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0949A - 차량용 커버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커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0949A
KR20120090949A KR1020127005099A KR20127005099A KR20120090949A KR 20120090949 A KR20120090949 A KR 20120090949A KR 1020127005099 A KR1020127005099 A KR 1020127005099A KR 20127005099 A KR20127005099 A KR 20127005099A KR 20120090949 A KR20120090949 A KR 201200909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enter
winding
vehicle
wind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5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세이지 타케무라
켄타 마루야마
Original Assignee
아시모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시모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시모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90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09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60R5/04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 B60R5/045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collapsible or transformable
    • B60R5/047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collapsible or transformable collapsible by rolling-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차량용 커버 장치가, 복수의 커버를, 대략 동일 평면을 따라, 대략 동일 방향을 향해 인출 가능하게 하는 경우에, 복수의 커버 사이의 간격을 차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차량용 커버 장치는, 센터 커버(32)와, 센터 커버(32)를 인출 및 권취 가능하게 수용하는 센터 권취축부(34)를 갖는 센터 커버 권취부(30)와, 사이드 커버(42)와, 당해 사이드 커버(42)를 인출 및 권취 가능하게 수용하는 사이드 권취축부(44)를 갖는 사이드 커버 권취부(40)를 구비하고 있다. 인출된 상태에서 센터 커버(32)의 측연부와 사이드 커버(42)의 측연부가 중첩되도록, 센터 권취축부(34)와 사이드 권취축부(44)가, 서로 축(X1, X2)을 중첩되지 않도록 해서 또 그들 단부끼리가 그들 축방향에서 중복되도록 지지되어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커버 장치{COVER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에 있어서, 짐칸(荷室), 사이드 윈도우, 루프 윈도우 등을 덮는 차량용 커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짐칸을 덮는 뒷좌석 커버 장치(a tonneau cover apparatus)로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것이 있다.
특허문헌 1은, 복수로 분할한 러기지 커버(luggage cover)를 따로따로 수용 및 인출 가능하게 한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분할된 러기지 커버를 인출한 상태에서, 당해 러기지 커버끼리를 패스너에 의해 연결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실용신안 소58-65152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서는, 분할된 러기지 커버를 권취하는 권취통(卷取筒)의 축이, 동일 직선상에 위치하도록 배열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권취통 사이에, 권취통의 단부(端部)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스페이스가 필요하게 된다. 이 때문에, 각(各) 권취통으로부터 인출된 러기지 커버 사이에는 간격이 생기게 된다. 그리고 이 간격을 없애기 위해, 패스너를 이용하여 분할된 러기지 커버끼리를 연결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패스너를 이용한 개폐 작업이 귀찮았다.
그래서 본 발명은, 복수의 커버를, 대략 동일 평면을 따라, 대략 동일 방향을 향해 인출 가능하게 하는 경우에, 복수의 커버 사이의 간격을 차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1 형태에 관계되는 차량용 커버 장치는, 커버와 상기 커버를 인출 및 권취 가능하게 수용하는 권취축부(卷取軸部)를 갖는 복수의 커버 권취부(卷取部)와, 상기 복수의 커버 권취부의 상기 각(各) 커버가 대략 병행(竝行) 상태에서 대략 동일 방향을 향해 인출되어 대략 동일 평면을 따라 전개 가능한 형태로, 상기 복수의 커버 권취부의 상기 각 권취축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구비하며, 인출된 상태에서 인접하는 상기 커버의 측연부(側緣部)끼리가 중첩되도록, 인접하는 상기 권취축부가, 서로 축을 중첩되지 않도록 해서 또 그들 단부끼리가 그들 축방향에서 중복되도록 지지되어 있다.
제2 형태에 관계되는 차량용 커버 장치는, 제1 형태에 관계되는 차량용 커버 장치에 있어서, 인접하는 상기 권취축부가, 상기 커버를 동일 권취 방향으로 권회(卷回) 수용함과 아울러, 상기 커버의 인출 방향을 따라 서로 축을 중첩되지 않도록 해서 배열설치되어 있다.
제3 형태에 관계되는 차량용 커버 장치에 의하면, 제1 또는 제2 형태에 관계되는 차량용 커버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커버 권취부는, 차량 짐칸의 차폭(車幅) 방향 중앙부를 덮는 센터 커버를 갖는 센터 커버 권취부와, 상기 센터 커버와 인접하여 차량 짐칸의 차폭 방향 측방부(側方部)를 덮는 사이드 커버를 갖는 한 쌍의 사이드 커버 권취부를 구비하며, 상기 센터 커버의 양(兩) 측연부가, 상기 한 쌍의 사이드 커버 권취부의 각(各) 사이드 커버의 차폭 방향 중앙부측의 측연부 각각의 위에 중첩되도록 배열설치되어 있다.
제4 형태에 관계되는 차량용 커버 장치는, 제3 형태에 관계되는 차량용 커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센터 커버의 인출 방향 선단측의 단부에, 차량의 백도어(back door)에 걸림/이탈 가능한 센터용 걸림부가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사이드 커버의 인출 방향 선단측의 단부에, 차량 짐칸의 측벽에 걸림/이탈 가능한 사이드용 걸림부가 설치되어 있다.
제5 형태에 관계되는 차량용 커버 장치는, 제4 형태에 관계되는 차량용 커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센터 커버는, 상방을 향해 순차적으로 폭이 좁아지는 차량의 백도어용 개구(開口)를 따라, 인출 방향 선단측의 단부보다 폭이 좁게 형성된 협폭(狹幅) 측연부를 양측에 갖고, 상기 센터 커버 및 상기 한 쌍의 사이드 커버가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사이드 커버의 차폭 방향 중앙부측의 측연부는, 상기 센터 커버 양측의 상기 각(各) 협폭 측연부에 중첩되는 형상을 갖고 있다.
제6 형태에 관계되는 차량용 커버 장치는, 제3?제5 중 어느 한 형태에 관계되는 차량용 커버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사이드 커버의 인출 방향 선단측의 단부에, 상기 사이드 커버를 수용하는 상기 권취축부의 축방향 대략 중앙에, 차량 짐칸의 측벽(側壁)에 걸림/이탈 가능한 사이드용 걸림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제7 형태에 관계되는 차량용 커버 장치는, 제3 항?제6 항 중 어느 한 형태에 관계되는 차량용 커버 장치에 있어서, 프론트 커버(front cover)와, 상기 프론트 커버를 인출 및 권취 가능하게 수용하는 프론트 커버용 권취축부를 갖는 프론트 커버용 권취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프론트 커버가 상기 지지부재와 차량의 리어 시트(rear seat) 사이에서 전개 가능한 형태로, 상기 프론트 커버용 권취축부가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제1 형태에 관계되는 차량용 커버 장치에 의하면, 인출된 상태에서 인접하는 상기 커버의 측연부끼리가 중첩되도록, 인접하는 상기 권취축부가, 서로 축을 중첩되지 않게 해서 또 그들 단부끼리가 그들 축방향에서 중복되도록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복수의 커버를 인출하면, 인접하는 커버의 측연부끼리가 중첩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복수의 커버 사이의 간격을 차폐할 수 있다.
제2 형태에 관계되는 차량용 커버 장치에 의하면, 인접하는 상기 권취축부가 상기 커버의 인출 방향을 따라 서로 축을 중첩되지 않도록 해서 배열설치되어 있으므로, 권취축부의 지지 및 수용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인접하는 상기 권취축부에는, 상기 커버가 동일 권취 방향으로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인출 방향 상측의 상기 권취축부에 수용된 상기 커버의 측연부를 상기 인출 방향 하측의 상기 권취축부에 수용된 상기 커버의 측연부에 밀착 상태로 중첩되게 하여, 양(兩) 커버를 동일 평면상에서 인출할 수 있다.
제3 형태에 의하면, 사이드 커버를 인출 상태로 한 채, 센터 커버의 인출 및 권취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제4 형태에 의하면, 백도어의 개폐에 연동(連動)하여, 센터 커버를 인출 및 권취할 수 있다.
제5 형태에 의하면, 백도어용 개구와의 간섭을 피하면서, 백도어의 개폐에 연동하여, 센터 커버를 인출 및 권취할 수 있다. 또한, 센터 커버를 인출한 상태에서, 센터 커버와 사이드 커버 사이의 간격을 차폐할 수 있다.
제6 형태에 의하면, 주름 발생을 억제하면서, 사이드 커버의 전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7 형태에 관계되는 차량용 커버 장치에 의하면, 프론트 커버도 지지부재와 일체화해서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차량용 커버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차량용 커버 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이다.
도 3은 차량용 커버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IV-IV선 단면도이다.
도 5는 차량용 커버 장치를 차량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차량용 커버 장치를 차량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은 차량용 커버 장치를 차량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은 사이드 커버의 사이드용 걸림부가 걸린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는 비교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사이드 커버와 센터 커버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하,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차량용 커버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차량용 커버 장치가, 차량의 짐칸을 덮는 예로 설명한다. 다만, 본 차량용 커버 장치 자체는, 짐칸을 덮는 이외에도, 루프 윈도우, 사이드 윈도우 혹은 리어 윈도우 등과 같은 각종 부분을 평면 형상으로 덮는 구성으로서 적용할 수 있다.
<전체 구성>
도 1은 차량용 커버 장치(20)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차량용 커버 장치(20)를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이며, 도 3은 차량용 커버 장치(20)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IV-IV선 단면도이다. 또한, 도 1?도 3에서는, 차량용 커버 장치(20)는 전개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도 5?도 7은 차량용 커버 장치(20)를 차량(10)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특히, 도 5는 백도어(12)를 연 상태에서의 차량용 커버 장치(20)의 사시도, 도 6은 백도어(12)를 연 상태에서의 차량용 커버 장치(20)의 배면도, 도 7은 백도어(12)를 닫은 상태에서의 차량용 커버 장치(20)의 부분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차량용 커버 장치(20)는, 후방에 짐칸(11)을 갖는 차량(10)에 설치된다. 짐칸(11)의 후방은 개구되어 있으며, 그 개구는 백도어(12)에 의해 개폐된다. 여기에서는, 백도어(12)는, 개구의 상부에 설치된 힌지부를 통해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짐칸(11)의 전방(前方)에는, 리어 시트(R)의 등받이 부분이 있으며(도 2 및 도 3 참조), 짐칸(11)은 당해 등받이 부분의 상방 공간을 통해 승객측 차실(車室) 안과 연통해 있다.
상기 차량용 커버 장치(20)는, 등받이 부분의 상단부 후방에서, 짐칸(11)을 덮도록 설치되어, 당해 짐칸(11) 내의 짐(荷物)이 외부로부터 보이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완수한다.
본 차량용 커버 장치(20)는, 복수의 커버 권취부로서 센터 커버 권취부(30)와 한 쌍의 사이드 커버 권취부(40)를 구비하며, 또한, 이들을 지지하는 지지부재(50)를 구비하고 있다.
센터 커버 권취부(30)는, 차량(10)의 짐칸(11)의 차폭 방향 중앙부를 덮는 센터 커버(32)와, 센터 커버(32)를 인출 및 권취 가능하게 수용하는 센터 권취축부(34)를 갖고 있다. 또한, 사이드 커버 권취부(40)는, 상기 센터 커버(32)와 인접하여 차량(10)의 짐칸(11)의 차폭 방향 측방부를 덮는 사이드 커버(42)와, 당해 사이드 커버(42)를 인출 및 권취 가능하게 수용하는 사이드 권취축부(44)를 갖고 있다.
상기 센터 권취축부(34) 및 사이드 권취축부(44)로서는, 시트 형상 부재를 인출 및 권취 가능한 일반적인 권취 구조를 포함하는 여러 가지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센터 권취축부(34) 및 사이드 권취축부(44)로서는, 예를 들면, 지지부재(50)에 회전 불가능하게 지지된 양(兩) 지지단부(支持端部) 사이에 권취축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양 지지단부와 권취축부 사이에 코일 스프링 혹은 스파이럴 스프링 등과 같은 권취 부세(付勢) 스프링을 개재시켜, 상기 권취축부를 소정의 권취 회전 방향으로 부세한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 센터 커버(32) 및 사이드 커버(42)는, 직물 혹은 수지 등에 의해 형성되며, 권취 및 평면 형상으로 전개 가능한 시트 형상의 부재이다. 이들 센터 커버(32) 및 사이드 커버(42)의 기단부(基端部)는, 각각 센터 권취축부(34) 및 사이드 권취축부(44)에 연결되어 있다. 이들 센터 커버(32) 및 사이드 커버(42)의 더 구체적인 형상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지지부재(50)는, 센터 커버(32) 및 한 쌍의 사이드 커버(42)가 대략 병행 상태에서 대략 동일 방향을 향해(여기에서는 차량 전방으로부터 차량 후방을 향해) 대략 동일 평면(여기에서는 짐칸(11)의 상방을 덮는 평면)을 따라 전개 가능한 형태로, 상기 한 쌍의 사이드 권취축부(44)를 센터 권취축부(34)의 양측에 배열설치한 상태로 그들 한 쌍의 사이드 권취축부(44) 및 센터 권취축부(34)를 지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지지부재(50)가 센터 권취축부(34) 및 한 쌍의 사이드 권취축부(44)를 지지하는 더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본 지지부재(50)는 짐칸(11)의 전방 위치(더 구체적으로는, 리어 시트(R)의 등받이 부분의 상단부 후방 위치)에서 차폭 방향을 따른 자세가 되도록, 지지되어 있다. 지지부재(50)의 지지 구조는, 예를 들면, 그 양단부를 짐칸(11)의 양 측벽부분의 오목부(凹部)에 끼워넣는 구조 등에 의해 실현된다.
또한, 센터 커버(32)의 인출 방향 선단측의 단부는, 상기 백도어(12)의 내면부분에 걸림/이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사이드 커버(42)의 인출 방향 선단측의 단부는, 각각 짐칸(11)의 측벽에 걸림/이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센터 커버(32)의 인출 방향 선단측의 단부가 닫힌 백도어(12)의 내면부분에 걸림과 아울러, 한 쌍의 사이드 커버(42)의 인출 방향 선단측의 단부가 각각 짐칸(11)의 측벽에 걸린 상태에서, 센터 커버(32) 및 한 쌍의 사이드 커버(42)가 짐칸(11)의 상방 개구를 거의 전체에 걸쳐 덮고 있다(도 7 참조).
또한, 상기 상태에서 백도어(12)를 열면, 센터 커버(32)의 인출 방향 선단측의 단부가 상방으로 이동해서, 센터 커버(32)가 차량(10) 후방을 향해 비스듬하게 상방으로 들어올려진 상태가 되어, 짐칸(11)의 후방 개구인 백도어용 개구로부터 짐칸(11) 안으로 액세스 가능한(짐을 출납 가능한) 개구가 형성된다(도 5 및 도 6 참조).
또한, 상기의 어느 상태에서, 센터 커버(32)의 인출 방향 선단측의 단부 혹은 한 쌍의 사이드 커버(42)의 인출 방향 선단측의 단부의 걸림을 해제하면, 걸림이 해제된 센터 커버(32) 혹은 한 쌍의 사이드 커버(42)가 센터 권취축부(34) 혹은 사이드 권취축부(44)에 의해 권취되어, 짐칸(11)의 상방이 부분적으로 혹은 전체적으로 개구된 상태가 된다.
또한, 센터 커버(32)의 인출 방향 선단측의 단부 및 한 쌍의 사이드 커버(42)의 인출 방향 선단측의 단부의 더 구체적인 걸림/이탈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러한 차량용 커버 장치(20)는, 센터 커버(32) 및 한 쌍의 사이드 커버(42)에 의해, 짐칸(11)의 상방을 될 수 있는 한 빈틈없이 덮을 수 있다. 또한, 백도어(12)의 개방시 등에는, 센터 커버(32)를 부분적으로 상방으로 들어올려, 혹은, 권취 수용할 수 있어, 짐칸(11)에 대한 짐의 출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권취축부의 위치 관계>
센터 권취축부(34) 및 사이드 권취축부(44)의 위치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즉, 상기 지지부재(50)는, 센터 커버(32) 및 한 쌍의 사이드 커버(42)가 인출된 상태에서, 인접하는 센터 커버(32)와 양 사이드 커버(42)의 측연부끼리가 중첩되도록, 인접하는 센터 권취축부(34)와 사이드 권취축부(44)가 서로 중심축(X1, X2)을 중첩되지 않도록 해서 또 그들 단부끼리가 그들 축(X1, X2)방향에서 중복되도록 지지되어 있다(도 2 및 도 4 참조).
더 구체적으로는, 지지부재(50)는, 수지 등에 의해 형성된 부재이며, 전측 프레임부(52)와, 후측 프레임부(54)를 갖고 있다.
후측 프레임부(54) 내에는 차폭 방향을 따른 길이가 긴 형상의 내부공간(55)이 형성되어 있다. 당해 길이가 긴 형상의 내부공간(55) 중 차량 전측 부분이고 후측 프레임부(54)의 양단부보다 차량 폭 방향 중앙부측 근처 부분에, 센터 권취축부(34)의 양단부를 지지 가능한 센터 권취축부 지지부(54a)가 한 쌍 설치되어 있다(도 2에서는 좌우대칭 형상이기 때문에, 한쪽만 도시). 그리고 상기 센터 권취축부(34)의 양단부가 한 쌍의 센터 권취축부 지지부(54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으로써, 당해 센터 권취축부(34)가 센터 커버(32)를 인출 및 권취 수용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길이가 긴 형상의 내부공간(55) 중 차량 후측 부분이고 각(各) 센터 권취축부 지지부(54a)보다 차폭 방향 중앙부 근처 부분에, 사이드 권취축부(44)의 단부를 지지 가능한 사이드 권취축부 지지부(54b)가 한 쌍 설치되어 있다(도 2에서는 좌우대칭 형상이기 때문에, 한쪽만 도시). 그리고 상기 사이드 권취축부(44)의 차폭 방향 중앙부의 단부가 한쪽 측의 사이드 권취축부 지지부(54b)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과 아울러, 사이드 권취축부(44)의 차폭 방향 측방부측의 단부가 후측 프레임부(54)의 한쪽 측의 단부(54c)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에 의해, 당해 사이드 권취축부(44)가 사이드 커버(42)를 인출 및 권취 수용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후측 프레임부(54)의 차량 후부에는, 차폭 방향을 따른 슬릿 형상의 커버 인출구(54S)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센터 커버(32) 및 한 쌍의 사이드 커버(42)는, 당해 커버 인출구(54S)를 통해 외부로 인출되어 있다.
상기 지지 구조에서는, 센터 권취축부(34)와 한 쌍의 사이드 권취축부(44)는, 각각 센터 커버(32) 및 사이드 커버(42)를 동일 권취 방향으로 권회 수용하고 있다. 또한, 중심축(X1, X2)방향에서, 센터 권취축부(34)의 양단부는, 사이드 권취축부(44)의 차폭 방향 중앙부측 단부와 중첩해서 배열설치되어 있다. 또한, 센터 권취축부(34)의 중심축(X1)과 한 쌍의 사이드 권취축부(44)의 중심축(X2)이 서로 축을 중첩되지 않도록 해서, 여기에서는, 센터 커버(32) 및 사이드 커버(42)의 인출 방향인 차량 전후 방향으로 축을 중첩되지 않도록 해서 배열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인출 방향 상측인 차량 전방측의 센터 권취축부(34)의 센터 커버(32)의 양 측연부가, 인출 방향 하측인 차량 후방측의 사이드 권취축부(44)의 사이드 커버(42)의 차폭 방향 중앙부측 측연부에 밀착 상태로 중첩되어, 센터 커버(32)와 사이드 커버(42)가 대략 동일 평면상에 인출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에 의해, 센터 커버(32)와 한 쌍의 사이드 커버(42)를 인출한 상태에서, 센터 커버(32)의 양 측연부와 한 쌍의 사이드 커버(42)의 차폭 방향 중앙부 측연부를 밀착 상태로 중첩할 수 있어, 그들 사이의 간격을 차폐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사이드 커버(42)를 인출한 상태인 채로, 그 상방에서 센터 커버(32)의 인출 및 권취 동작, 심지어는, 센터 커버(32)를 상방으로 들어올리는 동작 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지지부재(50)의 전측 프레임부(52)에는, 프론트 커버 권취부(60)가 조립되어 있다.
즉, 전측 프레임부(52) 내에는, 차폭 방향을 따른 길이가 긴 형상의 내부공간(5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측 프레임부(52)의 전측 부분에는, 차폭 방향을 따라 뻗어 있는 인출구(52S)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후측 프레임부(54)와 전측 프레임부(52) 사이는, 칸막이 벽(51)에 의해 구분되어 있다.
프론트 커버 권취부(60)는, 짐칸(11)의 상방에 있으며 지지부재(50)와 리어 시트(R) 사이를 덮는 프론트 커버(62)와, 프론트 커버(62)를 인출 및 권취 가능하게 수용하는 프론트 권취축부(64)를 갖고 있다. 또한, 프론트 권취축부(64)는, 상기 센터 권취축부(34)와 마찬가지로, 프론트 커버(62)를 인출 및 권취 가능하게 수용하고 있다. 그리고 전측 프레임부(52) 내에서 프론트 권취축부(64)의 양단부가 전측 프레임부(52)의 양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프론트 커버(62)는, 인출구(52S)를 통해 외부로 인출되어 있다. 그리고 본 프론트 커버(62)가 지지부재(50)와 리어 시트(R) 사이에서 전개 가능한 형태로, 프론트용 권취축부(64)가 지지부재(50)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또한, 프론트 커버(62)의 인출 방향 선단측 단부에는, 리어 시트 부분 혹은 리어 시트에 가까운 차실 측벽 부분에 걸림/이탈 가능한 프론트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어(도시 생략), 당해 프론트 걸림부에 의해 전개 상태가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커버의 형상>
센터 커버(32) 및 한 쌍의 사이드 커버(42)의 형상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센터 커버(32)의 선단측의 단부는, 백도어의 내면에 걸림/이탈 가능하게 걸려 있다. 그리고 백도어(12)를 열면, 센터 커버(32)는 인출되면서, 그 선단측의 단부가 상방으로 들어 올려진다. 이때, 센터 커버(32)는, 짐칸의 백도어용 개구를 통해 개방된 백도어(12)의 내면에 걸려 있다. 여기서, 짐칸(11)의 백도어용 개구는, 상방을 향해 순차적으로 차폭 방향으로 좁아지는 형상을 갖고 있다. 이 때문에, 센터 커버(32)는, 짐칸(11)의 백도어용 개구의 양 측연부와의 간섭을 억제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센터 커버(32)는, 상방을 향해 순차적으로 폭이 좁아지는 백도어용 개구를 따라, 인출 방향 선단측의 단부보다 폭이 좁게 형성된 협폭 측연부(32Aa)를 양측에 갖고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센터 커버(32)는, 백도어(12)를 닫은 상태에서 짐칸(11)의 상방으로 펼쳐지는 제1 전개 부분(32A)(도 1, 도 2 및 도 7 참조)과, 백도어(12)를 개방한 상태에서 더 인출되는 제2 전개 부분(32B)(도 5 및 도 6 참조)을 갖고 있다. 제1 전개 부분(32A)의 양측 부분은, 인출 방향 기단측을 향해 순차적으로 폭이 좁아지는 협폭 측연부(32Aa)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전개 부분(32B)의 양측 부분 중 백도어(12)가 최대로 열린 상태에서 백도어용 개구의 양측부에 배열설치되는 부분은, 차폭 방향 중앙부측을 향해 만곡(彎曲) 형상으로 오목한 만곡 오목형상 측연부(32Ba)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협폭 측연부(32Aa) 및 만곡 오목형상 측연부(32Ba)에 의해, 백도어(12)가 개방된 때에, 센터 커버(32)의 측연부가 백도어용 개구의 측연부에 간섭하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또한, 상기 백도어(12)가 닫히고, 센터 커버(32)가 센터 권취축부(34)에 권취된 상태에서는, 만곡 오목형상 측연부(32Ba)가 형성된 부분은 센터 권취축부(34)에 권취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사이드 커버(42)의 차폭 방향 중앙부측의 측연부는, 센터 커버(32) 및 한 쌍의 사이드 커버(42)가 인출된 상태에서, 센터 커버(32) 양측의 협폭 측연부(32Aa)와 중첩되는 형상을 갖고 있다(도 2 참조). 여기에서는, 센터 커버(32)의 협폭 측연부(32Aa)는, 인출 방향 기단측을 향해 순차적으로 폭이 좁아지는 사변(斜邊)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당해 경사 형상에 따라, 한 쌍의 사이드 커버(42)의 차폭 방향 중앙부측의 측연부는, 인출 방향 기단측을 향해 순차적으로 차폭 방향 중앙부측으로 경사지는(순차적으로 폭이 넓어진다) 경사 측연부(42Aa)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백도어(12)가 닫히고, 또, 센터 커버(32) 및 한 쌍의 사이드 커버(42)가 짐칸(11)의 상방에 전개된 상태에서, 센터 커버(32)의 협폭 측연부(32Aa)와 한 쌍의 사이드 커버(42)의 차폭 방향 중앙부측의 경사 측연부(42Aa)가 대략 동일 방향을 따라 중첩되면서 뻗어 있어, 그들 사이의 간격이 차폐되도록 되어 있다.
<센터 커버 및 사이드 커버의 걸림 구조>
상기 센터 커버(32) 및 사이드 커버(42)의 걸림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센터 커버(32)의 인출 방향 선단측의 단부에는, 센터용 걸림부(36)가 설치되어 있다. 센터용 걸림부(36)는, 백도어(12)의 내면에 설치된 훅 부재(13)에 걸림/이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도 2 및 도 6 참조). 여기에서는, 센터 커버(32)의 인출 방향 선단측의 단부에는, 차폭 방향으로 간격을 갖고서 한 쌍의 센터용 걸림부(36)가 설치되어 있다. 센터용 걸림부(36)는, 예를 들면, 수지 등으로 형성된 센터용 걸림 본체부(36a)의 단부에 오목부를 형성하여, 그 오목부에 봉상(棒狀)부재(36b)를 배열설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백도어(12)의 내면에 설치된 훅 부재(13)와 센터용 걸림부(36)가 걸림/이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 사이드 커버(42)의 인출 방향 선단측의 단부에는, 짐칸(11)의 측벽 중 차량 후측 부분에 걸림/이탈 가능한 사이드용 걸림부(46)가 설치되어 있다(도 2, 도 7 및 도 8 참조). 사이드용 걸림부(46)는, 예를 들면, 수지 등으로 대략 삼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된 사이드용 걸림 본체부(46a)의 외향(外向) 경사 부분에 오목부를 형성하여, 그 오목부에 봉상부재(46b)를 배열설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짐칸(11)의 측부에 설치된 훅 부재(14)와 사이드용 걸림부(46)가 걸림/이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사이드용 걸림부(46)는, 사이드 권취축부(44)의 축(X2)방향 대략 중앙(중앙인 경우를 포함한다)에서, 짐칸(11)에 걸림/이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즉, 사이드용 걸림부(46)가 짐칸(11)의 측벽에 걸림/이탈하는 위치는, 사이드 권취축부(44)의 축(X2)방향 대략 중앙에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도 2 참조). 이에 의해, 사이드용 걸림부(46)가 짐칸(11)의 측벽에 걸린 상태에서, 사이드 커버(42)를 좌우 균형있게 인장해서 지지하여, 사이드 커버(42)의 주름 발생을 억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센터용 걸림 본체부와 백도어의 걸림/이탈 가능한 걸림 구조, 및, 사이드용 걸림부와 짐칸 측벽의 걸림/이탈 가능한 걸림 구조로서는, 상기 예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 걸이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동작>
상기와 같이 구성된 차량용 커버 장치(2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짐칸(11)의 상방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백도어(12)에 대한 센터용 걸림부(36)의 걸림 및 짐칸(11)의 측벽에 대한 사이드용 걸림부(46)의 걸림을 각각 해제하여, 센터 커버(32) 및 한 쌍의 사이드 커버(42)를 권취 수용한 상태로 한다.
또한, 짐칸(11)의 상방을 덮은 상태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센터 커버(32)를 인출하여 센터용 걸림부(36)를 백도어(12)에 걸리게 함과 아울러, 한 쌍의 사이드 커버(42)를 인출하여 사이드용 걸림부(46)를 짐칸(11)의 측벽에 걸리게 한다. 이때, 센터 커버(32)의 양 측연부와 한 쌍의 사이드 커버(42)의 차폭 방향 중앙부측의 측연부는 중첩된 상태가 되어 있어, 그들 사이의 간격이 거의 차폐된 상태가 되어 있다(도 2 및 도 7 참조). 이 때문에, 짐칸(11)의 상방이 평면에서 보아 거의 빈틈없이 전체적으로 덮인 상태가 된다.
물론, 센터 커버(32)와 한 쌍의 사이드 커버(42) 중 적어도 하나를 인출한 상태에서 사용되어도 좋다.
덧붙여서, 도 9에 나타내는 비교예와 같이, 센터 커버(132)의 센터 권취축부(134)와 사이드 커버(142)의 사이드 권취축부(144)를, 각각의 중심축을 일치시켜 동일 직선상으로 배열설치한 것으로 한다. 이 경우, 센터 권취축부(134)와 사이드 권취축부(144) 사이에는, 각각의 지지부분(180)이 개재하는 것이 된다. 이러한 지지부분(180)에는, 센터 커버(132) 및 사이드 커버(142)를 권회 수용하는 것은 곤란하기 때문에, 인출된 센터 커버(132) 및 사이드 커버(142) 사이에 간격이 존재해 버리는 것이 된다.
이에 대해, 본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차량용 커버 장치(20)에 의하면, 인출된 상태에서 센터 커버(32)와 사이드 커버(42)의 측연부끼리가 중첩되도록, 인접하는 센터 권취축부(34)와 사이드 권취축부(44)가 서로 축(X1, X2)을 중첩되지 않도록 해서 또 그들 단부끼리가 그들 축(X1, X2)방향에서 중복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이 때문에, 센터 커버(32)와 사이드커버(42)를 인출하면, 그들 측연부끼리가 중첩된 상태로 할 수 있어, 그들 사이의 간격을 차폐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종래와 같이, 패스너 등을 이용한 커버끼리의 연결 작업 등을 행함이 없이, 간이하게 커버 사이의 간격을 차폐할 수 있다. 게다가, 분할된 커버끼리를, 패스너 등을 이용하여 연결하면, 패스너가 간격을 없애는 방향으로 끌어 당겨지게 되어, 당해 간격과는 다른 개소(箇所)(예를 들면, 사이드 커버와 짐칸 측벽 사이 등)에 간격이 생길 우려가 있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그와 같은 커버의 끌어당김 작업은 불필요하기 때문에, 더 확실하게 간격을 차폐할 수 있다.
다만, 복수의 커버의 측연부끼리가 완전히 중첩되어 있을 필요는 없어, 기단측, 선단측, 혹은, 부분적인 절결 형상 부분 등에서, 부분적으로 중첩되어 있지 않은 개소가 생겨 있어도 좋다.
게다가, 센터 권취축부(34)와 사이드 권취축부(44)가 인출 방향인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서로 축(X1, X2)을 중첩되지 않도록 해서 배열설치되어 있으므로, 상하 방향으로 센터 권취축부(34)와 사이드 권취축부(44)의 지지 및 수용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센터 권취축부(34)와 사이드 권취축부(44)는, 센터 커버(32) 및 사이드 커버(42)를 동일 방향으로 권회 수용하고 있으며, 차량 전방측의 센터 권취축부(34)의 센터 커버(32)의 양 측연부가, 차량 후방측의 사이드 권취축부(44)의 사이드 커버(42)의 차폭 방향 중앙부측의 측연부를 밀착 형상으로 덮도록 배열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센터 커버(32)와 사이드 커버(42)의 두께 방향의 간격을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비스듬한 방향에서 보아도, 짐칸(11) 안을 보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센터 커버(32)의 양 측연부는, 한 쌍의 사이드 커버(42)의 차폭 방향 중앙부 측연부의 상방에 배열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사이드 커버(42)를 인출한 상태인 채로, 센터 커버(32)의 인출 및 권회 수용 등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센터 커버(32)의 인출 방향 선단측의 단부가, 백도어(12)에 걸려 있기 때문에, 백도어(12)를 개방하면, 이에 연동하여, 센터 커버(32)가 인출되면서, 센터 커버(32)의 인출 방향 선단측의 단부가 상방으로 이동하여, 백도어용 개구로부터 액세스 가능한 공간이 형성된다. 이때, 이 때문에,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이드 커버(42)를 인출한 상태인 채로, 백도어(12)를 개폐함으로써, 센터 커버(32)를 짐칸(11)의 상방 공간에서 인출 및 권취할 수 있다.
또한, 인출 방향 상측인 차량 전방측의 센터 권취축부(34)에 권회된 센터 커버(32)의 길이는, 사이드 권취축부(44)에 권회된 사이드 커버(42)의 길이보다 길다. 이 때문에, 센터 커버(32) 및 사이드 커버(42) 쌍방을 인출한 경우에 있어서, 센터 커버(32)는 더 많이 인출되게 되어, 센터 권취축부(34)의 권회 수용 상태로부터의 외경(外徑)의 감소분은, 사이드 권취축부(44)의 권회 수용 상태로부터의 외경의 감소분보다 크다. 이 때문에, 센터 커버(32) 및 사이드 커버(42) 쌍방을 인출하면, 센터 권취축부(34)로부터의 센터 커버(32)의 인출 위치가 센터 권취축부(34)의 중심축(X1)에 더 가까워져, 센터 커버(32)와 사이드 커버(42)의 간격(H)이 작아진다. 이에 의해, 더 효과적으로 센터 커버(32)와 사이드 커버(42)의 간격을 작게(바람직하게는 밀착) 할 수 있다(도 10 참조).
또한, 센터 커버(32)는, 상방을 향해 순차적으로 폭이 좁아지는 백도어용 개구를 따라, 인출 방향 선단측의 단부보다 폭이 좁게 형성된 협폭 측연부(32Aa)를 갖고 있기 때문에, 백도어용 개구와의 간섭을 피하면서, 백도어(12)의 개폐에 연동하여, 센터 커버(32)를 인출 및 권취할 수 있다. 그리고 백도어(12)를 닫은 상태에서, 센터 커버(32)의 협폭 측연부(32Aa)와 한 쌍의 사이드 커버(42)의 차폭 방향 중앙부측의 경사 측연부(42Aa)를 중첩하여, 그들 사이의 간격을 차폐할 수 있다.
또한, 사이드 커버(42)는, 사이드용 걸림부(46)에 의해, 사이드 권취축부(44)의 축(X2)방향 대략 중앙(중앙인 경우를 포함한다)에서 짐칸(11)에 걸리기 때문에, 사이드 커버(42)를 좌우 균형있게 인장해서 지지할 수 있어, 사이드 커버(42)의 주름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50)에, 프론트 커버 권취부(60)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프론트 커버(62)도 지지부재(50)와 일체화해서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프론트 커버(62)를 권회 수용함으로써, 차실 안으로부터의 짐칸(11)으로의 액세스가 용이해진다.
<변형예>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차량용 커버 장치(20)의 구성은, 상기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복수의 커버 권취부로서, 센터 커버 권취부(30)와 한 쌍의 사이드 커버 권취부(40)를 구비하는 예로 설명했지만,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어, 예를 들면, 좌우 2 분할된 2개의 커버 권취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4개 이상으로 분할되어, 4개 이상의 커버 권취부가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요컨대, 복수의 커버 권취부가 설치되어, 인접하는 것 사이에서, 상기 구성이 적용되면 좋다.
또한, 복수의 커버 권취부의 배치 예도 상기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권취축부(234)의 중심축(X)이, 커버(232)가 인출되는 면(面)에 대해 대략 직교하는 방향(경사 방향이어도 좋다)으로 중첩되지 않도록 해서 배열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에서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평면에서 보아 복수의 커버(232)의 측연부를 중첩해서 배열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커버가 대략 동일 평면을 따라 전개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커버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도 11의 경우, 상측 권취축부(234)의 커버(232) 권취 방향을, 하측 권취축부(234)의 권취 방향과는 반대로 함으로써, 더 효과적으로 각 커버(232) 사이의 간격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센터 커버(32)의 인출 방향 선단측의 단부가 백도어(12)에 걸림/이탈 가능하게 걸리는 예로 설명했지만,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센터 커버(32)의 인출 방향 선단측의 단부가 사람 손 등으로 인출되어, 짐칸(11)의 측벽 중 차량 후방 부분 등에 걸리는 구성이어도 좋다.
또한,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본 차량용 커버 장치 자체는, 짐칸을 덮는 이외에도, 루프 윈도우, 사이드 윈도우 혹은 리어 윈도우 등과 같은 각종 부분을 평면 형상으로 덮는 구성으로서 적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차량용 커버 장치는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상기한 설명은, 모든 국면에서 예시이며, 본 발명이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되어 있지 않은 무수한 변형예가,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상정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Claims (7)

  1. 커버와 상기 커버를 인출 및 권취 가능하게 수용하는 권취축부(卷取軸部)를 갖는 복수의 커버 권취부(卷取部)와,
    상기 복수의 커버 권취부의 상기 각(各) 커버가 대략 병행(竝行) 상태에서 대략 동일 방향을 향해 인출되어 대략 동일 평면을 따라 전개 가능한 형태로, 상기 복수의 커버 권취부의 상기 각 권취축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를 구비하며,
    인출된 상태에서 인접하는 상기 커버의 측연부(側緣部)끼리가 중첩되도록, 인접하는 상기 권취축부가, 서로 축을 중첩되지 않도록 해서 또 그들 단부끼리가 그들 축방향에서 중복되도록 지지되어 있는 차량용 커버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상기 권취축부가, 상기 커버를 동일 권취 방향으로 권회(卷回) 수용함과 아울러, 상기 커버의 인출 방향을 따라 서로 축을 중첩되지 않도록 해서 배열설치되어 있는 차량용 커버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커버 권취부는,
    차량 짐칸의 차폭(車幅) 방향 중앙부를 덮는 센터 커버를 갖는 센터 커버 권취부와, 상기 센터 커버와 인접하여 차량 짐칸의 차폭 방향 측방부(側方部)를 덮는 사이드 커버를 갖는 한 쌍의 사이드 커버 권취부를 구비하며,
    상기 센터 커버의 양(兩) 측연부가, 상기 한 쌍의 사이드 커버 권취부의 각(各) 사이드 커버의 차폭 방향 중앙부측의 측연부 각각의 위에 중첩되도록 배열설치되는 차량용 커버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커버의 인출 방향 선단측의 단부에, 차량의 백도어(back door)에 걸림/이탈 가능한 센터용 걸림부가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사이드 커버의 인출 방향 선단측의 단부에, 차량 짐칸의 측벽에 걸림/이탈 가능한 사이드용 걸림부가 설치되어 있는 차량용 커버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커버는, 상방을 향해 순차적으로 폭이 좁아지는 차량의 백도어용 개구(開口)를 따라, 인출 방향 선단측의 단부보다 폭이 좁게 형성된 협폭(狹幅) 측연부를 양측에 갖고,
    상기 센터 커버 및 상기 한 쌍의 사이드 커버가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사이드 커버의 차폭 방향 중앙부측의 측연부는, 상기 센터 커버 양측의 상기 각(各) 협폭 측연부에 중첩되는 형상을 갖고 있는 차량용 커버 장치.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사이드 커버의 인출 방향 선단측의 단부에, 상기 사이드 커버를 수용하는 상기 권취축부의 축방향 대략 중앙에, 차량 짐칸의 측벽(側壁)에 걸림/이탈 가능한 사이드용 걸림부가 설치되어 있는 차량용 커버 장치.
  7. 제3 항에 있어서,
    프론트 커버(front cover)와 상기 프론트 커버를 인출 및 권취 가능하게 수용하는 프론트 커버용 권취축부를 갖는 프론트 커버용 권취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프론트 커버가 상기 지지부재와 차량의 리어 시트(rear seat) 사이에서 전개 가능한 형태로, 상기 프론트 커버용 권취축부가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차량용 커버 장치.
KR1020127005099A 2009-10-30 2010-10-08 차량용 커버 장치 KR201200909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50137A JP5340888B2 (ja) 2009-10-30 2009-10-30 車両用カバー装置
JPJP-P-2009-250137 2009-10-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0949A true KR20120090949A (ko) 2012-08-17

Family

ID=43921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5099A KR20120090949A (ko) 2009-10-30 2010-10-08 차량용 커버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20145338A1 (ko)
EP (1) EP2495131A4 (ko)
JP (1) JP5340888B2 (ko)
KR (1) KR20120090949A (ko)
CN (1) CN102666202A (ko)
WO (1) WO20110523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19585B2 (ja) * 2010-12-27 2015-05-20 芦森工業株式会社 シェード装置
US9610897B2 (en) 2015-05-12 2017-04-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ulti-function/position cover system for a vehicle cargo area
DE102016212037B3 (de) * 2016-07-01 2017-05-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bdeckung für einen Spalt hinter einer Rücksitzlehne in einem Fahrzeug
FR3092054B1 (fr) 2019-01-30 2020-12-25 Psa Automobiles Sa Système cache-bagages pour véhicule automobile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RE16970E (en) * 1924-09-05 1928-05-22 Automobile curtain
US1950927A (en) * 1930-07-08 1934-03-13 Mcmillan William Flexible cover for vehicles
DE2739741A1 (de) * 1977-09-03 1979-03-15 Daimler Benz Ag Mit einer einen laderaum verschliessenden hecktuere versehener kraftwagen
FR2431395A1 (fr) * 1978-07-21 1980-02-15 Citroen Sa Vehicule a plage arriere amovible
DE3203940C2 (de) * 1982-02-05 1986-08-07 Adam Opel AG, 6090 Rüsselsheim Kraftfahrzeug mit einer Heckklappe
US5101878A (en) * 1991-06-21 1992-04-07 Thomas Gregory A Deployable sun screen for automobile windows
US6105653A (en) * 1995-11-20 2000-08-22 Armstrong; Michael R. Air circulation barrier for vehicle interior
JP3672676B2 (ja) * 1996-07-11 2005-07-20 芦森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トノカバー装置
DE10140256B4 (de) * 2001-08-07 2012-09-06 Bos Gmbh & Co. Kg Schutzvorrichtung für einen Laderaum eines Fahrzeugs
DE10151771C2 (de) * 2001-10-19 2003-08-14 Porsche Ag Abdeckeinrichtung
JP3839328B2 (ja) * 2002-01-31 2006-11-01 林テレンプ株式会社 車両用トノカバー装置
DE10262292B4 (de) * 2002-12-20 2010-08-05 Bos Gmbh & Co. Kg Laderaumabdeckung für einen Laderaum eines Kraftfahrzeuges
KR100534252B1 (ko) * 2003-10-04 2005-12-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카고 스크린용 행거의 고정구조
US20060071495A1 (en) * 2004-10-01 2006-04-06 Thomas Steigerwald Telescoping luggage cover
FR2897571A1 (fr) * 2006-02-20 2007-08-24 Cera Ensemble de recouvrement des bagages d'un vehicule automobile comprenant une pluralite de rideaux
JP2007283887A (ja) * 2006-04-17 2007-11-01 Nissan Motor Co Ltd トノカバー装置
FR2900611B1 (fr) * 2006-05-05 2008-08-08 Renault Sas Dispositif cache bagages de longueur reglable pour coffre de vehicule automobile, et vehicule correspondant
FR2904278B1 (fr) * 2006-07-27 2008-10-10 Cera Cache bagages comprenant deus dispositifs d'enroulement a axes decales longitudinalement
JP5007570B2 (ja) * 2007-01-24 2012-08-22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トノカバー装置
US7673921B2 (en) * 2007-01-24 2010-03-09 Mazda Motor Corporation Tonneau cover device of vehicle
JP5281260B2 (ja) * 2007-09-10 2013-09-04 芦森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トノカバー装置
US7644972B2 (en) * 2008-01-31 2010-01-12 Chrysler Group Llc Grocery bag holder integrated with a Tonneau cover feature
JP5719585B2 (ja) * 2010-12-27 2015-05-20 芦森工業株式会社 シェー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340888B2 (ja) 2013-11-13
CN102666202A (zh) 2012-09-12
WO2011052362A1 (ja) 2011-05-05
JP2011093451A (ja) 2011-05-12
EP2495131A1 (en) 2012-09-05
EP2495131A4 (en) 2013-03-20
US20120145338A1 (en) 2012-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90949A (ko) 차량용 커버 장치
JP2010195389A (ja) 一体型シート折り畳みレバー及びシートベルト出口
CN110494327B (zh) 遮光结构
JP5760645B2 (ja) 車両の後部荷室構造
JP5004235B2 (ja) 車両用トノカバー装置
JP2012148597A (ja) サンシェード装置
JP6050010B2 (ja) 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装備シート及び取付部材
JP4247407B2 (ja) 自動車用トノカバー装置
CN215971075U (zh) 扳手锁系统
JP3612425B2 (ja) 車体設置型の多目的ロープ装置
JP4563860B2 (ja) トノカバー装置
JP3494314B2 (ja) 車両用トノカバー装置
JP5577725B2 (ja) 車両のトノカバー装置
JP2005193859A (ja) トノカバー装置
KR102596283B1 (ko) 차량용 커버링 쉘프
JP2000038089A (ja) トノカバー装置
JP2006142948A (ja) 自動車のトノボード装置
JP5151238B2 (ja) 車体補強構造
JP2000006722A (ja) 車体設置型の多目的ロープ装置
KR101673691B1 (ko) 접이식 카고스크린의 레버 록킹장치
JP6050009B2 (ja) 取付部構造,取付部材及び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装備シート
JP5607554B2 (ja) 車両用の荷物固定機構
JP5944717B2 (ja) 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装備シート
JP2008189208A (ja) 車両のトノカバー装置
JPH078090U (ja) 自動車のトノカバ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