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8710A - 락토바실루스·플란타룸에 속하는 신규 유산균 및 그의 이용 - Google Patents

락토바실루스·플란타룸에 속하는 신규 유산균 및 그의 이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8710A
KR20130028710A KR1020127023933A KR20127023933A KR20130028710A KR 20130028710 A KR20130028710 A KR 20130028710A KR 1020127023933 A KR1020127023933 A KR 1020127023933A KR 20127023933 A KR20127023933 A KR 20127023933A KR 20130028710 A KR20130028710 A KR 201300287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uice
lactobacillus
lactobacillus plantarum
lactic acid
y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3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6862B1 (ko
Inventor
토루 이노
노리에 마스오카
후미야스 이시카와
코이치 요시무라
에이지 하야시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야쿠르트 혼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야쿠르트 혼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야쿠르트 혼샤
Publication of KR20130028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87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6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68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9/00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 A23C9/12Fermented milk preparations; Treatment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 A23C9/123Fermented milk preparations; Treatment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using only microorganisms of the genus lactobacteriaceae; Yoghurt
    • A23C9/1234Fermented milk preparations; Treatment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using only microorganisms of the genus lactobacteriaceae; Yoghurt characterised by using a Lactobacillus sp. other than Lactobacillus Bulgaricus, including Bificlobacterium sp.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23L2/382Other non-alcoholic beverages ferment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V2400/169Plantarum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225Lactobacillus
    • C12R2001/25Lactobacillus plantaru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Dairy Product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락토바실루스·플란타룸에 속하고, 각종 야채즙이나 과즙을 발효기질로 했을 경우에서도 높은 도달 생균수가 되는 뛰어난 발효능을 가지는 신규 유산균 등을 제공한다.
당해 락토바실루스·플란타룸에 속하는 유산균은 그레이프 및 오렌지의 100% 과즙을 발효기질로 했을 때의 도달 생균수가, 모두 108 CFU/㎖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락토바실루스·플란타룸에 속하는 신규 유산균 및 그의 이용 {NOVEL LACTOBACILLUS CLASSIFIED AS LACTOBACILLUS PLANTARUM, AND USE THEREOF}
본 발명은 각종 과즙의 발효물에 적합한 락토바실루스·플란타룸에 속하는 신규 유산균 및 그것을 함유시킨 음식 등에 관한 것이다.
사람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대장균 등의 유해균이 우세하게 되고, 유해균이 생성하는 각종 유해 물질이 인체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유산균은 자연계로부터 널리 분리되나, 사람의 장내에서는 젖산을 생성함으로써, 장내의 pH를 산성으로 유지하고, 대장균 등의 부패균이나 병원균이 장내에서 생육 및 증식하는 것을 억제하여 장내환경 개선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유산균은 이것들의 장내환경 개선효과뿐만 아니라, 변성(便性) 개선, 감염 방어, 면역력의 상승 작용, 항알레르기 효과, 암예방 효과 등의 유익한 생리적 효과를 나타낸다. 거기서, 프로 바이오틱스(probiotics)라고 불리는 이들의 유용세균을 장내에 공급하여 건강을 증진 시키기 위해. 이들 생균을 함유하는 유산균 음료, 발효유, 제제 등의 섭취가 행하여지고 있다.
이러한 유산균 음료, 발효유, 생균 제제 등에서 이용되어 있는 유산균은 주로 요구르트나 치즈 유래를 비롯하여 우유원료의 발효에 적합한 유산균이고, 구체적으로는 락토바실루스·카제이, 락토바실루스·액시도필루스, 락토바실루스·불리쿠스, 스트렙토콕쿠스·써모필루스, 락토콕쿠스·락티스 등의 균주이다.
한편, 근래에는 소비자의 기호가 다양화되어, 우유원료 이외의 원료, 예를 들면 야채즙이나 과즙 등을 발효기질로 하는 프로바이오틱스로 이용하는 균주의 개발이 바람직하고 있었다.
그렇지만, 지금까지 유산균 음료 등의 제조에 이용되고 있던 상기 균주에서는 야채즙이나 과즙 등을 발효기질로 했을 경우, 프로바이오틱스로서의 효과를 얻기 위한 높은 도달 생균수를 달성할 수가 없었다.
지금까지, 야채즙이나 과즙을 발효하는 능력이 뛰어난 유산균으로서는 락토바실루스·플란타룸에 속하는 유산균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락토바실루스·플란타룸 ATCC 14431은 농축 인삼즙(가용성 고형분 36 질량%(이하, 단순히 "%"라고 기재한다)를 6배 희석한 것을 발효기질로서 107 CFU/㎖이상의 생균수에 도달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또한, 유기산 함유량을 저감한 과즙에서의 발효에 적합한 유산균으로서 락토바실루스·플란타룸 299v(DSM 9843)이 알려져 있다. 이 락토바실루스·플란타룸 299v(DSM 9843)에는 강한 후산성화, 현저한 관능성의 결함, 이산화탄소 가스의 발생 등의 결점이 있지만, 그것을 과즙 중의 유기산 함유량을 저감함으로써 억제하는 기술도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2).
그렇지만, 이들의 락토바실루스·플란타룸에 속하는 균주는 각종 야채즙이나 과즙에 대해서, 항상 높은 도달 생균수 농도를 얻어지는 것은 아니고, 특히 일반적으로 유산균의 발효기질로서 매우 적합하지 않다고 말해지고 있는 그레이프 등의 과즙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 2001-252012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허공표 2008-541774호 공보
따라서, 본 발명은 락토바실루스·플란타룸에 속하고, 각종 야채즙이나 과즙을 발효기질로 했을 경우에서도 높은 도달 생균수가 되는 우수한 발효능을 가지는 신규 유산균 및 이것을 함유하는 음식물 등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특정의 100% 과즙을 발효기질로 했을 때의 도달 생균수가, 모두 108 CFU/㎖이상인 락토바실루스·플란타룸에 속하는 유산균이, 각종 야채즙이나 과즙을 발효기질로 했을 경우에서도 높은 도달 생균수가 되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즉, 본 발명은 그레이프 및 오렌지의 100% 과즙을 발효기질로 했을 때의 도달 생균수가, 모두 108 CFU/㎖이상인 락토바실루스·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에 속하는 유산균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산균을 함유하는 음식물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식품 소재에, 상기 유산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킴으로써 얻어지는 발효물이다.
또한, 더욱이 본 발명은 상기 발효물을 함유하는 음식물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식품 소재에 상기 유산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물의 제조 방법이다.
본 발명의 락토바실루스·플란타룸에 속하는 유산균은 각종 야채즙이나 과즙, 특히 과즙을 발효기질로서 108 CFU/㎖ 이상의 생균수에 도달하기 위해, 각종 발효기질을 베이스로 하는 프로바이오틱스로 이용되는 음료 등의 음식물을 조제할 수가 있다.
또한, 특히 본 발명의 락토바실루스·플란타룸에 속하는 유산균 중에서도 기탁한 2주는 플라스미드를 가지지 않기 때문에, 안정된 품질의 음료 등의 음식물을 제공할 수가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100% 과즙이란 JAS법에서의 과즙 음료 품질 표시 기준에 있어서, 100% 주스 기준을 만족하는 것을 나타낸다. 과즙의 제법으로서는 과실을 착즙한 것을 열처리 등을 행한 후, 냉동 보존하는 "스트레이트 과즙", 혹은 가열에 의해 수분을 증발시켜 농축한 후, 냉동 보존하는 "농축 환원 과즙"의 어느 것이어도 좋다. "농축 환원 과즙"에 대해서는 과즙의 농축 배율로서 2~10배가 바람직하고, 한층 더 바람직하기로는 3~8배가 매우 적합하다. 또한, JAS법에 있어서의 과즙 음료 품질 표시 기준에 있어서 100% 주스의 기준을 만족하는 것이면, 당류, 향료, 산화 방지제 등을 첨가해도 좋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도달 생균수라는 것은 전배양으로서 121℃에서 15분간 오토클레이브 멸균한 Lactobacilli MRS Broth(Difco사 제) 배지에서 종균을 정상 상태가 될 때까지 배양, 구체적으로는 30~37℃에서 16~24시간 배양한 후, 0.4% 용량의 전배양액을 100% 과즙 등의 발효기질에 접종하고, 48시간, 37℃에서 배양 후의 생균수를 나타낸다. 또 생균수의 측정은 MRS 한천 평판을 이용해 행한다. 또한, 도달 생균수를 나타내는 단위인 CFU/㎖는 배양 플레이트에 있어서 1㎖ 파종했을 때의 콜로니 형성능을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플라스미드를 가지지 않는다고 하는 것은 신선한 유산균 배양액 1㎖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따라서 플라스미드 DNA를 조제하고, 0.7%의 아가로오스 겔로 전기 영동한 후, 겔을 에티디움 브로마이드로 염색하고, UV조사하에서 플라스미드 DNA가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락토바실루스·플란타룸에 속하는 유산균(이하, "본 발명 유산균"이라고 한다)은 그레이프 및 오렌지의 100% 과즙을 발효기질로 했을 때의 도달 생균수가 모두 108 CFU/㎖이상, 바람직하기로는 108~1010 CFU/㎖의 것이다.
본 발명 유산균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서 피클 식품, 발효차, 사람 분변(糞便) 등으로부터 MRS 한천 평판을 이용해 분리된 락토바실루스·플란타룸에 대해서 상기 발효기질에 있어서의 도달 생균수를 기초로 스크리닝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상기에서 분리된 락토바실루스·플란타룸 중에서, 스크리닝에 의해 하기 4주를 얻을 수 있었다.
 ·락토바실루스·플란타룸 YIT 10015주
 ·락토바실루스·플란타룸 YIT 0069주
 ·락토바실루스·플란타룸 YIT 0148주
 ·락토바실루스·플란타룸 YIT 0132주
 이들 4주 중, YIT 0069, YIT 0148, YIT 0132는 그레이프, 그레이프 푸르츠, 오렌지, 파인(파인애플) 및 애플의 100% 과즙을 발효기질로 했을 때의 각각의 도달 생균수(CFU/㎖)를 108으로 나누어 첨가한 증식 스코어치가 25 이상이었다. 이 증식 스코어치는 락토바실루스·플란타룸이 과즙의 발효에 적합한지를 판단하는 지표이고, 바람직하기로는 25 이상, 더 바람직하기로는 30~50이고, YIT 0148 및 YIT 0132는 증식 스코어치가 30~41이기 때문에, 과즙의 발효에 특히 매우 적합하게 이용할 수가 있다.
또 YIT 0132 및 YIT 0148은 플라스미드를 가지지 않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생물의 플라스미드 중에는 항생물질 내성을 가지는 것이 있으며, 이것이 다른 미생물로 전파하여, 항생물질 내성을 가지는 병원균의 출현에 연결되는 일이 있다. 또한, 플라스미드 상의 기능 불명한 유전자가 다른 미생물에 주는 영향도 현시점에서는 충분히 해명될 수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균주의 안전성을 담보한다고 하는 관점으로부터, 플라스미드를 가지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플라스미드는 계대 중이나 배양 중에 결실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것에 의해 미생물의 형질이 불안정하게 되는 수가 있다. 그러나, YIT 0132 및 YIT 0148은 플라스미드를 가지지 않기 때문에 안정된 제품의 품질이 유지될 수 있다.
이들 YIT 0132 및 YIT 0148에 대해서는 각각 Lactobacillus plantarum YIT 0132 및 Lactobacillus plantarum YIT 0148과 이름을 붙여 기탁 번호 FERM ABP-11349 및 FERM ABP-11350으로서 평성 22년 2월 24일자로, 독립 행정법인 산업기술 종합연구소 특허생물기탁센터((우)305-8566 이바라키켄 츠쿠바시 히가시 1초메 1번지 1 중앙 제6)에 국제기탁했다. 이들의 균주는 이하와 같은 균학적 성질을 가진다.
<Lactobacilli MRS Broth로 37℃, 24시간 배양한 YIT 0132 및 YIT 0148의 균학적 성질>
(제 성질)
YIT 0132 YIT 0148
세포의 형 바실루스 바실루스
그램 염색성 + +
캐타라제 활성 - -
운동성 유무 - -
포자 유무 - -
15℃에서의 생육 + +
45℃에서의 생육 - -
혐기적 생육 + +
호기적 생육 + +
가스 생성 - -
(당의 발효 성상: API 50CH에 의한 측정)
[표 2-1]
Figure pct00001

[표 2-2]
Figure pct00002

(16S rDNA)
16S rDNA 염기 배열을 이용한 균종 동정을 이하의 방법으로 행했다. 즉, MRS배지를 이용하여 37℃, 24시간, 배양한 균액을 원심 세정한 균체 펠릿으로부터 추출한 DNA를 주형으로서 16S rDNA 배열의 전체 길이를 PCR법에 의해 증폭하고, 증폭 산물의 염기 배열을 Dye Terminator법에 의해 결정하고, 얻어진 염기 배열을 데이타 베이스로 검색하여 균종을 분류했다. YIT 0132, YIT 0148의 16S rDNA 염기 배열(배열 번호 1, 배열 번호 2)은 락토바실루스·플란타룸(accession No. D79210)와 각각 99.9% 또한 99.8%의 상동성을 나타냈지만, 락토바실루스·파라플란타룸(accession No.AJ306297), 락토바실루스·펜토사스(accession No.D79211) 모두 각각 99% 이상의 높은 상동성을 나타냈다. 이들 3 균종은 매우 근연(近緣)이고, 16S rDNA 배열에서는 식별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판별에는 3 균종의 기준주를 대조로서 recA 유전자 배열을 표적으로 한 균종 특이적 프라이머에 의한 PCR법(Appl Environ Microbiol., 67, 3450-3454 (2001))(을)를 이용했다. 그 결과, YIT 0132, YIT 0148은 락토바실루스·플란타룸으로 판별되었다.
또, 본 발명 유산균으로서는 상기 균주 이외에, 상기 균주의 변이주로, 동일한 과즙 발효성 등을 나타내는 것도 이용할 수가 있다.
상기한 본 발명 유산균은 식품 유래의 균이고, 그의 안전성도 확인되어 있는 것인 것으로부터, 종래의 프로바이오틱스에 이용되는 유산균과 마찬가지로 각종 용도로 이용하고, 이것을 섭취함으로써 정장작용(整腸作用) 등의 생리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 유산균을 사람이나 동물이 섭취하는 경우의 양에 엄격한 제한은 없지만, 그의 적합한 투여량은 생균수로서 1일당 105CFU~1013CFU이고, 특히 108 CFU~1012CFU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 유산균은 계속적으로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격월, 격주, 격일과 같이 섭취 간격을 늘리는 경우나 짧은 섭취 기간이라도 좋다.
본 발명 유산균의 생리 효과를 얻기 위해서, 예를 들면, 고체 또는 액체의 의약용 무독성 담체와 혼합하고, 관용의 의약품 제제의 형태로 한 것을 이용할 수가 있다. 이러한 제제로서는 예를 들면, 정제, 과립제, 산제, 캅셀제 등의 고형제, 용액제, 현탁제, 유제 등의 액제, 동결건조 제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제제는 제제 상의 상투수단에 의해 조제할 수 있다. 상기 의약용 무독성 담체로서는 예를 들면, 글루코오스, 유당, 자당, 전분, 만니톨, 덱스트린, 지방산 글리세리드, 폴리에틸렌글리콜, 히드록시에틸 전분, 에틸렌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아미노산, 젤라틴, 알부민, 물, 생리 식염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안정화제, 습윤제, 유화제, 결합제, 등장화제, 부형제 등의 관용의 첨가제를 적당 첨가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 유산균은 상기와 같은 제제로 할 뿐만 아니라, 고형상, 액상 등의 어느 형태의 음식물에 함유시킬 수도 있다. 음식물에 함유시키는 경우는 그대로, 또는 여러 가지의 영양 성분과 함께 함유하게 하면 좋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 유산균을 음식물에 함유시키는 경우는 음식물로서 사용 가능한 첨가제를 적당 사용하여 관용의 수단을 이용해 식용으로 적합한 형태, 즉, 과립상, 입상, 정제, 캅셀, 페이스트 등으로 성형하면 좋다. 음식물의 종류로서는 예를 들면, 햄, 소세지 등의 식육 가공 식품, 어묵, 생선살 꼬치구이 등의 수산 가공 식품, 빵, 과자, 버터, 분유 등의 식품이나, 물, 과즙, 우유, 청량 음료, 차 음료 등의 음료를 들 수 있다. 또, 음식물에는 동물의 사료도 포함된다.
더욱이, 본 발명 유산균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는 음식물로서는 본 발명 유산균을 수유(獸乳), 두유, 과즙, 야채즙 등의 각종 식품 소재에 접종하여 발효 시킴으로써 얻어지는 발효유, 발효 두유, 발효 과즙, 발효 야채즙 등의 발효물을 함유하는 음식물을 들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특히 발효 과즙을 함유하는 발효 과즙 음료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음식물이면, 본 발명 유산균을 생균의 상태로 함유하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발효유, 발효 두유, 발효 과즙, 발효 야채즙 등의 발효물을 함유하는 음식품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 유산균을 이용하여 발효 과즙 음료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우선, 사용하는 과즙에 적합한 조건에서 살균한 과즙에 본 발명 유산균을 단독 또는 다른 미생물과 동시에 접종 배양하고, 이것을 균질화 처리하여 발효 과즙 베이스를 얻는다. 그 다음, 이 발효 과즙 베이스를 이용하여 과즙 100% 함유 음료 형 또는 시럽이나 다른 미발효 과즙 등과 혼합하고, 다시 플래이버 등을 첨가하여 최종 제품으로 마무리하면 좋다.
상기 발효 과즙 음료의 원료가 되는 과즙으로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그레이프, 그레이프 푸르츠, 오렌지, 파인 주스, 애플 등의 과즙이 바람직하고, 특히 오렌지, 애플의 과즙이 바람직하다.
또한, 발효 야채즙 음료도, 상기 발효 과즙 음료와 동일하게 제조할 수 있다. 발효 야채즙 음료의 원료로 되는 야채즙으로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당근, 자색 당근 등의 당근, 자색 고구마, J-레드 등의 고구마, 양배추, 토마토 등의 야채즙이 바람직하고, 특히 당근, 자색 고구마, J-레드의 야채즙이 바람직하다.
또, 발효 과즙 음료나 발효 야채즙 음료에는 시럽 등의 감미료, 유화제, 증점(안정)제, 각종 비타민 등의 임의 성분을 배합할 수 있다. 시럽으로서는 글루코오스, 자당, 프락토오스, 과당 그레이프당 액당, 그레이프당 과당액당, 팔라티노오스, 트레할로오스, 락토오스, 크실로오스, 맥아당, 벌꿀, 당밀 등의 당류, 소르비톨, 크실리톨, 에리쓰리톨, 락티톨, 팔라티닛, 환원 물엿, 환원 맥아당 물엿 등의 당 알코올, 아스파르테임, 소마틴, 스크라로오스, 아세술팜 K, 스테비아 등의 고감미도 감미료를 들 수 있다. 그 밖에도, 비타민 A, 비타민 B류, 비타민 C, 비타민 E류 등의 비타민류, 칼슘, 마그네슘, 아연, 철, 망간 등의 미네랄분, 시트르산, 젖산, 아세트산, 사과산, 타르타르산, 글루콘산 등의 신맛료, 크림, 버터, 사워 크림 등의 유지방, 요구르트계, 베리계, 오렌지계, 모과나무계, 차조기계, 시트라스계, 애플계, 민트계, 그레이프계, 아프리콧트계, 서양배, 쿠스타드 크림, 피치, 멜론, 바나나, 트로피컬, 허브계, 홍차, 커피계 등의 플래이버류, 허브 엑기스, 흑당엑기스 등을 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발효 과즙 음료나 발효 야채즙 음료의 제조 시에는 본 발명 유산균 이외의 미생물을 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미생물로서는 예를 들면, 비피도박테리움·브레베(Bifidobacterium breve), 비피도박테리움·롱검(B. longum), 비피도박테리움·비피둠(B. bifidum), 비피도박테리움·아니말리스(B. animalis), 비피도박테리움·즈이스(B. suis), 비피도박테리움·인판티스(B. infantis), 비피도박테리움·아돌레센티스(B. adolescentis), 비피도박테리움·카테눌라툼(B. catenulatum), 비피도박테리움·슈드카테눌라툼(B. pseudocatenulatum), 비피도박테리움·락티스(B. lactis), 비피도박테리움·글로보숨(B. globosum) 등의 비피도박테리움속 세균, 락토바실루스·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루스·악시도필루스(L. acidophilus), 락토바실루스·부흐네리(L. buchneri), 락토바실루스·갈리나룸(L. gallinarum), 락토바실루스·아미로보루스(L. amylovorus), 락토바실루스·브레비스(L. brevis), 락토바실루스·람노수스(L. rhamnosus), 락토바실루스·케피어(L. kefir), 락토바실루스·파라카제이(L. paracasei), 락토바실루스·크리스파투스(L.crispatus), 락토바실루스·제아에(L. zeae), 락토바실루스·헬베티쿠스(L. helveticus), 락토바실루스·살리바리우스(L. salivalius), 락토바실루스·가세리(L. gasseri), 락토바실루스·퍼멘툼(L. fermentum), 락토바실루스·로이테리(L. reuteri), 락토바실루스·델브뤽키 섭스피시즈. 불가리쿠스(L. delbrueckii subsp. bulgaricus), 락토바실루스·델브뤽키 섭스피시즈. 델브뤽키(L. delbrueckii subsp. delbrueckii), 락토바실루스·존소니(L. johnsonii), 락토바실루스·펜토수스(Lactobacillus pentosus), 락토바실루스·파라플란타룸(Lactobacillus paraplantarum) 등의 락토바실루스속 세균, 스트렙토콕쿠스·써모필루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등의 스트렙토콕쿠스속 세균, 락토콕쿠스·락티스 섭스피시즈. 락티스(Lactococcus lactis subsp. lactis), 락토콕쿠스·락티스 섭스피시즈 쿠레모리스(Lactococcus lactis subsp. cremoris) 등의 락토콕쿠스속 세균, 엔테로콕쿠스·페칼리스(Enterococcus faecalis), 엔테로콕쿠스·페시움(E. faecium) 등의 엔테로콕쿠스속 세균, 바실루스·섭틸리스(Bacillus subtilis) 등의 바실루스속 세균, 사카로마이세스·세르비시에(Saccharomyses cerevisiae), 토루라스포라·델브뤽키(Torulaspora delbrueckii), 칸디다·케피어(Candida kefyr) 등의 사카로마이세스속, 토루라스포라속, 칸디다속 등에 속하는 효모를 들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의 내용을 한층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어떠한 제약도 받지 않는다.
실시예 1
   각종 유산균에 의한 과즙의 발효 시험:
(1) 균주
과즙의 발효능이 높은 균주를 찾아내기 위해, 주로 과수를 분리근원으로 하는 표 3에 기재의 유산균 43주를 대상으로 했다.
(2) 종균과 배양
Lactobacilli MRS Broth(Difco사 제)를 121℃, 15분 오토클레이브 멸균한 후 접종했다. 스포라락토바실루스속은 혐기 배양이므로, 기상(氣相)을 N2 치환 후 부틸 고무마개로 막았다. 다른 균종은 호기 배양이므로 알루미늄 캡으로 뚜껑을 하여 30℃에서 16시간, 정상 상태로 될 때까지 배양했다.
(3) 과즙에서의 증식성
시판의 농축 환원 100% 주스, 그레이프(Dole사 제)와 오렌지(야쿠르트본사 제)를 각각 무균적으로 시험관에 분주하고, 0.4% 용량의 균액을 접종하고, 37℃에서 48시간 배양했다.
(4) 생균수의 측정
배양액을 멸균한 희석액(0.1% 효모 엑기스 용액)으로 적의 희석한 후, 스파이럴 시스템에서 MRS 한천 평판 배지에 도포하고, 생균수를 측정했다. 시험에 제공된 균주 43주에 대해서 과즙 중의 증식성을 조사한 결과를 표 3에 나타냈다.
(5) 과즙 증식성의 검토
그레이프 주스에서는 대부분의 균종이 증식하지 않는 가운데, 락토바실루스·플란타룸만이 잘 증식하고, 2주 모두 1×108CFU/㎖까지 생균수가 상승했다. 오렌지 주스에서는 몇 개의 균주를 제외하고 생육하여, 대부분이 1×107CFU/㎖이상의 생균수였다. 그레이프 주스, 오렌지 주스 모두 혐기 배양의 스포로락토바실루스속은 모든 균주에서 생육하지 않았다. 이상부터, 그레이프 주스, 오렌지 주스를 발효기질로 했을 때에 1×108CFU/㎖까지 도달 생균수를 나타내는 유산균은 락토바실루스·플란타룸 것 뿐인 것이 명백했다.
[표 3-1]
Figure pct00003
[표 3-2]
Figure pct00004
※ 생균수가 낮은 검출한계 이하 (2×106 CFU/㎖) 이하인 것은 (-)로 나타냈다.
실시예 2
락토바실루스·플란타룸에 의한 과즙의 발효 시험:
(1) 균주
락토바실루스·플란타룸 12주를 대상으로 했다. 균주의 유래는 YIT 0220주는 ATCC 14431, Y 50097주는 시판의 발효유, YIT 0102주는 기준주(ATCC 14917), Y 99005주는 유제품으로부터 분리한 299v주이다. 그 외의 주는 채소 절임, 발효차, 사람 분변으로부터 분리된 것이다.
(2) 종균과 배양
Lactobacilli MRS Broth(Difco사 제)를 작은 시험관에 분주하고, 121℃, 15분 오토클레이브 멸균한 후 접종하고, 알루미늄 캡으로 뚜껑을 하고, 37℃에서 16시간, 정상 상태로 될 때까지 배양했다.
(3) 과즙에서의 증식성
시판의 농축 환원 100% 주스, 그레이프(Dole사 제), 그레이프 푸르츠(야쿠르트본사 제), 오렌지(야쿠르트본사 제), 파인 주스(야쿠르트본사 제), 애플(야쿠르트본사 제)을 각각 무균적으로 시험관에 분주하고, 0.4% 용량의 균액을 접종하고,
배양액을 멸균한 희석액(0.1% 효모 엑기스 용액)으로 적의 희석한 후, 스파이럴 시스템에서 MRS 한천 평판 배지에 도포하여 생균수를 측정했다.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냈다. 또한, 그레이프, 그레이프 푸르츠, 오렌지, 파인 주스, 애플의 100% 주스를 발효기질로 했을 때의 각각의 도달 생균수(CFU/㎖)를 108으로 나누고, 가한 것을 과즙에 있어서의 증식 스코어치로서 산출했다. 그 결과도 표 4에 나타냈다.
(5) 과즙 증식성의 검토
그레이프와 파인 주스의 100% 주스를 발효기질로 했을 경우, 모두 108 CFU/㎖이상의 도달 생균수를 나타낸 균주는 YIT 10015주, YIT 0069주, YIT 0148주 및 YIT 0132주의 4주였다. 그 결과, 락토바실루스·플란타룸의 기준주인 YIT 0102(증식 스코어 14)나 야채즙이나 과즙에서의 발효능이 알려져 있는 YIT 0220(증식 스코어 10) 및 Y 99005(증식 스코어 18)보다, 현저하게 높은 증식 스코어를 나타내는 균주는 YIT 0069주(증식 스코어 27), YIT 0148주(증식 스코어 30) 및 YIT 0132주(증식 스코어 41)의 3주였다.
[표 4]
Figure pct00005

실시예 3
락토바실루스 플라타룸주의 플라스미드 유무의 확인
(1) 균주와 배양
MRS배지를 사용하여 37℃에서 약 20시간 배양했다.
(2) 플라스미드의 조제
신선한 배양액 1㎖로부터 3000×g의 원심으로 균체를 모으고, 200㎕의 Lysis solutin(50㎕/㎖ N-아세틸무라미다제 SG, 3㎎/㎖ 계란 흰자 리소짐, 100㎍/㎖ RNaseA, 50mM Tris-HCl (pH 8.0), 10mM EDTA)에 현탁했다. 37℃에서 30분 보온하고, 균체를 프로토플라스드화했다. 플라스미드 DNA는 프로토플라스미드화한 균체를 3000×g로 모으고, 시판의 알칼리법을 이용한 플라스미드 조제 킷(BioRadMiniprep.)에서 조제했다.
(3) 플라스미드의 검출
플라스미드 DNA를 0.7%의 아가로오스 겔에서 전기 영동한 후, 겔을 에티디움 브로마이드로 염색하고, UV 조사하에서 사진 촬영함으로써 플라스미드의 유무를 평가했다.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냈다.
(4) 플라스미드의 유무
실시예 2에서 양호한 과즙 발효능을 나타낸 균주를 함유하는 7균주에 대해서 조사했다. 7균주중 5균주에서 플라스미드가 발견되었다. 이 중, 실시예 2에서 그레이프 주스 및 그레이프 푸르츠 주스에서 108CFU/㎖ 이상의 도달 생균수를 나타낸 균주이다. YIT 0132 및 YIT 0148에서는 모두 플라스미드가 확인되지 않았다.
균주명 플라스미드 유무
YIT 10023 +
YIT 0102 +
YIT 10021 +
YIT 10015 +
Y 99005(299v) +
YIT 0132 -
YIT 0148 -
+: 플라스미드를 유지한다.
-: 플라스미드를 유지하지 않는다.
실시예 4
   유산균 음료(1):
브릭스(Bx) 10으로 조정한 표 6에 나타낸 과즙 또는 야채즙을 표 6 기재의 조건으로 살균하고, 냉각 후, MRS broth로 배양한 락토바실루스·플란타룸 YIT 0132를 0.4% 접종하고 37℃에서 48시간 배양했다. 얻어진 발효 과즙 또는 발효 야채즙에 대해서 제조시의 생균수를 MRS 한천 평판에서 측정했다(표 6). 또한, 이들 유산균 음료에 대해서 풍미를 자유 평가한 바, 모두 음료에 적합하였지만, 오렌지, 애플, 당근, 자색 고구마, J-레드가 특히 풍미상 바람직했다.
식품소재 살균조건 살균후 pH 제조시 생균수*
오렌지 110℃, 3초


3.77 8.9×108
애플 3.80 3.5×108
파인애플 3.61 1.0×109
복숭아 3.94 5.1×108
당근 135℃, 1분 6.08 1.6×109
자색무 123℃, 1분 4.26 1.7×109
자색고구마 135℃, 1분

6.08 9.0×108
J-레드 5.68 1.8×109
케일 5.87 3.7×109
토마토 주스** 130℃, 3초 4.30 1.9×109
토마토 퓌레 123℃, 1분 4.30 1.9×109
* 단위: CFU/㎖
** 토마토를 압착후, 원심분리 등에 의해 펄프를 제거하여 농축한 것.
실시예 5
   유산균 음료(2):
탈지분유 10%와 효모 엑기스 0.03%를 온수에 용해하고, 135℃, 3초의 조건으로 살균, 냉각 후, MRS broth로 배양한 락토바실루스·플란타룸 YIT 0132를 0.4% 접종하고, 48시간 배양했다. 이 유산균 음료의 MRS 한천 평판 배지에 의한 제조시의 생균수는 5.2×108CFU/㎖였다. 맛은 온화한 신맛으로 마시기 좋은 것이었다. 
실시예 6
   유산균 음료(3):
브릭스(Bx) 10으로 조정한 표 7에 나타낸 과즙 또는 야채즙을 표 7에 기재의 조건으로 살균하고, MRS broth로 전배양한 락토바실루스·플란타룸 YIT 0148을 0.4% 접종하고, 37℃에서 48시간 배양했다. 얻어진 발효 과즙 또는 발효 야채즙에 대해서 제조시의 생균수를 MRS 한천 평판에서 측정했다(표 7). 또한, 이들의 유산균 음료에 대해서 풍미를 자유 평가한 바, 모두 음료에 적합하였으며, 오렌지, 애플, 당근, 자색 고구마, J-레드가 특히 풍미상 바람직했다.
식품소재 살균조건 살균후 pH 제조시 생균수*
오렌지 110℃, 3초


3.77 7.9×108
애플 3.80 2.4×108
파인애플 3.61 1.0×109
복숭아 3.94 6.1×108
당근 135℃, 1분 6.08 1.9×109
자색무 123℃, 1분 4.26 1.6×109
자색고구마 135℃, 1분

6.08 3.5×108
J-레드 5.68 1.1×109
케일 5.87 1.3×109
토마토 주스** 130℃, 3초 4.30 1.7×109
토마토 퓌레 123℃, 1분 4.30 1.6×109
* 단위: CFU/㎖
** 토마토를 압착후, 원심분리 등에 의해 펄프를 제거하여 농축한 것.
 실시예 7
   유산균 음료(4):
탈지분유 10%와 효모 엑기스 0.03%를 온수에 용해하고, 135℃, 3초의 조건으로 살균, 냉각 후, MRS broth로 배양한 락토바실루스·플란타룸 YIT 0148을 0.4% 접종하고, 37℃에서 48시간 배양했다. 이 유산균 음료의 MRS 한천 평판 배지에 의한 제조시의 생균수는 3.2×108CFU/㎖였다. 맛은 온화한 신맛으로 마시기 좋은 것이었다.
본 발명 유산균은 각종 야채즙이나 과즙을 발효기질로 했을 경우에 있어서도 높은 도달 생균수가 된다. 그 때문에, 프로바이오틱스에 매우 적합하게 이용할 수가 있다.
독립행정법인 산업기술 종합연구소 특허생물기탁센터 FERMBP-11349 20100224 독립행정법인 산업기술 종합연구소 특허생물기탁센터 FERMBP-11350 20100224
<110> Kabushiki Kaisha Yakult Honsha <120> Novel Lactobacillus platarum and its utilization <130> PF-110005-WO <150> JP 2010-64911 <151> 2010-03-19 <160> 2 <170> KopatentIn 2.0 <210> 1 <211> 1501 <212> DNA <213> Lactobacillus plantarum YIT 0132 <400> 1 ggcggcgtgc ctaatacatg caagtcgaac gaactctggt attgattggt gcttgcatca 60 tgatttacat ttgagtgagt ggcgaactgg tgagtaacac gtgggaaacc tgcccagaag 120 cgggggataa cacctggaaa cagatgctaa taccgcataa caacttggac cgcatggtcc 180 aagtttgaaa gatggcttcg gctatcactt ttggatggtc ccgcggcgta ttagctagat 240 ggtggggtaa cggctcacca tggcaatgat acgtagccga cctgagaggg taatcggcca 300 cattgggact gagacacggc ccaaactcct acgggaggca gcagtaggga atcttccaca 360 atggacgaaa gtctgatgga gcaacgccgc gtgagtgaag aagggtttcg gctcgtaaaa 420 ctctgttgtt aaagaagaac atatctgaga gtaactgttc aggtattgac ggtatttaac 480 cagaaagcca cggctaacta cgtgccagca gccgcggtaa tacgtaggtg gcaagcgttg 540 tccggattta ttgggcgtaa agcgagcgca ggcggttttt taagtctgat gtgaaagcct 600 tcggctcaac cgaagaagtg catcggaaac tgggaaactt gagtgcagaa gaggacagtg 660 gaactccatg tgtagcggtg aaatgcgtag atatatggaa gaacaccagt ggcgaaggcg 720 gctgtctggt ctgtaactga cgctgaggct cgaaagtatg ggtagcaaac aggattagat 780 accctggtag tccataccgt aaacgatgaa tgctaagtgt tggagggttt ccgcccttca 840 gtgctgcagc taacgcatta agcattccgc ctggggagta cggccgcaag gctgaaactc 900 aaaggaattg acgggggccc gcacaagcgg tggagcatgt ggtttaattc gaagctacgc 960 gaagaacctt accaggtctt gacatactat gcaaatctaa gagattagac gttcccttcg 1020 gggacatgga tacaggtggt gcatggttgt cgtcagctcg tgtcgtgaga tgttgggtta 1080 agtcccgcaa cgagcgcaac ccttattatc agttgccagc attaagttgg gcactctggt 1140 gagactgccg gtgacaaacc ggaggaaggt ggggatgacg tcaaatcatc atgcccctta 1200 tgacctgggc tacacacgtg ctacaatgga tggtacaacg agttgcgaac tcgcgagagt 1260 aagctaatct cttaaagcca ttctcagttc ggattgtagg ctgcaactcg cctacatgaa 1320 gtcggaatcg ctagtaatcg cggatcagca tgccgcggtg aatacgttcc cgggccttgt 1380 acacaccgcc cgtcacacca tgagagtttg taacacccaa agtcggtggg gtaacctttt 1440 aggaaccagc cgcctaaggt gggacagatg attagggtga agtcgtaaca aggtagccgt 1500 a 1501 <210> 2 <211> 1559 <212> DNA <213> Lactobacillus plantarum YIT 0148 <400> 2 agagtttgat catggctcag gacgaacgct ggcggcgtgc ctaatacatg caagtcgaac 60 gaactctggt attgattggt gcttgcatca tgatttacat ttgagtgagt ggcgaactgg 120 tgagtaacac gtgggaaacc tgcccagaag cgggggataa cacctggaaa cagatgctaa 180 taccgcataa caacttggac cgcatggtcc aagtttgaaa gatggcttcg gctatcactt 240 ttggatggtc ccgcggcgta ttagctagat ggtggggtaa cggctcacca tggcaatgat 300 acgtagccga cctgagaggg taatcggcca cattgggact gagacacggc ccaaactcct 360 acgggaggca gcagtaggga atcttccaca atggacgaaa gtctgatgga gcaacgccgc 420 gtgagtgaag aagggtttcg gctcgtaaaa ctctgttgtt aaagaagaac atatctgaga 480 gtaactgttc aggtattgac ggtatttaac cagaaagcca cggctaacta cgtgccagca 540 gccgcggtaa tacgtaggtg gcaagcgttg tccggattta ttgggcgtaa agcgagcgca 600 ggcggttttt taagtctgat gtgaaagcct tcggctcaac cgaagaagtg catcggaaac 660 tgggaaactt gagtgcagaa gaggacagtg gaactccatg tgtagcggtg aaatgcgtag 720 atatatggaa gaacaccagt ggcgaaggcg gctgtctggt ctgtaactga cgctgaggct 780 cgaaagtatg ggtagcaaac aggattagat accctggtag tccataccgt aaacgatgaa 840 tgctaagtgt tggagggttt ccgcccttca gtgctgcagc taacgcatta agcattccgc 900 ctggggagta cggccgcaag gctgaaactc caaggaattg acgggggccc gcacaagcgg 960 tggagcatgt ggtttaattc gaagctacgc gaagaacctt accaggtctt gacatactat 1020 gcaaatctaa gagattagac gttcccttcg gggacatgga tacaggtggt gcatggttgt 1080 cgtcagctcg tgtcgtgaga tgttgggtta agtcccgcaa cgagcgcaac ccttattatc 1140 agttgccagc attaagttgg gcactctggt gagactgccg gtgacaaacc ggaggaaggt 1200 ggggatgacg tcaaatcatc atgcccctta tgacctgggc tacacacgtg ctacaatgga 1260 tggtacaacg agttgcgaac tcgcgagagt aagctaatct cttaaagcca ttctcagttc 1320 ggattgtagg ctgcaactcg cctacatgaa gtcggaatcg ctagtaatcg cggatcagca 1380 tgccgcggtg aatacgttcc cgggccttgt acacaccgcc cgtcacacca tgagagtttg 1440 taacacccaa agtcggtggg gtaacctttt aggaaccagc cgcctaaggt gggacagatg 1500 attagggtga agtcgtaaca aggtagccgt aggagaacct gcggctggat cacctccta 1559

Claims (8)

  1. 그레이프 및 오렌지 100% 과즙을 발효기질로 했을 때의 도달 생균수가 모두 108 CFU/㎖이상인 락토바실루스·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에 속하는 유산균.
  2. 제1항에 있어서, 그레이프, 그레이프 푸르츠, 오렌지, 파인 주스 및 애플의 100% 과즙을 발효기질로 했을 때의 각각의 도달 생균수(CFU/㎖)를 108으로 나누어 더한 증식 스코어치가 25 이상인 락토바실루스·플란타룸에 속하는 유산균.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플라스미드를 가지지 않는 것인 락토바실루스·플란타룸에 속하는 유산균.
  4. 제1항 내지 제3항의 어느 1항에 있어서, 락토바실루스·플란타룸 YIT 0132(FERM ABP-11349) 또는 락토바실루스·플란타룸 YIT 0148(FERM ABP-11350)인 락토바실루스·플란타룸에 속하는 유산균.
  5. 제1항 내지 제4항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락토바실루스·플란타룸에 속하는 유산균을 함유하는 음식물.
  6. 식품 소재에, 제1항 내지 제4항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락토바실루스·플란타룸에 속하는 유산균을 접종하고, 발효시킴으로써 얻어지는 발효물.
  7. 청구항 6에 기재의 발효물을 함유하는 음식물.
  8. 식품 소재에 제1항 내지 제4항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락토바실루스·플란타룸에 속하는 유산균을 접종하고, 발효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물의 제조 방법.
KR1020127023933A 2010-03-19 2011-03-15 락토바실루스·플란타룸에 속하는 신규 유산균 및 그의 이용 KR1018368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64911 2010-03-19
JPJP-P-2010-064911 2010-03-19
PCT/JP2011/056065 WO2011115114A1 (ja) 2010-03-19 2011-03-15 ラクトバチルス・プランタラムに属する新規乳酸菌およびその利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8710A true KR20130028710A (ko) 2013-03-19
KR101836862B1 KR101836862B1 (ko) 2018-03-09

Family

ID=44649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3933A KR101836862B1 (ko) 2010-03-19 2011-03-15 락토바실루스·플란타룸에 속하는 신규 유산균 및 그의 이용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9788557B2 (ko)
EP (1) EP2548948B1 (ko)
JP (1) JP5518178B2 (ko)
KR (1) KR101836862B1 (ko)
CN (1) CN102971413B (ko)
AU (1) AU2011228123B2 (ko)
BR (1) BR112012023635A2 (ko)
CA (1) CA2793729C (ko)
ES (1) ES2671743T3 (ko)
HK (1) HK1181420A1 (ko)
MX (1) MX2012010770A (ko)
WO (1) WO201111511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7382B1 (ko) * 2013-05-15 2014-09-04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장건강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110076A (ko) * 2015-02-06 2017-10-10 가부시키가이샤 게놈소야쿠겡큐쇼 유산균, 그 유산균 유래의 자연 면역 활성화제, 감염증 예방 치료제 및 음식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49415A1 (en) * 2010-07-15 2013-06-13 Laurent Marchal Use of manganese for enhancing the growth of L.casei in mixed cultures.
JP6061530B2 (ja) * 2012-07-25 2017-01-18 株式会社ヤクルト本社 Nash予防治療剤
KR102267879B1 (ko) * 2013-10-17 2021-06-21 가부시키가이샤 게놈소야쿠겡큐쇼 신규 유산균, 신규 유산균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자연 면역 활성화제, 및 신규 유산균을 함유하는 음식품
DE102014110182A1 (de) * 2014-07-18 2016-01-21 Erdinger Weißbräu Werner Brombach GmbH &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Nahrungsmittels oder einer Vorstufe desselben, Nahrungsmittel oder eine Vorstufe desselben und entsprechende Verwendung
CN104357353B (zh) * 2014-11-03 2017-09-15 郑州大学 一株植物乳杆菌在发酵果蔬汁制作中的应用
CN104522819B (zh) * 2015-01-19 2016-08-03 中国食品发酵工业研究院 一种菠萝发酵制品及其制备方法
CN104921236A (zh) * 2015-02-12 2015-09-23 南昌大学 一种植物乳酸杆菌atcc 8014与南丰蜜橘发酵饮料的制备方法
CN105520019A (zh) * 2015-11-25 2016-04-27 广西巴马活益生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多菌种微生物复合功能型饮料制剂及其制备方法
CN105483050B (zh) * 2015-12-31 2018-12-18 北京英惠尔生物技术有限公司 一株植物乳杆菌及其在发酵饲料中的应用
AU2017249159A1 (en) 2016-04-11 2018-11-29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Probiotic formulations for improving athletic performance
WO2018049853A1 (zh) * 2016-09-14 2018-03-22 光明乳业股份有限公司 一种植物乳杆菌增殖剂、添加该增殖剂的发酵产品及制备方法
CN106993712A (zh) * 2017-04-13 2017-08-01 山东优果坊食品有限公司 保健型脱水水果干制品及其制作方法
DE102017120283A1 (de) 2017-09-04 2019-03-07 Erdinger Weißbräu Werner Brombach GmbH &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Nahrungsmittels oder einer Vorstufe desselben, Nahrungsmittel oder eine Vorstufe desselben und eine entsprechende Verwendung
CN109549195A (zh) * 2017-09-27 2019-04-02 家宝农产 具有抗肥胖活性的含有发酵香橙渣的食物成分
CN107699524A (zh) * 2017-11-08 2018-02-16 苏州健世星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活性黑糖乳酸菌的制备方法
BR112022010174A2 (pt) * 2019-11-25 2022-08-09 Fitbiomics Inc Composições para aperfeiçoamento do desempenho atlético e métodos de uso das mesmas
CN111280355B (zh) * 2020-03-25 2022-08-02 河北农业大学 植物乳杆菌p_17及利用该菌制备发酵苹果汁的方法
JP2023530671A (ja) * 2020-06-10 2023-07-19 ザ ボード オブ トラスティーズ オブ ザ ユニバーシティ オブ アーカンソー ブタの健康及び発育成績を向上させるブタ由来のプロバイオティクス
CN112167339A (zh) * 2020-10-16 2021-01-05 光明乳业股份有限公司 一种鼠李糖乳杆菌发酵乳及其制备方法
CN112813006B (zh) * 2021-02-08 2023-08-18 广东石油化工学院 植物乳杆菌及其在果蔬汁发酵中的应用
TW202318979A (zh) * 2021-08-25 2023-05-16 愛眾科技有限公司 益生菌pta22、製備兔子食物的營養組合物及降解草酸的組合物
CN115058372B (zh) * 2022-08-11 2022-11-08 中国肉类食品综合研究中心 一种复配发酵剂及其在低糖气泡型发酵豆乳中的应用
CN116711828A (zh) * 2023-04-21 2023-09-08 上海交通大学 一种具有抗氧化活性的发酵华莱士瓜饮料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32788D0 (da) * 1988-01-25 1988-01-25 Hansens Lab A S Chr Fremgangsmaade til fremstilling af en drik
JPH07100025B2 (ja) * 1991-04-17 1995-11-01 アサヒビール株式会社 新規乳酸菌とそれを用いて得られた発酵人参ジュース
US7112346B2 (en) * 1992-04-01 2006-09-26 Chr. Hansen A/S Method of inducing malolactic fermentation in wine or fruit juice by direct inoculation with a non-activated started culture
JP2001252012A (ja) 2000-03-15 2001-09-18 Otsuka Shokuhin Kk 長期間チルド保存可能な乳酸菌飲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006540A (ja) * 2003-06-18 2005-01-13 Miki Foods Co Ltd 醗酵促進剤および醗酵乳
JP4610525B2 (ja) 2003-06-30 2011-01-12 大塚製薬株式会社 エクオール産生乳酸菌含有組成物
EP1508282A1 (fr) * 2003-08-20 2005-02-23 Fondation The Ark Boisson aux jus de fruits lactofermentés
JP2005278517A (ja) * 2004-03-30 2005-10-13 Kumamoto Technology & Industry Foundation 桑果汁を含む乳酸発酵食品
JP2005333898A (ja) * 2004-05-27 2005-12-08 Otsuka Shokuhin Kk 炭酸入り乳酸発酵飲料の製造方法
FR2886817B1 (fr) 2005-06-10 2007-08-24 Gervais Danone Sa Produit alimentaire enrichi en probiotique et appauvri en acides organiques
JP4918412B2 (ja) * 2007-05-31 2012-04-18 日本デルモンテ株式会社 果菜発酵物及び果菜発酵物含有飲食品
JP5413819B2 (ja) * 2008-02-08 2014-02-12 国立大学法人広島大学 肝機能改善剤およびその製造用ツール、ならびにこれらの利用
CN101240255A (zh) * 2008-03-18 2008-08-13 江苏云海辰龙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植物源蛋白的益生菌发酵剂的制备方法
CN101341995A (zh) * 2008-08-26 2009-01-14 上海应用技术学院 一种乳酸菌发酵蔬菜汁饮料的制备方法
CN101637291A (zh) 2009-08-14 2010-02-03 陈斌 两株乳酸菌为基础的益生菌软饮料及其制作工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7382B1 (ko) * 2013-05-15 2014-09-04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장건강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110076A (ko) * 2015-02-06 2017-10-10 가부시키가이샤 게놈소야쿠겡큐쇼 유산균, 그 유산균 유래의 자연 면역 활성화제, 감염증 예방 치료제 및 음식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518178B2 (ja) 2014-06-11
JPWO2011115114A1 (ja) 2013-06-27
ES2671743T3 (es) 2018-06-08
EP2548948A1 (en) 2013-01-23
EP2548948A4 (en) 2016-05-18
KR101836862B1 (ko) 2018-03-09
US9788557B2 (en) 2017-10-17
WO2011115114A1 (ja) 2011-09-22
CN102971413B (zh) 2014-11-26
EP2548948B1 (en) 2018-05-23
MX2012010770A (es) 2012-10-15
HK1181420A1 (en) 2013-11-08
US20130064928A1 (en) 2013-03-14
AU2011228123B2 (en) 2014-11-06
CA2793729A1 (en) 2011-09-22
CN102971413A (zh) 2013-03-13
CA2793729C (en) 2018-12-11
AU2011228123A1 (en) 2012-11-08
BR112012023635A2 (pt) 2017-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6862B1 (ko) 락토바실루스·플란타룸에 속하는 신규 유산균 및 그의 이용
KR100911115B1 (ko) 내산성, 내담즙산성 및 항균 효과를 가진 신규한 유산균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TWI495722B (zh) 新穎雙叉桿菌屬細菌、含有其之飲食品、用於檢測或定量其之dna片段及引子之用途、與其檢測或定量方法
KR101271379B1 (ko) 와인 발효 모로미 유래의 면역 조절 작용을 갖는 유산균
KR20120111608A (ko) 면역증강 및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에이취와이 7712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품
WO2021256476A1 (ja) 乳酸菌の胃液・胆汁耐性向上方法
KR101109744B1 (ko) 균체외 다당을 생성하고 건강기능성 효과를 갖는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JP6651202B1 (ja) ストレプトコッカス・サリバリウスに属する新規乳酸菌およびその利用
CN103189498A (zh) 高产维生素k2的乳酸乳球菌菌株
KR100991456B1 (ko) 김치로부터 분리된 유산균 및 그의 용도
Ibrahim et al. The genus Lactobacillus
EP2011859B1 (en) Pediococcus pentosaceus lactose-positive strain and a complex of fructan-containing exopolysaccharides synthesized by the strain
JP6635479B1 (ja) エンテロコッカス・フェシウムに属する新規乳酸菌およびその利用
JP6921350B1 (ja) ヤエザクラの花から分離したラクトバチルス・プランタルムに属する新規乳酸菌及びその利用
JP7444368B1 (ja) チューリップの花から分離したラクチプランチバチルス・プランタルムに属する新規乳酸菌及びその利用
KR101871904B1 (ko)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ysm1219 균주 및 이의 용도
Abiona et al. Molecular characteristics of probiotics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soursop, cowmilk, goatmilk yoghurts and cheese
WO2024117118A1 (ja) 容器詰め酸性飲料
JP5980785B2 (ja) 新規ビフィズス菌及びその利用
KR101194795B1 (ko) 김치로부터 분리된 유산균 및 그의 용도
US20240023591A1 (en) Acetobacter for use in preparation of fermented produ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