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3010A - 철도차량용 도어구조 - Google Patents

철도차량용 도어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3010A
KR20120123010A KR1020127002052A KR20127002052A KR20120123010A KR 20120123010 A KR20120123010 A KR 20120123010A KR 1020127002052 A KR1020127002052 A KR 1020127002052A KR 20127002052 A KR20127002052 A KR 20127002052A KR 20120123010 A KR20120123010 A KR 201201230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window
door body
footrest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2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9067B1 (ko
Inventor
아츠시 하마모토
다카히로 가와시마
신이치 미우라
미키오 하타노
조조 이시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나리따세이사꾸쇼
가와사끼 쥬고교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나리따세이사꾸쇼, 가와사끼 쥬고교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나리따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20120123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30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9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90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23/00Construction of steps for railwa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7/00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 B61D17/04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with bodies of metal; with composite, e.g. metal and wood body structures
    • B61D17/06End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9/00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 B61D19/02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for carri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9/00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 B61D19/02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for carriages
    • B61D19/023Emergency ex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 Extensible Doors And Revolv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상적인 도어구조에 대한 장점들을 가지는 철도차량용 도어구조에 관한 것이다. 철도차량용 도어구조는, 일측부 상에 힌지를 가지는 도어 프레임과, 측면 방향과 전방 방향으로 회전되게 개방 가능하고 또한 폐쇄 가능하며, 창문과 도어의 전방 완전 개방상태에서 창문을 덮는 제1발판부를 구비하는 도어 본체와, 그리고 도어의 폐쇄상태에서 도어 본체의 차량 내부측 상에 저장 가능하게 접철되고, 또한 도어의 폐쇄상태에서 창문의 차량 내부측 상에 위치하는 창문용 개방부와, 그리고 도어의 전방 완전 개방상태에서 창문용 개방부를 덮는 제2발판부를 구비하는 연장 발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철도차량용 도어구조{DOOR STRUCTURE FOR RAILWAY VEHICLE}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단부패널에 접을 수 있게 배치되는 철도차량용 도어구조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이러한 유형의 도어구조의 선행기술로서, 특허문헌 1은, 차체의 단부에 배치된 통로에, 하단이 차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평시에는 차량에 고정되고 또한 비상시에는 외측 방향으로 개방되는 상기 통로 개방용의 힌지 도어프레임(hinged door frame)을 개폐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힌지 도어프레임에 형성된 개구부에, 상기 힌지 도어프레임의 측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힌지 도어(hinged door)가 부착되고, 그리고 상기 힌지 도어의 내측면에 비상탈출용의 보행 수단이 설치되는 도어구조를 제안하고 있다.
이외에도, 특허문헌 2는, 평시와 비상시 두 경우에 사용할 수 있는 도어구조를 제안하고 있다. 상기 도어구조는 플러그-인형(plug-in type) 도어와, 슬라이드 유닛과, 가이드 유닛과, 선택 핸들과 그리고 2단 경사통로(two-tier sloped passage)를 가진다.
상기 슬라이드 유닛은 도어의 개방 및 폐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와, 상기 슬라이더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전진 및 후퇴 가능하게 제공되고 또한 도어의 저단부에 있는 힌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첨단(tip)을 가지는 수직봉(vertical rod)으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 유닛은 도어의 개방 및 폐쇄 방향과 평행한 측면 가이드와, 상기 측면 가이드에 수직으로 교차하고 또한 차체에서 개방되는 수직 가이드와, 상기 수직 가이드의 개구 또는 측면 가이드를 폐쇄하는 분기편(branch piece)과, 그리고 상기 도어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한 단부와 상기 측면 및 수직 가이드들을 이동시킬 수 있는 롤러를 구비하는 타 단부를 가지는 아암으로 구성된다.
상기 선택 핸들은 평상시 사용위치와 비상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고, 체인을 사용하여 상기 분기편에 연결되며, 그리고 선택 핸들이 비상위치로 회전하면 측면 가이드의 폐쇄 방향으로 상기 분기편을 구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2단 경사통로는 도어에 접철 가능하게 제공되고, 그리고 지지체인을 통해 차체에 연결되는 지지유닛과, 도어에 부착되는 한 단부와 드럼 둘레에 감겨지는 타 단부를 가지는 완충체인과, 도어의 상단부의 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단부를 가지고 또한 상기 지지유닛과 상기 완충체인과 결합하는 연장판(extension plate)과, 그리고 상기 완충체인을 풀어내는 완충유닛을 포함한다.
통상적인 선행기술로서 기술한 상기 도어구조들 중 어느 것에서도, 차량 외부의 경치를 볼 수 있도록 해주는 창문이, 개방 및 폐쇄되는 도어에 제공되지 않는다.
비상 탈출용 도어에 제공되는 창문을 가지는 통상적인 선행기술 장치로서, 예컨대 특허문헌 3은 아래에서 기술하는 도어구조를 제안한다. 도어구조는 축으로서 역할하는 개구부(opening portion)의 상단부를 사용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철도차량의 전면 중앙부에 연결되는 상단을 가지고, 또한 개방이 되도록 전방 상측으로 회전하는 하단를 가지는 창문을 구비한 도어를 포함한다. 도어구조에서, 한 쌍의 측면으로 배열된 프레임들의 기단(base end)들은 개구부에서 양측 하단부들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프레임들이 서로 위에 내측으로 접철되도록 프레임들은 길이 방향으로 중간위치에서 접철될 수 있고, 일정한 폭을 각각 가지는 다수의 발판 부재(footboard member)들은 프레임을 따라 프레임들 간에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프레임들이 똑바로 연장되는 상태에서 발판면(footboard face)을 구성한다. 프레임들이 두 번 접철된 상태에서, 개별적인 발판 부재들은 힌지부를 가지는 측으로 이동하여 적층된다. 도어의 하단이 개방부의 하단부로 회전하고 또한 개방부가 도어에 의해 폐쇄되는 상태에서, 발판 부재들의 적층위치가 도어의 창문 위 하우징부에 위치하고 또한 창문과 간섭하지 않기 때문에, 도어의 창문을 통해 차량 외부 경치를 볼 수 있게 된다.
일본국 심사특허공보 제04-59187호 일본국 심사특허공보 제07-25304호 유럽특허출원 제0776808호
그러나, 특허문헌 3에 기술된 상기 도어구조에서, 해결해야할 다음의 문제점들이 있다.
개방이 되도록 전방 상측으로 회전하는 도어와, 비상 탈출의 경우에 발판면을 구성하고 또한 힌지를 통해 두 개로 접철되는 한 쌍의 프레임들을 가지는 슬로프들은 개별적인 독립유닛으로서 구성되므로, 이에 따라 구조는 복잡하다.
도어가 전방 상측으로 회전하여 개방되게 되는 상태에서, 두 번 접철된 슬로프는 직립 상태로 개방부에 위치하여, 비상시 원활한 탈출을 방해할 수 있다.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두 차량들이 서로 간에 밀접하게 대면하여, 한 차량에서 다른 차량으로 이동이 수행되는 모드에서, 도어는 차량 정면의 거의 수평 및 전방 상측으로 연장하기 때문에, 전방 상측으로 회전하여 개방되는 도어들은 서로 간섭할 수 있다.
비상 탈출의 경우에, 두 행위(동작)를 수행할 필요가 있는데, 하나는 도어가 전방 상측으로 회전하여 개방되는 것과, 다른 하나는 접철된 프레임들이 똑 바로 연장하여 발판 부재들을 연속적으로 펼쳐 발판면을 형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졌고, 또한 본 발명은 비상시에 출입구로서 사용할 수 있고, 그리고 창문을 가지는 도어에 탈출용 슬로프를 부드럽게 형성할 수 있는 철도차량용 도어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도어구조는 철도차량의 단부패널의 개구부에 제공되는 철도차량용 도어구조이고, 일측면부 상에 힌지를 가지는 도어 프레임과, 한지가 축으로 기능하는 동안에 철도차량의 측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개방 및 폐쇄할 수 있고, 도어 프레임의 하단부가 축으로 기능하는 동안에 철도차량의 전방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개방 및 폐쇄할 수 있고, 그리고 창문과 도어가 전방으로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창문을 덮는 제1발판부를 구비하는 도어 본체와, 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 본체의 차량 내측면 상에 수납이 될 수 있도록 접철되고, 도어의 폐쇄상태에서 창문의 차량 내측면 상에 위치하는 창문용 개방부와, 도어가 전방으로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창문용 개방부를 덮는 제1발판부를 구비하는 연장 발판부(extension footboard portion)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철도차량용 도어구조에 따라, 도어는 도어 본체와, 도어 프레임과 그리고 연장 발판부를 함께 통합함으로써 구성되기 때문에, 구조는 도어에 창문을 가지는 선행기술과 비교하면 단순하고, 또한 도어가 개방되면 탈출용 슬로프부가 도어와 함께 도어로서 개방되기 때문에, 탈출용 슬로프부는 통로에 위치하지 않게 된다. 이외에도, 도어가 차량의 선단면(tip end face)에서 전방 및 측면 방향으로 개방되기 때문에, 철도차량의 선단들이 서로 간에 가깝게 대면하는 상태에서 두 차량의 도어들은 서로 간섭하지 않고, 따라서 도 13과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들 간에 승객들을 이동시키기 위해 차량들 간을 연결시키기 위하여 상대적으로 짧은 통로 발판을 배치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도어 주 몸체의 창문과 연장 발판부의 창문용 개구부는 도어의 폐쇄상태(정상상태, 및 도어 본체가 개구부를 폐쇄한 상태)와, 도어가 전방으로 완전히 개방된 상태(비상 탈출상태 및 축으로서 기능하는 도어 프레임의 저단부를 사용하여 도어 본체가 전방으로 개방되고, 그리고 접철된 연장 발판부가 개방된 도어 본체의 전방으로 개방되는 상태)에서 아무런 방해를 받지 않고, (연결 매카니즘과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중력의 작용에 의해) 제1발판부는 창문을 덮고 그리고 제2발판부는 창문용 개구를 덮어 탈출용 발판(슬로프)을 구성하여, 창문의 존재 유무에 상관없이 원활하게 탈출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하였듯이, 본 발명의 철도차량용 도어구조는 비상시에 출입구로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창문을 가지는 도어에 탈출용 슬로프를 순조롭게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구조를 포함하는 철도차량의 선단측면 상의 단부패널을 설명하는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선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4는 차량의 내측에서 보았을 때 철도차량의 선단면의 중앙부에서 도어의 주변영역의 정면도.
도 5는 도 4의 선 C-C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6(a) 내지 6(c)는 도어 본체(7)의 잠금 매카니즘을 설명하는 것으로서, 도 6(a)는 도 4의 선 F-F를 따라 취한 잠금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선 J-J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6(c)는 선 G-G를 따라 취한 잠금해제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 6(d) 내지 6(e)는 도어(5)의 잠금 매카니즘을 설명하는 것으로서, 도 6(d)는 도 4의 선 H-H를 따라 취한 잠금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고, 도 6(e)는 도 6(d)의 선 K-K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7은 도어(5)의 도어 본체(7)를 전방으로 기울인 후 차량 내측면 상의 연장 발판부(8)가 회전하는, 도어를 전방으로 완전히 개방한 상태를 설명하는 측면도.
도 8(a)는 도 7의 화살표 선 A-A를 따른 도면.
도 8(b)는 도 8(a)의 선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9 내지 12는 전방 측면 방향으로 보았을 때 도어 본체(7)의 회전 상태를 단계적으로 설명하는 사시도.
도 10은 연장 발판부(8)가 거의 90°도 상향으로 회전한 상태를 설명하는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상태에서 거의 60°더 전방으로 연장 발판부(8)가 회전한 상태를 설명하는 사이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한 상태에서 거의 30°더 전방으로 연장 발판부(8)가 회전한 상태를 설명하는 사시도.
도 13은 도어(5)가 개방된 상태에서 철도차량들의 선단면들이 서로 가깝게 대면하고, 또한 두 차량들의 선단 개방부(3 및 3)들 간을 연결하기 위해 통로 발판(52)이 배치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평면도.
도 14는 도 13의 측면도.
도 15는 도 4의 선 D-D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6은 도 4의 선 E-E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7은 도어(5)가 폐쇄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들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도 17(a)는 도어(5)의 단면도이고, 도 17(b)는 차량의 내측에서 보았을 때 도어(5)의 정면도이고, 그리고 도 (17c)는 제1발판부(12b)의 고정 매카니즘(lashing mechanism)(60)에서 도어측 스토퍼(61)와 창문 커버측 스토퍼(71) 간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는 정면도이고, 그리고 도 17 내지 20은 도어 본체(7)와 연장 발판부(8)의 개방상태와, 또한 폐쇄상태에서 개방상태로 고장 매카니즘(60)의 동작 모드를 순차적으로 설명하는 정면도이다.
도 18은 제1단에서 도어 본체(7)가 개방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들로서, 도 18(a)는 도어 본체(7)와 연장 발판부98)의 단면도이고, 도 18(b)는 위에서 보았을 때 도어 본체(7)의 평면도이고, 도 18(c)는 제1발판부(12b)의 고정 매카니즘에서 도어측 스토퍼(61)와 창문 커버측 스토퍼(71) 간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는 평면도.
도 19는 제2단에서 연장 발판부(8)가 개방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들로서, 도 19(a)는 도어 본체(7)와 연장 발판부(8)의 단면도이고, 도 19(b)는 위에서 보았을 때 도어 본체(7)와 연장 발판부(8)의 평면도이고, 그리고 도 19(c)는 제1발판부(12b)의 고정 매카니즘에서 도어측 스토퍼(61)와 창문 커버측 스토퍼(71) 간의 위치적 관계와 결합상태를 설명하는 평면도.
도 20은 제2단에서 연장 발판부(8)가 개방되고, 제1발판부(12b)가 거의 후방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들로서, 도 20(a)는 도어 본체(7)와 연장 발판부(8)의 단면도이고, 도 20(b)는 위에서 보았을 때 도어 본체(7)와 연장 발판부(8)의 평면도이고, 도 20(c)는 제1발판부(12b)의 고정 매카니즘에서 도어측 스토퍼(61)와 창문 커버측 스토퍼(71) 간의 위치적 관계와 결합상태를 설명하는 평면도.
도 21에서, 도 21(a)는 도어측 스토퍼(61)와 창문 커버측 스토퍼(71)가 서로 결합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전체 고정 매카니즘(60)의 평면도이고, 도 21(b)는 이들의 우측면도.
도 22에서, 도 22(a)는 도어측 스토퍼(61)를 설명하는 평면도이고, 도 22(b)는 도 22(a)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22(c)는 도 22(a)의 선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23에서, 도 23(a)는 창문 커버측 스토퍼(71)를 설명하는 평면도이고, 도 23(b)는 이의 우측면도이고, 도 23(c)는 도 23(a)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도어구조의 실시예를 도면에 근거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구조를 포함하는 철도차량의 선단측면 상의 단부패널을 설명하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선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철도차량의 선단면의 중앙부에서 도어의 주변영역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선 C-C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6(a) 내지 6(c)는 도어 본체(7)의 잠금 매카니즘을 설명하는 것이고, 도 6(d) 내지 6(e)는 도어(5)의 잠금 매카니즘을 설명하는 것이다. 도 7은 도어(5)의 도어 본체(7)를 전방으로 기울인 후 차량 내측면 상의 연장 발판부(8)가 회전하는, 도어를 전방으로 완전히 개방한 상태(비상탈출 상태)를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8(a)는 도 7의 화살표 선 A-A를 따른 도면이고, 도 8(b)는 도 8(a)의 선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12는 전방 측면 방향으로 보았을 때 도어 본체(7)의 회전 상태를 단계적으로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어(5)가 개방된 상태에서 철도차량들의 선단면들이 서로 가깝게 대면하고, 또한 두 차량들의 선단 개방부(3 및 3)들 간을 연결하기 위해 통로 발판(52)이 배치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제일 뒤쪽 차량을 포함) 선두 차량(1)의 차체 선단의 단부패널(전면(front surface))(2)에서, 단부패널의 중심부에 수직으로 긴 개구부(3)가 제공되고, 또한 개구부(3)에 개구 프레임(4)이 끼워진다. 상기 개구 프레임(4)에, 전방 및 측면 방향으로(차량(1)의 내측에서 보았을 때, 전방 방향에서 측면 방향으로(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 개방이 되도록 힌지(6)(도 5참조)를 사용하여 도어(힌지 도어)(5)가 부착된다. 도어(5)는 그 상부에 창문(5c)을 가지고 또한 도어 본체(슬로프 도어)(7)와 그리고 서로 간에 탈부착이 되도록 도어 본체 주변 가장자리부에 도어 프레임(5a)을 포함하고, 도어 본체(7)의 하단은, 도어 본체(7)가 전방 및 하향으로 기울어지게 개방이 되도록 힌지 또는 축(spindle)(9)을 통해 도어 프레임(5a)의 하단 가장리(5b)에 연결된다. 도어 본체(7)가 도어 프레임(5a)과 후술하는 연장 발판부(8)와 일체화된 상태에서, 도어 본체(7)는 힌지(6)의 축을 중심으로 도어(힌지 도어)(5)로서 개방 및 폐쇄된다. 특히,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도어 본체(7)가 도어 프레임(5a)과 연장 발판부(8)와 일체화되는 상태에서, 도어 본체(7)는 힌지(6)를 통해 개구 프레임(4)에 관해 전방 및 측면 방향으로 회전하여 개구부(3)를 개방한다. 이외에도, 가이드 롤러(5d)가 도어 프레임(5a)의 하단면의 양측에 부착되고, 그리고 도어(5)가 힌지(6)를 통해 도어 프레임(5a)과 함께 원래 위치로 복귀하여 개구부(3)를 폐쇄하는 상태에서, 가이드 롤러(5d)는 개구 프레임(4) 내 하면(under face)과 접촉하여 전체 도어(5)를 지지한다. 도 7에 도시되어 있듯이, 발판 커버(53)는 축(9)을 덮기 위해 선두 차량(1)의 통로에서 도어 본체(7)의 하단부로 연장하도록 부착된다.
제1단에서 도어로서의 도어 본체(7)의 배면측(차량의 내부측)에, 비상탈출 상태에서 차량 내부측의 도어 본체(7)의 면과 함께 발판면(탈출계단)을 구성하는 연장 발판부(8)가 축(10)을 중심으로 접철이 되도록 도어 본체(7)에 연결된다. 특히, 연장 발판부(8)는 도어 본체(7)보다는 폭이 약간 협소하고 또한 길이가 약간 짧고, 연장 발판부(8)의 한 단부(기단)는 축을 중심으로 거의 180°회전하도록 힌지 또는 축(10)을 통해 도어 본체(7)의 상단에 연결된다. 도어 본체(7)는, 길이(수직) 방향의 중간 위치 약간 위의 지점에서 창문(5c)을 구비한다. 창문(5c)은 투명한 판유리(11a)를 가진다.
도 7에 도시되어 있듯이, 도어 본체(7)의 표면은 전방(하향)으로 만곡되고 또한 그 길이에 걸쳐 원호형상으로 볼록하게 만곡되는 종 방향 섹션을 가진다. 차량 내측에서 도어 본체(7)의 표면 상에, 창문(5c) 아래 부분은 그 하단에서부터 약간 상방 부분을 향해 후방(상방)으로 돌출하고, 그리고 상기 돌출부의 단부에서부터 도어 본체(7)의 하단을 항해 상기 하단을 교차하는 방식으로 양측 프레임 벽(11b)들이 양측 가장자리부(7a)에 형성된다. 이외에도, 공간부(space protion)를 덮기 위해 발판면(12)이 상기 양측 프레임 벽(11b)들 간은 이어주도록 형성된다. 발판면(12)은 창문(5c)을 덮는 부분(12b)(여기서 제1발판부로 언급)과, 그리고 저부(lower portion)(12a)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발판부(12b)는 상기 저부(12a)와 창문(5c) 위에서 활주 가능하도록 상기 양측 프레임 벽(11b)들 상에 돌출하도록 제공되는 가이드 프레임(11c)들 사이에 부착된다. 도어 본체(7)가 상승하면, 제1발판부(12b)는 자중에 의해 기울어져, 제1발판부(12b)가 도어 프레임(5a) 내에 일체적으로 끼워지는 상태로 저부(12a)의 위에 놓여지게 된다. 즉, 창문(5c)이 개방된다. 도어 본체(7)를 축(9)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전시키고 또한 도어 프레임(5a)에 관해 약 100°내지 110°하방으로 회전시켜 전방으로 기울어지게 하는 상태에서, 제1발판부(12b)는 그 자중에 의해 가이드 프레임(11c)을 따라 가이드 프레임 사이에서 그 자중에 의해 창문(5c) 위의 위치로 이동하여 창문(5c)을 덮는다. 상기 발판부(12)(표면)에 미끄럼방지 시트(anti-slip sheet)가 부착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그런데, 상기 제1발판부(12b)는 가이드 프레임(11c)을 따라 상기 저부(12a)와 창문(5c) 위에서 슬라이드 가능하다. 도어 본체(7)가 축(9)을 중심으로 전방하향으로 회전하여 전방으로 기울어지는 상태에서, 상기에서 설명하였듯이 제1발판부(12b)는 그 자중에 의해 창문(5c) 위로 이동하여 창문(5c)을 덮는다. 한편, 도어 본체(7)가 상승하여, 도어 프레임(5a)에 일체적으로 끼워지는 상태에서, 제1발판부(12b)는 그 자중에 의해 저부(12a)의 상측에 놓여지고, 창문(5c)이 개방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제1발판부(12b)가 창문(5c) 위 위치로 이동하면 창문을 덮는 부분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매카니즘(60)이 제공된다.
아래에서 도 17 내지 21을 기초로 하여 고정 매카니즘(60)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7 내지 20은, 도어 본체(7)와 연장 발판부(8)의 개방상태들과, 폐쇄상태에서 개방상태로 고정 매카니즘(60)의 동작 모드를 순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로서, 도면의 (a)는 도어 본체(7)와 연장 발판부(8)의 우측 단면도이고, 도면의 (b)는 평면도이고, 그리고 도면의 (c)는 고정 매카니즘의 동작 모드들의 설명도이다. 도 21은 전체 고정 매카니즘을 각각 설명하는 평면도와 측면도를 포함하고, 도 22는 평면도와,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와, 선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를 포함하고, 도면들 각각은 도어측 스토퍼를 설명하며, 그리고 도 23은 평면도와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를 포함하고, 도면 각각은 창문 커버측 스토퍼를 설명한다.
도 21에 도시되어 있듯이, 고정 매카니즘(60)은 도어측 스토퍼(61)와 창문 커버측 스토퍼(71)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도 22에 도시되어 있듯이, 도어측 스토퍼(61)는 도어 본체(7)에 제공된다. 한편, 도 23에 도시되어 있듯이, 창문 커버측 스토퍼(71)는 제1발판부(12b)에 제공된다.
도어측 스토퍼(61)에서, L-형 스토퍼부재(63)가 축(64)을 사용하여 회전이 가능하게 되도록 부착 프레임(62) 위에 개방 가능하고 또한 폐쇄 가능하게 연결된다. 스토퍼부재(63)는 스프링(66)을 통해 샤프트(65)를 사용하여 개방 방향으로 바이어스된다. 래치(latch)(67)가 부착 프레임(62)의 상단에서부터 상방으로 돌출이 되도록 샤프트(65)의 상단 위에 배치되고, 또한 래치(67)의 하단면은 샤프트(65)의 상단면에 연결된다. 창문 커버측 스토퍼(71)는 부착 프레임(62)보다 작은 부착 프레임(72) 위에 긴 L-형 스토퍼부재(73)와, 그 첨단에서 스토퍼부재(63)의 네일부(nail portion)(63a)와 결합 가능하고 또한 네일부로부터 분리 가능한 네일부(73a)를 가지고, 그리고 스토퍼부재(73)의 하단부는 축(74)을 사용하여 측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되도록 연결된다. 스토퍼부재(73)의 상부는 부착 프레임(72)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고, 그리고 스프링(75)을 사용하여 스토퍼부재(63)에 관해 결합 방향으로 바이어스된다. 스프링(75)은 두 개의 가이드부재(76)에 의해 안내된다.
도 21에 도시되어 있듯이, 도어측 스토퍼(61)는 그의 수칙 위치가 조정이 가능하도록 네 개의 볼트(및 너트)(68)를 사용하여 도어 본체(7)에 부착된다. 창문 커버측 스토퍼(71)는 그의 수직 위치가 조정이 가능하도록 네 개의 볼트(77)를 사용하여 제1발판부(12b)에 부착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각 수직 위치들을 조정함으로써, 창문 커버측 스토퍼(71)는 도어측 스토퍼(61)와 확실하게 결합한다. 도 21 내지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측 스토퍼(61)의 스토퍼부재(63)의 축(64) 근처에, 돌출부(69)가 제공되어 네일부(63a)의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한다. 이외에도, 잠금부재(locking member)(65a 및 65b)들이 샤프트(65)의 중간 부분 위와 아래에 위치들에서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샤프트(65)를 수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잠금부재(65a 또는 65c)가 돌출부(69)와 결합하고, 그리고 이에 의해 스토퍼부재(63)가 축(64)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구성이 채택된다.
여기서, 도어 본체(7)와 연장 발판부(8)의 개방상태와, 그리고 도어(5)의 폐쇄상태에서 도어의 완전 전방 개방상태까지 고정 매카니즘(60)의 순차적 작동 모드들의 설명이 이루어진다.
도 17 내지 20에서, 1) 도어(5)가 폐쇄되는 상태에서, 도어 본체(7)의 창문(5c)과 연장 발판부(8)의 창문용 개방부(13)들이 개방되고, 도어 본체(7)의 제1발판부(12b)는 저부(12a)의 최상부 위에 놓여지고, 그리고 도어측 스토퍼(61)와 창문 커버측 스토퍼(71)들은 서로로부터 이격된다(도 17).
2) 도어(5)의 제1단으로서 도어 본체(7)가 전방 하향으로 기울어지는 상태에서, 제2단으로서 연장 발판부(8)는 도어 본체(7)의 첨단부에서 직립 상태에 있게 된다. 동시에, 제1발판부(12b)는 그 자중에 의해 가이드 프레임(11c)들을 따라, 가이드 프레임 사이에서 창문(5c) 위의 위치로 이동하여 창문(5c)을 덮는다. 이 상태에서, 창문 커버측 스토퍼(71)는 도어측 스토퍼(61)에 대해 선단측을 향해 이동하고, 그리고 이들은 결합 가능한 상태에 있게 된다(도 18).
3) 도어 본체(7)에 대해, 제2단으로서 연장 발판부(8)가 도어 본체(7)의 연장 방향으로 개방되고, 이에 의해 도어측 스토퍼(62)의 래치(67)가 스프링(66)에 대해 압박되고, 그리고 스토퍼부재(63)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창문 커버측 스토퍼(71)와 결합하게 된다. 이외에도, 후에 기술하게 되는 바와 같이, 연장 발판부(8)를 가지는 측의 창문용 개방부(13) 또한 개방 동작과 동기로 링크(link)(15)를 통해 제2발판부(14b)로 덮이게 된다.
4) 도 19에 도시된 상태에서, 제1발판부(12a)가 후부측을 향해 이동하려고 하더라도, 창문 커버측 스토퍼(71)의 스토퍼부재(73)가 결합 방향으로 스프링(75)에 의해 바이어스되기 때문에, 도어측 스토퍼(61)의 스토퍼부재(63)와 결합이 유지되고, 그리고 제1발판부(12b)는 이동하지 않는다(도 20).
연장 발판부(8)에는, 연장 발판부(8)가 도어의 폐쇄상태에서 회전하지 않는 상태에서(정상 상태)(즉, 연장 발판부(8)가 접혀 도어 본체(7)의 차량 내부측 위에 적층되게 되는 상태) 도어 본체(7)의 창문(5c)의 개방부와 일치하는 위치에서 창문용 개방부(13)가 제공된다. 연장 발판부(8)의 표면 위에, U-형 프레임(13b 및 13c)들이 제공되어 창문용 개방부(13)의 상부와 하부 내로 돌출하고, 그리고 연장 발판부(8)가 회전 상태에서 정상 상태로 복원할 때 U-형 프레임(13b 및 13c)들이 사용된다. 이외에도, 차량 내부측 상의 연장 발판부(8)의 면(회전 상태에서 위를 향하는 면) 위에, 발판면(14)이 형성되고, 그리고 발판면(14)은 창문용 개방부(13)의 저부(14a)와 제2발판부(14b)로 구성된다. 저부(14a)는 차량 내부측 상의 연장 발판부(8)의 상기 면의 저부의 위치에 고정되지만, 제2발판부(14b)는, 한 쌍의 측 방향으로 배열된 가이드 프레임(13a 및 13a)을 따라 가이드 프레임 사이에서 저부(14a)와 창문용 개방부(13) 상의 위치들 사이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도록 제공된다. 게다가, 제2발판부(14b)의 양측 상단부들에, 링크(15)의 일단부가 브래킷(15c)을 통해 피벗 핀(pivoting pin)(15d)을 사용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리고 링크(15)의 타단부는 브래킷(15a)을 통해 피벗 핀(15b)을 사용하여 도어 본체(7)의 양측 상의 상단에 가까운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 구성으로, 연장 발판부(8)가, 연장 발판부(8)가 접혀 도어 본체(7)의 차량 내부측 상에 적층되게 되는 상태에서부터 거의 180°로 상향, 전방으로 회전하면, 제2발판부(14b)는, 양측 상의 링크(15 및 15)들에 의해 당겨지게 되는 방식으로 저부(14a) 상의 위치에서부터 창문용 개방부(13) 상의 위치로 이동하여, 창문용 개방부(13)를 덮는다. 역으로, 연장 발판부(8)가 회전 상태에서 그의 원래 상태로 복귀하도록 접혀지는 동안 연장 발판부가 차량 내부측 상의 도어 본체(7)의 면의 최상부에 놓여지면, 제2발판부(14b)는, 양측 상의 링크(15 및 15)에 의해 창문용 개방부(13) 상의 위치에서부터 밀쳐지게 되는 방식으로 저부(14a) 상의 위치로 이동하여, 창문용 개방부(13)를 개방한다. 발판면(14)(표면) 상에, 미끄럼 방지 시트가 부착된다.
도 7과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래킷(18)들은 도어 본체(7)의 양측 가장자리부(7a)의 각 상단부의 근처에 수직으로 고정되고, 그리고 지지링크(supporting link)(17)의 일단부는, 피벗 핀(17a)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도록 지지링크(17)의 양면에 직교하는 측 방향으로 배치되는 피벗 핀(17a)을 사용하여 브래킷(18)에 고정된다. 지지링크(17)의 타단은 견인 체인(traction chain)(19)을 통해 도어 프레임(5a) 내 상단부에 연결된다. 동시에, 견인 체인(19)의 상단은 도어 프레임(5a)의 상단부 또는 선두차량(1) 내 천장부들에 고정된다. 이외에도, 도어 본체(7)의 양측 가장자리부(7a) 상의 길이 방향(수직 방향)의 중간 위치들에, 보조링크(21)의 일단부가, 피벗 핀(21a)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도록 브래킷(22)을 통해 보조링크(21)의 측면에 직교하는 측 방향으로 배치되는 피벗 핀(21a)을 사용하여 고정된다. 게다가, 보조링크(21)의 타단은, 피벗 핀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도록 지지링크에 직교하는 측면 방향으로 배치되는 피벗 핀(17b)을 사용하여 지지링크(17)의 길이 방향의 거의 중간 위치들에서 고정되고, 그리고 보조링크(21)의 타단에서부터 길이 방향으로 규정된 길이에 걸쳐 피벗 핀(17b)에 관해 슬라이드 가능하게 세장된 구멍(elongagted hole)(21c)이 형성된다. 세장된 홈 또는 홈형 슬라이더들을 세장된 구멍(21c) 대신에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도어 본체(7)의 직립 상태에서(도어 본체(7)가 도어 프레임(5a)에 일체적으로 끼워진 상태), 대응하는 지지링크(17)들과 보조링크(21)들은 서로의 최상측 위에 놓이게 되도록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다. 이외에도, L-형 브래킷(20)들의 일단들은 연장 발판부(8)의 양측 상의 선단부들에 가까운 부분들에서 수평으로 돌출하도록 고정된다. L-형 브래킷(20)의 수직(직립) 부분들에, 제2지지링크(23)의 일단부들이, 피벗 핀의 축들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직립 부분들의 양면들에 직교하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피벗 핀(20a)을 사용하여 고정된다. 게다가, 제2지지링크(23)들의 타단들은 제2견인 체인(24)을 통해 지지링크(17)의 타단부들에 연결된다. 뿐만 아니라, 난간 체인(handrail chain)(25)들이 견인 체인(19)들의 저단부들의 근처의 위치들과 도어 프레임(5a)에서 수직 방향으로 중간 위치들 약간 아래의 위치들 간을 연결하도록 배치된다.
도 4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도차량(1)의 개구 프레임(4) 내 상단부에 가까운 위치에, 도어 본체(7)의 폐쇄작동 견인 체인(26)에 가까운 일단이 고정된다. 도 7에 도시되어 있듯이, 도어 본체(7)의 일측벽의 상단과 연장 발판부(8)의 일측면의 길이 방향의 중간 위치에, 롤러(28)가 수평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된다. 폐쇄작동 견인 체인(26)의 타단측은 아이볼트(eyebolt)(27)에 고정되고, 또한 철도차량의 천장부위 좌측에 부착되는 롤러(28), 체인 감기 완충장치(chain winding shock absorption apparatus)(29)와, 두 개의 풀리(pulley)(30 및 31)에 의해 둘러싸이게 되도록 철도차량의 천장부의 우측에 부착되는 폐쇄 동작 견인 체인 감기장치(32)에 연결된다. 완충장치(29)는 스프링력과 마찰에 의해 규정된 값 하에서 견인 체인(26)의 이송속도를 유지하는 제어장치를 내장하고, 그리고 완충장치(29)로서, 쇼보우 카가쿠 켄쿄조 주식회사의 속도둔화 엘레베이터(slowdown elevator)의 조속기(speed governor)(SLOWDOWN 125 (등록상표))를 사용할 수 있다. 도 4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 체인 감기장치(32)에서, 회전동작부재(33)의 상단 결합부(33a)가 견인 체인 감기장치(32)의 결합부(32a)와 결합하고, 그리고 회전동작부재(33)를 수동으로 회전시켜 개방/폐쇄 동작 견인 체인(26)을 감는다. 따라서, 회전상태에서 연장 발판부(8)는 먼저 축(10)에 대해 접철되고, 그런 다음 후방의 차량 내부측 상의 도어 본체(7)의 면의 최상부 위에 놓이게 된다. 이 상태에서, 폐쇄 동작 견인 체인(26)의 권선 동작을 지속함으로써, 도어 본체(7)는 후방, 상향으로 회전하여 도어 프레임(5a)에 끼워지게 되고, 그리고 이들은 함께 일체화된다.
이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본체(7)의 양측 상에 도어 프레임(5a)의 수직 방향으로 중간 위치들에서 제공되는 잠금 매카니즘(locking mechanism)(41)의 잠금 네일(locking nail)(42)이, 스프링(미도시)의 바이어스력에 의해 도어 본체(7)의 양측 상에 하부와 상부에 제공되는 락(lock)(44)의 잠금홈(locking groove)(44a)와 결합하고, 그리고 이에 의해 도어 본체(7)는 도어 프레임(5a)과 일체화된다. 한편, 도 6(a) 내지 6(c)에서, 도어 본체(7)와 도어 프레임(5a)의 일체화가 비상탈출 상태에 대처하기 위해 해체되면, 도어 프레임(5a)의 양측 상에 중간 위치들에서 제공되는 잠금해제 레버(43)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도어 프레임(5a))을 향해 회전되어, 도어 본체(7)의 잠금 홈(44a)(도 10 참조)과 결합된 잠금 네일(42)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에 대항해 도어 프레임(5a)을 가지는 측을 향해 당겨지고, 그리고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상태가 해제된다.
이외에도, 도 6(d)와 6(e)에서 참조번호 48로 표시되는 바와 같이, 도어(5)의 잠금 매카니즘(45)이 도어 프레임(5a)의 양측 상에 상부와 하부에 제공된다.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동작핸들(46)을 하향 잠금위치에서 도어 본체(7)를 가지는 측 상의 수평위치들로 회전시킴으로써, 개구 프레임(4) 내 잠금 홈(미도시)에 끼워진 잠금 네일(47)들이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프레임(5a)을 벗어나 이동하고, 이에 의해 잠금상태가 해제된다. 여기서, 도어(5)의 일측부(힌지(6) 반대편 측)가 전방으로 눌려지면, 도어(5)가 그 축을 중심으로 힌지(6)를 통해 개구 프레임(4)에 대해 도어 프레임(5a)과 함께 회전하고, 그리고 이에 의해 개방부(3)가 개방된다. 잠금 매카니즘(45)의 도어 프레임(5a)의 저장부(storage)에 배치되고 또한 개별적인 저장부들은 통상으로 개방/폐쇄 리드(lid)(48)로 폐쇄된다.
다음, 도 13과 14는, 승객들이 철도차량을 이탈하여 궤도 위에 내릴 필요가 없이 다른 차량으로 이동하게 하는 비상탈출상태의 다른 모드를 설명한다. 특히, 선두차량(1 및 1')의 선단면(2)들의 개방부(3)들은, 도어(5)가 전방 및 측면 방향으로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서로 대면하게 되도록 함께 가깝게 위치하게 되고, 통로 발판(52)이 배치되어 선두차량(1 및 1')들의 선단 개방부(3)의 발판 커버들 간을 이어주고, 그리고 난간 체인(54)이 개구 프레임(4 및 4')의 중간 위치 사이를 연결한다. 따라서, 차량의 승객들은 통로 발판(52)을 가로질러 다른 차량(1')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를 고려하면, 본 발명에 따라 다음의 효과들을 달성할 수 있다.
철도차량의 단부패널(2) 내 개방부(3)에 제공되는 철도차량용 도어(5) 구조는, 일측부 상에 힌지(6)를 가지는 도어 프레임(5a)과, 힌지(6)가 축으로서 역할하는 동안에 철도차량의 측면 방향으로 축회전으로 개방 가능하고 또한 폐쇄 가능하고, 도어 프레임(5a)의 하단부(5b)가 축으로서 역할하는 동안에 철도차량의 전방 방향으로 축회전으로 개방 가능하고 또한 폐쇄 가능하고, 그리고 창문(5c)과 도어의 전방 완전 개방상태에서 창문(5c)을 덮는 제1발판부(12b)를 구비하는 도어 본체(7)와, 그리고 도어의 폐쇄상태에서 도어 본체(7)의 차량 내부측 상에 저장 가능하게 접철되고, 또한 도어의 폐쇄상태에서 창문(5c)의 차량 내부측 상에 위치하는 창문용 개방부(13)와, 그리고 도어의 전방 완전 개방상태에서 창문용 개방부(13)를 덮는 제2발판부(14b)를 구비하는 연장 발판부(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철도차량용 도어구조에 따라, 도어(5)는 도어 본체(7)와, 도어 프레임(5a)과, 그리고 연장 발판부(8)를 함께 통합하여 구성되기 때문에, 이의 구조는 도어에 창문을 가지는 선행기술과 비교하면 단순하고, 또한 도어가 개방되면, 탈출용 슬로프부가 도어로서 함께 개방되어 탈출용 슬로프부는 통로에 위치하지 않게 된다. 이외에도, 도어 본체(7)가 전방 및 측면 방향으로 개방 가능하기 때문에, 두 차량들의 선단들이 서로에 밀접하게 대면하는 상태에서 두 차량들의 도어들이 서로 간에 간섭하지 않고, 따라서 도 13과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들 간에 승객들을 이송시키기 위해 차량들 간을 이어주기 위하여 상대적으로 짧은 통로 발판을 배치할 수 있다. 게다가, 도어 본체(7)의 창문(5c)과 연장 발판부(8)의 창문용 개방부(13)들이 도어의 폐쇄상태에서 개방되고, 또한 창문(5c)과 창문용 개방부(13)들은 제1발판부(12b)와 제2발판부(14b)로 각각 덮이게 되어, 도어의 완전 전방 개방상태에서 탈출용 발판면(슬로프)을 구성하기 때문에, 창문의 존재 유무에 상관없이 부드럽게 탈출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에서 기술한 구성을 가지는 도어구조는 다음의 뛰어난 효과를 가진다.
상기 구조는 도어에 창문을 가지는 통상적인 도어구조와 비교하면 단순하고 또한, 도어가 개방되면 탈출용 슬로프부가 도어와 함께 개방되기 때문에, 탈출용 슬로프부는 통로에 있지 않게 된다.
도어가 차량의 선단면의 전방 및 측면 방향으로 개방되기 때문에, 두 차량들의 선단들이 서로 가깝게 대면하는 상태에서, 두 차량들의 도어들은 서로 간섭하지 않게 되고, 또한 한 차량에서 다른 차량으로 승객들을 이송하기 위해 차량들 간을 연결시키기 위하여 상대적으로 짧은 통로 발판을 배치할 수 있다.
정상적인 상태에서, 도어 본체의 창문과 연장 발판부의 창문용 개방부는 완전히 개방되어, 차량의 외부 경치를 볼 수 있게 된다. 한편, 비상탈출 상태에서, 창문은 제1발판부에 의해 덮이고 또한 창문용 개방부는 제2발판부에 의해 덮이게 되어 탈출용 통로를 구성하기 때문에, 창문과 창문용 개방부의 존재 유무에 상관없이 부드럽게 탈출할 수 있게 된다.
통상적인 사용 동안에 출입구인 개방부를 비상 사용을 위한 출입구로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비상의 경우에 엔진 또는 모터와 같은 동력을 사용하는 일이 없이 수동적으로 탈출용 슬로프를 부드럽게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다음의 구성을 더 가진다.
(1) 제1발판부(12b)는 그 자중에 의해 도어 본체(7) 위에서 슬라이드되어 도어의 전방 완전 개방상태에서 도어의 폐쇄상태로 창문(5c)을 덮는다.
이 구성으로, 창문(5c)과 창문의 하부 사이에서 차량 내부측 상의 도어 본체(7)의 면에 제공되는 제1발판부(12b)를 링크 매카니즘과 같은 이동 매카니즘을 특별히 사용하는 일이 없이 도어 본체(7)의 회전 동작과 동기하여 이동시킬 수 있어서, 구조가 단순하다.
(2) 제2발판부(14b)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일단부들과 도어 본체(7)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타단부들을 가지는 링크(15)들이 더 제공되고, 그리고 제2발판부(14b)는 링크(15)에 의해 전방 완전 개방상태에서 도어의 폐쇄상태로 연장 발판부(8) 위에서 슬라이드 가능하다.
이 구성으로, 차량 내부측 상의 연장 발판부(8)의 면에 제공되는 제2발판부(14b)가 창문용 개방부(13)와 이의 하부에 사이를 링크(15)에 의해, 연장 발판부(8)의 회전 동작과 동기하여 이동하기 때문에, 제2발판부(14b)를 규정된 위치로 신뢰성 있게 이동시킬 수 있다.
(3) 도어 본체(7)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일단부들과 견인 수단(19)에 의해 도어 프레임(5a)에 연결되는 타단부들을 가지는 지지링크(17) 쌍과, 도어 본체(7)의 폭 방향으로 단부들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일단부들과 지지링크(17)를 슬라이드하게 함으로써 지지링크(17)를 안내하는 안내 홈(21c)들이 구비된 타단부들을 가지는 보조링크(21) 쌍과, 그리고 연장 발판부(8)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일단부들과 제2견인 수단(24)에 의해 지지링크(17) 쌍에 연결되는 타단부를 가지는 제2지지링크(23) 쌍이 더 제공된다.
이 구성으로, 도어의 전방 완전 개방상태에서, 도어 본체(7)가 전방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지지링크(17)와 견인 수단(19)을 사용하여 도어 본체(7)와 연장 발판부(8)를 지지하고, 또한 연장 발판부(8)가 도어 본체(7)의 연장 위치까지 회전하기 때문에, 회전 상태에서 도어 본체(7)와 연장 발판부(8)에 대한 지지를 보장할 수 있다. 게다가, 승객들이 탈출할 때, 지지링크(17)와 견인 수단(19)은 난간으로서 역할하여 승객들이 옆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승객들의 탈출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고, 또한 도어 본체(7)와 연장 발판부(8)의 강도를 낮추어 중량을 줄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도어 본체(7)가 차량의 전방으로 기울어지고, 또한 연장 발판부(8)가 도어 본체(7)의 연장 위치까지 회전하면, 지지링크(17)와 견인수단(19)은 도어 본체(7)와 연장 발판부(8)의 회전 동작들을 최대 개방위치와 최대 회전위치로 부드럽게 안내하여 도어 본체(7)와 연장 발판부(8)의 갑작스러운 회전을 방지하여, 도어 본체(7)와 연장 발판부(8)를 최대 개방위치와 최대 회전위치로 신뢰성있게 안내할 수 있다.
도어 본체(7)에 고정된 일단부를 가지고 또한 도어 본체(7)를 전방으로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한 개방/폐쇄 동작 견인수단(26)과, 연장 발판부(8)의 길이 방향으로 중앙위치에 제공되어 개방/폐쇄 동작 견인수단(26)을 안내하는 롤러(28)와, 그리고 철도차량 내측 상부에 제공되고 또한 개방/폐쇄 동작 견인수단(26)을 감을 수 있는 감기장치(32)가 더 제공된다.
이 구성으로, 도어 본체(7)가 차량의 전방으로 기울어지고, 그리고 연장 발판부(8)가 도어 본체의 연장위치까지 회전하는 도어의 전방 완전 개방상태에서, 감기장치(32)를 사용하여 폐쇄 동작 견인 체인(26)을 감기만 함으로써, 회전된 상태의 연장 발판부(8)가 접철되어, 차량 내부측 상의 도어 본체(7)의 면의 최상부에 연속적으로 놓이게 되고, 그리고 도어 본체(7)는 거꾸로, 상방으로 회전하여 상승하게 되어, 도어 프레임(5a)에 끼워져 함께 일체화될 수 있다.
도어 본체(7)의 발판면과 연장 발판부(8)의 발판면은 미끄럼방지 처리되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승객들이 이동하게 되는 도어 본체(7)와 연장 발판부(8)의 발판면들은 덜 미끄럽게 되어, 승객들이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게 한다.
(5) 도어 본체(7)는 도어측 스토퍼(61)를 구비하고, 제1발판부(12b)는 창문 커버측 스토퍼(71)를 구비하고, 그리고 도어측 스토퍼(61)는 창문 커버측 스토퍼(71)와 결합하여 제1발판부(12b)를 도어의 전방 완전 개방상태에서 창문(5c) 위의 위치에 고정시킨다.
이 구성으로, 제1발판부(12b)가 창문용 개방부(13) 상의 상기 위치로 이동하는 상태에서, 창문 커버측 스토퍼(71)는 도어측 스토퍼(61)와 결합하여, 이에 의해 제1발판부(12b)가 창문 위 위치(13)에서 지지된다.
(6) 상기 기술한 구성(5)에서, 창문 커버측 스토퍼(71)는 제2스토퍼부재(73)와, 제2스토퍼부재(73)를 지지하는 제2스프링(75)을 가지고, 도어측 스토퍼(61)는 제1스토퍼부재(63)와, 제1스토퍼부재(63)가 제2스토퍼부재와 결합하는 방향으로 제1스토퍼부재(63)를 회전시키는 래치(67)와, 그리고 제1스토퍼부재(63)가 제2스토퍼부재(73)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제1스토퍼부재(63)가 회전되도록 제1스토퍼부재(63)를 바이어스하는 제1스프링(66)을 포함하고, 상기 래치(67)는 연장 발판부(8)가 도어 본체(7)의 전방으로 위치할 때 제1스토퍼부재(63)가 제2스토퍼부재(73)와 결합하도록 제1스토퍼부재(63)를 회전시키도록 동작하고, 그리고 연장 발판부(8)가 도어 본체(7)의 전방에 위치하지 않으면, 래치(67)는 동작하지 않지만 제1스프링(66)이, 제1 및 제2스토퍼부재(63 및 73)들 간의 결합이 해제되도록 제1스토퍼부재(63)가 제2스토퍼부재(73)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제1스토퍼부재(63)를 회전시킨다.
이 구성으로, 연장 발판부(8)가 도어 본체(7)의 전방에 위치하면, 제1스토퍼부재(63)는 자동작으로 제2스토퍼부재(73)와 결합하여, 제1발판부(12b)를 창문(5c) 위 위치에서 쉽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외에도, 도어의 전방 완전 개방상태에서 도어의 폐쇄상태로 상태가 복원되는 경우에, 연장 발판부(8)가 도어 본체(7)의 위치를 벗어나 전방으로 이동하면, 제1 및 제2스토퍼부재(63 및 73)들 간의 결합은 자동적으로 해제되어, 도어의 전방 완전 개방상태에서 거꾸로 도어의 폐쇄상태로 복원 동작을 쉽게 수행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도어구조의 실시예의 설명이 주어졌고,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도어구조는 다음의 방식으로 실시될 수 있다.
(1)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예에서, 개구 프레임(4)이 단부패널(2)의 개방부(3)에 끼워지는 상태에서, 도어(5)는 힌지(6)를 사용하여 개구 프레임(4)에 개방 가능하게 부착된다. 그러나, 도어 프레임(5a)과 함께 개방부(3)에 도어를 직접 부착할 수 있다.
(2)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예에서, 도어 본체(7)의 제1발판부(12b)가 그 자중에 의해 창문용 개방부외 이의 하부 사이에서 자중에 의해 자동적으로 이동한다 하더라도, 링크 매카니즘(15) 또는 유사한 것을 사용하여 제1발판부(12b)를 연장 발판부(8)의 제2발판부(14b)로 이동시킬 수 있다.
(3) 보조링크(21)의 세장된 구멍(21c) 대신에 피벗 핀(17b)을 안내할 수 있다는 세장된 홈 또는 슬라이더 홈을 사용할 수 있다.
(4) 도어(5)에 제공된 창문(5c)의 위치는, 위치가 도어(5)의 수직 방향으로 중간 위치 위에 있는 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1 선두차량(철도차량)
2 차량 선단의 단부패널
3 개방부
4 개구 프레임
5 도어(힌지 도어)
5a 도어 프레임
5b 도어 프레임(5a)의 하단 가장자리
5c 창문
5d 가이드 롤러
6 힌지
7 도어 본체(슬로프 도어)
7a 도어 본체(7)의 양측 가장자리부
8 연장 발판부
9 축
10 축
11 판유리
11b 양측 프레임 벽
12 발판면
12a 하부
12b 제1발판부
13 창문용 개방부
13b, 13c U-형 프레임
14 발판면
14a 하부
14b 제2발판부
15 링크
15a 브래킷
15b 피벗 핀
15c 브래킷
15d 피벗 핀
17 지지링크
17a 피벗 핀
17b 피벗 핀
18 브래킷
19 견인 체인
20 L-형 브래킷
20a 피벗 핀
21 보조링크
21a 피벗 핀
21c 세장된 구멍
22 브래킷
23 제2지지링크
24 제2견인 체인
25 난간 체인
26 개방/폐쇄 동작 견인 체인
27 아이볼트
28 롤러
29 완충장치
30, 31 풀리
32 견인 체인 감기장치
33 회전동작부재
41 잠금 매카니즘
42 잠금 네일
44 락
44a 잠금 홈
45 잠금 매카니즘
46 잠금동작핸들
47 잠금 네일
48 개방/폐쇄 리드
51 커플러
52 통로 발판
53 발판 커버
54 난간 체인
60 고정 매카니즘
61 도어측 스토퍼
62 부착 프레임
63 L-형 스토퍼부재
63a 스토퍼부재(63)의 네일부
64 축
65 샤프트
65a, 65c 잠금부재
66 스프링
67 래치
68 볼트(너트)
69 돌출부
71 창문 커버측 스토퍼
72 작은 부착 프레임
73 I-형 스토퍼부재
73a 스토퍼부재(73)의 네일부
74 축
75 스프링
76 가이드부재
77 볼트(너트)

Claims (7)

  1. 철도차량의 단부패널 내 개방부에 제공되는 철도차량용 도어구조에 있어서,
    일측부 상에 힌지를 가지는 도어 프레임과;
    힌지가 축으로서 역할하는 동안에 철도차량의 측면 방향으로 축회전으로 개방 가능하고 또한 폐쇄 가능하고, 도어 프레임의 하단부가 축으로서 역할하는 동안에 철도차량의 전방 방향으로 축회전으로 개방 가능하고 또한 폐쇄 가능하고, 그리고 창문과 도어의 전방 완전 개방상태에서 창문을 덮는 제1발판부를 구비하는 도어 본체와; 그리고
    도어의 폐쇄상태에서 도어 본체의 차량 내부측 상에 저장 가능하게 접철되고, 또한 도어의 폐쇄상태에서 창문의 차량 내부측 상에 위치하는 창문용 개방부와, 그리고 도어의 전방 완전 개방상태를 덮는 제2발판부를 구비하는 연장 발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도어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발판부는 제1발판부의 중량에 의해 도어 본체 위에서 슬라이드하여 도어의 폐쇄상태에서 도어의 전방 완전 개방상태로 창문을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도어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제2발판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일단부와 도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타단부를 가지는 링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발판부는 링크에 의해 도어의 폐쇄상태에서 도어의 전방 완전 개방상태로 연장 발판부 위에서 슬라이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도어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도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일단부와 견인수단에 의해 도어 프레임에 연결되는 타단부를 각각 가지는 한 쌍의 지지링크들과;
    도어 본체의 폭 방향으로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일단부와 지지링크가 슬라이드하도록 함으로써 지지링크 쌍들 중 하나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홈이 구비되는 타단부를 각각 가지는 한 쌍의 보조링크들과;
    연장 발판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일단부와 제2견인수단에 의해 지지링크 쌍 중 하나에 연결되는 타단부를 각각 가지는 한 쌍의 제2지지링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도어구조.
  5. 청구항 1에 있어서,
    도어 본체에 고정되는 일단부를 가지고, 전방 방향으로 도어 본체를 개방하고 또한 폐쇄하기 위한 개방/폐쇄 동작 견인수단과;
    연장 발판부의 길이 방향으로 중앙 위치에 제공되고, 또한 개방/폐쇄 동작 견인수단을 안내하는 롤러와;
    철도차량 내측 상부에 제공되고, 또한 개방/폐쇄 동작 견인수단을 감을 수 있는 감기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도어구조.
  6. 청구항 1에 있어서,
    도어 본체의 발판면과 연장 발판부의 발판면은 미끄럼방지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도어구조.
  7. 청구항 1에 있어서,
    도어 본체는 도어측 스토퍼를 구비하고,
    제1발판부는 창문 커버측 스토퍼를 구비하고,
    도어측 스토퍼는 창문 커버측 스토퍼와 결합하여 제1발판부를, 도어의 전방 완전 개방상태에서 창문 위 위치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도어구조.
KR1020127002052A 2009-07-28 2010-07-28 철도차량용 도어구조 KR1013790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74896 2009-07-28
JP2009174896A JP5495652B2 (ja) 2009-07-28 2009-07-28 鉄道車両の扉構造
PCT/JP2010/063140 WO2011013847A2 (en) 2009-07-28 2010-07-28 Door structure for railway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3010A true KR20120123010A (ko) 2012-11-07
KR101379067B1 KR101379067B1 (ko) 2014-03-28

Family

ID=43402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2052A KR101379067B1 (ko) 2009-07-28 2010-07-28 철도차량용 도어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2459428B1 (ko)
JP (1) JP5495652B2 (ko)
KR (1) KR101379067B1 (ko)
CN (1) CN102548826B (ko)
TW (1) TWI402193B (ko)
WO (1) WO201101384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2748045T3 (pl) * 2011-08-22 2018-11-30 Siemens Ag Österreich Jednostka drzwi wyjścia awaryjnego pojazdu szynowego
TWI460090B (zh) * 2011-12-27 2014-11-11 Kawasaki Heavy Ind Ltd Railway vehicles through the door support structure, and with its railway vehicles
CN103241251B (zh) * 2013-04-27 2015-08-05 常州长青交通科技股份有限公司 地铁机车坡道式紧急疏散门
CN103693055B (zh) * 2013-12-17 2017-04-19 今创集团股份有限公司 轨道车辆的下翻式逃生装置
CN105172815B (zh) * 2015-09-14 2017-08-01 今创集团股份有限公司 地铁机车通用型逃生系统
CN105109506B (zh) * 2015-09-28 2017-12-08 今创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地铁机车通用型逃生系统
CN108860189A (zh) * 2018-05-21 2018-11-23 陕西铁路工程职业技术学院 铁路客车自动伸缩梯装置
CN108643730B (zh) * 2018-05-30 2023-09-01 常州长青科技股份有限公司 自动驾驶地铁车辆的紧急疏散设备
AT522144B1 (de) 2019-01-29 2020-12-15 Eh Holding Gmbh Nottür für ein Schienenfahrzeug
BR102019028068A2 (pt) * 2019-12-27 2021-07-06 Aerom Sistemas De Transporte Sa porta frontal de emergência para veículos de propulsão pneumática em via elevada
RU199384U1 (ru) * 2020-06-08 2020-08-31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ХЮБНЕР ООО" Заглушка для герметизации межвагонного перехода
CN112046517B (zh) * 2020-08-14 2022-03-01 中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轨道交通车辆疏散门踏板结构、疏散门及轨道交通车辆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831371C2 (de) * 1977-07-22 1985-04-18 Metro-Cammell Ltd., Washwood Heath, Birmingham Schiebetüre an einem Schienenfahrzeug
US4216725A (en) * 1978-11-13 1980-08-12 Pullman Incorporated Combination door and emergency stairway exit
JPS5743714Y2 (ko) * 1979-11-20 1982-09-27
US4317415A (en) * 1980-01-14 1982-03-02 Pullman Incorporated Railway car end doors
JPS60110563A (ja) * 1983-11-22 1985-06-17 川崎重工業株式会社 非常脱出口装置
JPS60147517U (ja) * 1984-03-12 1985-10-01 南 勇一 自動車の後部ドア−
JPH0725304B2 (ja) * 1986-09-12 1995-03-22 川崎重工業株式会社 常用と緊急用に兼用可能な出入口装置
DE4108575C2 (de) * 1991-03-14 1995-05-24 Aeg Schienenfahrzeuge Notausstiegstür für Schienenfahrzeuge
GB2274092B (en) * 1992-11-27 1997-03-05 London Underground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doors
DE9415940U1 (de) * 1994-09-20 1995-01-19 Aeg Schienenfahrzeuge Fluchtrampe für Schienenfahrzeuge
ES2130032B1 (es) * 1995-11-29 2000-01-16 Fine Products S A Mejoras en el objeto de la patente 9600259 relativa a un conjunto de puerta y rampa de evacuacion para medios de transporte de viajeros.
JPH10100683A (ja) * 1996-09-26 1998-04-21 Toshiaki Tokuno ドア構造
ES2133093B1 (es) * 1997-02-27 2000-03-01 Fine Products S A Rampa de evacuacion para medios de transporte de viajeros.
DE10020426C1 (de) * 2000-04-26 2001-10-31 Euromotive Gmbh Notausstiegstür für die Wagen eines Schienenfahrzuges
ES2238159B1 (es) * 2003-10-23 2007-02-16 Barat Rampa plegable de acceso a vehiculos.
GB2409195A (en) * 2003-12-19 2005-06-22 Bombardier Transp Gmbh Detrainment device for a rail vehicle
JP4406291B2 (ja) * 2004-01-09 2010-01-27 日本車輌製造株式会社 鉄道車両の非常用脱出装置
US7677494B2 (en) * 2006-10-27 2010-03-16 Honda Motor Co., Ltd. Boarding ramp device for aircraf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59428A2 (en) 2012-06-06
KR101379067B1 (ko) 2014-03-28
CN102548826B (zh) 2015-01-28
TW201111208A (en) 2011-04-01
JP2011025852A (ja) 2011-02-10
TWI402193B (zh) 2013-07-21
CN102548826A (zh) 2012-07-04
WO2011013847A3 (en) 2011-03-31
JP5495652B2 (ja) 2014-05-21
WO2011013847A2 (en) 2011-02-03
EP2459428B1 (en) 2019-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9067B1 (ko) 철도차량용 도어구조
JP2011025852A5 (ko)
JP3192474B2 (ja) リフト用ラッチングメカニズムを有するドア駆動装置
JP5479567B1 (ja) 乗り場扉ロック装置
JPH0725304B2 (ja) 常用と緊急用に兼用可能な出入口装置
US20070056810A1 (en) Method for Carrying Out Maintenance and Inspection Operations at an Elevator Installation
HU205321B (en) Door-moving device with locking mechanism for elevators
KR101798543B1 (ko) 스크린 도어 시스템에 구비된 미닫이 도어의 여닫이식 보조비상 도어
WO2018138896A1 (ja) エレベーター装置
GB2455333A (en) Passenger rail vehicle with end detrainment stairs
RU201449U1 (ru) Рельсовое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с подвижной частью пола в дверном проёме
JP2016150835A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2035722B1 (ko) 두 가지 동작모드를 갖는 다단 플랫폼 스크린도어 및 이를 위한 구동장치
JP2000016280A (ja) プラットホームドア装置
JPH09249365A (ja) エアバッグエレベータのかご戸の開放と連動するかごの落下係止機構
KR100336346B1 (ko) 엘리베이터의 도어 커플링 장치
KR101144942B1 (ko) 철도차량의 비상도어용 핸드레일
JP3965743B2 (ja) 折り戸
KR102281527B1 (ko) 정전시 카도어를 개방하는 클러치 유닛을 갖는 엘리베이터
JP7455225B2 (ja) 乗りかご及びエレベーター
JPH08127484A (ja) エレベーターの出入口構造
KR100336348B1 (ko) 엘리베이터의 도어 커플링 장치
KR102260978B1 (ko) 비상시 도어 잠금 해제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US20230031513A1 (en) Emergency Front Door For Pneumatically-Propelled Vehicles On An Elevated Track
RU17039U1 (ru) Подъе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садки и высадки пассажира в инвалидной коляске, установленное в тамбуре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вагон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