 제품번호를 달리하는 3 종류의 회로 기판 A, B, C 가 공급된다. 이들 기판 A, B, C 는, 반송 폭 방향의 치수는 동일하다. 또, 도시는 생략하지만, 기판 A, B, C 에는 각각, 기판 식별자인 기판 식별 코드가 형성되어, 기판 식별 정보가 부여되어 있다. 기판 식별 코드는, 예를 들어, 이차원 코드에 의해 구성되고, 회로 기판의 제품번호, 치수 등이 기록되어 있다. 컨베이어 (266) 에는, 이차원 코드를 판독하는 기판 식별 장치인 판독 장치 (268) 가 설치되어 있다. 판독 장치 (268) 는, 예를 들어, 촬상 장치를 포함한다. 3 대의 인쇄기 (10) 에 있어서는 각각, 상류측부터 순서대로, 기판 A, B, C 에 땜납을 인쇄하기 위한 상이한 마스크 (34) 가 유지된다.
기판 공급 장치 (260) 에 의한 기판 A, B, C 의 공급은, 순서를 정하지 않고 행해진다. 그 때문에, 회로 기판은 먼저, 부품 공급 장치 (260) 로부터 컨베이어 (266) 로 공급되고, 판독 장치 (268) 에 의해 기판 식별 코드가 판독된다. 이 판독 결과는 통괄 제어 장치 (148) 로 보내져, 회로 기판의 종류가 취득된다. 기판 종류의 취득에 의해, 3 대의 인쇄기 (10) 중 어느 것이 땜납의 인쇄를 행해야 하는지, 및 4 대의 셔틀 컨베이어 (12) 가 어느 컨베이어와의 사이에서 회로 기판의 수수를 행해야 하는지가 정해지고, 통괄 제어 장치 (148) 로부터 3 대의 인쇄기 (10) 의 각 제어 장치 (30) 로 제어 지령이 출력된다.
최상류의 셔틀 컨베이어 (12) 의 가동 컨베이어 (152) 는, 컨베이어 (266) 에 이어지는 컨베이어 대응 위치로 이동되어 회로 기판을 수취한다. 예를 들어, 기판 A 가 공급된 것이면, 최상류 인쇄기 (10) 에 있어서 땜납이 인쇄되고, 도 9 에 실선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류측의 2 대의 인쇄기 (10) 에 있어서는 후컨베이어 (24) 에 의해 반송되어 통과되고, 장착기 (14) 의 후컨베이어 (240) 로 반입된다. 또, 기판 C 가 공급된 것이면, 도 9 에 2 점 쇄선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류측의 2 대의 인쇄기 (10) 에 있어서는 후컨베이어 (24) 에 의해 반송되어 통과되고, 최하류의 인쇄기 (10) 에 있어서 땜납이 인쇄되어, 장착기 (10) 의 전컨베이어 (240) 로 반입된다. 기판 B 가 공급된 것이면, 도 8 에 파선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류의 인쇄기 (10) 에 있어서 인쇄가 행해지고, 최상류 및 최하류의 인쇄기 (10) 는 통과되어, 장착기 (14) 의 후컨베이어 (240) 로 반입된다. 이와 같이, 4 대의 셔틀 컨베이어 (12) 의 각 가동 컨베이어 (152) 는 기판 A, B, C 로의 땜납의 인쇄, 인쇄기 (10) 의 통과, 장착기 (14) 로의 반입이 행해지도록 작동된다.
인쇄기를 4 대 이상 설치하고, 4 종류 이상의 회로 기판이 순서 부정으로 공급되어 인쇄제가 인쇄되도록 해도 된다.
후컨베이어 (24) 및 가동 컨베이어 (152) 는 반송 폭이 자동적으로 변경되기 때문에, 반송 폭 방향의 치수가 상이한 복수 종류의 회로 기판에 대해 임의의 순서로, 혹은 순서를 정하지 않고 땜납의 인쇄를 행할 수 있다. 이 경우, 기판 공급 장치가, 복수 종류의 회로 기판 중 임의의 순서로 지정되는 것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이 되거나, 기판 공급 장치 내에 기판 식별 장치가 설치되어, 실제로 공급되는 회로 기판의 종류가 취득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쨌든 반송해야 할 회로 기판의 종류에 따라 4 대의 가동 컨베이어 (152) 및 3 대의 후컨베이어 (24) 의 반송 폭이 변경되면서, 회로 기판의 수수가 행해진다.
또, 최상류의 인쇄기의 상류측에 배치 형성된 셔틀 컨베이어에 기판 식별 장치를 설치해도 된다. 반송 폭이 동일한 복수 종류의 회로 기판이 순서 부정으로 최상류 셔틀 컨베이어의 가동 컨베이어로 반입되고, 기판 식별 코드의 판독이 행해져, 반입된 회로 기판의 종류가 취득된다. 그리고, 회로 기판의 종류에 따라, 복수 대의 인쇄기 및 셔틀 컨베이어의 작동이 결정된다.
스크린 인쇄 라인은 스크린 인쇄기를 4 대 포함하는 라인으로 해도 된다. 그 스크린 인쇄 라인에 있어서의 땜납 인쇄의 일 양태를 도 10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스크린 인쇄 라인은, 4 대의 인쇄기 (10) 중, 인접하는 인쇄기 (10) 사이에 각각 셔틀 컨베이어 (12) 가 설치됨과 함께, 최하류의 인쇄기 (10) 의 하류측에 셔틀 컨베이어 (12) 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류측의 2 대의 인쇄기 (10) 에 서로 동일한 마스크가 장착되어, 기판 갑의 표면으로의 땜납의 인쇄가 행해지고, 하류측의 2 대의 인쇄기 (10) 에 서로 동일한 마스크가 장착되어, 기판 갑의 이면으로의 땜납의 인쇄가 행해진다.
먼저, 도 10(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 갑의 표면으로의 땜납의 인쇄가 행해진다. 이 인쇄는, 도 8 에 기초하여 설명한 인쇄와 동일하게 행해지고, 표면으로의 인쇄가 끝난 기판 갑은, 하류측의 인쇄기 (10) 를 통과하여 장착기 (14) 의 전, 후컨베이어 (240) 에 번갈아 공급된다. 표면으로의 땜납의 인쇄가 끝난 기판 갑은, 도 10(b) 에 파선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류측의 2 대의 인쇄기 (10) 를 통과하고, 하류측의 2 대의 인쇄기 (10) 에 번갈아 공급되어, 이면에 땜납이 인쇄된다. 인쇄가 끝난 기판 갑은, 장착기 (14) 의 전, 후컨베이어 (240) 에 번갈아 공급된다. 본 실시형태는, 도 8 에 나타내는 인쇄 양태를 회로 기판의 표리 양면에 대해 행하는 형태로서, 2 장씩의 회로 기판의 표면과 이면으로의 땜납의 인쇄가 병행하여 행해지고, 4 장의 회로 기판에 대해 인쇄가 병행하여 행해진다.
상기 도 9 의 전자 회로 조립 라인에 있어서는, 부품 공급 장치 (260) 와 최상류의 셔틀 컨베이어 (12) 사이에 컨베이어 (266) 가 설치되고, 그 컨베이어 (266) 에 판독 장치 (268) 가 설치되고, 그 판독 결과에 기초하여 통괄 제어 장치 (148) 의 호스트 컴퓨터에 의해 각 회로 기판 (96) 으로의 인쇄가 어느 인쇄기 (10) 에 의해 인쇄가 행해져야 할지가 결정되어, 각 제어 장치 (30) 에 지령이 나오게 되어 있었다. 이와 같이 하면, 1 개의 판독 장치 (268) 에 의한 판독 결과에 기초하여 스크린 인쇄 라인 전체를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지만, 스크린 인쇄 라인 도중에 회로 기판 (96) 의 발취나 삽입이 행해지는 경우에는, 회로 기판 (96) 에 부적절한 (잘못된) 인쇄가 행해질 가능성이 있다. 특히,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셔틀 컨베이어 (12) 는, 가동 컨베이어 (152) 가 전컨베이어 (22) 에 이어져 회로 기판 (96) 의 수수를 행하는 위치보다 더 앞쪽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회로 기판 (96) 에 대한 인쇄 상황 등을 관찰하기 위하여 회로 기판 (96) 이 발취되고, 관찰 후에 삽입되는 경우가 있고, 그에 따라, 각 인쇄기 (10) 에 공급되는 회로 기판 (96) 이 예정의 것과 상이한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문제에 대처하기 위한 일 실시형태를 도 11 에 나타낸다. 본 전자 회로 조립 라인에 있어서는, 각 인쇄기 (10) 의 상류측의 셔틀 컨베이어 (12) 의 가동 컨베이어 (152) 의 각각에 판독 장치 (268) 가 설치되고, 통괄 제어 장치 (148) 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회로 기판 (96) 이 가동 컨베이어 (152) 로 반입되면, 그 회로 기판 (96) 의 이차원 코드가 판독 장치 (268) 에 의해 판독되고, 그 판독 결과가 통괄 제어 장치 (148) 에, 엄밀하게는 그 통괄 제어 장치 (148) 의 주체를 이루는 호스트 컴퓨터에 보내진다. 호스트 컴퓨터는 보내진 판독 결과에 기초하여 회로 기판 (96) 의 종류를 판별하고, 그 회로 기판 (96) 에 대한 인쇄가 어느 인쇄기에 의해 행해져야 할지를 결정하고, 그 결과를 각 인쇄기 (10) 및 셔틀 컨베이어 (12) 를 제어하는 각 제어 장치 (30) 에, 엄밀하게는 제어 장치 (30) 의 주체를 이루는 제어 컴퓨터에 공급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각 제어 장치 (30) 는 각 인쇄기 (10) 와 그것의 상류측의 셔틀 컨베이어 (12) 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고, 최하류의 인쇄기 (10) 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30) 는, 그 최하류의 인쇄기 (10) 의 하류측에 설치된 셔틀 컨베이어 (12) 도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본 전자 회로 조립 라인에 있어서는, 작동 양태 결정부가 호스트 컴퓨터의 일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작동 양태 결정부가, 호스트 컴퓨터와 제어 컴퓨터의 일부씩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제어 컴퓨터는 호스트 컴퓨터로부터의 정보 내지 지령에 기초하여, 실제로 가동 컨베이어 (152) 상에 있는 회로 기판 (96) 이 그것의 하류에 있는 인쇄기 (10) 에 의해 인쇄되어야 할 것인 경우에는, 가동 컨베이어 (152) 를 인쇄기 (10) 의 전컨베이어 (22) 에 이어지는 위치로 이동시키고, 인쇄되어야 할 것이 아닌 경우에는 후컨베이어 (24) 에 이어지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그 회로 기판 (96) 이 인쇄기 (10) 에 넘겨지고, 전컨베이어 (22) 에 넘겨져 기판 지지 장치 (62) 에 지지된 회로 기판 (96) 에는 인쇄 장치 (28) 에 인쇄를 행하게 하고, 후컨베이어 (24) 에 넘겨진 회로 기판 (96) 에는 인쇄기 (10) 를 통과시킨다.
그 때문에, 본 전자 회로 조립 라인에 있어서는, 스크린 인쇄 라인 도중에 회로 기판 (96) 의 발취나 삽입이 행해진 경우에도, 인쇄기 (10) 에 있어서 잘못된 인쇄가 행해지는 것이 양호하게 방지된다.
전자 회로 조립 라인을 도 12 에 나타내는 형태로 할 수도 있다. 이 전자 회로 조립 라인에 있어서는, 각 인쇄기 (10) 의 상류측의 셔틀 컨베이어 (12) 의 가동 컨베이어 (152) 에 판독 장치 (268) 가 설치되는 것은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하지만, 그들 판독 장치 (268) 가 제어 장치 (30) 의 제어 컴퓨터에 접속되어 있는 점에서 상이하다. 따라서, 본 전자 회로 조립 라인에 있어서는, 판독 장치 (268) 로부터 보내진 판독 결과에 기초하여 제어 컴퓨터가 회로 기판 (96) 의 종류를 판별하고, 각 제어 컴퓨터가 제어하는 인쇄기 (10) 에 있어서 인쇄가 행해져야 할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그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셔틀 컨베이어 (12) 와 인쇄기 (10) 를 제어한다. 본 전자 회로 조립 라인에 있어서는, 제어 컴퓨터의 일부에 의해 작동 양태 결정부가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 다른 전자 회로 조립 라인을 도 13 에 나타낸다. 이 전자 회로 조립 라인에 있어서는, 각 인쇄기 (10) 의 기판 지지 장치 (62) 에 판독 장치 (268) 가 설치되어 있다. 단, 전컨베이어 (22), 예를 들어 인 컨베이어 (52) 에 판독 장치 (268) 를 설치할 수도 있다.
판독 장치 (268) 는 제어 장치 (30) 의 제어 컴퓨터에 접속되어 있고, 제어 컴퓨터는 판독 장치 (268) 의 판독 결과에 기초하여, 그 제어 컴퓨터가 제어하는 인쇄기 (10) 에 있어서 인쇄가 행해져야 할지의 여부를 결정하여, 인쇄가 행해져야 하는 경우에는 인쇄를 행하게 하고, 인쇄가 행해져야 하는 것은 아닌 경우에는, 인쇄를 행하게 하지 않고, 아웃 컨베이어 (54) 를 거쳐 하류측의 셔틀 컨베이어 (12) 로 배출시킨다. 본 전자 회로 조립 라인에 있어서는, 제어 컴퓨터의 일부에 의해 작동 양태 결정부가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 다른 전자 회로 조립 라인으로서, 도 11 과 도 13 을 합친 것, 즉, 셔틀 컨베이어 (12) 와 인쇄기 (10) 의 양방에 판독 장치 (268) 등의 기판 식별 장치를 설치한 전자 회로 조립 라인도 유효하다. 전자 회로 조립 라인에 있어서도, 판독 장치 (268) 를 호스트 컴퓨터에 접속할 수도 있고 제어 컴퓨터에 접속할 수도 있다.
이상은, 인쇄기 (10) 를 3 대 포함하는 전자 회로 조립 라인에 있어서, 3 종류의 회로 기판 (96) 에 대해 인쇄가 행해지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2 대 혹은 4 대 이상의 인쇄기 (10) 를 포함하는 스크린 인쇄 라인, 예를 들어, 도 7 이나 도 10 에 나타낸 전자 회로 조립 라인에 판독 장치 (268) 등의 기판 인식 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도 11 내지 13 의 전자 회로 조립 라인에 유사한 제어를 행하면,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1 대씩의 셔틀 컨베이어 (12) 와 인쇄기 (10) 를 포함하는 스크린 인쇄 라인의 셔틀 컨베이어 (12) 와 인쇄기 (10) 의 적어도 일방에 판독 장치 (268) 등의 기판 인식 장치를 설치할 수도 있고, 또한, 그 스크린 인쇄 라인을, 인쇄기 (10) 를 복수 대 포함하는 스크린 인쇄 라인의 일 구성 단위로 할 수도 있다.
10:스크린 인쇄기
12:셔틀 컨베이어
22:전컨베이어
24:후컨베이어
50:메인 컨베이어
52:인 컨베이어
54:아웃 컨베이어
110:스토퍼 장치
152:가동 컨베이어
268:판독 장치

Claims (11)

  1. 좌우로 나란히 배치 형성되고, 각각 회로 기판에 스크린 인쇄를 행하는 복수 대의 스크린 인쇄기와, 그들 스크린 인쇄기 중 서로 인접하는 것인 인접 스크린 인쇄기 사이에 배치 형성되어 회로 기판을 중계하는 1 대 이상의 셔틀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스크린 인쇄 라인으로서,
    상기 복수 대의 스크린 인쇄기 각각이, 기판 지지 장치를 갖고 각 스크린 인쇄기의 전부 (前部) 에 설치된 전 (前) 컨베이어와, 각 스크린 인쇄기의 후부 (後部) 에 설치되어 회로 기판의 통과를 허용하는 후 (後) 컨베이어와, 상기 기판 지지 장치에 지지된 회로 기판에 스크린 인쇄를 행하는 인쇄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1 대 이상의 셔틀 컨베이어 각각이, 상기 인접 스크린 인쇄기의 적어도 상기 전컨베이어에 이어지는 위치와 상기 후컨베이어에 이어지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가동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인쇄 라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대의 스크린 인쇄기가 2 대의 스크린 인쇄기인 스크린 인쇄 라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셔틀 컨베이어가, 상기 전컨베이어와의 사이에서 회로 기판의 수수를 행하는 위치보다 더 앞으로 상기 가동 컨베이어를 이동시킬 수 있는 구성을 갖는 스크린 인쇄 라인.
  4. 좌우로 나란히 배치 형성되고, 각각 회로 기판에 스크린 인쇄를 행하는 복수 대의 스크린 인쇄기와, 그들 복수 대의 스크린 인쇄기 각각의 상류측과 하류측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회로 기판을 반송하는 복수 대의 셔틀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스크린 인쇄 라인으로서,
    상기 복수 대의 스크린 인쇄기 각각이, 본체와, 기판 지지 장치를 갖고 상기 본체의 전부에 설치된 전컨베이어와, 상기 본체의 후부에 설치되어 회로 기판의 통과를 허용하는 후컨베이어와, 상기 기판 지지 장치에 지지된 회로 기판에 스크린 인쇄를 행하는 인쇄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대의 셔틀 컨베이어 각각이, 적어도 상기 스크린 인쇄기의 상기 전컨베이어에 이어지는 위치와 상기 후컨베이어에 이어지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가동 컨베이어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복수 대의 스크린 인쇄기와 상기 복수 대의 셔틀 컨베이어의 적어도 일방이 회로 기판의 적어도 종류를 식별하는 기판 식별 장치를 포함함과 함께, 당해 스크린 인쇄 라인이, 상기 기판 식별 장치의 식별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스크린 인쇄기와 상기 셔틀 컨베이어의 적어도 일방의 작동 양태를 결정하는 작동 양태 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인쇄 라인.
  5. 제 4 항에 있어서,
    당해 스크린 인쇄 라인이, 상기 복수 대의 스크린 인쇄기 각각을 제어하는 복수의 제어 컴퓨터와, 그들 제어 컴퓨터에 접속된 호스트 컴퓨터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 식별 장치가 상기 복수 대의 셔틀 컨베이어의 각각에 설치됨과 함께 상기 호스트 컴퓨터에 접속되고, 그 호스트 컴퓨터가 상기 작동 양태 결정부를 포함하고, 그 작동 양태 결정부가 결정한 작동 양태로 상기 스크린 인쇄기를 작동시킬 것을 상기 제어 컴퓨터에 지령하는 스크린 인쇄 라인.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식별 장치가 상기 복수 대의 셔틀 컨베이어의 각각에 설치되고, 상기 작동 양태 결정부가, 상기 기판 식별 장치의 각각에 의한 식별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가동 컨베이어 각각이 그들의 하류측에 배치 형성되어 있는 상기 스크린 인쇄기의 상기 전컨베이어에 이어지는 위치와 상기 후컨베이어에 이어지는 위치 중 어느 곳으로 이동되어야 할지를 결정하는 스크린 인쇄 라인.
  7. 제 4 항에 있어서,
    당해 스크린 인쇄 라인이, 상기 복수 대의 스크린 인쇄기 각각을 제어하는 복수의 제어 컴퓨터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 식별 장치가 상기 복수 대의 스크린 인쇄기 각각의 상기 전컨베이어에 설치되고, 상기 작동 양태 결정부가 상기 복수의 제어 컴퓨터의 각각에 설치되고, 당해 제어 컴퓨터에 대응하는 상기 스크린 인쇄기가 상기 기판 식별 장치에 의해 식별된 회로 기판에 인쇄를 행하여야 할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스크린 인쇄 라인.
  8. 좌우로 나란히 배치 형성되고, 각각 회로 기판에 스크린 인쇄를 행하는 2 대의 스크린 인쇄기와, 그들 2 대의 스크린 인쇄기 사이에 배치 형성되어 회로 기판을 중계하는 셔틀 컨베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2 대의 스크린 인쇄기 각각이, 기판 지지 장치를 갖고 각 스크린 인쇄기의 전부에 설치된 전컨베이어와, 각 스크린 인쇄기의 후부에 설치되어 회로 기판의 통과를 허용하는 후컨베이어와, 상기 기판 지지 장치에 지지된 회로 기판에 스크린 인쇄를 행하는 인쇄 장치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셔틀 컨베이어가, 상기 2 대의 스크린 인쇄기의 적어도 상기 전컨베이어에 이어지는 위치와 상기 후컨베이어에 이어지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가동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스크린 인쇄 라인에 의해 행하는 스크린 인쇄 방법으로서,
    상기 2 대의 스크린 인쇄기의 각각에 서로 동일한 마스크를 장착하고, 그들 2 대의 스크린 인쇄기에 있어서 동일한 제품번호의 회로 기판의 동일한 쪽의 면으로의 인쇄를 병행하여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인쇄 방법.
  9. 좌우로 나란히 배치 형성되고, 각각 회로 기판에 스크린 인쇄를 행하는 2 대의 스크린 인쇄기와, 그들 2 대의 스크린 인쇄기 사이에 배치 형성되어 회로 기판을 중계하는 셔틀 컨베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2 대의 스크린 인쇄기 각각이, 기판 지지 장치를 갖고 각 스크린 인쇄기의 전부에 설치된 전컨베이어와, 각 스크린 인쇄기의 후부에 설치되어 회로 기판의 통과를 허용하는 후컨베이어와, 상기 기판 지지 장치에 지지된 회로 기판에 스크린 인쇄를 행하는 인쇄 장치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셔틀 컨베이어가, 상기 2 대의 스크린 인쇄기의 적어도 상기 전컨베이어에 이어지는 위치와 상기 후컨베이어에 이어지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가동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스크린 인쇄 라인에 의해 행하는 스크린 인쇄 방법으로서,
    상기 2 대의 스크린 인쇄기의 각각에 서로 상이한 마스크를 장착하고, 그들 2 대의 스크린 인쇄기에 있어서 서로 제품번호를 달리하는 회로 기판으로의 인쇄, 또는 서로 동일한 제품번호의 회로 기판의 표면과 이면으로의 인쇄를 병행하여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인쇄 방법.
  10. 좌우로 나란히 배치 형성되고, 각각 회로 기판에 스크린 인쇄를 행하는 3 대의 스크린 인쇄기와, 그들 스크린 인쇄기 중 서로 인접하는 것인 인접 스크린 인쇄기 사이에 배치 형성되어 회로 기판을 중계하는 2 대의 셔틀 컨베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3 대의 스크린 인쇄기 각각이, 기판 지지 장치를 갖고 각 스크린 인쇄기의 전부에 설치된 전컨베이어와, 각 스크린 인쇄기의 후부에 설치되어 회로 기판의 통과를 허용하는 후컨베이어와, 상기 기판 지지 장치에 지지된 회로 기판에 스크린 인쇄를 행하는 인쇄 장치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2 대의 셔틀 컨베이어 각각이, 상기 인접 스크린 인쇄기의 적어도 상기 전컨베이어에 이어지는 위치와 상기 후컨베이어에 이어지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가동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스크린 인쇄 라인에 의해 행하는 스크린 인쇄 방법으로서,
    상기 3 대의 스크린 인쇄기의 각각에 서로 상이한 마스크를 장착하고, 그들 3 대의 스크린 인쇄기에 있어서 서로 제품번호를 달리하는 3 종류의 회로 기판으로의 인쇄를 병행하여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인쇄 방법.
  11. 좌우로 나란히 배치 형성되고, 각각 회로 기판에 스크린 인쇄를 행하는 4 대의 스크린 인쇄기와, 그들 스크린 인쇄기 중 서로 인접하는 것인 인접 스크린 인쇄기 사이에 배치 형성되어 회로 기판을 중계하는 3 대의 셔틀 컨베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4 대의 스크린 인쇄기 각각이, 기판 지지 장치를 갖고 각 스크린 인쇄기의 전부에 설치된 전컨베이어와, 각 스크린 인쇄기의 후부에 설치되어 회로 기판의 통과를 허용하는 후컨베이어와, 상기 기판 지지 장치에 지지된 회로 기판에 스크린 인쇄를 행하는 인쇄 장치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3 대의 셔틀 컨베이어 각각이, 상기 인접 스크린 인쇄기의 적어도 상기 전컨베이어에 이어지는 위치와 상기 후컨베이어에 이어지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가동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스크린 인쇄 라인에 의해 행하는 스크린 인쇄 방법으로서,
    상기 4 대의 스크린 인쇄기의 2 대씩에 서로 동일한 마스크를 장착하고, 그들 2 대씩의 스크린 인쇄기에 있어서, 서로 제품번호를 달리하는 회로 기판으로의 인쇄, 또는 서로 동일한 제품번호의 회로 기판의 표면과 이면으로의 인쇄를 병행하여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인쇄 방법.
KR1020127028621A 2010-04-27 2011-04-25 스크린 인쇄 라인 및 스크린 인쇄 방법 KR1017968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02298A JP5700951B2 (ja) 2010-04-27 2010-04-27 スクリーン印刷機
JPJP-P-2010-102298 2010-04-27
JP2010110426A JP5726439B2 (ja) 2010-05-12 2010-05-12 スクリーン印刷ラインおよびスクリーン印刷方法
JPJP-P-2010-110426 2010-05-12
JP2010245587A JP5719144B2 (ja) 2010-11-01 2010-11-01 スクリーン印刷ライン
JPJP-P-2010-245587 2010-11-01
PCT/JP2011/060071 WO2011136179A1 (ja) 2010-04-27 2011-04-25 スクリーン印刷ラインおよびスクリーン印刷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6232A true KR20130056232A (ko) 2013-05-29
KR101796805B1 KR101796805B1 (ko) 2017-11-10

Family

ID=44861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8621A KR101796805B1 (ko) 2010-04-27 2011-04-25 스크린 인쇄 라인 및 스크린 인쇄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863659B2 (ko)
KR (1) KR101796805B1 (ko)
CN (1) CN102858539B (ko)
DE (1) DE112011101478B4 (ko)
WO (1) WO20111361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16315B (zh) * 2016-01-27 2021-11-19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扫描测试装置及方法
CN106696444B (zh) * 2017-01-06 2019-06-07 厦门大学 一种陶瓷基板连续化丝网印刷机及其印刷方法
WO2018131136A1 (ja) * 2017-01-13 2018-07-19 株式会社Fuji 生産管理装置
CN109383120A (zh) * 2017-08-07 2019-02-26 珠海市臻成网印机械有限公司 多功能穿梭式印刷机
WO2019064338A1 (ja) 2017-09-26 2019-04-04 株式会社Fuji 部品実装ラインの実装精度測定システム及び実装精度測定方法
US20230051556A1 (en) * 2020-01-14 2023-02-16 Fuji Corporation Article transport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73232A (en) 1977-03-09 1978-02-14 Brewer Harold Hazen Screen printing apparatus
JPS6284871A (ja) 1985-10-08 1987-04-18 Fuji Kikai Seizo Kk プリント基板スクリ−ン印刷機
JPS62200430A (ja) 1986-02-28 1987-09-04 Nec Corp システム制御方式
JPH02207590A (ja) 1989-02-07 1990-08-17 Ckd Corp 印刷方法及び印刷機
JPH04129630A (ja) * 1990-09-20 1992-04-30 Tokico Ltd 搬送装置
JP2949860B2 (ja) 1991-01-14 1999-09-20 ソニー株式会社 スクリーン自動交換印刷機
US5436028A (en) * 1992-07-27 1995-07-25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ly applying solder paste to multiple types of printed circuit boards
JPH07241977A (ja) 1994-03-07 1995-09-19 Sanyo Electric Co Ltd スクリーン印刷機
JPH1044371A (ja) 1996-08-08 1998-02-17 Rhythm Watch Co Ltd スクリーン印刷におけるスキージ機構及びスキージ方法
JP3296726B2 (ja) 1996-08-22 2002-07-02 三洋電機株式会社 はんだペースト認識方法及びスクリーン印刷機
JP2000168040A (ja) * 1998-12-04 2000-06-20 Minami Kk スクリーン印刷機
JP2000177100A (ja) 1998-12-17 2000-06-27 Fuji Mach Mfg Co Ltd スクリーン装置
JP2000263749A (ja) 1999-03-15 2000-09-26 Eitekku Tectron Kk 印刷回路基板用のスクリーン印刷機
JP2001150631A (ja) 1999-11-30 2001-06-05 Minoguruupu:Kk 片持フレーム式スクリーン印刷機における印刷テーブル支持機構
US6836960B2 (en) 2000-05-15 2005-01-0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Board transfer apparatus, board transfer method, and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JP4146985B2 (ja) * 2000-05-15 2008-09-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基板搬送装置及び方法、並びに部品実装装置
JP3710693B2 (ja) 2000-07-26 2005-10-26 理想科学工業株式会社 印刷装置
JP3553511B2 (ja) 2001-02-14 2004-08-11 マイクロ・テック株式会社 スクリーン印刷装置
US6626106B2 (en) 2001-04-17 2003-09-30 Speedline Technologies, Inc. Cleaning apparatus in a stencil printer
JP3880850B2 (ja) * 2001-12-07 2007-02-14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スクリーン印刷機
JPWO2003088730A1 (ja) 2002-04-01 2005-08-25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対基板作業システム
JP4320204B2 (ja) 2002-07-19 2009-08-26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対基板作業システム
JP4063044B2 (ja) 2002-10-25 2008-03-1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スクリーン印刷システムおよびスクリーン印刷方法
JP4449376B2 (ja) * 2003-09-10 2010-04-14 株式会社日立プラントテクノロジー スクリーン印刷機
JP4443317B2 (ja) 2004-06-15 2010-03-31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スクリーン清掃装置
JP4413717B2 (ja) 2004-09-01 2010-02-10 理想科学工業株式会社 スクリーン印刷装置
JP4647390B2 (ja) 2005-05-18 2011-03-09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スクリーン清掃装置
JP4909539B2 (ja) 2005-07-08 2012-04-04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スキージヘッド
JP4944407B2 (ja) 2005-08-01 2012-05-30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スクリーン・基板位置合わせ方法および装置
JP2007090632A (ja) * 2005-09-28 2007-04-12 Yamaha Motor Co Ltd マーク認識方法および印刷装置
JP4870969B2 (ja) * 2005-11-02 2012-02-08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印刷装置およびそのカメラ移動方法
JP4857720B2 (ja) * 2005-11-11 2012-01-1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スクリーン印刷装置およびスクリーン印刷方法
JP4932285B2 (ja) 2006-03-10 2012-05-16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スクリーン印刷装置
JP5023904B2 (ja) 2007-09-11 2012-09-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スクリーン印刷装置
JP5415011B2 (ja) 2008-04-02 2014-02-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スクリーン印刷装置
JP4872961B2 (ja) * 2008-04-04 2012-02-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子部品搭載装置
JP5407187B2 (ja) 2008-06-10 2014-02-05 ソニー株式会社 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スクリーン印刷装置
CN101686635B (zh) * 2008-09-27 2014-03-19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电子部件贴装系统及电子部件贴装方法
JP4883070B2 (ja) * 2008-10-03 2012-02-2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子部品実装システムおよび電子部品実装方法
JP4883072B2 (ja) * 2008-10-03 2012-02-2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子部品実装システム
JP4883071B2 (ja) * 2008-10-03 2012-02-2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子部品実装システム
JP5679399B2 (ja) 2008-11-25 2015-03-04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スクリーン印刷機および印刷ユニット
JP5155834B2 (ja) 2008-12-02 2013-03-06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回路基板検査装置
JP5753699B2 (ja) 2011-02-09 2015-07-22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印刷作業支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1101478B4 (de) 2022-09-29
WO2011136179A1 (ja) 2011-11-03
CN102858539A (zh) 2013-01-02
DE112011101478T5 (de) 2013-02-07
US8863659B2 (en) 2014-10-21
CN102858539B (zh) 2015-04-01
US20130055911A1 (en) 2013-03-07
KR101796805B1 (ko) 2017-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56232A (ko) 스크린 인쇄 라인 및 스크린 인쇄 방법
CN107709014B (zh) 印刷装置及对基板作业装置
KR100902395B1 (ko) 인쇄장치
KR100947274B1 (ko) 인쇄장치
KR101193804B1 (ko) 전자 부품 장착 장치
WO2016035145A1 (ja) 部品実装システム及び部品実装方法
JP2005081745A (ja) スクリーン印刷機
JP4866231B2 (ja) バックアップピンの回収方法、バックアップピンの供給方法、作業用治具、基板支持装置、表面実装機、クリーム半田印刷装置、及び基板検査装置
JP2018160702A (ja) 部品実装システム
JP5309964B2 (ja) 電子部品実装ライン及び電子部品実装ラインによる作業方法
JP5719144B2 (ja) スクリーン印刷ライン
JP4385807B2 (ja) スクリーン印刷機
JP5243367B2 (ja) スクリーン印刷機におけるバキュームベルト搬送方法とその搬送装置
JP4527131B2 (ja) 実装機
JP5726439B2 (ja) スクリーン印刷ラインおよびスクリーン印刷方法
US5117555A (en) Modular system and method for populating circuit boards
CN110036706B (zh) 基板搬运装置
JP2005340492A (ja) 表面実装機
JP2003094259A (ja) 基板搬送ライン
JP7315673B2 (ja) 印刷パラメータ設定装置
JP7426800B2 (ja) 部品実装機
WO2023050042A1 (zh) 智能网版印刷系统
JP4408060B2 (ja) 表面実装機
WO2023195006A1 (en) High volume digital garment printer
KR20220047990A (ko) 감광성 기록 매체를 노광하기 위한 방법 및 노광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