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5722B1 - 두 가지 동작모드를 갖는 다단 플랫폼 스크린도어 및 이를 위한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두 가지 동작모드를 갖는 다단 플랫폼 스크린도어 및 이를 위한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5722B1
KR102035722B1 KR1020190051410A KR20190051410A KR102035722B1 KR 102035722 B1 KR102035722 B1 KR 102035722B1 KR 1020190051410 A KR1020190051410 A KR 1020190051410A KR 20190051410 A KR20190051410 A KR 20190051410A KR 102035722 B1 KR102035722 B1 KR 1020357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creen
motor
fram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1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판주
Original Assignee
신판주
주식회사 선일피앤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판주, 주식회사 선일피앤에스 filed Critical 신판주
Priority to KR1020190051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57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5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57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00Construction of station or like platforms or refuge islands or like islands in traffic areas, e.g. intersection or filling-station islands; Kerbs specially adapted for islands in traffic area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4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chains or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05F2017/005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4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 E05Y2900/4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for railway platform gates

Abstract

닫힌 상태에서 좌우방향으로 순차배치되어 있고, 열린 상태에서 서로 겹친 상태를 갖는 4개의 도어를 포함하는 스크린도어를 공개한다. 제1도어, 제2도어, 제3도어, 및 제4도어가 설치된 프레임에 고정되어 설치된 제1도어 구동 어셈블리 및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설치된 제4도어 구동 어셈블리, 제3도어에 고정되어 설치된 회전형 연결부재, 제2도어에 고정되어 설치된 회전형 제2연결부재, 제4도어 구동 어셈블리 및 제1도어 구동 어셈블리를 구동하는 제1모터 및 제2모터를 포함한다. 스크린도어를 닫힌 상태에서 열린 상태로 전환하기 위하여 제1모터를 회전시키는 동안, 제4도어, 제3도어, 및 제2도어는 제1방향으로 이동하며, 스크린도어를 닫힌 상태에서 열린 상태로 전환하기 위하여 제2모터를 회전시키는 동안, 제1도어, 제2도어, 및 제3도어는 제1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이동한다.

Description

두 가지 동작모드를 갖는 다단 플랫폼 스크린도어 및 이를 위한 구동장치{A multi-stage platform screen door with two operation mode and a driving apparatus for the same}
본 발명은 승강장에 설치되는 스크린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다단으로 개폐되는 구조를 갖는 스크린도어 시스템을 위한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하철, 기차, 전철 등을 위한 승강장의 보행자가 선로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고 승강장으로 진입하는 열차로부터 승객을 보호하기 위한 스크린도어의 구조가 공개되어 있다. 스크린도어는 개폐되는 방향에 따라 좌우개폐형, 및 수직개폐형의 다양한 방식이 제안되어 있거나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좌우개폐형 스크린도어는 가동문과 고정문으로 구성된다. 예컨대 좌우개폐형 스크린도어에 관한 특허로서, 스크린도어 안전장치에 대한 공개특허('10-2013-0030687', 공개번호)가 있다. 그런데 가동문의 개방폭이 한정적이기 때문에, 열차의 종류, 열차의 정차 위치, 열차의 출입문의 위치, 및 출입문의 개수가 서로 다른 다양한 열차 출입문의 승하차 대응이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스크린도어에 있어서, 스크류를 이용하여 개폐하는 타입의 기술도 공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열차의 길이, 열차의 출입문의 위치, 및 출입문의 개수가 서로 다른 다양한 열차의 출입문에 대응 가능한 다단 플랫폼 스크린도어, 스크린도어 시스템, 및 상기 스크린도어 시스템을 위한 구동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열차 출입문의 위치에 따라 개방 방향을 정하여 개방함으로써 최대의 개방폭을 제공할 수 있는 다단 플랫폼 스크린도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라 제1도어(1), 제2도어(2), 제3도어(3), 및 제4도어(4)를 포함하는 스크린도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스크린도어는, 상기 제1도어, 상기 제2도어, 상기 제3도어, 및 상기 제4도어가 설치된 프레임에 고정되어 설치된 제1도어 구동 어셈블리 및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설치된 제4도어 구동 어셈블리; 상기 제3도어에 고정되어 설치된 제231회전부재(231)와 상기 제3도어에 고정되어 설치된 제232회전부재(232)에 결합되어 있는 제3연결부재(30); 상기 제2도어에 고정되어 설치된 제221회전부재(221)와 상기 제2도어에 고정되어 설치된 제222회전부재(222)에 결합되어 있는 제2연결부재(20); 및 각각 상기 제4도어 구동 어셈블리 및 상기 제1도어 구동 어셈블리를 구동하는 제1모터(100) 및 제2모터(2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4도어 구동 어셈블리 및 상기 제1도어 구동 어셈블리는 각각 상기 제4도어 및 상기 제1도어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3연결부재의 제332지점(332)은 상기 제4도어에 고정결합 되어 있고, 상기 제3연결부재의 제331지점(331)은 상기 제2도어에 고정결합 되어 있고, 상기 제2연결부재의 제322지점(322)은 상기 제3도어에 고정결합 되어 있고, 상기 제2연결부재의 제321지점(321)은 상기 제1도어에 고정결합 되어 있으며, 상기 스크린도어를 상기 닫힌 상태에서 상기 열린 상태로 전환하기 위하여 상기 제1모터를 회전시키는 동안, 상기 제4도어, 상기 제3도어, 및 상기 제2도어는 제1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스크린도어를 상기 닫힌 상태에서 상기 열린 상태로 전환하기 위하여 상기 제2모터를 회전시키는 동안, 상기 제1도어, 상기 제2도어, 및 상기 제3도어는 상기 제1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1도어, 상기 제2도어, 상기 제3도어, 및 상기 제4도어가 좌우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열린 상태에서 상기 제1도어, 상기 제2도어, 상기 제3도어, 및 상기 제4도어가 서로 겹친 상태를 갖는다.
이때, 상기 제4도어 구동 어셈블리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설치된 제241회전부재(241)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설치된 제242회전부재(242)에 결합되어 있는 제4연결부재(4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모터는 상기 제4연결부재를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4연결부재의 제341지점(341)은 상기 제4도어에 고정결합 되어 있고, 상기 스크린도어를 상기 닫힌 상태에서 상기 열린 상태로 전환하기 위하여 상기 제1모터를 회전시키는 동안, 상기 제341지점, 상기 제232회전부재, 및 상기 제222회전부재는 제1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도어 구동 어셈블리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설치되도록 되어 있는 제211회전부재(211)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설치되도록 되어 있는 제212회전부재(212)에 결합되어 있는 제1연결부재(10)를 포함하며, 상기 제2모터는 상기 제1연결부재를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1연결부재의 제311지점(311)은 상기 제1도어에 고정결합 되어 있고, 상기 스크린도어를 상기 닫힌 상태에서 상기 열린 상태로 전환하기 위하여 상기 제2모터를 회전시키는 동안, 상기 제311지점은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크린도어를 상기 닫힌 상태에서 상기 열린 상태로 전환하기 위하여 상기 제1모터를 회전시키는 동안, 상기 제4도어의 이동속도는 상기 3도어의 이동속도보다 빠르고, 상기 제3도어의 이동속도는 상기 제2도어의 이동속도보다 빠를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크린도어를 상기 닫힌 상태에서 상기 열린 상태로 전환하기 위하여 상기 제2모터를 회전시키는 동안, 상기 제1도어의 이동속도는 상기 제2도어의 이동속도보다 빠르고, 상기 제2도어의 이동속도는 상기 제3도어의 이동속도보다 빠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모터를 회전시키는 동안 상기 제1도어는 상기 제1방향 또는 상기 제1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락(lock)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제1모드에서, 상기 스크린도어를 상기 닫힌 상태에서 상기 열린 상태로 전환하기 위하여 상기 제1모터를 회전시키면 상기 스크린도어는 상기 제1방향으로 개방되며, 상기 제1모드 동안 상기 제2모터와 상기 제1도어 구동 어셈블리 간의 구동력 전달은 해제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제2모드에서, 상기 스크린도어를 상기 닫힌 상태에서 상기 열린 상태로 전환하기 위하여 상기 제2모터를 회전시키면 상기 스크린도어는 상기 제2방향으로 개방되며, 상기 제2모드 동안 상기 제1모터와 상기 제4도어 구동 어셈블리 간의 구동력 전달은 해제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열차 출입문 위치 획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열차 출입문 위치 획득부가 감지한 열차 출입문의 위치를 기초로 상기 제1모드와 상기 제2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가 선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크린도어는 제1잠금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잠금장치는, 상기 스크린도어 시스템을 상기 닫힌 상태에서 상기 열린 상태로 전환하기 위하여 상기 제1모터를 회전시키는 동안, 상기 제1도어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상기 제1도어를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고정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잠금장치는, 상기 스크린도어 시스템을 상기 닫힌 상태에서 상기 열린 상태로 전환하기 위하여 상기 제2모터를 회전시키는 동안, 상기 제1도어가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도어의 상기 프레임에 대한 고정을 해제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잠금장치의 락/언락 상태를 제어하는 제1잠금해지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1잠금해지장치를 조작하여 상기 제1잠금장치가 해제되면, 상기 제1도어, 상기 제2도어, 및 상기 제3도어는 상기 제2방향으로 수동으로 슬라이딩 개방될 수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도어, 상기 제2도어, 상기 제3도어, 및 상기 제4도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도어는, 상기 프레임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있는 외부 프레임; 및 여닫이 방식으로 열리도록 상기 외부 프레임에 결합되어 있는 내부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도어에는 상기 외부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내부 프레임을 락(lock) 또는 언락(unlock)하는 패닉 디바이스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패닉 디바이스를 선로 측에서 조작하여 상기 외부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내부 프레임이 언락 상태로 되면, 상기 내부 프레임이 플랫폼 방향으로 열리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도어, 상기 제2도어, 상기 제3도어, 및 상기 제4도어는 플랫폼으로부터 선로를 향하는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크린도어를 상기 닫힌 상태에서 상기 열린 상태로 전환하기 위하여 상기 제1모터를 회전시키는 동안, 상기 제341지점의 이동속도는 상기 제232회전부재의 이동속도보다 빠르고, 상기 제232회전부재의 이동속도는 상기 제222회전부재의 이동속도보다 빠를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크린도어를 상기 닫힌 상태에서 상기 열린 상태로 전환하기 위하여 상기 제2모터를 회전시키는 동안, 상기 제1도어의 이동속도는 상기 제221회전부재의 이동속도보다 빠르고, 상기 제221회전부재의 이동속도는 상기 제231회전부재의 이동속도보다 빠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모터를 회전시키는 동안 상기 제4도어는 상기 제1방향 또는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락(lock)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크린도어는 제1잠금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잠금장치는, 상기 스크린도어를 상기 닫힌 상태에서 상기 열린 상태로 전환하기 위하여 상기 제1모터를 회전시키는 동안, 상기 제1도어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상기 제1도어를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고정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크린도어는 제2잠금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잠금장치는, 상기 스크린도어를 상기 닫힌 상태에서 상기 열린 상태로 전환하기 위하여 상기 제2모터를 회전시키는 동안, 상기 제4도어가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상기 제4도어를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고정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잠금장치는, 상기 스크린도어를 상기 닫힌 상태에서 상기 열린 상태로 전환하기 위하여 상기 제1모터를 회전시키는 동안, 상기 제4도어가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4도어의 상기 프레임에 대한 고정을 해제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크린도어는 상기 제2잠금장치의 락/언락 상태를 제어하는 제2잠금해지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2잠금해지장치를 조작하여 상기 제2잠금장치가 해제되면, 상기 제4도어, 상기 제3도어, 및 상기 제2도어는 상기 제1방향으로 수동으로 슬라이딩 개방될 수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라, 닫힌 상태에서 제1도어(1), 제2도어(2), 제3도어(3), 및 제4도어(4)가 좌우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열린 상태에서 상기 제1도어, 상기 제2도어, 상기 제3도어, 및 상기 제4도어가 서로 겹친 상태를 갖는 스크린도어를 위한 구동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이 구동장치는, 상기 제1도어, 상기 제2도어, 상기 제3도어, 및 상기 제4도어가 설치된 프레임에 고정되어 설치되도록 되어 있는 제4도어 구동 어셈블리; 상기 제3도어에 고정되어 설치되도록 되어 있는 제231회전부재(231)와 상기 제3도어에 고정되어 설치되도록 되어 있는 제232회전부재(232)에 결합되어 있는 제3연결부재(30); 상기 제2도어에 고정되어 설치되도록 되어 있는 제221회전부재(221)와 상기 제2도어에 고정되어 설치되도록 되어 있는 제222회전부재(222)에 결합되어 있는 제2연결부재(20); 및 상기 제4도어 구동 어셈블리를 구동하는 제1모터(1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4도어 구동 어셈블리는 상기 제4도어에 결합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3연결부재의 제332지점(332)은 상기 제4도어에 고정결합 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3연결부재의 제331지점(331)은 상기 제2도어에 고정결합 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2연결부재의 제322지점(322)은 상기 제3도어에 고정결합 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2연결부재의 제321지점(321)은 상기 제1도어에 고정결합 되도록 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고정결합 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스크린도어를 상기 닫힌 상태에서 상기 열린 상태로 전환하기 위하여 상기 제1모터를 회전시키는 동안, ① 상기 제232회전부재, 및 상기 제222회전부재는 제1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제4도어 구동 어셈블리는 상기 제4도어를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구동되어 있다.
이때,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설치되도록 되어 있는 제1도어 구동 어셈블리; 및 상기 제1도어 구동 어셈블리를 구동하는 제2모터(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도어 구동 어셈블리는 상기 제1도어에 결합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스크린도어를 상기 닫힌 상태에서 상기 열린 상태로 전환하기 위하여 상기 제2모터를 회전시키는 동안, 상기 제221회전부재, 및 상기 제231회전부재는 상기 제1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제1도어 구동 어셈블리는 상기 제1도어를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4도어 구동 어셈블리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설치된 제241회전부재(241)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설치된 제242회전부재(242)에 결합되어 있는 제4연결부재(40)를 포함하며, 상기 제1모터는 상기 제4연결부재를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4연결부재의 제341지점(341)은 상기 제4도어에 고정결합 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스크린도어를 상기 닫힌 상태에서 상기 열린 상태로 전환하기 위하여 상기 제1모터를 회전시키는 동안, 상기 제341지점, 상기 제232회전부재, 및 상기 제222회전부재는 제1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크린도어를 상기 닫힌 상태에서 상기 열린 상태로 전환하기 위하여 상기 제1모터를 회전시키는 동안, 상기 제4도어의 이동속도는 상기 제232회전부재의 이동속도보다 빠르고, 상기 제232회전부재의 이동속도는 상기 제233회전부재의 이동속도보다 빠를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크린도어를 상기 닫힌 상태에서 상기 열린 상태로 전환하기 위하여 상기 제1모터를 회전시키는 동안, 상기 제341지점의 이동속도는 상기 제232회전부재의 이동속도보다 빠르고, 상기 제232회전부재의 이동속도는 상기 제222회전부재의 이동속도보다 빠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모터를 회전시키는 동안 상기 제1도어는 상기 제1방향 또는 상기 제1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락(lock)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도어 구동 어셈블리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설치되도록 되어 있는 제211회전부재(211)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설치되도록 되어 있는 제212회전부재(212)에 결합되어 있는 제1연결부재(10)를 포함하며, 상기 제2모터는 상기 제1연결부재를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1연결부재의 제311지점(311)은 상기 제1도어에 고정결합 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스크린도어를 상기 닫힌 상태에서 상기 열린 상태로 전환하기 위하여 상기 제2모터를 회전시키는 동안, 상기 제311지점은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크린도어를 상기 닫힌 상태에서 상기 열린 상태로 전환하기 위하여 상기 제2모터를 회전시키는 동안, 상기 제1도어의 이동속도는 상기 제221회전부재의 이동속도보다 빠르고, 상기 제221회전부재의 이동속도는 상기 제231회전부재의 이동속도보다 빠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모터를 회전시키는 동안 상기 제4도어는 상기 제1방향 또는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락(lock)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제1모드에서, 상기 스크린도어를 상기 닫힌 상태에서 상기 열린 상태로 전환하기 위하여 상기 제1모터를 회전시키면 상기 스크린도어는 상기 제1방향으로 개방되며, 상기 제1모드 동안 상기 제2모터와 상기 제1도어 구동 어셈블리 간의 구동력 전달은 해제되도록 되어 있고, 제2모드에서, 상기 스크린도어를 상기 닫힌 상태에서 상기 열린 상태로 전환하기 위하여 상기 제2모터를 회전시키면 상기 스크린도어는 상기 제2방향으로 개방되며, 상기 제2모드 동안 상기 제1모터와 상기 제4도어 구동 어셈블리 간의 구동력 전달은 해제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라 제1도어(1), 제2도어(2), 제3도어(3), 및 제4도어(4)를 포함하는 스크린도어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도어는, 상기 제1도어, 상기 제2도어, 상기 제3도어, 및 상기 제4도어가 설치된 프레임에 고정되어 설치된 제4도어 구동 어셈블리; 상기 제3도어에 고정되어 설치된 제231회전부재(231)와 상기 제3도어에 고정되어 설치된 제232회전부재(232)에 결합되어 있는 제3연결부재(30); 상기 제2도어에 고정되어 설치된 제221회전부재(221)와 상기 제2도어에 고정되어 설치된 제222회전부재(222)에 결합되어 있는 제2연결부재(20); 및 상기 제4도어 구동 어셈블리를 구동하는 제1모터(1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4도어 구동 어셈블리는 상기 제4도어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3연결부재의 제332지점(332)은 상기 제4도어에 고정결합 되어 있고, 상기 제3연결부재의 제331지점(331)은 상기 제2도어에 고정결합 되어 있고, 상기 제2연결부재의 제322지점(322)은 상기 제3도어에 고정결합 되어 있고, 상기 제2연결부재의 제321지점(321)은 상기 제1도어에 고정결합 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고정결합 되어 있으며, 상기 스크린도어를 상기 닫힌 상태에서 상기 열린 상태로 전환하기 위하여 상기 제1모터를 회전시키는 동안, 상기 제4도어, 상기 제3도어, 및 상기 제2도어는 제1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1도어, 상기 제2도어, 상기 제3도어, 및 상기 제4도어가 좌우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열린 상태에서 상기 제1도어, 상기 제2도어, 상기 제3도어, 및 상기 제4도어가 서로 겹친 상태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라 플랫폼 스크린도어에 설치된 복수 개의 도어들을 구동하기 위한 플랫폼 스크린도어 구동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구동장치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프레임의 좌측에 설치된 제1모터(100) 및 상기 프레임의 우측에 설치된 제2모터(200); 상기 프레임의 좌측에 설치된 제1회전부재(211), 및 상기 제2모터의 구동력이 전달되도록 상기 프레임의 우측에 설치되어 있는 제2회전부재(212); 상기 프레임의 우측에 설치된 제2회전부재(242), 및 상기 제1모터의 구동력이 전달되도록 상기 프레임의 좌측에 설치되어 있는 제1회전부재(241); 상기 제1회전부재(211)와 상기 제2회전부재(212)에 결합되어 있는 제1연결부재(10); 상기 제1회전부재(241)와 상기 제2회전부재(242)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1연결부재와 평행하게 위치한 제4연결부재(40); 상기 제1연결부재와 상기 제4연결부재 사이의 평행한 위치에 위치하며, 제1회전부재(221)와 제2회전부재(222)에 결합되어 있는 제2연결부재(20); 및 상기 제1연결부재와 상기 제4연결부재 사이의 평행한 위치에 위치하며, 제1회전부재(231)와 제2회전부재(232)에 결합되어 있는 제3연결부재(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연결부재(10)의 일지점에는 제1도어(1)가 고정되어 연결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2연결부재(20)의 일지점에는 상기 제1도어(2)가 고정되어 연결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2연결부재(20)의 타지점에는 제3도어(3)가 고정되어 연결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3연결부재(30)의 일지점에는 제2도어(2)가 고정되어 연결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3연결부재(30)의 타지점에는 제4도어(4)가 고정되어 연결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4연결부재(40)의 일지점에는 제4도어(4)가 고정되어 연결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제1동작모드에서, 상기 플랫폼 스크린도어를 개방하기 위하여 상기 제1모터를 제1회전방향으로 구동하여 상기 제4연결부재(40)를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으며, 제2동작모드에서, 상기 플랫폼 스크린도어를 개방하기 위하여 상기 제2모터를 제2회전방향으로 구동하여 상기 제1연결부재(10)를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열차의 길이, 열차의 출입문의 위치, 및 출입문의 개수가 서로 다른 다양한 열차의 출입문에 대응 가능한 다단 플랫폼 스크린도어, 스크린도어 시스템, 및 상기 스크린도어 시스템을 위한 구동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열차 출입문의 위치에 따라 개방 방향을 정하여 개방함으로써 최대의 개방폭을 제공할 수 있는 다단 플랫폼 스크린도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플랫폼 스크린도어를 나타낸 것으로, 제1동작모드에서의 스크린도어의 이동방향이 도시된 도면이며,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플랫폼 스크린도어를 나타낸 것으로, 제2동작모드에서의 스크린도어의 이동방향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구동에 따른 도어들의 이동을 위한 구성들 및 연결관계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플랫폼 스크린도어의 도어 단위의 분해 사시도와 최종 결합체를 나타낸 것이며,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a에서 프레임과 레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을 나타낸 것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모터(100)가 구동되는 제1동작모드에서 도어들이 좌측으로 이동되어 스크린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2모터(200)가 구동되는 제2동작모드에서 도어들이 우측으로 이동되어 스크린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플랫폼 스크린도어의 비상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와 다단 플랫폼 스크린도어의 상대위치에 따른 도어 개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플랫폼 스크린도어, 및 열차에 대한 평면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스크린도어 시스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도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의도된 것이 아니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플랫폼 스크린도어를 나타낸 것으로, 제1동작모드에서의 스크린도어의 이동방향이 도시된 도면이며,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플랫폼 스크린도어를 나타낸 것으로, 제2동작모드에서의 스크린도어의 이동방향이 도시된 도면이다.
다단 플랫폼 스크린도어(1000)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510, 520), 한 쌍의 모터(100, 200), 도어들(1~4), 제1회전부재들(211, 221, 231, 241), 제2회전부재들(212, 222, 232, 242), 제1연결부재(10), 제2연결부재(20), 제3연결부재(30), 및 제4연결부재(4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단 플랫폼 스크린도어(1000)는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510, 520) 간에 배치된 수평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프레임은 상기 도어들(1~4)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 및 상기 수평프레임을 통징하여 스크린도어의 프레임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부재들 및 상기 제2회전부재들은 예컨대, 롤러, 스프라켓, 또는 체인 휠 중 선택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재, 제2연결부재, 제3연결부재, 및 제4연결부재는 예컨대 벨트, 로프 및 체인 중 선택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회전부재들, 상기 제2회전부재들, 상기 제1연결부재, 제2연결부재, 제3연결부재, 및 제4연결부재는 이하 설명하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을 제공하는 부품이라면 어느 것으로도 대체될 수 있으며, 그 부품의 구체적인 명칭 및 형상의 변종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510, 520)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각각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
한 쌍의 모터(100, 200)는 상기 스크린도어의 프레임에 대하여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모터(100, 200)는 예컨대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510, 520)의 각 상단에 고정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또는 한 쌍의 모터(100, 200)는 상기 수평프레임에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는 한 쌍의 모터(100, 200)는 상기 수평프레임에 제공된 레일부에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때, 제1모터(100)가 구동되는 제1동작모드에서, 도어들(2, 3, 4)의 이동거리폭은 각각 DL1, DL2, 및 DL3일 수 있다. 즉, 제1동작모드에서 제1도어(1)는 이동하지 않고, 제2도어(2), 제3도어(3), 및 제4도어(4)가 예컨대, 1:2:3의 비율로 좌측으로 이동되어 제1도어(1)와 겹쳐질 수 있다. 상기 도어들 간의 이동거리의 비율의 값은 상술한 값으로 완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설계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이때, 제1모터(100)가 구동되는 경우에는 제2모터(200)의 축은 자유회전상태가 될 수 있다. 제1모터(100)의 구동에 의해 도어들(2, 3, 4)이 이동할 때에, 제2모터(200)의 회전축이 자유회전상태가 되기 때문에, 제2모터(200) 때문에 도어들(2, 3, 4)의 움직임이 제한되지 않는다.
그리고 모터(200)가 구동되는 제2동작모드에서, 도어들(1, 2, 3)의 이동거리폭은 각각 DR1, DR2, 및 DR3일 수 있다. 즉, 제2동작모드에서 도어(4)는 이동하지 않고, 제1도어(1), 제2도어(2), 및 제3도어(3)가 예컨대, 3:2:1의 비율로 우측으로 이동되어 제4도어(4)와 겹쳐질 수 있다. 이때, 모터(200)가 구동되는 경우에는 모터(100)의 축은 자유회전상태가 될 수 있다.
이하, 모터의 구동에 따른 도어들의 이동을 위한 구성들 및 연결관계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구동에 따른 도어들의 이동을 위한 구성들 및 연결관계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스크린도어의 프레임의 일지점 및 타지점에 제11프레임 연결편(411) 및 제12프레임 연결편(412)이 각각 고정 연결될 수 있다. 제1회전부재(211) 및 제2회전부재(212)는 제11프레임 연결편(411) 및 제12프레임 연결편(412)에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제1회전부재(211) 및 제2회전부재(212)는 상기 스크린도어의 프레임에 대하여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1프레임 연결편(411) 및 제12프레임 연결편(412)은 각각 상기 스크린도어의 프레임에 설치된 레일부에 고정되어 있을 수도 있다.
제2모터(200)는 제2회전부재(212)에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2모터(200)는 상기 스크린도어의 프레임에 설치될 수 있다. 제2모터(200)의 회전축과 제2회전부재(212)의 회전축은 동심을 이루도록 되어 있거나, 또는 서로 기어 등에 의해 구동력이 전달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회전부재(211) 및 상기 제2회전부재(212)에는 제1연결부재(예컨대, 벨트 또는 체인 등)(1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연결부재(10)는 제1회전부재(211) 및 제2회전부재(212)를 기준으로 두 개의 세그먼트 즉, 제1세그먼트(111)(전단부 세그먼트), 및 제2세그먼트(112)(후단부 세그먼트)로 구분될 수 있다.
제1연결부재(10)의 제2세그먼트(112)의 일지점(311)에는 제1도어(1)가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되어 연결될 수 있다.
제2도어(2)의 상단부의 제1측에는 제1회전부재(221)가 고정되어 연결(설치)될 수 있으며, 제2도어(2)의 상단부의 제2측에는 제2회전부재(222)가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부재(221) 및 상기 제2회전부재(222)에는 제2연결부재(예컨대, 벨트 또는 체인 등)(2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2연결부재(20)는 제1회전부재(221) 및 제2회전부재(222)를 기준으로 두 개의 세그먼트 즉, 제1세그먼트(121)(전단부 세그먼트), 및 제2세그먼트(122)(후단부 세그먼트)로 구분될 수 있다.
제2연결부재(20)의 제1세그먼트(121)의 일지점(321)은 고정부재에 의해 제1도어(1)에 고정되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연결부재(20)의 제2세그먼트(122)의 일지점(322)은 고정부재에 의해 제3도어(3)에 고정되어 연결될 수 있다.
제3도어(3)의 상단부의 제1측에는 제1회전부재(231)가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제3도어(3)의 상단부의 제2측에는 제3회전부재(232)가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부재(231) 및 상기 제2회전부재(232)에는 제3연결부재(예컨대, 벨트 또는 체인 등)(3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3연결부재(30)는 제1회전부재(231) 및 제2회전부재(232)를 기준으로 두 개의 세그먼트 즉, 제1세그먼트(131)(전단부 세그먼트), 및 제2세그먼트(132)(후단부 세그먼트)로 구분될 수 있다.
제3연결부재(30)의 제1세그먼트(131)의 일지점(331)은 고정부재에 의해 제2도어(2)에 고정되어 연결될 수 있다.
제3연결부재(30)의 제2세그먼트(132)의 일지점(332)은 고정부재에 의해 제4도어(4) 또는 스크린도어의 프레임에 고정되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도어의 프레임의 두 개의 지점에 제41프레임 연결편(441) 및 제42프레임 연결편(442)이 각각 고정 연결될 수 있다. 제1회전부재(241) 및 제2회전부재(242)는 제41프레임 연결편(441) 및 제42프레임 연결편(442)에 고정되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제1회전부재(241) 및 제2회전부재(242)는 상기 스크린도어의 프레임에 대하여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41프레임 연결편(441) 및 제42프레임 연결편(442)은 각각 상기 스크린도어의 프레임에 설치된 레일부에 고정되어 있을 수도 있다.
제1모터(100)는 제1회전부재(241)에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모터(100)는 상기 스크린도어의 프레임에 설치될 수 있다. 제1모터(100)의 회전축과 제1회전부재(241)의 회전축은 동심을 이루도록 되어 있거나, 또는 서로 기어 등에 의해 구동력이 전달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회전부재(241) 및 상기 제2회전부재(242)에는 제4연결부재(4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4연결부재(40)는 제1회전부재(241) 및 제2회전부재(242)를 기준으로 두 개의 세그먼트 즉, 제1세그먼트(141)(전단부 세그먼트), 및 제2세그먼트(142)(후단부 세그먼트)로 구분될 수 있다.
제4연결부재(40)의 제2세그먼트(142)의 일지점(341)에는 제4도어(4)가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되어 연결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플랫폼 스크린도어의 도어 단위의 분해 사시도와 최종 결합체를 나타낸 것이며,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a에서 수직프레임과 레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을 나타낸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평프레임의 아래쪽에는 수평프레임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레일부들(610~640)이 설치될 수 있다.
도어들(1~4)에는 상기 레일부들(610~640)에 형성된 레일에 의해 인도되어 이동할 수 있는 회전부재들(예컨대, 롤러)(711, 712, 721, 722, 731, 732, 741, 742)이 고정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제1도어(1)의 상단에는 제11회전부재(711, 712)가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1회전부재는 상기 레일부들(610~640) 중 제1레일부(610)에 형성된 레일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제2도어(2)의 상단에는 제21회전부재(721, 722)가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1회전부재는 상기 레일부들(610~640) 중 제2레일부(620)에 형성된 레일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제3도어(3)의 상단에는 제31회전부재(731, 732)가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31회전부재는 상기 레일부들(610~640) 중 제3레일부(630)에 형성된 레일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제4도어(4)의 상단에는 제41회전부재(741, 742)가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41회전부재는 상기 레일부들(610~640) 중 제4레일부(640)에 형성된 레일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제1도어(1)의 이동을 위한 레일부(610)의 일지점에 제11프레임 연결편(411) 및 상기 레일부(610)의 타지점에 제12프레임 연결편(412)이 각각 고정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4도어(4)의 이동을 위한 레일부(640)의 일지점에 제41프레임 연결편(441) 및 상기 레일부(640)의 타지점에 제42프레임 연결편(442)이 각각 고정 연결될 수 있다.
<스크린도어이 자동 동작모드>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모터(100)가 구동되는 제1동작모드에서 도어들이 좌측으로 이동되어 스크린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2모터(200)가 구동되는 제2동작모드에서 도어들이 우측으로 이동되어 스크린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스크린도어는 제1잠금장치(81, 82) 및 제2잠금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잠금장치(81, 82)는 제1모터(100)가 구동되는 제1동작모드에서 제1도어(1)가 좌측 및/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잠금장치(81, 82)는 예컨대, 스크린도어의 프레임의 좌측 편에 설치되는 제1프레임체결부(81)와 제1도어에 설치되는 제1도어체결부(8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도어체결부(82)의 상단부에는 홀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제1프레임체결부(81)에는 상기 홀 내부로 진입하거나 또는 상기 홀 바깥으로 빠져나오도록 되어 있는 돌출부가 제공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돌출부의 동작은 수동 또는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돌출부가 상기 홀 내부로 진입하면 제1도어(1)는 좌우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락(lock)되고, 반대로 상기 돌출부가 상기 홀 바깥으로 빠져나오면 제1도어(1)는 수동으로 또는 제2모터(200)의 구동에 의해 자동으로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상태로 될 수 있다.
한편, 제1잠금장치의 기능은 상기 스크린도어의 프레임과 제1도어(1) 간의 관계에 의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프레임체결부(81)와 제1도어체결부(82) 중 어느 하나가 제공되지 않더라도 상기 제1잠금장치의 기능을 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컨대, 제1도어체결부(82)을 별도의 부품으로 제공하지 않고, 그 대신 제1도어(1)의 프레임 자체를 상기 제1도어체결부의 기능을 하도록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만일 제1도어(1)의 프레임 자체가 제1도어(1)의 다른 부분들에 비해 전, 후, 좌, 및/또는 우로 돌출된 경우에는 이러한 돌출된 형상 그 자체를 상기 제1잠금장치의 구성요소로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술한 제1잠금장치의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 제1도어(1)를 락/언락(lock/unlock) 하기 위한 다양한 대체구성이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제1잠금장치에 관한 구체적인 특정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이 완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2잠금장치(미도시)는 제2모터(200)가 구동되는 제2동작모드에서 제4도어(4)가 좌측 및/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잠금장치는 예컨대, 스크린도어의 프레임의 우측 편에 설치되는 제2프레임체결부(미도시)와 제4도어(4)에 설치되는 제2도어체결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프레임체결부 및 상기 제2도어체결부는 각각 제1프레임체결부(81) 및 제1도어체결부(82)에 대응하는 마찬가지의 기능을 하도록 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도어, 제2도어, 제3도어, 및 제4도어와 이들을 구성하기 위한 구동장치의 구성은 전후좌우로 대칭적인 구조를 가질 수 있다는 점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미도시된 상기 제2잠금장치 역시, 도시된 상기 제1잠금장치에 대응하는 형상, 모양, 및 결합관계를 가질 수 있다는 점은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상술한 제1동작모드에서, 상기 스크린도어를 개방하기 위하여 상기 제1모터(100)가 제1회전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다. 상술한 제1동작모드에서, 상기 스크린도어를 닫기 위하여 상기 제1모터(100)가 상기 제1회전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다.
상술한 제1동작모드에서 제1모터(100)를 구동하여 상기 스크린도어를 개방하거나 닫는 동안 상기 제1도어(1)가 좌우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상기 제1잠금장치(81, 82)는 상기 제1도어(1)를 상기 스크린도어의 프레임에 대하여 고정(락, lock)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상술한 제1동작모드에서 제1모터(100)를 구동하여 상기 스크린도어를 개방하거나 닫는 동안 상기 제4도어(4)가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잠금장치는 상기 제4도어(4)를 상기 스크린도어의 프레임에 대하여 고정을 해제(언락, unlock)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상술한 제2동작모드에서, 상기 스크린도어를 개방하기 위하여 상기 제2모터(200)가 제2회전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다. 상술한 제2동작모드에서, 상기 스크린도어를 닫기 위하여 상기 제2모터(200)가 상기 제2회전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다.
상술한 제2동작모드에서 제2모터(200)를 구동하여 상기 스크린도어를 개방하거나 닫는 동안 상기 제4도어(4)가 좌우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상기 제2잠금장치는 상기 제4도어(4)를 상기 스크린도어의 프레임에 대하여 고정(락, lock)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상술한 제2동작모드에서 제2모터(200)를 구동하여 상기 스크린도어를 개방하거나 닫는 동안 상기 제1도어(1)가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잠금장치는 상기 제1도어(1)를 상기 스크린도어의 프레임에 대하여 고정을 해제(언락, unlock)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스크린도어의 수동 슬라이딩 개폐>
이때, 상기 스크린도어에는 각각 상기 제1잠금장치의 락/언락 상태를 전환하고 상기 제2잠금장치의 락/언락 상태를 전환하도록 되어 있는 제1잠금해제장치 및 제2잠금해제장치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제1잠금해제장치 및 제2잠금해제장치는 서로 개별적으로 제공되거나 또는 일체형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잠금해제장치 및 제2잠금해제장치는 사람에 의해 수동으로 조작될 수 있다. 상기 제1잠금해제장치 및 제2잠금해제장치에 의해 상기 제1잠금장치 및/또는 상기 제2잠금장치가 언락 상태로 되면, 사람의 힘으로 상기 제1도어(1), 제2도어(2), 제3도어(3), 및 제4도어(4) 중 어느 하나를 좌우 방향으로 밀면, 상기 제1도어(1), 제2도어(2), 제3도어(3), 및 제4도어(4)를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수동으로 슬라이딩하여 개방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스크린도어를 비상 개방할 수 있다.
상기 제2잠금장치를 해지하고, 제2도어(2), 제3도어(3), 및 제4도어(4)를 미닫이 방식으로 좌측 방향으로 수동 개방한 상태는 도 4a와 같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잠금장치를 해지하고, 제1도어(1), 제2도어(2), 및 제3도어(3)를 미닫이 방식으로 우측 방향으로 수동 개방한 상태는 도 4b와 같을 수 있다.
<제1도어 및 제2도어를 구동하는 도어 구동 어셈블리>
한편, 제1회전부재(211), 제2회전부재(212), 및 제1연결부재(10)는 제2모터(20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제1도어를 좌우방향으로 구동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제1회전부재(211), 제2회전부재(212), 및 제1연결부재(10)를 통칭하여 제1도어 구동 어셈블리라고 지칭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제1도어 구동 어셈블리는 좌우 방향으로 긴 제1스크류 어셈블리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제2모터(200)가 상기 제1스크류 어셈블리를 회전시키면, 상기 제1스크류 어셈블리에 결합된 제1도어(1)는 상기 제1스크퓨 어셈블리의 나사산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스크류 어셈블리 역시 상기 제1도어 구동 어셈블리라고 지칭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회전부재(241), 제2회전부재(242), 및 제4연결부재(40)는 제1모터(10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제4도어를 좌우방향으로 구동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제1회전부재(241), 제2회전부재(242), 및 제4연결부재(40)를 통칭하여 제4도어 구동 어셈블리라고 지칭할 수 있다. 상기 제4도어 구동 어셈블리가 제4스크류 어셈블리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플랫폼 스크린도어의 비상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도어(1~4)가 비상도어의 역할을 할 수 있다. 각각의 도어(1~4)는 비상시 수동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여닫이문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도어(1), 제2도어(2), 제3도어(3), 및 제4도어(4)는 각각, 상기 프레임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있는 외부 프레임(812, 822, 832, 842) 및 여닫이 방식으로 열리도록 상기 외부 프레임(812, 822, 832, 842)에 결합되어 있는 내부 프레임(811, 821, 831, 841)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부 프레임은 '고정프레임부'라고 지칭될 수도 있고, 상기 내부 프레임은 '경첩도어부'라고 지칭될 수도 있다.
상기 각각의 도어(1, 2, 3, 4)에는 상기 외부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내부 프레임을 락(lock) 또는 언락(unlock)하는 패닉 디바이스(잠금장치)(813, 823, 833, 843)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패닉 디바이스(813, 823, 833, 843)를 선로 측에서 조작하여 상기 외부 프레임(812, 822, 832, 842)에 대하여 상기 내부 프레임(811, 821, 831, 841)이 언락 상태로 되면, 상기 내부 프레임(811, 821, 831, 841)이 플랫폼 방향으로 열리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비상시 승객이 패닉 디바이스(813, 823, 833, 843)의 잠금을 해제하면, 내부 프레임(811, 821, 831, 841)을 여닫이 형식으로 열 수 있다. 즉, 승객이 패닉 디바이스(813, 823, 833, 843)를 조작하면(예컨대 밀면), 내부 프레임(811, 821, 831, 841)이 플랫폼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외부 프레임과 상기 내부 프레임은 수직방향의 회전축을 갖는 경첩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내부 프레임의 내부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플레이트로 스크린되어 있거나, 또는 불투명한 플레이트로 스크린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외부 프레임은 상,하,좌,우의 4가지 방향에 프레임이 제공되어 'ㅁ' 형상의 프레임 형상을 갖고 있을 수 있다.
한편, 비상 시에 상기 내부 프레임을 플래폼 방향으로 밀어서 열은 후에 승객들이 탈출할 때에 상기 'ㅁ' 형상의 외부 프레임 중 하측 방향에 설치된 프레임에 걸려 넘어지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서, 상기 외부 프레임은 상,하,좌,우의 4가지 방향에서 하측 방향을 제외한 3가지 방향에만 프레임이 제공되어 있을 수 있다. 이렇게 하더라도, 상기 내부 프레임이 상기 'ㅁ' 형상을 갖고 있다면, 상기 내부 프레임에 의해 상기 외부 프레임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 경우, 상기 내부 프레임의 하측 프레임에는, 상기 내부 프레임의 하측 프레임이 상기 스크린도어의 프레임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하도록 하기 위한 레일 또는 레일 보조장치(예컨대, 롤러)등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와 다단 플랫폼 스크린도어의 상대위치에 따른 도어 개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플랫폼 스크린도어를 나타낸 것이며, 도 6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열차가 승강장에 진입하였을 때, 도어들이 모두 좌측으로 개방되는 제1동작모드를 나타낸 것이며, 도 6의 (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열차가 승강장에 진입하였을 때, 도어들이 모두 우측으로 개방되는 제2동작모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의 (b)에서 제1영역(1-1)에 배치된 제1세트의 4개의 도어들(1~4)이 좌측 수직 프레임에 밀착하여 서로 겹쳐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영역(1-2)에 배치된 제2세트의 4개의 도어들(1~4)이 좌측 수직 프레임에 밀착하여 서로 겹쳐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의 (c)에서 제1영역(1-1)에 배치된 제1세트의 4개의 도어들(1~4)들이 우측 수직 프레임에 밀착하여 서로 겹쳐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영역(1-2)에 배치된 제2세트의 4개의 도어들(1~4)들이 우측 수직 프레임에 밀착하여 서로 겹쳐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제3영역(1-3)에 배치된 제3세트의 4개의 도어들(1~4)들이 좌측 수직 프레임에 밀착하여 서로 겹쳐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의 (b)를 참조하면, 열차가 승강장에 진입하였을 때에, 제1영역(1-1)에 대응하는 열차의 출입문(751)은 좌측 수직 프레임보다는 우측 수직 프레임에 더 가까이 위치하고 있다. 또한, 제2영역(1-2)에 대응하는 열차의 출입문(752)은 좌측 수직 프레임보다는 우측 수직 프레임에 더 가까이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 승객의 승하차를 위하여 다단 플랫폼 스크린도어(1)의 도어들(2~4)은 좌측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도 6의 (c)를 참조하면, 열차가 승강장에 진입하였을 때에, 제1영역(1-1)에 대응하는 열차의 출입문(753)은 제1영역(1-1)의 우측 수직 프레임보다는 좌측 수직 프레임에 더 가까이 위치하고 있다. 또한, 제2영역(1-2)에 대응하는 열차의 출입문(754)은 제2영역(1-2)의 우측 수직 프레임보다는 좌측 수직 프레임에 더 가까이 위치하고 있다. 또한, 제3영역(1-3)에 대응하는 열차의 출입문(755)은 좌측 수직 프레임보다는 우측 수직 프레임에 더 가까이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 승객의 승하차를 위하여 열차의 출입문(753) 및 출입문(754)에 대응하는 다단 플랫폼 스크린도어(1)의 도어들(1~3)은 우측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열차의 출입문(755)에 대응하는 다단 플랫폼 스크린도어(1)의 도어들(2~4)은 좌측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상술한 다단 플랫폼 스크린도어(1)는 도시되지 않은 MCU(Motor Control Unit) 및 DCU(Door Control Uni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MCU 및 DCU는 본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는 용어이자 컨셉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플랫폼 스크린도어, 및 열차에 대한 평면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스크린도어 시스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1a, 도 7a, 및 도 7b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플랫폼 스크린도어 시스템 장치(800)는, 제1플랫폼 스크린도어(1000, 1001) 내지 제N플랫폼 스크린도어(1000, 1003), 열차 출입문 위치 획득부(810), 및 제어반(8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플랫폼 스크린도어 (1000, 1001) 내지 제N플랫폼 스크린도어는 각각 제1도어(1) 및 제4도어(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동작모드에서, 닫혀 있는 상기 플랫폼 스크린도어를 개방하기 위하여, 제1도어(1)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제4도어(4)를 제1도어(1) 쪽으로 이동시켜, 제1도어(1)과 제4도어(4)를 서로 겹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제2동작모드에서, 닫혀 있는 상기 플랫폼 스크린도어를 개방하기 위하여, 제4도어(4)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제1도어(1)을 제4도어(4) 쪽으로 이동시켜, 제1도어(1)과 제4도어(4)를 서로 겹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제어반(820)은, 플랫폼 스크린도어 시스템 장치(800)에 인접한 선로에 열차가 존재할 때에, 제1플랫폼 스크린도어(1000, 1001)을 상기 제1동작모드와 상기 제2동작모드 중 어느 하나의 동작모드로 동작시키고, 그리고 제2플랫폼 스크린도어(1000, 1002)를 상기 제1동작모드와 상기 제2동작모드 중 상기 어느 하나의 동작모드와는 다른 동작모드로 동작시키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열차 출입문 위치 획득부(810)은 상기 열차가 정차한 상태에 따라 파악된 상기 열차의 출입문들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열차 출입문 위치 획득부(810)은 상기 열차의 차종 및 상기 열차의 정차위치를 수집하여 상기 열차의 출입문들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열차의 차종은 상기 열차의 운행을 통제하는 열차운행관제서버로(900)부터 제공된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열차의 정차위치는 상기 선로에 설치된 정차위치 감지센서(77) 또는 상기 플랫폼 스크린도어 시스템 장치(800)에 설치된 정차위치 감지센서(88)로부터 제공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제어반(820)은 열차 출입문 위치 획득부(810)이 제공한 상기 열차의 출입문들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플랫폼 스크린도어(1000, 1001)의 동작모드와 상기 제2플랫폼 스크린도어(1000, 1002)의 동작모드를 결정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플랫폼 스크린도어(1000, 1001)과 상기 제2플랫폼 스크린도어(1,102)는 서로 인접해 있거나, 또는 다른 플랫폼 스크린도어를 사이에 두고 서로 떨어져 있을 수 있다.
이하, 도 1a 내지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스크린도어 시스템을 위한 구동장치를 설명한다.
상기 스크린도어 시스템은 닫힌 상태에서 제1도어(1), 제2도어(2), 제3도어(3), 및 제4도어(4)가 좌우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열린 상태에서 상기 제1도어, 상기 제2도어, 상기 제3도어, 및 상기 제4도어가 서로 겹친 상태를 갖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크린도어 시스템을 위한 구동장치는, 제1연결부재(10), 제2연결부재(20), 제3연결부재(30), 및 제2모터(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연결부재(10)는, 제1도어(1), 제2도어(2), 제3도어(3), 및 제4도어(4)가 설치된 프레임에 고정되어 설치된 제211회전부재(211)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설치된 제212회전부재(212)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제2연결부재(20)는, 제2도어(2)에 고정되어 설치되도록 되어 있는 제221회전부재(221)와 상기 제2도어(2)에 고정되어 설치되도록 되어 있는 제222회전부재(222)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제3연결부재(30)는, 제3도어(3)에 고정되어 설치되도록 되어 있는 제231회전부재(231)와 상기 제3도어에 고정되어 설치되도록 되어 있는 제232회전부재(232)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제2모터(200)는 상기 제1연결부재(10)를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연결부재(10)의 제311지점(311)은 제1도어(1)에 고정결합 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연결부재(20)의 제321지점(321)은 제1도어(1)에 고정결합 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2연결부재(20)의 제322지점(322)은 제3도어(3)에 고정결합 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연결부재(30)의 제331지점(331)은 제2도어(2)에 고정결합 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3연결부재(30)의 제332지점(332)은 제4도어(4)에 고정결합 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크린도어 시스템을 상기 닫힌 상태에서 상기 열린 상태로 전환하기 위하여 상기 제2모터(200)를 회전시키는 동안, ① 상기 제311지점(311), 상기 제221회전부재(221), 및 상기 제231회전부재(231)는 제1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방향은 예컨대, 좌측에서 우측으로 향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으며, 또는 그 반대를 의미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스크린도어 시스템을 상기 닫힌 상태에서 상기 열린 상태로 전환하기 위하여 상기 제2모터(200)를 회전시키는 동안, 상기 제311지점(311)의 이동속도는 상기 제221회전부재(221)의 이동속도보다 빠르고, 상기 제221회전부재(211)의 이동속도는 상기 제231회전부재(231)의 이동속도보다 빠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모터(200)를 회전시키는 동안 상기 제4도어(4)는 상기 제1방향(우측방향) 또는 상기 제1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방향(좌측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락(lock)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크린도어 시스템을 위한 구동장치는, 제4연결부재(40), 및 제1모터(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4연결부재(40)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설치되도록 되어 있는 제242회전부재(242)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설치되도록 되어 있는 제241회전부재(241)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제1모터(100)는, 제4연결부재(4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4연결부재(40)의 제341지점(341)은 상기 제4도어(4)에 고정결합 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크린도어 시스템을 상기 닫힌 상태에서 상기 열린 상태로 전환하기 위하여 상기 제1모터(100)를 회전시키는 동안, 상기 제341지점(341), 상기 제231회전부재(231), 및 상기 제221회전부재(221)는 상기 제1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방향은 예컨대, 우측에서 좌측으로 향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으며, 또는 그 반대를 의미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스크린도어 시스템을 상기 닫힌 상태에서 상기 열린 상태로 전환하기 위하여 상기 제1모터(100)를 회전시키는 동안, 상기 제341지점(341)의 이동속도는 상기 제231회전부재(231)의 이동속도보다 빠르고, 상기 제231회전부재(231)의 이동속도는 상기 제221회전부재(221)의 이동속도보다 빠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모터(100)를 회전시키는 동안 상기 제1도어(1)는 상기 제1방향(우측방향) 또는 상기 제1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방향(좌측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락(lock)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제1모드에서, 상기 스크린도어 시스템을 상기 닫힌 상태에서 상기 열린 상태로 전환하기 위하여 상기 제2모터(200)를 회전시키면 상기 스크린도어 시스템은 제1방향으로(예컨대, 좌측으로부터 우측방향으로) 개방되며, 상기 제1모드 동안 상기 제1모터(100)와 상기 제4연결부재(40) 간의 구동력 전달은 해제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제2모드에서, 상기 스크린도어 시스템을 상기 닫힌 상태에서 상기 열린 상태로 전환하기 위하여 상기 제1모터(100)를 회전시키면 상기 스크린도어 시스템은 상기 제2방향으로(예컨대, 우측으로부터 좌측방향으로) 개방되며, 상기 제2모드 동안 상기 제2모터(200)와 상기 제1연결부재(100) 간의 구동력 전달은 해제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하, 도 1a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스크린도어 시스템을 설명한다.
상기 스크린도어 시스템은, 제1도어(1), 제2도어(2), 제3도어(3), 제4도어(4), 제1연결부재(10), 제2연결부재(20), 제3연결부재(30), 및 제2모터(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연결부재(10)는, 상기 제1도어(1), 상기 제2도어(2), 상기 제3도어(3), 및 상기 제4도어(4)가 설치된 프레임에 고정되어 설치된 제211회전부재(211)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설치된 제212회전부재(212)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제2연결부재(20)는, 상기 제2도어(2)에 고정되어 설치된 제221회전부재(221)와 상기 제2도어(2)에 고정되어 설치된 제222회전부재(222)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제3연결부재(30)는, 상기 제3도어(3)에 고정되어 설치된 제231회전부재(231)와 상기 제3도어(3)에 고정되어 설치된 제232회전부재(232)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제2모터(200)는, 상기 제1연결부재(10)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연결부재(10)의 제311지점(311)은 상기 제1도어(1)에 고정결합 되어 있고, 상기 제2연결부재(20)의 제321지점(321)은 상기 제1도어(1)에 고정결합 되어 있고, 상기 제2연결부재(20)의 제322지점(322)은 상기 제3도어(3)에 고정결합 되어 있고, 상기 제3연결부재(30)의 제331지점(331)은 상기 제2도어(2)에 고정결합 되어 있고, 상기 제3연결부재(30)의 제332지점(332)은 상기 제4도어(4)에 고정결합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크린도어 시스템을 상기 닫힌 상태에서 상기 열린 상태로 전환하기 위하여 상기 제2모터(200)를 회전시키는 동안, ① 상기 제1도어(1), 상기 제2도어(2), 및 상기 제3도어(3)는 제1방향으로(예컨대, 좌측에서 우측으로 또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1도어(1), 상기 제2도어(2), 상기 제3도어(3), 및 상기 제4도어(4)가 좌우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열린 상태에서 상기 제1도어(1), 상기 제2도어(2), 상기 제3도어(3), 및 상기 제4도어(4)가 서로 겹친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크린도어 시스템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설치되도록 되어 있는 제242회전부재(242)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설치되도록 되어 있는 제241회전부재(241)에 결합되어 있는 제4연결부재(40), 및 상기 제4연결부재를 회전시키는 제1모터(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4연결부재(40)의 제341지점(341)은 상기 제4도어(4)에 고정결합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크린도어 시스템을 상기 닫힌 상태에서 상기 열린 상태로 전환하기 위하여 상기 제1모터(100)를 회전시키는 동안, 상기 제4도어(4), 상기 제3도어(3), 및 상기 제2도어(2)는 상기 제1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예컨대, 우측에서 좌측으로 또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1모드에서, 상기 스크린도어 시스템을 상기 닫힌 상태에서 상기 열린 상태로 전환하기 위하여 상기 제2모터(200)를 회전시키면 상기 스크린도어 시스템은 상기 제1방향으로 개방되며, 상기 제1모드 동안 상기 제1모터(100)와 상기 제4연결부재(40) 간의 구동력 전달은 해제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제2모드에서, 상기 스크린도어 시스템을 상기 닫힌 상태에서 상기 열린 상태로 전환하기 위하여 상기 제1모터(100)를 회전시키면 상기 스크린도어 시스템은 상기 제2방향으로 개방되며, 상기 제2모드 동안 상기 제2모터(200)와 상기 제1연결부재(10) 간의 구동력 전달은 해제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크린도어 시스템은, 열차 출입문 위치 획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열차 출입문 위치 획득부가 감지한 열차 출입문의 위치를 기초로 상기 제1모드와 상기 제2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가 선택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도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2의 구성과 달리 상기 구동장치에 모터가 하나만 포함되는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특히 스크린도어가 우측에서 좌측 방향으로 개폐되도록 하는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즉, 상술한 2개의 자동 동작모드 중 어느 하나의 동작모드만을 갖도록 구성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우측 및 좌측의 기준은, 도 8에 나타낸 제1도어(1)와 제4도어(4) 중 어느 것이 선로에 더 가까운지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는 점은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도 8에 나타낸 실시예는 도 2에 나타낸 실시예에서 참조번호 411, 412, 200, 211, 212, 및 10의 구성요소가 생략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 8에 상기 생략된 구성요소를 삭제한 도면을 다시 제시하여 설명한다.
상기 스크린도어는, 닫힌 상태에서 제1도어(1), 제2도어(2), 제3도어(3), 및 제4도어(4)가 좌우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열린 상태에서 상기 제1도어(1), 상기 제2도어(2), 상기 제3도어(3), 및 상기 제4도어(4)가 서로 겹친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스크린도어는 제4연결부재(40), 제3연결부재(30), 제2연결부재(20), 및 제1모터(1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4연결부재(40)는 상기 스크린도어의 프레임에 고정되어 설치된 제241회전부재(241)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설치된 제242회전부재(242)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제3연결부재(30)는 상기 제3도어에 고정되어 설치되어 있는 제231회전부재(231)와 상기 제3도어에 고정되어 설치되어 있는 제232회전부재(232)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제2연결부재(20)는 상기 제2도어(2)에 고정되어 설치되어 있는 제221회전부재(221)와 상기 제2도어(2)에 고정되어 설치되어 있는 제222회전부재(222)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제1모터(100)는 상기 제4연결부재(4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4연결부재(40)의 제341지점(341)은 상기 제4도어(4)에 고정결합 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연결부재(30)의 제332지점(332)은 상기 제4도어(4)에 고정결합 되어 있고, 상기 제3연결부재(30)의 제331지점(331)은 상기 제2도어(2)에 고정결합 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재(20)의 제322지점(322)은 상기 제3도어(3)에 고정결합 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연결부재(20)의 제321지점(321)은 상기 제1도어(1) 또는 상기 스크린도어의 프레임에 고정결합 되어 있을 수 있다.
도 8에 나타낸 스크린도어에는, 도 1a에 나타낸 스크린도어와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 공개된 다른 구성요소들이 결합될 수 있다는 점은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속하는 자들은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특허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의 내용은 본 명세서를 통해 이해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인용관계가 없는 다른 청구항에 결합될 수 있다.

Claims (16)

  1. 제1도어(1), 제2도어(2), 제3도어(3), 및 제4도어(4)를 포함하는 스크린도어로서,
    상기 제1도어, 상기 제2도어, 상기 제3도어, 및 상기 제4도어가 설치된 프레임에 고정되어 설치된 제1도어 구동 어셈블리 및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설치된 제4도어 구동 어셈블리;
    상기 제3도어에 고정되어 설치된 제231회전부재(231)와 상기 제3도어에 고정되어 설치된 제232회전부재(232)에 결합되어 있는 제3연결부재(30);
    상기 제2도어에 고정되어 설치된 제221회전부재(221)와 상기 제2도어에 고정되어 설치된 제222회전부재(222)에 결합되어 있는 제2연결부재(20); 및
    각각 상기 제4도어 구동 어셈블리 및 상기 제1도어 구동 어셈블리를 구동하는 제1모터(100) 및 제2모터(200);
    를 포함하며,
    상기 제4도어 구동 어셈블리 및 상기 제1도어 구동 어셈블리는 각각 상기 제4도어 및 상기 제1도어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3연결부재의 제332지점(332)은 상기 제4도어에 고정결합 되어 있고,
    상기 제3연결부재의 제331지점(331)은 상기 제2도어에 고정결합 되어 있고,
    상기 제2연결부재의 제322지점(322)은 상기 제3도어에 고정결합 되어 있고,
    상기 제2연결부재의 제321지점(321)은 상기 제1도어에 고정결합 되어 있으며,
    상기 스크린도어를 닫힌 상태에서 열린 상태로 전환하기 위하여 상기 제1모터를 회전시키는 동안, 상기 제4도어, 상기 제3도어, 및 상기 제2도어는 제1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스크린도어를 상기 닫힌 상태에서 상기 열린 상태로 전환하기 위하여 상기 제2모터를 회전시키는 동안, 상기 제1도어, 상기 제2도어, 및 상기 제3도어는 상기 제1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1도어, 상기 제2도어, 상기 제3도어, 및 상기 제4도어가 좌우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열린 상태에서 상기 제1도어, 상기 제2도어, 상기 제3도어, 및 상기 제4도어가 서로 겹친 상태를 갖고,
    상기 제2연결부재와 상기 제3연결부재는 서로 분리되어 있는,
    스크린도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도어 구동 어셈블리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설치된 제241회전부재(241)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설치된 제242회전부재(242)에 결합되어 있는 제4연결부재(40)를 포함하며,
    상기 제1모터는 상기 제4연결부재를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4연결부재의 제341지점(341)은 상기 제4도어에 고정결합 되어 있고,
    상기 스크린도어를 상기 닫힌 상태에서 상기 열린 상태로 전환하기 위하여 상기 제1모터를 회전시키는 동안, 상기 제341지점, 상기 제232회전부재, 및 상기 제222회전부재는 제1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도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어 구동 어셈블리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설치되도록 되어 있는 제211회전부재(211)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설치되도록 되어 있는 제212회전부재(212)에 결합되어 있는 제1연결부재(10)를 포함하며,
    상기 제2모터는 상기 제1연결부재를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1연결부재의 제311지점(311)은 상기 제1도어에 고정결합 되어 있고,
    상기 스크린도어를 상기 닫힌 상태에서 상기 열린 상태로 전환하기 위하여 상기 제2모터를 회전시키는 동안, 상기 제311지점은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도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도어를 상기 닫힌 상태에서 상기 열린 상태로 전환하기 위하여 상기 제1모터를 회전시키는 동안, 상기 제4도어의 이동속도는 상기 제3도어의 이동속도보다 빠르고, 상기 제3도어의 이동속도는 상기 제2도어의 이동속도보다 빠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도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도어를 상기 닫힌 상태에서 상기 열린 상태로 전환하기 위하여 상기 제2모터를 회전시키는 동안, 상기 제1도어의 이동속도는 상기 제2도어의 이동속도보다 빠르고, 상기 제2도어의 이동속도는 상기 제3도어의 이동속도보다 빠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도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모터를 회전시키는 동안 상기 제1도어는 상기 제1방향 또는 상기 제1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락(lock)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도어.
  7. 제1항에 있어서,
    제1모드에서, 상기 스크린도어를 상기 닫힌 상태에서 상기 열린 상태로 전환하기 위하여 상기 제1모터를 회전시키면 상기 스크린도어는 상기 제1방향으로 개방되며, 상기 제1모드 동안 상기 제2모터와 상기 제1도어 구동 어셈블리 간의 구동력 전달은 해제되도록 되어 있고,
    제2모드에서, 상기 스크린도어를 상기 닫힌 상태에서 상기 열린 상태로 전환하기 위하여 상기 제2모터를 회전시키면 상기 스크린도어는 상기 제2방향으로 개방되며, 상기 제2모드 동안 상기 제1모터와 상기 제4도어 구동 어셈블리 간의 구동력 전달은 해제되도록 되어 있는,
    스크린도어.
  8. 제7항에 있어서,
    열차 출입문 위치 획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열차 출입문 위치 획득부가 감지한 열차 출입문의 위치를 기초로 상기 제1모드와 상기 제2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도어.
  9. 제1항에 있어서,
    제1잠금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잠금장치는, 상기 스크린도어를 상기 닫힌 상태에서 상기 열린 상태로 전환하기 위하여 상기 제1모터를 회전시키는 동안, 상기 제1도어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상기 제1도어를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고정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1잠금장치는, 상기 스크린도어를 상기 닫힌 상태에서 상기 열린 상태로 전환하기 위하여 상기 제2모터를 회전시키는 동안, 상기 제1도어가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도어의 상기 프레임에 대한 고정을 해제하도록 되어 있는,
    스크린도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잠금장치의 락/언락 상태를 제어하는 제1잠금해지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1잠금해지장치를 조작하여 상기 제1잠금장치가 해제되면, 상기 제1도어, 상기 제2도어, 및 상기 제3도어는 상기 제2방향으로 수동으로 슬라이딩 개방될 수 있는 상태가 되는,
    스크린도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어, 상기 제2도어, 상기 제3도어, 및 상기 제4도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도어는,
    상기 프레임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있는 외부 프레임; 및
    여닫이 방식으로 열리도록 상기 외부 프레임에 결합되어 있는 내부 프레임;
    을 포함하는,
    스크린도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도어에는 상기 외부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내부 프레임을 락(lock) 또는 언락(unlock)하는 패닉 디바이스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패닉 디바이스를 선로 측에서 조작하여 상기 외부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내부 프레임이 언락 상태로 되면, 상기 내부 프레임이 플랫폼 방향으로 열리도록 되어 있는,
    스크린도어.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어, 상기 제2도어, 상기 제3도어, 및 상기 제4도어는 플랫폼으로부터 선로를 향하는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스크린도어.
  14. 닫힌 상태에서 제1도어(1), 제2도어(2), 제3도어(3), 및 제4도어(4)가 좌우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열린 상태에서 상기 제1도어, 상기 제2도어, 상기 제3도어, 및 상기 제4도어가 서로 겹친 상태를 갖는 스크린도어를 위한 구동장치로서,
    상기 제1도어, 상기 제2도어, 상기 제3도어, 및 상기 제4도어가 설치된 프레임에 고정되어 설치되도록 되어 있는 제4도어 구동 어셈블리;
    상기 제3도어에 고정되어 설치되도록 되어 있는 제231회전부재(231)와 상기 제3도어에 고정되어 설치되도록 되어 있는 제232회전부재(232)에 결합되어 있는 제3연결부재(30);
    상기 제2도어에 고정되어 설치되도록 되어 있는 제221회전부재(221)와 상기 제2도어에 고정되어 설치되도록 되어 있는 제222회전부재(222)에 결합되어 있는 제2연결부재(20); 및
    상기 제4도어 구동 어셈블리를 구동하는 제1모터(100);
    를 포함하며,
    상기 제4도어 구동 어셈블리는 상기 제4도어에 결합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3연결부재의 제332지점(332)은 상기 제4도어에 고정결합 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3연결부재의 제331지점(331)은 상기 제2도어에 고정결합 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2연결부재의 제322지점(322)은 상기 제3도어에 고정결합 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2연결부재의 제321지점(321)은 상기 제1도어에 고정결합 되도록 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고정결합 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스크린도어를 상기 닫힌 상태에서 상기 열린 상태로 전환하기 위하여 상기 제1모터를 회전시키는 동안, ① 상기 제232회전부재, 및 상기 제222회전부재는 제1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제4도어 구동 어셈블리는 상기 제4도어를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구동되며,
    상기 제2연결부재와 상기 제3연결부재는 서로 분리되어 있는,
    스크린도어를 위한 구동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설치되도록 되어 있는 제1도어 구동 어셈블리; 및
    상기 제1도어 구동 어셈블리를 구동하는 제2모터(200);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도어 구동 어셈블리는 상기 제1도어에 결합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스크린도어를 상기 닫힌 상태에서 상기 열린 상태로 전환하기 위하여 상기 제2모터를 회전시키는 동안, 상기 제221회전부재, 및 상기 제231회전부재는 상기 제1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제1도어 구동 어셈블리는 상기 제1도어를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도어를 위한 구동장치.
  16. 제1도어(1), 제2도어(2), 제3도어(3), 및 제4도어(4)를 포함하는 스크린도어로서,
    상기 제1도어, 상기 제2도어, 상기 제3도어, 및 상기 제4도어가 설치된 프레임에 고정되어 설치된 제4도어 구동 어셈블리;
    상기 제3도어에 고정되어 설치된 제231회전부재(231)와 상기 제3도어에 고정되어 설치된 제232회전부재(232)에 결합되어 있는 제3연결부재(30);
    상기 제2도어에 고정되어 설치된 제221회전부재(221)와 상기 제2도어에 고정되어 설치된 제222회전부재(222)에 결합되어 있는 제2연결부재(20); 및
    상기 제4도어 구동 어셈블리를 구동하는 제1모터(100);
    를 포함하며,
    상기 제4도어 구동 어셈블리는 상기 제4도어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3연결부재의 제332지점(332)은 상기 제4도어에 고정결합 되어 있고,
    상기 제3연결부재의 제331지점(331)은 상기 제2도어에 고정결합 되어 있고,
    상기 제2연결부재의 제322지점(322)은 상기 제3도어에 고정결합 되어 있고,
    상기 제2연결부재의 제321지점(321)은 상기 제1도어에 고정결합 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고정결합 되어 있으며,
    상기 스크린도어를 닫힌 상태에서 열린 상태로 전환하기 위하여 상기 제1모터를 회전시키는 동안, 상기 제4도어, 상기 제3도어, 및 상기 제2도어는 제1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1도어, 상기 제2도어, 상기 제3도어, 및 상기 제4도어가 좌우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열린 상태에서 상기 제1도어, 상기 제2도어, 상기 제3도어, 및 상기 제4도어가 서로 겹친 상태를 갖고,
    상기 제2연결부재와 상기 제3연결부재는 서로 분리되어 있는,
    스크린도어.
KR1020190051410A 2019-05-02 2019-05-02 두 가지 동작모드를 갖는 다단 플랫폼 스크린도어 및 이를 위한 구동장치 KR1020357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1410A KR102035722B1 (ko) 2019-05-02 2019-05-02 두 가지 동작모드를 갖는 다단 플랫폼 스크린도어 및 이를 위한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1410A KR102035722B1 (ko) 2019-05-02 2019-05-02 두 가지 동작모드를 갖는 다단 플랫폼 스크린도어 및 이를 위한 구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5722B1 true KR102035722B1 (ko) 2019-11-26

Family

ID=68731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1410A KR102035722B1 (ko) 2019-05-02 2019-05-02 두 가지 동작모드를 갖는 다단 플랫폼 스크린도어 및 이를 위한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572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4055B1 (ko) * 2019-12-06 2020-10-12 주식회사 보성알앤디 다중 접철식 슬라이딩 스크린 도어 장치
KR102228877B1 (ko) 2019-12-17 2021-03-1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가동문 양측에 비상문이 설치되는 스크린도어 및 그 비상문 개방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90076A (ja) * 2005-04-07 2006-10-26 Mitsubishi Electric Corp 可動柵装置
JP2013199228A (ja) * 2012-03-26 2013-10-03 Nabtesco Corp プラットホームドア装置
KR101798543B1 (ko) * 2017-08-29 2017-12-12 대주이엔티 주식회사 스크린 도어 시스템에 구비된 미닫이 도어의 여닫이식 보조비상 도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90076A (ja) * 2005-04-07 2006-10-26 Mitsubishi Electric Corp 可動柵装置
JP2013199228A (ja) * 2012-03-26 2013-10-03 Nabtesco Corp プラットホームドア装置
KR101798543B1 (ko) * 2017-08-29 2017-12-12 대주이엔티 주식회사 스크린 도어 시스템에 구비된 미닫이 도어의 여닫이식 보조비상 도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4055B1 (ko) * 2019-12-06 2020-10-12 주식회사 보성알앤디 다중 접철식 슬라이딩 스크린 도어 장치
WO2021112476A1 (ko) * 2019-12-06 2021-06-10 주식회사 보성알앤디 다중 접철식 슬라이딩 스크린 도어 장치
KR102228877B1 (ko) 2019-12-17 2021-03-1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가동문 양측에 비상문이 설치되는 스크린도어 및 그 비상문 개방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101529B (fi) Lukitusmekanismilla varustetulla ovenkäyttölaitteella varustettu hissi
KR102035722B1 (ko) 두 가지 동작모드를 갖는 다단 플랫폼 스크린도어 및 이를 위한 구동장치
KR101379067B1 (ko) 철도차량용 도어구조
US6189265B1 (en) One- or two-leaf sliding door, swinging door or pocket door
KR100641268B1 (ko) 분산 전개구조를 갖는 자동회전문용 회전날개의 자동접철구조
KR101798543B1 (ko) 스크린 도어 시스템에 구비된 미닫이 도어의 여닫이식 보조비상 도어
US20090301821A1 (en) Elevator entrance apparatus
CA2374204C (en) Control of the movement of a sliding or swinging and sliding door in its end closing area
FI104009B (fi) Yksi- tai kaksisiipinen työntö-, kääntötyöntö- tai taskuovi
JPH08104487A (ja) エレベータかご扉と乗り場扉の連動装置
EP2275635A2 (de) Automatische Fluchtwegschiebetür mit mindestens einem verfahrbaren Türflügel
JPH05195668A (ja) 引戸装置
KR102046460B1 (ko) 두 가지 동작모드를 갖는 다단 플랫폼 스크린 도어
EP2828190B1 (en) Elevator car door drive mechanism
WO2019245453A1 (en) Variable pitch platform screens or sliding doors in transit stations
RU2009059C1 (ru) Ограждение пассажирской платформы
JP2000108889A (ja) プラットホーム用開閉柵
JP2000016280A (ja) プラットホームドア装置
CN111433104B (zh) 用于锁定屏蔽门的门扇的系统
CA2038732C (en) Device and procedure for opening the doors of an elevator
DE19905473C1 (de) Karusselltür
KR20080101101A (ko) 비상시 여닫이형 개폐가 가능한 스크린 도어
JPH06239223A (ja) プラットホーム用可動柵装置
KR20200100517A (ko) 두 가지 동작모드를 갖는 다단 플랫폼 스크린 도어
WO2011048391A1 (en) Platform screen doo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